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8392A - 곤로 - Google Patents

곤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8392A
KR20070008392A KR1020060058160A KR20060058160A KR20070008392A KR 20070008392 A KR20070008392 A KR 20070008392A KR 1020060058160 A KR1020060058160 A KR 1020060058160A KR 20060058160 A KR20060058160 A KR 20060058160A KR 20070008392 A KR20070008392 A KR 20070008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cover
combustion
closing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8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6975B1 (ko
Inventor
히데키 다니
요이치 아라키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008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1Tops, e.g. hot plates; Rings provisions for circul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7Pan supports or grat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8Mounting of hot plate on work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6Protective guards, e.g. for preventing access to heated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wholly or partly by a radiant body, e.g. by a perforated plate
    • F24C3/06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wholly or partly by a radiant body, e.g. by a perforated plate without any visible flame
    • F24C3/067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Housings, Intake/Discharge, And Installation Of Fluid Heaters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 Cookers (AREA)

Abstract

(과제) 연소부(36a,36b,36c)와 이들을 조작하는 조작부(20)가 상판(3)의 상측에 병설되어 있는 곤로에 관한 것으로, 조작부(20)를 연소부(36a,36b,36c)에서의 끓어 넘친 국물이나 기름의 부착, 또한 복사열에 의한 과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청소를 할 때의 조작부의 오조작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디자인성이 뛰어난 곤로를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 폐색된 상태에서 조작부(20) 전체를 은폐할 수 있고, 또한 개방된 상태에서 대략 수직자세로 기립할 수 있는 개폐덮개(1)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하고, 개폐덮개(1)의 회동축(10)을 상기 연소부(36a,36b,36c)와 상기 조작부(20)의 사이에 형성한 것.

Description

곤로{RANG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곤로를 사용할 때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Ⅹ-Ⅹ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곤로를 사용하지 않을 때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곤로를 사용하지 않을 때를 나타내는 요부확대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곤로를 사용하지 않을 때를 나타내는 요부확대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곤로를 사용할 때를 나타내는 요부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곤로를 사용할 때를 나타내는 요부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곤로를 사용하지 않을 때를 나타내는 요부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곤로를 사용할 때를 나타내는 요부확대 사시도
도 9는 종래의 드롭인식 곤로의 단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의 부호의 설명*
1 - 개폐덮개 10 - 회동축
20 - 전방 조작패널(조작부) 3 - 상판
36 - 연소부
본 발명은 곤로, 특히 상판의 상면에 연소부와 상기 연소부를 조작하는 조작부가 병설된 형식의 곤로에 관한 것이다.
시스템키친 등에서 사용되는 곤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리대나 개수대에서 연속되는 카운터 톱(31)에 형성한 개구(30)에, 제어장치(32)나 가스버너(33) 등이 수용되며 상측이 개방된 본체 케이스(34)를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소위, 드롭인식 곤로가 일반적이다.
특히, 동 도면에 나타낸 것은 상기 본체 케이스(34) 상측의 개방부가 상판(3)에 의해서 피복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상판(3)의 상면에 제어장치(32)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손잡이나 터치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지는 조작부(2)와, 상기 가스버너(33)나 삼발이(35) 등으로 이루어지는 연소부(36)가 병설되어 있는 것이 있고, 이것에서는 상기 조작부(2)와 연소부(36)의 사이에 칸막이벽(4)이 형성되어서 연소부(36)에서의 끓어 넘친 국물이나 기름의 비산, 또는 복사열이 조작부(2)에 미치는 문제점을 방지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5-98539호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4-3847호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출원 2004-251588호
(특허문헌 4) 일본국 실용신안공고 평8-9534호
(특허문헌 5)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2-238676호
상기 종래의 것과 같이, 연소부(36)와 조작부(2)의 사이에 칸막이벽(4)을 돌출 형성시킨 것은 디자인상 평탄감을 중시하려는 상판(3)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벽(4)의 존재는 미관을 해치는 것이다. 또한 상판(3)의 상면을 청소할 때에 칸막이벽(4)이 방해가 되는데다가, 청소를 할 때에 조작부(2)를 오조작 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조작부(2)를 상기 본체 케이스(34) 내부에 수납시키는 구조의 것이 있다(특허문헌 4 및 특허문헌 5 참조).
