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4299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4299B1
KR100524299B1 KR10-2003-0002589A KR20030002589A KR100524299B1 KR 100524299 B1 KR100524299 B1 KR 100524299B1 KR 20030002589 A KR20030002589 A KR 20030002589A KR 100524299 B1 KR100524299 B1 KR 100524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wall
wing portion
partition
green
b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2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5588A (ko
Inventor
강석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2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4299B1/ko
Publication of KR20040065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5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4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42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2Cradles ; Bassinets with rocking mechanisms

Landscapes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샌드 블라스팅법을 이용하여 격벽을 균일하게 형성시켜 화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판 상에 서로 다른 간격으로 형성되고 적색과 녹색 및 청색 방전셀들을 분리하는 다수의 스트라이프 격벽들과, 상기 격벽들마다 신장되는 날개부를 가지고, 상기 날개부는 인접한 상기 날개부들 간의 거리가 동일하도록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격벽 형성시 균일한 샌드 입자의 분사율이 동일하므로 균일한 격벽을 형성하여 형광체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형광체의 두께 차이로 인한 화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샌드 블라스팅법을 이용하여 격벽을 균일하게 형성시켜 화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 이하 "PDP"라 함)은 가스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진공 자외선이 형광체를 여기시킬 때 형광체로부터 가시광선이 발생되는 것을 이용한 표시장치이다. PDP는 지금까지 표시수단의 주종을 이루어왔던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 CRT)에 비해 두께가 얇고 가벼우며, 고선명 대형화면의 구현이 가능하다는 점등의 장점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3 전극 교류 면방전형 PDP는 상부기판(16)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유지전극쌍(4), 상부 유전체층(12) 및 보호막(10)을 가지는 상판과, 하부기판(14)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어드레스 전극(2), 하부 유전체층(18), 격벽(8) 및 형광체(6)를 가지는 하판을 구비한다.
상부기판(16)의 상부 유전체층(12)은 플라즈마 방전시 벽전하를 축적하게 되고, 보호막(10)은 플라즈마 방전시 가스 이온의 스퍼터링으로부터 유지전극쌍(4)과 상부 유전체층(12)의 손상을 방지하여 PDP의 수명을 늘릴 뿐만 아니라 2차 전자의 방출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보호막(10)으로는 통상 산화마그네슘(MgO)이 이용된다.
하부기판(14)의 어드레스 전극(2)은 유지전극쌍(4)과 교차하게 형성된다. 이 어드레스 전극(2)에는 디스플레이될 셀들을 선택하기 위한 데이터신호가 공급된다. 격벽(8)은 어드레스 전극(2)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방전에 의해 생성된 자외선이 인접한 방전셀에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인접한 방전셀간의 전기적·광학적 크로스토크(Crosstalk)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형광체(6)는 하부 유전체층(18) 및 격벽(8)의 표면에 도포되어 적색, 녹색 또는 청색 중 어느 하나의 가시광선을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 및 하부기판(16, 14)과 격벽(8) 사이에 마련된 가스방전공간에는 방전을 위한 He+Xe, Ne+Xe, He+Xe+Ne 등의 불활성 혼합가스가 주입된다.
