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4628A - 복합 형광막과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복합 형광막과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4628A
KR20070014628A KR1020050069438A KR20050069438A KR20070014628A KR 20070014628 A KR20070014628 A KR 20070014628A KR 1020050069438 A KR1020050069438 A KR 1020050069438A KR 20050069438 A KR20050069438 A KR 20050069438A KR 20070014628 A KR20070014628 A KR 20070014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escent film
film
composite
phosphor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9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9253B1 (ko
Inventor
김영관
권승욱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9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9253B1/ko
Publication of KR20070014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4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0Manufacture of 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Applying coatings to the vessel
    • H01J9/22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00Details of electrodes, of magnetic control means, of screens, or of the mounting or spacing thereof,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1/54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up, converted, or stored; Luminescent coatings on vessels
    • H01J1/62Luminescent screens; Selection of materials for luminescent coatings on vessels
    • H01J1/72Luminescent screens; Selection of materials for luminescent coatings on vessels with luminescent material discontinuously arranged, e.g. in dots or lines
    • H01J1/74Luminescent screens; Selection of materials for luminescent coatings on vessels with luminescent material discontinuously arranged, e.g. in dots or lines with adjacent dots or lines of different luminescent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10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29/18Luminescent screens
    • H01J29/20Luminescent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luminescent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10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29/18Luminescent screens
    • H01J29/26Luminescent screens with superimposed luminescent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0Manufacture of 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Applying coatings to the vessel
    • H01J9/22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 H01J9/227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with luminescent material discontinuously arranged, e.g. in dots or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or lenses
    • H01J2211/444Means for improving contrast or colour purity, e.g. black matrix or light shiel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uminesc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형광막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 자외선, 전자빔 또는 전기 에너지에 가시광을 발광하는 형광체를 포함하는 제1형광막과, 상기 제1형광막 전면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진공 자외선, 전자빔 또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 200 내지 400 nm의 장파장 자외선을 방출하는 형광체가 박막으로 형성된 제2형광막이 구비된 복합 형광막과, 상기 복합 형광막이 구비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복합 형광막은 제2형광막의 형광체에서 방출되는 200 내지 400 nm의 장파장 자외선을 제1형광막의 형광체가 흡수하여, 진공 자외선, 전자빔 또는 전기 에너지에 의한 가시광 발광 이외에, 상기 장파장 자외선의 흡수에 따른 추가의 가시광 발광이 일어나 발광 효율이 증가된다. 이러한 복합 형광막은 구조 내 형광막을 구비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음극선관, 전자방출 디바이스,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액정표시장치와 같은 표시장치에 적합하게 적용되어 휘도, 색 재현성 및 자외선 열화에 대한 저항 특성을 향상시킨다.
장파장 자외선, 형광체, 발광 효율, 휘도, 표시장치

Description

복합 형광막과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COMPLEX PHOSPHOR LAYER AND PANE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도 1a는 본 발명의 제1구현예에 따른 복합 형광막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b는 상기 제1구현예의 복합 형광막의 발광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모식도.
도 2a는 본 발명이 제2구현예에 따른 복합 형광막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b는 상기 제2구현예의 복합 형광막의 발광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모식도.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진공 자외선, 전자빔 또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 200 내지 400 nm의 장파장 자외선을 방출하는 형광체가 박막으로 형성된 제1형광막과, 상기 제1형광막 전면에 걸쳐 형성되고, 진공 자외선, 전자빔 또는 전기 에너지에 가시광을 발광하는 형광체를 포함하는 제2형광막이 구비된 복합 형광막과, 상기 복합 형광막이 구비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이하 'PDP'라 한다)은 두 개의 좁은 평판 유리판 사이에 Ne이나 Xe 등의 불활성 기체를 봉입하고 유리면에 부착된 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플라즈마 상태에서 방출되는 147 nm와 173 nm의 진공 자외선이 유리면에 코팅된 적색, 녹색 및 청색 형광체를 여기시켜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PDP에 사용되는 형광체는 방전 조건 하에서 형광체 표면이 방전과 진공 자외선(VUV)에 노출되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열화 되어 PDP의 휘도가 저하되거나 색 좌표를 변화시키는 등 PDP의 발광특성과 수명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특히 PDP 제조공정 중에서 형광막의 형성은 형광체 페이스트를 기판상에 인쇄 후 소성하는 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상기 소성 시 450 ℃ 이상에서 수행됨에 따라 형광체의 열화를 야기시켜 형광체의 가시광 발광 효율 및 PDP의 휘도가 저하되고, 색 좌표가 변화되는 등의 문제점을 야기한다.
