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6614A - 뼈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뼈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6614A
KR20070006614A KR1020060063954A KR20060063954A KR20070006614A KR 20070006614 A KR20070006614 A KR 20070006614A KR 1020060063954 A KR1020060063954 A KR 1020060063954A KR 20060063954 A KR20060063954 A KR 20060063954A KR 20070006614 A KR20070006614 A KR 20070006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shank portion
free end
shank
b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3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7452B1 (ko
Inventor
빌프리드 맷티스
루츠 비더만
위르겐 하름스
Original Assignee
비이더만 모테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P05014840A external-priority patent/EP1741396B1/en
Application filed by 비이더만 모테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비이더만 모테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006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6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01Screws or hooks combined with longitudinal elements which do not contact vertebrae
    • A61B17/7035Screws or hooks, wherein a rod-clamping part and a bone-anchoring part can pivot relative to each other
    • A61B17/7037Screws or hooks, wherein a rod-clamping part and a bone-anchoring part can pivot relative to each other wherein pivoting is blocked when the rod is clamp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뼈 고정 장치는 뼈 또는 등뼈에 고정되는 생크부(14)와, 외부표면에 구형 세그먼트 형상부(16)를 가지는 헤드(15)로 이루어지되, 상기 생크부(14)와 헤드(15)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고정부재와,
제 1 단부(2)와, 상기 제 1 단부(2)에 대향 하는 제 2 단부(3)와, 상기 두 개의 단부를 통과하는 종방향 축(4)과, 종방향 축과 동축인 보어(5)와, 상기 제 2 단부(3)에 인접하여 상기 헤드의 구형 세그먼트 형상부(16)를 수용하는 제 1 영역(7)으로 이루어진 수용부(1)와,
상기 헤드를 수용부에 체결하도록 상기 헤드에 압력을 가하는 부재(17;20;21)를 포함하되,
상기 헤드는 상기 생크부의 자유단부(22)를 수용하도록 중공의 내부 부분(25)을 가지며, 상기 헤드와 자유단부는 상기 헤드가 체결되지 않는 동안, 상기 자유단부가 상기 헤드에 의해 탄성적으로 클램핑되도록 형성된다.
뼈, 등뼈, 고정구, 앵커링, 헤드, 압력 부재

Description

뼈 고정 장치{BONE ANCHOR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뼈 고정 장치의 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뼈 고정 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뼈 고정 장치의 일부인 뼈 고정 부재의 헤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의 뼈 고정 부재의 생크부의 단부와 헤드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고정 부재의 생크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며,
도 6은 생크부에 접속된 헤드의 변형예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헤드와 사용되는 도구의 개략 측면도이고,
도 8a 내지 도 8d는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수용부 및 헤드를 도구를 사용하여 원래의 위치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9는 도 8a 내지 도 8d에 따른 단계를 위해 사용되는 도구의 저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용부 2 : 제 1 단부
3 : 제 2 단부 5 : 보어
6 : 개구부 7 : 구형 단면
8 : 나사형 리세스부 9.10 : 각부
11 : 내부 나사 13 : 고정부재
14 : 생크부 15 : 헤드
17 : 압력 부재 19 : U자형 리세스부
20 : 로드 21 : 내부 스크류
22 : 단부 23 : 자유단
27 : 슬릿 31 : 핸들
32 : 바아 33 : 나사 단부
본 발명은 뼈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뼈에 고정되는 생크부와, 외부표면에 구형 세그먼트 형상부를 가지는 헤드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와, 상기 헤드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헤드에 압력을 가하는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생크부와 헤드는 서로 분리되어 있다.
이러한 뼈 고정 장치로서 미국특허 제 6,835,196호가 알려져 있다. 고정 부재의 생크부는 헤드 내의 대응하는 보어에 수용된 원통형 단부를 가지며, 헤드에 압력이 가해지면 헤드는 생크부의 단부를 클램프하도록 스프링형 항복 에지를 가진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생크부의 단부는 상기 단부를 수용하는 헤드 내의 보어의 내부 나사에 부합하는 외부 나사를 가진다. 이러한 뼈 고정 장치에 있어서, 우 선 생크부를 스크류체결하는 것이 가능하며, 필요하다면 생크부의 길이를 조절하고, 그 후, 헤드를 포함하는 수용부와 접속한다.
