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0338A - 프런트 엔드 모듈용 캐리어 - Google Patents

프런트 엔드 모듈용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0338A
KR20070030338A KR1020050084910A KR20050084910A KR20070030338A KR 20070030338 A KR20070030338 A KR 20070030338A KR 1020050084910 A KR1020050084910 A KR 1020050084910A KR 20050084910 A KR20050084910 A KR 20050084910A KR 20070030338 A KR20070030338 A KR 20070030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arrier
metal panel
resin
end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4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호창
홍영진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4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0338A/ko
Publication of KR20070030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03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5Front-end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4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 B60Q1/044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the housing being fastened onto the vehicle body using means other than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디에이터와 헤드 램프 등이 일체로 조립된 프런트 엔드 모듈의 구조재로 이용되는 캐리어로서 특히 금속제의 강도 보강용 금속패널과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사출된 합성수지제의 수지패널이 일체화된 하이브리드형 프런트 엔드 모듈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런트 엔드 모듈용 캐리어는 수지패널(36) 사출 성형시 그 일부가 금속패널(35)에 함몰 형성된 함몰부(35a) 내의 사출공(35b)으로 사출되어 형성된 상기 수지패널의 파지부(36a)가 상기 금속패널의 함몰부를 파지하도록 구성되며 특히 상기 파지부(36a)가 상기 금속패널의 외면 상으로 융기된 융기부(36b)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의 캐리어는 강성이 취약한 금속패널에 대한 수지패널의 연결부분이 보강됨에 따라 내구성이 우수하고 파지부의 표면이 부식 및 색상 처리되어 금속패널에 대해 질감과 색상이 일체화됨으로써 외관이 우수하다.
프런트 엔드 모듈, 캐리어, 하이브리드, 금속, 합성수지, 굽힘강도

