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8483A - 전화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화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8483A
KR20070028483A KR1020067027958A KR20067027958A KR20070028483A KR 20070028483 A KR20070028483 A KR 20070028483A KR 1020067027958 A KR1020067027958 A KR 1020067027958A KR 20067027958 A KR20067027958 A KR 20067027958A KR 20070028483 A KR20070028483 A KR 20070028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data
equipment
landline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7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매티아스 자엔
Original Assignee
베티 테크널러지 에이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티 테크널러지 에이쥐 filed Critical 베티 테크널러지 에이쥐
Publication of KR20070028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84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8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providing answers, e.g. vo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7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modulating an analogue carrier signal to encode digital information or demodulating it to decode digital information, e.g. ADSL or cable mod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5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87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telephone network, e.g. PO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04N21/42209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for displaying non-command information, e.g.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e-mail, messages or a second televis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Remote control device emulator integrated into a non-television apparatus, e.g. a PDA, media center or smart to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22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간단하고도 경제적인 쌍방향 텔레비전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상기 장치는 고정된 전화선을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제1 연결기와, 무선에 의해 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고주파 수신기 및/또는 장치로부터 주변 장비로 무선에 의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고주파 전송기, 및 고정된 선 연결에 의해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원격 전송하기 위해 및/또는 고정된 선 연결에 의해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모뎀 장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화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쌍방향 텔레비전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통신, 주파수, 전화

Description

전화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DATA OVER A TELEPHONE LINE}
본 발명은 전화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화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쌍방향 텔레비전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전화 특히 지상통신선 전화는 예를 들어 투표나 게임처럼 참여가 필요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의해 시작되는 특정 사건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반응할 수 있다고 알려지며, 사용자는 소정의 전화번호를 수동으로 입력하고 제시된 퀴즈 질문에 응답하는 구두 입력과 같은 적절한 입력을 한다. 이것은 수많은 단점들을 내포하고 있다. 게임, 투표 등으로의 참가는 사용자에게 상대적으로 복잡하다. 또한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텔레비전 운영자들에게도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전화번호를 준비는 비용이 많이 들며 이익의 대부분은 원격통신 사업으로 흘러간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단점들을 제거하고자 하는 목적에 기초하며, 특히 쌍방향 텔레비전을 제공하기 위해서 전화망을 통해 단순하면서도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백 채널(back-channel)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에 기초로 한다.
전술한 유형의 장치의 경우에 이러한 목적은 달성되며, 상기 장치는 다음을 구비한다:
- 지상통신선 전화를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제1 연결부;
- 장치를 지상통신선 전화 연결부에 연결하기 위한 제2 연결부;
- 장치에 무선으로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 수신기(RF receiver) 및/또는 장치로부터 주변장치로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 송신기(RF transmitter); 및
- 지상통신선 연결부를 통해 원거리에 걸쳐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및/또는 지상통신선 연결부를 통해 장치에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모뎀 장비(modem device).
본 발명의 장점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모든 유형의 장치를 구동시키고 임의의 유형의 센서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를 통과시키는 것에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주택 또는 아파트 내의 장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통하여 외부적으로 또는 원격 제어될 수 있다. 사용자의 주택이나 아파트에서 감지된 데이터 역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통해 원거리에 걸쳐 전송될 수 있다.
장치는 무선에 의하여 전송되거나 장치에 연결된 지상통신선 연결부를 통하여 전송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메모리 장비를 구비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는 대용량의 데이터가 완벽하게 수신되고 본 발명에 따라 통과되기 전에 점검되도록 한다. 이것은 데이터가 시간 지연을 갖고 통과되도록 하며, 다시 말해서 예를 들어 지상통신선 전화가 사용 중인 경우에 방해되지 않거나 전화 요금이 공동으로 그리고 바람직한 시간에 전송되는 대량의 데이터에 의해 절감되도록 한다.
또한, 장치는 소정의 시간(또는 소정의 달력 날짜)에 응답하여 원거리에 걸쳐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의 전송을 개시하기 위하여 시계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또는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태양에 따르면,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의 원거리 전송은 소정의 메모리 점유율(memory occupancy)에 도달한 메모리 장비에 저장된 데이터에 반응하여 개시된다.
게다가, 장치는 바람직하게도 중앙 처리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중앙 처리 장치는 원거리 전송을 위해 장치에 전송된 혹은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내장된다.
장치는 일 단부에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장비인 제2 연결부가 형성되고 타 단부에 제1 연결부를 구비하는 바람직하게는 소켓 장비인 물리적 유닛이 형성되는 전화선을 바람직하게도 구비한다. 물리적 유닛은 콤팩트 하우징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위한 연장 케이블 또는 중간 플러그의 인상을 남긴다.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장치가 전력 공급 장비를 또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력 공급 장비는 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지상통신선 연결부로부터 취득한다. 이는 특히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 경우에, 동력 공급 장치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가지의 작동 모드를 바람직하게 갖추며, 제1 작동 모드는 지상통신선 연결이 휴식상태에 있을 때 전력 공급 장치는 소정의 제1 저항값 이상의 장치 저항을 갖고서 지상통신선 연결로부터 전력을 취득하는 것으로 정의되며, 제2 작동 모드는 지상통신선 연결의 바쁜 상태에서 동력 공급 장치는 소정의 제2 저항값 이상의 장치 저항을 갖고서 지상통신선 연결로부터 동력을 취한다. 이 경우에, 소정의 제1 저항값은 소정의 제2 저항값에 비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러한 경우에, 제1 작동 모드를 위한 제1 저항값은 대략 1MOhm이고 제2 작동 모드를 위한 제2 저항값은 대략 700 Ohm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태핑(tapping)은 관련 법적 규정을 준수하며, 예를 들면 우편 및 원격통신을 위한 독일연합정부에 의해 간행된 "독일 전화 아게(Deutschen Telekom AG)에 의해 제공되는 전화망/ISDN에서 아날로그 다이얼 접속((비상전화와 직통다이얼을 통한 접속은 제외)에 접속을 위한 터미널 장비용 면허 규제를 참조.