미국특허 제 6,074,391호에는 생크부의 자유단부를 형성하는 구형 단면을 가지는 나사형성 생크부를 가지는 뼈 스크류를 포함하는 뼈 고정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뼈 고정 장치는 또한 하방으로 수렴하는 원추형 환상 표면을 내측면에 가지는 수용부를 포함한다. 수용부 내에 제공된 슬롯형성 케이지는 구형 단면을 에워싸고, 수용부의 원추 표면과 부합하는 외부 원추형 표면을 가진다. 케이지 내의 슬롯들은 상기 케이지에 압력이 가해지면 생크부의 구형 단면을 클램프하게 된다.
WO 94/00066호에는 원추형 헤드 단면을 가지는 고착 부품과, 구형 세그먼트형 보어를 가지는 접속 부품을 내측면에 클램프하도록 원추형 헤드 단면을 수용하기 위해 원추형 보어와 구형 세그먼트형 슬롯형성 클램핑 부품을 뼈 내에서 고정하는 접합 고정 부품으로 구성되는 뼈 합성 고정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클램핑 부품은 구형 세그먼트형 부분을 가지는 외부 표면을 가진다. 접속 부품 내측의 고착 부품의 고정은 클램핑 부품이 접속 부품의 구형 세그먼트형 보어에 대해 눌려서 퍼지도록 클램핑 부품으로 원추형 헤드 단면을 밀어서 달성된다.
미국특허 제 6,063,090호에는 먼저 구형 헤드를 구비하는 스크류 부재를 뼈에 스크류하고, 이어 로드와 접속되도록 리테이너 헤드를 구형 헤드 상에 클릭하는 자루형 스크류를 로드에 접속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리테이너 헤드에 상대적인 스크류 부재의 각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구형 헤드는 원추형 스프링 척에 의해 클램프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분리된 부품으로서 헤드와 생크부를 가짐으로써 예비 조립이 용이하고, 로드에 대한 스크류의 최종적 조임만으로 향상된 고정력을 제공하는 뼈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뼈 고정 장치에 의해 달성되며, 다른 특징적 사항들은 종속항에 주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뼈 고정 부재에 의하면, 수술하는 동안 또는 수술 전의 특정 상황에서의 필요에 따라 다른 크기의 생크부를 별도의 헤드 및 수용부와 결합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뼈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생크부를 뼈에 우선 고정한 후, 생크부상에 구형 세그먼트형 헤드를 포함하는 수용부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생크부의 단부가 원추형이고, 헤드의 리세스부가 이에 부합하기 때문에, 생크부에 상대적인 헤드의 예비 고정은 헤드가 그 최종적인 다축 위치에 체결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달성된다.
생크부의 단부와 헤드의 리세스부의 원뿔각도가 약 2 내지 10의 범위 내에 있으면, 헤드가 불가피하게 생크부로부터 분리되지 않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구형 세그먼트형 헤드와 생크부사이의 자기 체결 접속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뼈 고정 장치는 외부 링 또는 너트가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콤팩트한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수록한 도면과 연관된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뼈 고정 장치는 실질적인 원통형으로, 제 1 단부(2)와, 이 제 1 단부에 대향 하는 제 2 단부(3)를 가지는 수용부(1)를 포함한다. 두 개의 단부는 종방향 축(4)에 대해 수직이며, 종방향 축(4)과 동축으로 제 2 단부(3)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제 1 단부(2)로부터 뻗은 동축 보어(5)가 제공된다. 제 2 단부(3)에서 보어(5)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의 개구부(6)가 제공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구형 단면(7)의 형태로 테이퍼 져 있다.
수용부(1)는 또한 제 1 단부(2)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 2 단부(3)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제 2 단부(3)의 방향으로 뻗은 U자형 리세스부(8)를 가진다. 이러한 U자형 리세스부에 의해, 제 1 단부(2)를 향하여 말단부를 형성함으로써 2개의 자유 랙부(9,10)가 형성된다. 제 1 단부(2)에 인접하여, 수용부(1)는 상기 랙부(9,10)에 형성된 내부 나사(11)를 포함한다.
