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8549A - 흡습제가 포함된 건식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흡습제가 포함된 건식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8549A
KR20070018549A KR1020050073343A KR20050073343A KR20070018549A KR 20070018549 A KR20070018549 A KR 20070018549A KR 1020050073343 A KR1020050073343 A KR 1020050073343A KR 20050073343 A KR20050073343 A KR 20050073343A KR 20070018549 A KR20070018549 A KR 20070018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paper
paper display
moisture
image forming
dry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3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원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3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8549A/ko
Publication of KR20070018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85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by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 G09G3/34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based on particles moving in a fluid or in a gas, e.g. electrophoretic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involving dry ton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2001/16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the electrolyte is made of polym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2001/1678Construction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particle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습제를 화상형성 영역 외곽에 또는 그 내부에 형성하여, 제조과정 중에 혼입된 수분과 동작 중에 외부로부터 침투하거나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수분에 의해 입자의 유동성이 열악해지고 입자의 뭉침현상이 발생하고 입자들의 대전특성이 저하되어 화상 품질이 떨어지고 구동 전압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해결된 건식 전자종이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상기 흡습제는 제습물질이 미소캡슐의 형태를 가져 표면적을 넓게 한 효과와 더불어 다공성 고분자 모재를 사용하여 수분의 확산과 제습효과가 뛰어난 구조를 하고 있으며 수분과 제습물질간의 비가역 화학반응으로 수분이 제거되기 때문에 수분의 제거능력이 뛰어나다.
전자종이, 흡습제, 전기영동

Description

흡습제가 포함된 건식 전자종이 디스플레이{E-Paper Display Having Dehumidifying Material}
도 1a 및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종이 디스플레이의 구동윈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건식 전자종이 디스플레이의 단면도,
도 3은 밀봉재가 포함된 종래의 건식 전자종이 디스플레이의 단면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식 전자종이 디스플레이의 단면도 및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건식 전자종이 디스플레이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식 전자종이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제습제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기호의 설명**
10, 20: 상부 및 하부기판 11, 21: 상부 및 하부전극
12: 전기영동 입자 13: 화상표시영역
14: 격벽 15: 밀봉재
16: 흡습제 31: 고분자 모재
32: 제습물질 33: 바인더
본 발명은 흡습제를 포함하는 건식 전자종이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흡습제를 화상형성 영역 외곽에 또는 그 내부에 형성하여 제조과정 중에 혼입된 수분과 동작 중에 외부로부터 침투하거나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수분에 의해 입자의 유동성이 열악해지고 입자의 뭉침현상이 발생하고 입자들의 대전특성이 저하되어 화상 품질이 떨어지고 구동 전압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해결된 건식 전자종이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근래, 네트워크의 보급에 따라서, 종래 인쇄물의 형상으로 배포되고 있던 문서류가 이른바 전자 서류로 대신되게 되었다. 더욱이 서적이나 잡지 등도 이른바 전자출판의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들 정보를 열람하기 위해서 종래 행해지고 있는 것은, 컴퓨터의 CRT(Cathode Ray Tube), 또는 액정디스플레이 등으로부터 읽는 것이다. 그러나 이 러한 발광형의 디스플레이에서는, 인간공학적 이유로부터 피로가 심하고, 장시간의 독서에는 견딜 수 없다는 것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읽는 장소가 컴퓨터, LCD 등의 설치 장소에 한정된다는 난점이 있다.
