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0459B1 - 경추 나사못 - Google Patents

경추 나사못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0459B1
KR100980459B1 KR1020100028764A KR20100028764A KR100980459B1 KR 100980459 B1 KR100980459 B1 KR 100980459B1 KR 1020100028764 A KR1020100028764 A KR 1020100028764A KR 20100028764 A KR20100028764 A KR 20100028764A KR 100980459 B1 KR100980459 B1 KR 100980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er
receiving member
screw
fixing member
cerv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8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민식
김진순
신현철
김긍년
윤도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메디칼
신현철
김긍년
윤도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메디칼, 신현철, 김긍년, 윤도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메디칼
Priority to KR1020100028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04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0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0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01Screws or hooks combined with longitudinal elements which do not contact vertebrae
    • A61B17/7032Screws or hooks with U-shaped head or back through which longitudinal rods p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01Screws or hooks combined with longitudinal elements which do not contact vertebrae
    • A61B17/7035Screws or hooks, wherein a rod-clamping part and a bone-anchoring part can pivot relative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2017/681Alignment, compression, or distraction mechanis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추 나사못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 부재가 수용 부재에 대해 소정 각도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고정 부재를 경추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경추에서의 로드의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경추 나사못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경추 나사못은, 몸체의 상부에는 로드를 수납하기 위한 소정 깊이의 U형 수납홈이 형성되어 있고, 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수납홈과 연결되어 몸체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수용 부재와; 상기 수용 부재의 개구부를 통하여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삽입되어 상기 수용 부재의 하부에 안착되는 와셔와; 상기 와셔의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삽입되어 상기 와셔 내에 안착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일체형으로 뻗어있어 척추경에 삽입되는 나사부를 포함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부재의 하부의 내측에는, 상기 와셔가 상기 수용 부재 내에서 상기 수용 부재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인 축에 대해 소정 각도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고리형 리세스와, 상기 고리형 리세스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와셔가 상기 수용 부재에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는 고리형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추 나사못{CERVICAL SCREW}
본 발명은 경추 나사못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 부재가 수용 부재에 대해 소정 각도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고정 부재를 경추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경추에서의 로드의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경추 나사못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척추는 통상 24개(천추골제외)의 뼈로 이루어져 각각의 뼈 사이에는 디스크라 불리는 관절에 의해 연결되어 척추를 지지하며 완충작용을 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하여 척추는 인간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도와줄 뿐만 아니라, 운동의 토대가 되며 내장 기관을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비정상적인 자세가 오랫동안 유지되거나, 노화에 따른 퇴행성 질환 또는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게 되면 척추 뼈 마디의 디스크가 손상되어 척추 디스크 질환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척추 디스크 질환은 척추 뼈 마디를 통해 인체의 각 부분에 연결되는 신경이 압박되어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척추 디스크 환자는 척추 뼈의 손상된 부분이 눌리거나 압박되지 않도록 손상된 부위의 디스크를 제거하고, 중공형의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인공 보조물(케이지)에 뼈 조각을 채워 디스크를 제거한 부위에 삽입한 다음, 손상된 디스크 상하부위의 척추 뼈에 척추경 나사못을 삽입·고정한 후, 척추경 나사못에 로드를 연결하여 척추 뼈 사이의 거리를 확보함으로써 골 융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이 시술되고 있다.
