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6791A -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6791A
KR20070016791A KR1020050071783A KR20050071783A KR20070016791A KR 20070016791 A KR20070016791 A KR 20070016791A KR 1020050071783 A KR1020050071783 A KR 1020050071783A KR 20050071783 A KR20050071783 A KR 20050071783A KR 20070016791 A KR20070016791 A KR 20070016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impulsive
data voltage
liquid crystal
high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1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2130B1 (ko
Inventor
이준우
이창훈
한은희
김희섭
루지안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1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2130B1/ko
Priority to US11/482,085 priority patent/US8085229B2/en
Priority to TW095125387A priority patent/TWI424396B/zh
Priority to CN2006101107266A priority patent/CN1908747B/zh
Priority to JP2006214329A priority patent/JP4916244B2/ja
Publication of KR20070016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6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3Details of the generation of driving signals
    • G09G2310/0251Precharge or discharge of pixel before applying new pixel volt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1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for resetting or blan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상을 표시하는 정규 데이터 전압의 사이에 임펄시브 전압을 인가할 때, 최고 계조에서의 임펄시브 전압과 정규 데이터 전압을 조절하여 액정 표시 장치의 휘도를 향상시킨다.
즉, 정규 데이터 전압으로 0V를 인가할 때 OCB 액정의 구부러짐 배열이 깨어지도록 하는 임펄시브 전압을 최고 계조에서의 임펄시브 전압으로 설정하고, 이때 0V 이상 일정 범위에서 OCB 액정의 구부러짐 배열이 깨어지는 깨어짐 영역(0~Vc')이 발생하는데, 이 깨어짐 영역의 최대 전압(VB)보다 높은 전압을 화이트 전압으로 하여 OCB 액정 표시 장치의 휘도를 향상시킨다.
임펄시브, OCB 액정, 구부러짐 배열, 액정 표시 장치

Description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FOR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한 화소에 대한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 및 액정의 배향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 데이터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 정규 데이터 전압만을 인가한 경우(점선 곡선)와 정규 데이터 전압의 사이에 임펄시브 전압을 인가한 경우(실선 곡선)의 휘도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감마 곡선으로, (i) 곡선은 정규 데이터에 대한 감마 곡선이며, (ii) 곡선은 임펄시브 데이터에 대한 감마 곡선이며, (iii) 곡선은 최대 계조(Gmax)에서 임펄시브 전압으로 임펄시브 임계 전압(Vc')이 인가되는 감마 곡선이다.
도 7은 최고 계조에서의 임펄시브 전압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전압 대 휘 도 곡선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3: 액정층 11, 21: 배향막
12, 22: 편광자 31: 액정 분자
100: 하부 표시판 200: 상부 표시판
300: 액정 표시판 조립체 400: 게이트 구동부
500: 데이터 구동부 600: 신호 제어부
800: 계조 전압 생성부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평판 표시 장치 중 하나로서,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등 전기장 생성 전극(field generating electrode)이 형성되어 있는 두 장의 표시판과 그 사이에 들어 있는 액정층을 포함한다. 액정 표시 장치는 전기장 생성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층에 전기장을 생성하고, 이를 통하여 액정층의 액정 분자들의 방향을 결정하고 입사광의 편광을 제어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 중에서 응답 속도 및 기준 시야각을 개선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었으며, 그 예로 OCB(optically compensated bend) 방식의 액 정 표시 장치를 들 수 있다.
이러한 OCB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두 전기장 생성 전극에 전기장이 인가되었을 때 액정 분자가 두 기판 사이의 중심면에 대하여 대칭이면서 기판 면에서 중심면에 이르기까지 수평 배열에서 수직 배열로 변하므로 넓은 기준 시야각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액정 분자의 배열을 얻기 위해서는 두 기판의 배향막을 같은 방향으로 러빙 등 배향 처리하고 처음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구부러짐(bend) 배열로 만든다.
그러나 전압이 소정 값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 액정층의 구부러짐(bend) 배열이 깨질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구부러짐(bend) 배열이 깨지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OCB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의 휘도도 향상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화상을 표시하는 정규 데이터 전압의 사이에 임펄시브 전압을 인가하며, 최고 계조에서의 임펄시브 전압과 정규 데이터 전압을 조절하여 액정 표시 장치의 휘도를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서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들어 있는 액정층을 포함하며, 외부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휘도를 나타내는 정규 데이터 전압과 상기 정규 데이터 전압보 다 낮은 휘도를 나타내는 임펄시브 전압을 상기 제1 전극에 주기적으로 번갈아 인가하고, 최고 계조에서 상기 임펄시브 전압은 2.0V 이상 3.5V 이하의 값을 가지며, 최고 계조에서의 상기 정규 데이터 전압은 0.2V 이상 0.9V 이하의 값을 가진다.
상기 임펄시브 전압은 일정 계조이하에서는 블랙을 표시하는 전압을 가지며, 그 이상에서는 단조 증가하는 휘도를 표시할 수 있는 전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노멀리 화이트일 수 있다.
상기 정규 데이터 전압과 상기 임펄시브 전압이 유지되는 시간비를 듀티비(duty ratio)라 할 때, 상기 듀티비는 1:1 내지 4:1일 수 있다.