이러한 PDP는 어드레스 전극(2)과 유지전극쌍(4) 사이의 대향방전에 의해 선택된 후 유지전극쌍(4) 사이의 면방전에 의해 방전을 유지하게 된다. PDP 셀에서는 유지방전시 발생되는 자외선에 의해 형광체(6)가 발광함으로써 가시광이 방전셀 외부로 방출되게 된다. 이 결과, 방전셀들을 가지는 PDP는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PDP에서 형광체(6)는 방전시 발생되는 짧은 파장의 진공 자외선(Vacuum Ultraviolet : ΔUV)에 의해 여기되어 고유색의 가시광선을 발생하므로써 각 방전셀에서 빛의 3원색인 적색, 녹색, 청색(R, G, B)을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PDP에서 풀화이트의 색좌표는 형광체(6)의 재료 및 사용되는 불활성 가스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하여, 형광체(6)는 자체재료특성 향상 및 격벽내벽에 균일하게 도포되는 특성 외에 형광체(6)가 보다 넓은 면적에 걸쳐 도포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형광체가 도포되는 격벽이 구조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져야 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트라이프 타입(Stripe Type)의 격벽(8)은 격벽(8) 사이를 차단하는 구조물이 없어 공기의 유로가 존재하므로 혼합가스의 주입을 위해 방전공간을 진공상태로 만드는 배기공정이 행해질 때, 공기의 배기 및 가스의 주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반면, 스트라이프 타입의 격벽(8)을 채용한 PDP는 형광체가 도포되는 면적이 한정됨으로 인해 방전셀 내에서 형광체가 발광하는 가시광량이 적어 고휘도 특성을 갖지 못하며, 상하 방전셀이 구분되는 영역에 격벽(8) 사이에 형성되는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음으로 인해 상하 방전셀간 가스의 유로 폭이 넓어 크로스토크가 발생하여 PDP의 화소간 색간섭 현상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쉬본(fish-born) 타입 격벽이 제안되었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피쉬본 타입의 격벽을 가지는 PDP는 스트라이프 형태의 격벽(28)에서 양측면으로 돌출되는 날개부(30)를 구비한다. 이러한 날개부(30)는 상하 방전셀이 구분되는 영역에 격벽(28)의 양측면으로 돌출되어 격벽(28)의 표면적을 넓히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때, 격벽(28)의 날개부(30)는 격벽(28) 마다 동일한 폭(w1)으로 돌출되어진다. 이렇게 증가된 격벽(28)의 표면적은 한 방전셀 내에서 형광체가 도포되는 면적을 증가시키므로, 한 방전셀 내의 형광체 도포량이 그만큼 증가하게 된다. 이에 의해, 한 방전셀 내에서 형광체가 발광하는 가시광량이 그만큼 증가하여 PDP의 휘도 특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종래의 피쉬본 타입의 격벽을 가지는 PDP의 방전셀은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형광체(36)의 발광특성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을 구현하는 방전셀의 발광휘도가 서로 다르게 된다. 특히, 녹색(G)을 구현하는 방전셀의 발광휘도는 적색(R) 및 청색(B)을 구현하는 방전셀의 발광휘도보다 높고, 적색(R)을 구현하는 방전셀의 발광휘도는 청색(B)을 구현하는 방전셀의 발광휘도보다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청색(B)을 구현하는 방전셀의 낮은 발광휘도로 인하여 PDP의 전체적인 색온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피쉬본 타입의 격벽 구조를 비대칭 형태로 형성하여 적색(R) 방전셀과 녹색(G) 방전셀 및 청색(B) 방전셀의 면적비율을 변화시켜 발광 면적의 변화로 색좌표를 보상하게 된다. 즉, 격벽(28)에서 인접한 동일한 폭(w1)을 가지는 격벽(28)의 날개부(32) 간의 거리는 격벽(28) 간의 피치가 녹색(G)>청색(B)>적색(R) 순으로 비대칭 되도록 형성되고, 적색(R) 방전셀과 녹색(G) 방전셀 및 청색(B) 방전셀 각각에서 격벽(28) 간의 피치가 녹색(G)>청색(B)>적색(R) 순으로 비대칭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색좌표를 풀화이트 조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피쉬본 타입의 격벽 구조를 가지는 PDP는 샌드 블라스팅 방법을 이용하여 비대칭 구조를 가지는 격벽을 형성하게 된다.
이를 상세히 하면, 우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기판(14) 상에는 어드레스 전극(2)을 실장한 유전체(18)과 격벽용 페이스트(20)가 형성된다. 어드레스 전극(2)이 형성된 하부기판(14) 상에 유전체(18)이 형성되며, 유전체(18) 상에 격벽용 페이스트(20)가 형성된다. 여기서, 격벽용 페이스트(20)는 소정 높이를 가지게끔 인쇄법이나 코팅방법으로 형성된다.
