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1712A - 천정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천정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1712A
KR20070031712A KR1020050086451A KR20050086451A KR20070031712A KR 20070031712 A KR20070031712 A KR 20070031712A KR 1020050086451 A KR1020050086451 A KR 1020050086451A KR 20050086451 A KR20050086451 A KR 20050086451A KR 20070031712 A KR20070031712 A KR 20070031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heat
air
reheat dehumidification
air conditioner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6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7314B1 (ko
Inventor
서무교
한원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6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7314B1/ko
Publication of KR20070031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1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5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with subsequent heating, i.e. with the air, given the required humidity in the central station, passing a heating element to achieve the required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토출되는 공기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제습을 하여 체감냉방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실내열교환기를 거쳐 열교환된 공기를 복수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키는 천정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실내열교환기에는 복수의 실내열교환기로 흐르는 냉매의 방향을 조절하는 복수의 밸브가 설치되어 재열제습사이클을 구성하며, 재열제습사이클은 공기가 하나의 실내열교환기를 통과할 때 1차로 냉각 및 제습되고, 냉각 및 제습된 공기가 다른 하나의 실내열교환기를 통과할 때 가열되어 적정온도의 제습공기를 토출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천정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설치한 구조도,
도 2는 도 1의 천정형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냉매싸이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제어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의 동작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운전모드에 따른 부하의 동작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재열제습운전 시 공기의 유동방향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냉방운전 시 공기의 유동방향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실내기 16 : 흡입구
18a, 18b : 토출구 22a, 22b : 실내열교환기
24a, 24b : 실내팬 30a, 30b : 솔레노이드밸브
32 : 전자팽창밸브 50 : 실외기
52 : 압축기 120 : 제어부
170 : 흡입구개폐부
본 발명은 두 개의 토출구를 갖는 양방향 토출방식의 천정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토출되는 공기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제습을 하여 체감냉방을 향상시키는 천정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정형 공기조화기는 벽걸이나 패키지형 공기조화기와는 달리 천정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실내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일종으로서 두 개의 토출구를 갖는 구조에는 일본 특개평 2001-012790호가 있다.
동 공보에 개시된 천정형 공기조화기는 회의실 등과 같이 긴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 장소에 적합한 구조로서, 천정패널의 중앙부에 형성된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두 개의 실내열교환기를 거쳐 흡입구의 양측 외곽쪽에 형성된 두 개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면서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천정형 공기조화기는 냉방 시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두 개의 실내열교환기를 지나면서 냉각됨과 동시에 제습이 되기 때문에 두 개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온도가 상당히 낮아 인체에 직접 닿을 경우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노약자나 부녀자의 경우 극저온의 공기가 피부에 직접 닿을 경우 두통이나 냉방병을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냉방 시 토출되는 공기온도는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제습을 하는 재열제습운전을 구현하여 체감냉방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천정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 개의 실내열교환기 사이에 밸브를 설치하는 재열제습사이클을 구성하여 공기를 1차로 냉각 및 제습하여 습도를 낮춘 후 가열함에 따라 적정온도의 제습공기를 토출할 수 있는 천정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실내열교환기를 거쳐 열교환된 공기를 복수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키는 천정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실내열교환기에는 복수의 실내열교환기로 흐르는 냉매의 방향을 조절하는 복수의 밸브가 설치되어 재열제습사이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밸브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전자팽창밸브로 구성되어, 재열제습운전 시 냉매가 복수의 실내열교환기 중 어느 하나를 먼저 통과한 후 다른 하나의 실내열교환기를 나중에 통과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재열제습모드를 선택하는 입력부; 및 재열제습모드이면 냉방 시 토출되는 공기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제습을 하도록 상기 복수의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열제습운전은 공기가 하나의 실내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1차로 냉각 및 제습되고, 냉각 및 제습된 공기가 다른 하나의 실내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가열되어 적정온도의 제습공기를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재열제습운전 시 복수의 토출구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고 토출되도록 흡입구를 개폐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복수의 실내열교환기를 거쳐 열교환된 공기를 복수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키는 천 정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재열제습모드인가 판단하는 단계; 재열제습모드이면 상기 복수의 실내열교환기로 흐르는 냉매의 방향을 조절하여 재열제습사이클을 구성하는 단계; 및 재열제습사이클의 구성에 따라 공기를 1차로 냉각 및 제습한 후 가열하여 적정온도의 제습공기를 토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열제습사이클은 냉매가 복수의 실내열교환기 중 어느 하나를 먼저 통과한 후 다른 하나의 실내열교환기를 나중에 통과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설치한 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의 천정형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실내기(10)는 천정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어 그 하면이 개방된 상자형의 캐비닛(12)과, 상기 캐비닛(12)의 하면 개방부를 덮도록 캐비닛(12)의 하단에 설치되는 천정패널(14)을 구비한다.
