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2581A - 모바일 기기의 자유 낙하 검출 방법, 이에 적합한 장치,그리고 이에 적합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의 자유 낙하 검출 방법, 이에 적합한 장치,그리고 이에 적합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2581A
KR20070012581A KR1020050067058A KR20050067058A KR20070012581A KR 20070012581 A KR20070012581 A KR 20070012581A KR 1020050067058 A KR1020050067058 A KR 1020050067058A KR 20050067058 A KR20050067058 A KR 20050067058A KR 20070012581 A KR20070012581 A KR 20070012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leration
free fall
threshold
mobile device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7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3494B1 (ko
Inventor
쥴리안 스토예브
심준석
이행수
백상은
조규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7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3494B1/ko
Priority to US11/192,422 priority patent/US20070030159A1/en
Priority to JP2006200030A priority patent/JP5122771B2/ja
Publication of KR20070012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2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3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3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16Supporting the heads; Supporting the sockets for plug-in heads
    • G11B21/22Supporting the heads; Supporting the sockets for plug-in heads while the head is out of operative posi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G01P15/08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 G01P15/0891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with indication of predetermined acceleration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18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in two or more dimens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04Arrangements for preventing, inhibiting, or warning against double recording on the same blank or against other recording or reproducing malfunc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8Insulation or absorption of undesired vibrations or soun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의 자유 낙하를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속도 및 그것의 적분을 참조함에 의해 모바일 기기의 자유 낙하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방법, 그에 적합한 장치, 그리고 그러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어들일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자유 낙하 검출 방법은 모바일 기기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과정; 검출된 가속도를 적분하는 과정; 및 적분 과정의 결과를 소정의 면적 문턱값과 비교하여 자유 낙하를 판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속도 및 가속도의 적분 모드에 따라 자유낙하 검출이 수행되므로, 모바일 기기의 비자유낙하 운동에 대해 잘못된 자유낙하 경고를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의 자유 낙하 검출 방법, 이에 적합한 장치, 그리고 이에 적합한 기록매체{Method of detecting free fall of a mobile device, apparatus for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도 1은 모바일 기기를 자유낙하로부터 보호하는 개념을 보이는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방법에 의해 모바일 기기의 자유낙하를 검출하는 개념을 보이는 것이다.
도 3은 9.5Km/h의 속도로 달리고 있는 사람에게 장착된 가속도 센서의 출력을 보이는 것이다.
도 4는 달리기 속도 및 센서 위치에 따른 경과 시간 및 해당 경과 시간에 대한 횟수와의 관계를 보이는 것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임계 경우들, 종래의 방법에 의해 잘못된 자유낙하 경고가 발생되는, 중의 하나를 보이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자유 낙하를 검출하는 개념을 보이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자유 낙하를 검출하는 방법을 보이는 것이다.
도 8은 자유 낙하 상황 및 비자유 낙하 운동 운동의 경우들에 있어서의 적분 결과들을 보이는 것이다.
도 9는 자유 낙하 상황 및 비자유 낙하 운동 운동의 다른 경우들에 있어서의 적분 결과들을 보이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자유 낙하 검출 장치를 보이는 것이다.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의 자유 낙하를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속도 및 그것의 적분을 참조함에 의해 모바일 기기의 자유 낙하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방법, 그에 적합한 장치, 그리고 그러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어들일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모바일 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디지털 카메라, 가전 전자 기기, 사무용 전자 기기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들이 실생활에서 필수적인 것이 되었다. 이들 기기들 혹은 그것에 장착된 저장 장치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는 자유낙하충격(free fall shock)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모바일 기기들에 장착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들에 있어서, 내충격성은 중요한 파라메터들 중의 하나이다. 이 파라메터를 개선하는 하나의 방법은 모바일 기기의 자유 낙하를 검출함에 의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헤드를 안전한 영역으로 퇴출(retract) 시키는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헤드의 퇴출을 기동시키기 위한 자유낙하경고는 모바일 기기의 가속도가 소정 시간 동안 소정의 문턱값 아래로 유지될 때 발생되었다. 모바일 기기에 장착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보호하기 위하여 모바일 기기의 자유 낙하를 검출하는 기술들은 일본 특개평 2005-91219 및 2003-34644, 한국공개특허공보 2005-17248, 미합중국 공개특허 2005-99719 등에 개시되고 있다.