그런 다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용 페이스트(20) 상에 드라이 필름 레진(Dry Film Resin ; 이하 "DFR", 22)을 형성시킨다. DFR(22)에는 하부기판(14)과 접합되도록 라미네이팅 공정이 수행된다. 이 라미네이팅 공정은 소정 온도로 열을 가하면서 균일한 압력을 가하는 공정으로써 이 라미네이팅 공정에 의해 DFR(22)과 하부기판(14)이 접착되게 된다.
이어서, DFR(22) 상에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을 형성하기 위한 마스크를 정렬시킨다. 마스크는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데, 광차단부(24a)와 광투과부(24b)가 번갈아 형성된다. 광차단부(24a)는 격벽이 형성될 영역에 해당하여 조사되는 광을 차단한다. 광투과부(24b)는 조사되는 광을 투과시켜 DFR(22)이 광에 노출되도록 한다.
DFR(22)을 노광시킨 후 현상공정을 거치게 되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에 노출되지 않은 영역의 DFR(22)은 남아있게 되며, 광에 노출된 영역의 DFR(22)은 현상됨으로써 DFR(22)이 패터닝된다.
이후,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샌드 블라스팅 장치(24)를 이용하여 샌드 입자를 격벽용 페이스트에 분사시키면 DFR(22)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격벽용 페이스트가 제거된다.
이어서, 도 4f 및 도 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DFR(22)을 제거한 후, 격벽용 페이스트(20)를 소성하여 격벽(8)을 완성한다. 이때, DFR(22)을 제거하기 위해 염기성 수용액, 예를 들면 Na2CO3 나 NaOH 를 이용한다.
이와 같은 샌드 블라스팅법을 이용한 격벽 제조방법에서 샌드입자의 분사율은 격벽(28)의 날개부(32) 간의 간격이 가장 좁은(a) 적색 방전셀(R)을 마련하는 격벽(28)들로 설정되기 때문에 다른 방전셀(G, B)을 마련하는 격벽(28)들에서 오버 샌딩(Over Sanding)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다시 말하여, 샌드입자는 격벽(28) 간의 간격이 좁을 수록 샌딩이 어렵기 때문에 격벽(28) 간의 간격이 가장좁은 a 조건으로 설정되어 페이스트를 제거함으로써 격벽(28)의 형상을 형성한다. 이로 인하여 다른 영역(b, c)에서는 격벽(28) 간의 거리가 넓기 때문에 페이스트가 지나치게 제거되어 원하는 형상의 격벽(28)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격벽(28) 상에는 형광체가 도포되게 되는데, 이 때 원하는 두께를 가지도록 형광체가 도포되는 오버 샌딩된 격벽에는 형광체가 얇게 도포된다. 이러한, 형광체의 두께 차이로 인하여 화상 구현시 줄얼록이 발생되는 화질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샌드 블라스팅법을 이용하여 격벽을 균일하게 형성시켜 화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PDP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DP는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서로 다른 간격으로 형성되고 적색과 녹색 및 청색 방전셀들을 분리하는 다수의 스트라이프 격벽들과, 상기 격벽들마다 신장되는 날개부를 가지고, 상기 날개부는 인접한 상기 날개부들 간의 거리가 동일하도록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DP에서 상기 날개부는 제 1 폭을 가지도록 상기 격벽에서 양측면으로 신장되는 제 1 날개부와, 상기 제 1 폭보다 큰 제 2 폭을 가지도록 상기 격벽에서 양측면으로 신장되는 제 2 날개부와, 상기 제 1 폭보다 큰 제 3 폭을 가지도록 상기 격벽에서 양측면으로 신장되는 제 3 날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DP에서 상기 제 1 날개부를 가지는 상기 격벽은 상기 청색 및 적색 방전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날개부를 가지는 상기 격벽은 상기 적색 및 녹색 방전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 3 날개부를 가지는 상기 격벽은 상기 녹색 및 청색 방전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DP에서 상기 날개부는 제 1 폭을 가지도록 