한편, 척추 디스크 환자 중 척추 뼈 사이의 디스크의 손상이 경미한 경우에는 디스크는 그대로 두고, 손상된 디스크의 상하부위의 척추 뼈에 척추경 나사못을 삽입·고정한 후, 척추경 나사못에 로드를 연결하여 척추 뼈 사이의 거리를 확보함으로써 손상된 디스크의 상태가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1)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척추경 나사못(1)은 로드(5)가 수용되는 수납홈(2) 및 몸체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산(3)이 형성되어 있는 로드 고정부(4)와 상기 로드 고정부(4)에서 하부 방향으로 일체로 뻗어있는 나사부(6)와 상기 로드 고정부(4)의 몸체에 형성된 암나사산(3)에 체결되는 수나사산(7)을 구비한 셋스크류(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척추경 나사못이 흉추나 요추의 삽입 각도에 비해 큰 삽입 각도를 필요로 하는 경추에 삽입될 때, 종래기술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1)은 로드 고정부(4)와 나사부(6)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경추의 큰 삽입 각도로 인해 로드(5)가 상기 로드 고정부(4)의 수납홈(2) 하부에 견고하게 안착되지 않고 로드 고정부(4)의 수납홈(2) 중간에 떠 있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종래기술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1)은 경추에 대해 로드(5)를 안정적으로 안착 및 정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경추에 대해 로드(5)를 안착 및 정렬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경추 나사못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로드를 수용하는 수용 부재와 경추에 삽입 및 고정되는 고정 부재 사이에 유동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경추에서 로드를 안정적으로 정렬할 수 있는 경추 나사못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경추에서 로드를 용이하게 정렬할 수 있는 경추 나사못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이 용이한 경추 나사못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경추 나사못은, 몸체의 상부에는 로드를 수납하기 위한 소정 깊이의 U형 수납홈이 형성되어 있고, 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수납홈과 연결되어 몸체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수용 부재와; 상기 수용 부재의 개구부를 통하여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삽입되어 상기 수용 부재의 하부에 안착되는 와셔와; 상기 와셔의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삽입되어 상기 와셔 내에 안착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일체형으로 뻗어있어 척추경에 삽입되는 나사부를 포함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부재의 하부의 내측에는, 상기 와셔의 상부면이 상기 수용 부재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소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상기 와셔가 상기 수용 부재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고리형 리세스와, 상기 고리형 리세스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와셔가 상기 수용 부재에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는 고리형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추 나사못에 의하면, 본 발명은 로드를 수용하는 수용 부재와 경추에 삽입 및 고정되는 고정 부재 사이에 유동성을 제공할 수 있고, 경추에서 로드를 안정적으로 그리고 용이하게 정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시술자가 로드를 경추 나사못에 안착 및 정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수고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이 용이하여 제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추 나사못의 사시도 및 종단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수용 부재의 종단면도 및 부분 저면도이고,
도 5a, 도 5b 및 도 5c는 와셔의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6은 고정 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7a는 수용 부재와 와셔의 조립 과정을 도시하고 있고, 도 7b는 도 7a의 저면도이고,
도 8은 수용 부재 내에 안착된 와셔의 종단면도이고,
도 9는 수용 부재 및 와셔와 고정 부재의 조립 과정을 도시하고 있고,
도 10은 조립이 완성된 경추 나사못의 종단면도이고,
도 11은 수용 부재에 대해 고정 부재가 각도를 형성하고 있는 경추 나사못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확하게 할 염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추 나사못(1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추 나사못(100)의 종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추 나사못(100)은 로드를 수용하여 안착시키는 수용 부재(10), 상기 수용 부재(10)의 내측 하부에 안착되는 와셔(20) 및 상기 와셔의 내측에 안착되고 경추에 삽입 및 고정되는 고정 부재(30)로 구성되어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인 경추 나사못(100)의 수용 부재(10)의 종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인 경추 나사못(100)의 수용 부재(10)의 부분 저면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부재(10)는 상부(A) 및 하부(B)로 구성된 몸체(11)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 부재(10)의 몸체(11) 상부(A)에는 로드를 수납 또는 수용하여 안착시키기 위한 소정 깊이의 U형 수납홈(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11)의 상부(A)의 내주면을 따라 암나사부(15)가 형성되어 있다. 후에, 상기 암나사부(15)에는 로드를 고정하기 위한 셋스크류의 수나사부(33)가 체결된다.