상기 조작부(2)를 수납 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해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전체적으로 깔끔한 외관을 가지고, 디자인성이 뛰어난 곤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청소도 용이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수납식의 조작부에 있어서는, 상기 본체 케이스(34)에서 조작부(2)를 끌어내어 사용할 때, 상기 조작부(2)와 연소부(36)의 사이에 아무런 칸막이 등의 구획벽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연소부(36)에서의 끓어 넘친 국물이나 기름의 비산이나 복사열이 조작부(2)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본체 케이스 상측의 개방부를 덮는 상판의 상면에, 연소부와 상기 연소부를 조작하는 조작부가 병설되어 있는 곤로』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를 연소부에서의 끓어 넘친 국물이나 기름의 부착, 또한 복사열에 의한 과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음과 아울러, 청소를 할 때의 조작부의 오조작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미관이 뛰어난 곤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청구항 1에 관한 발명]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폐색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 전체를 은폐할 수 있고, 또한 개방된 상태에서 대략 수직자세로 기립할 수 있는 개폐덮개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하고, 상기 개폐덮개의 회동축이 상기 연소부와 상기 조작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수단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상판이 본체 케이스 상측의 개방부를 전체적으로 덮도록, 예를 들면, 시스템키친의 카운터 톱에 얹혀 있는 것이고, 곤로의 조작을 상판의 상측에서 행하는 것에서는, 상기 상판의 앞쪽에 조작부가 배치되어 있고, 그 뒤쪽에 연소부가 형성된 유리 상판이 끼워진 구성의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상판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도 되고, 별도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상판의 상측에 있어서, 상기 연소부와 상기 조작부의 사이에 형성된 회동축에 의해서 개폐덮개가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 되어 있다. 상기 개폐덮개를 폐색한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조작부의 모든 영역이 상기 개폐덮개에 의해서 피복되어 은폐되고, 상기 개폐덮개를 상측으로 회동시켜서 개방시키면, 상기 조작부가 노출됨과 아울러, 상기 개폐덮개는 상기 연소부와 조작부의 사이에서 대략 수직자세로 기립한다. 이것에 의해서 곤로를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개폐덮개를 폐색하면 상기 상판의 상면에는 연소부만이 노출되며 조작부는 노출되지 않는 형태가 되고, 곤로를 사용할 때에 상기 개폐덮개를 개방하여 기립시키면 상기 조작부가 노출되고, 상기 개폐덮개가 상기 연소부와 조작부의 사이를 칸막이하는 칸막이벽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
상기 과제와 같은 형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2번째 기술적 수단은 『본체 케이스의 상측 개방부를 덮는 상판의 상면에 연소부와 상기 연소부를 조작하는 조작부가 병설되어 있는 곤로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 개구가 형성되고,
폐색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를 폐색할 수 있는 개폐덮개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가 상기 개폐덮개의 자유단 근방에서 하측으로 연이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폐덮개를 하측으로 회동시켜서 폐색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조작부가 상기 개구 내부에 수납되고, 상기 개폐덮개를 상측으로 회동시켜서 개방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조작부가 상기 개폐덮개와 함께 상기 개구에서 상측으로 끌어올려져서 상기 개폐덮개의 상기 자유단과 상기 상판 상면의 사이에서 노출되도록 설정되어 있고,
상기 개폐덮개의 회동축이 노출 상태에 있는 상기 조작부와 상기 연소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것에서는 상기 조작부가 개폐덮개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폐덮개의 상하 방향으로의 회동에 수반하여, 상판의 상면에서 출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곤로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상기 개구를 폐색시키는 하측 방향으로 개폐덮개를 회동시키면 상기 개구가 개폐덮개에 의해서 폐색됨과 동시에, 상기 조작부가 상기 개구 내부에 수납된다. 곤로를 사용할 때에 개폐덮개를 상측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조작부가 개폐덮개의 상기 자유단부에 부수하여 상기 개구에서 끌어올려지고, 상기 개폐덮개의 하측에서 상판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형태가 된다. 이 때, 개폐덮개의 회동축이 조작부와 연소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부를 노출시켰을 때에는 상기 조작부와 연소부의 사이에 상기 개폐덮개의 상면이 위치하는 형태가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조작부가 개폐덮개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판과 별도의 부품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
상기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개폐덮개를 개방하면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외와 연이어 통하고, 상기 개폐덮개를 폐색하면 폐색되는 틈새를 상기 상판에 형성한』것에서는, 개폐덮개를 개방하여 곤로를 사용할 때, 상판에 형성되는 틈새에서 본체 케이스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고, 이 공기를 버너에 대한 2차 공기로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틈새를 연소용 2차 공기의 도입구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틈새로부터 끓어 넘친 국물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개폐덮개의 형상, 또는 개방되었을 때의 각도가 고안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
상기 각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덮개의 개폐에 연동하여 전원스위치가 ON/OFF 된다.』는 것에서는, 버너의 연소 등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나 전자밸브 등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스위치의 ON/OFF동작을 개폐덮개의 개폐와 연동시키도록 했기 때문에, 곤로를 사용할 때에 개폐덮개를 개방하면 자동적으로 전원스위치가 ON상태가 되고, 사용 후에 개폐덮개를 폐색하면 상기 전원스위치가 자동적으로 OFF상태가 된다.