상기 듀티비에서 상기 임펄시브 전압이 유지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최고 계조에서의 상기 임펄시브 전압이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최고 계조에서 임펄시브 전압은 2.0V이고, 상기 최고 계조에서 상기 정규 데이터 전압은 0,9V 일 수 있다.
상기 듀티비가 2:1이고, 최고 계조에서의 상기 정규 데이터 전압이 0.35V일 때 최고 계조에서의 상기 임펄시브 데이터 전압은 3.53V일 수 있다.
상기 듀티비가 2:1이고, 최고 계조에서의 상기 정규 데이터 전압이 0.50V일 때 최고 계조에서의 상기 임펄시브 데이터 전압은 3.50V일 수 있다.
상기 듀티비가 2:1이고, 최고 계조에서의 상기 정규 데이터 전압이 0.70V일 때 최고 계조에서의 상기 임펄시브 데이터 전압은 3.20V일 수 있다.
상기 듀티비가 2:1이고, 최고 계조에서의 상기 정규 데이터 전압이 0.90V일 때 최고 계조에서의 상기 임펄시브 데이터 전압은 2.90V일 수 있다.
상기 듀티비가 3:1이고, 최고 계조에서의 상기 정규 데이터 전압이 0.35V일 때 최고 계조에서의 상기 임펄시브 데이터 전압은 4.14V일 수 있다.
상기 듀티비가 3:1이고, 최고 계조에서의 상기 정규 데이터 전압이 0.50V일 때 최고 계조에서의 상기 임펄시브 데이터 전압은 4.10V일 수 있다.
상기 듀티비가 3:1이고, 최고 계조에서의 상기 정규 데이터 전압이 0.70V일 때 최고 계조에서의 상기 임펄시브 데이터 전압은 3.80V일 수 있다.
상기 듀티비가 3:1이고, 최고 계조에서의 상기 정규 데이터 전압이 0.90V일 때 최고 계조에서의 상기 임펄시브 데이터 전압은 3.40V일 수 있다.
상기 듀티비가 1:1이고, 최고 계조에서의 상기 정규 데이터 전압이 0.90V일 때 최고 계조에서의 상기 임펄시브 데이터 전압은 2.70V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서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들어 있으며, 구부러짐 배열을 가지는 액정층을 포함하며, 외부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휘도를 나타내는 정규 데이터 전압과 상기 정규 데이터 전압보다 낮은 휘도를 나타내는 임펄시브 전압을 상기 제1 전극에 주기적으로 번갈아 인가하고, 최고 계조에서의 상기 임펄시브 전압으로 2.0V이상 3.5V이하의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최고 계조의 임펄시브 전압을 인가할 때 상기 정규 데이터 전압범위 중 상기 구부러짐 액정이 깨어지는 범위 외의 전압 구간을 상기 정규 데이터 전압 구간으로 설정한다.
상기 임펄시브 전압은 일정 계조이하에서는 블랙을 표시하는 전압을 가지며, 그 이상에서는 단조 증가하는 휘도를 표시할 수 있는 전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노멀리 화이트일 수 있다.
상기 정규 데이터 전압과 상기 임펄시브 전압이 유지되는 시간비를 듀티비(duty ratio)라 할 때, 상기 듀티비는 1:1 내지 4:1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서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들어 있으며, 구부러짐 배열을 가지는 액정층을 포함하며, 외부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휘도를 나타내는 정규 데이터 전압과 상기 정규 데이터 전압보다 낮은 휘도를 나타내는 임펄시브 전압을 상기 제1 전극에 주기적으로 번갈아 인가하고, 상기 정규 데이터 전압으로 0V를 인가할 때 상기 구부러짐 배열이 깨어지기시작하는 상기 임펄시브 전압을 임펄시브 임계 전압이라 할 때, 상기 임펄시브 임계 전압이하의 전압을 최고 계조에서의 임펄시브 전압으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최고 계조의 임펄시브 전압을 인가할 때 상기 정규 데이터 전압범위 중 상기 구부러짐 액정이 깨어지는 범위외의 전압 구간을 상기 정규 데이터 전압 구간으로 설정한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먼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한 화소에 대한 등가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판 조립체(liquid crystal panel assembly)(300) 및 이에 연결된 게이트 구동부(400)와 데이터 구동부(500), 데이터 구동부(500)에 연결된 계조 전압 생성부(800), 그리고 이들을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는 등가 회로로 볼 때 복수의 표시 신호선(G1-Gn, D1-Dm)과 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대략 행렬의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pixel)(PX)를 포함한다. 반면, 도 2에 도시한 구조로 볼 때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는 서로 마주하는 하부 및 상부 표시판(100, 200)과 그 사이에 들어 있는 액정층(3)을 포함한다. 여기서 액정층(3)은 도 3과 같이 하부 및 상부 표시판(100, 200)의 중심면에 대하여 대칭인 구부러짐(bend) 배열을 가지는 OCB(optically compensated bend) 액정을 포함한다.
신호선(G1-Gn, D1-Dm)은 게이트 신호("주사 신호"라고도 함)를 전달하는 복수 의 게이트선(G1-Gn)과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선(D1-Dm)을 포함한다. 게이트선(G1-Gn)은 대략 행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고, 데이터선(D1-Dm)은 대략 열 방향으로 뻗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다.