최근의 노트형 컴퓨터의 보급으로 휴대형 디스플레이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도 있지만, 백라이트에 의한 발광형이기 때문에 소비전력상의 문제로 인해, 이것도 수시간 이상의 독서에 이용할 수가 없다. 근래, 반사형 액정 디스플레이도 개발되고 있으며, 이것을 이용하면 저소비 전력으로 구동할 수가 있지만, 액정의 백색표시에 있어서의 반사율이 저조하여 종이의 인쇄물에 비해 현저하게 시인성(視認性)이 나쁘고, 피로가 발생되기 쉽고, 이것도 장시간의 독서에 견딜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 이른바 전자종이로 불리우는 것이 개발되고 있다. 전자종이는 기존의 평면 디스플레이 패널에 비하여 생산단가가 훨씬 저렴하며 정화면처럼 배경조명이나 지속적인 재충전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아주 적은 에너지로도 구동될 수 있어서 에너지 효율도 월등히 앞선다. 아울러, 전자종이는 매우 선명하고, 시야각이 넓으며 전원이 없더라도 글씨가 완전히 사라지지 않는 메모리 기능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큰 장점으로 인해 전자종이는 종이와 같은 면과 움직이는 일러스트레 이션을 갖는 전자서적, 자체 갱신성 신문, 이동 전화를 위한 재사용 가능한 종이 디스플레이, 폐기 가능한 TV 스크린 및 전자 벽지등 실로 광대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으며 거대한 잠재 시장을 가지고 있다.
전자종이 구현을 위한 기술적 접근 방식은 크게 액정을 이용한 방법, 유기 EL, 반사 필름 반사형 표시, 전기영동, 트위스트 볼, 미케니컬 반사형 표시등이 있으며, 이중에서 현재 가장 주목받고 있는 기술은 전기영동현상을 이용한 전자종이 디스플레이이다.
전기영동현상은 어떤 입자가 매체(분산 매체)에 현탁된 경우에 입자가 전기적으로 하전되고, 또한 전계가 하전입자에 인가되는 경우에 그들이 대향 전하를 가진 전극에 분산매체를 통해서 이동하는 현상이다. 이 현상을 이용한 전자종이 디스플레이의 대표도를 도 1에 도시하였으며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종이 표시장치는, 소정의 갭에서 위치 결정된 상측 기판(101) 및 하측 기판(102)과, 이들 기판(101, 102)의 사이에 채워진 절연성 액체(103)와, 상기 절연성 액체(103)에 분산된 복수의 착색 대전입자(104)와, 각각의 기판(101, 102)에 놓여지도록 각 화소에 위치결정된 상, 하부 표시 전극(105, 106)을 구비하고 있다. 화소들의 사이에는 칸막이 벽(107)이 형성되어 착색 대전입자(104)의 다른 화소에의 이동을 방지한다.
도 1a 및 도 1b는, 단일의 화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실제의 전자종이 표 시장치는 이러한 복수의 화소가 배치됨으로써 구성된다. 이러한 장치에서, 착색 대전입자(104)는, 양극 또는 음극으로 대전되어있기 때문에, 상, 하부표시전극(105, 106)에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에 따라서 상부표시전극(105) 또는 하부표시전극(106)으로 편중된다. 한편 절연성 액체(103)및 착색 대전입자(104)는 각각 다른 색으로 착색된다. 그 결과로서, 착색 대전 영동입자(104)가 관찰자 측의 상부표시전극(105)에 편중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입자(104)의 색이 관찰되고(도 1b참조), 착색 대전 영동입자(104)가 하부 표시전극(106)에 편중되어 있는 경우에는 절연성 액체(103)의 색이 관찰되게 한다(도 1a참조). 따라서, 인가 전압의 극성을 화소마다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화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전자종이 표시장치는 통상의 인쇄물에 가까운 넓은 시야각을 얻을 수 있고, 소비전력도 작으며 메모리 기능을 갖고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그러나, 시간에 따른 분산 불안정성에 기인한 잉크 미립자들의 크러스터화 및 응집등이 형성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액의 점성 저항에 의하여 응답속도가 늦어 동영상 구현에 있어 문제점이 많다. 또한, 액의 점성 저항은 구동전압을 높이는 원인이 된다. 또한, 마이크로캡슐화하여 셀 사이즈를 마이크로캡슐 레벨로 할지라도 여전히 습식방식이어서 외관상 상기 서술한 결점이 잘 나타나지 않게 한 것일 뿐 본질적인 문제는 조금도 해결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중의 하나로서, 건식 전자종이 디스플레 이가 도 2에 도시되었다. 건식 전자종이 디스플레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의 화소공간 영역에 전극(114, 115)이 형성된 투명기판(111, 112)이 대향하여 배치되고, 칸막이벽(113)에 의하여 서로 격리되는 화소공간내에 액체의 점성특성이 없는 건식의, 색 및 대전 특성이 다른 2종류의 입자군(86)을 봉입하고 상하판의 전극(114, 115)에 전압을 인가하여 입자들을 서로 부딛히게 함으로써 충돌에 따른 전하를 띠게 하여 대전입자를 형성시킨 후에, 전위가 다른 2종류의 전극(114, 115)으로부터 대전된 입자군에 전계를 주어 이동시켜 화상을 표시하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이다.