뼈 고정 부재(13)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형성되어, 도 1에 도시된 조립상태에서 생크부에 접속된 헤드(15)와 뼈 나사를 가지는 생크부(14)로 이루어진다. 헤드(15)는 구형 세그먼트 외부 표면(16)을 가진다. 헤드(15)의 이 부분의 반경은 헤드(15)가 수용부(1)에 수용되면, 헤드(15)의 구형 외부 표면(16)이 제 2 단부(3)에서 개구부(6)에 인접하여 구형 단면(7)에 의해 지지 되거나, 개구부(6)의 에지에 의해 지지 되어서, 헤드(15)의 부분(15a)은 개구부(6)로부터 돌출한다. 헤드(15)에 압력이 아직 가해지지 않았다면, 헤드(15)는 볼 및 소켓 죠인트와 유사하게 구형 단면(7) 내에 피봇가능하게 유지된다.
또한, 보어(5)의 내경 보다 약간 더 작은 외경을 가지는 원통형 구조를 가지는 압력 부재(17)가 제공되며, 압력 부재를 수용부(1)의 보어(5)로 도입되도록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제 2 단부(3)를 향하여 면하는 하부 측에 압력 부재(17)는 헤드(15)가 구형부(16)의 반경에 대응하는 반경을 가지는 구형 리세스부(18)를 포함한다. 반대 측에 압력 부재(17)는 종방향 축(4)에 역으로 뻗은 U자형 리세스부(19)를 가진다. U자형 리세스부의 측경은 수용부에 수용되는 로드(20)가 리세스부(19)에 삽입되어 측방향으로 안내되도록 선택된다. 구형 리세스부(19)의 깊이는 로드가 삽입되어 U자형 리세스부의 바닥에 대해 눌려져 있는 경우의 조립된 상태에서 압력 부재(17)가 헤드(15)에 압력을 가하도록 선택된다.
뼈 고정 장치는 또한, 로드(20)를 고정하고 헤드(15)상의 압력 부재(17)에 압력을 가하도록 각부(9,10) 사이에 스크류 되는 내부 스크류(21)를 포함한다. 내부 나사(11)와 내부 스크류(21)의 치합나사는 이미 알려진 나사형태이다. 하지만, 플랫(flat) 나사 또는 네거티브(negative) 나사는 각부(9,10)의 스프레잉이 발생 되지 않으므로 외부 링 또는 너트가 필요없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하 생크부(14)와 헤드(15)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생크부(14)는 헤드(15)에 수용되는 단부(22)를 포함한다. 단부(22)는 ds의 직경을 가지는 자유단(23)을 향하여 퍼진 절두형 원뿔의 형상을 가진다. 생크부의 원추형 단부(22)의 원뿔각α은 생크부가 헤드에 접속되는 경우 자기 체결 접속이 달성되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2 및 도 3으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헤드(15)는 평탄한 구면의 외곽선을 가지며, 수용부의 종방향 축(4)과 동축이고, 원추형 단부(22)가 자유단(23)의 최대 직경 ds 보다 약간 더 큰 직경을 가지는 보어(24)를 제 1 단부(2)를 향하여 면하는 단부에서 포함한다. 보어(24)는 원추형 단부(22)의 자유단(23)을 개재해서 안내되어, 원추형 단부(22)가 완전히 삽입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5)로부터 돌출한다. 수용부의 제 2 단부(3)를 향하여 배향된 측면에서 헤드(15)는 중공의 절두형 생크부가 헤드(15)로 삽입되는 경우 헤드(15)는 중공의 절두형 원뿔로서 형성된 리세스부(25)를 가지며, 그 치수는 생크부의 원추형 단부(22)의 치수와 부합된다. 원추형 리세스부(25)의 각도α'는 단부(22)의 각도α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세스부(25)에 의해 형성된 하부 개구부(26)는 생크부의 원추형 단부(22)의 자유단(23)의 최대 직경 ds 보다 작은 직경 db을 가진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5)는 복수의 종방향 슬릿(27)을 가지며, 이 슬릿들은 생크부의 단부(22)와 면하는 단부에 대해 개방되고,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된다. 또한 슬릿(27)들은 하부 개구부(26)에 원추형 단부(22)가 삽입되고, 삽입 후 탄성적으로 클램프 될 정도로 넓은 범위로 리세스부(25)의 퍼짐이 이루어지기에 충분한 크기를 가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추형 단부의 자유단(23)은 헤드(15)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챔퍼(28)를 가진다. 챔퍼(28)는 압력 부재(17)의 리세스부(18)의 곡률에 부합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원추형 리세스부(25)는 헤드(15)를 통해 뻗는다.