최근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PDP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선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여 고휘도 및 고색상을 구현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새로운 재질의 형광체의 제안이 시급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형광막의 적색, 녹색 청색의 가시광 발광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가시광을 발광하는 형광체로 이루어진 제1형광막과, 상기 제1형광막 전면에 걸쳐 형성되며 200 내지 400 nm의 장파장 자외선을 방출하는 형광체를 포함하는 제2형광막으로 이루어진 복합 형광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복합 형광막을 구비하여 휘도, 색재현성 및 자외선 열화에 대한 저항이 향상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진공 자외선, 전자빔 또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 가시광을 발광하는 제1형광체를 포함하는 제1형광막과, 상기 제1형광막 전면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진공 자외선, 전자빔 또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 200 내지 400 nm의 장파장 자외선을 방출하는 제2형광체를 포함하는 제2형광막을 포함하는 복합 형광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합 형광막으로 이루어진 형광막이 구비된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표시장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음극선관, 형광표시관, 전자방출 디바이스,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액정표시장치 중에서 선택된 1종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복합 형광막은 가시광을 발광하는 제1형광체로 이루어진 제1형광막에 더하여, 상기 제1형광막 전면에 걸쳐 형성되고, 200 내지 400 nm의 장파장 자외선을 방출하는 제2형광체를 포함하는 제2형광막을 구비함으로써, 진공 자외선, 전자빔 또는 전기 에너지 인가에 따른 가시광 발광 이외에, 상기 장파장 자외선을 흡수하여 이루어지는 가시광 발광을 추가로 수행함으로써 가시광의 발광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구현예에 따른 복합 형광막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상기 복합 형광막은 진공 자외선, 전자빔 또는 전기 에너지 인가에 의해 가시광을 발광하는 제1형광체를 포함하는 제1형광막(50a)과, 그 상부로 상기 진공 자외선, 전자빔 또는 전기 에너지 인가에 따라 200 내지 400 nm의 장파장 자외선을 방출하는 제2형광체가 형성된 제2형광막(52a)을 구비한다.
도 1b는 상기 제1구현예의 복합 형광막의 발광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복합 형광막에 진공 자외선, 전자빔 또는 전기 에너지 중의 하나가 인가되면, 제1형광막(50a)의 제1형광체와 제2형광막(52a)의 제2형광체가 들뜬 후 기저 상태로 돌아오면서, 제1형광체는 가시광을 발광하고, 제2형광체는 200 내지 400 nm의 장파장 자외선을 방출한다.
상기 제1형광막(50a)의 제1형광체에 의해 발광된 가시광은 화상을 구현하고, 제2형광막(52a)의 제2형광체에 의해 방출된 장파장 자외선은 그대로 외부로 방출되지 않고 제1형광막(50a)의 제1형광체에 흡수되어 이러한 장파장 자외선에 의해 다시 제1형광막(50a)의 제1형광체가 들뜬 후 기저 상태로 되돌아 가면서 가시광을 방출한다. 즉, 본 발명의 복합 형광막은 제2형광막(52a)의 제2형광체에 의해 제1형광막(50a)의 제1형광체가 가시광 발광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어 발광 효율이 증가한다.
이러한 메커니즘에 따른 복합 형광막의 가시광 발광 효율의 증가는 도 2a의 복합 형광막의 구조에서도 동일하게 일어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2구현예에 따른 복합 형광막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복합 형광막은 진공 자외선, 전자빔 또는 전기 에너지 인가에 따라 200 내지 400 nm의 장파장 자외선을 방출하는 제2형광체가 제2형광막(52b)과, 상기 진공 자외선, 전자빔 또는 전기 에너지 인가에 의해 가시광을 발광하는 제1형광체를 포함하는 제1형광막(50b)으로 이루어진다.
