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5749A - 제빙기 - Google Patents

제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5749A
KR20070025749A KR1020050082236A KR20050082236A KR20070025749A KR 20070025749 A KR20070025749 A KR 20070025749A KR 1020050082236 A KR1020050082236 A KR 1020050082236A KR 20050082236 A KR20050082236 A KR 20050082236A KR 20070025749 A KR20070025749 A KR 20070025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ice
rocking
box
ice m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2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4111B1 (ko
Inventor
히데오 나까조
조래화
Original Assignee
코리아나까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나까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아나까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2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4111B1/ko
Publication of KR20070025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5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이 제빙기는 냉동시스템과 연결되고 하부에 냉각돌기(112)를 형성한 증발관(111), 수관(113)을 구비한 베이스 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하방에 위치하고 연장부를 형성하며 상기 냉각돌기(112)를 수용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빙박스(120)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면에서 미끄럼/접촉되고, 상기 제빙박스(120)의 연장부(125)에 연결되는 요동프레임(130)과; 상기 요동프레임(130)에 탑재되고 그 하측에 편심축(142)을 가진 제1구동모터(140)와; 상기 편심축(142)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20)에 고정되어 편심/회동하므로서 요동프레임(130)이 전,후진 요동되게 하는 링크부재(150)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축(180) 양단에 고정되는 고정공(126)을 상방 연장된 연장부(125)상방에 형성하고 그 주면에 걸림공(123)을 형성한 회동틀(121)과,이 회동틀(121)의 걸림공(123)에 끼워지는 걸림돌부(124)를 외주면을 따라 형성하되 상부가 개방된 대략 사각형의 박스(122)로서 이 박스(122)가 회동틀(121)에서 분리/결합되는 제빙박스를 포함한다.
제빙기,제빙박스.

Description

제빙기{Ice-maker}
도 1a, 1b는 종래 알려진 제빙기와 동 제빙기를 발췌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 제빙기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제빙기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제빙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5a,5b는 본 발명 제빙기의 요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6a,6b는 본 발명 제빙기의 제빙박스 회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제빙기 제빙박스의 회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베이스 프레임, 111:증발관, 112:냉각돌기, 113:수관, 120:제빙박스,
121:회동틀, 122:박스, 123:걸림공, 124:걸림돌부, 125:연장부, 126:고정공
130:요동프레임, 132:장공,140:제1구동모터, 141:재치판, 142:편심축,
150:링크부재,151:편심회전부, 152:링크부, 153:회동부,160:가이드부재,
162:안내장공, 170:받침롤러, 172:간격롤러,180:회동축, 210:제2구동모터,
220:주동간, 230:링크, 240:종동간,
본 발명은 제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얼음이 뿌옇게 되는 현상(이하 '백탁'이라 약함)을 방지하기 위한 제빙수의 진동방식과 제빙박스내 얼음을 배출하는 얼음 배출방식을 새롭게 구현하며, 제빙박스의 분리/청소가 가능하게 한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제빙기는 공급된 제빙수를 냉각시켜 얼음을 만드는 장치로 근래에는 제빙수내의 기포가 얼면서 '백탁'을 방지할 수 있는 제빙기가 보급되어 왔다.
첨부 도면중 도 1a와 도 1b는 이러한 백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빙박스를 요동하게 한 제빙기로서 한국 특허 제10-0272894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는 종래의 제빙기는 제빙기 본체(10)와, 제빙 유닛(20)과, 기포 제거수단(30) 및 제빙완료 검출수단(40)으로 이루어진다.
제빙기 본체(10)는 제빙 유닛(20)에서 만들어진 얼음을 저장하기 위한 얼음 저장고(11)를 구비한다. 얼음 저장고(11)의 하부에는 압축기(12)와 응축기(13)가 설치된다.
상기 제빙유닛(20)은 도 1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빙박스(21)와 냉각판(22) 및 증발관(23)으로 이루어진다. 제빙박스(21)에는 제빙수가 채워지며, 냉각판(22)의 하부면에는 제빙수에 침지되는 다수의 냉각돌기(24)가 침지되게 설치된다.
제빙박스(21) 일측에는 제빙박스(21)를 기울여 제빙박스(21) 내에 결빙되지 않은 제빙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선회수단(25)이 구비된다.
증발관(23)은 냉각판(22) 상부면에 설치되며, 냉동 시스템과 연결된다. 증발관(23) 내로는 냉매가 흐르며, 이 냉매의 열교환에 의해 냉각판(22) 및 냉각돌기(24)가 냉각된다.
