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4673A - 모유 착유기 - Google Patents

모유 착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4673A
KR20070024673A KR1020067027739A KR20067027739A KR20070024673A KR 20070024673 A KR20070024673 A KR 20070024673A KR 1020067027739 A KR1020067027739 A KR 1020067027739A KR 20067027739 A KR20067027739 A KR 20067027739A KR 20070024673 A KR20070024673 A KR 20070024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piece
breast
intermediate member
milking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7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클라우디아 키르히너
Original Assignee
카베코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베코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카베코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024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6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6Milkin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6Milking pumps
    • A61M1/062Pump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6Milking pumps
    • A61M1/062Pump accessories
    • A61M1/064Suction cups
    • A61M1/066Inser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8Means for preventing overflow or contamination of the pump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0Suction pumps
    • A61M1/81Piston pumps, e.g. 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 A61M2205/071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hand operated
    • A61M2205/073Syringe, piston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07Breast; mamma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유 착유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 모유 착유기는 용기(21)의 개구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거나 체결될 수 있음과 동시에 젖가슴 상에서 흡입작용을 발휘하도록 진공기밀 상태로 젖가슴 장착부재(23.1)에 연결되는 중간부재(22)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착유부(20)를 포함한다. 상기 모유 착유기는 또 상기 중간부재에 진공기밀 상태로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는 캡(24)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캡 내에 삽입되어 있는 탄성을 가지는 액밀 분리 멤브레인(30)은 펌프유닛(10)으로부터 상기 중간부재(22) 및 젖가슴 장착부재(23.1) 내부까지 가변하는 진공을 전달한다. 상기 캡(24)은 대응 연결부(24.11)에 의해 상기 중간부재(22)의 연결부(22.1)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결과 높은 위생기준에 부응하고 모유 착유기의 사용을 단순화시킨다.
모유, 착유기

Description

모유 착유기{Milk Extraction Device}
본 발명은 모유 착유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 모유 착유기는 적어도 하나의 착유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착유요소는 중간부재 및 헤드피스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부재는 용기의 개구에 부착되거나 착탈가능하게 부착됨과 동시에 젖가슴 상에서 착유동작을 발휘하기 위한 젖가슴 장착요소에 진공기밀 상태로 연결되고, 상기 헤드피스는 진공기밀 상태로 상기 장착요소에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헤드피스 내에 탄성을 가지는 액밀 분리 멤브레인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헤드피스는 펌프유닛으로부터 상기 중간부재의 내부 및 상기 젖가슴 장착요소(23.1)의 내부에 가변하는 진공을 전달하는 모유 착유기에 관한 것이다.
모유 착유기는 독일특허 DE 690 00 542 T2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공지의 모유 착유기에 있어서, 깔때기 형상의 젖가슴 장착요소를 일체형으로 구비한 중간부재는 모유 용기의 개구에 장착되어 있고, 나사 체결 및 나사 분리가 가능하다. 사용 위치에서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을 구비하는 중간부재는 이 중간부재에 형성되어 상부를 향해 개방된 실린더에 일체로 연결되고, 이 실린더의 내부에는 전후로 이동되는 수동 펌핑용 피스톤이 장착되어 있다. 또, 상기 실린더 내에는 이 피스톤을 제거한 후에 일레스토머 재료(예, 실리콘 고무)로 제작된 가요성 벨로우즈를 삽입 할 수 있다. 상기 벨로우즈는 가요성 호스를 이용하여 외부에 설치된 가변하는 진공원(특히, 전동 착유펌프)에 연결된다. 상기 피스톤 또는 벨로우즈는 수리나 세정을 위해 실린더로부터 제거해야 하고, 실린더는 상기 중간부재에 영구적으로 연결된 상태에 있다. 구조에서, 상기 실린더는 수동 펌핑 작동용 및 펌핑유닛을 이용한 자동 펌핑 작동용으로 사용되고, 따라서 상기 세정 및 수리시의 조작은 이것에 연결된다.