또한, 동력 공급 장치는 제1 및 제2 작동 모드에서 지상통신선 전화 연결로부터 취득되는 전력을 저장하기 위하여 저장 수단을 구비한다. 이 경우에, 제2 작동 모드는 정해진 시간 또는 장치에 의한 저장 수단에서 저장된 동력의 양이 최소한계에 도달하게 되면 자동으로 개시된다. 저장 수단은 장치에 배치된 교체 가능한 이차 배터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특히 실시가능한 태양에 따르면, 물리적 유닛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다음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제2 연결부; 무선 주파수 수신기; 무선 주파수 송신기; 모뎀 장비; 메모리 장비; 시계; 중앙 처리 장치; 동력 공급 장치; 및/또는 저장 수단.
게다가, 무선 주파수 수신기와 무선 주파수 송신기는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의 형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무선 주파수 수신기는 연속적으로 수신할 준비가 되어 있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백그라운드에 작동되도록 하며 사용자가 알아채지 못한다.
모뎀 장비는 무선으로 장치에 데이터가 수신되면 장거리 데이터 전송을 위한 다이얼 접속을 시작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이에 더하여, 모뎀 장비가 동력 공급 장치를 위한 에너지 저장부에 저장된 낮은 한계의 탐지에 반응하여 제2 작동 모드에 기초한 지상통신선 연결부로부터 동력을 취해서 다이얼 접속을 시작할 수 있다.
무선에 의해 장치에 전송된 데이터는 디코드(decode)되고 다시 원거리 송신을 위해 코드(code)된다.
본 장치가 접속됐음에도 불구하고 보통의 전화 작동을 허용하기 위해서, 목적은 장치에 연결되는 지상통신선 전화가 장치를 통과하여 루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장치에 접속된 지상통신선 전화는 장치가 데이터의 원거리 전송을 위해 작동되지 않는 때에 지상통신선 전화 연결에 도전성 결합되는 반면에, 지상통신선 전화는 장치가 데이터의 원거리 전송을 위해 작동되는 때에 지상통신선 전화 연결로부터 도전성 고립된다.
마찬가지로 접속된 지상통신선 전화의 작동에 가능한 한 최소의 방해를 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장치는 장치에 연결된 지상통신선 전화가 오프후크됨을 탐지할 수 있는 탐지 장비를 또한 구비하며, 지상통신선이 오프후크됨이 탐지되는 때에 장치의 모뎀 장비에 의해 개시된 어느 다이얼 연결도 중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부가적인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시내국번 자동다이얼장치와 같은 장치는 상기 장치에 연결되는 지상통신선 전화의 이중음 다주파 다이얼 신호(DTMF dialing signal)를 인식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및/또는 장치는 상기 장치에 연결되는 지상통신선 전화의 이중음 다주파 다이얼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을 장치 내에 구비하며, 및/또는 장치는 상기 장치에 연결되는 지상통신선 전화의 이중음 다주파 다이얼 신호를 변경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후자의 경우는 최소 비용 라우터로서 부가적인 사용 옵션과 관련하여 특히 바람직하다.
게다가, 장치는 각각의 경우에 장치의 연결된 지상통신선 전화 및/또는 장거리 데이터 전송에 대한 최적의 전화 요금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그리고 요금에 따른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선 주파수 수신기는 여러 주변 장비들로부터 무선에 의해 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바람직하게 수신하며, 각각의 경우에 일 주변 장비로부터 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주변 장비를 위한 개별 인식 코드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은 쌍방향 텔레비전 서비서의 제공을 위한 시스템에 의해 달성되며, 이 시스템은 특허청구범위 중 하나에 기재된 장치와 텔레비전 수상기를 위한 주변 장비를 특징으로 하며, 텔레비전 수상기는 텔레비전 신호와 함께 텔레비전 수상기로 전송되는 부가적인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장비를 구비하며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장비도 구비한다.
