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4638A - 용기, 특히 병을 위한 밀폐구 - Google Patents

용기, 특히 병을 위한 밀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4638A
KR20070024638A KR1020067027126A KR20067027126A KR20070024638A KR 20070024638 A KR20070024638 A KR 20070024638A KR 1020067027126 A KR1020067027126 A KR 1020067027126A KR 20067027126 A KR20067027126 A KR 20067027126A KR 20070024638 A KR20070024638 A KR 20070024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us
closure
groove
seal
profile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7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그누쏜 스벤-아케
Original Assignee
미그누쏜 스벤-아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그누쏜 스벤-아케 filed Critical 미그누쏜 스벤-아케
Publication of KR20070024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6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B65D51/1661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by means of a passage for the escape of gas between the closure and the lip of the container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10Caps or cap-like covers adapted to be secured in position by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wall-engag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4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측 덮개 패널과, 이 상측 덮개 패널과 외측에서 접하는 원주 칼라를 구비하는, 용기, 특히 병을 위한 밀폐구로서, 외측에 원주 프로파일 시일을 갖는 밀봉 인서트가 덮개 패널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측 덮개 패널은 밸브를 형성하는 프로파일 시일과 상호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적인 원주 엠보싱을 갖는다.

Description

용기, 특히 병을 위한 밀폐구{CLOSURE FOR A CONTAINER, ESPECIALLY A BOTTLE}
본 발명은 상측 덮개 패널과, 이 상측 덮개 패널과 외측에서 접하는 원주 칼라 또는 스커트를 구비하는, 용기, 특히 병을 위한 밀폐구로서, 외주부를 따라 원주 프로파일 시일을 갖는 밀봉 인서트 또는 라이너가 덮개 패널의 하측에 배치되는 밀폐구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밀폐구는 또한 (밀폐) 뚜껑 또는 (밀폐) 캡으로서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밀폐구는 특히, 예컨대 크라운 코르크 밀폐구 또는 파열 밀폐구로서 구성될 수 있는 병 밀폐구이다. 이들 밀폐구는 크림핑 작업에 의해 용기에 밀봉된다. 양자의 경우에, 프로파일 시일과 협동하는 밀폐구의 상측 덮개 패널은 병에 대한 밀폐구의 밀봉시에 병 상부에 대해 압박된다. 원통형 밀폐구 스커트를 형성하는 원주 밴드 또는 칼라는 밀봉 후에 병 목 비드를 에워싸고 스커트의 하부는 비드 링 아래에서 견고한 파지부를 제공한다. 크라운 코르크 밀폐구로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스커트는 비드 링의 약간 아래에서 비드 링에 대해 압박되는 파형부를 갖춘 통상적인 크라운 코르크 스탬핑 또는 치형부를 구비하여, 적절한 파지부를 제공한다. 크라운 코르크 밀폐구는 공구에 의해 개방 가능한 표준 크라운 코르크 뿐만 아니라 개방시에 손으로 돌려 뺄 수 있거나 표준 크라운 코르크와 같이 공구에 의해 만곡될 수 있는 트위스트 크라운 코르크를 의미한 다. 파열식 용기 밀폐구의 경우에, 스커트는 비드 링의 아래에서 크림핑되고 파열 스트립이 제공되는데, 파열 스트립은 덮개 패널과 스커트의 스코어 라인(score line)에 의해 형성되고, 이 파열 스트립은 스커트를 지나서 돌출하는 텅으로 연속되고, 풀링 부재, 예컨대 풀 링(pull-ring)이 상기 텅에 연결된다.
병 밀폐구는 크라운 코르크 밀폐구와 파열 밀폐구로서 광범위한 실시예에 공지되어 있다. 변치않는 문제로는 병 내에 담긴 탄산 액체의 취급이 있다. 변치않는 고품질의 탄산 음료를 보장하기 위하여, 예컨대 병은 탄산의 누출을 없애는 소정의 밀폐구에 의해 확실하게 밀폐되어야 한다. 이 경우에, 탄산 액체가 충전된 병 내에는 상당한 내압(內壓)이 생길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한 높은 내압은 특히 충전 및 밀폐된 병이, 예컨대 운반 중에 고온 및/또는 격렬한 운동에 노출될 때에 발생할 수 있다. 그러한 고압에서는 병이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던 간에 폭발하거나 파열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심각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와 관련하여 사용자나 인접한 제3자에게 상당한 상해 위험이 있다.
크림핑에 의해 밀봉된 밀폐구, 예컨대 크라운 코르크 밀폐구가 그러한 높은 내압에 의해 병 상부에서 거세게 이탈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문제가 적용된다. 병 밀폐구의 제조자와 음료 또는 병의 제조자의 경우에, 그러한 위험은 그와 관련된 어떠한 책임 우려 때문에 이미 숨김없이 받아들일 수 있다. 그러나, 이 점에도 불구하고, 충전 및 밀폐된 병은 음료가, 예컨대 저온 살균법 중에 그러한 압력에 노출되기 때문에 임의의 상당한 압력 손실없이 6 바아의 압력을 쉽게 견딜 수 있어야 하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크라운 코르크 및 그 밖의 밀폐구는 10 바아 미만의 내압에서 병 상부에 견고하게 그대로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전술한 문제를 최소화하고 그러한 높은 내압에서 밀폐구를 통해 압력이 방출될 수 있게 하는 병 밀폐구를 제조하려는 요구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탄성 PVC 등으로 제조되는 시일을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는데, 유연한 탄성 PVC 시일은 고압에서 압력이 방출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여러 가지 이유로, PVC는 식료품, 특히 음료용의 밀봉 재료로서 더 이상 사용되어서는 않된다. 하지만, 실제로 이용되는 매우 높은 분자 밀도를 갖는 PVC 없는 밀봉 재료는 유연성 또는 탄성이 부족하여 그러한 높은 내압에서 압력의 방출과 이어지는 압력 강하시에 "재밀봉"을 보장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미 1956년에 크라운 코르크로 밀봉된 병의 압력을 방출하기 위한 필요성이 인식되었다. 유연한 탄성 밀봉 재료로 제조되는 특별한 라이너 형태가 탄성 재료로 제조된 밀폐구에 조합되어, 상측 덮개 패널이 팽창되거나 상승되게 하였다(미국 특허 제2,739,724호 참조).
