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6980A - 슬라이드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슬라이드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6980A
KR20070006980A KR1020050061965A KR20050061965A KR20070006980A KR 20070006980 A KR20070006980 A KR 20070006980A KR 1020050061965 A KR1020050061965 A KR 1020050061965A KR 20050061965 A KR20050061965 A KR 20050061965A KR 20070006980 A KR20070006980 A KR 20070006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ail
slider
slide
slid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1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0814B1 (ko
Inventor
허훈
박병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1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814B1/ko
Priority to DE202006021024U priority patent/DE202006021024U1/de
Priority to DE202006021035U priority patent/DE202006021035U1/de
Priority to EP06014152.0A priority patent/EP1742449B1/en
Priority to CN2006101013729A priority patent/CN1893460B/zh
Priority to US11/456,504 priority patent/US8073508B2/en
Priority to JP2006189832A priority patent/JP4509977B2/ja
Publication of KR20070006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6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모듈은, 직사각 판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비해 축소된 길이를 가지고 상기 프레임에 층상으로 배치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슬라이더 중 어느 하나의 양 측에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레일부와;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슬라이더 중 다른 하나의 양 측에 상기 레일부가 수용되게 결합되어 상기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레일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레일부 및 상기 레일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윤활성 플라스틱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구동 시 동작이 원활하게 되고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드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SLIDE MODUL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슬라이드모듈의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슬라이드모듈의 배면사시도,
도 5는 도 3의 슬라이드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3의 슬라이드모듈의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각각 프레임의 이동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슬라이드모듈의 결합상태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본체부 130 : 슬라이드부
150 : 슬라이드모듈 151 : 프레임
153 : 레일부 159 : 코팅층
161 : 슬라이더 163 : 슬라이더본체
173 : 레일홈부재 175 : 레일홈
181 : 완충부재 191 : 스프링부재
본 발명은, 슬라이드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 시 동작이 원활하게 되고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슬라이드모듈의 배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부(10)와, 본체부(10)의 상측에 중첩되게 배치되는 슬라이드부(30)와, 본체부(10)와 슬라이드부(30) 사이에 개재되어 슬라이드부(30)가 본체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슬라이드모듈(50)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10)의 전면에는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복수의 키(15)가 구비되어 있으며, 키(15)의 하측에는 음향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마이크홀(16)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키(15)의 상측에는 슬라이드모듈(50)에 결합되는 도시 않은 스크류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의 스크류공(18)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배면에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배터리(17)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슬라이드부(30)의 전면에는 소정의 시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31)가 구비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부(31)의 상측에는 음향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리시버홀(33)이 형성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31)의 하측에는 조작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복수의 키(3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슬라이드모듈(50)은, 양 측 연부에 레일(52)이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51)과, 프레임(51)에 대해 축소된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레일(52)을 따라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게 양 측에 레일홈(56)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더(55)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51)의 판면에는 복수의 스크류(미도시)에 의해 슬라이드부(30)의 배면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암나사부(54)가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더(55)에는 본체부(10)와 스크류(미도시)로 일체로 체결될 수 있도록 복수의 암나사부(58)가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51)과 슬라이더(30) 사이에는 일 측은 슬라이더(30)에 연결되고 타 측은 프레임(51)에 연결되어 프레임(51)에 대한 슬라이더(55)의 상대 슬라이딩 이동 시 슬라이더(55)가 프레임(51)의 중앙으로 상대 이동 시 탄성력을 축적하고 슬라이더(55)가 프레임(51)의 양 측 단부영역으로 이동 시 슬라이더(55)에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스프링부재(61)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모듈에 있어서는, 레일(52)(또는 레일(52) 및 레일홈(56))은 프레임(51)의 안정적인 거동을 위해 통상 금속부재로 형성하도록 되어 있어, 슬라이더(55)에 대한 프레임(51)의 상대 이동 시 마모가 발생 될 뿐만 아니라 마찰 소음을 유발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프레임(51) 및 레일(52)이 일체로 금속부재로 형성되는 경우 프레임(51)의 이동 시 레일(52) 및 레일홈(56)의 마찰에 의한 소음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프레임(51)에 대한 스프링부재(61)의 상대위치가 변동되면서 마찰소음이 발생되어 소음을 가중시키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 시 동작이 원활하게 되고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슬라이드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직사각 