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6587A - Oled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Oled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6587A
KR20070026587A KR1020067026263A KR20067026263A KR20070026587A KR 20070026587 A KR20070026587 A KR 20070026587A KR 1020067026263 A KR1020067026263 A KR 1020067026263A KR 20067026263 A KR20067026263 A KR 20067026263A KR 20070026587 A KR20070026587 A KR 20070026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light
light emitting
oled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6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1798B1 (ko
Inventor
로날드 스티븐 콕
마이클 유진 밀러
Original Assignee
이스트맨 코닥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스트맨 코닥 캄파니 filed Critical 이스트맨 코닥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70026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6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omprising more than three subpixels, e.g. red-green-blue-white [RGBW]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dielectric or reflective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Landscapes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는 4개 이상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픽셀을 구비하고, 발광 소자는 각각 다양한 주파수-의존적인 발광 에피커시의 방사 분광을 갖는 광대역의 광을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유기 EL 재료 층을 포함하고, 발광 소자는 각각 광대역의 광을 필터링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여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방사하고, 발광 소자 중 3개에 의해 방사된 서로 다른 색의 광은 OLED 디바이스의 제 1 색상범위를 지정하고,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발광 소자는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색상의 광을 방사하고, 추가적인 발광 소자의 필터의 주파수 범위는 OLED 디바이스의 제 1 색상범위를 지정하는 3개의 발광 소자의 필터 중 적어도 하나의 필터의 주파수 범위에서의 복사도보다 큰 복사도를 갖는 광대역의 광 주파수 범위의 일부와 일치되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발광 소자는 제 1 색상범위를 지정하는 3개의 발광 소자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효율보다 높은 발광효율을 갖는 색상 OLED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Description

OLED 디바이스{COLOR OLED DEVICE HAVING IMPROVED PERFORMANCE}
본 발명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향상된 색상범위, 전력 효율 및 수명을 갖는 OLED 색상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색, 디지털 영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캐소드 광선 튜브, 액정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고체 상태 방출기와 같은 다양한 기술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기초가 된다. 일반적인 OLED 색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픽셀은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유색 OLED를 포함한다. 이러한 3개의 OLED 각각으로부터의 조명을 추가적인 색상시스템 내에서 결합시킴으로써, 광범위한 색을 갖는 총천연색 디스플레이가 획득된다.
OLED는 원하는 부분의 전자기 분광 내의 에너지를 방사하기 위해 도핑된 유기 재료를 직접 사용하여 색을 생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알려진 적색 및 청색 방사 재료는 특히 전력 효율적이지 못하다. 사실, 폭넓은 대역폭(백색으로 보임) 재료는 폭넓은 대역폭 방사 재료 위에 색상 필터를 배치함으로써 상당한 전 력 효율을 갖는 OLED 디스플레이를 생산하기 위해 좁은 대역폭 재료에 비교하여 충분히 높은 전력 효율성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당업계에서 백색광 방사 OLED의 어레이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를 설계하고 각 픽셀 내에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 소자를 획득하도록 OLED 위에 색상 필터를 배치함으로써 OLED 디스플레이를 생산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당업계에서 분광 내에서 방사되는 광을 증폭시키도록, 마이크로공동과 같은 광학적 효과를 사용하는 색상 필터를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당업계에서 알려진 백색광 방사 OLED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방사 층을 도핑하여 각 도핑된 층이 특정 분광 주파수 대역 내의 광을 생산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3개의 개별적인 층으로부터 형성된 백색광 방사 디바이스는 당업계에서 알려져 있으며 분광의 적색, 녹색 및 청색 부분 내에 분광 픽을 생성하는 개별적인 층을 도핑함으로써 생산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백색광 방사 디바이스의 분광 방사이 일반적으로 전반적인 디바이스의 효율성을 최적화시키는 백색광 방사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되는 적색, 녹색 및 청색 필터의 분광 전송 기능 내의 픽에 일치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디바이스는 백색 재료가 오직 2개의 방사 층만을 도핑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는 경우에 요구되는 것보다 현저하게 많은 제작 단계를 요구하며, 이것은 각 도핑된 방사 층이 일반적으로 호스트(host), 도펀트, 광학적 공동 도핑 및 광학적 접속 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코팅 단계를 적용함으로써 형성되기 때문이다.
3색 디바이스는 오직 2개의 도핑된 층으로부터 백색광 방사 OLED 재료를 생 성함으로써 생산될 수 있다. 이러한 도핑된 광 방사 층 수의 감소는 OLE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조 상의 복잡도를 현저하게 감소시킨다. 2개의 도핑된 층으로부터 형성된 백색광 방사 OLED 구조체에서, 이러한 층들 중 하나는 일반적으로 청록색 또는 황색 광을 방사하는 하나 이상의 넓은 픽을 생성한다. 이러한 디바이스에서, 황색 픽은 녹색 및 적색 발광 소자 모두에게 에너지를 제공하고 청록색 픽은 청색 및 녹색 발광 소자 모두에게 에너지를 제공한다. 불행히도, 이러한 디바이스에서, 청록색 또는 황색 발광 층에 대한 분광 에너지 내의 픽의 기여는 색상필터에 대한 분광 전송 기능 내의 픽에 일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특히 훌륭한 색상침투 및 넓은 색상범위 볼륨을 갖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생성하기 위해 좁은 대역의 색상필터가 사용되었을 때, 디바이스에 의해 방사된 에너지의 대부분은 관찰자에게 전달되지 않고 색상필터에 의해 흡수되어, 낮은 에너지 효율을 갖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나타내게 한다.