이러한 경우에, 부가적인 신호는 프로그램 신호에 포함되고, 텔레비전 수상기에서 탭 오프되며, 디코드되고, 및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주변 장비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변 장비는 텔레비전 수상기를 위한 원격 조정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은 전화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 의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라 달성되며, 전화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는,
- 무선에 의해 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
- 데이터의 일시 저장; 및
- 지상통신선 연결을 통하여 데이터의 장거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지상통신선 전화는 그 작동 능력이 장치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악영향을 받지 않는 방식으로 장치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태양은 독립항에 개시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을 위한 또 다른 특성, 목적, 장점 및 적용 옵션은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아래에 보다 자세하게 설명된다.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 또는 대응 부재를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에, 도면에 기재되고 및/또는 도시되는 모든 특성들은 그 자체만으로 또는 소망하는 조합으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주요 설명에 요약되는 방식에 상관없이 자세하게 본 발명의 내용을 형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쌍방향 텔레비전 분야로의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적용의 전체 시스템의 개요를 제공하기 위한 개략도, 및
도 3은 도 2의 전체 시스템을 더욱 자세하게 도시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전화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의 일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된다. 장치(1)는 전화 케이블(2) 형태의 구역을 바람직하게도 구비한다. 전화 케이블의 일 단부에는, 플러그 장비(3), 즉 전화 플러그가 형성되고 작동 상태에서 지상통신선 전화 연결부(4)에 삽입된다. 도 1은 종래의 TAE 전화 소켓을 도시하며, 이것의 중앙 연결부는 지상통신선 전화를 위한 것이다. 전화 케이블(2)의 타 단부에는 물리적 유닛(5)이 형성되며, 물리적 유닛의 내부에는 장치(1)의 다양한 기능들이 통합되는데 이하의 기재에서 더욱 자세하게 기술된다. 특히, 물리적 유닛(5)은 예를 들어 지상통신선 전화(7)인 원격통신 터미널의 연결을 위한 소켓 장비(6), 다시 말해 소켓을 구비한다. 따라서, 장치(1)는 연결된 상태(미도시), 즉 지상통신선 전화(7)의 플러그(8)가 소켓(6)에 삽입되고 스위치(S1, S2)들이 접속된 상태(도 1의 상부 스위치 위치)에서 지상통신선 전화(7)가 되며, 장치(1)는 케이블(2)을 통해 지상통신선 연결부(4)와 연결된다. 스위치(S1, S2)의 개방(도 1의 아래 스위치 위치)은 전화(7)를 연결부(4)로부터 전도성 분리한다. 후자의 상태의 경우에, 장치(1)로부터 향하는 신호 또는 데이터는 지상통신선 연결부(4)를 통하여 원거리 전송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송수신기인 무선 주파수 수신기(9)가 물리적 유닛 또는 하우징 구역(5)에 구비된다. 장치(1)는 무선 수신기(9)와 주변 장비를 구비한 안테나(10)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으며, 특히 텔레비전 수상기의 경우에는 텔레비전 수상기를 위한 원격 제어부(11)를 바람직하게 구비하며, 특히 상기 원격 제어부(1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를 위하여 무선 연결이 장치(1)와 주변 장비 사이에,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되며, 무료 산업 과학 의학 대역(ISM band)들 중 하나를 사용한다. 이 경우에, 데이터는 디지털 유럽 무선 전신통신 표준(DECT standard)을 따라 장치(1)와 주변 장비 사이에서 전송된다. 모뎀 장비(12)는 지상통신선 전화 연결부(4)를 통하여 데이터를 원거리로 전송시키기 위하여 장치(1)에 구비된다. 모뎀 장비(12)는 낮은 대기 시간 수준을 갖는 패킷 모뎀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데이터 링크 또는 선의 측정을 위한 복잡한 과정이 없이 작동될 수 있는 고속, 전력 감소 데이터 전송을 위한 간단한 형상의 모뎀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모뎀(12)은 음향 모뎀(acoustic modem)이며 대략 시장 적용에 적합한 고속, 암호 표기법상 안전한 대화를 허용한다. 중앙 처리 장치(13)는 장치(1)의 여러 가지 기능들을 위한 연속 제어를 위해 하우징(5)에 구비된다. 이 경우에, 중앙 처리 장치(13)는 실시간 시계(RTC)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칙적으로 전자 부품들을 장치(1)에 제공하기 위하여, 장치(1)는 전력 케이블을 통하여 전력 공급 시스템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교체가능한 배터리에 의한 작동도 역시 가능하다. 하지만, 장치(1)는 전력 공급 장치에 의해 연결부(4)를 통해 지상통신선 망으로부터 취득된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저장하기 위하여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저장 수단(14)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전력 공급 장치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작동 모드를 구비하며, 제1 작동 모드는 지상통신선 연결부가 휴식 상태인 때에 전력 공급 장치가 지상통신선 연결부로부터 전력을 취득하며, 장치의 저항 또는 누설전류 저항은 바람직하게는 대략 1MOhm인 소정의 제1 저항값 이상이라고 정의되며, 제2 작동 모드는 지상통신선 결합부의 바쁜 상태에서 전력 공급 장치는 오프후크 전류(off-hook current)를 통해 지상통신선 연결부로부터 전력을 취득하며, 장치의 저항은 바람직하게는 대략 700 Ohms인 소정의 제2 저항값 이상이다. 이는 전력이 원격 통신용 대응 법규에 순응하여 장치(1)의 작동을 위해 전화망으로부터 취득되도록 한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저장 수단(14)은 충전가능한 배터리 또는 적합한 구조의 축전지(capacitor)의 형태일 수 있다. 특히, 이로 인해 장치(1)가 지상통신선 망으로부터 허용되는 소량의 전력의 공급을 연속적으로 취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상통신선 전화(7)가 오프후크되는 때에는, 이어서 상당히 많은 양의 전력이 지상통신선 망으로부터 합법적으로 취득된다. 각 경우에 있어서 잉여 전력, 즉 지상통신선 망으로부터 태핑되지만 장치(1)에 필요하지 않은 전력은 저장 수단(14)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이 경우에, 특히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1)가 전화(RTC에 의해 유발되는)를 주기적으로 개시하거나 전력 소모가 검출되는 경우라면 제2 작동 모드를 기초로 하여 지상통신선 망으로부터 전력을 인출하기 위해 1분간 오프후크되고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은 장치(1)로부터 그리고 장치(1)로 다른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예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또는 전화 요금에 대한 정보이다(이 러한 상항에서, 예를 들어 최소 비용 라우터(least cost router)로서 스위치 모드 조정기에 대한 다음 진술들을 참조).
