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7308A - Adamts-5-관련 질병의 치료 방법 - Google Patents

Adamts-5-관련 질병의 치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7308A
KR20070017308A KR1020067013354A KR20067013354A KR20070017308A KR 20070017308 A KR20070017308 A KR 20070017308A KR 1020067013354 A KR1020067013354 A KR 1020067013354A KR 20067013354 A KR20067013354 A KR 20067013354A KR 20070017308 A KR20070017308 A KR 20070017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mts
methyl
biphenyl
sulfonylamino
butyr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3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엘리자베스 에이 모리스
소냐 에스 글래슨
제이슨 샤오윈 샹
Original Assignee
와이어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어쓰 filed Critical 와이어쓰
Priority to KR1020067013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7308A/ko
Publication of KR20070017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73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DAMTS-5-관련 질병으로 고통받는 대상체에, ADMATS-5 활성을 조절할 수 있는 작용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ADAMTS-5-관련 질병, 특히 골관절염의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작용제는 바람직하게는 바이아릴 술폰아미드 화합물이다. 본 발명은, 기능적 ADAMTS-5 를 발현하지 못하는 형질전환 동물이 WT 동물에 비하여, 골관절염의 유발 후에 골관절염의 정도가 감소된다는 사실을 일부 그 기초로 한다. 또한, ADAMTS-5 형질전환 동물은 WT 동물에 비하여, 관절 조직에 있어서 어그리카나제 활성이 감소되어 있다. 이들 동물은 ADAMTS-5-관련 질병, 및 그 질병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유용한 약물의 스크리닝을 위한 좋은 모델이다. 단일 유전자의 활성이 결손됨으로써 골관절염의 진행을 막을 수 있는 다른 동물 모델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들 동물은 대상체에 ADAMTS-5 저해제, 특히 ADAMTS-5 의 어그리카나제 활성을 저해할 수 있는 작용제를 투여함으로써 골관절염을 예방 및/또는 치료할 수 있다는 사실 또한 보여준다.

Description

ADAMTS-5-관련 질병의 치료 방법{METHOD FOR TREATING ADAMTS-5-ASSOCIATE DISEASE}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인용
본 출원은 35 U.S.C.§119(e) 에 의한 미국 가출원 번호 60/526,883 (2003년 12월 4일 출원) 을 기초로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ADAMTS-5-관련 질병, 특히, 골관절염의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ADAMTS" 란 용어는 트롬보손딘 타입 I 모티프를 갖는 디스인테그린 및 메탈로프로테아제 (a disintegrin and metalloprotease with thrombosondin type I motifs) 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KO" 란 용어는 형질전환 동물 세포에서 ADAMTS-5 유전자 산물과 같은 유전자 산물의 발현을 실질적으로 감소 또는 제거하는 돌연변이를 보유한 동물을 말한다.
골관절염은, 연골의 세포외 기질의 분해를 특징으로 하는 윤활관절 (synovial joint) 의 병적 상태이다. 연골의 세포외 기질의 주요 성분은 프로테오글라이칸 어그리칸 (aggrecan) 이다. 어그리칸의 병적 절단은 단백질 골격의 구간 (interglobular) 도메인 내 2 개의 주요 부위에서 발생하는데, 이는 세포 외 기질로부터 기능적 독립체 (functional entity) 의 방출을 유발한다. 기질 메탈로프로테아제 (MMP) 에 의해 한 부위 (N341 -342F) 가 절단되는 반면, 어그리칸 내에 제 2 의 비(非)-MMP 절단 부위는 E373 -374A 에 있다. E373 -374A 절단 부위는, 골관절 윤활액 샘플 (Lohmander, Neame and Sandy, 1993, Arthritis & Rhuem 36:1214) 및 사이토카인 자극 연골 배양물 (Sandy 등, 1991, J. Biol . Chem . 266:8683) 의 분해의 주요 부위로 확인되었다. 몇 가지 ADAMTS 효소는 E373 -374A, 또는 "어그리카나제(aggrecanase)" 부위에서 어그리칸을 절단할 수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Kuno 등, 2000, FEBS Letters 478: 241; Rodriquez-Manzaneque 등, 2002, Biochem . Biophys. Res. Commun . 293:501; Somerville 등, 2003, Biol . Chem . 278:9503; 미국 특허 번호 6,451,575). ADAMTS-4 및 ADAMTS-5, 또는 어그리카나제-1 및 어그리카나제-2 는 각각, 지금까지 (>1000 배) 가장 효과적인 "어그리카나제" 활성을 지닌, 관절의 연골에 의해 합성될 수 있는 두 효소로 나타났다 (Tortorella 등, 1999, Science 284:1664; 및 Abbaszade 등, 1999, J. Biol . Chem . 274:23443). 그러나, 이들 효소가, 집단적으로든 또는 독립적으로든 골관절염의 어그리칸 분해를 담당하는지 여부는 명확하지 않다.
관절병에 있어서 ADAMTS-4 의 증거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의한 관절 조직의 자극 후 ADAMTS-4 의 발현이 증가된다는 몇몇 보고에서 발견되고 있다 (Bau 등, 2002, Arthritis & Rhuem 46:2648-2657; Curtis 등, 2000, J. Biol . Chem . 275:721-724; Tortorella 등, 2001, Osteoarthritis Cartilage 9:539-552; Little 등, 2002, Arthritis & Rhuem 46:124-129; 및 Yamanashi 등, 2002, J. Immunol . 168:1405-1412). 시험관 내 연구는, ADAMTS-4 가, 자연 발생적인 질병에서 절단이 일어나는 부위에서 아그리칸을 효과적으로 절단할 수 있는 드문 효소 중 하나임을 지적한다 (Tortorella 등, 2000, J. Biol . Chem . 275:18566-18573; Tortorella 등, 2002, Matrix Biol . 21:499-511).
또한, 어그리카나제는 세포외 단백질의 분해 또는 파괴를 수반하는 다른 장애, 예컨대 암, 천식, 만성 폐색성 폐질환 ("COPD"), 죽상동맥경화증, 연령관련 황반변성, 심근경색증, 각막 궤양 및 기타 안구표면 질환, 간염, 대동맥류, 건염, 중추신경계 질환, 비정상적 상처치유, 혈관형성, 재협착, 경화증, 다발경화증, 사구체신염, 이식대숙주 병, 당뇨병, 염증성 장질환, 쇼크, 무척추 디스크 퇴행증 (invertebral disc degeneration), 뇌졸중, 골감소증, 및 치주병 등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DAMTS-4 넉아웃 (KO) 의 생성이 이미 보고된 바 있다 (Glasson 등, 2004, Arthritis and Rheum, 50:2547-2558). 다수의 보고서는, ADAMTS-4 가 골관절염의 진행에 관여한다는 최소한 일부의 증거 보여주었으나, 놀랍게도 상기 마우스는 골관절염의 개시에 있어서 야생형 (WT: wild-type) 과 아무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어그리카나제 활성 면에서도 아무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ADAMTS-4 가 인간을 포함한 다른 동물의 골관절염에 관여할 개연성은 여전히 있지만, 현재까지 어그리칸 분해 산물의 병적인 축적과 관계된 어그리카나제 활성이 확인된 바 없다.
본 발명은 대상체에 유효량의 ADAMTS-5 저해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ADAMTS-5-관련 질병, 특히 골관절염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 ADAMTS-5 저해제는 ADAMTS-5 의 메탈로프로티나제 활성을 저해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작용제는 ADAMTS-5 의 어그리카나제 활성을 저해한다. ADAMTS-5-관련 질병, 특히 골관절염의 치료에 유용한 특히 바람직한 작용제에는, ADAMTS-5 에 결합하여 이를 저해하는 바이아릴(biaryl) 술폰아미드 화합물 및 항체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바이아릴 술폰아미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 의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112006047626195-PCT00001
[식에서:
R1 은 H 또는 C1-C6 알킬;
R2 는 H, C1-C6 알킬, (CH2)nR2', 페닐, 또는 벤질;
n 은 0~6;
R2' 는 아릴, 헤테로아릴,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로알킬;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OC(할로겐)3, C(할로겐)3, 알콕시, 또는 C1-C6 알킬이고;
X 는 CH2O, OCH2, C(R3)=C(R3), C(R3)2-C(R3)2, CH2NHC(=O), O(C=O)NH, O, C(=O)CH2, SO2CH2C(=O)NH, SO2NH, OC(=O), CH2S(O), 및 CH2S(O)2 중에서 선택되고;
Z 는 하나 이상의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잔기이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바이아릴 술폰아미드를 실시예 4 의 하기 표 1 에 표시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형질전환 동물, 및 그로부터 분리된 세포를 이용한, 골관절염 치료에 유용한 작용제의 동정 방법을 제공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본 발명의 ADAMTS-5 형질전환 동물 및 ADAMTS-5 활성을 지닌 동물에 잠재적 치료제를 투여하고, 잠재적 치료제가 ADAMTS-5 형질전환 동물에서와는 달리 WT 형 동물에서는 유도된 골관절염의 발병을 방지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ADAMTS-5 형질전환 동물로부터 유래된 세포 및 ADAMTS-5 활성을 지닌 동물로부터 유래된 세포를 잠재적 치료제와 접촉시키고, 상기 작용제가 ADAMTS-5 형질전환 동물 세포에서와는 달리, ADAMTS-5 활성을 지닌 세포에서 메탈로프로티나제 활성을 저해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한다. 두 방법 모두, 작용제가 ADAMTS-5 메탈로프로티나제 활성 및/또는 어그리카나제 활성을 저해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 구현예에서, ADAMTS-5-관련 질병, 특히 골관절염의 치료에 유용한 잠재적 작용제의 동정 방법은, ADAMTS-5 와 접촉시킴으로써 ADAMTS-5 를 저해하는 작용제를 식별하고, 그 작용제가 ADAMTS-5 를 저해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작용제는 ADAMTS-5 의 메탈로프로티나제 활성을 저해한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작용제는 ADAMTS-5 의 어그리카나제 활성을 저해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측면은 하기의 예시적 구현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그에 수반되는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도 1 은 마우스 ADAMTS-5 유전자의 표적화 파괴를 예시하는 것으로, (A) 는 ADAMTS-5 의 아미노산 서열 지도를 나타내고, (B) 는 ADAMTS-5 KO 동물의 대립유전자의 특징 및 PCR 산물의 생성에 이용되는 프라이머의 위치를 나타내고, (C) 는 1B 의 프라이머 1 및 2 를 이용하여 생성된 PCR 산물, 및 1B 의 프라이머 3 및 4 를 이용하여 생성된 PCR 산물을 나타내고, (D) 는 WT 및 KO 동물의 mRNA 를 동정하기 위한 역전사효소 (RT) PCR 에 사용되는 프라이머 부위의 지도를 나타내고, (E) 는 프라이머 4 및 5 를 이용하여 생성된 RT-PCR 산물을 나타내며, (G) 는 프라이머 4 및 6 을 이용하여 생성된 RT-PCR 산물을 나타내고;
도 2 는 14-18 주령의 WT 동물 (위), ADAMTS-4 KO 동물 (왼쪽 아래) 및, ADAMTS-5 KO 동물 (오른쪽 아래) 의 성장판에 있어서, 어그리카나제에 의한 TEGE373 네오에피토프의 면역조직화학적 분포를 나타내고;
도 3 은 외과적으로 관절 불안정을 유도한 후 4 및 8 주째의 WT, ADAMTS-5 동종접합형 KO 및 ADAMTS-5 이종접합형 마우스 관절의 조직학적 점수를 예시하는 것으로서, (A) 는 각 관절의 평균 최대 점수로 표시된 조직학적 점수를 나타내고, (B) 는 관절의 각 조직학적 단면의 점수 합계의 평균으로 표시된 조직학적 점수를 나타내고;
도 4 는 관절 불안정을 유도한 후 4 및 8 주째의 WT, 동종접합형 ADAMTS-5 KO 및 이종접합형 ADAMTS-5 KO 동물의 내측 경골 고평부 (medial tibial plateau) 의 평균 최대 조직학적 점수를 나타내고;
도 5 는 WT 및 ADAMTS-5 KO 동물의 관절 연골로부터의 프로테오글라이칸 방출을 나타내는 그림으로, (A) 는 배양 관절 연골로부터 방출된 프로테오글라이칸의 총 백분율을 나타내고, (B) 는 관절 연골로부터 방출된 TEGE373 네오에피토프(neoepitope)의 웨스턴 분석 결과를 나타내며, (C) 는 WT (위), ADAMTS-4 KO (가운데) 및 ADAMTS-5 KO (아래) 관절 연골의 대퇴 골두 관절 연골의 면역염색을 나타낸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ADAMTS-5 의 발현이 골관절염과 직접적으로 연관됨을 발견한 것에 관한 것이다. 형질전환 ADAMTS-5 KO 마우스는, 골관절염이 진행되도록 자극받을 경우 골관절염의 발병에 대하여 저항성을 나타낸다. 이들 형질전환 동물은 단일 유전자의 파괴가 골관절염에 대한 저항성을 가져오는 첫 번째 동물 모델을 대표한다. 따라서, 위 발견은 ADAMTS-5 가 골관절염의 치료를 위한 약물 표적 분자이고, ADAMTS-5 의 저해제, 바람직하게는 어그리카나제 저해제를 골관절염 치료에 사용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대상체에 ADAMTS-5 를 저해하는 작용제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골관절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작용제에는, 안티-센스(anti-sense) RNA, 약제 화합물, 특히 ADAMTS-5 의 메탈로프로티나제 부위에 결합하여 저해하는 것, ADAMTS-5 에 결합하여 이를 저해할 수 있는 펩티드 및 단백질, 및 항체가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유효량" 이란 용어는, 대상체에 투여되었을 때, 대상체가 고통받는 원인으로 추정되는 상태의 최소한 부분적 개선 (바람직한 구현예에서는, 예방 및/또는 치료) 의 효과가 있는 작용제의 양을 말한다.
한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작용제는 ADAMTS-5 메탈로프로티나제 활성 및/또는 어그리카나제 활성을 저해할 수 있는 항-ADAMTS-5 항체이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항체는 ADAMTS-5 를 저해한다. 그러한 항체에 관하여 하기 실시예 5 에서 더 자세히 기술한다.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작용제는 메탈로프로티나제 저해제 및/또는 어그리카나제 저해제로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진 바이아릴 술폰아미드 화합물이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작용제는 ADAMTS-5 저해제로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ADAMTS-5 의 어그리카나제 활성을 저해할 수 있는 바이아릴 술폰아미드 화합물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바이아릴 술폰아미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 로 표시된다:
[화학식 I]
Figure 112006047626195-PCT00002
[식에서:
R1 은 H 또는 C1-C6 알킬;
R2 는 H, C1-C6 알킬, (CH2)nR2', 페닐, 또는 벤질;
n 은 0~6;
R2' 는 아릴, 헤테로아릴,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로알킬;
R3 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OC(할로겐)3, C(할로겐)3, 알콕시, 또는 C1-C6 알킬이고;
X 는 CH2O, OCH2, C(R3)=C(R3), C(R3)2-C(R3)2, CH2NHC(=O), O(C=O)NH, O, C(=O)CH2, SO2CH2C(=O)NH, SO2NH, OC(=O), CH2S(O), 및 CH2S(O)2 중에서 선택되며;
Z 는 하나 이상의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잔기이다].
상기 정의는 상기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전구약물을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일 구현예에서, Z 는 피리딘, 피리미딘, 피라진, 피리다진, 페닐, 나프탈렌, 퓨란, 티오펜, 피롤, 피라졸, 이미다졸, 옥사졸, 이소옥사졸, 티아졸, 벤조티아졸, 퀴놀린, 또는 이소퀴놀린, 또는 하기 식이다:
Figure 112006047626195-PCT00003
[식에서:
U 는 S, O, C(R3)=C(R3), C(R3)=N, 및 N(R4) 중에서 선택되고;
W 는 C(R3), 및 N 중에서 선택되고;
M 은 C(R3), 및 N 중에서 선택되고;
L 은 S, O, C(R3)=C(R3), C(R3)=N, 및 N(R4) 중에서 선택되고;
R4 및 R5 는, 각각 독립적으로, 서로에 대한 결합, H, C1-C6 알킬, 또는 페닐이고;
R7 은 R3 에 대한 결합, H, 할로겐, C(할로겐)3, NR4R5, N[(CH2)2]2O, N[(CH2)2]2NR4, NHSO2R4, NR4C(=O)R5, NHC(=O)OR4, NO2, SO2NR4R5, SO2R4, OR4, C(=O)R4, COOR4, CONR4R5, CN, 페닐, 헤테로아릴, C1-C6 알킬, C2-C6 알케닐, 또는 C2-C6 알키닐 중에서 선택되고;
R8 은 H, 페닐, 헤테로아릴, 및 C1-C6 알킬 중에서 선택된다].
R7 은, 치환될 경우, 바람직하게는 NR4R5, N[(CH2)2]2O, N[(CH2)2]2NR4, NHSO2R4, NR4C(=O)R5, NHC(=O)OR4, NO2, SO2NR4R5, SO2R4, OR8, C(=O)R4, COOR4, CONR4R5, CN, 페닐, 또는 헤테로아릴로 치환된다.
R8 은, 치환될 경우, 바람직하게는 NR4R5, N[(CH2)2]2O, N[(CH2)2]2NR4, NR4SO2R5, NR4C(=O)R5, NHC(=O)OR4, NO2, SO2NR4R5, SO2R4, C(=O)R4, COOR4, CONR4R5, CN, 페닐, 또는 헤테로아릴로 치환된다.
상기 R1 기 중에서 바람직한 것은 H 및 분지형 알킬, 더욱 바람직한 것은 이소프로필이다.
상기 R3 기 중에서 바람직한 것은 할로겐, CF3, OCH3, 및 CH3 이다.
상기 X 기 중에서 바람직한 것은 CH2O, OCH2, C(R3)=C(R3), 및 CH2NHC(=O) 이다.
상기 R7 기 중에서 바람직한 것은 CH3, 에틸, 이소프로필, CF3, CN, 및 OCH3 이다.
상기 R8 기 중에서 바람직한 것은 CH3, 페닐, 및 벤질이다.
일 구현예에서, X 는 CH2O 이고, Z 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바람직하게는 바이시클릭(bicyclic)이다.
바람직한 바이아릴술파노미드를 하기 화학식 2 로 표시한다:
[화학식 2]
Figure 112006047626195-PCT00004
[식에서
R1 은 H 또는 C1-C6 알킬
Rc 는 H, 할로겐, 또는 C1-C6 알킬
X 는 0, CH2O 또는 OCH2 이고
Z 는 하나 이상의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잔기이다].
Z 가 아릴인 경우, 바람직한 잔기에는 치환된 페닐이 포함된다. 페닐기를 위한 치환기로는, OH, 할로겐, C1-C6 알콕시, 벤조일, C1-C6 알킬 또는 C1-C6 알코일이 포함된다.
Z 가 헤테로아릴인 경우, 바람직한 잔기에는 벤지퓨라닐, 피리딜, 인돌릴이 포함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X 는 OCH2 이고, Z 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바람직하게는 바이시클릭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X 는 C(R3)=C(R3) 이고, Z 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바람직하게는 바이시클릭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X 는 트랜스 탄소-탄소 이중 결합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X 는 C(R3)2-C(R3)2 이고, Z 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바람직하게는 바이시클릭이다.
일 구현예에서, X 는 CH2NHCO 이고, Z 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바람직하게는 바이시클릭이다.
X 가 카바메이트 O-CO-NH 인 경우, Z 는 바람직하게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바람직하게는 바이시클릭이다.
일 구현예에서 X 는 CO2 이고, Z 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바람직하게는 바이시클릭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X 는 O 이고, Z 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바람직하게는 바이시클릭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X 는 C(=O)CH2 이고, Z 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바람직하게는 바이시클릭이다.
일 구현예에서, X 는 SO2CH2 이고, Z 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바람직하게는 바이시클릭이다.
일 구현예에서, X 는 OCH2 이고, Z 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바람직하게는 바이시클릭이다. 치환된 경우, 그 치환은 바람직하게는 제 2 페닐 고리 상에 위치한다.
일 구현예에서, X 는 OCH2 이고, Z 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바람직하게는 바이시클릭이다. 치환된 경우, 그 치환은 바람직하게는 제 1 페닐 고리 상에 위치한다.
일 구현예에서, X 는 CH2OCH2 이고, Z 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바람직하게는 바이시클릭이다. 치환된 경우, 그 치환은 바람직하게는 제 1 페닐 고리 상에 위치한다.
본원에서 "알킬" 이란 용어는, 명확히 다르게 표시하지 않는 한, 단독으로 혹은 다른 기의 일부로 사용되는지에 관계없이 치환 또는 비치환 지방족 탄화수소 사슬을 말하고, 이에는 1 내지 12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 탄소 원자를 함유한 선형 및 분지형 사슬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i-부틸 및 t-부틸이 "알킬" 에 포함된다. C1-C6 알킬에는, 탄소수 1 내지 6 의 선형 및 분지형 사슬 지방족 기가 포함된다. "알킬" 의 정의에 특히 포함되는 것은, 임의 치환된 지방족 탄화수소 사슬이다.
본원의 정의에서 사용되는 탄소 개수는 탄소 골격 및 탄소 분지를 언급하는 것이고, 알콕시 치환 등의 치환기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지는 않는다.
본원에서 "알케닐" 이란 용어는 단독으로 사용되든 다른 기의 일부로서 사용되든 관계없이, 치환 또는 비치환 지방족 탄화수소 사슬을 말하고, 이에는, 2 내지 8 탄소 원자를 갖고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을 함유한 선형 및 분지형 사슬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알케닐 잔기는 1 또는 2 개 이중 결합을 갖는다. 그러한 알케닐 잔기는 E 또는 Z 형태로 존재할 수 있고, 본 발명의 화합물은 두 형태를 모두 포괄한다. C2-C6 알케닐에는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함유한 1 내지 6 탄소의 선형 또는 분지형 사슬이 포함된다. "알케닐" 의 정의에 포함되는 것은 구체적으로, 임의 치환된 지방족 탄화수소 사슬이다. 알케닐에 부착된 헤테로원자, 예컨대 O, S 또는 N-R1 은 이중 결합에 결합된 탄소 원자에 부착되어서는 안된다.
"알키닐" 이란 용어는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삼중 결합을 함유한 탄화수소 잔기를 말한다. C2-C6 알키닐에는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삼중 결합을 함유한 1 내지 6 개 탄소의 선형 또는 분지형 사슬이 포함된다.
"시클로알킬" 이란 용어는 모노시클릭, 바이시클릭, 트리시클릭, 접합, 가교, 또는 스피로 1가 포화 탄화수소 잔기를 말하며, 여기서 탄소 원자는 고리계의 내부 혹은 외부에 위치한다. 시클로알킬 잔기의 임의의 적절한 고리 위치는 정의된 화학 구조에 공유 결합될 수 있다. 시클로알킬 잔기의 예에는, 시클로프로필, 시클로프로필메틸,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헥실메틸, 시클로헥실에틸, 시클로헵틸, 노르보닐, 아다만틸, 스피로[4.5]데카닐, 및 유사체, 이성질체 등과 같은 화학군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C3-C6 시클로알킬에는 R3 으로 임의 치환된 3 내지 6 탄소의 모노시클릭 포화 고리, 또는 스피로 불포화 탄화수소 잔기 등이 있다. 그 예는 시클로펜탄, 시클로헥산, 및 시클로헥사디엔이다.
"시클로알케닐" 이란 용어는 모노시클릭, 바이시클릭, 트리시클릭, 접합, 가교, 또는 스피로 1가 포화 탄화수소 잔기를 말하며, 여기서 탄소 원자는 고리계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한다. 시클로알킬 잔기의 임의의 적절한 고리 위치는 정의된 화학 구조와 공유 결합될 수 있다. 시클로알킬 잔기의 예에는, 시클로프로필, 시클로프로필메틸,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헥실메틸, 시클로헥실에틸, 시클로헵틸, 노르보닐, 아다만틸, 스피로[4.5]데카닐, 및 유사체, 이성질체 등과 같은 화학군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C3-C6 시클로알킬에는 R3 으로 임의 치환된 3 내지 6 탄소의 모노시클릭 포화 고리가 포함된다.
"아릴" 은 하나 이상의 고리를 갖는 불포화 시클릭 탄화수소를 말하고, 이는 가능한 임의 위치에서 카르보시클릭 또는 헤테로시클릭 고리와 접합될 수 있다. 아릴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벤젠, 나프탈렌 등의 고리 구조 특징을 갖는 분자를 포괄한다.
"헤테로아릴" 은 산소, 질소, 및 황 원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내지 3 개 헤테로원자를 고리 내에 함유한 5 내지 6 원 아릴 헤테로시클릭 고리를 말하며, 이는 가능한 임의 위치에서 카르보시클릭 또는 헤테로시클릭 고리와 접합될 수 있다. 방향족이 아닌 불포화 헤테로시클릭, 예컨대 테이닐(theinyl), 퓨릴, 피롤릴 등도 포함된다.
"헤테로시클로알킬" 은 탄소 원자 및 N, O, 및 S 중에서 선택된 1 내지 2 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한 5 내지 7-원 포화 고리를 말한다.
본원에서 "페닐" 이란 용어는, 단독 또는 다른 기의 일부로 사용되는지에 관계없이,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기를 말한다.
임의 치환 잔기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적절한 임의 치환기는 H, 할로겐, C1-C6 알킬, C2-C6 알케닐, C2-C6 알키닐, NR4R5, N[(CH2)2]2O, N[(CH2)2]2NR4, NHSO2R4, NR4C(=O)R5, NHC(=O)OR4, NO2, SO2NR4R5, SO2R4, OR4, C(=O)R4, COOR4, CONR4R5, 및 CN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가능하다.
상기 잔기들이 치환될 경우, 예를 들어 이는 통상적으로 단일-, 이-, 삼- 또는 과치환 (persubstitution) 될 수 있다. 할로겐 치환기의 예에는, 1-브로모 비닐, 1-플루오로 비닐, 1,2-디플루오로 비닐, 2,2-디플루오로비닐, 1,2,2-트리플루오로비닐, 1,2-디브로모 에탄, 1,2 디플루오로 에탄, 1-플루오로-2-브로모 에탄, CF2CF3, CF2CF2CF3 등이 포함된다.
할로겐이란 용어에는 브롬, 염소, 불소 및 요오드 등이 있다.
간략화를 위하여, 연결 지점 ("-") 은 표시하지 않았다. 변형체를 정의하기 위해 원자 또는 화합물이 언급되는 경우, 그 원자 또는 화합물의 원자가를 만족시키는 방식으로 변형체를 대체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L 이 C(R3)=C(R3) 인 경우, 각 원자가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두 탄소 원자는 고리의 일부를 형성한다.
본원에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란 용어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염기성 잔기를 함유한 경우, 유기 및 무기 산에서 유도된 염을 말하며, 그러한 산에는 예컨대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락트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숙신산, 푸마르산, 말레산, 말론산, 만델산, 말산, 프탈산, 염산, 브롬화수소산, 인산, 질산, 황산, 메탄술폰산, 나프탈렌술폰산, 벤젠술폰산, 톨루엔술폰산, 캄포르술폰산, 및 유사한 공지의 허용가능한 산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카르복실레이트 또는 페놀성 잔기 또는 염기 부가염을 형성할 수 있는 유사 잔기를 함유한 경우, 염은 유기 및 무기 염기로부터 형성될 수도 있고, 바람직한 것은 알칼리 금속염이며, 예컨대 나트륨, 리튬, 또는 칼륨이다.
"대상체" 란 용어는 본원에서 포유류,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투여하다", "투여하는", 또는 "투여" 란 용어는, 환자에게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직접 투여하거나, 또는 환자에게 환자 체내에서 동량의 활성 화합물 또는 물질을 형성하게 되는 화합물의 전구약물 유도체 또는 유사체를 투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담체" 란 용어는 본원에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포괄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비대칭 탄소 원자를 함유할 수 있으며, 본 발명 화합물의 일부는 하나 이상의 비대칭 중심을 함유하여 광학 이성질체 및 부분입체 이성질체를 형성할 수 있다. 화학식 I 에서 입체화학은 고려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광학 이성질체 및 부분입체 이성질체; 및 라세미 및 분해(resolved), 거울상 이성질적으로 순수한 R 및 S 입체이성질체; 및 R 및 S 입체이성질체의 기타 혼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괄한다. 입체이성질체가 바람직한 경우, 일부 구현예에서 대응하는 거울상 이성질체가 실질적으로 없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대응하는 거울상 이성질체가 실질적으로 없는 거울상 이성질체란, 분리 기술에 의해 단리 또는 분리되거나, 또는 대응하는 거울상 이성질체가 없도록 제조된 화합물을 말한다. 본원에서 "실질적으로 없는" 이란 표현은, 화합물이, 현저히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한 가지 입체이성질체로 이루어지고, 대응하는 거울상 이성질체는 바람직하게는 약 5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5% 미만,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미만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바이아릴 술폰아미드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함유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담체의 예는, 당업자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컨대 본원에 그 전체가 인용 포함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7th edition, ed. Alfonoso R. Gennaro,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85)] 에 기재된 허용가능한 약학적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제형물의 다른 성분과 상용가능하고 생물학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경구 또는 비경구적으로, 단독 또는 종래의 약학적 담체와 병용하여 투여할 수 있다. 이용가능한 고체 담체는 풍미제, 윤활제, 가용화제, 현탁제, 충전재, 활택제(glidants), 압축 보조제 (compression aids), 결합제 또는 정제-붕해제 또는 캡슐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을 종래 방법, 예를 들어 공지된 항고혈압제, 이뇨제 및 β-차단제에 이용되는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형화한다.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을 함유한 경구 제형물은, 정제, 캡슐, 협측작용제 (buccal form), 트로키제, 마름모꼴 정제 (lozenge) 및 경구 액제, 현탁액 또는 용액을 포함하여, 종래 사용되는 임의의 경구 형태를 포괄할 수 있다. 분말의 경우, 담체는 세분된 고체로서, 이는 세분된 활성 성분과의 혼합물이다. 정제의 경우, 활성 성분을 적절한 비율의, 요구되는 압축 특성을 가지고, 모양 및 크기 면에서 목적에 맞게 소형화된 담체와 혼합한다. 바람직하게, 분말 및 정제는 활성 성분을 99% 까지 함유한다.
캡슐은 활성 화합물(들)과 불활성 충전재 및/또는 희석제, 예컨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전분 (예, 옥수수, 감자 또는 타피오카 전분), 당, 인공 감미료, 분말 셀룰로스, 예컨대 결정질 및 미정질 셀룰로스, 밀가루, 젤라틴, 검 등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유용한 정제 제형물은 종래의 압축, 습윤 과립화 또는 건조 과립화법에 의해 제조가능하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표면 개질제 (계면활성제 포함), 현탁 또는 안정화제, 예컨대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탈크, 당, 락토스, 덱스트린, 전분, 젤라틴,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미정질 셀룰로스,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칼슘, 폴리비닐피롤리딘, 알긴산, 아카시아검, 잔탄검, 시트르산나트륨, 복합 실리케이트 (complex silicate), 탄산칼슘, 글라이신, 수크로스, 소르비톨, 인산이칼슘, 황산칼슘, 락토스, 카올린, 만니톨, 염화나트륨, 저융점 왁스 및 이온 교환 수지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 를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표면 개질제에는, 비이온성 및 음이온성 표면 개질제가 포함된다. 표면 개질제의 대표적 예에는, POLOAXEMER 188, 에틸렌 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의 블록 공중합체,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칼슘 스테아레이트,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세토마크로골 유화용 왁스, 소르비탄 에스테르,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포스페이트, 소듐 도데실설페이트,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및 트리에탄올아민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의 경구 제형물은 활성 화합물(들)의 흡수율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표준 지연형 또는 시간 제어 방출 제형물을 이용할 수 있다. 경구 제형물은 또한 활성 성분을,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가용화제 또는 유화제를 함유한 물 또는 과일 주스에 넣어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용액, 현탁액, 에멀젼, 시럽 및 엘릭시르의 제조에 액체 담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활성 성분을 물, 유기 용매, 이들의 혼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오일 또는 지방과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액체 담체에 용해 또는 현탁시킬 수 있다. 액체 담체는 다른 적절한 약학 첨가제, 예컨대 가용화제, 유화제, 완충제, 방부제, 감미료, 풍미제, 현탁제, 증점제, 색소, 점도 조절제, 안정화제 또는 삼투-조절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경구 및 비경구 투여용 액체 담체의 적절한 예에는, 물 (특히 상기와 같은 첨가제를 함유한 것, 예컨대 셀룰로스 유도체, 바람직하게는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용액), 알코올 (1가 알코올 및 다가 알코올 포함, 예컨대 글리콜) 및 이의 유도체, 및 오일 (예, 분별 코코넛 오일 및 아라키스(arachis) 오일) 등이 포함된다. 비경구 투여를 위해 담체는 에틸 올리에이트 및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와 같은 유성 에스테르일 수도 있다. 멸균액 형태의 비경구 투여용 조성물에는 멸균 액체 담체가 이용된다. 압축 조성물용 액체 담체는 할로겐화 탄화수소 또는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분사제일 수 있다.
멸균 용액 또는 현탁액인 액체 약학 조성물은, 예컨대 근육내, 복막내 또는 피하 주사 방법으로 이용가능하다. 멸균 용액을 정맥내로 투여할 수도 있다. 경구 투여용 조성물은 액체 또는 고체 형태 모두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약학 조성물은 단위 투여 형태, 예컨대 정제, 캡슐, 분말, 용액, 현탁액, 에멀젼, 과립, 또는 좌제이다. 상기 형태의 경우, 조성물을 적당한 양의 활성 성분을 함유한 단위 투여량으로 분할한다: 단위 투여 형태는 포장된 (packaged) 조성물, 예컨대 패킷(packeted) 분말, 바이알(vial), 앰풀, 액체를 함유한 프리필드 시린지 (prefilled syringe) 또는 사셰이(sachet) 이다. 단위 투여 형태는, 예컨대 캡슐 또는 정제 그 자체이거나, 또는 적절한 수의 상기 임의의 조성물의 포장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단위 투여 형태는 약 1 mg/kg 내지 약 250 mg/kg 을 함유할 수 있고, 단일 투여량 또는 2 이상의 분할 투여량으로 제공될 수 있다. 경구, 이식, 비경구 (정맥내, 복막내 및 피하 주사 포함), 직장내, 질내, 및 경피를 포함하여 본원의 활성 화합물을 수용자의 혈류로 보내는 임의의 유용한 방법에 의해 상기 투여량을 투여할 수 있다. 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로션, 크림, 폼, 패치, 현탁액, 용액, 및 좌제 (직장 및 질내) 형태를 이용하여 위와 같은 투여를 수행할 수 있다.
특정 질병 상태 또는 장애의 치료 또는 억제를 위하여 투여할 경우, 그 유효 투여량은 사용되는 특정 화합물, 투여 방식, 상태, 및 치료할 상태의 경중도 외에도, 치료 대상 개체와 관련된 각종 신체적 요인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치료적 적용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이미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그 질병 및 이의 합병증 증세를 치료 내지는 최소한 부분적으로 완화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제공된다. 이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양을 "치료적 유효량" 으로 정의한다. 구체적 케이스의 치료에 사용되는 투여량은 주치의에 의해 주관적으로 결정되어야 한다. 관련된 변수는 환자의 구체적 상태 및 체격, 연령 및 반응 패턴 등이다.
일부의 경우, 화합물을 에어로졸 형태로 기도에 직접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비강내 또는 상완내 흡입에 의한 투여의 경우, 본 발명의 화합물을 수성 또는 부분 수성 용액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비경구 또는 복막내 투여할 수 있다. 자유 염기로서의 이들 활성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액 또는 현탁액은, 히드록실-프로필셀룰로스와 같은 계면활성제와 적절하게 혼합된 수(水) 중에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분산액은 유(油) 중의 글리세롤,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이의 혼합물에서 제조할 수 있다. 보통의 저장 및 사용 조건하에서, 이들 작용제는 미생물의 생장을 억제하기 위한 방부제를 함유한다.
