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0095A - 화상의 우려 없이 물청소가 가능한 급식용 스팀배관의 보온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화상의 우려 없이 물청소가 가능한 급식용 스팀배관의 보온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0095A
KR20070020095A KR1020070001044A KR20070001044A KR20070020095A KR 20070020095 A KR20070020095 A KR 20070020095A KR 1020070001044 A KR1020070001044 A KR 1020070001044A KR 20070001044 A KR20070001044 A KR 20070001044A KR 20070020095 A KR20070020095 A KR 20070020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pipe
pipe
steam
spac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1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형필
Original Assignee
송형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형필 filed Critical 송형필
Priority to KR1020070001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0095A/ko
Publication of KR20070020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00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7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the insulation being located inwardly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상의 우려 없이 물청소가 가능한 급식용 스팀배관의 보온 구조를 시공하는 방법은, 스팀 배관을 위치하는 제 1 단계; 상기 스팀배관 외주 면에 내부에 일정 스페이스를 가지는 파이프를 용접 부착하는 제 2 단계; 상기 스페이스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공기 주입구를 형성하는 제 3 단계; 상기 공기 주입구에 공기를 일정 밀도로 주입하여 상기 스페이스 내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제 4 단계; 유리솜 내지 고무 발포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보온재를 상기 파이프 상에 둘러싸는 제 5 단계; 상기 보온재를 테이프로 감싸는 제 5 단계; 상기 테이프 상에 일정 두께로 이루어진 스테인리스 스틸 부재를 용접 부착하는 제 6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의 우려 없이 물청소가 가능한 급식용 스팀배관의 보온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에 따르면, 화상의 우려 없이 스팀배관 및 그 주변을 안전하게 물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보온재에 습기가 스며들어 보온재의 수명이 짧아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화상의 우려 없이 물청소가 가능한 급식용 스팀배관의 보온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STRUCTURE OF KEEPING WARM STEAM PIPE FOR PROVIDING MEALS WATER-WASHABLE WITHOUT FEAR OF SCALD AND METHOD CONSTRUCTING THEREOF}
도 1은 종래의 급식용 스팀배관의 개략적인 적층 구조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급식용 스팀배관의 보온 구조에 대한 개략적인 적층 구조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급식용 스팀배관의 보온 구조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급식용 스팀배관의 보온 구조에 국솥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급식용 스팀배관의 보온 구조를 시공하는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스팀배관 30: 보온재
20: 스테인리스 스틸 파이프 40: 보온 테이프
21: 공기주입구 50: 스테인리스 스틸 부재
22: 마개 60: 마감 캡
23: 스페이스
본 발명은 화상의 우려 없이 물청소가 가능한 급식용 스팀배관의 보온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학교, 군대, 공공장소 등에서의 급식 시설에서 스팀을 이용하여 밥 내지 국을 만드는 스팀 솥(국솥)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급식용 스팀배관을 청소할 경우 종종 발생하는 화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보온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안전하고 내열성이 강인한 스팀배관의 보온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급식 시설은 학교, 군대, 기타 단체 생활을 위한 장소에서 많은 사람의 식사를 위해 대량으로 밥과 국을 만들 수 있는 제반 장치 및 시스템을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특히 밥 내지 국을 지을 수 있는 취사용구의 경우 과거에는 가마솥이 사용되다가 그 용량의 한계 및 가열 내지 열 공급 과정에서 불편함이 발생하는 이유로 현재에는 스팀을 이용한 국솥 등의 취사용구가 자주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스팀을 이용한 취사용구는 스팀배관을 통하여 열원이 되는 스팀을 공 급받아 취사 공정을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스팀식 취사용구는 기존 흔히 사용되는 난방용 보일러에 사용되는 스팀 발생 시스템과 유사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는 편의성이 있음과 동시에 높은 열 효율성과 조작 및 취사의 수월함에 의하여 현재 대부분의 학교 급식 시설에서 사용되어지고 있다.