또 유럽특허 EP 0 123 269 B1에 개시된 모유 착유기에 있어서, 가동 피스톤과 뚜껑 사이의 펌프 하우징 내에 설치된 가동식 분리 멤브레인은 상기 뚜껑과 공동으로 흡입실을 형성하고, 흡입 리듬(suction rhythm)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펌프유닛 내에는 멤브레인을 구비한 공간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세정을 곤란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국제특허 WO 01/34226 A1에는 수동식 펌핑유닛을 구비한 모유 착유기가 개시되어 있고, 독일특허 DE 102 28 455 A1에는 자동식 펌핑유닛을 구비한 모유 착유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위생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고, 조작이 극히 단순화된 전술한 형식의 모유 착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부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헤드피스는 대응 연결부에 의해 중간부재의 연결부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들 단계에서 장착부를 구비하는 분리 멤브레인은 상기 중간부재로부터 제거된 후 세정 될 수 있고, 또는 다른 헤드피스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성 및 조작 상의 장점은 상기 연결부는 중간부재 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대응 연결부는 헤드피스 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 및 대응 연결부는 진공기밀 상태로 구현됨과 동시에 상호 착탈가능하게 플러그인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또, 헤드피스 및 중간부재가 신뢰성 있게 결합되므로, 상기 연결부 및 대응 연결부 사이의 플러그인 결합은 상기 중간부재 및 헤드피스 사이의 회전결합 또는 스냅인 결합에 의해 고정되는 장점이 있다.
비부하 상태의 상기 분리 멤브레인은 용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바닥을 구비하는 중공통상이고, 상기 헤드피스의 상측의 시일용 외주의 대응 단부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가압되는 장점이 있다.
이 경우, 유리한 실시예는 상기 헤드피스의 대응단부가 상부가 개방된 연결요소 상에 형성되고, 상기 대응단부에는 시일단부를 개재하여 커버수단이 착탈가능하게 가압되는 구성 및 상기 커버수단이 스냅인 연결이나 회전이 가능한 로킹장치에 의해 상기 연결요소의 정위치에 착탈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구성을 구비한다.
상기 중간부재 및 헤드피스 사이의 스냅인 연결은 상기 헤드피스에 위치하는 탄성 스냅인 핑거 형상의 홀딩부재 및 상기 중간부재 상에 위치하는 홀딩요소에 의해 구성되므로 작동이 단순하고 상호간에 강고한 결합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스냅인 연결은 상기 연결부 및 대응 연결부가 시일링 상태로 플러그인 결합되었을 때 스냅인 위치를 점하도록 배치된다.
분리 멤브레인을 수용하기 위한 구성 및 헤드피스를 조작하기 위한 구성은 상기 분리 멤브레인의 측면 및 하면을 둘러싸는 공간은 헤드피스 내에 구획되어 있고, 이 공간의 하측에는 대응 연결부가 제공되는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중간부재에 고정된 상태의 상기 헤드피스의 상기 젖가슴 장착요소 및 천이부재의 종방향 연장부에 대한 측면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가 구비되어 있고, 이 지지부에 의해 상기 중간부재 및 헤드피스와 결합된 헤드피스는 펌프유닛의 하우징의 대응하는 지지요소에 부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상기 모유 착유기는 상기 용기에 이르는 중간부재의 모유 유출부에는 유입밸브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밸브는 저부에 슬릿 개구가 있는 중공 통형상이고, 상기 슬릿 개구는 상기 중간부재를 통해 유입된 착유된 모유의 중량에 의해 개방되고, 상기 중간부재 내에 진공이 형성되었을 때 폐쇄되고, 중간부재 내에 진공이 형성되었을 때 탄성에 의해 폐쇄된다.
상기 펌프유닛은 라인에 의해 진공기밀 및 착탈가능한 상태로 헤드피스에 연결되어 단순한 구성 및 단순한 조작성을 제공한다.
상기 모유 착유기의 작동상의 장점은 전술한 항들에 인용된 구성의 2개의 착유요소는 각각의 라인에 의해 펌프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펌프유닛은 비주기적으로 진공이 가해질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라인이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 상에 2개의 연결부를 구비하는 모유 착유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모유 착유기의 신뢰성 있는 작용은 상기 펌프유닛은 진공부하 과정 중에 상기 착유요소에 연결부를 통해 비주기적으로 압력이 가해지도록 구성되는 모유 착유기에 의해 발휘된다.