[청구항 5에 관한 발명]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덮개는 전원스위치가 ON조작되어 있는 경우, 또는 로크스위치가 로크해제 조작되어 있는 경우에만 개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했다』는 것에서는, 전원스위치가 ON조작되어 있는 경우, 또는 어린이의 장난을 방지하는 어린이스위치 등의 로크스위치가 로크 해제조작되어 있는 경우에만 개폐덮개를 개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예를 들면, 로크스위치가 로크조작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개폐덮개를 개방할 수 없고, 어린이가 실수로 조작할 수 없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전원스위치가 ON조작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어장치 등에 전원이 공급되어 있지 않은 상태(전원스위치가 OFF상태), 즉, 조작부를 유효하게 조작할 수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개폐덮개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에 의해서 조작부가 실수로 조작되지 않는다.
또한 전지소모램프의 점등과 개폐덮개의 개폐를 연동시켜서 전지가 소모되었을 때에는 개폐덮개가 개방되지 않도록 해 두어도 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에 대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곤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스템키친의 카운터 톱(31)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30)에 본체 케이스(34)를 삽입한 상태로 장착되는 드롭인식 곤로로서, 상기 본체 케이스(34)의 상측이 상판(3)에 의해서 폐색됨과 아울러, 상기 상판(3)의 주연부가 상기 개구(30)의 주연부에 걸려서 고정되어 있다. 또한 곤로의 내부에는 그릴부(도시생략)가 조립되어 있는 것을 채용하고 있다.
상기 상판(3)에는 3개의 연소부(36a,36b,36c)가 형성된 유리 상판(300)이 배치되어 있고, 그 전방(도 1에서는 좌측)에는 상기 각 연소부(36a,36b,36c)의 가스버너를 조작하는 조작부로서의 전방 조작패널(20)이, 후방(도 1에서는 우측)에는 상기 그릴부에서의 연소배기를 배출하는 배기구멍(37)을 구비시킨 후방 배기면(40)이 각각 대략 동일면상에 일체적으로 병설되어 있다.
상기 유리 상판(300)의 각 연소부(36a,36b,36c)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각각 버너용 개구(3a,3b,3c)가 개구되어있음과 아울러, 상기 버너용 개구(3a,3b,3c)의 주연부에는 삼발이(35)가 배치되어 있다.
전방 조작패널(20)은 상기 유리 상판(300)의 전방 단부 부근을 따라 대략 모든 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방 조작패널(20)의 좌우 단부 및 중앙에는 상기 좌우의 연소부(36a,36b)및 중앙 안쪽 연소부(36c)의 가스버너를 각각 조작하는 터치식의 스위치(21a,21b,21c)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전방 조작패널(20)은 상기 유리 상판(300)의 상면보다도 1단 낮게 형성되어 있고, 그 단부(25)의 기단부에 상기 전방 조작패널(20)의 전역을 피복하는 개폐덮개(1)를 축지지 시키고 있다.
