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4255A -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 - Google Patents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4255A
KR20070024255A KR1020050079009A KR20050079009A KR20070024255A KR 20070024255 A KR20070024255 A KR 20070024255A KR 1020050079009 A KR1020050079009 A KR 1020050079009A KR 20050079009 A KR20050079009 A KR 20050079009A KR 20070024255 A KR20070024255 A KR 20070024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turntable
clamp
disc
fric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9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계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Priority to KR1020050079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4255A/ko
Priority to US11/508,826 priority patent/US20070050786A1/en
Publication of KR20070024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2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4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pivoting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Landscapes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픽업베이스(20)상에 구비된 스핀들모터(22)에 의해 회전되고 디스크(D)가 안착되는 턴테이블(24)과, 상기 턴테이블(24)에 디스크(D)가 안착된 상태에서 턴테이블(24)과 결합되어 상기 디스크(D)를 턴테이블(24)에 고정시키는 클램프(30)와, 턴테이블 (24)및 클램프(30)와 디스크(D)가 일체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디스크(D)를 기준으로 상기 스핀들모터(22)의 반대쪽의 디스크(D)표면에 밀착되는 마찰부재(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찰부재(38)는 상기 클램프(30)의 하면에 설치되어 디스크(D)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에 의하면, 턴테이블에 안착되는 디스크와 광픽업 사이의 거리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어 디스크 드라이브의 신호기록과 재생이 정확하게 수행되고, 디스크가 클램프에 접촉되더라도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아 디스크의 손상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디스크 드라이브, 디스크, 클램핑, 마찰부재

Description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Disk clamping structure for disk driv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디스크가 클램핑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픽업베이스 22: 스핀들모터
24: 턴테이블 26: 삽입콘
27: 가이드공 28: 광픽업
30: 클램프 32: 콘안착홈
33: 가이드돌기 34: 마그네트
36: 걸이날개 38: 마찰부재
40: 캐비넷 42: 걸이부
43: 클램프통공
본 발명은 디스크 드라이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크를 턴테이블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메인베이스(1)가 디스크 드라이브의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메인베이스(1)의 중앙에는 대략 4각형상의 통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공부에는 픽업베이스(3)가 설치된다.
상기 픽업베이스(3)는 그 후단부가 상기 메인베이스(1)에 방진구(5)를 통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방진구(5)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 것으로, 픽업베이스(3)를 메인베이스(1)에 지지함과 동시에 이들 사이에서 진동과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픽업베이스(3)에는 디스크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모터(7)가 설치된다. 상기 스핀들모터(7)의 상단에는 디스크(D)가 안착되고 스핀들모터(7)에 의해 회전되는 턴테이블(8)이 구비된다. 상기 턴테이블(8)의 상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원형상으로 마찰부재(8p)가 설치된다. 상기 마찰부재(8p)는 디스크(D)가 턴테이블(8)과 아래에서 설명될 클램프(15)사이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턴테이블(8)의 상면 중앙에는 디스크(D)의 중앙통공이 외 주면에 압입되는 삽입콘(8')이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삽입콘(8')의 중앙에는 가이드공(8h)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픽업베이스(3) 상에는 광픽업(9)이 가이드축(10)을 따라 안내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광픽업(9)은 디스크(D)의 신호기록면에 광을 조사하여 신호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신호를 독취하는 것으로 슬레드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가이드축(10)을 따라 이동된다.
한편, 상기 픽업베이스(3)의 선단은 승강베이스(12)에 지지된다. 상기 승강베이스(12)와 픽업베이스(3)의 사이에도 역시 방진구(5')가 안착되어 상기 픽업베이스(3)를 승강베이스(12)에 지지함과 동시에 소음과 진동의 전달을 방지한다.
상기 승강베이스(12)는 그 후단부 양단에 회전중심축(13)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중심축(13)은 상기 메인베이스(1)에 삽입되어 승강베이스(12)의 선단이 승강되는 회전중심이 된다.