종래의 급식용 스팀배관은 급식장소 내부 내지 주변에 설치된 스팀 발생 장치에 연결되어 스팀 국솥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데, 이러한 스팀배관은 급식장소의 벽체 내지 천장, 바닥 면 내부에 매립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시공 상의 번거로움으로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국솥에 연결되는 부위는 국솥에 연결이 되어야 하는 필요에 의하여 매립이 불가능하고 외부로 노출될 수밖에 없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급식용 스팀배관의 개략적인 적층 구조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특히 국솥 등의 취사용구에 연결되어 외부로 노출이 되어 있는 스팀배관(1)의 보온 구조는 단열을 위하여 스팀배관(1)의 외부 표면에 일정 두께의 보온재(2)를 적층하고 있는데, 이러한 보온재(2)는 공지의 유리솜 보온 부재로 이루어져 매직테이프와 같은 보온 테이프(3)에 의하여 스팀배관의 의 둘레에 감싸여 있다. 더불어, 보온 테이프(3)의 외부로는 APS(Amino Propyltriethoxy Silane) 내지 함석 재질로 이루어진 보온 커버(4)가 적층되어 있어 보온성을 일정 부분 보장하고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급식 시설 및 취사용구, 취사용구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배관(1)은 위생상의 이유로 하루에도 수차례 청소가 이루어지게 되며, 청소는 주로 온수 내지 소독수 등을 국솥과 주변 스팀배관(1)에 뿌리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특히 스팀배관(1) 및 그 주변을 청소할 경우 스팀배관(1)의 높은 표면 온도에 의하여 청소인원이 쉽사리 화상을 입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스팀배관(1)에서 일정 거리를 두고 긴 호스에 의하여 물을 뿌리게 되는데, 이 경우 청소가 깔끔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발생할뿐더러 호스에 의하여 국솥과 스팀배관(1) 사이를 구석구석 청소하다가 역시 스팀배관(1)에 신체의 일부가 부주의로 접촉할 개연성이 높아 역시 화상이 쉽사리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도 1의 스팀배관(1)의 보온 구조에 의하면 높은 표면 온도를 가지는 스팀배관(1)의 표면을 보온재(2)로 감싸고 있어 상기 화상의 문제점을 1차적으로 어느 정도 방지할 수는 있으나 보온재(2)가 접착제에 의존한 보온 커버(4) 및 보온 테이프(3)에 의하여 감싸여 있기 때문에 물이 자주 닿게 되면 보온 커버(4) 및 보온 테이프(3)의 접착력이 떨어져 보온재(2)가 스팀배관(1)의 외주 면에서 너덜거리며 떨어지는 단점이 발생하였다.
더불어 이로 인하여 불필요하게 보온재(2) 내부로 물청소에 사용되는 물이 스며들어 스팀배관(1) 내의 스팀이 순간적으로 응축수로 변화함으로 스팀 국솥이 작동되지 않는 개연성이 있고, 보온재(2)가 습기에 의하여 스팀배관(1) 표면에 눌러 붙게 됨으로 전체적인 보온 구조의 취약성을 및 보온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보온 테이프(3)의 접착력 저하 및 보온재(2)의 변형이 이루어져 스팀배관(1)과 보온 구조 사이에 균열 내지 틈이 발생한 상태에서 이 틈 내로 물을 붇게 되면 고온 스팀에 의하여 급격히 가열된 물이 튀면서 청소인원의 신체에 화상을 입힐 수 있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접착제로 접착된 보온재가 물청소로 인하여 스팀배관에서 균열 내지 변형됨으로 스팀배관의 보온 구조를 저해하거나 화상이 발생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스팀배관의 외부에 용접 방식에 의하여 스테인리스 스틸 파이프를 부착하고 이 스테인리스 스틸 파이프 내에 공기를 주입하여 완충 기능을 수행하는 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보온 및 화상 방지 효과를 보장하는 구조를 제시하는 것이 주 목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층을 이루는 스테인리스 스틸 파이프 상에 기존의 보온재와 보온 테이프를 부착하되, 스팀배관의 최외각 부위에 다시 스테인리스 파이프를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밀봉 용접하여 외부로부터 물이 보온 테이프 내지 보온재 내로 스며들거나 물청소에 의해 접착력이 저해되는 현상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팀배관의 분기 내지 엘보우 관과 같은 절곡 내지 연결 부위, 기타 소정 부위에 마감 캡을 형성함으로 연결 부위에서 균열 내지 틈이 발생하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스테인리스 스틸 파이프 내에 주입되는 공기 밀도를 높이고 공기 주입량 파악의 용이성을 위하여 소정 온도 이하로 냉각된 응축 공기를 주입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의 우려 없이 물청소가 가능한 급식용 스팀배관의 보온 구조(100)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스팀배관(10)의 외주 면을 둘러싸고 있되, 내 측으로 스페이스(23)를 