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1524A - 전자 장치용 제어 인터페이스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용 제어 인터페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1524A
KR20070011524A KR1020067024224A KR20067024224A KR20070011524A KR 20070011524 A KR20070011524 A KR 20070011524A KR 1020067024224 A KR1020067024224 A KR 1020067024224A KR 20067024224 A KR20067024224 A KR 20067024224A KR 20070011524 A KR20070011524 A KR 20070011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layer
layer
input
polymer
emitting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4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군나 클링훌트
Original Assignee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에이비 filed Critical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070011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15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Abstract

입력 센서(201)가 터치-민감성 입력 검출층(102)에서 터치-발생 캐패시턴스 변화를 검출하기 위해서 상기 층에 연결되는, 상기 검출층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용 입력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상기 검출층은 투명하고, 폴리머 발광 다이오드(PLED)의 폴리머층(103)이 상기 검출층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검출층을 통해 발광하도록 고안된다. 상기 폴리머층은 상기 폴리머 발광 다이오드의 한 쌍의 전도성 전극층(102,104) 사이에 겹쳐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검출층은 상기 전극층들 중 하나를 형성한다.
폴리머 발광 다이오드, 검출층, 전극층, 폴리머층, 입력 센서

Description

전자 장치용 제어 인터페이스{CONTROL INTERFACE FOR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 장치용 인간-기계간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고, 특히, 예컨대, 이동 전화 및 컴퓨터와 같은 데이터 통신 또는 프로세서 장치 또는 전기 미디어 플레이어 또는 레코더용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터치-민감성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이동 전화 및 오디오/비디오 장치와 같은 제어 입력 성능을 갖는 전자 장치의 사용은 수십 년간 세계적으로 많은 발달을 가져왔다. 종래, 키보드 또는 키패드는 데이터 및 제어 명령어를 이런 전기 장치에 입력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보조 입력 수단은 조이스틱 또는 조그 볼(jog balls), 및 음성 제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전기 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입력은 주로 이미지, 문자 및 숫자가 보여지는 디스플레이에 의해 제공된다.
소형 전자 장치, 특히 예를 들어 이동 전화, 랩톱 컴퓨터,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DA), mp3 플레이어, 등의 휴대용 장치를 만드는데 많은 노력을 했다. 전자 소자의 소형화 및 더 효율적인 배터리의 발달은 많은 도움이 되었다. 이동 통신에서, 통신 시스템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되었고, 동시에 통신 단말기의 크기는 단지 수십 년 사이에 서류 가방 크기에서 오늘날 포켓 사이즈로 되었다. 이제 많은 제조 업자가 매우 여러 종류의 성능을 갖는 포켓 사이즈의 단말기 및 서비스, 예컨대 패킷-지향된 전송 및 멀티 무선 대역 커버리지(coverage)를 제공한다. 또한 오늘날, 이동 전화가 점점 작아지고, 일반적으로 이동 전화의 크기는 최종 사용자에게 중요한 요소로 고려된다. 여러 유형의 내장형 안테나는 돌출 안테나 엘리멘트에 대한 요구를 없앤다. 동시에, 단말기는 단말기 및 네트워크 시스템의 발달로 인해서 점점 더 개선된 기능 및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구현되고 있는 소위 제3 세대 이동전화 시스템 및 십 년 내에 기대되는 제 4세대 이동 전화 시스템인, 새로운 전송 방식의 발달은 또한 실시간 비디오와 같은 무선 통신 단말기에 더 진보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동 전화뿐만 아니라 휴대용 컴퓨터 및 미디어 플레이어에 관하여, 최종 사용자는 다수의 충돌하는 요구 조건을 갖는다. 기본적으로 장치는 가능한 작고 경량이어야만 한다. 게다가, 장시간 배터리, 및 사용자-친숙 인터페이스를 갖는 더욱더 진보된 기능을 제공해야만 한다. 또한, 전기 장치에 단지 공간이 있고, 경쟁을 위해서 개선된 소자를 주의해서 포장할 것이다.
최근 몇 년 동안에, 입력 인터페이스용 터치 민감성 장치의 사용이 급속히 증가했다. 전자 장치의 분야에서의 경향은 데이터 출력 인터페이스로서 서비스하는 더 큰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것인데, 이는 특히 비디오를 전송하여 나타낼 수 있는 무선 전송 방식에 관심이 있다. 게다가, 바람직하게는 펜과 같은 스타일러스(stylus)에 의해서 동작되는 이런 디스플레이는 또한 종종 터치 민감성이고,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로서 서비스한다. 터치-민감성 입력 수단은 또한 Apple®의 iPOD MP3에서와 같이, 출력 수단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링 형태의 입력 에어리어와 함께 고안되는데, 이는 표면에 접촉하여 손가락을 움직임으로써 메뉴를 스크롤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섹터 일부에서 링 형태의 표면을 나눔으로써, 각각의 섹터 일부는 스크롤링 기능에서 한 단계를 나타낼 수 있다.
