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8845A - 기록/재생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기록/재생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8845A
KR20070008845A KR1020050062685A KR20050062685A KR20070008845A KR 20070008845 A KR20070008845 A KR 20070008845A KR 1020050062685 A KR1020050062685 A KR 1020050062685A KR 20050062685 A KR20050062685 A KR 20050062685A KR 20070008845 A KR20070008845 A KR 20070008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ced
section
playback
program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2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1613B1 (ko
Inventor
서종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2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1613B1/ko
Publication of KR20070008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1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1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7Stream processing in response to a playback request from an end-user, e.g. for trick-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7PVR [Personal Video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involving pointers to the content, e.g. pointers to the I-frames of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신호의 수신 기능과 저장 기능을 모두 갖춘 기록/재생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송신측에서는 프로그램 내 소정 구간의 강제 재생 여부를 표시한 강제 재생 정보를 상기 프로그램과 함께 전송하고, 이를 수신하는 수신측에서는 전송된 프로그램으로부터 강제 재생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프로그램과 함께 저장 매체에 녹화하고, 이 후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재생시 강제 재생 구간에서는 정상 재생만을 수행하도록 한다. 따라서 방송국 또는 프로그램 제공자가 시청자 또는 방송망 가입자를 대상으로 공지 또는 안내 방송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강제 재생, 녹화, 재생

Description

기록/재생 장치 및 그 방법{Record/player and its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제 재생 기능 구현을 위한 부가 정보 데이터 구성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제 재생 지원을 위한 기록/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제 재생 구간에 대한 기능 제한 설정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덱스 파일의 데이터 구성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제 재생 구간 표시를 위한 FP 정보 테이블 구성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강제 재생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1 : 시스템 디코더 212 : 다운로드 제어부
221 : 장면 정보 추출부 222 : 인덱스 생성부
231 : 데이터 처리부 232 : 강제 재생 정보 추출부
240 : 하드디스크(HDD) 250 : 업로드 제어부
260 : 인덱스/강제 재생 정보 레지스터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신호의 수신 기능과 저장 기능을 모두 갖춘 기록/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개인용 비디오 녹화(PVR) 장치에 프로그램을 녹화하고 재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PVR(Personal Video Record) 장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저장 매체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HDD)에 저장할 수 있는 장치이다. 즉 방송국으로부터 지상파 또는 케이블 등의 매체를 통해 전송된 방송 프로그램을 HDD에 녹화한 후 재생하는 장치이다. 상기 PVR 장치는 기본 기능인 녹화 기능은 물론 타임 시프트(time-shift), 생방송 시청 중 순간 재생(instant replay) 및 기타 각종 트릭 플레이 기능을 제공하면서 기존의 VCR(Video Cassette Recorder)보다 훨씬 향상된 기능을 제공한다. 더욱이 HD(High Definition)급 고화질 디지털 방송을 언제든지 하드디스크에 저장하여 볼 수 있다는 장점과 각종 부가 서비스 기능은 사용자에게 커다란 매력으로 존재한다.
상기 PVR 장치와 관련된 기술이 급속하게 발달하고 이와 관련된 시장의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PVR 장치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및 비즈니스 모델이 다양화되는 추세이다. 또한 PVR 장치를 홈 네트워크 시스템 또는 랜(LAN)과 같은 인터넷 서비스와 접목시키려는 시도가 이미 시작되었으며 수많은 관련 서비스 및 비즈니스 모델이 제안되는 추세이다.
특히 다양한 부가 서비스 및 추가적인 기능을 PVR 장치에 추가하고자 하는 시도에 의해 PVR 장치와 PC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추세이며 PC에서 제공하는 많은 기능이 PVR 장치에 적용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다양하고 보다 향상된 네트워크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은 향후 PVR과 관련된 핵심 기술 중의 하나로 주목받을 전망이다.
