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8886A - Rfid 보안 시스템 및 rfid 보안 방법 - Google Patents

Rfid 보안 시스템 및 rfid 보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8886A
KR20070008886A KR1020050062764A KR20050062764A KR20070008886A KR 20070008886 A KR20070008886 A KR 20070008886A KR 1020050062764 A KR1020050062764 A KR 1020050062764A KR 20050062764 A KR20050062764 A KR 20050062764A KR 20070008886 A KR20070008886 A KR 20070008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ecurity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ader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2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8431B1 (ko
Inventor
조선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to KR1020050062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431B1/ko
Publication of KR20070008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08B13/24Electrical 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electromagnetic field distribution
    • G08B13/2402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EAS], i.e. systems using tags for detecting removal of a tagged item from a secure area, e.g. tags for detecting shoplif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5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EAS] tag technology used for parent or child unit, e.g. same transmission technology, magnetic tag, RF tag, RFID

Abstract

보안 시스템은 전파 식별을 이용하며, 제1 리더부, 제2 리더부, 보안 제어부를 포함하고 전파 식별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다. 제1 리더부는 제1 감지 구역을 갖고, 제2 리더부는 제2 감지 구역을 갖는다. 보안 제어부는 동일한 식별 정보가 상기 제1 리더부, 그리고 그후 상기 제2 리더부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상기 식별 정보를 갖는 사용자가 보안 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동일한 식별 정보가 상기 제2 리더부, 그리고 그후 상기 제1 리더부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상기 식별 정보를 갖는 사용자가 상기 보안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보안 영역 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제1 경비 상태를 설정하고, 상기 보안 영역 내에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2 경비 상태를 설정한다.
전파 식별, RFID, RFID 안테나, 리더기

Description

RFID 보안 시스템 및 RFID 보안 방법{SECURITY SYSTEM USING RFID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RFID를 이용하는 보안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RFID 보안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RFID 보안 시스템이 적용된 출입구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RFID 보안 시스템이 도 4의 출입구에서 동작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RFID 보안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RFID 보안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전파 식별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보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파 식별(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이하 'RFID')은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RF)를 이용하여 대상(물품, 사용자 등)을 식별하는 기술을 말한 다. 일반적으로 안테나와 칩으로 구성된 RFID 태그(tag)에 식별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RFID 태그는 RFID 리더기를 통해 제공되는 무선 전파에 응답하여 자체 전원 또는 수신된 무선 전파를 통해 얻어진 동력을 이용하여 저장된 정보를 RFID 리더기에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RFID를 이용하는 보안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 시스템은 RFID 안테나(10), 리더기(20), 호스트 컴퓨터(30) 및 데이터 베이스(40)로 구성되어 있다.
RFID 안테나(10)는 지속적으로 특정 대역의 주파수를 갖는 감지 신호를 발산하고, 동시에 RFID 태그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리더기(2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리더기(20)는 RFID 안테나(10)를 통해 감지 신호를 발신하고, RFID 안테나(10)를 통해 RFID 태그(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해독한다. 호스트 컴퓨터(30)는 리더기(20)가 해독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 베이스(40)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등록된 사용자의 데이터인지 확인하고 등록된 사용자인 경우 출입을 허가 한다. 데이터 베이스(40)는 출입 가능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그 외 보안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RFID를 사용하는 보안 시스템의 경우 단순히 사용자에 관한 기록만이 관리 될 뿐, 외부의 침입이나 불법적인 물품의 반출에 대처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 RFID를 사용하는 보안 시스템은 사용자가 보안 영역 내로 진입하지 않고 RFID 안테나(10)의 감지 영역에 있기만 해도 사용자 가 보안 영역 내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우려가 있다.