터치 민감성 입력 장치는 예를 들어 용량성 기능과 함께 동작할 수 있는데, 여기서 입력 표면의 특정한 일부는 전도성 물질로 된 전극을 포함한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전극에 충분히 근접해서 터치하거나 다가오면, 전극의 캐패시턴스가 변하여, 변화가 캐패시턴스 감지 회로에 의해 감지된다.
터치-민감성 디스플레이에서 입력 장치와 출력 장치의 결합을 포함하는 인간-기계간 인터페이스는 특히 데이터 입력 및 데이터 출력 사이의 인식된 상호 관계로 인해 일반적으로 매우 사용자에게 친숙한 것으로 경험된다. 그러나, 이런 터치-민감성 디스플레이는 순수한 출력 디스플레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이 전형적이다. 게다가, 디스플레이는 키패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가 소자이고, 증가된 디스플레이 크기는 높은 제조 비용을 가져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전화, PDA's, 랩톱 컴퓨터, 및 미디어 플레이어와 같은 전자 장치용 데이터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인데, 이는 인식되고 사용자에게 친숙한 디자인을 갖는다. 게다가, 작고 경제적인 휴대용 전자 장치에서 구현하기에 적합한 데이터 입력 수단을 위한 디자인을 제공하여 것이 유리한 양상이 작은 크기 및 경량이라는 것을 적용하는 것이 목적이다.
제1 양상에 따라, 이런 목적은 터치-민감성 입력 검출층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용 입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검출층에서 터치-발생 캐패시턴스 변화를 검출하기 위해서 상기 층에 연결된 입력 센서에 의해 이행된다. 본 발명을 따르면, 상기 검출층은 투명하고, 여기서 폴리머 발광 다이오드(polymer light emitting diode)는 상기 검출층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검출층을 통해서 발광하도록 고안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머층이 상기 폴리머 발광 다이오드의 한 쌍의 전도성 전극층 사이에 포개지는데, 여기서 상기 검출층은 상기 전극층들 중 하나를 형성한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검출층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검출층은 산화인듐막 기판을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머층은 도핑되지 않게 결합된 폴리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 센서가 DC-전압 차단 캐패시터를 통해 상기 검출층과 연결된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검출층이 스위치에 연결되는데, 스위치는 상기 폴리머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 유닛 및 상기 입력 센서에 연결되고, 스위치는 상기 입력 센서 또는 상기 구동 유닛과 상기 검출층을 연결하는 것 사이에서 스위치하도록 고안된다.
바람직하게는, 투명 보호층이 상기 검출층 위에 배치된다.
한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이 상기 폴리머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 유닛 및 상기 입력 센서에 연결되는데, 제어 유닛은 상기 구동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입력 센서에 의해 감지된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폴리머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발광을 활성화하도록 고안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출층이 분리된 입력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다수의 분리된 세그멘트(segment)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머 발광 다이오드의 연속적인 폴리머층은 상기 검출층의 다수의 분리된 세그멘트 아래 배치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분리된 폴리머층 일부는 상기 검출층의 다수의 분리된 세그멘트 아래에 배치된다.
제2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민감성 입력 검출층을 포함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전기 장치, 및 상기 검출층에서 터치-발생 캐패시턴스 변화를 검출하기 위해서 상기 층에 연결된 입력 센서에 의해 이행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검출층은 투명하고 폴리머 발광 다이오드의 폴리머층은 상기 검출층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검출층을 통해 발광하도록 고안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머층이 상기 폴리머 발광 다이오드의 한 쌍의 전도성 전극층 사이에 포개지는데, 여기서 상기 검출층은 상기 전극층들 중 하나를 형성한다.
게다가, 전자 장치는 상술된 특징들 중 하나를 갖도록 고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무선 통신 단말기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미디어 플레이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단지 예시의 방법으로 주어지고 첨부된 도면에서 설명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초로 할 수 있는 폴리머 발광 다이오드의 한 유형에 대한 기본 구조의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입력 인터페이스의 실시예에 대한 개략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입력 인터페이스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개략도;
도4는 다수의 입력 에어리어를 포함하는 입력 인터페이스의 한 실시예의 일부에 대한 개략도;
도5는 다수의 입력 에어리어를 포함하는 입력 인터페이스의 다른 실시예의 일부에 대한 개략도;
도6은 다수의 입력 에어리어를 포함하는 입력 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의 일부에 대한 개략도; 및
도7은 본 발명을 따르는 입력 인터페이스의 실시예를 통합하는 전자 장치의 개략도.
