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4447A - 과실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과실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4447A
KR20070024447A KR1020060129275A KR20060129275A KR20070024447A KR 20070024447 A KR20070024447 A KR 20070024447A KR 1020060129275 A KR1020060129275 A KR 1020060129275A KR 20060129275 A KR20060129275 A KR 20060129275A KR 20070024447 A KR20070024447 A KR 20070024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fermentation
fermented
bifidobacterium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9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9773B1 (ko
Inventor
김동현
김상욱
Original Assignee
홍림통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림통산(주) filed Critical 홍림통산(주)
Priority to KR1020060129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9773B1/ko
Publication of KR20070024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9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97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5Ericaceae or Vacciniaceae (Heath or Blueberry family), e.g. blueberry, cranberry or bilber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on effect on allergy and risk of allerg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실을 유산균 또는 장내 세균으로 발효시킨 과실 발효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과실 발효물은 알러지 유발 인자인 IgE에 의해서 유도되는 제 1형과민반응을 억제하고 염증을 유발시키는 마크로파지의 NO 생성을 억제하여 우수한 항알러지 효과를 가질 뿐 아니라, 말타아제를 억제하여 당뇨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며,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이 우수하여 항암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과실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적 조성물{FERMENTED FRUIT AND ANTI-CANCE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난치성 질환인 알러지 (염증 및 아낙필락시스), 당뇨, 암 등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사회가 복잡해지고 산업과 문명의 발달로 인해 자연환경오염의 증가, 식생활의 변화, 스트레스의 가중 등으로 인해 염증성 질환 및 알러지성 질환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1980년에 아토피성 피부염을 비롯한 알러지 환자는 1%미만이었으나, 2000년대에는 5% 이상으로 급증하고 있으며 잠재적인 환자까지 포함하면 10%가 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알러지(Allergy)란 이물질(항원, Allergen)에 대한 특이하고 변형된 반응을 나타내는 생화학적 현상이며, 이 때 방출된 물질이 증상을 일으키게 되면 알러젠(Allergen)이라 하고 그 결과 생긴 질환을 알러지 질환이라고 한다. 알러지는 항원항체반응의 결과로 나타나는 생체의 병적 과정이며, 일반적으로 반응을 일으키는데 필요한 시간 및 보체관여의 유무에 따라 1~4형으로 분류되고 있다.
이 중 제1형은 아나필락틱 (anaphylatctic[cytotropic;즉시형]) 형태로, 표적기관이 주로 소화장기, 피부 및 폐장으로 일반적인 증상은 위장관알러지, 담마진, 위축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화분증, 알러지성 비염 및 기관지성 천식 등이 있다. 아토피 피부염 등 제 1형 과민 반응 환자의 80%~90%는 혈청 IgE가 높다.
이와 같은 제 1형 알러지성 질환은 염증반응을 야기한다. 그 결과 마크로파지 및 Th1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제 4형 과민 반응질환을 유발한다. 그러므로 알러지성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서는 제 1형 및 제 4형 과민반응(염증 반응)을 조절해야만 한다.
염증관련 지표 중 하나인 NO (Nitric oxide)는 혈관확장, 신경전달, 항균효과, 면역조절 등의 여러 기능을 가진 물질로서 이 중에서 마크로파지 (macrophage)가 생산하는 NO는 NOS (nitric oxide synthetase)에 의해 생산되며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에 의해 유도되는 NOS가 생산하는 NO는 세포 기능을 변화시켜 세포 염증, 사멸, 변성, 성장과 전이로 발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 상기와 같은 여러 종류의 알레르기성 질환의 증가로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급진적인 면역학의 발전으로 알레르기성 질환의 구명 및 치료에 많은 진보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충분히 알레르기성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약물의 개발이 이루어져 있지 않다. 지금까지 개발된 알러지 환자를 위한 약물 중에 완치를 기대할 수 있는 약물은 없으며 증상 개선을 기대하고 있으나 부작용이 크다.
당뇨병은 현대인에게 많이 발생되는 만성질환으로 우리 나라에서는 1980년대부터 갑자기 증가하여 현재 전체 인구의 5% 이상에 달하고 있다. 당뇨병은 40 ~ 50세에 집중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문화병으로 취급되고 있으나 식생활의 변화에 따라 소아 당뇨 환자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당뇨병은 선천성 당뇨병과 후천성 당뇨병으로 구분되고 있다. 이는 체내로 흡수된 당질을 에너지로 활용하기 위해 세포 내로 운반하는 인슐린을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임상적으로 당뇨병이란 혈액 속에 당 성분이 나오고 이에 수반되는 대사장애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즉, 췌장에서 만들어지는 인슐린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거나, 상대적으로 부족하거나, 조직 내에서 작용이 되지 않아 혈액 안의 당 성분이 많은 것이다.
