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5724A - 원격 영상 분배 시스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영상 분배 시스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5724A
KR20070015724A KR1020050070249A KR20050070249A KR20070015724A KR 20070015724 A KR20070015724 A KR 20070015724A KR 1020050070249 A KR1020050070249 A KR 1020050070249A KR 20050070249 A KR20050070249 A KR 20050070249A KR 20070015724 A KR20070015724 A KR 20070015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ideo
remote
cameras
moni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0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민
김요섭
이동식
Original Assignee
(주)블루비스
쓰리알 주식회사
주식회사 베스트디지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루비스, 쓰리알 주식회사, 주식회사 베스트디지탈 filed Critical (주)블루비스
Priority to KR1020050070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5724A/ko
Priority to PCT/KR2005/004392 priority patent/WO2007015592A1/en
Publication of KR20070015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57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39Details of the system layout
    • G08B13/19645Multiple cameras, each having view on one of a plurality of scenes, e.g. multiple cameras for multi-room surveillance or for tracking an object by view hand-ov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 G08B13/19656Network used to communicate with a camera, e.g. WAN, LAN, Interne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78User interface
    • G08B13/19691Signalling events for better perception by user, e.g. indicating alarms by making display brighter, adding text, creating a sound
    • G08B13/19693Signalling events for better perception by user, e.g. indicating alarms by making display brighter, adding text, creating a sound using multiple video sources viewed on a single or compound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영상 이미지 신호를 복수의 감시 모니터로 디스플레이시키는 원격 영상 분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각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해당 영상 신호를 부호화 과정을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전송된 부호화된 영상 신호를 인터넷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각 영상 신호를 상기 복수의 감시 모니터에 매핑시키는 원격 영상 분배 장치; 및 상기 원격 영상 분배 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 신호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신호를 복호화함으로써 상기 각 감시 모니터로 상기 해당 매핑된 카메라의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시키는 영상 데이터 해석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카메라, 영상 이미지, 분배, 매핑, 모니터

Description

원격 영상 분배 시스템, 장치 및 방법{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ING IMAGES REMOTELY}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 신호를 직접적으로 전송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 신호를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영상 분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영상 분배 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영상 분배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영상 분배 장치에서의 영상 분배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 카메라 110 : 동축 케이블
120, 240, 340, 370 : 모니터 210 : 디지털 변환기
220, 320 : 인터넷 230 : 아날로그 변환기
310 :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330 : 원격 영상 분배 장치
350 : 네트워크 360 : 영상 데이터 해석 장치
410 : 송수신부 420 : 송신 위치 판별부
430 : 영상 복호화부 440 : 영상 데이터 분석부
450 : 영상 데이터 출력부 460 : 영상 분배 조작부
470 : 재전송 분배 규칙 판별부 480 : 데이터 형식 변환부
본 발명은 영상 데이터를 분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원격지에서 입력되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을 복수의 모니터로 분배하는 원격 영상 분배 시스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인 카메라는 감시 시스템의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은행의 무인 점포나 공공시설의 외곽감시, 박물관 내부, 빌딩의 지하주차장, 교통 단속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무인 카메라에서 수집된 영상 데이터는 케이블을 통해 감시자의 모니터로 전송된다. 이때, 상기 감시자는 모니터를 통해 하나 이상의 무인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감시 영상 등을 이격지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가 있게 된다. 즉, 상기 감시자의 하나의 모니터에는 각 감시 지역에 설치된 무인 카메라들로부터 수집된 복수의 영상이 화면 분할 등의 방법으로 디스플레이 됨으로써 여러 지역의 상황들을 효과적으로 한눈에 모니터링할 수가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르면 복수의 영상을 복수의 모니터에 표현하기 위해서는, 영상 본래의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원격지까지 동축케이블이라는 사설망을 이용하였으며, 이와 같은 물리적 환경 조성을 위해 많은 비용이 소요되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 신호를 직접적으로 전송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각 지역에 설치된 카메라(100)가 동축 케이블(110)을 통해 직접적으로 모니터(120)에 연결이 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모니터(120)에서는 직접적으로 연결된 해당 카메라(100)로부터의 영상을 보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경우에 있어서 카메라(100)와 모니터(120)의 지리적 위치가 먼 경우에는, 카메라(100)와 모니터(120)를 연결하는 동축케이블(110)의 길이가 길어짐으로 인해 비용 증가의 문제가 발생하며, 이러한 비용은 사용자 자신의 부담으로 연결된다.
