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8618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8618B1
KR100378618B1 KR20000043205A KR20000043205A KR100378618B1 KR 100378618 B1 KR100378618 B1 KR 100378618B1 KR 20000043205 A KR20000043205 A KR 20000043205A KR 20000043205 A KR20000043205 A KR 20000043205A KR 100378618 B1 KR100378618 B1 KR 100378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s
discharge
electrode
partition
sust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00043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9362A (ko
Inventor
류병길
박명호
유은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00043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8618B1/ko
Publication of KR20020009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9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8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8618B1/ko

Links

Landscapes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효율을 높일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부기판과; 상부기판과 대향되는 하부기판과;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과 함께 방전공간을 마련하는 격벽과; 방전공간에서의 방전을 위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격벽의 내부에 형성된 제1 전극들 및 격벽의 내부에서 제1 전극들과 다른 높이에 절연되게 형성된 제2 전극들과,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과 격벽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형광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부기판을 투과하는 가시광의 투과율을 높임으로써 발광효율과 휘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본 발명은 평판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광효율을 높이도록 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 이하 "PDP"라 함)은 He+Xe 또는 Ne+Xe 가스의 방전시 발생하는 147nm의 자외선에 의해 형광체를 발광시킴으로써 문자 또는 그래픽을 포함한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PDP는 박막화와 대형화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최근의 기술 개발에 힘입어 크게 향상된 화질을 제공한다. 이러한 PDP는 크게 직류형과 교류형으로 대별된다. 직류형 PDP는 상부기판과 하부기판 각각에 형성된 양극과 음극 사이의 대향방전을 일으킴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 이에 비하여, 교류형 PDP는 유전층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전극들 간에 교류 전압신호를 인가하여 그 신호의 반주기마다 방전이 일어나게 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교류형 PDP는 방전시 표면에 벽전하가 축적되는 유전층을 사용하기 때문에 메모리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교류형 PDP는 서스테인전극쌍(10)이 형성된 상부기판(1)과, 어드레스전극(4)이 형성된 하부기판(2)을 구비한다. 상부기판(1)과 하부기판(2)은 격벽(3)을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이격된다. 상부기판(1), 하부기판(2) 및 격벽(3)에 의해 마련되어진 방전공간에는 Ne-Xe 또는 He-Xe 등의 혼합가스가 주입된다. 서스테인전극쌍(10) 중 어느 하나는 어드레스기간에 공급되는 스캔펄스에 응답하여 어드레스전극(4)과 함께 대향방전을 일으키고 서스테인기간에 공급되는 서스테인펄스에 응답하여 인접한 서스테인전극(10)과 면방전을 일으키는 주사/서스테인전극으로 이용된다. 또한, 서스테인전극쌍 중 나머지 하나는서스테인펄스가 공통으로 공급되는 공통서스테인전극으로 이용된다. 서스테인전극쌍(10)이 형성된 상부기판(1) 상에는 유전층(8)과 보호층(9)이 적층된다. 유전층(8)은 플라즈마 방전전류를 제한함과 아울러 방전시 벽전하를 축적하는 역할을 한다. 보호막(9)은 플라즈마 방전시 발생된 스퍼터링에 의한 유전층(8)의 손상을 방지하고 2차 전자의 방출 효율을 높이게 된다. 이 보호막(9)은 통상 산화마그네슘(MgO)으로 이루어진다. 하부기판(2)에는 방전공간을 분할하기 위한 격벽들(3)이 수직으로 신장된다. 하부기판(2)과 격벽들(3)의 표면에는 진공 자외선에 의해 여기되어 가시광을 발생하는 형광체(5)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교류형 PDP는 한 프레임이 다수의 서브필드로 구성되어 서브필드의 조합에 의해 계조가 실현된다. 예를 들어, 256 계조를 실현하고자 하는 경우에 한 프레임 기간은 8개의 서브필드들로 시분할된다. 아울러, 8개의 서브 필드들 각각은 리셋기간, 어드레스 기간 및 서스테인 기간으로 다시 나누어지게 된다. 리셋기간에는 전화면이 초기화된다. 어드레스 기간에는 데이터가 표시될 셀들이 어드레스 방전에 의해 선택되어진다. 선택된 셀들은 서스테인 기간에 방전이 유지된다. 서스테인 기간은 서브필드들 각각의 휘도 상대비에 따라 2n에 해당하는 기간씩 길어지게 된다. 다시 말하여, 제1 내지 제8 서브필드들 각각에 포함되어진 서스테인 기간은 20, 21, 22, 23, 24, 25, 26, 27의 비율로 길어지게 된다. 이를 위하여, 서스테인 기간에 발생되는 서스테인 펄스의 수도 서브필드들의 휘도 상대비에 따라 상위 서스필드들로 갈수록 증가된다. 이들 서브필드들의 조합에 따라 표시영상의 휘도 및 색도가 결정되게 된다.