상기 개폐덮개(1)의 회동축(10)은 전방 조작패널(20)과 유리 상판(300)의 경계선에 있는 단부(25)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개폐덮개(1)를 개방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3은 개폐덮개(1)를 폐색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곤로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3과 같이 개폐덮개(1)를 폐색하면 유리 상 판(300)과 전방의 개폐덮개(1) 및 후방의 배기면(40)이 대략 동일면을 구성하는 형태가 되고, 상판(3)의 상면은 전체적으로 깔끔한 평탄감을 얻을 수 있으므로 디자인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판(3)의 상측을 청소할 때에는 개폐덮개(1)의 상면과 유리 상판(300)과 배기면(40)을 한 번에 닦을 수 있으므로 청소가 용이한데다가, 전방 조작패널(20)이 개폐덮개(1)에 의해서 은폐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를 할 때에 손이 전방 조작패널(20)의 터치식 스위치(21a,21b,21c)에 실수로 닿는 일이 없으므로,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곤로를 사용할 때에는 개폐덮개(1)를 상측으로 회동시켜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덮개(1)를 개방시켜서 전방 조작패널(20)을 노출시킨다. 이 때, 개방시킨 개폐덮개(1)의 기단부측 표면은 단부(25)에 맞닿고, 개폐덮개(1)는 유리 상판(300)과 전방 조작패널(20)의 사이에서 대략 수직 상태로 기립하는 형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서 개폐덮개(1)는 각 연소부(36a,36b,36c)에서의 끓어 넘친 국물이나 기름의 비산, 또는 복사열을 차단하는 칸막이벽으로서 기능하게 되므로, 전방 조작패널(20)에 끓어 넘친 국물이나 기름 또는 복사열이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종류의 드롭인식 곤로에서는 후방에 배기부(37)를 구비하는 후방 배기면(4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방에 위치하는 연소부(36a,36b)와 전방 조작패널(20)의 거리가 가깝게 배치되는 구성이 되는데, 연소부(36a,36b)와 전방 조작패널(20)의 사이에 개폐덮개(1)를 기립시켜 두는 것에 의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전방 조작패널(20)이 연소부(36a,36b)에서의 복사열에 의한 영향을 받는 문제점 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전방 조작패널(20)의 각 스위치(21a,21b,21c)를 조작할 때에 손가락이 앞쪽의 연소부(36a,36b)에 근접하는 위험도 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21a,21b,21c)와 연소부(36a,36b,36c)는 곤로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제어수단(도시생략)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어수단이나 가스전자밸브 등에 전지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스위치(22)를 상기 전방 조작패널(20)의 각 스위치(21a,21b,21c)에서 떨어진 소정의 위치에 돌출 형성시키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곤로를 사용하지 않을 때, 개폐덮개(1)를 전방 조작패널(20)의 상측에 겹쳐지는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폐색했을 때, 상기 개폐덮개(1)의 이면에 의해서 전원스위치(22)가 압압되어 상기 전원스위치(22)가 OFF상태가 된다. 그리고 개폐덮개(1)를 개방방향으로 회동시켜서 개폐덮개(1)의 이면을 전원스위치(22)에서 이반시켰을 때, 상기 전원스위치(22)가 ON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개폐덮개(1)를 개폐하는 것만으로 전원스위치(22)가 자동적으로 ON/OFF 되도록 하여 곤로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곤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것은 유리 상판(300)의 전방에서 1단 내려서 위치시킨 전방 면부(23)에 개구(24)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24)를 개폐덮개(1)에 의해서 폐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개구(24)는 상기 전방 면부(23)에서 단부(25)까지 연속하도록 펀 칭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개폐덮개(1)는 폐색 상태에서 상기 전방 면부(23)와 동일면을 구성하는 제 1 폐색면(1a)과, 상기 단부(25)와 동일면을 구성하는 제 2 폐색면(1b)으로 구성되어 있다.