상기 모유 착유기의 사용상의 추가의 장점은 연결부 및 상기 중간부재) 상에 고정하기 위한 로터리 연결 또는 스냅인 연결 요소를 구비한 헤드피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동 펌프 헤드피스가 제공되고, 상기 수동 펌프 헤드피스는 상기 헤드피스와 동일한 구성으로 장착되는 모유 착유기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자동 펌프유닛 및 용기 및 젖가슴 연결부재를 구비한 2개의 착유요소를 구비한 모유 착유기의 사시도,
도 2는 착유요소의 헤드피스의 사시도,
도 3은 수동 펌프 헤드피스의 측면도,
도 4는 모유 착유기의 착유요소의 측면도,
도 5는 도 2의 헤드피스의 분해측면도,
도 6은 도 5의 헤드피스의 사시도,
도 7은 용기의 사시도,
도 8은 착유요소를 구비한 중간부재의 사시도,
도 9는 용기 및 착유요소를 구비한 중간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3의 수동 펌프 헤드피스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수동 펌프 헤드피스를 구비한 착유요소의 측면도이다.
도 1은 자동 전동 펌프유닛(10) 및 2개의 착유요소를 구비한 모유 착유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2개의 착유요소는 각각의 라인(25)을 통해 펌프유닛(10)의 하우징(11)의 접속부(15)에 연결되어 있다. 각 착유요소는 착유된 모유를 수용하는 예를 들면 병이나 백 형태의 용기(21), 이 용기의 개구부에 부착(특히 나사체결)됨과 동시에 착유요소(23)를 일체로 구비한 중간부재(22), 및 이 중간부재(22) 상에 압입된 헤드피스(24)를 필수부품으로서 구비한다. 상기 헤드피스(24)에는 중간부재(22) 및 착유요소(23)의 내부에 가변하는 진공을 발생시키기 위해 펌프유닛(10)으로부터 먼 쪽에 위치하는 상기 라인(25)의 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펌프유닛(10)의 하우징(11) 상에는 조절요소(1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절요소는 진공의 강도 및 착유 사이클의 시간을 설정하기 위해, 그리고 필요시에는 진공강도의 시간 순서 또는 파형의 시간 순서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양 라인(25)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의 단부에는 접속요소(25.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접속요소에 의해 상기 양 라인의 일단부는 하우징(11) 상의 접속부(15)의 2개의 커넥터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헤드피스(24)에 단순히 플러그인 접속됨으로써 용이하고 시일이 가능한 접속이 가능해진다. 상기 착유요소(23)의 젖가슴 쪽을 향하는 전방에는 출구측에 중앙 개구를 구비하는 깔때기 형상의 젖가슴 장착요소(23.1)가 구비되어 있다. 이 장착요소는 천이요소(23.2)로 이어지고, 이 천이요소는 중간부재(22)와 일체를 형성한다.기 깔때기 형상의 젖가슴 장착요소(23.1)의 가장자리부에는 가요성의 착유 삽입체(23.3)가 삽입되고, 이 삽입체는 상기 젖가슴 장착요소(23.1)의 자유단부를 초과하여 연장되고, 그 자유단부 상에 진공기밀(vacuum-tight)하게 유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실리콘 탄성고무로 제작된 가요성 착유 삽입체(23.3)는 착유 작용을 돕기 위해 상기 깔때기형 젖가슴 장착요소(23.1)의 내측 영역에서 예를 들면 삽입체의 후방의 그루우브형 구조물 상의 복수의 결절(nubs)과 같은 스페이싱 구조물(spacing structures)을 이용하여 비교적 단단한 젖가슴 장착요소(23.1)의 외측면 상에 탄성적으로 안착되어 있다. 상기 착유 삽입체(23.3)와 상기 젖가슴 장착요소(23.1) 사이의 공간은 상기 그루우브 구조물을 통해 상기 중간부재(22)의 내부에 연결되고, 또 상기 진공을 전달하기 위해 펌프유닛(10)에 연결되어 있다. 착유된 모유는 착유 삽입체(23.3)의 중앙개구(23.4) 및 용기(21)의 입구부 위치에 설치된 중간부재(22)의 유입밸브(26; 도 9 참조)를 통해 모유 수용영역 내에 유입된다.