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 또는 물품의 출입 여부를 정확히 판단함으로써 철저한 보안이 가능한 RFID를 이용하는 보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보안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RFID 보안 시스템은 전파 식별을 이용하며, 제1 리더부, 제2 리더부, 보안 제어부를 포함하고 전파 식별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다. 제1 리더부는 제1 감지 구역을 갖고, 제2 리더부는 제2 감지 구역을 갖는다. 보안 제어부는 동일한 식별 정보가 상기 제1 리더부, 그리고 그후 상기 제2 리더부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상기 식별 정보를 갖는 사용자가 보안 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동일한 식별 정보가 상기 제2 리더부, 그리고 그후 상기 제1 리더부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상기 식별 정보를 갖는 사용자가 상기 보안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보안 영역 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제1 경비 상태를 설정하고, 상기 보안 영역 내에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2 경비 상태를 설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RFID 보안 방법은 전파 식별자를 이용한다. 제1 리더부, 그후 제2 리더부로부터 동일한 식별 정보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식별 정보를 갖는 사용자가 보안 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제2 리더 부, 그 후 제1 리더부로부터 동일한 식별 정보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식별 정보를 갖는 사용자가 보안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보안 영역 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제1 경비 조건을 설정한다. 상기 보안 영역 내에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2 경비 조건을 설정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RFID 보안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의 간략한 구성을 보여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은 1차 RFID 안테나(100a), 2차 RFID 안테나(100b), 1차 리더기(200a), 2차 리더기(200b), 보안 제어부(300), 데이터 관리 서버(400), 중앙 제어부(500), 긴급 감지 시스템(600), 일반 감지 시스템(650) 및 출입 제어 장치(7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에 사용가능한 RFID 태그는 일반적인 RFID 태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RFID 태그의 일례를 보여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 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에 사용가능한 RFID 태그(800)는 메모리(810) 및 안테나(8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모리(810)는 식별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며, 안테나(820)는 1차 또는 2차 RFID 안테나(100a, 100b)로부터 송신되는 전파를 수신하여 메모리(810)에 저장된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를 다시 1차 또는 2차 RFID 안테나(100a, 100b)로 각각 송신한다.
다시 도 2를 보면, 1차 및 2 차 RFID 안테나(100a, 100b)는 소정의 전파를 각각 1차 감지 영역 및 2차 감지 영역 내에 유지하며, 각 감지 영역 내의 RFID 태그가 존재하는 경우, RFID 태그로부터 송신되는 정보를 각각 1차 리더기 및 2차 리더기에 전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RFID 태그는 사용자 또는 물품에 각각 대응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대한 RFID 태그는 해당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물품에 대한 RFID 태그는 해당 물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1차 감지 영역을 담당하는 1차 RFID 안테나(100a)와 2차 감지 영역을 담당하는 2차 RFID 안테나(100b)는 각각의 감지 영역이 교차되지 않게 적당한 거리를 두고 위치한다. 1차 RFID 안테나(100a)와 2차 RFID 안테나(100b)에서 사용되는 전파는 주파수의 대역이 동일한 전파일 수 있다.
1차 리더기 및 2차 리더기(200a, 200b)는 각각 1차 및 2차 RFID 안테나(100a, 100b)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해석하고, 해석된 데이터를 보안 제어부(300)로 전송한다. 1차 및 2차 리더기(200a, 200b)는 사용자나 물품에 관한 데이터를 보안 제어부(300)로 시리얼 통신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보안 제어부(300)는 1차 리더기 도는 2차 리더기(200a, 200b)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또는 물품 정보를 데이터 관리 서버(400)에 저장되어 있는 출입 가능한 사용자 리스트 또는 물품 리스트와 비교하여, 사용자 또는 물품의 입문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입문이 가능한 사용자 또는 물품에 대해서만 보안 영역으로의 입문을 허가한다. 또한 보안 제어부(300)는 1차 리더기(200a), 그후 2차 리더기(200b)로부터 동일한 사용자 또는 물품 정보가 인식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 또는 물품이 보안 영역내에 입문한 것으로 판단하고, 2차 리더기(200b), 그후 1차 리더기(200a)로부터 동일한 사용자 또는 물품 정보가 인식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 또는 물품이 보안 영역외로 출문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보안 제어부(300)는 보안 영역 내의 사용자의 존재 여부에 따라 보안 영역의 보안 상태를 경비 상태 또는 해제 상태로 전환한다.
