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4839B1 - 열변형에 대응하는 플라스틱 펜더 - Google Patents

열변형에 대응하는 플라스틱 펜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4839B1
KR101794839B1 KR1020150172368A KR20150172368A KR101794839B1 KR 101794839 B1 KR101794839 B1 KR 101794839B1 KR 1020150172368 A KR1020150172368 A KR 1020150172368A KR 20150172368 A KR20150172368 A KR 20150172368A KR 101794839 B1 KR101794839 B1 KR 101794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fender
plastic fender
thermal deformation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2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5950A (ko
Inventor
채석준
신지용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2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839B1/ko
Priority to US15/090,276 priority patent/US9873461B2/en
Priority to CN201610274752.6A priority patent/CN106828614B/zh
Publication of KR20170065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5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 B62D25/161Mud-guards made of non-conventional material, e.g. rubber,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 B62D25/163Mou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 B62D25/18Parts or details thereof, e.g. mudguard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4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synthetic material
    • B62D29/043Super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4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synthetic material
    • B62D29/048Connections therefor, e.g.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변형에 대응하는 플라스틱 펜더에 관한 것으로서, 플라스틱 펜더의 마운팅부에 벨로즈 형상을 플라스틱 펜더에 일체로 성형하여 플라스틱 펜더가 열변형에 따라 대응하여 움직이는 효과를 내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후드 라인부, 범퍼 라인부 및 도어 라인부를 포함하며,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각각 마운팅부가 형성되는 차량용 펜더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에 형성되며, 열변형에 대응하여 움직이는 벨로즈 형상부를 포함하는 열변형에 대응하는 플라스틱 펜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열변형에 대응하는 플라스틱 펜더{The Plastic Fender Corresponding With Thermal Strain}
본 발명은 열변형에 대응하는 플라스틱 펜더에 관한 것으로서, 플라스틱 펜더의 마운팅부에 벨로즈 형상을 플라스틱 펜더에 일체로 성형하여 플라스틱 펜더가 열변형에 따라 대응하여 움직이는 효과를 내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환경문제가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바,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자동차 업계에서는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엔진의 효율을 극대화하여 연비를 증가시키는 방안과 자동차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연비를 증가시키는 방안이 해결책으로 제시되고 있다.
상기의 연비를 증가시키는 방안으로 차량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것은 차량의 소재인 기존 합금강의 무게를 감소시키지만 강성이나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방법과 차량의 소재인 합금강 대신 더욱 가볍지만 강성을 확보하기 좋은 방안으로 플라스틱소재로 대체하는 방법이 있다. 종래의 플라스틱소재는 합금강에 비하여 부식이 되지 않는 장점이 있지만, 빛에 의한 색 변화 및 강도의 저하 등이 문제될 뿐만 아니라 기존 합금강에 비하여 강성이 약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차량의 펜더(fender)는 '자동차의 흙받기'라는 뜻으로 타이어를 덮고 있는 부분을 가리키며, 일반적으로 차량의 바디 측면이 평평하게 이어져 있는 부분을 말한다. 통상 차량의 펜더는 스틸소재로 제작되지만 차량의 무게가 증가하고, 나아가 스틸소재로 이루어진 펜더가 충격을 받는 경우, 펜더가 함몰되게 되어 이를 회복시키는데 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차량의 무게를 감소시켜 연비를 증가시키는 것과 충격으로 인한 파손의 회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차량의 펜더를 플라스틱소재로 제작하는 방안이 제시되어 왔다.
