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1526B1 - 뼈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뼈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1526B1
KR101201526B1 KR1020060071473A KR20060071473A KR101201526B1 KR 101201526 B1 KR101201526 B1 KR 101201526B1 KR 1020060071473 A KR1020060071473 A KR 1020060071473A KR 20060071473 A KR20060071473 A KR 20060071473A KR 101201526 B1 KR101201526 B1 KR 101201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shank
bone
receptacle
longitudin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6960A (ko
Inventor
빌프리드 맷티스
루츠 비더만
Original Assignee
비이더만 모테크 게엠베하 &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이더만 모테크 게엠베하 & 코. 카게 filed Critical 비이더만 모테크 게엠베하 & 코. 카게
Priority to KR1020060071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1526B1/ko
Publication of KR20070016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6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1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1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 A61B17/8685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comprising multiple separat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01Screws or hooks combined with longitudinal elements which do not contact vertebrae
    • A61B17/7032Screws or hooks with U-shaped head or back through which longitudinal rods p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2017/564Methods for bone or joint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뼈 고정장치는 뼈 또는 척추에 고정되는 생크(14) 및 헤드(16; 160)를 포함하는 고정부재(13);
제1단부(2) 및 상기 제1단부(2)에 대향하는 제2단부(3), 상기 두 개의 단부를 관통하는 종축선(4), 상기 종축선(4)과 동축인 보어(5), 상기 헤드의 부분(22; 221)을 수용하기 위한 제2단부(3)에 인접한 부분(7; 70)을 포함하는 수용부(1; 100);
상기 헤드(16; 160)를 수용부 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헤드에 압력을 가하는 부재(28; 30)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1) 및 상기 고정부재(13)는 상기 수용부(1)의 종축선(4)과 생크 축선(14a)이 상호 고정된 각도를 가지도록 고정되고, 상기 수용부(1) 및 상기 생크(14)는 상기 헤드 상에 압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종축선(4)을 중심으로 상호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헤드에 압력이 작용할 때 회전이 방지되도록 고정된다.
뼈, 척추, 고정, 헤드, 생크, 수용부

Description

뼈 고정장치{BONE ANCHOR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뼈 고정장치의 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뼈 고정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뼈 고정장치의 일부인 뼈 고정부재의 헤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뼈 고정장치의 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뼈 고정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따른 뼈 고정장치의 일부인 뼈 고정부재의 헤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뼈 고정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뼈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뼈에 고정되는 생크 및 헤드를 가지는 고정부재와, 상기 헤드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헤드에 압력을 가하는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생크와 헤드는 수용부의 종축선과 생크 축이 서로에 대해 고정된 각을 가지며, 수용부와 헤드가 서로에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뼈 내에 고정되도록 된 생크와 이 생크를 로드에 연결하기 위한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와 생크가 단일 부품으로 형성되는 뼈 고정장치는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5,005,562호 또는 독일특허 101 57 969 C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소위 단축 뼈나사의 나사 체결시, 수용부는 뼈 내의 고정부재 내에서 생크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로드를 수용하도록 조절된다. 생크가 뼈 내에 나사 체결되는 깊이는 로드에 대한 수용부의 원하는 방향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므로 로드에 대한 수용부의 방향을 미세 조정할 수 있는 정도는 나사를 구비하는 생크의 나사 피치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단축 뼈나사는 신체구조의 치수 내에 완전히 안착되도록 나사 체결되는 것이 불가능하다.