이러한 건식 전자종이 디스플레이는 화소공간에 액체등의 점도가 큰 물질이 존재하지 않고 대전입자는 기체 속을 비상하기 때문에 화상표시의 응답속도가 빨라, 응답속도를 1 msec 이하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액체의 점성 저항으로 인한 구동전압의 상승 요인을 해결하였다. 또한, 메모리성도 있어 화상을 보전하는 경우에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건식 전자종이 디스플레이는 화소내에 수분이 잔존하게 되면 입자들의 유동성이 열악해지고 수분으로 인한 입자의 뭉침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입자들의 대전특성이 저하되게 된다. 이로 인한 콘트라스트의 저하가 생기고 입자들의 뭉침현상으로 인해 구동 전압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3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존의 건식 전자종이는 투습성이 낮은 접착성 폴리머를 밀봉재로 하여 밀봉하여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였다.
그러나 건식 전자종이의 제조과정 중에 혼입되는 수분을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밀봉재가 외부환경으로부터 수분의 침투를 완벽히 방지할 수 없으며 대전입자들에 원래 존재했던 수분이 동작 중에 외부로 방출되어 여전히 수분이 잔존하게 되는 난제(難題)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흡습제를 화상형성 영역 외곽에 또는 그 내부에 형성하여 제조과정 중에 혼입된 수분과 동작 중에 외부로부터 침투하거나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수분에 의해 입자의 유동성이 열악해지고 입자의 뭉침현상이 발생하고 입자들의 대전특성이 저하되어 화상 품질이 떨어지고 구동 전압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해결된 건식 전자종이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하부기판과 상부기판; 상기 하부기판 및 상부기판 각각에 내접하여 형성된 하부전극과 상부전극; 화상형성 영역 내에 다수의 화소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하부기판과 상부기판 사이에 형성된 다수의 격벽; 상기 화상형성 영역 외부에 형성된 흡 습제; 및 상기 화소공간에 봉입된 전기영동 입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식 전자종이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화상형성 영역 외부에 밀봉재가 더 형성되되, 상기 흡습제는 상기 화상형성 영역과 상기 밀봉재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하부기판과 상부기판; 상기 하부기판 및 상부기판 각각에 내접하여 형성된 하부전극과 상부전극; 화상형성 영역내에 다수의 화소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하부기판과 상부기판 사이에 형성된 다수의 격벽; 상기 격벽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 흡습제; 및 상기 화소공간에 봉입된 전기영동 입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식 전자종이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화상형성 영역 외부에 밀봉재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습제는 고분자 모재에 제습물질이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흡습제는 상기 고분자 모재에 바인더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습물질은 알칼리금속 산화물, 알칼리토금속 산화물, 황산염, 금속 할로겐화물, 과염소산염, 오산화인, 금속하이드라이드 및 수소보다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전자종이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소보다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은 리튬(Li), 칼륨(K), 나트륨(Na), 칼슘(Ca), 바륨(Ba)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이루 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고분자 모재는 다공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습물질은 미소캡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전자종이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식 전자종이 디스플레이의 단면도로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하부기판(10)과 상부기판(20), 상기 하부기판(10) 및 상부기판(20) 각각에 내접하여 형성된 하부전극(11)과 상부전극(21), 화상형성 영역(13) 내에 다수의 화소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하부기판(10)과 상부기판(20) 사이에 형성된 다수의 격벽(14), 상기 화상형성 영역(13) 외부에 형성된 흡습제(16) 및 상기 화소공간에 봉입된 전기영동 입자(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자종이 디스플레이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서 밀봉재(1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화상영역 외부에 잔존하는 수분을 제거하는 흡습제(16)를 형성함으로써, 전자종이 디스플레이의 화상품질과 소비전력이 크게 향상된다.