본 발명은 데이터 통신 및 프로세싱 장치, 무선 통신 단말기, 및 미디어 플레이어와 같은 전자 장치용 입력 인터페이스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원에서 언급되는 전자 장치는 이동국과 무선 통신을 위해 고안된 모든 모바일 장치를 포함하는데, 이동국은 또한 이동 단말기 또는 예컨대 고정 기지국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단말기라는 어휘는 이동 전화, 페이저, 통신기, 전자 오거나이저, 스마트폰, PDA:s(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 및 DECT 단말기(디지털 강화 무선 전화)와 같은 데이터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랩톱과 같은 컴퓨터에 적용할 수 있는데, 이는 여기서 사용되는 전자 장치에 포함된다. 본 발명이 경량 및 소형이 관련된 파마미터인 휴대 장치에 특히 적합할지라도, 본 발명은 또한 데스크톱 컴퓨터, 유선 전화, 하이-파이 장치(hi-fi equipment) 등과 같은 고정 장치에 양호하게 포함될 수 있다. 게다가, '포함하는(comprising)' 또는 '포함하다(comprise)'와 같은 어휘는 포함된 특징, 요소, 또는 단계를 나타내기 위해서 본원 및 첨부된 청구항에서 사용될 때, 상술된 것들 외에 다른 특징, 요소, 또는 단계의 존재를 제외하지 않는 것으로 강조되어야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술, 폴리머 필름 발광 다이오드(100)를 도시한다. 이런 유형의 장치는 일반적으로 폴리머 발광 다이오드(PLED) 또는 유기 전기 발광 다이오드(OLED)라 칭해진다. PLED는 역광 조명, 조명, 및 최근 몇 년 동안에 많은 발전을 해온 디스플레이 기술이고, 기본 기능은 도1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PLED는 얇은 폴리머층(103), 바람직하게는 도핑되지 안고 결합된 폴리머층을 포함하는데, 이는 애노드(102) 및 캐소드(103) 사이에서 끼워진다. 여러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폴리머의 예는 폴리-p-페닐 비닐렌(PPV), 폴리-p-페닐렌벤조비스티아졸(PBT), 및 폴리-p-페닐렌벤조비스-옥사졸(PBO)을 포함한다. 폴리머층(103)은 전 기에 노출되면 빛을 방출한다. 전자(e-) 및 정공(h+)이 DC 구동 유닛(105)에 의해 인가된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서 캐소드(103) 또는 애노드(102)들로부터 각각 분자의 폴리머층 또는 층들(103)로 주입될 때, 이런 두 가지 유형의 캐리어들은 서로를 향해 이동하고 그들의 일부는 발광하기 위해 재결합한다.
전극(102,104)들 중 적어도 하나, 일반적으로는 애노드(102)가 방출된 빛에 투명하다. 한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애노드(102)는 투명한 산화인듐막(ITO)의 기판이지만, 캐소드(104)는 알루미늄층일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 설명된 여러 종류의 PLED에서, 예컨대 전자 또는 정공 주입 효율성을 강화하기 위해서 부가적인 물질 층이 전극(102,104) 사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머층(103) 및 캐소드(104) 사이에 얇은 LiF, Al2O3 또는 Ca 층을 삽입하여 전자 주입 효율성을 강화하도록 하는 것을 제안한다. 투명한 보호층(101)은 애노드(102)에 걸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실, 보호층(101)은 주로 유리 기판인 반면, ITO 기판은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방법으로, 다른 층이 스캐닝 및 증발 증착법(evaporation deposition)에 의해서 적용되는 기반으로써 사용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입력 인터페이스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입력 인터페이스는 터치-민감성 검출 입력 층(102)을 포함하는데, 이는 입력 센서(201)에 연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검출층(102)은 전도성 전극에 연결되고 입력 센서(201)는 선택적인 전류 AC를 검출층(102)에 인가하도록 고안되는데 이는 임의의 공명 주파수를 갖는 동조된 회로의 일부를 형성한다. 사용자가 예컨대 손가락으로 입력 인터페이스의 외부 표면 근처를 터치하거나 배치시킬 때, 검출층(102)의 캐패시턴스가 영향을 받는데, 여기서 상기 외부 표면은 검출층(102)에 의해 한정되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보호층(101)에 의해서 한정된다. 캐패시턴스의 변화는 이제 동조된 회로에 영향을 미칠 것이고, AC 전류의 주파수 이동 또는 주파수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입력 센서(201)는 터치-감지에 의해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입력 인터페이스는 또한 검출층 뒤로부터 역광 조명을 제공하도록 고안된 PLED 또는 OLED를 포함한다. PLED는 폴리머층(103), 투명한 상부 전극(102) 및 하부 전극(104)을 포함한다. 상부 전극(102)이 애노드이고 하부 전극(104)이 캐소드이지만 반대의 경우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머층(103)을 통해 DC전압이 인가되도록 고안된 전극(102,104)은 구동 유닛(105)에 연결되어 빛은 도면에서 화살표로 나타내진 바와 같이 투명한 상부 전극(102) 및 보호층을 통해 방출된다. 보호층(101)은 상술된 바와 같이 유리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투명한 플라스틱 층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광 조명 및 캐패시턴스-의존 입력 터치 감지를 위해서 PLED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입력 인터페이스는 낮은 프로파일 및 적은 무게로 작고 경제적이 된다. 게다가, 터치-민감성 입력 검출층(102) 및 PLED는 얇고 유연하므로, 이런 요소의 결합은 내장형 역광 조명을 갖는 구부러진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PLED는 지지 기판(204)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 유닛이 보조 입력 인터페이스로서 종래 키패드를 포함하고, 지지 기판(204)은 키패드의 키들을 종래 기술에 따라 부착하는 키패드 매스(keypad math)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PLED의 상부 전극(102)은 입력 검출을 위해서 검출층으로 사용된다. 이런 방법, 보다 적은 소자 또는 층이 필요로 되어, 공간 및 잠재적으로는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도 절약한다. 바람직하게는, 검출층(102)은 DC-전압 차단 캐패시터(203)를 통해 입력 센서(201)에 연결되어 구동 유닛(105)의 DC 연결이 입력 센서(201)에 연결되지 않는다.