상기 격벽에서 일측면으로 신장되는 제 1 날개부와, 상기 제 1 폭보다 큰 제 2 폭을 가지도록 상기 격벽에서 일측면으로 신장되는 제 2 날개부와, 상기 제 1 폭보다 큰 제 3 폭을 가지도록 상기 격벽에서 양측면으로 신장되는 제 3 날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DP에서 상기 제 1 날개부는 상기 격벽에서 상기 청색 방전셀 쪽을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DP에서 상기 제 2 날개부는 상기 격벽에서 상기 녹색 방전셀 쪽을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DP에서 상기 제 1 날개부를 가지는 상기 격벽은 상기 청색 및 적색 방전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날개부를 가지는 상기 격벽은 상기 적색 및 녹색 방전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 3 날개부를 가지는 상기 격벽은 상기 녹색 및 청색 방전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DP에서 상기 적색 방전셀에는 상기 스트라이프 격벽만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DP에서 상기 방전셀들의 면적은 녹색 방전셀>청색 방전셀>적색 방전셀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PDP(Plasma Display Panel : 이하 "PDP"라 함)은 도시하지 않은 상부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유지전극쌍, 상부 유전체층 및 보호막을 가지는 상판과, 하부기판(114)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어드레스 전극(102), 하부 유전체층(118), 격벽(108) 및 도시하지 않은 형광체을 가지는 하판을 구비한다.
상부기판의 상부 유전체층은 플라즈마 방전시 벽전하를 축적하게 되고, 보호막은 플라즈마 방전시 가스 이온의 스퍼터링으로부터 유지전극쌍과 상부 유전체층의 손상을 방지하여 PDP의 수명을 늘릴 뿐만 아니라 2차 전자의 방출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보호막으로는 통상 산화마그네슘(MgO)이 이용된다.
하부기판(114)의 어드레스 전극(102)은 유지전극쌍(104)과 교차하게 형성된다. 이 어드레스 전극(102)에는 디스플레이될 셀들을 선택하기 위한 데이터신호가 공급된다. 격벽(108)은 어드레스 전극(102)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방전에 의해 생성된 자외선이 인접한 방전셀에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인접한 방전셀간의 전기적·광학적 크로스토크(Crosstalk)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형광체은 하부 유전체층(118) 및 격벽(108)의 표면에 도포되어 적색, 녹색 또는 청색 중 어느 하나의 가시광선을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 및 하부기판(116, 114)과 격벽(108) 사이에 마련된 가스방전공간에는 방전을 위한 He+Xe, Ne+Xe, He+Xe+Ne 등의 불활성 혼합가스가 주입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PDP는 어드레스 전극(102)과 유지전극쌍(104) 사이의 대향방전에 의해 선택된 후 유지전극쌍(104) 사이의 면방전에 의해 방전을 유지하게 된다. PDP 셀에서는 유지방전시 발생되는 자외선에 의해 형광체가 발광함으로써 가시광이 방전셀 외부로 방출되게 된다. 이 결과, 방전셀들을 가지는 PDP는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PDP에서 형광체는 방전시 발생되는 짧은 파장의 진공 자외선(Vacuum Ultraviolet : ΔUV)에 의해 여기되어 고유색의 가시광선을 발생하므로써 각 방전셀에서 빛의 3원색인 적색, 녹색, 청색(R, G, B)을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PDP에서 풀화이트의 색좌표는 형광체의 재료 및 사용되는 불활성 가스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하여, 형광체는 자체재료특성 향상 및 격벽 내벽에 균일하게 도포되는 특성 외에 형광체가 보다 넓은 면적에 걸쳐 도포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즉, PDP의 방전셀은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형광체의 발광특성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을 구현하는 방전셀의 발광휘도가 서로 다르게 된다. 