일반적인, 종래 기술의 OLED 디스플레이에서, 적색, 녹색 및 청색 OLED의 휘도는 OLED로 전달되는 전류 밀도가 증가됨에 따라 증가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휘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주어진 영역에서 OLED로 전달되는 전류를 증가시켜야만 한다. 불행히도,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OLED 발광기의 수명은 OLED 발광기를 통해 구동된 총 전류에 의존하기 때문에, OLED를 구동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류 밀도를 증가시키는 것은 OLED를 구동시키는 데에 필요한 전력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OLED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따라서, OLED 디스플레이 휘도의 증가는 OLE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동시키는 데에 필요한 전력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OLE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수명을 현저하게 감축시킨다.
전통적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함께 하나의 픽셀을 형성하고 색상범위를 정의하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세 발광 소자로 구성되어 왔다. 이러한 발광 소자의 픽 파장은 일반적으로 청색에 대한 가시 분광의 짧은 파장 부분, 녹색에 대한 가시 분광의 중간 길이 파장 부분 및 적색에 대한 가시 분광의 긴 파장 부분일 것이다. 이러한 발광 소자의 상대적인 복사 효율은 일반적으로 동일하며 실질적으로 눈은 가시 분광의 중간 길이 파장 부분 내의 에너지에 가장 민감하여, 일반적으로 적색 또는 청색 발광 소자에 비해 녹색 발광 소자가 현저하게 높은 발광효율을 갖는다.
OLE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설계할 때 있어서 하나의 목표가 각 OLED의 효율을 최대화함으로써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는 것이며, 또 다른 목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색상범위를 최대화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색상범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청색 발광 소자의 픽 파장이 일반적으로 감소되어, 파장이 보다 짧은 에너지를 제공하고 발광 소자에 의해 제공된 복사 에너지에 대한 눈의 감응도를 더 감소시킬 것이다. 유사하게, 색상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적색 발광 소자의 픽 파장이 증가되어, 파장이 보다 긴 에너지를 생성하고 발광 소자에 의해 제공되는 복사 에너지에 대한 눈의 감응도를 감소시켜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증가된 색상범위와 다른 것에 비교하여 일반적으로 전력 소비의 감소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설계할 때 중요한 다른 요소는 생성되어야만 하는 다수 의 색들이 중간색이거나 또는 불포화 상태(desaturated color)일 것이라는 점이다. 즉, 이러한 색들은 디스플레이의 백색점에 있거나 또는 그 부근에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그래픽 디스플레이 상의 우세한 색이 백색이라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것은 다양한 대중적인 응용 및 동작 시스템에서의 배경을 포함한다. 또한, 화상은 중간색 또는 불포화 상태의 색으로 구성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이용 조건 하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백색점 부근에서의 전력 소비를 최대한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일반적인 3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백색 및 불포화 상태의 색들은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 소자로부터 휘도를 추가함으로써 생성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적색 및 청색 발광 소자는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발광효율을 갖기 때문에, 백색 또는 불포화 상태의 색을 디스플레이할 때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는 최대값에 가까울 것이다.
그러나, 발광 소자 중 적어도 하나보다 높은 발광효율을 갖는 추가의 발광 소자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Burroughes에 의해 2004년 2월 17일에 개시된 미국 특허 6,693,611 및 Booth에 의해 2003년 1월 16일에 개시된 미국 특허출원 2003/0011613에는 적색, 녹색, 청색 및 청록색 발광 소자를 갖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해 기술되었다. 이들 명세서에서는 눈이 청색 광을 생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분광 주파수에서 방사된 광에 비해 청록색 광을 생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분광 주파수에서 방사된 광에 대해 보다 민감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청색 발광 소자는 청록색 방출기에 비해 낮은 발광효율을 갖는다는 사실을 기술한다. 그러나, 이들 참조물 모두 임의의 색에 대한 광 방사을 생성하도록 색상필터를 사용하여 백색 재료로부터 구성되는 OLE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해 기술하지 않으며, 또한 이들은 왜 청록색 발광 소자를 생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재료의 복사효율이 청색 발광 소자를 생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재료의 복사효율보다 높은지에 대한 이유도 기술하지 않았다.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 소자 외의 발광 소자를 구비하는 OLE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타 발명에서도 개시되어왔다. 예를 들어, Cok 외 다수에 의해 2003년 3월 27일에 개시된 미국 특허 6,750,584에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색상범위를 증가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추가적인 청록색, 황색 및/또는 자홍색 OLED를 구비하는 OLE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해 기술하였다. Cok 외 다수는 OLE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생산하도록 색상필터에 의해 필터링되는 백색 발광 재료로부터 이러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것에 대해서는 기술하지 않았다.
Liang 외 다수에 의해 2002년 12월 19일에 개시된 미국 특허출원 2003/01911은 상보적인 색들의 쌍을 사용하는 OLE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해 기술하였다. 다시 한번, 이 특허출원은 OLE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생산하도록 색상필터에 의해 필터링되는 백색 발광 재료로부터 이러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것에 대해서는 기술하지 않았다.