파열되는 용기 밀폐구에서, 일종의 압력 방출 밸브는 파열 스트립의 영역 또는 연결 섹션이나 그곳에 연결되는 풀링 부재에 배치함으로써 탄산 음료의 경우에 압력의 방출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는데, 병에 대한 캡 스커트의 부착 또는 파지는 이 영역에서 저감된다(독일 특허 제37 37 467 A1호 또는 미국 특허 제4,768,667호 참조). 그러한 조처는 기본적으로 유효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그러나, 그러한 조처는 PVC와 같이 유연한 탄성 라이너 재료 나름이며, 예컨대 크라운 코로크 밀폐구와 같은 다른 타입의 밀폐구에는 적용할 수 없다.
미국 특허 출원 제2003/0127421 A1호는 상측 벽부와 환형 스커트부가 있는 외측 플라스틱 캡을 포함하는 배출용 플라스틱 밀폐구를 개시하고 있다. 스커트부는 밀폐구가 나사 캡으로 구성되어 나사식 용기에 나사 체결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암나사 성형부를 포함한다. 관련 용기와 원하는 밀봉 조합을 실현하기 위하여, 배출용 플라스틱 밀폐구는 밀폐 캡의 상측 벽부의 내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디스크형 밀봉 라이너를 포함한다. 밀봉 라이너는 밀폐구 제조 중에 외측 밀폐 캡 내에 압축 몰딩될 수 있어, 관련 용기와 소위, "상측/내측 시일"을 실현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밀봉 라이너는 전체적으로 하방 및 외측을 향하는 밀봉면을 갖는 현수형의 환형 밀봉 비드부를 포함한다. 외측 밀폐 캡은 상측 벽부의 내측면으로부터 현수되는 환형 라이너 지지 요소를 포함한다. 라이너 지지 요소는 라이너의 환형 밀봉 비드 내에 배치되어 라이너의 밀봉면의 내측을 향하고 밀봉면에 대해 평행하게 위치되는 라이너 지지면을 형성한다. 라이너 지지 요소는 관련 용기의 표면과 밀봉 비드의 밀봉 결합을 실현하도록 밀봉 라이너의 밀봉 비드와 협동하고, 또한 밀폐구에 채용된 비교적 고가인 라이너 재료의 양을 저감시킨다. 더구나, 외측 밀폐 캡은 상측 벽부의 내측면으로부터 현수되는 확실한 정지 요소를 포함한다. 정지 요소는 밀봉 라이너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위치될 수 있다. 밀폐구는 나사 캡 밀폐구의 과도한 적용과 관련된 문제를 제거함으로써 내측 가스 압력의 제거 및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영국 특허 제960 296호는 상측 가장자리에 외측 비드를 갖는 우유병에 적용 하기 위해 얇은 시트 플라스틱 재료로 몰딩된 매우 특별한 배출식 우유병 캡을 논의하고 있다.
영국 특허 제958 417 A호는 병 또는 유사한 용기의 목부를 위한 캡 밀폐구를 도시하는데, 이 캡 밀폐구는 단일 구조로서 열가소성 합성 재료로 몰딩된다. 이 캡 밀폐구는 표백제와 같은 가스 생성 액체용으로 사용된다.
미국 특허 제3,741,423 A호는 진공 상태로 유지될 음식물을 위한 특별한 타입의 밀폐 캡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이 밀폐 캡은 캡 스커트의 실제적인 부분에 걸쳐 부착되고 용기 림의 내측 가장자리를 지나서 바닥 캡 커버에 걸쳐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환형 용기 결합용 가스켓을 포함한다. 캡이 용기 아가리(container finish)에 적용될 때에, 가스켓의 스커트부의 일부는 유리 아가리의 다수의 슬롯 내로 내측을 향해 팽창하게 됨으로써, 러그형 캡 고정 돌출부를 형성하여 밀폐 캡을 용기 상에 유지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병 목 비드에 보편적으로 이용될 수 있고 제조 및 밀봉이 간단하며 저렴하고, 또한 예측 내압에 도달했을 때에 특정한 압력 방출 및 수반되는 문제 없이 재밀폐를 달성할 수 있게 하는 용기, 특히 병의 밀폐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용기, 특히 병의 일반적인 밀폐구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적어도 소정의 각도 영역에 걸쳐 연장되고 프로파일 시일의 영역에서 돌출하거나 프로파일 시일에 가깝게 돌출하여 배출 밸브를 형성하도록 프로파일 시일과 상호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예컨대 엠보싱을, (밀봉 인서트와 대향하여)상측 덮개 패널이 그의 하측에 구비하는 것을 규정 및 교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측 덮개 패널은 높이가 낮고 폭이 넓은 링과 내측에서 접하는 외측 돌출부의 주변에 배치되는 환형 밀봉 라이너를 그 하측에 갖고, 결합시에 상측 덮개 패널의 규정된 엠보싱, 스탬핑 또는 형상과 상호 작용함으로써 배출 밸브를 형성하도록 설계되는 라이너 구성("프로파일 시일")을 구성한다.