주사용으로 적합한 약학적 형태에는 멸균 수용액 또는 분산액 및 멸균 주사 용액 또는 분산액의 즉석 제조용 멸균 분말이 포함된다. 모든 경우에, 상기 형태는 멸균된 것이면서 용이 주사가능성(syringability)이 존재하도록 유동성이 있어야 한다. 제조 및 저장 조건하에서 안정적이면서, 박테리아 및 균류와 같은 미생물의 오염 작용에 대하여 보존성에 있어야 한다. 담체는, 예컨대 물, 에탄올, 폴리올 (예,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이의 적절한 혼합물, 및 식물성 오일 등을 함유한 용매 또는 분산 매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경피 패치를 이용하여 경피 투여할 수 있다. 본원의목적상, 경피 투여는 체 표면 및 상피 및 점막 조직을 포함한 인체 통로의 내막 (inner lining) 을 가로지르는 모든 투여 방법을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한 투여 방법은,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로션, 크림, 폼, 패치, 현탁액, 용액, 및 좌제 (직장 및 질내) 형태로 수행가능하다.
경피 투여는, 활성 화합물 및 활성 화합물에 불활성이고 피부에 대해 무독성이며, 상기 작용제가 피부를 통해 혈류로 전신 흡수되도록 전달하는 담체를 함유한 경피 패치를 이용하여 수행가능하다. 상기 담체는 크림 및 연고, 페이스트, 젤 및 폐쇄형 장치 등 임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크림 및 연고는 수중유 또는 유중수 타입의 반고체 에멀젼 또는 점성 액체일 수 있다. 활성 성분을 함유한 페트롤륨 또는 친수성 페트롤륨에 분산된 흡수성 분말로 이루어진 페이스트 또한 적당하다. 다양한 폐쇄형 장치를 이용하여 활성 성분을 혈류에 방출시킬 수 있는데, 예컨대 활성 성분을 담체와 함께 (또는 담체 없이) 함유한 저장소(resevoir), 또는 활성 성분을 함유한 매트릭스를 덮는 반투과성 막 등이 있다. 다른 폐쇄형 장치는 문헌에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종래의 좌제 형태로 직장내 또는 질내 투여할 수 있다. 좌제 제형물은 코코아 버터, 좌제의 용융점을 조절하기 위한 왁스 (이는 제외 가능), 및 글리세린을 함유한 종래의 재료로부터 제조가능하다. 수용성 좌제 베이스, 예컨대 다양한 분자량의 폴리에틸렌 글리콜도 이용가능하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바이아릴 술폰아미드 화합물의 전구 약물에 관계된다. 전구 약물의 각종 형태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Bundgaard, (ed.), Design of Prodrugs, Elsevier (1985); Widder, 등 (ed.), Methods in Enzymology, vol. 4, Academic Press (1985); Krogsgaard-Larsen, 등 (ed.), "Design and Application of Prodrugs", Textbook of Drug Design and Development, Chapter 5, 113-191 (1991), Bundgaard, 등, Journal of Drug Deliver reviews, 8:1-38 (1992), Bundgaard, J. of Pharmaceutical Sciences, 77:285 et seq. (1988); 및 Higuchi and Stella (eds.) Prodrugs as Novel Drug Delivery Systems, American Chemical Society (1975)] 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은 그 전체가 본원에 인용 포함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투여량, 처방 및 투여 방식은 질병 및 치료 대상 개체에 따라 가변적이고, 관련 의학 종사자의 판단에 의존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원의 하나 이상의 화합물의 투여는 저용량에서 출발하여 원하는 효과를 달성할 때까지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화합물은, 하기의 일반 합성식에 따라, 시판 중인 출발 물질, 문헌의 방법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된 물질, 또는 합성식 및 실험 절차에 기재된 신규 중간체로부터 제조하였다. 상기 일반 반응식은 대부분의 실시예를 포괄한다. 더 자세한 사항은, 하기 실시예 부분의 반응식을 참조한다.
Figure 112006047626195-PCT00005
본원에서 사용된 염기는 트리에틸아민, 탄산칼슘, NaH, Hunig 염기 등이다. 커플링은 일반적으로 Suzuki 커플링 또는 Stille 커플링에 의해 실시되었다. 가수분해는 TFA, NaOH, LiOH, K2CO3 등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본 발명의 각종 화합물의 더욱 구체적인 합성 경로는 하기 반응식에 나타나 있다. 당업자라면, 반응식에 나타나지 않은 보호 및 탈보호 단계가 이들 합성에 필요할 수 있으며, 표적 분자에 관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단계의 순서가 변경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반응식 1 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1 은 4 단계로 제조된다. Hunig 염기 존재 하에 4-브로모-벤젠술포닐 클로라이드를 이용한 발린 메틸 에스테르의 술포닐화를 수행하여 술폰아미드 중간체 1 을 수득하였다. 상기 4-브로모-벤젠술폰아미드를 Suzuki 커플링 조건 하에 팔라듐 촉매를 이용하여 보로네이트 에스테르와 추가적으로 커플링하여 비페닐 술폰아미드 중간체 2 를 수득하였다. 이어서 비페닐 술폰아미드 중간체 2 를 각종 알킬화 시약으로 알킬화하여 비페닐 술폰아미드 에스테르 (중간체 3) 을 수득하였다. NaOH, 또는 LiOH 와 같은 염기를 이용하여 중간체 3 의 가수분해를 실시하여 최종 생성물 1 을 생성하였다.
Figure 112006047626195-PCT00006
화학식 1 로의 다른 경로를 반응식 2 에 나타내었다. 페놀 유도체를 염기성 조건 하에 DMF 중에서 피나콜보란 (중간체 4) 으로 전환하였다. 이어서 피나콜보란을 Suzuki 조건 하에 4-브로모-벤젠술폰아미드와 커플링하여 비페닐 술폰아미드 중간체 5 를 생성하고, 이를 염기성 조건 하에 가수분해하여 최종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7626195-PCT00007
본 발명의 화합물 1 을 제조하기 위한 세 번째 방법을 반응식 3 에 준하여 수행하였다. 반응식 3 의 합성 순서는 반응식 1 과 유사하지만, 상이한 출발 물질인 발린-tert-부틸 에스테르를 이용하였다. 따라서, 생성물 1 을 제조하기 위한 최종 단계는, 중간체 8 의 tert-부틸 에스테르기를 탈보호시키기 위하여 TFA 를 이용하여 실시되었다.
Figure 112006047626195-PCT00008
반응식 3 을 약간 변형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 1 을 제조할 수 있다. 이를 반응식 4A 에 나타내었다. 이 경우, 적절한 에테르 잔기를 갖는 보로네이트 에스테르를 시중에서 구매하여 Suzuki 커플링에 사용함으로써 중간체 8 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8 로부터 tert-부틸 에스테르를 TFA 탈보호시켜서 목적하는 최종 생성물 1 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7626195-PCT00009
본 발명의 화합물 1 을, 중간체 10 과 같은 적절한 에스테르의 가수분해로부터 제조할 수도 있다.
Figure 112006047626195-PCT00010
반응식 4B 는 다음과 같은 알킬화, Suzuki 커플링 및 탈보호 단계를 수반한다.
알킬화: 페놀 유도체 (4.14 mmol) 를 메탄올 (6 mL) 에 용해하고 테트라부틸암모늄 히드록시드 (4.14 mmol.) 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10 분간 교반하고,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THF (10 mL) 에 용해하고, THF (5 mL.) 중의 벤질 브로마이드 (4.14 mmol) 용액으로 처리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디클로로메탄 (5 mL) 및 에테르 (50 mL) 에 재용해하였다. 유기 용액을 물 (4 X 50 mL) 및 염화나트륨 포화 용액 (50 mL) 으로 세정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유기 용액을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미정제 물질을 플래쉬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정제 생성물을 53% 수율로 수득하였는 바, 이는 중간체 4 인 보로네이트 에스테르이다.
Suzuki 커플링: 보로네이트 에스테르 (1.07 mmol) 및 아릴 브로마이드 (1.07 mmol) 를 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10 mL) 에 용해하고, 생성된 용액을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파인)팔라듐(0) (0.054 mmol) 으로 처리하였다. 수 (3.5 mL) 중의 탄산칼슘 (2.14 mmol) 용액을 가하고, 반응물을 1 시간 동안 환류 온도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냉각하고 여과하여 고체를 제거하고, 물 (10 mL) 로 희석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3 X 25 mL) 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 (25 mL) 및 염화나트륨 포화 용액 (25 mL) 으로 세정하였다. 유기 용액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 및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플래쉬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중간체 10 생성물 즉, 목적 생성물의 (트리메틸실릴)에틸 에스테르를 57% 수율로 수득하였다. 일부의 경우, PdCl2(dppf) 를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파인)팔라듐(0) 대신에 촉매로 사용하였다.
MgBr 2 이용한 탈보호: 2-(트리메틸실릴)에틸 에스테르 (0.0621 mmol) 를 디클로로메탄 (58 mL) 에 용해하고, 마그네슘 브로마이드 에테레이트 (0.186 mmol) 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밤새 혹은 반응이 종료될 때까지 강하게 교반한 다음, 10% HCl (3 X 25 mL) 및 염화나트륨 포화 용액 (25 mL) 과 함께 흔들었다. 이어서 유기 용액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 및 감압 하에 농축하여, 생성물을 95% 수율로 수득하였다. 필요에 따라 조생성물을 HPLC 로 정제할 수도 있다.
반응식 4C 에 나타나듯이, Suzuki 커플링을 보로네이트 에스테르와 함께 유리산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에스테르의 가수분해 (중간체 10 에서 처럼) 를 피할 수 있다. 이로써, 화합물 1 을 바로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06047626195-PCT00011
유리산을 이용한 Suzuki 커플링: 보로네이트 에스테르 (1.36 mmol) 및 브로모산 (1.36 mmol) 을 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13.8 mL) 에 용해하고, 생성된 용액을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파인)팔라듐(0) (0.068 mmol) 으로 처리하였다. 실온에서 10 분간 교반 후, 탄산칼슘 (4.08 mmol) 의 수용액 (4.8 mL) 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2 시간 동안 환류 온도로 가열한 후, 실온으로 냉각되도록 밤새 방치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하에 수성 잔류물로 농축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50 mL) 를 가하였다. 유기 혼합물을 10% HCl (2 X 25 mL) 및 포화 염화나트륨 (25 mL) 으로 세정하였다. 유기 용액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 및 농축하여 미정제 잔류물을 얻고, 이를 플래쉬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64% 수율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반응식 5 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2 를 3 단계로 제조한다. 보로네이트 에스테르 (중간체 11) 를 염기성 조건 하에 알킬화에 의해 제조하였다. 이렇게 수득된 중간체 11 은 4-브로모-벤젠술폰아미드 유도체와 쉽게 커플링되어 비페닐 술폰아미드 유사체 (중간체 12) 를 제공한다.
중간체 12 의 에스테르 관능기는 여러 조건 하에 가수분해되어, 목적하는 비페닐 술폰아미드 생성물 2 를 제공할 수 있다.
Figure 112006047626195-PCT00012
화합물 2 를 제공하는 다른 경로를 반응식 6 에 나타내었다. 출발 물질인 4-히드록시비페닐 술폰아미드 유도체는 Suzuki 커플링으로 쉽게 얻을 수 있다. 염기성 조건 하에 4-히드록시비페닐 술폰아미드를 알킬화하여 에테르 링커 (linker) 를 지닌 비페닐 술폰아미드 에스테르 중간체 13 을 수득하였다. 수성 NaOH 를 이용하여 에스테르 (중간체 13) 를 가수분해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하는 생성물 2 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7626195-PCT00013
반응식 6 에 나타낸 메틸 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의 탈보호는, 반응식 6A 에 나타낸 경로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반응식 6A
메틸 에스테르의 탈보호 :
Figure 112006047626195-PCT00014
중간체 13A 메틸 에스테르 (0.294mmol) 를 THF:MeOH (2:1)(2mL) 에 용해하고1M LiOH (0.881mmol) 를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 일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잔여 흰색 고체를 H2O 에 용해하였다. H2O 를 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에테르 층을 제거하고 수성 층을 (진한) HCl 을 이용하여 pH 2 로 산성화하여 뿌연 용액을 생성하였다. 상기 용액을 CH2Cl2 로 추출하였다. 생성된 수성 층을 제거하고 잔여 유기 층을 염수로 세정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잔여 고체를 최소한의 CH2Cl2 에 용해한 다음 헥산을 가하여 흰색 고체를 침전시켰다. 상기 고체를 여과하고 감압 하에 건조하여 목적하는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 3 을 합성식 7 을 기초로 제조한다. 4-비닐페닐보론산 및 4-브로모벤젠 술폰아미드 유도체를, 팔라듐 촉매로 촉매되는 Suzuki 커플링을 통해 반응시켜서 중간체 14 를 수득하였다. 아릴 할라이드를 이용한 중간체 14 의 Heck 반응으로 중간체 15 을 생성하였다. 중간체 15 는 링커로서 아릴 고리에 연결된 이중 결합을 갖는 비페닐 술폰아미드 유도체이다. 중간체 15 의 tert-부틸 에스테르의 통상적 TFA 탈보호에 의해, 목적하는 생성물 3 을 고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7626195-PCT00015
반응식 8 은 본 발명의 화합물 4 를 유도하는 다단계 합성을 보여준다. 통상의 Suzuki 커플링 이후 트리플릭 무수물을 이용한 알킬화로 트리플레이트 중간체 16 을 수득하였다. 트리플레이트 중간체 16 을 Sonagoshira 반응을 통해 일키닐화 생성물 17 로 전환하였다. 생성물 17 의 TBDMS 보호기(protecting group) 를 TBAF 로 제거한 후 추가적인 Sonagoshira 반응으로, 비페닐기를 아릴 잔기와 연결시키는 삼중 결합을 지닌 중간체 18 을 수득하였다. 이어서 중간체 18 을 수소화로 환원시킨 후 TFA 탈보호로 에스테르기를 제거하여 목적하는 생성물 4 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7626195-PCT00016
구조 5 의 화합물의 생성 경로를 반응식 9 에 나타내었다. 4-아미노메틸 페닐 보론산을 Suzuki 커플링에 이용하여 중간체 19 를 제조하였다. 중간체 19 를 아세트산 무수물로 아실화한 후, TFA 탈보호에 의해 구조 5 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7626195-PCT00017
구조 5 화합물의 다른 제조 방법을 반응식 10 에 나타내었다. 4-브로모페닐아세트산과 DMF 중의 페닐아민의 EDCL 커플링에 의해 중간체 21 을 생성하였다. 중간체 21 과 대응하는 주석 시약과의 Stille 커플링에 이은 TFA 탈보호에 의해 생성물 5 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7626195-PCT00018
반응식 11 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6 을, 트리에틸아민의 존재 하에 4-히드록시비페닐 술폰아미드 유도체와 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서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카바메이트 (중간체 24) 를 TFA 로 처리하여 tert-부틸 에스테르 보호기를 제거함으로써 화합물 6 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7626195-PCT00019
트리에틸아민의 존재 하에 4-히드록시비페닐 술폰아미드 유리산을 이용하여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키는, 화합물 6 의 다른 제조 경로를 반응식 12 에 나타내었다. 이로써 탈보호 단계를 거치지 않고 화합물 6 을 직접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7626195-PCT00020
구조 7 의 화합물의 제조 경로를 반응식 13 에 나타내었다. 중간체 23 을 DCC 시약을 이용하여 카르복실산과 커플링함으로써 에스테르 24 를 수득하였다. 중간체 24 를 TFA 로 처리하여 tert-부틸기를 선별적으로 제거함으로써 화합물 7 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7626195-PCT00021
반응식 14 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8 을, 중간체 23 으로부터, 알킬화에 이은 TFA 를 이용한 탈보호 (tert-부틸 보호기의 제거) 에 의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47626195-PCT00022
반응식 15 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9 를 다단계 합성으로 제조하였다. 중간체 26 을 공지된 문헌에 게재된 방법을 기초로 제조하였다. Stille 커플링에 이은 TFA 탈보호로 목적 생성물 9 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7626195-PCT00023
구조 10 의 화합물 제조 경로를 반응식 16 에 나타내었다. 중간체 28 (2-[1,2,3]티아졸-4-일-페놀)을 문헌에 게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벤질 브로마이드 유도체를 이용한 알킬화에 이은 축합 반응으로 티오에테르 중간체 29 를 수득하였다. 중간체 29 를 4-브로모벤젠 술폰아미드로 Suzuki 커플링하여 중간체 30 을 생성하였다. mCPBA 로 산화시킨 후 가수분해하여 화합물 10 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7626195-PCT00024
TFA 를 이용한 t-부틸 에스테르 보호기의 제거
Figure 112006047626195-PCT00025
t-부틸 에스테르 보호된 비페닐술폰아미드 (0.505mmol) 를 CH2Cl2 (2.5mL) 에 용해하였다. TFA (2.5mL) 를 CH2Cl2 (2.5mL) 에 용해하고, 이를 용해된 에스테르에 서서히 가하고 1.5 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여 오일을 톨루엔에 용해하고, 톨루엔을 제거하였다. 마지막으로, 오일을 최소량의 CH2Cl2 에 용해하고, 헥산을 가하여 흰색 고체를 침전시켰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진공 펌프 건조 후, 건조 고체를 98% 수율로 수득하였다.
본 발명은 추가로 골관절염의 치료에 유용한 작용제의 동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골관절염의 치료에 유용한 작용제의 동정 방법은, 특정 작용제가 ADAMTS-5-특이적 어그리카나제 저해 활성을 가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ADAMTS-5 형질전환 동물을 이용하여, 골관절염의 치료에 유용한 잠재적 작용제가, ADAMTS-5 활성을 지닌 동물에서는 효과적이지만 ADAMTS-5 활성을 나타내지 않는 동물에서는 효과적이지 않음을 확인하는 것을 포함한다.
하기 실시예에 더 상세히 기재된 바와 같이, ADAMTS-5 대립 유전자를, 대립유전자와 돌연변이 ADAMTS-5 유전자 또는 이의 일부 간의 동종접합형 재조합에 의해 세포 내에서 기능적으로 파괴한다. 상기 세포는 ADAMTS-5 를 정상적으로 발현하는 분화된 세포 타입, 예컨대 대식세포 또는 단핵구, 또는 대식세포-유사 또는 단핵구-유사 세포주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세포는 배아 줄기 세포와 같이, 동물로 발달할 수 있는 전능한 기원세포 (pluripotent progenitor cell) 일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배아 줄기 세포가 이용된다. 배아 줄기 세포를 포배에 삽입하고, 포배를 가임신(pseudopregnant) 동물에 주입하여 ADAMTS-5 대립 유전자가 기능적으로 파괴된 체세포 및 생식세포를 얻을 수 있다. 그러한 동물은 "동종 재조합" 동물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동종 재조합 동물은 마우스이다. 마우스는 실험용으로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고, 하기 실시예에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 공인된 모델을 제공하므로 바람직한 동물이다. 그러나, 돼지, 젖소, 양, 염소, 및 기타 다른 동물을 포함하여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 임의의 동물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동물은 근교배 마우스이다.
동종 재조합 세포 또는 동물을 제작하기 위하여, 내부에 돌연변이가 도입된 ADAMTS-5 단백질, 또는 그 일부를 인코딩하는 DNA 를 함유한 표적화 벡터를 제조할 수 있다. 표적화 벡터는, 바람직하게는 Cre/Lox-P 부위; 제 1 ADAMTS-5 유전자 서열과 실질적 동일성을 지닌 비(非)동종 부분의 업스트림에 위치한 제 1 상동성 영역; 및 제 2 ADAMTS-5 유전자 서열과 실질적 동일성을 지닌 비동종 부분의 다운스트림에 위치한 제 2 상동성 영역을 포함하는 비(非)동종 ADAMTS-5 대체 부분 (replacement portion) 을 함유할 수 있다. 본원에서, "실질적 동일성" 이란 표현은, 숙주 세포에서 뉴클레오티드 서열과 내인성 ADAMTS-5 서열간의 동종 재조합이 가능하도록 ADAMTS-5 유전자에 대하여 충분한 상동성을 지닌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상동성 영역 측면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은 내인성 서열과 약 80% 내지 약 100% 일치한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이는 100% 일치한다. 또한, 상동성 영역은 숙주 세포의 내인성 유전자와 동종 재조합이 가능하도록 충분한 길이, 즉 1 킬로베이스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 킬로베이스 이상을 가진다.
표적화 벡터는 추가로 양성 및 음성 선별 카세트 (selection cassette)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세트는 선별 표지의 발현을 조절하는 조절 요소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양성 및 음성 선별 표지를 인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한다.
숙주 세포에서 내인성 ADAMTS-5 대립 유전자를 기능적으로 파괴하기 위하여, 표적화 벡터를 숙주 세포, 예컨대 분화 세포 또는 배아 줄기 세포에 삽입한다. 표적화 벡터를 세포에 도입하는 것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기술에 의해 가능하며, 이에는 인산칼슘 침전법, DEAE-덱스트란 트랜스펙션, 미량주사(microinjection), 리포펙션(lipofection), 전기천공법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벡터를 숙주 세포에 도입한 후, 세포를 일정 기간 및 도입된 표적화 벡터와 내인성 ADAMTS-5 유전자 간의 동종 재조합을 가능케하는 조건 하에 배양한다. 숙주 세포를 선별하고 (예, 양성 및/또는 음성 선별법), 당업계에 공지된 표준 기술 (예, 서던 혼성화 또는 동종 재조합 대립유전자와 정상 내인성 대립유전자를 구분하는 프로브/프라이머를 이용한 PCR) 에 의해 내인성 ADAMTS-5 유전자 위치에서의 동종 재조합을 스크리닝한다.
동종 재조합 동물을 만들기 위해, 기능적으로 파괴된 하나 이상의 ADAMTS-5 대립 유전자를 갖는 배아 세포를 포배에 삽입하고, 포배를 가임신 대리모에 이식하고, 출산예정일까지 배아를 발생시킨다. 그 결과 수득된 동물은 배아 줄기 세포로부터 물려받은 세포를 갖는 키메라이다. 배아 줄기 세포로부터 유래된 생식 세포를 갖는 키메라 동물을 야생형 동물과 교접시켜서 모든 체세포 및 생식 세포가 ADAMTS-5 유전자 파괴에 있어서 이종접합형인 동물을 만든다. 이종접합형 동물을 이어서 교접시켜서 ADAMTS-5 유전자 파괴에 있어서 동종접합형인 동물을 만들 수 있다 (즉, 두 ADAMTS-5 대립 유전자 모두가 기능적으로 파괴된 것). 무효화 돌연변이 (null mutation) 및 점 돌연변이 등 어떠한 돌연변이라도 형질전환 동물에 도입할 수 있다. 점 돌연변이는 ADAMTS-5 유전자 산물의 정상 발현은 가능하게 하지만 그 산물은, 예컨대 어그리카나제 활성을 갖지 못하는 것과 같은 비정상 활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ADAMTS-5 유전자 파괴에 있어서 동종접합형인 동물의 세포를 그로부터 분리하여 스크리닝 어세이(assay) 등의 각종 연구를 위하여 시험관내에서 배양할 수 있다.
ADAMTS-5 형질전환 동물 및 그로부터 유래된 세포는 ADAMTS-5 저해제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양성 대조군으로서 유용하다. 동종접합형 및 이종접합형 동물이 그러한 기준을 제공한다. ADAMTS-5 저해제의 효능을 확인 및 평가하기 위한 스크리닝 어세이에서, 저해제 처리를 하지 않은 야생형 동물 (또는 그로부터 유래된 세포) 을 저해율 0% 의 기준으로 삼고, 동종접합형 ADAMTS-5 파괴 동물을 저해율 100% 의 기준으로 한 반면, 이종접합형 ADAMTS-5 유전자 파괴 동물은 저해율 100% 미만 및 저해율 0% 초과의 표준으로 이용한다. 이어서, ADAMTS-5 저해제로 처리된 대상체의 ADAMTS-5 활성의 양을 상기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한다. 어그리카나제 활성의 저해율% 또는 골관절염 증상의 감소율% 에 의해 저해율을 측정할 수 있다.
형질전환 동물 및 그로부터 유래된 세포는 또한, ADAMTS-5 이외의 다른 표적(들) (예, ADAMTS-5 아이소형(isoform) 또는 ADAMTS-4) 에 대한 저해제의 작용으로 인한 부작용 또는 독성에 관하여 ADAMTS-5 저해제를 스크리닝하는 데에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DAMTS-5 저해제를 본 발명의 ADAMTS-5 동물에 투여하여 이의 부작용 또는 독성을 측정할 수 있다. ADAMTS-5 형질전환 동물은 저해제의 정상 표적을 결여하므로, ADAMTS-5 무효화 돌연변이체에 저해제를 투여함으로써 나타나는 효과는 다른 표적(들)에 대한 ADAMTS-5 저해제의 부작용에 기여할 수 있다. 그러므로, ADAMTS-5 형질전환 동물은 이들 부작용을 ADAMTS-5 활성에 대한 저해제의 직접적 효과와 구별하는 데 있어서 유용하다.
형질전환 동물은 또한, ADAMTS-5 가 질병 상태의 병인으로 작용하는 질병들을 동정하기 위한 생체내 스크리닝 어세이에도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리닝 어세이는 ADAMTS-5 저해제로 치료가능한 다른 질병의 동정에도 유용하다. 예를 들어, 세포외 단백질의 분해 또는 파괴가 일어나는 다른 장애, 예컨대 암, 천식, 만성 폐색성 폐질환 ("COPD"), 죽상동맥경화증, 연령관련 황반변성, 심근경색증, 각막 궤양 및 기타 안구표면 질환, 간염, 대동맥류, 건염, 중추신경계 질환, 비정상 상처 치유, 혈관형성, 재협착, 경화증, 다발경화증, 사구체신염, 이식대숙주 병, 당뇨병, 염증성 장질환, 쇼크, 무척추 디스크 퇴행증, 뇌졸중, 골감소증, 류마티스성 관절염 및 기타 형태의 관절염, 및 치주병 등에 있어서 ADAMTS-5 의 역할을 평가하는 데 형질전환 동물이 유용할 수 있다. 골관절염에 대한 실시예에서 후술한 바와 같이, 자극제(stimulus)를 본 발명의 형질전환 동물에 투여하여 질병 상태를 유발할 수 있다. 다르게는, 본 발명의 형질전환 동물을 특정 질병에 유전적으로 취약한 동물과 교배시킬 수 있다. ADAMTS-4 또는 ADAMTS-5 무효화 돌연변이 동물에서 질병을 유발한 다음, 그 질병 상태에 대한 상기 동물의 취약성 또는 저항성을 평가한다. 야생형에 비하여 상기 동물이 상기 질병에 대하여 저항성이 있다는 것은, 그 질병 상태가 병리학적으로 ADAMTS-4 또는 ADAMTS-5 의 작용과 연관됨을 암시하고, 따라서 질병 상태를 각 ADAMTS-4 또는 ADAMTS-5 저해제로 치료가능함을 제시한다. 상기의 이용예로서, 하기 실시예 1 및 도 3A 및 도 3B 는 동종접합형 및 이종접합형 ADAMTS-5 형질전환 동물이 유발된 골관절염에 대하여 저항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동종접합형 ADAMTS-5 무효화 돌연변이를 갖는 ADAMTS-5 형질전환 동물, 또는 그로부터 유래된 세포를 그 유전자에 상당하는 인간의 것과 재구축하여 인간 ADAMTS-5 유전자 산물을 발현하는 비인간 세포 또는 동물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세포 및 동물을 이용하여 화합물들을 스크리닝함으로써, 배양 세포 또는 생체내에서 인간 ADAMTS-5 의 활성을 저해하는 작용제를 동정할 수 있다. 그러한 동물 및 세포는 당업계에 공지된 기술로 제작가능하다. 인간 ADAMTS-5 폴리펩티드를 발현하는 세포를 갖는 비인간 동물, 및/또는 그로부터 유래된 세포를 이용하여, 생체내에서 인간 ADAMTS-5 를 저해할 수 있는 작용제를 스크리닝 및 동정할 수 있다.
또한, ADAMTS-5 형질전환 동물은 특정 물질이 ADAMTS-5 의 기질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데 유용하다. ADAMTS-5 는 어그리카나제 활성을 갖는 메탈로프로티나제이다. 기질 후보의 전구 형태가 ADAMTS-5 에 의해 절단되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ADAMTS-5 동물 내 절단된 산물의 존부를 측정할 수 있다. 절단된 산물은 형질전환 동물 내에서 실질적으로 감소되거나 없을 것이다.
하기 실시예는 예시를 위하여 제시되며,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재료 및 방법
ADAMTS5 KO 마우스의 생성
본 연구에서 이용된 ADAMTS-5 KO 마우스는 ADAMTS5 유전자의 Cre/LoxP 타입의 조건적 KO 대립유전자를 갖는 근교배 129SvEv-Brd 마우스로부터 제작되었다 (Lexicon Genetics, The Woodlands, TX). 상기 조건적 대립유전자 (conditional allele) 는 엑손 3 측면의 LoxP 부위를 포함하므로, Cre 재조합은 도 1A 에 나타낸 것과 같이 대다수의 효소 활성 부위를 인코딩하는 엑손 3 의 결실을 가져왔다.
ADAMTS-5 조건적 KO 대립유전자를 함유한 마우스는 ES 세포에서의 동종 재조합 및 포배 주입에 의한 키메라 마우스의 생성에 의해 제작되었다. ADAMTS-5 KO 마우스 계통은, 조건적 KO 마우스를 프로타민-Cre 형질전환 마우스 (Lexicon Genetics 제조) 와 이종교배하여, 도 1B 에서와 같이 돌연변이 ADAMTS-5 및 Prot-Cre 대립유전자 모두를 함유한 수컷 자손의 정자에서 엑손 3 의 Cre 매개 결실을 유도함으로써 제작되었다.
ADAMTS5 WT, 조건적 KO 및 KO 대립유전자의 유전자형 분석 ( Genotying )
ADAMTS-5 유전자의 대립유전자의 유전자형 분석을, 꼬리 생검에서 미정제 프로티나제 K 분해로부터의 DNA 주형을 이용하여 PCR 에 의해 수행하였다. 서열 (5'TGT TCA CCC AAA GCA ACT AC3') 의 정방향 프라이머 (프라이머 1) 및 서열 (5'TAG AGG AGA GGA GAG GAG G3') 의 역방향 프라이머 (프라이머 2) 를 이용하여 PCR 을 통해 야생형 및 이종접합형 KO 대립유전자를 확인하였다. 상기 프라이 머는 (5') LoxP 부위의 삽입 부위의 측면에 위치하여, 야생형 및 이종접합형 동물에서는 230 bp 앰플리콘(amplicon)을 생성하고 KO 동물에서는 앰플리콘을 생성하지 않았다 (도 1B, C). 정방향 프라이머 (5'GTG AAC CAC ATG GAC TTT GG3': 프라이머 3) 및 역방향 프라이머 (5'TCG TAG CAA ACA CCC ACC TG3': 프라이머 4) 를 이용하여 엑손 3 이 결실된 (KO) 대립유전자의 500 bp PCR 산물을 수득하여 넉아웃 대립유전자를 확인하였다 (도 1B, C).
RT- PCR 를 위한 RNA 의 제조:
RNAeasy 키트 (Qiagen, Valencia, CA) 를 이용하여 제조업자 지시에 따라 WT 및 KO 마우스 지라로부터 총 RNA 를 준비하였다. RNA 샘플의 질은 Bioanalyzer (Agilent Technologies, Palo Alto, CA) 를 이용하여 RNA 6000 나노 어세이로 확인하였다. PCR 프라이머를 다음과 같이 설계 및 합성하였다 (BioSource International, Camarillo, CA):
프라이머 5, 5'cgaccctcaagaacttttgc3'; SEQ ID NO:4
프라이머 6, 5'ctcaggcccaaatgtcaagt3'; SEQ ID NO:5
프라이머 7, 5'cgtcatgagaaaggccaagt3'; SEQ ID NO:6.
600 nM 농도의 각 프라이머 및 200 ng 의 총 RNA 및 Qiagen OneStep RT-PCR 키트를 이용하여 DNA Engine Dyad 유전자 증폭기 (MJ Research, Waltham, MA) 에서 RT-PCR 을 수행하였다. RT-PCR 을 50℃ 에서 30분, 95℃ 에서 15분 동안 작동시키고, 및 95℃ 에서 15초, 59℃ 에서 1분, 및 72℃ 에서 30초의 35 회 사이클을 반복하였다. RT-PCR 프라이머를 도 1D 에, 그리고 RT-PCR 산물은 도 1E 및 1F 에 나타내었다. 프라이머 5 및 6 를 이용하여, 도 1E 는 WT 의 mRNA 가 506 bp 이고, KO 의 mRNA 가 338 bp 임을 보여준다. 프라이머 5, 4 및 7 을 이용하여, 도 1F 는, WT 의 mRNA 가 258 bp 이고, 프라이머 7 이 KO 에서는 결실된 엑손 3 에 위치하기 때문에 예상대로 KO 에서는 산물이 없음을 보여준다.
새끼 마우스 및 성체 마우스의 조직학 및 병리학적 평가:
18 주령의 22 WT 및 20 ADAMTS-5 KO 수컷을 대상으로 완전 부검을 실시하였다. 부검에는 뇌, 관절, 심장, 폐, 흉선, 지라, 간, 신장, 침샘, 턱밑림프절, 고환, 부고환, 안구, 하더리안 샘 (harderian gland), 눈물샘, 흉골, 및 상완골의 육안 관찰, 체중 및 장기 무게 측정, 혈액 분석, 완전 혈청 분석 및 현미경 검사가 포함되었다. 모든 조직을 10% 중성 완충 포르말린으로 고정하고, 미네랄화된 경우 석회질을 제거하고, 통상적으로 가공하고, 파라핀-함침시키고, 통상적인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염색 단면을 제조하였다. 공인된 수의 병리학자 (BS) 가 모든 슬라이드에 대하여 병소의 존부를 평가하였다.
골관절염의 외과적 유도:
모든 연구는 와이어쓰 동물 보호 및 이용 위원회 (Wyeth 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의 승인 하에 수행되었다. 마우스의 외과적 골관절염 유도법은 당업계의 골관절염 연구에 있어서 공인된 모델이다. 그에 따라, 10 주령 마우스를 250 mg/kg 복막내 트리브로모에탄올 (Sigma-Aldrich, St. Louis, MO) 로 마취하고, 무릎에 대한 무균 수술을 준비하였다. 내측 부(para)-슬개골 절개를 하여 반월판 인대 (meniscotibial ligament) (내측 반월상 연골을 경골 고평부에 고정시킴) 를 노출시키고 횡절단하여, 내측 반월상 연골 (DMM) 을 불안정하게 하였다. 관절 캡슐 및 피하층을 각각 8-0 및 9-0 Vicryl (Ethicon, Inc. Somerville, NJ) 로 봉합하고, 피부를 Nexaband®S/C 조직 접착제 (Abbott Laboratories, North Chicago, IL) 로 봉하였다. 부프레노르핀 (Buprenex, Reckitt and Coleman Products, Hull, England) 을 수술 전 및 후에 0.03 mg/kg 로 투여하였다. DMM 수술 후 4 주째, 19 WT 및 19 KO 마우스를 일산화탄소로 죽였다. 수술 후 8 주째, 44 마리 WT, 20 마리 이종접합형, 및 28 마리 동종접합형 KO 마우스를 죽였다. 소규모의 동물 하위군을 가수술 (sham surgery) 하여 질병의 진행에 대한 관절 절개술의 2차 염증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가수술 후 4 또는 8 주째 동물의 조직학적 점수는 어떠한 수술도 하지 않은 동물과 통계적으로 다르지 않았다.