따라서, 백색 발광 층으로부터 형성된 전력 효율 및/또는 수명을 개선시킬 수 있는 향상된 색상 OLE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선택적으로 발광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는 4개 이상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픽셀을 구비하고, 발광 소자는 각각 다양한 주파수-의존적인 발광 에피커시의 방사 분광을 갖는 광대역의 광을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유기 EL 재료 층을 포함하고, 발광 소자는 각각 광대역의 광을 필터링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여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방사하고, 발광 소자 중 3개에 의해 방사된 서로 다른 색의 광은 OLED 디바이스의 제 1 색상범위를 지정하고,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발광 소자는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색상의 광을 방사하고, 추가적인 발광 소자의 필터의 주파수 범위는 OLED 디바이스의 제 1 색상범위를 지정하는 3개의 발광 소자의 필터 중 적어도 하나의 필터의 주파수 범위에서의 복사도보다 큰 복사도를 갖는 광대역의 광 주파수 범위의 일부와 일치되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발광 소자는 제 1 색상범위를 지정하는 3개의 발광 소자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효율보다 높은 발광효율을 갖는 색상 OLED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전력 효율이 개선되고 디스플레이의 휘도를 감소시키지 않고도 디스플레이의 수명을 향상시키는 공통적인 광대역의 발광 층을 사용하는 OLED 4색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가능케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색상범위도 확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상 OLED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광대역 OLED 방출기(broadband OLED emitter)의 파장 대 분광복사휘도(spectral radiance)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상 OLED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판 12 : 제 1 전극
14 : 광대역 OLED 발광기 16 : 제 2 전극
18 : 검정 매트릭스 20R : 적색 필터
20G : 녹색 필터 20B : 청색 필터
20X : 추가의 색상필터 40 : 제어기
42 : 입력 신호 44 : OLED 디바이스
46 : 변환된 신호 48 : 픽셀
100 : 픽 102 : 픽
104 : 픽 106 : 픽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픽셀을 포함하는 색상 OLED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는 4개 이상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픽셀을 구비하고, 발광 소자는 각각 다양한 주파수-의존적인 발광 에피커시의 방사 분광을 갖는 광대역의 광을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유기 EL 재료 층을 포함하고, 발광 소자는 각각 광대역의 광을 필터링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여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방사한다. 알려진 바와 같이, 광원의 발광 에피커시(luminous efficacy)는 광원의 복사 방출 및 인간의 시계(visual system)의 감응도에 의존한다. 본 발명에서, 발광 소자 중 3개에 의해 방사된 서로 다른 색의 광은 OLED 디바이스의 제 1 색상범위를 지정하고,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발광 소자는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색상의 광을 방사하고, 추가적인 발광 소자의 필터의 주파수 범위는 OLED 디바이스의 제 1 색상범위를 지정하는 3개의 발광 소자의 필터 중 적어도 하나의 필터의 주파수 범위에서의 복사도보다 큰 복사도를 갖는 광대역의 광 주파수 범위의 일부와 일치되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발광 소자는 제 1 색상범위를 지정하는 3개의 발광 소자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효율보다 높은 발광효율을 갖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발광 소자를 구비하는 색상 OLED 디바이스의 일부가 도시되었다. 도 1에서, 기판(10)은 개별적인 발광 소자와 각각 연결된 복수의 제 1 전극(12)을 구비한다. 제 1 전극(12) 상에는 하나 이상의 층의 전자발광 유기 재료로 제조된 광대역 OLED 발광기(14)가 위치한다. 광대역 OLED 발광기(14)는 모든 발광 소자에 대해 공통적이며, 다양한 주파수 의존적인 발광 에피커시를 갖는다. 그러한 공통적인 발광기는 하나의 셋의 패터닝되지 않은 재료를 사용하며 복수의 패터닝된 재료 셋(set)을 증착시키는 것과는 반대로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광대역 OLED 발광기(14)는 예를 들어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바와 같은 홀 주입 층, 홀 수송 층, 방사 층, 전자 수송 층 및 전자 주입 층을 포함하는 복수 층의 유기 재료로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OLED 발광기(14)는 광대역 발광기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광대역 발광기는 대부분의 가시광선에 걸친 광을 방사한다.
광대역 OLED 발광기(14) 상에는 하나 이상의 제 2 전극(16)이 위치한다. 공통 전극은 도시된 바와 같이, 액티브-매트릭스 디바이스에 대한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패시브-매트릭스 디바이스 및 액티브-매트릭스 디바이스에 별개의 전극이 사용될 수도 있다. 각 발광 소자는 광대역 OLED 발광기(14)로부터 방사된 광을 필터링하는 필터(20R, 20G, 20B, 20X)를 구비한다. 필터(20R, 20G, 20B, 20X)를 갖는 4개의 발광 소자는 함께 픽셀(48)을 포함한다. 모든 발광 소자는 제 1 및 제 2 전극(12, 16)에 의해 제어된다. 모든 가시 파장을 흡수하는 검정 매트릭스 재료(18)는 주변 복사를 흡수하고 디바이스의 명암을 향상시키도록 비발광 영역 내의 필터 사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20R, 20G, 20B, 20X)는 오직 원하는 색의 광만을 통과시키도록 허용하는 광-흡수제 재료로 구성된 액정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종래의 색상 필터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필터는 다양한 두께 및 광학적 지표를 갖는 유전체 재료 층의 광학적 간섭에 의해 제공되는 색상 필터링에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필터는 반사성이 있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반사성이 있는 제 1 및 제 2 전극에 의해 정의되는 광학적 공동 내의 광학적 간섭에 의해 제공되는 색상 필터링에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필터는 색상 변경 미디어를 형성하는 광대역 발광기에 의해 시뮬레이션 되는 색광의 제 2 발광기에 의해 제공되는 색상 필터링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추가적인 소자의 색상 변경 매개체가 민감한 경우의 주파수 범위가 제 1 범위 지정 색상 변경 미디어 중 적어도 하나가 민감한 경우에서의 주파수 범위의 복사도보다 큰 복사도를 갖는 광대역의 광 주파수 범위의 일부에 일치된다. 광대역 광 필터링에 적용가능한 다른 색상 필터링 기술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활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필터의 결합물 또한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색상 흡수제 재료는 발광 소자에 의해 광 출력물의 색을 제어하도록 광학적 공동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OLED 디바이스의 픽셀 내의 복수의 발광 소자 중 적어도 3개는 OLED 디바이스에 대해 제 1 색상범위를 정의하는 색상 광을 방사한다. 각 발광 소자는 발광기의 광 출력물을 광의 색상중 하나로 제한하도록 필터를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1 색상범위 정의 필터는 적색(20R), 녹색(20G) 및 청색(20B)이다. 이러한 3색은 공통 OLED 발광기 재료에 의해 방사된 동일한 광대역 광을 필터링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색상 OLED 디바이스는 추가의 색의 광을 방사하는 추가적인 필터(20X)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또는 가능한 경우 그 이상의 추가적인 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주파수-의존적인 발광 에피커시 방사 분광을 갖는 광대역 OLED 발광기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방사 분광은 일반적으로 광대역 발광기를 형성하도록 2개(이상)의 다른 색을 갖는 발광 OLED 재료를 결합하여 사용할 때 획득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출원인에 의해 설계된 광대역 OLED 발광기 로부터의 광 출력이 도시되었다. 도 2에서, 방사된 광의 파장에 대한 광대역 OLED 발광기의 분광 휘도가 도시되었다. 도면의 실험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파장에서 방사된 복사의 양은 서로 다르다. 이 예에서, 450과 500㎚ 파장 사이에 도시된 제 1 픽(100)과, 580와 640㎚ 사이에 도시된 제 2 픽(102)에서 보다 많은 복사가 방사된다. 상대적으로 보다 많은 양의 에너지가 방사된 보다 작은 대역(104, 106)은 500 내지 550㎚과 640 내지 680㎚에 도시된다.