터치식 스위치가 배치되어 있는 전방 조작패널(20)은 상기 상판(3)과 별도의 부품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개폐덮개(1)의 제 1 폐색면(1a)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개폐덮개(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서 전체적으로 조작유닛(12)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조작유닛(12)은, 단부(25)와 전방 면부(23)의 경계선 근방에 형성되어 있는 회동축(10)에 제 1 폐색면(1a)의 후방 단부 근방이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고, 도 4 및 도 5(a)에 나타낸 개폐덮개(1)의 폐색 상태에서 회동축(10)을 중심으로 상기 개폐덮개(1)를 개방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도 5(b)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덮개(1)의 회동에 수반하여 전방 조작패널(20)이 전방 면부(23)보다 상측으로 끌어올려지고, 개폐덮개(1)의 하측에서 전방 조작패널(20)이 노출됨과 동시에, 제 2 폐색면(1b)이 단부(25)의 안쪽으로 압입되어 단부(25)에 틈새가 형성되는 형태가 된다. 이 틈새가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곤로 본체 내부에 연소용이나 냉각용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공기 도입구(11)로서 기능하는 것이 된다.
이와 같이 개폐덮개(1)를 상측으로 회동시킨 곤로를 사용할 때에, 상기 상판(3)에 공기도입구(11)를 개방시켜서 곤로 본체 내부에 외기를 적극적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에, 버너의 연소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곤로 본체 및 상기 조작유닛(12)을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작유닛(12)의 폐색 상태 및 개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조작유닛(12)의 불필요한 회동을 저지하는 회동저지수단(13,14,15)이 각각 소정 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상기 제 2 실시형태의 곤로에서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4 및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리 상판(300)에서 연속되는 전방 면부(23)에 형성한 개구(24) 내부에 전방 조작패널(20)이 수납되고, 상기 개구(24)는 개폐덮개(1)에 의해서 폐색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곤로와 같이, 상판(3)의 상면은 전체적으로 깔끔한 외관을 보임과 아울러, 전방 조작패널(20)의 각종 스위치를 오조작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
곤로를 사용할 때에는 조작유닛(12)을 상측으로 회동시켜서 개폐덮개(1)의 하측에서 전방 조작패널(20)을 노출시킨다. 연소부에서의 끓어 넘친 국물이나 기름 등의 비산은 상기 개폐덮개(1)의 제 1 폐색면(1a)의 상면이 받게 되기 때문에, 전방 조작패널(20)은 그러한 오염으로부터 보호되게 된다. 또한 연소부에서의 복사열도 전방 조작패널(20)이 직접 받지 않는데다가, 개폐덮개(1)와 단부(25)의 사이에 형성된 공기 도입구(11)에서의 공기의 유입에 의해서 전방 조작패널(20)은 내부에서도 냉각되게 된다.
또한 개폐덮개(1)의 제 1 폐색면(1a)의 상면에서 받은 끓어 넘친 국물은 곤로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제 1 폐색면(1a)의 좌우 전방 면부(23)의 상측으로 흐르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개폐덮개(1)를, 상기 전방 면부(23)와 동일 면을 구성하는 제 1 폐색면(la)과, 상기 단부(25)와 동일면을 구성하는 제 2 폐색면(1b)에 의해서, 그 단면을 대략 L자 형상으로 구성했지만,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면부(23)에만 개구(24)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24)를 폐색하도록, 개폐덮개(1)를 전방을 향해 개방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 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기타]
1. 제 1,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원스위치나, 어린이가 실수로 조작할 수 없는 수단인 로크스위치나, 전지소모램프 등을 상기 개폐덮개(1)에 의해서 폐색되지 않는 별도의 영역에 형성하고, 이들의 ON/OFF와 개폐덮개(1)의 개폐를 연동시키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전원스위치가 ON조작되고, 또한 로크스위치가 로크해제 조작되고, 또한 전지소모램프가 비점등 상태일 때만 개폐덮개(1)를 개방할 수 있게 되도록 설정해 둔다. 환언하면, 전원스위치가 OFF상태이라든지, 로크스위치가 로크조작되어 있는 상태라든지, 또는 전지소모램프가 점등되어 있는 상태라든지, 이들 조건 중 적어도 하나가 성립되어 있을 때에는 개폐덮개(1)를 개방할 수 없고, 전방 조작패널(20)을 조작할 수 없도록 설정해 두는 것에 의해서 의도하지 않은 장난이나 점화불량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높은 곤로를 제공할 수 있다.