사람에 있어서 혈액 내 증가한 당으로 인해 당(glucose) 대사이상은 당뇨병, 비만, 고지혈증과 같은 질병을 유발하며, 1973년 Puls 등에 의해 탄수화물 소화를 지연시켜 소장에서의 흡수를 방해하는 새로운 아이디어가 처음 제시되었고, 이러한 질병이 증가되어짐에 따라 탄수화물 분해효소 저해물질은 탄수화물 의존성 질환의 치료제로서 이용가능성이 주목되고 있다. 전분이 체내로 흡수되기 위해서는 알파글루코시다제(α-glucosidase; α-amylase 및 maltase 등) 등이 작용하여 전분을 포도당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알파글루코시다제 효소의 저해제에 대한 연구는 주로 당뇨병 치료를 위한 의약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나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식품 또는 당뇨병 환자의 식이조절을 위해 관심을 받고 있다. 탄수화물의 소화 속도를 억제함으로써 식후 혈당 상승을 억제하려는 노력은 알파아밀라제 및 말타제 저해제 로부터 연구가 시작되었으나, 알파아밀라제보다는 말타제를 저해하는 것이 전분을 섭취시에 혈당조절이 쉽다는 것이 밝혀져 식물성 식품 소재들로부터 저해 활성 검색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왕겨 추출물에서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 효과를 검색하였고, 수리취, 엉겅퀴, 두릅, 더덕, 참취, 마타리, 질경이 등의 식물 식품 소재에서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 효과를 검색하였다. 최근에는 콩과 식물로부터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 활성이 있음을 검색하였고, 그 중 서리태, 흑태, 청태, 울타리콩, 금두, 메주콩 등이 우수한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 활성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최근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비만과 그에 따른 당뇨, 지질대사이상에 말타제 저해제들은 유용한 자원이다.
암은 우리나라에서 순환기 질환과 함께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정상적으로 세포는 세포내 조절기능에 의해 분열하며 성장하고 죽어 없어지기도 하며 세포수의 균형을 유지하며 살아간다. 이러한 세포가 손상을 받는 경우, 증식과 억제가 조절되지 않는 비정상적인 세포들이 되어 통제되지 못하고 과다하게 증식할 뿐만 아니라 주위 조직 및 장기에 침입하여 종괴 형성 및 정상 조직의 파괴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이 상태를 암 또는 종양(cancer)이라 정의하고 있다. 종양에는 양성종양과 악성종양이 있으며, 양성종양은 비교적 서서히 성장하며 신체 여러 부위에 확산, 전이하지 않으며 제거하여 치유시킬 수 있는 종양을 말하고 특이한 경우를 제외하고 대개의 양성종양은 생명에 위협을 초래하지는 않는다. 이와 달리 악성종양은 빠른 성장과 침윤성(파고들거나 퍼져나감) 성장 및 체내 각 부위에 확산 전이(원래 장소에서 떨어진 곳까지 이동함)하여 생명에 위험을 초래하는 종양을 말한다.
암세포가 발생하는 기전은, 세포가 성장(Growth), 분화(Differentiation), 프로그램된 죽음(Apoptosis)의 과정을 밟거나 성장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세포의 유전자 중 일부에 이상이 발생하여 이들 유전자의 산물인 단백질의 특성이 바뀌게 되고 그 결과로 세포 성장 조절에 이상이 발생하여 암세포가 생기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상기 난치성 질환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효과적인 치료법이 없는 실정이다.
한편, 과일(과실)은 우리몸에 유익한 대표적인 알카리성 식품으로서 과일의 여러가지 활성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결과가 알려져 있다.
사과와 배는 그 주성분이 탄수화물이며 당분은 10-13%로 품종에 따라 차이가 많고 단백질 함량은 0.3% 내외로 다른 과일과 큰 차이가 없으나 우리 몸에 유익한 수용성 펙틴과 식이섬유 함량이 높아 변비와 정장 작용이 탁월하다. 최근 들어 과일의 항암, 항염,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페놀성 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사과에는 펙틴과 소르비톨(sorbitol)의 함량이 높아 변비해소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있고, 배에는 말산(mal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등의 유기산 함량이 높고 석세포에 함유 한 리그닌(lignin)과 펜토산(pentosan)은 정장 및 이뇨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최근 들어 사과와 배의 과육 및 과피에 포함된 플라보노이드 및 페놀성분은 항암, 항염,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Jay Darling, Malus pumila, 화홍, 감홍 등의 사과 품종과 울진, 청서리, 강진돌배, 청실리 등의 국내 재래배에서 이들 함량이 높았으며 항알러지, 항산화 효과 및 장내환경 개선작용도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복숭아의 삽미성분은 카테킨(catechin), 프로안토시아닌(proanthocyanin),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등 폴리페놀(polyphenol) 성분에 의한 것으로 총 폴리페놀 함량은 백육종에서 50∼150mg/100g 정도이다. 또한, 식물섬유함량은 과피를 합한 경우 2.3∼2.7%이다. 섬유조성으로는 셀룰로오스 0.2%, 헤미셀룰로오스 1.46% 리그닌 0.62%, 펙틴 및 비셀룰로오스 다당류 0.39%로 이루어지며 정장효과가 뛰어나며 장운동을 활발하게 해주어 체내의 노폐물을 제거하고 발암물질 및 독소물질의 체내 잔류시간을 감소시킴으로 암을 예방하고 유해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자두에는 안토시아닌 성분 (cyanidin-3-glucoside, cyanidin-3-rhamnoglucoside 등)이 있어 항산화작용 및 항암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자두 역시 소르비톨 함량이 높아 식이섬유와 같이 정장효과, 변비해소 등의 기능특성을 나타낸다.
블루베리(blueberry)의 주요 성분인 안토시아닌은 과일의 껍질에 분포하며, 생과일 100g에 200㎎정도의 안토시아닌을 함유하고 있어 강력한 항산화성을 나타낸 다. 블루베리의 함유된 안토시아닌계 화합물은 시아니딘, 페오니딘, 델피니딘, 말비딘의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비타민 A의 함량이 높아 강력한 항산화, 항암활성이 조사되었다.
그러나, 이들 과실을 유산균 또는 장내 세균으로 발효시킨 과실의 발효물 및 과실의 발효물의 효능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알려진 바 없다.