특히, 녹색(G)을 구현하는 방전셀의 발광휘도는 적색(R) 및 청색(B)을 구현하는 방전셀의 발광휘도보다 높고, 적색(R)을 구현하는 방전셀의 발광휘도는 청색(B)을 구현하는 방전셀의 발광휘도보다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청색(B)을 구현하는 방전셀의 낮은 발광휘도로 인하여 PDP의 전체적인 색온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형광체가 도포되는 격벽(108)이 구조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DP의 격벽(108)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쉬본(fish-born) 타입의 비대칭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발광휘도를 향상시켜 PDP의 전체적인 색온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PDP에서 피쉬본(fish-born) 타입 격벽(108)은 스트라이프 형태의 격벽(130)에서 양측면으로 돌출되는 날개부(132)를 구비한다. 이러한 날개부(132)는 상하 방전셀이 구분되는 영역에 격벽(108)의 양측면으로 돌출되어 격벽(108)의 표면적을 넓히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적색(R) 방전셀과 녹색(G) 방전셀 및 청색(B) 방전셀 각각에서 스트라이프 격벽(130) 간의 피치가 형광체의 발광특성에 따라 서로 다르도록(녹색(G)≠청색(B)≠적색(R)) 형성함과 아울러 격벽(108)에서 돌출되는 날개부(132)의 폭(w1, w2, w3) 비율을 동일하게(a=b=c) 설정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DP에서 격벽(108)의 표면적은 날개부(132) 각각의 폭(w1, w2, w3)의 비율에 따라 방전셀 내에서 도포되는 형광체의 면적이 달라져 형광체 도포량이 그만큼 증가하게 된다. 이렇게 형광체의 도포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색좌표 및 ΔUV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상세히 하면, 피쉬본 타입의 격벽(108) 각각에서 돌출되는 날개부(132) 간의 간격을 동일하게 하기 위해서, 적색(R) 방전셀과 녹색(G) 방전셀사이에 형성되는 제 2 격벽(108G)의 날개부 폭(w2)은 녹색(G) 방전셀과 청색(B) 방전셀 사이에 형성되는 제 3 격벽(108B)의 날개부 폭(w3)과 동일하거나 크게 된다. 또한, 청색(B) 방전셀과 적색(R) 방전셀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격벽(108R)의 날개부 폭(w1)은 가장 좁게 된다. 즉, 제 1 격벽(108R)은 종래의 제 1 격벽보다 감소하게 되고, 제 2 및 제 3 격벽(108G, 108B) 각각은 종래의 제 2 및 제 3 격벽보다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격벽(108)은 샌드 블라스팅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이를 상세히 하면, 우선 하부기판(114) 상에는 어드레스 전극(102)을 실장한 유전체(118)과 도시하지 않은 격벽용 페이스트가 형성된다. 어드레스 전극(102)이 형성된 하부기판(114) 상에 유전체(118)이 형성되며, 유전체(118) 상에 격벽용 페이스트가 형성된다. 여기서, 격벽용 페이스트는 소정 높이를 가지게끔 인쇄법이나 코팅방법으로 형성된다.
그런 다음, 격벽용 페이스트 상에 드라이 필름 레진(Dry Film Resin ; 이하 "DFR")을 형성시킨다. DFR에는 하부기판(114)과 접합되도록 라미네이팅 공정이 수행된다. 이 라미네이팅 공정은 소정 온도로 열을 가하면서 균일한 압력을 가하는 공정으로써 이 라미네이팅 공정에 의해 DFR과 하부기판(114)이 접착되게 된다.
이어서, DFR 상에 격벽을 형성하기 위한 마스크를 정렬시킨다. 마스크는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데, 광차단부와 광투과부가 번갈아 형성된다. 광차단부는 격벽이 형성될 영역에 해당하여 조사되는 광을 차단한다. 광투과부는 조사되는 광을 투과시켜 DFR이 광에 노출되도록 한다. DFR을 노광시킨 후 현상공정을 거치게 되면 광에 노출되지 않은 영역의 DFR은 남아있게 되며, 광에 노출된 영역의 DFR은 현상됨으로써 DFR이 패터닝된다.
