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1480B1 -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1480B1
KR100611480B1 KR1020050012021A KR20050012021A KR100611480B1 KR 100611480 B1 KR100611480 B1 KR 100611480B1 KR 1020050012021 A KR1020050012021 A KR 1020050012021A KR 20050012021 A KR20050012021 A KR 20050012021A KR 100611480 B1 KR100611480 B1 KR 100611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slid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ype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2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광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012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14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1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1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이중의 댐핑장치를 사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개폐시 발생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동시에 노출되는 댐핑장치의 면적을 최소화하여 외관미 저하를 방지하는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본체와 결합되는 레일부재; 상기 레일부재상에서 이동되고, 슬라이드부와 결합되는 슬라이드가이드부재; 상기 슬라이드부 개폐시 충격을 순차적으로 흡수하는 다단식 댐퍼부로 이루어진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슬라이드부, 다단식 댐퍼부, 커넥팅로드부재, 레일부재

Description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shock absorption apparatus}
도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3은 도2의 A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가 작동되기 전을 나타낸 평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가 작동되는 도중을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200: 레일부재 210: 슬라이드가이드부재
300: 수용부 310: 제1댐퍼부재
320: 제2댐퍼부재 330: 커넥팅로드부재
본 발명은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예를 들면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이중의 댐핑장치를 사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개폐시 발생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동시에 상기 댐핑장치가 차지하는 노출 면적을 최소화하여 외관미 저하를 방지하는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소비자의 욕구가 다양해지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 구조도 플립(flip)형, 폴더(folder)형, 슬라이드(slide)형 등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슬라이드(slide)형 힌지가 증가되는 추세이다.
이하, 종래기술에 따른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1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본체와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본체와 결합되는 레일부재(20); 상기 레일부재(20)상에서 움직이고, 슬라이드부와 결합하는 슬라이드가이드부재(10); 상기 레일부재(20)의 끝단에 구비되어 슬라이드부 개폐시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부(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레일부재(20)는 본체와 결합하고, 슬라이드가이드부재(10)가 소정 구간에서만 이동되도록 구속한다.
상기 슬라이드가이드부재(10)는 슬라이드부와 결합하고, 상기 레일부재(20) 상의 소정 구간에서만 이동된다.
상기 댐퍼부(30)는 고무재질로서 상기 레일부재(20)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부 개폐시 충격을 흡수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닫기 위해 본체에 힘을 가하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가이드부재(10)가 상기 레일부재(20)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레일부재(20) 상단에 위치한 댐퍼부(30)와 충돌하게 된다. 이때 상기 댐퍼부(30)가 슬라이드부와의 충돌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개폐시 발생되는 충격을 방지하기 위해 댐핑장치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외부 노출 면적이 많아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미관을 해지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댐퍼부(30)가 가지는 면적은 슬라이드가이드부재(10)에 위치할 경우 또는 레일부재(20)의 기구물에 위치할 경우 모두 상기 슬라이드가이드부재(10)의 단면적에 의해 한정되어짐에 따라 댐퍼부(30)로 작용하는 탄성체를 상기 슬라이드가이드부재(10)의 끝단 또는 레일부재(20)의 끝단에 부착한다.
이와 같이, 면적에 일반적인 댐퍼를 구성할 경우 슬라이드부의 단면적만이 충격을 받게 된다. 그리고 면적을 늘리는 것은 외관상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 것은 물론이고, 슬라이드부의 접촉면적을 넓히지 않는한 댐핑효과에는 변화를 주지 못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는 개폐시 덜컥거리는 충격과 소리를 동시에 느끼게 되 어 조작감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미관을 살리기 위해 댐핑장치가 차지하는 면적을 줄이면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개폐시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지 못하여 상기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작감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이중의 댐핑장치를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하여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개폐시 발생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동시에 댐핑장치의 노출 면적을 최소화하여 외관미를 살리기 위해 단말기의 본체 내부에 제2댐퍼부재를 두고, 제2댐퍼부재보다 직경이 작은 제1댐퍼부재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본체와 결합되는 레일부재; 상기 레일부재상에서 이동되고, 슬라이드부와 결합되는 슬라이드가이드부재; 상기 슬라이드부 개폐시 충격을 순차적으로 흡수하는 다단식 댐퍼부로 이루어진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다단식 댐퍼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 양측으로 레일부재와 대향하여 돌출 되고,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제1댐퍼부재; 상기 제1댐퍼부재와 대향되고, 소정의 이격된 거리로 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신축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 제2댐퍼부재; 상기 제1댐퍼부재와 제2댐퍼부재를 연결시키는 커넥팅로드부재; 및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커넥팅로드부재와 제2댐퍼부재를 수용하는 수용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댐퍼부재는 봉 또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레일부재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가이드부재와의 충돌에서 발생되는 제1차충격을 완화시킨다.
상기 제2댐퍼부재는 봉 또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제1댐퍼부재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댐퍼부재 통해 완화된 제2차충격을 흡수한다.