또한 네트워크에 연결된 PVR 장치간의 프로그램 송수신 또는 방송 프로그램 제공자가 PVR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과정에서 광고 영상을 삽입하는 경우, 또는 유료 방송망 가입자에게 콘텐츠 제공자가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안내 또는 공지 방송을 삽입하는 방법 등은 향후 PVR과 관련된 새로운 수입 모델로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이러한 서비스 모델은 유료 콘텐츠를 다운로드 하고자 하는 경우에 시청자는 광고를 보는 조건 하에 무료로 다운로드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PVR의 저장 매체에 수신 및 저장되는 프로그램에 광고 또는 크레디트 영상을 삽입할 경우 해당 비디오 구간은 반드시 시청자에게 재생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방식에서는 이러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이 거의 전무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PVR 장치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중 일부 구간에 대하여 강제 재생 여부를 설정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강제 재생 구간이 포함된 프로그램 재생시, 상기 강 제 재생 구간의 스트림은 반드시 재생하도록 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재생 장치 및 그 방법은, 방송국 또는 기타 방송 프로그램 전송 주체에 의해 프로그램에 삽입된 광고 방송 또는 공지 사항과 같은 특정 비디오 구간에 대해 강제적으로 재생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강제 재생이란 해당 구간을 반드시 재생해야 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때 해당 구간에 대한 고속 재생, 스킵(skip), 점프 및 기타 트릭 플레이 기능의 수행이 금지됨을 의미한다. 즉 상기 강제 재생 구간에서는 반드시 정상 재생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재생 장치는, 저장 매체; 소정 구간에 대한 강제 재생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입력받아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하는 다운로드 제어부; 및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재생시, 강제 재생 구간에서는 정상 재생만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업로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제 재생 정보는 강제 재생 구간이 시작됨을 표시하는 식별자와 강제 재생 여부를 표시하는 강제 재생 플래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제 재생 정보에는 강제 재생 회수가 더 포함되며, 상기 업로드 제어부는 상기 강제 재생 구간이 재생될 때마다 강제 재생 회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재생 방법은,
(a) 프로그램 내 소정 구간의 강제 재생 여부를 표시한 강제 재생 정보를 상기 프로그램과 함께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전송된 프로그램으로부터 강제 재생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프로그램과 함께 저장 매체에 녹화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저장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재생시 강제 재생 구간에서는 정상 재생만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으로 한다.
상기 (a) 단계에서 강제 재생 정보는 데이터 스트림과 강제 재생할 비디오 패킷이 포함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헤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 단계는 고속 재생 관련 트릭 플레이가 선택되면 강제 재생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 재생 구간이 강제 재생 구간인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현재 강제 재생 구간이면 정상 재생을 하다가 강제 재생 구간이 끝나면 해당 트릭 플레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 단계는 점프 관련 트릭 플레이가 선택되면 강제 재생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 재생 위치와 목표 위치 사이에 강제 재생 구간이 존재하는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현재 재생 위치와 목표 위치 사이에 강제 재생 구간이 존재하면 상기 강제 재생 구간으로 이동하여 해당 구간을 정상 재생한 후 목표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방송국에서 전송되는 프로그램, 또는 네트워크를 통한 기록/재생 장치(예를 들면, PVR 장치) 사이의 프로그램 전송 과정에서 프로그램의 특정 구간에 대하여 강제 재생 여부를 설정한다. 이때 상기 프로그램의 소정 부분에 강제 재생을 위한 비디오 스트림을 추가 또는 삽입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추가 또는 삽입된 구간에 대해서는 강제 재생을 지시한다.
그리고 상기된 프로그램을 PVR 장치에 녹화한 후 재생시, 재생되는 구간이 강제 재생 구간이거나 이동할 구간 내에 강제 재생 구간이 존재하면, 상기 강제 재생 구간에서는 트릭 플레이를 금지하고 반드시 정상 재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강제 재생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방송 스트림의 데이터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해당 비디오 구간의 강제 재생 여부를 표시하는 필드를 데이터 스트림에 포함하도록 한다.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는 현재 전송되는 프로그램과 관련된 부가 정보가 포함 되며 이러한 정보들과 함께 강제 재생 정보를 추가적으로 전송하도록 한다.
즉, 강제 재생 정보(이하 FP 정보라 함)는 FP 정보가 시작된다는 식별자(FP start code)와 FP(Forced Play) 플래그(flag) 값으로 구성된다.