이러한 교류형 PDP에 있어서, 서스테인전극쌍(10)에는 듀티비(Duty ratio)가 1이고 200∼300kHz의 주파수와 10∼20㎲정도의 펄스 폭을 가지는 서스테인 펄스가 교번적으로 공급된다. 이 서스테인 펄스에 응답하여 서스테인전극쌍(10) 간에 일어나는 유지방전은 유지펄스당 극히 짧은 순간에 1번만 발생하게 된다. 유지방전에 의해 발생된 하전입자들은 서스테인전극쌍(10)의 극성에 따라 서스테인전극쌍(10) 사이의 방전경로를 이동하여 상부 유전층(8)에 축적됨으로써 벽전하로 남게 된다. 이러한 벽전하는 다음 유지방전시 구동전압을 낮추게 되지만 해당 유지방전시 방전공간의 전계를 감소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유지방전시 벽전하가 형성되면 방전이 멈추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유지방전은 유지펄스의 폭에 비하여 극히 짧은 순간에 1번만 발생하고 그 외 대부분 시간은 벽전하 형성 및 다음 유지방전을 위한 준비단계로 소비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종래의 교류형 PDP에서는 전체 방전기간에 비하여 실제 방전기간이 매우 짧아지게 되므로 휘도 및 방전효율이 낮을 수밖에 없었다.
교류형 PDP의 낮은 휘도 및 방전효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십 내지 수백 MHz의 고주파 신호를 이용하여 유지방전을 일으키는 고주파 PDP(Radio Frequency PDP : 이하 "RFPDP"라 함)가 제안된 바 있다. RFPDP는 고주파 방전에 의해 셀 내에서 전자가 진동운동을 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RFPDP는 어드레스전극(14)과 스캔전극(18)이 직교되게끔 형성된 하부기판(12)과, 스캔전극(18)과 나란하게 고주파전극(28)이 형성된상부기판(30)을 구비한다. 어드레스전극(14)과 스캔전극(18) 사이에는 이들 전극 사이의 절연을 위한 유전층(16)이 형성된다. 스캔전극(18) 위에는 유전층(20)과 보호막(22)이 적층되고, 그 위에 격자형 격벽(24)이 형성된다. 직사각형 격벽(24)과 하부 유전층(26)의 표면에는 형광체(26)가 도포된다.