이 경우에, 본 발명은 덮개 패널에 프로파일 시일의 영역과 관련하여 하측 돌출부, 예컨대 엠보싱, 스탬핑, 몰딩을 구비하여 프로파일 시일과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하면, 시일의 작용이 특별하게 영향받을 수 있다는 경험에 의해 입증된 지식에서 출발한다. 프로파일 시일과 엠보싱 사이에 적절한 조합을 선택함으로써, 예컨대, 7 바아 내지 10 바아의 소정의 내압에서 압력을 방출하고, 에컨대 2 바아의 소정의 압력 강하 후에 자동적으로 다시 밀봉되는 밀폐구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해 위험 및 서두에 설명한 관련 부담을 충전된 음료의 품질 손실을 용인할 필요가 전혀 없이 간단하고 저렴한 방식으로 제거할 수 있다. 엠보싱의 위치, 형상, 높이 및 폭은 밀폐구가 소정의 내압 수준에서 압력을 방출하기 시작하고, 문제 없는 재밀폐 또는 재밀봉을 소정의 압력 감소에서 수행하도록 조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해법은 파열 밀폐구 및 크라운 코르크 밀폐구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한다. 밀폐구의 성능은, 예컨대 파열 밀폐구에 마련된 스코어 라인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병을 개조할 필요가 없이, 종래의 표준적인 크라운 코르크 타입의 병 목부를 이용할 수 있다. 이것은 유럽, 미국(GPI), 일본 등을 비롯한 공지된 모든 병 목부 표준과, 약간 상이한 목 프로파일 또는 형태를 갖는 모든 병에 유효하다. 병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할 수 있다. "프로파일 시일"은 "단차형" 단면을 갖는 시일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파일 시일은 외측의 제 1(뚜껑형) 밀봉 링과 내측의 제 2(평탄한) 밀봉 링 또는 밀봉면을 갖는 단면이 거의 L형상인 것으로 구성되며, 외측 밀봉 링은 내측 밀봉 링보다 큰 높이 및/또는 작은 폭을 갖는다. 이 경우에,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 또는 엠보싱과 상호 작용하는 그러한 시일에 의해서 특별히 재발 가능한 압력 방출이 달성될 수 있다는 지식에서 출발한다. 라이너의 단면이 실질적으로 C형이고, 높은 외측 뚜껑형 밀봉 링, 낮고 약간 평탄한 중간 밀봉면 및 높은 뚜껑형 내측 밀봉 링을 구비하는, 실제 공지되어 있는 시일은 10 바아 미만의 임의의 특별한 압력 방출을 제공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하여 중요한 점은 엠보싱과 함께 프로파일 시일이 탈기 또는 배출 밸브를 구성할 때에 더 이상 밀폐구 덮개 패널의 임의의 팽창 또는 심지어는 리프팅을 받아들이거나 제공할 필요가 전혀 없고, 상측 덮개 패널의 어떠한 팽창 또는 리프팅 없이 동작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 또는 엠보싱은, 예컨대 덮개 패널의 하측 중앙 플레이트를 형성하도록 가파르게 하방으로 내려가는 측면을 갖는 원주 단차부로서 구성된다. 예컨대, 이 단차부는 위에서 보았을 때에 원형 캡 중앙 영역을 구성하도록 완벽하게 동일한 반경을 갖는 완벽한 원주 단차부로서 구성할 수 있다. 단차부 자체는 프로파일 시일과 상호 작용하여 밸브를 형성하도록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여러 파라미터를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배출 효과를 조절할 수 있다. 변경예에 있어서, 원주 단차부는 소정의 각도 영역에 걸쳐 각각 연장되는 상이한 반경을 갖는 복수 개의 단차부 섹션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단차부는 프로파일 시일과 함께 보다 강한 배출 밸브 기능을 만족시키는 반경에서 소정의 원주 영역에 배치되지만, 단차부의 다른 영역은 단지 작은 밸브 형성 기능을 갖는 상이한 반경으로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원하는 압력 방출 또는 배출 효과는 대응하는 원주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추가적으로 특정할 수 있다.
단차부 또는 적어도 단차부 섹션의 반경은 프로파일 시일의 외측 반경 이하이거나 외측 반경보다 약간 크고/크거나 프로파일 시일의 내측 반경 이상이거나 내측 반경보다 약간 작을 수 있고, 이에 따라 단차부의 반경이 외측 밀봉 링의 외측 반경까지 내측 밀봉 링의 내측 반경보다 큰 임의의 크기일 수 있다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프로파일 시일과 엠보싱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해 구성되는 배출 밸브는 프로파일 시일의 외측 반경보다 크거나 프로파일 시일의 내측 반경보다 작은 반경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단차부 또는 단차부 섹션은 밀봉 링 또는 밀봉 링들과 상호 작용하여 프로파일 시일의 밀봉 특성에 영향을 미치도록 프로파일 시일에 충분히 가깝게 위치한다.
단차부 또는 단차부 섹션의 수평에 대한 또는 상측 덮개 패널에 대한 측면 각도는, 예컨대 40°내지 90°, 예컨대 60°내지 80°이다. 여기서, 또한 각도의 선택은 원하는 배출 작용을 설정하기 위한 민감한 파라미터를 제공한다. 대략 90°, 예컨대 80°의 가파른 각도에 의해, 시일은 특히 매우 영향을 받을 수 있어 보다 강력한 배출 밸브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또한 10°내지 40°의 평탄한 각도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부 또는 엠보싱은 (단일의) 단차부가 아니라 소정의 폭과 높이의 홈 또는 채널로서 구성되고, 이 홈은 소정의 각도 영역에 걸쳐 관통되거나 연장되며, 캡의 중심을 향해 내려가는 외측면과 캡의 중심을 향해 올라가는 내측면을 갖추고 있다. 올라가는 내측면은 내려가는 외측면과 직접적으로 접한다. 그러나, 측면들 사이에 평탄한 베이스 영역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홈은 위에서 보아 원형 링 형태의 완벽한 원주 홈으로 구성할 수 있어, 캡의 전체 영역에 걸쳐, 이에 따라 360°의 완전한 각도에 걸쳐서 연장된다. 그러나, 단순히 제한된 소정의 각도 영역에 걸쳐서 각각 연장되는 복수 개의 홈 또는 홈 섹션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 개의 홈 또는 홈 섹션을 갖는 실시예에 있어서, 모든 홈은 동일한 반경에 배치할 수 있다. 그러나, 홈 또는 홈 섹션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이한 반경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홈 또는 홈 섹션은 밀폐구의 제조 중에 상측 덮개 패널로 엠보싱 가공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또한 돌출부가 상측 덮개 패널의 하측에 연결되거나 몰딩되는 돌기로서 구성되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홈과 관련하여 설명한 가능한 형태들이 본 명세서에 동일하게 존재한다. 그러나, 엠보싱 가공된 홈 또는 단차부는 모두 특히 간단한 제조에 의해 구별된다.
원주 또는 부분적인 원주 홈 또는 돌출부를 갖는 실시예에 있어서, 원하는 파라미터를 설정함으로써 밸브 형성 효과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많이 있다. 따라서, 하강면의 수평에 대한 기울기 각도 및/또는 상승면의 수평에 대한 기울기 각도는 40°내지 90°, 예컨대 60°내지 80°일 수 있다. 기울기 각도는 또한 5° 내지 40°, 예컨대 10°내지 40°일 수도 있다. 홈 또는 돌출부는 대칭적으로 또는 비대칭적으로, 즉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기울기 각도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외측면이 가파른 측면으로 구성되고 내측면이 평탄한 측면으로 구성되거나 그 반대가 되면 적절할 수 있다. 또한, 프로파일 시일에 대한 홈 또는 홈 섹션의 적절한 반경을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탈기 효과가 민감하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홈 또는 적어도 하나의 홈 섹션의 외측 반경 및/또는 내측 반경이 프로파일 시일의 외측 반경 이하 및/또는 프로파일 시일의 내측 반경 이상인 것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 홈 또는 홈 섹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프로파일 시일의 영역에 배치된다. 홈 또는 홈 섹션은 외측 밀봉 링의 영역에 완벽하게 배치되거나 또한 내측 밀봉 링의 영역에 완벽하게 배치된다. 더구나, 홈 또는 홈 섹션은 또한 외측 밀봉 링의 영역으로부터 내측 밀봉 링의 영역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홈의 내측 반경 및/또는 외측 반경은 프로파일 시일의 내측 반경보다 약간 작거나 홈의 외측 반경 및/또는 내측 반경이 프로파일 시일의 외측 반경보다 약간 큰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홈 또는 적어도 하나의 홈 섹션은 프로파일 시일과 상호 작용하여 프로파일 시일의 밀봉 특성에 영향을 미치기에 충분히 가깝게 위치되어야 한다.