과실 및 야채의 껍질에 널리 분포하는 대표적인 플라보노이드로서 퀘르세틴을 들 수 있으며, 퀘르세틴의 급원은 주로 양파, 레드와인, 녹차와 St.John's wort이다. 퀘르세틴은 페놀릭 항산화성을 가지며 지질과산화(lipid peroxidation)를 저해하는 것으로 보인다. 퀘르세틴은 플라보노이드 항산화제로 마우스의 간에서 ethanol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를 예방하는 작용을 함이 알려졌고, in vitro와 동물 연구에서 티로신 키나제와 NO 합성을 저해하고 항염증 조절자인 NF-κB를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퀘르세틴은 또한 염증성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과 로이코트리엔(leucotriene)의 형성을 저해하며, in vitro와 동물연구을 통해서 항암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퀘르세틴은 동물실험에서 위장보호 효과가 있다고 보고 하고 있다. 항산화, 항염증성, 항암, 위장보호, 당뇨병의 이차적인 합병증 예방 등의 효과가 있다 (Martin MJ, La-Casa C, Alarcon-de-la-Lastra C, et al. Antioxidant mechanisms involved in gastroprotective effects of quercetin. Z Naturforsch[C]. 1998; 53:82-88; Molina MF, Sanchez-Reus I, Iglesias I, Benedi J. Quercetin, a Flavonoid Antioxidant, Prevents and Protects against Ethanol-Induced Oxidative Stress in Mouse Liver. Biol Pharm Bull. 2003 Oct;26(10):1398-402; Sanchez de Medina F, Vera B, Galvez J, Zarzuelo A. Effect of quercitrin on the early stages of hapten induced colonic inflammation in the rat. Life Sci. 2002 May 17;70(26):3097-108).
본 발명자들은 과실 및 이들의 발효물에 대해서 연구하던 중, 과실의 발효물이 발효되지 않은 일반 과실에 비하여 플라보노이드인 퀘르세틴을 비롯한 비극성 물질의 함량이 높으며, 알러지를 유발하는 인자인 IgE의 작용을 억제하면서 이차적으로 생기는 염증을 억제하는 항알러지 효과, 혈당을 증가시키는 말타제 효소활성을 저해하는 말타제 억제 효과 및 항암 효과가 더욱 우수하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과실을 유산균, 또는 장내세균으로 발효시킨 과실 발효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실 발효물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실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실 발효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과실을 유산균, 또는 장내세균으로 발효시킨 과실 발효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실 발효물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과실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우리나라에서 널리 재배되는 과실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사과, 배, 복숭아, 자두, 블루베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실 발효물은 과실의 동결건조물에 물을 가하여 현탁한 후 유산균 또는 장내 세균을 가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과실의 동결건조물은 과실의 성과 및/또는 유과의 과육질의 동결건조물이거나, 또는 이들을 물, 알콜, 또는 물과 알콜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의 동결건조물이 될 수 있다. 상기 알콜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또는 부탄올과 같은 저급알콜이 사용될 수 있다.
과실에 유산균을 가하여 발효시킨 상기 배양액은 그대로 농축 또는 동결 건조하여 그 자체로 이용될 수 있고, 이를 에테르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유기 용매로 추출하여 농축시킨 형태로 이용될 수도 있다.
발효에 사용되는 유산균 또는 장내세균의 예로는 락토바실러스 액시도필러스 KCTC 3150,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 KCTC 3635, 스트렙토코쿠스 써모필러스 KCTC 3658, 엔테로코쿠스(스트렙토코쿠스) 패에시움 KCTC 3077, 비피도박테리움 브레이 브 JCM 1192, 비피도박테리움 롱굼 KCTC 3215, 비피도박테리움 인팬티스 JCM 7007,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멀리스 JCM 1190, 비피도박테리움 브레이브 K-110 (KCCM 10097), 비피도박테리움 롱굼 H-1 (KCCM 10493), 및 박테로이데스 HJ-15와 같은 박테로이데스 속 균주 등을 들 수 있으나, 상기 균주에 의해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그 외 다른 유산균에 속하는 균주를 본 발명의 실시에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자명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발효 온도 및 발효 시간은 사용되는 과실의 종류, 유산균 또는 장내 세균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나, 약 37 ℃에서 1 시간 내지 10 일간 발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과실 발효물은 퀘르세틴과 같이 체내 흡수가 용이한 비극성 물질의 함량이 일반 과실에 비하여 증강될 뿐 아니라, 알러지 유발 인자인 IgE에 의해서 유도되는 아토피성 피부염과 같은 제 1형 과민반응을 억제하고 염증을 유발시키는 마크로파지의 NO 생성을 억제하여 우수한 항알러지, 항염증 효과를 가지며, 우수한 말타제를 억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과실 발효물은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과실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항알러지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보 다 바람직하게는, 담마진, 위축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화분증, 알러지성 비염 및 기관지성 천식과 같은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항암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실제 임상투여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과실 발효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며, 일일 유효용량은 과실 발효물의 동결건조물을 기준으로 1 mg/㎏ 내지 5000 ㎎/㎏이고, 바람직하기로는 10 내지 1000 ㎎/㎏이 될 수 있으며, 일일 1회 내지 수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알러지, 당뇨, 암 등의 난치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실 발효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실 발효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과실 발효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는 본 발명의 과실 발효물이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 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에서, 성과는 성숙한 과실 개체를 의미하고, 유과는 성장과정에서 상품성을 위해 인공적으로 제거되거나, 태풍이나 자연재해로 인해 성장과정을 채우지 못하고 떨어진 과실 개체를 의미한다.