상기 기포 제거수단(30)은 제빙수 내의 기포를 제거하여 제빙시 백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빙박스(21) 내에서 상하 유동되는 요동판(31)과, 요동판(31)을 유동시키기 위한 요동용 모터(32)를 구비한다.
요동용 모터(32)에 설치된 걸림편(33)이 요동판(31)의 걸림핀(34)을 쳐올리면 요동판(31)이 움직이면서 제빙수 내의 기포를 부양시켜 제거한다.
이러한 제빙기는 제빙수가 제빙수 공급관(14)을 통해 제빙박스(31) 내로 유입되어 냉각돌기(24)가 제빙수에 침지되면, 증발관(23) 내를 흐르는 냉매의 열교환에 의해 빙점 이하로 냉각된 냉각돌기(24)의 둘레로 냉각수가 결빙되기 시작한다.
이때, 요동용모터(32)가 작동하면서 제빙수에 잠겨있는 요동판(31)이 상하로 요동된다. 이에 의해, 제빙수가 상하로 요동되어 제빙수 내의 기포가 제거되고 냉각돌기(24)의 둘레에는 투명한 얼음이 성장한다. 냉각돌기(24) 둘레로 소정 크기의 얼음이 생성되면, 요동판(31)이 얼음과 부딪치면서 그 충격이 걸림편(33)을 통해 요동용 모터(32)에 전달되어 제빙 완료를 검출한다(구체적 검출작용은 생략함).
제빙이 완료되면, 요동판(31)은 유동을 멈추고, 증발관(23) 내에는 응축기(13)를 거치지 않고 압축기(12)에서 토출된 고열냉매가 직접 공급되어 냉각돌기(24)가 가열되며, 제빙박스(21)는 선회수단(25)에 의해 선회축(26)을 중심으로 기 울여 생성된 얼음을 얼음 저장고(11)로 떨어뜨림과 동시에 제빙박스(21)내에 결빙되지 않고 남아 있는 제빙수까지 배출되게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제빙기는 '백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빙박스내 바닥측에서 요동판을 요동시키기 위한 요동장치가 복잡하고, 제빙수가 충진된 바닥에서 진동을 가하므로 제빙수 진동효율이 저조하고, 제빙박스가 분리되지 못할 뿐 아니라 요동판이 바닥에 장착되어 있어 장기간 제빙 사용으로 제빙박스내 이물질등을 청소하려면 일일이 제빙기를 분해하여 제빙박스를 분리해내어야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제빙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빙박스가 제빙수 충진 박스와 회동구조로 분리/결합 가능한 제빙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함과 아울러 본 발명의 제빙기는 요동방식을 달리하여 제빙수 바닥에 침지된 요동판을 요동시키므로서 발생되는 물과 요동구조물의 접촉을 방지한 제빙기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러한 제빙기의 요동방식이 제빙기 외측에서 제빙박스 자체를 요동토록 하되 요동구조가 간단하게 되는 제빙기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얼음을 낙하하기 위한 제빙박스 선회장치에 있어 상기한 요동구조가 설치된 설치공간의 일측면등에 함께 구현하여 종래 선회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대폭 줄인 제빙기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 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제빙기는,
냉동시스템과 연결되고 하부에 냉각돌기를 형성한 증발관과, 이 증발관의 냉각돌기가 잠기도록 물을 공급하는 수관을 구비하여 상기 제빙기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냉각돌기를 수용하되 베이스 프레임 하방에서 소정각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양측 상방으로 수직 연장부를 형성한 제빙박스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에서 미끄럼/접촉되고, 가운데에 장공을 형성하며 상기 제빙박스의 연장부에 연결되는 요동프레임과; 상기 요동프레임에 탑재되고 그 하측에 편심축을 가진 제1구동모터와; 상기 편심축이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되어 편심/회동하므로서 요동프레임이 전,후진 요동되게 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여 제빙박스 자체가 요동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한 본 발명 제빙기의 상기 요동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위에 소정간격을 두고 각각 안내장공을 형성한 가이드부재를 양측에 입설하고, 이 안내장공에는 상기 요동프레임에 고정되는 회동축을 관통시키되, 상기 안내장공 내측에 받침롤러를 개재시켜 상기 요동프레임의 전후진 반복요동시 받쳐져 반복회전되게 하여 베이스 프레임의 면을 타고 요동프레임이 전,후진 요동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 제빙기의 상기 제빙박스는,
상기 회동축 양단에 고정되는 고정공을 상방 연장된 연장부 상방에 형성하고 그 주면에 걸림공을 형성한 회동틀과,이 회동틀의 걸림공에 끼워지는 걸림돌부를 외주면을 따라 형성하되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의 박스체로 이루어져 박스체가 회동틀에서 분리/결합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 제빙기의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요동프레임내 장공 상방에 제2구동모터를 탑재한 재치판을 설치하고, 이 구동모터의 하방 모터축에 편심회전부가 연결되게 함과 아울러 이 편심회전부와 베이스 프레임과의 사이에 수직/연결되는 회동부와의 사이에 링크부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 제빙기 제빙박스 선회장치는 상기 제빙박스의 고정공에 고정된 회동축의 타단에는 간격롤러를 사이에 두고, 종동간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제2구동모터의 구동축에는 주동간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며, 이 주동간과 종동간사이에는 링크을 연결하여 회동틀일체의 제빙박스를 소정각도로 회동/원복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도 2는 본 발명 제빙기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제빙기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제빙기의 측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발명 제빙기는 크게 제빙박스(120)를 전후진 요동시키는 요동부(가)와, 제빙박스(120)를 직각/회동시키는 회동부(나)로 구분된다.