도 1은 모바일 기기를 자유낙하로부터 보호하는 개념을 보이는 것이다. 자유낙하 검출 및 헤드 퇴출을 위하여 200 msec가 소요된다고 가정하면, 이는 보호 높이 p=0.196m 그리고 속도 v=1.96m/s인 경우에 해당한다. 이것은 헤드 퇴출이 도 1의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하 가속도가 문턱값 ath 아래로 떨어진 후 tth이후에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가속도는 3축 가속도 센서 (104)를 사용하여 검출할 수 있으며, 가속도 벡터는 다음과 같이 산출된다.
Figure 112005040151516-PAT00001
여기서, ax, ay and az는 각각 x, y 그리고 z 축에서의 가속도값들이다.
도 2는 종래의 방법에 의해 모바일 기기의 자유낙하를 검출하는 개념을 보이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s202 과정에서 가속도 문턱값 ath 및 시간 문턱값 tth 가 설정된다.
S204 단계에서는, 가속도 센서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가속도 센서 (104)의 출력이 샘플링된다.
S206 단계에서는, 가속도 벡터
Figure 112005040151516-PAT00002
가 산출된다.
S208 단계에서는, 가속도 벡터
Figure 112005040151516-PAT00003
가 가속도 문턱값 ath 보다 작은 지가 검사된다.
만일 가속도 벡터
Figure 112005040151516-PAT00004
가 가속도 문턱값 ath 보다 크다면, s204 단계로 복귀한다.
S210 과정에서는, 가속도 벡터
Figure 112005040151516-PAT00005
가 일정한 지 즉, 가속도 벡터
Figure 112005040151516-PAT00006
가 가속도 문턱값 ath 보다 작은 값을 유지하고 있는 지가 검사된다.
가속도 벡터
Figure 112005040151516-PAT00007
가 가속도 문턱값 ath 보다 작은 값을 유지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s204 과정으로 복귀한다.
만일, 가속도 벡터
Figure 112005040151516-PAT00008
가 가속도 문턱값 ath 보다 작은 값을 유지하고 있다면, s212 과정에서는 시간 문턱값 tth 이 경과되었는지가 검사된다.
시간 문턱값 tth 이 경과되지 않았다면, 가속도 센서의 샘플링 및 가속도 벡터의 산출이 차례로 수행된다. (s214, s216)
시간 문턱값 tth이 경과된 것으로 판단되면, 자유낙하 경고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헤드 퇴출부(미도시)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기록된 데이터를 보호하도 록 헤드를 안전한 영역으로 퇴출시키는 것을 시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는 가속도 벡터
Figure 112005040151516-PAT00009
가 가속도 문턱값 ath 아래로 떨어진 후 시간 문턱값 tth이 경과되었는지가 검사된다.
그렇지만, 가속도 문턱값 ath 및 시간 문턱값 tth를 만족하는 모바일 기기의 모든 움직임들이 모바일 기기의 자유 낙하에 의해 유발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걷기, 달리기, 춤추기, 버튼 누르기 등과 같은 반복적인 움직임 및 의도적인 돌리기 및 던지기, 모바일 기기가 놓여져 있는 테이블을 천천히 미는 것 등과 같은 비반복적인 움직임들에 수반된 일시적인 낙하는 자유낙하로 여겨져서는 안 된다.
도 3은 9.5Km/h의 속도로 달리고 있는 사람에게 장착된 가속도 센서의 출력을 보이는 것이다. 각각의 그래프에 있어서, 횡축은 샘플링 순서를 나타내고, 종축은 중력 가속도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속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전체 가속도 Gtot는 센서의 위치들 예를 들면, 가슴, 팔목, 주머니 그리고 허리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기기들을 가지는 사람이 달리는 경우에는 자유낙하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수단들은 불필요하다. 그렇지만,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는 특히 기기가 팔목에 부착되었을 때 자유낙하 경고가 발생될 확률이 매우 높다. 설상가상으로, 잘못된 자유낙하 경고가 자주 그리고 주기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헤드의 빈번한 퇴출이 유발되고 그에 의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상에 기록된 데이터가 손상될 수 있다.