한편, 이에 대한 대안으로 원격지에서 감시가 가능하도록 인터넷 네트워크 등을 활용하는 방안이 제시될 수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 신호를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200)의 영상을 디지털 변환기(210)까지 동축 케이블을 통해 연결하고, 상기 디지털 변환기(210)를 통해 상기 카메라(200)의 영상 신호를 인터넷(220)을 통해 전송 가능한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변환된 영상 신호를 인터넷(220)을 통해 전송하게 된다. 상기 인터넷(220)을 통해 전송된 디지털 영상 신호는 원격지의 아날로그 변환기(230)를 통해 해당 모니터(240) 로 전송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각 모니터(240)에서는 원격지에 설치된 카메라(20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도 2와 같은 구성에서는 사회 간접 자본인 인터넷 망을 이용함으로써, 상술한 도 1의 시스템에 비해 카메라와 모니터의 지리적 접근성의 여부와 상관없이 저렴한 비용으로 서비스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카메라와 모니터 간의 신호가 일대일 매핑이 되기 때문에 각 모니터에서 필요한 카메라 영상을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각 카메라가 모니터에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한정된 인터넷 대역폭 안에서 선택적으로 몇몇 카메라의 영상만을 개선된 영상으로 볼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격지로부터 수집된 복수의 영상 신호를 인터넷을 통해 복수의 모니터에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제공하는 원격 영상 분배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원격지의 상황에 따라 영상 표현 방식에 변화를 줌으로써, 사용자가 원격지 상황에 따른 차별화된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원격 영상 분배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시스템은,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영상 이미지 신호를 복수의 감시 모니터로 디스플레이시키는 원격 영상 분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해당 영상 신호를 부호화 과정을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전송된 부호화된 영상 신호를 인터넷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각 영상 신호를 상기 복수의 감시 모니터에 매핑시키는 원격 영상 분배 장치; 및 상기 원격 영상 분배 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 신호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신호를 복호화함으로써 상기 각 감시 모니터로 상기 해당 매핑된 카메라의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시키는 영상 데이터 해석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격 영상 분배 장치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원격 영상 분배 장치로부터 복호화한 상기 부호화된 카메라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통제 모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통제 모니터는, 상기 원격 영상 장치로 입력된 모든 카메라로부터 수집된 영상 화면 및 복수의 감시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매핑된 영상 화면을 보여주는 모니터 매트릭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각 영상 신호를 상기 복수의 감시 모니터에 매핑시키는 방법은 입력 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라 매핑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원격지의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매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장치는,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영상 이미지 신호를 복수의 감시 모니터로 매핑시키는 원격 영상 분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해당 영상 신호를 인터넷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각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시키는 표시 수단;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각 영상 신호와 상기 복수의 감시 모니터 간의 매핑 정보를 입력시키는 입력 수단; 및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된 매핑 정보에 따라 각 감시 모니터로 해당 매핑된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각 영상 신호를 상기 복수의 감시 모니터에 매핑시키는 방법은 입력 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라 매핑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원격지의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매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원격 영상 장치로 입력된 모든 카메라로부터 수집된 영상 화면 및 복수의 감시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매핑된 영상 화면을 보여주는 모니터 매트릭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영상 이미지 신호를 복수의 감시 모니터로 디스플레이시키는 원격 영상 분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를 부호화하여 전송하는 단계; 상기 부호화된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복호화하여 통제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통제 모니터를 통해 복수의 영상들 중 특정 영상을 선택적으로 복수의 모니터에 매핑시키는 단계; 및 상기 매핑된 영상을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감시 모 니터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전송된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 해석 장치에서 복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각 영상 신호를 상기 복수의 감시 모니터에 매핑시키는 방법은 입력 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라 매핑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원격지의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매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기술로는 원격지의 영상을 보는데, 많은 설치 비용이 들거나 다수의 원격지 영상을 사용자가 요구하는 방식으로 표현하는데 제약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지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영상 신호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복수의 모니터로 용이하게 재분배함으로써 효과적인 감시가 가능해지게 된다.