골관절염의 진행 및 중증도의 평가:
손상되지 않은 무릎 관절을 4% 파라포름알데히드에 24 시간 둔 후, 20% EDTA 로 5 일간 석회질 제거하였다. 관절을 파라핀에 함침시키고 전체 관절에서 6 ㎛ 전단면을 채취하였다. 슬라이드를 Safranin-O/Fast green 으로 염색하고, 실험에 대한 정보가 없는 (blinded) 독립적인 세 명의 채점자가 관절 전반에 걸쳐서 70㎛ 간격으로 평점을 매겼다. Chambers 등 (Chambers et al, 2001, Arthritis & Rhuem 44:1455) 의 반정량적(semi-quantitative) 평가 시스템을 변형하였는데, 여기서 0 은 정상 연골; 0.5 는 구조 변화없는 Safranin-O 의 감소; 1 은 거칠어진 관절 표면 및 작은 세동; 2 는 표층 바로 밑층까지 내려온 세동 및 일 부 표면 라미나(lamina)의 손실; 3 은 경증 (<20%), 5 는 중증 (20-80%) 및 6 은 중증 (>80%) 의 비석회화 (non-calcified) 연골의 손실을 나타낸다. 관절의 모든 사분역(quadrant) (내측 경골 고평부 (MTP), 내측 대퇴 관절돌기, 외측 경골 고평부, 및 외측 대퇴 관절돌기)을 개별적으로 평가하였다. 각 무릎 관절에 대하여 약 12 부위의 평점을 매기고, 관절 연골이 어떠한 사분역에서도 더 이상 관찰되지 않을 때까지 평가를 계속하였다. 점수는 도 3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 관절의 모든 부위에서 관측된 최대 조직학적 점수로서 표현하였다. 모든 네 사분역의 모든 부위의 점수를 더하여 도 3B 에서와 같이 합계 조직학적 점수를 얻었는데, 이는 OA 병변부의 중증도 및 환부의 표면적을 반영한다.
IL-1β, IL-1βr, INOS, 및 ICE KO 마우스에서의 골관절염의 진행을 조사한 공표된 결과 (Clements 등, 2003, Arthritis & Rhuem 48:3452) 와 상기 결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각 실험군의 내측 경골 고평부의 평균 점수로도 그 결과를 표현하였다. 도 4 는 상기 점수 또한 ADAMTS-5 동종접합형 및 이종접합형 KO 동물에서 현저하게 감소되었음을 나타낸다.
연골 외식편의 제조 및 배양 :
대퇴골두를 4 주령 WT 및 KO 마우스로부터 채취하고, 연골을 그 밑의 연골하골(subchondral bone)로부터 분리하였다. 연골 샘플을 외식편으로서, 37℃ 의 5% CO2 및 95% 공기의 습한 대기 하에 1% 항진균-항생제 (Sigma, Aldrich), 2 mM 글루타민, 10 mM Hepes, 50 mg/ml 의 아스코르베이트 및 10% FBS 를 함유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에서 48 시간 배양하였다. 이어서 외식편을 3 회 세정하고 혈청이 없는 DMEM + 10 ng 마우스 IL-1α/ml (Sigma, Aldrich) 및 10-5 M 레티노산 (Sigma, Aldrich) 에서 추가로 72 시간 배양하였다. 조건화 (conditioned) 배지를 수합하고 연골을 배양 기간 말기에 채취하였다.
프로테오글라이칸의 정량
배지 내 프로테오글라이칸 함량을, 이미 공지된 방법 (Farndale 등, 1986, Biochim Biophys Acta 883:173) 에 따라, 상어 연골의 디메틸메틸렌 블루 (DMMB) 및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C 를 표준 물질로 이용하여 비색 분석에 의해 황산화 글루코사미노글라이칸 (GAG) 으로서 측정하였다. 채취한 연골 샘플을 프로티나제 K (Sigma, Aldrich) 로 16 시간 분해하고, 원심분리한 후 상청액을 수합하였다. 분해된 연골 내 프로테오글라이칸 함량 또한 측정함으로써, 연골 내 총 프로테오글라이칸 함량을 수득하였고, 실험 프로토콜 과정에서 프로테오글라이칸의 방출 백분율의 계산이 가능하였다.
웨스턴 분석
조건화 매질 내 어그리칸 절편을, 어그리카나제-절단 절편을 인식하도록 설계된 네오에피토프 항체를 이용한 웨스턴 분석에 의해 분석하였다. 조건화 매질을 50 mM Tris-아세테이트 (pH 6.5) 로 투석하고, 37℃ 에서 콘드로이티나제 ABC (Sigma; 1 mU/㎍ 의 GAG), 케라티나제 I (Seikagaku America, Falmouth, MA; 1 mU/㎍ GAG) 및 케라티나제 II (Seikagaku; 0.02 mU/㎍ GAG) 로 2 시간 분해하였다. 샘플을 YM-10 원심분리 필터 장치 (Millipore Corp., Bedford, MA) 로 농축하고, 동결건조하고 DMMB 를 표준으로 하여 측정된 1 mg/ml 의 GAG 농도에서 물로 재구성하였다. 각 샘플에 대하여 동량의 GAG 를 환원 조건 하에 4-12% 구배 Tris-글라이신 젤 (Invitrogen, Carlsbad, CA) 상에서 분리하고, 니트로셀룰로스 막으로 이동시켰다. 어그리카나제-절단의 C-말단 구간 네오에피토프 NITEGE373 을 인식하는 단일클론 항체 (MAb) AGG-C1 (0.04 ㎍/ml) (Collins-Racie 등, 2004, Matrix Biol . 23:219-230) 을 이용하여 면역블롯팅(immunoblotting)을 실시하였다. 1차 및 알칼리-포스파타제-접합된 2차 염소 항-마우스 IgG (Promega Corp., Madison, WI; 1:7500) 를 이용한 인큐베이션을 4℃ 에서 하룻밤 및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각각 실시하였다. 상기 면역블롯을 실온에서 NBT/BCIP 기질 (Promega) 과 2-15 분간 인큐베이션하여 최적의 발색을 얻었다.
마우스 관절 연골의 TEGE 373 네오에피토프의 면역조직화학적 동정
다클론 항체 TEGE373 를 표준 다클론 항체 기술로 합성하였다 (Glasson 등, 2004, Arthritis & Rheum. 50:2547-2558.). 상기 항체는 소의 어그리칸의 ADAMTS-4 분해에 의해 생성된 G1-TEGE373 과 반응하였으나, 비손상 (분해되지 않은) 어그리칸과는 반응하지 않았으므로, 이것이 "네오에피토프" 항체임을 확인하였다. 양성 혈청을 면역화 펩티드를 이용한 어피니티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마우스 관절 연골 내 TEGE373 네오에피토프의 면역염색을 위하여, ADAMTS-4 KO, ADAMTS-5 KO 및 WT 동물의 대퇴골두를, 10 ng IL-1α/ml (Sigma) 및 10-5 M 레티노산 (Sigma) 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3 일간 조직 배양 후 채취하였다. 조직을 OCT 에서 냉동시키고 5 마이크론 분획을 절단하였다. 내인성 퍼옥시다제 활성을 히드로겐 퍼옥시다제 (DakoCytomation, Carpinteria, CA) 로 차단하고, 상기 분획을 37℃ 에서 0.1 U 콘드로이티나제 ABC/ml (Sigma), 0.1 U 케라타나제 I/ml (Seikagaku Corp., Tokyo, Japan) 및 0.1 U 케라티나제 II/ml (Seikagaku Corp., Tokyo, Japan) 로 1 시간 동안 탈글리코실화 (deglycosylate) 하였다. 1차 항체 또는 정상 래빗 혈청을 상기 분획에 12 시간 동안 첨가하고, 2차 항체 (당나귀 항-래빗, Rockland, Inc, Gilbertsville PA) 를 30 분간 첨가하였다. 분획을 ABC-퍼옥시다제에 이어 DAB 기질 (Vector Laboratories, Burlingame, CA) 과 인큐베이션하였다. 분획을 헤타녹실린으로 대비염색하였다.
실시예 2: 결과 및 토의
ADAMT-4 넉아웃 (KO) 을 생성하였다 (Glasson 등, 2004, Arthritis & Rheum. 50:2547-2558.). 상술한 바와 같이, Cre-Lox 매개 재조합으로, 징크 결합 부위의 파괴 및 "met 턴(turn)" 부위의 결실을 포함하여, 엑손 3 에 인코딩된 56 개 아미노산이 결실된 ADAMTS-5 KO 를 제작하였다 (도 1A). 프라이머 1 및 2 를 이용한 WT 및 이종접합형 마우스의 PCR 산물은 230 bp 산물을 생성하였다. 프라이머 2 는 엑손 3 을 포괄하는 결실 부분에 위치하였고, 따라서 동종접합형 KO 동물에서 PCR 산물을 생성하지 못하였다. 프라이머 3 및 4 는 엑손 3 의 결실로 인하여 이종접합형 및 동종접합형 KO 동물에서 500 bp 산물을 생성하였다. 역방향 프라이머 (2 및 4) 에 관하여 최적의 증폭을 위해 두 정방향 프라이머 (1 및 3) 가 요구되었다. 긴 앰플리콘과 짧은 앰플리콘 사이의 증폭 효율 차로 인하여, 짧은, 대립유전자-특이적 앰플리콘의 사용이, 단일 프라이머 쌍 (즉, 3 및 4) 에서 생성된 하나의 짧은 (결실) 앰플리콘 및 하나의 긴 (야생형) 앰플리콘을 사용한 것에 비하여 유전자형 분석에 있어서 우수한 신뢰도를 제공하였다. 도 1E 는, 지라 총 RNA 의 RT-PCR 에 의한, KO 에서 크기가 감소된 엑손 3 에 걸쳐진 프라이머로부터 만들어진 PCR 산물에 의해 생성되는 mRNA 를 나타낸다. mRNA 의 존재는 상기 프레임 내 결실 (in-frame deletion) 이 정보의 불안정성을 유발하지 않았음을 암시한다. 촉매적 도메인이 결핍된 번역 단백질의 존재는 확인할 수 없었다.
수컷 및 암컷 WT 및 동종접합형 KO 마우스를 14-18 주령으로 성장시켰다. 동물들에 대하여 육안으로 이상유무를 관찰하고, 전혈구 측정 및 혈청 분석을 위하여 혈액 샘플을 채취하고, 17 개 조직을 채취하여 공인된 수의 병리학자 (BS) 로 하여금 검사하게 하였다. 검사 조직에는, 심장, 폐, 흉선, 지라, 간, 신장, 뇌, 침샘, 턱밑림프절, 고환, 부고환, 안구, 하더리안 샘, 눈물샘, 흉골 전체, 대퇴골, 및 앞발 전체 등이 포함되었다. 전체 체중, 혈액 또는 혈청 분석 또는 임의의 검사 조직상의 조직학적 외관에 어떠한 이상도 없다는 것은, 정상적 발달 및 성장에 ADAMTS-5 효소가 요구되지 않음을 암시한다.
어그리칸은 성장판 및 관절의 관절연골(articular cartilage) 내에 풍부한 연골 성분이다. 도 2 는, 어그리카나제, G1-TEGE373 에 의한 절단 후의 새로운 어그리칸 C 말단에 대한 다클론 항체를 이용한 근위 경골 성장판의 면역염색에 의한, WT, ADAMTS-4 및 ADAMTS-5 KO 동물의 성장판 분석을 나타낸다.
도 2 에 나타나듯이, WT 마우스는 근위 경골 성장판 세포 내에서 항체의 상당한 혼성화를 나타내고, 그러한 염색은 ADAMTS-4 KO 동물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달리, ADAMTS-5 KO 마우스의 성장판 내 항-TEGE373 항체의 혼성화는 WT 성장판의 염색과 매우 유사하였다. 상기 결과는, 성장판 내 어그리칸의 교체(turnover)는 ADAMTS-5 가 아니라 ADAMTS-4 의 효소적 활성 결과임을 제시한다. 동물의 육안상 외관, 긴 뼈의 길이 및 성장판의 조직학적 외관에 있어서 두 KO 동물이 WT 동물과 동일하였음을 주목한다. 따라서, 성장판에서 ADAMTS-4 로 인한 어그리칸의 분해 활성은 ADAMTS-4 이 없더라도 다른 효소에 의해 적절하게 보충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상기 실시예 1 에 상세히 서술된 바와 같이, 전방 반월판 인대의 외과적 횡절단에 의해 일측 관절 불안정이 발생하였고, 이는 내측 반월상 연골 (DMM) 의 불안정화를 야기하였는데, 그 자료를 도 3A 및 도 3B 에 나타내었다. 수술 후 4 및 8 주째에 마우스를 죽이고, 공인된 평가 시스템 (Chambers 등, 2001, Arthritis & Rheum 44:1455) 을 이용하여 관절의 분획에 평점을 매겼다. 점수는 WT 및 ADAMTS-5 동종접합형 KO 및 이종접합형 KO 의 평균 최대 점수로 보고되었다. 또한, 관절의 각 분획 점수를 더하여, 각 시점에서 각 처치군에 대한 합계 점수의 평균으로서 OA 의 중증도를 나타내었다. 상기 두 번째 점수화 방법은 병변부의 중증도 외에 환부 관절의 표면적도 고려하였다. 도 3A 및 3B 에 나타내었듯이, 두 분석법 모두에 있어서 ADAMTS-5 동종접합형 및 이종접합형 KO 의 점수가 WT 마우스에 비하여 상당히 감소 (p<0.05) 된 것으로 나타났다 (도 3). ADAMTS-5 KO 동물의 합계 점수가 WT 의 50% 미만으로 감소된 것은 심각성의 감소 및 관련된 표면적의 감소를 의미한다. 이전에 우리가 ADAMTS-4 KO 마우스에 대해 수행한 동일한 외과적 모델에서 점수의 차이가 없다고 보고하였음을 주목한다. 또한, IL-1β, IL-1βr, INOS, 및 ICE KO 마우스에서 OA 의 유발에 관하여 기재된 문헌의 유사한 연구는, 유전적으로 조작된 마우스의 병리학적 심각성이 증가되었음을 보고하였다 (Clements 등, 2003, Arthritis & Rhuem 48:3452). 상기 결과를 IL-1β, IL-1βr, INOS, 및 ICE KO 마우스에서의 골관절염 진행을 조사한 공지된 결과와 비교하기 위해, 결과를 각 실험군의 내측 경골 고평부의 평균 점수로서 표현하였다. 도 4 는 상기 점수 또한 ADAMTS-5 동종접합형 및 이종접합형 KO 동물에 있어서 상당히 감소되었음을 보여준다.
대퇴골두 관절의 연골을 ADAMTS-4 KO, ADAMTS-5 KO 및 WT 마우스로부터 제거하여, 조직 배양물에 넣었다.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 및 레티노산) 을 상기 배양 시스템에 가하여 분해성 효소 활성을 유도하고, 연골로부터 방출된 어그리칸 분해 산물의 분석을, 총 프로테오글라이칸 방출량의 정량 및 "어그리카나제" (G1-TEGE373) 에 의한 절단 후의 어그리칸의 새로운 C 말단에 대해 생성된 단일클론 네 오에피토프 항체를 이용한 웨스턴 블롯에 의해 수행하였다 (Collins-Racie 등, 2004,Matrix Biology 23:219-230). 도 5A 및 5B 에 기재된 결과는, WT 및 ADAMTS-4 KO 마우스의 관절 연골에 있어서 TEGE373 네오에피토프가 동일하게 생성되고 총 프로테오글라이칸 방출량이 동량임을 입증한 반면, ADAMTS-5 KO 마우스의 관절 연골의 조건화 배지에서는 어그리카나제-절단 절편에 관한 증거가 없었다. 도 5C 는 TEGE373 네오에피토프에 대한 다클론 항체를 이용한 상기 대퇴골두의 면역조직화학적 분석을 보여주는데, 이는 WT 및 ADAMTS-4 KO 마우스 관절 연골에서 어그리카나제에 의해 생성된 어그리칸 네오에피토프에 대하여 상당한 혼성화를 보였지만, ADAMTS-5 KO 연골의 경우에는 무시할만한 수준의 혼성화를 나타내었다.
상기 연구는 정상 마우스의 발달, 성장 및 생리에 대한 ADAMTS-5 (어그리카나제-2) 활성 상실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ADAMTS-4 KO 마우스를 조사한 선행 보고서와 유사하게, ADAMTS-5 활성의 상실이 상기 기능 중 어느 것에도 부정적 영향을 주지 않았다. ADAMTS-5 활성의 상실은 성장판의 어그리카나제-절단 어그리칸 교체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그러나 놀랍게도, ADAMTS-5 활성의 상실은 상기 마우스에서 골관절염의 진행을 상당히 저지한 반면, ADAMTS-4 활성의 상실은 그러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ADAMTS-5 넉아웃에 있어서 기질의 구간 도메인 내 "어그리카나제" 부위에서의 어그리칸 절단 불능은, ADAMTS-5 넉아웃 마우스에서 시험관내 관절 연골의 사이토카인 자극 후 이들 절편이 나타나지 않음에 의해 더욱 입증되었다. 몇 가지 효소가 어그리칸의 구간 도메인 내 E373 -374A 부위에서 어그 리칸의 절단이 가능한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이에는 ADAMTS-1, ADAMTS-4, ADAMTS-5 및 ADAMTS-9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은, ADAMTS-5 가 골관절염에 있어서 관절 연골의 세포외 기질 분해를 담당하는 효소임을 보여준다. 이는, 동물 모델에서 골관절염의 진행을 차단할 수 있는 단일 유전자 결손에 관한 최초의 보고이다. 상기 결과로부터, ADAMTS-5 가 쥐 골관절염의 어그리칸 분해를 담당하는 주요한 "어그리카나제" 임이 명백하다.
실시예 3: 바이아릴 술파노미드의 제조
실시예 3.1 및 3.2 를 반응식 1 을 기초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3.1
Figure 112006047626195-PCT00026
3- 메틸 -2-[4'-(3- 메틸 -퀴놀린-2- 일옥시메틸 )-비페닐-4- 술포닐아미노 ]-부티르산
단계 1A [중간체 1] 건조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4-브로모-벤젠술포닐 클로라이드 (12.2 g, 47.7 mmol, 1 당량), 무수 메틸렌 클로라이드 (170 mL), 및 H-D-Val-OMe (8.0 g, 47.7 mmol, 1 당량) 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얼음조에서 0℃ 로 냉각한 후 Hunig 염기 (19.11 mL, 109.7 mmol, 2.3 당량) 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TLC 에 의한 측정 결과 반 응이 종결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이어서 디클로로메탄 (100 mL) 으로 희석하고 염수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MgSO4 으로 건조하고, 용매를 증발시켜서 2-(4-브로모-벤젠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를 96% 수율 (16.0 g) 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클로로포름-D) δ ppm 0.87 (d, J=6.82 Hz, 3 H) 0.96 (d, J=6.82 Hz, 3 H) 2.04 (m, 1 H) 3.49 (s, 3 H) 3.74 (d, J=14.40 Hz, 1 H) 5.10 (d, J=9.85 Hz, 1 H) 7.66 (m, 4 H).
단계 1B [중간체 2]: 2-(4-브로모-벤젠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 (3.4 g, 9.71mmol), 4-히드록시메틸 페닐 보론산 (1.48 g, 9.71 mmol, 1 당량), Pd(PPh3)4 (561mg, 0.48 mmol, 0.05 당량) 을 N2 대기하에 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90 mL) 에 용해하고 실온에서 30 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H2O (30 mL) 중 K2CO3 (2.68 g, 19.4 mmol, 2 당량) 을 반응 혼합물에 도입하고 밤새 환류 온도로 가열하였다. 반응 완료 여부를 TLC 로 확인한 후, 용매를 회전 증발기 (rotovap) 로 제거하고, 잔류물을 EtOAc 및 염수 사이에 분할하고, 유기층을 MgSO4 로 건조하고, 용매를 제거한 다음, 미정제 잔류물을 EtOAc 로 적정하여 2-(4'-히드록시메틸-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를 67% 수율 (2.46 g) 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클로로포름-D) δppm 0.90 (d, J=7.07 Hz, 3 H) 0.97 (d, J=6.82 Hz, 3 H) 1.57 (s, 1 H) 2.04 (m, 1 H) 3.43 (s, 3 H) 3.79 (dd, J=10.11, 5.05 Hz, 1 H) 4.78 (s, 2 H) 5.11 (d, J=10.36 Hz, 1 H) 7.49 (d, J=8.34 Hz, 2 H) 7.60 (d, J=8.34 Hz, 2 H) 7.70 (d, J=8.84 Hz, 2 H) 7.88 (d, J=8.59 Hz, 2 H).
단계 1C [중간체 3]: 2-(4'-히드록시메틸-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 (1.2 g, 3.2 mmol, 1.0 당량), 2-클로로-3-메틸 퀴놀린 (2.26 g, 12.7 mmol, 4 당량) 을 DMF (30 mL) 에 용해한 후 NaH (382 mg, 유 중 60%, 9.54 mmol, 3 당량) 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0℃ 에서 5 시간 교반한 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수에 붓고, 혼합물로부터 침전된 고체를 여과 수집하고 물로 세정하였다. 통상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1% MeOH/CH2Cl2) 로, 203 mg 의 3-메틸-2-[4'-(3-메틸-퀴놀린-2-일옥시메틸)-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를 12% 수율로 수득하였다.
H NMR (400 MHz, 클로로포름-D) δ ppm 0.89 (d, J=6.82 Hz, 3 H) 0.97 (d, J=6.82 Hz, 3 H) 2.04 (m, 1 H) 2.40 (s, 3 H) 3.43 (s, 3 H) 3.78 (dd, J=10.11, 5.31 Hz, 1 H) 5.09 (d, J=10.11 Hz, 1 H) 5.64 (s, 2 H) 7.37 (m, 1 H) 7.64 (m, 8 H) 7.86 (m, 4 H).
단계 1D: 3-메틸-2-[4'-(3-메틸-퀴놀린-2-일옥시메틸)-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 (203 mg, 0.39 mmol, 1 당량) 를 THF (8 mL) 및 MeOH (4 mL) 에 용해하고 1N NaOH (5.83 mL, 5.83 mmol, 13 당량) 로 가수분해하였다. 3 일간 교반한 후,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H2O 에 용해하였다. 이어서 혼합 물을 1N HCl 을 이용하여 pH 3 으로 산성화하였다. 혼합물로부터 침전된 고체를 여과 수집하고 물로 세정하였다. 진공 오븐에서 건조한 후, 101 mg 의 3-메틸-2-[4'-(3-메틸-퀴놀린-2-일옥시메틸)-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을 76.3%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1 (d, J=6.57 Hz, 3 H) 0.84 (d, J=6.82 Hz, 3 H) 1.95 (m, 1 H) 2.36 (s, 3 H) 3.56 (dd, J=9.09, 5.81 Hz, 1 H) 5.61 (s, 2 H) 7.42 (t, J=7.45 Hz, 1 H) 7.61 (t, J=7.71 Hz, 1 H) 7.67 (d, J=7.83 Hz, 2 H) 7.83 (m, 8 H) 8.08 (d, J=8.34 Hz, 2 H) 12.58 (s, 1 H).
실시예 3.2
Figure 112006047626195-PCT00027
3- 메틸 -2-[4'-(5- 트리플루오로메틸 -피리딘-2- 일옥시메틸 )-비페닐-4- 술포닐아미노 ]-부티르산
표제 화합물, 즉 3-메틸-2-[4'-(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옥시메틸)-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을 실시예 3.1 에 기재된 바와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C: 2-(4'-히드록시메틸-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 (350 mg, 0.93 mmol, 1 당량), 2-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 (841 mg, 4.64 mmol, 5 당량) 을 DMF (7 mL) 에 용해한 후, N2 대기 하에 NaH (111mg, 2.78 mmol, 3 당량) 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0℃ 로 2 시간 가열하고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수에 붓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 수집하였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20% EtOAc / 헥산) 로 추가 정제하여 259 mg 의 G9058-182-2 를 54 %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클로로포름-D) δ ppm 0.82 (d, J=6.82 Hz, 3 H) 0.90 (d, J=6.82 Hz, 3 H) 1.98 (m, 1 H) 3.36 (s, 3 H) 3.72 (dd, J=10.11, 5.05 Hz, 1 H) 5.02 (d, J=10.11 Hz, 1 H) 5.43 (s, 2 H) 6.84 (d, J=8.84 Hz, 1 H) 7.52 (m, 4 H) 7.64 (d, J=6.82 Hz, 2 H) 7.74 (d, J=8.84 Hz, 1 H) 7.82 (m, 2 H) 8.40 (s, 1 H).
단계 1D: 출발 물질로서 3-메틸-2-[4'-(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옥시메틸)-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 (250 mg) 를 이용하여, 실시예 1A 의 단계 1D 에 따라 3-메틸-2-[4'-(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옥시메틸)-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86.4% 수율, 210mg) 을 제조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1 (d, J=6.82 Hz, 3 H) 0.84 (d, J=6.57 Hz, 3 H) 1.95 (m, 1 H) 3.56 (m, 1 H) 5.51 (d, 2 H) 7.12 (d, J=8.84 Hz, 1 H) 7.59 (d, J=8.34 Hz, 2 H) 7.77 (d, J=8.34 Hz, 2 H) 7.86 (m, 4 H) 8.11 (m, 2 H) 8.63 (m, 1 H) 12.57 (s, 1 H).
실시예 3.3 및 3. 4 를 반응식 2 에 기초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3
Figure 112006047626195-PCT00028
2-[4'-(2,8- 비스 - 트리플루오로메틸 -퀴놀린-4- 일옥시메틸 )-비페닐-4- 술포닐아미노 ]-3- 메틸 -부티르산
단계 2A [중간체 4, G9591-157-1]: DMF (40 mL) 중의 2,8-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퀴놀린-4-올 (3.85 g, 13.7 mmol, 1.1 당량) 용액에, 2-(4-브로모메틸-페닐)-4,4,5,5-데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 (3.7 g, 12.5 mmol, 1.0 당량) 및 K2CO3 (3.45 g, 24.92 mmol, 2.2 당량) 를 N2 대기 하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의 완료를 TLC 로 확인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수에 붓고, 형성된 흰색 침전물을 여과 수집하고, 물로 세정하고, 진공 하에 건조하여 4-[4-(4,4,5,5-데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벤질옥시]-2,8-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퀴놀린을 73% 수율 (4.95 g) 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클로로포름-D) δ ppm 1.36 (s, 12 H) 5.38 (s, 2 H) 7.21 (s, 1 H) 7.51 (d, J=8.34 Hz, 2 H) 7.65 (t, J=7.83 Hz, 1 H) 7.90 (d, J=8.08 Hz, 2 H) 8.14 (d, J=7.33 Hz, 1 H) 8.50 (d, J=8.59 Hz, 1 H).
단계 2B [중간체 5, G9591-162]: 45 mL 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중의 4-[4-(4,4,5,5-데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벤질옥시]-2,8-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퀴놀린 (1.5 g, 3.0 mmol, 1 당량) 에, 2-(4-브로모-벤젠술포닐아미 노)-3-메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 (1.06 g, 3.0 mmol, 1.0 당량) 및 Pd(PPh3)4 (174 mg, 0.15 mmol, 0.05당량) 를 N2 하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5 시간 교반한 후, K2CO3 수용액 (834 mg, 6.0 mmol, 2 당량) 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환류 온도로 밤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한 후,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EtOAc (100 mL) 로 희석하고 염수 용액으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MgSO4 으로 건조하고, 용매를 진공 하에 증발시키고, 조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 (30% EtOAc/헥산) 으로 정제하여, 1.026 g 의 2-[4'-(2,8-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퀴놀린-4-일옥시메틸)-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를 53%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클로로포름-D) δ ppm 0.90 (d, J=6.82 Hz, 3 H) 0.98 (d, J=6.82 Hz, 3 H) 2.07 (m, 1 H) 3.45 (s, 3 H) 3.81 (dd, J=10.11, 5.05 Hz, 1 H) 5.12 (d, J=10.11 Hz, 1 H) 5.44 (s, 2 H) 7.25 (s, 1 H) 7.70 (m, 7 H) 7.92 (d, J=8.84 Hz, 2 H) 8.16 (d, J=7.33 Hz, 1 H) 8.52 (d, J=8.59 Hz, 1 H).
단계 2C: 2-[4'-(2,8-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퀴놀린-4-일옥시메틸)-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 (1.026 g, 1.6 mmol, 1 당량) 를 THF (15 mL) 및 MeOH (6 mL) 에 용해하고 1N NaOH (17.6 mL, 11당량) 를 가하였다. 반응을 TLC 로 모니터링하였다. 이는 3 일 만에 완료되었다. 용매를 회전 증발기로 제거하고 잔류물을 H2O 에 용해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1N HCl 을 이 용하여 pH 3 으로 산성화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 수집하고 냉수로 세정하고 밤새 건조하였다. 460 mg 의 흰색 고체를 4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ppm 0.82 (d, J=6.82 Hz, 3 H) 0.85 (d, J=6.82 Hz, 3 H) 1.96 (m, 1 H) 3.57 (dd, J=9.35, 6.32 Hz, 1 H) 5.66 (s, 2 H) 7.83 (m, 10 H) 8.11 (d, J=9.35 Hz, 1 H) 8.35 (d, J=7.33 Hz, 1 H) 8.58 (d, J=7.83 Hz, 1 H) 12.57 (s, 1 H).
실시예 3.4
Figure 112006047626195-PCT00029
D-3- 메틸 -2-[4'-(2- 메틸 -퀴놀린-4- 일옥시메틸 )-비페닐-4- 술포닐아미노 ]-부티르산
표제 화합물, 즉 D-3-메틸-2-[4'-(2-메틸-퀴놀린-4-일옥시메틸)-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을, 실시예 3.3 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2A: 2-(4-브로모메틸-페닐)-4,4,5,5-데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을 이용한 2-메틸-퀴놀린-4-올의 알킬화를 실시예 1C 의 단계 2A 에 따라 실시하여, 2-메틸-4-[4-(4,4,5,5-데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벤질옥시]-퀴놀린을 28%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1.3 (s, 12 H) 2.6 (s, 3 H) 5.4 (s, 2 H) 7.0 (s, 1 H) 7.5 (m, 1 H) 7.6 (d, J=8.1 Hz, 2 H) 7.7 (m, 1 H) 7.7 (d, J=8.1 Hz, 2 H) 7.9 (d, J=8.1 Hz, 1 H) 8.1 (dd, J=8.3, 0.8 Hz, 1 H).
단계 2B: 2-메틸-4-[4-(4,4,5,5-데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벤질옥시]-퀴놀린을 이용한 D-2-(4-브로모-벤젠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의 Suzuki 커플링을 실시예 3.3 의 단계 2B 방법에 따라 80% 수율로 실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 (dd, J=15.0, 6.7 Hz, 6 H) 1.9 (m, 1 H) 2.6 (s, 3 H) 3.3 (s, 3 H) 3.6 (dd, J=9.3, 7.1 Hz, 1 H) 5.5 (s, 2 H) 7.1 (s, 1 H) 7.5 (t, J=7.6 Hz, 1 H) 7.7 (m, 3 H) 7.8 (d, J=7.6 Hz, 4 H) 7.9 (m, 1 H) 7.9 (m, 2 H) 8.1 (d, J=8.3 Hz, 1 H) 8.3 (d, J=9.3 Hz, 1 H).
단계 2C: D-3-메틸-2-[4'-(2-메틸-퀴놀린-4-일옥시메틸)-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의 가수분해를, 실시예 3.3 의 단계 2C 에 따라 정량적 수율로 실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 (dd, J=40.2, 6.8 Hz, 6 H) 2.0 (m, 1 H) 2.6 (s, 3 H) 3.0 (s, 1 H) 5.4 (s, 2 H) 7.1 (s, 1 H) 7.5 (t, J=8.1 Hz, 1 H) 7.7 (t, J=7.7 Hz, 3 H) 7.8 (m, 7 H) 8.1 (d, J=9.3 Hz, 1 H).
실시예 3.5 을 반응식 3 에 기초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5
Figure 112006047626195-PCT00030
단계 3A.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4-브로모-벤젠술포닐 클로라이드 (24.37 g, 95.4 mmol, 1 당량), 무수 메틸렌 클로라이드 (350 mL), 및 H-D-Val-OtBu (20 g, 95.4 mmol, 1 당량) 을 넣었다. 혼합물을 0℃ 로 냉각한 후 Hunig 염기 (38.2 mL, 219 mmol, 2.3 당량) 를 가하였다. 이어서 냉각조를 제거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TLC 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출발 물질이 소모되었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메틸렌 클로라이드 (200 mL) 로 희석하고 H2O (500 mL), 염수 (250 mL) 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MgSO4 로 건조하고, 진공 하에 증발시켜서 2-(4-브로모-벤젠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정량적 수율 (35.0 g) 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2 (d, J=6.82 Hz, 3 H) 0.84 (d, J=6.82 Hz, 3 H) 1.19 (s, 9 H) 1.93 (m, 1 H) 3.46 (dd, J=9.35, 6.06 Hz, 1 H) 7.69 (d, J=8.59 Hz, 2 H) 7.79 (m, 2 H) 8.24 (d, J=9.60 Hz, 1 H).
단계 3B: 2-(4-브로모-벤젠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 (11.96 g, 30.47 mmol, 1 당량), 4-(히드록시메틸벤젠) 보론산 (4.63 g, 30.5 mmol, 1 당량) 및 Pd(PPh3)4 (1.76 g, 1.52 mmol, 0.05 당량) 를 반응 플라스크에 충전하고, 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300 mL) 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0 분간 교반한 후, 100 mL H2O 에 용해된 K2CO3 용액 (8.43 g, 60.9 mmol, 2 당량) 을 도입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환류 온도로 밤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한 후, 용매를 회전 증발기로 제거하고 잔류물을 EtOAc 와 염수 사이에 분할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MgSO4 로 건조하였다. 회전 증발기에 의해 용매를 제거한 후, 8.3 g 의 흰색 고체 2-(4'-히드록시메틸-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65 %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OD) δ ppm 1.05 (d, J=6.82 Hz, 3 H) 1.12 (d, J=6.82 Hz, 3 H) 1.33 (s, 9 H) 2.16 (m, 1 H) 3.73 (d, J=5.56 Hz, 1 H) 4.81 (s, 2 H) 7.62 (d, J=8.59 Hz, 2 H) 7.78 (d, J=8.34 Hz, 2 H) 7.92 (d, J=8.84 Hz, 2 H) 8.04 (m, 2 H).
단계 3C 2-(4'-히드록시메틸-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 (700 mg, 1.68 mmol, 1 당량), 2-클로로퀴놀린 (1.1g, 6.7 mmol, 4 당량) 을 DMF (20 mL) 에 용해하고 NaH (202 mg, 유 중 60%, 5.04 mmol, 3 당량) 를 가하였다. 혼합물을 100℃ 로 2 시간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한 후, 반응 혼합물을 포화 NH4Cl (aq) 로 켄칭(quench)하였다. 0.5 시간 교반 후, 혼합물로부터 고체가 침전되었다. 고체를 여과 수집하고 물로 세정하고 밤새 건조하여 793 mg 의 2-[4'-(이소퀴놀린-3-일옥시메틸)-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87%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클로로포름-D) δ ppm 0.87 (d, J=6.82 Hz, 3 H) 1.03 (d, J=6.82 Hz, 3 H) 1.19 (s, 9 H) 2.05 (m, 1 H) 3.66 (dd, J=9.85, 4.55 Hz, 1 H) 5.14 (d, J=9.85 Hz, 1 H) 5.62 (s, 2 H) 6.98 (d, J=8.84 Hz, 1 H) 7.40 (m, 1 H) 7.66 (m, 9 H) 7.89 (m, 2 H) 8.03 (d, J=8.59 Hz, 1 H).
단계 3D: 2-[4'-(이소퀴놀린-3-일옥시메틸)-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 (480 mg, 0.88 mmol) 를 15 mL 디클로로메탄에 용해하였다. 용액을 0℃ 로 냉각한 후 5 mL 의 TFA 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4 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회전 증발기로 제거하고 잔류물을 MeOH 로 세정하였다. 이렇게 수득된 고체를 진공 하에 밤새 건조하여 60 mg 의 2-[4'-(이소퀴놀린-3-일옥시메틸)-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을 14%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1 (d, J=6.82 Hz, 3 H) 0.84 (d, J=6.82 Hz, 3 H) 1.95 (m, 1 H) 3.56 (dd, J=9.35, 6.06 Hz, 1 H) 5.58 (s, 2 H) 7.11 (d, J=8.84 Hz, 1 H) 7.46 (dd, J=7.58, 6.32 Hz, 1 H) 7.79 (m, 11 H) 8.08 (d, J=9.35 Hz, 1 H) 8.29 (d, J=8.59 Hz, 1 H) 12.57 (s, 1 H).
