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8082A -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방법 - Google Patents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8082A
KR20070028082A KR1020050083264A KR20050083264A KR20070028082A KR 20070028082 A KR20070028082 A KR 20070028082A KR 1020050083264 A KR1020050083264 A KR 1020050083264A KR 20050083264 A KR20050083264 A KR 20050083264A KR 20070028082 A KR20070028082 A KR 20070028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channel
region
band amc
band
sec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3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5719B1 (ko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3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719B1/ko
Priority to CN2006101514192A priority patent/CN1929359B/zh
Priority to EP06018796A priority patent/EP1763191A3/en
Priority to US11/516,866 priority patent/US7729310B2/en
Publication of KR20070028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8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91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sectors, i.e. sector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12Frequency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04J11/005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intercell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frequency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7Inter-user or inter-termina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04L5/0046Determination of how many bits are transmitted on different sub-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e.g. BER, SNR, water f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73Allocation arrangements that take into account other cell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셀들 혹은 다수의 섹터들을 포함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다수의 셀들 혹은 다수의 섹터들 각각에 대해서, 시간 영역에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시구간을 밴드 적응적 변조 및 코딩(AMC: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서브 채널 영역과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으로 구분하는 과정과,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에서, 상기 OFDMA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전체 주파수 영역중 미리 설정되어 있는 주파수 영역에서만 밴드 AMC 서브 채널이 할당되도록 제어한다.
밴드 AMC 서브 채널,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충돌 최소화, 시간 영역, 주파수 영역

Description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방법{METHOD FOR ASSIGNING SUB CHANNEL IN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HEME}
도 1은 일반적인 IEEE 802.16e 통신 시스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OFDMA'이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이하, 'OFDMA 이동 통신 시스템'이라 칭하기로 한다)의 서브 채널 할당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접 셀들간 혹은 인젭 섹터들간 간섭을 최소화하는 서브 채널 할당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통신 시스템인 4세대(4G: 4th Generation, 이하 '4G'라 칭하기로 한다) 통신 시스템에서는 고속의 다양한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이하 'QoS' 칭하기로 한다)을 가지는 서비스들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현재 4G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 이하 'LAN'이라 칭하기로 한다) 시스템 및 무선 도시 지역 네트워크(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이하 'MAN'이라 칭하기로 한다) 시스템과 같은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 이동성(mobility)과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을 보장하는 형태로 고속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통신 시스템이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a/d 통신 시스템 및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이다.
상기 IEEE 802.16a/d 통신 시스템 및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은 상기 무선 MAN 시스템의 물리 채널(physical channel)에 광대역(broadband) 전송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해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칭하기로 한다)/OFDMA 방식을 적용한 통신 시스템이다. 상기 IEEE 802.16a/d 통신 시스템은 현재 가입자 단말기(SS: Subscriber Station, 이하 'SS'라 칭하기로 한다)가 고정된 상태, 즉 SS의 이동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상태 및 단일 셀 구조만을 고려하고 있는 시스템이다. 이와는 달리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은 상기 IEEE 802.16a 통신 시스템에 SS의 이동성을 고려하는 시스템이며, 상기 이동성을 가지는 SS를 이동 단말기(MS: Mobile Station, 이하 'MS'라 칭하기로 한다)라고 칭하기로 한다.