Description

프런트 엔드 모듈용 캐리어{CARRIER FOR FRONT END MODULE}
도 1은 자동차 프런트 엔드 모듈 사시도.
도 2는 하이브리드형 프런트 엔드 모듈용 캐리어의 사시도.
도 3은 종래 프런트 엔드 모듈용 캐리어의 금속패널과 수지패널간 결합구조를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하여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 엔드 모듈용 캐리어의 금속패널과 수지패널간 결합구조를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하여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공조장치 모듈 2 : 헤드 램프
3 : 캐리어 35 : 금속패널
35a : 함몰부 35b : 사출공
36 : 수지패널 36a : 파지부
36b : 융기부
본 발명은 라디에이터, 응축기, 헤드 램프 등이 일체로 조립된 프런트 엔드 모듈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속제의 강도 보강용 금속패널과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사출된 합성수지제의 수지패널이 일체화된 하이브리드형 프런트 엔드 모듈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프런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은 완성차 조립라인의 생산성과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11) 응축기(12) 냉각팬(도시되지 않음) 등으로 이루어진 공조장치 모듈(1), 헤드 램프(2), 혼(Horn)(도시되지 않음), 범퍼(4) 등 차체의 앞쪽에 독립작업으로 설치되는 장치 등을 차체 프레임(도시되지 않음)에 대하여 한 번에 장착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의 골조부재인 캐리어(Carrier)(3)를 매개로 일체로 모듈화한 것이다.
이와 같은 차량용 프런트 엔드 모듈에 있어서 기초 골격을 형성하는 캐리어(3)는 중량이 무거운 공조장치 모듈(1) 등을 지탱하면서 전방으로부터 받는 충격이나 하중에도 견디어야 하는 구조재로서 상당한 하중강도와 충격강도가 요구되며, 또한 연비 향상을 위하여 차체가 경량화되고 있는 추세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중량이 가벼워야 한다.
이에, 최근에는 중량이 무거운 대신 강도가 높은 기존 금속제 캐리어의 장점과 강도가 약하지만 무게는 가벼운 종래 합성수지제 캐리어의 장점을 취합하여 경 량이면서 강도가 높은 하이브리드형 캐리어가 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형 캐리어는 상부를 가로질러 배치되어 하중이나 충격 부담이 가장 큰 수평프레임을 강도가 금속재질의 금속패널(30)로 구성하고 그 금속패널(30)에 캐리어(3)의 전체 골격을 형성하는 합성수지제 수지패널(31)을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성형하여 일체화한 것으로,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지패널의 사각틀 형상의 중앙부분의 배면에 라디에이터(11)와 응축기(12)가 포함된 공조장치 모듈(1) 등이 장착되고 헤드 램프(2) 등은 수지패널(31)의 양 날개부분에 장착된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형 캐리어(3)에 있어서 금속패널(30)과 수지패널(31)은 통상 상기 금속패널(30)에 형성된 함몰부(30a)의 사출공(30b)으로 사출 성형된 수지패널(31)의 파지부(31a)가 금속패널(30)의 사출공(31b) 둘레를 파지하여 서로 일체화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프런트 엔드 모듈용 캐리어의 경우, 수지패널(31)의 파지부(31a)가 금속패널(30) 표면과 동일 평면상의 표면을 갖도록 성형되는데, 파지부(31)의 강성이 취약하여 작은 접촉 사고에서도 파지부(31) 부위가 쉽게 변형되거나 양 패널(30,41)이 탈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닛 개방으로 밖으로 빈번히 노출되는 외장재로서 각 패널의 표면이 도장되는데, 도장을 위해 처리하는 과정에서 열부하에 의해 파지부(31a)에서 변형이 발생되는데 이 때 두 패널(30,41)의 표면 사이 경계에 굴곡이 형성되어 강도가 약해질 뿐만 아니라 외관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프런트 엔드 모듈용 캐리어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금속패널과 수지패널 사이 결합부위의 결합 강성이 높아 변형이나 손상될 우려가 적고 또한 외관 품질도 크게 개선된 프런트 엔드 모듈용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중앙에 라디에이터와 응축기가 포함된 공조장치 모듈이 장착되고 양측에 헤드 램프가 장착되는 수지패널에 강도 보강용 금속패널이 일체화된 것으로, 상기 수지패널 사출 성형시 그 일부가 상기 금속패널에 함몰 형성된 함몰부 내의 사출공으로 사출되어 상기 함몰부의 내,외면에 형성되는 상기 수지패널의 파지부가 상기 금속패널의 함몰부를 파지하도록 구성된 프런트 엔드 모듈용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수지패널의 파지부는 상기 함몰부 내에서 상기 금속패널의 외면 상으로 융기된 융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지부의 융기부는 상기 금속패널의 외면에 대하여 0.5㎜ 이상의 일정한 단차를 갖는 평활한 표면을 갖도록 성형되고 그 표면은 미세 거칠기를 갖도록 부식 처리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프런트 엔드 모듈 캐리어는 금속패널에 대한 수지패널의 연결부분으로 상대적으로 취약하였던 파지부가 금속패널 위로 돌기된 융기부를 보유하여 단면계수가 크기 때문에 굽힘하중에 견딜 수 있는 굽힘강도가 매우 높다. 또한 융기부가 부식 처리되어 수지패널과 금속패널이 질감과 색상에서 일체화되어 외관 품질이 매우 높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프런트 엔드 모듈 캐리어 고정구조의 구성과 작용 등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 엔드 모듈용 캐리어의 금속패널과 수지패널의 결합구조를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하여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 엔드 모듈용 캐리어는 하중이나 충격 부담이 큰 수평프레임은 강도가 큰 금속패널(35)로 구성되고 전체 골격을 형성하여 라디에이터와 응축기가 포함된 공조장치 모듈과 헤드 램프 등이 장착되는 나머지 부분은 합성수지제 수지패널(36)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캐리어로서, 상기 금속패널(35)과 수지패널(36)은 금속패널(35)에 수지패널(36)을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사출하여 수지패널(36)의 가장자리가 금속패널(35)의 트림부(도시되지 않음)를 파지하고 또한 수지패널(36) 사출 성형시 금속패널(35)에 형성된 함몰부(35a)의 사출공(35b)으로 사출 경화된 파지부(36a)가 금속패널(35)의 사출공(35b) 둘레의 함몰부(35a)의 내,외면을 파지함으로써 서로 일체화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결합 구조에 있어서 특히 금속패널(35)의 함몰부(35a) 바닥면에 형성되는 사출공(35b)의 폭(w)은 수지 사출시 수지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면서 결합 강성을 높일 수 있도록 최소 2㎜ 이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수지패널(36)의 파지부(36a)는 상기 금속패널(35)의 함몰부(35a) 내,외부를 감싸면서 경화되어 사출공(35b) 둘레를 파지하는데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 상부에 상기 함몰부(35a) 밖으로 돌출되어 상기 금속패널(35)의 외면에 대하여 0.5㎜이상의 일정한 단차(t)를 가진 평활한 표면을 형성하는 융기부(36b)를 구비한다.
파지부(36a)의 융기부(36b)는 파지부(36a)의 단면적을 넓혀 캐리어에서 굽힘강성이 가장 취약한 금속패널(35)과 수지패널(36) 사이 경계부분에서 수지패널(36)의 굽힘 단면계수를 증가시킨다. 이에 수지제로만 이루어져 상대적으로 취약한 파지부(36a)의 굽힘 강도를 구조적으로 보강하여 캐리어(3)의 굽힘 강도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융기부(36b)는 도장을 위한 전처리시 고열의 금속패널(35)과 직접적으로 접촉됨에 따라 열변형에 취약한 수지패널(36)의 경계부위의 열변형율을 감소시키고 사후 부식처리 공정을 거치면서 도 4의 원내 확대단면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표면에 5 내지∼80 ㎛ 내외의 거칠기 입자가 형성됨과 아울러 금속패널(35)과 동일한 색상으로 처리됨으로써 외관상으로 수지패널(36)과 금속패널(35)을 일체화하는 역할도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런트 엔드 모듈용 캐리어는 수지제로만 이루어져 강성이 취약한 수지패널(36)의 파지부(36a)가 금속패널(35) 위로 돌기되어 단 면계수를 증가시키는 융기부(36b)에 의해 보강됨으로써 굽힘강도가 매우 높다. 또한 밖으로 노출되는 융기부(36b)의 표면이 부식 처리됨으로써 소재가 다른 수지패널(36)과 금속패널(35)에 대하여 질감과 색상에서 일체감을 부여하여 외관 품질이 높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런트 엔드 모듈용 캐리어는 강성이 취약한 금속패널에 대한 수지패널의 연결부분이 보강됨에 따라 굽힘 강도가 높아 내구성이 뛰어나다. 뿐만 아니라 금속패널 밖으로 노출된 수지패널의 결합부위 즉 파지부의 표면이 부식 및 색상 처리되어 수지패널과 금속패널의 질감과 색상이 일체화됨으로써 그 외관 품질이 매우 우수하다.