상기 상하부 기판(10, 20)은 유연성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인 유리기판 또는 플렉서블(flexible) 플라스틱 종류의 유연성이 있는 재료가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이더술폰(PES) 또는 폴리이미드 필름(Kapton, Upilex)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유연성이 있는 재료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판(10, 20)의 두께는 소정의 강도를 주면서 박막화를 실현하기위해 약 0.05 ~ 0.5 mm정도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부 및 하부전극(11, 21)은 도전성 재료로서, 본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극재료는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폴리티오핀 또는 폴리아닐린과 같은 도전성 폴리머, 은이나 니켈과 같은 금속입자를 포함하는 폴리머 필름등의 프린터된 도전체, 그래파이터 또는 도전성 카본재료, 또는 틴 옥사이드 또는 인듐 틴 옥사이드와 같은 도전성 옥사이드를 함유하는 폴리머 필름등의 프린터된 도전체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인듐틴옥사이드(ITO)가 선택될 수 있다. 투명전극이 보다 바람직하게 선택될 수 있다. 구부렸을 때 변형율이 약 1.5%까지도 저항 변화가 없으며, 기판과의 부착력이 양호하도록 50~500 ㎚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및 하부전극은 서로 수직교차하도록 배열된다.
상기 격벽(14)은 화상형성영역을 다수의 화소로 분할하기 위한 것으로, 재료로서는 기판과 같은 재질도 가능하며 정확한 형상의 제조를 위해 후막용 포토레지스트 또는 필름 형태의 감광성 재료도 사용가능하다. 유연성이 있는 재료가 바람직하며,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이더술폰(PES) 또는 폴리이미드 필름(Kapton, Upilex)과 같은 폴리머가 선택될 수 있다.
격벽(14)의 두께는 요구되는 상하판의 접착강도를 고려하여 접촉면적을 가급적 넓게 하면 유리하지만, 그만큼 개구율이 낮아지는 단점도 있으므로 격벽(14)의 두께는 약 10 ~ 500μm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영동 입자(12)는 화상표현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화상표현을 위해 이용되는 전기영동 입자는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대전되지 않은 입자를 주입한 후에 상하판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입자들을 서로 충돌시켜 충돌에 따른 전하를 띠게 하여 전기영동 입자를 형성하는 건식방식의 충돌대전형의 전기영동 입자를 주입하는 것이 좋다. 색 및 대전특성이 다른 전기영동 입자들이 선택되며, 흑백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흑색입자로 카본블랙, 백색입자로 티타늄옥사이드를 착색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전된 입자를 주입할 수도 있으며, 도포시에 코로나 방전을 이용하여 대전시키면서 도포할 수도 있다.
상기 흡습제(16)는 화상형성 영역(13)의 외곽 격벽과 밀봉재(15) 사이에 위치되어 화상형성 영역내에 잔존하는 수분을 제거하고 밀봉재를 투과한 수분을 제거하게 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 영역의 일부에만 흡습제가 형성될 수 있으며 화상형성 영역의 외곽의 사방(四方)에 흡습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하부기판 이격공간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일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하 부기판 이격공간 전체에 형성될 경우 상하부기판의 합착력을 보다 강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흡습제는 스핀코팅이나 스프레이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착제 성분을 함께 혼입하여 도포할 경우 높은 밀착력으로 도포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건식 전자종이 디스플레이의 단면도로서, 흡습제(16)가 격벽(14)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
흡습제(16)가 격벽(14)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될 경우 화상형성영역(13) 내에 흡습제가 위치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제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흡습제(16)는 스핀코팅이나 스프레이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건식 전자종이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흡습제의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흡습제는 페이스트 타입으로 고분자 모재(31)에 제습물질(32) 및 바인더(33, 생략될 수 있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흡습제의 제조 및 건식 전자종이 디스플레이에 도포시에는 질소 또는 비활성 가스의 분위기하에서 시행하는 것이 좋다.