2. 제 2 실시형태에서 형성되는 공기 도입구(11)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개폐덮개(1)에 의해서 은폐되는 범위에 형성되도록 해도 된다. 즉,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조작패널(20)의 유리 상판(300) 근방의 기단부 부근을 따라서 본 체 케이스(34)의 내부와 연이어 통하는 관통홈(26)을 형성하고, 이것을 공기도입구(11)로서 기능시키도록 하면 된다. 도 8과 같이 개폐덮개(1)를 상측으로 회동시켜서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관통홈(26)이 외측으로 개방되고, 개폐덮개(1)를 하측으로 회동시켜서 폐색하면 상기 관통홈(26)의 상측이 상기 개폐덮개(1)에 의해서 폐색되는 형태가 된다.
3. 제 2 실시형태에서도 개폐덮개(1)의 개폐에 연동하여 전원스위치가 ON/OFF 되도록 설정해 놓아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이기 때문에 다음의 특유의 효과를 가진다.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곤로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조작부가 개폐덮개에 의해서 모든 영역이 은폐되는 형태가 되므로 상판의 평탄감이 강조되고, 외관상 디자인성이 뛰어난 곤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청소를 할 때에 조작부에 직접 손이 닿지 않으므로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곤로를 사용할 때에는 연소부와 조작부의 사이에 개폐덮개를 기립시켜서 칸막이벽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연소부에서의 끓어 넘친 국물이나 기름을 차단하여 이들이 조작부쪽으로 비산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복사열도 차단하여 조작부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를 조작할 때 손가락이 연소부에 근접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조작을 할 때의 안전성도 향상된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곤로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조작부가 개구 내부에 수납되는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미관이 향상됨과 아울러, 청소가 용이한 청구항 1의 발명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다가, 사용할 때에는 조작부가 개폐덮개의 개방방향으로의 회동과 함께 상측으로 끌어올려져서 상판의 상면에서 노출되기 때문에, 상기 조작부와 연소부의 사이에는 상기 개폐덮개의 상면이 위치하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연소부에서의 끓어 넘친 국물이나 기름이나 복사열은 상기 개폐덮개의 상면이 받게 되고, 상기 조작부는 보호된다.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개폐덮개가 개방되는 곤로를 사용할 때에 있어서, 상판에 형성되는 틈새의 사이에서 연소용 2차 공기를 도입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에 연소부의 연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틈새에서 본체 케이스 내부로 도입되는 공기에 의해서 상기 본체 케이스 내측이 냉각되므로 상기 조작부의 과열을 완화시킬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개폐덮개의 개방과 동시에 전원스위치가 ON상태가 되고, 개폐덮개를 폐색하면 전원스위치가 자동적으로 OFF가 되도록 했기 때문에 작업성, 편의성이 좋아지고, 곤로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전원스위치가 ON조작, 또는 로크스위치가 로크해제 조작되어 있는 경우, 또는 전지가 소모되어 있지 않은 것이 판별된 시점에만 개폐덮개를 개방시켜서 조작부의 조작을 가능하게 한 것에서는, 어린이의 장난이나 오조작, 또는 점화불량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높은 곤로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본체 케이스 상측의 개방부를 덮는 상판의 상면에 연소부와 상기 연소부를 조작하는 조작부가 병설되어 있는 곤로에 있어서,
    폐색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 전체를 은폐할 수 있고, 또한 개방된 상태에서 대략 수직자세로 기립할 수 있는 개폐덮개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하고,
    상기 개폐덮개의 회동축이 상기 연소부와 상기 조작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
  2. 본체 케이스 상측의 개방부를 덮는 상판의 상면에 연소부와 상기 연소부를 조작하는 조작부가 병설되어 있는 곤로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 개구가 형성되고,
    폐색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를 폐색할 수 있는 개폐덮개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가 상기 개폐덮개의 자유단 근방에서 하측으로 연이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폐덮개를 하측으로 회동시켜서 폐색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조작부가 상기 개구 내부에 수납되고, 상기 개폐덮개를 상측으로 회동시켜서 개방시킨 상태 에서는 상기 조작부가 상기 개폐덮개와 함께 상기 개구에서 상측으로 끌어올려져서 상기 개폐덮개의 상기 자유단과 상기 상판 상면의 사이에서 노출되도록 설정되어 있고,