판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비해 축소된 길이를 가지고 상기 프레임에 층상으로 배치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슬라이더 중 어느 하나의 양 측에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레일부와;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슬라이더 중 다른 하나의 양 측에 상기 레일부가 수용되게 결합되어 상기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레일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레일부 및 상기 레일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윤활성 플라스틱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모듈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레일은 상기 프레임의 양 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레일홈부는 상기 슬라이더에 일체로 결합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일홈부는 상기 윤활성 플라스틱부재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슬라이드의 이동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 측 단부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시 충격적 접촉을 완화하는 완충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레일부는 금속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의 표면 에는 실리콘 유기화합물로 코팅된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일 측은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프레임의 양 단부로 이동되게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는 상기 실리콘 유기화합물로 코팅된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금속부재로 판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두 연부를 따라 형성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의 표면에 실리콘 유기화합물로 코팅되어 형성되는 코팅층을 구비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 측에 층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상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모듈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더는 일 측에 상기 레일이 상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수용 결합될 수 있도록 레일홈이 구비되게 윤활성 플라스틱부재로 형성되는 레일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충격적 접촉을 완화시키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중첩되게 배치되는 슬라이드부와; 상기 본체부에 대해 상기 슬라이드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와 상기 슬라이드부 사이에 개재되는 전술한 특징을 가지는 어느 하나의 슬라이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슬라이드모듈의 배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슬라이드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슬라이드모듈의 단면도이며, 도 7 및 도 8은 각각 프레임의 이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슬라이드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부(110)와, 본체부(110)의 상면에 중첩되게 배치되는 슬라이드부(130)와, 본체부(110)와 슬라이드부(130) 사이에 개재되어 본체부(110)에 대해 슬라이드부(130)가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모듈(15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110)의 전면에는 슬라이드부(130)의 이동 시 외부에 노출되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복수의 키(111)가 구비되어 있으며, 키(111)의 하측에는 마이크홀(113)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키(111)의 상측에는 슬라이드모듈(150)이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스크류공(115)이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부(110)의 배면에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배터리(117)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슬라이드부(130)의 전면에는 소정의 시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31)가 설치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31)의 상측에는 음향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리시버홀(133)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131)의 하측에는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복수의 키(135)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본 슬라이드모듈(150)은, 금속부재로 직사각 판상으로 형성되고 양 측 연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부(15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151)과, 프레임(151)에 비해 축소된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더본체(163)와 윤활성능이 우수한 윤활성 플라스틱부재로 형성되어 슬라이더본체(163)에 결합되는 레일홈부재(173)를 구비한 슬라이더(16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151)과 슬라이더(161)의 사이에는 프레임(151)에 대한 슬라이더(161)의 상대 이동 시 프레임(151)의 중앙영역으로 이동 시 탄성력을 축적하고 축적된 탄성력으로 슬라이더(161)가 프레임(151)의 양 단부 중 어느 일 측으로 이동되게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한 쌍의 스프링부재(191)가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151)의 양 측에는 판면으로부터 두께방향을 따라 소정의 높이차를 두고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게 레일부(153)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판면에는 슬라이드부(130)의 배면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암나사부(155)가 형성되어 있다.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영역에는 스프링부재(191)의 일단이 각각 지지될 수 있도록 스프링지지부(157)가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151)의 일 측 판면 및 레일부(153)의 표면에는 윤활성능이 향상됨과 아울러 마찰 소음이 저감될 수 있도록 실리콘 유기화합물로 소정 두께를 가지도록 코팅된 코팅층(159)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슬라이더본체(163)의 양 측영역에는 레일홈부재(173)가 수용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165)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프레임(151)의 길이방향을 따른 각 결합부(165)의 중앙영역에는 돌기수용홈(166)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본체(163)의 네 모서리에는 슬라이드부(130)의 상대 이동 시 충격적 접촉을 완화하는 완충부재(181)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절취된 절취부(167)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 며, 프레임(151)과 대면되는 판면에는 스프링부재(191)의 각 일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스프링지지돌기(169)가 형성되어 있다.