홈의 폭은 1 mm 내지 4 mm, 예컨대 1 mm 내지 3 mm가 바람직하다. 홈 또는 단차부의 높이는 0.1 mm 내지 0.8 mm, 예컨대 0.2 mm 내지 0.6 mm일 수 있다.
덮개 패널에 연결된 스커트 또는 칼라와 함께 밀폐구를 형성하는 덮개 패널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 예컨대 주석 플레이트, 알루미늄 또는 무주석강(tin-free steel, TFS) 뿐만 아니라, 그들의 적절한 합금과 다른 금속으로 제조된다. 덮개 패널의 하측에 할당된 밀봉 인서트 또는 라이너는 플라스틱제의 단일 부재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봉 인서트 또는 라이너는 스캐빈저 약품이 있거나 없이 폴리에틸렌(PE), 예컨대 낮은 분자 밀도의 PE(LDPE)나 그 개량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의의 경우에, PVC 무함유 플라스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밀폐구 쉘(덮개 패널과 스커트)의 두께는 0.15 mm 내지 0.25 mm, 예컨대 0.17 mm 내지 0.24 mm, 바람직하게는 0.17 mm 내지 0.21 mm이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밀폐구는 파열 밀폐구 또는 크라운 코르크형 만곡 밀폐구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밀폐구의 직경은 약 18 mm 내지 45 mm이다. 크라운 코르크 밀폐구는 26 mm 내지 27 mm의 직경을 갖도록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밀봉 인서트는 외측의 원주 프로파일 시일과 자체적으로 밀봉 기능이 없는 하측 중앙 영역을 갖는 전체 영역 라이너로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라이너는 이미 엠보싱을 갖고 있는 미리 제작된 밀폐구에 직접 압축 몰딩하여 형성되고, 상측 덮개 패널의 상측에 몰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예컨대 압출된 플라스틱 시트를 스탬핑 가공한 다음, 상측 덮개 패널의 하측에 고정, 예컨대 접합함으로써 밀봉 스커트를 별개의 제조 단계에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단순히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파열 밀폐구로서의 실시예의 병 밀폐구를 도시한다.
도 2는 크라운 코르크 밀폐구로서의 실시예의 병 밀폐구를 도시한다.
도 3 및 도 3a는 파열 밀폐구를 평면도로 도시하고 도 3의 주체를 통과한 A-A 단면도로 각각 도시한다.
도 4, 도 4a 및 도 4b는 변경예의 파열 밀폐구를 평면도, A-A 단면도 및 B-B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5, 도 5a 및 도 5b는 변경예의 파열 밀폐구를 평면도, A-A 단면도 및 B-B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6, 도 6a 및 도 6b는 변경예의 파열 밀폐구를 평면도, A-A 단면도 및 B-B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7 및 도 7a는 다른 실시예의 파열 밀폐구를 평면도 및 A-A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8 및 도 8a는 다른 실시예의 파열 밀폐구를 평면도 및 A-A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9 및 도 9a는 다른 실시예의 파열 밀폐구를 평면도 및 A-A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10 및 도 10a는 다른 변경예의 파열 밀폐구를 평면도 및 A-A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11, 도 11a 및 도 11b는 파열 밀폐구를 평면도, A-A 단면도 및 B-B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12, 도 12a 및 도 12b는 파열 밀폐구를 평면도, A-A 단면도 및 B-B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13,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4, 도 14a 및 도 14b는 다른 실시예의 파열 밀폐구를 평면도, A-A 단면도 및 B-B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15 및 도 15a는 크라운 코르크 밀폐구로서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밀폐구를 평면도 및 A-A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16, 도 16a 및 도 16b는 변경예의 크라운 코르크 밀폐구를 평면도, A-A 단면도 및 B-B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17 및 도 17a는 다른 실시예의 크라운 코르크 밀폐구를 평면도 및 A-A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18 및 도 18a는 다른 실시예의 크라운 코르크 밀폐구를 평면도 및 A-A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19 및 도 19a는 다른 실시예의 크라운 코르크 밀폐구를 평면도 및 A-A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20 및 도 20a는 도 6 또는 도 6a의 주체를 밀봉 중에 도시한다.
도 21 및 도 21a는 도 19 또는 도 19a의 주체를 밀봉 중에 도시한다.
도면들은 병 또는 다른 용기의 개구를 위한 밀폐구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파열 밀폐구로서의 실시예로 병 밀폐구의 기본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밀폐구는 상측의 원형 덮개 패널(1)로 이루어지고 그 외측에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칼라 또는 스커트(2)가 접해 있고, 스커트는 밀봉 진행시에 병 목부(3)를 에워싸서 병 목부의 비드(4) 또는 플랜지 아래를 파지한다. 덮개 패널(1)의 하측에는 밀봉 라이너(5)(미도시)가 있고, 이 밀봉 라이너는 외주측에 원주 프로파일 시일(6)을 갖는다. 또한, 파열 밀폐구는 캡 스커트(2)로부터 돌출하는 텅(tongue)(8)이 있는 파열 개구 스트립(7)을 갖는 것을 도 1에서 알 수 있고, 파열 스트립은 밀폐구에 배치된 스코어 라인(9, 9')에 의해 형성된다. 양 측면에 있는 스코어 라인은 일반적으로 길이가 동일하지만, 절반 길이(9')로부터 전체 길이(9)로 변할 수 있다. 텅(8)은 풀링 부재(10)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러한 파열 밀폐구의 다른 실시예는 도 3 내지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달리, 도 2는 크라운 코르크 밀폐구로서의 실시예의 병 밀폐구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원주 스커트(2)는 보통의 엠보싱 가공된 파형부 또는 치형부(11)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러한 크라운 코르크 밀폐구의 다른 실시예는 도 15 내지 도 19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측 덮개 패널(1)은 밀봉 인서트(5)와 대향하는 하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주형인 1개 또는 복수 개의 돌출부(12, 12a, 12b, 13, 13a, 13b)를 구비하고, 엠보싱으로 제조되며 배출 밸브를 구성하는 프로파일 시일(6)과 상호 작용하며, 이 목적을 위해 프로파일 시일(6)의 영역으로 돌출 또는 돌입된다. 도 1 및 도 2에는 엠보싱이 도시되어 있지 않다. 프로파일 시일은 외측의 제 1밀봉 링(6a)과 내측의 제 2밀봉 링 또는 표면(6b)을 갖는 거의 L형상 단면으로 구성되고, 외측 밀봉 링(6a)은 내측 밀봉 링(6b)보다 높이가 높고 폭이 작다.