각 화소(PX), 예를 들면 i번째(i=1, 2, ..., n) 게이트선(Gi)과 j번째(j=1, 2, ..., m) 데이터선(Dj)에 연결된 화소(PX)는 신호선(Gi, Dj)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Q)와 이에 연결된 액정 축전기(liquid crystal capacitor)(Clc) 및 유지 축전기(storage capacitor)(Cst)를 포함한다. 유지 축전기(Cst)는 필요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스위칭 소자(Q)는 하부 표시판(100)에 구비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삼단자 소자로서, 그 제어 단자는 게이트선(G1-Gn)과 연결되어 있고, 입력 단자는 데이터선(D1-Dm)과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액정 축전기(Clc) 및 유지 축전기(Cst)와 연결되어 있다.
액정 축전기(Clc)는 하부 표시판(100)의 화소 전극(191)과 상부 표시판(200)의 공통 전극(270)을 두 단자로 하며 두 전극(191, 270) 사이의 액정층(3)은 유전체로서 기능한다. 화소 전극(191)은 스위칭 소자(Q)와 연결되며 공통 전극(270)은 상부 표시판(200)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고 공통 전압(Vcom)을 인가받는다. 도 2에서와는 달리 공통 전극(270)이 하부 표시판(100)에 구비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때에 는 두 전극(191, 270) 중 적어도 하나가 선형 또는 막대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액정 축전기(Clc)의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유지 축전기(Cst)는 하부 표시판(100)에 구비된 별개의 신호선(도시하지 않음)과 화소 전극(191)이 절연체를 사이에 두고 중첩되어 이루어지며 이 별개의 신호선에는 공통 전압(Vcom) 따위의 정해진 전압이 인가된다. 그러나 유지 축전기(Cst)는 화소 전극(191)이 절연체를 매개로 바로 위의 전단 게이트선과 중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색 표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각 화소(PX)가 기본색(Primary color) 중 하나를 고유하게 표시하거나(공간 분할) 각 화소(PX)가 시간에 따라 번갈아 기본색을 표시하게(시간 분할) 하여 이들 기본색의 공간적, 시간적 합으로 원하는 색상이 인식되도록 한다. 기본색의 예로는 적색, 녹색, 청색 등 삼원색을 들 수 있다. 도 2는 공간 분할의 한 예로서 각 화소(PX)가 화소 전극(191)에 대응하는 상부 표시판(200)의 영역에 기본색 중 하나를 나타내는 색 필터(230)를 구비함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와는 달리 색 필터(230)는 하부 표시판(100)의 화소 전극(191) 위 또는 아래에 형성할 수도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또한 표시판(100, 200) 및 액정층(3)에 빛을 공급하는 조명부(backlight unit)(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판(100, 200)의 바깥쪽 면에는 편광자(polarizer)(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는데, 두 편광자의 투과축은 직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자와 표시판(100, 200)의 사이에는 보상 필름이 부착될 수 있으며, 보상 필름으로는 C 플레이트 보상 필름 또는 이축성 보상 필름 등이 사용된다.
액정층(3)은 유전율 이방성이 양인 네마틱 액정을 포함하며, OCB(optically compensated bend) 방식으로 배향되어 도 3과 같이 구부러짐(bend) 배열을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OCB 액정 표시 장치는 노멀리 화이트, 즉, 전압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화이트를 표시한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계조 전압 생성부(800)는 화소(PX)의 투과율과 관련된 두 개의 계조 전압 집합을 생성한다. 두 계조 전압 집합은 서로 다른 감마 곡선에 근거하여 생성되며,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고하여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게이트 구동부(400)는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의 게이트선(G1-Gn)과 연결되어 게이트 온 전압(Von)과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게이트 신호를 게이트선(G1-Gn)에 인가한다.
데이터 구동부(500)는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의 데이터선(D1-Dm)에 연결되어 있으며, 계조 전압 생성부(800)로부터의 계조 전압을 선택하고 이를 데이터 신호로서 데이터선(D1-Dm)에 인가한다. 그러나 계조 전압 생성부(800)가 모든 계조에 대한 전압을 모두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정해진 수의 기준 계조 전압만을 제공하는 경우에, 데이터 구동부(500)는 기준 계조 전압을 분압하여 전체 계조에 대한 계조 전압을 생성하고 이 중에서 데이터 신호를 선택한다.
신호 제어부(600)는 게이트 구동부(400) 및 데이터 구동부(500) 등을 제어한 다.
이러한 구동 장치(400, 500, 600, 800)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집적 회로 칩의 형태로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 위에 집적 장착되거나, 가요성 인쇄 회로막(flexible printed circuit film)(도시하지 않음) 위에 장착되어 TCP(tape carrier package)의 형태로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에 부착되거나, 별도의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도시하지 않음) 위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이들 구동 장치(400, 500, 600, 800)가 신호선(G1-Gn, D1-Dm) 및 박막 트랜지스터 스위칭 소자(Q) 따위와 함께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에 집적될 수도 있다. 또한, 구동 장치(400, 500, 600, 800)는 단일 칩으로 집적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 소자가 단일 칩 바깥에 있을 수 있다.
그러면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동작에 대하여 도 4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 데이터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신호 제어부(600)는 외부의 그래픽 제어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입력 영상 신호(R, G, B) 및 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입력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입력 영상 신호(R, G, B)는 각 화소(PX)의 휘도(luminance) 정보를 담고 있으며 휘도는 정해진 수효, 예를 들면 1024(=210), 256(=28) 또는 64(=26) 개의 계조(gray)를 가지고 있다. 입력 제어 신호의 예로는 수직 동기 신호(Vsync)와 수평 동기 신호(Hsync), 메인 클록(MCLK),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등이 있다.
