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1270A -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성형체 - Google Patents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성형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1270A
KR20070021270A KR1020067027036A KR20067027036A KR20070021270A KR 20070021270 A KR20070021270 A KR 20070021270A KR 1020067027036 A KR1020067027036 A KR 1020067027036A KR 20067027036 A KR20067027036 A KR 20067027036A KR 20070021270 A KR20070021270 A KR 20070021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fluorine
resin
atom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7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0437B1 (ko
Inventor
에이지 마스다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27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0437B1/ko
Publication of KR20070021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1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0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04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08L23/22Copolymers of isobutene; Butyl rubber ; Homo- or copolymers of other iso-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L33/1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4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D01F6/4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of 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열가소성 수지, 및 (B)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를 구성 단위로 하는 불소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은 발수 발유성이 우수한 성형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112006095329929-PCT00007
[식 중, X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CFX1X2기(단, X1 및 X2는 수소 원자,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또는 요오드 원자이다.), 시아노기, 탄소수 1 내지 21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 플루오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질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 Y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지방족기 등, Rf는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 플루오로알킬기 또는 플루오로알케닐기임]
열가소성 수지, 불소 함유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성형체

Description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성형체 {RESIN COMPOSITION AND MOLDINGS THEREOF}
본 발명은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성형체는 불소 함유 중합체가 성형체 표면에 편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성형체는 가정 용품, 문방구, 내장 자재, 위생 용품, 의료 용품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성형체 표면에 발수 발유성을 부여하기 위해 표면에 불소 처리를 실시하는 기술은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성형 후에 불소 처리를 실시하는 방법에서는 발수 발유 기능의 지속성이 약하고, 반복 사용하면 발수 발유 기능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성형 가공 전의 단계에서 수지 중에 불소 화합물을 가하여 용융 혼련함으로써, 성형 후 표면에 불소 성분을 편석(偏析)시켜서 발수 발유성을 부여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제2631911호 공보에서는 오일상 또는 검상의 퍼플루오로화 폴리에테르, 퍼플루오로화 폴리프로필렌 옥시드를 열가소성 수지에 용융 혼련한 조성물에 있어서, 성형체의 내부와 표면에 있어서의 불소량이 다른, 표면에 보다 많은 불소를 편석시킨 성형체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불소 첨가제와 열가소성 수지의 상용성이 매우 나빠, 고효율, 고전단 압출기에 의한 혼련이 필요하다고 여겨지고 있다. 일본 특허 제2505536호 공보에서는 1 가 또는 2가의 알코올과 퍼플루오로알킬기 및 하나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화합물의 에스테르와 플라스틱의 용융 혼련을 행하고, 성형함으로써 성형체에 발수 발유성을 부여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불소 첨가제의 배합량이 5 중량%로 다량 필요하여 제품 비용적으로 불리하다.
일본 특허 제1574020호 공보에서는 성형 온도에서 융해되도록 한정되어 있는 폴리플루오로알킬에스테르 화합물을 고무와 혼련하고, 180 ℃에서 10분간의 가열 프레스 1차 가황 및 150 ℃에서 15 시간의 오븐 2차 가황을 행함으로써, 폴리플루오로알킬 화합물의 표면으로의 삼출(블리딩)이 일어나 비점착성 표면을 형성하고, 이형성 및 발수 발유성의 부여가 가능하다고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제2685904호 공보에서는 퍼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에스테르를 열가소성 수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 배합하여 용융 혼련, 성형한 후, 추가로 70 내지 130 ℃에서 가열 처리함으로써, 액체 세정제 등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용액에 대하여 발액성을 발휘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성형체를 평가한 결과, 목적으로 하는 발알코올성을 얻을 수는 없었다.
미국 특허 제6,380,289호에서는 반결정성 제1 열가소성 중합체에 불소 함유 지방족기를 갖는 표면 개질제 및 제2 열가소성 중합체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표면 개질제에 있어서의 불소 함유 지방족기는 실시예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탄소수 8이다.