도 3 내지 도 7, 도 15 내지 도 17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부 또는 엠보싱은 캡의 중심(M)을 향해 내려가는 측면(14)을 갖는 원주 단차부(12, 12a 또는 12b)로서 구성된다. 이 방식으로, 캡 중앙 영역에는 하방으로 압박된 캡 중앙 영역(15)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하부 중앙 패널(15)이 제공된다. 예컨대, 도 3 및 15의 비교 검토는 본 발명에 따른 엠보싱이 파열 밀폐구와 크라운 코르크 밀폐구 양쪽에 대해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명백하게 보여준다. 그 작용 원리는 파열 밀폐구에 제공되는 스코어 라인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도 3 또는 도 15에 따른 실시예의 단차부(12)는 완벽하게 360°전체 각도에 걸쳐 통해있거나 연장되지만, 예컨대 도 4, 5 및 6은 상이한 반경(R, R')을 갖는 복수 개의 단차부 섹션(12a, 12b)이 제공되는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4, 5 및 6에 따르면, 단차부 섹션(12a, 12b)은 각각 소정의 각도 범위(δ또는 δ' 또는 δ")에 걸쳐 연장된다. 여기서, 단차부의 반경(R, R')은 상측 반경, 즉 단차부의 상측 가장자리의 영역에서의 반경을 의미한다.
도 4에 따르면, 2개의 원주 단차부(12a)가 제공되고, 각 단차부는 대략 150°의 각도(δ)에 걸쳐 연장되어 감소된 배출 효과를 제공하며, 상기 단차부는 실질적으로 프로파일 시일(6)의 내측 반경(Pi)에 대응하는 반경(R)을 갖는다. 이들 2개 의 단차부(12a) 사이에는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여 밸브 형성 단차부 섹션(12b)이 배치되어 있고, 이 밸브 형성 단차부 섹션의 반경(R')은 단차부(12b)가 실질적으로 외측 밀봉 링(6a)의 영역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에, 2개의 밸브 형성 단차부 섹션에는 상이한 길이가 제공되고, 즉 밸브 형성 단차부 섹션이 상이한 각도 영역(δ' 또는 δ")을 덮는다. 상이한 각도 영역에 걸쳐 연장되는 4개의 밸브 형성 단차부 섹션(12b)이 제공되는 도 16의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5 및 도 6에 따르면, 하나의 단차부 섹션(12a)이 약 320°의 각도(δ)에 걸쳐 연장되고 하나의 단차부 섹션(12b)이 약 40°의 각도(δ')에 걸쳐 연장된다. 도 5는 단차부 섹션(12a, 12b)이 부분적으로 프로파일 시일(6)의 영역 내에 있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단차부(12b)의 (상측) 반경(R')과 단차부(12a)의 (상측) 반경(R)은 모두 프로파일 시일의 외측 반경(Pa)보다 작고 내측 반경(Pi)보다 크다. 그러나, 단차부들의 "하측" 반경은 프로파일 시일(6)의 내측 반경(Pi)보다 작다. 하측 반경은 단차부의 하측 가장자리의 영역에서의 반경이다. 약 10°의 기울기(α)를 갖는 평탄한 단차부 크기(12b)는 내압을 방출하여 병 내의 소정의 내압에서 외측 밀봉 뚜껑(6a)을 개방하도록 내측 밀봉 링(6b)에 영향을 미치는 배출 밸브(12b)를 구성한다. 이 밸브 작용은 프로파일 시일의 내측 반경 내에 약 50% 배치되는 약 20°의 기울기(α)를 갖는 보다 가파른 단차부 측면(12a)에 의해 강화된다. 도 6의 단차부(12b)는 도 5의 단차부(12b)에 대응한다. 더구나, 또한 340°의 각도(δ)에 걸쳐 연장되는 단차부(12a)가 존재한다. 가파른 단차부(12a)는 약 60°의 기울기(α)와 프로파일 시일의 내측 반경(Pi)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은 (상 측) 반경(R)을 갖는다. 하측 반경은 Pi보다 작지만, 단차부는 내측 밀봉 링(6b)에 영향을 미치기에 충분히 가깝다. 밸브 작용은 좁은 배출 밸브를 형성하는 약 10°의 기울기(α)를 갖는 평탄한 단차부 측면(12b)에 의해 완성된다.
도 8 내지 14, 18 및 19의 실시예에 있어서, 엠보싱은 소정의 각도 범위에 걸쳐서 연장되는 소정의 폭(B)과 높이(H)를 갖는 홈(13, 13a, 13b)으로 구성되며, 이 홈은 각각 캡의 중심을 향해 내려가는 외측면(16)과 캡의 중심(M)을 향해 올라가는 내측면(17)을 갖는다. 여기서, 폭(B)은 "상측 폭", 즉 그 상측 가장자리의 영역에서 홈의 전체폭을 의미한다. 도 8, 9, 10 및 19의 실시예에 있어서, 홈(13)은 완전한 원주의 환형 홈(13)으로 각각 구성된다. 즉, 홈(13)은 전체 환형 영역 또는 360°의 완전한 각도에 걸쳐서 연장된다. 배출 효과는 프로파일 시일(6)에 대한 홈(13)의 위치에 의해 특별하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0은, 이 도 10에 따른 홈이 내측 밀봉 링(6b)의 영역으로 더 멀리 배치되기 때문에, 도 8 및 9에 비해 배출 효과가 저감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홈(13)은 또한 완전한 원주의 홈으로 구성된다. 이와 달리, 예컨대 도 11 및 12는 단순히 제한된 각도 범위(δ, δ', δ")에 걸쳐서 각각 연장되는 복수 개의 홈 섹션(13a, 13b)이 제공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 12a 및 12b의 비교 검토는 4개의 홈(13a-13b)의 개별적인 홈이 각각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명백하게 보여준다. 예컨대, 매우 강한 밸브 효과를 갖는 2개의 홈(13a)은 외측면(16)이 프로파일 시일의 최외측(또는 약간 외측) 가장자리 의 영역에 배치되도록 제공된다. 홈의 외측 반경(Ra)은 이 영역에서 프로파일 시일(6)의 외측 반경(Pa)에 대략 대응하거나 더 약간 크다. 내측 반경(Ri)은 이 영역에서 프로파일 시일(6)의 외측 반경(Pa)보다 작고 프로파일 시일(6)의 내측 반경(Pi)보다 크다. 그러나, 내려가는 외측면(16)이 대략 프로파일 시일(6)의 전체폭(b)에 걸쳐 연장되는 동일한 길이의 2개의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홈(13b)을 통해 보다 약한 압력 방출 밸브 효과가 달성된다.