한편, 상기 턴테이블(8)에 안착된 디스크(D)가 회전중에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클램핑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디스크(D)를 턴테이블(8)에 고정하는 것은 클램프(15)이다. 상기 클램프(15)는 대략 원판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 마그네트(16)가 설치된다. 상기 클램프(15)의 하면에는 상기 삽입콘(8')의 가이드공(8h)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18)가 구비된다. 상기 원판상의 클램프(15)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클램프(15)의 하면에 비해 높은 위치에 있도록 단차지게 걸이날개(18')가 형성된다.
상기 클램프(15)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적어도 상면과 양측면 외관을 형성하 는 캐비넷(19)에 요입되어 형성된 요홈부(19')에 구비된다. 상기 요홈부(19')는 상기 캐비넷(19)의 상면이 요입되게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클램프(15)가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클램프(15)는 턴테이블(8)에 안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걸이날개(18')가 상기 요홈부(19')에 걸어져 상기 캐비넷(19)에 지지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서 상기 픽업베이스(3)는 디스크(D)가 트레이에 의해 디스크 드라이브의 내부로 로딩되는 동작과 연동되어 그 선단이 상승된다. 따라서 상기 턴테이블(8)의 상부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된 디스크(D)를 턴테이블(8)에 안착시키면서 상승하여 상기 클램프(15)가 턴테이블(8)에 부착되게 한다.
이와 같이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테이블(8)에 안착된 디스크(D)를 클램프(15)가 턴테이블(8)에 마그네트(16)의 자력에 의해 부착되면서 고정하여 턴테이블(8)상에서 디스크(D)가 슬립되지 않도록 한다. 특히, 상기 마찰부재(8p)는 디스크(D)가 턴테이블(8)과 클램프(15)사이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돌기(18)는 상기 가이드공(8h)에 삽입되고 상기 클램프(15)는 상기 턴테이블(8)과 함께 들어올려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날개(18')가 상기 요홈부(19')에 걸어지지 않은 상태가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턴테이블(8)상에 안착된 디스크(D)의 신호기록면과 상기 픽업베이스(3)상에서 이동하는 상기 광픽업(9)과의 수직 거리는 신호를 기록하고 재생하는데 매우 중요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턴테이블(8)상에 설치된 상기 마찰부재(8p)는 상 대적으로 두께의 치수 공차가 심하고, 변형이 잘 발생하여 디스크(D)와 광픽업(9)사이의 치수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D)를 턴테이블(8)상에 고정하는 상기 클램프(15)는 일반적으로 금속재질로 구성되는데, 디스크(D)가 로딩 및 언로딩되는 과정에서 디스크(D)에 접촉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디스크(D)에 스크래치가 발생하여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크와 광픽업사이의 치수관리가 정확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크와 클램프의 접촉에 의한 스크래치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픽업베이스상에 구비된 스핀들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디스크가 안착되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에 디스크가 안착된 상태에서 턴테이블과 결합되어 상기 디스크를 턴테이블에 고정시키는 클램프와, 턴테이블 및 클램프와 디스크가 일체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디스크를 기준으로 상기 스핀들모터의 반대쪽의 디스크표면에 밀착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클램프의 하면에 설치되어 디스크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된다.
상기 마찰부재는 단면이 납작한 장방형인 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클램프의 하면에 원형의 궤적을 가지도록 간헐적으로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에 의하면, 턴테이블에 안착되는 디스크와 광픽업 사이의 거리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어 디스크 드라이브의 신호기록과 재생이 정확하게 수행되고, 디스크가 클램프에 접촉되더라도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아 디스크의 손상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부분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디스크 드라이브의 내부에 설치되는 픽업베이스(20) 상에는 스핀들모터(22)가 설치된다. 상기 스핀들모터(22)는 디스크(D)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스핀들모터(22)의 회전축에는 턴테이블(24)이 설치된다. 상기 턴테이블(24)상에는 디스크(D)가 안착된다. 상기 턴테이블(24)의 중심에는 삽입콘(26)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콘(26)의 중앙에는 가이드공(2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픽업베이스(20)에는 상기 디스크(D)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턴테이블(24)에 근접하는 위치와 멀어지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광픽업(28)이 설치된다. 상기 광픽업(28)은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어 이동하면서, 디스크(D) 의 신호기록면에 신호를 기록하고 재생한다.