경비 상태는 보안 영역안에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적용된다. 이러한 전환 조건은 사용자 뿐만 아니라 중요 물품 리스트에 포함된 물품이 보안 영역 내에 존재하는 경우 경비 상태가 적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반면에 해제 상태는 보안 영역안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중요 물품 리스트에 포함된 물품이 보안 영역 내에 존재하였으나, 외부로 반출된 경우 해제 상태가 적용될 수 있다. 이렇게 물품에 따른 보안 상태는 사용자의 존재여부에 따른 보안 상태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보안 영역의 보안 상태가 경비 상태인 경우 보안 제어부(300)는 일반 감지 시스템(650)을 동작시킨다. 그리고, 보안 제어부(300)는 1차 리더기(200a)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 관리 서버(400)의 사용자 리스트와 비교하여, 사용자 가 경비 상태 조건하에서 입문할 수 잇는 권한이 있는 사용자인지 판단한다. 해당 사용자에게 권한이 있다면 해당 사용자에게 출입문을 개방하고, 2차 리더기(200b)로부터 동일한 사용자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사용자가 보안 영역내에 입문한 것으로 판단하고 보안 상태를 해제 상태로 자동 전환한다.
한편, 보안 영역의 상태가 해제 상태인 경우 보안 제어부(300)는 보안 영역내의 남아 있는 마지막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가 2차 리더기(200b), 그후 1차 리더기(200a)로부터 순차적으로 수신되면, 보안 제어부(300)는 보안 상태를 해제 상태에서 경비 상태로 자동 전환한다.
데이터 관리 서버(400)는 출입 가능한 사용자 리스트를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 반입 및 반출 가능한 물품 리스트를 포함하는 물품 데이터 베이스, 보안 제어부(300)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의 정보 및 보안 상태의 전환에 대한 기록을 저장하는 보안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정보란 사용자의 인적사항, 출입 시간 및 함께 반입한 물품등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데이터 관리 서버(400)는 입문한 사용자에 대한 입문 리스트 또는 출문한 사용자에 대한 출문 리스트를 생성하여 보안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관리 서버(400)는 출입 가능한 사용자 리스트를 해제 상태에서 출입 가능한 사용자 및 경비 상태에서 출입 가능한 사용자로 구분하여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관리 서버(400)는 출입이 금지되거나 관리가 필요한 사용자에 대한 목록(이하, '블랙 리스트'라 함)을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에 추가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관리 서버(400)는 일정기간 보안 영역내로 출입이 금지되는 사용자, 보안 영 역내에서 이동 영역이 제한되어 있어 관리가 필요한 사용자등을 구분하여 블랙 리스트에 기록할 수 있다.
데이터 관리 서버(400)는 보안 제어부(300)로부터 전송받은 물품 정보를 물품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반입 및 반출 시간, 반입자 및 반출자 및 물품의 용도등에 관한 정보를 물품 데이터 베이스에 추가할 수 있다. 데이터 관리 서버(400)는 반입된 물품을 기록하는 반입 물품 리스트 또는 반출된 물품을 기록하는 반출 물품 리스트를 생성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관리 서버(400)는 반입 또는 반출이 금지되거나 관리가 필요한 물품을 블랙 리스트에 기록해 놓을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관리 서버(400)는 보안상 반입이 금지된 물품, 보안 영역내에 반입을 위해서 일정한 부가 조치를 취해야 하는 물품 및 반출이 금지된 물품을 구분하여 블랙 리스트에 기록할 수 있다.
긴급 감지 시스템(600)은 보안 영역에서 화재, 가스 누출, 전기 누전등의 비상 사태가 발생하면 보안 제어부(300)에 감지 사실을 알리고 경보를 울린다. 긴급 감지 시스템(600)은 보안 상태에 관계없이 항상 작동한다.