상기와 같이 플라스틱소재로 이루어진 펜더는 스틸소재로 이루어진 펜더에 비하여 무게를 40%이상 절감시킬 수 있고 성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플라스틱소재는 스틸소재에 비하여 열변형이 큰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도장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지만 차량의 색 매칭과 기존설비를 이용해 제조비용의 절감시킬 수 있는 차체라인 조립 즉, 차체에 플라스틱소재 펜더를 결합시킨 후 열처리 및 도장을 하는 방법이 가장 유리하다. 다만, 차체를 열처리를 하는 경우 스틸소재와 플라스틱소재의 열팽차률이 달라 생기는 플라스틱소재로 구성된 차량의 펜더가 열변형으로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도장 방법이 있지만 추가적인 비용 문제와 차량의 색 매칭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기술인 플라스틱소재 펜더 마운팅부 별물 구조는 별도의 구조물을 이용하여 마운팅하는 방법 즉, 슬라이딩 픽스처를 이용하여 차체에 플라스틱소재 펜더를 고정하였지만 별도로 슬라이딩 픽스처를 제작하고 이를 별도의 제작공정에서 조립해야만 하므로 시간과 비용적인 측면에서 문제가 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열처리 단계에서 발생하는 열변형을 대응시키겨 열변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며 추가적으로 적용되는 부품수를 감소시켜 제조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 및 차량의 중량을 감소시켜 연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연비의 증가로 이산화 탄소를 감소시켜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플라스틱 펜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후드 라인부, 범퍼 라인부 및 도어 라인부를 포함하며,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각각 마운팅부가 형성되는 차량용 펜더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에 형성되며, 열변형에 대응하여 움직이는 픽스처를 포함하는 열변형에 대응하는 플라스틱 펜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펜더의 재질은 열가소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후드 라인부, 범퍼 라인부 및 도어 라인부의 마운팅부에 하나 이상의 상기 픽스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픽스처는 체결구에 의해 차체와 체결되는 체결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볼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픽스처는 상기 플라스틱 펜더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픽스처는 중심에 상기 체결홀이 위치하고 상기 마운팅부와 체결홀의 사이를 연결하는 벨로즈 형상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벨로즈 형상부는 마름모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변형에 대응하는 플라스틱 펜더에 의하면, 차량의 열처리 단계에서 발생하는 열변형을 대응시켜 열변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며 추가적으로 적용되는 부품수를 감소시켜 제조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 및 차량의 중량을 감소시켜 연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연비의 증가로 이산화탄소를 감소시켜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차량용 플라스틱 펜더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조립 및 도장공정의 순서도.
도 2는 열처리과정 중 플라스틱 펜더의 열변형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플라스틱 펜더 마운팅부의 별물 구조의 사각홀의 사진도.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슬라이딩 픽스처의 구성도.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체, 플라스틱 펜더, 슬라이딩 픽스처 및 볼트의 결합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펜더 마운팅부의 일체형 구조의 구성도.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펜더에 일체형 픽스처의 위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펜더 마운팅부의 일체형 픽스처, 차체 및 볼트의 결합 예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펜더의 열변형에 의한 이동을 나타낸 예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펜더의 열변형에 의하여 변형되는 일체형 픽스처의 형태를 나타낸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는 플라스틱 펜더 마운팅부 일체형 구조의 벨로즈 형상부에 의하여 열변형에 대응하는 플라스틱 펜더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조립 및 도장공정의 순서도이다. 차량은 차체조립 공정단계(S11)을 거친 후 도장용 도료가 있는 곳에 차량을 담그는 과정인 전착공정단계(S13)가 진행된다. 이후 상기 전착공정이 진행된 차체를 오븐 속에 넣어 180~200℃의 온도로 건조시키는 전착오븐열처리단계(S15)가 진행된다. 이후 상기 전착오븐열처리된 차체를 중도공정단계(S17)와 상도공정단계(S19)를 거친 후 의장조립단계(S21)가 진행된다. 상기와 같은 차체는 일반적으로 스틸소재로 구성되지만 본 발명의 펜더는 플라스틱소재로 상기 스틸소재과는 열에 따른 팽창률이 다르다. 