상기 강제 재생 정보 중에서 FP 플래그를 '1'로 설정해 줌으로써 해당 비디오 데이터에 대하여 강제 재생을 수행하도록 알려 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강제 재생할 비디오 패킷이 포함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헤더 정보에 FP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FP 정보는 데이터 스트림 또는 비디오 스트림의 헤더 정보에서 생략될 경우 그 디폴트 값을 '0'으로 설정하며 이 경우에 해당 비디오 데이터는 강제 재생의 대상이 아니다. 결과적으로 강제 재생이 필요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하여 FP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함으로써 PVR 장치에서 강제 재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제 재생 기능을 지원하는 PVR 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로서, 시스템 디코더(211), 다운로드(download) 제어부(212), 장면 정보(video feature) 추출부(221), 인덱스(index) 생성부(222), 데이터 처리부(231), FP 정보 추출부(232), HDD(240), 업로드 제어부(250), 및 레지스터(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스템 디코더(211)는 수신되는 트랜스포트(Transport ; TP) 스트림으로부터 비디오, 오디오, 그리고 데이터 스트림을 분리한다. 상기 분리된 비디오 스트림은 장면 정보 추출부(221)와 인덱스 생성부(222)로 출력되고, 데이터 스트림은 데이터 처리부(231)와 FP 정보 추출부(232)로 출력된다. 여기서 오디오 스트림은 비디오 스트림과 동일한 과정을 거치므로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다운로드 제어부(210)는 수신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상기 HDD(240)로 저장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HDD(240)에 저장되는 스트림은 188byte 크기의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packet)에 타임 스탬프를 추가한 형태를 가지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TTP(Time-stamped TP)라고 표기한다. 상기 타임 스탬프는 방송 스트림이 수신되는 시점의 시스템 클럭 값 또는 시스템에서 미리 정한 상대적인 시간 값으로 결정된다. 이러한 타임 스탬프는 향후 HDD(240)에서 해당 스트림을 읽을 때의 속도 조절을 위한 값, 즉 업로드의 속도를 제어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상기 인덱스 생성부(222)에서는 향후 저장된 스트림에 대한 트릭 플레이의 원활한 구현을 위하여 비디오 데이터의 픽쳐 시작 코드(picture start code)들의 위치 정보 등을 이용하여 인덱스를 생성한다. 즉, 각 프레임의 물리적인 위치를 방송 스트림의 패킷(packet) 단위로 표시하여 저장함으로써 녹화된 프로그램의 재생 시 특정 위치로 이동하고자 할 때 해당 프레임 또는 비디오 구간의 시작점을 HDD(240)에서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도록 인덱스를 생성한다. 상기 인덱스 파일은 HDD(240) 내에 저장된 파일의 물리적 위치를 명시한 FAT와 같은 형태의 테이블과 연계되어 사용된다.
결과적으로 인덱스 파일은 스킵(skip) 또는 고속 재생(fast forward)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때, 이동할 비디오의 위치를 원활하게 검색하기 위한 수단으로 쓰인다. 이 정보는 본 발명에 의한 PVR 장치에서 생성하는 강제 재생 정보 파일과 연계되어 강제 재생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필요하다. 따라서 HDD(240)에 저장된 트랜스트포트 스트림 재생시 인덱스 정보와 강제 재생 정보는 링크되어 레지스터(260)에 저장되어,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재생을 제어한다.
상기 비디오 장면 추출부(221)는 PVR 장치에서 하이라이트 또는 장면 분할과 같은 진보적 기능의 구현을 위해 상기 비디오 스트림으로부터 장면 정보(video feature)를 생성하여 HDD(240)에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 방송 처리부(231)는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부가 정보인 EPG 데이터를 처리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방송 제목, 장르 정보 등 채널 및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HDD(240)에 저장한다.
상기 강제 정보 추출부(232)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강제 재생 정보를 추출하여 HDD(240)에 저장한다.
상기 업로드 제어부(250)는 타임 시프트 또는 재생 기능이 동작할 때, HDD(240)에 저장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출력 기능을 담당하는 부분으로서, HDD(240)에 저장되어 있는 TTP의 재생 과정을 타임 스탬프에 명시된 값을 참조하여 제어한다. 즉, TTP의 타임 스탬프 값을 이용하여 녹화된 프로그램에 대하여 수신될 때와 같은 속도로 출력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출력되는 데이터는 타임 스탬프가 제거되어 원래의 TP 스트림 형태로 출력된다.