이 경우에 전력 공급 장치는 중앙 처리 장치(13)와 두 전화선(2a, 2b)에 연결된 스위치 모드 조정기(15)에 의해 형성된다. 저장 수단은 작동 모드를 기초로 하여 스위치 모드 조정기(15)를 통해 충전된다. 특히, 전력을 취득하기 위해 그리고 전화 지상통신선 망으로부터 빼내기 위해 요구되는 다양한 저항들이 스위치 모드 조정기(15)에 또한 제공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회로 조정기에 구비되는 스위칭 저항(미도시)에 의해 수행된다. 이 경우에 스위치 모드 제어기(15)는 지상통신선 전화(7)를 분리하기 위해 스위치(S1, S2)들을 구동시킨다.
게다가, 장치(1)는 선 감시 장비 또는 선 모니터(16)를 구비한다. 선 모니터(16)는 지상통신선 전화(7)가 후크오프되는 때를 인식하며 장치(1)의 그 자체 전화를 즉시 차단한다. 이것은 상기 선 모니터(16)로부터 중앙 처리 장치(13)로의 적절한 신호에 의해 수행되며 스위치(S1, S2)를 다시 접속하게 하는 스위치 모드 조정기(15)를 그 자체로 구동시킨다. 게다가, 선 모니터(16)는 지상통신선 전화(7)의 이중음 다주파(DTMF) 다이얼 신호를 인식하고, 저장하고 및/또는 특정하게 변화하거나 연장할 수 있는 부가적인 기능을 갖는다. 이것은 장치(1)가 이른바 전위 다이얼 장치(prefix dialer) 또는 최적의 전화 요금(최소 비용 라우터)를 다이얼 하기 위한 장비를 형성하도록 한다.
원칙적으로, 장치(1)를 위한 여러 개의 적용들이 있다. 전화(7)와 같은 원격통신 단말기에 엄청난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1)는 예를 들어 경고 신호, 제어 신호, 스위칭 신호, 센서값 등과 같은 크게 다른 데이터 및 신호를 ISM 또는 RF 무선 수신기 및/또는 송수신기의 범위 내에서 장비들 간의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주변 유닛들은 전화망을 통해 자체적으로 통신이 가능하다. 특히, 이를 테면 배경에서 거래(주문, 송금)를 취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안테나(10) 및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9)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는 장치(1)의 메모리 장비(미도시)에 저장된다. 요구 사항에 따라, 데이터는 전화망을 통해 모뎀 회로(12)에 의하여 수집되거나 및/또는 송신되거나 시간상 지연된다. 역으로, 어느 소망한 주변 유닛이 예를 들어 특별한 태그에 의해 자신을 인식하는 지상통신선 망으로부터 전화를 통해 구동될 수 있으며 중앙 처리 장치(13)로부터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13)를 통해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일 바람직한 적용은 쌍방향 텔레비전 부가 서비스와 관련되며,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특히, 단체 투표 적용 및 게임의 경우에, 공지된 해결책은 엄청난 단점을 갖는다. 특히 텔레비전 프로그램으로부터 방송되는 무선에 의해 개시되는 투표의 경우에는, 전화 번호가 오버레이되거나 또는 구두로 신호가 주어지며, 여기서 "이 전화는 지상통신선 망으로부터 49센트가 부가될 것입니다. 당신의 전화는 요금이 부가되고 있습니다" 라는 표준 공고가 전화 가입자로부터 전화 통화의 경우에 전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텔레비전 수상기용 기능적으로 진화된 원격 제어기(11)와 같은 주변 장비에서 사용자와의 적절한 대화가 일어나도록 하며, 소정의 전화 번호를 설정할 필요가 없 다. 특히, 전화 가입자의 일부만이 참가하는 게임의 경우에는, 이들의 자신의 성명 및 주소를 말할 수 있다. 전화 가입자의 대부분의 용량 문제로 인하여 "통화" 상태로 전환된다. 예를 들어 태그의 전송과 같이 미리 적절한 형태로 저장된 정보는 원격 제어기(11) 또는 원격 제어기 상의 입력부로부터 극히 짧은 시간 내에 전송되는 호출자의 신원을 확인하도록 하며, 호출자 그 자신은 전화를 걸 필요가 없다. 청구액에 대한 동의는 대화의 과정 중에 원격 제어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투표 요금은 사용자를 위한 선결제 계좌(pre-pay account)에서 청구될 수 있으며, 원격 제어부에 저장된다. 호출 자체는 공지 문장에 대한 요구도 필요없는 무료일 수 있다. 전체적으로, 쌍방향 텔레비전과 관련하여, 이익의 비율은 특히 텔레비전 송신의 경우에 조작원을 위해 원격통신 제공자가 증가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편의를 증가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제 적용을 개략적인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은 TV 수신기 또는 텔레비전(17)을 도시하며, 상기 텔레비전은 실내 환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텔레비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도 1은 다양한 전송 경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도면은 위성에 의한 텔레비전 수신, 지상 텔레비전 수신 및 케이블-망 텔레비전 수신을 도시한다. 이러한 전송 경로는 본 발명과 관련하거나 또는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텔레비전 신호는 텔레비전 송신기로부터 다양한 경로 상에서 전송된다. 텔레비전 신호에 적용된 부가적인 데이터는 텔레비전 신호와 함께 텔레비전 수상기에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종래 기술로부터 수많은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텔레비전 신호에 부가적인 데이터를 적용하기 위한 일 특정 바람직한 선택사항은 제101 01 750.2호의 공식 출원 번호를 가지며 그 제목은 "텔레비전 신호에 의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독일 상표 및 특허청에 2001년 1월 16일자로 제출된 독일 특허 공보, 및 PCT 국제 특허 공보 제02/25924 A2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양 공보의 전체 내용은 본 출원의 인용문헌으로서 첨부된다. 이러한 발명에 따르면, 부가적인 데이터는 소거 기간(blank interval)에 통합되는 것이 아니라, 종래 비디오 자막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영상 신호가 아닌, 즉 텔레비전 수상기에 표시되는 텔레비전 신호의 일부가 아닌 텔레비전 시청자가 볼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특히 바람직하며, 이는 아래에 보다 자세하게 기술된다.