또한, 상기 수용 부재(10)의 몸체(11)의 하부(B)에는 상기 수납홈(13)과 연결되어 상기 몸체(11)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개구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17)는 후술할 와셔(20) 및 고정 부재(30)가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삽입되는 삽입구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수용 부재(10)의 몸체(11)의 하부 내측에는 고리형 리세스(recess)(18)가 형성되어 있어, 후술할 와셔는 후술할 와셔(20)의 상부면이 상기 수용 부재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소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상기 수용 부재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고리형 리세스(18)의 직경은 후술할 와셔(20)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또는 후술할 와셔(20)의 외경보다 약간 더 클 수 있다. 상기 고리형 리세스(18)를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경추 나사못(100)의 수용 부재(10)는 후술할 고정 부재(30)에 대하여 유동성을 가질 수 있어 수용 부재(10)의 수납홈(13)을 로드와 평행하게 정렬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고정 부재(30)가 경추에 삽입되는 각도가 크다 하더라도 이에 무관하게 로드를 수납홈(13)에 밀착 방식으로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로드를 수납홈(13)에 용이하게 안착 및 정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형 리세스(18)의 상부에는 후술할 와셔(20)가 상기 수용 부재(10)의 개구부(17)를 통하여 수용 부재(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술할 와셔(20)의 상부면과 수용 부재(10)의 길이 방향 축 사이의 각도가 소정 각도에 도달하면 와셔(20)의 상부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와셔(20)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하는 돌출부(18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리형 리세스(18)의 하부에는 후술할 와셔(20)가 상기 수용 부재(10)에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는 고리형 돌출부(19)가 형성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리형 돌출부(19)는 상기 고리형 리세스(18)에서 연장되어 내측 방향으로 테이퍼진 제1 테이퍼면(19a)과, 상기 제1 테이퍼면(19a)에 연장되고 외측 방향으로 테이퍼진 제2 테이퍼면(19b)과, 상기 고리형 돌출부(19) 중 대향하는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리세스(19c)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테이퍼면(19a)은 후술할 와셔(20)가 안착되는 면으로서, 와셔(20)가 수용 부재(10) 밖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동시에 후술할 와셔의 상부면이 상기 수용 부재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소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후술할 와셔가 상기 수용 부재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고리형 리세스(18)가 형성하는 와셔(20)의 회전 공간을 확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테이퍼면(19a)과 상기 고리형 리세스(18)가 형성하는 공간으로 인해 상기 수용 부재(10) 내에서 후술할 와셔(20)의 회전 공간이 확장되고, 후술할 고정 부재도 후술할 와셔 내에서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으므로, 상기 수용 부재(10)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후술할 고정 부재의 길이방향 축의 각도가 최대 50°까지 되도록, 상기 수용 부재(10)는 후술할 고정 부재(3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후술할 고정 부재(30)에 대한 상기 수용 부재(10)의 유동성이 향상되어, 수용 부재(10)의 수납홈(13)을 로드와 평행하게 배열할 수 있는 각도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고, 그 결과 로드를 수납홈(13)에 밀착 방식으로 안정적으로 그리고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는 각도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테이퍼면(19b)은 후술할 와셔(20)의 삽입시 후술할 와셔(20)가 용이하게 탄성 수축할 수 있도록 테이퍼져 있어, 후술할 와셔(20)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두 개의 리세스(19c)는 상기 고리형 돌출부(19) 중 서로 대향하는 일 측면에 수용 부재(10)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두 개의 리세스(19c)가 형성되어 있는 고리형 돌출부(19)의 측면에는 제1 테이퍼면(19a) 및 제2 테이퍼면(19b)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상기 리세스(19c)로 인해, 후술할 와셔(20)가 상기 수용 부재(10) 내에 더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립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테이퍼면(19a) 및 상기 제2 테이퍼면(19b)이 만나는 지점에서의 고리형 돌출부(19)의 직경은 후술할 와셔(20)의 상부 외경보다 작고 후술할 와셔(20)의 하부 외경보다 크고, 상기 리세스(19c)가 형성된 지점에서의 고리형 돌출부(19)의 직경은 후술할 와셔(20)의 상부 직경보다 약간 작거나 거의 동일하며, 상기 리세스(19c)의 원주방향 너비는 후술할 와셔(20)의 높이의 1/2 이하이다.