신호 제어부(600)는 입력 영상 신호(R, G, B)와 입력 제어 신호를 기초로 입력 영상 신호(R, G, B)를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 및 데이터 구동부(500)의 동작 조건에 맞게 적절히 처리하고 게이트 제어 신호(CONT1) 및 데이터 제어 신호(CONT2) 등을 생성한 후, 게이트 제어 신호(CONT1)를 게이트 구동부(400)로 내보내고 데이터 제어 신호(CONT2)와 처리한 영상 신호(DAT)는 데이터 구동부(500)로 내보낸다.
게이트 제어 신호(CONT1)는 주사 시작을 지시하는 주사 시작 신호(STV)와 게이트 온 전압(Von)의 출력 주기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록 신호를 포함한다. 게이트 제어 신호(CONT1)는 또한 게이트 온 전압(Von)의 지속 시간을 한정하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O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제어 신호(CONT2)는 한 행의 화소(PX)에 대한 영상 데이터의 전송 시작을 알리는 수평 동기 시작 신호(STH)와 데이터선(D1-Dm)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라는 로드 신호(LOAD) 및 데이터 클록 신호(HCLK)를 포함한다. 데이터 제어 신호(CONT2)는 또한 공통 전압(Vcom)에 대한 데이터 신호의 전압 극성(이하 "공통 전압에 대한 데이터 신호의 전압 극성"을 줄여 "데이터 신호의 극성"이라 함)을 반전시키는 반전 신호(RV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신호 제어부(600)가 데이터 구동부(500)에 내보내는 영상 신호(DAT)는 정규 영상 데이터(d11-dnm)와 임펄시브 데이터(g1)를 포함한다. 정규 영상 데이터(d11-dnm)와 임펄시브 데이터(g1)의 계조 값은 동일하다. 그러나 입력 영상 신호(R, G, B)를 정해준 규칙에 따라 보정하여 임펄시브 데이터(g1)를 만들 수도 있다.
신호 제어부(600)로부터의 데이터 제어 신호(CONT2)에 따라, 데이터 구동부(500)는 정규 영상 데이터(d11-dnm) 및 임펄시브 데이터(g1)를 수신하고, 이를 정규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 및 임펄시브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으로 각각 변환한다. 정규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은 계조 전압 생성부(800)로부터의 두 개의 계조 전압 집합 중 도 6의 (i) 곡선을 충족하는 것에서 선택하고, 임펄시브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은 (ii) 곡선을 충족하는 것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데이터 구동부(500)는 정규 데이터 전압 또는 임펄시브 전압을 해당하는 데이터선(D1-Dm)에 인가한다.
게이트 구동부(400)는 신호 제어부(600)로부터의 게이트 제어 신호(CONT1)에 따라 게이트 온 전압(Von)을 게이트선(G1-Gn)에 인가하여 이 게이트선(G1-Gn)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Q)를 턴온시킨다. 그러면, 데이터선(D1-Dm)에 인가된 데이터 신호가 턴온된 스위칭 소자(Q)를 통하여 해당 화소(PX)에 인가된다.
화소(PX)에 인가된 데이터 신호의 전압과 공통 전압(Vcom)의 차이는 액정 축전기(Clc)의 충전 전압, 즉 화소 전압으로서 나타난다. 액정 분자들은 화소 전압의 크기에 따라 그 배열을 달리하며 이에 따라 액정층(3)을 통과하는 빛의 편광이 변화한다. 이러한 편광의 변화는 표시판 조립체(300)에 부착된 편광자에 의하여 빛의 투과율 변화로 나타난다.
1 수평 주기["1H"라고도 쓰며,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의 한 주기와 동일함]를 단위로 하여 이러한 과정을 되풀이함으로써, 모든 게이트선(G1-Gn)에 대하여 차례로 게이트 온 전압(Von)을 인가하여 모든 화소(PX)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여 한 프레임(frame)의 영상을 표시한다.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신호 제어부(600)는 정규 영상 데이터(d11-dnm)와 임펄시브 데이터(g1)를 번갈아 출력하는데, 이를 수신한 데이터 구동부(500)는 이를 정규 데이터 전압과 임펄시브 전압으로 변환하여 화소(PX)에 인가하는 방식은 다양한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몇 가지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첫 번째 방식은 모든 화소에 정규 데이터 전압을 한 번 인가한 후 다시 모든 화소에 임펄시브 전압을 인가한다.
두 번째 방식은 모든 화소를 화소행 단위로 구분하여 일부 화소행에는 정규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고, 나머지 화소행에는 임펄시브 전압을 인가한다. 이 때, 나머지 화소행에 임펄시브 전압을 인가하는 것은 두가지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하나는 하나의 화소행씩 순차적으로 인가하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복수의 화소행에 한꺼번에 인가하는 방식이다.
세 번째 방식은 모든 화소 중 일부 화소에 정규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고, 그 화소에 다시 임펄시브 전압을 인가한다. 이 때, 임펄시브 전압은 화소행 단위로 순차적으로 인가되거나, 한꺼번에 인가될 수 있다.
