KR100534373B1 - 유압식 완충경첩 - Google Patents

유압식 완충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4373B1
KR100534373B1 KR10-2003-0090451A KR20030090451A KR100534373B1 KR 100534373 B1 KR100534373 B1 KR 100534373B1 KR 20030090451 A KR20030090451 A KR 20030090451A KR 100534373 B1 KR100534373 B1 KR 100534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cylinder
hydraulic chamber
inner circumferenc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0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8540A (ko
Inventor
김진석
정천섭
Original Assignee
김진석
정천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석, 정천섭 filed Critical 김진석
Priority to KR10-2003-0090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4373B1/ko
Publication of KR20050058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8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4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43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1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with a spring, other than a torsion spring, and a piston, the axes of which are the same or lie in the same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12Special devices controlling the circulation of the liquid, e.g. valve arran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5Mechanical means for force or torque adjustment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08Function thereof for bra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05Y2201/454Cyl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05Y2201/456Pist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05Y2201/458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경첩과 함께 사용되어 도어가 닫히는 속도를 제어해주는 유압식 완충경첩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도어에 고정되고 한쪽 측단 상하부에 간격을 두고 실린더를 갖는 제1힌지브래킷과, 제1힌지브래킷의 상하부실린더 사이에 동축으로 개재되는 중간실린더를 한쪽 측단에 가지고 문틀에 고정되며 중간실린더의 내주 상부에 소정길이의 복수의 안내돌기를 중심방향으로 갖는 제2힌지브래킷과, 상부실린더내에 고정되어 일부가 중간실린더에 삽입되며 내주에 다줄나사를 갖는 상부힌지부시와, 상부힌지부시의 내주에 결합되는 다줄나사를 외주에 가지며 헤드의 외주에 안내돌기들이 결합되는 안내홈을 갖는 슬라이더와, 안내돌기의 하측에서 중간실린더내에 조립되고 내주에 그보다 지름이 작은 소경부를 일정길이 가지며 오일이 충전되는 유압챔버와, 유압챔버의 상하단을 기밀상태로 관통하여 상단이 슬라이더에 고정되는 피스톤로드와 유압챔버의 소경부에 기밀상태로 조립되도록 피스톤로드의 중간에 위치되어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 되는 피스톤바디 및 피스톤바디에 의해 구획된 유압챔버의 상하부를 연통시키는 유로를 갖는 피스톤유닛과, 중간실린더의 하부에 결합되고 일부가 하부실린더에 삽입되는 하부힌지부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압식 완충경첩{Hydraulic damping hinge}
본 발명은 여닫이도어를 문틀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지지해주는 경첩(hinge)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경첩과 함께 사용되어 개방된 도어가 스프링의 복원탄성에 의해 자동으로 닫힐 때 유압에 의해서 닫히는 속도를 완만하게 제어함으로써 도어가 급격하게 닫히는 것을 방지하면서 도어의 개도(開度)가 일정각도 이하로 되면 속도변화를 주어 도어의 록킹(locking)을 확실하게 할 수 있도록 된 유압식 완충경첩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경첩은 도어가 그의 한쪽 측단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개폐될 수 있도록 도어의 일측단을 그에 대응하는 문틀의 한쪽 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지지하여 이른 바 여닫이도어를 구축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경첩은 통상 일단에 실린더를 가지고 도어와 문틀에 각각 장착되는 2개의 힌지브래킷과, 이들 힌지브래킷의 실린더에 공통으로 끼워져 양자를 연결하는 힌지핀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통상의 경첩은 단순히 도어를 문틀에 대해 회전 개폐만 가능하도록 연결하고 있어 도어의 개방과 폐쇄동작 모두 이용자가 직접 외력을 가해 수행해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이에 따라 경첩에 스프링을 부가하여 도어가 열린 후에는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스프링의 복원탄성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도록 된 스프링 경첩이 제공되어 있다.