일반 감지 시스템(650)은 보안 영역의 출입 제한 구역을 감시하고, 도난 방지 및 사용자나 물품의 이동을 감시하는 감지 시스템이다. 이상이 감지되면 보안 제어부(300)로 감지 사실을 알리고 경보를 울린다. 일반 감지 시스템(650)은 보안 상태 중 경비 상태에서만 작동한다.
중앙 제어부(500)는 보안 제어부(300)로부터 보안 상태에 대한 정보와 긴급 또는 일반 감지 시스템(600, 650)이 감지하는 이상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는다. 중 앙 제어부(500)는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보안 상태에 따라 일반 또는 긴급 감지 시스템(600, 650)이 인지하는 이상에 대해 조치 명령을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출입 제어 장치(700)는 보안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출입문을 제어한다. 블랙 리스트에 해당하는 사용자 또는 물품이 1차 감지 영역으로 접근하는 경우 보안 제어부(300)는 출입 제어 장치(700)로 세트 명령을 전송하고, 출입 제어 장치(700)는 세트 명령을 전송받으면, 개방 되어 있던 출입문을 닫거나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 리스트에 등록된 사용자 또는 물품 리스트에 등록된 물품이 1차 감지 영역 또는 2차 감지 영역으로 접근하면, 출입 제어 장치(700)는 보안 제어부(300)로부터 출입문 개방 명령을 수신받고, 출입문을 개방한다.
보안 제어부(300)와 데이터 관리 서버(400)간에는 유무선 LAN 망과 같은 소정의 통신 방법을 통하거나,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중앙 제어부(500)와 보안 제어부(300)간에는 유/무선 LAN 망과 같은 소정의 통신 방법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통신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통신 방법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이 출입문에서 적용되는 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이 출입구에 사용된 일례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 안 시스템이 출입구에 사용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및 2차 감지 영역(A, B)은 각각 출입문의 외부 감지 영역 및 내부 감지 영역에 해당하며, 이러한 1차 및 2 차 감지 영역(A, B)은 출입문을 중심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 도 4에 도시된 출입문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RFID 보안 시스템의 동작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보안 영역 내로 입문하는 경우 사용자는 1차 감지 영역(A)을 거쳐 최종적으로 2차 감지 영역(B)을 통과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 제어부(300)는 1차 리더기(200a)에서 사용자가 인식되면, 1차 리더기(200a)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다(S100).
수신한 사용자 정보와 데이터 관리 서버(400)의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리스트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입문 허가 여부를 결정한다(S110). 보안 제어부(300)는 수신한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 리스트에서 일치하는 사용자 정보가 있는 경우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가진 사용자를 입문 가능한 사용자로 판단한다. 한편, 블랙 리스트에 일치하는 사용자 정보가 있는 경우 보안 제어부(300)는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가진 사용자는 입문이 금지된 사용자로 판단한다.
보안 제어부(300)는 사용자가 입문이 금지된 사용자라면, 출입 제어 장치(700)를 제어하여 출입문이 열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S115). 보안 제어부(300)는 사용자가 입문 가능한 사용자라면 출입 제어 장치(700)를 제어하여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다(S120).
보안 제어부(300)는 입문 가능한 사용자로 판단된 사용자 정보가 2차 리더기(200b)에서 인식되면(S130), 보안 제어부(300)는 사용자가 보안 영역내에 입문한 것으로 판단한다(S140).
보안 제어부(300)는 보안 영역내에 사용자가 있으므로 보안 상태를 해제 상태로 유지한다(S150).
다음으로 보안 영역내에 있던 사용자가 출문하는 경우, 사용자는 2차 감지 영역(B)을 거쳐 최종적으로 1차 감지 영역(A)을 통과하게 된다. 사용자는 2차 리더기(200b) 및 그 후 1차 리더기(200a)에서 인식된다(S200). 보안 제어부(300)는 1차 및 2차 리더기(200a, 200b)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 관리 서버(400)로 전송하고, 데이터 관리 서버(400)는 출문 리스트에 기록한다(S210).