본 발명은 복수의 각 무인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 신호를 부호화하여 인터넷으로 전송하며, 상기 전송된 복수의 영상 신호를 사용자의 요구에 맞추어 부호화된 영상을 처리할 수 있는 장비로 재분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은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영상 신호를 복수의 모니터로 재분배하며, 이때 사용자의 설정 또는 각 원격지의 상황에 따라 각 모니터로 영상이 효과적으로 분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에는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영상 분배 시스템 및 장치의 세부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영상 분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영상 분배 시스템은 복수의 카메라(300)들과 연결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310), 인터넷(320)을 통해 수신된 복수의 영상 신호를 복수의 모니터(370)로 분배시키는 원격 영상 분배 장치(330), 네트워크(350)를 통해 각 감시 모니터(370)로 분배시키는 영상 데이터 해석 장치(360)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각 해당 위치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300)들은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310)와 연결되어, 촬영된 영상 신호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310)에서는 각 카메라(300)로부터 획득한 해당 영상 신호를 부호화 과정 및 패킷 처리 과정을 통해 인터넷(320)을 통해 전송 가능한 신호로 가공하게 된다.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310)는 일반적인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Digital Video Recorder; DVR) 또는 IP(Internet Protocol) 카메라 등의 장비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넷(320)을 통해 전송된 복수의 카메라(300)들로부터 수집된 영상 신호는 원격 영상 분배 장치(330)로 전송된다. 상기 원격 영상 분배 장치(330)에서는 인터넷(320)을 통해 상기 부호화된 카메라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각각의 영상 신호를 복호화하여 직접 연결된 통제 모니터(340)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또는 관리자)는 상기 통제 모니터(340)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확인하고, 특정 영상을 어떤 감시 모니터(370)를 통해 디스플레이시킬 것인지를 선택하게 된다. 한편, 다른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미리 설정된 값 또는 감시 환경에 따라서 복수의 영상들이 각 감시 모니터(370)로 할당되게 된다. 이때, 상기 각 감시 모니터(370)로 할당되는 영상은 상기 카메라(300)로부터 획득된 영상들 중 하나 이상의 영상이 할당되며, 동일한 영상이 복수의 감시 모니터(370)에 중복하여 할당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원격 영상 분배 장치(330)에서 수신된 원격지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영상의 움직임이나 특정 패턴의 영상에 대해 사용자가 특정 감시 모니터(370)로 디스플레이시킬 것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원격지 영상을 분석할 때, 사용자가 '연기(smoke)'라는 분석 패턴을 선택하여 적용할 경우, 상기 원격 영상 분배 장치(330)에서는 수신된 각 원격지의 영상을 분석하여 '연기'의 패턴이 나타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가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연기'라는 패턴이 검출된 영상만을 용이하게 확인함으로써, 산불이나 화재의 유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각 감시 모니터(370)로 영상 신호가 할당된 영상 분배 장치(330)는 상기 할당된 영상 신호를 네트워크(350)를 통해 각 감시 모니터(370)로 재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350)를 통해 재전송된 영상 신호는 상기 영상 분배 장치(330)와 네트워크(350)를 통해 상호 연동되는 영상 데이터 해석 장치(360)에 전달된다. 상기 네트워크(350)는 인터넷(320)이 될 수도 있으며, LAN, WAN 등의 기타 다른 어떠한 유무선 네트워크도 가능하다. 