    상기 개폐덮개의 회동축이 노출상태에 있는 상기 조작부와 상기 연소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개폐덮개를 개방하면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외와 연이어 통하고, 상기 개폐덮개를 폐색하면 폐색되는 틈새를 상기 상판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덮개의 개폐에 연동하여 전원스위치가 ON/OFF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덮개는 전원스위치가 ON조작되어 있는 경우, 또는 로크스위치가 로 크해제 조작되어 있는 경우에만 개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
KR1020060058160A 2005-07-12 2006-06-27 곤로 KR1007869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03189A JP4448069B2 (ja) 2005-07-12 2005-07-12 コンロ
JPJP-P-2005-00203189 2005-07-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392A true KR20070008392A (ko) 2007-01-17
KR100786975B1 KR100786975B1 (ko) 2007-12-17

Family

ID=37609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8160A KR100786975B1 (ko) 2005-07-12 2006-06-27 곤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448069B2 (ko)
KR (1) KR100786975B1 (ko)
CN (1) CN100538189C (ko)
TW (1) TWI2910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8069B2 (ja) 2005-07-12 2010-04-07 リンナイ株式会社 コンロ
WO2009130769A1 (ja) * 2008-04-23 2009-10-29 三菱電機株式会社 手乾燥装置
JP5513204B2 (ja) * 2010-03-29 2014-06-04 大阪瓦斯株式会社 コンロ
JP5793026B2 (ja) * 2011-08-30 2015-10-14 株式会社ハーマン 加熱調理器
JP5491468B2 (ja) * 2011-09-09 2014-05-14 東京瓦斯株式会社 コンロ遮熱装置
JP5914421B2 (ja) * 2012-10-04 2016-05-11 東京瓦斯株式会社 加熱調理器用遮熱体及び加熱調理器
JP5792838B2 (ja) * 2014-01-14 2015-10-14 大阪瓦斯株式会社 コンロ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52203U (ko) 1980-04-15 1981-11-14
JPS6176205U (ko) 1984-10-26 1986-05-22
JPS63290331A (ja) 1987-05-21 1988-1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調理器等における可動操作部の開放時固定装置
CN2395184Y (zh) * 1999-07-23 2000-09-06 广州市红日燃具公司 一种改进型家用嵌入式燃气灶具
JP2005055155A (ja) 2003-07-31 2005-03-03 Hiromi Kawada ガスレンジのスイッチガード
WO2005024307A1 (ja) 2003-08-27 2005-03-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ガスコンロ
JP4448069B2 (ja) 2005-07-12 2010-04-07 リンナイ株式会社 コン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6975B1 (ko) 2007-12-17
CN100538189C (zh) 2009-09-09
CN1896596A (zh) 2007-01-17
TW200710352A (en) 2007-03-16
TWI291004B (en) 2007-12-11
JP4448069B2 (ja) 2010-04-07
JP2007024341A (ja) 200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6975B1 (ko) 곤로
JP4189237B2 (ja) 調理器具
JP4025211B2 (ja) ドロップインコンロ
US20100263658A1 (en) Gas cooker
WO2005024307A1 (ja) ガスコンロ
JP2004349041A (ja) 誘導加熱調理器
JP5513204B2 (ja) コンロ
KR200344331Y1 (ko) 식당용 가스 조리대
JP2005241027A (ja) ガスコンロ
CN109864468A (zh) 一种组合式集成灶
USRE18465E (en) Cicero
JP6533706B2 (ja) コンロ
CN212869880U (zh) 一种可分离式便携式卡式炉
JP4372609B2 (ja) 天板カバー付コンロ
JP4689368B2 (ja) コンロ
US1353743A (en) Stove
JP2006017317A (ja) ガスこんろの操作ボタンのロック機構
KR20180031597A (ko) 보조 개폐뚜껑을 갖는 업소용 대형 국솥의 뚜껑
JP2024048504A (ja) ガス器具ユニット
JP4573577B2 (ja) 天板カバー付コンロ
KR200277536Y1 (ko) 전기압력 보온밥솥
KR20180033613A (ko) 보조 개폐뚜껑을 갖는 업소용 대형 국솥의 뚜껑
KR20240018305A (ko) 조리기기
KR200417402Y1 (ko) 식당 주방용 가스렌지 완전잠김 보조장치
JP2003279046A (ja) 加熱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