구비하고 상기 스페이스(23)의 일 측으로부터 외부까지 연장된 공기 주입구(21)를 구비하여 상기 공기 주입구(21)를 통해 상기 스페이스(23) 내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파이프(20); 상기 파이프(20)의 스페이스(23) 내에 일정 밀도로 충진 되어 있는 공기층; 유리솜 내지 고무 발포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상기 파이프(20)의 외주 면을 둘러싸는 보온재(30); 및, 상기 보온재(30)를 감싸는 테이프(40); 상기 테이프(40)를 둘러싸고 있는 스테인리스 스틸 부재(50);로 적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의 우려 없이 물청소가 가능한 급식용 스팀배관의 보온 구조(100)의 시공방법은, 스팀 배관(1)을 위치하는 제 1 단계; 상기 스팀배관(1) 외주 면에 내부에 일정 스페이스(23)를 가지는 파이프(20)를 용접 부착하는 제 2 단계; 상기 스페이스(23)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공기 주입구(21)를 형성하는 제 3 단계; 상기 공기 주입구(21)에 공기를 일정 밀도로 주입하여 상기 스페이스(23) 내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제 4 단계; 유리솜 내지 고무 발포제 중 어느 하나 로 이루어진 보온재(30)를 상기 파이프(20) 상에 둘러싸는 제 5 단계; 상기 보온재(30)를 테이프(40)로 감싸는 제 5 단계; 상기 테이프(40) 상에서 스팀배관(10)과 접촉하도록 일정 두께로 이루어진 스테인리스 스틸 부재(50)를 용접 부착하는 제 6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급식용 스팀배관(10)의 보온 구조(100)에 대한 개략적인 적층 구조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급식용 스팀배관(10)의 보온 구조(100)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급식용 스팀배관의 보온 구조(100)는 압력 조절/차단 밸브(11)와 같은 주변 장치를 포함하여 스팀 공급을 스팀 솥에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스팀배관(10)의 외주 면에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진 파이프(20)를 용접에 의하여 밀봉 부착을 하되,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파이프(20)의 내부에는 스페이스(23)(즉, 스팀배관의 외주 면과 파이프의 외주 면 사이에서 양자의 직경 차이에 의하여 발생되는 내부 공간)가 구비되어 이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도록 하고, 이 후 보온재(30) 및 보온 테이프(40)와 같은 공지의 보온 수단을 순서대로 부착한 다음, 마감 및 밀봉을 위하여 스테인리스 스틸 부재(50)를 용접 밀봉함과 동시에 파이프(20)의 연결 내지 절곡 부위에 마감 캡(60)을 실리콘 재질의 접착 부재를 이용하여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온 구조(100)의 핵심을 이루는 스테인리스 스틸 파이프(20)는 스팀배관(10)에 접착제에 의한 접착 방식이 아니라 용접에 의한 밀봉 방식을 이용하여 보다 견고하고 틈새의 발생 개연성 없이 스팀배관(10)의 외주 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것으로, 용접 공정에 의하여 스팀배관(10)에 스테인리스 스틸 파이프(20)를 부착한 다음에 일 측에 공기주입구(21)를 형성하고 이에 공기를 주입하여 스페이스(23) 내에 공기가 삽입되도록 한다.
파이프(20)가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지는 것이 효과적인 이유는, 용접 공정의 편의성을 제공할 뿐 아니라 자체적인 내구성이 강하고 부식의 우려가 적다는 것이나, 이와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다른 합금 재질을 사용하여도 본 발명의 기본 적인 목적에 저해되는 것이 아니라면 얼마든지 가능하다.
스테인리스 스틸 파이프(20) 내에 공기를 충전하는 이유는, 첫 번째, 공기층에 의하여 보온 효과를 누림과 동시에 이러한 공기층에 의하여 스팀배관(10)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고열이 외부로 발산하여 자칫 화상을 입힐 소지를 줄이는 완충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고, 두 번째, 스팀배관(10)을 오랜 시간 사용하였을 때 스테인리스 스틸 파이프(20)의 균열 현상이 있거나 마모로 인한 틈이 생길 경우 공기를 주입하여 이러한 균열 부위를 손쉽게 파악하기 위함이다.
또한 스테인리스 스틸 파이프(20) 내에 공기를 주입할 때 일반적인 공기 밀도보다 높은 밀도를 가지면서 스테인리스 스틸 파이프(20) 내에 공기가 주입되어 보다 효과적인 공기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러한 스테인리스 스틸 파이프(20) 상에는 공지의 보온재(30)와 보온용 테이프(내열성 접착테이프)(40)가 순차적으로 부착이 된다. 보온재(30)는 유리솜 내지 아티론(고무 발포제)이 일정한 비율로 혼합되거나 각각의 재질로 이루어진 공지의 보온 부재를 의미하고, 테이프(40) 역시 폴리머 테이프 내지 매직테이프와 같은 공지의 보온용 접착테이프가 사용되어진다.