생크와 헤드가 분리된 다축 뼈 고정장치는 미국특허 제6,835,196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 뼈 고정장치는 뼈 내에 고정되도록 된 생크, 부분구 형상(spherical segment shaped) 부분을 구비하는 외면을 가지는 헤드, 상기 헤드 및 이 헤드 상에 압력을 가하는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구비한다. 생크는 헤드 내의 보어 내에 수용되며, 헤드는 이 헤드에 압력이 가해질 때 생크의 단부를 클램핑하기 위한 탄성항복(spring yielding) 에지를 구비하는 헤드 내의 보어 내에 수용된다. 헤드는 부분구 형상의 외면을 가지고 있으므로 헤드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수용부 내에서 선회가 가능하다. 이 뼈 고정장치에 있어서, 먼저 생크를 나사 체결하고, 필요한 경우 생크의 길이를 조정하고, 다음에 이 생크를 헤드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정의 임상 적용분야에서는 단축(monoaxial) 뼈나사가 다축(polyaxial) 뼈나사보다 적합하다. 그러나, 공지의 단축 뼈나사는 로드에 대해 수용부를 조절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적고, 또 뼈 표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기 위해서는 뼈 내에 완전히 안착되는 불리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로드에 대한 수용부의 조절의 가능성이 개선되고, 뼈의 표면과 동일면 상에 배치되기 위해 뼈 내에 완전이 안착되는 단축 형식의 뼈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 이 뼈 고정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조작이 용이하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뼈 고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추가의 개선점은 종속항에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뼈 고정부재는 생크가 뼈 내에 나사체결되는 깊이에 무관하게 샤프트의 축선을 중심으로 360도의 범위에서 로드에 대해 수용부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이 조절은 생크에 제공되어 있는 뼈나사의 나사 피치와 무관하다. 그러므로, 생크는 나사체결되어 뼈 내에 완전 안착됨으로써 뼈의 표면과 동일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추가의 이점은 종래의 단축 뼈나사에 비해 더 큰 나사 피치를 가지는 뼈나사산이나 다중 나사산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미국특허 제6,835,19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공지의 다축 뼈 고정장치의 수용부와 생크를 본 발명에 따른 헤드에 단순히 결합함으로써 단축 뼈나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과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과 관련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뼈 고정장치는 수용부(1)를 구비한다. 이 수용부는 실질적으로 원통상이고, 제1단부(2) 및 이 제1단부에 대향하는 제2단부(3)를 가진다. 이들 두 단부는 종축선(4)에 대해 수직을 이룬다. 종축선(4)과 동축으로 보어(5)가 제공되어 있다. 이 보어는 제1단부(2)로부터 제2단부(3)를 향해 소정거리만큼 연장해 있다. 제2단부(3)에는 개구(6)가 제공되어 있고, 이 개구의 직경은 보어(5)의 직경보다 작다. 이 동축 보어(5)는 구면 부분(7)의 개구(6)를 향해 테이퍼를 이루고 있다.
수용부(1)는 또 제1단부(2)로부터 제2단부(3)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있는 U자형 리세스(8)를 구비한다. U자형 리세스에 의해 제1단부(2)를 향해 연장하는 2개의 자유 레그(free legs; 9, 10)가 형성된다. 수용부(1)의 제1단부(2)에 인접한 레그(9, 10)에는 암나사산(11)이 형성되어 있다.
본 뼈 고정부재(13)는 뼈나사산(15)과 헤드(16)를 구비하는 생크(14)를 포함하고 있다. 헤드(16)는 별개의 부품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도 1에 도시된 조립된 상태에서 생크에 연결된다. 생크(14)는 생크 축선(14a)을 가지고 있고, 또 헤드(16) 내에 수용되도록 된 원통상 단부(17) 및 그 대향측의 선단부(18)를 구비한다. 원통상 단부(17)에는 헤드(16)에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모따기(17a)가 제공되어 있다. 원통상 단부의 단부표면에는 나사체결 공구와 결합하기 위한 리세스(12)가 구비되어 있다.