네 번째 방식은 하나의 게이트선에 게이트 온 신호가 인가된 시간을 나누어 정규 데이터 전압과 임펄시브 전압을 인가한다. 그 후, 다른 게이트선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정규 데이터 전압과 임펄시브 전압이 인가된다. 여기서 정규 데이터 전압과 임펄시브 전압이 인가되는 시간비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한 프레임이 끝나면 다음 프레임이 시작되고 각 화소(PX)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의 극성이 이전 프레임에서의 극성과 반대가 되도록 데이터 구동부(500)에 인가되는 반전 신호(RVS)의 상태가 제어된다("프레임 반전"). 이때, 한 프레임 내에서도 반전 신호(RVS)의 특성에 따라 한 데이터선을 통하여 흐르는 데이터 신호의 극성이 바뀌거나(보기: 행 반전, 점 반전), 한 화소행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의 극성도 서로 다를 수 있다(열 반전, 점 반전).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휘도에 대하여 도 5를 참고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 5에는 정규 데이터 전압만을 인가한 경우(점선 곡선)와 정규 데이터 전압의 사이에 임펄시브 전압을 인가한 경우(실선 곡선)의 전압 대 휘도 곡선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정규 데이터 전압의 사이사이에 임펄시브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를 "임펄시브 구동"이라 한다.
점선 곡선과 같이 정규 데이터 전압만을 인가하는 구동에서는 전압이 낮아짐에 따라 휘도가 갑자기 낮아지는 비정상 영역(전압값이 0부터 Vc까지인 구간)이 존 재한다. 이는 휘도가 낮아지기 시작하는 지점에서의 전압, 즉 노말(normal) 임계 전압(Vc) 이하에서 액정의 구부러짐 배향이 깨지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정규 데이터 전압만을 인가하는 경우에 휘도가 전압에 따라 안정적으로 단조 감소하는 특성을 보이는 비정상 영역이상의 전압 범위(A 구간)에서만 예를 들면 2V 이상의 전압 범위에서만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액정 표시 장치가 표시할 수 있는 최고 휘도(B1)가 제한된다.
그러나 실선 곡선과 같이 임펄시브 구동을 하는 경우에는 전 범위에서 전압이 낮아짐에 따라 휘도가 단조 감소하는 특성을 보이고 휘도가 갑자기 떨어지는 등의 비정상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0V부터 2V의 전압범위도 정규 데이터 전압으로 사용할 수 있고 표시할 수 있는 휘도도 정규 데이터 전압만을 인가할 때의 휘도(B1)보다 높아진다(B2). 실험에 의하면 임펄시브 구동시의 최고 휘도(B2)가 정규 데이터 전압만을 인가할 때의 휘도(B1)보다 30%정도 향상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이용하여 최고 계조(Gmax)에서의 전압 및 휘도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감마 곡선으로, (i) 곡선은 정규 데이터에 대한 감마 곡선이며, (ii) 곡선은 임펄시브 데이터에 대한 감마 곡선이며, (iii) 곡선은 정규 데이터 전압이 0V인 경우에 인가하는 임펄시브 전압을 낮추면 OCB 액정의 구부러짐 배열이 깨어지기 시작하는 임펄시브 전압(이하 임펄시브 임계 전압(Vc')이라 함)을 최고 계조에서의 임펄시브 전압으로 설정한 경 우의 감마 곡선이고, 도 7은 최고 계조에서의 임펄시브 전압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전압 대 휘도 곡선이다.
도 6에서 곡선(i)은 액정 표시 장치의 특성에 따라서 정해지며, 곡선(ii)은 F로 표시한 소정 계조(Gmin)보다 작은 계조에 대해서는 블랙을 나타내고, 계조(Gmin) 이상의 계조에 대해서는 단조 증가하는 휘도를 나타낸다. 이때, 단조 증가하는 휘도는 액정 표시 장치의 특성을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으며, 소정 계조(Gmin) 보다 낮은지 높은지를 판단하여 블랙을 표시할지 특정 휘도를 표시하도록 할지는 신호 제어부(600)에서 결정한다. 한편, 곡선(iii)은 최고 계조(Gmax)의 임펄시브 전압으로 임펄시브 임계 전압(Vc')을 인가한 감마 곡선이며, 임펄시브 임계 전압(Vc')을 인가하는 위치는 도 6에서 m 점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이때의 휘도는 Lm으로 표시되어 있다. 한편, 곡선(ii)은 최고 계조(Gmax)의 임펄시브 전압으로 임펄시브 임계 전압(Vc')보다 작은 전압을 인가하며, 휘도면에서는 임펄시브 임계 전압(Vc')을 인가할 때의 휘도(Lm)보다 높은 휘도(LG)를 나타낸다. (ii) 곡선과 같이 임펄시브 전압이 임펄시브 임계 전압(Vc')보다 낮은 경우 OCB 액정의 구부러짐 배열이 깨어지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를 막기 위해서 곡선 (i)의 최고 계조(Gmax)에서의 정상 데이터 전압(이하 '화이트 전압'이라 한다)을 높인다.