도 4는 달리기 속도 및 센서 위치에 따른 경과 시간 및 해당 경과 시간에 대 한 횟수와의 관계를 보이는 것이다. 도 4에 있어서, 횡축은 실험 횟수를 나타내며 종축은 가속도가 0.5g이하인 경과 시간을 나타낸다. 실험들은 사용자 움직인 속도를 0Km/h로부터 12Km/h 범위에서 증가시키면서 수행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속도가 0.5g이하에서 200 msec동안 유지하는 임계 경우들이 많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경우에는 있어서는 자유 낙하 경고가 필요하지 않다. 그렇지만, 종래의 방법에 의하면, 이들 임계 경우들에 있어서 자유낙하 경고가 발생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임계 경우들, 종래의 방법에 의해 잘못된 자유낙하 경고가 발생되는, 중의 하나를 보이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는 비록 가속도가 0.5g 이하인 시간이 200 msec를 경과하였더라도, 자유 낙하 경고가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기기의 자유 낙하를 올바르게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바일 기기의 자유 낙하를 올바르게 검출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어들일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및 다른 특징들 그리고 장점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자유 낙하 검출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모바일 기기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과정;
검출된 가속도를 적분하는 과정; 및
적분 과정의 결과를 소정의 면적 문턱값과 비교하여 자유 낙하를 판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및 다른 특징들 그리고 장점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자유 낙하 검출 장치가 제공되며, 이 장치는
모바일 기기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
상기 가속도 센서의 출력을 적분하는 적분기; 및
상기 적분기의 출력을 소정의 면적 문턱값과 비교하여 자유 낙하를 판단하는 자유 낙하 판단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및 다른 특징들 그리고 장점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자유 낙하 검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어들일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되며, 이 방법은
모바일 기기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과정;
검출된 가속도가 소정의 가속도 문턱값보다 낮으면 검출된 가속도를 적분하는 과정;
적분 과정의 결과를 소정의 면적 문턱값과 비교하는 과정; 및
적분 과정의 결과가 소정의 면적 문턱값보다 크면, 자유낙하 경고를 발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특징들 그리고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는 다음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참조가 상세하게 행해질 것이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실시예들이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자유 낙하를 검출하는 개념을 보이는 것이다. 도 6(a) 및 도 6(b)은 200 msec동안 가속도가 0.5g이하인 경우에 해당한다. 도 6(a)에 도시된 경우는 예를 들어 걷기, 달리기, 춤추기, 토스&캐치 등과 같은 비자유낙하 운동에 해당하며, 따라서 자유낙하 충격으로부터의 모바일 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들이 불필요하다. 도 6(b)에 도시된 경우는 모바일 기기의 자유낙하게 해당하며, 따라서 자유낙하 충격으로부터 모바일 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들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들 각자를 구별할 필요가 있다.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0.5g이하의 영역들의 크기가 서로 다르다. 따라서, 두 경우들은 가속도 벡터들을 적분하고 적분 결과들을 소정의 문턱값과 비교함에 의해 구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자유 낙하를 검출하는 방법을 보이는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s702과정에서, 가속도 문턱값 ath, 면적 문턱 값 vth 그리고 시간 문턱값 tth 들이 각각 설정된다.
여기서, 가속도 문턱값 ath, 면적 문턱값 vth 그리고 시간 문턱값 tth 들은 가속도 센서 및 헤드 퇴출부(미도시)의 특성에 의존한다.
S704 과정에서는, 임시변수 vk가 0으로 초기화된다. 임시 변수 vk는 적분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S706 과정에서는, 모바일 기기의 가속도가 검출되고, 가속도벡터가 산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가속도 벡터는 가속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의 square root 연산 혹은 단순한 가산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S708과정에서는, 가속도 벡터가 ath가 가속도 문턱값 ath보다 작은 지가 검사된다.
만일, 가속도 벡터가 가속도 문턱값 ath보다 작지 않다면, s704 과정으로 복귀한다.
만일 가속도 벡터가 가속도 문턱값 ath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s710과정에서, 임시 변수 vk+1(k는 적분 연산의 순서 번호)을 얻기 위하여 가속도 벡터가 적분된다.
S712 과정에서는, 시간 문턱값 tth 이 경과되었는지가 검사된다.
만일 시간 문턱값 tth 이 경과되지 않았다면, s706과정으로 복귀한다.
만일 시간 문턱값 tth 이 경과되었다면, s718과정에서, 임시 변수 vk+1이 면 적 문턱값 vth보다 큰지를 검사한다.
임시 변수 vk+1이 면적 문턱값 vth보다 크지 않다면, s704 과정으로 복귀한다.