그런데, 스프링 경첩의 경우 도어를 자동으로 닫아줄 수 있는 장점에 반해, 도어가 스프링의 복원탄성에 의해 급격히 닫혀 심한 충격소음을 야기하게 되는 바, 스프링 경첩은 유압식 완충경첩과 병설하여 개방된 도어가 스프링에 의해 닫힐 때 유압식 완충경첩이 닫히는 속도를 완만하게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유압식 완충경첩으로는 예를 들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219473호에서 찾아볼 수 있다.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219473호는, 도어를 열면 피스톤헤드가 상승에 따라 상부유압실에 있던 오일이 피스톤헤드에 구비된 큰 유로의 주밸브실을 통해 하부유압실로 신속하게 이동하여 도어가 수월하게 열리고, 반대로 스프링경첩이 도어를 닫으면 주밸브실이 볼에 의해 차단되고 피스톤헤드가 하강함에 따라 하부유압실의 오일이 실린더의 벽면에 형성된 작은 유체통로를 통해 상부유압실로 이동됨으로써 도어가 완만한 속도로 닫히도록 하며, 도어가 거의 닫히면 피스톤헤드가 실린더 내주의 확장부분에 진입하게 되어 오일이 유체통로와 함께 피스톤헤드와 실린더간의 틈새를 통해 동시에 이동함으로써 도어가 완전히 닫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유압식 완충경첩은 오일이 이동하는 유체통로가 도어의 개방과 폐쇄를 각각 담당하도록 복수개로 구비되어 구조가 복잡하고, 특히 도어의 닫힘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작은 유체통로가 실린더의 측벽에 형성되기 때문에 제작이 대단히 어려울 뿐 아니라 누유가 발생될 경우 압력손실로 인해 작동이 원활하지 못할 우려가 높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288374호에도 스프링경첩에 의한 도어의 닫힘속도를 완만하게 제어하기 위한 안전경첩이 제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유체의 압력에 따라 체적이 변하는 네오프렌을 구비하여 누유나 기포로 인한 작동불량+은 방지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도어의 개폐에 따른 오일의 이동통로가 개방과 폐쇄를 각각 담당하도록 이중구조를 갖는 등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이 어려울 뿐 아니라 닫히는 속도가 일정하여 도어가 확실하게 록킹되지 못할 우려가 높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스프링경첩의 복원력에 의해 도어가 닫힐 때 도어가 유압에 의해 서서히 닫히도록 하여 급격한 폐쇄로 인한 소음발생 등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도어의 개도가 일정각도 이하에 도달하면 속도변화를 주어 도어의 록킹을 확실히 할 수 있는 유압식 완충경첩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용이하게 제작 및 조립할 수 있고, 약간의 누유가 발생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유압식 완충경첩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유압식 완충경첩은, 도어에 고정되고, 한쪽 측단 상·하부에 간격을 두고 실린더를 갖는 제1힌지브래킷; 제1힌지브래킷의 상·하부실린더 사이에 동축으로 개재되는 중간실린더를 한쪽 측단에 가지고 문틀에 고정되며, 중간실린더의 내주 상부에 소정길이의 복수의 안내돌기를 중심방향으로 갖는 제2힌지브래킷; 제1힌지브래킷의 상부실린더내에 고정되어 몸체의 일부가 중간실린더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내주에 다줄나사를 갖는 상부 힌지부시(hinge bush); 상부 힌지부시의 내주에 결합되는 다줄나사를 외주에 가지며, 하단의 헤드 외주에 중간실린더의 안내돌기들이 결합되는 복수의 안내홈을 중심방향으로 갖는 슬라이더(slider); 안내돌기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중간실린더내에 조립되고, 내주의 소정위치에 그보다 지름이 작은 소경부(小徑部)를 일정길이 가지며, 오일이 충전되는 유압챔버(oil chamber); 유압챔버의 상·하단을 기밀상태로 관통하여 상단이 슬라이더에 연결되는 피스톤로드와, 유압챔버의 소경부에 기밀상태로 조립되도록 피스톤로드의 중간에 위치되어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 되는 피스톤바디와, 이 피스톤바디에 의해 구획된 유압챔버의 상·하부를 연통시키는 유로를 갖는 피스톤유닛; 및 