상기 커넥팅로드부재는 T자형상으로 일부는 외부로 돌출되고, 그 이외부는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제1댐퍼부재와 제2댐퍼부재를 연결시킨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커넥팅로드부재와 제2댐퍼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써, 커넥팅로드부재와 제2댐퍼부재에 대응되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제1댐퍼부재는 고무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댐퍼부재는 스프링 또는 유압식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3은 도2의 A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가 작동되기 전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5는 본 발 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가 작동되는 도중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2 내지 도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본체와 결합되는 레일부재(200); 상기 레일부재(200)상에서 이동되고, 슬라이드부와 결합되는 슬라이드가이드부재(210); 상기 슬라이드부 개폐시의 충격을 순차적으로 흡수하는 댐퍼부(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레일부재(200)는 본체와 결합하고, 상기 슬라이드가이드부재(210)를 소정 구간에서만 이동되도록 구속한다.
상기 슬라이드가이드부재(210)는 슬라이드부와 결합하고, 상기 레일부재(200)상의 소정 구간에서만 이동된다.
도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다단식 댐퍼부(300)는 제1댐퍼부재(310), 제2댐퍼부재(320), 커넥팅로드부재(330) 및 수용부(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댐퍼부재(310)는 상기 본체 상부 양측으로 레일부재(200)와 대향하여 돌출되고,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댐퍼부재(320)는 상기 제1댐퍼부재(310)와 대향되는 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신축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넥팅로드부재(330)는 상기 제1댐퍼부재(310)와 제2댐퍼부재(320)를 연결시키고, 수용부(300)는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커넥팅로드부재(330)와 제2댐퍼부재(320)를 수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댐퍼부재(310)는 봉 또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드가이드부재(210)와의 충돌로 발생되는 제1차충격을 완화시킨다.
상기 제2댐퍼부재(320)는 봉 또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제1댐퍼부재(310) 와 대향되는 본체 내부에 구비되고, 신축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댐퍼부재(310)를 통해 완화된 제2차충격을 흡수한다.
한편, 상기 제1댐퍼부재(310)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내구성과 충격흡수성이 우수한 고무소재를 사용하고, 제2댐퍼부재(320)는 본체 내부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내구성보다는 충격흡수성이 우수한 스프링 또는 유압식 구조를 사용한다. 상기 고무소재, 스프링, 유압식 구조 대신 다양한 탄성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커넥팅로드부재(330)는 T자형상으로 일측은 외부로 돌출되고, 타측은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제1댐퍼부재(310)와 제2댐퍼부재(320)를 연결시킨다. 다시 말해서, 상기 커넥팅로드부재(330) 일측은 제2댐퍼부재(320)와 결합하고, 타측은 제1댐퍼부재(310)와 결합하여, 상기 제1 및 제2댐퍼부재를 연결시키는 매개체 역활을 한다.
상기 수용부(300)는 상기 제1댐퍼부재(310)와 대향되는 본체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커넥팅로드부재(330)와 제2댐퍼부재(320)를 수용하는 소정크기로 형성된다. 한편, 수용부(300)의 입구는 커넥팅로드부재(330)의 일부와 제2댐퍼부재(320)의 크기 보다 작아 상기 커넥팅로드부재(330)와 제2댐퍼부재(32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하,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격흡수장치의 작동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폐시키면, 상기 슬라이드형 이동 통신 단말기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에 의해 슬라이드가이드부재(210)가 레일부재(200) 위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가이드부재(210)는 레일부재(200)가 끝나는 지점까지 이동하다가 상기 레일부재(200) 끝단에 위치한 다단식 댐퍼부와 충돌하게 된다. 상기 다단식 댐퍼부의 일부인 제1댐퍼부재(310)가 상기 슬라이드가이드부재(210)로부터 전달한 제1차충격을 제2차충격으로 완화시켜 커넥팅로드부재(330)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커넥팅로드부재(330)와 연결된 제2댐퍼부재(320)가 상기 커넥팅로드부재(330)를 통해 전달된 제2차충격을 흡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이중의 댐핑장치를 설치하여 더욱 향상된 충격흡수와 외관미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른 일실시예로서, 상기 다단식 댐퍼부(300)가 본체의 하부로 더 구비되고, 상부에 형성된 상기 다단식 댐퍼부(300)에 대칭되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가이드부재(210)는 레일부재(200)가 끝나는 상부지점 뿐만 아니라, 하부 끝단에서도 본체 하부에 형성된 다단식 댐퍼부와 충돌하게 됨에 따라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격을 보다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순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는 이중의 댐핑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폐시 더욱 향상된 충격흡수와 조작감을 얻을수 있으며. 또한 상기 댐퍼가 설치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외관미 저하를 방지하는데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본체와 결합되는 레일부재;
    상기 레일부재상에서 이동되고, 슬라이드부와 결합되는 슬라이드가이드부재;
    상기 슬라이드부 개폐시 충격을 순차적으로 흡수하는 다단식 댐퍼부로 이루어진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식 댐퍼부는
    상기 본체 상부에 레일부재와 대향하여 돌출되며,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제1댐퍼부재;
    상기 제1댐퍼부재와 대향되고 소정의 이격된 거리로 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신축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 제2댐퍼부재;
    상기 제1댐퍼부재와 제2댐퍼부재를 연결시키는 커넥팅로드부재; 및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커넥팅로드부재와 제2댐퍼부재를 수용하는 수용부로 이루어진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드형의 이동통신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식 댐퍼부는
    상기 본체 상부 및 하부로 레일부재와 대향하여 돌출되며,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복수개의 제1댐퍼부재;