요동부(가)는 다시 베이스 프레임(110)위에서 전,후진 요동되는 요동프레임 (13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을 사이에 두고 요동프레임(130)에 현수/결합된 제빙박스(120)와, 이 요동프레임(130)내에 탑재됨과 아울러 동력을 주기 위한 제1구동모터(140)와, 이 제1구동모터(140)에 연결되어 베이스 프레임(110)과 요동프레임(130)사이에 연결되어 요동력을 전달하는 링크부재(150)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그 사이에 상기 요동프레임(130)이 위치하게 하는 가이드부재(160)와, 상기 요동프레임(130)을 받치는 받침롤러(170)와, 상기 요동프레임(130)에서 공회동되게 관통된 회동축(180)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은 냉동시스템과 연결되고 하부에 냉각돌기(112)를 형성한 증발관(111)과, 이 증발관(111)에서 하향 연결된 냉각돌기(112)와, 이 냉각돌기(112)가 침지되게 물을 공급하는 수관(113)을 구비하여 제빙기 본체에 결합된다.
제빙박스(12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하방에 위치하되 회동틀(121)과, 박스체(122)로 분리/결합된다.
즉, 회동틀(121)은 ㄷ형 수평단면을 이루되 그 측면을 따라 적당한 간격을 두고 걸림공(123)을 형성하고, 상부 양측은 연장부(125)를 형성하고, 이 연장부(125) 각각에는 고정공(126)을 형성하여서 된다.
박스체(122)는 상기 증발관(111)에서 현수된 냉각돌기(112)들이 수용/침지되도록 적당한 깊이를 형성한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의 박스체(122)로서 외주면에 상기 걸림공(123)에 대응하여 탈착되는 걸림돌부(124)를 형성하여서 된다.
따라서 회동틀(121)과,박스체(122)는 회동틀(121)의 걸림공(123)에 걸림돌부 (124)를 끼워넣어 제빙박스(120)을 이루며, 걸림돌부(124)를 걸림공(123)에서 분리시키므로서 분리가 이루어진다. 박스체(122)가 회동틀(121)에서 분리되므로서 제빙박스(120)의 내부 청소가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요동프레임(130)은 전,후,상방이 개방된 요(凹)형 단면의 사각틀로서 그 바닥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면에서 미끄럼/접촉되게 설계가 가능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은 받침롤(170)들에 의하여 받쳐져 롤링됨이 바람직하다.
요동프레임(130)의 가운데에는 장공(132)을 형성하며, 그 선단측에 형성된 관공(134)을 상기 회동축(180)이 관통하여 상기 제빙박스(120)의 연장부(125)와 연결된다.
상기 제1구동모터(140)는 상기 요동프레임(130)내에 통공(142)을 형성한 재치판(141)을 설치하므로서 그 위에 탑재가 가능하며, 통공(142)을 통하여 구동축(142)이 하향 연장된다.
상기 링크부재(150)는 상기 통공(142)를 통과한 구동축(142)이 장공(132)을 지나 상기 베이스프레임(120)에 고정되어 편심/회동하므로서 요동프레임(130)이 전,후진 요동되게 설치된다.
즉, 링크부재(150)는 상기 구동축(142)에 축지되어 편심회동되는 편심회전부(151), 이 편심회전부(151)와 베이스 프레임(110)에 수직/고정된 회동부(153)와의 사이에 연결되는 링크부(152), 베이스 프레임(110)에 고정된 회동부(153)로 이루어지며. 이때의 요동간격(α)은 편심회전부(151)의 구동축(142)와 링크부(152)의 연결점과의 길이와 같다.