도 2b는 상기 제2구현예의 복합 형광막의 발광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도 1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진공 자외선, 전자빔 또는 전기 에너지 인가에 따라 제2형광막(52b)의 제2형광체에서 방출된 장파장 자외선이 제1형광막(50b)의 제1형광체에 의해 흡수되어, 상기 제1형광막(50b)의 제1형광체가 가시광 발광 효율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제1형광막은 가시광 발광의 주가 되는 형광막으로 그 두께는 통상적으로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범위 내에서 적용될 수 있으며, 제2형광막과 더하여 복합 형광막의 두께가 1.0 ㎛ 내지 40 ㎛이 되는 범위 내에서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나, 제2형광막의 경우 상기 제1형광막의 가시광의 발광에 필요한 진공 자외선, 전자빔 또는 전기 에너지의 입사 경로가 방해되어 가시광의 발광 효율이 오히려 저하되는 문제를 야기될 수 있어 이러한 방해 요소를 최소화하기 위해 적절한 복합 형광막의 설계가 필요하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제2형광막의 두께는 5.0 mm 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엔 50 nm 내지 1.0 mm로 형성한다. 만약 상기 두께가 5 mm를 초과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형광막에 입사되는 진공 자외선, 전자빔 또는 전기 에너지의 경로가 방해받아 충분한 정도의 가시광 발광을 수행할 수 없어 발광 효율의 저하를 가져온다.
또한 제1형광막 및 제2형광막의 제조는 통상의 인쇄법, 감광성 페이스트법 및 건조 필름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후막법 또는 진공증착, 스퍼터링, 플라즈마 증착 및 이온 플레이팅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박막 방법으로 수행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광막은 박막 방법으로 수행한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의 복합 형광막은 제1형광막 및 제2형광막을 박막/박막, 후막/박막, 및 박막/후막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 제2형광막을 박막으로 형성한다.
제1형광막(50a)을 이루는 제1형광체는 후속에서 설명될 표시장치인 플라즈마 표시장치, 음극선관, 형광표시관, 전자방출 디바이스, 유기 및 무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형광체면 그 어느 것이든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 굳이 한정하지는 않는다.
대표적으로, 적색 형광체로는 Y(V,P)O4:Eu, (Y,Gd)BO3:Eu, (Y,Gd)O3:Eu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휘도 특성이 우수한 Y(V,P)O4:Eu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패널의 색온도 조절시 휘도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어 바람직한 휘도와 색 순도를 얻을 수 있다.
녹색 형광체로는 Zn2SiO4:Mn, (Zn,A)2SiO4:Mn(A는 알칼리 토금속), (Ba,Sr,Mg)O·aAl2O3:Mn(a = 1 내지 23의 정수), MgAlxOy:Mn(x = 1 내지 10의 정수, 20-7 y = 1 내지 30의 정수), LaMgAlxOy:Tb(x = 1 내지 14의 정수, y = 8 내지 47의 정수), ReBO3:Tb(Re는 Sc, Y, La, Ce, 및 Gd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는 희토류 원소임), 및 (Y, Gd)BO3:Tb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청색 형광체로는 CaMgSi2O6:Eu, BaMgAl10O17:Eu2 +, ZnS:Ag, Cl, CaWO4:Pb, 및 Y2SiO5:Eu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CaMgSi2O6:Eu를 사용한다.
제2형광막을 이루는 진공 자외선, 전자빔 또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 장파장 자외선을 방출하는 제2형광체는 부활제의 파장이 200 내지 400 nm에서 발광피크를 가지는 형광체는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다. 대표적으로, (Ba,Mg,Zn)3SiO7 : Pb2 +, (Ca,Zn)3(PO4)2 : Tl+, MgO : Gd3 +, Y2O3 : Gd3 +, SrAl12O19:Ce, BaSi2O5:Pb, (Sr,Zn)MgSi2O7:Pb, SrB4O7:Eu, BaSi2O5 :Pb2 +, BaZn2Si2O7 :Pb2 +, BaMg2Si2O7 :Pb2 +, (Ba,Sr,Mg)3Si2O7:Pb2+, (Ba,Mg,Mn)3Si2O7 :Pb2 +, (Ba,Zn,Mg)3Si2O7 :Pb2 +, SrB4O7 :Eu2 +, YPO4:Ce, LaPO4:Ce, (Mg,Ba)Al11O19:Ce, 및 Ca3(PO4)2:Tl+ 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된 것이 가능하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형광막은 형광막이 구비되는 각종 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때 복합 형광막은 형광막을 형성하고자 하는 표시장치에 기판/제1형광막/제2형광막, 또는 기판/제2형광막/제2형광막의 순으로 적층 한다.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는 불활성 가스의 플라즈마 방전에 동반하는 가로 및 세로로 배열된 매트릭스 전극 교점에서의 발광을 이용한 표시장치 장치로, 이온화된 가스가 재결합(recombination)을 할 때 발생하는 글로 방전(glow discharge)을 기초로 한다. 부연하자면, 플라즈마 표시장치는 통상 서로 대향되는 기판상에 어드레스 전극과 표시전극을 구비하여, 이 사이에 일정 전압을 인가하여 방전을 수행하여 발생하는 진공 자외선이 형광막의 형광체를 여기시키고, 기판을 통해 가시광을 방출하게 되면서 영상을 구현한다.