도 5a는 상기 수용 부재(10)의 개구부(17)를 통하여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상기 수용 부재(10) 내로 삽입되는 본 발명에 따른 경추 나사못(100)의 와셔(20)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상기 와셔(20)의 정면도이고, 도 5c는 상기 와셔(20)의 측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추 나사못(100)의 와셔(20)는 상부 외경이 하부 외경보다 크고 측면이 일정한 곡률로 형성되어 있으며(도 5c 참고), 상기 와셔(20)의 일측에는 소정 간격의 절개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와셔(20)의 내측에는 후술할 고정 부재(30)의 헤드부(31)가 안착되는 안착면(25) 및 상기 안착면(25)의 아래에 위치되어 외측 방향으로 테이퍼진 외측 테이퍼면(2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와셔(20)의 외측 하부에는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는 두 개의 리세스(2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와셔(20)의 양측면의 외부 윤곽선은 동일한 곡률 중심으로부터 거의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진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셔(20)의 일측에는 소정 간격 떨어져 있는 절개부(2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와셔(20)는 내측으로 또는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즉, 상기 절개부(21)로 인해, 상기 와셔(20)가 상기 수용 부재(10)의 개구부(17)를 통하여 상기 수용 부재(10) 내로 삽입될 때 상기 와셔(20)는 상기 수용 부재(10)의 고리형 돌출부(19) 또는 상기 고리형 돌출부(19)의 리세스(19c)에 의해 내측으로 탄성변형할 수 있고, 상기 와셔(20) 내로 후술할 고정 부재(30)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와셔(20)는 후술할 고정 부재(30)의 헤드부(31)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변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셔(20)에 절개부(21)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와셔(20)를 상기 수용 부재(10) 내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후술할 고정 부재(30)를 상기 와셔(20) 내에 삽입할 때 후술할 고정 부재(30)를 상기 와셔(20) 내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셔(20)의 내측에는, 후술할 고정 부재(30)의 헤드부(31)의 곡률과 거의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어 있는(도 5c 참고) 안착면(25) 및 상기 안착면(25)의 하부에 위치되는 외측 테이퍼면(2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면(25)은 후술할 고정 부재(30)의 헤드부(31)의 일부를 둘러싸서(도 3 참고) 후술할 헤드부(31)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착면(25)에 의해, 상기 와셔(20)와 후술할 고정 부재(30)는 연동할 수 있다.
상기 외측 테이퍼면(27)은 상기 안착면(25)의 하부에 연장되어 외측 방향으로 테이퍼져 있다. 상기 외측 테이퍼면(27)으로 인해, 후술할 헤드부(31)가 상기 와셔(20)의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상기 와셔(20) 내에 삽입될 때 상기 와셔(20)를 용이하게 외측으로 팽창시킬 수 있어, 후술할 헤드부(31)를 상기 와셔(20) 내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셔(20)의 외측 하부에는,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두 개의 리세스(2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세스(23)는 와셔(20)의 외측면에 연장되고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수평면(23a)과 상기 수평면(23a)에서 연장되어 와셔(20)의 바닥까지 뻗어있는 경사면(23b)으로 구성된다. 상기 리세스(23)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와셔(20)의 외경은 외측 하부에서 급격하게 감소한다. 이로 인해, 상기 수용 부재(10)에 대해 상기 와셔(20)를 수직으로 세워 상기 리세스(23) 상부에 위치하는 와셔(20) 부분(즉, 수평면(23a) 상부의 와셔(20) 외측면)을 상기 수용 부재(10)의 고리형 돌출부(19)의 리세스(19c) 내로 삽입함으로써, 상기 리세스(19c)에 대한 상기 와셔(20)의 반력(또는 걸림턱이 되는 부분)을 거의 제거할 수 있어, 상기 와셔(20)를 상기 수용 부재(10) 내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세스(23)는 상기 절개부(21)로부터 90°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리세스(23)의 상부에 위치하는 와셔(20) 부분이 상기 고리형 돌출부(19)의 리세스(19c) 내로 삽입될 때, 상기 고리형 돌출부(19)의 리세스(19c)에 의해 가해지는 반력에 의해 상기 절개부(21)를 내측으로 용이하게 수축할 수 있어, 상기 와셔(20)를 상기 수용 부재(10) 내에 더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세스(23)의 높이는 상기 와셔(20)의 높이의 1/3 이상 2/3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와셔(20)의 높이의 1/2이다.