따라서 상온에서 고온으로 가열하는 경우 스틸소재와 플라스틱소재의 열변형이 되는 양상이 달라 플라스틱소재가 파손되되고 도장면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스틸소재인 차체와 플라스틱소재의 펜더를 결합하는 시점에 따라 생기는 문제점이 다르다.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펜더를 스틸소재인 차체에 결합하는 시점에 따라 차체라인 조립(on line)공법, 도장라인 조립(in line)공법 및 의장라인 조립(off line)공법으로 구분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의장라인 조립(on line)공법의 경우, 상도공정단계(S19)와 의장조립단계(S21) 사이에 플라스틱 펜더를 조립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플라스틱 펜더를 의장라인 조립으로 할 경우, 차량에 요구되는 틈(gap)과 단차를 확보하는데 유리하며, 열처리에 의한 변성이 생기지 않아 내충격성 및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플라스틱 펜더에 적용되는 플라스틱소재의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별도로 스틸소재인 차체와 플라스틱 펜더에 도장을 해야 하므로 색을 매칭시키기 어려우며, 플라스틱 펜더를 차체에 장착하는 공정과 설비를 별로로 마련해야 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나아가, 상기 도장라인 조립(in line)공법의 경우, 전착오븐열처리단계(S15)와 중도공정단계(S17) 사이에 플라스틱 펜더를 조립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플라스틱 펜더를 도장라인 조립으로 할 경우, 도장공정이 조립 이후에 이루어 지는 바, 색 매칭이 용이하며, 또한, 플라스틱 펜더의 조립이 전착오븐열처리단계(S15)이후에 이루어지는 바 열변형이 거의 생기지 않는 장점이 있다. 다만, 플라스틱 펜더를 차체에 장착하는 공정이 추가로 이루어지며 별도의 설비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상기 도장라인 조립(in line)공법의 경우, 차체조립단계(S11)와 전착공정단계(S13) 사이에 플라스틱 펜더를 조립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플라스틱 펜더를 차체라인 조립으로 할 경우, 차체와 동시에 플라스틱 펜더가 도장되기 때문에 색을 매칭시키는 것이 용이하며, 기존의 장착설비를 이용할 수 있어 투자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전착오븐 열처리단계를 거쳐야 하므로 열변형에 강한 소재를 이용하게 되어 플라스틱 펜더에 적용되는 플라스틱 소재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장착설비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 투자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차체와 플라스틱 펜더가 동시에 도색되어 색 매칭 즉, 도장품질이 우수하여 차체라인 조립공법으로 플라스틱 펜더를 조립 및 도장을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차체라인 조립공법으로 플라스틱 펜더를 스틸소재인 차체에 단순히 볼트로 결합하는 경우 스틸소재와 플라스틱소재의 열 팽창률이 달라 각각의 소재가 상이하게 열변형이 이루어진다. 도 2는 열처리과정 중 플라스틱 펜더의 열변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 도2와 같이 플라스틱 펜더는 열변형이 커서 도2의 화살표 방향으로 팽창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플라스틱소재는 스틸소재에 비하여 열변형이 상대적으로 커서 스틸소재인 차체는 열변형이 적은 반면 플라스틱소재인 플라스틱 펜더는 열변형이 커 플라스틱 펜더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종래기술은 차체라인 조립(on line)공법에 의한 플라스틱 펜더(11)의 경우 플라스틱 펜더의 후드 라인부(21), 플라스틱 펜더의 범퍼 라인부(23) 및 플라스틱 펜더의 도어 라인부(25)의 일부분은 별도의 구조물 즉, 플라스틱 펜더 마운팅부의 별물 구조의 슬라이딩 픽스처(15)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방법을 대부분 이용하였다. 플라스틱 소재의 특성상 전착오븐열처리단계(S15)에서 스틸소재 대비 플라스틱 펜더(11)의 열변형이 크며, 특히 도2와 같이 플라스틱 펜더의 끝부분에서 열변형에 제일 취약하다. 따라서, 전착오븐열처리단계(S15)이후 냉각에 의하여 원복되는 과정에서 표면부위의 영구변형을 유발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슬라이딩 픽스처(15)를 적용하였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플라스틱 펜더(11) 마운팅부의 별물 구조의 사각홀(13)의 사진도이며,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슬라이딩 픽스처(15)의 구성도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기술은 열변형이 많은 부위에 플라스틱 펜더(11)에 도3과 같은 사각홀(13)을 형성하고 별도로 도 4와 같은 슬라이딩 픽스처(15)를 만들어 결합하였다. 5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체(1), 플라스틱 펜더(11), 슬라이딩 픽스처(15) 및 볼트(17)의 결합 예시도이다. 상기 도5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차체(1), 플라스틱 펜더(11), 슬라이딩 픽스처(15) 및 볼트(17)를 결합한 후 전착오븐열처리단계(S15)에서 열을 가하면 스틸소재인 차체(1)와 플라스틱 펜더(11)의 열변형이 달라 플라스틱 펜더(11)가 열변형이 일어나게 되고 이때 볼트(17)가 체결된 부위는 고정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볼트(17), 슬라이딩 픽스처(15) 및 차체(1)는 고정되지만 슬라이딩 픽스처(15)의 가장자리를 가이드 라인으로 하여 플라스틱 펜더(11)가 전착오븐열처리단계(S15)에서 열변형되고 오븐을 통과한 뒤에는 플라스틱 펜더(11)가 다시 원 상태로 복원되는 방식이 었다. 또한, 슬라이딩 픽스처(15)는 플라스틱 펜더(11)의 사각홀(13)에 끼우는 끼움식이며 사각홀(13)을 기준으로 플라스틱 펜더(11)의 열변형 방향 중 일방향으로만 슬라이딩되는 방식이었다.