그러면 여기서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IEEE 802.16e 통신 시스템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1은 일반적인 IEEE 802.16e 통신 시스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은 다중 셀 구조를 가지며, 즉 셀(100)과 셀(150)을 가지며, 상기 셀(100)을 관장하는 기지국(110)과, 상기 셀(150)을 관장하는 기지국(140)과, 다수의 MS들(111,113,130,151,153)을 포함한다. 여기서, 1개의 기지국은 다수개의 셀들을 관장할 수 있으나, 상기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1개의 기지국이 1개의 셀만을 관장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들(110,140)과 상기 MS들(111,113,130,151,153)간의 신호 송수신은 상기 OFDM/OFDMA 방식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은 역고속 푸리에 변환(IFFT: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이하 'IFFT'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을 사용하며, 다수개 의 서브 캐리어(sub-carrier)들을 사용한다. 상기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은 다수개의 서브 캐리어들중 일부의 서브 캐리어들은 파일럿(pilot) 서브 캐리어들로 사용하고, 상기 파일럿 서브 캐리어들을 제외한 서브 캐리어들은 데이터(data) 서브 캐리어들로 사용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서브 캐리어들을 미리 설정한 개수씩 분류하여 서브 채널들로 생성하고, 상기 서브 채널들을 시스템 상황에 맞게 다수의 사용자들, 즉 다수의 MS들에게 할당한다. 여기서, 상기 서브 채널이라 함은 적어도 1개 이상의 서브 캐리어들로 구성되는 채널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에서 서브 채널은 그 서브 채널을 구성하는 방식에 따라 밴드(band) 적응적 변조 및 코딩(AMC: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이하 'AMC'라 칭하기로 한다) 서브 채널(sub-channel)과 다이버시티(diversity) 서브 채널로 구분된다. 그러면 여기서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과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전체 주파수 대역은 다수개의 서브 대역(sub-band)들, 즉 다수의 밴드들로 분할되고, 상기 다수개의 밴드들 각각에 속한 적어도 1개의 서브 캐리어들이 1개의 밴드 AMC 서브 채널을 구성한다.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을 구성하는 서브 캐리어들은 서로 인접한 서브 캐리어들이다. 이렇게, 밴드 AMC 서브 채널을 할당하기 위해서는 기지국은 기지국내의 MS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다수개의 밴드들 각각에 대한 채널 품질 정보(CQI: Channel Quality Information, 이하 'CQI'라 칭하기로 한다)들을 피드백(feedback) 받아야만 하고, 상기 MS들 각각으로부터 피드백받은 CQI들을 고려하여 상기 MS들 각각에 최적인 채널 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밴드의 밴드 AMC 서브 채널을 할당한다. 이 경우, 각 밴드내의 밴드 AMC 서브 채널들은 서로 인접한 서브 캐리어들로 구성되기 때문에 유사한 채널 상태를 가지며, 따라서 MS는 각 밴드 AMC 서브 채널에 적합한 AMC 방식을 적용할 수 있어 전송 용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에서의 밴드 AMC 서브 채널 할당 동작은 다수개의 밴드들을 각각에 대해 독립적으로 수행되며, 따라서 각 MS는 각 밴드별로 CQI를 피드백해야 하며, 기지국은 각 MS들로부터 피드백되는 각 밴드들의 CQI들을 고려하여 밴드 AMC 서브 채널을 할당한다. 상기 기지국은 각 밴드별로 최적의 채널 상태를 가지는 MS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MS에 밴드 AMC 서브 채널을 할당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시스템 용량을 극대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두 번째로, 상기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은 상기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전체 서브 캐리어들중 적어도 1개의 서브 캐리어들이 상기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의 전체 주파수 대역에 분산되도록 구성되어,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frequency diversity gain)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채널은 시간 영역(time domain) 및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에서 다양하게 변화한다. 이러한 채널 상태에서 특정 MS의 채널 상태에 적응적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각 MS의 측면을 고려하면 상황에 따라 때로는 채널상태가 양호하게 수신되거나, 때로는 채널 상태가 열악하게 수신되어 다이버시 티 이득을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되므로 상기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을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은 상기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전체 서브 캐리어들의 인덱스들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주파수 도약 패턴(frequency hopping pattern) 혹은 확산 시퀀스(spreading sequence)에 상응하게 매핑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은 특정 MS에게 신호를 송신하는데 적합한데, 그 이유는 다수의 MS들에게 송신되는 채널, 일 예로 방송 채널 혹은 공통 제어 정보 채널 등과 같은 채널은 특정 MS의 채널 상태에 적응적으로 송신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은 지연(delay)에 비교적 덜 민감한 트래픽(traffic)의 송신에 적합한데, 그 이유는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은 기본적으로 채널 상태가 양호한 MS들을 선택하여 그 선택한 MS들에게 할당되므로, 지연에 민감한 트래픽, 일 예로 VoIP(Voice over IP)나 화상 미팅과 같은 실시간 트래픽들은 해당 MS의 채널 상태가 양호해질 때까지 대기할 수 없기 때문이다. 즉, 상기 실시간 트래픽을 서비스하고 있는 MS들은 지연의 한계를 보장해 주기 위해 채널 상태가 열악하다고 할지라도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AMC 서브 채널은 MS의 이동 속도가 증가할 경우 상기 MS로부터 피드백되는 CQI의 신뢰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고속의 MS에 할당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즉, 고속의 MS에는 별도의 CQI 피드백이 필요없는 상기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을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에서 인접한 셀(cell)들 혹은 인접한 섹터(sector)들이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경우, 즉 주파수 재사용율(frequency reuse factor)이 1일 경우 신호에 충돌이 발생하여 그 수신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인접한 셀들 혹은 인접한 섹터들간의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충돌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기 인접한 셀들 혹은 섹터들간에 서로 다른 주파수 도약 패턴 혹은 확산 시퀀스에 상응하게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을 구성하도록 함으로써 동일한 단위 시간에서 동일한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을 사용하는 경우를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전체 서브 캐리어들중 일부의 서브 캐리어들에서의 충돌이 발생할 수 있는데, 상기 충돌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그 충돌이 발생하는 서브 캐리어들의 개수가 굉장히 적으므로 충돌이 발생하지 않은 서브 캐리어들을 통해 신호 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두 번째로, 인접한 셀들 혹은 인접한 섹터들간의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과 밴드 AMC 서브 채널 충돌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은 