여러 가지 텔레비전 표준들이 기술에 공지된다. 전체적인 일반 형태에 있어서, 텔레비전 신호는 실제 영상 신호(B), 귀선 소거 신호(blanking signal)(A) 및 동기화 신호(synchronization signal)(S)를 특히 포함한다. 이 경우에 영상 신호는 전송되는 실제 영상의 휘도 분포에 대한 행간에 획득된 정보를 구비한다. 영상 신호의 시간 프로파일은 수평 및 수직 빔 플라이백 도중에 차단되며, 다시 말해서 시간 프로파일은 소거된다. 귀선 소거 신호는 선 주파수 수평 소거 펄스(line-frequency horizontal blanking pulse) 및 수직 소거 펄스(vertical blanking pulse)에 의해 형성되며, 수직 소거 펄스는 필드 변화 시간에 나타나며 수평 소거 펄스에 비해 짧은 지속 시간을 갖는다. 동기화 신호는 텔레비전 튜브 상에 기입되는 선 래스터(line raster)가 전송 단부에서 선 래스터를 갖는 수신 단부에 동기화 되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또한, 동기화 신호는 저장 및 재생 변환기의 경우에 편향 장비를 제어한다. 게다가, 크로미넌스 신호(chrominance signal)는 압축 색상 영상 전송을 위해 또한 전송된다. 텔레비전 방송의 경우에, 무선 주파수 음성 반송파 발진(radio-frequency audio-carrier oscillation)은 첨부된 음성을 전송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주파수 변조된다.
종래 기술에 따라 공지된 원격 영상 전송은 넓고 복잡한 정보 채널을 점유하며, 그럼에도 완전히 이용되지 못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은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실제 영상 정보는 전송 시간의 4분의 1 동안 전송되지 못한다. 수평 및 수직 빔 편향을 위한 동기화 정보는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소거 간격 동안에 전송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를 들어 CIR 625-선 표준에 따르면, 17개의 풀 라인(full line)들이 역시 각 계에 남으며, 이 풀 라인들은 부가적인 정보로 채워진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르면, 단지 12개의 라인들이 각 계에서 테스트 신호 및 데이터 신호로 채워진다. 부가적인 테스트 신호 및/또는 데이터 신호의 이러한 정송은 텔레비전 시청자에게 불편한 영향을 주지 않는데, 이는 이들 신호가 수직 귀선 소거 내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데이터 신호의 일 실시예는 비디오 문자이다. 비디오 문자는 텔레비전 가입자에게 특정 영역의 정보를 볼 수 있는 능력뿐만 아니라 제공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대한 능력을 화면상에 기입된 문자 또는 그래픽으로 제공한다. 편집 처리는 방송 공사 및 이에 의해 감독되는 기구에 의해 수행된다. 제공되는 정보는 예를 들어 최신 뉴스, 교통 정보, 기상 보도, 스포츠 정보 등이다. 현재 프로그램과 관련된 오버레이, 예를 들어 외국어 프로그램의 경우에 자막이 제공될 수 있다. 반면에, 비디오 문자는 전송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이 제한된다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텔레비전 수신자에게 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면 바람직할 것이다. 비디오 문자의 또 다른 단점은, 공지된 부가적인 테스트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의 전송을 위해 실제 전송 신호를 형성하기 위해 영상 신호에 링크되어야 하는 전송 스튜디오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복잡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전송 신호의 제작을 위한 방법은 상대적으로 복잡한데, 이는 복잡한 동기화, 일부 경우에는 심지어 양방향의 동기화가 실제 "콘택트"를 데이터 신호에 링크하기 위해 보장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방법은 PCT 공보 제02/25924 A2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문자 방송의 전술한 단점에 대한 해소책을 제공하며, 이는 각 필드의 여러 개의 라인들은 공차로 인하여 데이터 신호로 채워지지 못한다는 점을 기초로 한다. 이는, 모든 텔레비전 수신기는 이른바 "캐쉬(cache)"를 구비하며, 그로 인해 실제 영상 신호의 일부만이 시청자에게 보이도록 한다. 캐쉬의 크기는 사용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형식에 따라 다르므로, 이들 기간은 텔레비전 시청자의 시청 편의에 악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전술한 방법의 기본적인 구상은, 이러한 선입견이 극복되며 이전에 사용되지 않은 기간이 실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포함한다. 영상 재생이 상당한 용량의 캐쉬를 갖는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행해지는 경우에, 전송되는 데이터가 텔레비전 영상에 최소 영향을 주도록 설계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 경우에 하나의 특정한 장점은, 전송되는 데이터가 귀선 소거 기간에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영상 신호, 즉 실제 콘택트와 같이 전송된다는 것이다. 이는 텔레비전 신호의 스튜디오 처리를 단순하게 하는데, 왜냐하면 어떠한 분리된 동기화를 동반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방식에 의해 데이터는 전송기와 상관없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라 전송되는 데이터와 함께 또는 데이터 속의 광고 스포트는 전송 전송기에 상관없이 텔레비전 수신기에 동일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는 실제 영상 신호에서 바람직하게 전송된다. 이는, 데이터가 예를 들어 종래의 비디오 레코더에 의해 영상 신호 저장의 어떠한 형식으로도 저장됨을 의미하며, 특히 저장 내용이 재생되는 때에도 사용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부가적인 정보가 텔레비전 시청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해 정보가 영상에 전송되므로 특정 프로그램 신호가 실제로 수신되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PCT 공보 제02/25924 A2호에 개시된 방법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텔레비전 신호와 함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텔레비전 신호는 영상 신호와 귀선 소거 신호를 구비하며, 데이터는 마지막 라인 또는 칼럼 사이에 배치되며, 이것은 테스트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로 채워지며, 영상 신호 내의 소정의 라인 또는 칼럼이다. 