도 7에서는 최고 계조(Gmax)에서 임펄시브 전압과 정상 데이터 전압에 따른 휘도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임펄시브 구동에서는 정규 데이터 전압과 임펄시브 전압이 유지되는 시간비[이하 '듀티비(duty ratio)'라 함]가 다양하게 변할 수 있 는데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는 실험 결과는 듀티비가 1:1인 실시예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듀티비(duty ratio)는 1:1에서 4:1사이의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고 계조(Gmax)에서의 임펄시브 전압(Vg)값을 낮추면, 도 7과 같이 최고 계조(Gmax)(도 7에서는 0V)에서 표시할 수 있는 휘도는 높아진다. 그런데, 최고 계조(Gmax)에서의 임펄시브 전압(Vg)값이 임펄시브 임계 전압(Vc')보다 높은 경우에는(도 7의 실험에 따르면 2.4V까지는) 0V에서 OCB 액정의 구부러짐 배열이 깨어지지 않았으나, 임펄시브 임계 전압(vc') 이하의 전압값에서는 0V 부근에서 구부러짐 배열이 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하에서는 구부러짐 배열이 깨어지는 전압 영역(0~VB)을 '깨어짐 영역'이라 한다.
OCB 액정 표시 장치의 휘도를 더 높이기 위하여 최고 계조에서의 임펄시브 전압(Vg)값을 2.0V로 하고 실험을 하였다. 이때 도 7과 같이 깨어짐 영역(B 영역)이 발생한다. 깨어짐 영역(B 영역)에서 구부러짐 배열이 깨어져 휘도가 급감하지는 않아 그래프 상으로 명확하게 구부러짐 배열이 깨어졌는지 확인할 수 없으나, 실제로 액정 배열을 관찰한 결과 구부러짐 배열이 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렇지만, 깨어짐 영역(B 영역)의 최대 전압(VB)보다 높은 전압범위에서는 OCB 액정의 구부러짐 배열이 깨어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최대 계조(Gmax)에서 정상 데이터 전압(화이트 전압)을 높이면, 구부러짐 배열이 깨어지지 않으면서 OCB 액정 표시 장치를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상 데이터 전압을 깨어짐 영역(B 영역)의 최대 전압(VB)보다 높은 전압(Vw)으로 화이트 전압을 설정하는 경우에는 OCB 액정 표시 장치가 표시할 수 있는 최대 휘도(B2.0)가 최대 계조(Gmax)에서 임펄시브 전압(Vg)값으로 임펄시브 임계 전압(Vc')보다 높게 설정한 경우의 최대 휘도(B2.5)보다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험에 의하면 최고 계조(Gmax)에서의 전압(Vw)은 0.9V인 것이 바람직하다.
종합하면, 최고 계조(Gmax)에서 임펄시브 전압(Vg)값을 임펄시브 임계 전압(Vc')보다 낮은 전압으로 설정하고, 이때 0V이상 일정 범위에서 구부러짐 배열이 깨어지는 깨어짐 영역의 최대 전압(VB)보다 높은 전압을 화이트 전압으로 설정하여 OCB 액정 표시 장치의 휘도를 향상시킨다.
도 6에서 (ii) 곡선의 모양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서 변형될 수 있고, (i) 곡선과 (ii) 곡선의 전압 차이는 제작된 패널의 표면상태, 액정 및 배향막 재료, 셀 갭 및 위상차 필름의 크기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만, 도 6의 (i) 곡선을 따르는 최고 계조(Gmax)에서의 정규 데이터 전압(화이트 전압)은 (i1) 곡선을 따르는 최고 계조(Gmax)에서의 임펄시브 전압보다 높거나 같아야 한다.
또한, 도 7의 실시예는 듀티비를 1:1로 하고 있으나, 듀티비를 변경할 수 있으며, 듀티비의 변경에 따라 도 6의 (ii) 곡선도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듀티비에서 임펄시브 데이터의 유지 시간이 길어질수록 OCB 액정의 구부러짐 배열이 안정해지는 특성이 있으므로 최고 계조(Gmax)에서의 임펄시브 전압이 더 낮아질 수 있다. 표시 장치의 휘도는 도 6의 최고 계조(Gmax) 부근에서의 (i) 곡선과 (ii) 곡선의 휘도에 의하여 큰 영향을 받는데, 최고 계조(Gmax)에서의 임펄시브 전압이 낮아지게 되면, 최고 계조(Gmax)에서 임펄시브 데이터로 표시하는 휘도가 높아지므로 표시 장치 자체의 휘도도 향상된다.
아래의 표는 듀티비를 1:1, 2:1, 3:1로 변경하면서 화이트 전압(Vw), 최고 계조에서의 임펄시브 전압(Vg) 및 투과율을 실험을 통하여 조사한 값이다.
Figure 112005043391379-PAT00001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듀티비가 커져 임펄시브 데이터의 유지시간이 줄어들수록 최고 계조의 임펄시브 데이터 전압(Vg)은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표 1에서 대상으로 하는 액정이 도 7의 액정과 달라 듀티비가 1:1인 경우 최고 계조의 임펄시브 데이터 전압(Vg)이 서로 다르다.
듀티비를 일정하게 하고 화이트 전압(Vw)이 높아질수록 최고 계조에서의 임펄시브 데이터 전압(Vg)이 낮아지며, 투과율도 낮아진다.