헤드(15)의 리세스부(25)의 원뿔각α은 단부(22)의 원뿔각에 대응하고, 원추 형 단부(22)가 헤드의 리세스부(25)에 삽입되면, 자기 체결 접속을 달성하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기 체결 접속이 설정되면, 원추형 단부를 리세스부(25)에 삽입하는데 요하는 함보다 더 큰 추가적인 힘이 리세스부(25)로 부터 원추형 단부를 제거하는데 요구된다. 자기 체결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원뿔각은 대략 2 내지 10 °사이가 바람직하고, 약 4°가 가장 바람직하다.
제 1 모드의 작동에 있어서, 적절한 생크부(14)가 선택되면 그 단부(22)와 함께 헤드(15)에 접속된다. 하부 개구부(26)를 개재하여 원추형 단부(22)를 헤드(15)로 도입하는 것은 챔퍼(28)에 의해 용이하게 행해진다. 단부(22)를 삽입함에 의해, 하부 개구부(26)는 넓어지고, 원추형 리세스부(25)는 슬릿(27)으로 인하여 퍼지게 되어 원추형 단부(22)의 전체를 도입하게 한다. 생크부가 헤드로 도입되는 경우, 자기 체결 접속이 설정되도록 각도α가 선택되면, 헤드로 일단 삽입되면, 헤드가 우연히 제거되거나 떨어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헤드(15)가 장착된 생크부(14)로 이루어진 뼈 고정 부재(13)는 나사형 생크부(14)가 구비된 제 1 단부(2)로부터 수용부(1)로 도입되어, 헤드(15)가 개구부(6)의 에지에 대해 정지할 때까지 수용부의 개구부(6)를 통해 안내된다. 그 후, 압력 부재(17)는 도입되어 나사형 생크부는 뼈에 스크류체결된다. 그러면, 고정부재(13)에 상대적인 수용부(1)의 각도 위치는 조절되고, 로드(20)는 삽입되어 내부 스크류(21)에 스크류체결함에 의해 고정된다. 내부 스크류(21)는 압력 부재(17)를 하방으로 압압하는 로드(20)에 압력을 가한다. 압력 부재(17)는 생크부의 단부(22)에 대한 자유단(23)을 위한 접합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식으로, 헤드(15) 는 구형 단면(7) 또는 개구부(6)의 에지에 대해 눌려서, 개구부(6)의 에지는 생크부의 단부(22)를 클램프 하기 위한 슬릿(27)들로 인하여 헤드를 압압한다. 또한, 압력 부재(17)는 단부(22)의 자유단(23)을 압압하여 원추형 단부(22)를 헤드의 원추형 리세스부(25)로 압압함으로서 헤드와 생크부 사이에 확실한 접속이 달성되는 동시에 헤드는 회전위치에 체결된다.
상술한 뼈 고정 장치의 부품들은 예를 들어 티타늄과 같이 본체를 콤팩트화 할 수 있는 물질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모드의 작동에 있어서, 먼저 나사형 생크부(14)를 뼈 또는 척추에 스크류체결한다. 이를 위하여, 생크부(1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형 리세스부(30)와 같은 스크류 드라이버용으로 알려진 결합 가능성을 그 자유단에 가진다. 느슨하게 미리 조립된 헤드(15)와 압력 부재(17)와 함께 수용부(1)는 뼈로부터 돌출하는 생크부(14)의 원추형 단부(22)에 눌려진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헤드(15)를 원추형 단부에 클릭하는 소정의 압력이 필요하다. 즉 헤드(15)는 슬릿(27)들로 인하여 퍼지게 되고 원추형 단부(22)에 스냅결합된다. 헤드를 생크부에 위치시키는데 요하는 힘은 원뿔 각도 및/또는 슬릿들에 의해 제공된 탄성에 따른다. 이어서, 로드(20)는 삽입되고, 헤드(15)에 상대적인 수용부(1)의 각도 위치는 조절된다. 이 후, 내부 스크류(21)는 로드(20)에 눌릴 때까지 각부(9,10)사이에 스크류체결되어, 헤드(15)에 압력을 가한다.
압력 부재에 의해 헤드(15)에 가해진 압력으로 인하여, 슬롯형 헤드(15)는 생크부(14)에 확실하게 접속되거나 클램프되어, 이동을 방지하는 동시에 헤드(15) 는 그 회전위치에 체결된다.