이 경우에, 데이터가 영상 신호 내에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데이터는 영상 신호의 모서리 영역 또는 양 수직 모서리 영역, 특히 칼럼 형태로 공간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데이터는 영상 신호의 모서리 영역에서 바코드 형태로 영상 신호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라인 혹은 라인들, 또는 칼럼 혹은 칼럼들 내에서 데이터가 고정된 방식으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신호는 3진 신호(ternary signal)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텔레비전 전송 신호는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를 포함하며 영상 신호를 구비하는 신호와, 별도의 귀선 소거 신호를 연결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코드될 데이터는 인터넷 표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상기 인터넷 표준은 SGML 또는 그로부터 유도된 것이며, 특히 HTML 또는 XML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데이터는 문자, 그래픽, 영상 또는 프로그램 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데이터는 텔레비전 수신기의 캐쉬에 실질적으로 대응하거나 또는 이것에 실질적으로 포함된 영상 신호의 영역에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데이터는 텔레비전 수신기의 타원형 캐쉬의 일 또는 양 수직 모서리 영역에 의해 억제되는 영상 신호의 영역에 통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데이터는 귀선 소거 신호에 부가적으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원칙적으로, 영상 신호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전송되는 부가적인 데이터는, 예를 들어 이른바 워터마킹(watermarking) 방법을 사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하지만, 원칙적으로 부가적인 데이터를 영상 방송에 의해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영상 신호에 바코드 형태로 텔레비전 영상에 바람직하게 적용된 부가적인 데이터는 도 1에 플러그 인 모듈(21)로서 도시된 텔레비전 수상기용 주변 장비에 의해 감지되며, 텔레비전 수상기의 후면의 SCART 소켓에 삽입되며, 바람직한 휴대용 소형 수신 장치에 전송된다. SCART 소켓은 이 경우에 특 히 바람직한데, 왜냐하면 이것은 텔레비전 수상기 상에 현재 선택된 영상 신호가 텔레비전 수상기와 간섭없이 외부적으로 접근 가능하며 텔레비전 수상기의 TV 튜너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위해 작동한다. 텔레비전 수상기용 원격 조정기(11)는 학습 기능을 구비한 수신 장치로 언급되며, 즉 모든 유형의 텔레비전 수상기에 사용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수신 장치는 다른 기능을 가질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휴대폰,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 또는 그 장식품이 될 수 있다. 게다가, 수신 장치 또는 원격 조정기(11)기는 아래에 기재될 다양한 부가 기능을 가지며, 원격 조정기는 주변 장비에 의해 감지되며 영상 신호에 적용된 부가적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 데이터를 표시 영역 또는 표시 장치에 나타낼 수 있다. 게다가,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백 채널(back channel)이 제공되며, 이를 통해 데이터가 수신 장치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장치(1)로 전송될 수 있으며, 전화망을 통해 특히 지상통신선 망을 통해 컴퓨터 센터로 복귀된다. 쌍방향 텔레비전용 콘텐트 관리를 위한 서비스 공급자로부터 상기 컴퓨터 센터로 전송된 부가적인 데이터는 다시 컴퓨터 센터를 통하여 텔레비전 신호로 비디오 바코드의 적용을 위해 텔레비전 전송기로 전송된다. 이 경우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는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 전송된다. 이 점에서,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텔레비전 또는 영상 신호를 인터페이스, 특히 SCART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탭핑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도 1에 대한 추가물로서,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시스템의 장칙의 실제적인 적용을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게임의 기회와 관련된 질문 및 그 대답은 텔레비전 신호를 통하여 SCART 모듈(21)로 전송된다. 상기 SCART 모듈(21)은 이 경우에 중간 플러그(intermediate plug) 형태이고 장치(1)와 동일한 방식이며, 텔레비전 수상기(17)의 SCART 연결을 방해하지 않기 위하여 플러그 영역(22)과 소켓 영역(23)을 구비한다. 질문과 대답은 이제 상기 SCART 모듈(21)로부터 원격 조정기(11)로 전송된다. 질문은 원격 조정기의 표시장치(24)에 나타난다. 사용자는 자신의 답을 키패드(25)를 통해 입력한다. 이 경우에, 원격 조정기(11)기는 대답이 정확한지 여부를 평가한다. 게임의 기회와 관련된 정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에 전송되고, 게임의 기회 작동자에게 전화망을 통해 전달된다.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로 하여 이상에서 비교적 자세하게 설명되었다. 하지만, 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주된 사상을 벗아나지 않고서 다양한 번경이나 개조를 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2)

  1. 전화선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 지상통신선 전화를 상기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제1 연결부(first connection),
    - 상기 장치를 지상통신선 전화 연결부에 연결하기 위한 제2 연결부(second connection),
    - 무선에 의해 상기 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 수신기(RF receiver), 및 무선에 의해 상기 장치로부터 주변 장비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 송신기(RF transmitter) 또는 그들 중 어느 하나, 및
    - 상기 장치로부터 지상통신선 연결을 통하여 원거리에 걸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혹은 지상통신선 연결을 통하여 상기 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그들 모두를 수행하기 위한 위한 모뎀 장비(modem devic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무선 또는 지상통신선 연결을 통하여 상기 장치에 전송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장비를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소정의 시간에 응답하여 원거리에 걸쳐 상기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시계를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의 원거리 전송은 소정의 메모리 점유율에 도달한 메모리 장비에 저장된 데이터에 반응하여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중앙 처리 장치를 또한 구비하며, 상기 중앙 처리 장치는 특히 상기 장치에 전송되거나 혹은 상기 장치에 저장된 혹은 그들 모두인 원거리 전송을 위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전화 케이블을 구비하며, 전화 케이블의 단부들 중 하나가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장비인 제2 연결부에 형성되며, 타 단부에는 바람직하게는 소켓 장비인 제1 연결부를 구비하는 물리적 유닛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전력 공급 장비를 또한 구비하며, 이 장비는 지상통신선 연결부로부터 상기 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장비는 전력을 구비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작동 모드를 갖으며, 제1 작동 모드는 지상통신선 연결부가 휴식 상태에 있는 때에 상기 전력 공급 장비가 장치의 저항은 소정의 제1 저항값 이상인 상태로 지상통신선으로부터 