[실시예 1] 배 동결건조물의 발효물의 제조
10g의 건조한 배 과육질(성과와 유과의 혼합물) 동결건조물이 5%(w/v)가 되도록 물을 넣는다. 현탁액에 유산균으로서 스트렙토코쿠스 패에시움(Streptococcus faecium) 및/ 또는 락토바실러스 액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및/또는 박테로이데스 HJ-15(Bacteroides HJ-15)를 1x1010개를 넣어, 37℃에서 12 내지 72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발효물을 동결건조한다.
[실시예 2] 배성과 발효물의 제조
10g의 건조한 배성과 과육질 동결건조물이 5%(w/v)가 되도록 물을 넣는다. 현탁액에 유산균으로서 Streptococcus faecium 및/또는 Lactobacillus acidophilus 및/또는 Bacteroides HJ-15를 1x1010개를 넣어, 37℃에서 12 내지 72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발효물을 동결건조한다.
[실시예 3] 배유과 발효물의 제조
10g의 건조한 배 유과 과육질 동결건조물이 5%(w/v)가 되도록 물을 넣는다. 현탁액에 유산균으로서 Streptococcus faecium 및/또는 Lactobacillus acidophilus 및/또는 Bacteroides HJ-15를 1x1010개를 넣어, 37℃에서 12 내지 72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발효물을 동결건조한다.
[실시예 4] 사과 성과 발효물의 제조
10g의 건조한 사과 성과 과육질 건조물이 5%(w/v)가 되도록 물을 넣는다. 현탁액에 유산균으로서 Streptococcus faecium 및/또는 Lactobacillus acidophilus 및/또는 Bacteroides HJ-15를 1x1010개를 넣어, 37℃에서 12 내지 72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발효물을 동결건조한다.
[실시예 5] 사과 유과 발효물의 제조
10g의 건조한 사과 유과 과육질이 5%(w/v)가 되도록 물을 넣는다. 현탁액에 유산균으로서 Streptococcus faecium 및/또는 Lactobacillus acidophilus 및/또는 Bacteroides HJ-15를 1x1010개를 넣어, 37℃에서 12 내지 72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발효물을 동결건조한다.
[실시예 6] 자두 발효물의 제조
10g의 건조한 자두 과육질이 5%(w/v)가 되도록 물을 넣는다. 현탁액에 유산균으로서 Streptococcus faecium 및/ 또는 Lactobacillus acidophilus 및/또는 Bacteroides HJ-15를 1x1010개를 넣어, 37℃에서 12 내지 72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발효물을 동결건조한다.
[실시예 7] 복숭아 발효물의 제조
10g의 건조한 복숭아 과육질이 5%(w/v)가 되도록 물을 넣는다. 현탁액에 유산균으로서 Streptococcus faecium 및/ 또는 Lactobacillus acidophilus 및/또는 Bacteroides HJ-15를 1x1010개를 넣어, 37℃에서 12 내지 72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발효물을 동결건조한다.
[실시예 8] 블루베리 발효물의 제조
10g의 건조한 블루베리 과육질이 5%(w/v)가 되도록 물을 넣는다. 현탁액에 유산균으로서 Streptococcus faecium 및/ 또는 Lactobacillus acidophilus 및/또는 Bacteroides HJ-15를 1x1010개를 넣어, 37℃에서 12 내지 72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발효물을 동결건조한다.
[실시예 9] 과실 알콜 추출물의 발효물의 제조
건조한 과육질을 사용하는 대신에 건조 과육질을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의 동결건조물을 사용한 것으로 제외하고는 실시예 1-8과 동일한 방법으로 과실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발효물의 성분분석
한편, 상기 발효물의 성분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서, 분석하였다.
상기 실시예 1-8에서 사용한 과실의 과육질 건조물을 물에 현탁한 것과, 이 를 유산균 등으로 발효시킨 액을 동결건조하여 얻은 발효물(0.5g)을 물에 현탁한 것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이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감압농축하여 추출율을 계산하였다(표 1). 또한 동결건조물 0.1g을 메탄올 10㎖에 녹이고, 원심분리한 다음, 얻어진 상등액중의 퀘르세틴을 TLC (전개용매 클로로포름:메탄올=5:1)분석을 실시하고 TLC 스캐너 (Shimadzu model CS9301 PC)로 정량하였다(표 2).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량 (%)
처리하지않음 S. faecium 발효 B. longum H-1 발효 Bacteroides HJ-15 처리
배 동결 2.2 3.2 4.3 8.0
배 성과 1.8 3.4 4.8 11.8
배 유과 3.4 5.4 5.4 6.6
사과 성과 2.8 4.1 4.8 4.8
사과 유과 4.4 6.2 7.8 10.6
자두 2.8 4.2 7.2 7.2
복숭아 4.2 5.2 9.2 9.2
불루베리 4.4 5.4 9.4 9.4
표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산균 발효에 의해 과실의 성분 중 체내로 흡수가 용이한 비극성 화합물의 추출율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과실을 함유하는 식품에 단순히 유산균을 첨가하는 것과 달리 유산균을 이용하여 과실을 발효시키는 경우 생리활성 물질의 체내 흡수가 증가됨으로써 과실의 생리활성 증가를 가져올 수 있음을 의미한다.
퀘르세틴 함량 (ug/ g dry weight)
처리하지않음 S. faecium 발효 B. longum H-1 발효 Bacteroides HJ-15 처리
배 성과 0.3 0.4 0.5 0.4
배 유과 0.4 0.7 0.6 0.5
사과 성과 3.2 4.5 3.8 3.5
사과 유과 4.2 7.5 7.1 6.1
표 2는 체내로 흡수가 용이하고 다양한 생리활성 (항암, 항알러지 효과 등)을 갖는 퀘르세틴의 과실 내 함량이 유산균 발효에 의해 증가되었음을 보여준다. 역시 유산균 발효에 의해 과실의 생리활성 증가를 가져올 수 있음을 뒷받침하고 있다.