이때, 상기 업로드 제어부(250)는 HDD(240)에서 인덱스 정보와 강제 재생 정보를 읽어 와 레지스터(260)에 저장하며, 상기 레지스터(260)에 저장된 인덱스 정보와 강제 재생 정보를 참조하여 재생되는 구간이 강제 재생 구간이면 고속 재생, 스킵, 점프와 같은 트릭 플레이를 금지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제 재생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구간 A와 C는 강제 재생 구간으로 설정되고, 구간 B와 D는 정상 구간이며 A, B, C, D는 시간적으로 연속적인 구간이라고 가정한다. 이때 강제 재생 구간으로 설정된 구간 A와 C에서는 빨리 감기 기능은 물론 스킵, 점프와 같은 트릭 플레이가 금지된다. 결과적으로 구간 A와 C에서는 정상 재생(1배속 재생)만이 가능하다.
또한 정상 구간에서 다음 정상 구간으로 스킵을 수행하고자 할 때, 중간에 강제 재생 구간이 존재하는 경우 반드시 강제 재생 구간을 정상 재생해야 한다. 즉, 정상 구간 B의 임의의 지점에서 정상 구간 D의 임의의 지점으로 점프를 하고자 할 때, 중간에 위치한 강제 재생 구간 C를 반드시 정상 재생해야 하며 이때에는 구간 C의 시작점에서 정상 재생을 수행한 뒤 구간 C의 정상 재생이 끝나면 점프하고자 한 구간 D의 지점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강제 재생은 카운터를 설정하여 한 프로그램에 대하여 특정 강제 재생 구간에 대한 재생 회수를 제한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도 1의 실시 예에서 나타낸 방송 프로그램 전송 주체가 전송하는 FP 정보에 강제 재생 회수를 명시하는 필드를 별도로 추가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PVR 장치에서는 해당 구간을 재생할 때마다 카운터 값을 감소시켜야 한다. 그러다가 FP 구간 중에서 남은 재생 회수가 0인 구간에 대해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재생을 수행하거나, 또는 재생하지 않고 자동으로 해당 구간을 건너뛰게 한다. 예를 들어, 남은 재생 회수가 0인 강제 재생 구간에서 사용자가 스킵을 선택하면 그 구간을 스킵해버린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강제 재생 기능 구현을 위한 PVR 장치에서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인덱스 파일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인덱스 파일은 각각의 녹화된 프로그램마다 생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프레임의 시작 데이터의 위치를 HDD(240) 내 물리적 위치 또는 현재 프로그램 내의 트랜스포트 패킷 순서로 표시한다.
상기 PVR 장치는 인덱스 파일을 참조하여 트릭 플레이를 수행할 때, 목표한 데이터의 위치로 효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특정 프레임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하고자 할 때, 인덱스 파일을 참조하여 HDD(240)로부터 해당 프레임의 데이터를 읽어 들인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강제 재생 기능 구현을 위한 PVR 장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FP 정보 파일의 데이터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FP 정보 파일은 각각의 강제 재생 구간의 시작 및 종료 번지로 구성된다. 즉 데이터 스트림에서 추출한 FP 정보를 이용하여 FP 정보 파일을 구성한다. 상기 FP 정보는 FP 정보가 시작된다는 식별자(FP start code)와 FP 플래그 값으로 구성된다.
이때, 강제 재생 구간의 시작과 종료 위치는 인덱스 파일에서 사용하는 시작 번지와 같은 종류의 데이터로 표현되어야 한다. 즉, 인덱스 파일에서 현재 프로그램의 트랜스포트 패킷 순서로 각 프레임의 시작 번지를 표시했다면 FP 정보 파일 역시 트랜스포트 패킷 순서로 강제 재생 구간을 표현해야 한다. 또한, 상기 언급한 강제 재생 회수 정보를 사용할 경우 FP 정보 파일에 해당 재생 회수를 표시한 필드를 포함해야 한다. 이때, 해당 구간이 재생되면 재생 회수를 명시한 필드의 값을 업데이트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강제 재생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사용자가 녹화된 프로그램 시청 도중에 트릭 플레이 기능 중 스킵 명령을 입력하였다고 가정한다. 즉, 사용자가 녹화된 프로그램의 시청 도중에 스킵을 선택하면(단계 601), 강제 재생 구간인지를 판별한다(단계 602).