이때 상기 형광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형광막을 적용하는 경우 진공 자외선에 의해 제1형광막의 형광체가 여기 후 기저 상태로 되돌아 가면서 가시광을 방출하고, 제2형광막의 형광체가 여기 후 방출하는 200 내지 400 nm의 장파장 자외선을 제1형광막의 형광체가 흡수함에 따라 추가 가시광 방출이 발생한다. 이에 따 라 구현되는 화면의 휘도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색재현력이 증가하고, 제2형광막이 방전시 발생하는 자외선을 오히려 흡수함에 따라 종래 자외선에 따른 형광막의 열화를 방지한다. 그 결과, 고품질의 화면을 나타내고 수명이 증가된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구현이 가능해진다.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은 형광막이 형성된 페이스 패널과 펀넬 및 형광막에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이 장착된 넥크부가 일체로 결합되고, 내부가 고진공 상태를 유지하는 튜브를 기본 구성으로 한다. 음극선관은 전자총에서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세줄기 전자빔을 방출하여 해당 형광막으로 분리되어 지정된 형광막을 발광시켜 영상을 구현한다. 이때 상기 형광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형광막을 적용하여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효과를 얻는다.
형광표시관(Vacuum Fluorescence Display, VFD)은 저속 전자선에 의해 형광체의 여기발광 현상을 이용하는 표시장치 장치이다. 상기 형광표시관은 음극에서 방출된 열전자를 그리드에서 제어하여 양극에 충돌시켜, 양극의 형광체를 여기시켜 화상을 구현한다. 상기 형광막으로 본 발명의 복합 형광막을 도입하여 고 휘도를 얻을 수 있다.
전자방출 디바이스(Electron Emission Device, EED)는 상기 음극선관과 유사하며, 음극선관의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으면서도 구조가 단순한 잇점이 있다. 이러한 전자방출 디바이스는 양자역학적인 터널링 효과를 이용하여 캐소드 전극에 형성된 에미터로부터 전자를 방출시키고, 방출된 전자를 애노드 전극에 형성된 형광 막에 충돌시켜 발광시키는 것에 의하여 소정의 영상을 구현한다. 이때 상기 형광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형광막을 적용하여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효과를 얻는다.
전계발광 표시장치(Light Emitting Diode, LED)는 형광체에 따라 구분이 가능하며 무기화합물인 ZnS계의 형광체에 교류 고전압을 가할 때 발광하는 현상을 이용한 무기전계발광 표시장치와 발광물질에 형광성 유기 화합물을 사용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로 나뉜다.
특히,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ELD)는 투명 기판상에 애노드 및 캐소드 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전극 사이에 유기발광층이 형성된다. 상기 표시장치는 애노드로부터 주입된 정공과 캐소드로부터 주입된 전자가 발광층에서 결합하여 여기자(exiton)를 형성하고, 상기 여기자가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발광하여 화상을 구현한다. 이때 상기 유기발광층에 추가로 200 내지 400 nm의 장파장 자외선을 방출하는 형광막을 형성하여 휘도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색재현력이 증가하여 고품질의 화면의 구현이 가능해진다.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투명한 전면 및 후면 기판과, 양 기판 사이에 주입되는 액정과, 양 기판의 내측 대향면으로 배치 형성되어 대향하는 교차점이 하나의 화소를 형성하는 도전막과, 도전막의 내측면으로 형성되며 액정 분자를 규칙적으로 배열시키는 배향막과, 양 기판의 외측면으로 부착되어 일정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편광판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나선상으로 비틀린 배열을 갖는 액정은 도전막에 전압이 인가되면 비 틀린 상태가 풀리고 수직 방향으로 재배열되며, 전압이 소거되면 다시 비틀린 상태의 배열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액정표시장치는 그 자체가 비발광성이므로 그 배면으로 백 라이트를 설치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사용 가능하게 한다. 상기 백라이트는 백색광을 발광하도록 형광체가 도포된 형광막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형광막으로 본 발명의 복합 형광막을 사용함으로써 휘도를 증가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3, 비교예 1-3>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 상에 BaZn2Si2O7 :Pb2 + 를 이온 플레이팅법에 의해 1000 nm의 두께로 박막 형태의 제2형광막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2형광막 상에 통상의 형광체를 포함하는 페이스트를 코팅한 후 450 ℃에서 소성하여 제1형광막을 형성하여 복합 형광막을 형성하였다. 이때 비교예는 제1형광막을 단독으로 형성하였다.