사용된 OLED 재료의 특정 결합에 의존하여, 보다 높은 방사된 에너지를 갖는 광대역 발광기의 방사 분광 내의 대역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범위를 지정하는 데에 필요한 광 색상에 해당될 수도, 해당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바람직한 범위는 짙은 청색의 분광 픽(일반적으로 < 450㎚), 짙은 적색의 분광 픽(일반적으로 > 700㎚) 및 녹색의 분광 픽(일반적으로 500 내지 600㎚의 영역 내)을 갖는 분광 성분으로부터 형성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100, 102, 104, 106)에 비교하였을 때 이러한 주파수에서 방사된 어떠한 광도 매우 강렬하지는 않을 것이다. 만약 청색이 400 내지 450㎚의 범위를 갖는 대역통과 필터에 의해 정의되고, 적색이 700 내지 750㎚의 범위를 갖는 대역통과 필터에 의해 정의되며, 녹색이 500 내지 540㎚의 범위를 갖는 대역통과 필터에 의해 정의된다면, 광대역 OLED 발광기가 그러한 파장의 범위에서의 광 생성에 상대적으로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오직 청색, 적색 및 녹색 발광 소자를 생성하기 위해 이러한 광대역 발광기를 사용하는 OLED 디바이스는 상대적으로 비효율적일 것이다(즉, 분광 픽을 포함하는 에너지의 주파수를 전달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보다 낮 은 복사 효율을 갖는다). 필터는 여전히 색을 지정하는 원하는 범위에 해당하는 광을 획득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반면, 광대역 발광기의 광의 대부분은 낭비되어, 디바이스에 있어서 낮은 전력 효율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대역 발광기를 구비하는 OLED 디바이스는 상대적으로 비효율적인 제 1 색상범위-정의 발광 소자 셋을 상대적으로 보다 효율적인 하나 이상의 추가의 색상 발광 소자와 결합함으로써 훌륭한 범위 및 높은 전력 효율 모두를 가질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추가적인 발광 소자 필터(20X)는 OLED 디바이스의 필터(20R, 20G, 20B) 중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범위의 복사 휘도보다 큰 복사 휘도를 갖는 광대역 OLED 발광기(14) 주파수 범위의 일부에 일치되는 주파수 범위를 갖도록 선택된다. 예를 들어, 필터의 주파수 범위가 전술된 청색, 적색 및 녹색 필터 중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범위의 복사 휘도보다 큰 복사 휘도를 갖는 광대역 광 주파수 범위의 일부에 일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색이 추가된 광대역 필터(예를 들어, 580 내지 640㎚의 범위를 갖는 광대역 필터 또는 450 내지 500㎚의 범위를 갖는 광대역 필터, 또는 이러한 범위 내에 2개의 추가적인 발광 소자를 추가함으로써)를 구비한 OLED 발광 소자를 추가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광대역 발광기를 사용할 때, 광은 OLED 디바이스로부터 효율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광대역 OLED 발광기가 이러한 파장 범위 내에서 상대적으로 보다 많은 광을 방사하기 때문에, OLED 디바이스는 이러한 추가적인 발광 소자를 통해 광을 방사할 때 매우 효율적이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적인 발광 소자의 필터의 주파수 범위는 광대역 광 방사 분광의 국부적인 극대값에 직접 해당하도록 일치될 수 있다. 추가 적인 색상 발광 소자 필터는 선택된 특정 주파수 범위 내에서 에너지를 통과시키는 광대역 필터일 수 있으며, 또한 이것은 광대역 발광기 방사 분광의 상대적으로 고효율인 방사 분광의 픽을 포함하는 보다 넓은 범위의 주파수를 전달하는 고역통과 또는 저역통과 필터일 수도 있다. 또한 추가적인 발광 소자가 다른 발광 소자에 의해 방사되는 파장에서의 광을 방사하는 것 또한 가능하며, 즉 출력 분광은 오버랩되거나 또는 하나의 분광이 다른 분광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동작시에, 도 3을 참조하면, OLED 디바이스(44)에 대한 제어기(40)는 OLED 디바이스(44) 상에 나타날 이미지를 표현하는 종래의 3색 신호(42)를 수신한다. 제어기(40)는 3색 신호(42)를 OLED 디바이스(44)에 적용되는 4가지 이상의 색상신호(46)로 변환시킨다. 변환된 색상신호(46)는 OLED 디바이스 내의 발광 소자의 픽셀(48) 중 어떤 것에 전력이 제공되어 전극(12, 16)에 의해 확장될지를 결정한다. 변환된 색상신호(46)를 수신함에 따라, OLED 디바이스(44)는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당업계에서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는 집적 회로는 제어기(40)를 설계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3색 신호(42)를 4색 이상의 신호(46)로 변환시키는 데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극단적인 경우에, 변환된 신호(46)는 오직 범위를 정의하는 발광 소자만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매우 훌륭한 범위가 획득될 수 있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효율은 매우 낮을 수 있다. 그러나, 만약 변환된 신호(46)가 상대적으로 효율적인 추가의 발광 소자를 사용한다면, 효율성이 향상될 것이다. 대부분의 응용에서, 불포화 상태의 주요 색(예를 들어 적색, 녹색 및 청색)은 두드러 진다. 따라서, 적색, 녹색 또는 청색 광을 방사하지 않는, 상대적으로 효율적인 발광 소자의 사용은 범위를 정의하는 발광 소자의 위치 내에서 광을 제공함으로써 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3색 신호를 4색 이상의 신호로 변환시키는 특정 방법은, 예를 들어 출원 중이며 공통으로 양도된 미국특허 10/607,374(2003년 6월 26일에 출원), 10/703,748(2003년 11월 7일에 출원) 및 10/812,787(2004년 3월 29일에 출원)에 기술되었다.
