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6376B1 - 슬라이딩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딩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딩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딩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6376B1
KR100606376B1 KR1020040029189A KR20040029189A KR100606376B1 KR 100606376 B1 KR100606376 B1 KR 100606376B1 KR 1020040029189 A KR1020040029189 A KR 1020040029189A KR 20040029189 A KR20040029189 A KR 20040029189A KR 100606376 B1 KR100606376 B1 KR 100606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fixing member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9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4031A (ko
Inventor
고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29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6376B1/ko
Publication of KR20050104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4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6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6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2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 E04F21/16Implements for after-treatment of plaster or the like before it has hardened or dried, e.g. smoothing-tools, profile trowels
    • E04F21/161Trowels

Abstract

본 발명은 자성체의 극성 반발력을 이용한 슬라이딩 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슬라이딩 단말기의 개폐 동작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하는 본체부와 슬라이딩부의 끝단에서 발생하는 충격 및 이로 인한 충격음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자성체의 극성 반발력을 이용한 슬라이딩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딩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키패트와 송신부를 구비하는 본체부와, 표시화면부와 수신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딩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또는 슬라이딩부 중 어느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가 결합되지 않은 본체부 또는 슬라이딩부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딩부재; 상기 고정부재와 슬라이딩부재 간을 슬라이딩 구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슬라이딩수단; 상기 본체부와 슬라이딩부의 개폐완료지점에 대응하여 고정부재와 슬라이딩부재 간의 이동방향 대향단에 각각 구비되는 완충부재; 및 상기 본체부와 슬라이딩부의 개폐완료지점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부재와 슬라이딩부재에 각각 구비되어 개폐지점에서 슬라이딩부재를 정지시키는 스토퍼수단을 포함하는 슬라이딩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딩 가이드장치를 제공한다.
슬라이드방식, 이동통신단말기, 슬라이딩 가이드장치, 자성체, 극성

Description

슬라이딩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딩 가이드장치{Sliding guide apparatus for a sliding-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1은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2a 내지 도2c는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라이딩 가이드장치를 각각 도시한 평면도, 배면도 및 단면구성도.
도3a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가이드장치의 고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가이드장치의 슬라이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가이드장치가 결합된 조립 사시도.
도5는 도4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6a 및 도6b는 각각 본 발명의 슬라이딩 가이드장치의 스토퍼수단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7a 및 도7b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가이드장치의 스토퍼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고정부재 200: 슬라이딩부재
101a, 101b, 101c, 101d, 201a, 201b, 201c, 201d: 자성체
110: 장착홈 120: 스토퍼돌기
130: 탄성스프링 140: 스토퍼홈
본 발명은 슬라이딩 방식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연스런 개폐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 개폐동작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하며 직선이동을 하는 본체부와 슬라이딩부에 구비되는 고정부재와 이동부재의 양끝단이 맞닿으면서 발생되는 충격 및 이로 인한 충격음을 해소하기 위하여, 단말기의 동작 끝단에 동일 극성 자성체를 설치하고, 두 자성체 간의 반발력을 이용해 슬라이드 이동동작에 부드러움과 무충격성을 부여하는 슬라이딩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 매김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시 휴대의 편리를 위해 최근 전자기술의 발전과 함께 경량화 및 소형화가 함께 진행되어 오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이유로 많은 사람들이 폴더(folder)형과 슬라이드(slide)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상기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는 크기가 소형화되고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많은 형태의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또한, 통화나 휴대시 폴더를 여닫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부폴더와 하부폴더를 연결하는 힌지 부분이 쉽게 손상되거나 폴더의 개폐시 상하폴더간의 접동충격에 의해 외부케이스와 내부 회로기판에 손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전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체부와 슬라이딩부로 구성되어 슬라이딩방식으로 개폐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슬라이딩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이하, 슬라이드 단말기)에 있어 종래 기술에 따른 슬라이드 단말기를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슬라이딩방식 이동통신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종래 슬라이딩방식 이동통신 단말기는 배면에 배터리가 결합된 본체부(10); 전면에 표시화면(미도시)이 구비된 슬라이딩부(20); 및 상기 본체부(10) 또는 슬라이딩부(20)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10)와 슬라이딩부(20)가 서로 평행하게 포개어져서 수평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하도로 연결하는 슬라이딩 가이드장치(30)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장치(30)는, 슬라이딩부(20)의 배면에 가이드홈(21)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재 내측에는 그 내측을 따라 왕복 슬라이딩 운동하는 슬라이더가 구비되며, 본체부(10)의 일측은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부(20)와 본체부(10)는 상 대적으로 슬라이딩한다.