도 6은 상기 와셔(20)의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삽입되어 상기 와셔(20) 내에 안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경추 나사못(100)의 고정 부재(30)의 정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30)는 상기 와셔(20)의 안착면(25)에 회전가능하도록 안착되는 헤드부(31)와, 경추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나사부(3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헤드부(31)의 상부에는, 2개 이상의 공구홈(35)이 형성되어 있어, 삽입 공구(예를 들어, 드라이버 등)를 공구홈(35)에 맞추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나사부(33)를 경추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구홈(35)은 로드의 하부를 수용하거나 또는 로드의 하부와 접촉하는 역할을 하여, 상기 공구홈(35)은 이후에 셋스크류로 로드를 고정할 때 발생하는 하부 방향 하중이 로드를 통해 헤드부(31)에 가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추에 삽입 및 고정된 나사부(33)가 수용 부재(10)에 대해 형성하는 각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헤드부(31)는 자신의 곡률 중심으로부터 거의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고, 상기 헤드부(31)의 곡률은 상기 와셔(20)의 안착면(25)의 곡률과 거의 동일하지만, 상기 와셔(20)의 외부 양측면의 곡률과는 동일하지 않다. 즉, 상기 헤드부(31)의 곡률 중심의 위치와 상기 와셔(20)의 곡률 중심의 위치는 일치하지 않는다. 이러한 곡률 중심의 위치 차이로 인해, 상기 수용 부재(10)에 대해 고정 부재(30)가 회전할 때, 먼저 고정 부재(30)의 나사부(33)가 와셔(20)의 하부면에 접촉할 때까지 고정 부재(30)가 자신의 곡률 중심에 대해 와셔(20)에서 회전할 수 있고, 이후 고정 부재(30)의 나사부(33)가 와셔(20)의 하부면을 회전 진행 방향으로 밀어 와셔(20)가 자신의 곡률 중심에 대해 수용 부재(10)에서 추가적으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와셔(20) 내에 안착된 고정 부재(30)는 수용 부재(10)에 대해 추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 결과, 고정 부재(30)는 수용 부재(10)에 대한 회전 유동성을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다. 정리하면, 이러한 상기 고정 부재(30)의 상기 와셔(20) 내에서의 회전과 상기 와셔(20)의 상기 수용 부재(10) 내에서의 회전으로 인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부재(30)의 길이방향 축은(또는 상기 나사부(33)의 길이방향 축은) 상기 수용 부재(10)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최대 50°까지 회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경추 나사못(100)의 수용 부재(10), 와셔(20) 및 고정 부재(30)를 조립하는 메커니즘에 대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우선, 도 7a는 수용 부재(10)의 개구부(17)를 통하여 와셔(20)를 수용 부재(10) 내로 삽입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고, 도 7b는 도 7a의 저면도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셔(20)의 절개부(21)가 하부 방향을 향하도록 하고 와셔(20)의 리세스(23)가 좌우 방향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셔(20)의 리세스(23) 상부에 위치하는 와셔 부분이 수용 부재(10)의 대향하는 두 개의 리세스(19c)에 맞춰지도록, 상기 수용 부재(10)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상기 와셔(20)를 상기 수용 부재(10) 내로 삽입한다. 이때, 상기 와셔(20)에는 리세스(23)가 형성되어 있어 수용 부재(10)의 제2 테이퍼면(19b)에 대해 걸림턱을 형성하는 부분이 상당히 적으므로 상기 와셔(20)는 상기 수용 부재(10) 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셔(20)에 절개부(2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와셔(20)가 내측으로 탄성적으로 수축될 수 있으므로, 상기 와셔(20)가 상기 수용 부재(10) 내에 삽입되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한다.
도 8은 와셔(20)가 안착된 수용 부재(10)의 종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b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수용 부재(10) 내에 삽입된 와셔(20)를 90° 회전시켜 상기 와셔(20)의 수평면(23a) 및 상기 와셔(20)의 외측면이 상기 수용 부재(10)의 제1 테이퍼면(19a)에 안착되도록 한다.