상기 천정패널(14)의 중앙에는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6)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16)의 양측 외곽쪽에는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되어 다시 실내로 토출되도록 제1 및 제2토출구(18a, 18b)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토출구(18a, 18b)에는 토출구(18a, 18b)를 개폐시킴은 물론,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블레이드(20a, 20b)가 설치되며, 상기 블레이드(20a, 20b)는 회동구간(예를 들면, 0° 에서 70° 범위)에서의 분산각도 변화에 따라 토출구(18a, 18b)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고, 그 분산각도(default angle)의 위치에 따라 각각의 토출구(18a, 18b)를 개폐시킨다.
상기 캐비닛(12)의 내부에는 흡입된 공기를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해 냉풍 또는 온풍으로 열교환시키는 제1 및 제2실내열교환기(22a, 22b)가 대칭형상으로 흡입구(16)의 후측에 두 개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실내열교환기(22a, 22b)의 후측에는 흡입구(16)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열교환된 공기를 제1 및 제2토출구(18a, 18b)를 통해 토출시키는 제1 및 제2 크로스 플로어(cross flower) 실내팬(24a, 24b)이 두 개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냉매싸이클도이다.
도 3에서, 본 발명의 천정형 공기조화기는 통상의 냉매싸이클을 형성하는 실외기(50)와, 상기 실외기(50)에 연결되어 실내 냉난방을 행하는 실내기(10)를 구비하며, 실내기(10)와 실외기(50) 사이에는 냉매배관이 설치된다.
상기 실외기(50)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52)와, 상기 압축기(52)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흐름방향을 조절하는 사방밸브(54)와, 상기 압축기(52)에서 압축된 고 온고압의 기체냉매를 전달받아 실외공기와 열교환하는 실외열교환기(56)와, 상기 실외열교환기(56)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실외공기를 강제 송풍시키는 실외팬(58a)과, 상기 실외팬(58a)을 회전시키는 실외팬모터(58)와, 상기 실외열교환기(56)에서 열교환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실외 팽창밸브(60; 또는 모세관)를 포함한다.
상기 실내기(10)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구조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며, 제1 및 제2실내팬(24a, 24b)에는 각각의 실내팬(24a, 24b)을 회전시키는 제1 및 제2실내팬모터(28a, 28b)가 설치되고, 제1 및 제2실내열교환기(22a, 22b)에는 재열제습사이클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솔레노이드밸브(30a, 30b)와 전자팽창밸브(32)가 설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솔레노이드밸브(30a, 30b)와 전자팽창밸브(32)는 서로 반대로 동작하는데, 예를 들어 제1 및 제2솔레노이드밸브(30a, 30b)가 열리면 전자팽창밸브(32)는 닫히고, 제1 및 제2솔레노이드밸브(30a, 30b)가 닫히면 전자팽창밸브(32)는 열리는 형태로, 제1 및 제2솔레노이드밸브(30a, 30b)가 열리면 일반적인 냉방운전과 동일한 냉매사이클이 구성되고, 전자팽창밸브(32)가 열리면 재열제습사이클이 구성된다.