상기 단계 602에서 강제 재생 구간이라면 스킵을 수행하지 않고, 강제 재생 구간이 아니라면 이동하고자 하는 위치를 계산한다(단계 603).
이때 이동하고자 하는 위치를 스트림 포인터(stream pointer)라고 하며, 이는 인덱스 파일에서 참조한 해당 프레임의 시작 위치에 해당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 603에서 계산된 스트림 포인터와 다음 강제 재생 구간의 시작 위치를 비교하여(단계 604), 현재의 위치에서 이동하고자 하는 위치 사이에 강제 재생 구간이 존재하지 않으면 계산된 스트림 포인터로 이동한다(단계 607).
한편 현재의 위치와 이동하고자 하는 위치 사이에 강제 재생 구간이 존재할 경우, 무조건 강제 재생 구간의 시작점으로 이동하여(단계 605), 해당 구간을 정상 재생한다(단계 606). 이때 스트림 포인터의 위치가 해당되는 강제 재생 구간의 종료점 이후일 때, 레지스터 또는 기타 임시 저장 공간에 이동하고자 하는 목표 위치를 복사한다. 그리고 나서, 강제 재생 구간에 대한 재생이 완료되면 해당 레지스터 또는 임시 저장 공간으로부터 원래의 목표 위치를 읽어 들여 해당 지점으로 이동한다(단계 6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강제 재생 기능이 수행되며 다음과 같 이 요약된다.
1. 정상 구간에서 강제 재생 구간 이후의 다른 정상 구간으로 건너뛰려는 경우, 상기 강제 재생 구간을 정상 재생한 후 목표 지점으로 이동한다.
2. 강제 재생 구간을 재생하는 도중에는 스킵, 고속 재생, 고속 역재생은 물론 강제 재생 구간을 비정상적으로 벗어나려는 어떠한 트릭 플레이 기능도 수행되지 않는다.
3. 두 개 이상의 강제 재생 구간을 건너뛰고자 하는 경우, 해당 강제 재생 구간을 순차적으로 정상 재생한 후 목표 지점으로 이동한다.
4. 각각의 강제 재생 구간에는 최대 재생 회수를 할당할 수 있으며 최대 재생 회수는 프로그램 제공자가 결정한다.
5. 각각의 강제 재생 구간에 대하여 최대 재생 회수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PVR 장치는 각각의 강제 재생 영역에 대하여 남아 있는 재생 회수를 기록하며, 재생 회수가 0인 강제 재생 구간은 재생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스킵하거나 해당 프로그램에서 해당 비디오 구간을 제거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프로그램 제공자가 방송 프로그램 중 일부 구간에 대하여 강제 재생을 설정하거나 프로그램 전송 과정에서 강제 재생 스트림을 추가할 수 있으며, 이를 수신하여 저장한 PVR 장치는 해당 구간에 대하여 강제 재생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써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 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재생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상기 기록/재생 장치에 녹화되는 프로그램의 특정 구간을 강제 재생 구간으로 설정하여 녹화하고, 재생시 상기 강제 재생 구간은 반드시 재생하도록 함으로써, 방송국 또는 프로그램 제공자가 시청자 또는 방송망 가입자를 대상으로 공지 또는 안내 방송을 녹화되는 프로그램에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 네트워크를 통한 프로그램 또는 콘텐츠 전송 과정에서 광고의 삽입, 프로그램 제작사 또는 후원 업체의 로고를 표시하는 영상 또는 크레디트 영상의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분야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12)

  1. 저장 매체;
    소정 구간에 대한 강제 재생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입력받아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하는 다운로드 제어부; 및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재생시, 강제 재생 구간에서는 정상 재생만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업로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재생 정보는 강제 재생 구간이 시작됨을 표시하는 식별자와 강제 재생 여부를 표시하는 강제 재생 플래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재생 정보에는 강제 재생 회수가 더 포함되며, 상기 업로드 제어부는 상기 강제 재생 구간이 재생될 때마다 강제 재생 회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업로드 제어부는
    강제 재생 구간 중에서 남은 재생 회수가 0인 구간에 대해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재생을 수행하거나, 그 구간을 재생하지 않고 자동으로 스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매체는 하드디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6. (a) 프로그램 내 소정 구간의 강제 재생 여부를 표시한 강제 재생 정보를 상기 프로그램과 함께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전송된 프로그램으로부터 강제 재생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프로그램과 함께 저장 매체에 녹화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저장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재생시 강제 재생 구간에서는 정상 재생만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재생 정보는 강제 재생 구간이 시작됨을 표시하는 식별자와 강제 재생 여부를 표시하는 강제 재생 플래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재생 정보에는 강제 재생 회수가 더 포함되며, 상기 (c) 단계는 상기 강제 재생 구간이 재생될 때마다 강제 재생 회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강제 재생 정보는 데이터 스트림과 강제 재생할 비디오 패킷이 포함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헤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프로그램의 소정 부분에 강제 재생을 위한 비디오 스트림의 삽입이 가능하며, 상기 삽입되는 구간에 대해서는 강제 재생 정보에 강제 재생을 표시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고속 재생 관련 트릭 플레이가 선택되면 강제 재생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 재생 구간이 강제 재생 구간인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현재 강제 재생 구간이면 정상 재생을 하다가 강제 재생 구간이 끝나면 해당 트릭 플레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 생 방법.