필요하다면, 헤드(15)와 함께 수용부(1)는 도 8a 내지 도 8d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구를 구비하여 원래의 상태대로 생크부로부터 분리된다. 먼저, 내부 스크류 및 로드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된다. 이 상태에서 헤드(15)는 수용부(1)내에 체결되지 않고 여전히 생크부의 단부(22)를 클램프하고 있다. 이어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구(100)를 사용하여 헤드(15)를 수용부(1)로 밀어넣어서, 수용부의 하부 개방부(6)로부터 더 이상 돌출하지 않게 한다.
도구(100)는 두 개의 아암(102,103)이 수직방향으로 뻗은 종방향 바아(101)를 포함한다. 아암 중의 하나는 바아의 단면이 그립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아암(103) 위로 돌출하도록 바아(101)의 자유단(104)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고정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도구가 사용중인 경우의 상부 아암(103)임을 알 수있다. 다른 아암(102)은 종방향 바아(10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타단부(106)에서의 단부 위치와, 상부 아암(103)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소망 위치 사이에 가변적으로 고정되어 아암들 사이의 거리를 변하게 한다. 적어도 하부 아암(102)은 생크부(14)를 에워쌀 수 있도록 포크형이다. 하부 아암(102)이 바아의 단부(106)에 위치되면, 아암들 사이의 거리는 수용부(1)의 높이보다 더 크게 된다.
사용중에는, 도구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부 위치에서 하부 아암(102)으로 수용부에 적용된다. 그러면, 하부 아암(102)이 이동되면서 수용부(1)의 제 2 단부(3)에 대해 압압함으로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용부 내에 헤드(15)가 완전히 위치될 때까지 헤드에 상대적으로 수용부(1)를 이동한다. 이 상태 에서,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크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수용부 및 헤드 가를 도구와 함께 당기게 되면, 생크부의 단부(22)가 당겨짐으로써 헤드에는 넓혀진 공간이 제공된다.
물론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부 아암(103)이 하부 아암 대신에 슬라이딩할 수 있는바, 슬라이딩 가능한 아암을 바아에 고정할 필요는 없지만, 수용부에 대해 수동으로 압력을 가할 수도 있다.
단부(22), 헤드(15) 및 수용부(1)의 치수는 단부(22)와 헤드(15) 사이의 자기 체결 접속의 마찰력을 극복하는데 요구되는 힘을 수술하는 동안 견딜 수 있도록 선택된다.
도 5a 내지 도 5c는 생크부(14)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5a에 있어서, 생크부(14)의 직경 d은 원추형 단부(22)의 최소 직경보다 더 작다. 도 5b에 있어서, 생크부(14)의 직경 d은 원추형 단부(22)의 최소 직경보다 더 크다. 도 5c에 있어서, 생크부는 팁(141)에 인접한 나사 단면(146)과 뼈 나사가 없는 단면(142)을 포함한다. 모든 변형예에 있어서, 원추형 단부(22)는 헤드(15)의 리세스부(25) 내에 수용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6에는 헤드의 변형에 대한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헤드(1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은 절두형 원뿔과 같은 형상의 리세스부(25)를 가진다. 하지만, 동축 보어(24')는 생크부의 원추형 단부의 자유단(23)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진다. 그래서, 리세스부(25)의 상부 벽은 단부(22)를 위한 링형 접합부(28)를 형성한다. 보어(24')의 직경은 스크류 도구가 단부(22)에 접근가능할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수용부(1)에 삽입된 헤드(15)를 생크부(14)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헤드를 유지하는 도구와의 계합을 위한 계합 수단을 헤드가 가짐으로써, 수용부(1)가 생크부로부터 떨어지도록 당기면 개구부(6)에서 뽑히지 않게 된다. 도 7은 핸들(31)과, 핸들로부터 뻗은 바아(32)로 이루어지고, 나사 단부(33)를 가지는 도구(30)의 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 보어(24')는 나사 단부(33)와의 계합을 위한 내부 나사를 포함한다. 사용시, 내부 스크류(21)와 로드를 제거하여 헤드(15)에 압력이 살아난 후, 헤드는 나사팁(33)을 나사 보어(24')로 스크류체결함에 의해 도구(30)와 함께 유지되는 동시에, 수용부는 생크부와 달리 수동으로 당겨진다. 이러한 방법으로, 생크부의 단부(22)는 헤드(15)로부터 당겨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나사 생크부를 가지는 고정 부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크로 이루어진 고정 부재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후크의 자유단은 원추형 단부(22)를 가진다.