실시예 3.6 을 반응식 4 에 기초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6
Figure 112006047626195-PCT00031
2-[4'-(벤조 티아졸 -2-일옥시 메틸 )-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9 mL 디메톡시 에탄 중의 2-[4-(4,4,5,5-데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벤질옥시]-벤조티아졸 (300 mg, 0.604 mmol, 1 당량) 에, 2-(4-브로모-벤젠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 (237 mg, 0.604 mmol, 1 당량) 및 Pd(PPh3)4 (35 mg, 0.03 mmol, 0.05 당량) 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0 분간 교반한 다음, H2O (3 mL) 중의 K2CO3 (167 mg, 1.208 mmol, 2 당량) 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환류 온도로 밤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 후, 용매를 회전 증발기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용해하고 물, 염수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MgSO4 으로 건조하고,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고, 조 혼합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30% EtOAc / 헥산) 로 정제하여 285 mg 을 85%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클로로포름-D) δ ppm 1.07 (d, J=6.82 Hz, 3 H) 1.23 (d, J=6.82 Hz, 3 H) 1.39 (s, 9 H) 1.47 (t, J=7.20 Hz, 1 H) 3.86 (dd, J=9.85, 4.55 Hz, 1 H) 5.42 (s, 2 H) 6.99 (s, 1 H) 7.22 (d, J=7.07 Hz, 1 H) 7.39 (m, 2 H) 7.61 (d, J=8.59 Hz, 2 H) 7.67 (d, J=6.32 Hz, 1 H) 7.72 (m, 2 H) 7.84 (d, J=8.84 Hz, 2 H) 8.09 (d, J=8.59 Hz, 2 H).
단계 4B 2-[4'-(벤조티아졸-2-일옥시메틸)-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 (140 mg, 0.25 mml) 를 6 mL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용해한 후 TFA (3mL) 를 첨가하였다. TLC 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반응은 6 시간 만에 완료되었다.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EtOAc 에 용해하였다. n-헥산을 용액에 첨가하였고, 혼합물로부터 고체가 침전되었다. 침전물을 수합하고 건조하여 86 mg 을 68%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0 (d, J=6.82 Hz, 3 H) 0.83 (d, J=6.82 Hz, 3 H) 1.93 (m, 1 H) 3.54 (dd, J=9.35, 6.06 Hz, 1 H) 5.26 (s, 2 H) 7.21 (m, 1 H) 7.33 (m, 2 H) 7.44 (d, J=8.59 Hz, 2 H) 7.71 (t, J=8.46 Hz, 3 H) 7.82 (s, 4 H) 8.07 (d, J=9.35 Hz, 1 H) 12.55 (s, 1 H).
실시예 3.7, 3.8, 3.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을 반응식 4B 에 기초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7
Figure 112006047626195-PCT00032
ES-480.1 (M-H)-HRMS: 482.16311 (M+Na)+; 482.16319 계산치
실시예 3.8
Figure 112006047626195-PCT00033
ES+ 544.2 (M+H)+HRMS: 544.17694 (M+H); 544.17884 계산치
실시예 3.9
Figure 112006047626195-PCT00034
ES- 480.2 (M-H)-HRMS: 482.1635 (M+H)+; 482.16319 계산치
실시예 3.10
Figure 112006047626195-PCT00035
ES- 495.2 (M-H)-HRMS: 497.17284 (M+H)+; 497.17409 계산치
실시예 3.11
Figure 112006047626195-PCT00036
ES- 468.2 (M-H)-HRMS: 470.16231 (M+H)+; 470.16319 계산치
실시예 3.12
Figure 112006047626195-PCT00037
ES- 456.1 (M-H)-HRMS: 458.14323 (M+H)+; 458.1432 계산치
실시예 3.13
Figure 112006047626195-PCT00038
ES- 551.2 (M-H)-HRMS: 553.19849 (M+H)+; 553.2003 계산치
실시예 3.14
Figure 112006047626195-PCT00039
ES- 535.2 (M-H)-HRMS: 537.20469 (M+H)+; 537.20539 계산치
실시예 3.15
Figure 112006047626195-PCT00040
ES- 456.1 (M-H)-HRMS: 458.14389 (M+H)+; 458.1432 계산치
실시예 3.16
Figure 112006047626195-PCT00041
ES- 468.2 (M-H)-HRMS: 470.16151 (M+H)+; 470.16319 계산치
실시예 3.17
Figure 112006047626195-PCT00042
ES+ 539.1 (M+H)+HRMS: 539.22021 (M+H)+; 539.22104 계산치
실시예 3.18
Figure 112006047626195-PCT00043
ES-514.1 (M-H)-HRMS: 516.18313 (M+H)+; 516.18392 계산치
실시예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2 를 반응식 4C 에 기초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19
Figure 112006047626195-PCT00044
ES-495.1 (M-H)-HRMS: 497.17429 (M+H)+; 497.17409 계산치
실시예 3.20
Figure 112006047626195-PCT00045
ES- 488.1 (M-H)-HRMS: 490.16864 (M+H)+; 490.16827 계산치
실시예 3.21
Figure 112006047626195-PCT00046
ES+ m/z 452.1 (M-H)-HRMS: 454.16745 (M+H)+; 454.16827 계산치
1H NMR (400 MHz, CDCl3): δ 0.82 (d, 3H, J = 6.8Hz), 0.94 (d, 3H, J = 6.8Hz), 2.06 (m, 1H), 2.31 (s, 3H), 3.80 (dd, 1H, J = 4.4, 10Hz), 5.13 (m, 3H), 6.90 (m, 2H), 7.17 (m, 2H), 7.55 (d, 2H, J = 8Hz), 7.60 (d, 2H, J = 8Hz), 7.66 (d, 2H, J = 8Hz), 7.86 (d, 2H, J = 8Hz).
실시예 3.22
Figure 112006047626195-PCT00047
ES+ m/z 481.2 (M+H)+HRMS: 483.19410 (M+H)+; 483.19482 계산치
1H NMR (400 MHz, CD3OD): δ 0.90 (d, 3H, J = 6.8Hz), 0.99 (d, 3H, J = 6.8Hz), 2.06 (m, 1H), 2.92 (s, 6H), 3.42 (s, 3H), 3.70 (d, 1H, J = 5.6, 10Hz), 5.14 (s, 2H), 6.41 (m, 3H), 7.11 (m, 1H), 7.57 (d, 2H, 8Hz), 7.71 (d, 2H, J = 8Hz), 7.80 (d, 2H, J = 8Hz), 7.92 (d, 2H, J = 8Hz).
실시예 3.23
Figure 112006047626195-PCT00048
ES+ m/z 544.1 (M+H)+HRMS: 546.19448 (M+H)+; 546.19449 계산치
1H NMR (400 MHz, CD3OD): δ 0.93 (d, 3H, J = 6.8Hz), 0.99 (d, 3H, J = 6.8Hz), 2.07 (m, 1H), 3.70 (d, 1H, J = 5.6), 5.03 (s, 2H), 5.10 (s, 2H), 6.94 (s, 4H), 7.31 (m, 1H), 7.37 (m, 2H), 7.43 (m, 2H), 7.55 (d, 2H, 8Hz), 7.71 (d, 2H, J = 8Hz), 7.80 (d, 2H, J = 8Hz), 7.92 (d, 2H, J = 8Hz).
실시예 3.24
Figure 112006047626195-PCT00049
ES+ m/z 553.2 (M-H)-HRMS: 577.19777 (M+Na)+; 577.19789 계산치
1H NMR (400 MHz, CD3OD): δ 0.91 (d, 3H, J = 6.8Hz), 0.97 (d, 3H, J = 6.8Hz), 1.50 (s, 9H), 2.04 (m, 1H), 3.68 (d, 1H, J = 5.6Hz), 5.10 (s, 2H), 6.92 (s, 2H), 7.28 (d, 2H, J = 8Hz), 7.54 (d, 2H, J = 8Hz), 7.70 (d, 2H, J = 8Hz), 7.79 (d, 2H, J = 8Hz), 7.91 (d, 2H, J = 8Hz).
실시예 3.25
Figure 112006047626195-PCT00050
ES+ m/z 470.2 (M+H)+HRMS: 470.16364 (M+H)+; 470.16319 계산치
1H NMR (400 MHz, CDCl3): δ 0.89 (d, 3H, J = 6.8Hz), 0.96 (d, 3H, J = 6.8Hz), 2.10 (m, 1H), 3.82 (m, 1H), 3.90 (s, 3H), 5.07 (d, 1H, J = 9.6Hz), 5.21 (s, 2H), 6.93 (m, 4H), 7.54 (d, 2H, J = 8Hz), 7.58 (d, 2H, J = 8Hz), 7.65 (d, 2H, J = 8Hz), 7.89 (d, 2H, J = 8Hz).
실시예 3.26
Figure 112006047626195-PCT00051
ES+ m/z 466.2 (M-H)-HRMS: 468.18540 (M+H)+; 468.18392 계산치
1H NMR (400 MHz, CDCl3): δ 0.83 (d, 3H, J = 6.8Hz), 0.95 (d, 3H, J = 6.8Hz), 2.05 (m, 1H), 2.33 (s, 6H), 3.82 (dd, 1H, J = 5.2, 10Hz), 4.88 (s, 2H), 5.07 (d, 1H, J = 10 Hz), 6.97 (m, 1H), 7.05 (m, 2H), 7.64 (m, 4H), 7.67 (d, 2H, J = 8Hz), 7.87 (d, 2H, J = 8Hz).
실시예 3.27
Figure 112006047626195-PCT00052
ES+ m/z 454.1 (M-H)-HRMS: 456.14707 (M+H)+; 456.14754 계산치
1H NMR (400 MHz, 아세톤(d6)): δ 0.92 (d, 3H, J = 6.8Hz), 0.98 (d, 3H, J = 6.8Hz), 2.10 (m, 1H), 3.16 (m, 1H), 5.16 (s, 2H), 6.45 (d, 1H, J = 8Hz), 6.53 (m, 2H), 7.10 (t, 1H, J = 8Hz), 7.61 (d, 2H, J = 8Hz), 7.76 (d, 2H, J = 8Hz), 7.86 (d, 2H, J = 8Hz), 7.94 (d, 2H, J = 8Hz).
실시예 3.28
Figure 112006047626195-PCT00053
ES+ m/z 530.1 (M-H)-HRMS: 532.17709 (M+H)+; 532.17884 계산치
1H NMR (400 MHz, CD3OD): ? 0.93 (d, 3H, J = 6.8Hz), 0.99 (d, 3H, J = 6.8Hz), 2.06 (m, 1H), 3.70 (d, 1H, J = 5.6, 10Hz), 5.16 (s, 2H), 6.93 (m, 3H), 7.04 (m, 3H), 7.31 (m, 2H), 7.58 (d, 2H, J = 8Hz), 7.72 (d, 2H, J = 8Hz), 7.81 (d, 2H, J = 8Hz), 7.93 (d, 2H, J = 8Hz).
실시예 3.29
Figure 112006047626195-PCT00054
ES+ m/z 531.1 (M-H)-HRMS: 533.17293 (M+H)+; 533.17409 계산치
1H NMR (400 MHz, CDCl3): δ 0.88 (d, 3H, J = 6.8Hz), 1.00 (d, 3H, J = 6.8Hz), 2.13 (m, 1H), 3.83 (m, 1H), 5.13 (m, 3H), 6.82 (m, 1H), 7.02 (m, 5H), 7.56 (m, 4H), 7.67 (m, 3H), 7.89 (m, 2H), 8.16 (m, 1H).
실시예 3.30
Figure 112006047626195-PCT00055
ES+ m/z 545.2 (M-H)-HRMS: 547.19006 (M+H)+; 547.18974 계산치
1H NMR (400 MHz, CDCl3): δ 0.89 (d, 3H, J = 6.8Hz), 1.01 (d, 3H, J = 6.8Hz), 2.19 (m, 1H), 2.44 (s, 3H), 3.83 (m, 1H), 5.04 (s, 2H), 6.39 (d, 1H, J = 8 Hz), 6.83 (m, 1H), 6.90 (m, 2H, J = 8 Hz), 6.97 (d, 2H, J = 8 Hz), 7.52 (m, 5H), 7.60 (d, 2H, J = 8Hz), 7.90 (d, 2H, J = 8Hz).
실시예 3.31
Figure 112006047626195-PCT00056
ES+ m/z 506.2 (M-H)-HRMS: 508.17782 (M+H)+; 508.17884 계산치
1H NMR (400 MHz, DMSO): δ 0.81 (d, 3H, J = 6.8Hz), 0.84 (d, 3H, J = 6.8Hz), 1.98 (m, 3H), 2.64 (d, 2H), 2.91 (t, 2H, J = 6Hz), 3.56 (dd, 1H, J = 6, 9.2Hz), 5.27 (s, 2H), 6.99 (d, 2H, J = 8Hz), 7.59 (d, 2H, J = 8 Hz), 7.78 (d, 2H, J = 8Hz), 7.85 (m, 4H), 8.08 (d, 1H, 8Hz).
실시예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을 반응식 5 에 기초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32
Figure 112006047626195-PCT00057
D-3- 메틸 -2-[4'-(3- 메틸 - 벤조퓨란 -2- 일메톡시 )-비페닐-4- 술포닐아미노 ]-부티르산
단계 5A: 20 mL CH3CN 중의 2-클로로메틸-3-메틸-벤조퓨란 (675.9 mg, 3.75 mmol), 4-(4,4,5,5-데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놀 (825 mg, 3.75 mmol, 1 당량), K2CO3 (2.1 g, 15.2 mmol, 4 당량) 혼합물을 질소 대기 하에 환류 온도로 가열하였다. 12 시간 후 반응이 완료되었다. 통상의 후처리 및 칼럼 정제 (5% EtOAc/헥산) 로, 3-메틸-2-[4-(4,4,5,5-데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녹시메틸]-벤조퓨란을 44% 수율 (601 mg) 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클로로포름-D) δ ppm 1.3 (s, 12 H) 2.3 (s, 3 H) 5.2 (s, 2 H) 7.0 (d, J=8.6 Hz, 2 H) 7.3 (m, 2 H) 7.5 (dd, J=21.6, 7.7 Hz, 2 H) 7.8 (d, J=8.8 Hz, 2 H).
단계 5B: 5 mL DME 및 5 mL H2O 중의 D-2-(4-브로모-벤젠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 (568.07 mg, 1.62 mmol), 3-메틸-2-[4-(4,4,5,5-데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녹시메틸]-벤조퓨란 (590.7 mg, 1.62 mmol, 1 당량), Pd(PPh3)4 (93.7 mg, 0.08 mmol, 0.05 당량), 및 K2CO3 (448.35 mg, 3.24 mmol, 2 당량) 혼합물을 환류 온도로 12 시간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 후, 혼합물을 정제용 칼럼 상에 적재하였다. 616 mg 의 생성물 G8475-146 을 75%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OD) δ ppm 0.8 (d, J=6.8 Hz, 6 H) 1.9 (m, 1 H) 2.2 (s, 3 H) 3.2 (s, 3 H) 3.5 (d, J=6.6 Hz, 1 H) 5.1 (s, 2 H) 7.0 (m, J=9.1 Hz, 2 H) 7.1 (m, 1 H) 7.2 (m, 1 H) 7.3 (m, 1 H) 7.4 (m, 1 H) 7.5 (d, J=9.1 Hz, 2 H) 7.6 (d, J=8.8 Hz, 2 H) 7.7 (m, 2 H).
단계 5C: D-3-메틸-2-[4'-(3-메틸-벤조퓨란-2-일메톡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 (364 mg) 를 THF (10 mL) 및 MeOH (3 mL) 에 용해하였다. 1N LiOH (3 mL) 를 가하고,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통상의 후처리 및 칼럼 정제로, D-3-메틸-2-[4'-(3-메틸-벤조퓨란-2-일메톡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을 정량적으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OD) δ ppm 0.8 (dd, J=30.3, 6.8 Hz, 6 H) 2.0 (m, 1 H) 2.2 (s, 3 H) 3.5 (d, J=5.3 Hz, 1 H) 5.1 (s, 2 H) 7.1 (d, J=9.1 Hz, 2 H) 7.1 (m, 1 H) 7.2 (m, 1 H) 7.3 (d, J=8.3 Hz, 1 H) 7.5 (d, J=8.3 Hz, 1 H) 7.5 (d, J=9.1 Hz, 3 H) 7.6 (d, J=8.6 Hz, 2 H) 7.8 (d, J=8.8 Hz, 2 H).
실시예 3.33
Figure 112006047626195-PCT00058
D-2-[4'-( 벤조퓨란 -2- 일메톡시 )-비페닐-4- 술포닐아미노 ]-3- 메틸 -부티르산
표제 화합물, D-2-[4'-(벤조퓨란-2-일메톡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을 실시예 3.32 와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5A: 2-브로모메틸-벤조퓨란 (1.5 g, 7.1 mmol, 1 당량), 4-(4,4,5,5-데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놀 (1.56g, 7.1 mmol, 1 당량), 탄산칼슘 (1.96 g, 14.2 mmol, 2 당량) 을 아르곤 하에 아세토니트릴 (50 mL) 에 용해하고, 70℃ 로 16 시간 가열하였다. 후처리 및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후, 2-[4-(4,4,5,5-데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녹시메틸]-벤조퓨란을 수득하였다. 수율: 63%.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1.3 (s, 12 H) 5.3 (s, 2 H) 7.1 (m, 3 H) 7.3 (m, 1 H) 7.3 (m, 1 H) 7.6 (m, 4 H).
단계 5B: 실시예 3.32 의 단계 5B 방법에 따라, 2-[4-(4,4,5,5-데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녹시메틸]-벤조퓨란과 D-2-(4-브로모-벤젠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의 커플링으로, D-2-[4'-(벤조퓨란-2-일메톡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수율: 33%.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 (dd, J=8.3, 7.1 Hz, 6 H) 1.2 (s, 9 H) 1.9 (m, 1 H) 3.5 (dd, J=9.7, 6.2 Hz, 1 H) 5.3 (s, 2 H) 7.1 (s, 1 H) 7.2 (d, J=8.6 Hz, 2 H) 7.3 (m, 1 H) 7.3 (m, 1 H) 7.6 (dd, J=8.2, 0.6 Hz, 1 H) 7.7 (m, 3 H) 7.8 (d, J=3.3 Hz, 4 H) 8.1 (d, J=9.9 Hz, 1 H).
단계 5C: 아세토니트릴 (10 mL) 중의 D-2-[4'-(벤조퓨란-2-일메톡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 (126 mg, 0.23 mmol, 1 당량), 세륨 클로라이드 헵타하이드레이트 (175 mg, 0.47 mmol, 2 당량), 요오드화칼 륨 (51 mg, 0.30 mmol, 1.3 당량) 을 70℃ 로 16 시간 가열하였다. 후처리 및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후, D-2-[4'-(벤조퓨란-2-일메톡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을 수득하였다. 수율: 25%. NMR: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 (dd, J=12.5, 6.7 Hz, 6 H) 2.0 (m, 1 H) 3.5 (dd, J=9.2, 5.9 Hz, 1 H) 5.3 (s, 2 H) 7.1 (s, 1 H) 7.2 (d, J=8.8 Hz, 2 H) 7.3 (dd, J=8.1, 0.8 Hz, 1 H) 7.3 (m, 1 H) 7.6 (d, J=8.1 Hz, 1 H) 7.7 (m, 1 H) 7.7 (d, J=8.8 Hz, 2 H) 7.8 (d, 4 H) 8.0 (d, J=9.3 Hz, 1 H).
실시예 3.34
Figure 112006047626195-PCT00059
D-3- 메틸 -2-[4'-(나프탈렌-2- 일메톡시 )-비페닐-4- 술포닐아미노 ]-부티르산
표제 화합물, D-3-메틸-2-[4'-(나프탈렌-2-일메톡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을 실시예 3.32 와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5A: 실시예 3.32 의 단계 5A 방법에 따라, 2-브로모메틸-나프탈렌을 4-(4,4,5,5-데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놀로 알킬화하여, 4,4,5,5-데트라메틸-2-[4-(나프탈렌-2-일메톡시)-페닐]-[1,3,2]디옥사보롤란을 85%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클로로포름-D) δ ppm 1.3 (s, 12 H) 5.3 (s, 2 H) 7.0 (d, J=8.6 Hz, 2 H) 7.5 (m, 2 H) 7.5 (dd, J=8.3, 1.8 Hz, 1 H) 7.8 (d, J=8.6 Hz, 2 H) 7.9 (m, 4 H).
단계 5B: 실시예 3.32 의 단계 5B 방법에 따라 4,4,5,5-데트라메틸-2-[4-(나프탈렌-2-일메톡시)-페닐]-[1,3,2]디옥사보롤란과 D-2-(4-브로모-벤젠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를 Suzuki 커플링하여, D-3-메틸-2-[4'-(나프탈렌-2-일메톡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를 44%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클로로포름-D) δ ppm 0.9 (dd, J=32.1, 6.8 Hz, 6 H) 2.0 (m, 1 H) 3.4 (s, 3 H) 3.8 (dd, J=10.2, 5.2 Hz, 1 H) 5.1 (d, J=10.1 Hz, 1 H) 5.3 (s, 2 H) 7.1 (d, J=9.1 Hz, 2 H) 7.5 (m, 2 H) 7.6 (m, 3 H) 7.7 (d, J=8.6 Hz, 2 H) 7.9 (m, 6 H).
단계 5C: D-3-메틸-2-[4'-(나프탈렌-2-일메톡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의 가수분해를, 실시예 3.32 의 단계 5C 에 따라 정량적 수율로 수행하였다. 1H NMR (400 MHz, MeOD) δ ppm 0.8 (dd, J=32.6, 6.8 Hz, 6 H) 1.9 (m, 1 H) 3.5 (d, J=5.3 Hz, 1 H) 5.2 (s, 2 H) 7.1 (d, J=8.8 Hz, 2 H) 7.4 (m, 2 H) 7.5 (dd, J=8.6, 1.8 Hz, 1 H) 7.5 (d, J=8.8 Hz, 2 H) 7.6 (d, J=8.8 Hz, 2 H) 7.8 (m, 5 H) 7.8 (s, 1 H).
실시예 3.35
Figure 112006047626195-PCT00060
D-2-(4'- 벤질옥시 -비페닐-4- 술포닐아미노 )-3- 메틸 -부티르산
표제 화합물, D-2-(4'-벤질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을 실시예 3.32 와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5B: 실시예 3.32 의 단계 5B 에 따라, 4-벤질옥시페닐보론산과 D-2-(4-브로모-벤젠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의 Suzuki 커플링을 실시하여, D-2-(4'-벤질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73%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OD) δ ppm 0.8 (dd, J=29.7, 6.7 Hz, 6 H) 1.1 (s, 9 H) 1.9 (m, 1 H) 3.5 (d, J=5.8 Hz, 1 H) 5.0 (s, 2 H) 7.0 (d, J=8.8 Hz, 2 H) 7.2 (t, J=7.3 Hz, 1 H) 7.3 (m, 2 H) 7.4 (d, J=6.8 Hz, 2 H) 7.5 (d, J=9.1 Hz, 2 H) 7.6 (d, J=8.6 Hz, 2 H) 7.8 (d, J=8.8 Hz, 2 H).
단계 5C: D-2-(4'-벤질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을 실시예 3.32 의 단계 5C 에 따라 정량적 수율로 제조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 (dd, J=12.3, 6.7 Hz, 6 H) 1.9 (m, 1 H) 3.5 (dd, J=9.3, 6.1 Hz, 1 H) 5.2 (s, 2 H) 7.1 (d, J=9.1 Hz, 2 H) 7.4 (m, 3 H) 7.5 (m, 2 H) 7.7 (d, J=8.8 Hz, 2 H) 7.8 (s, 4 H) 8.0 (d, J=9.3 Hz, 1 H).
실시예 3.36
Figure 112006047626195-PCT00061
D-3-메틸-2-[4'-(퀴놀린-2- 일메톡시 )-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표제 화합물, D-3-메틸-2-[4'-(퀴놀린-2-일메톡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을, 실시예 3.32 와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5A: 실시예 3.32 의 단계 5A 에 따라 2-클로로메틸-퀴놀린을 4-(4,4,5,5-데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놀로 알킬화하여, 2-[4-(4,4,5,5-데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녹시메틸]-퀴놀린을 9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OD) δ ppm 1.2 (s, 12 H) 5.3 (s, 2 H) 7.0 (d, J=8.6 Hz, 2 H) 7.5 (m, 1 H) 7.6 (dd, J=11.4, 8.6 Hz, 3 H) 7.7 (m, 1 H) 7.8 (dd, J=8.1, 1.5 Hz, 1 H) 7.9 (d, J=8.6 Hz, 1 H) 8.3 (d, J=8.6 Hz, 1 H).
단계 5B: 실시예 3.32 의 단계 5B 에 따라, 2-[4-(4,4,5,5-데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녹시메틸]-퀴놀린을 D-2-(4-브로모-벤젠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와 Suzuki 커플링하여, D-3-메틸-2-[4'-(퀴놀린-2-일메톡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7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OD) δ ppm 0.8 (dd, J=29.8, 6.8 Hz, 6 H) 1.1 (s, 9 H) 1.9 (m, 1 H) 3.5 (d, J=5.6 Hz, 1 H) 5.3 (s, 2 H) 7.1 (d, J=8.8 Hz, 2 H) 7.5 (m, 3 H) 7.6 (t, J=8.6 Hz, 3 H) 7.7 (m, 1 H) 7.8 (d, J=8.8 Hz, 2 H) 7.9 (dd, J=8.2, 0.9 Hz, 1 H) 8.0 (m, 1 H) 8.3 (d, J=8.8 Hz, 1 H).
단계 5C: 실시예 3.32 의 단계 5C 에 따라 t-부틸 에스테르의 제거를 정량적 수율로 실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 (dd, J=12.5, 6.7 Hz, 6 H) 1.9 (m, 1 H) 3.5 (dd, J=9.3, 6.1 Hz, 1 H) 5.5 (s, 2 H) 7.2 (d, J=8.8 Hz, 2 H) 7.7 (m, 1 H) 7.7 (dd, J=8.7, 1.9 Hz, 3 H) 7.8 (s, 5 H) 8.0 (m, 3 H) 8.5 (d, J=8.6 Hz, 1 H).
실시예 3.37
Figure 112006047626195-PCT00062
D-3-메틸-2-[4'-(2-니트로-벤질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표제 화합물, D-3-메틸-2-[4'-(2-니트로-벤질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을, 실시예 3.32 와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5A: 실시예 3.32 의 단계 5A 의 방법에 따라 1-브로모메틸-2-니트로-벤젠을 4-(4,4,5,5-데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놀로 알킬화하여, 4,4,5,5-데트라메틸-2-[4-(2-니트로-벤질옥시)-페닐]-[1,3,2]디옥사보롤란을 62%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클로로포름-D) δ ppm 1.3 (s, 12 H) 5.5 (s, 2 H) 7.0 (d, J=8.6 Hz, 2 H) 7.5 (m, 1 H) 7.7 (m, 1 H) 7.8 (d, J=8.6 Hz, 2 H) 7.9 (dd, J=7.8, 1.0 Hz, 1 H) 8.2 (dd, J=8.1, 1.3 Hz, 1 H).
단계 5B: 실시예 3.32 의 단계 5B 의 방법에 따라, 4,4,5,5-데트라메틸-2-[4-(2-니트로-벤질옥시)-페닐]-[1,3,2]디옥사보롤란과 D-2-(4-브로모-벤젠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의 Suzuki 커플링을 수행하여, D-3-메틸-2-[4'-(2-니트로-벤질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2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OD) δ ppm 0.8 (dd, J=30.1, 6.8 Hz, 6 H) 1.1 (s, 9 H) 1.9 (m, 1 H) 3.5 (d, J=5.6 Hz, 1 H) 5.4 (s, 2 H) 7.0 (d, J=8.8 Hz, 2 H) 7.5 (m, 1 H) 7.5 (d, J=8.8 Hz, 2 H) 7.6 (m, 3 H) 7.8 (d, J=8.6 Hz, 3 H) 8.1 (dd, J=8.1, 1.3 Hz, 1 H).
단계 5C: 실시예 3.32 의 단계 5C 방법에 따라, t-부틸 에스테르의 제거를 정량적 수율로 실시하였다. 1H NMR (400 MHz, MeOD) δppm 0.8 (dd, J=24.3, 6.8 Hz, 6 H) 2.0 (m, 1 H) 3.6 (d, J=5.8 Hz, 1 H) 5.4 (s, 2 H) 7.0 (d, J=8.6 Hz, 2 H) 7.5 (t, J=7.7 Hz, 1 H) 7.6 (d, J=8.8 Hz, 2 H) 7.7 (m, 3 H) 7.8 (m, 3 H) 8.1 (d, J=9.6 Hz, 1 H).
실시예 3.38
Figure 112006047626195-PCT00063
D-2-[4'-(2-클로로-벤질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표제 화합물, D-2-[4'-(2-클로로-벤질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을 실시예 3.32 와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5A: 실시예 2A 의 단계 5A 방법에 따라, 2-클로로벤질 브로마이드와 4-히드록시페닐 보론산 에스테르의 커플링을 실시하여 2-[4-(2-클로로-벤질옥시)-페닐]-4,4,5,5-데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을 수득하였다. 수율: 85%.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1.3 (s, 12 H) 5.2 (s, 2 H) 7.0 (d, J=8.8 Hz, 2 H) 7.4 (m, 2 H) 7.5 (m, 1 H) 7.6 (m, 1 H) 7.6 (d, J=8.8 Hz, 2 H).
단계 5B: 실시예 3.32 의 단계 5B 방법에 따라, 2-[4-(2-클로로-벤질옥시)- 페닐]-4,4,5,5-데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과 D-2-(4-브로모-벤젠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의 커플링을 수행하여, D-2-[4'-(2-클로로-벤질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수율: 73%.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 (dd, J=15.4, 6.6 Hz, 6 H) 1.9 (m, 1 H) 3.3 (s, 3 H) 3.6 (dd, J=9.3, 7.1 Hz, 1 H) 5.2 (s, 2 H) 7.2 (d, J=8.8 Hz, 2 H) 7.4 (m, 2 H) 7.5 (m, 1 H) 7.6 (m, 1 H) 7.7 (d, J=8.8 Hz, 2 H) 7.8 (d, J=8.6 Hz, 2 H) 7.8 (m, 2 H) 8.3 (d, J=9.3 Hz, 1 H).
단계 5C: 실시예 3.32 의 단계 5C 에 따라, D-2-[4'-(2-클로로-벤질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의 D-2-[4'-(2-클로로-벤질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으로의 가수분해를 수행하였다. 수율: 55%. 1H NMR (400 MHz, DMSO-D6) δppm 0.8 (dd, J=12.6, 6.8 Hz, 6 H) 1.9 (m, 1 H) 3.5 (dd, J=9.2, 5.9 Hz, 1 H) 5.2 (s, 2 H) 7.2 (d, J=8.8 Hz, 2 H) 7.4 (m, 2 H) 7.5 (m, 1 H) 7.6 (m, 1 H) 7.7 (d, J=8.8 Hz, 2 H) 7.8 (s, 4 H) 8.0 (d, J=9.3 Hz, 1 H) 12.6 (s, 1 H).
실시예 3.39
Figure 112006047626195-PCT00064
D-2-[4'-(2- 플루오로 -6-니트로- 벤질옥시 )-비페닐-4- 술포닐아미노 ]-3- 메틸 -부 티르산
표제 화합물, D-2-[4'-(2-플루오로-6-니트로-벤질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을 실시예 3.32 와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5A: 실시예 3.32 의 단계 5A 방법에 따라, 2-플루오로-6-니트로벤질 브로마이드와 4-히드록시페닐 보론산 에스테르의 커플링을 수행하여, 2-[4-(2-플루오로-6-니트로-벤질옥시)-페닐]-4,4,5,5-데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을 수득하였다. 수율: 95%.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1.3 (s, 12 H) 5.3 (d, J=1.3 Hz, 2 H) 7.0 (d, J=8.8 Hz, 2 H) 7.6 (d, J=8.8 Hz, 2 H) 7.7 (m, 2 H) 7.9 (m, 1 H).
단계 5B: 실시예 3.32 의 단계 5B 방법에 따라, 2-[4-(2-플루오로-6-니트로-벤질옥시)-페닐]-4,4,5,5-데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과 D-2-(4-브로모-벤젠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의 커플링으로, D-2-[4'-(2-플루오로-6-니트로-벤질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수율: 49%.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 (dd, J=15.2, 6.8 Hz, 6 H) 1.9 (m, 1 H) 3.3 (s, 3 H) 3.6 (dd, J=9.5, 7.2 Hz, 1 H) 5.4 (d, J=1.3 Hz, 2 H) 7.1 (d, J=8.8 Hz, 2 H) 7.8 (m, 6 H) 7.8 (m, 2 H) 7.9 (m, 1 H) 8.3 (m, J=9.3 Hz, 1 H).
단계 5C: prep-HPLC 에 의한 정제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3.32 의 단계 5C 방법에 따라, D-2-[4'-(2-플루오로-6-니트로-벤질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의 D-2-[4'-(2-플루오로-6-니트로-벤질옥시)-비페닐-4- 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으로의 가수분해를 수행하였다. 수율: 30%.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 (dd, J=12.9, 6.8 Hz, 6 H) 1.9 (m, 1 H) 3.5 (dd, J=9.2, 5.9 Hz, 1 H) 5.4 (d, J=1.3 Hz, 2 H) 7.1 (d, J=8.8 Hz, 2 H) 7.7 (m, 4 H) 7.8 (d, J=0.8 Hz, 4 H) 7.9 (m, 2 H) 8.0 (d, J=9.1 Hz, 1 H).
실시예 3.40
Figure 112006047626195-PCT00065
D-3- 메틸 -2-[4'-(퀴놀린-4- 일메톡시 )-비페닐-4- 술포닐아미노 ]-부티르산
표제 화합물, D-3-메틸-2-[4'-(퀴놀린-4-일메톡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을 실시예 3.32 와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5A: 실시예 3.32 의 단계 5A 방법에 따라, 4-클로로메틸-퀴놀린과 4-히드록시페닐 보론산 에스테르의 커플링으로, 4-[4-(4,4,5,5-데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녹시메틸]-퀴놀린을 수득하였다. 수율: 62%.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1.3 (s, 12 H) 5.7 (d, J=0.5 Hz, 2 H) 7.1 (d, J=8.8 Hz, 2 H) 7.7 (m, 4 H) 7.8 (m, 1 H) 8.1 (dd, J=8.5, 0.9 Hz, 1 H) 8.2 (d, J=8.3 Hz, 1 H) 8.9 (d, J=4.5 Hz, 1 H).
단계 5B: 실시예 3.32 의 단계 5B 방법에 따라, 4-[4-(4,4,5,5-데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녹시메틸]-퀴놀린과 D-2-(4-브로모-벤젠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의 커플링으로, D-3-메틸-2-[4'-(퀴놀린-4-일메 톡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수율: 47%.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 (dd, J=15.2, 6.8 Hz, 6 H) 1.9 (m, 1 H) 3.3 (s, 3 H) 3.6 (dd, J=9.3, 7.1 Hz, 1 H) 5.8 (s, 2 H) 7.3 (d, J=8.8 Hz, 2 H) 7.8 (m, 9 H) 8.1 (d, J=8.6 Hz, 1 H) 8.2 (d, J=8.6 Hz, 1 H) 8.3 (d, J=9.3 Hz, 1 H) 8.9 (d, J=4.3 Hz, 1 H).
단계 5C: D-3-메틸-2-[4'-(퀴놀린-4-일메톡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의 D-3-메틸-2-[4'-(퀴놀린-4-일메톡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으로의 가수분해를 실시예 3.32 의 단계 5C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수율: 54%.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 (dd, J=43.6, 6.9 Hz, 6 H) 2.0 (m, 1 H) 3.0 (d, J=3.0 Hz, 1 H) 5.8 (d, 2 H) 7.3 (d, J=8.8 Hz, 2 H) 7.7 (m, 4 H) 7.8 (m, 5 H) 8.1 (m, 1 H) 8.2 (dd, J=8.3, 0.8 Hz, 1 H) 8.9 (d, J=4.5 Hz, 1 H).