이하에 PFOA의 환경 문제에 대하여 설명한다. 최근의 연구 결과 [EPA 레포트 "PRELIMINARY RISK ASSESSMENT OF THE DEVELOPMENTAL TOXICITY ASSOCIATED WITH EXPOSURE TO PERFLUOROOCTANOIC ACID AND ITS SALTS"(http://www.epa.gov/opptintr/pfoa/pfoara.pdf)] 등에서 장쇄 플루오로알킬 화합물의 일종인 PFOA(perfluorooctanoic acid)의 환경에 대한 부하의 우려가 명백해지고 있고, 2003년 4월 14일에 EPA(미국 환경 보호청)이 PFOA에 대한 과학적 조사를 강화한다고 발표하였다.
한편, 연방 관보 [Federal Register; FR Vol.68, No.73/April 16, 2003[FRL-2303-8], http://www.epa.gov/opptintr/pfoa/pfoafr.pdf]나 문헌 [EPA Environmental News FOR RELEASE: MONDAY APRIL 14, 2003 EPA INTENSIFIES SCIENTIFIC INVESTIGATION OF A CHEMICAL PROCESSING AID(http://www.epa.gov/opptintr/pfoa/pfoaprs.pdf)] 및 문헌 [EPA OPPT FACT SHEET April 14, 2003(http://www.epa.gov/opptintr/pfoa/pfoafacts.pdf)]는 텔로머가 분해 또는 대사에 의해 PFOA를 생성할 가능성이 있다고 공표하였다(텔로머란 장쇄 플루오로알킬기를 의미함). 또한, 텔로머가 발수 발유성, 방오성이 부여된 소포화제, 케어 제품, 세정 제품, 카페트, 직물, 종이, 피혁 등의 많은 제품에 사용되고 있는 것도 공표하였다.
발액성을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중합체와 불소 화합물을 용융 혼합하여 성형함으로써 불소 화합물이 표면에 편석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공지 기술에 따라 성형체를 제조하더라도, 불소 화합물을 표면에 용이하게 편석시키기 위해서는 열가소성 수지와 상용성이 나쁜 불소 화합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한정된 조건으로 수행해야만 하였다. 또한, 통상적인 조건으로 혼련이 가능하더라도 불소 화합물의 첨가량을 많게 할 필요가 있는 등의 문제가 있어 비용, 공정상 바람직한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열가소성 수지에 특정 불소 함유 중합체를 용융 혼련한 후 성형체로 함으로써 불소 화합물이 효과적으로 표면에 편석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A) 열가소성 수지, 및
(B)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불소 함유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를 구성 단위로 하는 불소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6095329929-PCT00001
[식 중, X는 수소 원자, 메틸기,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CFX1X2기(단, X1 및 X2는 수소 원자,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또는 요오드 원자임), 시아노기, 탄소수 1 내지 21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 플루오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질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이고,
Y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지방족기, 탄소수 6 내지 10의 방향족기 또는 환상 지방족기, -CH2CH2N(R1)SO2-기(단, R1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임) 또는 -CH2CH(OY1)CH2-기(단, Y1은 수소 원자 또는 아세틸기임)이고,
Rf는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 플루오로알킬기 또는 플루오로알케닐기임]
본 발명은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성형체에도 관한 것이다. 성형체의 형상은 섬유, 필름, 튜브 등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발수 발유성(특히, 발알코올성)이 우수한 성형체를 얻을 수 있다. 이 성형체는 비교적 저렴하고, 가정 용품(예를 들면, 세면기), 문방구(예를 들면, 잉크병), 내장 자재, 위생 용품, 의료 용품 등의 제품에 사용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열가소성 수지(A)의 예는 폴리아미드 수지(예를 들면, 나일론 6, 나일론 12, 나일론 66, 방향족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수지(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올레핀 수지(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과 C4 내지 C20 α 올레핀과의 공중합체, 에틸렌과 프로필렌과 C4 내지 C20 α 올레핀과의 3원 공중합체, 에틸렌과 비닐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프로필렌과 비닐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스티렌과 α 올레핀의 공중합체, 폴리부틸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에테르 수지,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에틸렌알킬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디엔 수지(예를 들면, 폴리부타디엔, 이소부틸렌과 이소프렌과의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 폴리에테르이미드 수지, 폴리에테르술폰 수지, 폴리페닐렌술피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이다.