전력을 취득하며, 제2 작동 모드는 지상통신선 연결부가 바쁜 상태인 경우 상기 전력 공급 장비는 장치의 저항이 소정의 제2 저항값 이상인 상태에서 지상통신선 연결부로부터 전력을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소정의 제1 저항값은 소정의 제2 저항값에 비해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제1 작동 모드를 위한 소정의 제1 저항값은 대략 1 MOh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작동 모드를 위한 소정의 제2 저항값은 대략 700 Ohm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장비는 제1 작동 모드 및 제2 작동 모드에서 지상통신선 전화 연결부로부터 취득한 전력을 저장하기 위하여 저장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제2 작동 모드는 소정에 시간에 상기 장치에 의해 그리고 저장 수단에 저장된 전력의 양이 최소 한계에 도달한 것에 대한 감지에 반응하여 또는 그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6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유닛은
    - 제2 연결부;
    - 무선 주파수 수신기;
    - 무선 주파수 송신기;
    - 모뎀 장비;
    - 메모리 장비;
    - 시계;
    - 중앙 처리 장치;
    - 전력 공급 장비; 및/또는
    - 저장 수단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주파수 수신기와 상기 무선 주파수 송신기는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주파수 수신기는 계속적으로 수신할 준비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장비는 무선에 의해 상기 장치에 전송된 데이터의 수신에 반응하여 테이터의 원거리 전송을 위한 다이얼 연결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장비는 전력 공급 장비를 위한 에너지 저장부에 저장된 전력의 낮은 한계의 감지에 반응하여 제2 작동 모드를 기초로 하여 지상통신선으로부터 전력을 취득하기 위한 다이얼 연결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장비는 패킷 모뎀(packet mode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선에 의해 상기 장치로 전송된 데이터는 디코드(decode)되며 원거리 전송을 위해 다시 코드(code)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 연결된 지상통신선 전화는 장치를 통해 루프(loop)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 연결된 지상통신선 전화는 상기 장치가 데이터의 원거리 전송을 위해 작동되지 않은 때에 지상통신선 전화 연결부와 전도성 결합되는 반면에, 상기 장치가 데이터의 원거리 전송을 위해 작동되는 때에 지상통신선 전화 연결부로부터 전도성 고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검출 장비를 또한 구비하며, 상기 검출 장비는 상기 장치에 연결된 지상통신선 전화가 오프후크로 됨을 검출하며, 상기 장치의 모뎀 장비에 의해 개시되는 다이얼 연결이 지상통신선 전화가 오프후크됨을 감지한 때에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장치에 연결된 지상통신선 전화의 DTMF 다이얼 신호를 인식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장치에 연결된 지상통신선 전화의 DTMF 다이얼 신호를 장치에 저장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장치에 연결된 지상통신선 DTMF 다이얼 신호를 변환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연결된 지상통신선 전화 및 장치의 장거리 데이터 전송 또는 그들 중 어느 하나를 위한 최적의 전화 요금을 각각 결정하기 위한 그리고 요금에 따라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주파수 수신기는 무선에 의해 여러 개의 주변 장비들로부터 상기 장치에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며, 각각의 주변 장비로부터 상기 장치로 전송된 데이터는 주변 장비를 위한 개별 인식 코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쌍방향 텔레비전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특히 선행하는 항들 중 한 항에 따른 장치에 의하여, 그리고 텔레비전 수상기용 주변 장비에 의하여, 텔레비전 수상기에 전송된 부가적인 신호를 텔레비전 신호와 함께 수신하기 위한 수신 장비를 구비하며, 데이터를 상기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장비를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0. 제29항에 있어서,
    부가적인 데이터가 상기 프로그램 신호에 포함되고, 텔레비전 수상기에 탭 오프되며, 디코드되고,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주변 장비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1.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장비는 텔레비전 수상기용 원격 조정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2.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를 구비하며 전화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 무선으로 상기 장치에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단계; 및
    - 지상통신선 연결을 통해 상기 데이터를 원거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지상통신선 전화는 그 작동 능력이 장치에 의해 악역향을 받지 않는 방식으로 장치에 연결되는, 전화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KR1020067027958A 2004-06-04 2005-06-06 전화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700284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27406A DE102004027406A1 (de) 2004-06-04 2004-06-04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Übertragung von Daten über eine Telefonleitung
DE102004027406.1 2004-06-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483A true KR20070028483A (ko) 2007-03-12

Family

ID=34971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7958A KR20070028483A (ko) 2004-06-04 2005-06-06 전화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70135118A1 (ko)
EP (1) EP1757078A2 (ko)
JP (1) JP2008502181A (ko)
KR (1) KR20070028483A (ko)
CN (1) CN1965566A (ko)
AU (1) AU2005251279A1 (ko)
CA (1) CA2568300A1 (ko)
DE (1) DE102004027406A1 (ko)
WO (1) WO200512003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83753A1 (de) * 2007-04-18 2008-10-22 Swisscom Fixnet AG Verfahren und System zum Aussenden von interaktiver Werbung
KR101382499B1 (ko) * 2007-10-22 2014-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태깅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영상 재생 장치.