Claims (6)

  1. 중앙에 라디에이터(11)와 응축기(12)가 포함된 공조장치 모듈이 장착되고 양측에 헤드 램프(2)가 장착되는 수지패널(36)에 강도 보강용 금속패널(35)이 일체화된 것으로, 상기 수지패널(36) 사출 성형시 그 일부가 상기 금속패널(35)에 함몰 형성된 함몰부(35a) 내의 사출공(35b)으로 사출되어 상기 함몰부(35a)의 내,외면에 형성되는 상기 수지패널의 파지부(36a)가 상기 금속패널의 함몰부(35a)를 파지하도록 구성된 프런트 엔드 모듈용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수지패널(36)의 파지부(36a)는 상기 함몰부 내에서 상기 금속패널(35)의 외면 상으로 융기된 융기부(36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런트 엔드 모듈용 캐리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융기부(36b)는 상기 금속패널(35)의 외면에 대하여 일정한 단차(t)를 갖는 평활한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런트 엔드 모듈용 캐리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36b)의 표면과 상기 금속패널(35)의 외면 사이의 단차(t)는 0.5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런트 엔드 모듈용 캐리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36b)의 표면은 미세 거칠기를 갖도록 부식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런트 엔드 모듈용 캐리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36b) 표면의 거칠기 입자의 크기는 5∼8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런트 엔드 모듈용 캐리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공의 폭(w)은 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런트 엔드 모듈용 캐리어.
KR1020050084910A 2005-09-13 2005-09-13 프런트 엔드 모듈용 캐리어 KR200700303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910A KR20070030338A (ko) 2005-09-13 2005-09-13 프런트 엔드 모듈용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910A KR20070030338A (ko) 2005-09-13 2005-09-13 프런트 엔드 모듈용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0338A true KR20070030338A (ko) 2007-03-16

Family

ID=43655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4910A KR20070030338A (ko) 2005-09-13 2005-09-13 프런트 엔드 모듈용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03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814A (ko) *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엠에스 오토텍 복합재 도어 인너 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814A (ko) *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엠에스 오토텍 복합재 도어 인너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7292B2 (en) Composite liftgate
US6749254B1 (en) Body panel assembly
CN108116205A (zh) 一种用于车辆背门内板的加强件
JP2010260519A (ja) バックドア
CN105793145A (zh) 制造可移动车身部分的外部覆盖部件的方法以及通过后注塑纤维增强塑料具有增强部的相应外部覆盖部件
JP2010100226A (ja) バックドア
CN208469944U (zh) 一种汽车铝合金前机盖结构
KR20070030338A (ko) 프런트 엔드 모듈용 캐리어
KR101794839B1 (ko) 열변형에 대응하는 플라스틱 펜더
CN106184390B (zh) 车身侧围后部结构
JP4909207B2 (ja) 車体用アンダーカバー並びに車体用アンダーカバーの製造方法
US20070139940A1 (en) Front end module carrier for vehicle
CN106143633B (zh) 车身侧围b柱连接结构
CN112721592B (zh) 一种车辆用后挡板的内侧板结构
JP2007069832A (ja) 車両用樹脂製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2913128Y (zh) 汽车后尾门
CN208602573U (zh) 前端模块框架和金属部件
CN106364573A (zh) 一种用于车辆的翼子板结构及其组装方法
CN207208224U (zh) 车辆翼子板加强结构、车辆翼子板、及具有其的车辆
CN220199025U (zh) 一种塑料尾门铆接预埋加强板结构
CN209833784U (zh) 一种发动机罩的铰链加强板结构
CN216660049U (zh) 一种汽车引擎盖
CN219339156U (zh) 一种复合材料车门系统
CN218021165U (zh) 一种一体式门环结构及车辆
WO2020152819A1 (ja) 車両用樹脂製バックド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