이러한 냉매싸이클을 가지는 천정형 공기조화기에서 난방운전 시에는 사방밸브(54)와 솔레노이드밸브(30a, 30b)가 온되어 냉매가 도 3의 점선화살표 방향으로 압축기(52)→ 사방밸브(54)→ 솔레노이드밸브(30b)→ 제1 및 제2실내열교환기(22a, 22b)→ 솔레노이드밸브(30a)→ 실외 팽창밸브(60)→ 실외열교환기(56)→ 사방밸브 (54)→ 압축기(52) 순으로 순환되는 냉매싸이클을 형성한다.
또한, 냉방운전 시에는 사방밸브(54)가 오프되고 솔레노이드밸브(30a, 30b)가 온되어 냉매는 도 3의 실선화살표 방향으로 압축기(52)→ 사방밸브(54)→ 실외열교환기(56)→ 실외 팽창밸브(60)→ 솔레노이드밸브(30a)→ 제1 및 제2실내열교환기(22a, 22b)→ 솔레노이드밸브(30b)→ 사방밸브(54)→ 압축기(52) 순으로 순환되는 냉매싸이클을 형성한다.
반면, 재열제습운전 시 냉매는 냉방운전과 동일한 방향으로 순환하나 제1 및 제2실내열교환기(22a, 22b)를 거치면서 방향이 바뀌어 제1실내열교환기(22a)는 가열코일의 기능을 가지며, 제2실내열교환기(22b)는 냉각코일의 기능을 갖는다. 이때 제1실내열교환기(22a)와 제2실내열교환기(22b)가 가열 및 냉각코일의 기능을 갖기 위해서는 실외 팽창밸브(60)를 완전히(100%) 열어주어 실외 팽창밸브(60)에서 냉매가 팽창되지 않고 그대로 통과하게 한다.
따라서, 재열제습운전 시에는 사방밸브(54)가 오프되고 전자팽창밸브(32)가 온되어 냉매가 압축기(52)→ 사방밸브(54)→ 실외열교환기(56)→ 실외 팽창밸브(60)→ 제1실내열교환기(22a)→ 전자팽창밸브(32)→ 제2실내열교환기(22b)→ 사방밸브(54)→ 압축기(52) 순으로 순환되는 냉매싸이클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냉매싸이클을 형성하는 천정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운전모드(냉방, 난방, 재열제습)와 설정온도, 설정풍량을 입력한 다음 운전키를 온시키면, 두 개의 실내팬(24a, 24b)이 설정풍량에 따라 회전하면서 흡입구(16)를 통해 실내공기가 실내기(10)내로 흡입된다.
상기 흡입구(16)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의 온도와 설정온도를 비교하여 실내온도와 설정온도의 차에 따라 압축기(52)의 운전주파수를 제어하여 압축기(52)를 구동시킴으로서 냉난방기능을 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제어 블록도로서, 키입력부(100), 실내온도감지부(110), 제어부(120), 압축기구동부(130), 실외팬모터구동부(140), 실내팬모터구동부(150), 밸브구동부(160), 흡입구개폐부(170) 및 표시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키입력부(100)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운전모드(냉방, 난방, 재열제습운전 등)와 설정온도, 설정풍량 등의 운전정보를 입력하도록 조작부 등으로 구성되고, 상기 실내온도감지부(110)는 흡입구(16)를 통해 실내기(10)내로 흡입되는 실내공기의 온도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키입력부(100)로부터 입력된 운전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30a, 30b)와 전자팽창밸브(32)의 동작을 제어하여 냉방, 난방 또는 재열제습운전을 수행하는 마이컴으로서, 냉방 시 토출공기온도가 너무 낮을 경우 재열제습모드를 선택하면 공기를 1차 가열한 후 냉각 및 제습하여 토출되는 공기온도는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제습을 하는 재열제습운전을 구현한다.