실시예 3.41
Figure 112006047626195-PCT00066
D-2-[4'-(2-시아노메틸-벤질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표제 화합물, D-3-메틸-2-[4'-(퀴놀린-4-일메톡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을 실시예 3.32 와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5C: D-2-[4'-(2-시아노메틸-벤질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 (단계 3 에 따라 제조됨) 의 D-2-[4'-(2-시아노메틸-벤질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으로의 가수분해를 실시예 3.32 의 단계 5C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Prep-HPLC 로 정제하였다. 수율: 75%.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 (dd, J=23.7, 6.8 Hz, 6 H) 2.0 (m, 1 H) 2.8 (d, J=6.6 Hz, 1 H) 4.1 (s, 2 H) 5.2 (s, 2 H) 7.2 (d, J=9.1 Hz, 2 H) 7.4 (m, 2 H) 7.5 (m, 1 H) 7.6 (m, 1 H) 7.7 (d, J=8.8 Hz, 2 H) 7.8 (d, J=2.0 Hz, 4 H).
실시예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 49 를 반응식 6 에 기초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42
Figure 112006047626195-PCT00067
D-3- 메틸 -2-[4'-(2- 메틸 -퀴놀린-4- 일메톡시 )-비페닐-4- 술포닐아미노 ]-부티르산
단계: 8 mL DMF 중의 4-클로로메틸-2-메틸-퀴놀린 (165 mg, 0.86 mmol, 1 당량), D-2-(4'-히드록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 (314 mg, 0.86 mmol, 1 당량), 및 K2CO3 (270 mg, 1.13 mmol, 1.3 당량) 혼합물을 질소 하에 90℃ 로 12 시간 가열하였다. 후처리 및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중 30-60% EtOAc) 후, D-3-메틸-2-[4'-(2-메틸-퀴놀린-4-일메톡시)-비페닐-4-술포 닐아미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를 34% 수율 (150 mg) 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 (dd, J=15.0, 6.7 Hz, 6 H) 1.9 (m, 1 H) 2.7 (s, 3 H) 3.3 (s, 3 H) 3.6 (dd, J=9.2, 7.2 Hz, 1 H) 5.7 (s, 2 H) 7.3 (d, J=8.8 Hz, 2 H) 7.6 (m, 2 H) 7.8 (m, 4 H) 7.8 (m, 2 H) 8.0 (d, J=9.3 Hz, 1 H) 8.1 (d, J=8.3 Hz, 1 H) 8.1 (없음, 1 H) 8.3 (d, J=9.6 Hz, 1 H).
단계 6B: D-3-메틸-2-[4'-(2-메틸-퀴놀린-4-일메톡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 (150 mg) 를 THF (8 mL) 및 MeOH (4mL) 에 용해하고 1N LiOH (3 mL,3 mmol) 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의 완료를 TLC 로 확인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통상적인 후처리 및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148 mg 을 정량적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 (dd, J=31.8, 6.8 Hz, 6 H) 2.0 (m, 1 H) 2.7 (s, 3 H) 3.2 (s, 1 H) 5.7 (s, 2 H) 7.3 (d, J=8.8 Hz, 2 H) 7.6 (m, 2 H) 7.8 (m, 7 H) 8.0 (d, J=7.6 Hz, 1 H) 8.1 (d, J=6.8 Hz, 1 H).
실시예 3.43
Figure 112006047626195-PCT00068
D-2-[4'-(3-시아노-벤질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표제 화합물, D-2-[4'-(3-시아노-벤질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 부티르산을 실시예 3.42 와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6A: 실시예 3.42 의 단계 6A 방법에 따라, α-브로모-m-톨루니트릴과 D-2-(4'-히드록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의 커플링으로, D-2-[4'-(3-시아노-벤질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수율: 25%.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 (dd, J=14.9, 6.8 Hz, 6 H) 1.9 (m, 1 H) 3.3 (s, 3 H) 3.6 (dd, J=9.5, 7.2 Hz, 1 H) 5.3 (s, 2 H) 7.2 (d, J=9.1 Hz, 2 H) 7.6 (t, J=8.0 Hz, 1 H) 7.7 (m, 4 H) 7.8 (m, 4 H) 8.0 (s, 1 H) 8.3 (d, J=9.3 Hz, 1 H).
단계 6B: 실시예 3.42 의 단계 6B 방법에 따라, D-2-[4'-(3-시아노-벤질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를 D-2-[4'-(3-시아노-벤질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으로 가수분해하였다. 수율: 24%.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 (dd, J=26.0, 6.8 Hz, 6 H) 2.0 (m, 1 H) 2.7 (s, 1 H) 5.2 (s, 2 H) 7.2 (d, J=8.8 Hz, 2 H) 7.6 (d, J=7.6 Hz, 1 H) 7.7 (d, J=8.8 Hz, 2 H) 7.8 (m, 6 H) 8.0 (s, 1 H).
실시예 3.44
Figure 112006047626195-PCT00069
D-3-메틸-2-[4'-(나프탈렌-1- 일메톡시 )-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표제 화합물, D-3-메틸-2-[4'-(나프탈렌-1-일메톡시)-비페닐-4-술포닐아미 노]-부티르산을 실시예 3.42 와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6A: 실시예 3.42 의 단계 6A 방법에 따라, 1-클로로메틸-나프탈렌을 D-2-(4'-히드록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로 알킬화하여, D-3-메틸-2-[4'-(나프탈렌-1-일메톡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를 34%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클로로포름-D) δ ppm 0.9 (dd, J=32.3, 6.8 Hz, 6 H) 2.0 (m, 1 H) 3.4 (s, 3 H) 3.8 (dd, J=10.1, 5.1 Hz, 1 H) 5.1 (d, J=10.1 Hz, 1 H) 5.6 (s, 2 H) 7.2 (d, J=8.8 Hz, 2 H) 7.5 (dd, J=8.2, 6.9 Hz, 1 H) 7.6 (m, 4 H) 7.6 (d, J=6.6 Hz, 1 H) 7.7 (d, J=8.6 Hz, 2 H) 7.9 (m, 4 H) 8.1 (dd, J=8.5, 1.4 Hz, 1 H).
단계 6B: 실시예 3.42 의 단계 6B 방법에 따라, D-3-메틸-2-[4'-(나프탈렌-1-일메톡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의 가수분해를 정량적 수율로 수행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 (dd, J=15.4, 6.8 Hz, 6 H) 2.0 (m, 1 H) 3.5 (s, 1 H) 5.6 (s, 2 H) 7.2 (d, J=8.8 Hz, 2 H) 7.6 (m, 3 H) 7.7 (m, 3 H) 7.8 (d, J=2.8 Hz, 4 H) 8.0 (m, 3 H) 8.1 (m, 1 H).
실시예 3.45
Figure 112006047626195-PCT00070
D-2-[4'-(2-플루오로-벤질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표제 화합물, D-2-[4'-(2-플루오로-벤질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을 실시예 3.42 와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6A: 실시예 3.42 의 단계 6A 방법에 따라, 2-플루오로벤질 브로마이드와 D-2-(4'-히드록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를 커플링하여, D-2-[4'-(2-플루오로-벤질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수율: 47%.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 (dd, J=15.2, 6.8 Hz, 6 H) 1.9 (dd, 1 H) 3.3 (s, 3 H) 3.6 (dd, J=9.3, 7.1 Hz, 1 H) 5.2 (s, 2 H) 7.2 (d, J=8.8 Hz, 2 H) 7.3 (m, 2 H) 7.4 (m, 1 H) 7.6 (m, 1 H) 7.7 (m, 4 H) 7.8 (m, 2 H) 8.3 (d, J=9.3 Hz, 1 H).
단계 6B: 실시예 3.42 의 단계 6B 방법에 따라, D-2-[4'-(2-플루오로-벤질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를 D-2-[4'-(2-플루오로-벤질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으로 가수분해하였다. 수율: 67%.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 (dd, J=43.7, 6.8 Hz, 6 H) 2.0 (m, 1 H) 2.9 (d, J=2.8 Hz, 1 H) 5.2 (s, 2 H) 6.8 (s, 1 H) 7.2 (d, J=8.8 Hz, 2 H) 7.3 (m, 2 H) 7.4 (m, 1 H) 7.6 (m, 1 H) 7.7 (d, J=8.8 Hz, 2 H) 7.8 (s, 4 H).
실시예 3.46
Figure 112006047626195-PCT00071
D-2-[4'-(2,3- 디플루오로 -벤질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표제 화합물, D-2-[4'-(2,3-디플루오로-벤질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을 실시예 3.42 와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6A: 실시예 3.42 의 단계 6A 방법에 따라, 그러나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2,3-디플루오로벤질 브로마이드를 D-2-(4'-히드록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와 커플링하여, D-2-[4'-(2,3-디플루오로-벤질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수율: 42%.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s, 2 H) 7.2 (d, J=8.8 Hz, 2 H) 7.3 (m, 1 H) 7.5 (m, 2 H) 7.7 (m, 4 H) 7.8 (m, 2 H) 8.3 (d, J=9.3 Hz, 1 H).
단계 6B: 실시예 3.42 의 단계 6B 방법에 따라, D-2-[4'-(2,3-디플루오로-벤질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를 D-2-[4'-(2,3-디플루오로-벤질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으로 가수분해하였다. 수율: 63%.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 (dd, J=12.4, 6.8 Hz, 6 H) 1.9 (m, 1 H) 3.5 (dd, J=9.3, 6.1 Hz, 1 H) 5.3 (s, 2 H) 7.2 (d, J=9.1 Hz, 2 H) 7.3 (m, 1 H) 7.5 (m, 2 H) 7.7 (d, J=9.1 Hz, 2 H) 7.8 (d, J=1.8 Hz, 4 H) 8.0 (d, J=9.3 Hz, 1 H) 12.6 (s, 1 H).
실시예 2P
Figure 112006047626195-PCT00072
D-3- 메틸 -2-[4'-(2- 메틸 -3-니트로- 벤질옥시 )-비페닐-4- 술포닐아미노 ]-부티르산
표제 화합물, D-3-메틸-2-[4'-(2-메틸-3-니트로-벤질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을 실시예 3.42 와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6A: 실시예 3.42 의 단계 6A 방법에 따라, 그러나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2-메틸-3-니트로벤질 브로마이드를 D-2-(4'-히드록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와 커플링하여, D-3-메틸-2-[4'-(2-메틸-3-니트로-벤질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재결정화로 추가 정제하였다 (EtOAc/헥산). 수율: 26%.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 (dd, J=15.2, 6.8 Hz, 6 H) 1.9 (m, 1 H) 2.4 (s, 3 H) 3.3 (s, 3 H) 3.6 (m, 1 H) 5.3 (s, 2 H) 7.2 (d, J=8.8 Hz, 2 H) 7.5 (t, J=7.8 Hz, 1 H) 7.8 (m, 8 H) 8.3 (d, J=9.3 Hz, 1 H).
단계 6B: 실시예 3.42 의 단계 6B 방법에 따라, D-3-메틸-2-[4'-(2-메틸-3-니트로-벤질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를 D-3-메틸-2- [4'-(2-메틸-3-니트로-벤질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으로 가수분해하였다. 수율: 33%.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 (dd, J=12.4, 6.8 Hz, 6 H) 1.9 (dd, 1 H) 3.5 (dd, J=9.3, 6.1 Hz, 1 H) 5.3 (s, 2 H) 7.2 (d, J=9.1 Hz, 2 H) 7.3 (m, 1 H) 7.5 (m, 2 H) 7.7 (d, J=9.1 Hz, 2 H) 7.8 (d, J=1.8 Hz, 4 H) 8.0 (d, J=9.3 Hz, 1 H) 12.6 (s, 1 H).
실시예 3.48
Figure 112006047626195-PCT00073
D-2-[4'-(2-요오도-벤질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표제 화합물, D-2-[4'-(2-요오도-벤질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을 실시예 3.42 와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6A: 실시예 3.42 의 단계 6A 방법에 따라, 1-클로로메틸-2-요오도-벤젠을 D-2-(4'-히드록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로 알킬화하여, D-2-[4'-(2-요오도-벤질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를 55%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 (dd, J=15.3, 6.7 Hz, 6 H) 1.9 (m, 1 H) 3.3 (s, 3 H) 3.6 (dd, J=9.5, 7.2 Hz, 1 H) 7.1 (m, 3 H) 7.5 (m, 1 H) 7.6 (m, 1 H) 7.7 (m, 4 H) 7.8 (m, 2 H) 7.9 (dd, J=8.0, 1.1 Hz, 1 H) 8.3 (d, J=9.3 Hz, 1 H).
단계 6B: 실시예 3.42 의 단계 6A 방법에 따라, D-2-[4'-(2-요오도-벤질옥 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의 가수분해를 정량적 수율로 수행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 (dd, J=12.1, 6.8 Hz, 6 H) 1.9 (m, 1 H) 3.5 (dd, J=9.3, 6.1 Hz, 1 H) 5.1 (s, 2 H) 7.1 (d, J=8.8 Hz, 2 H) 7.5 (m, 1 H) 7.6 (d, J=7.6 Hz, 1 H) 7.7 (d, J=8.8 Hz, 2 H) 7.8 (s, 4 H) 7.9 (dd, J=7.8, 1.3 Hz, 1 H) 8.0 (d, J=9.3 Hz, 1 H).
실시예 3.49
Figure 112006047626195-PCT00074
D-2-[4'-( 벤조티아졸 -2- 일메톡시 )-비페닐-4- 술포닐아미노 ]-3- 메틸 -부티르산
표제 화합물, D-2-[4'-(벤조티아졸-2-일메톡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을 실시예 3.42 와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6A: 실시예 3.42 의 단계 6A 방법에 따라, 2-브로모메틸-벤조티아졸을 with D-2-(4'-히드록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로 알킬화하여, D-2-[4'-(벤조티아졸-2-일메톡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를 2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 (dd, J=15.0, 6.7 Hz, 6 H) 1.9 (m, 1 H) 3.6 (dd, J=9.5, 7.2 Hz, 1 H) 5.7 (s, 2 H) 7.2 (m, J=8.8 Hz, 2 H) 7.5 (m, 1 H) 7.6 (m, 1 H) 7.7 (m, 4 H) 7.8 (m, 2 H) 8.0 (d, J=7.3 Hz, 1 H) 8.1 (d, J=7.8 Hz, 1 H) 8.3 (d, J=9.6 Hz, 1 H).
단계 6B: 실시예 3.42 의 단계 6B 방법에 따라, D-2-[4'-(벤조티아졸-2-일메톡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의 가수분해를 정량적 수율로 수행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 (dd, J=12.4, 6.8 Hz, 6 H) 1.9 (m, 1 H) 3.5 (dd, J=9.3, 5.8 Hz, 1 H) 5.7 (s, 2 H) 7.2 (d, J=8.8 Hz, 2 H) 7.5 (m, 1 H) 7.6 (m, 1 H) 7.7 (d, J=8.8 Hz, 2 H) 7.8 (d, J=2.3 Hz, 4 H) 8.0 (dd, J=9.1, 4.5 Hz, 2 H) 8.1 (d, J=8.6 Hz, 1 H). 97%.
실시예 3.50, 3.51, 3.52, 3.53, 3.54, 3.55, 3.56 을 반응식 6B 에 기초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50
Figure 112006047626195-PCT00075
2-[4'-(2,3-디히드로-벤조[1,4]디옥신-6-일메메톡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1H NMR (400 MHz, DMSO): δ 0.778(d, 3H), 0.845(d, 3H), 1.99(dd, 1H), 3.17(bs, 1H), 4.24(s, 4H), 5.04(s, 2H), 6.91(m, 3H), 7.10(d, 2H), 7.68(d, 2H); ES+ m/z 496.0 (M-H); HRMS (C26H27NO7S): 계산치; 520.14004 ; 실측치; 520.13995 (M+Na).
실시예 3.51
Figure 112006047626195-PCT00076
3-메틸-2-[4'-(피리딘-2- 일메톡시 )-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1H NMR (400 MHz, DMSO): δ 0.800(d, 3H), 0.803(d, 3H), 1.94(m, 1H), 3.51(bs, 1H), 5.25(s, 2H), 7.15(d, 2H), 7.36(m, 1H), 7.54(d, 2H), 7.71(d, 2H), 7.83(m, 3H), 8.59(d, 2H); ES+ m/z 441.2 (M+H); HRMS (C23H24N2O5S): 계산치; 440.14004 ; 실측치; 440.14037 (M+H).
실시예 3.52
Figure 112006047626195-PCT00077
3-메틸-2-[4'-(피리딘-3-일메톡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1H NMR (400 MHz, DMSO): δ 0.800(d, 3H), 0.803(d, 3H), 1.95(m, 1H), 3.49(bs, 1H), 5.23(s, 2H), 7.16(d, 2H), 7.45(m, 1H), 7.71(d, 2H), 7.80(m, 3H), 7.90(d, 2H), 8.56(d, 1H), 8.70(bs, 1H); ES+ m/z 441.1 (M+H); HRMS (C23H24N2O5S): 계산치; 441.14787; 실측치; 441.14617 (M+H).
실시예 3.53
Figure 112006047626195-PCT00078
2-[4'-(1H-벤조이미다졸-2-일메톡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1H NMR (400 MHz, DMSO): δ 0.802(d, 3H), 0.833(d, 3H), 1.94(m, 1H), 3.54(m, 1H), 5.51(s, 2H), 6.88(d, 2H), 7.24(d, 1H), 7.34(m, 1H), 7.58(d, 2H), 7.66(m, 1H), 7.78(m, 4H), 8.03(d, 1H); ES+ m/z 480.1 (M+H); HRMS (C25H25N3O5S): 계산치; 480.15877; 실측치; 480.15787 (M+H).
실시예 3.54
Figure 112006047626195-PCT00079
2-[4'-(3-메톡시-벤질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1H NMR (400 MHz, DMSO): δ 0.804(d, 3H), 0.835(d, 3H), 1.95(m, 1H), 3.54(m, 1H), 3.77(s, 3H), 5.15(s, 2H), 6.89(m, 2H), 7.04(m, 2H), 7.13(m, 2H), 7.32(m, 1H), 7.58(d, 1H), 7.69(d, 2H), 7.80(m, 1H), 8.01(d, 1H); ES+ m/z 470.1 (M+H); HRMS (C25H27NO6S): 계산치; 470.16319; 실측치; 470.16183 (M+H).
실시예 3.55
Figure 112006047626195-PCT00080
2-[4'-(4-메톡시-벤질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1H NMR (400 MHz, DMSO): δ 0.805(d, 3H), 0.836(d, 3H), 1.94(m, 1H), 3.54(m, 1H), 3.76(s, 3H), 5.09(s, 2H), 6.96(d, 2H), 7.12(d, 2H), 7.40(d, 2H), 7.69(d, 2H), 7.80(s, 3H), 8.01(d, 1H); ES+ m/z 468.2 (M-H); HRMS (C25H27NO6S): 계산치; 470.16319; 실측치; 470.16248 (M+H)
실시예 3.56
Figure 112006047626195-PCT00081
2-[4'-(3,5-디메톡시-벤질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1H NMR (400 MHz, DMSO): δ 0.804(d, 3H), 0.835(d, 3H), 1.95(m, 1H), 3.55(m, 1H), 3.75(s, 6H), 5.11(s, 2H), 6.45(bs, 1H), 6.62(bs, 2H), 7.12(d, 2H), 7.70(d, 2H), 7.80(s, 3H), 8.01(d, 1H); ES+ m/z 498.2 (M-H); HRMS (C26H29NO7S): 계산치; 500.17375; 실측치; 500.17223 (M+H).
실시예 3.57 을 반응식 7 을 기초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3.57
Figure 112006047626195-PCT00082
3- 메틸 -2-(4'-비닐-비페닐-4- 술포닐아미노 )-부티르산 tert -부틸 에스테르
단계 7A: 4-비닐페닐보론산 (1.89 g, 12.7 mmol, 1 당량) 및 2-(4-브로모-벤젠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 (5 g, 12.7 mmol, 1 당량) 을 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180 mL) 에 용해하고 Pd(Ph3)4 (736.0 mg, 0.64 mmol) 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20 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에 K2CO3 (3.52 g, 25.5 mmol, 2 당량) 수용액을 도입하고, 환류 온도로 밤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한 후,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EtOAC 와 H2O 사이에 분할하였다. 유기층을 염수로 세정하고, MgSO4 으로 건조하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10% EtOAc / 헥산) 로 정제하여, 808 mg 의 G9058-169 를 15.2%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클로로포름-D) δ ppm 0.80 (d, J=6.82 Hz, 3 H) 0.95 (d, J=6.82 Hz, 3 H) 1.12 (s, 9 H) 1.99 (m, 1 H) 3.59 (dd, J=9.85, 4.55 Hz, 1 H) 5.06 (d, J=10.11 Hz, 1 H) 5.25 (d, J=10.86 Hz, 1 H) 5.75 (d, J=16.93 Hz, 1 H) 6.70 (m, 1 H) 7.45 (m, 4 H) 7.61 (d, J=8.84 Hz, 2 H) 7.82 (d, J=8.84 Hz, 2 H).
단계 7B: 3-메틸-2-(4'-비닐-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 (300 mg, 0.72 mmol, 1.2 당량), Pd2(dba)3 (11mg, 0.012 mmol, 0.02 당량), 트리-t-부틸포스포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4 mg, 0.048 mmol, 0.08 당량) 및 디옥산 (1.5 mL) 을 N2 하에 마이크로파관에 넣었다. 2-브로모-1-벤조퓨란 (118 mg, 0.6mmol, 1 당량) 및 디시클로헥실 메틸 아민 (0.15 mL, 0.72 mmol, 1.2 당량) 을 주입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180℃ 마이크로파 반응기에서 30 분간 방사선 조사하였다. 혼합물을 EtOAc 와 H2O 사이에 분할하고, 유기층을 MgSO4 로 건조하였다. 미정제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20% EtOAc/ 헥산) 로 정제하여, 80 mg 의 2-[4'-(2-벤조퓨란-2-일-비닐)-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G9058-171) 수율 25%.
1H NMR (400 MHz, 클로로포름-D) δ ppm 0.80 (d, J=6.82 Hz, 3 H) 0.96 (d, J=6.82 Hz, 3 H) 1.14 (s, 9 H) 2.01 (m, 1 H) 3.60 (dd, J=9.98, 4.42 Hz, 1 H) 5.07 (d, J=9.85 Hz, 1 H) 6.66 (s, 1 H) 7.01 (d, J=15.92 Hz, 1 H) 7.14 (m, 1 H) 7.25 (m, 2 H) 7.42 (d, J=8.08 Hz, 1 H) 7.52 (m, 5 H) 7.64 (d, J=8.59 Hz, 2 H) 7.84 (d, J=8.59 Hz, 2 H).
단계 7C: 디클로로에탄 (4.5 mL) 중의 2-[4'-(2-벤조퓨란-2-일-비닐)-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 (80 mg) 를 TFA (1.5 mL) 에 가하고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이 3 시간 후 완료되었음을 TLC 로 확인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미정제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5-10% MeOH/CH2Cl2) 로 정제하여, 22 mg 의 2-[4'-(2-벤조퓨란-2-일-비닐)-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G9058-172 를 30.7%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79 (d, J=6.82 Hz, 3 H) 0.86 (d, J=6.82 Hz, 3 H) 1.23 (s, 2 H) 2.02 (m, 1 H) 3.18 (m, 1 H) 7.01 (s, 1 H) 7.25 (t, J=7.07 Hz, 1 H) 7.33 (m, 1 H) 7.38 (d, J=14.65 Hz, 1 H) 7.59 (d, J=8.08 Hz, 1 H) 7.64 (d, J=8.08 Hz, 1 H) 7.79 (d, J=6.57 Hz, 4 H) 7.83 (d, J=8.59 Hz, 2 H) 7.90 (m, 2 H).
실시예 3.58 을 반응식 8 에 기초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58
Figure 112006047626195-PCT00083
N-({4'-[2-4- 메틸이소퀴놀린 -3-일)에틸]-1,1'-비페닐-4-일} 술포닐 )-D-발린
단계 8A 2-(4-브로모-벤젠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 (10.65 g, 27.1 mmol, 1 당량), 4-(4,4,5,5-데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놀 (5.97 g, 27.1 mmol, 1 당량), Pd(PPh3)4 (1.57 g, 1.4 mmol, 0.05 당량) 을 N2 대기 하에 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210 mL) 에 용해하고, 실온에서 30 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H2O (70 mL) 중의 K2CO3 (7.5 g, 54.3 mmol, 2 당량) 을 반응 혼합물에 도입하고 밤새 환류 온도로 가열하였다.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TLC 로 확인하였다. 용매를 회전 증발기에 의해 제거하고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과 염수 사이에 분할하였다. 유기층을 MgSO4 로 건조하고, 용매를 제거한 후, 미정제 물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30% EtOAc / n-헥산) 로 정제하여, 7.1 g 의 2-(4'-히드록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65%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클로로포름-D) δppm 0.79 (d, J=6.82 Hz, 3 H) 0.95 (d, J=6.57 Hz, 3 H) 1.13 (s, 9 H) 1.51 (s, 1 H) 1.99 (m, 1 H) 3.59 (dd, J=10.11, 4.55 Hz, 1 H) 5.06 (d, J=9.85 Hz, 1 H) 6.86 (d, J=8.84 Hz, 2 H) 7.38 (d, J=8.84 Hz, 2 H) 7.55 (d, J=8.59 Hz, 2 H) 7.79 (d, J=8.59 Hz, 2 H).
단계 8B: 2-(4'-히드록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 (330 mg, 0.81 mmol) 를 20 mL 의 건조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용해하고 0℃ 로 냉각하였다. NaH (83 mg, 유 중 60%, 2.0 mmol, 2.5 당량) 을 N2 하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15 분간 교반하였다. 트리플릭 무수물 (251 mg, 0.89 mmol, 1.1 당량) 을 주입하고,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실온으로 가온하였다. TLC 는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었다. 반응 혼합물을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희석하고, 1N HCl 로 중화하였다. 혼합물을 물, 염수로 세정하고, MgSO4 로 건조하였다. 통상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40% EtOAc/헥산) 로써, 314 mg 의 목 적 생성물을 72%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클로로포름-D) δ ppm 0.87 (d, J=6.82 Hz, 3 H) 1.03 (d, J=6.82 Hz, 3 H) 1.21 (s, 9 H) 2.01-2.20 (m, 1 H) 3.68 (dd, J=9.85, 4.55 Hz, 1 H) 5.18 (d, J=10.11 Hz, 1 H) 7.39 (d, J=8.84 Hz, 2 H) 7.64 (dd, J=13.52, 8.72 Hz, 4 H) 7.93 (d, J=8.59 Hz, 2 H).
단계 8C: 질소 하에 반응 튜브를, 단계 8B 의 트리플레이트 (300 mg, 0.56 mmol), 리튬 클로라이드 (24 mg, 0.56 mmol, 1 당량), CuI (11 mg, 0.05 mmol, 10%), 및 PdCl2(PPh3)2 (19.6 mg, 0.028 mmol, 5%) 로 채운 다음, DMF (5 mL) 를 첨가하였다. t-부틸디메틸아세틸렌 (235 mg, 1.68 mmol, 3 당량) 및 디에틸아민 (409 mg, 5.6 mmol, 10 당량) 을 주입하였다. 125℃ 에서 상기 튜브에 마이크로파 반응기로 10 분간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TLC 에 의해 출발 물질이 소모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과 물 사이에 분할하였다. 유기상을 수합하고, 통상적인 후처리 및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270 mg 의 목적하는 아세틸렌계 생성물인 tert-부틸 N-[(4'-{[tert-부틸(디메틸)실릴]에티닐}-1,1'-비페닐-4-일)술포닐]-D-발리네이트를 92%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클로로포름-D) δ ppm 0.00 (s, 6 H) 0.66 (d, J=6.82 Hz, 3 H) 0.81 (s, 9 H) 0.82 (d, J=6.82 Hz, 3 H) 0.98 (s, 9 H) 1.75-1.98 (m, 1 H) 3.46 (dd, J=9.85, 4.55 Hz, 1 H) 4.93 (d, J=9.85 Hz, 1 H) 7.27-7.32 (m, 2 H) 7.33-7.39 (m, 2 H) 7.47 (d, J=8.84 Hz, 2 H) 7.70 (d, J=8.84 Hz, 2 H).
단계 8D: tert-부틸 N-[(4'-{[tert-부틸(디메틸)실릴]에티닐}-1,1'-비페닐-4-일)술포닐]-D-발리네이트 (600 mg, 1.14 mmol) 를 THF (8 mL) 에 용해하고, TBAF (1.7 mL, 1M, 1.7 mmol, 1.5 당량) 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30 분간 교반하고 반응이 완료되었다.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20% EtOAc/헥산) 로 정제하였다. 469 mg 의 생성물인 tert-부틸 N-[(4'-에티니-1,1'-비페닐-4-일)술포닐]-D-발리네이트를 정량적 수율로 분리하였다. 1H NMR (400 MHz, 클로로포름-D) δ ppm 0.86 (d, J=6.82 Hz, 2 H) 1.02 (d, J=6.82 Hz, 2 H) 1.20 (s, 9 H) 1.88-2.29 (m, 1 H) 3.17 (s, 1 H) 3.67 (dd, J=9.85, 4.55 Hz, 1 H) 5.14 (d, J=10.11 Hz, 1 H) 7.52 (d, J=8.59 Hz, 2 H) 7.56-7.62 (m, 2 H) 7.67 (d, J=8.84 Hz, 2 H) 7.91 (d, J=8.59 Hz, 2 H).
단계 8E tert-부틸 N-[(4'-에티니-1,1'-비페닐-4-일)술포닐]-D-발리네이트 (117 mg, 0.28 mmol), 2-클로로-3-메틸이소퀴놀린 (60 mg, 0.34 mmol, 1.2 당량), CuI (5.3 mg, 0.028 mmol, 10%), 및 PdCl2(PPh3)2 (9.8 mg, 0.014 mmol, 5%) 를 N2 하의 반응 튜브에 넣고, DMF (4 mL) 및 10 당량의 디에틸 아민을 첨가하였다. 125℃에서 10 분간 혼합물에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LCMS 에 의해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혼합물을 EtOAc 로 희석하고 물로 3 회, 염수로 1 회 세정한 다음 MgSO4 으로 건조하였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30% EtOAc/헥산) 에 의해 120 mg 의 목적 생성물인 tert-부틸 N-({4'-[(4-메틸이소퀴놀린-3-일)에티닐]-1,1'-비페닐-4-일}술포닐)-D-발리네이트를 76% 수율로 수득하였 다.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6 (dd, J=8.59, 6.82 Hz, 6 H) 1.17 (s, 9 H) 1.94 (m, 1 H) 2.67 (s, 3 H) 3.50 (dd, J=10.61, 7.33 Hz, 1 H) 7.62 (t, J=7.45 Hz, 1 H) 7.69-7.78 (m, 1 H) 7.80-7.85 (m, 4 H) 7.87 (d, J=8.59 Hz, 2 H) 7.90-7.97 (m, 2 H) 8.00 (d, J=8.59 Hz, 1 H) 8.20 (d, J=9.60 Hz, 1 H) 8.30 (s, 1 H).
단계 8F: tert-부틸 N-({4'-[(4-메틸이소퀴놀린-3-일)에티닐]-1,1'-비페닐-4-일}술포닐)-D-발리네이트 (46 mg, 0.08 mmol) 를 25 mL 메탄올에 용해하고, 촉매량의 Pd/C (8.5 mg, 탄소 상의 10 중량%, 0.008 mmol) 을 가하였다. H2 (50 PSI) 하에 Parr 셰이커 병에서 수소화를 수행하였다. 반응을 5 시간 후 종결하였고, LCMS 으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혼합물을 Celite 로 여과하고 농축하여 목적 생성물 G8594-178 을 정량적 수율 (46 mg) 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77-0.93 (m, 6 H) 1.15 (s, 9 H) 1.85-2.06 (m, 1 H) 2.51 (s, 3 H) 3.13-3.28 (m, 2 H) 3.25-3.39 (m, 2 H) 3.47 (d, J=8.84 Hz, 1 H) 7.47 (d, J=8.08 Hz, 2 H) 7.52 (t, J=7.45 Hz, 1 H) 7.59-7.71 (m, 3 H) 7.76-7.90 (m, 4 H) 7.97 (d, J=8.34 Hz, 1 H) 8.06 (s, 1 H) 8.15 (s, 1 H).
단계 8G: tert-부틸 N-({4'-[2-(4-메틸이소퀴놀린-3-일)에틸]-1,1'-비페닐-4-일}술포닐-D-발리네이트 (46 mg, 0.08 mmol) 를 5 mL 건조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용해한 후 TFA 2.5 mL 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하고, TLC 에 의해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용매를 회전 증발기로 제거하고 생 성물을 진공 오븐에서 밤새 건조하였다. 44 mg 의 생성물 N-({4'-[2-(4-메틸이소퀴놀린-3-일)에틸]-1,1'-비페닐-4-일}술포닐-D-발린이 95% 수율로 수득되었다.
1H NMR (400 MHz, MeOD) δ ppm 0.83 (d, J=6.82 Hz, 3 H) 0.88 (d, J=6.82 Hz, 3 H) 1.80-2.13 (m, 1 H) 2.57 (s, 3 H) 3.15 (t, J=7.83 Hz, 2 H) 3.45-3.55 (m, 2 H) 3.60 (d, J=5.56 Hz, 1 H) 7.25 (d, J=8.08 Hz, 2 H) 7.53 (d, J=8.08 Hz, 2 H) 7.65 (d, J=8.34 Hz, 2 H) 7.81 (d, J=8.59 Hz, 3 H) 7.98 (t, J=7.58 Hz, 1 H) 8.02-8.09 (m, 1 H) 8.13 (d, J=8.08 Hz, 1 H) 8.83 (s, 1 H).
실시예 3.59 를 반응식 9 에 기초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59
Figure 112006047626195-PCT00084
D-2-[4'-( 아세틸아미노 - 메틸 )-비페닐-4- 술포닐아미노 ]-3- 메틸 -부티르산
단계 9A: 4-아미노메틸 페닐 보론산 (143 mg, 0.77 mmol, 1 당량), D-2-(4-브로모-벤젠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 (300 mg, 0.77 mmol, 1 당량), 팔라듐 테트라키스 (44 mg, 0.038 mmol, 0.05 당량) 를 디메톡시 에탄 (10 mL) 중에서 배합하고 실온에서 10 분간 교반하였다. 4 mL 물 중의 탄산칼슘 (212 mg, 1.53 mmol, 2 당량) 을 반응 혼합물에 가하고 88℃ 로 4 시간 가열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 및 염수로 세정, 및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스트리핑(strip)하여 건조하였다. 잔류물을 메틸렌 클로라이드 중의 4-10% MeOH 및 2% Et3N 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200 mg 의 D-2-(4'-아미노메틸-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수율: 63%.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9 (dd, J=8.1, 7.1 Hz, 6 H) 1.1 (s, 9 H) 1.9 (m, 1 H) 3.5 (d, J=6.3 Hz, 2 H) 3.8 (s, 2 H) 7.5 (d, J=8.3 Hz, 2 H) 7.6 (d, J=8.3 Hz, 2 H) 7.8 (d, J=2.0 Hz, 4 H).
단계 9B: 아르곤 하에서, CH2Cl2 (5 mL) 중의 아세트산 무수물 (71 uL, 0.75 mmol, 1.05 당량) 에 피리딘 (70 uL, 0.86 mmol, 1.2 당량) 을 첨가하고 5 분간 교반한 다음, D-2-(4'-아미노메틸-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 (300 mg, 0.72 mmol, 1 당량) 를 가하고 16 시간 교반하였다. 후처리 및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D-2-[4'-(아세틸아미노-메틸)-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수율: 32%.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 (dd, J=9.1, 6.8 Hz, 6 H) 0.9 (t, J=7.3 Hz, 3 H) 1.2 (s, 9 H) 1.3 (m, 2 H) 1.5 (m, 2 H) 1.9 (m, 1 H) 2.5 (m, 2 H) 3.4 (dd, J=9.6, 6.3 Hz, 1 H) 7.0 (dd, 4 H) 7.1 (m, 2 H) 7.5 (d, J=8.8 Hz, 2 H) 7.7 (d, J=9.6 Hz, 1 H) 8.6 (s, 1 H).