헤드피스(24)는 중간부재(22)의 상부에 캡 형태로 씌워져 있고, 연결부에 일치되는 대응 연결부(counter-coupling section; 24.11)는 펌프유닛(10)으로부터 중간부재(22) 및 착유요소(23; 도 6, 8 및 9 참조)의 내부에 진공을 전달하기 위해 중간부재(22)의 상부에 형성된 노즐형상의 연결부(22.1) 상에 진공기밀 상태로 압입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대응 연결부(24.11)는 그루우브 형상의 연결부(22.1) 상에 연장되어 있고, 반대로 상기 그루우브 형상의 연결부(22.1)는 대응 연결부(24.11) 상에 연장되어 있다. 중간부재(22)의 내부 및 헤드피스(24)의 내실 사이에는 중공의 관통 그루우브가 형성되어 있다. 착유요소(23)의 반대측 방향의 중간부재(22)의 후방, 바람직하게는 나사부의 외주부 영역에는 헤드피스(24)와 중간부 재(22) 사이의 플러그인 연결을 고착하기 위해 후방으로 돌출되거나 절입(cut-in)된 홀딩요소(2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딩요소는 헤드피스(24)에 완전히 플러그인된 상태에서 헤드피스(24)의 하단 영역 상에 일체로 형성된 탄성을 가지는 핑거 형태의 홀딩부재(24.4)의 홀딩컷(holding cut; 24.5)이나 홀딩 돌출부와 맞물리고, 홀딩부재(22.2)와 해제됨으로써 스냅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도 2, 4, 5, 6 및 8 참조).
착유요소(20)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하는 중앙의 가상 수직면을 중심으로 헤드피스(24)의 양측에는 지지부(24.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부에 의해 하우징(11)에 상측에 형성된 대응하는 지지부재(13)에 현가시킬 수 있다. 도 1, 3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4.3)는 헤드피스(24)의 양측 벽에 형성된 오목홈(ecess)의 형태로 구현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1)은 타원형의 단면 및 상방을 향해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상방으로 돌출하는 상기 지지요소(23)의 하측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단면을 가지는 그리고 하우징(11)의 종방향으로 따라 연장하는 지지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의 오목면 내에는 현가상태의 착유요소(20)의 볼록면이 밀착된다. 따라서, 착유요소(20)를 하우징(11) 상에 확실하게 현가시킬 수 있고, 동시에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헤드피스(24)의 전방에는 중간부재(22) 상에 설치하기 위한 외벽 및 저부가 개방된 리세스(24.6; 도 2, 4 및 6 참조)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외벽의 개방부에는 천이요소(23.2)가 관통 연장된다.
헤드피스(24)의 내부에는 상방을 향해 개방된 공간(24.10)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공간의 상방을 향해 약 1/2 정도의 높이의 저부에는 전술한 대응 연결부(24.11)가 형성되어 있다(도 6 참조). 상기 공간(24.10)의 외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외벽이 둘러싸고 있고, 이 외벽은 상단을 구비하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연결요소(24.7)로 이어진다(도 6 및 도 7 참조). 상기 공간(24.10) 내에는 저부를 구비하는 분리 멤브레인(30)이 착탈 가능하게 안착된다. 상기 멤브레인의 시일용 상단부(30.1)는 연결요소(24.7)의 상단에 시일상태로 안착되어 뚜껑 형태의 커버수단(24.2)에 의해 가압된다. 상기 커버수단(24.2)에는 내측 단부(24.9) 및 상기 연결요소(24.7)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외측 단부(24.8)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연결요소(24.7)의 내측에는 상기 커버수단(24.2)을 연결요소(24.7) 상의 정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스냅인(snap-in)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냅인 구조는 상기 커버수단(24.2)의 양측을 내측으로 가압하여 타원형으로 변형시킴으로써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연결요소(24.12)의 통로는 커버수단(24.2)의 내측에 연통하고, 상기 연결요소에는 라인(25)의 일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도 4, 5 및 6 참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커버수단(24.2) 대신 연결요소(25.1)를 구비한 라인(25)이 삽입되는 삽입부재(24.1)를 헤드피스(24)의 상부에 삽입할 수 있다. 연결요소(24.12)를 구비한 상기 커버수단(24.2)을 채용한 경우, 상기 연결요소(25.1)는 불필요하다.