상기 압축기구동부(130)는 제어부(120)의 압축기제어신호에 따라 압축기(52)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실외팬모터구동부(140)는 제어부(120)의 실외팬제어신호에 따라 실외팬모터(58)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실내팬모터구동부(150)는 제어부(120)의 실내팬제어신호에 따라 실내팬 모터(28a, 28b)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냉난방운전 시에는 제1 및 제2실내팬모터(28a, 28b)가 모두 구동되나, 재열제습운전 시에는 제1실내팬모터(28a)만 구동되어 두 개의 토출구(18a, 18b) 중 한쪽은 흡입기능을 하고, 다른 한쪽은 토출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밸브구동부(160)는 키입력부(100)로부터 입력된 운전모드(냉방, 난방 또는 재열제습운전)에 따라 냉매싸이클을 냉방, 난방 또는 재열제습으로 전환시키도록 상기 제어부(120)에서 사방밸브(54), 실외 팽창밸브(60), 솔레노이드밸브(30a, 30b), 전자팽창밸브(32)를 제어한다.
상기 흡입구개폐부(170)는 키입력부(100)로부터 입력된 운전모드(냉방, 난방 또는 재열제습운전)에 따라 흡입구(16)를 개폐시키는 것으로, 냉난방운전 시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흡입구(16)를 열고 재열제습운전 시에는 흡입구(16)를 닫아 두 개의 토출구(18a, 18b)에서 공기의 흡입과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표시부(180)는 제어부(120)의 표시제어신호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운전상태와 에러모드 등을 표시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천정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의 동작과정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키입력부(100)를 통해 원하는 운전모드(냉방, 난방 또는 재열제습운전)와 설정온도, 설정풍량 등의 운전정보를 제어부(120)에 입력하면, 제어부(120)는 선택된 운전모드에 따라 밸브구동부(160)를 제어해서 사방밸브(54), 실 외 팽창밸브(60)가 냉방, 난방 또는 재열제습사이클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일반 냉방운전 시와 재열제습운전 시의 부하 동작을 도 6에 도시하였으며, 난방운전 시 부하 동작은 일반 냉방운전과 동일하다.
이어서, 제어부(120)는 재열제습운전인가를 판단하여(S100), 재열제습운전이면 흡입구개폐부(170)를 제어하여 흡입구(16)를 닫아 주고 양쪽의 토출구(18a, 18b)만 열어 주어 공기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동하도록 한다(S110).
이후, 상기 키입력부(100)로부터 입력된 설정풍량에 따라 제어부(120)는 제1실내팬모터(28a)를 구동시켜 한 개의 실내팬(24a)만을 회전시키는데(S120), 이는 흡입구(16)가 닫힌 상태에서 두 개의 토출구(18a, 18b)를 이용하여 공기가 흡입되고 토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1실내팬모터(28a)를 구동시키는 것은 토출기능을 갖는 토출구(18b)쪽의 실내팬(28a)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재열제습사이클의 구성에 따라 제2실내팬모터(28b)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이때에는 반대쪽 토출구(18a)가 토출기능을 갖게 된다.
이러한 재열제습운전 시 압축기(52) 운전중인가를 판단하여, 압축기(52) 운전중이 아니면 압축기(52) 운전조건인가를 판단하여 운전조건이면 소정의 지연시간을 가지고 압축기(52)를 운전시킨다(S130~S140).