중간실린더의 하부에 결합되어 유압챔버를 위치 고정시키고, 일부가 제1힌지브래킷의 하부실린더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하부 힌지부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피스톤유닛의 유로 일부에 상방을 향해 좁아지도록 구비되는 테이퍼부와, 이 테이퍼부에 수용되어 그의 작은 지름쪽으로 탄성바이어스(elastic bias) 되는 유량조절용 볼과, 피스톤로드의 상단에서 유로에 연통하도록 조정구멍을 형성하여 이에 기밀을 유지하며 축방향으로 나사결합 됨으로써 상기 볼을 반탄성방향으로 눌러주는 조정볼트로 이루어진 밸브수단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신속한 도어의 개방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개방된 도어가 스프링경첩에 의해 닫힐 때 서서히 닫히도록 하면서도 폐쇄완료 직전의 일정개도 동안만 빠르게 닫히므로 급격한 폐쇄로 인한 소음은 최소화되면서 도어를 확실하게 록킹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에 비해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서 용이하게 제작 및 조립할 수 있고, 도어의 개폐시 모두 오일이 피스톤에 구비된 하나의 유로와 피스톤과 유압챔버간의 틈새를 통해 이동하게 되어 약간의 누유가 있더라도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바, 유압식 완충경첩의 신뢰성과 내구성 및 제작성 향상 등에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1 내지 도4에서, 본 발명에 의한 유압식 완충경첩은, 한쪽 측단 상하에 상부실린더(11)와 하부실린더(12)를 간격을 두고 동축으로 가지고 예를 들어 도어(D)에 체결되는 제1힌지브래킷(10)과, 제1힌지브래킷(10)의 상부 및 하부실린더(11) (12) 사이에 위치되는 중간실린더(21)를 한쪽 측단에 가지고 예를 들어 문틀(F)에 체결되는 제2힌지브래킷(20)과, 상부실린더(11)와 중간실린더(21)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부 힌지부시(30)와, 이 상부 힌지부시(30)에 결합되어 승강하는 슬라이더(40)와, 슬라이더(4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제2힌지브래킷(20)의 중간실린더(21)내에 고정되는 유압챔버(50)와, 슬라이더(40)에 연결되어 유압챔버(50)의 내부에서 승강하는 피스톤유닛(60) 및 하부실린더(12)와 중간실린더(21)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하부 힌지부시(70)로 구성된다.
상부실린더(11)와 하부실린더(12)는 제1힌지브래킷(10)의 한쪽 측단에 일체로 용접되고, 제1힌지브래킷(10)의 적정위치에는 도어(D)와의 체결을 위한 복수의 체결구멍(13)들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기로 상부실린더(11)의 내부에는 상부 힌지부시(30)를 위치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시(14)가 끼워져 그 반경방향으로 체결되는 볼트(16)에 의해 고정되고, 이 고정부시(14)의 내주에는 복수의 조립홈(15)들이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중간실린더(21)는 제1힌지브래킷(10)의 상부 및 하부 실린더(11)(12)들 사이에 동축으로 개재되도록 제2힌지브래킷(20)의 한쪽 측단에 일체로 용접된다. 중간실린더(21)의 내주 상부에는 슬라이더(40)가 승강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안내돌기(22)들이 일정각도를 두고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축방향을 따라 일정길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2힌지브래킷(20)에도 문틀(F)과의 체결을 위한 복수의 체결구멍 (23)들이 형성된다.
상부 힌지부시(30)는 고정부시(14)의 조립홈(15)들에 끼워지는 복수의 조립돌기(31)들을 외주에 구비하여 고정부시(14)의 내부에 결합되되, 몸체의 일부가 상부실린더(11)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중간실린더(21)의 내부 상측에 삽입된다. 상부 힌지부시(30)의 하단에는 중간실린더(21)의 내주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지지하기 위한 플랜지(32)가 형성된다.