주파수 도약 패턴 혹은 확산 시퀀스에 상응하게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을 구성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상기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과 밴드 AMC 서브 채널간의 충돌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물론, 이 경우라고 하더라도 전체 서브 캐리어들중 일부의 서브 캐리어들에서의 충돌이 발생할 수 있는데, 상기 충돌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그 충돌이 발생하는 서브 캐리어들의 개수가 굉장히 적으므로 충돌이 발생하지 않은 서브 캐리어들 을 통해 신호 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세 번째로, 인접한 셀들 혹은 인접한 섹터들간의 밴드 AMC 서브 채널 충돌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현재, 상기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기 인접한 셀들 혹은 섹터들간에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 충돌 방지를 위한 별도의 방안이 전혀 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인접한 셀들 혹은 섹터들간에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에 충돌이 발생할 경우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을 구성하는 서브 캐리어들 전체에 충돌이 발생하여 신호 수신이 불가능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모든 신호들을 재전송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접한 셀들 혹은 섹터들간에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에 충돌이 발생할 경우에는 신호 수신 자체가 불가능하게 되어 시스템 전체 성능이 급격하게 저하된다. 그러나, 현재 상기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기 인접한 셀들 혹은 섹터들간에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 충돌 방지를 위한 별도의 방안이 전혀 제시되어 있지 않아 인접한 셀들 혹은 섹터들간에 충돌 방지를 위한 밴드 AMC 서브 채널 할당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즉, 주파수 재사용율 1을 사용하는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에서 인접 셀들간 혹은 인접 섹터들간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밴드 AMC 서브 채널을 할당하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OFDMA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인접 셀들간 혹은 인젭 섹터들간 간섭을 최소화하는 서브 채널 할당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OFDMA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인접 셀들간 혹은 인젭 섹터들간 간섭을 최소화하는 밴드 AMC 서브 채널 할당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다수의 셀들 혹은 다수의 섹터들을 포함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셀들 혹은 다수의 섹터들 각각에 대해서, 시간 영역에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시구간을 밴드 적응적 변조 및 코딩(AMC: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서브 채널 영역과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으로 구분하는 과정과,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에서 상기 OFDMA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전체 주파수 대역의 미리 설정되어 있는 주파수 영역에서만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이 할당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다수의 셀들 혹은 다수의 섹터들을 포함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셀들 혹은 다수의 섹터들 각각에 대해서, 주파수 영역에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시구간을 밴드 적응적 변조 및 코딩(AMC: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서브 채널 영역과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으 로 구분하는 과정과,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에서 상기 OFDMA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전체 주파수 대역의 미리 설정되어 있는 주파수 영역에서만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이 할당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방법은; 다수의 셀들 혹은 다수의 섹터들을 포함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셀들 혹은 다수의 섹터들 각각에 대해서, 주파수 영역에서 상기 OFDMA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전체 주파수 영역을 밴드 적응적 변조 및 코딩(AMC: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서브 채널 영역과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으로 구분하는 과정과,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에서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이 할당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방법은; 다수의 셀들 혹은 다수의 섹터들을 포함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셀들 혹은 다수의 섹터들 각각에 대해서, 주파수 영역에서 상기 OFDMA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전체 주파수 영역중 미리 설정되어 있는 주파수 영역을 밴드 적응적 변조 및 코딩(AMC: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서브 채널 영역으로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에서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이 할당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방법은; 다수의 셀들 혹은 다수의 섹터들을 포함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셀들 혹은 다수의 섹터들 각각에 대해서, 시간 영역에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시구간을 밴드 적응적 변조 및 코딩(AMC: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서브 채널 영역과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으로 구분하는 과정과,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에서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이 할당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방법은; 다수의 셀들 혹은 다수의 섹터들을 포함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셀들 혹은 다수의 섹터들 각각에 대해서, 시간 영역에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1시구간중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2시구간을 밴드 적응적 