이런 실시예의 더 진보된 버전에서, 제어 유닛(202)은 감지된 입력과 발광을 관련시키도록 연결된다. 제어 유닛(202)은 예컨대, 관련된 동작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갖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한다. 제어 유닛이 입력 센서(201) 및 PLED 구동 유닛(104)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실시예에서, 구동 유닛(202)은: -입력 신호가 입력 센서(201)에 의해 감지되는지 여부, 즉, 사용자가 검출층(102)의 커버리지에 의해 한정된 입력 표면을 터치하거나 근접하여 터치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이런 검출 시에 전극(102,104)에 걸쳐 DC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서 구동 유닛(105)을 트리거하도록 고안되는데, 여기서 터치-발생 입력은 입력 인터페이스의 발광을 야기한다.
이런 실시예의 변형에서, 감지된 입력은 방출되는 빛의 색, 즉 파장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옵션은 입력이 검출될 때 PLED를 끄고 깜빡이는 빛을 켜기 위한 제어 유닛(202)이다.
어떤 경우에는, 본 발명의 이런 실시예가 여러 방향의 피드백을 가져온다.
도3은 도2의 실시예의 변형을 도시한다. 결합된 전극 및 검출층을 포함하는 PLED의 동일한 요소는 도1에서와 동일하므로, 어떠한 참조부호도 포함되지 않는다. 용량 결합(203)은 사라지지만,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런 실시예에서, PLED에 대한 구동 유닛(105) 및 입력 센서(201)는 여러 방법으로 연결된다. 특히 검출층/전극(102)으로 공통적인 연결이 사용되는데, 이는 와이어를 절약한다. 제1 멀티플렉싱 스위치(301)는 공통 검출층(1020에 연결되는데, 스위치는 차례로 구동 유닛(105) 및 입력 센서(201)에 연결된다. 이런 실시예에 따라, 스위치(301)는 PLED를 구동하고 입력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AC를 인가하는 것 사이에서 스위치되도록 고안된다. 도2의 실시예와 같이, 제어 유닛(202)이 입력 신호와 PLED에 의한 발광을 관련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4는 간략하게 하기 위해서, 도1-3에 도시된 관련된 회로없이 PLED를 또한 입력 신호 검출을 위해 사용되는 PLED의 상부 전극(102)과 함께 도시한다. 도4는 단일 폴리머층(103)이 단일 캐소드(104) 및 두 개의 다른 애노드(401,402)와 함께 사용되는 방법을 도시하다. 공통 보호층(101)은 애노드(401,402) 둘 다에 걸쳐 적용된다. 선택적인 도면으로서, 도4는 또한 상부 보호층(101)에서 전극(401,402)들 사이에 테두리를 나타내는 올라간 립(403)을 도시한다. 이런 특징은 분리된 입력 에어리어를 구별하기 위해서 포함될 수 있다. 립에 대한 대안은 홈(groove)일 수 있다.
도5는 도4의 그것과 유사한실시예를 도시하지만, 분리된 폴리머층(501,502)는 각각 분리된 전극(401,402) 아래에서 각각 사용된다. 도5의 실시예에서, 공통 캐소드(104)는 여전히 사용된다.
도6은 도5의 그것과 유사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분리된 폴리머 층(501,502)은 분리된 전극(401,402) 아래서 사용된다. 도6의 실시예에서, 또한 분리된 캐소드(601,602)가 각각 사용된다.
애노드(401,402)는 도4-6의 실시예에서, 분리된 입력 센서에 연결되고, 선택적으로 공통 입력 센서의 여러 부분에 연결된다. 동일한 방법으로, 애노드(401,402)는 여러 DC 구동자 또는 공통 DC 구동자의 여러 부분에 연결된다. 게다가, 도2의 실시예에 따라 분리된 연결이 사용될 수 있거나, 도3의 실시예에 따르는 스위치를 통한 연결이 사용될 수 있다. 도4의 립(403)은 물론 도5 및 도6의 실시예에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도4-6의 실시예는 애노드(401,402) 각각의 커버리지 에어리어에 의해 한정된 두 개 이상의 입력 에어리어를 포함하는 단순한 방법을 도시하는데, 여러 에어리어는 여러 키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극으로의 연결은 고정된 와이어 또는 유연한 케이블에 의해 성취된다.