범위를 정의하는 발광 소자 중 하나의 위치에서 사용될 수 있는 추가의 발광 소자로의 확장은 디스플레이될 영상 내용 및 추가의 발광 소자에 의해 방사되는 광의 색에 의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만약 추가의 발광 소자가 청록색 광을 방사하면, 그것은 청색 및 녹색 발광 소자가 사용된 경우보다 효율적으로 청색 및 녹색 구성을 갖는 색을 재생산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동일하게, 만약 추가의 발광 소자가 황색 광을 방사하면, 그것은 적색 및 녹색 발광 소자가 사용된 경우보다 효율적으로 적색 및 녹색 구성을 갖는 색을 재생산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만약 예를 들어 황색 및 청록색의 광을 각각 방사하는 2개의 추가적인 발광 소자가 사용되면, 황색 및 청록색 발광 소자는 주어진 응용에 있어서 OLED 디스플레이에 의해 재생산될 색들 중 다수, 또는 대부분에 대한 광을 재생산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은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기만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훨씬 효율적으로 실행될 것이다. 동시에, 상대적으로 비효율적인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 소자는 포화된 주요 색이 요구되는 경우에 있어서 훌륭한 범위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실시예들은 특히 디스플레이의 범위 경계를 정의하 는 3개의 OLED 및 보다 높은 전력 효율 또는 수명을 갖는 하나의 추가적인 OLED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해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동일한 개념은 범위를 정의하는 3개 이상의 OLED를 구비하는 유사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동일한 개념은 보다 높은 전력 효율 또는 수명을 갖는 하나 이상의 추가의 OLED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추가의 발광 소자는 다른 발광 소자에 의해 정의된 제 1 범위 내의 광을 방사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 2 실시예에서, 추가의 발광 소자는 다른 발광 소자에 의해 정의된 범위 외부의 광을 방사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추가의 발광 소자는, 제 1 범위를 정의하는 소자와 결합하여, 실질적으로 확장된 OLED 디바이스의 제 2 범위를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력의 절감을 가능케하며 효율적인 발광 소자 및 훌륭한 범위를 정의하는 발광 소자를 제공함으로써 확장된 색상범위를 가능케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개별적인 발광 소자는 서로 동일한 크기 또는 서로 다른 크기일 수 있다. 발광 소자의 효율이 광대역 OLED 발광기의 다양성 및 유색 광을 생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필터에 의존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발광 소자는 서로 다른 효율을 가질 것이다. 또한, 각 발광 소자의 사용은 색상OLED 디바이스의 적용에 의존하여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발광 소자에 대한 전류 밀도가 달라지며, 이것은 발광 소자 재료의 차별적인 노화를 나타낸다. 이러한 차별적인 노화는 서로 다른 크기의 발광 소자를 제공함으로써 어느 정도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청색 발광 소자가 적색 발광 소자보다 훨씬 낮은 효율로 발광한다면, 청색 광과 동일한 휘도를 생성하기 위해 전류 밀도를 감소시키도록 보다 큰 치수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발광 소자의 크기는 발광 소자의 예상되는 사용에 기초하여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청색 및 녹색 발광 소자에 의해 종종 생성되는 방사을 대체하도록 청록색 발광 소자가 제공된다면, 청색 및 녹색 발광 소자는 자주 사용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은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추가의 발광 소자를 구비하지 않는 OLED 디바이스 내의 일부 픽셀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보다 효율적인, 추가의 발광 소자를 구비하는 픽셀이 보다 낮은 해상도에서 제공될 수 있는 반면, 제 1 색상범위를 정의하는 발광 소자가 일반적으로 하나의 해상도에서 제공될 수 있다. 동일하게, 색상범위를 정의하는 발광 소자는 인간의 시계의 응답에 일치하도록 서로 다른 공간 주파수에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색 또는 청색 발광 소자 보다 많은 수의 녹색, 황색 또는 청록색 발광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대부분의 상부- 또는 하부- 방사 OLED 디바이스 구성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OLED 발광 소자 당 개별적인 어노드 및 캐소드를 포함하는 단순한 구조체 및 픽셀을 형성하도록 어노드와 캐소드의 수직 어레이를 구비하는 패시브 매트릭스 디스플레이 및 예를 들어 TFT(thin film transistor)를 사용하여 각 픽셀이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액티브 매트릭스 디스플레이와 같은 보다 복잡한 구조체를 포함한다. 당업계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OLED 디바이스 및 발광 층은 홀 및 전자 수송 및 주입 층 및 방사 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유기 층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에 포함된다.
만약 상부-방사 구조체가 바람직하다면, 제 2 전극(16)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과성이 있는 반면 제 1 전극(12)은 완전히 불투명하고 반사성을 갖는다. 이와는 달리, 만약 하부-방사 구조체가 바람직하다면, 제 1 전극(14)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과성이 있는 반면 제 2 전극(16)은 완전히 불투명하고 반사성을 갖는다.