도 11은 하나의 긴 홈 섹션(13b)이 각도(δ)에 걸쳐 연장되고 하나의 짧은 홈 섹션(13a)이 배출 밸브로서 각도(δ')에 걸쳐 연장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홈(13b)은 프로파일 시일의 영역 내에 완벽하게 위치하지만, 홈 섹션(13a)은 단지 부분적으로 프로파일 시일의 영역 내에 위치한다. 홈(13a)의 홈 측면(16)은 평탄한 기울기를 갖고 프로파일 시일의 외측에 부분적으로 위치하여 배출 효과를 증가시킨다.
또한, 도 14는 모두 동일한 형태를 갖지만 상이한 반경(Ra, Ri)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홈 섹션(13a, 13b)이 제공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2개의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짧은 홈(13a)은 뚜껑류의 외측 밀봉 링(6a)의 영역에서 비교적 큰 외측 반경(Ra)과 내측 반경(Ri)으로 배치되지만, 도 14b에 비교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길게 늘어난 홈(13b)은 평탄한 내측 밀봉 링(6b)의 영역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감소된 외측 반경(Ra)과 내측 반경(Ri)에 걸쳐 배치된다. 여기서, 밸브 작용은 실질적으로 2개의 외측 홈(13a)에 의해 수행된다. 여기서, 홈 섹션(13a, 13b)은 단면이 실질적으로 U형상이다.
여러 가지 실시예의 비교 분석은 본 발명에 따른 엠보싱(12, 12a, 13, 13a, 13b)의 기하학적 형상은 원하는 상황과 특히 사용되는 밀봉 구성에 따라 많은 방식으로 채용할 수 있음을 명백하게 보여준다. 따라서, 단차부의 기울기 각도(α)는 비교적 가파르게 구성할 수 있어, 수평에 대해 45°내지 90°, 예컨대 60° 내지 80°의 각도를 갖는다(도 3a 참조). 그러나, 또한, 예컨대 10°내지 45°일 수 있는 단차부의 영역에서 평탄한 기울기 각도(α)를 선택할 수도 있다(도 4a 참조). 원주 홈의 기울기 각도(β 및 γ)는 유사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a는 외측면(16)의 기울기 각도(β)가 비교적 가파른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비교적 평탄하게 올라가는 내측면(17)은 이 외측면(16)과 인접한다. 반대 구성이, 예컨대 도 12b의 실시예에 제공된다.
더구나, 도면들은 L형상의 프로파일 시일(6)이 상황에 대한 한계 내에서 채용될 수 있음을 명백하게 보여준다. 실질적으로 수직 하방형 외측 밀봉 링 또는 밀봉 뚜껑(6a)이 항상 실현되고, 그 밀봉 뚜껑은 만족스러운 밀봉을 제공하도록 병 목부(3)의 외측 상부(3a)와 외측면(3b)에 대한 밀봉시에 도 20 또는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18)과 함께 압축된다. 반대로, 내측 밀봉 링 또는 표면(6b)은 병의 내측면(3c)을 에워싸는 일 없이 상측면(3a) 상에 유연하게 압축되도록 평탄하다. 이 방식으로, 압력 상승 진행에서 압력 방출이 발생할 수 있도록 내측 밀봉 링(6b)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 보장된다. 도면에서는 또한 내측 밀봉 링(6b)의 하 측 밀봉면(19)이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치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에, 실질적으로 수평은 한 방향으로 또는 다른 방향으로 수평에 대해 비교적 작은 1° 내지 20°, 예컨대 15°로 경사지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이 목적을 위해, 적절하게 경사진 밀봉면(19)을 도시하는 도 18 및 19를 참조해야 한다. 그러나, 특히 중요한 것은 실질적인 높이의 일정한 내측 밀봉 링이, 그 내측 밀봉 링이 에워싸는 외측 밀봉 링 또는 뚜껑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위치하며, 병 목부의 내측면(3c)(C형 프로파일 시일의 타입)이 압력 방출 및 프로파일 시일의 엠보싱과의 상호 작용을 방지하거나 매우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각각의 경우에, 프로파일 시일(6)의 두께 및 밀봉 효율은, 엠보싱의 형상, 깊이 및 위치의 선택을 통해서 밀봉 특성을 조절할 수 있도록 엠보싱에 의해 특정한 정도로 감소된다. 또한, 매우 많은 양의 재료 절감이 달성될 수 있어, 작은 공구 교체로 이용될 수 있는 확증된 종래 기법에 비해 저렴하게 된다. 결국, 엠보싱에 의해 제공되는 캡의 경화를 달성할 수 있고, 레버 작용을 특별히 이용함으로써 개방 공정에 유리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예컨대, 도 7에는 상방으로 향하는 다른 단차형 형상부(20)가 밸브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경화 작용을 만족시키는 프로파일 시일의 내측 반경 안쪽의 소정 거리에 제공된다. 예컨대, 도 4, 12 또는 14의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 경우에, 밸브 형성 효과는 실질적으로 "짧은" 엠보싱에 의해 달성되는 반면에, 파열 라인을 따른 "긴" 형상부는 밸브 형성과 관련해서는 이차적으로 중요하지만 유리한 레버 구성에 의해 밀폐구의 파열을 용이하게 한다.