임시 변수 vk+1이 면적 문턱값 vth보다 크다면, s720과정에서 자유낙하 경고가 발생된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비록 가속도 벡터가 가속도 문턱값 ath보다 적어지는 것을 검사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s708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s718과정에서는 임시 변수 vk+1을 임시 변수 vk-n과 비교한다. 여기서, n은 소정의 시간 문턱값 tth에 상응하는 샘플링 횟수이다. 즉, s718 과정이 수행될 때마다 소정의 시간 문턱값 tth 동안에 적분된 적분값이 소정의 면적 문턱값 ath과 비교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가속도 값이 소정의 가속도 문턱값 ath보다 커지면 적분값을 초기화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자유 낙하 상황 및 비자유 낙하 운동 운동의 경우들에 있어서의 적분 결과들을 보이는 것이다. 여기서, 가속도 벡터는 스퀘어 루트 연산(square root operation)에 의해 산출된 것이다.
도 8의 원으로 둘러쳐진 숫자들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자유 낙하 상 황에 대한 적분 결과 및 비자유낙하 운동에 대한 적분 결과가 서로 매우 다르다.
도 9는 자유 낙하 상황 및 비자유 낙하 운동 운동의 다른 경우들에 있어서의 적분 결과들을 보이는 것이다. 여기서, 가속도 벡터는 단순한 가산에 의해 산출된 것이다.
도 8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9의 원으로 둘러쳐진 숫자들에 의해 보여지는 바와 같이 자유 낙하 상황 및 비자유낙하 운동에 대한 적분 결과들이 서로 매우 다르다.
비록 C프로그램 언어로 구현될 수 있더라도 스퀘어 루트 함수는 연산상 매우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가속도 벡터를 얻기 위해 단순한 가산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 유용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자유 낙하 검출 장치를 보이는 것이며, 이 장치는 적분기 (1004) 그리고 비교기 (1006)을 포함한다.
가속도 센서 (1002)는 모바일 기기의 가속도를 검출한다. 가속도 센서 (1002)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3축 가속도 센서이고, 모바일 기기는 자유낙하 충격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할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장착하고 있는 것이다.
가속도가 소정의 가속도 문턱값 ath 이하로 떨어지면, 적분기 (1004)는 가속도 센서(1002)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를 적분하기 시작한다.
비교기 (1006)는 적분기 (1004)의 출력을 소정의 영역 문턱값 vth과 비교하고 적분기 (1004)의 출력이 소정의 영역 문턱값 vth보다 크다면 자유낙하 경고를 발생 한다.
타이머 (1006)는 적분기 (1004)가 적분 동작을 개시한 후로 경과된 시간을 계수하고, 계수 결과를 시간 문턱값 tth과 비교하여 비교기 (1006)가 동작을 개시하게 한다.
가속도가 소정의 가속도 문턱값 ath예를 들어 0.5g보다 작으면 적분기 (1004)가 적분 동작을 개시하고, 소정의 시간 문턱값 tth이 경과된 후 비교기 (1006)가 적분 결과를 소정의 면적 문턱값 vth과 비교하므로, 도 10에 도시된 장치는 적분 결과가 소정의 면적 문턱값 vth을 넘지 않는 한 자유 낙하 경고를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걷기, 달리기, 춤추기, 돌면서 떨어지는 것, 토스&캐치 등과 같은 비자유낙하 운동들에 대하여 잘못된 자유낙하 경고가 발생되지 않는다.
도 10에 도시된 장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내장된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속도 및 가속도의 적분 모드에 따라 자유낙하 검출이 수행되므로, 모바일 기기의 비자유낙하 운동에 대해 잘못된 자유낙하 경고를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기기의 비자유낙하 운동으로부터 모바일 기기에 내장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들은 방법, 장치, 시스템 등으로서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연적으로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질 수 있으며 또는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는 정보를 저장 또는 전송할 수 있는 어떠한 매체도 포함한다.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의 예로는 전자 회로, 반도체 메모리 소자, ROM, 플레쉬 메모리, 이레이져블 ROM(EROM: Erasable ROM),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 하드디스크, 광 섬유 매체, 무선 주파수(RF) 망, 등이 있다. 컴퓨터 데이터 신호는 전자 망 채널, 광 섬유, 공기, 전자계, RF 망, 등과 같은 전송 매체 위로 전파될 수 있는 어떠한 신호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바일 기기에 내장된 HDD들 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의 데이터 저장 기기들 및 모바일 기기 자체를 보호하는 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만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대신에 발명의 원리 및 정신,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되는 범위 그리고 그들의 등가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변경들이 행해질 수 있음이 당업자들에 의해 이해돼야 한다.