이와 동시에, 제어부(120)는 솔레노이드밸브(30a, 30b)를 오프시키고 전자팽창밸브(32)를 열어 주어 냉매가 압축기(52)→ 사방밸브(54)→ 실외열교환기(56)→ 실외 팽창밸브(60)→ 제1실내열교환기(22a)→ 전자팽창밸브(32)→ 제2실내열교환기 (22b)→ 사방밸브(54)→ 압축기(52) 순으로 순환되도록 한다(S150).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0a, 30b)가 모두 닫히고 전자팽창밸브(32)가 열리면, 압축기(52)에서 토출되는 고온고압의 가스냉매가 실외열교환기(56), 실외 팽창밸브(60)를 지나 가열코일의 기능을 갖는 제1실내열교환기(22a)를 거치면서 응축되어 재열작용을 한다. 제1실내열교환기(22a)를 거친 고온고압의 액체냉매는 전자팽창밸브(32)를 통과하면서 팽창되어 저온저압의 액냉매가 제2실내열교환기(22b)로 공급된다. 냉각코일의 기능을 갖는 제2실내열교환기(22b)는 냉각 및 제습작용을 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토출구(18b)로 흡입된 공기가 제2실내열교환기(22b)를 통과하면서 냉각 및 제습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습도를 1차로 낮추고, 제2실내열교환기(22b)를 통과한 공기는 다시 제1실내열교환기(22a)를 지나면서 가열되어 원하는 온도의 공기를 제1토출구(18a)를 통해 토출함에 따라 적정온도의 제습공기가 실내로 토출되어 냉방 쾌적감을 향상시키는 재열제습운전을 수행한다(S160).
한편, 상기 S100에서 재열제습운전이 아니면 냉방 또는 난방운전이 선택된 경우이므로 흡입구개폐부(170)를 제어하여 흡입구(16)를 열어 주고 양쪽의 토출구(18a, 18b)도 열어 주어 공기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동하도록 한다(S200).
이후, 상기 키입력부(100)로부터 입력된 설정풍량에 따라 제어부(120)는 제1 및 제2실내팬모터(28a, 28b)를 구동시켜 두 개의 실내팬(24a, 24b)을 회전시킨다(S210).
이러한 냉방운전(또는 난방운전) 시 압축기(52) 운전중인가를 판단하여, 압 축기(52) 운전중이 아니면 압축기(52) 운전조건인가를 판단하여 운전조건이면 소정의 지연시간을 가지고 압축기(52)를 운전시킨다(S220~S230).
이와 동시에, 제어부(120)는 솔레노이드밸브(30a, 30b)를 온시키고 전자팽창밸브(32)를 닫아 주어 냉매가 압축기(52)→ 사방밸브(54)→ 실외열교환기(56)→ 실외 팽창밸브(60)→ 솔레노이드밸브(30a)→ 제1 및 제2실내열교환기(22a, 22b)→ 솔레노이드밸브(30b)→ 사방밸브(54)→ 압축기(52) 순으로 순환되도록 한다(S240).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0a, 30b)가 모두 열리고 전자팽창밸브(32)가 닫히면, 압축기(52)에서 토출되는 고온고압의 가스냉매가 실외열교환기(56)를 지나 실외 팽창밸브(60)를 통과하면서 팽창되어 저온저압의 액냉매가 제1 및 제2실내열교환기(22a, 22b)로 공급되어 제1 및 제2실내열교환기(22a, 22b)가 냉각 및 제습작용을 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구(16)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제1 및 제2실내열교환기(22a, 22b)를 통과하면서 냉각 및 제습되어 제1 및 제2토출구(18a, 18b)를 통해 토출됨에 따라 제습된 저온의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어 일반 냉방운전을 수행한다(S250).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천정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두 개의 실내열교환기 사이에 밸브를 설치하는 재열제습사이클을 구성하여 냉방 시 토출되는 공기온도는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제습을 하는 재열제습운전을 구현하여 체감냉방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천정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7)

  1. 복수의 실내열교환기를 거쳐 열교환된 공기를 복수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키는 천정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실내열교환기에는 복수의 실내열교환기로 흐르는 냉매의 방향을 조절하는 복수의 밸브가 설치되어 재열제습사이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공기조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밸브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전자팽창밸브로 구성되어;
    재열제습운전 시 냉매가 복수의 실내열교환기 중 어느 하나를 먼저 통과한 후, 다른 하나의 실내열교환기를 나중에 통과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공기조화기.
