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0095A - 슬림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슬림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0095A
KR20080060095A KR1020060134196A KR20060134196A KR20080060095A KR 20080060095 A KR20080060095 A KR 20080060095A KR 1020060134196 A KR1020060134196 A KR 1020060134196A KR 20060134196 A KR20060134196 A KR 20060134196A KR 20080060095 A KR20080060095 A KR 20080060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member
elastic member
slide
coupled
slid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4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4299B1 (ko
Inventor
전정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4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4299B1/ko
Publication of KR20080060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0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4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4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25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 F16F1/027Planar, e.g. in sheet form; leaf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림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제 1 바디와;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2 바디와; 슬라이딩 구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바디와 제 2 바디를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제 2 바디의 하부 케이스에 장착되는 고정부재와; 일 면이 제 1 바디에 결합되며, 양단부가 상기 고정부재에 슬라이드 구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와 중첩되지 않도록 가동부재의 일측에 위치되게 장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은 슬라이더 모듈의 가동부재와 가동부재가 반자동으로 슬라이드 구동이 가능하게 작용하는 탄성부재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휴대 단말기의 두께를 더 얇게 구현할 수 있게 되며, 기존의 다양한 슬라이더 모듈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슬라이드 모듈이 장착되는 휴대 단말기의 어느 일 바디의 케이스 일부로 슬라이드 모듈이 대체될 수 있게 되어 휴대 단말기의 전체 두께를 더 줄일 수 있다.
슬라이더 모듈, 중첩, 간섭, 가동부재, 고정부재, 탄성부재

Description

슬림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SLIM SLIDE MODULE AM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림 슬라이드 모듈이 장착된 슬라이드 타입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슬라이더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슬라이더 모듈을 구성하는 가동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슬라이더 모듈을 구성하는 가동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모듈을 구성하는 탄성부재와 가동부재가 고정부재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더 모듈의 가동부재가 반대편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모듈의 고정부재가 장착되는 제 2 바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선 "I-I"를 따라 절개된 제 2 바디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에서 슬라이더 모듈이 제 2 바디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모듈의 고정부재가 장착되는 제 2 바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선 "II-II"를 따라 절개된 제 2 바디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에서 슬라이더 모듈이 제 2 바디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모듈을 구성하는 가동부재와 탄성부재가 수용되는 제 1 바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휴대 단말기 100 ... 제 1 바디
101 ... 제 1 입력부 102 ... 음향 입력부
103,224 ... 수용부 104,214,314,324 ... 체결구멍
200 ... 제 2 바디 201 ... 제 2 입력부
202 ... 음향 출력부 203 ... 표시부
210 ... 하부 케이스 211,221 ... 장착부
215 ... 가이드 슬롯 216a,216b,226a,226b ... 완충부재
220 ... 상부 케이스 222 ... 측벽
223 ... 투광창 300 ... 슬라이더 모듈
310 ... 고정부재 313,323 ... 에프피씨비(FPCB) 장착구멍
320 ... 가동부재 321 ... 가동부재 바디
322 ... 슬라이더부 325 ... 결합부
326 ... 윤활부재 330 ... 탄성부재
331a,331b ... 결합부
본 발명은 슬림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 내부에 포함된 일정한 기능을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또한 사용자가 특정인과의 통신을 가능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사용의 편의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기도 하는데, 일반적으로 알려진 휴대 단말기의 형태는 바 타입(bar-type), 슬라이드 타입(slide-type), 폴더 타입(folder-type) 그리고 스위블 타입(swivel-type)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들은 휴대의 편의를 위하여 가능한 얇고 작은 크기를 갖도록 구현하고자 하는 연구가 계속 진행되고 있다.