변조 및 코딩(AMC: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서브 채널 영역으로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에서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이 할당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방법은; 다수의 셀들 혹은 다수의 섹터들을 포함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셀들 혹은 다수의 섹터들 각각에 대해서, 시간 영역에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시구간을 밴드 적응적 변조 및 코딩(AMC: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서브 채널 영역과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으로 구분하는 과정과,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에서, 상기 OFDMA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전체 주파수 영역중 미리 설정되어 있는 주파수 영역에서만 밴드 AMC 서브 채널이 할당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OFDMA'이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이하 'OFDMA 이동 통신 시스템'이라 칭하기로 한다), 일 예로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e 통신 시스템에서 인접 셀(cell)들간 혹은 인접 섹터(sector)들간 간섭을 최소화하는 서브 채널 할당 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본 발명은 OFDMA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인접 셀들간 혹은 인접 섹터들간 간섭을 최소화하는, 즉 충돌을 최소화하는 밴드(band) 적응적 변조 및 코딩(AMC: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이하 'AMC'라 칭하기로 한다) 서브 채널(sub-channel)을 할당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서브 채널 할당 방법은 상기 IEEE 802.16e 통신 시스템 뿐만 아니라 다른 통신 시스템들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서브 채널 할당 방법은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BS: Base Station)들을 제어하는 일종의 기지국 제어기가 수행하는 것이며, 실제 기지국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각 기지국들이 각 셀별로 혹은 각 섹터별로 서브 채널을 할당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인접 셀들간 혹은 인접 섹터들간 밴드 AMC 서브 채널 충돌을 최소화시키기 위해서 시간 영역(time domain)의 단위 시구간, 일 예로 1 프레임(frame)을 밴드 AMC 서브 채널과 다이버시티(diversity) 서브 채널이 할당되는 시구간으로 분할하고, 즉 1 프레임을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과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의 일부의 주파수 영역에서만 밴드 AMC 서브 채널을 할당하여 인접 셀들간 혹은 인접 섹터들간 밴드 AMC 서브 채널 충돌을 최소화시킨다. 즉, 1 프레임을 밴드 AMC 서브 채널을 할당하기 위한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과 다이버시티 서 브 채널을 할당하기 위한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으로 분할한 후,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의 일부 주파수 영역에서만 밴드 AMC 서브 채널만이 할당되도록 하고,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에서는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만 할당되도록 하여 인접 셀들간 혹은 인접 섹터들간 밴드 AMC 서브 채널 충돌을 최소화시킨다. 여기서, 각 셀 혹은 각 섹터가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에서 밴드 AMC 서브 채널을 할당하는 주파수 영역은 서로 상이하게 설정되어야만 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인접 셀들 혹은 인접 섹터들은 동일한 주파수 영역을 사용하지만 1 프레임을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과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으로 분할한 후 상기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에서는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만을,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의 일부 주파수 영역에서는 밴드 AMC 서브 채널만을 할당하도록 하여 인접 셀들 혹은 인접 섹터들간 밴드 AMC 서브 채널 충돌을 최소화시킨다. 일 예로, 제1셀과 제2셀의 2개의 셀들이 존재할 경우 상기 제1셀 및 제2셀이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으로 사용하는 시구간은 동일하지만, 그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내에서 실제 밴드 AMC 서브 채널이 할당되는 주파수 영역이 상이하게 되어 밴드 AMC 서브 채널간 충돌이 최소화된다.
상기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에서 서 브 채널 할당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인접 셀들간 혹은 인접 섹터들간 밴드 AMC 서브 채널 충돌을 최소화시키기 위해서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의 전체 주파수 영역을 밴드 AMC 서브 채널과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이 할당되는 주파수 영역으로 분할하고, 즉 전제 주파수 영역을 밴드 AMC 서브 채널을 할당하기 위한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과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을 할당하기 위한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에서는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만 할당하고,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의 일부 주파수 영역에서만 밴드 AMC 서브 채널을 할당하여 인접 셀들간 혹은 인접 섹터들간 밴드 AMC 서브 채널 충돌을 최소화시킨다. 여기서, 각 셀 혹은 각 섹터가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에서 밴드 AMC 서브 채널을 할당하는 주파수 영역은 서로 상이하게 설정되어야만 한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인접 셀들 혹은 인접 섹터들은 동일한 시구간에서 전체 주파수 영역을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과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으로 분할한 후 상기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에서는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만을,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의 일부 주파수 영역에서만 밴드 AMC 서브 채널을 할당하도록 하여 인접 셀들 혹은 인접 섹터들간 밴드 AMC 서브 채널 충돌을 최소화시킨다. 일 예로, 제1셀과 제2셀의 2개의 셀들이 존재할 경우 상기 제1셀 및 제2셀이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으로 사용하는 주파수 영역은 동일하지만, 그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내에서 실제 밴드 AMC 서브 채널이 할당되는 주파수 영역이 상이하게 되어 밴 드 AMC 서브 채널간 충돌이 최소화된다.