공간(24.10) 내에 도입된 분리 멤브레인(30)은 펌프유닛(10) 및 중간부재(22)와 착유요소(23)의 내부 사이의 진공 공간 내에서의 액밀 분리 구조를 형성 함으로써 라인(25) 내에 모유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분리 멤브레인(30)은 가요성이 있는 연성재료로 제작된다. 특히 펌프유닛(10)으로부터 착유요소(23)로 진공을 전달하기 위해 실리콘 재료로 제작된다. 상기 분리 멤브레인(30)은 저부(30.2), 외주 방향의 측벽(30.3) 및 개방된 상부로 구성된다. 상기 멤브레인의 저부(30.2)의 중심영역에는 성능 향상을 위한 하향 만곡부가 형성되어 있다(도 5 및 6 참조). 상기 만곡부의 양측부는 평평하거나 분리 멤브레인(30)의 공간 내측으로 약간 만곡을 이루는 상호 대면하는 2개의 멤브레인 측벽부의 연장부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또는, 상기 측벽 사이에 상단부를 향해 외측으로 만곡을 이루고 대략 타원형 단면을 구비하는 벽(30.3)을 형성한다.
상기 중간부재(22)의 하측의 노즐 형상부 상에는 유입밸브(26)가 시일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이 유입밸브는 하방을 향해 단면적이 감소하는 쐐기형상으로 용기의 개구 내에 도입되어 있다. 상기 유입밸브(26)의 하측에는 모유의 유입시 모유의 중량에 의해 개방되고, 진공의 존재시 유입밸브(26)의 인접벽의 슬릿 영역의 탄성에 의해 폐쇄되는 슬릿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착유요소(23)의 착유실 내에 진공이 신뢰성있게 형성된다. 상기 슬릿을 구성하는 유입밸브(26)의 양단부가 달라붙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기 위해, 펌프유닛(10)은 진공이 가해진 후 펌프유닛의 내부에 장착된 로터리밸브를 통해 라인(25) 상에 과압이 가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독일특허공개 DE 102 28 455 A1 참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슬릿의 영역에서 신뢰성 있게 폐쇄되는 유입밸브(26)를 구현할 수 있고, 상기 과압에 의해 모유는 용기(21) 내에 확실하게 유입된다. 상기 중간부재(22)의 나사부의 상부 영역에는 용기(21)의 통기 를 위한 통기공(22.3)을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자동 펌프유닛(10)은 전동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연결부(15)의 양 연결부에서 교대로 또는 비순환적(anti-cyclically)으로 진공이 생성되어, 라인(25)을 경유하여 각 착유요소(20)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또, 연결부(15)의 2개의 연결부의 전술한 과압은 각 진공형성 단계의 사이에서 비주기적으로 생성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유입밸브(26)는 신뢰성있게 개방될 수 있고, 모유를 착유하는 작용도 개선될 수 있다. 착유동작의 설정은 조절요소(14) 및, 필요 시 예를 들면 2차 공기를 조절하기 위한 추가의 조절요소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 상기 모유 착유기는 중간부재(22)의 연결부(22.1) 및 홀딩요소(22.2) 상에서 작은 운동량을 가지는 상태로 헤드피스(24)를 대신하여 수동펌프 헤드피스(22; 도 3, 10 및 11 참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동펌프 헤드피스(22)의 하측에는 연결부(22.1)에 연결되는 대응 연결부(27.6)가 구비되어 있고, 착유요소(23)의 반대측의 후면 상에는 홀딩 맞물림 부재를 구비하는 탄성 스냅인 핑거 형태의 홀딩요소(27.3)가 구비되어 있고, 그 결과 전술한 헤드피스(24)에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부(22.1)와 대응 연결부(27.6) 사이는 상기 홀딩요소(22.2) 내에 상기 스냅인 핑거가 스냅결합함으로써 확실한 플러그인 연결이 이루어진다. 또, 예를 들면 회전에 의해 상호 맞물리는 2개의 돌출부를 구비한 로터리 고정법을제공할 수도 있다. 전술한 국제특허 WO 01/34226 A1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수동펌프 헤드피스(27)에는 상방을 향해 볼록한 만곡을 이룬 캡부(27.1)가 구비되어 있고, 이 캡부의 하측에는 수동 조작부(27.2)에 의해 전후 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피스톤(27.8)을 위한 피스톤 체임버(27.7)로서의 만곡된 펌프 실린더가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체임버(27.2)의 일측에는 대기중에 연통되는 조절유닛(27.9)이 설치되어 있고, 이 조절유닛을 이용하여 착유작용을 조절할 수 있다. 피스톤(27.8)을 운동시키기 위한 작동부(27.2)는 캡부(27.1)의 하측에서 베어링부(27.5)에 의해 횡방향 피봇 베어링(27.4)에 피봇이 가능하게 안착되어 있고, 일방향 운동은 스프링력에 의해 유발되고, 타방향 운동은 상기 스프링에 대항하는 수동조작에 의해 유발된다. 중간부재(22)의 연결부(22.1) 상에 대응 연결부(27.6)를 구비한 고정형 피스톤부를 설치할 수도 있고, 이것을 이용하여 수동 작동부에 의해 이동시킬 수 있는 피스톤 체임버를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수동펌프 헤드피스는 전술한 것과 유사하게 설계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용기(21)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편리한 작동을 위해 바닥이 넓은 지지부(21.2)가 연결부(21.1)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모유 착유기는 헤드피스(24)를 연결하거나 수동 헤드피스(27)를 연결하면 조작이 용이하므로 작동이 단순해지고, 조작과정 중에 위생상의 요구를 만족시킨다.