보안 제어부(300)는 입문 리스트와 출문 리스트를 상호 비교하여 입문 리스트의 사용자가 더 많은 경우 현재 보안 영역내에 사용자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S220). 반면, 입문 리스트와 출문 리스트를 비교한 결과 사용자가 일치하는 경우, 보안 영역내에 사용자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S225). 보안 제어부(300)는 보안 영역내에 사용자가 없다고 판단되면, 보안 상태를 해제 상태에서 경비 상태로 전환한다(S230). 보안 제어부(300)가 보안 영역의 보안 상태를 결정하는 기준은 사용자의 보안 영역내 존부일 수 있다. 따라서 물품의 보안 영역내 존부를 판단하기 이전에 사용자가 보안 영역내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반입된 물품이 보안 영역내에 존재하더라도 보안 제어부(300)는 보안 상태를 경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관리 서버(400)는 별도의 출문 리스트를 생성하지 않고, 입문 리스트에서 출문하는 사용자나 물품에 관한 데이터를 삭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안 제어부(300)는 입문 리스트에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으면, 보안 영역내에 사용자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하, 도 6 및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RFID 보안 시스템을 이용하는 보안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RFID 보안 시스템을 사용하는 보안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또는 물품이 보안 영역 내로 입문하는 경우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RFID 보안 시스템을 사용하는 보안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또는 물품이 보안 영역 외부로 출문하는 경우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 또는 물품이 보안 영역 내로 입문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리더기(200a)가 1차 감지 영역(A)에서 사용자 또는 물품을 인식한 경우(S300), 보안 제어부(300)는 현재 보안 상태가 경비 상태인지 판단한다(S310). 현재 보안 상태가 해제 상태인 경우, 보안 제어부(300)는 1차 감지 영역(A)에서 인식된 사용자가 입문 가능한지 판단한다.
물품이 반입되는 경우, 반입 가능한 물품인지 판단한다(S311). 보안 제어부(300)는 수신한 물품 정보와 물품 리스트에서 일치하는 물품 정보가 있는 경우 수신한 물품 정보를 가진 물품을 반입 가능한 물품으로 판단한다. 한편, 블랙 리스트에 일치하는 물품 정보가 있는 경우 보안 제어부(300)는 수신한 물품 정보를 가진 물품은 반입이 금지된 물품으로 판단한다.
입문이 허가되지 않는 사용자거나 반입이 금지된 물품으로 판단되면, 보안 제어부(300)는 출입문을 닫힌 상태로 유지하고(S312), 입문 가능한 사용자 또는 물품이라면 출입문은 개방하고, 2차 감지 영역(B)에서 사용자 또는 물품이 인식되면(S313), 보안 제어부(300)는 사용자 또는 물품이 입문한 것으로 판단하여 데이터 관리 서버(400)로 입문한 사용자 또는 물품 정보를 전송하고, 데이터 관리 서버(400)는 입문 리스트에 사용자를 기록하고, 반입 물품 리스트에 물품을 기록한다(S314).
현재 보안 상태가 경비 상태인 경우, 보안 제어부(300)는 사용자가 현재 경비 상태를 해제하고 출입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 판단한다(S320). 물품이 인식되면 물품이 반입 가능한 물품인지 함께 판단한다. 보안 제어부(300)는 데이터 관리 서버(400)의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의 사용자 리스트에서 경비 상태에서 출입 가능한 사용자의 정보 중에서 1차 감지 영역(A)에서 인식된 사용자의 정보와 일치하는 사용자 정보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보안 제어부(300)는 판단 결과 권한이 없거나 반입이 금지되는 물품이라면, 출입문을 닫힌 상태로 유지하고, 경비 상태도 유지한다(S321). 보안 제어부(300)는 권한이 있고 반입 허용되는 물품이면, 출입문을 개방하고, 사용자 또는 물품이 2차 감지 영역(B)에서 2차 리더기(200b)를 통해 인식되는지 판단한다(S330). 사용자가 2차 감지 영역(B)에서 인식되면 현 보안 상태를 해제 상태로 전환한다(S340). 보안 제어부(300)는 일반 감지 시스템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긴급 감지 시스템만 작동시킨다(S350). 보안 제어부(300)는 데이터 관리 서버(400)로 입문한 사용자 또는 물품 정보를 전송하고, 데이터 관리 서버(400)는 입문 리스트 또는 반입 물품 리스트를 생성한다(S360). 2차 감지 영역(B)에서 2 차 리더기(200b)를 통해 인식되지 않으면, 사용자 또는 물품이 입문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경비 상태를 유지한다(S331).