상기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인접 셀들간 혹은 인접 섹터들간 밴드 AMC 서브 채널 충돌을 최소화시키기 위해서 주파수 영역의 전체 주파수 영역을 밴드 AMC 서브 채널과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이 할당되는 주파수 영역으로 분할하고, 즉 전제 주파수 영역을 밴드 AMC 서브 채널을 할당하기 위한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과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을 할당하기 위한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에서는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만 할당하고,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에서는 밴드 AMC 서브 채널을 할당하여 인접 셀들간 혹은 인접 섹터들간 밴드 AMC 서브 채널 충돌을 최소화시킨다. 여기서, 각 셀 혹은 각 섹터가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으로 할당하는 주파수 영역은 서로 상이하게 설정되어야만 하고,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으로 할당한 주파수 영역 이외의 주파수 영역은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으로 할당한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인접 셀들 혹은 인접 섹터들은 동일한 시구간에서 전체 주파수 영역을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과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으로 분할한 후 상기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에서는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만을,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에서만 밴드 AMC 서브 채널을 할당하도록 하여 인접 셀들 혹은 인접 섹터들간 밴드 AMC 서브 채널 충돌을 최소화시킨다. 일 예로, 제1셀 내지 제3셀의 3개의 셀들이 존재하고, 전제 주파수 영역을 총 6개의 주파수 영역들, 즉 인덱스(index) 1 내지 인덱스 6의 총 6개의 주파수 영역들로 분할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그러면, 상기 제1셀은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으로 인덱스 1,4의 주파수 영역을 사용하고,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으로 인덱스 2,3,5,6의 주파수 영역을 사용하고, 상기 제2셀은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으로 인덱스 2,5의 주파수 영역을 사용하고,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으로 인덱스 1,3,4,6의 주파수 영역을 사용하고, 상기 제3셀은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으로 인덱스 3,6의 주파수 영역을 사용하고,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으로 인덱스 1,2,4,5의 주파수 영역을 사용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셀 내지 제3셀이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으로 사용하는 주파수 영역 자체가 상이하게 되어 밴드 AMC 서브 채널간 충돌이 최소화된다.
상기 도 4에서는 각 셀 혹은 각 섹터가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에서 밴드 AMC 서브 채널을 할당하는 영역이외의 영역에서는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을 할당하는 경우를 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각 셀 혹은 각 섹터가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에서 밴드 AMC 서브 채널을 할당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어떤 신호도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에서 밴드 AMC 서브 채널을 할당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을 할당하는 경우보다 인접 셀 혹은 인접 섹터에 대한 간섭이 감소하게 된다.
상기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인접 셀들간 혹은 인접 섹터들간 밴드 AMC 서브 채널 충돌을 최소화시키기 위해서 시간 영역의 단위 시구간, 일 예로 1 프레임을 밴드 AMC 서브 채널과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이 할당되는 시구간으로 분할하고, 즉 1 프레임을 밴드 AMC 서브 채널을 할당하기 위한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과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을 할당하기 위한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에서는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만 할당하고,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에서는 밴드 AMC 서브 채널을 할당하여 인접 셀들간 혹은 인접 섹터들간 밴드 AMC 서브 채널 충돌을 최소화시킨다. 여기서, 각 셀 혹은 각 섹터가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으로 할당하는 시구간은 서로 상이하게 설정되어야만 하고,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으로 할당한 시구간 이외의 시구간은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으로 할당한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인접 셀들 혹은 인접 섹터들은 1 프레임을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과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으로 분할한 후 상기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에서는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만을,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에서만 밴드 AMC 서브 채널을 할당하도록 하여 인접 셀들 혹은 인접 섹터들간 밴드 AMC 서브 채널 충돌을 최소화시킨다. 일 예로, 제1셀 내지 제3셀의 3개의 셀들이 존재하고, 1 프레임을 총 6개의 시구간들, 즉 인덱스 1 내지 인덱스 6의 총 6개의 시구간들로 분할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그러면, 상기 제1셀은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으로 인덱스 1,4의 시구간을 사용하고,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으로 인덱스 2,3,5,6의 시구간을 사용하고, 상기 제2셀은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으로 인덱스 2,5의 시구간을 사용하고,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으로 인덱스 1,3,4,6의 시구간을 사용하고, 상기 제3셀은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으로 인덱스 3,6의 시구간을 사용하고,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으로 인덱스 1,2,4,5의 시구간을 사용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셀 내지 제3셀이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으로 사용하는 시구간 자체가 상이하게 되어 밴드 AMC 서브 채널간 충돌이 최소화된다.
상기 도 5에서는 각 셀 혹은 각 섹터가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에서 밴드 AMC 서브 채널을 할당하는 영역이외의 영역에서는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을 할당하는 경우를 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각 셀 혹은 각 섹터가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에서 밴드 AMC 서브 채널을 할당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어떤 신호도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에서 밴드 AMC 서브 채널을 할당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을 할당하는 경우보다 인접 셀 혹은 인접 섹터에 대한 간섭이 감소하게 된다.