플랜지(32)의 하면은 중간실린더(21)의 안내돌기(22) 상단에 접촉 지지되고, 그 상면은 중간실린더(21)의 내주에 결합된 C형의 고정링(34)에 지지되어 위치 고정된다. 이는 슬라이더(40)의 상승시에 작용하는 축방향 힘을 고정링(34)이 지탱하도록 함으로써 상부실린더(11)의 내구력을 보전하기 위함이다.
상부 힌지부시(30)의 내주에는 도어(D)의 개폐동작에 따라 그에 결합된 슬라이더(40)가 충분한 스트로크로 승강할 수 있도록 다줄나사(33)가 구비된다.
슬라이더(40)는 상부 힌지부시(30)의 다줄나사(33)에 대응하는 다줄나사(41)를 외주에 구비하여 상부 힌지부시(30)의 내주에 나사결합방식으로 조립된다. 슬라이더(40)의 하단에는 중간실린더(21)의 내주에 미끄럼 접촉하는 큰 지름의 헤드 (42)가 일체로 구비되고, 이 헤드(42)의 외주에는 중간실린더(21)의 안내돌기(22)를 이동 가능하게 삽입하는 복수의 안내홈(43)들이 축방향으로 형성된다.
슬라이더(40)의 헤드(42)쪽 중앙에는 후술한 피스톤유닛(60)의 피스톤로드 (62) 상단이 끼워지는 조립구멍(44)이 적정깊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바람직하기로 슬라이더(40)의 중심에는 후술한 피스톤유닛(60)의 유량조정볼트(69)의 용이한 조작을 위한 안내구멍(45)이 함께 형성된다.
유압챔버(50)는 도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실린더(21)의 안내돌기(22) 하측에 위치하도록 중간실린더(21)의 내부에 삽입되어 하부 힌지부시(70)에 의해 위치 고정된다. 즉, 유압챔버(50)는 그 상단이 안내돌기(22)의 하단에 접촉 지지된 상태에서 중간실린더(21)의 하단에 체결되는 하부 힌지부시(70)에 하단이 접촉 지지됨으로써 중간실린더(21)내에 장착되는 것이다.
이러한 유압챔버(50)는 내부에 오일이 충전되는 실린더(51)와, 이 실린더 (51)의 양단을 밀폐시키는 상·하부 엔드캡(52a,52b)으로 구성된다. 실린더(51)의 내주에는 소정위치에 그 내경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소경부(51a)가 일정길이 구비된다.
각 엔드캡(52a,52b)은 피스톤유닛(60)의 피스톤로드(62)가 관통할 수 있도록 중공(中空)으로 구성되고, 기밀유지를 위해 외주에 복수의 오링(O-ring:53)을 구비하여 실린더(51)의 내주에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엔드캡(52a,52b)의 내주에는 피스톤로드(62)를 기밀상태로 삽입하기 위한 V형 단면의 소위 V패킹(54)이 끼워져 중공의 무두볼트(無頭bolt:55)에 의해 고정된다.
피스톤유닛(60)은 유압챔버(50)의 실린더(51)내에서 승강하는 피스톤바디 (61)와, 실린더(51)의 양단을 관통하여 피스톤바디(61)를 슬라이더(40)에 연결하는 피스톤로드(62) 및 피스톤바디(61)에 의해 구획된 유압챔버(50)의 상부유압실(50a)과 하부유압실(50b)을 연통시키는 유로(63)로 구성된다.
피스톤바디(61)는 외주에 기밀유지를 위한 오링(61a)을 구비하여 실린더(51)의 소경부(51a)내에 결합되고, 그와 유압챔버(50)의 하부 엔드캡(52b) 사이에 압축코일스프링(64)을 개재하여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 된다. 피스톤바디(61)의 중앙에는 상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테이퍼유로(63a)가 형성된다.