액티브 매트릭스 구성에서, 발광 소자의 국부적인 제어를 제공하도록 추가적인 회로소자가 기판(10) 상에 집적된다. 패시브 매트릭스 구성에서, 버스(bus)가 외부의 드라이버로 전극을 접속하는 데에 사용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제 2 전극(16)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으로 접속되지 않을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1988년 9월 6일 Tang 외 다수에 허여된 미국 특허 4,769,292 및 1991년 10월 29일 VanSlyke 외 다수에 허여된 미국 특허 5,061,569에 기술되었으나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닌, 작은 소립자 OLED로 구성되었으며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s)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내에서 사용된다. 이와는 달리, 중합 OLED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의 다양한 결합 및 변경이 이러한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6)

  1. 하나 이상의 픽셀을 구비하는 색상 OLED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픽셀 중 적어도 하나는 4개 이상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발광 소자는 각각 다양한 주파수-의존적인 발광 에피커시의 방사 분광(luminous efficacy emission spectrum)을 갖는 광대역의 광을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유기 EL 재료(electroluminescent organic material) 층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소자는 각각 상기 광대역의 광을 필터링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여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방사하고,
    상기 발광 소자 중 3개에 의해 방사된 서로 다른 색의 광은 상기 OLED 디바이스의 제 1 색상범위를 지정하고,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발광 소자는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색상의 광을 방사하고,
    상기 추가적인 발광 소자의 필터의 주파수 범위는 상기 OLED 디바이스의 상기 제 1 색상범위를 지정하는 상기 3개의 발광 소자의 필터 중 적어도 하나의 필터의 주파수 범위에서의 복사도보다 큰 복사도를 갖는 광대역의 광 주파수 범위의 일부와 일치되며,
    상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발광 소자는 상기 제 1 색상범위를 지정하는 상기 3개의 발광 소자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효율보다 높은 발광효율을 갖는
    색상 OLED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색은 상기 제 1 색상범위 내에 있는
    색상 OLED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색은 상기 제 1 색상범위의 외부에 있고, 상기 제 1 색상범위를 지정하는 상기 3개의 발광 소자에 의해 방사된 광과 결합하여 확장된 제 2 색상범위를 지정하는
    색상 OLED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색상범위를 지정하는 상기 3색 광은 적색, 녹색 및 청색 광을 포함하는
    색상 OLED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의 발광 소자 중 하나는 황색 광을 방사하는
    색상 OLED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의 발광 소자 중 하나는 청록색 광을 방사하는
    색상 OLED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 각각은 적색, 녹색, 청색 및 황색 광을 방사하는
    색상 OLED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 각각은 적색, 녹색, 청색 및 청록색 광을 방사하는
    색상 OLED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 각각은 적색, 녹색, 청색, 황색 및 청록색 광을 방사하는
    색상 OLED 디바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OLED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색상 OLED 디바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3색 신호를 상기 색상 OLE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동시키는 4가지 이상의 색상신호로 변환시키는
    색상 OLED 디바이스.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신호는 전력의 사용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색상 OLED 디바이스의 수명을 증가시키는
    색상 OLED 디바이스.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는 서로 다른 크기인
    색상 OLED 디바이스.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발광 소자에 의해 방사된 광의 주파수 범위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발광 소자에 의해 방사된 광의 주파수 범위의 적어도 일부와 오버랩되는(overlaps)
    색상 OLED 디바이스.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의 발광 유기 EL 재료로부터의 광을 통과시키는 상기 필터는 광-흡수제 재료로 형성되는
    색상 OLED 디바이스.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적층을 통과하는 광 내에서의 광학적 간섭을 제공하는 유전체 적층으로 형성되는
    색상 OLED 디바이스.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사성이 있으며 광대역의 광을 필터링하는 광학적 공동을 형성하는 전극으로 형성되는
    색상 OLED 디바이스.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광대역의 광에 의해 시뮬레이션되는 유색 광의 제 2 발광기로 형성되는
    색상 OLED 디바이스.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복수의 필터링 기술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색상 OLED 디바이스.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OLED 디바이스는 상부-방사 OLED 디바이스인
    색상 OLED 디바이스.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OLED 디바이스는 하부-방사 OLED 디바이스인
    OLE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OLED 디바이스는 액티브-매트릭스 디바이스인
    OLED 디바이스.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OLED 디바이스는 패시브-매트릭스 디바이스인
    OLED 디바이스.
  24.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적인 발광 소자 없이 픽셀을 더 포함하는
    OLED 디바이스.
  25.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수의 서로 다른 색인 발광 소자를 구비하는 픽셀을 포함하는
    OLED 디바이스.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발광 소자 필터의 주파수 범위는 광대역의 광 방사 분광의 국부 최대값과 동일한 값과 일치되는
    OLED 디바이스.