상기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제5실시예는 인접 셀들간 혹은 인접 섹터들간 밴드 AMC 서브 채널 충돌을 최소화시키기 위해서 시간 영역과 주파수 영역을 동시에 고려하여 밴드 AMC 서브 채널과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이 할당되는 영역으로 분할한다. 즉, 본 발명의 제5실시예는 시간 영역의 단위 시구간, 일 예로 1 프레임을 밴드 AMC 서브 채널과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이 할당되는 시구간으로 분할하고, 즉 1 프레임을 밴드 AMC 서브 채널을 할당하기 위한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과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을 할당하기 위한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에서는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만 할당하고,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에서는 밴드 AMC 서브 채널을 할당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주파수 영역의 전체 주파수 영역을 밴드 AMC 서브 채널과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이 할당되는 주파수 영역으로 분할하고, 즉 전제 주파수 영역을 밴드 AMC 서브 채널을 할당하기 위한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과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을 할당하기 위한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에서는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만 할당하고,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에서는 밴드 AMC 서브 채널을 할당하여 인접 셀들간 혹은 인접 섹터들간 밴드 AMC 서브 채널 충돌을 최소화시킨다. 여기서, 각 셀 혹은 각 섹터가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 으로 할당하는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은 서로 상이하게 설정되어야만 하고,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으로 할당한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 이외의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은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으로 할당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경우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 모두를 고려하여 밴드 AMC 서브 채널을 할당함으로써 밴드 AMC 서브 채널 할당의 자유도가 증가하게 된다.
상기 도 6에서는 각 셀 혹은 각 섹터가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에서 밴드 AMC 서브 채널을 할당하는 영역이외의 영역에서는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을 할당하는 경우를 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각 셀 혹은 각 섹터가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에서 밴드 AMC 서브 채널을 할당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어떤 신호도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에서 밴드 AMC 서브 채널을 할당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을 할당하는 경우보다 인접 셀 혹은 인접 섹터에 대한 간섭이 감소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OFDMA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인접 셀들간 혹은 인접 섹터들간 충돌을 최소화하도록 밴드 AMC 서브 채널을 할당함으로써 밴드 AMC 서브 채널 충돌로 인한 시스템 성능 저하를 방지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21)

  1. 다수의 셀들 혹은 다수의 섹터들을 포함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셀들 혹은 다수의 섹터들 각각에 대해서, 시간 영역에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시구간을 밴드 적응적 변조 및 코딩(AMC: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서브 채널 영역과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으로 구분하는 과정과,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에서 상기 OFDMA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전체 주파수 대역의 미리 설정되어 있는 주파수 영역에서만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이 할당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에서 상기 전체 주파수 대역의 설정 주파수 영역에서만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이 할당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다수의 셀들 혹은 다수의 섹터들 각각의 밴드 AMC 서브 채널 할당을 위한 설정 주파수 영역이 서로 상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에서 상기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이 할당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다수의 셀들 혹은 다수의 섹터들을 포함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셀들 혹은 다수의 섹터들 각각에 대해서, 주파수 영역에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시구간을 밴드 적응적 변조 및 코딩(AMC: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서브 채널 영역과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으로 구분하는 과정과,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에서 상기 OFDMA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전체 주파수 대역의 미리 설정되어 있는 주파수 영역에서만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이 할당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에서 상기 전체 주파수 대역의 설정 주파수 영 역에서만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이 할당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다수의 셀들 혹은 다수의 섹터들 각각의 밴드 AMC 서브 채널 할당을 위한 설정 주파수 영역이 서로 상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에서 상기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이 할당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 다수의 셀들 혹은 다수의 섹터들을 포함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셀들 혹은 다수의 섹터들 각각에 대해서, 주파수 영역에서 상기 OFDMA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전체 주파수 영역을 밴드 적응적 변조 및 코딩(AMC: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서브 채널 영역과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으로 구분하는 과정과,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에서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이 할당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셀들 혹은 다수의 섹터들 각각에 대해서, 주파수 영역에서 상기 전체 주파수 영역을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과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으로 구분하는 과정은 상기 다수의 셀들 혹은 다수의 섹터들 각각이 사용하는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의 주파수 영역이 서로 상이하도록 상기 전체 주파수 영역을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과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으로 구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에서 상기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이 할당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0. 다수의 셀들 혹은 다수의 섹터들을 포함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셀들 혹은 다수의 섹터들 각각에 대해서, 주파수 영역에서 상기 OFDMA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전체 주파수 영역중 미리 설정되어 있는 주파수 영역을 밴드 적응적 변조 및 코딩(AMC: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서브 채널 영역으로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에서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이 할당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셀들 혹은 다수의 섹터들 각각에 대해서, 주파수 영역에서 상기 전체 주파수 영역 중 설정 주파수 영역을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으로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다수의 셀들 혹은 다수의 섹터들 각각이 사용하는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의 주파수 영역이 서로 상이하도록 상기 설정 주파수 영역을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으로 결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는 어떤 신호도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3. 