이들 중에서 폴리올레핀 수지가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수지로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폴리부틸렌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포함된다. 또한 폴리프로필렌에는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신디오택틱 폴리프로필렌, 아택틱 폴리프로필렌, 비정질성 폴리프로필렌이 포함된다.
상기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이란 지글러 나타계 촉매, 메탈로센 촉매에 의해 제조된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을 주체로 하는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을 말하며, 사출 성형용, 압출 성형용, 필름용, 섬유용 등,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성형용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선택, 입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비정질성 폴리프로필렌은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한 결정성이 매우 낮은 프로필렌이다. 비정질성 폴리프로필렌은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한 결정성이 매우 낮은 폴리프로필렌(예를 들면, 혼합물 합계량의 적어도 50 중량%)과 다른 프로필렌의 혼합물일 수 있다. 비정질성 폴리프로필렌은 예를 들면, 스미또모 가가꾸사 제조의 타프셀렌 T-3512, T-3522 등으로서 입수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A)는 2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의 혼합물일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A)로서는 제1 수지 및 제1 수지보다 결정성 또는 융점 이 낮은 제2 수지의 수지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제2 수지의 결정성 또는 융점 중 한쪽이 제1 수지의 것보다 낮을 수 있고, 또는 제2 수지의 결정성 및 융점 모두가 제1 수지의 것보다 낮을 수 있다. 제2 수지는 2종 이상의 수지의 혼합물일 수 있다.
바람직한 제1 수지/제2 수지의 조합은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폴리부틸렌, 폴리프로필렌/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에틸렌-α 올레핀 공중합체이다. 폴리프로필렌/폴리프로필렌의 조합에 있어서, 제1 수지는 이소택틱 프로필렌(결정성 프로필렌)이고, 제2 수지는 비정질성 프로필렌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수지와 제2 수지의 수지 혼합물에 있어서, 제2 수지의 양은 1 내지 60 중량%, 예를 들면 2 내지 40 중량%, 특히 3 내지 30 중량%, 특별하게는 5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결정성은 DSC(시차 주사 열량 측정법)에 의해 측정되는 결정화 열량을 의미한다. 20 ℃에서 200 ℃까지 가열한 후, 20 ℃까지 냉각했을 때에 나타나는 발열 피크의 열량을 말한다. 제2 수지의 결정화 열량이 제1 수지의 결정화 열량에 비해 1 J/g 이상, 바람직하게는 5 J/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J/g 이상, 예를 들면 15 J/g 이상, 특히 20 J/g 이상 낮을 수 있다.
융점에 대해서는 DTA(시차 열분석)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실온(10 ℃ 내지 30 ℃)으로부터 가열했을 때에 나타나는 흡열 피크 온도를 말한다. 제2 수지의 융점이 제1 수지의 융점에 비해 10 ℃ 이상,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 예를 들면 20 ℃ 이상, 특히 25 ℃ 이상 낮을 수 있다.
불소 화합물의 표면으로의 편석 정도에 대해서는 XPS(X선 광전자 분광법)에 의해 표면의 불소 분석을 행하는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해 얻어진 표면의 불소 농도의 값으로부터 불소 화합물의 표면으로의 편석 정도를 비교할 수 있다.