이외에도 요동프레임(130)의 요동을 위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위에 소정간격을 두고 각각 안내장공(162)을 형성한 가이드부재(160)를 양측에 입설하고, 이 안내장공(162)은 상기 요동프레임(130)에 관통되는 회동축(180)이 전,후 이동가능하게 충분한 크기로 확장된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내장공(162)내측과 상기 요동프레임(130)의 관공(134)사이에는 앞쪽 받침롤러(170)(뒤쪽에도 요동되는 받침롤(170)가 개재되나 도면중 일부 생략됨)를 개재시켜 상기 요동프레임(130)의 전,후진 반복요동시 받쳐지게 하여서 된다.
회동축(180)의 관통라인에는 상기한 가이드부재(160)와 상기한 제빙박스(120)의 연장부(125)사이에 간격롤(172)을 개재한다.
첨부 도면중 도 5a,5b는 본 발명 제빙기의 요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따르는 본 발명 제빙기의 요동작용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제1구동모터(140)의 하방 구동축(142)과 베이스 프레임(110)사이에는 상기한 링크부재(150)가 연결되어 있다.
즉, 도 5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142)에 축지되어 편심회동되는 편심회전부(151)가 구동축(142)에 의하여 편심 회전하게 되면 이 편심회전부(151)의 편심된 위치에 연결된 링크부(152)의 일단이 회전하면서 선형 이동되며, 베이스 프레임(110)에 수직/고정되어 있는 회동부(153)는 요동하지 않으므로 편심회전부(151)에 연결된 구동축(142),구동모터(140)가 요동하게 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구동모터(140)가 탑재된 요동프레임(130)이 도 5b와 같이 요동간격(α)으로 반복 요동되는 것이다.
회동부(나)는 상기 요동구조와는 다르게 제2구동모터(210)에 의한 독립적인 회동력 전달라인을 형성하며, 제빙상태를 검출한 뒤 증발관(111)을 통하여 냉각돌기(112)에 제빙된 얼음들을 분리시킨 뒤 작동한다. 제빙상태의 검출 및 그 구체적인 작동은 본 발명에서는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회동부(나)는,
상기 제빙박스(120)의 고정공(126)에 고정된 회동축(180)의 타단으로 간격롤러(172)를 사이에 두고 종동간(240)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제2구동모터(210)의 구동축(211)에는 주동간(220)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며, 이 주동간(220)과 종동간(240)사이에는 링크(230)를 연결하여서 된다.
첨부 도면중 도 6a,6b는 본 발명 제빙기의 제빙박스 회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제빙기 제빙박스의 회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의거 본 발명 제빙박스 회동부(나)의 회동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구동모터(210)의 구동으로 주동간(220)이 구동되면 링크(230)가 소정의 궤적을 그리면서 종동간(240)을 최대로 이동시킨다. 종동간(240)이 축고정된 회동축(180)을 약 90°로 후향이동시키면 이에 고정/결합된 회동틀(121)일체의 제빙박스(120)가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위치를 변경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빙된 얼음들이 낙하하게 되며, 잔존하는 미제빙된 제빙수도 모두 출수된다.
특히, 본 발명은 이와같은 제빙박스(120)의 회동틀(121)에 걸림공(123)이 형 성되어 있으므로 박스체(122)에 돌설된 걸림돌부(124)를 눌러 이탈시키면 박스체(122)가 분리되므로 박스체(122)의 내부의 청소가 가능해진다.