특히,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는 슬라이딩 구동을 위하여 구비되는 슬라이더 모듈의 구조적인 특성에 의해 그 두께를 더 얇게 구현하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가 더욱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일 목적은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슬라이드 모듈의 전체 두께를 더 얇게 구현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두께가 얇게 구성되어도 기존의 다양한 슬라이더 모듈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기존의 다양한 슬라이더 모듈의 구성에 대한 변형을 거의 주지 않도록 하여 휴대 단말기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범용의 슬라이더 모듈의 구현 가능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슬라이드 모듈이 장착되는 휴대 단말기의 어느 일 바디의 케이스 일부로 슬라이드 모듈이 대체될 수 있도록 하여 휴대 단말기의 전체 두께를 더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두께를 얇게 구현하면서도 구조적인 강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고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목적들을 이루기 위한 슬림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슬림 슬라이드 모듈은 고정부재와; 고정부재에 슬라이드 구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동부재와; 가동부재와 중첩되지 않도록 가동부재의 일측에 위치되게 장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슬라이더 모듈은 가동부재와 탄성부재가 슬라이딩 구동시 간섭되지 않도록, 즉 중첩되지 않도록 가동부재가 탄성부재의 장착 위치로 탄성부재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가 일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가동부재는 탄성부재의 장착 위치와 접하는 단부에 탄성부재 삽입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는 또 달리 가동부재는 탄성부재의 장착 위치와 접하는 단부에 탄성부재 취부홈이 형성되고, 탄성부재와 결합을 위한 결합부가 일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의 장착 높이는 가동부재의 높이와 같거나 또는 가동부재의 높이 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슬림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는 제 1 바디와;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2 바디와; 슬라이딩 구동 가능하도록 제 1 바디와 제 2 바디를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슬라이드 모듈은 제 2 바디의 하부 케이스에 장착되는 고정부재와; 일 면이 제 1 바디에 결합되며, 양단부가 고정부재에 슬라이드 구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동부재와; 가동부재와 중첩되지 않도록 가동부재의 일측에 위치되게 장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하부 케이스는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장착부가 고정부재의 두께만큼 함몰되게 형성될 수도 있고, 또한, 장착부의 양측 위치에는 가동부재의 슬라이더부가 활주 가능하도록 가이드 슬롯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가이드 슬롯은 하부 케이스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가이드 슬롯은 적어도 일 단부에는 완충부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가동부재가 결합되는 제 1 바디는 가동부재와 탄성부재가 함께 위치될 수 있는 수용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슬림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는 제 1 바디와;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2 바디와; 슬라이딩 구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바디와 제 2 바디를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슬라이드 모듈은 제 2 바디의 상부 케이스에 장착되는 고정부재와; 일 면이 제 1 바디에 결합되며, 양단부가 고정부재에 슬라이드 구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동부재와; 가동부재와 중첩되지 않도록 가동부재의 일측에 위치되게 장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부 케이스는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장착부가 가동부재의 슬라이더부가 활주 가능하도록 측벽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는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장착부가 고정부재의 두께만큼 측벽의 높이 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또한 상부 케이스는 가동부재가 일정 거리로 슬라이드 구동 가능하도록 걸림턱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걸림턱은 완충부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가동부재가 결합되는 제 1 바디는 가동부재와 탄성부재가 함께 위치될 수 있는 수용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슬림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아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림 슬라이드 모듈이 장착되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0)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로 제 1 바디(100)와 제 2 바디(200)는 서로에 대하여 이하 설명되는 슬라이더 모듈(300)에 의해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 1 바디(100)에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고, 또한 데이터의 입력 및/또는 기능의 조작을 위한 제 1 입력부(101)와 음향 입력부(102)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바디(100)에 대하여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한 제 2 바디(200)에는 제 1 바디(100)에 구비된 제 1 입력부(101)를 보조할 수 있는 제 2 입력부(201)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정보 등을 표시하게 되는 표시 부(203)와 음향 출력부(202)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기 두 바디(100,200)는 이하 설명되는 슬라이더 모듈(300)에 의해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하도록 결합 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30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 모듈(300)은 상기 두 바디(100,200) 중 어느 일 바디에 결합되는 고정부재(310)와 상기 고정부재(3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부재(320), 그리고 상기 가동부재(320)가 