상기 고분자 모재(31)는 일반적인 고분자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우레탄 수지, 우레아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우레탄 수지, 아크릴우레탄실리콘 수지, 아크릴우레탄불소 수지, 아크릴불소 수지, 실리콘 수지, 아크릴실리콘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스티렌아크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부티랄 수지, 염화비닐리덴 수지, 멜라민 수지, 페놀 수지, 불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술폰 수지, 폴리에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2 종 이상 혼합할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수분의 확산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다공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공성을 위해서는 기공 형성제를 이용하면 가능하며 2-프로판올(2-propanol), 레소시놀(resorcinol), 트리플로로에탄올(trifluoroethanol), 시클로헥산올(cyclohexanol), 헥사플로로이소프로판올(hexafluoroisopropanol), 메탄올, 및 말레익산(maleic acid)과 헥사플로로아세톤(hexafluoroacetone)과의 반응으로 얻어진 헤미아세탈(hemiaceta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기공 형성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다공성 고분자의 제조방법은 기존에 잘 알려져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습물질(32)은 고분자 모입자(31) 내부에 포함되거나 코팅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물질이면 어느 것이든 포함한다. 실리카 겔과 같은 물리적인 수분 흡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는 가역반응에 의해 수분을 재방출하는 단점이 있으므로 비가역반응에 의해 수분을 제거하는 물질이 바람직하다. 그 예로는 알칼리금속 산화물, 알칼리토금속 산화물, 황산염, 금속 할로겐화물, 과염소산염, 오산화인, 금속하이드라이드, 수소보다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 중에서 선택될 수 있고, 특히 상기 수소보다 이온 화 경향이 큰 금속은 리튬(Li), 칼륨(K), 나트륨(Na), 칼슘(Ca), 바륨(Ba) 및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된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제습물질은 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미세한 파우더나 미소캡슐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인더(33)는 보통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는데, 그 중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비닐리덴플로라이드와 헥사플로로프로필렌(heaxfluoropropylene)의 공중합체, 비닐리덴플로라이드와 무수말레이산(maleic anhydride)의 공중합체,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acrylate), 셀룰로즈 트리아세테이트(cellulose triacetat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술폰(polysulfone), 폴리에테르(polyether),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polyolefine),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 폴리부틸디엔(polybutyldiene), 폴리비닐알콜(polyvinylalcohol),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비닐포르말(polyvinyl formal), 아크릴로니트릴부틸디엔 고무(acrylonitrilebutyldiene rubber),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단량체(ethylene-propylene-diene-monomer),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tetra(ethylene glycol) diacrylate),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폴리카보네이트 및 실리콘 고분자(polysilico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흡습제는 제습물질이 미소캡슐의 형태를 가져 표면적을 넓게 한 효과와 더불어 다공성 고분자 모재를 사용하여 수분의 확산과 제습효과가 뛰어난 구조를 하고 있으며 수분과 제습물질간의 비가역 화학반응으로 수분이 제거되기 때문에 수분의 제거능력이 뛰어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흡습제를 화상형성 영역 외곽에 또는 그 내부에 형성하여 제조과정 중에 혼입된 수분과 동작 중에 외부로부터 침투하거나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수분에 의해 입자의 유동성이 열악해지고 입자의 뭉침현상이 발생하고 입자들의 대전특성이 저하되어 화상 품질이 떨어지고 구동 전압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해결된 건식 전자종이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흡습제는 제습물질이 미소캡슐의 형태를 가져 표면적을 넓게 한 효과와 더불어 다공성 고분자 모재를 사용하여 수분의 확산과 제습효과가 뛰어난 구조를 하고 있으며 수분과 제습물질간의 비가역 화학반응으로 수분이 제거되기 때문에 수분의 제거능력이 뛰어나다.