형광막 제1형광막 제2형광막
Y(P,V)O4:Eu (Red) Zn2SiO4:Mn (Green) CaMgSi2O6:Eu (Blue) BaZn2Si2O7 :Pb2 +
실시예 1 3 ㎛ - - 1 ㎛
실시예 2 - 3 ㎛ - 1 ㎛
실시예 3 - - 3 ㎛ 1 ㎛
비교예 1 3 ㎛ - - -
비교예 2 - 3 ㎛ - -
비교예 3 - - 3 ㎛ -
< 실시예 4-6, 비교예 4-6>
제1형광막 및 제2형광막의 조성 및 두께를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3에서 언급한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복합 형광막을 제조하였다.
형광막 제1형광막 제2형광막
Y(P,V)O4:Eu (Red) Zn2SiO4:Mn (Green) CaMgSi2O6:Eu (Blue) BaZn2Si2O7 :Pb2 +
실시예 1 10 ㎛ - - 0.5 ㎛
실시예 2 - 10 ㎛ - 0.5 ㎛
실시예 3 - - 10 ㎛ 0.5 ㎛
비교예 1 10 ㎛ - - -
비교예 2 - 10 ㎛ - -
비교예 3 - - 10 ㎛ -
<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형광막의 발광 효율 및 상대 휘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으며, 이때 제1형광막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를 100으로 기준으로 하고, 이때 상대적인 휘도 수치를 얻었다.
상대 휘도(%)
실시예 1 (비교예 1) 104 (100)
실시예 2 (비교예 2) 101 (100)
실시예 3 (비교예 3) 103 (100)
실시예 4 (비교예 4) 107 (100)
실시예 5 (비교예 5) 101 (100)
실시예 6 (비교예 6) 105 (100)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6의 복합 형광막이 단독 형광막으로 이루어진 비교예 1 내지 6의 형광막과 비교하여 상개 휘도가 크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에 따라 가시광을 발광하는 형광막 이외에 200 내지 400 nm의 장파장 자외선을 방출하는 형광막을 더욱 포함함으로써 가시광의 발광 효율을 크게 향상시킴을 의미하며, 이때 상기 장파장 자외선을 방출하는 형광막의 위치는 가시광을 발광하는 형광막의 상, 하 어디에도 적용가능함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형광막은 가시광을 발광하는 형광막 이외에 200 내지 400 nm의 장파장 자외선을 방출하는 형광막을 더욱 포함함으로써, 진공 자외선, 전자빔 또는 전기 에너지에 의한 가시광 발광 효율이 향상된다.
이러한 복합 형광막은 구조 내 형광막이 구비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PDP), 음극선관(CRT), 형광표시관(VFD), 전자방출 디바이스(EED), 전계발광 표시장치(LED) 및 액정표시장치(LCD)와 같은 표시장치에 적합하게 적용되어 종래 적색, 녹색 및 청색의 형광체만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높은 휘도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색재현성, 자외선 열화에 대한 저항성의 증가 효과를 얻는다.