헤드(16)는 원통상이고, 제1단부(19)와 제1단부에 대향하는 제2단부(20)를 구비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6)는 제1단부(19)에 인접하여 원통상 외면을 가지는 제1 부분(21)을 구비한다. 제1 부분(21)의 직경은 헤드(16)가 보어(5)에 슬라이딩될 수 있는 크기이다. 제1 부분(21)에 인접하여 제2부분(22)이 있고, 이 제2부분에서 헤드(16)의 외면은 제2단부(20)를 향하여 테이퍼를 이루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부분(22)은 부분구 형상의 외면을 가진다. 이 부분구 형상의 반경은 헤드(16)의 제2부분(22) 또는 그 일부가 수용부(1)의 구면 부분(7) 내에 안착하도록 그 구면 부분(7)의 반경에 일치한다. 특히,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헤드(16)는 또한 제2단부(20)로부터 제1단부(19)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동축 보어(23)를 구비한다. 이 제1 동축 보어(23)의 직경은 생크의 원통상 단부(17)가 제2단부(20)로부터 보어 내에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이다. 제1 동축 보어(23)로부터 제1단부(19)를 향해 연장하는 제2 동축 보어(24)가 제공된다. 이 제2 동축 보어(24)의 직경은 제1 동축 보어(23)의 직경보다 작고, 제1 동축 보어(23)와 제2 동축 보어(24) 사이에는 원형의 접촉면(25)이 제공되고, 이 접촉면은 원통상 단부(17)가 헤드(16)의 제1 동축 보어(23) 내에 삽입될 때 생크의 원통상 단부(17)를 위한 일종의 스토퍼를 형성한다.
헤드의 제2부분(22)에는 복수의 슬릿(26)이 제공되어 있다. 이들 슬릿은 제2단부(20)를 향해 개방되고, 제2단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까지 제2단부를 통해 연장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된 6개의 슬릿(26)이 제공된다. 그러나, 이 보다 적거나 이 보다 많은 슬릿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부분에 생크의 원통상 단부(17)를 클램핑하기 위한 탄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최소 1개 이상의 슬릿이 필요하다. 나사체결 공구를 이용하여 뼈 내에 생크를 나사체결하기 위해 제2 동축 보어(24)를 통해 생크의 원통상 단부(17)의 단부면에 제공된 리세스(12)에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다.
헤드(16)는 또한 부분 원통상(cylindrical segment-shaped)의 리세스(27)를 구비한다. 이 리세스는 제1단부(19)에서 시작하여 제2단부(20)의 방향으로 연장한다. 리세스(27)의 원통의 축선은 종축선(4)에 수직하다. 리세스(27)의 반경은 이 리세스(27) 내에 수용되도록 된 로드(28)의 반경과 일치한다. 리세스(27)의 치수는 로드(28)가 이 레세스 내에 삽입되었을 때 제1단부(19)를 초과하여 돌출하는 치수이다.
본 뼈 고정장치는 또 내부 나사(30)를 구비한다. 이 내부 나사는 양 레그(9, 10) 사이에 나사체결되어 로드(28)을 고정함과 동시에 이 로드(28)를 통해 헤드(16) 상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암나사산(11) 및 이 것에 치합하는 내부 나사(30)의 나사산은 임의의 공지된 나사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평나사산 또는 음각 나사산(negative angle thread)은 레그(9, 10)의 벌어짐(splaying)을 발생시키지 않고, 외부 너트 또는 외부 링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 하므로 유리하다.
헤드(16)의 길이는 도 1에 도시된 조립된 상태에서 헤드(16)의 부분구 형상의 제2부분(22)과 원통상 부분(21)의 일부가 생크의 원통상 단부(17)를 포위하는 정도의 길이이다.
전술한 뼈 고정장치의 부품들은 예를 들면 티타늄과 같은 신체 적합성 재료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조작 모드에 있어서, 적절한 길이 및 소망의 뼈나사산(15)을 가지는 생크(14)를 선택하고, 그 원통상 단부(17)를 헤드(16)에 연결시킨다. 이 연결은 원통상 단부(17)의 단부표면이 접촉면(25)에 접촉할 때까지 원통상 단부(17)를 헤드(16)의 제2단부(20)로부터 제1보어(23) 내에 도입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원통상 단부(17)를 제2단부(20)로부터 헤드(16) 내에 도입하는 것은 모따기(17a)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원통상 단부(17)는 마찰력에 의해 헤드(16) 내에 임시로 유지된다.