[실험예 2] RBL-2H3 세포에서의 항알러지 효과
RBL-2H3 세포(Rat mast cell line)를 1% 어린 소 혈청(fetal bovine serum)과 L-글루타민(glutamine)을 포함하는 둘베코(Dulbeccos)에 의해 수정된 이글(Eagle)의 배지(Du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이하 DMEM라 칭함)을 이용하여 37℃, 수분이 있는 5% CO2 인큐베이터(incubator)에서 배양하며, 고착성을 갖는 세포를 트립신(trypsin)-EDTA 용액을 사용하여 부유시키며 이를 분리, 회수하여 실험에 사용한다.
RBL-2H3 세포를 24 웰(well)에 각각 5×105cell/well씩 분주한 후 쥐의 단일세포(monoclonal) 항체인 IgE 0.5㎍/㎖를 넣어 12시간 인큐베이터에서 배양시키면서 증감시켰다. 세포를 0.5㎖의 시라가니안(siraganian) 완충제(119mM NaCl, 5mM KCl, 0.4mM MgCl2, 25mM PIPES, 40mM NaOH, pH 7.2)로 씻어준 후 0.16㎖의 시라가니안(siraganian) 완충제(5.6mM 글루코즈(glucose), 1mM CaCl2, 0.1% 소혈청을 첨가)를 넣은 다음 37℃에서 10분간 인큐베이터에서 배양시켰다.
그 후, 과실의 물 또는 알콜 추출물 또는 실시예 9에서 제조한 과실의 발효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추출물 시료 0.04㎖를 가한 다음 20분 경과한 후에 0.02㎖의 안티겐(antigen)(DNP-BSA(dinitrophenol-bovine serum albumin) 1㎍/㎖)으로 37℃에서 10분간 세포를 활성화 시킨 다음 2000rpm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0.025㎖의 상등액을 96웰(well)로 옮겼다. 여기에 0.1M 시트레이트(citrate) 완충제 pH 4.5에 p-니트로페닐(nitrophenyl)-N-아세틸(acetyl)-β-D-글루코사미나이드(glucosaminide)를 넣어 만든 p-NAG 0.025㎖의 기질액 1mM 가한 후 37℃에서 60분간 배양시킨 다음 0.1M Na2CO3/NaHCO3 0.2㎖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킨 후 405nm에서 엘리사 관측기(ELISA reader)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RBL-2H3 세포의 탈과립 억제 (항알러지) 효과
조성물 IC50(㎍/ml) 200㎍/ml에서 저해율
배(성과 및 유과) 추출물 > 200 21
S. faecium로 발효시킨 배(성과 및 유과) 발효물 > 200 35
B. longum으로 발효시킨 배(성과 및 유과) 발효물 > 200 34
Bacteroides HJ-15로 반응시킨 배(성과 및 유과) 발효물 > 200 30
배성과 추출물 > 200 20
S. faecium로 발효시킨 배성과 발효물 > 200 34
B. longum으로 발효시킨 배성과 발효물 > 200 38
Bacteroides HJ-15로 반응시킨 배성과 발효물 > 200 31
배유과 추출물 129 67
S. faecium로 발효시킨 배유과 발효물 12 89
B. longum으로 발효시킨 배유과 발효물 156 61
Bacteroides HJ-15로 반응시킨 배유과 발효물 > 200 41
자두 추출물 > 200 15
S. faecium로 발효시킨 자두 발효물 > 200 19
B. longum으로 발효시킨 자두 발효물 > 200 25
Bacteroides HJ-15로 반응시킨 자두 발효물 > 200 23
복숭아 추출물 > 200 19
S. faecium로 발효시킨 복숭아 발효물 > 200 23
B. longum으로 발효시킨 복숭아 발효물 > 200 25
Bacteroides HJ-15로 반응시킨 복숭아 발효물 > 200 24
블루베리 추출물 > 200 25
S. faecium로 발효시킨 블루베리 발효물 > 200 42
B. longum으로 발효시킨 블루베리 발효물 > 200 45
Bacteroides HJ-15로 반응시킨 블루베리 발효물 94 71
사과 성과 추출물 > 200 15
S. faecium로 발효시킨 사과 성과 발효물 > 200 22
B. longum으로 발효시킨 사과 성과 발효물 > 200 25
Bacteroides HJ-15로 반응시킨 사과 성과 발효물 > 200 18
사과유과 추출물 > 200 17
S. faecium로 발효시킨 사과 유과 발효물 > 200 22
B. longum으로 발효시킨 사과 유과 발효물 > 200 25
Bacteroides HJ-15로 반응시킨 사과 유과 발효물 > 200 28
azelastine 7 92
disodium cromoglycate 490 35
* 상기 과실 추출물 및 발효물은 과육질 건조물의 에탄올 추출물 및 이의 발효물(실시예 9에서 제조)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것을 사용하였음.
[실험예 3] RAW 264.7의 NO 생성 억제(항염증) 효과
RAW 264.7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에서 분양받았으며, 10% FBS와 l-글루타민(glutamine)이 함유된 DMEM 배지, 5% CO2, 37℃에서 배양하였다. 일주일에 2~3번 정도 계대한다.