불소 함유 중합체(B)는 불소 함유 중합성 화합물의 단독 중합체, 또는 불소 함유 중합성 화합물과 공중합 가능한 중합성 화합물(특히, 비불소 중합성 화합물)의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공지된 기술에 의해 제조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불소 함유 중합성 화합물은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불소 함유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6095329929-PCT00002
[식 중, X는 수소 원자, 메틸기,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CFX1X2기(단, X1 및 X2는 수소 원자,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또는 요오드 원자임), 시아노기, 탄소수 1 내지 21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 플루오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질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이고,
Y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지방족기, 탄소수 6 내지 10의 방향족기 또는 환상 지방족기, -CH2CH2N(R1)SO2-기(단, R1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임) 또는 -CH2CH(OY1)CH2-기(단, Y1은 수소 원자 또는 아세틸기임)이고,
Rf는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 플루오로알킬기 또는 플루오로알케닐기임]
불소 함유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에 있어서, X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I에 있어서, Rf기가 퍼플루오로알킬기 또는 퍼플루오로알케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플루오로알킬기 또는 플루오로알케닐기의 탄소수는 1 내지 6, 예를 들면 1 내지 4이다.
플루오로알킬기의 예는 -CF3, -CF2CF3, -CF2CF2CF3, -CF(CF3)2, -CF2CF2CF2CF3, -CF2CF(CF3)2, -C(CF3)3, -(CF2)4CF3, -(CF2)2CF(CF3)2, -CF2C(CF3)3, -CF(CF3)CF2CF2CF3, -(CF2)5CF3, -(CF2)3CF(CF3)2 등이다.
플루오로알케닐기의 예는 -CF=CF2, -CF2CF=CF2, -(CF2)2CF=CF2, -CF2C(CF3)=CF2, -CF(CF3)CF=CF2, -(CF2)3CF=CF2, -C(CF3)2CF=CF2, -(CF2)2C(CF3)=CF2, -(CF2)4CF=CF2, -(CF2)4CF=CF2, -(CF2)3C(CF3)=CF2 등이다.
Y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지방족기, 탄소수 6 내지 10의 방향족기 또는 환상 지방족기, -CH2CH2N(R1)SO2-기(단, R1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임) 또는 -CH2CH(OY1)CH2-기(단, Y1은 수소 원자 또는 아세틸기임)이다. 지방족기는 알킬렌기(특히 탄소수 1 내지 4, 예를 들면, 1 또는 2)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족기 및 환상 지방족기는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을 수 있다.
불소 함유 중합성 화합물의 예로서,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불소 함유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Figure 112006095329929-PCT00003
[식 중, Rf는 탄소수 1 내지 6의 퍼플루오로알킬기,
R1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R2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
R3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
Ar은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아릴기,
n은 1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냄]
불소 함유 중합성 화합물의 구체예는
CF3(CF2)5(CH2)OCOCH=CH2,
CF3(CF2)5(CH2)OCOC(CH3)=CH2,
(CF3)2CF(CF2)3(CH2)2OCOCH=CH2,
CF3(CF2)3(CH2)2OCOC(CH3)=CH2,
CF3(CF2)3(CH2)2OCOCH=CH2,
CF3CF2(CH2)2OCOCH=CH2,
CF3(CF2)3SO2N(CH3)(CH2)2OCOCH=CH2,
CF3(CF2)3SO2N(C2H5)(CH2)2OCOC(CH3)=CH2,
(CF3)2CF(CF2)3CH2CH(OCOCH3)CH2OCOC(CH3)=CH2,
(CF3)2CF(CF2)3CH2CH(OH)CH2OCOCH=CH2
를 예시할 수 있다.
공중합 가능한 중합성 화합물은 비불소 중합성 화합물일 수 있다.
불소 함유 중합체는 구성 반복 단위로서 염소 함유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염소 함유 중합성 화합물은 염소 및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이다. 염소 함유 중합성 화합물의 예는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α-클로로아크릴 레이트(예를 들면, 알킬(탄소수 1 내지 30)에스테르) 및 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이다.