Claims (10)

  1.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하부기판과 상부기판;
    상기 하부기판 및 상부기판 각각에 내접하여 형성된 하부전극과 상부전극;
    화상형성 영역 내에 다수의 화소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하부기판과 상부기판 사이에 형성된 다수의 격벽;
    상기 화상형성 영역 외부에 형성된 흡습제; 및
    상기 화소공간에 봉입된 전기영동 입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식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2.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하부기판과 상부기판;
    상기 하부기판 및 상부기판 각각에 내접하여 형성된 하부전극과 상부전극;
    화상형성 영역내에 다수의 화소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하부기판과 상부기판 사이에 형성된 다수의 격벽;
    상기 격벽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 흡습제; 및
    상기 화소공간에 봉입된 전기영동 입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식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 영역 외부에 밀봉재가 더 형성되되, 상기 흡습제는 상기 화상형성 영역과 상기 밀봉재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 영역 외부에 밀봉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제는 고분자 모재에 제습물질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제는 상기 고분자 모재에 바인더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물질은 알칼리금속 산화물, 알칼리토금속 산화물, 황산염, 금속 할로겐화물, 과염소산염, 오산화인, 금속하이드라이드 및 수소보다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보다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은 리튬(Li), 칼륨(K), 나트륨(Na), 칼슘(Ca), 바륨(Ba)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모재는 다공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물질은 미소캡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KR1020050073343A 2005-08-10 2005-08-10 흡습제가 포함된 건식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KR200700185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343A KR20070018549A (ko) 2005-08-10 2005-08-10 흡습제가 포함된 건식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343A KR20070018549A (ko) 2005-08-10 2005-08-10 흡습제가 포함된 건식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8549A true KR20070018549A (ko) 2007-02-14

Family

ID=43651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3343A KR20070018549A (ko) 2005-08-10 2005-08-10 흡습제가 포함된 건식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85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233B1 (ko) * 2008-08-04 2009-10-05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종이 표시소자의 입자주입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233B1 (ko) * 2008-08-04 2009-10-05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종이 표시소자의 입자주입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037851A (ja) 電気泳動分散液、電気泳動表示装置、電気泳動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EP2626740B1 (en) Suspended particle device, light control device using the same, and driving method
EP2555049B1 (en) Suspended particle device, light control device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7656365B2 (en) Double-sided fiber-based displays
EP1772769A1 (en) Panel for information display and information display
US9323126B2 (en) Electrophoretic particles,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phoretic particles, electrophoresis dispersio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5492907B2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フィルター付き反射型ディスプレイ装置
JP5464264B2 (ja) 電気泳動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586711B2 (ja) 電気泳動表示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電気泳動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0731863B1 (ko)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31860B1 (ko)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018549A (ko) 흡습제가 포함된 건식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JP4917913B2 (ja) 電気泳動表示装置、電気泳動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100693744B1 (ko) 높은 대비비를 갖는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67497B1 (ko) 3극 구조를 갖는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11095339A (ja) カラー表示型情報表示用パネル
JP2005084267A (ja) 電気泳動表示装置の製造方法、電気泳動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070093505A (ko) 건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JP4433669B2 (ja) エレクトロデポジション型表示装置
JP4389523B2 (ja) 電気泳動表示装置の製造方法、電気泳動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4191838A (ja) 電気化学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09901A (ko)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
KR100747921B1 (ko) 불활성 기체 매질을 이용한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
JP2014077957A (ja) 反射型表示装置
KR101123952B1 (ko) 절연층을 포함하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