만약, 상기 네트워크(350)가 LAN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일 경우 빠른 전송을 통해 실시간으로 영상 데이터 해석 장치(360)에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영상 데이터 해석 장치(360)에서는 수신된 영상 신호를 복호화함으로써 상기 부호화된 영상 신호를 본래의 영상 신호로 변환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영상 데이터 해석 장치(360)는 일반적인 IP 카메라 수신기 등과 같은 장비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최종적으로 사용자는 해당 지역에 설치된 각 감시 모니터(370)를 통해 할당된 해당 카메라(300)의 영상을 보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 원격지의 복수의 영상 신호를 복수의 모니터로 분배시키는 상기 원격 영상 분배 장치(33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영상 분배 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원격 영상 분배 장치(330)는 송수신부(410), 송신 위치 판별부(420), 영상 복호화부(430), 영상 데이터 분석부(440), 영상 데이터 출력부(450), 영상 분배 조작부(460), 재전송 분배 규칙 판별부(470) 및 데이터 형식 변환부(48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수신부(410)에서는 각 감시 카메라들(300)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하며, 각 설정 및 상황에 따라 분배된 영상 신호를 영상 데이터 해석 장치(36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송수신부(410)에서 수신된 영상 신호는 상기 송신 위치 판별부(430)로 전달된다. 또한, 재처리된 원격지의 영상 데이터 또는 재전송 규칙 데이터는 상기 송수신부(410)에서 인터넷 또는 LAN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영상 데이터 해석 장치(360)로 전송한다.
상기 송신 위치 판별부(420)에서는 상기 송수신부(410)로부터 수신된 원격지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송신지의 주소(예컨대, 원격지 카메라(300)에 대한 MAC 어드레스 등)를 판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판별된 송신지의 주소와 원격지의 데이터는 상기 재전송 분배 규칙 판별부(470)로 전송됨으로써, 각 전송할 복수의 영상 신호를 식별할 수 있게 해 준다.
상기 영상 복호화부(430)에서는 송신 위치 판별부(420)로부터 영상 신호를 전달받고, 해당 수신된 영상 신호를 복원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원격 영상 분배 장치(330)의 송수신부(410)를 통해 수신된 신호는 네트워크를 통해 압축 전송된 영상 데이터이다. 따라서, 상기 영상 복호화부(430)에서는 수신된 신호로부터 압축을 해제함으로써 원래의 영상 이미지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복원된 원래의 영상 이미지는 상기 영상 데이터 분석부(440)로 전송된다.
상기 영상 데이터 분석부(440)에서는 상기 영상 복호화부(430)를 통해 변환된 원래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원래 이미지의 내용을 분석한다. 이때, 상기 영상 데이터의 분석 방법은 영상에 포함된 특정 패턴을 검출하거나, 이전 영상과 현재의 영상을 비교하여 변경된 부분을 검출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해당 영상에서 화재 유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연기' 또는 '불꽃' 등의 패턴을 검출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영상에서 침입자 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전 영상과 현재 영상 간의 변경 유무를 판별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영상 데이터 분석부(440)에서 분석된 정보와 영상 데이터를 재전송 분배 규칙 판별부(470)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 영상 데이터는 정보 검출 유무와 무관하게 영상 데이터 출력부(45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데이터 출력부(450)에서는 상기 원격 영상 분배 장치(330)에서 수신된 영상 이미지 또는 분석 결과 등을 상기 원격 영상 분배 장치(330)와 연결된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복수의 감시 카메라(300)들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원격 영상 분배 장치(330)를 통해 분석된 분석 결과 정보들을 제공해주게 된다.