비불소 중합성 화합물은 예를 들면 비불소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비불소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는 일반적으로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불소 함유 중합체는 비불소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X1-CX2=CH2
[식 중, X1은 알킬카르복실레이트기(알킬기의 탄소수 1 내지 18), X2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임]
다른 공중합 가능한 중합성 화합물에는 다양한 것이 있지만, 예시하면,
(1)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및 이들의 메틸, 에틸, 부틸, 이소부틸, t-부틸, 프로필, 2-에틸헥실, 헥실, 데실, 라우릴, 스테아릴, 이소보르닐, β-히드록시에틸, 글리시딜 에스테르, 페닐, 벤질, 4-시아노페닐에스테르류,
(2)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카프릴산, 라우릴산, 스테아르산 등의 지방산의 비닐 에스테르류,
(3)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등의 스티렌계 화합물,
(4) 불화비닐, 브롬화비닐, 불화비닐리덴 등의 (염화물을 제외) 할로겐화비 닐 또는 비닐리덴 화합물류,
(5) 헵탄산알릴, 카프릴산알릴, 카프로산알릴 등의 지방족의 알릴 에스테르류,
(6) 비닐메틸케톤, 비닐에틸케톤 등의 비닐알킬케톤류,
(7) N-메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아미드류 및
(8) 2,3-디클로로-1,3-부타디엔, 이소프렌 등의 디엔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공중량체인 불소 함유 중합체에 있어서, 불소 함유 중합성 화합물의 양은 10 중량% 이상, 예를 들면 20 내지 80 중량%, 특히 30 내지 60 중량%일 수 있다. 불소 함유 중합체에 있어서, 염소 함유 중합성 화합물의 양은 50 중량% 이하, 예를 들면 0 내지 30 중량%, 특히 0.5 내지 25 중량%일 수 있다.
불소 함유 중합체의 분자량은 일반적으로 1,000 내지 1,000,000, 특히 3,000 내지 50,000일 수 있다(예를 들면, GPC로 측정하여 폴리스티렌 환산).
불소 함유 중합체(B)의 양은 열가소성 수지 (A)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 예를 들면 0.1 내지 5 중량부, 특히 0.5 내지 3 중량부일 수 있다.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첨가제(즉, 보조제), 예를 들면, 염료, 안료,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광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중화제, 조핵제, 에폭시 안정제, 윤활제, 항균제, 난연제, 가소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A)와 불소 함유 중합체(B)를 혼련(예를 들면 용융 혼련)함으로써 얻어진다.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수지(A)와 불소 함유 중합체(B)는 용융 상태에서 상용성이다. 혼련은 예를 들면 1축 압출기, 2축 압출기, 롤 등 종래 공지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압출 성형, 사출 성형, 압축 성형, 프레스 등에 의한 필름화 등 공지된 방법에 의해 성형할 수 있다. 수지 조성물은 각종 성형체, 예를 들면 섬유, 필름, 튜브 등의 형상의 성형체로 성형될 수 있다. 얻어진 성형체에 대해서는 공지된 기술에 따라서 성형 가공한 후 추가로 오븐, 건조로 등에서 가열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섬유에 있어서, 직경은 0.2 내지 2000 마이크로미터, 예를 들면 0.5 내지 50 마이크로미터, 길이는 0.2 ㎜ 내지 200 ㎜, 예를 들면 2 내지 3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부직포로 할 수도 있다. 부직포는 카드법, 에어레이드법, 초지법, 또는 용융 압출로부터 직접 부직포를 얻는 멜트 블로운법이나 스펀 본드법 등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용융 압출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A)와 불소 함유 중합체(B) 모두를 용융하는 것과 같은 온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의 평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1 내지 1000 g/㎡일 수 있다. 부직포의 평량은 부직포의 용도에 따라서 예를 들면, 액 흡수성 물품의 표면재 등에서는 5 내지 60 g/㎡, 흡수성 물품이나 와이퍼 등에서는 10 내지 500 g/㎡, 필터에서는 8 내지 1000 g/㎡가 바람직하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상세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
PP-3155(엑손 모빌(Exxon Mobil)사 제조)(제1 수지)(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90 중량부, 폴리에틸렌 J1019(우베 고산사 제조)(제2 수지)(저밀도 폴리에틸렌) 10 중량부, CnF2n +1CH2CH2OCOCH=CH2(n=6, 8, 10, 12, 14(n의 평균은 8)의 화합물의 혼합물)(불소 함유 단량체, 이하 "FA"라 표시함)와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이하 "StA"라 표시함)의 공중합체로, FA/StA=40/60(중량비)의 조성을 갖는 중합체(불소 함유 중합체) 1 중량부를 2축 압출기로 180 ℃에서 용융 혼련한 후, 가열 프레스로 성형하여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발알코올성을 확인하기 위해 IPA/물=70/30(부피비) 혼합액, 및 물로 접촉각 측정을 행하였다. 표면으로의 불소 화합물의 편석 정도에 대해서는 시마즈 세이사꾸쇼사 제조의 ESCA-3400을 이용하여 필름 표면의 불소 성분을 분석하였다. 수지의 융점에 대해서는 에스아이아이·나노테크놀로지사 제조의 RTG220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수지의 결정화 열량에 대해서는 메틀러·토레도사 제조의 DSC822e로 분석하였다.