다음으로, 사용자 또는 물품이 보안 영역 내로 출문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 제어부(300)는 사용자 또는 물품이 2차 리더기(200b)에서 인식되면(S400), 사용자 또는 물품이 각각 출문 또는 반출이 허용되는 사용자 또는 물품인지 판단한다(S410). 블랙 리스트에 출문 또는 반출이 허용되지 않는 사용자 또는 물품인 경우 출입문은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S411). 사용자 또는 물품이 출문 또는 반출이 허용된다면 출입문은 개방되고, 1차 영역에서 1차 리더기(200a)에의해 사용자 또는 물품이 인식되면(S420), 보안 제어부(300)는 인식한 사용자 정보 또는 물품 정보를 데이터 관리 서버(400)로 전송하고, 데이터 관리 서버(400)는 사용자는 출문 리스트에, 물품은 반출 물품 리스트에 기록한다(S430). 보안 제어부(300)는 입문 리스트와 출문 리스트를 비교하여 보안 영역내의 마지막 사용자인지 판단한다(S440). 마지막 사용자가 아니라면 해제 상태는 유지된다(S441).
마지막 사용자로 판단되면, 보안 제어부(300)는 긴급 및 일반 감지 시스템(600, 650)에서 이상이 감지되는지 판단한다(S450). 이상이 감지되지 않는다면, 보안 제어부(300)는 보안 상태를 경비 상태로 전환한다(S460). 이상이 감지되면, 보안 제어부(300)는 경보를 울려 감지된 이상을 알리고, 감지된 이상에 대한 정보를 중앙 제어부(500)로 전송한다(S451). 보안 제어부(300)는 긴급 및 일반 감지 시스템(600,650)에서 이상이 감지되는 동안 보안 상태를 해제 상태로 유지하며(S452), 긴급 및 일반 감지 시스템(600,650)에서 이상이 더 이상 감지되지 않을 때까지 점검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보안 시스템은 RFID를 이용하여 보안 영역 사용자 또는 물품의 출입을 인식하고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보안 영역내의 출입을 제어함으로써 불법적인 외부 침입이나, 금지된 물품의 반입,반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안 상태, 사용자 및 물품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보안 영역내의 보안 상태를 결정하며, 그에 따라 감지 시스템을 작동시킴으로써 보다 치밀한 보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RFID 를 이용하여 사용자 또는 물품의 출입을 통제하고 보안 영역에 사용자의 존부에 따라 보안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 데이터를 저장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보안 뿐만 아니라 직원의 출퇴근 내역 관리 및 외부 사용자의 출입, 물품의 반입 및 반출을 파악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면, 항상 현재 보안 상태에 따라 감지 시스템을 작동시킴으로써 효과적이고 치밀한 보안 체계를 유지할 수 있다.