Claims (14)

  1. 적어도 하나의 착유요소(20)를 포함하는 모유 착유기로서, 상기 착유요소는 중간부재(22) 및 헤드피스(24)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부재(22)는 용기(21)의 개구에 부착되거나 착탈가능하게 부착됨과 동시에젖가슴 상에서 착유동작을 발휘하기 위한 젖가슴 장착요소(23.1)에 진공기밀 상태로 연결되고, 상기 헤드피스는 진공기밀 상태로 상기 장착요소에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헤드피스 내에 탄성을 가지는 액밀 분리 멤브레인(30)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헤드피스는 펌프유닛(10)으로부터 상기 중간부재(22)의 내부 및 상기 젖가슴 장착요소(23.1)의 내부에 가변하는 진공을 전달하는 모유 착유기에 있어서, 상기 헤드피스(24)는 대응 연결부(24.11)를 이용하여 상기 중간부재(22)의 연결부(22.1)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유 착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2.1)는 중간부재(22) 상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대응 연결부(24.11)는 상기 헤드피스(24) 상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 및 대응 연결부는 진공 기밀 상태가 되도록 구현됨과 동시에 상호 착탈 가능하게 플러그인 결합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유 착유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2.1) 및 대응 연결부(24.11) 사이의 플러그인 연결은 회전 연결수단 또는 상기 중간부재(22) 및 헤드피스(24) 사이의 스냅인 연 결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유 착유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비부하 상태에서 상기 분리 멤브레인(30)은 용기(21)에 설치된 상태에서 바닥을 가지는 중공 통형상을 이루고, 이 멤브레인의 시일용 상단부(30.1)는 상기 헤드피스(24)의 대응 단부에 대해 착탈이 가능하게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유 착유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피스(24)의 대응 단부는 상부가 개방된 연결요소(24.7)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대응 단부 상에 커버수단(24.2)이 상기 시일용 단부(30.1)를 개재한 상태로 착탈가능하게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유 착유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수단(24.2)은 스냅인 연결 또는 회전이 가능한 로킹장치에 의해 상기 연결요소(24.7) 상의 정위치에 착탈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유 착유기.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22) 및 헤드피스(24) 사이의 스냅인 연결은 상기 헤드피스(24)에 위치하는 탄성 스냅인 핑거 형태의 홀딩부재(24.4) 및 상기 중간부재(22) 상에 위치하는 홀딩요소(22.2)로 구성되고, 상기 스냅인 연결은, 상기 연결부(22.1) 및 대응 연결부(24.11)이 시일링 상태로 플 러그인 결합되었을 때, 스냅인 위치를 취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유 착유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멤브레인(30)의 측면 및 저면을 둘러싸는 공간(24.10)은 상기 헤드피스(24) 내에 구획되어 있고, 상기 공간의 하측에는 대응 연결부(24.1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유 착유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22)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피스(24)의 상기 젖가슴 장착요소(23.1) 및 천이부재(23.2)의 종방향 연장부에 대한 측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24.