KR1020067026263A 2004-05-13 2005-05-13 Oled 디바이스 KR1011917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845,038 2004-05-13
US10/845,038 US7091523B2 (en) 2004-05-13 2004-05-13 Color OLED device having improved performance
PCT/US2005/016808 WO2005114736A1 (en) 2004-05-13 2005-05-13 Color oled device having improved perform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6587A true KR20070026587A (ko) 2007-03-08
KR101191798B1 KR101191798B1 (ko) 2012-10-15

Family

ID=34993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6263A KR101191798B1 (ko) 2004-05-13 2005-05-13 Oled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091523B2 (ko)
EP (1) EP1745514A1 (ko)
JP (1) JP4713580B2 (ko)
KR (1) KR101191798B1 (ko)
CN (1) CN100524797C (ko)
TW (1) TWI365007B (ko)
WO (1) WO20051147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54212A1 (en) * 2004-05-25 2007-02-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riving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US7928928B2 (en) * 2004-09-27 2011-04-19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erceived color shift
US7898521B2 (en) * 2004-09-27 2011-03-01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Device and method for wavelength filtering
KR100700006B1 (ko) * 2004-11-23 2007-03-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4995733B2 (ja) 2004-12-23 2012-08-08 ドルビー ラボラトリーズ ライセンシング コーポレイション 広色域ディスプレイ
TWI262038B (en) * 2005-08-12 2006-09-11 Au Optronics Corp Pixel structur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panel with the structure
KR101254644B1 (ko) * 2006-06-30 2013-04-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 방법
FR2924275B1 (fr) * 2007-11-27 2009-12-18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de fabrication d'un dispositif d'affichage electronique recouvert d'une plaque de protection
KR101480001B1 (ko) * 2008-02-26 2015-0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ES2700874T3 (es) 2009-01-21 2019-02-1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Aparatos y métodos para dispositivos de visualización a color
US8466856B2 (en) 2011-02-22 2013-06-18 Global Oled Technology Llc OLED display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US8860751B2 (en) 2009-09-01 2014-10-14 Entertainment Experience Llc Method for producing a color image and imaging device employing same
CN102598114B (zh) 2009-09-01 2015-09-16 娱乐体验有限责任公司 用于产生彩色图像的方法和使用该方法的成像设备
IT1396810B1 (it) * 2009-10-21 2012-12-14 Or El Organska Elektronika D O O Dispositivo per la rilevazione di analiti in un campione biologico
KR101125570B1 (ko) * 2009-12-04 2012-03-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장치
US8848294B2 (en) 2010-05-20 2014-09-30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tructure capable of changing color saturation
US9899329B2 (en) 2010-11-23 2018-02-20 X-Celeprint Limited Interconnection structures and methods for transfer-printed integrated circuit elements with improved interconnection alignment tolerance
JP2014515839A (ja) * 2011-04-20 2014-07-03 ザ・リージェンツ・オブ・ザ・ユニバーシティ・オブ・ミシガン 最小角度依存性を有する表示装置及びイメージング用のスペクトルフィルタリング
US8934259B2 (en) 2011-06-08 2015-01-13 Semprius, Inc. Substrates with transferable chiplets
EP2908045B1 (en) 2012-12-07 2019-09-11 LG Display Co., Ltd. Light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9252324B2 (en) * 2013-05-30 2016-02-02 Globalfoundries Inc Heterojunction light emitting diode
CN103500753B (zh) * 2013-09-24 2016-08-17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oled显示面板
CN103645581A (zh) * 2013-11-18 2014-03-19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US10388705B2 (en) * 2014-05-27 2019-08-20 L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EP3158583B1 (en) 2014-06-18 2022-01-26 X Display Company Technology Limited Micro assembled led displays
TWI647833B (zh) 2014-08-26 2019-01-11 愛爾蘭商艾克斯瑟樂普林特有限公司 微組合複合式顯示裝置及發光元件
US9537069B1 (en) 2014-09-25 2017-01-03 X-Celeprint Limited Inorganic light-emitting diode with encapsulating reflector
US9799719B2 (en) 2014-09-25 2017-10-24 X-Celeprint Limited Active-matrix touchscreen
US9818725B2 (en) 2015-06-01 2017-11-14 X-Celeprint Limited Inorganic-light-emitter display with integrated black matrix
US9799261B2 (en) 2014-09-25 2017-10-24 X-Celeprint Limited Self-compensating circuit for faulty display pixels
US9991163B2 (en) 2014-09-25 2018-06-05 X-Celeprint Limited Small-aperture-ratio display with electrical component
US10026910B2 (en) * 2014-12-03 2018-07-1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flexible display panel
US9871345B2 (en) 2015-06-09 2018-01-16 X-Celeprint Limited Crystalline color-conversion device
US10133426B2 (en) 2015-06-18 2018-11-20 X-Celeprint Limited Display with micro-LED front light
US11061276B2 (en) 2015-06-18 2021-07-13 X Display Company Technology Limited Laser array display
US10255834B2 (en) 2015-07-23 2019-04-09 X-Celeprint Limited Parallel redundant chiplet system for controlling display pixels
US9640108B2 (en) 2015-08-25 2017-05-02 X-Celeprint Limited Bit-plane pulse width modulated digital display system
US10380930B2 (en) 2015-08-24 2019-08-13 X-Celeprint Limited Heterogeneous light emitter display system
US10230048B2 (en) 2015-09-29 2019-03-12 X-Celeprint Limited OLEDs for micro transfer printing
US10066819B2 (en) 2015-12-09 2018-09-04 X-Celeprint Limited Micro-light-emitting diode backlight system
US10091446B2 (en) 2015-12-23 2018-10-02 X-Celeprint Limited Active-matrix displays with common pixel control
US9930277B2 (en) 2015-12-23 2018-03-27 X-Celeprint Limited Serial row-select matrix-addressed system
US9786646B2 (en) 2015-12-23 2017-10-10 X-Celeprint Limited Matrix addressed device repair
US9928771B2 (en) 2015-12-24 2018-03-27 X-Celeprint Limited Distributed 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
US10361677B2 (en) 2016-02-18 2019-07-23 X-Celeprint Limited Transverse bulk acoustic wave filter
US10200013B2 (en) 2016-02-18 2019-02-05 X-Celeprint Limited Micro-transfer-printed acoustic wave filter device