박 등의 방법 (Biol. Pharm. Bull., 28, 652-656, 2005)에 따라 RAW 264.7 세포(3×105 cells/well)를 24 웰(well) 플레이트(plate) 에 분주하고 하루 동안 배양한 후 리포플리사카라이드(lipoplysaccharide)(1㎍/㎖)와 시료를 처리한다. 24시간 후 원심분리하고 취한 상등액 0.15㎖을 96웰(well) 플레이트(plate)에 옮긴 후 그리스 시약(Griess reagent)(0.2% 나프틸에틸렌(naphthylethylene) 다이아민(diamine) D.W : 10% H3PO4안의 2% 설파미라마이드(sulfamilamide)=1:1) 0.15㎖를 놓고 엘리사 관측기(ELISA reader) 540㎚에서 측정하였다.
RAW 264.7에서 NO(nitrite) 생성 억제(항염증)효과
조성물 IC50(㎍/ml)
배(성과 및 유과) 추출물 25
S. faecium로 발효시킨 배(성과 및 유과) 발효물 30
B. longum으로 발효시킨 배(성과 및 유과) 발효물 25
Bacteroides HJ-15로 반응시킨 배(성과 및 유과) 발효물 29
배성과 추출물 14
S. faecium로 발효시킨 배성과 발효물 12
B. longum으로 발효시킨 배성과 발효물 33
Bacteroides HJ-15로 반응시킨 배성과 발효물 36
배유과 추출 조성물 2.8
S. faecium로 발효시킨 배유과 발효물 1.2
B. longum으로 발효시킨 배유과 발효물 1.7
Bacteroides HJ-15로 반응시킨 배유과 발효물 7.4
자두 추출물 33
S. faecium로 발효시킨 자두 발효물 18
B. longum으로 발효시킨 자두 발효물 76
Bacteroides HJ-15로 반응시킨 자두 발효물 6
복숭아 추출물 25
S. faecium로 발효시킨 복숭아 발효물 62
B. longum으로 발효시킨 복숭아 발효물 47
Bacteroides HJ-15로 반응시킨 복숭아 발효물 9
블루베리 추출물 90
S. faecium로 발효시킨 블루베리 발효물 > 100
B. longum으로 발효시킨 블루베리 발효물 > 100
Bacteroides HJ-15로 반응시킨 블루베리 발효물 > 100
사과 성과 추출물 28
S. faecium로 발효시킨 사과성과 발효물 31
B. longum으로 발효시킨 사과성과 발효물 29
Bacteroides HJ-15로 반응시킨 사과성과 발효물 35
사과유과 추출물 9
S. faecium로 발효시킨 사과유과 발효물 67
B. longum으로 발효시킨 사과유과 발효물 84
Bacteroides HJ-15로 반응시킨 사과유과 발효물 > 100
dexamethasome 34
* 상기 과실 추출물 및 발효물은 과육질 건조물의 에탄올 추출물 및 이의 발효물(실시예 9에서 제조)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것을 사용하였음.
[실험예 4] 실험동물에서 항알러지 효과
이나가키(Inagaki) 등의 방법(Int. Arch. Allergy Appl. Immunol., 1988)에 따라 실시하면, 디니트로페놀-소 혈청단백질(Dinitrophenol-bovine serum albumin, 이하 DNP-BSA라 칭함.)에 대한 IgE 혈청을 생리식염수로 희석한 10ug를 에테르로 마취시킨 생쥐의 등에 주사하고 수동감작시키고 48시간 후 DNP-BSA 0.2㎎과 에반 블루(evans blue) 1.6㎎을 포함한 생리식염수 0.2㎖를 꼬리정맥에 주사하고 30분 후 경부탈골로 치사시켜 등에 누출된 에반 블루(evans blue) 색소량을 측정한다. 생쥐의 등의 일정부위를 잘라 시험관에 넣고 IN-KOH 0.7㎖를 넣고 37℃에서 하루 밤 동안 배양한다. 이 시험관에 0.6N 인산, 아세톤 혼합액(5:13) 4㎖를 가한 다음 진탕하고 여과하여 추출된 색소를 620㎚에서 비색정량한다. 과실의 에탄올 추출물 또는 이들의 발효물을 생리식염수에 용해 또는 현탁하여 경구로 항원 투여 한 시간 전에 투여한다.
하기 표 5에서 보는 것과 같이 과실 추출물 및 이들의 발효물은 항알러지효과를 나타냈다. 과실의 유산균 발효물은 발효 처리되지 않은 일반 과실 추출물에 비하여 더욱 우수한 항알러지효과를 나타냈으며, 과실 중에는 배유과의 발효물이 보다 우수한 항알러지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동적인 피부 애나필라시스(Passive cutaneous anaphylasis) 실험 모델 생쥐에서 조성물들의 저해 효과 (아토피 치료효과)
조성물 투여용량 (㎎/kg) 저해활성 (%)
배(성과 및 유과) 추출물 200 41±6
S. faecium로 발효시킨 배(성과 및 유과) 발효물 200 53±4
B. longum으로 발효시킨 배(성과 및 유과) 발효물 200 55±3
Bacteroides HJ-15로 반응시킨 배(성과 및 유과) 발효물 200 47±9
배성과 추출물 200 37±1
S. faecium로 발효시킨 배성과 발효물 200 38±4
B. longum으로 발효시킨 배성과 발효물 200 46±5
Bacteroides HJ-15로 반응시킨 배성과 발효물 200 31±5
배유과 추출 조성물 200 45±3
S. faecium로 발효시킨 배유과 발효물 200 62±2
B. longum으로 발효시킨 배유과 발효물 200 65±3
Bacteroides HJ-15로 반응시킨 배유과 발효물 200 59±4
자두 추출물 200 32±9
S. faecium로 발효시킨 자두발효물 200 42±2
B. longum으로 발효시킨 자두 발효물 200 41±3
Bacteroides HJ-15로 반응시킨 자두 발효물 200 43±6
복숭아 추출물 200 35±3
S. faecium로 발효시킨 복숭아 발효물 200 37±4
B. longum으로 발효시킨 복숭아 발효물 200 47±5
Bacteroides HJ-15로 반응시킨 복숭아 발효물 200 38±3
블루베리 추출물 200 36±4
S. faecium로 발효시킨 블루베리 발효물 200 42±5
B. longum으로 발효시킨 블루베리 발효물 200 45±9
Bacteroides HJ-15로 반응시킨 블루베리 발효물 200 43±2
사과 성과 추출물 200 32±1
S. faecium로 발효시킨 사과 성과 발효물 200 39±3
B. longum으로 발효시킨 사과 성과 발효물 200 32±2
Bacteroides HJ-15로 반응시킨 사과 성과 발효물 200 32±3
사과유과 추출물 200 29±4
S. faecium로 발효시킨 사과 유과 발효물 200 32±5
B. longum으로 발효시킨 사과 유과 발효물 200 41±5
Bacteroides HJ-15로 반응시킨 사과 유과 발효물 200 39±3
azelastine 10 82±5
disodim cromoglycate 100 42±2
* 상기 과실 추출물 및 발효물은 유기 용매로 추출하지 않고 사용하였음.