박스체(122)의 세척후에는 다시 상기 회동틀(121)의 걸림공(123)에 걸림돌부(124)를 맞추어 결합하므로서 다시 제빙박스(120)를 구성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빙박스를 제빙수가 충진되는 박스체와 회동틀로 분리/결합하도록 하므로서 제빙박스의 청소가 용이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빙기는 요동방식이 종래 제빙수 바닥에 요동판을 침지시킨 구조로 인하여 요동구조물이 물에 접촉함을 방지하므로서 위생성을 향상시키며,제빙기 외측에서 제빙박스 자체를 요동토록 새로운 요동방식을 제공하되 얼음을 낙하시키기 위한 제빙박스 회동장치와 함께 요동장치를 함께 구현하므로서 회동장치와 요동장치 설치공간을 줄인 간단한 구조의 제빙기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Claims (5)

  1. 제빙기에 있어서,
    냉동시스템과 연결되고 하부에 냉각돌기(112)를 형성한 증발관(111)과, 이 증발관(111)의 냉각돌기(112)가 잠기도록 물을 공급하는 수관(113)을 구비하여 상기 제빙기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110);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냉각돌기(112)를 수용하되 베이스 프레임(110)하방에서 소정각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양측 상방으로 수직 연장부(125)를 형성한 제빙박스(120);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면에서 미끄럼/접촉되고, 가운데에 장공(132)을 형성하며 상기 제빙박스(120)의 연장부(125)에 연결되는 요동프레임(130);
    상기 요동프레임(130)에 탑재되고 그 하측에서 회동하는 구동축(142)을 가진 구동모터(140);
    상기 구동축(142)이 장공(132)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프레임(120)에 고정되어 편심/회동하므로서 요동프레임(130)이 전,후진 요동되게 하는 링크부재(150)를 포함하는 제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위에 소정간격을 두고 각각 안내장공(162)을 형성한 가이드부재(160)를 양측에 입설하고, 이 안내장공(162)에는 상기 요동프레임(130) 에 고정되는 회동축(180)을 관통시키되, 받침롤러(170)를 개재시켜 반복요동시 상기 받침롤러(170)로 상기 요동프레임(130)이 롤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박스(120)는,
    상기 회동축(180) 양단에 고정되는 고정공(126)을 상방 연장된 연장부(125)상방에 형성하고 그 주면에 걸림공(123)을 형성한 회동틀(121)과,이 회동틀(121)의 걸림공(123)에 끼워지는 걸림돌부(124)를 외주면을 따라 형성하되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의 박스체(122)로 이루어져 박스체(122)가 회동틀(121)에서 분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150)는,
    상기 요동프레임(130)내 장공(132)상방에 구동모터(140)를 탑재한 재치판(141)을 설치하고, 이 구동모터(140)의 하방 모터축(142)에 편심회전부(151)가 연결되게 함과 아울러 이 편심회전부(151)와 베이스 프레임(110)과의 사이에 수직/연결되는 회동부(153)와의 사이에 링크부(152)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박스(120)의 고정공(126)에 고정된 회동축(180)의 타단에는 간격롤러(172)를 사이에 두고, 종동간(240)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구동모터(210)의 구동축(211)에는 주동간(220)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며, 이 주동간(220)과 종동간(240)사이에는 링크(230)을 연결하여 회동틀(121)일체의 제빙박스(120)를 소정각도로 회동/원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KR1020050082236A 2005-09-05 2005-09-05 제빙기 KR100724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236A KR100724111B1 (ko) 2005-09-05 2005-09-05 제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236A KR100724111B1 (ko) 2005-09-05 2005-09-05 제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5749A true KR20070025749A (ko) 2007-03-08
KR100724111B1 KR100724111B1 (ko) 2007-06-04

Family

ID=38099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2236A KR100724111B1 (ko) 2005-09-05 2005-09-05 제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41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4026A (ko) * 2010-12-08 2012-06-1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제빙기 및 이를 사용한 얼음제조방법
KR101421736B1 (ko) * 2008-02-28 2014-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736B1 (ko) * 2008-02-28 2014-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빙장치
KR20120064026A (ko) * 2010-12-08 2012-06-1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제빙기 및 이를 사용한 얼음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4111B1 (ko) 2007-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37486B2 (ja) 製氷機
JP3913213B2 (ja) 製氷機
EP2263055B1 (en) Water funnel and ice maker for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040039091A (ko) 제빙기
KR200479462Y1 (ko) 드럼식 제빙기
KR100724111B1 (ko) 제빙기
JP2009079839A (ja) 自動製氷機の製氷水タンク
KR101391832B1 (ko) 제빙장치의 제빙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백탁방지방법
EP1445557A2 (en) Ice maker
KR20110024722A (ko) 제빙기용 제빙유닛
KR100724112B1 (ko) 제빙기
KR100525349B1 (ko) 제빙기용 제빙유닛
JP6510352B2 (ja) 製氷装置
JP2003042619A (ja) 製氷装置
KR101322832B1 (ko) 얼음정수기의 투명얼음 형성장치
JP2003042608A (ja) 製氷装置
CN219346862U (zh) 一种冰块输送装置及其制冰机
KR100540794B1 (ko) 제빙기용 제빙유닛
JP2007017050A (ja) 自動製氷機付き冷蔵庫
KR102317462B1 (ko) 얼음 제조장치
KR101321024B1 (ko) 얼음정수기의 물접시 배수장치
WO2024000702A1 (zh) 冰箱
KR20220054968A (ko) 투명얼음 제빙기
JP2008101809A (ja) 自動製氷機付き冷蔵庫
KR20100137606A (ko) 백탁 방지기구가 구현된 제빙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