피스톤로드(62)는 피스톤바디(61)의 상면 중앙에 하단이 용접되고 유압챔버 (50)의 상부 엔드캡(52a)을 관통하여 슬라이더(40)의 조립구멍(44)에 상단이 끼워지는 상부로드(62a)와, 피스톤바디(61)의 하면 중앙에 상단이 용접되고 유압챔버 (50)의 하부 엔드캡(52b)을 관통하는 하부로드(62b)로 이루어진다.
상부로드(62a)의 하단부와 하부로드(62b)의 상단부에는 유압챔버(50)의 상부유압실(50a) 및 하부유압실(50b)을 피스톤바디(61)의 테이퍼유로(63a)와 각각 연통시키는 연결유로(63b)(63c)가 형성된다.
한편, 바람직하기로 피스톤바디(61)의 테이퍼유로(63a)에는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볼(65)이 끼워지고, 이 볼(65)은 테이퍼유로(63a)의 내주에 조립된 C링(66)에 지지된 스프링(67)에 의해 폐쇄방향인 테이프유로(63a)의 작은 지름 쪽으로 탄성바이어스 된다.
그리고 상부로드(62a)의 중앙에는 그 유로(63b)와 연통하도록 조정구멍(68)이 형성되며, 이 조정구멍(68)에 유량조절용 볼(65)을 반탄성방향으로 눌러 테이퍼유로(63a)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한 유량조정볼트(69)가 외주에 기밀유지를 위한 오링(69a)을 구비하여 나사 결합된다.
하부 힌지부시(70)는 중간실린더(21)의 내주 하부에 나사 결합되어 유압챔버 (50)를 위치 고정시킴과 함께, 그 몸체의 하부가 중간실린더(21)의 하방으로 돌출하여 제1힌지브래킷(10)의 하부실린더(12)내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 이러한 하부 힌지부시(70)는 피스톤유닛(60)의 하부로드(62b)가 통과할 수 있도록 중공으로 구성된다.
한편, 제1힌지브래킷(10)의 상부 및 하부실린더(11)(12)에는 그 내부를 외부와 차폐하기 위한 상·하부 캡(80)(90)이 각각 조립된다. 각 캡(80)(90)은 복수의 훅(81)(91)을 구비하여 상·하부 실린더(11)(12)의 내주에 형성된 걸림홈(11a) (12a)에 탄성적으로 조립된다.
다음,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유압식 완충경첩의 작동을 도6a 내지 도7d를 병행하여 설명한다.
도6a는 도어(D)가 닫혀 있는 상태로서, 슬라이더(40)는 상부 힌지부시(30)로부터 대부분 빠져나와 그 헤드(42)가 중간실린더(21)의 안내돌기(22)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하강한 상태로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피스톤유닛(60)이 하강하여 그 피스톤바디(61)가 압축코일스프링(64)을 압축하면서 유압챔버(50)의 소경부(51a)에서 이탈됨으로써 유압챔버(50)의 상부유압실(50a)과 하부유압실(50b)이 연통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때, 피스톤바디(61)의 테이퍼유로(63a)에 장착된 볼(65)은 스프링(67)에 의해 유량조정볼트(69)의 하단에 밀착되어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D)를 열면 제1힌지브래킷(10)의 상부실린더(11)내에 고정된 상부 힌지부시(30)가 도어(D)와 함께 회전됨으로써 그에 나사 결합된 슬라이더(40)가 상승하게 된다.
즉, 상부 힌지부시(30)는 그 외주의 조립돌기(31)가 도어(D)에 체결된 제1힌지브래킷(10)의 상부실린더(11) 내주에 볼트(16)로 고정된 고정부시(14)의 조립홈 (15)에 끼워져 회전되지 못하고, 슬라이더(40)는 그 헤드(42)의 외주에 형성된 안내홈(43)이 제2힌지브래킷(20)의 중간실린더(21) 내주에 구비된 안내돌기(22)를 삽입하여 회전되지 못하는 상태에서 양자가 나사 결합되어 있으므로 도어(D)를 열면 슬라이더(40)에 상방으로 추력이 발생되어 슬라이더(40)가 중간실린더(21)의 안내돌기(22)를 따라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압축코일스프링(64)이 그 복원탄성에 초기상태로 복원되면서 피스톤바디(61)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게 되고, 이에 따라 유압챔버(50)의 상부유압실(50a)의 오일이 유로(63)를 통해 하부유압실(50b)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도어(D)가 열리게 된다.