도면에는, 덮개 패널과 단차부 하강면(14) 사이 및 단차부 하강면과 바닥 플레이트 사이에서 단차부의 만곡 반경(r)과, 덮개 패널과 하강면(16) 사이, 하강면(16)과 상승면(17) 사이 및 상승면(17)과 덮개 패널 사이에서 홈의 만곡 반경(r)이 또한 지시되어 있다. 작은 반경(r)에서 뚜렷한 엠보싱 만곡이 달성되고, 보다 큰 반경(r)에서는 보다 둥근 엠보싱 만곡이 달성된다. 뚜렷한 만곡은 보다 둥근 만곡보다 강하게 만곡 밸브 효과에 영향을 미쳐, 본 발명의 융통성을 증가시킨다.
도 20은 밀봉 준비가 되어 있는 도 6의 파열 밀폐구를 도시하고 있다. 도 20a는 크리핑된 스커트로 밀봉한 후의 밀폐구를 도시하고 있다.
도 21은 밀봉 준비가 되어 있는 도 19의 크라운 코르크 밀폐구를 도시하고 있다. 도 21a는 병 목부(3)에 대해 압축되어 병 목 비드 아래에서 약간 크림핑된 스커트로 밀봉한 후의 밀폐구를 도시하고 있다.

Claims (20)

  1. 크라운 코르크 밀폐구 또는 파열 밀폐구로 구성되는, 탄산 음료병을 위한 밀폐구로서,
    금속으로 제조되는 상측 덮개 패널(1)과, 이 상측 덮개 패널(1)과 외측에서 접하는 원주 칼라 또는 스커트(2)를 구비하고,
    상기 상측 덮개 패널(1)의 하측에는 외측에 원주 프로파일 시일(6)을 갖는 밀봉 인서트(5)가 배치되는 밀폐구에 있어서,
    상기 상측 덮개 패널(1)은 그 하측에 적어도 소정의 각도 영역에 걸쳐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엠보싱(12, 12a, 12b, 13, 13a, 13b)을 가지며, 이 엠보싱은 프로파일 시일(6)의 영역에서 돌출하거나 프로파일 시일(6)에 가깝게 돌출하여 밸브를 형성하도록 상기 프로파일 시일(6)과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시일(6)의 단면은 외측의 제 1밀봉 링(6a)과 내측의 제 2밀봉 링(6b)을 갖는 거의 L형상으로 구성되고, 외측 밀봉 링(6a)은 내측 밀봉 링(6b)보다 큰 높이 및/또는 작은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엠보싱은, 예컨대 하방 압박된 캡 중앙 영 역(15)을 형성하도록 패널의 중심(M)을 향해 내려가는 측면(14)을 갖는 원주 단차부(12, 12a, 12b)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단차부는 소정의 각도 영역(δ, δ', δ")에 걸쳐서 각각 연장되는 상이한 반경(R, R")을 갖는 복수 개의 단차부 섹션(12a, 12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단차부(12) 또는 적어도 단차부 섹션(12a, 12b)의 (상측 및/또는 하측) 반경은 프로파일 시일(6)의 외측 반경(Pa) 이하 및/또는 프로파일 시일(6)의 내측 반경(Pi)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
  6.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차부(12) 또는 하나 이상의 단차부 섹션(12a, 12b)의 (상측 및/또는 하측) 반경은 프로파일 시일(6)의 외측 반경(Pa)보다 (약간) 크거나 프로파일 시일(6)의 내측 반경(Pi)보다 (약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
  7. 제 3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평에 대한 단차부(12, 12a, 12b)의 측면 각도(α)는 약 40°내지 90°, 예컨대 60°내지 80°이거나 약 5°내지 40°, 예컨대 10°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은 소정의 폭(B)과 높이(H)로 상측 덮개 패널에 형성되는 홈(13, 13a, 13b)으로 구성되고, 외측면(16)은 캡의 중심(M)을 향해 내려가며 내측면(17)은 캡의 중심(M)을 향해 올라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홈(13)은 환형 홈(13)으로서 전체 각도에 걸쳐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
  10. 제 8항에 있어서, 소정의 각도 섹션(δ, δ', δ")에 걸쳐 각각 연장되는 복수 개의 홈 또는 홈 섹션(13a, 13b)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
  11. 제 10항에 있어서, 모든 홈 또는 홈 섹션(13a, 13b)은 동일한 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
  12. 제 10항에 있어서, 홈 또는 홈 섹션(13a, 13b)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이한 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
  13. 제 8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홈 또는 하나 이상의 홈 섹션 의 외측 반경(Ra) 및/또는 내측 반경(Ri)은 프로파일 시일(6)의 외측 반경(Pa) 이하 및/또는 프로파일 시일(6)의 내측 반경(Pi)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
  14. 제 8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홈 또는 하나 이상의 홈 섹션의 외측 반경(Ra) 및/또는 내측 반경(Ri)은 프로파일 시일(6)의 외측 반경(Pa)보다 (약간) 크거나 프로파일 시일(6)의 내측 반경(Pi)보다 (약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
  15. 제 8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평에 대한 하강면(16)의 측면 각도(β) 및/또는 수평에 대한 상승면(17)의 측면 각도(γ)는 약 40°내지 90°, 예컨대 60°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
  16. 제 8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평에 대한 하강면(16)의 측면 각도(β) 및/또는 수평에 대한 상승면(17)의 측면 각도(γ)는 약 5°내지 40°, 예컨대 10°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
  17. 제 8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홈의 폭(B)은 1 mm 내지 5 mm, 예컨대 1 mm 내지 3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
  18. 제 3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홈 또는 단차부의 높이(H)는 0.1 mm 내지 0.8 mm, 예컨대 0.2 mm 내지 0.6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
  19. 제 1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홈 또는 단차부의 형태, 위치, 높이 및 적절한 경우 폭은, 밸브가 소정의 내압, 예컨대 6 바아 내지 10 바아의 내압에서 개방된 다음, 소정의 차이, 예컨대 0.5 내지 3 바아 만큼 강하된 후에 다시 폐쇄되도록 프로파일 시일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
  20. 제 1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의 만곡 반경(r)은 0.2 mm 내지 1.5 mm, 예컨대 0.3 mm 내지 1.0 mm이고, 홈 또는 홈 섹션의 만곡 반경은 0.2 mm 내지 1.0 mm, 예컨대 0.3 mm 내지 0.8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
KR1020067027126A 2004-07-29 2005-06-18 용기, 특히 병을 위한 밀폐구 KR200700246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4017931A EP1621475B1 (en) 2004-07-29 2004-07-29 Closure for a container, especially a bottle
EP04017931.9 2004-07-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638A true KR20070024638A (ko) 2007-03-02

Family

ID=34925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7126A KR20070024638A (ko) 2004-07-29 2005-06-18 용기, 특히 병을 위한 밀폐구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20080283486A1 (ko)