  3. 제 2항에 있어서,
    재열제습모드를 선택하는 입력부; 및
    재열제습모드이면 냉방 시 토출되는 공기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제습을 하도록 상기 복수의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공기조화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열제습운전은 공기가 하나의 실내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1차로 냉각 및 제습되고, 냉각 및 제습된 공기가 다른 하나의 실내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가열되어 적정온도의 제습공기를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공기조화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재열제습운전 시 복수의 토출구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고 토출되도록 흡입구를 개폐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공기조화기.
  6. 복수의 실내열교환기를 거쳐 열교환된 공기를 복수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키는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재열제습모드인가 판단하는 단계;
    재열제습모드이면 상기 복수의 실내열교환기로 흐르는 냉매의 방향을 조절하여 재열제습사이클을 구성하는 단계; 및
    재열제습사이클의 구성에 따라 공기를 1차로 냉각 및 제습한 후 가열하여 적정온도의 제습공기를 토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재열제습사이클은 냉매가 복수의 실내열교환기 중 어느 하나를 먼저 통 과한 후 다른 하나의 실내열교환기를 나중에 통과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050086451A 2005-09-15 2005-09-15 천정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37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451A KR100737314B1 (ko) 2005-09-15 2005-09-15 천정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451A KR100737314B1 (ko) 2005-09-15 2005-09-15 천정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712A true KR20070031712A (ko) 2007-03-20
KR100737314B1 KR100737314B1 (ko) 2007-07-09

Family

ID=41633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6451A KR100737314B1 (ko) 2005-09-15 2005-09-15 천정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73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0815A (ko) * 2016-11-07 2018-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장치
CN109237706A (zh) * 2018-08-24 2019-01-18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一种空调控制方法
CN109237707A (zh) * 2018-08-24 2019-01-18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一种空调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65682B2 (en) 2020-12-16 2024-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58172A (ja) * 1990-10-19 1992-06-01 Sharp Corp 空気調和機
JPH07158888A (ja) * 1993-12-10 1995-06-20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2003004335A (ja) 2001-06-20 2003-01-08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2002221353A (ja) 2001-12-10 2002-08-09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KR100465722B1 (ko) * 2002-12-18 200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 겸용 히트펌프식 공기조화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0815A (ko) * 2016-11-07 2018-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장치
CN109237706A (zh) * 2018-08-24 2019-01-18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一种空调控制方法
CN109237707A (zh) * 2018-08-24 2019-01-18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一种空调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7314B1 (ko) 2007-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5052B2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372907B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16638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09790992B (zh) 室内机及空气调节机
KR910004391B1 (ko) 공기조화기
US7624587B2 (en) Multi-stage operation type air conditioner
KR20100110423A (ko)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JP2004116977A (ja) 空気調和機
WO2019087353A1 (ja) 空気調和機
KR100737314B1 (ko) 천정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6145192A (ja) 空気調和機及びその運転制御方法
JP4170676B2 (ja) 天井型エアコンのベーン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696120B1 (ko) 제상운전 시 난방능력 향상이 가능한 냉난방형공기조화기와 그에 사용되는 실외기 및 제상운전 방법
JPH0719514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2001116385A (ja) 空気調和機
JP6389859B2 (ja) 空調システム
JPH03207937A (ja) 空気調和機
KR101116209B1 (ko) 다단 운전 공기 조화기
KR100519331B1 (ko) 환기겸용 냉난방시스템 및 이 시스템이 적용된 공기조화기
JPH11159803A (ja) 窓用空気調和装置
KR10062642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제어방법
KR100637665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KR100691230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2001091097A (ja) 空気調和機
JPH0642796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