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에 의해 상기 용기(21) 및 중간부재(22)와 결합된 헤드피스(24)는 상기 펌프유닛(10)의 하우징(11)의 대응하는 지지요소(13)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유 착유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21)에 이르는 중간부재(22)의 모유 유출부에는 유입밸브(26)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밸브는 저부에 슬릿 개구가 있는 중공 통형상이고, 상기 슬릿 개구는 상기 중간부재(22)를 통해 유입된 착유된 모유의 중량에 의해 개방되고, 상기 중간부재(22) 내에 진공이 형성되었을 때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유 착유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유닛(10)은 라인(25)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상기 헤드피스(24)에 진공기밀 상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유 착유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전술한 항들에 인용된 구성의 2개의 착유요소(20)는 각각의 라인(25)에 의해 펌프유닛(10)에 연결되고, 상기 펌프유닛(10)은 비주기적으로 진공이 가해질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라인이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15) 상에 2개의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유 착유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유닛(10)은 진공부하 과정 중에 상기 착유요소에 연결부를 통해 비주기적으로 압력이 가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유 착유기.
  14. 제3항 내지 제1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연결부(24.11) 및 상기 중간부재(22) 상에 고정하기 위한 로터리 연결 또는 스냅인 연결 요소를 구비한 헤드피스(24)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동 펌프 헤드피스(27)가 제공되고, 상기 수동 펌프 헤드피스는 상기 헤드피스(24)와 동일한 구성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유 착유기.
KR1020067027739A 2004-06-24 2005-06-04 모유 착유기 KR200700246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30692A DE102004030692B3 (de) 2004-06-24 2004-06-24 Milchabsaugvorrichtung
DE102004030692.3 2004-06-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673A true KR20070024673A (ko) 2007-03-02

Family

ID=34971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7739A KR20070024673A (ko) 2004-06-24 2005-06-04 모유 착유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098639A1 (ko)
EP (1) EP1761289A1 (ko)
KR (1) KR20070024673A (ko)
AU (1) AU2005256363A1 (ko)
DE (1) DE102004030692B3 (ko)
RU (1) RU2337717C1 (ko)
WO (1) WO20060002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02007000225D1 (de) 2006-02-13 2008-12-24 Trimed Ag Milchpumpe
DE102006006417A1 (de) * 2006-02-13 2007-08-23 Trimed Ag Milchpumpe
DE102006009692B4 (de) 2006-03-02 2008-01-17 Kaweco Gmbh Fabrik Medizinischer Apparate Milchabsaugvorrichtung
ATE492308T1 (de) 2008-06-26 2011-01-15 Trimed Ag Milchpumpe
DE202008010652U1 (de) 2008-08-11 2008-10-16 Kaweco Gmbh Milchabsaugvorrichtung
EP2238994A1 (en) * 2009-04-07 2010-10-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reast pump insert
GB0912229D0 (en) * 2009-07-14 2009-08-26 Jackel Int Ltd A breast pump
DE202009017571U1 (de) 2009-12-23 2010-04-01 Kaweco Gmbh Handeinheit für eine Milchabsaugvorrichtung
EP2412392A1 (en) * 2010-07-29 2012-02-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iston pump with variable buffer
CH705295A1 (de) * 2011-07-18 2013-01-31 Medela Holding Ag Brusthaubeneinheit.