US8867571B2 (en) * 2008-03-31 2014-10-21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over a voice channel of a wireless telephone network
CN111405131B (zh) * 2020-03-30 2021-04-20 深圳震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远端摘机信号的检测方法、系统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6898A (en) * 1992-05-29 1997-11-11 Motorola, Inc. Paging network identification information distributed in address field
US5638433A (en) * 1993-11-18 1997-06-10 Best Rate, Inc. Best rate telecommunication access code and data transceiver/facilitator (BRTF)
WO1997009800A2 (en) * 1995-08-29 1997-03-13 Open Systems Communications Marketing, Inc. Modular communications and applications control system
AU2191197A (en) * 1996-02-26 1997-09-10 E Guide, Inc. Cordless phone back link for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
US5982862A (en) * 1996-07-08 1999-11-09 Schlumberger Industries, Inc. Dial inbound meter interface unit which derives power from telephone line when telephone is ringing
WO1998008332A2 (en) * 1996-08-22 1998-02-26 Touch Tone Technology, Inc. Telephone and appliance management system
DE19649069A1 (de) * 1996-11-28 1998-06-04 Thomson Brandt Gmbh Fernbedieneinheit für ein Gerät der Unterhaltungselektronik
DE19822071A1 (de) * 1998-05-16 1999-11-18 Bosch Gmbh Robert Telekommunikationseinrichtung
DE19907469C2 (de) * 1999-02-16 2001-02-01 Teles Ag Verfahren zur Übertragung von Informationen zwischen einer rufenden TK-Einheit und einer gerufenen TK-Einheit und Router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S6411802B1 (en) * 1999-03-15 2002-06-25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rporation Wireless backup telephone device
US6819749B1 (en) * 1999-04-12 2004-11-16 Mindspeed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V.90 modem startup
US6687371B1 (en) * 1999-10-08 2004-02-03 Agere Systems Inc. Maintaining an off-hook condition during a call bridge
AU2003232311B2 (en) * 2002-04-24 2009-07-23 Care Monitoring 2000 Limited Communications device
JP2007537496A (ja) * 2002-12-10 2007-12-20 テルアバウト,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コンテンツ作成、配信、対話、及び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US6880262B1 (en) * 2003-09-30 2005-04-19 Broadcom Corporation Continuous time ΔΣ ADC with dithe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4027406A1 (de) 2006-02-02
CA2568300A1 (en) 2005-12-15
EP1757078A2 (de) 2007-02-28
AU2005251279A1 (en) 2005-12-15
CN1965566A (zh) 2007-05-16
JP2008502181A (ja) 2008-01-24
US20070135118A1 (en) 2007-06-14
WO2005120036A3 (de) 2006-02-16
WO2005120036A2 (de) 2005-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19619A (en) Bidirectional broadcasting method, bidirectional broadcasting system and receiver apparatus for bidirectional broadcast
US5684526A (en) System and method for responding to two-way broadcast programs
US5671267A (en) Interactive system for communications between a cordless telephone and a remotely operated device
EP1116409B1 (en) Access control means,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television receiver
KR10070337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EP0694244B2 (en)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
JP3277473B2 (ja) 放送受信装置
KR20070028483A (ko) 전화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02096109A1 (en) Broadcasting receiving equipment, digital broadcasting network and method for providing broadcasting service
JPH08275140A (ja) 双方向番組の放送方法、双方向番組に対する応答方法および応答装置
KR101292288B1 (ko) 이동통신 기반의 tv 전화 시스템 및 방법
JP3573167B2 (ja) 双方向放送システム、双方向放送方法および放送受信装置
USRE43594E1 (en) Electronic television program guide delivery system using telephone network idle time
JP3726844B2 (ja) 双方向放送方法および双方向放送に対する応答装置
KR100382781B1 (ko) 지정된 채널 시청에 따른 전화요금 보상시스템 및 그 방법
JP3475978B2 (ja) 双方向番組の放送方法および双方向番組の放送受信装置
KR100574859B1 (ko) 양방향 방송용 자동전화 연결 서비스 방법
JP2002281152A (ja) 通信網の輻輳防止方法、放送受信システム及び情報通信端末
KR20020074556A (ko) 발신자정보표시와 동시에 실시간 영상광고 표시가 가능한전화광고 시스템
CN2408625Y (zh) 一种来电显示电视机
JP3473652B2 (ja) 双方向放送方式、双方向放送システムおよび双方向放送の受信装置
WO1995015059A1 (en) Interactive television terminal
KR100351722B1 (ko) 가정용 광고 방송 송수신 시스템
JPH08125624A (ja) 双方向放送方式および双方向放送の受信装置
EP1213914A1 (en) Data collector, particularly for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