이때, 개방 초기에는 도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스톤바디(61)의 외주와 유압챔버(50)의 내주간에 일정한 갭(gap)이 형성된 상태로 이동되는 바, 상부 및 하부유압실(50a)(50b)에 압력차가 작아 볼(65)의 위치가 변하지 않으므로 테이퍼유로 (63a)의 개도는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오일이 피스톤바디(61)와 유압챔버(50)의 내주간에 형성되는 갭과 유로(63)를 통해 동시에 흐르게 되므로 신속하게 개방된다.
이후 도7b와 같이 피스톤바디(61)가 유압챔버(50)의 소경부(51a)에 진입하여 밀착되면 오일이 유로(63)를 통해서만 흐르게 되지만, 상대적으로 상부유압실(50a)의 압력이 커져 볼(65)이 스프링(67)을 압축하면서 하강되어 유로(63)의 개도가 커지게 됨으로써 역시 신속한 개방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6b와 같이 도어(D)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D)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하면,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경첩의 복원탄성에 의해 도어(D)가 폐쇄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그러면, 상부 힌지부시(30)가 동시에 회전됨으로써 그와 나사 결합된 슬라이더(40)가 중간실린더(21)의 안내돌기(22)에 유도되어 하강하게 됨으로써 피스톤유닛(60)이 동시에 하강된다.
이와 같이 피스톤유닛(60)이 하강하면, 유압챔버(50)의 하부유압실(50b)에 있던 오일이 상부유압실(50a)로 이동하게 되는데, 폐쇄 초기에는 이동유량이 적어 서서히 닫히고, 폐쇄완료 직전의 일정개도 구간에서는 이동유량이 많기 때문에 빠르게 닫히게 됨으로써 도어(D)의 확실한 록킹을 보장하게 된다.
즉, 폐쇄 초기에는 도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바디(61)가 유압챔버(50)의 소경부(51a)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는 바, 하부유압실(50b)에 있던 오일이 유로(63)를 통해서만 흐르게 되고 이때에는 유압이 유로조절용 볼(65)에 폐쇄방향으로 작용하여 테이퍼유로(63a)의 개도가 최소상태로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도어(D)가 서서히 닫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폐쇄완료 직전에는 도7d와 같이 피스톤바디(61)가 유압챔버(50)의 소경부(51a)를 벗어나 양자간에 갭을 형성한 상태로 하강하기 때문에 하부유압실 (50b)의 오일이 피스톤바디(61)의 외주와 유압챔버(50) 내주간의 갭과 유로(63)를 통해 동시에 흐르게 되므로 빠르게 닫히는 것이다.