레일홈부재(173)는 소위 피오엠(POM: polyoxymethylene, 윤활성능이 우수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라고 하는 윤활성 플라스틱부재로 형성되며, 일 측에는 레일부(153)가 내부에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 결합될 수 있도록 일 측으로 개구된 레일홈(175)이 형성되어 있다. 레일홈부재(173)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영역에는 길이방향에 가로로 돌출되어 돌기수용홈(166)에 수용 결합되는 결합돌기(177)가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을 따라 양 단부영역에는 완충부재가 결합될 수 있도록 두께방향을 따라 절취된 완충부재결합부(17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완충부재결합부(178)에는 완충부재(181)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기(179)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완충부재(181)는 탄성이 우수한 우레탄부재 등으로 형성되며, 일 측에는 레일홈부재(173)와 슬라이더본체(163) 사이로 삽입결합될 수 있도록 두께방향을 따라 축소되게 삽입부(183)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183)에는 레일홈부재(173)의 돌기(179)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돌기삽입홈(18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슬라이드모듈(150)을 결합하고자 할 때는, 결합돌기(177)가 각 돌기수용홈(166)에 삽입되도록 슬라이더본체(163)의 각 결합부(165)에 레일홈부재(173)를 각각 삽입 결합하고, 각 완충부재결합부(178)에 완충부재(181)를 삽입 결합되도록 하면 슬라이더(161)의 결합이 완료된다. 슬라이더(161)가 결합되면 배면에 스프링부재(191)의 일단을 스프링지지돌기(169)에 결합하고 각 레일 홈(175)에 레일부(153)의 일 측이 삽입되게 하여 슬라이딩 이동 시킨 후 스프링부재(191)의 각 타단을 스프링지지부에 지지되도록 하면 슬라이드모듈(150)이 결합된다. 슬라이드모듈(150)의 프레임(151)을 슬라이드부(130)의 배면에 일체로 결합하고 슬라이더(161)를 본체부(110)의 전면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면 결합이 완료된다.
한편, 본체부(110)에 대해 슬라이드부(130)를 길이방향을 따라 가압하면 슬라이더(161)에 대해 프레임(151)이 상대 이동되고, 스프링부재(191)는 프레임(151)의 중앙영역에 슬라이더(161)가 배치되는 위치로 이동 시 탄성력을 축적하고 슬라이더(161)가 프레임(151)의 중앙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축적된 탄성력을 가하여 슬라이딩 이동이 원활하게 되도록 한다. 이 때 윤활성 플라스틱부재로 형성된 레일홈부재(173) 및 레일부(153) 및 프레임(151)의 상면에 형성된 코팅층(159)은 마찰을 저감시켜 윤활성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소음 발생을 억제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슬라이드모듈의 결합상태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슬라이드모듈(210)은, 금속부재로 직사각 판상으로 형성되고 양 측 연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레일부(213)가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211)과, 프레임(211)에 비해 축소된 길이를 가지며 레일부(213)가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레일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더(221)와, 일 측은 프레임(211)에 지지되고 타 측은 슬라이더(221)에 지지되어 프레임(211)의 양 단부로 슬라이더(221)가 이동되게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부재(23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더(221)의 양 측에는 레일부(213)가 각각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게 레일홈부(223)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에는 스프링부재(231)의 일 측을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두께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스프링지지돌기(224)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221)의 판면에는 스크류가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암나사부(22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프레임(211)의 양 측에는 두께방향을 따라 소정 높이차를 두고 배치되게 레일부(213)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일 측 판면에는 복수의 암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판면 일측에는 스프링부재(231)의 타 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스프링지지부(217)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레일부(213) 및 프레임(211)의 일 측 판면에는 실리콘 유기화합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코팅된 코팅층(219)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슬라이더(221)의 각 스프링지지돌기(224)에 각 스프링부재(231)의 일 단을 결합하고, 각 레일홈부(223)의 일 측에 각 레일부(213)의 끝단을 배치하여 가압한다. 프레임(211)에 대해 슬라이더(221)를 상대 슬라이딩 이동시켜 각 스프링부재(231)의 타 단을 지지되도록 결합하면 결합이 완료된다. 이 때, 각 스프링부재(231)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더(221)는 프레임(211)의 어느 일 측에 존재하게 된다. 