단계 9C: 6 mL 디클로로에탄 중의 D-2-[4'-(아세틸아미노-메틸)-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 (300 mg, 0.65 mmol) 용액에 3 mL 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 시간 교반하고,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TLC 에 의해 확인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진공 오븐으로 건조함으로써, 250 mg 의 D-2-[4'-(아세틸아미노-메틸)-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을 수득하였다. 수율: 94%.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 (dd, J=12.5, 6.7 Hz, 6 H) 1.9 (s, 3 H) 2.0 (m, 1 H) 3.6 (dd, J=9.3, 5.8 Hz, 1 H) 4.3 (d, J=5.8 Hz, 2 H) 7.4 (d, J=8.1 Hz, 2 H) 7.7 (d, J=8.3 Hz, 2 H) 7.8 (s, 4 H) 8.1 (d, J=9.3 Hz, 1 H) 8.4 (t, J=5.8 Hz, 1 H) 12.6 (s, 1 H).
실시예 3.60 및 3.61 을 반응식 10 을 기초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3.60
Figure 112006047626195-PCT00085
D-3-메틸-2-(4'-페닐카르바모일 메틸 -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단계 10A: 15 mL DMF 중의 4-브로모페닐아세트산 (1.5 g, 7.0 mmol, 1 당량), EDC (2.67 g, 14.0 mmol, 2 당량), DMAP (846 mg, 7.0 mmol, 1 당량), 및 페닐아민 (0.765 mL, 8.4 mmol, 1.2 당량) 혼합물을 질소 하에 실온에서 3.5 시간 교반하였다. 수성 후처리 및 재결정화에 의해, 2-(4-브로모페닐)-N-페닐-아세트아미드를 69% 수율 (1.4 g) 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3.6 (s, 2 H) 7.0 (m, 1 H) 7.3 (m, 4 H) 7.5 (m, 2 H) 7.6 (dd, J=8.7, 1.1 Hz, 2 H) 10.2 (s, 1 H).
단계 10B: 5 mL 톨루엔 중의 2-(4-브로모페닐)-N-페닐-아세트아미드 (107 mg, 0.37 mmol, 1.1 당량), D-3-메틸-2-(4-트리부틸스타나닐-벤젠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 (202 mg, 0.34 mmol, 1 당량), 및 Pd(PPh3)4 (38.5 mg, 0.033 mmol, 0.1 당량) 혼합물을 질소 하에 환류 온도로 가열하였다. 반응이 5 시간 후 완료되었다. 통상적 후처리 및 칼럼 정제에 의해, D-3-메틸-2-(4'-페닐카르바모일메틸-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34% 수율 (60 mg) 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9 (dd, J=8.3, 6.8 Hz, 6 H) 1.1 (s, 9 H) 1.9 (m, 1 H) 3.5 (dd, J=9.6, 6.3 Hz, 1 H) 3.7 (s, 2 H) 7.0 (t, J=7.3 Hz, 1 H) 7.3 (m, 2 H) 7.5 (d, J=8.3 Hz, 2 H) 7.6 (dd, J=8.6, 1.0 Hz, 2 H) 7.7 (d, J=8.3 Hz, 2 H) 7.8 (d, J=2.5 Hz, 4 H) 8.1 (d, J=9.6 Hz, 1 H) 10.2 (s, 1 H).
단계 10C: 디클로로에탄 (1:1) 중의 TFA 를 이용하여, t-부틸 에스테르를 D-3-메틸-2-(4'-페닐카르바모일메틸-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에서 제거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D-3-메틸-2-(4'-페닐카르바모일메틸-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을 정량적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OD) δ ppm 0.8 (dd, J=27.0, 6.8 Hz, 6 H) 2.0 (m, 1 H) 3.6 (d, J=5.6 Hz, 1 H) 3.6 (s, 2 H) 7.0 (m, 1 H) 7.2 (m, 2 H) 7.4 (d, J=8.3 Hz, 2 H) 7.5 (dd, J=8.7, 1.1 Hz, 2 H) 7.6 (d, J=8.3 Hz, 2 H) 7.7 (dd, J=48.0, 8.6 Hz, 4 H).
실시예 3.61
Figure 112006047626195-PCT00086
D-2-[4'-( 벤질카르바모일 - 메틸 )-비페닐-4- 술포닐아미노 ]-3- 메틸 -부티르산
단계 10A: 실시예 3.60 의 단계 10A 방법에 따라 4-브로모페닐아세트산을 벤질아민으로 아미드 커플링하여 N-벤질-2-(4-브로모-페닐)-아세트아미드를 82%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3.5 (s, 2 H) 4.3 (d, J=5.8 Hz, 2 H) 7.2 (dd, J=7.8, 5.6 Hz, 5 H) 7.3 (m, 2 H) 7.5 (d, J=8.3 Hz, 2 H) 8.6 (t, J=5.9 Hz, 1 H).
단계 10B: 실시예 3.60 의 단계 10B 방법에 따라, N-벤질-2-(4-브로모-페닐)-아세트아미드와 D-3-메틸-2-(4-트리부틸스타나닐-벤젠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의 Stille 커플링을 수행하여, D-2-[4'-(벤질카르바모일-메틸)-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31%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클로로포름-D) δ ppm 0.9 (d, J=6.8 Hz, 3 H) 1.0 (d, J=6.6 Hz, 3 H) 1.2 (s, 9 H) 2.1 (m, 1 H) 3.7 (m, 3 H) 4.5 (d, J=5.8 Hz, 2 H) 5.1 (d, J=9.9 Hz, 1 H) 5.7 (s, 1 H) 7.3 (m, 5 H) 7.4 (d, J=8.1 Hz, 2 H) 7.5 (d, J=8.3 Hz, 2 H) 7.7 (d, J=8.3 Hz, 2 H) 7.9 (d, J=8.3 Hz, 2 H).
단계 10C: 실시예 3.60 의 단계 10C 방법에 따라 t-부틸 에스테르의 제거를 정량적 수율로 실시하였다. 1H NMR (400 MHz, MeOD) δ ppm 0.8 (dd, J=26.3, 6.8 Hz, 6 H) 2.0 (m, 1 H) 3.5 (s, 2 H) 3.6 (d, J=5.6 Hz, 1 H) 4.3 (d, J=5.6 Hz, 2 H) 7.2 (m, 5 H) 7.3 (d, J=8.3 Hz, 2 H) 7.5 (d, J=8.3 Hz, 2 H) 7.7 (d, J=8.8 Hz, 2 H) 7.8 (d, J=8.8 Hz, 2 H) 8.5 (s, 1 H).
실시예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을 반응식 11 에 기초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62
Figure 112006047626195-PCT00087
2-[4'-(4- 플루오로 - 페닐카르바모일옥시 )-비페닐-4- 술포닐아미노 ]-3- 메틸 -부티르산
단계 11A: 2-(4'-히드록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 (300 mg, 0.74 mmol, 1 당량) 를 디에틸 에테르 (7.5 mL) 에 용해한 다음, 4-플루오로페닐이소시아네이트 (101mg, 0.74 mmol, 1 당량) 및 Et3N (1 mL) 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50 분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로부터 고체가 침전되었다. 고체를 여과 수집하고 에테르로 세정하여 2-[4'-(4-플루오로-페닐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 부틸 에스테르를 57% 수율 (228 mg) 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클로로포름-D) δ ppm 0.87 (d, J=6.82 Hz, 3 H) 1.03 (d, J=6.82 Hz, 3 H) 1.20 (s, 9 H) 2.05 (m, 1 H) 3.67 (dd, J=9.98, 4.42 Hz, 1 H) 5.13 (d, J=9.85 Hz, 1 H) 6.95 (s, 1 H) 7.05 (d, J=9.09 Hz, 2 H) 7.30 (d, J=8.59 Hz, 2 H) 7.43 (m, 2 H) 7.57 (d, J=8.59 Hz, 2 H) 7.67 (s, 2 H) 7.90 (d, J=8.34 Hz, 2 H).
단계 11B: 2-[4'-(4-플루오로-페닐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 (223 mg) 를 디클로로에탄 (7.5 mL) 에 용해하고 TFA (2.5mL) 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5 시간 교반하고, TLC 에 의해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및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2-[4'-(4-플루오로-페닐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을 89% 수율 (178 mg) 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1 (d, J=6.57 Hz, 3 H) 0.84 (d, J=6.82 Hz, 3 H) 1.96 (m, 1 H) 3.56 (dd, J=9.35, 6.06 Hz, 1 H) 7.19 (t, J=8.84 Hz, 2 H) 7.37 (d, J=8.59 Hz, 2 H) 7.54 (dd, J=9.09, 4.80 Hz, 2 H) 7.79 (d, J=8.84 Hz, 2 H) 7.86 (d, J=4.29 Hz, 4 H) 8.08 (d, J=9.35 Hz, 1 H) 10.34 (s, 1 H).
실시예 3.63
Figure 112006047626195-PCT00088
D-3- 메틸 -2-[4'-(4- 페녹시 - 페닐카르바모일옥시 )-비페닐-4- 술포닐아미노 ]-부티르산
표제 화합물, D-3-메틸-2-[4'-(4-페녹시-페닐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을 실시예 3.62 와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1A: 실시예 3.62 의 단계 11A 에 따라, 4-페녹시페닐 이소시아네이트를 D-2-(4'-히드록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tert-부틸 에스테르와 반응시켜서 D-3-메틸-2-[4'-(4-페녹시-페닐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수율: 36%.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9 (dd, J=8.2, 6.9 Hz, 6 H) 1.2 (s, 9 H) 1.9 (m, 1 H) 3.5 (dd, J=9.6, 6.3 Hz, 1 H) 7.0 (dd, J=8.6, 1.0 Hz, 2 H) 7.0 (d, J=9.1 Hz, 2 H) 7.1 (m, 1 H) 7.4 (m, 4 H) 7.5 (d, J=8.8 Hz, 2 H) 7.7 (d, J=8.8 Hz, 2 H) 7.9 (m, 4 H) 8.2 (d, J=9.6 Hz, 1 H) 10.3 (s, 1 H).
단계 11B: 실시예 3.62 의 단계 11B 방법에 따라, D-3-메틸-2-[4'-(4-페녹시-페닐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D-3-메틸-2-[4'-(4-페녹시-페닐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으 로 전환하였다. 수율: 87%.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 (dd, J=12.1, 6.8 Hz, 6 H) 1.9 (m, 1 H) 3.6 (dd, J=9.3, 6.1 Hz, 1 H) 7.0 (m, 2 H) 7.0 (d, J=9.1 Hz, 2 H) 7.1 (t, J=7.3 Hz, 1 H) 7.4 (m, 4 H) 7.5 (d, J=8.8 Hz, 2 H) 7.8 (d, J=8.8 Hz, 2 H) 7.9 (d, J=4.8 Hz, 4 H) 8.1 (d, J=9.3 Hz, 1 H) 10.3 (s, 1 H).
실시예 3.64
Figure 112006047626195-PCT00089
D-3- 메틸 -2-[4'-(나프탈렌-2- 일카르바모일옥시 )-비페닐-4- 술포닐아미노 ]-부티르산
표제 화합물, D-3-메틸-2-[4'-(나프탈렌-2-일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을 실시예 3.62 와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1A: 실시예 3.62 의 단계 11A 방법에 따라, 2-나프틸 이소시아네이트와 D-2-(4'-히드록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tert-부틸 에스테르의 반응으로, D-3-메틸-2-[4'-(나프탈렌-2-일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수율: 16%.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9 (dd, J=8.2, 6.9 Hz, 6 H) 1.2 (s, 9 H) 1.9 (m, 1 H) 3.5 (dd, J=9.9, 6.3 Hz, 1 H) 7.4 (m, 3 H) 7.5 (m, 1 H) 7.6 (dd, J=8.8, 2.3 Hz, 1 H) 7.8 (d, J=8.8 Hz, 2 H) 7.9 (m, 7 H) 8.1 (s, 1 H) 8.2 (d, J=9.9 Hz, 1 H) 10.5 (s, 1 H).
단계 11B: 실시예 3.62 의 단계 11B 방법에 따라, D-3-메틸-2-[4'-(나프탈렌-2-일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D-3-메틸-2-[4'-(나프탈렌-2-일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으로 전환하였다. 수율: 40%.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 (dd, J=12.5, 6.7 Hz, 6 H) 2.0 (m, 1 H) 3.6 (dd, J=9.1, 5.8 Hz, 1 H) 7.4 (m, 3 H) 7.5 (m, 1 H) 7.6 (dd, J=8.8, 2.3 Hz, 1 H) 7.9 (m, 9 H) 8.1 (m, 2 H) 10.5 (s, 1 H) 12.6 (s, 1 H).
실시예 3.65
Figure 112006047626195-PCT00090
D-2-[4'-(4- 벤질옥시 - 페닐카르바모일옥시 )-비페닐-4- 술포닐아미노 ]-3- 메틸 -부티르산
표제 화합물, D-2-[4'-(4-벤질옥시-페닐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을 실시예 3.62 와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1A: 실시예 3.62 의 단계 11A 에 따라, 4-벤질옥시페닐 이소시아네이트를 D-2-(4'-히드록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tert-부틸 에스테르와 반응시켜서, D-2-[4'-(4-벤질옥시-페닐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 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수율: 37%. NMR: G8701-142.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9 (dd, J=8.1, 6.8 Hz, 6 H) 1.2 (s, 9 H) 1.9 (m, 1 H) 3.5 (dd, J=9.9, 6.3 Hz, 1 H) 5.1 (s, 2 H) 7.0 (d, J=9.1 Hz, 2 H) 7.4 (m, 9 H) 7.7 (d, J=8.8 Hz, 2 H) 7.9 (m, 4 H) 8.2 (d, J=9.6 Hz, 1 H) 10.1 (s, 1 H).
단계 11B: 실시예 3.62 의 단계 11B 방법에 따라, D-2-[4'-(4-벤질옥시-페닐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D-2-[4'-(4-벤질옥시-페닐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으로 전환하였다. 수율: 60%. NMR: G8701-151.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 (dd, J=12.1, 6.8 Hz, 6 H) 1.9 (m, 1 H) 3.6 (dd, J=9.3, 6.1 Hz, 1 H) 5.1 (s, 2 H) 7.0 (d, J=9.1 Hz, 2 H) 7.4 (m, 9 H) 7.8 (d, J=8.8 Hz, 2 H) 7.9 (m, 4 H) 8.1 (d, J=9.3 Hz, 1 H) 10.1 (s, 1 H).
실시예 3.66
Figure 112006047626195-PCT00091
D-2-(4'-시클로펜틸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표제 화합물, D-2-(4'-시클로펜틸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을 실시예 3.62 와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1A: 실시예 3.62 의 단계 11A 방법에 따라, 시클로펜틸 이소시아네이 트를 D-2-(4'-히드록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tert-부틸 에스테르와 반응시켜서, D-2-(4'-시클로펜틸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수율: 70%.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9 (dd, J=8.1, 7.1 Hz, 6 H) 1.2 (s, 9 H) 1.5 (m, 4 H) 1.7 (m, 2 H) 1.8 (m, 2 H) 1.9 (m, 1 H) 3.5 (dd, J=9.6, 6.3 Hz, 1 H) 3.9 (m, 1 H) 7.2 (d, J=8.6 Hz, 2 H) 7.7 (d, J=8.6 Hz, 2 H) 7.8 (m, 5 H) 8.2 (d, J=9.6 Hz, 1 H).
단계 11B: 실시예 3.62 의 단계 11B 방법에 따라, D-2-(4'-시클로펜틸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D-2-(4'-시클로펜틸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으로 전환하였다. 수율: 91%.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 (m, 6 H) 1.5 (m, 4 H) 1.7 (d, J=4.5 Hz, 2 H) 1.8 (m, 2 H) 1.9 (m, 1 H) 3.6 (dd, J=9.3, 6.1 Hz, 1 H) 3.9 (m, 1 H) 7.2 (d, J=8.6 Hz, 2 H) 7.7 (d, J=8.8 Hz, 2 H) 7.8 (s, 5 H) 8.1 (d, J=9.3 Hz, 1 H) 12.6 (s, 1 H).
실시예 3.67
Figure 112006047626195-PCT00092
D-2-[4'-(4- 디메틸아미노 -페닐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표제 화합물, D-2-[4'-(4-디메틸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을 실시예 3.62 와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1A: 실시예 3.62 의 단계 11A 방법에 따라, 4-(디메틸아미노)페닐 이소시아네이트를 D-2-(4'-히드록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tert-부틸 에스테르와 커플링하여, D-2-[4'-(4-디메틸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을 수득하였다. 수율: 28%.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9 (dd, J=8.1, 6.8 Hz, 6 H) 1.2 (s, 9 H) 1.9 (m, 1 H) 2.8 (s, 6 H) 3.5 (dd, J=9.6, 6.3 Hz, 1 H) 6.7 (d, J=9.1 Hz, 2 H) 7.3 (d, J=8.6 Hz, 4 H) 7.7 (d, J=8.6 Hz, 2 H) 7.8 (m, 4 H) 8.2 (d, J=9.9 Hz, 1 H) 9.9 (s, 1 H).
단계 11B: 실시예 3.62 의 단계 11B 방법에 따라, D-2-[4'-(4-디메틸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D-2-[4'-(4-디메틸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으로 전환하였다. 수율: 99%. NMR: G8701-161. 1H NMR (400 MHz, MeOD) δ ppm 0.8 (dd, J=23.7, 6.8 Hz, 6 H) 2.0 (m, 1 H) 3.1 (s, 6 H) 3.6 (d, J=5.6 Hz, 1 H) 7.2 (d, J=8.8 Hz, 2 H) 7.4 (d, J=9.1 Hz, 3 H) 7.6 (m, 6 H) 7.8 (d, J=8.8 Hz, 2 H).
실시예 3.68
Figure 112006047626195-PCT00093
D-2-[4'-(4-이소프로필-페닐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표제 화합물, D-2-[4'-(4-이소프로필-페닐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을 실시예 3.62 와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1A: 실시예 3.62 의 단계 11A 방법에 따라, 4-이소프로필페닐 이소시아네이트를 D-2-(4'-히드록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tert-부틸 에스테르와 반응시켜서, D-2-[4'-(4-이소프로필-페닐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수율: 38%. NMR: G8701-158.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9 (dd, J=8.3, 6.8 Hz, 6 H) 1.2 (m, 15 H) 1.9 (m, 1 H) 2.8 (m, 1 H) 3.5 (dd, J=9.9, 6.3 Hz, 1 H) 7.2 (d, J=8.6 Hz, 2 H) 7.4 (d, J=8.6 Hz, 2 H) 7.4 (d, J=8.6 Hz, 2 H) 7.7 (d, J=8.6 Hz, 2 H) 7.9 (m, 4 H) 8.2 (d, J=9.9 Hz, 1 H) 10.2 (s, 1 H).
단계 11B: 실시예 3.62 의 단계 11B 방법에 따라, D-2-[4'-(4-이소프로필-페닐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D-2-[4'-(4-이소프로필-페닐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으로 전환하였다. 수율: 34%. NMR: G8701-165.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 (dd, J=12.4, 6.8 Hz, 6 H) 1.2 (d, J=6.8 Hz, 6 H) 2.0 (m, 1 H) 2.8 (m, 1 H) 3.6 (dd, J=9.3, 6.1 Hz, 1 H) 7.2 (d, J=8.6 Hz, 2 H) 7.4 (d, J=8.8 Hz, 2 H) 7.4 (d, J=8.6 Hz, 2 H) 7.8 (d, J=8.8 Hz, 2 H) 7.9 (m, 4 H) 8.1 (d, J=9.3 Hz, 1 H) 10.2 (s, 1 H) 12.6 (s, 1 H).
실시예 3.69
Figure 112006047626195-PCT00094
D-3- 메틸 -2-[4'-(2-티오펜-2-일- 에틸카르바모일옥시 )-비페닐-4- 술포닐아미노 ]-부티르산
표제 화합물, D-3-메틸-2-[4'-(2-티오펜-2-일-에틸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을 실시예 3.62 와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1A: 실시예 3.62 의 단계 11A 방법에 따라, 2-(2-티에닐)에틸 이소시아네이트를 D-2-(4'-히드록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tert-부틸 에스테르와 반응시켜서, D-3-메틸-2-[4'-(2-티오펜-2-일-에틸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수율: 63%. NMR: G8701-169.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9 (dd, J=8.3, 7.1 Hz, 6 H) 1.2 (s, 9 H) 1.9 (m, 1 H) 3.0 (t, J=7.1 Hz, 2 H) 3.3 (m, 2 H) 3.5 (dd, J=9.6, 6.3 Hz, 1 H) 7.0 (m, 2 H) 7.2 (d, J=8.8 Hz, 2 H) 7.4 (dd, J=5.1, 1.3 Hz, 1 H) 7.7 (d, J=8.6 Hz, 2 H) 7.8 (d, J=2.3 Hz, 4 H) 8.0 (t, J=5.7 Hz, 1 H) 8.2 (d, J=9.9 Hz, 1 H).
단계 11B: 실시예 3.62 의 단계 11B 방법에 따라, D-3-메틸-2-[4'-(2-티오펜-2-일-에틸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D-3-메틸-2-[4'-(2-티오펜-2-일-에틸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으로 전환하였다. 수율: 43%. NMR: G8701-175.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 (dd, J=12.4, 6.8 Hz, 6 H) 2.0 (m, 1 H) 3.0 (t, J=7.1 Hz, 2 H) 3.3 (m, 2 H) 3.6 (dd, J=9.2, 5.9 Hz, 1 H) 6.9 (d, J=3.3 Hz, 1 H) 7.0 (dd, J=5.1, 3.3 Hz, 1 H) 7.2 (d, J=8.8 Hz, 2 H) 7.4 (dd, J=5.1, 1.3 Hz, 1 H) 7.7 (d, J=8.6 Hz, 2 H) 7.8 (s, 4 H) 8.0 (t, J=5.8 Hz, 1 H) 8.1 (d, J=9.3 Hz, 1 H).
실시예 3.70
Figure 112006047626195-PCT00095
D-3- 메틸 -2-[4'-(4- 트리플루오로메톡시 - 페닐카르바모일옥시 )-비페닐-4- 술포닐아미노 ]-부티르산
표제 화합물, D-3-메틸-2-[4'-(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을 실시예 3.62 와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1A: 실시예 3.62 의 단계 11A 방법에 따라, 4-메톡시페닐 이소시아네이트를 D-2-(4'-히드록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tert-부틸 에스테르와 반응시켜서 D-2-[4'-(4-메톡시-페닐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수율: 49%. NMR: G8701-199.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9 (dd, J=8.3, 6.8 Hz, 6 H) 1.2 (s, 9 H) 1.9 (m, 1 H) 3.5 (dd, J=9.9, 6.3 Hz, 1 H) 3.7 (s, 3 H) 6.9 (d, J=9.1 Hz, 2 H) 7.4 (d, J=8.8 Hz, 2 H) 7.4 (d, J=8.8 Hz, 2 H) 7.7 (d, J=8.6 Hz, 2 H) 7.9 (m, 4 H) 8.2 (d, J=9.9 Hz, 1 H) 10.1 (s, 1 H).
단계 11B: 실시예 3.62 의 단계 11B 방법에 따라, D-2-[4'-(4-메톡시-페닐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D-3-메틸-2-[4'-(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이 되게 반응시켰다. 수율: 91%. NMR: G9241-4.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 (dd, J=12.6, 6.8 Hz, 6 H) 1.9 (m, 1 H) 3.6 (dd, J=9.3, 5.8 Hz, 1 H) 3.7 (s, 3 H) 6.9 (d, J=9.1 Hz, 2 H) 7.4 (d, J=8.8 Hz, 2 H) 7.4 (d, J=8.8 Hz, 2 H) 7.8 (d, J=8.6 Hz, 2 H) 7.9 (m, 4 H) 8.1 (d, J=9.3 Hz, 1 H) 10.1 (s, 1 H) 12.6 (s, 1 H).
실시예 3.71
Figure 112006047626195-PCT00096
D-3- 메틸 -2-[4'-(4- 트리플루오로메톡시 - 페닐카르바모일옥시 )-비페닐-4- 술포닐아미노 ]-부티르산
표제 화합물, D-3-메틸-2-[4'-(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을 실시예 3.62 와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1A: 디에틸 에테르 (10 mL) 중의 D-2-(4'-히드록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tert-부틸 에스테르 (300 mg, 0.74 mmol, 1 당량) 용액에, 아르곤 하에 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 이소시아네이트 (123 uL, 0.81 mmol, 1.1 당량) 및 트리에틸아민 (124 uL, 0.89 mmol, 1.2 당량) 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통상의 후처리 및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D-3-메틸-2-[4'-(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37% 수율로 수득하였다. NMR: G8701-200.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9 (dd, J=8.1, 6.8 Hz, 6 H) 1.2 (s, 9 H) 1.9 (m, 1 H) 3.5 (dd, J=9.9, 6.3 Hz, 1 NMR: G8701-200.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9 (dd, J=8.1, 6.8 Hz, 6 H) 1.2 (s, 9 H) 1.9 (m, 1 H) 3.5 (dd, J=9.9, 6.3 Hz, 1 H) 7.4 (m, 4 H) 7.6 (d, J=9.3 Hz, 2 H) 7.8 (d, J=8.8 Hz, 2 H) 7.9 (m, 4 H) 8.2 (d, J=9.6 Hz, 1 H) 10.5 (s, 1 H).
단계 11B: 실시예 3.62 의 단계 11B 방법에 따라, D-3-메틸-2-[4'-(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D-3-메틸-2-[4'-(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으로 전환하였다. 수율: 76%. NMR: G9241-5.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 (dd, J=12.4, 6.8 Hz, 6 H) 2.0 (m, 1 H) 3.6 (dd, J=9.3, 5.8 Hz, 1 H) 7.4 (m, 4 H) 7.6 (d, J=9.1 Hz, 2 H) 7.8 (d, J=8.6 Hz, 2 H) 7.9 (m, 4 H) 8.1 (d, J=9.3 Hz, 1 H) 10.5 (s, 1 H).
실시예 3.72
Figure 112006047626195-PCT00097
D-2-(4'- 카르바모일옥시 -비페닐-4- 술포닐아미노 )-3- 메틸 -부티르산
표제 화합물, D-2-(4'-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을 실시예 3.62 와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1A: CH2Cl2 (2 mL) 중의 D-2-(4'-히드록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tert-부틸 에스테르 (500 mg, 1.23 mmol, 1 당량) 용액에, 아르곤 하에 클로로술포닐 이소시아네이트 (107 uL, 1.23 mmol, 1 당량) 를 가하고, 실온에서 16 시간 교반하였다. TLC 에 의해 반응의 완료를 확인하였다. 후처리 및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D-2-(4'-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수율: 45%. NMR: G9241-38.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9 (dd, J=8.3, 6.8 Hz, 6 H) 1.1 (s, 9 H) 1.9 (m, 1 H) 3.5 (dd, J=9.9, 6.3 Hz, 1 H) 7.2 (d, J=8.8 Hz, 2 H) 7.7 (d, J=8.8 Hz, 2 H) 7.8 (d, J=1.0 Hz, 4 H) 8.2 (d, J=9.6 Hz, 1 H).
단계 11B: 실시예 3.62 의 단계 11B 방법에 따라, D-2-(4'-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D-2-(4'-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으로 전환하였다. 수율: 85%. NMR: G9241-46.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 (dd, J=12.4, 6.8 Hz, 6 H) 2.0 (m, 1 H) 3.6 (dd, J=9.3, 5.8 Hz, 1 H) 7.0 (s, 1 H) 7.2 (m, 3 H) 7.7 (d, J=8.8 Hz, 2 H) 7.8 (s, 4 H) 8.1 (d, J=9.3 Hz, 1 H).
실시예 3.73
Figure 112006047626195-PCT00098
3- 메틸 -2-(4'- 페닐카르바모일옥시 -비페닐-4- 술포닐아미노 )-부티르산 tert -부틸 에스테르
표제 화합물, 3-메틸-2-(4'-페닐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실시예 3.62 와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1A: 2-(4'-히드록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 (300 mg, 0.74 mmol, 1 당량) 를 디에틸 에테르 (7.5 mL) 에 용해하고, 페닐이소시아네이트 (0.08 mL, 0.74 mmol, 1 당량) 에 이어 Et3N (1 mL) 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로부터 침전된 고체를 여과 수집하고, 에테르로 세정하여 76% 수율 (295 mg) 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클로로포름-D) δ ppm 0.87 (d, J=7.07 Hz, 3 H) 1.03 (d, J=6.82 Hz, 3 H) 1.20 (s, 9 H) 2.07 (m, 1 H) 3.67 (dd, J=9.98, 4.42 Hz, 1 H) 5.13 (d, J=9.85 Hz, 1 H) 6.96 (s, 1 H) 7.14 (m, 1 H) 7.31 (d, J=8.59 Hz, 2 H) 7.36 (m, 2 H) 7.47 (d, J=8.34 Hz, 2 H) 7.58 (d, J=8.59 Hz, 2 H) 7.66 (d, J=8.34 Hz, 2 H) 7.91 (m, 2 H).
단계 11B: 3-메틸-2-(4'-페닐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 (200mg) 를, 실시예 3.62 의 단계 11B 방법에 따라 가수분해하여, 3-메틸-2-(4'-페닐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을 88% 수율 (158mg) 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2 (d, J=6.82 Hz, 3 H) 0.85 (d, J=6.57 Hz, 3 H) 1.95 (m, 1 H) 3.56 (dd, J=9.22, 5.94 Hz, 1 H) 3.90 (s, 1 H) 7.07 (m, 1 H) 7.35 (m, 4 H) 7.53 (d, J=7.83 Hz, 2 H) 7.80 (d, J=8.59 Hz, 2 H) 7.86 (d, J=22.23 Hz, 4 H) 8.08 (d, J=9.35 Hz, 1 H) 10.29 (s, 1 H).
실시예 3.74
Figure 112006047626195-PCT00099
2-[4'-(벤조[b]티오펜-3- 일카르바모일옥시 )-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 -부틸 에스테르
표제 화합물, 2-[4'-(벤조[b]티오펜-3-일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실시예 3.62 와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1A: 2-(4'-히드록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 (300 mg, 0.74 mmol, 1.0 당량) 를 디에틸 에테르 (7.5 mL) 에 용해하고, 1-벤조티오펜-3-일 이소시아네이트 (129.6 mg, 0.74 mmol, 1.0 당량) 및 0.5 mL 의 Et3N 을 첨가하였다. 5 분만에 반응 혼합물로부터 고체가 침전하였다. 혼합물을 계속해서 실온에서 2 시간 교반하고, 침전물을 여과 수집하고, 에테르로 세정하여 43% 수율 (187mg) 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클로로포름-D) δ ppm 0.87 (d, J=6.82 Hz, 3 H) 1.03 (d, J=6.82 Hz, 3 H) 1.20 (s, 9 H) 2.08 (m, 1 H) 3.68 (m, 1 H) 5.15 (d, J=10.11 Hz, 1 H) 7.35 (d, J=8.34 Hz, 2 H) 7.43 (m, 2 H) 7.60 (d, J=8.59 Hz, 2 H) 7.67 (d, J=8.34 Hz, 3 H) 7.74 (s, 1 H) 7.90 (t, J=9.09 Hz, 3 H).
단계 11B: 2-[4'-(벤조[b]티오펜-3-일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 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 (180 mg, 0.31 mmol) 를 N2 대기 하에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용해하고, 0℃ 에서 TFA (2mL) 를 첨가한 다음 4 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생성물을 고 진공 하에 건조하여, 2-[4'-(벤조[b]티오펜-3-일카르바모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을 66% 수율 (108mg) 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OD) δppm 0.82 (d, J=6.82 Hz, 3 H) 0.89 (d, J=6.82 Hz, 3 H) 1.20 (s, 1 H) 3.54 (d, J=5.05 Hz, 1 H) 7.30 (m, 2 H) 7.35 (m, 2 H) 7.58 (s, 1 H) 7.66 (d, J=8.59 Hz, 2 H) 7.71 (d, J=8.59 Hz, 2 H) 7.78 (d, J=7.83 Hz, 1 H) 7.84 (d, J=8.59 Hz, 2 H) 7.92 (d, J=8.08 Hz, 1 H)
실시예 3.75
Figure 112006047626195-PCT00100
N-[(4'-{[2,3- 디히드로 -1- 벤조퓨란 -5- 일아미노 )카르보닐] 옥시 }-1,1'-비페닐-4일)술포닐]-D-발린
표제 화합물, N-[(4'-{[2,3-디히드로-1-벤조퓨란-5-일아미노)카르보닐]옥시}-1,1'-비페닐-4-일)술포닐]-D-발린을 실시예 3.62 와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1A 및 11B: 수율 40%.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0 (d, J=6.82 Hz, 3 H) 0.85 (d, J=6.82 Hz, 3 H) 1.98 (m, 1 H) 3.17 (t, J=8.97 Hz, 2 H) 3.39 (s, 1 H) 4.50 (t, J=8.59 Hz, 2 H) 6.72 (d, J=8.34 Hz, 1 H) 7.19 (d, J=8.84 Hz, 1 H) 7.34 (d, J=8.59 Hz, 2 H) 7.40 (s, 1 H) 7.78 (d, J=8.59 Hz, 2 H) 7.85 (d, J=1.77 Hz, 4 H) 10.05 (s, 1 H).
실시예 3.76
Figure 112006047626195-PCT00101
N-[(4'-{[(2,3-디히드로-1,4-벤조 디옥신 -6- 일아미노 )카르보닐]옥시}-1,1'-비페닐-4- )술포닐]-D-발린
표제 화합물, N-[(4'-{[(2,3-디히드로-1,4-벤조디옥신-6-일아미노)카르보닐]옥시}-1,1'-비페닐-4-일)술포닐]-D-발린을 실시예 3.62 와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1A: 수율 62%.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0 (d, J=6.82 Hz, 3 H) 0.85 (d, J=6.82 Hz, 3 H) 1.98 (m, 1 H) 3.42 (s, 1 H) 4.21 (m, 4 H) 6.81 (d, J=8.84 Hz, 1 H) 6.94 (d, J=10.86 Hz, 1 H) 7.09 (s, 1 H) 7.34 (d, J=8.84 Hz, 2 H) 7.78 (d, J=8.84 Hz, 3 H) 7.85 (d, J=1.77 Hz, 4 H) 10.11 (s, 1H).
실시예 3.77
Figure 112006047626195-PCT00102
N-[(4'-{[(3,4-디히드로-2H-1,5-벤조 디옥세핀 -7- 일아미노 )카르보닐]옥시}-1,1'-비페닐-4- )술포닐]-D-발린
표제 화합물, N-[(4'-{[(3,4-디히드로-2H-1,5-벤조디옥세핀-7-일아미노)카르보닐]옥시}-1,1'-비페닐-4-일)술포닐]-D-발린을 실시예 3.62 와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1A 및 11B: 수율 55%.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0 (d, J=6.82 Hz, 3 H) 0.85 (d, J=6.82 Hz, 3 H) 1.97 (m, 1 H) 2.08 (m, 2 H) 3.45 (s, 1 H) 4.08 (m, 4 H) 6.94 (d, J=8.59 Hz, 1 H) 7.06 (d, J=2.53 Hz, 1 H) 7.18 (d, J=2.27 Hz, 1 H) 7.35 (d, J=8.59 Hz, 2 H) 7.79 (d, J=8.59 Hz, 2 H) 7.85 (d, J=3.79 Hz, 4 H) 7.88 (s, 1 H) 10.21 (s, 1 H).
실시예 3.78
Figure 112006047626195-PCT00103
N-[(4'-{[(5-메틸-3-페닐이소옥사졸-4- )아미노)카르보닐]옥시}-1,1'-비페 닐-4- )술포닐]-D-발린
표제 화합물, N-[(4'-{[(5-메틸-3-페닐이소옥사졸-4-일)아미노)카르보닐]옥시}-1,1'-비페닐-4-일)술포닐]-D-발린을 실시예 3.62 와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1B: 수율 75%. 1H NMR (400 MHz, 아세토니트릴-D3) δ ppm 0.63 (d, J=6.82 Hz, 3 H) 0.74 (d, J=6.57 Hz, 3 H) 1.83-1.88 (m, 1 H) 2.20 (s, 1H) 2.34 (m, 3 H) 3.81 (s, 1 H) 6.56 (s, 1 H) 6.66 (s, 1 H) 7.12 (d, J=7.83 Hz, 1 H) 7.45 (d, J=4.80 Hz, 4 H) 7.59 (m, 4 H) 7.68 (d, J=3.54 Hz, 2 H) 7.80 (d, J=8.08 Hz, 2 H).