다수의 셀들 혹은 다수의 섹터들을 포함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셀들 혹은 다수의 섹터들 각각에 대해서, 시간 영역에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시구간을 밴드 적응적 변조 및 코딩(AMC: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서브 채널 영역과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으로 구분하는 과정과,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에서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이 할당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셀들 혹은 다수의 섹터들 각각에 대해서, 시간 영역에서 상기 설정 시구간을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과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으로 구분하는 과정은 상기 다수의 셀들 혹은 다수의 섹터들 각각이 사용하는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의 시구간이 서로 상이하도록 상기 설정 시구간을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과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으로 구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에서 상기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이 할당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6. 다수의 셀들 혹은 다수의 섹터들을 포함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셀들 혹은 다수의 섹터들 각각에 대해서, 시간 영역에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1시구간중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2시구간을 밴드 적응적 변조 및 코딩(AMC: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서브 채널 영역으로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에서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이 할당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셀들 혹은 다수의 섹터들 각각에 대해서, 시간 영역에서 상기 제1시구간중 제2시구간을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으로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다수의 셀들 혹은 다수의 섹터들 각각이 사용하는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의 시구간이 서로 상이하도록 상기 제1시구간에서 제2시구간을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으로 결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는 어떤 신호도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9. 다수의 셀들 혹은 다수의 섹터들을 포함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셀들 혹은 다수의 섹터들 각각에 대해서, 시간 영역에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시구간을 밴드 적응적 변조 및 코딩(AMC: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서브 채널 영역과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으로 구분하는 과정과,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에서, 상기 OFDMA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전체 주파수 영역중 미리 설정되어 있는 주파수 영역에서만 밴드 AMC 서브 채널이 할당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셀들 혹은 다수의 섹터들 각각에 대해서, 시간 영역에서 상기 설정 시구간을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과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으로 구분하는 과정은 상기 다수의 셀들 혹은 다수의 섹터들 각각이 사용하는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의 시구간이 서로 상이하도록 상기 설정 시구간을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과 다이버시티 서브 채널 영역으로 구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 영역에서 전체 주파수 대역의 설정 주파수 영역에서만 상기 밴드 AMC 서브 채널이 할당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다수의 셀들 혹은 다수의 섹터들 각각의 밴드 AMC 서브 채널 할당을 위한 설정 주파수 영역이 서로 상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50083264A 2005-09-07 2005-09-07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방법 KR100975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264A KR100975719B1 (ko) 2005-09-07 2005-09-07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방법
CN2006101514192A CN1929359B (zh) 2005-09-07 2006-09-07 在使用正交频分多址的移动通信系统中分配子信道的方法
EP06018796A EP1763191A3 (en) 2005-09-07 2006-09-07 Method for allocating sub-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heme
US11/516,866 US7729310B2 (en) 2005-09-07 2006-09-07 Method for allocating sub-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he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264A KR100975719B1 (ko) 2005-09-07 2005-09-07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082A true KR20070028082A (ko) 2007-03-12
KR100975719B1 KR100975719B1 (ko) 2010-08-12

Family

ID=37312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3264A KR100975719B1 (ko) 2005-09-07 2005-09-07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29310B2 (ko)
EP (1) EP1763191A3 (ko)
KR (1) KR100975719B1 (ko)
CN (1) CN192935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049B1 (ko) * 2008-03-13 2014-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원 분배 정보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생성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454B1 (ko) * 2004-03-05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부채널 할당 방법
KR100825739B1 (ko) * 2005-11-14 2008-04-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Ofdma 기반 인지 무선 시스템에서의 동적 자원 할당방법 및 이를 위한 하향 링크 프레임 구조
KR100785853B1 (ko) * 2006-06-05 2007-12-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의 자원 할당 방법
JP4355330B2 (ja) * 2006-07-28 2009-10-28 京セラ株式会社 移動体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及び移動体通信方法
KR100970185B1 (ko) * 2006-10-30 2010-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채널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20080082891A (ko) * 2007-03-09 2008-09-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Ofdma 시스템에서 부채널 할당 방법 및 그 장치
EP2165446A1 (en) 2007-05-08 2010-03-24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interference in space frequency block coding communication
EP2023561A1 (en) * 2007-08-03 2009-02-11 NTT DoCoMo, Inc. Wireless base station, mobile st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8059632B2 (en) * 2007-09-14 2011-11-15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ors (CQIs) by mobile devi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8265065B2 (en) * 2007-09-14 2012-09-11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 and system for voice-over-internet-protocol (VoIP)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JP2011504315A (ja) * 2007-10-24 2011-02-03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直交サブ・チャネルを使用する音声およびデータ通信サービス