한편, 프레임(211)에 대해 슬라이더(221)를 상대 이동시키는 경우 레일부(213) 및 프레임(211)의 상면에 형성된 코팅층(219)은 레일부(213)와 레일홈부(223)의 마찰을 저감시켜 소음 발생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프레임(211)에 대한 스프링부재(231)의 위치 변동 시 마찰에 의한 소음 발생을 억제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직사각 판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비해 축소된 길이를 가지고 상기 프레임에 층상으로 배치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슬라이더 중 어느 하나의 양 측에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레일부와;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슬라이더 중 다른 하나의 양 측에 상기 레일부가 수용되게 결합되어 상기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레일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레일부 및 상기 레일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윤활성 플라스틱부재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구동 시 동작이 원활하게 되고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슬라이드모듈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부재로 판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두 연부를 따라 형성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의 표면에 실리콘 유기화합물로 코팅되어 형성되는 코팅층을 구비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 측에 층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상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구동 시 동작이 원활하게 되고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슬라이드모듈이 제공된다.

Claims (10)

  1. 직사각 판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비해 축소된 길이를 가지고 상기 프레임에 층상으로 배치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슬라이더 중 어느 하나의 양 측에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레일부와;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슬라이더 중 다른 하나의 양 측에 상기 레일부가 수용되게 결합되어 상기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레일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레일부 및 상기 레일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윤활성 플라스틱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프레임의 양 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레일홈부는 상기 슬라이더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홈부는 상기 윤활성 플라스틱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의 이동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 측 단부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시 충격적 접촉을 완화하는 완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모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레일부는 금속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의 표면에는 실리콘 유기화합물로 코팅된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일 측은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프레임의 양 단부로 이동되게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는 상기 실리콘 유기화합물로 코팅된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모듈.
  7. 금속부재로 판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두 연부를 따라 형성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의 표면에 실리콘 유기화합물로 코팅되어 형성되는 코팅층을 구비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 측에 층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상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일 측에 상기 레일이 상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수용 결합될 수 있도록 레일홈이 구비되게 윤활성 플라스틱부재로 형성되는 레일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모듈.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충격적 접촉을 완화시키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중첩되게 배치되는 슬라이드부와; 상기 본체부에 대해 상기 슬라이드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와 상기 슬라이드부 사이에 개재되는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슬라이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50061965A 2005-07-09 2005-07-09 슬라이드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90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1965A KR100690814B1 (ko) 2005-07-09 2005-07-09 슬라이드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DE202006021024U DE202006021024U1 (de) 2005-07-09 2006-07-07 Schiebemodul und damit ausgestattetes mobiles Endgerät
DE202006021035U DE202006021035U1 (de) 2005-07-09 2006-07-07 Schiebemodul und damit ausgestattetes mobiles Endgerät
EP06014152.0A EP1742449B1 (en) 2005-07-09 2006-07-07 Slide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CN2006101013729A CN1893460B (zh) 2005-07-09 2006-07-10 滑动模块和具有该滑动模块的移动终端
US11/456,504 US8073508B2 (en) 2005-07-09 2006-07-10 Slide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JP2006189832A JP4509977B2 (ja) 2005-07-09 2006-07-10 スライド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備える移動通信端末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1965A KR100690814B1 (ko) 2005-07-09 2005-07-09 슬라이드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6980A true KR20070006980A (ko) 2007-01-12