따라서, 급작스런 폐쇄동작으로 인한 소음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되고 부주의에 의해 손가락 등이 끼여 부상당할 우려도 최소화 됨은 물론, 도어(D)를 확실하게 록킹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오일이 도어(D)의 개폐시 모두 피스톤유닛(60)의 하나의 유로(63)를 통해 이동함은 물론 피스톤바디(61)와 유압챔버(50)간에 형성된 갭을 통해 이동하므로 약간의 누유가 있더라도 동작시 압력손실이 거의 없어 안정된 동작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어(D)의 폐쇄속도는 조정볼트(69)를 죄거나 풀어 볼(65)의 위치를 조절하여 테이퍼유로(63a)의 개도를 조정함으로써 적절히 제어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압식 완충경첩에 의하면, 신속한 도어의 개방을 보장하면서도 개방된 도어가 대부분의 개도에서 서서히 닫히다가 폐쇄완료 직전의 일정개도 동안만 빠르게 닫히게 되므로 급격한 폐쇄로 인한 소음이 최소화되고 문틀과 도어 사이에 손가락이 끼여 다치는 등의 안전사고도 효과적으로 억제됨은 물론, 도어를 확실하게 록킹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에 비해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서 용이하게 제작 및 조립할 수 있고, 누유로 인한 동작불량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유압식 완충경첩의 신뢰성과 내구성 및 제작성 향상 등에 크게 기여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유압식 완충경첩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2는 도1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3은 도2의 Ⅲ-Ⅲ선 단면도,
도4는 도2의 Ⅳ-Ⅳ선 단면도,
도5는 유압챔버유닛을 발췌하여 나타낸 부분절단 분해 측면도,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 유압식 완충경첩의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각각 나타낸 단면도들,
도7a 내지 도7d는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발췌 단면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제1힌지브래킷 11,12: 상부 및 하부 실린더
20: 제2힌지브래킷 21: 중간실린더
22: 안내돌기 30: 상부 힌지부시
33: 다줄나사 40: 슬라이더
41: 다줄나사 43: 안내홈
50: 유압챔버 50a,50b: 상부 및 하부유압실
51a: 소경 54: V패킹
60: 피스톤유닛 61: 피스톤바디
62: 피스톤로드 63: 유로
63a: 테이퍼유로 64: 압축코일스프링
65: 유량조절용 볼 69: 조정볼트
D: 도어 F: 문틀

Claims (6)

  1. 도어에 고정되고, 한쪽 측단 상·하부에 간격을 두고 실린더를 갖는 제1힌지브래킷;
    상기 제1힌지브래킷의 상·하부실린더 사이에 동축으로 개재되는 중간실린더를 한쪽 측단에 가지고 문틀에 고정되며, 중간실린더의 내주 상부에 소정길이의 복수의 안내돌기를 중심방향으로 갖는 제2힌지브래킷;
    상기 제1힌지브래킷의 상부실린더내에 고정되어 몸체의 일부가 상기 중간실린더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내주에 다줄나사를 갖는 상부 힌지부시;
    상기 상부 힌지부시의 내주에 결합되는 다줄나사를 외주에 가지며, 하단의 헤드 외주에 상기 중간실린더의 안내돌기들이 결합되는 복수의 안내홈을 중심방향으로 갖는 슬라이더;
    상기 안내돌기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중간실린더내에 조립되고, 내주의 소정위치에 그보다 지름이 작은 소경부를 일정길이 가지며, 오일이 충전되는 유압챔버;
    상기 유압챔버의 상·하단을 기밀상태로 관통하여 상단이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는 피스톤로드와, 상기 유압챔버의 소경부에 기밀상태로 조립되도록 피스톤로드의 중간에 위치되어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 되는 피스톤바디와, 이 피스톤바디에 의해 구획된 유압챔버의 상·하부를 연통시키는 유로를 갖는 피스톤유닛; 및
    상기 중간실린더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유압챔버를 위치 고정시키고, 일부가 상기 제1힌지브래킷의 하부실린더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하부 힌지부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완충경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유닛의 유로 일부에 상방을 향해 좁아지도록 구비되는 테이퍼부와, 이 테이퍼부에 수용되어 그의 작은 지름쪽으로 탄성바이어스 되는 유량조절용 볼과, 상기 피스톤로드의 상단에서 유로에 연통하도록 조정구멍을 형성하여 이에 기밀을 유지하며 축방향으로 나사결합 됨으로써 상기 볼을 반탄성방향으로 눌러주는 조정볼트로 이루어진 밸브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완충경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유닛이,
    중앙에 상기 테이퍼유로를 구비하여 상기 유량조절용 볼을 내장하는 피스톤바디와, 테이퍼유로와 상기 유압챔버의 하부유압실을 연결하는 유로를 가지고 상기 피스톤바디의 하면에 접합되는 하부 피스톤로드와, 테이퍼유로와 상기 유압챔버의 상부유압실을 연결하는 유로를 가지면서 내주에 상기 조정볼트를 결합하여 피스톤로드의 상면에 접합되는 상부 피스톤로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완충경첩.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챔버는,
    내주의 소정위치에 상기 피스톤바디가 결합되는 소경부를 갖는 실린더와, 이 실린더의 양단에 각각 기밀상태로 나사결합되는 중공의 두 엔드캡과, 각 엔드캡의 내주에 장착되어 상기 피스톤로드를 기밀상태로 삽입하는 V패킹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완충경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힌지부시의 하단에 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중간실린더의 내주에 상부 힌지부시의 플랜지 상면을 접촉 지지하는 지지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완충경첩.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에 상기 조정볼트가 관통하는 안내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완충경첩.