도7은 이동 전화와 같은 무선 통신 단말기의 형태로 전자 장치(701)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입력 인터페이스가 포함된다. 단말기(701)는 샤시(chassis) 또는 하우징(705)을 포함하여, 마이크로폰의 형태로 사용자 오디오 입력 및 확성기(도시되지 않음)의 형태로 사용자 오디오 출력을 갖는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으로 통신 정보, 주소 목록 등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고안된, 디스플레이(702)를 포함하는 데이터 출력 인터페이스가 포함된다. 단말기(701)는 무선 전송 및 수신 일렉트로닉스(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고, 하우징(705)내의 내장형 안테나와 함께 고안된다. 세트의 키(703)는 설정된 기술에 따라 예컨대 다이 얼링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로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데이터 및 명령 신호를 입력하기 위해서, 본 발명을 따르는 입력 인터페이스가 또한 포함된다. 이런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르는 역광 조명을 위해서 터치-민감성 에어리어와 PLED를 결합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는 환형 표면(704)으로 고안된다. 점선은 분리된 입력 인터페이스 일부 사이에서 구획을 나타내는데, 이는 도4-6들 중 어떤 것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여러 전극(401,402)에 대응한다. 편평한 보호층(101)을 포함함으로써, 구획은 사용자에게 눈에 보이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립 또는 홈이 사용되어, 입력 에어리어 사이에 검출할 수 있는 차이를 제공한다. 단순한 예로써 여겨져야만 하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입력 인터페이스(704)는 링 형태 일부의 세그멘트, 및 중앙 부분을 포함한다. 이런 입력 인터페이스는 링 형태 부분 주변에서 한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손가락을 움직임으로써, 예컨대 메뉴에서 스크롤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반면, 중앙 부분은 전화를 걸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전화에 응답하여 전화받는 기능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이런 인터페이스는 이미 Bang&Olufsen으로부터의 Beocom 6000 시리즈의 휴대용 전화에서 구현되어 왔고, 유사한 접근법은 iPOD이라 칭해는 것에서 사용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입력 인터페이스는 역광 조명으로, 바람직하게는, 터치-감지를 위해서 그리고 PLED를 구동하기 위해서 최상부 전극의 결합된 사용으로 종래 기술 해결책에 부가적인 기술적인 해결책을 가져온다.
본 발명에 따르는 PLED의 사용은 여러 이점을 가져온다. PLED는 포일로 만들어지고, 종래 LED에 비해 빛 에어리어를 제공하여, 빛의 스팟(spot)을 제공한다. 모든 색이 흰색 및 RGB를 포함하는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디자인으로 편평하지 않은 입력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시야 각 의존도가 탁월하여, 실질적으로 어떠한 각 의존도도 검출되지 않는데, 제안된 디자인은 또한 그의 구조에서 단순하고, 종래 LED를 사용하는 것보다 덜 비싼 제품 기술을 나타낸다. 결국, 특히 PLED 및 터치 센서를 위해 결합된 전극을 갖는 유리한 실시예에서 기계적인 구조물 높이는 낮다.
앞에서는 원리,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동작 모드 및 실시예가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된 특정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으로 구성되지 않고, 이는 제한하는 것보다는 설명하는 것으로써 여겨져야만 하고, 변화는 다음의 청구항에 한정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변화가 당업자에 의해서 이런 실시예에서 행해진다는 것이 인식되어야만 한다.

Claims (17)

  1. 터치-발생 캐패시턴스 변화를 검출하기 위해서 입력 센서(201)가 연결되는 터치-민감성 입력 검출층(102)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용 입력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상기 검출층은 투명하고, 폴리머 발광 다이오드(PLED)의 폴리머층이 상기 검출층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검출층을 통해 발광하도록 고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용 입력 인터페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층이 상기 폴리머 발광 다이오드의 한 쌍의 전도성 전극층(102,104) 사이에 겹쳐지고, 상기 검출층이 상기 전극층의 쌍들 중 하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용 입력 인터페이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층이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용 입력 인터페이스.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층이 산화인듐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용 입력 인터페이스.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층이 도핑되지 않고 결합된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용 입력 인터페이스.
  6. 전술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센서가 상기 DC-전압 차단 캐패시터(203)를 통해 상기 검출층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용 입력 인터페이스.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층이 스위치(301)에 연결되는데, 상기 스위치는 상기 폴리머 발광 다이오드용 구동 유닛(105) 및 상기 입력 센서에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입력 센서 또는 상기 구동 유닛에 상기 검출층을 연결하는 것 사이에서 스위치하도록 고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용 입력 인터페이스.
  8. 전술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명 보호층(101)이 상기 검출층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용 입력 인터페이스.
  9. 전술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유닛(202)이 상기 폴리머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 유닛(105) 및 입력 센서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입력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폴리머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발광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구동 유닛을 제어하도록 고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용 입력 인터페이스.