KR100690814B1 KR100690814B1 (ko) 2007-03-09

Family

ID=37597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1965A KR100690814B1 (ko) 2005-07-09 2005-07-09 슬라이드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90814B1 (ko)
CN (1) CN1893460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074B1 (ko) * 2007-03-28 2007-06-12 (주)쉘-라인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KR20100041553A (ko) * 2008-10-14 2010-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110085800A (ko) * 2010-01-21 2011-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유닛의 가이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26513B (zh) * 2009-09-18 2012-09-26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移动模块与电子装置
KR100980034B1 (ko) * 2009-10-12 2010-09-06 알앤디컴퍼니 주식회사 비변형 직선부를 구비한 휴대단말기용 스프링 및 이를 구비한 힌지모듈과 휴대단말기
US9945423B2 (en) 2009-12-30 2018-04-17 Provenance Asset Group Llc Method and apparatus relating to movable assembly
CN102118944A (zh) * 2009-12-31 2011-07-0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滑动型电子装置
CN102118940A (zh) * 2009-12-31 2011-07-0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滑动型电子装置
JP5569275B2 (ja) 2010-09-08 2014-08-13 富士通株式会社 防水カバー、および、電子機器
CN111692206B (zh) * 2020-06-17 2022-04-29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滑轨组件及其制备方法、摄像头升降装置、智能终端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0551B1 (en) * 1998-04-14 2002-04-09 Fuji Xerox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references to a user's document browsing history within the context of a new document
KR100547879B1 (ko) * 1998-06-27 2006-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팩에 장착된 심카드를 사용하는 단말기
KR100484732B1 (ko) * 2002-11-19 2005-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0536939B1 (ko) * 2003-07-11 2005-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074B1 (ko) * 2007-03-28 2007-06-12 (주)쉘-라인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KR20100041553A (ko) * 2008-10-14 2010-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110085800A (ko) * 2010-01-21 2011-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유닛의 가이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93460B (zh) 2011-12-14
CN1893460A (zh) 2007-01-10
KR100690814B1 (ko) 200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0814B1 (ko) 슬라이드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4489745B2 (ja) スライドモジュール及びそのスライドモジュールを有する携帯端末機
US7708359B2 (en) Latch mechanism for slide rail assembly
US20090168339A1 (en) Slider assembly having grooved rail
US8580416B2 (en) Electronic device with battery latching assembly
US20060110988A1 (en) Sliding module for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US8428668B2 (en) Sliding mechanism
KR20060129603A (ko) 원호형 슬라이딩 방식 휴대폰의 원호형 슬라이딩장치
CN100430820C (zh) 相机镜头保护装置及装有该装置的相机多用移动通信终端
US20090310893A1 (en) Sliding mechanism
US8320117B2 (en) Drive mounting assembly and computer chassis using the same
JP3159545U (ja) 電子機器用のスライド式ばね機構
KR101220856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0433996Y1 (ko) 스프링부재와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 조립체 및 이들을이용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20080060095A (ko) 슬림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0910587B1 (ko) 슬라이드폰의 슬라이딩 어셈블리
JP4444059B2 (ja) レール装置
KR100964274B1 (ko) 휴대단말기용 댐핑 슬라이드 힌지
KR200374453Y1 (ko) 슬라이딩 장치
TWI268195B (en) Vibration isolator for precision instrument comprising a linear rail unit and four elastic position-limiting units
US8238083B2 (en) Slide mechanism for slide-type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5163832A (ja) リニアスライド装置
KR200376816Y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 모듈
KR10066826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방식 개폐장치
KR100998186B1 (ko)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