클램프(30)는 상기 턴테이블(24)에 안착된 디스크(D)에 밀착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것이다. 상기 클램프(30)의 하면에는 상기 삽입콘(26)이 위치되는 콘안착홈(32)이 형성된다. 상기 콘안착홈(32)에는 상기 턴테이블(24)의 삽입콘(26)을 향하도록 가이드돌기(33)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콘안착홈(32)와 가이드돌기(33) 등은 턴테이블(24)에 클램프(30)가 정확하게 안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인데, 도시된 실시예와 다른 구성이 채용될 수도 있다.
상기 클램프(30)의 내부에는 마그네트(34)가 구비된다. 상기 마그네트(34)는 상기 콘안착홈(32)에 해당되는 클램프(3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그네트(34)는 그 자력에 의해 상기 삽입콘(26)에 클램프(30)가 부착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삽입콘(26)은 자체가 자성체이거나 별도의 자성체가 구비되어야 한다. 참고로, 클램프(30)의 내부에 반드시 마그네트(34)가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마그네트(34) 대신에 중량물을 클램프(30)의 내부에 두거나, 클램프(30) 자체가 중량물이 되도록 하여 디스크(D)를 클램핑할 수도 있다.
상기 클램프(30)는 그 하단에 비해 상단의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는데, 상기 클램프(30)의 상단을 둘러서는 걸이날개(36)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날개(36)는 상기 픽업베이스(20)가 상대적으로 하강하여 클램프(30)가 턴테이블(24)에서 분리되었을 때, 클램프(30)가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부(42)에 걸어져 지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클램프(30)의 하면에는 상기 디스크(D)의 중앙통공의 가장자리에 대응 되는 위치에 마찰부재(38)가 구비된다. 상기 마찰부재(38)는 대략 원형상으로 그 단면이 납작한 장방형으로 된다. 상기 마찰부재(38)는 상기 클램프(30)와 턴테이블(24)의 사이에서 디스크(D)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 마찰부재(38)는 반드시 원형상일 필요는 없으며, 원형상의 궤적에 간헐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캐비넷(40)은 디스크 드라이브의 외관을 구성하는 것으로, 그 일측에는 걸이부(42)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부(42)는 상기 캐비넷(40)의 일측이 요입되게 형성되어 구성된 것이다. 상기 걸이부(42)의 중앙에는 상기 클램프(30)가 관통하여 위치되는 클램프통공(43)이 형성된다. 상기 클램프통공(43)은 상기 클램프(30)의 하단의 직경보다는 큰 직경을 가지고, 상기 걸이날개(36)가 있는 클램프(30)의 상단의 직경보다는 작은 직경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클램프통공(43)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상기 걸이부(42)의 바닥면에 상기 걸이날개(36)가 걸어져 클램프(30)가 걸이부(42)에 지지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이부(42)가 상기 캐비넷(4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별개로 제작되어 부착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42'는 상기 걸이부(42) 내부를 외부와 차폐하는 차폐판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디스크(D)가 트레이에 의해 디스크 드라이브의 내부로 운반되는 로딩동작시에는 상기 픽업베이스(20)의 선단이 상대적으로 하강하여 있어, 디스크(D)의 이동시 턴테이블(24) 등과 충돌하기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 다.
하지만, 로딩동작의 말기에는 상기 픽업베이스(20)의 선단이 상승되면서, 상기 턴테이블(24)에 디스크(D)가 안착된다. 즉, 상기 턴테이블(24)의 삽입콘(26)에 상기 디스크(D)의 중앙통공이 삽입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클램프(30)가 상기 턴테이블(24)에 결합되면서, 디스크(D)를 턴테이블(24)에 고정한다.