이와 같이 스테인리스 스틸 파이프(20) 상에 보온재(30)와 보온 테이프(40)를 추가적으로 적층 형성하는 것은 스테인리스 스틸 파이프(20)의 표면이 그대로 외부로 노출될 경우 스팀배관(10)에서 전도된 잔열에 의하여 청소인원이 화상의 우려를 가질 수가 있을 뿐더러, 파이프(20) 내에 주입된 공기는 일반적으로 비열이 낮기 때문에 외부의 차갑거나 서늘한 공기가 스테인리스 스틸 파이프(20)에 접촉할 경우 스팀배관(10)의 스팀 온도가 소정 기준 온도 이하로 낮아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보온재(30) 및 보온 테이프(40)의 외측으로는 마지막으로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진 부재(50), 즉 스테인리스 스틸 부재(50)가 위치하는데, 구체적으로 스테인리스 스틸 부재(50)의 측 단이 스팀배관(10)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절곡하여 그 절곡 부위를 용접하는 방식에 의하여 보온 테이프(40)의 외주 면을 따라 둘러싸여 있다.
이러한 스테인리스 스틸 부재(50)는 보온재(20) 및 보온 테이프(30)(구체적 으로는, 보온 테이프)를 밀봉 상태로 감싸고 있어 외부의 물이 불필요하게 보온 테이프(40) 내부로 스며들 개연성을 줄이는 역할을 하며, 특히 기존의 마감 함석 내지 APS로 이루어진 마감 커버가 접착 방식에 의하여 보온 테이프 상에 부착된 것인 것에 비하여, 스테인리스 스틸 부재(50)는 용접 공정에 의하여 스팀배관(10)에 부착이 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한 밀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팀배관의 보온 구조(100)는 엘보우(elbow) 관 내지 스팀배관(10)의 분기 또는 시공자가 요망하는 특정 부위에 마감 캡(60)을 추가로 형성할 수가 있는 바, 본 발명에 따른 마감 캡(60)은 스팀배관(10)과 본 발명에 따른 보온 구조(100)의 연결 부위, 즉 스팀배관(10)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보온 구조(100)가 적층되기 시작하는 연결 부위에 장착되는 것으로, 스팀배관(10)의 직경에 상응하는 통공을 중앙에 구비하여 스팀배관(10)에 끼움 결합하고 상술한 보온 구조(100)와는 실리콘에 의하여 밀봉 처리됨으로 결합이 가능하다.
실리콘은 밀봉을 위한 보조 부재로서, 본 발명에서는 겔 상태로 이루어진 접착 성분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특히 마감 캡(60)과 상술한 보온 구조(100) 사이에 간극(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급식용 스팀배관의 보온 구조(100)가 국솥(5)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팀배관의 보온 구조(100)는 스팀 국솥(5)과 같은 스팀식 취사용구에 연결된 스팀배관(10)이 외부로 노출이 되어 스팀 의 온도 유지를 위해 보온할 필요가 있거나 청소인원의 손 내지 기타 부위가 스팀배관(10)에 접촉하여 화상을 입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스팀배관(10)의 외부 노출부위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보온 구조(100) 상으로 청소를 위해 물을 뿌린다 하더라도 스테인리스 스틸 파이프(20) 내의 공기층의 완충 및 보온 효과에 의하여 스팀이 응축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더불어 보온 구조(100)에 접촉하여 급격히 데워진 물이 청소인원에게 튀게 된다 하더라도 화상을 입을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급식용 스팀배관의 보온 구조(100)를 시공하는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팀배관의 보온 구조(100)는 각 구성을 스팀배관(10)에 순차적으로 적층함에 따라 시공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다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외부로 노출 위치된 스팀배관(10)의 소정 부위에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진 파이프(20)를 접착 방식이 아닌 용접 방식에 의하여 스팀배관(10)에 부착을 한다.