도 9는 수용 부재(10) 및 와셔(20) 내에 고정 부재(30)를 삽입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셔(20)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상기 고정 부재(30)를 상기 와셔(20) 내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와셔(20)에 절개부(2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 부재(30)의 헤드부(31)의 가압으로 인해 상기 와셔(20)는 상기 수용 부재(10)의 내부 공간에서(또는 상기 수용 부재의 고리형 리세스(18)에서)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확장될 수 있으므로, 상기 고정 부재(30)는 상기 와셔(20) 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도 10은 조립이 완료된 경추 나사못(100)의 종단면도이고, 도 11은 수용 부재(20)에 대하여 고정 부재(30)가 각도를 형성하고 있는 경추 나사못(100)의 종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 부재(10)의 고리형 리세스(18)와 제1 테이퍼면(19a)은 상기 와셔(20)가 회전할 수 있는 회전 공간을 형성하므로, 상기 수용 부재(10)는 상기 고정 부재(30)에 대하여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 부재(10)와 상기 고정 부재 사이(30)에는 유동성이 제공된다. 또한, 고리형 리세스(18) 상부의 돌출부(18a) 및 고리형 리세스 하부의 제1 테이퍼면(19a)은 상기 와셔(20)가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여 상기 와셔가 수용 부재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제1 테이퍼면(19a)과 상기 돌출부(18a)로 인해, 상기 와셔(20) 및 상기 와셔(20)에 안착된 고정 부재(30)는 수용 부재(10) 밖으로 이탈될 염려 없이 넓은 범위의 회전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가 큰 삽입 각도로 경추에 고정되어도 수용 부재의 수납홈을 로드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할 수 있어, 로드를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경추 나사못에 안착 및 정렬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며,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범위의 기재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경추 나사못 10 : 수용 부재
11 : 몸체 13 : 수납홈
15 : 암나사부 17 : 개구부
18 : 고리형 리세스 18a : 돌출부
19 : 고리형 돌출부 19a : 제1 테이퍼면
19b : 제2 테이퍼면 19c : 리세스
20 : 와셔 21 : 절개부
23 : 리세스 23a : 수평면
23b : 경사면 25 : 안착면
27 : 외측 테이퍼면 30 : 고정 부재
31 : 헤드부 33 : 나사부
35 : 공구홈

Claims (11)

  1. 몸체(11)의 상부(A)에는 로드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홈(13)이 형성되어 있고, 몸체(11)의 하부(B)에는 상기 수납홈(13)과 연결되어 몸체(11)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개구부(17)가 형성된 수용 부재(10)와;
    상기 수용 부재(10)의 개구부(17)를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수용 부재(10)의 하부(B)에 안착되는 와셔(20)와;
    상기 와셔(20) 내에 안착되는 헤드부(31)와, 상기 헤드부(31)에서 하부 방향으로 일체형으로 뻗어있어 척추경에 삽입되는 나사부(33)를 포함하는 고정 부재(30);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부재(10)의 하부(B)의 내측에는, 상기 와셔(20)의 상부면이 상기 수용 부재(10)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소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상기 와셔(20)가 상기 수용 부재(10)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고리형 리세스(18)와, 상기 고리형 리세스(18)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와셔(20)가 상기 수용 부재(10)에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는 고리형 돌출부(19)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나사못.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리세스(18)의 상부에는, 돌출부(18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나사못.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돌출부(19)는 내측방향의 제1 테이퍼면(19a) 및 외측방향의 제2 테이퍼면(19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나사못.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리세스(18)와 상기 고리형 돌출부(19)의 제1 테이퍼면(19a)은, 상기 수용 부재(10)가 상기 고정 부재(3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와셔(20)의 회전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나사못.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30)의 헤드부(33)의 곡률 중심의 위치와 상기 와셔(20)의 곡률 중심의 위치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나사못.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30)와 상기 수용 부재(10)는, 상기 수용 부재(10) 길이방향 축에 대해 상기 고정 부재(30)의 길이방향 축의 각도가 최대 50°까지 되도록 서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나사못.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돌출부(19)에는 대향하는 두 개의 리세스(19c)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나사못.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20)의 일측에는 소정 간격의 절개부(2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나사못.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20)의 외측 하부에는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는 두 개의 리세스(2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나사못.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20)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 부재(30)의 헤드부(31)가 안착되는 안착면(25)과, 상기 안착면(25)의 하부에 위치되는 외측 테이퍼면(2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나사못.
  11.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30)의 헤드부(31)의 상부에는, 공구홈(35)이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나사못.