이후, 샌드 블라스팅 장치를 이용하여 샌드 입자를 격벽용 페이스트에 분사시키면 DFR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격벽용 페이스트가 제거된다. 이어서, DFR을 제거한 후, 격벽용 페이스트를 소성하여 격벽(108)을 완성한다. 이때, DFR을 제거하기 위해 염기성 수용액, 예를 들면 Na2CO3 나 NaOH 를 이용한다.
이와 같은 샌드 블라스팅법을 이용한 격벽 제조방법에서는 격벽(108)의 날개부 간의 거리(a, b, c)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원하는 형상을 가지는 격벽(108)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격벽(108)의 날개부 간의 거리(a, b, c)가 동일하게 형성되기 대문에 페이스트를 제거하기 위한 샌드입자의 분사율이 모두 동일하게 딘다. 이로 인하여 종래에서와 같이 격벽(108)의 날개부 간의 거리(a, b, c)가 달라 오버샌딩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렇게, 샌드입자의 균일한 분사로 인하여 형성된 격벽(108) 상에는 균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광체가 도포된다. 따라서, 종래에서와 같이 형광체의 두께 차이로 인하여 화상 구현시 발생되는 줄얼록으로 인한 화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PDP는 샌드 블라스팅법을 이용한 피쉬본 타입의 격벽은 샌드입자의 분사율을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격벽(208)은 서로 다른 간격(A, B, C)을 가지는 스트라이프 형태의 격벽(230)을 구비하고, 형광체의 발광특성이 가장 좋은 적색(R) 방전셀 공간에 형성되는 인접한 격벽(208)들의 측면은 스트라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녹색(G) 및 청색(B) 방전셀을 마련하는 격벽(208)들에는 날개부가 형성된다.
이를 상세히 하면, 적색(R) 방전셀과 녹색(G) 방전셀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격벽(208G)은 스트라이프 형태(230)로 형성되고 제 2 격벽(208G)의 한쪽 측면에서 녹색(G) 방전셀 쪽으로 신장된 날개부(208G1)가 형성된다. 또한, 녹색(G) 방전셀과 청색(B) 방전셀 사이에 형성되는 제 3 격벽(208B)에는 일측부에서 청색(B) 방전셀 쪽으로 신장되는 제 1 날개부(208B1)와 제 1 날개부(208B1)의 반대쪽 녹색(G) 방전셀 쪽으로 신장되는 제 2 날개부(208B2)가 형성된다. 이 때, 제 3 격벽(208B)에서 제 1 날개부(208B1) 및 제 1 날개부(208B1) 각각의 폭은 동일하거나 어느 한쪽이 크게 된다. 또한, 청색(B) 방전셀과 녹색(G) 방전셀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격벽(208R1)은 스트라이프 형태(230)의 제 2 격벽(208G)에서 한쪽 측면에서 인접한 청색(B) 방전셀 쪽으로 신장된 날개부(208R)가 형성된다. 이 때, PDP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격벽은 스트라이프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내지 3 격벽에 형성되는 각각의 날개부의 폭은 격벽 간의 거리가 동일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적색(R) 방전셀은 스트라이프 형태의 격벽들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샌드 블라스팅법을 이용한 격벽 제조방법에서는 격벽(208)의 날개부 간의 거리(a, b, c)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원하는 형상을 가지는 격벽(208)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격벽(208)의 날개부 간의 거리(a, b, c)가 동일하게 형성되기 대문에 페이스트를 제거하기 위한 샌드입자의 분사율이 모두 동일하게 딘다. 이로 인하여 종래에서와 같이 격벽(208)의 날개부 간의 거리(a, b, c)가 달라 오버샌딩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렇게, 샌드입자의 균일한 분사로 인하여 형성된 격벽(208) 상에는 균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광체가 도포된다. 따라서, 종래에서와 같이 형광체의 두께 차이로 인하여 화상 구현시 발생되는 줄얼록으로 인한 화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DP은 피쉬본 타입의 격벽에서 스트라이프 형태의 격벽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고 스트라이프 형태의 격벽에서 신장되는 날개부 간의 거리를 동일하게 설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격벽 형성시 균일한 샌드 입자의 분사율이 동일하므로 균일한 격벽을 형성하여 형광체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형광체의 두께 차이로 인한 화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스트라이프 타입의 격벽을 가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스트라이프 타입의 격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 피쉬본 타입의 격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g는 도 3에 도시된 피쉬본 탑입의 격벽의 제조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쉬본 타입의 격벽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기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피쉬본 타입의 격벽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피쉬본 타입의 격벽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102 : 어드레스 전극 4 : 유지전극쌍
6 : 형광체 8, 28, 108 : 격벽
10 : 보호막 12 : 상부 유전체층
14, 114 : 하부기판 16 : 상부기판
30, 130 : 스트라이프 격벽 32, 132 : 날개부

Claims (9)

  1. 샌드블라스팅법에 의해 격벽이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서로 다른 간격으로 형성되고 적색과 녹색 및 청색 방전셀들을 분리하는 다수의 스트라이프 격벽들과,
    상기 격벽들마다 신장되는 날개부를 가지고,