다만, 종래기술에서 별도로 슬라이딩 픽스처(15)를 성형하는 것으로 인하여 재료비가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펜더(11)의 사각홀(13)에 슬라이딩 픽스처(15)를 별도로 조립해야 하는 과정이 있어 조립하는 시간을 필요로 하였다. 또한, 슬라이딩 픽스처(15)는 일방향으로만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 일방향으로만 열변형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일어나는 열변형에는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후드 라인부(21), 범퍼 라인부(23) 및 도어 라인부(25)를 포함하며,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각각 마운팅부가 형성되는 차량용 펜더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에 형성되며, 열변형에 대응하여 움직이는 픽스처(110)를 포함하는 열변형에 대응하는 플라스틱 펜더(101)를 제공한다. 나아가, 상기 플라스틱 펜더(101)의 재질은 열가소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후드 라인부(21), 범퍼 라인부(23) 및 도어 라인부(25)의 마운팅부에 하나 이상의 상기 픽스처 (1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픽스처(110)는 체결구에 의해 차체와 체결되는 체결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체결구는 볼트(115)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픽스처(110)는 상기 플라스틱 펜더(101)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픽스처(110)는 중심에 상기 체결홀이 위치하고 상기 마운팅부와 체결홀의 사이를 연결하는 벨로즈 형상부(113)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벨로즈 형상부(113)는 마름모 형상인 것이 바림직하다.
본 발명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펜더 마운팅부의 일체형 구조의 구성도이다. 플라스틱 펜더 마운팅부의 일체형 구조인 열변형에 대응하는 플라스틱 펜더(101)로 플라스틱 펜더 마운팅부의 일체형 픽스처(110)는 일반적으로 사각형 형태의 플라스틱 펜더 마운팅부의 일체형 구조의 사각홀(111)을 갖는다. 다만 상기 플라스틱 펜더 마운팅부의 일체형 구조의 사각홀(111)은 적용되는 차체나 플라스틱 펜더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펜더 마운팅부의 일체형 구조의 사각홀(111)에는 볼트(115)로 차체(1)와 체결을 위한 홀이 적용된다. 상기 볼트로 차체(1)와 체결을 위한 홀은 상기 플라스틱 펜더 마운팅부의 일체형 구조의 사각홀(111)의 중앙에 위치하는 게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도6과 같이 상기 사각홀(111)과 볼트의 체결을 위한 홀 사이에는 벨로즈 형상부(113)가 위치한다. 상기 벨로즈 형상부(113)는 적용되는 플라스틱 펜더(101)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벨로즈 형상부(113)는 마름모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라스틱 펜더(101)는 사각홀(111), 볼트(115)가 체결되는 홀 및 벨로즈 형상부(113)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펜더 마운팅부의 일체형 구조, 차체 및 볼트의 결합 예시도이다. 상기 도 8과 같이 플라스틱 펜더 마운팅부의 일체형 픽스처(110)가 스틸소재인 차체(1)에 볼트로 체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펜더에 일체형 픽스처(110)와 플라스틱 펜더 마운팅부의 일체형 구조의 고정부(120)의 위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 플라스틱 펜더 마운팅부의 일체형 구조의 고정부(120)는 플라스틱 펜더(101)의 고정을 위하여 도 7과 같은 위치에 볼트로 체결한다. 이후 플라스틱 펜더 마운팅부의 일체형 픽스처(110)은 열변형이 큰 위치에 하나 이상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 7과 같이 플라스틱 펜더 마운팅부의 일체형 픽스처(110)를 플라스틱 펜더(101)의 후드 라인부(21), 범퍼 라인부(23) 및 도어 라인부(25)에 각각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플라스틱 펜더(101)가 전착오븐열처리단계(S15)에서 열변형이 생기는 경우 벨로즈 형상부(113)의 변화에 대하여 살펴본다. 