표 1의 다양한 실시예는 표시 장치의 특성 및 표시 장치의 투과율에 따라서 선택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액정의 특성 및 표시 장치의 특성에 따라서 전압 및 투과율이 다른 실시예도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정규 데이터 전압으로 0V를 인가할 때 OCB 액정의 구부러짐 배열이 깨어지도록 하는 임펄시브 전압을 최고 계조에서의 임펄시브 전압으로 설정하고, 이때 0V이상 일정 범위에서 OCB 액정의 구부러짐 배열이 깨어지는 깨어짐 영역이 발생하는데, 이 깨어짐 영역의 최대 전압(VB)보다 높은 전압을 화이트 전압으로 하여 OCB 액정 표시 장치의 휘도를 향상시킨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0)

  1. 서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들어 있는 액정층
    을 포함하며,
    외부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휘도를 나타내는 정규 데이터 전압과 상기 정규 데이터 전압보다 낮은 휘도를 나타내는 임펄시브 전압을 상기 제1 전극에 주기적으로 번갈아 인가하고,
    최고 계조에서 상기 임펄시브 전압은 2.0V 이상 3.5V 이하의 값을 가지며, 최고 계조에서의 상기 정규 데이터 전압은 0.2V 이상 0.9V 이하의 값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임펄시브 전압은 일정 계조이하에서는 블랙을 표시하는 전압을 가지며, 그 이상에서는 단조 증가하는 휘도를 표시할 수 있는 전압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노멀리 화이트인 액정 표시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정규 데이터 전압과 상기 임펄시브 전압이 유지되는 시간비를 듀티비(duty ratio)라 할 때, 상기 듀티비는 1:1 내지 4:1인 액정 표시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듀티비에서 상기 임펄시브 전압이 유지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최고 계조에서의 상기 임펄시브 전압이 낮아지는 액정 표시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최고 계조에서 임펄시브 전압은 2.0V이고, 상기 최고 계조에서 상기 정규 데이터 전압은 0,9V 인 액정 표시 장치.
  7. 제4항에서,
    상기 듀티비가 2:1이고, 최고 계조에서의 상기 정규 데이터 전압이 0.35V일 때 최고 계조에서의 상기 임펄시브 데이터 전압은 3.53V인 액정 표시 장치.
  8. 제4항에서,
    상기 듀티비가 2:1이고, 최고 계조에서의 상기 정규 데이터 전압이 0.50V일 때 최고 계조에서의 상기 임펄시브 데이터 전압은 3.50V인 액정 표시 장치.
  9. 제4항에서,
    상기 듀티비가 2:1이고, 최고 계조에서의 상기 정규 데이터 전압이 0.70V일 때 최고 계조에서의 상기 임펄시브 데이터 전압은 3.20V인 액정 표시 장치.
  10. 제4항에서,
    상기 듀티비가 2:1이고, 최고 계조에서의 상기 정규 데이터 전압이 0.90V일 때 최고 계조에서의 상기 임펄시브 데이터 전압은 2.90V인 액정 표시 장치.
  11. 제4항에서,
    상기 듀티비가 3:1이고, 최고 계조에서의 상기 정규 데이터 전압이 0.35V일 때 최고 계조에서의 상기 임펄시브 데이터 전압은 4.14V인 액정 표시 장치.
  12. 제4항에서,
    상기 듀티비가 3:1이고, 최고 계조에서의 상기 정규 데이터 전압이 0.50V일 때 최고 계조에서의 상기 임펄시브 데이터 전압은 4.10V인 액정 표시 장치.
  13. 제4항에서,
    상기 듀티비가 3:1이고, 최고 계조에서의 상기 정규 데이터 전압이 0.70V일 때 최고 계조에서의 상기 임펄시브 데이터 전압은 3.80V인 액정 표시 장치.
  14. 제4항에서,
    상기 듀티비가 3:1이고, 최고 계조에서의 상기 정규 데이터 전압이 0.90V일 때 최고 계조에서의 상기 임펄시브 데이터 전압은 3.40V인 액정 표시 장치.
  15. 제4항에서,
    상기 듀티비가 1:1이고, 최고 계조에서의 상기 정규 데이터 전압이 0.90V일 때 최고 계조에서의 상기 임펄시브 데이터 전압은 2.70V인 액정 표시 장치.
  16. 서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들어 있으며, 구부러짐 배열을 가지는 액정층
    을 포함하며,
    외부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휘도를 나타내는 정규 데이터 전압과 상기 정규 데이터 전압보다 낮은 휘도를 나타내는 임펄시브 전압을 상기 제1 전극에 주기적으로 번갈아 인가하고,
    최고 계조에서의 상기 임펄시브 전압으로 2.0V이상 3.5V이하의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최고 계조의 임펄시브 전압을 인가할 때 상기 정규 데이터 전압범위 중 상기 구부러짐 액정이 깨어지는 범위 외의 전압 구간을 상기 정규 데이터 전압 구간으로 설정하는 액정 표시 장치.
  17. 제16항에서,
    상기 임펄시브 전압은 일정 계조이하에서는 블랙을 표시하는 전압을 가지며, 그 이상에서는 단조 증가하는 휘도를 표시할 수 있는 전압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
  18. 제16항에서,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노멀리 화이트인 액정 표시 장치.
  19. 제16항에서,
    상기 정규 데이터 전압과 상기 임펄시브 전압이 유지되는 시간비를 듀티비(duty ratio)라 할 때, 상기 듀티비는 1:1 내지 4:1인 액정 표시 장치.