여기에서, 상기 가이드부재와 슬라이더 사이에는 코일스프링 또는 태엽 등의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열리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단말기가 열릴때 반자동으로 열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도 불구하고 닫힌 상태 및 열린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부 및 본체부가 일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탄성고정수단이 구비되는데, 이는 닫힌 상태 및 열린 상태를 일시적으로 유지시키다가 소정 크기 이상의 힘을 가하면 고정을 해제시킴으로써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부재, 슬라이더, 탄성부재 및 탄성고정수단은 보통 하나의 모듈로서 구비된다. 이하, 종래의 반자동 슬라이드 모듈의 일 예를 들어 그 구성을 설명한다. 도2a 내지 도2c는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을 도시한 상세도로서, 2a는 슬라이드 모듈(50)의 평면도이고, 2b는 배면도이며, 2c는 상기 슬라이더(60)의 탄성고정수단(70) 및 탄성부재를 나타낸 단면구성도이다.
상기 슬라이드 모듈(50)은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51), 상기 가이드레일(51)을 따라 왕복 슬라이딩 운동하는 슬라이더(60) 및 상기 슬라이더(60)로부터 상기 가이드레일(51)의 일단에 연결되어 복원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5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레일(51) 저면의 양 단부에는 상기 슬라이더(60)를 일시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홈(71,7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60)는 가압스프링(73)과 상기 가압스프링(73)에 의해서 일부분이 하우징 밖으로 가압 돌 출되는 고정볼(74)을 포함하는 탄성고정수단(70)을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더(60)는 인장된 코일스프링(52)에 의해서 복원력을 받는 상태에서 상기 고정볼(74)이 일측의 고정홈(71)에 걸려 일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슬라이딩 방향으로 소정 크기 이상의 힘을 받으면, 상기 고정볼(74)을 가압하는 가압스프링(73)이 압축되면서 고정이 해제되어 반대측 고정홈(72)에 고정될 때까지 슬라이딩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슬라이딩 가이드장치는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이동시 그 개폐완료지점에서 충격이 발생하고, 충격으로 인한 충격음 등의 이질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반복적인 슬라이딩 개폐로 인한 슬라이더의 충격으로 제품이 손상될 수 있고, 제품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슬라이드 단말기의 본체부와 슬라이딩부의 개폐완료 지점에 동일 극성의 자성체를 설치하고 그 자성체 간의 반발력을 이용하여, 개폐동작을 위한 슬라이딩 이동 완료시점에서 발생되는 충격 및 이로 인한 충격음 등의 이질음을 방지하기 위한 슬라이딩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딩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 극성 자성체간의 반발력을 이용하여 슬라이딩방식 단말기의 슬라이드 이동 동작을 더욱 부드럽게 구현하는 슬라이딩방식 이동통신 단말 기의 슬라이딩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키패트와 송신부 등을 포함하는 본체부와, 표시화면부와 수신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딩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또는 슬라이딩부 중 어느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가 결합되지 않은 본체부 또는 슬라이딩부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딩부재; 상기 고정부재와 슬라이딩부재 간을 슬라이딩 구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슬라이딩수단; 상기 본체부와 슬라이딩부의 개폐완료지점에 대응하여 고정부재와 슬라이딩부재 간의 이동방향 대향단에 각각 구비되는 완충부재; 및 상기 본체부와 슬라이딩부의 개폐완료지점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부재와 슬라이딩부재에 각각 구비되어 개폐지점을 정지시키는 스토퍼수단을 포함하는 슬라이딩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딩 가이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각 단부에 구비되는 제1자성체;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각 단부에 구비되고, 대향면의 극성이 상기 고정부재의 제1자성체의 극성과 동일한 극성을 갖는 제2자성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토퍼수단은 상기 고정부재 또는 슬라이딩부재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장착홈; 상기 장착홈에 구비되는 스토퍼돌기; 상기 장착홈내에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돌기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부재; 및 상기 장착홈이 형성되지 않은 고정부재 또는 슬라이딩부재에 형성되는 스토퍼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고정부재 또는 슬라이딩부재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되지 않은 고정부재 또는 슬라이딩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에서 이탈되지 않고 그 가이드홈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돌기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3a 및 도3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가이드장치의 고정부재 및 슬라이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가이드장치가 결합된 조립 사시도이다. 