  10. 전술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층이 분리된 입력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다수의 분리된 세그멘트(401,402)를 포함하는 것을 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용 입력 인터페이스.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발광 다이오드의 연속적인 폴리머층(103)이 상기 검출층의 다수의 분리된 세그멘트 아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용 입력 인터페이스.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폴리머 층 일부(501,502)가 상기 검출층의 다수의 분리된 세그멘트 아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용 입력 인터페이스.
  13. 터치-발생 캐패시턴스 변화를 검출하기 위해서 입력 센서(201)가 연결되는 터치-민감성 입력 검출층(102)을 갖는 입력 인터페이스(7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전자 장치(701)에 있어서,
    상기 검출 층은 투명하고, 폴리머 발광 다이오드의 폴리머층(103)이 상기 검출층 아래 배치되어 상기 검출층을 통해 발광하도록 고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층이 상기 폴리머 발광 다이오드의 한 쌍의 전도성 전극층(102,104) 사이에 겹쳐지고, 상기 검출층은 상기 한 쌍의 전극층들 중 하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제 3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을 따르는 특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무선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미디어 플레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 치.
KR1020067024224A 2004-04-22 2005-04-12 전자 장치용 제어 인터페이스 KR200700115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4101674.2 2004-04-22
EP04101674A EP1589407B1 (en) 2004-04-22 2004-04-22 Control interface for electronic device
US56555504P 2004-04-27 2004-04-27
US60/565,555 2004-04-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1524A true KR20070011524A (ko) 2007-01-24

Family

ID=34928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4224A KR20070011524A (ko) 2004-04-22 2005-04-12 전자 장치용 제어 인터페이스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80036746A1 (ko)
EP (1) EP1589407B1 (ko)
JP (1) JP2007534070A (ko)
KR (1) KR20070011524A (ko)
CN (1) CN100442213C (ko)
AT (1) ATE375544T1 (ko)
DE (1) DE602004009408T2 (ko)
RU (1) RU2379746C2 (ko)
WO (1) WO2005103864A2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090B1 (ko) * 2008-04-04 2011-02-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입력 장치
US8581866B2 (en) 2010-05-11 2013-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8847895B2 (en) 2009-06-19 2014-09-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pane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8970513B2 (en) 2010-10-11 2015-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panel having deformable electroactive polymer actuator
US8982089B2 (en) 2010-03-22 2015-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pane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8994685B2 (en) 2010-11-23 2015-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put sensing circuit and touch panel including the same
US9013443B2 (en) 2011-04-18 2015-04-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panel and driving device for the same
US9189066B2 (en) 2010-01-28 2015-1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pane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772095B2 (en) 2014-05-30 2017-09-26 Konica Minolta, Inc. Organic electroluminescence module, smart device, and lighting device
KR20170124594A (ko) * 2015-05-26 2017-11-10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 스마트 디바이스 및 조명 장치
KR20170125096A (ko) * 2015-05-20 2017-11-13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 스마트 디바이스 및 조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5671B2 (en) 2001-10-22 2008-03-18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of rotational user inputs
US7312785B2 (en) 2001-10-22 2007-12-25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lerated scrolling
US7333092B2 (en) 2002-02-25 2008-02-19 Apple Computer, Inc. Touch pad for handheld device
US20070152977A1 (en) 2005-12-30 2007-07-05 Apple Computer, Inc. Illuminated touchpad
US7499040B2 (en) 2003-08-18 2009-03-03 Apple Inc. Movable touch pad with added functionality
US8059099B2 (en) 2006-06-02 2011-11-15 Apple Inc. Techniques for interactive input to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7495659B2 (en) 2003-11-25 2009-02-24 Apple Inc. Touch pad for handheld device
CN100555200C (zh) 2004-08-16 2009-10-28 苹果公司 触敏器件和提高触敏器件的空间分辨率的方法
US7671837B2 (en) 2005-09-06 2010-03-02 Apple Inc. Scrolling input arrangements using capacitive sensors on a flexible membrane
US7880729B2 (en) 2005-10-11 2011-02-01 Apple Inc. Center button isolation ring
US20070152983A1 (en) 2005-12-30 2007-07-05 Apple Computer, Inc. Touch pad with symbols based on mode
CN101454923A (zh) * 2006-05-22 2009-06-10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在有机发光二极管(oled)中将非发射区与光发射区分离的方法
DE102006025069B4 (de) 2006-05-23 2016-09-22 E.G.O. Elektro-Gerätebau GmbH Sensorelement-Anordnung für eine Bedien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olchen Sensorelement-Anordnung
US8022935B2 (en) 2006-07-06 2011-09-20 Apple Inc. Capacitance sensing electrode with integrated I/O mechanism
US8743060B2 (en) 2006-07-06 2014-06-03 Apple Inc. Mutual capacitance touch sensing device
US9360967B2 (en) 2006-07-06 2016-06-07 Apple Inc. Mutual capacitance touch sensing device