더구나, 생크부(14)의 형상 및 직경도 변화되며, 뼈 나사의 길이 역시 변화된다. 예를 들어, 생크부가 나사 자유 단면을 가지는 도 5c의 변형은 도 5a 또는 도 5b에 도시된 생크부에 적용될 수 있다.
원추형 단부(22)의 원뿔 각도와 중공 절두형 원뿔의 형태의 리세스부(25)는 자기 체결 효과가 없도록 선택된다. 이 경우, 헤드(15) 내의 슬릿(26)의 수와 형태는 헤드(15)가 원추형 단부(22)에 스냅결합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헤드(15)에 제공된 몇 개의 슬릿 대신에, 헤드의 전체 벽부를 통해 종방향으로 뻗은 오직 하나의 슬릿만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슬릿에 슬릿들 이 부가되는 식으로 하나의 연속 슬릿을 가질 수도 있다. 추가의 슬릿들은 하부 개구부(26)에 대향 하는 단부를 향하여 개구부가 제공된다. 또한, 중공 절두형 원뿔과 같은 형상의 리세스부(25)는 전체 헤드(15)를 통해 뻗음으로써 보어(24,24')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헤드는 탄성을 제공하는 물질, 예를 들어 적절한 플라스틱 물질로 형성된다. 이 경우, 슬릿이 생략된다.
수용부 역시 변형될 수 있다. 구형 단면(7)의 반경은 헤드의 반경보다 크되, 헤드가 떨어지지 않을 정도로 개구부(6)가 작은 만큼 길다. 구형 단면(7) 대신에, 어떠한 형상, 예를 들어 원추형을 가지는 단면도 가능하다.
더구나, 압력 부재(17)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종방향으로의 압력 부재의 길이는 로드가 삽입된 경우, U자형 리세스부(19)에 의해 발생 된 각부(9,10)가 로드 위로 돌출하는 정도로 크다. 이 경우, 각부(9,10) 사이에 스크류체결되기 위해 내부 너트를 가지는 압력 부재를 통해 헤드를 별도로 고정하고, 너트로 스크류체결되기 위해 내부 스크류에 의해 로드를 별도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용부는 뼈 플레이트의 부품이다. 이 경우, 수용부는 U자형 리세스부를 가지지 않으며, 헤드(15)에 가해지는 압력은 예를 들어 오로지 내부 스크류에 의해서만 발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뼈 고정 장치에 의하면, 생크부와 헤드가 별도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고정장치의 예비 조립이 용이하고, 로드에 대한 스크류의 최종적 조임만으로 향상된 고정력을 제공하며, 특정 상황의 필요에 따라 다른 크기의 생크부를 별도로 분리된 헤드 및 수용부와 결합할 수 있고, 콤팩트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10)

  1. 뼈 고정 장치는 뼈 또는 등뼈에 고정되는 생크부(14)와, 외부표면에 구형 세그먼트 형상부(16)를 가지는 헤드(15)로 이루어지되, 상기 생크부(14)와 헤드(15)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고정부재와,
    제 1 단부(2)와, 상기 제 1 단부(2)에 대향 하는 제 2 단부(3)와, 상기 두 개의 단부를 통과하는 종방향 축(4)과, 종방향 축과 동축인 보어(5)와, 상기 제 2 단부(3)에 인접하여 상기 헤드의 구형 세그먼트 형상부(16)를 수용하는 제 1 영역(7)으로 이루어진 수용부(1)와,
    상기 헤드를 수용부에 체결하도록 상기 헤드에 압력을 가하는 부재(17; 20; 21)를 포함하되,
    상기 헤드는 상기 생크부의 자유단부(22)를 수용하도록 중공의 내부 부분(25)을 가지며, 상기 헤드와 자유단부는 상기 헤드가 체결되지 않는 동안, 상기 자유단부가 상기 헤드에 의해 탄성적으로 클램핑 되도록 형성되는 뼈 고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단부(22)는 원추형상으로 자유단(23)을 향하여 직경이 증가하고, 상기 중공 내부 부분(25)은 이에 부합하는 형상인 뼈 고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상은 절두형 원뿔인 뼈 고정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원뿔 각은 상기 헤드와 상기 자유단부 사이에 자기 체결이 발생하도록 선택되는 뼈 고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약 2 내지 10 사이인 뼈 고정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15)는 상기 생크부의 자유단부(22)를 향하여 면하는 스프링형 항복 에지를 포함하는 뼈 고정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15)는 상기 생크부(14)의 자유단부(22)를 면하는 측에 개방되고, 헤드의 회전축에 평행하도록 배향된 하나 이상의 슬릿(27)을 포함하는 뼈 고정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크부의 자유단부를 수용하는 상기 헤드의 중공 내부 부분은 자유단부(22)의 자유단(23)을 위한 접합부(28)를 형성하는 뼈 고정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내부 부분은 중공 절두형 원뿔로 형성되어 헤드의 일단부로부터 대향단부로 뻗는 뼈 고정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는 제 1 단부(2)로부터 로드를 수용하도록 채널을 형성하는 제 2 단부(3)의 방향으로 뻗는 U자형 리세스부(8)를 가지는 뼈 고정 장치.