US10109753B2 (en) 2016-02-19 2018-10-23 X-Celeprint Limited Compound micro-transfer-printed optical filter device
US10217730B2 (en) 2016-02-25 2019-02-26 X-Celeprint Limited Efficiently micro-transfer printing micro-scale devices onto large-format substrates
US10150326B2 (en) 2016-02-29 2018-12-11 X-Celeprint Limited Hybrid document with variable state
US10150325B2 (en) 2016-02-29 2018-12-11 X-Celeprint Limited Hybrid banknote with electronic indicia
US10193025B2 (en) 2016-02-29 2019-01-29 X-Celeprint Limited Inorganic LED pixel structure
US10153256B2 (en) 2016-03-03 2018-12-11 X-Celeprint Limited Micro-transfer printable electronic component
US10153257B2 (en) 2016-03-03 2018-12-11 X-Celeprint Limited Micro-printed display
US10199546B2 (en) 2016-04-05 2019-02-05 X-Celeprint Limited Color-filter device
US10008483B2 (en) 2016-04-05 2018-06-26 X-Celeprint Limited Micro-transfer printed LED and color filter structure
US10198890B2 (en) 2016-04-19 2019-02-05 X-Celeprint Limited Hybrid banknote with electronic indicia using near-field-communications
US9997102B2 (en) 2016-04-19 2018-06-12 X-Celeprint Limited Wirelessly powered display and system
US10360846B2 (en) 2016-05-10 2019-07-23 X-Celeprint Limited Distributed pulse-width modulation system with multi-bit digital storage and output device
US9997501B2 (en) 2016-06-01 2018-06-12 X-Celeprint Limited Micro-transfer-printed light-emitting diode device
US10453826B2 (en) 2016-06-03 2019-10-22 X-Celeprint Limited Voltage-balanced serial iLED pixel and display
US11137641B2 (en) 2016-06-10 2021-10-05 X Display Company Technology Limited LED structure with polarized light emission
US9980341B2 (en) 2016-09-22 2018-05-22 X-Celeprint Limited Multi-LED components
US10782002B2 (en) 2016-10-28 2020-09-22 X Display Company Technology Limited LED optical components
US10347168B2 (en) 2016-11-10 2019-07-09 X-Celeprint Limited Spatially dithered high-resolution
US10224231B2 (en) 2016-11-15 2019-03-05 X-Celeprint Limited Micro-transfer-printable flip-chip structures and methods
US10600671B2 (en) 2016-11-15 2020-03-24 X-Celeprint Limited Micro-transfer-printable flip-chip structures and methods
US10395966B2 (en) 2016-11-15 2019-08-27 X-Celeprint Limited Micro-transfer-printable flip-chip structures and methods
US10438859B2 (en) 2016-12-19 2019-10-08 X-Celeprint Limited Transfer printed device repair
US10832609B2 (en) 2017-01-10 2020-11-10 X Display Company Technology Limited Digital-drive pulse-width-modulated output system
US10396137B2 (en) 2017-03-10 2019-08-27 X-Celeprint Limited Testing transfer-print micro-devices on wafer
US11024608B2 (en) 2017-03-28 2021-06-01 X Display Company Technology Limited Structures and methods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micro-devices and substrates
US11315909B2 (en) 2019-12-20 2022-04-26 X Display Company Technology Limited Displays with embedded light emitters
KR20210116108A (ko) 2020-03-17 2021-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15691404A (zh) * 2022-10-31 2023-02-03 东莞阿尔泰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多色域模式led显示屏的显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1059A (ja) 1998-02-27 1999-09-17 Sanyo Electric Co Ltd カラー表示装置
GB9818092D0 (en) 1998-08-19 1998-10-14 Cambridge Display Tech Ltd Display devices
US6570584B1 (en) 2000-05-15 2003-05-27 Eastman Kodak Company Broad color gamut display
US6696177B1 (en) 2000-08-30 2004-02-24 Eastman Kodak Company Whit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with improved stability and efficiency
JP4013494B2 (ja) * 2001-03-28 2007-11-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020191130A1 (en) 2001-06-19 2002-12-19 Wei-Chen Liang Color display utilizing combinations of four colors
US20030011613A1 (en) 2001-07-16 2003-01-16 Booth Lawrence A. Method and apparatus for wide gamut multicolor display
JP2006503411A (ja) 2002-10-18 2006-01-2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フルカラー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KR100490322B1 (ko) * 2003-04-07 2005-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US6919681B2 (en) * 2003-04-30 2005-07-19 Eastman Kodak Company Color OLED display with improved power efficienc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1798B1 (ko) 2012-10-15
US20050258429A1 (en) 2005-11-24
TWI365007B (en) 2012-05-21
TW200607385A (en) 2006-02-16
EP1745514A1 (en) 2007-01-24
JP4713580B2 (ja) 2011-06-29
JP2007537577A (ja) 2007-12-20
US7091523B2 (en) 2006-08-15
WO2005114736A1 (en) 2005-12-01
CN100524797C (zh) 2009-08-05
CN1954436A (zh) 200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1798B1 (ko) Oled 디바이스
US8237633B2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with adjustable white point
CN100459144C (zh) 具有微腔色域子像素的oled器件
US9659532B2 (en) Four-channel transmissive display system
JP5744163B2 (ja) カラー発光ダイオード、表示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7893612B2 (en) LED device having improved light output
US7510454B2 (en) OLED device with improved power consumption
US7994712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one or more color presenting pixels each with spaced apart color characteristics
US7781957B2 (en)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improved efficiency
KR101419247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US10756144B2 (en)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stacked micro light emitting diode unit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unit,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90051283A1 (en) Led device having improved contrast
KR20100087707A (ko) 보색 서브픽셀을 갖는 led 디바이스
JP2007516564A (ja) 改善された効率性を有する積層oledディスプレイ
US20080203899A1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with improved efficiency
KR20100080801A (ko) 개선된 광 출력을 가진 led 디바이스
JP2013057967A (ja) 白色発光素子を備えるカラーディスプレイ
KR20150078331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140083488A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28945B1 (ko) 조명 장치
US20090102355A1 (en) Display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