상기 영상 분배 조작부(460)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영상 데이터 분배를 위한 설정 또는 선택 신호를 입력받아 재전송 분배 규칙 판별부(47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영상 분배 조작부(460)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 송신지의 주소를 별도로 선택하게 하거나, 영상에서 검출하고자 하는 패턴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패턴 또는 주소 매핑 정보는 상기 재전송 분배 규칙 판별부(470)로 전송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 송신지의 주소 매핑 정보는 상기 송수신부(410)에 의해 네트워크(350)를 통해 영상 데이터 해석 장치(360)로 전송되어짐으로써 상기 영상 데이터 해석 장치(360)가 각 설정된 해당 감시 모니터(370)들로 해당 분배된 영상을 정상적으로 전송할 수 있게 해 준다.
즉, 상기 재전송 규칙 판별부(470)에서는 어떤 송신지의 영상을 어떤 영상 데이터 해석 장치(360) 또는 감시 모니터(370)들로 분배할지를 결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영상 분배의 결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여 설정한 송신지의 주소에 따라 결정되거나, 상기 영상 데이터 분석부(44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 분석 정보에 의해 기설정된 분배 방식대로 분배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 형식 변환부(480)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영상 데이터 해석 장치(360) 및 감시 모니터(370)들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상 데이터 해석 장치(360)가 정상적으로 해석하여 영상으로 복호화할 수 있도록 해당 영상 데이터의 형식을 변환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 형식에 따라 변환 처리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송수신부(410)를 통해 해당 각 영상 데이터 해석 장치(360)로 전송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원격 영상 분배 장치(330)에서는 각 원격지로부터 수신된 영상 이미지 데이터들을 분석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신호를 사용자의 설정 또는 영상 분석 결과 등에 따라 기설정된 방식으로 각 영상 데이터 해석 장치(360) 또는 감시 모니터(370)들로 분배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각 감시 모니터(370)들로 분배되는 영상 신호들은 상기 매핑 규칙에 따라 해당 영상 데이터 해석 장치(360)로 실시간 전송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이미지 매핑 정보는 매핑 정보 변경시에만 전송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영상 분배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각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 신호들이 복수의 모니터에 선택적으로 분배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먼저, 각 카메라로부터 영상 신호가 입력(S501)되면, 상기 입력된 영상은 디지털 신호 변환 처리(S502)된다. 이때, 전송의 효율성을 위해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부호화 과정을 통해 데이터의 크기를 작게 만들 수가 있다.
상기 부호화된 영상 신호는 인터넷을 통해 원격 영상 분배 장치로 전송(S503)되며, 상기 원격 영상 분배 장치에서는 상기 수신된 복수의 영상 신호를 복호화하여 자신의 통제 모니터에 디스플레이(S504)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통제 모니터를 통해 복수의 영상들 중 특정 영상을 선택적으로 복수의 모니터에 매핑(S505)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매핑 과정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원격지의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분배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매핑된 영상은 네트워크를 통해 재전송(S506)되며, 상기 재전송된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 해석 장치에서 복호화되고, 해당 감시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S507)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영상 분배 장치에서의 영상 분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술한 원격 영상 분배 장치(330)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가 복수의 카메라 영상들 중에 특정 카메라의 영상을 선택하여 각 해당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감시 모니터들에 매핑함으로써, 원하는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이 해당 감시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매핑하게 된다.