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점프 관련 트릭 플레이가 선택되면 강제 재생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 재생 위치와 목표 위치 사이에 강제 재생 구간이 존재하는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현재 재생 위치와 목표 위치 사이에 강제 재생 구간이 존재하면 상기 강제 재생 구간으로 이동하여 해당 구간을 정상 재생한 후 목표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방법.
KR1020050062685A 2005-07-12 2005-07-12 기록/재생 장치 및 그 방법 KR100771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685A KR100771613B1 (ko) 2005-07-12 2005-07-12 기록/재생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685A KR100771613B1 (ko) 2005-07-12 2005-07-12 기록/재생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845A true KR20070008845A (ko) 2007-01-18
KR100771613B1 KR100771613B1 (ko) 2007-10-31

Family

ID=38010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2685A KR100771613B1 (ko) 2005-07-12 2005-07-12 기록/재생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16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20921B2 (en) 2020-08-13 2023-08-08 Kochava Inc. Visual indication presentation and interaction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22201A (ko) * 1991-05-16 1992-12-19 이헌조 자막방송의 문자, 음성정보 기록/재생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1613B1 (ko) 200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9805B2 (ja) マルチスピード再生のためのコマーシャルの修正
US7738767B2 (en)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recording and playing back content data,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playing back content data, and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recording content data
CN102415095B (zh) 记录并且呈现由拼接的段形成的节目的数字视频录像机
US20060056800A1 (en) Data recording apparatus
EP1954041A1 (en) Digest generating device, and program therefor
EP12751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digital video recordings, and recordings made by such methods
JP3846671B2 (ja) マルチメディア蓄積装置、及び、マルチメディア送出装置
EP163980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video signal, method for playback of a recorded video signal and method of providing an advertising service
JP4351927B2 (ja) 映像再生装置、再生スクリプト生成装置及び映像切出し装置
KR100745522B1 (ko) 리코드 가능한 dvd에 대한 mpeg 비트 스트림의디코딩 및 재인코딩 없는 화상의 정밀 편집
JP4325767B2 (ja) データ受信装置、およびデータ受信方法
JP2005018925A (ja) 録画再生装置及び録画再生方法
KR100771613B1 (ko) 기록/재생 장치 및 그 방법
JP4410426B2 (ja) コンテンツ提供装置、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
EP1942671A1 (en) Digest creating device and its program
JP2006049988A (ja) デジタルデータ記録再生装置
JP4063212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および情報記録方法
JP4656481B2 (ja) 録画再生装置、受信装置及び制御方法と制御プログラム
WO2007145281A1 (ja) 映像再生装置、映像再生方法および映像再生プログラム
US200902202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laying Video
KR100956814B1 (ko) Pvr에서의 녹화 프로그램 편집 방법
JP3782014B2 (ja) テレビ放送録画再生装置及び情報提供サービスシステム
KR100583180B1 (ko) 광고 저장영역을 구비한 방송 수신 장치 및 동작 방법
JP4940453B2 (ja) 録画再生装置、及び録画制御方法と制御プログラム
JP4178400B2 (ja) 番組格納再生システム、番組格納再生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