KR1020060063954A 2005-07-08 2006-07-07 뼈 고정 장치 KR1011474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9767005P 2005-07-08 2005-07-08
EP05014840.2 2005-07-08
US60/697,670 2005-07-08
EP05014840A EP1741396B1 (en) 2005-07-08 2005-07-08 Bone anchor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6614A true KR20070006614A (ko) 2007-01-11
KR101147452B1 KR101147452B1 (ko) 2012-05-21

Family

ID=37752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3954A KR101147452B1 (ko) 2005-07-08 2006-07-07 뼈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980664B2 (ko)
KR (1) KR1011474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459B1 (ko) * 2010-03-30 2010-09-07 주식회사 지에스메디칼 경추 나사못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8204784A1 (en) * 2007-01-10 2008-07-17 Facet Solutions, Inc. Taper-locking fixation system
ES2368016T3 (es) * 2008-04-22 2011-11-11 Biedermann Motech Gmbh Instrumento para montar un dispositivo de anclaje óseo.
US10111694B2 (en) * 2010-10-05 2018-10-30 Skeletal Design Partnership, Llc Pedicle screw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y
US10426454B2 (en) 2014-10-21 2019-10-01 Globus Medical, Inc. Orthopedic tools for implantation
US10595907B2 (en) * 2017-02-16 2020-03-24 Rubicon Spine Llc Polyaxial pedicle screw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8271B2 (ja) * 1992-06-25 2002-07-29 ジンテーズ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クール 骨接合用固定装置
DE10164323C1 (de) * 2001-12-28 2003-06-18 Biedermann Motech Gmbh Verschlußeinrichtung zum Sichern eines stabförmigen Elements in einem mit einem Schaft verbundenen Halteelement
DE10246177A1 (de) * 2002-10-02 2004-04-22 Biedermann Motech Gmbh Verankerungselement
US7322981B2 (en) * 2003-08-28 2008-01-29 Jackson Roger P Polyaxial bone screw with split retainer r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459B1 (ko) * 2010-03-30 2010-09-07 주식회사 지에스메디칼 경추 나사못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7452B1 (ko) 2012-05-21
JP2007014787A (ja) 2007-01-25
JP4980664B2 (ja) 201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4089B2 (en) Bone anchoring device
US11931079B2 (en) Receiving part for receiving a rod for coupling the rod to a bone anchoring element
JP5084195B2 (ja) 骨固着装置
US6248104B1 (en) Apparatus for osteosynthesis comprising a connector of the spinal pin and the anchoring elements
JP5613401B2 (ja) ロッドを受けてそのロッドを骨固定要素に連結するための受け部、およびそのような受け部を有する骨固定装置
JP5737829B2 (ja) 骨固定装置
US11207106B2 (en) Polyaxial bone anchoring device
US20140228897A1 (en) Multi-axial connection system
US20080086132A1 (en) Bone anchoring device
US20110118793A1 (en) Methods for connecting a longitudinal member to a bone portion
KR20030057315A (ko) 생크에 연결된 보유 부재 내 로드형 부재를 고정하는 고정장치
JP2010148874A (ja) ロッドを受けてそのロッドを骨固定要素に連結するための受け部、およびそのような受け部を有する骨固定装置
KR20120090876A (ko) 뼈 고정 장치
JP2010000352A (ja) 骨固定アセンブリ
JP2010155076A (ja) ロッドを受けてそのロッドを骨固定要素に連結するための受け部、およびそのような受け部を有する骨固定装置
KR101147452B1 (ko) 뼈 고정 장치
US9510868B2 (en) Polyaxial bone anchoring device
EP1749489B1 (en) Bone anchoring device
KR101201526B1 (ko) 뼈 고정장치
TW201350080A (zh) 多軸式骨骼固定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