한편, 상기 원격 영상 분배 장치(330)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은 두 가지의 상황을 동시에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원격 영상 장치(330)로 입력된 모든 카메라로부터 수집된 영상 화면(600)과 복수의 감시 모니터를 2차원 배열로 보여주는 모니터 매트릭스 화면(610)이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카메라들로부터 수집된 각 카메라 영상 신호를 상기 복수의 감시 모니터들에 하나 이상 매핑할 수가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카메라 영상 화면(600)에는 카메라의 목록(601)과 해당 카메라로부터의 실시간 영상 화면(60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 매트릭스 화면(610)에는 독립된 감시 모니터(611)들이 2차원 배열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카메라 영상 화면(600)으로부터 특정 영상을 마우스(620)를 통해 클릭 한 후, 상기 모니터 매트릭스 화면(611)의 특정 모니터 항목으로 끌어다 놓음으로써 각 카메라 영상 화면(600)을 각 감시 모니터로 매핑시킬 수가 있게 된다. 예컨대, 1번 카메라의 영상은 모니터 A 및 모니터 C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매핑하고, 2번 카메라의 영상은 모니터 A, 모니터 B 및 모니터 D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매핑하고, 3번 카메라의 영상은 모니터 B 및 모니터 D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매핑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도 6에 도시된 방식에 의해 사용자가 직접 마우스로 매핑할 수도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원격지의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분배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원격지의 영상을 저렴한 비용의 인터넷망을 통해 수신하여 자신이 원하는 영상만을 선택할 수가 있으며, 또한 여러 대의 모니터 중에서 특정 위치의 모니터에 선택된 카메라의 영상이 나타나게 함으로써, 감시 상황에 따라, 영상이 표현되는 모니터의 배치와 구성이 사용자가 인지하기 쉽도록 구성할 수가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3)

  1.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영상 이미지 신호를 복수의 감시 모니터로 디스플레이시키는 원격 영상 분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해당 영상 신호를 부호화 과정을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전송된 부호화된 영상 신호를 인터넷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각 영상 신호를 상기 복수의 감시 모니터에 매핑시키는 원격 영상 분배 장치; 및
    상기 원격 영상 분배 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 신호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신호를 복호화함으로써 상기 각 감시 모니터로 상기 해당 매핑된 카메라의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시키는 영상 데이터 해석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 분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원격 영상 분배 장치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원격 영상 분배 장치로부터 복호화한 상기 부호화된 카메라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통제 모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 분배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제 모니터는,
    상기 원격 영상 장치로 입력된 모든 카메라로부터 수집된 영상 화면 및 복수의 감시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매핑된 영상 화면을 보여주는 모니터 매트릭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 분배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각 영상 신호를 상기 복수의 감시 모니터에 매핑시키는 방법은 입력 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라 매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 분배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각 영상 신호를 상기 복수의 감시 모니터에 매핑시키는 방법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원격지의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매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 분배 시스템.
  6.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영상 이미지 신호를 복수의 감시 모니터로 매핑시키는 원격 영상 분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해당 영상 신호를 인터넷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각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시키는 표시 수단;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각 영상 신호와 상기 복수의 감시 모니터 간의 매핑 정보를 입력시키는 입력 수단; 및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된 매핑 정보에 따라 각 감시 모니터로 해당 매핑된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 분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각 영상 신호를 상기 복수의 감시 모니터에 매핑시키는 방법은 입력 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라 매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 분배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각 영상 신호를 상기 복수의 감시 모니터에 매핑시키는 방법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원격지의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매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 분배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원격 영상 장치로 입력된 모든 카메라로부터 수집된 영상 화면 및 복수의 감시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매핑된 영상 화면을 보여주는 모니터 매트릭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 분배 장치.
  10.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영상 이미지 신호를 복수의 감시 모니터로 디스플레이시키는 원격 영상 분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를 부호화하여 전송하는 단계;
    상기 부호화된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복호화하여 통제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통제 모니터를 통해 복수의 영상들 중 특정 영상을 선택적으로 복수의 모니터에 매핑시키는 단계; 및
    상기 매핑된 영상을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감시 모니터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 분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된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 해석 장치에서 복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 분배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각 영상 신호를 상기 복수의 감시 모니터에 매핑시키는 방법은 입력 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라 매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 분배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각 영상 신호를 상기 복수의 감시 모니터에 매핑시키는 방법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원격지의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매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 분배 방법.