실시예 1
제2 수지를 폴리부틸렌 DP-8911(쉘(Shell)사 제조) 10 중량부, 불소 함유 중합체로서 C6F13CH2CH2OCOCH=CH2(불소 함유 단량체, 이하 "13FA"라 표시함)와 StA의 공중합체이고, 13FA/StA=40/60(중량비)의 조성을 갖는 중합체로 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 2
불소 함유 중합체로서 C6F13CH2CH2OCOC(CH3)=CH2(불소 함유 단량체, 이하 "13FMA"라 표시함)와 StA의 공중합체이고, 13FMA/StA=40/60(중량비)의 조성을 갖는 중합체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 3
제2 수지를 폴리에틸렌 J5019(우베 고산사 제조)(저밀도 폴리에틸렌) 10 중량부, 불소 함유 중합체로서 C4F9CH2CH2OCOCH=CH2(불소 함유 단량체, 이하 "9FA"라 표시함)와 StA의 공중합체이고, 9FA/StA=40/60(중량비)의 조성을 갖는 중합체를 1 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 4
불소 함유 중합체로서 C4F9CH2CH2OCO(CH3)=CH2(불소 함유 단량체, 이하 "9FMA"라 표시함)와 StA의 공중합체이고, 9FMA/StA=40/60(중량비)의 조성을 갖는 중합체를 1 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 5
불소 함유 중합체로서 C4F9CH2CH2OCOCCl=CH2(불소 함유 단량체, 이하 "9FClA"라 표시함)와 StA의 공중합체이고, 9FClA/StA=40/60(중량비)의 조성을 갖는 중합체를 1 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여 평 가하였다.
실시예 6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에틸렌 J1019(우베 고산사 제조) 100 중량부만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 7
제2 수지를 타프셀렌 T-3512(스미또모 가가꾸사 제조)(비정질성 프로필렌) 10 중량부, 불소 함유 중합체로서 C4F9CH2CH2OCOCH=CH2(불소 함유 단량체, 이하 "9FA"라 표시함)와 스테아릴메타크릴레이트(이하 "StMA"라 표시함)의 공중합체이고, 9FA/StMA=40/60(중량비)의 조성을 갖는 중합체를 1 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성분을 표 1에, 접촉각 및 각 분석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95329929-PCT00004
PP: 폴리프로필렌
PE: 폴리에틸렌
PB: 폴리부틸렌
Figure 112006095329929-PCT00005
표 2의 결과로부터, 불소 함유 중합성 화합물에 있어서의 Rf기의 탄소수가 4(실시예 3 내지 7) 및 6(실시예 1 내지 2)인 경우에는 탄소수가 8인 경우(비교예 1)와 비교하여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가짐을 알 수 있다.