도5는 도4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고, 도6a 및 도6b는 각각 본 발명의 슬라이딩 가이드장치의 스토퍼수단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딩 가이드장치는, 도3a 내지 도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패트와 송신부 등을 포함하는 본체부와, 표시화면부와 수신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딩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또는 슬라이딩부 중 어느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부재(100); 상기 고정부재(100)가 결합되지 않은 본체부 또는 슬라이딩부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10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딩부재(200); 상기 고정부재(100)와 슬라이딩부재(200)간을 슬라이딩 구동가능 하게 결합시키는 슬라이딩수단; 상기 본체부와 슬라이딩부의 개폐완료지점에 대응하여 고정부재(100)와 슬라이딩부재(200) 간의 이동방향 대향단에 각각 구비되는 완충부재; 및 상기 본체부와 슬라이딩부의 개폐완료지점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부재(100)와 슬라이딩부재(200)에 각각 구비되어 개폐지점을 정지시키는 스토퍼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재(100)와 슬라이딩부재(200)이 개폐동작시, 개폐동작을 반자동으로 보조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100)와 슬라딩부재(200) 사이에서 폐쇄방향과 개방방향으로 각각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연결하는 탄성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고정부재(100)의 각 단부에 구비되는 제1자성체(101a)(101b)(101c)(101d);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200)의 각 단부에 구비되고, 대향면의 극성이 상기 고정부재(100)의 자성체(101a)(101b)(101c)(101d)의 극성과 동일한 극성을 갖는 제2자성체(201a)(201b)(201c)(201d)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자성체(101a 내지 101d) 및 제2자성체(201a 내지 201d)는 고정부재(100)와 슬라이딩부재(200)가 대향하는 끝단의 4개소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은 자성체의 동일 극성의 반발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고정부재(100)의 끝단에 N극의 자성체가 설치되면 그와 맞닿는 슬라이딩부재(200)끝단에도 N극의 자성체가 설치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상기 완충부재는 동일 극성을 갖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부재, 예를 들면 고무, 탄성스프링 등의 부재 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수단은, 도6a 내지 도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00) 또는 슬라이딩부재(200)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장착홈(110)(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재(100)측에 형성됨); 상기 장착홈(110)에 구비되는 스토퍼돌기(120); 상기 장착홈(110)내에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돌기(120)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부재(130); 및 상기 장착홈(110)이 형성되지 않은 고정부재(100) 또는 슬라이딩부재(200)에 형성되는 스토퍼홈(1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토퍼수단은 고정부재(100) 및 슬라이딩부재(200)의 양단부에 각각 2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토퍼돌기(120)의 상단부는 라운드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토퍼홈(140)은 상기 스토퍼돌기(120)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슬라이딩부재(200)가 고정부(10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거나 개폐 완료지점에서 스토퍼돌기(120)가 스토퍼홈(140)으로 삽입될 때 원할한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스토퍼돌기(120)와 스토퍼홈(140)이 맞물리는 위치는, 슬라이딩 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폐시 슬라이딩 이동 과정에서,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반자동으로 동작하게 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과, 고정부재(100) 및 슬라이딩부재(200)의 끝단 4개소에 위치한 동일 극성 자성체의 반발력의 평형지점에서 슬라이딩 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부 및 슬라이딩 부재의 동작이 정지되고, 그 위치에 스토퍼돌기(120)와 스토퍼홈(140)이 맞물리게된다. 상기의 힘의 평형지점은 상기 단말기의 고정부(100)와 동작부(200)가 맞닿으면서 발생되는 이음 및 충격량을 해 소하기 위해서, 고정부(100)와 동작부(200) 사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두 힘의 평형을 유지시키는 위치이다.
상기 고정부재(100)과 슬라이딩부재(20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고정부재(100) 또는 슬라이딩부재(200) 중 어느 일측의 양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되지 않은 고정부재(100) 또는 슬라이딩부재(200)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돌기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앞서 설명한 도면들 및 도7a와 도7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7a 및 도7b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가이드장치의 스토퍼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먼저, 슬라이딩방식 이동통신 단말기가 닫혀있는 상태, 즉 본체부와 슬라이딩부가 포개져 있는 상태에서는, 도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돌기(120)는 스프링부재(130)의 탄성력에 의하여 스토퍼홈(140)으로 삽입되고, 상기 스프링부재(130)의 탄성력이 자성체의 척력보다 크기 때문에 슬라이딩부재(200)는 본체부(100) 상에서 닫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 본체부로부터 슬라이딩부를 밀어 올리면, 도7a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00)의 스토퍼돌기(120)는 슬라딩부재(200)의 스토퍼홈(140)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때, 고정부재(100)와 슬라이딩부재(200) 일단, 즉 폐쇄단의 자성체의 척력과 고정부재(100)와 슬라이딩부재(200) 간의 반자동 이동을 위한 탄성부재에 의하여 슬라이딩부재(200)는 이동방향으로 쉽게 이동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200)가 계속 이동하여 개방완료지점에서 먼저 고정부재(100)의 타단에 위치된 자성체의 척력으로 인하여 이동방향으로의 이동이 완충되면서 개방완료지점에서는 다시 도7b와 같이 스토퍼돌기(120)가 스토퍼홈(140)으로 삽입되면서 개방동작은 완료된다.