KR1020050070249A 2005-08-01 2005-08-01 원격 영상 분배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07001572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0249A KR20070015724A (ko) 2005-08-01 2005-08-01 원격 영상 분배 시스템, 장치 및 방법
PCT/KR2005/004392 WO2007015592A1 (en) 2005-08-01 2005-12-20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ng images remote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0249A KR20070015724A (ko) 2005-08-01 2005-08-01 원격 영상 분배 시스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5724A true KR20070015724A (ko) 2007-02-06

Family

ID=37708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0249A KR20070015724A (ko) 2005-08-01 2005-08-01 원격 영상 분배 시스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70015724A (ko)
WO (1) WO200701559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0385A3 (en) * 2010-10-15 2012-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device based on intuitive selection
US8989553B2 (en) 2008-01-12 2015-03-24 Innotive Inc. Korea Video processing system and video processing method
US9100674B2 (en) 2011-07-28 2015-08-04 Lg Cn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video under multi-channel, and video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3938B1 (ko) * 1995-02-20 1998-07-15 김광호 영상통신시스템
US6970183B1 (en) * 2000-06-14 2005-11-29 E-Watch, Inc. Multimedia surveillance and monitoring system including network configuration
GB9918248D0 (en) * 1999-08-04 1999-10-06 Matra Bae Dynamics Uk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surveillance systems
KR100378469B1 (ko) * 2000-04-14 2003-03-29 주식회사 지맥스테크놀러지 다채널 다지점 무인 감시 제어 장치
KR100394233B1 (ko) * 2000-09-06 2003-08-09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감시내용을 작화 및 변경하는 컴퓨터를 갖는 모니터링시스템
KR20040032191A (ko) * 2002-10-01 2004-04-17 (주)한기술 엘리베이터 보안시스템
KR200361170Y1 (ko) * 2004-06-19 2004-09-07 김종무 철도 건널목 돌발상황 자동감지 영상처리경보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89553B2 (en) 2008-01-12 2015-03-24 Innotive Inc. Korea Video processing system and video processing method
US9307219B2 (en) 2008-01-12 2016-04-05 Innotive Inc. Korea Video processing system and video processing method
US9602794B2 (en) 2008-01-12 2017-03-21 Innotive Inc. Korea Video processing system and video processing method
WO2012050385A3 (en) * 2010-10-15 2012-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device based on intuitive selection
US8928553B2 (en) 2010-10-15 2015-0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device based on intuitive selection
AU2011314469B2 (en) * 2010-10-15 2015-06-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device based on intuitive selection
US9100674B2 (en) 2011-07-28 2015-08-04 Lg Cn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video under multi-channel, and video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15592A1 (en) 200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4518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verting privacy zone planar images to their corresponding pan/tilt coordinates
US11496472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access to camera systems
US20110310219A1 (en) Intelligent monitoring camera apparatus and image monitoring system implementing same
US9202358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video images using video cameras embedded in signal/street lights
KR20030047343A (ko) 인터넷을 이용한 감시 및 관리 시스템
JP435439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WO2015019546A1 (ja) 無線カメラシステム、センタ装置、画像表示方法、画像表示プログラム
KR20100103061A (ko) 가로등을 기반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관리 시스템
KR101629803B1 (ko) 주차관리시스템
US20190325667A1 (en) Vehicle-related data collec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611956B1 (ko) 다채널용 카메라 장치
KR20070015724A (ko) 원격 영상 분배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1035312B1 (ko) 화면 분할 장치와 그를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
KR101992995B1 (ko) Tv 기반 비상 대피 방송 방법
KR101556076B1 (ko) 주차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차 관리 방법
WO2012053235A1 (ja) 監視システム、監視画像受信装置、および監視画像受信プログラム
JP2011071920A (ja) 遠隔映像監視システム
JP2009100198A (ja) 監視システム
KR102232776B1 (ko) 실시간 거버넌스 인텔리전스 플랫폼
US20180343416A1 (en) Video processing system and video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05065238A (ja) 監視情報提供装置および監視情報提供方法
JP4901160B2 (ja) 映像監視システムおよび映像監視方法
KR20110133160A (ko) 실시간 멀티채널 영상 기반 감시 및 보안 시스템
KR102320795B1 (ko) 일반cctv를 지능화cctv로 업그레이드하는 지능화장치
KR101271091B1 (ko) 지도 정보를 이용한 영상처리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