  20. 서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들어 있으며, 구부러짐 배열을 가지는 액정층
    을 포함하며,
    외부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휘도를 나타내는 정규 데이터 전압과 상기 정규 데이터 전압보다 낮은 휘도를 나타내는 임펄시브 전압을 상기 제1 전극에 주기적으로 번갈아 인가하고,
    상기 정규 데이터 전압으로 0V를 인가할 때 상기 구부러짐 배열이 깨어지기시작하는 상기 임펄시브 전압을 임펄시브 임계 전압이라 할 때, 상기 임펄시브 임계 전압이하의 전압을 최고 계조에서의 임펄시브 전압으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최고 계조의 임펄시브 전압을 인가할 때 상기 정규 데이터 전압범위 중 상기 구부러짐 액정이 깨어지는 범위외의 전압 구간을 상기 정규 데이터 전압 구간으로 설정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50071783A 2005-08-05 2005-08-05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152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1783A KR101152130B1 (ko) 2005-08-05 2005-08-05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US11/482,085 US8085229B2 (en) 2005-08-05 2006-07-06 Optically compensated bend (OCB)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TW095125387A TWI424396B (zh) 2005-08-05 2006-07-12 光學補償彎曲液晶顯示器及其操作方法
CN2006101107266A CN1908747B (zh) 2005-08-05 2006-08-07 光学补偿弯曲液晶显示器和操作所述显示器的方法
JP2006214329A JP4916244B2 (ja) 2005-08-05 2006-08-07 液晶表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1783A KR101152130B1 (ko) 2005-08-05 2005-08-05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6791A true KR20070016791A (ko) 2007-02-08
KR101152130B1 KR101152130B1 (ko) 2012-06-15

Family

ID=37699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1783A KR101152130B1 (ko) 2005-08-05 2005-08-05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85229B2 (ko)
JP (1) JP4916244B2 (ko)
KR (1) KR101152130B1 (ko)
CN (1) CN1908747B (ko)
TW (1) TWI4243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47838B2 (en) 2012-03-14 2015-06-02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liquid crystal display column inversion using 3-column demultiplexers
US9047826B2 (en) 2012-03-14 2015-06-02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liquid crystal display column inversion using reordered image data
US9368077B2 (en) 2012-03-14 2016-06-14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liquid crystal display white point using column inversion
US9047832B2 (en) 2012-03-14 2015-06-02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liquid crystal display column inversion using 2-column demultiplexers
US9245487B2 (en) 2012-03-14 2016-01-26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loss of transmittance due to column inversion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5322A (ja) 1996-06-03 1997-12-16 Canon Inc 液晶装置
US7193594B1 (en) * 1999-03-18 2007-03-2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US7145536B1 (en) * 1999-03-26 2006-12-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3385530B2 (ja) 1999-07-29 2003-03-10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TWI280547B (en) * 2000-02-03 2007-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020010216A (ko) * 2000-07-27 2002-02-04 윤종용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JP2002041002A (ja) 2000-07-28 2002-02-08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0442304B1 (ko) * 2000-07-07 2004-08-04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액정 표시 방법
US6989812B2 (en) 2001-02-05 2006-01-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unit and driving method therefor
KR100783700B1 (ko) 2001-02-14 200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임펄스 구동 방식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와 이의 구동 장치
US7030848B2 (en) * 2001-03-30 2006-04-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KR100401377B1 (ko) 2001-07-09 2003-10-1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JP2003172915A (ja) 2001-09-26 2003-06-20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US7265741B2 (en) 2002-01-21 2007-09-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drive method
JP4028744B2 (ja) 2002-03-29 2007-12-26 東芝松下ディスプレ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0895303B1 (ko) 2002-07-05 2009-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3776868B2 (ja) 2002-10-28 2006-05-17 Nec液晶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4511798B2 (ja) 2002-12-25 2010-07-28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20040061343A (ko) 2002-12-30 2004-07-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오. 씨. 비 모드 액정표시장치
KR100937847B1 (ko) 2003-06-26 2010-01-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0511877B1 (ko) 2003-06-26 2005-09-0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구동 방법
JP4453356B2 (ja) 2003-12-18 2010-04-21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1026809B1 (ko) 2003-12-19 2011-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임펄시브 구동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08747A (zh) 2007-02-07
US20070030227A1 (en) 2007-02-08
JP2007047788A (ja) 2007-02-22
KR101152130B1 (ko) 2012-06-15
JP4916244B2 (ja) 2012-04-11
TW200709147A (en) 2007-03-01
CN1908747B (zh) 2011-05-18
US8085229B2 (en) 2011-12-27
TWI424396B (zh) 2014-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0704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WO2010143348A1 (ja) 液晶表示装置
KR100883270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8643578B2 (en) Method of driving a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display panel
KR20040050868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152130B1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039759A (ko) 액정 표시 장치
US20060238471A1 (en) Driv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a display
WO2012093630A1 (ja) 液晶表示装置
KR101071262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202037B1 (ko) 시야각 제어가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128467B1 (ko) 시야각 제어가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
JP2006119448A (ja) 液晶表示装置
KR20070063168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0538330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70117360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70069398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20027786A (ko) 에스디알 강유전 액정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KR20070016782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80097796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197766B1 (ko) 시야각 제어가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
KR20080074435A (ko) 구동 전압 생성 회로,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및 구동 전압생성 방법
KR20080007785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06345A (ko)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KR20040061204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