US7795553B2 (en) 2006-09-11 2010-09-14 Apple Inc. Hybrid button
DE102006046202A1 (de) 2006-09-29 2008-04-03 Siemens Ag Eingabeeinheit für elektrotechnische Geräte
US8274479B2 (en) 2006-10-11 2012-09-25 Apple Inc. Gimballed scroll wheel
US8482530B2 (en) 2006-11-13 2013-07-09 Apple Inc. Method of capacitively sensing finger position
US9654104B2 (en) 2007-07-17 2017-05-16 Apple Inc. Resistive force sensor with capacitive discrimination
US8683378B2 (en) 2007-09-04 2014-03-25 Apple Inc. Scrolling techniques for user interfaces
CN201315050Y (zh) 2007-09-04 2009-09-23 苹果公司 紧凑输入装置
JP5010451B2 (ja) * 2007-09-11 2012-08-2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
KR100904960B1 (ko) 2007-11-09 2009-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US8416198B2 (en) 2007-12-03 2013-04-09 Apple Inc. Multi-dimensional scroll wheel
WO2009077946A1 (en) * 2007-12-17 2009-06-25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Mirror for personal use with user position dependent illumination
US8125461B2 (en) 2008-01-11 2012-02-28 Apple Inc. Dynamic input graphic display
TWI479714B (zh) 2008-01-29 2015-04-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具整合式之鄰近感測器的有機發光二極體照明裝置
US8820133B2 (en) 2008-02-01 2014-09-02 Apple Inc. Co-extruded materials and methods
US9454256B2 (en) 2008-03-14 2016-09-27 Apple Inc. Sensor configurations of an input device that are switchable based on mode
KR100941858B1 (ko) * 2008-04-03 2010-02-1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 표시장치
KR101450256B1 (ko) * 2008-06-30 2014-10-21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발광장치
EP2335353B1 (en) * 2008-09-08 2015-10-14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Oled device with capacitive proximity sensing means
WO2010032329A1 (ja) * 2008-09-22 2010-03-2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El発光装置
US8816967B2 (en) 2008-09-25 2014-08-26 Apple Inc. Capacitive sensor having electrodes arranged on the substrate and the flex circuit
JP5608658B2 (ja) * 2008-10-01 2014-10-1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Oledデバイス及び電子回路
JP5067763B2 (ja) * 2008-10-08 2012-11-0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接触検出装置、表示装置および接触検出方法
US8395590B2 (en) 2008-12-17 2013-03-12 Apple Inc. Integrated contact switch and touch sensor elements
US8427450B2 (en) 2009-01-12 2013-04-23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Capacitive touch sensing and light emitting diode drive matrix
US9354751B2 (en) 2009-05-15 2016-05-31 Apple Inc. Input device with optimized capacitive sensing
KR101658991B1 (ko) * 2009-06-19 2016-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US8872771B2 (en) 2009-07-07 2014-10-28 Apple Inc. Touch sensing device having conductive nodes
US8310381B2 (en) 2009-09-28 2012-11-13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Capacitive key touch sensing using analog inputs and digital outputs
KR101616875B1 (ko) * 2010-01-07 2016-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US8519970B2 (en) 2010-07-16 2013-08-27 Perceptive Pixel Inc. Capacitive touch sensor having correlation with a receiver
FR2963445B1 (fr) * 2010-08-02 2013-05-03 Nanomade Concept Surface tactil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e telle surface
EP2418777B1 (de) * 2010-08-09 2013-12-25 RAFI GmbH & Co. KG Kapazitiver Schalter
DE102011017383A1 (de) * 2011-04-18 2012-10-18 Ident Technology Ag OLED-Interface
KR20130082283A (ko) * 2012-01-11 2013-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장치
GB2501570B (en) * 2012-12-18 2014-04-16 Novalia Ltd Capacitive touch device
CN103135862A (zh) * 2013-03-04 2013-06-05 敦泰科技有限公司 一种电容式触摸屏和电子设备
DE102013015230B4 (de) 2013-09-13 2019-02-28 Diehl Ako Stiftung & Co. Kg Ablagevorrichtung,insbesondere für ein Kühl- und/oder Gefriergerät
US9678540B2 (en) * 2013-09-23 2017-06-13 Apple Inc. Electronic component embedded in ceramic material
WO2015186266A1 (ja) * 2014-06-06 2015-12-1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モジュール、スマートデバイス及び照明装置
KR101821921B1 (ko) * 2014-08-25 2018-01-24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 스마트 디바이스 및 조명 장치
DE102014217237A1 (de) * 2014-08-28 2016-03-03 Hella Kgaa Hueck & Co. Leuchtvorrichtung
JP6489900B2 (ja) * 2015-03-30 2019-03-2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入力装置及び表示装置
WO2016181704A1 (ja) * 2015-05-13 2016-11-1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モジュール及びスマートデバイス
US20180136777A1 (en) * 2015-06-22 2018-05-17 Konica Minolta, Inc. Organic electroluminescence module, smart device, and illumination device
WO2016208234A1 (ja) * 2015-06-22 2016-12-2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モジュール、スマートデバイス、および照明装置
DE102015110075A1 (de) * 2015-06-23 2016-12-29 Osram Oled Gmbh Anordnung zum Betreiben eines organischen strahlungsemittierenden Bauelements
US9933906B2 (en) 2016-03-28 2018-04-03 Synaptics Incorporated Capacitive sensing using discrete lighting elements
WO2017168823A1 (ja) * 2016-03-31 2017-10-0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モジュール及びスマートデバイス