최종적으로 디스크(D)가 상기 턴테이블(24)에 상기 클램프(30)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30)의 걸이날개(36)가 상기 걸이부(42)에 더 이상 지지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클램프(30)가 상기 걸이부(42)와 간섭되지 않고 상기 턴테이블(24) 및 디스크(D)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클램프(30)의 하면 가장자리를 둘러 구비되는 마찰부재(38)는 상기 턴테이블(24)에 안착된 디스크(D)의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클램프(30)에 대해 디스크(D)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클램프(30)의 마찰부재(38)가 상기 디스크(D)를 눌러주면, 턴테이블(24)에 대해서는 디스크(D)가 임의로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이는 상기 클램프(30)가 상기 턴테이블(24)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턴테이블(24)과 함께 디스크(D)가 회전하는 상태에서 상기 광픽업(28)이 상기 디스크(D)의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크(D)의 신호기록면에 광을 조사하여 신호를 기록하거나 재생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턴테이블(24), 디스크(D) 및 클램프(30)가 일체로 회전되도록 함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30)가 턴테이블(24)에 마그네트(34)의 자력 등에 의해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클램프(30)의 하면에 있는 마찰부재(38)가 디스크(D)를 눌러주어 클램프(30) 및 턴테이블(24)에 대해 디스크(D)가 상대회전하지 않도록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 클램프의 하면에 마찰부재가 구비되어 디스크를 턴테이블에 고정하여, 클램프, 디스크 및 턴테이블이 일체로 회전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턴테이블의 상면, 즉 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서 광픽업까지의 수직거리 관리가 보다 정확하게 되어, 디스크 드라이브의 동작특성이 좋아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클램프의 하면에 마찰부재가 구비되어 있어 디스크가 로딩 및 언로딩되는 과정에서 클램프에 접촉하더라도, 상기 마찰부재가 디스크와 접촉되어 디스크에 스크레치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디스크의 손상이 미연에 방지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픽업베이스상에 구비된 스핀들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디스크가 안착되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에 디스크가 안착된 상태에서 턴테이블과 결합되어 상기 디스크를 턴테이블에 고정시키는 클램프와,
    턴테이블 및 클램프와 디스크가 일체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디스크를 기준으로 상기 스핀들모터의 반대쪽의 디스크표면에 밀착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클램프의 하면에 설치되어 디스크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단면이 납작한 장방형인 원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클램프의 하면에 원형의 궤적을 가지도록 간헐적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
KR1020050079009A 2005-08-26 2005-08-26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 KR2007002425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9009A KR20070024255A (ko) 2005-08-26 2005-08-26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
US11/508,826 US20070050786A1 (en) 2005-08-26 2006-08-24 Disk clamping apparatus for disk dri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9009A KR20070024255A (ko) 2005-08-26 2005-08-26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255A true KR20070024255A (ko) 2007-03-02

Family

ID=37805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9009A KR20070024255A (ko) 2005-08-26 2005-08-26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70050786A1 (ko)
KR (1) KR2007002425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81660B (zh) * 2008-03-13 2013-03-20 株式会社理光 光盘旋转设备与记录和复制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70851B (en) * 2005-10-07 2007-01-11 Lite On It Corp Clamper structure for optical disc dr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50786A1 (en) 2007-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64098B2 (ja) ターンテーブル、その製法及び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US7526779B2 (en) Optical disk apparatus
KR20070024255A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
KR100641077B1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클램핑장치
KR100532449B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
KR100524967B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
KR20110011168A (ko) 광디스크 구동 장치
US7168080B2 (en) Optical disc drive and method
JP2009170042A (ja) クランプ装置、およびディスク装置
KR100569501B1 (ko) 차량용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클램핑 조립체
KR20080060813A (ko)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클램핑장치
JPH067490Y2 (ja)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ローディング機構
KR20090074581A (ko) 디스크드라이브의 턴테이블
KR100487824B1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진동저감장치
JP2006209819A (ja) トレイを備えたディスク装置
JP3596803B2 (ja) 情報記録媒体駆動装置
JP3767442B2 (ja) ディスク装置
KR100574946B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
JP3785976B2 (ja) ディスククランプ装置
KR100718359B1 (ko)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언클램핑장치
JP4283865B2 (ja) ディスク装置
JP2001229596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KR100425304B1 (ko) 광디스크 체인저
JP3717677B2 (ja) 情報記録媒体駆動装置
KR20040033716A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클램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