RFPDP는 리셋기간, 어드레스 기간 및 서스테인 기간을 포함하는 다수의 서브필드들의 조합으로 화상을 표시한다. 먼저, 리셋기간에는 전화면이 초기화된다. 이어서, 어드레스 기간에는 어드레스전극(14)과 스캔전극(18) 사이의 방전에 의해 셀들이 선택된다. 선택된 셀들은 서스테인 기간에 전자의 진동운동에 의해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 때, 고주파전극(28)에는 수 내지 수십 ㎒의 고주파신호가 인가되며 스캔전극(18)에는 소정레벨의 직류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이 고주파신호에 의해 셀 내의 전자들은 고주파신호의 극성에 따라 방전공간 내에서 진동운동하게 된다. 전자들의 진동운동에 의해 방전가스가 연속적으로 이온화된다. 이러한 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진공자외선은 형광체(26)를 여기시키게 되고 형광체(26)가 천이되면서 가시광이 발생된다. 이렇게 RFPDP는 고주파신호를 이용하여 서스테인 기간동안 연속적으로 방전을 일으킴으로써 교류형 PDP에 비하여 휘도와 방전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PDP는 상판에 형광체로부터 발생되는 가시광을 흡수 및 차단하는 유전체와 전극들이 형성되기 때문에 가시광의 투과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도 1 및 도 2에 각각 도시된 교류형 PDP와 RFPDP 뿐만 아니라 도시하지 않은 직류형 PDP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광효율을 높이도록 한 PDP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3전극 교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고주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도포되는 형광체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도포되는 형광체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도포되는 형광체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도포되는 형광체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내는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30,40,60,80 : 상부기판 2,12,32,52,72 : 하부기판
3,24,34,54,74 : 격벽 4,14,56,76 : 어드레스전극
5,26,42a,42b,62a,62b : 형광체 9,22 : 보호막
8,16,20,33,53,73 : 유전층 10,58a,58b,78a,78b : 서스테인전극쌍
36a,36b : 제1 전극쌍 38a,38b : 제2 전극쌍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PDP는 상부기판과; 상부기판과 대향되는 하부기판과;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과 함께 방전공간을 마련하는 격벽과; 방전공간에서의 방전을 위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격벽의 내부에 형성된 제1 전극들 및 격벽의 내부에서 제1 전극들과 다른 높이에 절연되게 형성된 제2 전극들과,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과 격벽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형광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격벽은 격자형 또는 스트라이프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PDP는 상기 방전시 2차 전자 방출을 위하여 상기 격벽의 표면에 형성된 형성된 보호막을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 3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PDP는 크게 상판과 하판으로 나뉘어진다. 상판은 전극이나 유전체가 존재하지 않은 상부기판(40)으로만 구성된다. 하판은 하부기판(32)과, 하부기판(32) 상에 형성된 격자형 격벽(34) 및 격자형 격벽(34) 내에 형성되는 전극들(36a,36b,38a,38b)을 구비한다. 하부기판(32)과 격자형 격벽(34) 사이에는 유전층(33)이 형성된다. 전극들(36a,36b,38a,38b)은 세로방향의 격벽(34)에 나란히 형성되는 제1 전극쌍(36a,36b)과 가로방향의 격벽(34)에 나란히 형성되는 제2 전극쌍(38a,38b)를 포함한다. 제1 전극쌍(36a,36b)과 제2 전극쌍(38a,38b)은 소정 높이차(수십 μm 정도)를 두어 격벽(34) 내에 형성되기 때문에 절연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호 직교된다. 이들 전극들(36a,36b,38a,38b)은 직류신호, 교류펄스 또는 고주파신호에 의해 방전을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쌍(36a,36b)은 데이터 펄스와 스캔펄스에 의해 어드레스 방전을 일으킬 수 있고 제2 전극쌍(38a,38b)은 교류펄스나 고주파신호에 의해 서스테인 방전을 일으킬 수 있다.