ES2761577T3 (es) * 2007-11-30 2020-05-20 Alcatel Lucent Método para realizar la asignación de recursos en una red de comunicación inalámbrica y estación base
KR20090097077A (ko) * 2008-03-10 2009-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다이버시티 부채널 구성 장치 및 방법
US7978733B2 (en) * 2008-03-13 2011-07-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generating subframe including resource distribution information
KR101468741B1 (ko) * 2008-04-04 2014-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정보 전송 방법
US20090270108A1 (en) * 2008-04-28 2009-10-29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channel quality for persistent scheduled user equipment
JP5353049B2 (ja) * 2008-04-28 2013-11-27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装置
US8199633B2 (en) * 2008-05-27 2012-06-12 Kyocera Corporation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EP2317686B1 (en) * 2009-10-28 2017-08-30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and allocating network resource
US8712331B2 (en) * 2012-04-13 2014-04-29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interference between co-located collaborating radio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32603B (en) * 1997-12-22 2000-07-19 Lsi Logic Corp Improvements relating to multidirectional communication systems
EP0938208A1 (en) * 1998-02-22 1999-08-25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Multicarrier transmission, compatible with the existing GSM system
US7110378B2 (en) 2000-10-03 2006-09-19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Channel aware optimal space-time signal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 over wideband multipath channels
CN1567764B (zh) * 2003-06-23 2010-05-12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多用户ofdma系统中子信道生成和分配方法
KR100640461B1 (ko) * 2003-07-30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장치 및 방법
KR100651454B1 (ko) * 2004-03-05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부채널 할당 방법
JP4583054B2 (ja) * 2004-03-05 2010-11-1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局および基地局
JP2007522734A (ja) * 2004-03-12 2007-08-09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直交周波数分割多重接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安定したチャンネルの運用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EP3447935B1 (en) * 2004-04-02 2022-01-26 Apple Inc.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systems, and signal structures
KR100703517B1 (ko) * 2004-06-19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안정적 채널을할당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16600A (ko) * 2004-08-18 2006-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자원 할당 정보를 개별적으로 표시하는 방법 및 자원 할당정보의 표시에 있어서 부하를 줄이는 방법
KR101119275B1 (ko) * 2005-07-15 2012-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 채널 구성 방법과 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049B1 (ko) * 2008-03-13 2014-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원 분배 정보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생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5719B1 (ko) 2010-08-12
CN1929359B (zh) 2010-12-01
CN1929359A (zh) 2007-03-14
US7729310B2 (en) 2010-06-01
US20070053456A1 (en) 2007-03-08
EP1763191A2 (en) 2007-03-14
EP1763191A3 (en) 201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5719B1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방법
JP4384223B2 (ja) 直交周波数分割多元接続セルラー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サブチャンネルを割り当てる方法
KR100966044B1 (ko)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자원 할당 시스템 및 방법
EP1672947B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hybrid multiple access in an OFDM-based wireless network
EP2210350B1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ntennas in ofdma networks
KR100575434B1 (ko)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기반 셀룰러 시스템에서의 자원 공간 분할 및 물리 채널 할당 방법
EP1596524A1 (en) Method for subcarrier allocation
EP176109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channel quality information (CQI)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700184B1 (ko) 무선 통신을 위한 향상된 자원 입도를 갖는 퍼뮤테이션 장치 및 방법
EP1931089B1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20060098570A1 (en) OFDMA system and method
US20080080629A1 (en) Method for improving inter cell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an cellular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corresponding base station and subscriber station
KR20070116436A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의 자원 할당 방법
KR20050028354A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동적 채널 할당 시스템 및 방법
AU2006241620A1 (en) Method for configuring and managing channe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MC channels and diversity channels, transmission/reception apparatus thereof, and system thereof
KR101403822B1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의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서무선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20080082891A (ko) Ofdma 시스템에서 부채널 할당 방법 및 그 장치
US20070206688A1 (en) Method for performing active cancellation of inter-cell interference in a cellular wireless access system
US20080002619A1 (en) Time domain interference averaging with multiuser diversity in OFDMA systems
US200802052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bursts in communication systems
KR20070017272A (ko)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자원 할당방법
KR20060082743A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 구성방법
KR20090105534A (ko) 간섭을 줄이는 상향링크 전송방법
KR20080096966A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분산 안테나시스템에서 주파수 재사용율 기반의 부반송파 할당 방법
KR101412328B1 (ko) 효율적인 부반송파 맵핑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