    상기 날개부는 인접한 상기 날개부들 간의 거리가 동일하도록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제 1 폭을 가지도록 상기 격벽에서 양측면으로 신장되는 제 1 날개부와,
    상기 제 1 폭보다 큰 제 2 폭을 가지도록 상기 격벽에서 양측면으로 신장되는 제 2 날개부와,
    상기 제 1 폭보다 큰 제 3 폭을 가지도록 상기 격벽에서 양측면으로 신장되는 제 3 날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날개부를 가지는 상기 격벽은 상기 청색 및 적색 방전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날개부를 가지는 상기 격벽은 상기 적색 및 녹색 방전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 3 날개부를 가지는 상기 격벽은 상기 녹색 및 청색 방전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제 1 폭을 가지도록 상기 격벽에서 일측면으로 신장되는 제 1 날개부와,
    상기 제 1 폭보다 큰 제 2 폭을 가지도록 상기 격벽에서 일측면으로 신장되는 제 2 날개부와,
    상기 제 1 폭보다 큰 제 3 폭을 가지도록 상기 격벽에서 양측면으로 신장되는 제 3 날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날개부는 상기 격벽에서 상기 청색 방전셀 쪽을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날개부는 상기 격벽에서 상기 녹색 방전셀 쪽을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날개부를 가지는 상기 격벽은 상기 청색 및 적색 방전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날개부를 가지는 상기 격벽은 상기 적색 및 녹색 방전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 3 날개부를 가지는 상기 격벽은 상기 녹색 및 청색 방전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방전셀에는 상기 스트라이프 격벽만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셀들의 면적은 녹색 방전셀>청색 방전셀>적색 방전셀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3-0002589A 2003-01-15 2003-01-15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24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589A KR100524299B1 (ko) 2003-01-15 2003-01-15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589A KR100524299B1 (ko) 2003-01-15 2003-01-15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5588A KR20040065588A (ko) 2004-07-23
KR100524299B1 true KR100524299B1 (ko) 2005-11-01

Family

ID=37434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2589A KR100524299B1 (ko) 2003-01-15 2003-01-15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429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5588A (ko) 200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10015623A1 (en) Surface-discharge type display device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KR20010077962A (ko) 교류 구동형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3803256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表示装置
KR10069209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2150947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89357B1 (ko) 형광체 도포에 적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10029933A (ko) 평면형 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KR10037861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2429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7495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그의 제조방법
KR10048846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09005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그의 제조방법
KR10069208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그의 제조방법
KR2006007602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7498121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KR10040484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90021165A1 (en)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5001763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8332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70152589A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73822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4920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7567033B2 (en) Barrier rib structure of plasma display panel and lower plate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052430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6753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