Claims (12)

  1. 모바일 기기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과정;
    검출된 가속도를 적분하는 과정; 및
    적분 과정의 결과를 소정의 면적 문턱값과 비교하여 자유 낙하를 판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의 자유 낙하 판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분과정은 검출된 가속도가 소정의 가속도 문턱값 이하로 떨어지면 적분하기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 낙하 검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검출된 가속도가 소정의 가속도 문턱값보다 커지면 적분 결과를 초기화시키는 과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 낙하 검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적분 과정의 결과가 소정의 면적 문턱값보다 크면, 자유낙하 경고를 발생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 낙하 검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과정은 소정의 시간 문턱값 동안에 적분된 적분 결과를 소정의 면적 문턱값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 낙하 검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검출된 가속도는 스퀘어 루트 연산을 통해서 얻어진 가속도 벡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 낙하 검출 방법.
  7. 모바일 기기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
    상기 가속도 센서의 출력을 적분하는 적분기; 및
    상기 적분기의 출력을 소정의 면적 문턱값과 비교하여 자유 낙하를 판단하는 자유 낙하 판단기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의 자유 낙하 검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분기는 검출된 가속도가 소정의 가속도 문턱값 이하로 떨어지면 적분하기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 낙하 검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분기는 검출된 가속도가 소정의 가속도 문턱값보다 커지면 적분 결과를 초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 낙하 검출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분기가 적분 동작을 개시한 이후로 소정의 시간 문턱값이 경과되었는 지를 검사하여 상기 자유 낙하 판단기가 동작을 개시하게 하는 타이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 낙하 검출 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적분기는 검출된 가속도를 스퀘어 루트 연산하여 얻어진 가속도 벡터를 적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 낙하 검출 장치.
  12. 모바일 기기의 자유 낙하 검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어들일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모바일 기기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과정;
    검출된 가속도가 소정의 가속도 문턱값보다 낮으면 검출된 가속도를 적분하는 과정;
    적분 과정의 결과를 소정의 면적 문턱값과 비교하는 과정; 및
    적분 과정의 결과가 소정의 면적 문턱값보다 크면, 자유낙하 경고를 발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KR1020050067058A 2005-07-23 2005-07-23 모바일 기기의 자유 낙하 검출 방법, 이에 적합한 장치,그리고 이에 적합한 기록매체 KR100723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058A KR100723494B1 (ko) 2005-07-23 2005-07-23 모바일 기기의 자유 낙하 검출 방법, 이에 적합한 장치,그리고 이에 적합한 기록매체
US11/192,422 US20070030159A1 (en) 2005-07-23 2005-07-29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free fall of mobile devic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JP2006200030A JP5122771B2 (ja) 2005-07-23 2006-07-21 モバイル機器の自由落下検出方法、それに適した装置、及びそれに適した記録媒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058A KR100723494B1 (ko) 2005-07-23 2005-07-23 모바일 기기의 자유 낙하 검출 방법, 이에 적합한 장치,그리고 이에 적합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2581A true KR20070012581A (ko) 2007-01-26
KR100723494B1 KR100723494B1 (ko) 2007-06-04

Family

ID=37717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7058A KR100723494B1 (ko) 2005-07-23 2005-07-23 모바일 기기의 자유 낙하 검출 방법, 이에 적합한 장치,그리고 이에 적합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70030159A1 (ko)
JP (1) JP5122771B2 (ko)
KR (1) KR1007234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106B1 (ko) * 2007-12-27 2014-08-04 시게이트 테크놀로지 엘엘씨 자유낙하 검출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자유낙하 검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82567B2 (en) * 2005-05-09 2008-06-03 Analog Devices, Inc. Accelerometer-based differential free fall detec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and disk drive protection mechanism employing same
EP2147421B1 (en) * 2007-04-19 2014-07-30 Koninklijke Philips N.V. Fall detection system
TW200918898A (en) * 2007-06-05 2009-05-01 Murata Manufacturing Co Drop detector, magnetic disc drive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US20090186672A1 (en) * 2008-01-17 2009-07-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data integrity of storage media of an electronic device
US8212661B2 (en) 2008-05-22 2012-07-03 Gary Stephen Shuster Alert signal control using receiver velocity