KR10-2003-0090451A 2003-12-12 2003-12-12 유압식 완충경첩 KR100534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0451A KR100534373B1 (ko) 2003-12-12 2003-12-12 유압식 완충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0451A KR100534373B1 (ko) 2003-12-12 2003-12-12 유압식 완충경첩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8751U Division KR200345011Y1 (ko) 2003-12-12 2003-12-12 유압식 완충경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8540A KR20050058540A (ko) 2005-06-17
KR100534373B1 true KR100534373B1 (ko) 2005-12-09

Family

ID=37251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0451A KR100534373B1 (ko) 2003-12-12 2003-12-12 유압식 완충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43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891B1 (ko) 2012-12-20 2014-11-21 주식회사 케이오비에이 완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478B1 (ko) * 2006-03-10 2007-06-11 주식회사 솔텍 도어 힌지용 유압 제어장치
KR100878511B1 (ko) * 2008-02-21 2009-01-14 이종학 닫힘 동작이 부드러운 감속 힌지장치
CN105370130B (zh) * 2015-12-10 2017-01-25 湖州职业技术学院 液压合页的液压阻尼力调节机构
CN105816093B (zh) * 2016-04-21 2018-02-02 烟台南山学院 一种快降缓落阻尼器
KR101939357B1 (ko) * 2018-06-29 2019-01-16 (주)삼우 여닫이도어 댐핑클로져장치
TWM619656U (zh) * 2021-07-29 2021-11-11 林書瑋 緩衝合頁結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891B1 (ko) 2012-12-20 2014-11-21 주식회사 케이오비에이 완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8540A (ko) 200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2228A (en) Cylinder piston device
KR101728266B1 (ko) 완충 장치
US4993522A (en) Hydraulically blockable gas spring
US4383595A (en) Gas spring having three different damping-rate stages
US7243394B2 (en) Door closing hinge device
KR20100116620A (ko) 양쪽개방 도어용 자동폐쇄 힌지 및 양쪽개방 도어 구조
KR100534373B1 (ko) 유압식 완충경첩
US4495998A (en) Tubing pressure balanced well safety valve
US4257580A (en) Pneumatic spring
US4650165A (en) Gas spring
US6322058B1 (en) Air suspension apparatus
KR200345011Y1 (ko) 유압식 완충경첩
WO2002057578A2 (en) Door hinge device having damping function
CN201027888Y (zh) 一种家具阻尼器
JPS6217405A (ja) 固定式ピストンシリンダ組立体
KR100814074B1 (ko) 도어 개폐용 댐핑장치
US20050230203A1 (en) Adjustable-length gas spring
KR100813876B1 (ko) 스프링 복원력과 유압 완충력을 갖는 내장형 도어 힌지
CN110864065A (zh) 底阀、液压减振器及轨道车辆
CN212802922U (zh) 阻尼油缸
KR200243185Y1 (ko) 내장형 도어 개폐 완충기
KR100340225B1 (ko) 유압식 완충용 경첩
US11572963B2 (en) Pneumatic-hydraulic control valve
JP2001343044A (ja) ガススプリング
KR200260910Y1 (ko) 스윙체크 밸브용 디스크 완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