실시예 3.79
Figure 112006047626195-PCT00104
N-[(4'-{[(메 틸아미노 )카르보닐]옥시}-1,1'-비페닐-4- )술포닐]-D-발린
표제 화합물, N-[(4'-{[(메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1,1'-비페닐-4-일)술포닐]-D-발린을 실시예 3.62 와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1B: 수율 90%. 1H NMR (400 MHz, MeOD) δ ppm 0.80 (d, J=8.34 Hz, 3 H) 0.87 (d, J=6.82 Hz, 3 H) 1.91-2.02 (m, 1 H) 2.71 (s, 3 H) 3.52 (d, J=5.05 Hz, 1 H) 7.11 (d, J=8.84 Hz, 2 H) 7.58 (d, J=8.84 Hz, 2 H) 7.66 (d, J=8.59 Hz, 2 H) 7.81 (d, J=8.59 Hz, 2 H).
실시예 3.80
Figure 112006047626195-PCT00105
N-[(4'-{[(1-벤조 퓨란 -2- 일아미노 )카르보닐]옥시}-1,1'-비페닐-4- )술포닐]-D-발린
단계 12A: 메틸렌 클로라이드 (10 mL) 및 디에틸 에테르 (20 mL) 에 용해된 2-(4'-히드록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314 mg, 0.9 mmol) 을 벤조퓨란 이소시아네이트 (143 mg, 0.9 mmol, 1 당량) 및 트리에틸 아민 (363 mg, 3.6 mmol, 4 당량) 과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로부터 침전된 고체를 여과 수집한 다음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5% MeOH/CH2Cl2) 를 실시하였다. 76 mg 의 흰색 고체를 1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74-1.00 (m, 6 H) 1.90-2.07 (m, 1 H) 3.22-3.48 (m, 1 H) 6.86 (d, J=8.59 Hz, 2 H) 7.10-7.28 (m, 2 H) 7.33-7.62 (m, 4 H) 7.69-7.83 (m, 4 H) 7.86 (s, 1 H).
실시예 81 및 82 를 반응식 13 에 기초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81
Figure 112006047626195-PCT00106
D-3- 메틸 - 벤조퓨란 -2- 카르복실산 4'-(1- 카르복시 -2- 메틸 - 프로필술파모일 )-비페닐-4-일 에스테르
단계 13A: 질소 대기 하에, 5 mL 디클로로메탄에 용해된 D-2-(4'-히드록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 (305 mg, 0.75 mmol, 1 당량), 3-메틸-벤조퓨란-2-카르복실산 (131 mg, 0.74 mmol, 1 당량),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DMAP, 95 mg, 0.77 mol, 1 당량), 및 1,3-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DCC, 240 mg, 1.17 mmol, 1.6 당량) 혼합물을 실온에서 3.5 시간 동안 반응하도록 방치하였다. 통상의 후처리 및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중 10% EtOAc) 에 의해 D-3-메틸-벤조퓨란-2-카르복실산 4'-(1-tert-부톡시카르보닐-2-메틸-프로필술파모일)-비페닐-4-일 에스테르 (300 mg) 를 71% 수율로 수득하였다. NMR: G8475-101. 1H NMR (400 MHz, 클로로포름-D) δ ppm 0.9 (d, J=7.1 Hz, 3 H) 1.0 (d, J=6.8 Hz, 3 H) 1.2 (s, 9 H) 2.1 (m, 1 H) 2.7 (s, 3 H) 3.7 (dd, J=10.0, 4.4 Hz, 1 H) 5.1 (d, J=9.9 Hz, 1 H) 7.4 (m, 3 H) 7.5 (m, 1 H) 7.6 (t, J=8.0 Hz, 3 H) 7.7 (m, 3 H) 7.9 (d, J=8.3 Hz, 2 H).
단계 13B: 실시예 3.62 의 단계 11B 방법에 따라, t-부틸 에스테르의 제거를 정량적 수율로 수행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 (dd, J=12.1, 6.8 Hz, 6 H) 2.0 (m, 1 H) 2.7 (s, 3 H) 3.6 (dd, J=9.2, 5.9 Hz, 1 H) 7.4 (t, J=7.6 Hz, 1 H) 7.5 (d, J=8.8 Hz, 2 H) 7.6 (t, J=8.2 Hz, 1 H) 7.8 (d, J=8.3 Hz, 1 H) 7.9 (m, 7 H) 8.1 (d, J=9.3 Hz, 1 H).
실시예 3.82
Figure 112006047626195-PCT00107
벤조퓨란 -2- 카르복실산 4'-(1- tert - 부톡시카르보닐 -2- 메틸 - 프로필술파모일 )-비페닐-4-일 에스테르
표제 화합물, 벤조퓨란-2-카르복실산 4'-(1-tert-부톡시카르보닐-2-메틸-프로필술파모일)-비페닐-4-일 에스테르를 실시예 3.81 과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3A: 건조 CH2Cl2 (50mL) 에 용해된 2-벤조퓨란 카르보카르복실산 (400.5 mg, 2.47 mmol, 1 당량) 에 DCC (1.019 g, 4.94 mmol, 2 당량) 를 가하고, N2 하에 15 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2-(4'-히드록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 (1.0 g, 2.47 mmol, 1 당량) 를 반응 혼합물에 도입한 다음, DMAP (50 mg, 0.41 mmol,) 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CH2Cl2 로 희석하고 H2O 및 염수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MgSO4 로 건조하고 용매를 제거하여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EtOAc 에 용해하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프 (실리카 겔, 20%EtOAc/ n-헥산) 로 정제하여, G9058-53-1 을 30.5% 수율 (325 mg) 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클로로포름-D) δ ppm 0.87 (d, J=6.82 Hz, 3 H) 1.03 (d, J=6.82 Hz, 3 H) 1.21 (s, 9 H) 2.07 (m, 1 H) 3.68 (dd, J=9.85, 4.55 Hz, 1 H) 5.15 (d, J=9.85 Hz, 1 H) 7.37 (m, 3 H) 7.53 (t, J=7.83 Hz, 1 H) 7.66 (m, 5 H) 7.77 (m, 2 H) 7.92 (d, J=8.34 Hz, 2 H).
단계 13B: 벤조퓨란-2-카르복실산 4'-(1-tert-부톡시카르보닐-2-메틸-프로필술파모일)-비페닐-4-일 에스테르 (325 mg) 를 디클로로메탄 (15 mL) 에 용해하고, TFA 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7 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회전 증발기로 제거하고 조생성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5-20% MeOH/ EtOAc) 로 정제하여, 벤조퓨란-2-카르복실산 4'-(1-카르복시-2-메틸-프로필술파모일)-비페닐-4-일 에스테르를 76% 수율 (241mg) 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0 (d, J=6.57 Hz, 3 H) 0.87 (d, J=6.82 Hz, 3 H) 2.04 (m, 1 H) 3.24 (m, 1 H) 7.43 (t, J=7.58 Hz, 1 H) 7.49 (d, J=8.84 Hz, 2 H) 7.60 (t, J=7.96 Hz, 1 H) 7.70 (d, J=9.85 Hz, 1 H) 7.85 (m, 7 H) 8.08 (s, 1 H).
실시예 3.83, 3.84, 3.85, 3.86, 3.87, 3.88, 3.89 를 반응식 14 에 기초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83
Figure 112006047626195-PCT00108
3-메틸-2-[4'-(5-트리플 루오로메틸 -피리딘-2-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tert -부틸 에스테르
단계 14A: 2-(4'-히드록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 (100 mg, 0.25 mmol, 1.0 당량), 2-클로로-5-트리플루오로 메틸 피리딘 (45.4 mg, 0.25 mmol, 1 당량), 및 K2CO3 (86.4 mg, 0.63 mmol, 2.5 당량) 을 DMF (8 mL) 에 혼합하고 110℃ 로 4.5 시간 가열하였다. TLC 에 의해 반응이 완료됨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EtOAc 로 희석하고, 염수로 세정한 다음 MgSO4 로 건조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조생성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20% EtOAc / n-헥산) 로 정제하여 G9058-109-1 을 74% 수율 (100 mg) 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클로로포름-D) δ ppm 0.80 (d, J=6.82 Hz, 3 H) 0.96 (d, J=6.82 Hz, 3 H) 1.14 (s, 9 H) 2.01 (m, 1 H) 3.61 (m, 1 H) 5.07 (d, J=9.85 Hz, 1 H) 7.03 (d, J=8.59 Hz, 1 H) 7.19 (s, 1 H) 7.21 (s, 1 H) 7.55 (d, J=8.59 Hz, 2 H) 7.62 (d, J=8.59 Hz, 2 H) 7.85 (d, J=2.02 Hz, 2 H) 7.88 (d, J=6.06 Hz, 1 H) 8.40 (s, 1 H).
단계 14B: 3-메틸-2-[4'-(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 (97 mg) 를 CH2Cl2 (6mL) 에 용해하고, TFA (2 mL) 를 첨가하였다. 6 시간 후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TLC 로 확인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MeOH / CH2Cl2) 로 정제하여 3-메틸-2-[4'-(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을 66% 수율 (54.5 mg) 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OD) δ ppm 0.81 (d, J=6.82 Hz, 3 H) 0.88 (d, J=6.82 Hz, 3 H) 1.97 (m, 1 H) 3.55 (d, J=5.31 Hz, 1 H) 7.09 (d, J=8.59 Hz, 1 H) 7.19 (d, J=8.59 Hz, 2 H) 7.68 (dd, J=14.65, 8.59 Hz, 4 H) 7.83 (d, J=8.34 Hz, 2 H) 8.02 (d, J=11.37 Hz, 1 H) 8.35 (d, J=2.53 Hz, 1 H).
실시예 3.84
Figure 112006047626195-PCT00109
3-메틸-2-[4'-(퀴놀린-2-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tert -부틸 에스테르
표제 화합물, 3-메틸-2-[4'-(퀴놀린-2-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실시예 3.83 과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4A [9058-120-1]: 2-(4'-히드록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 (200 mg, 0.49 mmol, 1 당량), 2-클로로퀴놀린 (242 mg, 1.48 mmol, 3 당량) 및 Cs2CO3 (402 mg, 1.235mmol, 2.5 당량) 을 DMF (8 mL) 에 혼합하고 100℃ 에서 7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한 다음 얼음조에 넣고 물을 첨가하였다. 혼합물로부터 침전된 고체를 여과 수집하고 물로 세정하였다. 건조 후, 174 mg 의 황색 고체가 66% 수율로 수득되었다.
1H NMR (400 MHz, 클로로포름-D) δ ppm 0.88 (d, J=6.82 Hz, 3 H) 1.03 (d, J=6.82 Hz, 3 H) 1.22 (s, 9 H) 2.07 (m, 1 H) 3.68 (dd, J=9.85, 4.55 Hz, 1 H) 5.15 (d, J=9.85 Hz, 1 H) 7.15 (d, J=8.84 Hz, 1 H) 7.38 (d, J=8.84 Hz, 2 H) 7.45 (m, 1 H) 7.63 (m, 3 H) 7.71 (d, J=8.84 Hz, 2 H) 7.81 (t, J=8.72 Hz, 2 H) 7.91 (d, J=8.59 Hz, 2 H) 8.17 (d, J=8.34 Hz, 1 H).
단계 14B [9058-121-2]: 3-메틸-2-[4'-(퀴놀린-2-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 (164 mg) 를 디클로로에탄 (12 mL) 에 용해하고, 실온에서 4 시간에 걸쳐 TFA (4 mL) 로 가수분해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미정제 물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출액 10% MeOH / DCE) 로 정제하여, 3-메틸-2-[4'-(퀴놀린-2-일옥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을 58% 수율 (84.8mg) 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OD) δ ppm 0.82 (d, J=6.82 Hz, 3 H) 0.88 (d, J=6.82 Hz, 3 H) 1.97 (m, 1 H) 3.60 (d, J=5.56 Hz, 1 H) 7.10 (d, J=8.84 Hz, 1 H) 7.25 (d, J=8.84 Hz, 2 H) 7.39 (t, J=6.82 Hz, 1 H) 7.56 (t, J=7.71 Hz, 1 H) 7.63 (d, J=0.51 Hz, 1 H) 7.65 (d, J=1.26 Hz, 1 H) 7.68 (m, 1 H) 7.69 (d, J=2.27 Hz, 1 H) 7.72 (m, 1 H) 7.74 (m, 1 H) 7.79 (dd, J=7.83, 1.26 Hz, 1 H) 7.82 (m, 1 H) 7.85 (m, 1 H) 8.23 (d, J=8.84 Hz, 1 H).
실시예 3.85
Figure 112006047626195-PCT00110
N-({4'-[(5- 니트로피리딘 -2-일) 옥시 ]-1,1'-비페닐-4-일} 술포닐 )-D-발린
표제 화합물, N-({4'-[(5-니트로피리딘-2-일)옥시]-1,1'-비페닐-4-일}술포닐)-D-발린을 실시예 3.83 과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4A 및 14B: 수율 60%. 1H NMR (400 MHz, MeOD) δ ppm 0.82 (d, J=6.82 Hz, 3 H) 0.88 (d, J=6.82 Hz, 3 H) 1.96 (m, 1 H) 3.58 (d, J=5.31 Hz, 1 H) 7.11 (d, J=9.09 Hz, 1 H) 7.22 (d, J=8.84 Hz, 2 H) 7.70 (dd, J=11.87, 8.84 Hz, 4 H) 7.83 (d, J=8.59 Hz, 2 H) 8.52 (dd, J=9.09, 2.78 Hz, 1 H) 8.91 (d, J=3.28 Hz, 1 H).
실시예 3.86
Figure 112006047626195-PCT00111
N-({4'-[(2,6- 디메톡시피리미딘 -4-일) 옥시 ]-1,1'-비페닐-4-일} 술포닐 )-D-발린
표제 화합물, N-({4'-[(2,6-디메톡시피리미딘-4-일)옥시]-1,1'-비페닐-4-일}술포닐)-D-발린을 실시예 3.83 과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4A 및 14B: 수율 82%. 1H NMR (400 MHz, MeOD) δ ppm 0.81 (d, J=6.82 Hz, 3 H) 0.88 (d, J=6.82 Hz, 3 H) 1.97 (m, 1 H) 3.56 (d, J=5.31 Hz, 1 H) 3.78 (s, 3 H) 3.85 (s, 3 H) 5.73 (s, 1 H) 7.18 (d, J=8.84 Hz, 2 H) 7.66 (d, J=8.84 Hz, 3 H) 7.70 (d, J=8.84 Hz, 3 H) 7.81 (s, 1 H) 7.83 (s, 1 H).
실시예 3.87
Figure 112006047626195-PCT00112
N-({4'-[(4- 클로로피리미딘 -2-일) 옥시 ]-1,1'-비페닐-4-일} 술포닐 )-D-발린
표제 화합물, N-({4'-[(4-클로로피리미딘-2-일)옥시]-1,1'-비페닐-4-일}술포닐)-D-발린을 실시예 3.83 과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4A 및 14B: 수율 59%.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0 (d, J=6.82 Hz, 3 H) 0.85 (d, J=6.82 Hz, 3 H) 1.97 (m, 1 H) 3.47 (s, 1 H) 7.24 (d, J=5.81 Hz, 1 H) 7.42 (d, J=8.84 Hz, 2 H) 7.87 (d, 7 H) 8.66 (d, J=5.56 Hz, 1 H).
실시예 3.88
Figure 112006047626195-PCT00113
N-{[4'-(피리딘-2- 일옥시 )-1,1'-비페닐-4-일] 술포닐 }-D-발린
표제 화합물, N-{[4'-(피리딘-2-일옥시)-1,1'-비페닐-4-일]술포닐}-D-발린을 실시예 3.83 과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4A 및 14B: 수율 83%.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2 (d, J=6.82 Hz, 3 H) 0.85 (d, J=6.82 Hz, 3 H) 1.85-2.02 (m, 1 H) 3.57 (dd, J=10.48, 4.67 Hz, 1 H) 7.10 (d, J=9.85 Hz, 1 H) 7.17 (dd, J=7.20, 4.93 Hz, 1 H) 7.26 (d, J=8.84 Hz, 2 H) 7.79 (d, J=8.84 Hz, 2 H) 7.82-7.95 (m, 4 H) 8.09 (d, J=9.35 Hz, 1 H) 8.13-8.28 (m, 1 H).
실시예 3.89
Figure 112006047626195-PCT00114
N-{[4'-(1,3-벤조옥사졸-2-일옥시)-1,1'-비페닐-4- ]술포닐}-D-발린
표제 화합물, N-{[4'-(1,3-벤조옥사졸-2-일옥시)-1,1'-비페닐-4-일]술포닐}-D-발린을 실시예 3.83 과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4A 및 14B: 수율 85%.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2 (d, J=6.82 Hz, 3 H) 0.85 (d, J=6.82 Hz, 3 H) 1.86-2.05 (m, 1 H) 3.58 (dd, J=9.22, 5.94 Hz, 1 H) 7.32 (d, J=9.35 Hz, 1 H) 7.53 (d, J=7.33 Hz, 1 H) 7.61-7.73 (m, 3 H) 7.81-7.99 (m, 6 H) 8.10 (d, J=9.35 Hz, 1 H).
실시예 3.90 를 반응식 15 에 기초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90
Figure 112006047626195-PCT00115
N-({4'-[2-(1- 벤조퓨란 -2-일)-2- 옥소에틸 ]-1,1'-비페닐-4-일} 술포닐 )-D-발린
단계 15A: 티오닐 클로라이드 (50 mL) 에 용해된 (4-브로모페닐)-아세트산 (5.0 g, 23.2 mmol, 1 당량) 을 질소 대기 하에 환류 온도로 1 시간 가열하였다.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이렇게 수득된 잔류물을 무수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용해하고 단계 15B 에서 이용하였다.
단계 15B: 벤조퓨란-2-일-트리메틸-실란 (3.4 g, 17.86mmol) 을 메틸렌 클로라이드 (40 mL) 에 용해하고 -78℃ 로 냉각하였다. 4-브로모페닐-아세틸 클로라이드 (19.65 mmol, 1.1당량) 를 상기 온도에서 첨가하였다. 강하게 교반하면서, CH2Cl2 중의 TiCl4 (23 mL, 1M, 23.2 mmol, 1.3 당량) 용액을 적가하고, 20 분간 계속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을 H2O (100 mL) 로 켄칭하고, 냉각조를 제거하고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시켰다. 이 후, 이를 H2O (100mL) 로 희석하고 CH2Cl2 로 추출하였다(3X). 유기층을 혼합하고, 염수로 세정하고, MgSO4 로 건조한 후, 용매를 증발시켰다. 이렇게 수득된 조생성물을 칼럼 정제하였다 (실리카 겔, 10%EtOAC/헥산). 980 mg 의 1-벤조퓨란-2-일-2-(4-브로모-페닐)-에타논을 17%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클로로포름-D) δ ppm 4.34 (s, 2 H) 7.34 (d, J=8.59 Hz, 2 H) 7.44 (d, 1 H) 7.58 (d, J=8.59 Hz, 2 H) 7.62 (d, J=5.81 Hz, 1 H) 7.67 (s, 1 H) 7.71 (m, 1 H) 7.84 (t, J=6.19 Hz, 1 H).
단계 15C: 무수 톨루엔 (10 mL) 중의 3-메틸-2-(4-트리부틸스타나닐-벤젠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 (347.5mg, 0.58 mmol, 1.0 당량), 1-벤조퓨란-2-일-2-(4-브로모-페닐)-에타논 (200 mg, 0.64 mmol, 1.1당량) 및 Pd(PPh3)4 (66 mg, 0.06 mmol, 10%) 용액을 환류 온도로 7 시간 가열하였다. 반응이 완료 되었음을 TLC 로 확인하였다. 용매를 회전 증발기로 제거하고 조생성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20% EtOAc/ n-헥산) 로 정제하여, 2-[4'-(2-벤조퓨란-2-일-2-옥소-에틸)-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20% 수율 (62mg) 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클로로포름-D) δ ppm 0.79 (d, J=6.82 Hz, 3 H) 0.95 (d, J=6.82 Hz, 3 H) 1.11 (s, 9 H) 3.58 (dd, J=9.85, 4.55 Hz, 1 H) 4.26 (s, 2 H) 5.05 (d, J=9.85 Hz, 1 H) 7.26 (t, J=7.07 Hz, 1 H) 7.43 (m, 5 H) 7.56 (m, 4 H) 7.65 (d, J=7.83 Hz, 1 H) 7.81 (d, J=8.59 Hz, 2 H).
단계 15D: 2-[4'-(2-벤조퓨란-2-일-2-옥소-에틸)-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tert-부틸 에스테르 (62 mg) 를 무수 CH2Cl2 (6 mL) 에 용해하고, TFA (2 mL) 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 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조생성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 MeOH/CH2Cl2) 로 정제하여, 2-[4'-(2-벤조퓨란-2-일-2-옥소-에틸)-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을 19% 수율 (10.7 mg) 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79 (d, J=6.82 Hz, 3 H) 0.84 (m, J=6.82 Hz, 3 H) 1.97 (m, 1 H) 3.33 (s, 1 H) 4.42 (s, 2 H) 7.39 (t, J=7.07 Hz, 1 H) 7.47 (d, J=8.34 Hz, 2 H) 7.57 (t, J=8.59 Hz, 1 H) 7.73 (m, 3 H) 7.83 (d, 4 H) 7.88 (d, J=8.84 Hz, 1 H) 8.13 (s, 1 H) 10.08 (s, 1 H).
실시예 3.91 을 반응식 16 에 기초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91
Figure 112006047626195-PCT00116
D-2-[4'-( 벤조퓨란 -2- 술포닐메틸 )-비페닐-4- 술포닐아미노 ]-3- 메틸 -부티르산
단계 16A: 출발 물질인 2-[1,2,3]티아디아졸-4-일-페놀을 문헌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M. A. Abramov, W. Dehaen, B. D'hooge, M. L. Petrov, S. Smeets, S. Toppet 및 M. Voets Tetrahedron, 2000, 56, 3933-3940). 2-[1,2,3]티아디아졸-4-일-페놀 (241 mg, 1.35 mmol), 2-(4-브로모메틸-페닐)-4,4,5,5-데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 (406 mg, 1.37 mmol, 1 당량), 및 K2CO3 (396 mg, 2.87 mmol, 1.9 당량) 을 8 mL CH3CN 에 혼합하고, 질소 대기 하에 90℃ 로 가열하였다. TLC 로 모니터링하여 반응이 완료됨을 확인한 후,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생성된 미정제 물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중 20% EtOAc) 하여, 2-[4-(4,4,5,5-데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벤질술파닐]-벤조퓨란 (198 mg) 을 40% 수율로 수득하였다. NMR: G8475-125. 1H NMR (400 MHz, 클로로포름-D) δ ppm 1.3 (s, 12 H) 4.1 (s, 2 H) 6.6 (d, J=1.0 Hz, 1 H) 7.2 (m, 4 H) 7.4 (d, J=7.8 Hz, 2 H) 7.7 (d, J=8.1 Hz, 2 H).
단계 16B: 실시예 2A 의 단계 5B 에 따라, D-2-(4-브로모-벤젠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와 2-[4-(4,4,5,5-데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벤질술파닐]-벤조퓨란의 Suzuki 커플링을 실시하여, D-2-[4'-(벤조퓨란 -2-일술파닐메틸)-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를 54% 수율로 수득하였다. NMR: G8475-165. 1H NMR (400 MHz, 벤젠-D6) δ ppm 0.7 (d, J=6.8 Hz, 3 H) 0.9 (d, J=6.8 Hz, 3 H) 1.9 (m, 1 H) 3.0 (s, 3 H) 4.0 (m, 3 H) 5.0 (d, J=10.1 Hz, 1 H) 6.6 (d, J=1.0 Hz, 1 H) 7.1 (m, 4 H) 7.3 (m, 6 H) 7.3 (s, 1 H) 7.4 (m, 1 H).
단계 16C: 4 mL THF 중의 D-2-[4'-(벤조퓨란-2-일술파닐메틸)-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 (75 mg, 0.15 mmol, 1 당량) 용액을 얼음조에 넣었다. THF 3 mL 중의 MCPBA 125 mg (77%, 0.55 mmol, 3.7 당량) 을 적가하였다. 첨가가 완료된 후, 얼음조를 제거하고, 반응물을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 로써, 반응이 완료됨을 확인하였다. 통상의 후처리 및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중 20% EtOAc) 에 의해, D-2-[4'-(벤조퓨란-2-술포닐메틸)-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 (56 mg) 를 70% 수율로 수득하였다. NMR: G8475-166. 1H NMR (400 MHz, 클로로포름-D) 델타 ppm 0.9 (dd, J=33.3, 6.8 Hz, 6 H) 2.0 (m, 1 H) 3.4 (s, 3 H) 3.8 (dd, J=10.1, 5.3 Hz, 1 H) 4.6 (s, 2 H) 5.1 (d, J=10.1 Hz, 1 H) 7.4 (m, 4 H) 7.5 (m, 3 H) 7.6 (m, 1 H) 7.7 (m, 3 H) 7.9 (d, J=8.8 Hz, 2 H).
단계 16D: 실시예 1A 의 단계 1D 방법에 따라, D-2-[4'-(벤조퓨란-2-술포닐메틸)-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의 가수분해를 정량적 수율로 수행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0.8 (dd, J=12.1, 6.8 Hz, 6 H) 1.9 (m, 1 H) 3.5 (dd, J=9.3, 6.1 Hz, 1 H) 5.0 (s, 2 H) 7.4 (d, J=8.3 Hz, 2 H) 7.4 (m, 1 H) 7.6 (m, 1 H) 7.7 (d, J=1.0 Hz, 1 H) 7.7 (d, J=8.3 Hz, 2 H) 7.8 (m, 6 H) 8.1 (d, J=9.1 Hz, 1 H).
하기 화합물 (3.92 및 3.93) 을 반응식 6.63 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3.92
Figure 112006047626195-PCT00117
3-메틸-2-[4'-(나프탈렌-2-일메톡시)-3'-메톡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1H NMR (400 MHz, DMSO): δ 0.806(d, 3H), 0.837(d, 3H), 1.94(m, 1H), 3.53(t, 1H), 3.90(s, 3H), 5.33(s, 2H), 7.20(d, 1H), 7.27(m, 1H), 7.34(s, 1H), 7.54(d, 2H), 7.61(d, 1H), 7.89(m, 8H); ES+ m/z 518.2 (M-H); HRMS (C29H29NO6S): 계산치; 520.17884; 실측치; 520.17839 (M+H).
실시예 3.93
Figure 112006047626195-PCT00118
2-[4'-(3,5-디메톡시-벤질옥시)-3'-메톡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 부티르산.
1H NMR (400 MHz, DMSO): δ 0.808(d, 3H), 0.838(d, 3H), 1.94(m, 1H), 3.74(s, 6H), 3.89(s, 3H), 5.09(s, 2H), 6.45(t, 1H), 6.62(d, 2H), 7.11(d, 1H), 7.25(d, 1H), 7.32(d, 1H), 7.79(d, 2H), 7.85(d, 2H), 8.02(d, 1H); ES+ m/z 528.2 (M-H); HRMS (C27H31NO8S): 계산치; 530.18432; 실측치; 530.18367 (M+H).
하기 화합물 (3.94-3.111) 을 반응식 17 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94
Figure 112006047626195-PCT00119
2-(4'-히드록시-3-트리플루오로메톡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1H NMR (400 MHz, DMSO): δ 0.825(d, 3H), 0.875(d, 3H), 2.04(m, 1H), 3.70(m, 1H), 6.89(d, 2H), 7.59(m, 2H), 7.75(dd, 1H), 7.94(d, 1H), 8.16(d, 1H); ES+ m/z 432.1 (M-H); HRMS (C18H18F3NO6S): 계산치; 451.11451; 실측치; 451.11461 (M+NH4).
실시예 3.95
Figure 112006047626195-PCT00120
2-(4'-히드록시-3-트리플루오로메틸-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1H NMR (400 MHz, DMSO): δ 0.850(m, 6H), 2.02(m, 1H), 3.60(m, 1H), 6.90(d, 2H), 7.67(d, 2H), 8.10(m, 3H); ES+ m/z 416.0 (M-H); HRMS (C18H18F3NO5S): 계산치; 435.11960; 실측치; 435.11966 (M+NH4).
실시예 3.96
Figure 112006047626195-PCT00121
2-(4'-히드록시-3-메틸-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1H NMR (400 MHz, DMSO): δ 0.810(t, 6H), 1.93(m, 1H), 2.64(s, 3H), 3.39(m, 1H), 6.87(m, 2H), 7.56(m, 3H), 7.81(d, 1H), 8.00(d, 1H); ES+ m/z 362.1 (M-H); HRMS (C18H21NO5S): 계산치; 381.14786; 실측치; 381.14808 (M+NH4).
실시예 3.97
Figure 112006047626195-PCT00122
2-(3-플루오로-4'-히드록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1H NMR (400 MHz, DMSO): δ 0.850(m, 6H), 2.02(m, 1H), 3.63(m, 1H), 6.87(d, 2H), 7.61(m, 3H), 7.76(t, 1H), 8.22(d, 1H); ES+ m/z 366.0 (M-H); HRMS (C17H18FNO5S): 계산치; 385.12279; 실측치; 385.12276 (M+NH4).
실시예 3.98
Figure 112006047626195-PCT00123
2-(2,5-디플루오로-4'-히드록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1H NMR (400 MHz, DMSO): δ 0.880(m, 6H), 2.04(m, 1H), 3.69(m, 1H), 6.89(d, 1H), 7.45(m, 2H), 7.58(m, 2H), 8.45(d, 1H); ES+ m/z 384.1 (M-H); HRMS (C17H17F2NO5S): 계산치; 403.1137; 실측치; 403.11328 (M+NH4).
실시예 3.99
Figure 112006047626195-PCT00124
3-메틸-2-[4'-(나프탈렌-2-일메톡시)-3-트리플루오로메틸-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1H NMR (400 MHz, DMSO): δ 0.900(d, 3H), 0.960(d, 3H), 2.06(m, 1H), 3.70(d, 1H), 4.19(s, 2H), 6.95(d, 1H), 7.43(m, 6H), 7.69(s, 1H), 7.75(m, 3H), 7.88(m, 1H), 7.97(s, 1H), 8.15(d, 1H); ES+ m/z 556.1 (M-H); HRMS (C29H26F3NO5S): 계산치; 558.15566; 실측치; 558.15484 (M+H).
실시예 3.100
Figure 112006047626195-PCT00125
2-[3-플루오로-4'-(나프탈렌-2-일메톡시)-비페닐-4-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 [0001] 1H NMR (400 MHz, MeOH): δ 0.920(d, 3H), 0.980(d, 3H), 2.10(m, 1H), 3.76(d, 1H), 4.19(s, 2H), 6.94(d, 1H), 7.43(m, 7H), 7.70(s, 1H), 7.78(m, 4H); ES+ m/z 506.1 (M-H); HRMS (C28H26FNO5S): 계산치; 508.15885; 실측 치; 508.15818 (M+H).
실시예 3.101
Figure 112006047626195-PCT00126
2-[2,5- 디플루오로 -4'-(나프탈렌-2- 일메톡시 )-비페닐-4- 술포닐아미노 ]-3- 메틸 -부티르산.
1H NMR (400 MHz, MeOH): δ 0.910(d, 3H), 0.980(d, 3H), 2.09(m, 1H), 3.78(d, 1H), 4.16(s, 2H), 6.92(d, 1H), 7.37(m, 6H), 7.56(m, 1H), 7.67(s, 1H), 7.75(m, 4H); ES+ m/z 524.1 (M-H); HRMS (C28H25F2NO5S): 계산치; 526.14943; 실측치; 526.14881 (M+H).
실시예 3.102
Figure 112006047626195-PCT00127
ES+ m/z 614.1 (M-H)-HRMS: 616.16053 (M+H)+; 616.16114 계산치
H NMR (400 MHz, DMSO): δ 0.83 (d, 3H, J = 6.8Hz), .088 (d, 3H, J = 6.8Hz), 2.06 (m, 1H), 3.74 (dd, 1H, J = 5.6, 10Hz), 5.18 (s, 2H), 5.35 (d, 1H, J = 10Hz), 6.92 (d, 2H, J = 8Hz), 7.00 (d, 2H, J = 8Hz), 7.07 (d, 2H, J = 8Hz), 7.34 (d, 2H, J = 8Hz), 7.61 (d, 2H, J = 8Hz), 7.69 (s, 1H), 7.79 (d, 2H, J = 8Hz), 7.88 (m, 1H), 8.02 (d, 1H, J = 8Hz), 8.24 (m, 1H), 12.70 (s, 1H).
실시예 3.103
Figure 112006047626195-PCT00128
ES+ m/z 598.1 (M-H)-HRMS: 600.16554 (M+H)+; 600.16622 계산치
H NMR (400 MHz, DMSO): δ 0.85 (d, 3H, J = 6.8Hz), .0.86 (d, 3H, J = 6.8Hz), 2.05 (m,
실시예 3.104
Figure 112006047626195-PCT00129
ES+ m/z 564.1 (M-H)-HRMS: 566.13860 (M+H)+; 566.13987 계산치
H NMR (400 MHz, DMSO): δ 0.84 (d, 3H, J = 6.8Hz), .0.86 (d, 3H, J = 6.8Hz), 2.02 (m, 1H), 3.57 (dd, 1H, J = 6, 9.2Hz), 5.17 (s, 2H), 6.92 (d, 2H, J = 8Hz), 6.99 (d, 2H, J = 8Hz), 7.07 (m, 3H), 7.33 (m, 2H), 7.59 (d, 2H, J = 8Hz), 7.83 (m, 5H), 7.95 (d, 1H, J = 1.6Hz), 8.03 (d, 1H, J = 8Hz), 8.21 (m, 1H), 12.65 (s, 1H).
실시예 3.105
Figure 112006047626195-PCT00130
ES+ m/z 590.1 (M-H)-HRMS: 592.16098 (M+H)+; 592.16114 계산치
1H NMR (400 MHz, DMSO): δ 0.83 (d, 3H, J = 6.8Hz), 0.88 (d, 3H, J = 6.8Hz), 2.05 (m, 3H), 2.53 (t, 2H, J = 6Hz), 2.91 (t, 2H, J = 6Hz), 3.74 (dd, 1H, J = 5.6, 10Hz), 5.28 (s, 2H), 6.98 (m, 2H), 7.60 (d, 2H, J = 8Hz), 7.69 (s, 1H), 7.85 (m, 4H), 8.02 (d, 1H, J = 8Hz), 8.25 (d, 1H, J = 8Hz), 12.70 (s, 1H).
실시예 3.106
Figure 112006047626195-PCT00131
ES+ m/z 574.1 (M-H)-HRMS: 576.16522 (M+H)+; 576.16622 계산치
1H NMR (400 MHz, DMSO): δ 0.85 (d, 3H, J = 6.8Hz), 0.86 (d, 3H, J = 6.8Hz), 2.04 (m, 3H), 2.53 (t, 2H, J = 6Hz), 2.91 (t, 2H, J = 6Hz), 3.63 (dd, 1H, J = 6, 10Hz), 5.29 (s, 2H), 6.98 (m, 2H), 7.61 (d, 2H, J = 8Hz), 7.85 (m, 3H), 8.20 (m, 4H), 12.70 (s, 1H).
실시예 3.107
Figure 112006047626195-PCT00132
ES+ m/z 524.1 (M-H)-HRMS: 526.16859 (M+H)+; 526.16942 계산치
1H NMR (400 MHz, DMSO): δ 0.84 (d, 3H, J = 6.8Hz), 0.87 (d, 3H, J = 6.8Hz), 2.02 (m, 3H), 2.53 (t, 2H, J = 6Hz), 2.91 (t, 2H, J = 6Hz), 3.66 (dd, 1H, J = 6, 9.2Hz), 5.27 (s, 2H), 6.98 (m, 2H), 7.58 (d, 2H, J = 8Hz), 7.70 (m, 1H), 7.83 (m, 5H), 8.30 (d, 1H, J = 10Hz), 12.65 (s, 1H).