US9176932B2 (en) 2009-11-25 2015-11-03 Koninklijke Philips N.V. Method for detecting falls and a fall detector
WO2011064705A1 (en) * 2009-11-25 2011-06-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for estimating velocities and/or displacements from accelerometer measurement samples
US9402568B2 (en) * 2011-08-29 2016-08-02 Verizon Telematics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 fall based on comparing data to criteria derived from multiple fall data sets
US10395221B1 (en) * 2014-06-26 2019-08-27 Amazon Technologies, Inc. Providing rewards to encourage device care
CN105278218B (zh) * 2014-07-10 2019-05-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保护投影设备的散热风扇的方法及装置
KR102244628B1 (ko) 2014-08-14 2021-04-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낙하 충격 시험 장치 및 낙하 충격 시험 방법
JP6608106B2 (ja) * 2015-03-23 2019-11-20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半導体装置、携帯端末装置および運動検出方法
CN106355828A (zh) * 2016-08-26 2017-01-25 深圳市沃特沃德股份有限公司 检测穿戴设备脱落的方法和装置
EP4129581A1 (en) * 2017-05-18 2023-02-08 KUKA Hungária Kft. Robot motion planning for avoiding collision with moving obstacles
JP2019125858A (ja) 2018-01-12 2019-07-25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20200063765A (ko) 2018-11-28 2020-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상황을 감지하는 방법
US11200655B2 (en) * 2019-01-11 2021-12-14 Universal City Studios Llc Wearable visualization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2573A (en) 1993-12-15 1999-11-09 Hewlett-Packard Company Disk drive and method for minimizing shock-induced damage
JPH08221886A (ja) * 1995-02-16 1996-08-30 Sanyo Electric Co Ltd データ記録装置
JP3441668B2 (ja) * 1999-02-22 2003-09-02 シャープ株式会社 落下検出機構、磁気ディスク装置の保護機構および携帯型機器
JP2003263853A (ja) * 2003-04-11 2003-09-19 Tokyo Electron Ltd ハードディスク装置
JP2005091219A (ja) * 2003-09-18 2005-04-07 Tokyo Electron Ltd 落下検知装置又は異常検知装置と該装置を有する携帯機器
JP2005114402A (ja) * 2003-10-03 2005-04-28 Sony Corp 落下検出方法および装置
JP3961480B2 (ja) * 2003-12-26 2007-08-22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磁気ディスク装置の保護機構、これを備えた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磁気ディスク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059182B1 (en) * 2004-03-03 2006-06-13 Gary Dean Ragner Active impact protection system
CN101073013A (zh) * 2004-12-09 2007-11-14 株式会社村田制作所 下落检测装置及磁盘驱动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106B1 (ko) * 2007-12-27 2014-08-04 시게이트 테크놀로지 엘엘씨 자유낙하 검출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자유낙하 검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30159A1 (en) 2007-02-08
JP5122771B2 (ja) 2013-01-16
KR100723494B1 (ko) 2007-06-04
JP2007033443A (ja) 200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3494B1 (ko) 모바일 기기의 자유 낙하 검출 방법, 이에 적합한 장치,그리고 이에 적합한 기록매체
US735643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EP1820031B1 (en) System and method for fall detection
US20090021858A1 (en) Hard Disk Drive Protection System Based on Adaptive Thresholding
JP6567658B2 (ja) ユーザーの活動を分類し及び/又はユーザーの歩数をカウントするデバイス及び方法
US8676532B2 (en) Fall detection device, magnetic disk drive,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JP5232211B2 (ja) データ保護機能を有する携帯端末、同携帯端末におけるデータ保護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862422B2 (en) Sensor for sensing accelerations
KR20180098243A (ko) 정보 캡처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6953982B (zh) 一种低头族步行安全警报方法
JP5067257B2 (ja) 落下を検知する情報機器
US20130197856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cerning a false positive in a fall detection signal
JP4378306B2 (ja) 加速度センサー付携帯端末
CN109839245B (zh) 电子装置及其防水质保条件判断方法
WO2018149324A1 (zh) 一种检测方法及终端设备
KR20100033472A (ko) 두 개의 삼축 가속도계를 이용한 회전성 자유낙하의 검출 시스템 및 방법
JP2009192417A (ja) 落下検出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携帯型装置
US8245573B2 (e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the free fall
US10272324B2 (en) Classifying collision events using inertial and audio data
JP2005237576A (ja) 転倒判定装置
KR101424106B1 (ko) 자유낙하 검출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자유낙하 검출장치
CN110407052B (zh) 一种电梯内剧烈运动行为检测方法及系统
US9906845B2 (en) Sensing device and corresponding apparatus and method
CN110377159B (zh) 动作识别方法和装置
CN108710432A (zh) 一种动作捕捉设备的抗磁方法、姿态确定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