이와 같은 PDP에 있어서, 도 4와 같이 형광체(42a,42b)는 상부기판(40)의 배면 상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도 5와 같이 격자형 격벽(34)과 유전층(33)의 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형광체(42a,42b)는 상부기판(40), 격벽(34) 및 유전층(33) 상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형광체(42a,42b)의 도포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형광체(42a,42b)로부터 발광되는 가시광양이 그 만큼 많아지게 된다. 상부기판(40)의 배면 상에 형광체(42a)가 형성되는 경우에, 격자형 격벽(34)의 표면 상에 이차전자 방출계수가 높고 방전으로부터 격벽(34)과 전극들(36a,36b,38a,38b)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막을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보호막은 종래에는 MgO와 같은 투명 보호막 재료에 한정되어 있지만 불투명한 보호막 재료로 선택될 수 있기 때문에 재료 선택 범위가 종래보다 넓게 된다. 예를 들어, 보호막의 재료로는 MgO 이외에 다이아몬드(Diamond), DLC(Diamond Like Carbon), MgF2, AlN, BN, Al2O,, CNx, SrO, LiF, CsO, SiO2, ZrO, TiO2등의 세라믹 혹은 반도체 재료를 한 종류 또는 이들 중 2 종 이상의 혼합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도포방법은 진공증착, 스퍼터링(Sputtering), 이온빔(Ion Beam, 솔젤(Sol-gel)법, 페이스트법 등의 박막 또는 후막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PDP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PDP의 상판은 전극이나 유전체가 존재하지 않은 상부기판(60)과, 어드레스 전극(56)이 형성되고 격자형 격벽(54) 내에 서스테인전극쌍(58a,58b)이 형성되는 하부기판(52)을 구비한다. 어드레스전극(56)은 하부기판(62)의 표면에 형성되며 그 위에 유전층(53)이 전면 도포된다. 이 어드레스전극(56)은 서스테인전극쌍(58a,58b) 중 어느 하나와 함께 어드레스 방전을 일으켜 셀을 선택한다. 서스테인전극쌍(58a,58b)은 교류펄스나 고주파신호에 의해 서스테인방전을 일으키며, 이들 중 어느 하나는 어드레스전극(56)과 함께 어드레스 방전을 일으키는 주사전극 역할을 겸하게 된다. 이들 어드레스전극(56)과 서스테인전극쌍(58a,58b)은 유전층(53)과 격벽(54)에 의해 절연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호 직교된다.
이와 같은 PDP에 있어서, 도 7 및 도 8과 같이 형광체(62a,62b)는 상부기판(60)의 배면 상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격자형 격벽(54)과 유전층(53)의 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형광체(62a,62b)는 상부기판(60), 격벽(54) 및 유전층(53) 상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상부기판(60)의 배면 상에 형광체(62a)가 형성되는 경우에, 격자형 격벽(54)의 표면 상에 이차전자 방출계수가 높고 방전으로부터 격벽(54)과 서스테인전극쌍(58a,58b)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막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PDP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PDP의 상판은 전극이나 유전체가 존재하지 않은 상부기판(80)과, 어드레스 전극(76)이 형성되고 스트라이프 형태의 격벽(74) 내에 서스테인전극쌍(78a,78b)이 형성되는 하부기판(72)을 구비한다. 어드레스전극(76)은 하부기판(72)의 표면에 형성되며 그 위에 유전층(73)이 전면 도포된다. 이 어드레스전극(76)은 서스테인전극쌍(78a,78b) 중 어느 하나와 함께 어드레스 방전을 일으켜 셀을 선택한다. 서스테인전극쌍(78a,78b)은 교류펄스나 고주파신호에 의해 서스테인방전을 일으키며, 이들 중 어느 하나는 어드레스전극(76)과 함께 어드레스 방전을 일으키는 주사전극 역할을 겸하게 된다. 이들 어드레스전극(76)과 서스테인전극쌍(78a,78b)은 유전층(73)과 격벽(74)에 의해 절연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호 직교된다.