반자동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탄성부재(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기 슬라이드 모듈(300)은 상기 고정부재(310)가 어느 일 바디에 결합되는데, 여기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제 2 바디(200)에 결합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고정부재(310)는 판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310)는 휴대 단말기(10)의 제 2 바디(200)와 결합을 위하여 결합위치에는 체결구멍(31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310)는 어느 일 위치에 제 1 바디(100)와 제 2 바디(200)를 연결하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미도시)가 관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FPCB 관통구멍(313)을 더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가동부재(320)는 상기 고정부재(310)의 양단부를 따라 슬라이드 구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가동부재(320)는 도 3a 및 도 3b의 도시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의 제 1 바디(100)와 결합 가능하도록 체결구멍(324)이 구비되는 판상의 가동부재 바디(321)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재(310)의 양단부에 슬라이드 구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가동부재 바디(321)의 양단부에 슬라이더부(32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부재(320)는 이하 설명되는 탄성부재(330)와 중첩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이러한 일 예로 상기 가동부재(320)는 탄성부재(330)가 배치되는 위치의 단부에 상기 탄성부재(330)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도록 홈(327)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가동부재(320)는 상기 탄성부재(330)가 결합되는 결합부(325)가 상기 가동부재 바디(321)의 일 단부에서 상기 탄성부재(330)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더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330)와 간섭되지 않게 나란히 배치될 수 있게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가동부재(320)는 상기 두 변형예를 조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가동부재(320)는 도 3a의 도시와 같이 탄성부재(330)가 배치되는 위치의 단부에 상기 탄성부재(330)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도록 홈(327)을 구비하고, 이와 더불어 상기 가동부재 바디(321)의 일 단부에서 상기 탄성부재(330)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더 연장되게 상기 탄성부재(330)가 결합되는 결합부(325)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예시된 구성방식을 통해 가동부재(320)는 탄성부재(330)와 중첩되지 않도록 나란히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구성에 의해 탄성부재의 두께에 상응하게 슬라이드 모듈(300)의 전체 두께가 감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동부재(320)의 나머지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면, 상기 슬라이더부(322)는 상기 고정부재(310)의 양단부를 따라 슬라이드 구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윤할부재(326)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부재 바디(321)에는 제 1 바디(100)와 결합을 위한 체결구멍(324)이 구비되며, 상기 가동부재 바디(321)의 어느 일 위치에는 상기 고정부재(310)의 FPCB 관통구멍(313)의 의 일부 영역과 배치될 수 있는 FPCB 관통구멍(32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설명과 같이 탄성부재 결합부(325)가 탄성부재(330)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경우에는 탄성부재(330)의 결합을 위한 체결구멍(324)이 상기 탄성부재 결합부(325)의 단부에 구비될 수 있고, 만일, 상기 탄성부재 결합부(325)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부재(330)의 결합을 위한 체결구멍(324)은 탄성부재(330)가 배치되는 홈(327)이 구비되는 가동부재 바디(321)의 단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가동부재(320)는 탄성부재(330)에 의하여 반자동으로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탄성부재(330)는 일 결합부(331a)가 고정부재(310)의 어느 일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일 결합부(331b)가 가동부재(32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33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동부재(320)와 인접한 위치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가동부재(320)와 간섭되지 않도록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가동부재(320)와 결합되는 결합부(331b)는 리벳 또는 나사 등 과 같은 체결구에 의해 가동부재(320)와 결합되는 경우 탄성부재(330)의 전체 두께가 가동부재(320)의 장착 높이(h2) 보다 더 두꺼워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동부재(320)와 결합되는 결합부(331b)를 가동부재(320)의 결합부(325) 하부 위치에 배치되게 결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슬라이더부(322)의 구조에 의해 가동부재 바디(321)는 고정부재(310)의 면과 일정한 간격(h1)을 가지게 된다. 만일, 상기 슬라이더부(322)에 윤활부재(326)가 구비된 경우에는 윤활부재(326)에 의해 가동부재 바디(321)와 고정부재(310)의 면은 일정한 간격(h1)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동부재(320)와 결합되는 탄성부재(330)의 결합부(331b)는 상기 가동부재 바디(321)와 고정부재(310)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h1)에 상응하는 두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고정부재(310)에 배치되는 상기 탄성부재(330)의 전체 장착 높이는 가동부재(320)의 장착 높이(h2)와 동일하거나 또는 더 낮게 구성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동부재(320)를 반자동 슬라이딩 가능하게 작용하는 탄성부재(330)는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은 구성 이외에도 와이어로 구성되는 스프링과 같은 구성 등과 같이 종래의 알려진 다양한 구조의 탄성부재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330)와 가동부재(320)가 중첩되지 않도록 고정부재(310)에 장착되므로 슬라이드 모듈(300)의 전체의 두께가 더 얇게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슬라이드 모듈(300)이 휴대 단말기(10)에 장착되는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을 하도록 하겠다.