Claims (13)

  1. (A) 열가소성 수지, 및 (B)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불소 함유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를 구성 단위로 하는 불소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화학식 I>
    Figure 112006095329929-PCT00006
    [식 중, X는 수소 원자, 메틸기,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CFX1X2기(단, X1 및 X2는 수소 원자,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또는 요오드 원자임), 시아노기, 탄소수 1 내지 21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 플루오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질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이고,
    Y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지방족기, 탄소수 6 내지 10의 방향족기 또는 환상 지방족기, -CH2CH2N(R1)SO2-기(단, R1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임) 또는 -CH2CH(OY1)CH2-기(단, Y1은 수소 원자 또는 아세틸기임)이고,
    Rf는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 플루오로알킬기 또는 플루오로알케닐기임]
  2. 제1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A)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 수지인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A)가 2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의 혼합물인 수지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가 제1 수지(I-1) 및 제2 수지(I-2)로 구성되고, 제1 수지(I-1)의 결정성 또는 융점이 제2 수지(I-2)의 결정성 또는 융점보다 높은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불소 함유 중합체(B)가 불소 함유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를 구성 단위로 하는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인 수지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불소 함유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의 화학식 I에 있어서, X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인 수지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불소 함유 중합체(B)가 불소 함유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와 비불소 중합성 화합물의 공중합체인 수지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비불소 중합성 화합물이 비불소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인 수지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비불소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가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수지 조성물.
    <화학식 i>
    X1-CX2=CH2
    [식 중, X1은 알킬카르복실레이트기(알킬기의 탄소수 1 내지 18)이고, X2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임]
  10. 제1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A) 및 불소 함유 중합체(B)를 용융 혼합하여 얻어지는 수지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성형체.
  12. 제11항에 있어서, 가정 용품, 문방구, 내장 자재, 위생 용품, 의료 용품으로서 사용되는 성형체.
  13.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섬유로 형성된 부직포.
KR1020067027036A 2004-06-25 2005-06-23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성형체 KR100820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7036A KR100820437B1 (ko) 2004-06-25 2005-06-23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성형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87850 2004-06-25
KR1020067027036A KR100820437B1 (ko) 2004-06-25 2005-06-23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성형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1270A true KR20070021270A (ko) 2007-02-22
KR100820437B1 KR100820437B1 (ko) 2008-04-08

Family

ID=43653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7036A KR100820437B1 (ko) 2004-06-25 2005-06-23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성형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0437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15598A1 (fr) 1996-10-09 1998-04-16 Daikin Industries, Ltd. Composition de resine hydrofuge et oleofu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0437B1 (ko) 2008-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71416C (en) Resin composition and moldings thereof
JP2006037085A (ja) 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TWI612063B (zh) 甲基丙烯酸烷基酯系聚合物的用途、聚烯烴系樹脂組成物及成形品
KR101385375B1 (ko) 열가소성 수지용 첨가제 및 그의 제조 방법,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
JP7162523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成形体、および成形体の製造方法
JP2685904B2 (ja) 撥液性の優れた熱可塑性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JP2021169635A (ja) 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KR100820437B1 (ko)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성형체
JP7152726B2 (ja) 含フッ素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00221971A1 (en) Water-repellent/oil-repellent agent to be added to thermoplastic resin
WO2018147201A1 (en) Water- and oil-repellent resin composition
JP5239383B2 (ja) 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JP5088805B2 (ja) ロール加工性及びカレンダー加工性に優れた樹脂組成物
JP2018150418A (ja) 難燃性マスターバッチ、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JP6764687B2 (ja) 樹脂組成物及び成形物の製造方法
JP4050704B2 (ja) ポリオレフィンを含有する対象の柔軟仕上げ
JP5673991B2 (ja) 分散性向上剤、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H10168324A (ja) 樹脂に撥水撥油性を付与するための添加剤
JP6733713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成形体及び住宅設備
JP5412024B2 (ja) プロピレン系重合体組成物
JPH08302135A (ja) 熱可塑性フッ素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製造された成形品
JP2011252177A (ja) 熱可塑性樹脂用改質剤マスターバッチ、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2018199780A (ja) 成形用材料及び成形品
JPH04153247A (ja) 耐熱・耐衝撃性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