이러한 과정과 더불어 스페이스(23)에서 외부로 연결되는 관로인 공기주입구(21)를 생성하거나 미리 파이프(20)에 생성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이 공기주입구(21)를 통하여 스페이스(23) 내로 공기를 주입한다. 공기 주입 방식은 수동식 피스톤을 사용하거나 펌프의 구동력에 의하여 공기주입구(21)에 튜브를 삽 입하여 강제 주입을 하는 방식을 따를 수 있으며, 이러한 공기 주입 방식은 공지된 방식을 따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공 방법에서 공기의 사용은 스페이스(23) 내에 가급적 많은 양의 공기가 주입되어 공기층의 완충 역할에 충실히 하고자, 공기는 일정 온도 이하로 응축된 공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공기는 수분을 제거한 건조 공기가 사용되어 영하 내지 주변 온도보다 급격히 낮은 온도를 가지게 된다 하더라도 습기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응축을 위해 상온보다 낮은 온도, 즉 영하 10 내지 영상 3℃ 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응축공기는 공기 중 분자들이 가지는 에너지가 작아 단위 면적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공기 분자를 포함할 수가 있기 때문에 스테인리스 스틸 파이프(20)의 스페이스 (23)내에 공기 밀도를 높일 수 있는 근원이 된다. 이러한 응축 공기는 별도로 마련된 공기탱크에 보관되어 있다가 펌프의 구동을 통하여 공기탱크 및 공기주입구(21)에 연결된 튜브를 통해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테인리스 스틸 파이프(20) 내에 수분이 포함된 공기가 주입된 경우 고온의 스팀과 상대적으로 낮은 외부 온도 차이에 의하여 스페이스(23) 내에 습기가 찰 수 있는데 이러한 습기는 일정 사용시간 주기로 공기주입구(21)를 통하여 방출이 가능하고, 습기 방출 이후 다시 공기주입구(21)를 통해 새로운 공기를 주입할 수가 있다.
더불어 스테인리스 스틸 파이프(20)의 균열을 확인하는 용도로 공기가 활용 되는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스페이스(23) 내에 공기를 주입시키면서 파이프(20) 주변을 관찰하는 방식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스테인리스 스틸 파이프(20)를 스팀배관(10)에 용접 부착을 한 다음, 보온재(30)와 보온 테이프(40)를 스테인리스 스틸 파이프(20) 상에 형성을 하고 다시 스테인리스 스틸 부재(50)로 테이프(40) 상부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용접 공정에 의하여 마감 처리를 한다.
스테인리스 스틸 부재(50)는 테이프(40) 상면에 용접을 하는 것이 아니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 단을 스팀배관(10) 표면 방향으로 절곡하여 이 절곡 부위를 용접하여 직접 스팀배관(10)의 표면에 밀봉 접촉하도록 한다.
이 때에, 스테인리스 스틸 부재(50) 내에도 일정 폭의 공간을 확보하도록 하여 이에 공기를 주입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2중의 공기층을 형성하여 완충 효과를 진작할 수 있다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스팀배관(10) 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보온 구조(100)가 적층되기 시작한 부위, 즉 보온 구조(100)의 측 단과 스팀배관 사이에는 마감 캡(60)이 부착될 수 있는 바, 이러한 마감 캡(60)은 겔 상태의 실리콘을 통하여 보온 구조의 측 단에 부착이 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의 우려 없이 물청소가 가능한 급식용 스팀배관의 보온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 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의 우려 없이 물청소가 가능한 급식용 스팀배관의 보온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에 따르면,
1) 화상의 우려 없이 스팀배관 및 그 주변을 안전하게 물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2) 보온재에 습기가 스며들어 보온재의 수명이 짧아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으며,
3) 공기층에 의한 완충 작용으로 보온 및 화상 방지 효과를 동시에 이룰 수 있는 특성을 가질 뿐 아니라 공기 주입 중 파이프의 누수 현상을 초기 상태에 파악할 수 있고,
4) 용접 방식에 의하여 스테인리스 스틸 파이프 및 스테인리스 스틸 부재를 부착할 수 있으므로 완벽한 밀봉 상태를 보장함과 아울러 누수 및 습기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6)

  1. 화상의 우려 없이 물청소가 가능한 급식용 스팀배관의 보온 구조로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스팀배관의 외주 면을 둘러싸고 있되, 내 측으로 스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스페이스의 일 측으로부터 외부까지 연장된 공기 주입구를 구비하여 상기 공기 주입구를 통해 상기 스페이스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스페이스 내에 일정 밀도로 충진 되어 있는 공기층;
    유리솜 내지 고무 발포제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파이프의 외주 면을 둘러싸는 보온재; 및, 상기 보온재를 감싸는 테이프;
    상기 테이프의 외주 면을 둘러싸고 있는 스테인리스 스틸 부재;로 적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우려 없이 물청소가 가능한 급식용 스팀배관의 보온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 구조의 측 단과 스팀배관의 사이에는 마감 캡이 추가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우려 없이 물청소가 가능한 급식용 스팀배관의 보온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우려 없이 물청소가 가능한 급식용 스팀배관의 보온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주입구의 외측 입구에는 마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우려 없이 물청소가 가능한 급식용 스팀배관의 보온 구조.