US10785846B2 (en) * 2016-09-13 2020-09-22 Konica Minolta, Inc. Illumination device
KR102608091B1 (ko) * 2016-10-07 2023-12-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8101385A1 (ja) * 2016-11-30 2018-06-0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6393A (ja) * 1994-09-06 2001-05-15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ネムローゼ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導電性ポリマー製の透明な構造を付与した電極層を有する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ト装置
US7106307B2 (en) * 2001-05-24 2006-09-12 Eastman Kodak Company Touch screen for use with an OLED display
KR100404102B1 (ko) * 2001-09-04 2003-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키패드 백라이팅 장치
JP2003099192A (ja) * 2001-09-21 2003-04-04 Aiphone Co Ltd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装置
US7361860B2 (en) * 2001-11-20 2008-04-22 Touchsensor Technologies, Llc Integrated touch sensor and light apparatus
JP2003296032A (ja) * 2002-04-03 2003-10-17 Pioneer Electronic Corp 表示部一体型タッチパネル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656627A (zh) * 2002-05-31 2005-08-17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电致发光装置
JP2004135177A (ja) * 2002-10-11 2004-04-30 Sharp Corp 携帯電話機
DE20311137U1 (de) * 2003-07-18 2003-09-18 Woehr Richard Gmbh Selbstleuchtendes, kapazitiv berührungssensitives Display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090B1 (ko) * 2008-04-04 2011-02-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입력 장치
US8847895B2 (en) 2009-06-19 2014-09-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pane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189066B2 (en) 2010-01-28 2015-1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pane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8982089B2 (en) 2010-03-22 2015-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pane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8581866B2 (en) 2010-05-11 2013-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8970513B2 (en) 2010-10-11 2015-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panel having deformable electroactive polymer actuator
US8994685B2 (en) 2010-11-23 2015-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put sensing circuit and touch panel including the same
US9013443B2 (en) 2011-04-18 2015-04-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panel and driving device for the same
US9772095B2 (en) 2014-05-30 2017-09-26 Konica Minolta, Inc. Organic electroluminescence module, smart device, and lighting device
KR20170125096A (ko) * 2015-05-20 2017-11-13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 스마트 디바이스 및 조명 장치
KR20170124594A (ko) * 2015-05-26 2017-11-10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 스마트 디바이스 및 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103864A2 (en) 2005-11-03
RU2379746C2 (ru) 2010-01-20
CN1947086A (zh) 2007-04-11
DE602004009408T2 (de) 2008-07-17
RU2006141245A (ru) 2008-05-27
CN100442213C (zh) 2008-12-10
US20080036746A1 (en) 2008-02-14
ATE375544T1 (de) 2007-10-15
DE602004009408D1 (de) 2007-11-22
EP1589407B1 (en) 2007-10-10
JP2007534070A (ja) 2007-11-22
EP1589407A1 (en) 2005-10-26
WO2005103864A3 (en) 200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9746C2 (ru) Управляющий интерфейс для электр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10983646B2 (en) Pressure detectable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display module
US20070165002A1 (en) User interface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872223B2 (en) Fingerprint recognizer, fingerprint recognition method, light emitter device, optical sensor, and display device
US8982043B2 (en) Electronic reader device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47375B1 (ko) 이동 전화 키매트 아래에 배치되는 근접감지형 터치패드시스템
US7151528B2 (en) System for disposing a proximity sensitive touchpad behind a mobile phone keypad
US7935904B2 (en) Keypad assembly
US8421755B2 (en) Capacitive touch sensor with integral EL backlight
US20100079379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electroluminescent driven haptic keypad
US20210173507A1 (en) Display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including same
US20170115764A1 (en) Touch panel
KR101792525B1 (ko)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압력 검출 가능한 터치 입력 장치
JP5159557B2 (ja)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
EP2348389A2 (en) Keypad apparatus, mobile device comprising same, and keypad control method
CN113434054B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1455819B2 (en) Method and device for fingerprint acquisition, and touchpad
US20110310020A1 (en) Touch-type transparent keyboard
KR101895594B1 (ko) 터치 압력 기능을 가진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하기 위한 오브젝트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
US20110291962A1 (en) Touch-type transparent input device
US20130201149A1 (en) Electronic device with feedback function
CN113990250B (zh) 显示模组及显示装置
JP2020030884A (ja) パッシブマトリックス型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ディスプレイ及びタッチ検出方法
CN1549456A (zh) 便携式无线通信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