Claims (14)

  1. 전파 식별(이하 'RFID')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보안 시스템에 있어서,
    제1 감지 구역을 가지는 제1 리더부,
    제2 감지 구역을 가지는 제2 리더부, 및
    동일한 식별 정보가 상기 제1 리더부 및 상기 제2 리더부로부터 순차적으로수신되는 경우 상기 식별 정보를 갖는 사용자가 보안 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동일한 식별 정보가 상기 제2 리더부 및 상기 제1 리더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상기 식별 정보를 갖는 사용자가 상기 보안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보안 영역 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제1 경비 상태를 설정하고, 상기 보안 영역 내에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2 경비 상태를 설정하는 보안 제어부
    를 포함하는 RFID 보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를 갖는 사용자를 저장한 사용자 리스트, 동일한 식별 정보가 상기 제1 리더부 및 상기 제2 리더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인식되는 경우 상기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제1 데이터 리스트 및 동일한 식별 정보가 상기 제2 리더부 및 제1 리더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인식되는 경우 상기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제2 데이터 리스트를 포함하는 데이터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안 제어부는,
    상기 제1 데이터 리스트와 상기 제2 데이터 리스트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상기 보안 영역 내에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데이터 리스트가 상기 제2 데이터 리스트보다 식별 정보를 하나 이상 더 포함하고 있으면 상기 보안 영역 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RFID 보안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비 상태일 때 동작하는 긴급 감지 시스템,
    상기 제1 경비 상태 및 제2 경비 상태일 때 동작하는 일반 감지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RFID 보안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리스트는,
    상기 제1 경비 상태일 때 입문 허용되는 사용자를 기록한 리스트,
    상기 제2 경비 상태일 때 보안 상태를 상기 제1 경비 상태로 전환하고 입문 허용되는 사용자를 기록한 리스트,
    상기 보안 영역안에 입문 허용되지 않는 사용자를 기록한 리스트를 포함하는 RFID 보안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제어부는 상기 제1 리더부로부터 인식되는 사용자 정보를 상기 보안 영역의 보안 상태에 따라 상기 사용자 리스트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입문허부를 판단하는 RFID 보안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동일한 식별 정보가 상기 제1 리더부 및 상기 제2 리더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상기 식별 정보를 갖는 물품이 보안 영역 내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동일한 식별 정보가 상기 제2 리더부 및 상기 제1 리더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상기 식별 정보를 갖는 물품이 상기 보안 영역 외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보안 제어부를 포함하는 RFID 보안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를 갖는 물품을 저장한 물품 리스트, 동일한 식별 정보가 상기 제1 리더부 및 상기 제2 리더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인식되는 경우 상기 식별 정보를 갖는 물품 정보를 저장하는 제1 데이터 리스트, 및 동일한 식별 정보가 상기 제2 리더부 및 제1 리더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인식되는 경우 상기 식별 정보를 갖는 물품 정보를 저장하는 제2 데이터 리스트를 포함하는 데이터 관리 서버를 포함하 고,
    상기 보안 제어부는,
    상기 제1 데이터 리스트와 상기 제2 데이터 리스트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상기 보안 영역 내에 물품이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데이터 리스트가 상기 제2 데이터 리스트보다 식별 정보를 하나 이상 더 포함하고 있으면 상기 보안 영역 내에 물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RFID 보안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리스트는 반입 및 반출이 허용되는 물품을 저장한 리스트, 반입 또는 반출이 허용되지 않는 물품을 저장한 리스트를 포함하는 RFID 보안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동일한 식별 정보를 갖는 사용자가 상기 제1 리더부, 그리고 그 후 상기 제2 리더부로부터 인식되는 경우 상기 식별 정보를 갖는 사용자를 제1 데이터 리스트 상에 추가하고, 동일한 식별 정보를 갖는 사용자가 상기 제2 리더부, 그리고 그 후 상기 제1 리더부로부터 인식되는 경우 상기 식별 정보를 갖는 사용자를 제1 데이터 리스트 상에서 제거하는 데이터 관리부;
    상기 보안 제어부는,
    상기 제1 데이터 리스트에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제1 경비 상 태를 개시하고, 상기 제1 데이터 리스트에 식별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2 경비 상태를 개시하는 RFID 보안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구역과 상기 제2 감지 구역은 서로 중복되지 않도록 설정되는 RFID 보안 시스템.