이와 같은 PDP에 있어서, 형광체는 상부기판(80)의 배면 상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스트라이프 형태의 격벽(74)과 유전층(73)의 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형광체는 상부기판(80), 격벽(74) 및 유전층(73) 상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PDP의 제조공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PDP의 격벽과 전극은 인쇄(Screen Print)법을 이용하여 도포된다. 먼저, 어드레스전극(56,76)이 형성된 하부기판(52,72) 상에 도시하지 않은 스크린을 정위치시킨 후, 스크린 위에 격벽재 페이스트를 도포함으로서 하부기판(52,72) 상에 소정 두께의 페이스트층을 형성한 다음, 건조(또는 소성)시킨다.(S111 및 S112 단계) 이어서, 건조된 격벽재 페이스트층 상에 전극재료를 인쇄하거나 감광법을 이용하여 1μm 정도의 두께로 전극재료를 도포한다.(S113 단계) 이렇게 형성된 전극(58a,58b,78a,78b) 위에 다시 격벽재 페이스트를 인쇄하고 건조하는 공정을 수차례 반복하여 1mm 정도의 높이를 갖는 격자형 또는 스트라이프 형태의 격벽(54,74)을 형성하게 된다.(S114 내지 S116 단계)
도 11을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PDP의 격벽과 전극은 샌드 블라스트(Sand Blast)법을 이용하여 형성하게 된다. 먼저, 하부기판(32) 상에 소정 두께로 격벽재 페이스트를 전면 인쇄하고 건조시킨다.(S121 및 S122 단계) 이어서, 건조된 격벽재 페이스트층 상에 전극 패턴을 인쇄 및 건조시킴으로써 제2 전극쌍(38a,38b)을 형성시키고, 그 위에 다시 격벽재 페이스트를 소정 두께로 전면 인쇄하고 건조시킨다.(S123 및 S124 단계) 이렇게 제2 전극쌍(38a,38b)을 덮은 격벽재 페이스트층 상에 다시 전극 패턴을 인쇄 및 건조시킴으로써 제1 전극쌍(36a,36b)을 형성시킨다.(S125 단계) 제1 전극쌍(36a,36b) 위에 다시 격벽재 페이스트를 전면 인쇄하고 건조시킨다.(S126 단계) 이어서, 드라이 필름 레지스트(Dry Film Resist : 이하 "DFR"이라 함)가 하부기판(32) 상에 형성되고, 이 DFR은 노광 및 현상되어 격자형의 DFR 패턴으로 패터닝된다. 그 다음, 가압시킨 샌드입자를 DFR 패턴을 통하여 하부기판(32) 상의 격벽재 페이스트층과 전극재료층 쪽으로 분사하여 DFR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격벽재 페이스트층과 전극재료층을 제거한다.(S128 단계) 마지막으로, DFR 패턴을 제거하고 격벽재 페이스트층을 소성시킨다.(S129 및 S130 단계)
도 12를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PDP의 격벽과 전극은 감광법으로 형성된다. 먼저, 하부기판(32) 상에 소정 두께로 감광성 격벽재 페이스트를 전면 인쇄하고 건조시킨다.(S131 및 S132 단계) 이어서, 건조된 감광성 격벽재 페이스트층 상에 전극 패턴을 인쇄 및 건조시킴으로써 제2 전극쌍(38a,38b)을 형성시킨다.(S133 단계) 제2 전극쌍(38a,38b) 위에 다시 감광성 격벽재 페이스트가 소정 두께로 전면 인쇄된 다음, 건조된다.(S134 단계) 이렇게 제2 전극쌍(38a,38b)을 덮은 감광성 격벽재 페이스트층 상에 다시 전극 패턴을 인쇄 및 건조시킴으로써 제1 전극쌍(36a,36b)을 형성시킨다.(S135 단계) 제1 전극쌍(36a,36b) 위에 다시 격벽재 페이스트를 전면 인쇄하고 건조시킨다.(S136 단계) 이어서, DFR이 하부기판(32) 상에 형성되고, 이 DFR은 노광 및 현상되어 격자형의 DFR 패턴으로 패터닝된다. 이 DFR 패턴을 통하여 하부기판(32) 상의 격벽재 페이스트층을 노광 및 현상한 후, 에칭함으로써 DFR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격벽재 페이스트층과 전극재료층을 제거한다.(S138 단계) 마지막으로, DFR 패턴을 제거하고 격벽재 페이스트층을 소성시킨다.(S139 및 S140 단계)
도 13을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PDP의 격벽과 전극은 금형(Mold)법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먼저, 하부기판(32) 상에 도시하지 않은 상에 격벽재 페이스트가 전면 인쇄된 후, 건조된다.(S141 및 S142 단계) 이어서, 건조된 격벽재 페이스트층 상에 전극 패턴을 인쇄 및 건조시킴으로써 제2 전극쌍(38a,38b)을 형성시킨다.(S143 단계) 제2 전극쌍(38a,38b) 위에 다시 격벽재 페이스트가 소정 두께로 전면 인쇄된 다음, 건조된다.(S144 단계) 이렇게 제2 전극쌍(38a,38b)을 덮은 격벽재 페이스트층 상에 다시 전극 패턴을 인쇄 및 건조시킴으로써 제1 전극쌍(36a,36b)을 형성시킨다.(S145 단계) 제1 전극쌍(36a,36b) 위에 다시 격벽재 페이스트를 전면 인쇄하고 건조시킨다.(S146 단계) 그 다음, 격벽형상에 대응하는 격자형 또는 스트라이프 형 홈이 형성된 금형을 격벽재 페이스트층 상에 가압한 후, 금형을 격벽재 페이스트로부터 분리시킨다.(S147 및 S148 단계) 마지막으로, 금형에 의해 성형된 격벽을 소성시킨다.(S149 단계)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PDP는 형광체로부터 발생된 가시광이 표시면 쪽으로 투과되는 상판 상에 전극과 유전체층을 제거하고 전극을 하부기판의 셀간 경계부에 해당하는 격벽 내에 형성시키게 된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PDP는 상판을 투과하는 가시광의 투과율을 높임으로써 발광효율과 휘도를 높이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4)

  1. 상부기판과;
    상기 상부기판과 대향되는 하부기판과;
    상기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과 함께 방전공간을 마련하는 격벽과;
    상기 방전공간에서의 방전을 위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격벽의 내부에 형성된 제1 전극들 및 상기 격벽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전극들과 다른 높이에 절연되게 형성된 제2 전극들과;