KR1020100028764A 2010-03-30 2010-03-30 경추 나사못 KR100980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764A KR100980459B1 (ko) 2010-03-30 2010-03-30 경추 나사못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764A KR100980459B1 (ko) 2010-03-30 2010-03-30 경추 나사못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0459B1 true KR100980459B1 (ko) 2010-09-07

Family

ID=43009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764A KR100980459B1 (ko) 2010-03-30 2010-03-30 경추 나사못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04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990B1 (ko) 2016-04-08 2017-02-13 주식회사 지에스메디칼 경추용 나사 장치
US10231758B2 (en) 2010-11-24 2019-03-19 Biedermann Technologies Gmbh & Co. Kg Polyaxial bone anchoring device with enlarged pivot ang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5876B1 (ko) 2002-11-25 2005-06-16 유앤아이 주식회사 뼈 고정장치와 조립방법 및 시술 공구
JP2006525047A (ja) 2003-05-07 2006-11-09 ビーダーマン・モテーク・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タ・ハフツング 骨、特に脊椎のための、動的固定装置およびこのような固定装置を有する動的安定化装置
KR20070006614A (ko) * 2005-07-08 2007-01-11 비이더만 모테크 게엠베하 뼈 고정 장치
KR20080072858A (ko) * 2005-10-20 2008-08-07 워쏘우 오르쏘페딕 인코포레이티드 바텀 로딩 다중축 스크류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5876B1 (ko) 2002-11-25 2005-06-16 유앤아이 주식회사 뼈 고정장치와 조립방법 및 시술 공구
JP2006525047A (ja) 2003-05-07 2006-11-09 ビーダーマン・モテーク・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タ・ハフツング 骨、特に脊椎のための、動的固定装置およびこのような固定装置を有する動的安定化装置
KR20070006614A (ko) * 2005-07-08 2007-01-11 비이더만 모테크 게엠베하 뼈 고정 장치
KR20080072858A (ko) * 2005-10-20 2008-08-07 워쏘우 오르쏘페딕 인코포레이티드 바텀 로딩 다중축 스크류 어셈블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31758B2 (en) 2010-11-24 2019-03-19 Biedermann Technologies Gmbh & Co. Kg Polyaxial bone anchoring device with enlarged pivot angle
US11116546B2 (en) 2010-11-24 2021-09-14 Biedermann Technologies Gmbh & Co. Kg Polyaxial bone anchoring device with enlarged pivot angle
US11937852B2 (en) 2010-11-24 2024-03-26 Biedermann Technologies Gmbh & Co. Kg Polyaxial bone anchoring device with enlarged pivot angle
KR101701990B1 (ko) 2016-04-08 2017-02-13 주식회사 지에스메디칼 경추용 나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8659B2 (en) Spinous process stabilization device and method
JP6353370B2 (ja) ロッドを骨固定要素に結合するための結合アセンブリ、および多軸骨固定装置
US8262700B2 (en) Transverse spinal linking device and system
JP6957453B2 (ja) 脊椎固定システム
JP6218711B2 (ja) 骨固定要素にロッドを連結するための連結アセンブリ、多軸骨固定装置、モジュール式多軸骨固定装置、およびモジュール式安定化装置
US20180185070A1 (en) Coupling assembly for coupling a rod to a bone anchoring element and bone anchoring device with such a coupling assembly
ES2312071T5 (es) Unión de tornillos/barra en arrastre de fuerza con un componente para unión positiva.
US8100946B2 (en) Polyaxial bone anchors with increased angulation
US10070895B2 (en) Dual tulip assembly
US20100174322A1 (en) Biased Bumper Mechanism and Method
US20050277927A1 (en) Fastening system for spinal stabilization system
JP2015131111A (ja) ロッドを骨アンカー要素に結合するための結合アセンブリおよび多軸骨アンカー装置
JP2010505541A (ja) 脊椎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のためのアンカー組立体
JP2008502428A (ja) 脊椎インプラント固定アセンブリ
KR20130046369A (ko) 높은 축전위 다축 뼈 고정 장치
JP2007503863A (ja) 多軸ヘッドを有する骨固定インプラントおよびインプラントを装着する方法
US9131972B2 (en) Screw for fixing vertebra
US9877751B2 (en) Bone screw of minimally invasive fixation device for lumbar
CN102525621A (zh) 用于稳定椎骨或骨部分的稳定装置
JP2007537788A (ja) 多重同軸ネジシステム
JP2012504477A (ja) 細長い部材を骨に取り付ける外科用接続具
KR101868694B1 (ko) 뼈 고정 스크류 장치 및 그 체결방법
KR100980459B1 (ko) 경추 나사못
KR102106023B1 (ko) 척추용 케이지
KR101563415B1 (ko) 척추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