도 6a 및 도 6b에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300)이 장착되는 제 2 바디(20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300)이 장착되는 휴대 단말기(10)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제 2 바디(200)는 제 1 바디(100)의 일 면과 접하는 하부 케이스(210)와 상기 하부 케이스(210)에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220)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일 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모듈(300)의 고정부재(310)가 결합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고정부재(310)에 상응하는 형상과 두께를 가지는 장착부(2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210)는 체결구(미도시)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310)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재(310)의 체결구멍(314)과 상응하는 체결구멍(314)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211)는 슬라이드 모듈(300)의 슬라이더부(322)가 활주되는 사이드 슬롯(215)이 양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롯(215)은 도시된 것과 같이 홈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완전히 관통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가이드 슬롯(215)을 따라 상기 가동부재(320)의 슬라이더부(322)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 슬롯(215)의 적어도 일 단부에는 가동부재(320)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완충부재(216a,216b)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7의 도시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모듈(300)의 고정부재(310)는 상기 제 2 바디(200)의 하부 케이스(21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성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310)가 장착된 상태의 고정부재(310)와 장착부(211)의 두께의 합은 하부 케이스 (210) 일면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보다 얇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두께가 얇게 구성되는 장착부(210)는 상기 슬라이더 모듈(300)의 고정부재(310)에 의해 보강되게 되어 그 강도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결합되는 슬라이드 모듈(300)의 가동부재(320)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성될 수 있는 제 1 바디(100)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100)는 상기 슬라이드 모듈(300)의 가동부재(320)가 결합되는 일 면에 수용부(103)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 7의 도시와 같이 가동부재(320)는 가동부재 바디(321)의 두께만큼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일 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돌출되는 가동부재 바디(321)는 제 1 바디(100)의 수용부(103)에 결합된다. 상기 수용부(103)에는 상기 슬라이더 모듈(300)의 가동부재(320)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구멍(324)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103)에는 가동부재(320)에 형성되는 FPCB 관통구멍(323)과 상응하는 위치에 FPCB 관통구멍(105)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모듈(300)은 탄성부재(330)가 가동부재(32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제 1 바디(100)의 수용부(103)는 상기 가동부재(320)와 함께 탄성부재(330)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모듈(300)이 휴대 단말기(10)에 장착되는 다른 일 실시예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 2 바디(200)의 구성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300)이 장착되는 휴대 단말기(10)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제 2 바디(200)는 제 1 바디(100)의 일 면과 접하는 면에 상부 케이스(220)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부 케이스(210)의 구성이 없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220)의 일 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모듈(300)의 고정부재(310)가 결합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고정부재(310)의 체결구멍(314)과 상응하는 상부 케이스(220)의 수용부(224)의 어느 일 위치에 장착부(2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210)는 체결구(미도시)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310)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재(310)의 체결구멍(314)과 상응하는 체결구멍(314)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224)에 장착되는 회로기판(미도시), 표시소자(미도시)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장착되는 설계 사양에 따라 상기 장착부(210)는 도시된 것과 같이 다수개의 기둥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벽체의 형태(미도시)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상기 장착부(210)는 상부 케이스(220)의 측벽(222)과 일정 거리 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벽(222)과 장착부(221)의 이격된 거리(w1)는 가동부재(320)의 슬라이더부(322)가 활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 슬롯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장착부(221)는 위에 설명된 하부 케이스(210)의 구성과 같이 고정부재(310)의 두께를 감안하여 측벽(222)의 높이 보다 낮은 높이(h3)를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측벽(222)과 장착부(221) 사이의 어느 일 위치에는 상기 가동부재(320) 의 이동 거리가 제한될 수 있는 거리를 가지도록 걸림턱(22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걸림턱(225)에는 가동부재(320)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완충부재(226a,226b)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9의 도시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모듈(300)의 고정부재(310)는 상기 제 2 바디(200)의 상부 케이스(22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성에 의해 하부 케이스가 구비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하부 케이스의 두께만큼 더 얇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 모듈(300)의 고정부재(310) 하부 케이스의 구조적인 강도를 대치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10)의 강도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결합되는 슬라이드 모듈(300)의 가동부재(320)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와 같이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성될 수 있는 제 1 바디(100)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슬림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을 포함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혼용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더 모듈의 가동부재와 가동부재가 반자동으로 슬라이드 구동이 가능하게 작용하는 탄성부재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휴대 단말기의 두께를 더 얇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의 두께가 얇게 구성되어도 기존의 다양 한 슬라이더 모듈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드 모듈이 장착되는 휴대 단말기의 어느 일 바디의 케이스 일부로 슬라이드 모듈이 대체될 수 있게 되어 휴대 단말기의 전체 두께를 더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다양한 슬라이더 모듈의 구성을 거의 변형하지 않고도 휴대 단말기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범용의 슬라이더 모듈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의 두께를 얇게 구현하면서도 구조적인 강도가 저하되지 않게 된다.