EP (1) EP1621475B1 (ko)
JP (1) JP2006036360A (ko)
KR (1) KR20070024638A (ko)
CN (1) CN1997561A (ko)
AT (1) ATE329850T1 (ko)
AU (1) AU2005269038A1 (ko)
BR (1) BRPI0512675A (ko)
CA (1) CA2572809A1 (ko)
DE (1) DE602004001232T2 (ko)
DK (1) DK1621475T3 (ko)
ES (1) ES2265615T3 (ko)
MX (1) MX2007001083A (ko)
PL (1) PL1621475T3 (ko)
RU (1) RU2367589C2 (ko)
UA (1) UA87326C2 (ko)
WO (1) WO2006012944A1 (ko)
ZA (1) ZA2007000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08006B2 (en) * 2006-01-14 2013-12-17 World Bottling Cap, LLC Bottle crown
WO2009050165A1 (en) * 2007-10-17 2009-04-23 Creanova Universal Closures Ltd. Closure with deformable lid
US20100282753A1 (en) * 2009-05-05 2010-11-11 Eaton Corporation Releasing pressurized fluid from a vessel
PL236617B1 (pl) 2018-03-28 2021-02-08 Can Pack Metal Closures Spolka Z Ograniczona Odpowiedzialnoscia Zamknięcie zrywane butelki napojowej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9724A (en) * 1951-02-16 1956-03-27 Gora Lee Corp Safety crown cap
US2772013A (en) * 1953-12-14 1956-11-27 Anchor Hocking Glass Corp Closure cap for glass containers and method of making
US2789719A (en) * 1955-02-23 1957-04-23 Owens Illinois Glass Co Container closure fitment
US3028033A (en) * 1957-08-01 1962-04-03 Anchor Hocking Glass Corp Closure
GB958417A (en) * 1961-11-08 1964-05-21 Metal Box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ap closures for containers
GB960296A (en) * 1962-08-20 1964-06-10 Sealright Oswego Falls Corp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ottle caps
US3181719A (en) * 1963-02-08 1965-05-04 Owens Illinois Glass Co Containers and closure caps for same
US3473683A (en) * 1968-08-06 1969-10-21 Continental Can Co Closure with molded ring gasket
US3494497A (en) * 1968-12-23 1970-02-10 Continental Can Co Press-on,turn-off closure
US3506151A (en) * 1969-02-07 1970-04-14 Aluminum Co Of America Crimped cap
US3690497A (en) * 1971-03-08 1972-09-12 Continental Can Co Closure cap and package formed therewith
BE790608A (fr) * 1971-10-27 1973-02-15 Anchor Hocking Corp Capuchon etanche de fermeture d'un recipient de
US3851782A (en) * 1972-08-18 1974-12-03 Aluminum Co Of America Container closure with vent opening means
US4121729A (en) * 1977-10-07 1978-10-24 Owens-Illinois, Inc. Home canning closure system
DE3114613A1 (de) * 1981-04-10 1982-11-04 Folienwalzwerk Brüder Teich AG, Obergrafendorf Verschlusskappe fuer behaelter
US4697716A (en) * 1982-07-06 1987-10-06 Owens-Illinois, Inc. Closures with cast sealing gasket
SE8604926D0 (sv) * 1986-11-17 1986-11-18 Wicanders Kapsyl Ab Upprivningsbar kapsyl
CN1284706C (zh) * 2000-09-20 2006-11-15 阿尔科封盖系统国际公司 排气塑料盖子及包装热填充饮料的方法
JP2004026212A (ja) * 2002-06-25 2004-01-29 Mitsubishi Materials Corp キャップおよびキャップ付ボトル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4001232T2 (de) 2007-04-26
RU2367589C2 (ru) 2009-09-20
JP2006036360A (ja) 2006-02-09
CA2572809A1 (en) 2006-02-09
UA87326C2 (ru) 2009-07-10
EP1621475B1 (en) 2006-06-14
RU2007107588A (ru) 2008-09-10
PL1621475T3 (pl) 2006-09-29
DE602004001232D1 (de) 2006-07-27
MX2007001083A (es) 2007-07-09
ATE329850T1 (de) 2006-07-15
DK1621475T3 (da) 2006-10-16
CN1997561A (zh) 2007-07-11
ES2265615T3 (es) 2007-02-16
WO2006012944A1 (en) 2006-02-09
BRPI0512675A (pt) 2008-04-01
US20080283486A1 (en) 2008-11-20
EP1621475A1 (en) 2006-02-01
AU2005269038A1 (en) 2006-02-09
ZA200700092B (en) 200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8564B2 (en) Metal container
US8336728B2 (en) Ventable resealing can end closure
US9533799B2 (en) Food containers adapted for accommodating pressure changes using skip seals and methods of manufacture
JPS61273354A (ja) 容器密封キヤツプ
US6783015B1 (en) Closure cap
AU2007209495A1 (en) Can end for a can and such can
WO2017109463A1 (en) Method of forming a metal closure and closure for container
KR20070024638A (ko) 용기, 특히 병을 위한 밀폐구
US3550832A (en) Sealed containers
EP3584192B1 (en) Container lid provided with metal body and synthetic resin liner
JPS6121354A (ja) 爆発防止特性を有する容器と容器蓋の組合せ
US3207350A (en) Sealing closure for a crown-type bottle
US3931909A (en) Push-in easy-opening closures
JP4716490B2 (ja) ネジ付き缶用キャップの密封ライナー構造
KR20180034527A (ko) 용기 및 마개
JP4503308B2 (ja) 金属薄板製容器のための容器蓋
JP2008201435A (ja) キャップ、閉止装置および飲料入り閉止装置
TWI301530B (en) Closure for a container, especially a bottle
JP4585126B2 (ja) 天面壁が補強された容器蓋
UA75903C2 (en) Closure for liquid product container
AU2015100380A4 (en) Pressure resistant container closure
WO2014033619A2 (en) Pressure resistant container closure
JP4383791B2 (ja) ベント機能を有するキャップ
JP4379859B2 (ja) キャップ
JP4575678B2 (ja) 容器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