상기 도7과 같이 플라스틱 펜더 마운팅부의 일체형 픽스처 (110)과 고정부(120)가 위치하는 경우 열처리과정에서 열변형은 다양한 방향으로 플라스틱 펜더(101)가 열변형 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펜더(101)의 열변형에 의한 이동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펜더(101)의 열변형에 의하여 변형되는 일체형 픽스처(110)의 형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상기 도9와 같이 열처리에 의하여 플라스틱 펜더(101)는 열팽창하여 이동하게 되지만, 볼트와 볼트에 의하여 결속되는 체결홀은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볼트(115)가 체결되는 체결홀과 플라스틱 펜더(101)를 연결하는 상기 벨로즈 형상부(113)는 플라스틱 펜더(101)의 열팽창에 대응하여 그 형상이 도10과 같이 변하게 된다. 이후 냉각되면 원래의 형태로 회복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플라스틱 펜더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펜더의 표면의 영구적인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 펜더와 일체로 형성된 벨로즈 형상부와 같은 구성요소를 갖춤으로써, 별도의 마운팅 구조물 즉, 슬라이딩 픽스처를 생략하여 재료비를 절감하고 상기 슬라이팅 픽스처의 조립단계를 생략하여 공정효율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다양한 방향의 열변형에 대응할 수 있는 벨로즈 향상부를 포함함으로 인하여 플라스틱 펜더의 파손 및 영구변형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형태를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 : 차량의 차체
11 : 종래기술의 플라스틱 펜더
13 : 플라스틱 펜더 마운팅부의 별물 구조의 사각홀
15 : 플라스틱 펜더 마운팅부의 별물 구조의 슬라이딩 픽스처
17 : 플라스틱 펜더 마운팅부의 별물 구조의 볼트
21 : 플라스틱 펜더의 후드 라인부
23 : 플라스틱 펜더의 범퍼 라인부
25 : 플라스틱 펜더의 도어 라인부
101 : 본 발명의 플라스틱 펜더
110 : 플라스틱 펜더 마운팅부의 일체형 픽스처
111 : 플라스틱 펜더 마운팅부의 일체형 구조의 사각홀
113 : 플라스틱 펜더 마운팅부의 일체형 구조의 벨로즈 형상부
115 : 플라스틱 펜더 마운팅부의 일체형 구조의 볼트
120 : 플라스틱 펜더 마운팅부의 일체형 구조의 고정부
S11 : 차체조립단계
S13 : 전착공정단계
S15 : 전착오븐열처리단계
S17 : 중도공정단계
S19 : 상도공정단계
S21 : 의장조립단계

Claims (8)

  1. 후드 라인부, 범퍼 라인부 및 도어 라인부를 포함하며,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각각 마운팅부가 형성되는 차량용 플라스틱 펜더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에 형성되며, 열변형에 대응하여 움직이는 픽스처를 포함하며,
    상기 픽스처는 상기 플라스틱 펜더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변형에 대응하는 플라스틱 펜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펜더의 재질은 열가소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변형에 대응하는 플라스틱 펜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 라인부, 범퍼 라인부 및 도어 라인부의 마운팅부에 하나 이상의 상기 픽스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변형에 대응하는 플라스틱 펜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처는 체결구에 의해 차체와 체결되는 체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변형에 대응하는 플라스틱 펜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변형에 대응하는 플라스틱 펜더.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처는 중심에 상기 체결홀이 위치하고 상기 마운팅부와 체결홀의 사이를 연결하는 벨로즈 형상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변형에 대응하는 플라스틱 펜더.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벨로즈 형상부는 마름모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변형에 대응하는 플라스틱 펜더.