  5. 화상의 우려 없이 물청소가 가능한 급식용 스팀배관의 보온 구조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스팀 배관을 위치하는 제 1 단계;
    상기 스팀배관 외주 면에 내부에 일정 스페이스를 가지는 파이프를 용접 부착하는 제 2 단계;
    상기 스페이스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공기 주입구를 형성하는 제 3 단계;
    상기 공기 주입구에 공기를 일정 밀도로 주입하여 상기 스페이스 내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제 4 단계;
    유리솜 내지 고무 발포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보온재를 상기 파이프 상에 둘러싸는 제 5 단계;
    상기 보온재를 테이프로 감싸는 제 5 단계;
    상기 테이프 상에서 일부가 스팀배관과 접촉하도록 일정 두께로 이루어진 스테인리스 스틸 부재를 용접 부착하는 제 6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우려 없이 물청소가 가능한 급식용 스팀배관의 보온 구조를 시공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6단계 이후에 실리콘을 접착 부재로 활용하여 상기 보온 구조의 측단과 스팀배관의 연결 부위 사이에 상기 실리콘을 충진함으로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진 마갑 캡을 부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우려 없이 물청소가 가능한 급식용 스팀배관의 보온 구조를 시공하는 방법.
KR1020070001044A 2007-01-04 2007-01-04 화상의 우려 없이 물청소가 가능한 급식용 스팀배관의 보온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700200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044A KR20070020095A (ko) 2007-01-04 2007-01-04 화상의 우려 없이 물청소가 가능한 급식용 스팀배관의 보온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044A KR20070020095A (ko) 2007-01-04 2007-01-04 화상의 우려 없이 물청소가 가능한 급식용 스팀배관의 보온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0095A true KR20070020095A (ko) 2007-02-16

Family

ID=38108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1044A KR20070020095A (ko) 2007-01-04 2007-01-04 화상의 우려 없이 물청소가 가능한 급식용 스팀배관의 보온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009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1649A (zh) * 2019-02-16 2019-04-12 房玉山 一种预制直埋保温管
CN110594532A (zh) * 2019-09-28 2019-12-20 上海科华热力管道有限公司 一种复合保温预制架空蒸汽保温管及其加工工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1649A (zh) * 2019-02-16 2019-04-12 房玉山 一种预制直埋保温管
CN110594532A (zh) * 2019-09-28 2019-12-20 上海科华热力管道有限公司 一种复合保温预制架空蒸汽保温管及其加工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0087B1 (ko) 친환경 조리용기
KR20070020095A (ko) 화상의 우려 없이 물청소가 가능한 급식용 스팀배관의 보온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85587B1 (ko) 증기 배관의 단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RU165769U1 (ru) Банно-отопительная печь
CN207831324U (zh) 快速蒸汽锅炉
CN206592658U (zh) 一种穿墙式管道保护装置
CN208519972U (zh) 一种燃气热水器
CN211011561U (zh) 一种炒锅的保温结构
CN203757294U (zh) 一种保温穿墙防护罩
CN208463703U (zh) 一种保温真空罐
CN208536383U (zh) 水箱及具有其的热水器
US20080006434A1 (en) Low Thermal Conductivity Reusable Insulation Jacket for Pipe, Tubing, Valves, and Fittings
CN207034510U (zh) 涂布机蒸汽管道的保温结构
CN213334641U (zh) 一种挂壁炉燃气接口
CN108361989A (zh) 水箱及具有其的热水器
CN210624949U (zh) 壁挂炉防冻罩及采用该防冻罩的壁挂炉
KR200207090Y1 (ko) 조리용기의 손잡이
CN216383116U (zh) 一种组合式节能型水管
CN2474045Y (zh) 双热源介质炒锅
CN219390096U (zh) 一种天然气加热炉防冻保护装置
RU2532928C2 (ru) Паровой обогреватель
KR20130042515A (ko) 난방용 구들
CN209750784U (zh) 一种暖奶器防漏水结构
RU11061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теплового баланса организма
CN202446332U (zh) 水泵换热式暖手器用的暖水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