    상기 복수개의 제1댐퍼부재와 대향되고 소정의 이격된 거리로 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신축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제2댐퍼부재;
    상기 제1댐퍼부재와 제2댐퍼부재를 연결시키는 복수개의 커넥팅로드부재; 및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커넥팅로드부재와 제2댐퍼부재를 수용하는 복수개의 수용부로 이루어진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드형의 이동통신 단말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댐퍼부재는 봉 및 플레이트 형성 중 하나가 선택되어 형성되고, 상기 레일부재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가이드부재와의 충돌에서 발생되는 제1차충격을 완화시키고;
    상기 제2댐퍼부재는 봉 및 플레이트 형상 중 하나가 선택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댐퍼부재를 통해 완화된 제2차충격을 흡수하고;
    상기 커넥팅로드부재는 T자형상으로 일부는 외부로 돌출되고, 그 이외부는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제1댐퍼부재와 제2댐퍼부재를 연결시키고; 및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댐퍼부재와 대향되는 본체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커넥팅로드부재와 제2댐퍼부재를 수용하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드형의 이동통신 단말기.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댐퍼부재는 고무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댐퍼부재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드형의 이동통신 단말기.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댐퍼부재는 고무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댐퍼부재는 유압식 구조로 이루어진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드형의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50012021A 2005-02-14 2005-02-14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11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021A KR100611480B1 (ko) 2005-02-14 2005-02-14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021A KR100611480B1 (ko) 2005-02-14 2005-02-14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1480B1 true KR100611480B1 (ko) 2006-08-09

Family

ID=37185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2021A KR100611480B1 (ko) 2005-02-14 2005-02-14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14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4760A1 (ko) * 2020-07-17 2022-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214A (ko) * 2001-05-18 2002-11-27 (주)도움 슬라이드 모듈이 적용된 휴대폰 단말기
JP2003234809A (ja) 2002-02-07 2003-08-22 Toshiba Corp 携帯情報端末
KR20040006977A (ko) * 2002-07-16 2004-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모듈을 이용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20050104031A (ko) * 2004-04-27 2005-11-02 주식회사 팬택 슬라이딩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딩 가이드장치
KR20060019049A (ko) * 2004-08-26 2006-03-03 주식회사 팬택 슬라이드 커버의 개,폐 말기의 충격이 적은 슬라이드형이동 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214A (ko) * 2001-05-18 2002-11-27 (주)도움 슬라이드 모듈이 적용된 휴대폰 단말기
JP2003234809A (ja) 2002-02-07 2003-08-22 Toshiba Corp 携帯情報端末
KR20040006977A (ko) * 2002-07-16 2004-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모듈을 이용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20050104031A (ko) * 2004-04-27 2005-11-02 주식회사 팬택 슬라이딩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딩 가이드장치
KR20060019049A (ko) * 2004-08-26 2006-03-03 주식회사 팬택 슬라이드 커버의 개,폐 말기의 충격이 적은 슬라이드형이동 통신 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4760A1 (ko) * 2020-07-17 2022-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1327535B2 (en) 2020-07-17 2022-05-1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7474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17690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US7583989B2 (en) Sliding-type hinge
US7967346B2 (en) Slider mechanisms for opening and closing portable terminals
KR10071342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WO2006028528A3 (en) Probe-style quick-attach interconnect mechanism
EP1783983B1 (en) Sliding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KR20060089794A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방식 개폐장치
KR100611480B1 (ko)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66945B1 (ko)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
JP2007303077A (ja) 折り戸の開閉装置
KR200416094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장치
KR100678199B1 (ko)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40104358A (ko) 원활한 슬라이딩 구조를 갖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슬라이드 장치
KR10075126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방식 개폐장치
KR100547785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200350760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바디 구동장치
KR10105059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066826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방식 개폐장치
KR100756907B1 (ko) 전자기기용 개폐장치의 슬라이딩 구조
KR10071337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0956301B1 (ko) 휴대폰의 슬라이드 힌지 장치
KR20060019049A (ko) 슬라이드 커버의 개,폐 말기의 충격이 적은 슬라이드형이동 통신 단말기
KR200438864Y1 (ko) 슬라이딩 휴대폰용 슬림 모듈
KR200246981Y1 (ko) 출입문의 충격 완충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