Claims (16)

  1.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슬라이드 구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와 중첩되지 않도록 가동부재의 일측에 위치되게 장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슬라이드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는 탄성부재의 장착 위치로 탄성부재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가 일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슬라이드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는 탄성부재의 장착 위치와 접하는 단부에 탄성부재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슬라이드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는 탄성부재의 장착 위치와 접하는 단부에 탄성부재 취부홈이 형성되고, 탄성부재와 결합을 위한 결합부가 일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슬라이드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장착 높이는 가동부재의 높이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슬라이드 모듈.
  6. 제 1 바디와;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2 바디와;
    슬라이딩 구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바디와 제 2 바디를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제 2 바디의 하부 케이스에 장착되는 고정부재와;
    일 면이 제 1 바디에 결합되며, 양단부가 상기 고정부재에 슬라이드 구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와 중첩되지 않도록 가동부재의 일측에 위치되게 장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는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장착부가 고정부재의 두께만큼 함몰되게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의 양측 위치에는 가동부재의 슬라이더부가 활주 가능하도록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롯은 하부 케이스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롯은 적어도 일 단부에는 완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가 결합되는 제 1 바디는 가동부재와 탄성부재가 함께 위치될 수 있는 수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11. 제 1 바디와;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2 바디와;
    슬라이딩 구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바디와 제 2 바디를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제 2 바디의 상부 케이스에 장착되는 고정부재와;
    일 면이 제 1 바디에 결합되며, 양단부가 상기 고정부재에 슬라이드 구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와 중첩되지 않도록 가동부재의 일측에 위치되게 장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는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장착부가 가동부재의 슬라이더부가 활주 가능하도록 측벽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는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장착부가 고정부재의 두께만큼 측벽의 높이 보다 낮게 위치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는 가동부재가 일정 거리로 슬라이드 구동 가능하도록 걸림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가 결합되는 제 1 바디는 가동부재와 탄성부재가 함께 위치될 수 있는 수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20060134196A 2006-12-26 2006-12-26 슬림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294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4196A KR101294299B1 (ko) 2006-12-26 2006-12-26 슬림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4196A KR101294299B1 (ko) 2006-12-26 2006-12-26 슬림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0095A true KR20080060095A (ko) 2008-07-01
KR101294299B1 KR101294299B1 (ko) 2013-08-08

Family

ID=39812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4196A KR101294299B1 (ko) 2006-12-26 2006-12-26 슬림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429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1553A (ko) * 2008-10-14 2010-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012298B1 (ko) * 2008-09-08 2011-02-08 삼광티엘티(주)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
KR200454455Y1 (ko) * 2010-01-29 2011-07-06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댐퍼가 구비된 슬라이드 단말기용 힌지모듈
KR101056530B1 (ko) * 2011-06-22 2011-08-11 한광현 태양전지 슬라이드 프레임리스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376B1 (ko) * 2004-04-27 2006-07-31 주식회사 팬택 슬라이딩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딩 가이드장치
KR100627605B1 (ko) * 2004-09-15 2006-09-25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
KR20060001898A (ko) * 2005-12-12 2006-01-06 배종현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298B1 (ko) * 2008-09-08 2011-02-08 삼광티엘티(주)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
KR20100041553A (ko) * 2008-10-14 2010-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0454455Y1 (ko) * 2010-01-29 2011-07-06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댐퍼가 구비된 슬라이드 단말기용 힌지모듈
KR101056530B1 (ko) * 2011-06-22 2011-08-11 한광현 태양전지 슬라이드 프레임리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4299B1 (ko) 2013-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3508B2 (en) Slide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EP1515525B1 (en) Slide assembly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696323B1 (ko)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단말기
US9134758B2 (en) Connect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8785798B2 (en) Sliding key module on an electronic device
US20090262486A1 (en) Slide mechanism for slide-type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116085B2 (en) Electronic device and sliding mechanism thereof
EP1760996A2 (en) Slide assembly for a portable terminal
US8787995B2 (en) Portable device
EP1906631A2 (en)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690814B1 (ko) 슬라이드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294299B1 (ko) 슬림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US20100097750A1 (en) Mobile terminal
US8369088B2 (en) Electronic device
JP4031527B1 (ja) 携帯端末
KR101295053B1 (ko) 슬림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
JP6844987B2 (ja) キーユニットおよび電子機器
EP2579552A1 (en) Slide unit mechanism
JP2008079292A (ja) 携帯端末
KR101353420B1 (ko) 슬라이드 타입 이동통신 단말기
TWI402023B (zh) 電池蓋卡鎖結構
JP4804124B2 (ja) 携帯型電子機器
US8238083B2 (en) Slide mechanism for slide-type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37992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80084444A (ko) 듀얼 슬라이딩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