표 3 및 표 4에 나타난 실험결과를 보면, 본 발명의 과실 발효물은 RBL-2H3 세포(비만세포와 함께 알러지를 일으키는 basophil 세포임)의 탈과립 (알러지유발)을 억제하는 효과가 매우 높았으며, 염증을 일으키는 RAW 264.7 세포 (마크로파지 세포)의 염증 유도인자인 NO 생산을 억제하는 효과도 우수하였다. 이 경우도 배유과의 발효물이 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과실 발효물의 탈과립 억제 효과는 기존의 의약품으로 사용되는 약물인 디소듐 크로모글리케이트(disodium cromoglycate) 보다도 우수하여 우수한 항알러지 및 항염증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수동적인 피부 아나필라시스(Passive cutaneous anaphylasis) 실험 모델 생쥐를 이용하여 측정한 본 발명의 과실 발효물들에 대해 항알러지 효과 역시 유의적으로 효과가 우수한 것을 볼 수 있었다(표 5). 이러한 효과는 현재 약물로 사용하는 디소듐 크로모글리케이트가 하루 1회 2mg 정도 사용하는 것을 감안한다면 아주 우수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정도이다.
[실험예 5] 말타제 저해활성
최 등의 방법 (Archives of Phamacal Research, 23, 261-266, 2000)에 따라 흰쥐의 소장관으로부터 말타제를 분리하고 이 효소액을 이용하여 과실 및 이들의 발효물의 말타제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말타제의 저해활성은 효소액 0.1 ml, 2mM 말토스 액 0.1 ml, 시료 샘플 0.1 ml, 0.1 M 인산완충액 (pH 7.0) 0.2 ml을 혼합하여 37도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2 분간 끓여서 불활성화 시키고 3000 rpm에서 원심분리 (비젼과학의 원심분리기, 서울)하여 상징액 0.1 ml을 O-페닐렌디아민 (0.05 mg/ml), 퍼옥시다제 (2 unit /ml), 및 글루코스 옥시다제 (0.384 unit/ml)과 섞어 37℃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1N HCl 0.5 ml을 넣어 반응을 정지시키고 49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조성물 IC50 (mg/ml)
배(성과 및 유과) 추출물 0.15
S. faecium로 발효시킨 배(성과 및 유과) 발효물 0.14
B. longum으로 발효시킨 배(성과 및 유과) 발효물 0.14
Bacteroides HJ-15로 반응시킨 배(성과 및 유과) 발효물 0.15
배성과 추출물 0.14
S. faecium로 발효시킨 배성과 발효물 0.13
B. longum으로 발효시킨 배성과 발효물 0.12
Bacteroides HJ-15로 반응시킨 배성과 발효물 0.14
배유과 추출물 0.14
S. faecium로 발효시킨 배유과 발효물 0.12
B. longum으로 발효시킨 배유과 발효물 0.12
Bacteroides HJ-15로 반응시킨 배유과 발효물 0.14
자두 추출물 >0.2
S. faecium로 발효시킨 자두 발효물 0.18
B. longum으로 발효시킨 자두 발효물 0.18
Bacteroides HJ-15로 반응시킨 자두 발효물 0.16
복숭아 추출물 >0.2
S. faecium로 발효시킨 복숭아 발효물 0.19
B. longum으로 발효시킨 복숭아 발효물 0.17
Bacteroides HJ-15로 반응시킨 복숭아 발효물 0.19
블루베리 추출물 0.19
S. faecium로 발효시킨 블루베리 발효물 0.18
B. longum으로 발효시킨 블루베리 발효물 0.15
Bacteroides HJ-15로 반응시킨 블루베리 발효물 0.15
사과 성과 추출물 0.2
S. faecium로 발효시킨 사과 성과 발효물 0.16
B. longum으로 발효시킨 사과 성과 발효물 0.15
Bacteroides HJ-15로 반응시킨 사과 성과 발효물 0.17
사과유과 추출물 0.18
S. faecium로 발효시킨 사과 유과 발효물 0.17
B. longum으로 발효시킨 사과 유과 발효물 0.15
Bacteroides HJ-15로 반응시킨 사과 유과 발효물 0.17
acarbose 0.02
[실험예 6]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항암효과)
각각의 암세포를 웰 당 0.18 ml (1.5x104 개)씩 분주하고 24시간후에 검체을 0.02 ml씩 넣어 2일간 배양하고 여기에 MTT 시약 [3-(3,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을 웰 당 0.05 ml 넣고 30분간 반응시키고 배지를 제거하고 DMSO (dimethyl sulfoxide) 0.1ml을 넣고 540 nm에서 엘리사 관측기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평가하였다.