KR1020150172368A 2015-12-04 2015-12-04 열변형에 대응하는 플라스틱 펜더 KR101794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368A KR101794839B1 (ko) 2015-12-04 2015-12-04 열변형에 대응하는 플라스틱 펜더
US15/090,276 US9873461B2 (en) 2015-12-04 2016-04-04 Plastic fender for coping with thermal deformation
CN201610274752.6A CN106828614B (zh) 2015-12-04 2016-04-28 应对热变形的塑料翼子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368A KR101794839B1 (ko) 2015-12-04 2015-12-04 열변형에 대응하는 플라스틱 펜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950A KR20170065950A (ko) 2017-06-14
KR101794839B1 true KR101794839B1 (ko) 2017-11-07

Family

ID=58800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2368A KR101794839B1 (ko) 2015-12-04 2015-12-04 열변형에 대응하는 플라스틱 펜더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73461B2 (ko)
KR (1) KR101794839B1 (ko)
CN (1) CN1068286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21499B2 (en) * 2015-12-07 2019-09-24 REHAU Automotive, LLC Two piece, two color compon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D881092S1 (en) * 2018-03-02 2020-04-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fender
USD873741S1 (en) * 2018-10-29 2020-01-28 Honda Motor Co., Ltd. Vehicle fend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3553A (ko) 1995-06-28 1997-01-28 김주용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FR2800809B1 (fr) * 1999-11-09 2002-01-18 Gobin Daude Dispositif de fixation, notamment pour la fixation d'une piece d'habillage, telle qu'une aile en matiere plastique contre un support tel qu'une piece de carrosserie
DE10023193B4 (de) * 2000-05-11 2006-10-26 Dr.Ing.H.C. F. Porsche Ag Fahrzeugaufbau für einen Vorderwagen eines Kraftfahrzeugs
US6929313B2 (en) 2002-03-23 2005-08-1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Plastic fender for a motor vehicle and device for fastening the same
KR20050096519A (ko) 2004-03-31 2005-10-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플라스틱 재질의 차량용 휀더와 이의 차체 고정을 위한체결구
JP4807087B2 (ja) * 2005-06-30 2011-11-02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樹脂製パネル部材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CN201367052Y (zh) * 2009-02-18 2009-12-23 上海世科嘉车辆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汽车塑料翼子板安装固定结构
US8087721B2 (en) * 2009-08-17 2012-01-03 Honda Motor Co., Ltd. Reinforcement bracket and related methods for on-line pain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950A (ko) 2017-06-14
US9873461B2 (en) 2018-01-23
CN106828614B (zh) 2020-06-12
US20170158248A1 (en) 2017-06-08
CN106828614A (zh) 201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4839B1 (ko) 열변형에 대응하는 플라스틱 펜더
CN104417627B (zh) 汽车车身
US6749254B1 (en) Body panel assembly
US7677650B2 (en) Emblem for motor vehicle
US8313137B2 (en) Front bumper face
CN102897222A (zh) 车身结构
CN1277621C (zh) 保持车体一部分的操作装置
KR101606156B1 (ko) 차량 후드의 조립 방법
US9809092B2 (en) Door impact beam for vehicle
CN104002871A (zh) 一种轻型客车及其前端模块化总成
US11718353B2 (en) Hybrid material vehicle panel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WO2013062465A1 (en) Rubber bushing
CN103847829A (zh) 装配组件的保持件的装配装置和装配组件的方法
KR20180077507A (ko) 차량 도장용 도어지그
JP4909207B2 (ja) 車体用アンダーカバー並びに車体用アンダーカバーの製造方法
CN108068894B (zh) 机动车辆车身组件
CN211166657U (zh) 大灯臂结构和车辆
JP2009040313A (ja) フェンダライナーの構造
KR100952005B1 (ko) 자동차용 플라스틱 휀더 도장용 지그
US5466034A (en) Assembly for vehicle body panels
KR20070030338A (ko) 프런트 엔드 모듈용 캐리어
KR100365230B1 (ko) 자동차 글로브 박스의 스트라이커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CN107487377B (zh) 发动机罩总成及车辆
KR100335180B1 (ko) 자동차의 윈드쉴드글래스 상부몰딩 취부구조
CN115195872A (zh) 发动机罩的内板及发动机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