Claims (9)

  1. 진공 자외선, 전자빔 또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 가시광을 발광하는 제1형광체를 포함하는 제1형광막; 및
    상기 제1형광막의 전면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진공 자외선, 전자빔 또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 200 내지 400 nm의 장파장 자외선을 방출하는 제2형광체를 포함하는 제2형광막
    이 구비된 복합 형광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형광막은 제1형광막/제2형광막이 박막/박막, 후막/박막/ 및 박막/후막 형태를 가지는 복합 형광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형광막의 두께는 1.0 ㎛ 내지 40 ㎛인 복합 형광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형광막의 두께는 5.0 ㎛ 미만인 복합 형광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형광막의 두께는 50 nm 내지 1.0 ㎛인 복합 형광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형광막은 (Ba,Mg,Zn)3SiO7 : Pb2 +, (Ca,Zn)3(PO4)2 : Tl+, MgO : Gd3 +, Y2O3 : Gd3 +, SrAl12O19:Ce, BaSi2O5:Pb, (Sr,Zn)MgSi2O7:Pb, SrB4O7:Eu, BaSi2O5 :Pb2 +, BaZn2Si2O7 :Pb2 +, BaMg2Si2O7 :Pb2 +, (Ba,Sr,Mg)3Si2O7 :Pb2 +, (Ba,Mg,Mn)3Si2O7:Pb2+, (Ba,Zn,Mg)3Si2O7 :Pb2 +, SrB4O7 :Eu2 +, YPO4:Ce, LaPO4:Ce, (Mg,Ba)Al11O19:Ce, 및 Ca3(PO4)2:Tl+ 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된 형광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형광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형광막은 진공증착, 스퍼터링, 플라즈마 증착 및 이온 플레이팅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박막 방법, 또는
    인쇄법, 감광성 페이스트법 및 건조 필름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후막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형광막.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복합 형광막을 구비한 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음극선관, 형광표시관, 전자방출 디바이스,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액정표시장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050069438A 2005-07-29 2005-07-29 복합 형광막과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KR100709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438A KR100709253B1 (ko) 2005-07-29 2005-07-29 복합 형광막과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438A KR100709253B1 (ko) 2005-07-29 2005-07-29 복합 형광막과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4628A true KR20070014628A (ko) 2007-02-01
KR100709253B1 KR100709253B1 (ko) 2007-04-19

Family

ID=38080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9438A KR100709253B1 (ko) 2005-07-29 2005-07-29 복합 형광막과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92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7436A2 (ko) * 2009-09-28 2011-03-31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발광장치에 사용되는 복합필름, 발광장치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21261B2 (en) 2019-05-09 2021-02-16 Kla Corporation Strontium tetraborate as optical coating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560A (ko) * 2000-08-02 2002-02-09 박이순 광중합형 감광성 형광체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형광막의 형성방법
KR100378618B1 (ko) * 2000-07-26 2003-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4102073B2 (ja) * 2001-01-17 2008-06-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7436A2 (ko) * 2009-09-28 2011-03-31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발광장치에 사용되는 복합필름, 발광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11037436A3 (ko) * 2009-09-28 2011-10-27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발광장치에 사용되는 복합필름, 발광장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9253B1 (ko) 200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9598B2 (en) Plasma picture screen with UV light emitting layer
US20060152135A1 (en) Phosphor and plasma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KR100910442B1 (ko) 녹색 형광체 및 이를 이용한 장치
US6603448B2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56051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7154122A (ja) 蛍光体およびガス放電表示装置
KR100709253B1 (ko) 복합 형광막과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KR20010087208A (ko) 청색 인광체를 갖는 플라즈마 화상 스크린
JPH10208647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20060028136A1 (en) Phosphor, and fluorescent lamp and plasma display panel employing the same
KR100740121B1 (ko) 복합 형광체 및 이를 적용한 표시장치
KR100821047B1 (ko) 청색 형광체 및 그것을 이용한 디스플레이패널
CN102165556B (zh) 等离子体显示器装置
KR20020019392A (ko) 청색 형광층을 갖는 칼라 화상 스크린
KR950006429B1 (ko) 칼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421214B1 (ko)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의형광체페이스트및그제조방법
US8017038B2 (en) Green phosphor and plasma display panel including the same
KR20030025820A (ko) 효율이 개선된 플라즈마 화상 스크린
JPH1167103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369308B1 (ko) 평판형 형광램프 및 그 제조 방법
EP1411103B1 (en) Plasma display panel with a green phosphor composed of a mixture of aluminates of spinel structure
US20050067962A1 (en) Plasma display panel
US20080258603A1 (en) Color display device
KR10059971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120012737A (ko) 적색 형광체 및 상기 적색 형광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