    상기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과 격벽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형광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시 2차 전자 방출을 위하여 상기 격벽의 표면에 형성된 형성된 보호막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격자형 또는 스트라이프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이 격자형인 경우 상기 제1 전극들과 상기 제2 전극들은 교차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00043205A 2000-07-26 2000-07-2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378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43205A KR100378618B1 (ko) 2000-07-26 2000-07-2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43205A KR100378618B1 (ko) 2000-07-26 2000-07-2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362A KR20020009362A (ko) 2002-02-01
KR100378618B1 true KR100378618B1 (ko) 2003-03-31

Family

ID=19680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00043205A KR100378618B1 (ko) 2000-07-26 2000-07-2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86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86023B2 (en) 2004-08-18 2009-02-03 Samsung Sdi Co., Ltd Single layer discharge electrode configuration for a plasma display pane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145B1 (ko) * 2001-08-27 2004-01-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15200B1 (ko) * 2003-12-22 2006-08-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63071B1 (ko) * 2004-07-10 2006-03-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100615252B1 (ko) * 2004-09-24 2006-08-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67942B1 (ko) * 2005-01-20 2007-01-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방법
KR100709253B1 (ko) * 2005-07-29 2007-04-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복합 형광막과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86023B2 (en) 2004-08-18 2009-02-03 Samsung Sdi Co., Ltd Single layer discharge electrode configuration for a plasma display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362A (ko) 200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30620A2 (en) AC plasma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KR20010077962A (ko) 교류 구동형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20026843A (ko) 플라스마 표시 장치
KR10037861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60038492A1 (en)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010029933A (ko) 평면형 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KR20010029871A (ko) 평면형 표시장치
US7781972B2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83031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696506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0322606B1 (ko) 마이크로홀이 형성된 전극을 가지는 표시소자
KR100400667B1 (ko) 가스 방전 표시장치
KR100364669B1 (ko) 고주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
JP2008004436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365507B1 (ko) 고주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
KR10029754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그의 형광체 도포방법
KR100278784B1 (ko)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KR10082066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326533B1 (ko) 고주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2001028242A (ja) 平面型表示装置とその製造方法
KR10069205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998006866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KR100768045B1 (ko) 고주파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2429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2589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