이 때, 상기 고정부재(100)와 슬라이딩부재(200) 타단, 즉 개방단에 구비되는 자성체간의 척력으로 고정부재(100)와 슬라이딩부재(200) 간의 충력이 완충되어 충격은 완화되고, 이에 따라 발생되는 충력음은 방지된다.
이와 같이 개방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스프링부재(130)의 탄성력이 자성체의 척력보다 크기 때문에 슬라이딩부재(200)는 본체부(100) 상에서의 개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한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딩부가 본체부에서 개방된 상태에서 다시 닫힘상태로 전환하는 동작은 상기한 개방동작의 역순으로 진행됨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딩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폐시 발생되는 충력 및 이로 인해 발생되는 충격음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 극성 자성체간의 반발력을 이용하여 슬라이딩방식 단말기의 슬라이드 이동 동작을 더욱 부드럽게 구현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키패드와 송신부 등을 포함하는 본체부와, 표시화면부와 수신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딩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또는 슬라이딩부 중 어느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가 결합되지 않은 본체부 또는 슬라이딩부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딩부재;
    상기 고정부재와 슬라이딩부재 간을 슬라이딩 구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슬라이딩수단; 및
    상기 본체부와 슬라이딩부의 개폐완료지점에 대응하여 고정부재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1자성체와, 슬라이딩부재의 단부에 구비되고 대향면의 극성이 상기 고정부재의 제1자성체의 극성과 동일한 극성을 갖는 제2자성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1자성체와 제2자성체는 이동방향 대향단으로 각각 구비되는 완충부재
    를 포함하는 슬라이딩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딩 가이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슬라이딩부의 개폐완료지점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부재와 슬라이딩부재에 각각 구비되어 개폐지점을 정지시키는 스토퍼수단을 더 포함하는
    슬라이딩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딩 가이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수단은
    상기 고정부재 또는 슬라이딩부재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장착홈;
    상기 장착홈에 구비되는 스토퍼돌기;
    상기 장착홈내에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돌기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부재; 및
    상기 장착홈이 형성되지 않은 고정부재 또는 슬라이딩부재에 형성되는 스토퍼홈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딩 가이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와 슬라이딩부재의 개폐동작시, 개폐동작을 반자동으로 보조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와 슬라이딩부재 사이에서 폐쇄동작방향과 개방동작방향으로 각각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슬라이딩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딩 가이드장치.
KR1020040029189A 2004-04-27 2004-04-27 슬라이딩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딩 가이드장치 KR100606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189A KR100606376B1 (ko) 2004-04-27 2004-04-27 슬라이딩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딩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189A KR100606376B1 (ko) 2004-04-27 2004-04-27 슬라이딩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딩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031A KR20050104031A (ko) 2005-11-02
KR100606376B1 true KR100606376B1 (ko) 2006-07-31

Family

ID=37281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9189A KR100606376B1 (ko) 2004-04-27 2004-04-27 슬라이딩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딩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63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480B1 (ko) * 2005-02-14 2006-08-09 주식회사 팬택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1294299B1 (ko) * 2006-12-26 2013-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림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279512B1 (ko) * 2006-12-26 2013-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싸이클로이드 구조의 회전형 힌지 조립체를 가지는 휴대단말기
KR101587134B1 (ko) * 2009-04-29 2016-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031A (ko) 2005-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7690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CN1953470B (zh) 滑动模块和具有该滑动模块的移动终端
US7869844B2 (en) Sliding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of cellular phone
EP1648145B1 (en) Sliding module of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US20050215298A1 (en) Slide type mobile phone module
US7157648B2 (en) Sliding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US7496388B2 (en) Slide assembly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P1783983B1 (en) Sliding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KR100606376B1 (ko) 슬라이딩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딩 가이드장치
KR100844434B1 (ko)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57104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방식 개폐장치
KR100672442B1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5853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
KR200411625Y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617740B1 (ko)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및 그 락킹 장치
KR101022064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76765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1104952B1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0783627B1 (ko) 전자기기용 개폐장치의 플런저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전자기기용 개폐장치
KR10071337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20080033577A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83625B1 (ko) 전자기기용 개폐장치의 슬라이딩 구조
KR20060020869A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20050065036A (ko) 반자동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1021811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