블루베리는 유산균 발효에 의해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이 높아졌다.
IC50 (mg/ml)
HeLa A549 P388
블루베리 추출물 >0.2 >0.2 >0.2
S. faecium로 발효시킨 블루베리 동결 발효물 0.19 >0.2 0.16
B. longum으로 발효시킨 블루베리 동결 발효물 0.08 0.2 0.09
Bacteroides HJ-15로 반응시킨 블루베리 동결 발효물 >0.2 >0.2 >0.2
* HeLa: human cervix uterine adenocarcinom cells; A549: human lung carcimom cells; P388: mouse lymphoid neoplasma cells.
본 발명의 과실 발효물은 알러지 유발 인자인 IgE에 의해서 유도되는 담마진, 위축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화분증, 알러지성 비염 및 기관지성 천식과 같은 제 1형 과민반응을 억제하고 염증을 유발시키는 마크로파지의 NO 생성을 억제하여 우수한 항알러지, 항염증 효과를 가질 뿐 아니라, 말타아제를 억제하여 당뇨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며,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이 우수하여 항암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6)

  1. 과실을 유산균 또는 장내 세균으로 발효시킨 과실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실은 블루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실 발효물은 과실의 동결건조물의 현탁액에 유산균 또는 장내 세균을 가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과실의 동결건조물은, 과육질의 동결건조물, 또는 이를 물, 알콜, 또는 물과 알콜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의 동결건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 또는 장내 세균은, 락토바실러스 액시도필러스 ,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 스트렙토코쿠스 써모필러스, 엔테로코쿠스(스트렙토코쿠스) 패에시움, 비피도박테리움 브레이브, 비피도박테리움 롱굼, 비피도박테리움 인팬티스,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멀리스, 비피도박테리움 브레이브 K-110 , 비피 도박테리움 롱굼 H-1, 및 박테로이데스 속 균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실 발효물은 체내로 흡수가 용이한 비극성 화합물인 퀘르세틴이 증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20060129275A 2006-12-18 2006-12-18 과실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적 조성물 KR100759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275A KR100759773B1 (ko) 2006-12-18 2006-12-18 과실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275A KR100759773B1 (ko) 2006-12-18 2006-12-18 과실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적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8296A Division KR20070023936A (ko) 2005-08-25 2005-08-25 과실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447A true KR20070024447A (ko) 2007-03-02
KR100759773B1 KR100759773B1 (ko) 2007-10-04

Family

ID=38099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9275A KR100759773B1 (ko) 2006-12-18 2006-12-18 과실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97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298B1 (ko) * 2007-11-13 2009-10-08 김광부 야콘을 이용한 발효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17933A (ko) * 2012-08-02 2014-02-1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당뇨병 개선 효과능이 있는 탱자 발효 조성물
CN114276961A (zh) * 2021-12-30 2022-04-05 光明乳业股份有限公司 一种长双歧杆菌婴儿亚种ccfm1192菌株、发酵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9197B1 (ko) * 2008-10-02 2011-12-27 이상희 유상 발효에 의한 항암 조성물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4663A (ko) * 2005-03-02 2005-04-14 김두현 고압을 이용한 과채즙 젖산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298B1 (ko) * 2007-11-13 2009-10-08 김광부 야콘을 이용한 발효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17933A (ko) * 2012-08-02 2014-02-1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당뇨병 개선 효과능이 있는 탱자 발효 조성물
CN114276961A (zh) * 2021-12-30 2022-04-05 光明乳业股份有限公司 一种长双歧杆菌婴儿亚种ccfm1192菌株、发酵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9773B1 (ko) 2007-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9957B1 (ko) 아라비노자일란으로부터 수득되는 아라비노스를 포함하는 허혈성 질환 및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0834850B1 (ko) 항알레르기성 비염, 항아토피성 피부염 또는 항만성천식 효과를 지니는 복합생약 조성물
Elbermawi et al. Isola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compounds from Rumex vesicarius L. and their use as a component of a synbiotic preparation
KR100759773B1 (ko) 과실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적 조성물
KR20070023936A (ko) 과실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2167812B1 (ko) 장건강 및 장개선 효능을 가지는 수수 및 팥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0254594A (ja) 腸内バクテロイデス増殖促進剤
KR101023487B1 (ko) 오미자, 황금 및 해동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00884B1 (ko) 결명자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변비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230080987A (ko) 영여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155057B1 (ko) 홍삼 및 산화질소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순환 및 혈관질환 예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407188B1 (ko) 발효 또는 비발효된 혼합 생약 추출물을 이용한 대사성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99398B1 (ko) 액상발효법을 이용한 산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산마늘 발효물을 포함하는 당뇨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70024446A (ko) 과실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당뇨의 치료 또는 예방용약학적 조성물
KR101044717B1 (ko)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지연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142516A (ko) 시호 및 꽈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00000956A (ko) 프로피오니바크테리움 후레우덴레이키,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70679B1 (ko) 고상발효법을 이용한 산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산마늘 발효물을 포함하는 당뇨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71492A (ko) 도토리 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0694569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우묵사스레피 추출물 및 이로 부터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164908B1 (ko) 천문동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치료 또는 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KR101222779B1 (ko) 식용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052067B1 (ko) 산채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16914B1 (ko) 리조푸스 속 균주를 함유하는 위염 및 소화성 궤양의 치료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0473529B1 (ko) 순기산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