실시예 3.108
Figure 112006047626195-PCT00133
ES+ m/z 629.2 (M-H)-HRMS: 631.17159 (M+H)+; 631.17204 계산치
1H NMR (400 MHz, DMSO): δ 0.83 (d, 3H, J = 6.8Hz), 0.88 (d, 3H, J = 6.8Hz), 2.07 (m, 1H), 2.30 (s, 3H), 3.74 (dd, 1H, J = 5.6, 9.6Hz), 5.20 (s, 2H), 6.68 (d, 1H, J = 8Hz), 6.95 (d, 1H, J = 8Hz), 7.06 (m, 4H), 7.62 (d, 2H, J = 8Hz), 7.69 (m, 2H), 7.80 (d, 2H, J = 8Hz), 7.87 (dd, 1H, J = 1.6, 8Hz), 8.03 (d, 1H, J = 8Hz), 8.25 (d, 2H, J = 9.2Hz), 12.70 (s, 1H).
실시예 3.109
Figure 112006047626195-PCT00134
ES+ m/z 613.2 (M-H)-HRMS: 615.17639 (M+H)+; 615.17712 계산치
1H NMR (400 MHz, DMSO): δ 0.85 (d, 3H, J = 6.8Hz), 0.87 (d, 3H, J = 6.8Hz), 2.05 (m, 1H), 2.30 (s, 3H), 3.63 (dd, 1H, J = 6, 9.6Hz), 5.20 (s, 2H), 6.68 (d, 1H, J = 8Hz), 6.95 (d, 1H, J = 8Hz), 7.06 (m, 4H), 7.63 (d, 2H, J = 8Hz), 7.69 (t, 1H, J = 8Hz), 7.87 (d, 2H, J = 8Hz), 8.21 (m, 4H), 12.70 (s, 1H).
실시예 3.110
Figure 112006047626195-PCT00135
ES+ m/z 563.2 (M-H)-HRMS: 565.18038 (M+H)+; 565.18032 계산치
1H NMR (400 MHz, DMSO): δ 0.84 (d, 3H, J = 6.8Hz), 0.87 (d, 3H, J = 6.8Hz), 2.04 (m, 1H), 2.30 (s, 3H), 3.66 (dd, 1H, J = 6, 9.6Hz), 5.19 (s, 2H), 6.68 (d, 1H, J = 8Hz), 6.95 (d, 1H, J = 8Hz), 7.06 (s, 4H), 7.60 (d, 2H, J = 8Hz), 7.70 (m, 2H), 7.83 (m, 4H), 8.31 (d, 1H, J = 9.2Hz), 12.70 (s, 1H).
실시예 3.111
Figure 112006047626195-PCT00136
ES+ m/z 579.1 (M-H)-HRMS: 581.15050 (M+H)+; 581.15077 계산치
1H NMR (400 MHz, DMSO): δ 0.84 (d, 3H, J = 6.8Hz), 0.86 (d, 3H, J = 6.8Hz), 2.02 (m, 1H), 2.30 (s, 3H), 3.58 (dd, 1H, J = 6.4, 9.6Hz), 5.20 (s, 2H), 6.68 (d, 1H, J = 8Hz), 6.95 (d, 1H, J = 8Hz), 7.06 (s, 4H), 7.60 (d, 2H, J = 8Hz), 7.62 (d, 2H, J = 8Hz), 7.83 (m, 3H), 7.95 (d, 1H, J = 1.6), 8.03 (d, 1H, J = 8Hz), 8.22 (d, 1H, J = 9.6Hz), 12.70 (s, 1H).
실시예 112, 113, 114 를 반응식 5 에 기초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112
Figure 112006047626195-PCT00137
3-메틸-2-[4'-(피리딘-3-일메톡시메틸)-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1H NMR (400 MHz, MeOD): δ; ES+ m/z (M+H) 455.1; HRMS (M+H) m/z 계산치 455.16352; 실측치 455.16317; (C24H26N2O5S):
실시예 3.113
Figure 112006047626195-PCT00138
3-메틸-2-[4'-(나프탈렌-2-일메톡시메틸)-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1H NMR (400 MHz, CDCl3): δ 0.85 (d, 3H), 0.95 (d, 3H), 2.10 (m, 1H), 3.83 (m, 1H), 4.63 (s, 2H), 4.74 (s, 2H), 5.25 (bs, 1H), 7.44-7.55 (m, 7H), 7.65 (d, 2H), 7.82-7.90 (m, 6H); ES+ m/z (M-H) 502.1; HRMS (M+H) m/z 계산치 504.18392; 실측치 504.18503; (C29H29NO5S):
실시예 3.114
Figure 112006047626195-PCT00139
3-메틸-2-[4'-(피리딘-3-일메톡시메틸)-비페닐-4-술포닐아미노]-부티르산
1H NMR (400 MHz, DMSO): δ 0.81 (d, 3H), 0.84 (d, 3H), 1.95 (m, 1H), 3.55 (dd, 1H), 4.56 (s, 2H), 4.63 (d, 2H), 7.44 (d, 2H), 7.50 (d, 1H), 7.70 (d, 2H), 7.74 (d, 1H), 7.84 (m, 4H), 8.08 (m, 2H); ES+ m/z (M+H) 455.1; HRMS (M+H) m/z 계산치 455.16352; 실측치 455.16290; (C24H26N2O5S).
실시예 4: 본 발명의 바이아릴 술폰아미드 화합물을 이용한, ADAMTS-5 어그리카나제 활성의 저해:
본 발명의 바이아릴 술폰아미드 화합물에 대하여, ADAMTS-4 (Agg-1) 및 ADAMTS-5 (Agg-2) 어그리카나제 활성의 저해 능력을 테스트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 에 나타내었으며, 효소의 어그리카나제 활성을 50% 저해하는 화합물의 농도를 μM 단위로써 나타내었다 (IC50). 화합물들을 ADAMTS-5 에 대한 효능이 가장 낮은 것으로부터 가장 높은 순으로 나열하였는 바, 가장 마지막이 가장 효능이 큰 것이다.
Figure 112006047626195-PCT00140
Figure 112006047626195-PCT00141
Figure 112006047626195-PCT00142
Figure 112006047626195-PCT00143
Figure 112006047626195-PCT00144
Agg-1 및 Agg-1 이 작용하는 기질이, 에너지 전이에 의해 켄칭되는 형광기를 함유한 합성 펩티드인 연속적 어세이를 실시하였다. 어그리카나제 효소에 의한 펩티드 절단은 형광성을 크게 증가시킨다. 화합물의 저해 효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반응의 초기 속도를 바이아릴 술폰아미드 화합물을 함유한 반응의 초기 속도와 비교하였다.
상기 어세이에서, 효소의 공급원은 정제된 재조합 인간 어그리카나제-2 이다. 더 구체적으로, 사용된 형태를 Ag2t-Phe628-Strep (MW = 41,737) 로 표시한다. 상기 형태는 전장(full-length) 효소에 비하여 절단된 것으로 어피니티 태그(tag)를 함유하였다. 상기 효소의 분취량을 -80℃, 25mM Tris (pH 8.0), 100mM NaCl, 5mM CaCl2, 10μM ZnCl2 , 10% 글리세롤에서 저장하였다.
상기 어세이에서의 기질은, 어그리카나제-2 의 자연 발생적인 기질 중 하나인 브레비칸(brevican)의 일부에 따라 설계된 합성 펩티드이다. WAKB-5 로 표시되는 상기 펩티드는, 에너지 전이에 의해 2,4-디니트로페닐기 (Dnp) 로 켄칭되는 형광성 2-아미노벤조일 (Abz) 기를 함유한다. WAKB-5 (분자량 = 1740) 는 AnaSpec, Inc. (San Jose, CA) 에 의해 주문 합성되었으며, HPLC 분석에 의하면 순도 >95% 이었다. WAKB-5 의 서열은 Abz-TESESRGAIY-Dap(Dnp)-KK-NH2 이다. 기질의 원액을 MilliQ 수(水)로 제조하고 분취액을 -80℃ 에 저장하였다. 상기 기질 원액의 농도를 354nm 에서의 흡수계수 18,172 M-1cm- 1 를 이용하여 분광광도계로 측정하였다. 상기 효소/기질 반응의 V maxK m 은 최소한 10%(v/v) 까지 DMSO 에 대해 감응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세이 완충액 (pH 7.4) 은 50mM Hepes, 100mM NaCl, 5mM CaCl2, 0.1% CHAPS, 5% 글리세롤로 이루어졌다. 블랙 폴리스티렌 96-웰 또는 384-웰 플레이트의 각 웰은, 어세이 완충액, 정제 Agg-2 (어세이 완충액으로 희석), 및 다양한 농도의 저해제 (96-웰 폴리프로필렌 플레이트에서 DMSO 로 순차 희석하여 제조) 로 이루어진 반응물을 포함하였다. 상기 플레이트를 이어서 실온에서 10 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기질을 최종 농도 25μM 로 첨가함으로써 효소적 반응을 개시하고 이를 위 아래로 피펫팅(pipetting)하여 혼합하였다. 절단 반응의 초기 속도를, 기질 첨가 직후 형광 플레이트 판독기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측정하였다.
최종 DMSO 농도 4% 및 최종 효소 농도 0.5 ㎍/ml (대부분의 경우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농도임) 인 96-웰 플레이트 내 100 ㎕ 반응물을 위한 상세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화합물을 100% DMSO 를 이용하여 96-웰 폴리프로필렌 플레이트에서 희석하여 어세이에서 25X 최종 농도로 만들고, (2) Agg-2 를 어세이 완충액내 2.083X 최종 농도 (즉, 1.04 ㎍/ml) 로 희석하고, (3) 48.0 ㎕ 의 2.083X Agg-2 를 이어서 웰에 첨가하고, (4) 4.0 ㎕ 의 25X 화합물을 어세이 플레이트로 옮겨서 시약을 혼합하고, (5)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10 분간 인큐베이션하고, (6) 기질을 어세이 완충액을 이용하여 52.075 μM (2.083X 최종 농도) 로 희석하고, (7) 10 분간의 예비-인큐베이션 후, 48.0 ㎕ 의 2.083X 기질을 첨가하고 시약을 잘 혼합한 다음, (8) 반응을 Tecan Safire 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형광 플레이트 판독기에 의해 즉시 모니터링하였는데, 여기 316nm, 밴드폭 12 nm 및 방출 432 nm 및 밴드폭 12 nm 였다.
각 샘플에 대하여 시간 대 RFU 의 플롯을 만들어서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반응의 "진행 곡선" 으로 이용하였다. 이어서 진행 곡선 부분 중에서 기울기가 가장 선형인 부분을 결정하였다. 상기 기울기 (RFU/분) 를 반응의 초기 속도로 하였다. 그 후, 저해제 농도 대 초기 절단율의 플롯을 다음 식에 대입하였다: y = Vmax*(1-(xn / (Kn + xn))), 여기서 x = 저해제 농도, y = 초기 속도, Vmax = 저해제가 없는 경우의 초기 속도, n = 기울기 인자, 및 K = 저해 곡선의 IC50 이다. 이렇게 하여 표 1 에 나타낸 IC50 값을 계산하였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항-ADAMTS-5 항체를 이용한 ADAMTS-5 어그리카나제 활성의 저해:
본 발명의 항-ADAMTS-5 항체를 대상으로 ADAMTS-4 (Agg-1) 및 ADAMTS-5 (Agg-2) 어그리카나제 활성의 저해 능력을 테스트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 에 정리하였는 바, 재조합 인간 ADAMTS-5 에 대하여 생성된 네 가지 단일클론 항체의 특성을 보여주는데, 이는 ELISA 에서 ADAMTS-5 에 대하여는 반응성을 나타내지만, ADAMTS-4 또는 소 혈청 알부민 (BSA) 에 대하여는 반응성을 보이지 않았다. 모든 항체는 웨스턴 블롯 분석에 의해 rhADAMTS-5 를 식별하였다.
Figure 112006047626195-PCT00145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로 생각되는 것이 기재되어 있지만, 당업자라면, 하기 청구의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을 예컨대 각종 조건, 또는 다른 요구에 적용하기 위하여 다른 및 추가적인 변형을 가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Sequence Listing <110> Morris, Elizabeth A. Glasson, Sonya S. Xiang, Jason Shaoyun <120> Method for Treating ADAMTS-5-Associated Disease <130> 01997.037000.PC <140> PCT/US04/37169 <141> 2004-11-08 <150> US 60/526,883 <151> 2003-11-04 <160> 11 <170> Windows 95 (Word 98) <210> 1 <211> 7 <212> PRT <213> Murine <400> 1 Phe Thr Val Ala His Glu Ile 1 5 <210> 2 <211> 56 <212> PRT <213> Murine <400> 2 Gly His Leu Leu Gly Leu Ser His Asp Asp Ser Lys Phe Cys Glu Glu 1 5 10 15 Asn Phe Gly Thr Thr Glu Asp Lys Arg Leu Met Ser Ser Ile Leu Thr 20 25 30 Ser Ile Asp Ala Ser Lys Pro Trp Ser Lys Cys Thr Ser Ala Thr Ile 35 40 45 Thr Glu Phe Leu Asp Asp Gly His 50 55 <210> 3 <211> 8 <212> PRT <213> Murine <400> 3 Gly Asn Cys Leu Leu Asp Leu Pro 1 5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4 tgttcaccca aagcaactac 20 <210> 5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5 tagaggagag gagaggagg 19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6 gtgaaccaca tggactttgg 20 <210> 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7 tcgtagcaaa cacccacctg 20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8 cgaccctcaa gaacttttgc 20 <210> 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9 ctcaggccca aatgtcaagt 20 <210> 1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0 cgtcatgaga aaggccaagt 20 <210> 11 <211> 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1> SITE <222> 1 <223> Xaa is o-aminobenzoic acid <220> <221> SITE <222> 12 <223> Xaa is 3-(2,4-dinitrophenyl)-(2,3-diamino propionic acid) <400> 11 Xaa Thr Glu Ser Glu Ser Arg Gly Ala Ile Tyr Xaa Lys Lys 1 5 10

Claims (40)

  1. ADAMTS-5 를 저해하는 작용제를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ADAMTS-5-관련 질병으로 고통받는 대상체의 ADAMTS-5-관련 질병의 치료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작용제가 ADAMTS-5 의 메탈로프로테아제 활성을 저해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작용제가 ADAMTS-5 의 어그리카나제 활성을 저해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ADAMTS-5-관련 질병이, 골관절염, 암, 천식, 만성 폐색성 폐질환 ("COPD"), 죽상동맥경화증, 연령관련 황반변성, 심근경색증, 각막 궤양 및 기타 안구표면 질환, 간염, 대동맥류, 건염, 중추신경계 질환, 비정상적 상처치유, 혈관형성, 재협착, 경화증, 다발경화증, 사구체신염, 이식대숙주 병, 당뇨병, 염증성 장질환, 쇼크, 무척추 디스크 퇴행증, 뇌졸중, 골감소증, 류마티스성 관절염 및 기타 형태의 관절염, 및 치주병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질병이 골관절염인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작용제가 항-ADAMTS-5 항체 및 바이아릴 술폰아미드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바이아릴 술폰아미드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I 의 화합물인 방법:
    [화학식 I]
    Figure 112006047626195-PCT00146
    [식에서:
    R1 은 H 또는 C1-C6 알킬;
    R2 는 H, C1-C6 알킬, (CH2)nR2', 페닐, 또는 벤질;
    n 은 0~6;
    R2' 는 아릴, 헤테로아릴,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로알킬;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OC(할로겐)3, C(할로겐)3, 알콕시, 또는 C1-C6 알킬이고;
    X 는 CH2O, OCH2, C(R3)=C(R3), C(R3)2-C(R3)2, CH2NHC(=O), O(C=O)NH, O, C(=O)CH2, SO2CH2C(=O)NH, SO2NH, OC(=O), CH2S(O), 및 CH2S(O)2 중에서 선택되고;
    Z 는 하나 이상의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잔기이다].
  8. 제 7 항에 있어서, Z 가 피리딘, 피리미딘, 피라진, 피리다진, 페닐, 나프탈렌, 퓨란, 티오펜, 피롤, 피라졸, 이미다졸, 옥사졸, 이소옥사졸, 티아졸, 벤조티아졸, 퀴놀린, 또는 이소퀴놀린, 또는 하기 식인 방법:
    Figure 112006047626195-PCT00147
    [식에서:
    U 는 S, O, C(R3)=C(R3), C(R3)=N, 및 N(R4) 중에서 선택되고;
    W 는 C(R3), 및 N 중에서 선택되고;
    M 은 C(R3), 및 N 중에서 선택되고;
    L 은 S, O, C(R3)=C(R3), C(R3)=N, 및 N(R4) 중에서 선택되고;
    R4 및 R5 는, 각각 독립적으로, 서로에 대한 결합, H, C1-C6 알킬, 또는 페닐이고;
    R7 은 R3 에 대한 결합, H, 할로겐, C(할로겐)3, NR4R5, N[(CH2)2]2O, N[(CH2)2]2NR4, NHSO2R4, NR4C(=O)R5, NHC(=O)OR4, NO2, SO2NR4R5, SO2R4, OR4, C(=O)R4, COOR4, CONR4R5, CN, 페닐, 헤테로아릴, C1-C6 알킬, C2-C6 알케닐, 또는 C2-C6 알키닐 중에서 선택되고;
    R8 은 H, 페닐, 헤테로아릴, 및 C1-C6 알킬 중에서 선택된다].
  9. 제 8 항에 있어서, R7 이 NR4R5, N[(CH2)2]2O, N[(CH2)2]2NR4, NHSO2R4, NR4C(=O)R5, NHC(=O)OR4, NO2, SO2NR4R5, SO2R4, OR8, C(=O)R4, COOR4, CONR4R5, CN, 페닐, 또는 헤테로아릴로 치환된 것인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R8 이 NR4R5, N[(CH2)2]2O, N[(CH2)2]2NR4, NR4SO2R5, NR4C(=O)R5, NHC(=O)OR4, NO2, SO2NR4R5, SO2R4, C(=O)R4, COOR4, CONR4R5, CN, 페닐, 또는 헤테로아릴로 치환된 것인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R1 이 H 또는 분지형 알킬인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R1 이 이소프로필인 방법.
  13. 제 7 항에 있어서, R3 이 할로겐, CF3, OCH3, 또는 CH3 인 방법.
  14. 제 7 항에 있어서, X 가 CH2O, OCH2, C(R3)=C(R3), 또는 CH2NHC(=O) 인 방법.
  15. 제 7 항에 있어서, R7 이 CH3, 에틸, 이소프로필, CF3, CN, 또는 OCH3 인 방법.
  16. 제 7 항에 있어서, R8 이 CH3, 페닐, 및 벤질인 방법.
  17. 제 7 항에 있어서, Z 가 바이시클릭인 방법.
  18. ADAMTS-5 를 잠재적 작용제와 접촉시키고, 잠재적 작용제의 존재 하에 ADAMTS-5 의 활성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그 활성의 감소를, ADAMTS-5-관련 질병에 대한 상기 잠재적 작용제의 치료 유용성 지표로 하는, ADAMTS-5-관련 질병의 치료에 유용한 잠재적 작용제의 동정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활성이 메탈로프로티나제 활성 및 어그리카나제 활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방법.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ADAMTS-5 가 세포 내에 있고, 그 활성이 세포 내에서 측정되는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ADAMTS-5 가 결핍된 세포를 잠재적 작용제와 접촉시키고, ADAMTS-5 가 결핍된 세포에서 활성을 측정하며, 그 활성을 ADAMTS-5 보유 세포의 활성과 비교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2. 제 18 항에 있어서, ADAMTS-5-관련 질병이, 골관절염, 암, 천식, 만성 폐색성 폐질환 ("COPD"), 죽상동맥경화증, 연령관련 황반변성, 심근경색증, 각막 궤양 및 기타 안구표면 질환, 간염, 대동맥류, 건염, 중추신경계 질환, 비정상적 상처치유, 혈관형성, 재협착, 경화증, 다발경화증, 사구체신염, 이식대숙주 병, 당뇨병, 염증성 장질환, 쇼크, 무척추 디스크 퇴행증, 뇌졸중, 골감소증, 및 치주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방법.
  23. 제 18 항에 있어서, ADAMTS-5-관련 질병이 골관절염인 방법.
  24. ADAMTS-5 를 하기 화학식 I 의 화합물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ADAMTS-5 활성의 조절 방법:
    [화학식 I]
    Figure 112006047626195-PCT00148
    [식에서:
    R1 은 H 또는 C1-C6 알킬;
    R2 는 H, C1-C6 알킬, (CH2)nR2', 페닐, 또는 벤질;
    n 은 0~6;
    R2' 는 아릴, 헤테로아릴,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로알킬;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OC(할로겐)3, C(할로겐)3, 알콕시, 또는 C1-C6 알킬이고;
    X 는 CH2O, OCH2, C(R3)=C(R3), C(R3)2-C(R3)2, CH2NHC(=O), O(C=O)NH, O, C(=O)CH2, SO2CH2C(=O)NH, SO2NH, OC(=O), CH2S(O), 및 CH2S(O)2 중에서 선택되고;
    Z 는 하나 이상의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잔기이다].
  25. 제 24 항에 있어서, Z 가 피리딘, 피리미딘, 피라진, 피리다진, 페닐, 나프탈렌, 퓨란, 티오펜, 피롤, 피라졸, 이미다졸, 옥사졸, 이소옥사졸, 티아졸, 벤조티아졸, 퀴놀린, 또는 이소퀴놀린, 또는 하기 식인 방법:
    Figure 112006047626195-PCT00149
    [식에서:
    U 는 S, O, C(R3)=C(R3), C(R3)=N, 및 N(R4) 중에서 선택되고;
    W 는 C(R3), 및 N 중에서 선택되고;
    M 은 C(R3), 및 N 중에서 선택되고;
    L 은 S, O, C(R3)=C(R3), C(R3)=N, 및 N(R4) 중에서 선택되고;
    R4 및 R5 는, 각각 독립적으로, 서로에 대한 결합, H, C1-C6 알킬, 또는 페닐이고;
    R7 은 R3 에 대한 결합, H, 할로겐, C(할로겐)3, NR4R5, N[(CH2)2]2O, N[(CH2)2]2NR4, NHSO2R4, NR4C(=O)R5, NHC(=O)OR4, NO2, SO2NR4R5, SO2R4, OR4, C(=O)R4, COOR4, CONR4R5, CN, 페닐, 헤테로아릴, C1-C6 알킬, C2-C6 알케닐, 또는 C2-C6 알키닐 중에서 선택되고;
    R8 은 H, 페닐, 헤테로아릴, 및 C1-C6 알킬 중에서 선택된다].
  26. 제 25 항에 있어서, R7 이 NR4R5, N[(CH2)2]2O, N[(CH2)2]2NR4, NHSO2R4, NR4C(=O)R5, NHC(=O)OR4, NO2, SO2NR4R5, SO2R4, OR8, C(=O)R4, COOR4, CONR4R5, CN, 페닐, 또는 헤테로아릴로 치환된 것인 방법.
  27. 제 25 항에 있어서, R8 이 NR4R5, N[(CH2)2]2O, N[(CH2)2]2NR4, NR4SO2R5, NR4C(=O)R5, NHC(=O)OR4, NO2, SO2NR4R5, SO2R4, C(=O)R4, COOR4, CONR4R5, CN, 페닐, 또는 헤테로아릴로 치환된 것인 방법.
  28. 제 24 항에 있어서, R1 이 H 또는 분지형 알킬인 방법.
  29. 제 24 항에 있어서, R1 이 이소프로필인 방법.
  30. 제 24 항에 있어서, R3 이 할로겐, CF3, OCH3, 또는 CH3 인 방법.
  31. 제 24 항에 있어서, X 가 CH2O, OCH2, C(R3)=C(R3), 또는 CH2NHC(=O) 인 방법.
  32. 제 24 항에 있어서, R7 이 CH3, 에틸, 이소프로필, CF3, CN, 또는 OCH3 인 방법.
  33. 제 24 항에 있어서, R8 이 CH3, 페닐, 및 벤질인 방법.
  34. 제 24 항에 있어서, Z 가 바이시클릭인 방법.
  35. 제 24 항에 있어서, 활성이 메탈로프로티나제 활성인 방법.
  36. 제 35 항에 있어서, 활성이 어그리카나제 활성인 방법.
  37. 제 7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화합물이 표 1 에 열거된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방법.
  38. 제 1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작용제가 항-ADAMTS-5 항체인 방법.
  39. 제 38 항에 있어서, 항체가 메탈로프로테아제 저해 활성을 갖는 것인 방법.
  40. 제 39 항에 있어서, 항체가 어그리카나제 저해 활성을 갖는 것인 방법.
KR1020067013354A 2003-12-04 2004-11-08 Adamts-5-관련 질병의 치료 방법 KR200700173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3354A KR20070017308A (ko) 2003-12-04 2004-11-08 Adamts-5-관련 질병의 치료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0/526,883 2003-12-04
KR1020067013354A KR20070017308A (ko) 2003-12-04 2004-11-08 Adamts-5-관련 질병의 치료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308A true KR20070017308A (ko) 2007-02-09

Family

ID=43651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3354A KR20070017308A (ko) 2003-12-04 2004-11-08 Adamts-5-관련 질병의 치료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7308A (ko)

Cited B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361A (ko) 2020-05-04 2020-05-22 김용원 발판보드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56359A (ko) 2020-04-29 2020-05-22 김용원 퀵보드 등 승용기구바퀴(회전자)에 설치되는 바퀴덮개(고정자)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56360A (ko) 2020-04-29 2020-05-22 김용원 자전거바퀴(회전자)와 바퀴덮개(고정자)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60308A (ko) 2020-05-07 2020-05-29 김용원 수상보드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60307A (ko) 2020-05-06 2020-05-29 김용원 자전거와 리어 캐리어에 설치하는 발전장치들
KR20200060309A (ko) 2020-05-08 2020-05-29 김용원 헬스차량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61324A (ko) 2020-05-11 2020-06-02 김용원 보트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62092A (ko) 2020-05-11 2020-06-03 김용원 수차와 공기 컴프레서를 이용한 공기 터빈구조 발전기와 바퀴구조 발전기를 합한 발전기
KR20200068614A (ko) 2020-05-26 2020-06-15 김용원 펠티어소자를 이용한 공기, 물 컨디션너 조절장치 내에 설치한 발전기
KR20200083393A (ko) 2020-06-16 2020-07-08 김용원 "공기 터빈구조 발전기"와 "바퀴구조를 합한 발전기"를 "발열소자를 이용한 발전기"와 적용 양방향 모터(양방향 프로펠러)를 양방향공기추진기(Propullor)와 결합 장착한 드론
KR20200088241A (ko) 2020-06-30 2020-07-22 김용원 역방향 모터(양방향 프로펠러)의 추진에 맞는 관성을 이기는 팬이 없는 양방향공기추진기(Propullor)를 장착한 드론
KR20200108392A (ko) 2020-08-31 2020-09-18 김용원 전동 오토바이 모터의 정격에 맞는 오토바이바퀴에 회전자와 물받이 고정자 발전기를 설치한 오토바이에 모터가 장착된 항공기 공기추진기(Propulsor)와 장착한 드론의 프로퓰러(Propullor)를 장착하는 제조기술)
KR20210018367A (ko) 2021-01-26 2021-02-17 김용원 전동 오토바이에 설치한 모터가 장착된 항공기 공기추진기와 장착한 프로퓰러(Propullor)로 구성한 오토에어크라프트(Autoaircraft)
KR20210029730A (ko) 2021-02-22 2021-03-16 김용원 산사태에 대비, 대응하는 에어 레이어들 블록들이 형성된 거대장비들(에어 레이어들 블록들)
KR20210040852A (ko) 2021-03-24 2021-04-14 김용원 전동에어버스
KR20210043513A (ko) 2021-03-26 2021-04-21 김용원 전동에어버스에 설치하는 연기(분연), 재 포집장치
KR20210045369A (ko) 2021-03-31 2021-04-26 김용원 전기 에어 카
KR20210049046A (ko) 2021-04-13 2021-05-04 김용원 전기에어버스를 강풍, 태풍에 구조하는 보조날개와 보조출입문 장치
KR20210055643A (ko) 2021-04-27 2021-05-17 김용원 모터가 장착된 회전축에 다량의 회전자바퀴와 다량의 고정자바퀴발전기를 설치한 전동보드
KR20210072739A (ko) 2021-05-27 2021-06-17 김용원 의료용 전동보드
KR20210080293A (ko) 2021-06-11 2021-06-30 김용원 바퀴 사이 발전기 케이스
KR20220016234A (ko) 2022-01-14 2022-02-08 김용원 공기추진기(공기펌프와 공기터빈)를 장착한 3륜 자전거
KR20220038026A (ko) 2022-02-24 2022-03-25 김용원 4합 공기터빈 : 공기터빈 축에 1. 인너 팬들의 인너 실린더와 2. 아웃터 팬들의 아웃터 실린더와 3. 양쪽 1. 인너 실린더들과 2. 아웃터 실린더들의 사이에 아웃터 팬들에 덕트팬들과 덕트흡입구와 4 1. 인너 실린더들과 2. 아웃터 실린더들의 사이에 아웃터 팬들의 3. 덕트팬들에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외부 형틀
KR20220056159A (ko) 2022-04-04 2022-05-04 김용원 물탱크 내의 스팀집 슈퍼히터에 전력공급한 스팀공급으로 스팀터빈을 구동하는 것과 슈퍼히터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청소기에 발전기들을 설치하는 것과 공기터빈의 흡입구들의 공기필터들 설치와 펠티에소자를 이용한 냉온 공기배출과 얼음제조기 시스템
KR20220056835A (ko) 2022-04-18 2022-05-06 김용원 공기추진기(공기펌프와 여러 공기터빈들)들을 장착한 수상 자전거
KR20220076421A (ko) 2022-05-11 2022-06-08 김용원 공기추진기(공기펌프와 공기터빈들)들을 장착한 페달자전차
KR20220080053A (ko) 2022-05-27 2022-06-14 김용원 다중 에어 레이어 튜브보트

Cited B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359A (ko) 2020-04-29 2020-05-22 김용원 퀵보드 등 승용기구바퀴(회전자)에 설치되는 바퀴덮개(고정자)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56360A (ko) 2020-04-29 2020-05-22 김용원 자전거바퀴(회전자)와 바퀴덮개(고정자)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56361A (ko) 2020-05-04 2020-05-22 김용원 발판보드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60307A (ko) 2020-05-06 2020-05-29 김용원 자전거와 리어 캐리어에 설치하는 발전장치들
KR20200060308A (ko) 2020-05-07 2020-05-29 김용원 수상보드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60309A (ko) 2020-05-08 2020-05-29 김용원 헬스차량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61324A (ko) 2020-05-11 2020-06-02 김용원 보트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62092A (ko) 2020-05-11 2020-06-03 김용원 수차와 공기 컴프레서를 이용한 공기 터빈구조 발전기와 바퀴구조 발전기를 합한 발전기
KR20200068614A (ko) 2020-05-26 2020-06-15 김용원 펠티어소자를 이용한 공기, 물 컨디션너 조절장치 내에 설치한 발전기
KR20200083393A (ko) 2020-06-16 2020-07-08 김용원 "공기 터빈구조 발전기"와 "바퀴구조를 합한 발전기"를 "발열소자를 이용한 발전기"와 적용 양방향 모터(양방향 프로펠러)를 양방향공기추진기(Propullor)와 결합 장착한 드론
KR20200088241A (ko) 2020-06-30 2020-07-22 김용원 역방향 모터(양방향 프로펠러)의 추진에 맞는 관성을 이기는 팬이 없는 양방향공기추진기(Propullor)를 장착한 드론
KR20200108392A (ko) 2020-08-31 2020-09-18 김용원 전동 오토바이 모터의 정격에 맞는 오토바이바퀴에 회전자와 물받이 고정자 발전기를 설치한 오토바이에 모터가 장착된 항공기 공기추진기(Propulsor)와 장착한 드론의 프로퓰러(Propullor)를 장착하는 제조기술)
KR20210018367A (ko) 2021-01-26 2021-02-17 김용원 전동 오토바이에 설치한 모터가 장착된 항공기 공기추진기와 장착한 프로퓰러(Propullor)로 구성한 오토에어크라프트(Autoaircraft)
KR20210029730A (ko) 2021-02-22 2021-03-16 김용원 산사태에 대비, 대응하는 에어 레이어들 블록들이 형성된 거대장비들(에어 레이어들 블록들)
KR20210040852A (ko) 2021-03-24 2021-04-14 김용원 전동에어버스
KR20210043513A (ko) 2021-03-26 2021-04-21 김용원 전동에어버스에 설치하는 연기(분연), 재 포집장치
KR20210045369A (ko) 2021-03-31 2021-04-26 김용원 전기 에어 카
KR20210049046A (ko) 2021-04-13 2021-05-04 김용원 전기에어버스를 강풍, 태풍에 구조하는 보조날개와 보조출입문 장치
KR20210055643A (ko) 2021-04-27 2021-05-17 김용원 모터가 장착된 회전축에 다량의 회전자바퀴와 다량의 고정자바퀴발전기를 설치한 전동보드
KR20210072739A (ko) 2021-05-27 2021-06-17 김용원 의료용 전동보드
KR20210080293A (ko) 2021-06-11 2021-06-30 김용원 바퀴 사이 발전기 케이스
KR20220016234A (ko) 2022-01-14 2022-02-08 김용원 공기추진기(공기펌프와 공기터빈)를 장착한 3륜 자전거
KR20220038026A (ko) 2022-02-24 2022-03-25 김용원 4합 공기터빈 : 공기터빈 축에 1. 인너 팬들의 인너 실린더와 2. 아웃터 팬들의 아웃터 실린더와 3. 양쪽 1. 인너 실린더들과 2. 아웃터 실린더들의 사이에 아웃터 팬들에 덕트팬들과 덕트흡입구와 4 1. 인너 실린더들과 2. 아웃터 실린더들의 사이에 아웃터 팬들의 3. 덕트팬들에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외부 형틀
KR20220056159A (ko) 2022-04-04 2022-05-04 김용원 물탱크 내의 스팀집 슈퍼히터에 전력공급한 스팀공급으로 스팀터빈을 구동하는 것과 슈퍼히터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청소기에 발전기들을 설치하는 것과 공기터빈의 흡입구들의 공기필터들 설치와 펠티에소자를 이용한 냉온 공기배출과 얼음제조기 시스템
KR20220056835A (ko) 2022-04-18 2022-05-06 김용원 공기추진기(공기펌프와 여러 공기터빈들)들을 장착한 수상 자전거
KR20220076421A (ko) 2022-05-11 2022-06-08 김용원 공기추진기(공기펌프와 공기터빈들)들을 장착한 페달자전차
KR20220080053A (ko) 2022-05-27 2022-06-14 김용원 다중 에어 레이어 튜브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17308A (ko) Adamts-5-관련 질병의 치료 방법
US7390833B2 (en) Method for treating ADAMTS-5-associated disease
CA2994688C (en) 1,3,4-oxadiazole derivative compounds as histone deacetylase 6 inhibitor, and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9266872B2 (en) 2-hydroxyarylamide derivative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containing same as active ingredient
JP5450105B2 (ja) ビフェニル−4−イル−スルホン酸アリールアミド及びその治療剤としての使用
US20050119304A1 (en) Urea derivatives
DK158466B (da) Analogi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et alkanolaminderivat
JP2005513154A (ja) 尿素誘導体
JP2001521504A (ja) メタロプロテイナーゼ阻害薬、それらを含有する薬剤組成物および薬剤としてのそれらの使用
JP4335131B2 (ja) ヒドロキシテトラヒドロ−ナフタレニル尿素誘導体
BRPI0615631A2 (pt) composto, composição farmacêutica, e, uso de uma composição farmacêutica
US9656949B2 (en) Substituted carboxylic acid derivatives as aggrecanase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osteoarthritis
JP2003192659A (ja) フェニル尿素誘導体
US20060167087A1 (en) Substituted aniline derivatives
JP2003192660A (ja) 尿素誘導体
US9365533B2 (en) Coumarin derivative
KR20200061428A (ko) 사이클릭카복실산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U2004200075A1 (en) Biaryl sulfonamides and methods for using same
KR101000688B1 (ko) 히드록시 테트라히드로-나프탈레닐우레아 유도체
MXPA06006206A (en) Biaryl sulfonamides and methods for using same
WO2012174730A1 (zh) 组蛋白去乙酰化酶抑制剂ZYJ-D08a及其差向异构体的制备方法与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