EP2606918B1 (de) * 2011-12-21 2014-06-25 MAPA GmbH Elektrische Muttermilchpumpe
RU2647151C2 (ru) 2012-09-24 2018-03-14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Н.В. Система сцеживания грудного молока
CN203075300U (zh) * 2012-12-21 2013-07-24 李文钦 居家护理集抽器
US10449273B2 (en) 2013-07-30 2019-10-22 Koninklijke Philips N.V. Apparatus and method for evacuating a system
US9931450B2 (en) 2014-10-28 2018-04-03 Inteplast Group Corporation Breast pump adaptor and method of filling bag
USD763435S1 (en) * 2014-10-28 2016-08-09 Inteplast Group Corporation Adaptor for securing a bag to a breast pump
US10857270B2 (en) * 2015-11-06 2020-12-08 Koninklijke Philips N.V. Pump arrangement for a double breast pump, double breast pump and method of operation
GB201808647D0 (en) * 2015-11-13 2018-07-11 Mitsubishi Heavy Ind Mach Systems Ltd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toll collec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method and program
JP7044491B2 (ja) * 2017-06-30 2022-03-30 ピジョン株式会社 負圧伝達具及びこれを用いた搾乳装置
AU2017437176A1 (en) 2017-10-24 2020-04-23 Medela Holding Ag Breast pump
WO2019226504A1 (en) * 2018-05-21 2019-11-28 Exploramed Nc7, Inc. Container assemblies for a breast pump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3912A (en) * 1977-06-08 1981-04-28 Adams Frank H Milking apparatus and method
DE3314942A1 (de) * 1983-04-25 1984-10-25 Dürr-Dental GmbH & Co KG, 7120 Bietigheim-Bissingen Frauenmilchpumpe
CH676795A5 (ko) * 1989-03-01 1991-03-15 Ameda Ag
WO1996034638A1 (en) * 1995-05-02 1996-11-07 Medela, Inc. Foot-powered breastmilk pump with removable piston pump
US5843029A (en) * 1995-10-16 1998-12-01 Gerber/Baby Care Manual breast pump
US6110140A (en) * 1996-09-17 2000-08-29 Medela, Inc. Manual breastmilk pump
US5941847A (en) * 1998-02-06 1999-08-24 Medela Holding Ag Breast shield with vacuum isolation element
CA2240268A1 (en) * 1998-06-10 1999-12-10 Deborah M. Mackenzie Breast pump assembly
US6673036B1 (en) * 1999-10-13 2004-01-06 The First Years Inc. Pumping breast milk
DE19954112A1 (de) * 1999-11-11 2001-06-13 Kaweco Gmbh Milchabsaugpumpe
KR100371618B1 (ko) * 2000-04-19 2003-02-11 서경득 유축기
US6706012B2 (en) * 2000-06-12 2004-03-16 L. Jason Clute Apparatus for expressing milk
US6749582B2 (en) * 2002-04-30 2004-06-15 The First Years Inc. Pumping breast milk
DE10228455B4 (de) * 2002-06-26 2005-06-16 Kaweco Gmbh Milchabsaugvorrichtung
US20040087898A1 (en) * 2002-11-01 2004-05-06 Gotthilf Weniger Breast pump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5256363A1 (en) 2006-01-05
RU2337717C1 (ru) 2008-11-10
US20110098639A1 (en) 2011-04-28
DE102004030692B3 (de) 2005-12-22
WO2006000292A1 (de) 2006-01-05
EP1761289A1 (de) 2007-03-14
RU2007102569A (ru) 2008-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24673A (ko) 모유 착유기
KR102085749B1 (ko) 모유 착유기
JP4413231B2 (ja) 搾乳器
RU2607165C2 (ru) Грудная насадка
KR101622768B1 (ko) 착유기
JP4467498B2 (ja) 搾乳器
US5749850A (en) Breast pump
JP5204533B2 (ja) 搾乳器
CA2974863C (en) Adapter with media separating diaphragm for a breast shield
JP5079364B2 (ja) 搾乳器
JP4969262B2 (ja) 搾乳器
US20150328380A1 (en) Breast shield unit with media separation
KR20120012800A (ko) 유축기용 인서트
EP2946798B1 (en) Manual breastpump
JP5726622B2 (ja) 搾乳器
EP2376138B1 (en) A motorized head for a breast pump
KR101070932B1 (ko) 모유 착유기
JP2019508161A (ja) 圧搾キ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