  11. 전파 식별자를 이용하는 보안 방법에 있어서,
    제1 리더기 및 제2 리더부로부터 순차적으로 동일한 식별 정보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식별 정보를 갖는 사용자가 보안 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리더부 및 제1 리더부로부터 순차적으로 동일한 식별 정보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식별 정보를 갖는 사용자가 보안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보안 영역 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제1 경비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안 영역 내에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2 경비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RFID 보안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비 조건은 긴급 감지 시스템만 작동하고,
    상기 제2 경비 조건은 긴급 및 일반 감지 시스템이 모두 작동하는 RFID 보안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비 조건에서 상기 식별 정보를 갖는 사용자가 상기 제2 경비 조건을 상기 제1 경비 조건으로 전환하고 입문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RFID 보안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를 갖는 사용자가 보안 영역내 마지막 사용자인 경우,
    긴급 및 일반 감지 시스템에서 이상이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RFID 보안 방법.
KR1020050062764A 2005-07-12 2005-07-12 Rfid 보안 시스템 및 rfid 보안 방법 KR100958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764A KR100958431B1 (ko) 2005-07-12 2005-07-12 Rfid 보안 시스템 및 rfid 보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764A KR100958431B1 (ko) 2005-07-12 2005-07-12 Rfid 보안 시스템 및 rfid 보안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886A true KR20070008886A (ko) 2007-01-18
KR100958431B1 KR100958431B1 (ko) 2010-05-18

Family

ID=38010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2764A KR100958431B1 (ko) 2005-07-12 2005-07-12 Rfid 보안 시스템 및 rfid 보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84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182B1 (ko) * 2010-06-15 2012-03-28 주식회사 에스원 경비모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141722A (ko) * 2019-06-11 2020-12-21 주식회사 에스원 방범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5589A (ja) * 1994-12-27 1996-07-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警戒装置
JP4154050B2 (ja) 1998-12-14 2008-09-24 綜合警備保障株式会社 テナントビルの警備システム
JP4261960B2 (ja) * 2003-04-02 2009-05-13 三菱電機株式会社 防犯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182B1 (ko) * 2010-06-15 2012-03-28 주식회사 에스원 경비모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141722A (ko) * 2019-06-11 2020-12-21 주식회사 에스원 방범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8431B1 (ko) 2010-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6204B2 (en) Switchable, oscillating near-field and far-field antenna
KR102538013B1 (ko) 고객 서비스를 위해 사용되는 도난 방지 시스템
CN101156186B (zh) 使用rfid的警报调查的方法和系统
KR101101521B1 (ko) Rfid 태그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매체
JP4100867B2 (ja) 電子的警備システム及び電子的警備システムにおいて受動的無線周波数識別タグの所定の組を使用する方法
US6492905B2 (en) Object proximity/security adaptive event detection
US7202784B1 (en) Anti-jamming detector f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s
US20070046439A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with device for protecting privacy and method of operation
AU2013318559A1 (en) Mobile retail peripheral platform for handheld devices
KR20080113081A (ko) 대상물 추적
CN101329777A (zh) 远程自动控制开关装置
CN107403210A (zh) 基于rfid的警用办案区管理系统
US20200342729A1 (en) Foreign rfid tag discrimination and management
KR101547489B1 (ko)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장치 및 출입 보안 시스템
KR100958431B1 (ko) Rfid 보안 시스템 및 rfid 보안 방법
KR100916712B1 (ko) 제품에 대한 재고, 보안 및 도난을 관리하는 rfid시스템 및 태그 정보 인식 방법
US8098137B2 (en) Media passport system
US20220067635A1 (en) Inventory tracking systems and methods
GB2387744A (en) Transponder alarm system
JP2006285698A (ja) 警備装置、警備方法、警備プログラム
KR102437525B1 (ko) 핵심기술 정보 유출 차단을 위한 통합 보안시스템
JP2009080641A (ja) セキュリティ管理装置
CN115280387A (zh) 用于rfid标签的增加的出口询问的系统和方法
KR100624118B1 (ko) 비접촉 방식의 신원 확인 카드 시스템의 출입자 관리 장치
US6992564B2 (en) Cordless identification security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