다음에 헤드(16)가 장착된 생크(14)로 이루어진 뼈 고정부재(13)를 수용부(1)의 제1단부(2)로부터 수용부(1) 내에 도입한다. 이때 나사산을 구비하는 생크(14)는 수용부의 개구(6)를 통해 안내되고 결국 헤드(16)가 개구(6)의 연부에 안착된다. 헤드와 생크를 회전시켜 줌으로써 헤드의 리세스(27)와 수용부의 U자형 리세스(8)가 일치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크림프 보어(crimp bore; 31)에 의해 느슨하게 유지되는 이 예비조립된 상태에서, 생크를 나사체결 공구를 이용하여 뼈 내에 나사체결한다. 나사체결 공구는 헤드의 제2 동축 보어(24)를 통해 원통상 부분 내의 리세스(12)에 결합된다. 생크(14)는 나사체결 작업 중에 수용부를 정렬시킬 필요없이 사전에 천공된 통공 내에 완전히 나사체결될 수 있다.
생크가 완전히 나사 체결되면, 수용부를 헤드와 함께 종축선(4)를 중심으로 360도 회전하여 삽입될 로드(28)에 대해 정렬시킨다. 수용부(1)를 정렬한 후, 로드(28)를 이것이 헤드의 원통상 리세스(27) 내에 안착될 때까지 삽입한다. 다음에, 내부나사(30)를 삽입하여 조여준다. 그 결과 내부나사는 로드(28)를 가압하고, 로드는 헤드(16)를 수용부의 구면 부분(7)에 대해 가압한다. 헤드(16)를 수용부의 구면 부분(7)에 대해 가압해 주면 헤드의 제2부분(22)이 슬릿(26)으로 인해 압축되어 생크를 강고하게 클램핑한다. 동시에 헤드는 구면 부분(7)에 가압되어 수용부(1)에 대한 회전이 방지되도록 고정된다.
제2 조작 모드에 있어서, 먼저 나사산을 구비하는 생크(14)를 뼈 또는 척추 내에 나사 체결한다. 다음에, 수용부(10를 느슨하게 예비조립된 헤드(16)와 함께 뼈의 외부에 돌출해 있는 생크의 단부(17)에 가압한다. 다음에, 수용부(1)를 로드(28)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정렬한다. 다음에 내부 나사(30)를 나사체결하여 헤드와 로드를 고정시킨다.
이 뼈 고정장치에 종래의 단축 뼈나사보다 더 큰 나사산 피치를 가지는 뼈나사산(15)을 가지는 생크(14)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뼈나사산용 다중 나사산의 사용도 가능하다. 수용부를 샤프트의 축선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샤프트를 통공 내에 최대 깊이까지 나사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종래의 다축 뼈 나사의 수용부를 본 실시예의 헤드 및 생크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품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되었다. 제2 실시예는 수용부의 헤드가 안착되는 부분의 형상 및 헤드의 형상이 제1 실시예와 다르다. 제2 실시예의 수용부(100)는 제2단부(3)의 인접부에 구면 부분(7) 대신 원추면 부분(70)을 구비한다. 이에 대응하여 헤드(160)는 제2단부(20)를 향해 원추형으로 테이퍼를 이루는 외면을 가지는 제2부분(221)을 구비한다. 원추의 각도는 예비 조립된 상태에서 수용부(100)가 여전히 헤드(160)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선택된다.
조작 모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제2 실시예의 뼈 고정장치는 원추형 외면을 가지는 헤드의 제작이 더 용이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이들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 생크(14)의 나사산 부분의 직경을 원통상 단부(17)의 직경보다 더 작거나 더 크게 할 수 있다. 원통상 단부(17)는 그 직경이 자유 단부를 향하여 증대하는 원추형상을 가진다. 이것에 대응하는 헤드의 제1 동축 보어(23)는 대응하는 원추 형상을 가진다. 이 경우, 제1 동축 보어(23)의 직경은 원통상 단부의 직경보다 약간 더 작다. 슬릿(26)들로 인해 보어(23)가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고, 생크의 단부의 삽입 후 단부가 약하게 클램핑된다. 원추의 각도는 생크가 헤드에 삽입되었을 때 자동적 록킹이 발생하는 각도로 선택될 수 있다. 헤드는 제1단부(19)를 향하여 개방된 하나 이상의 슬릿을 가질 수 있다.
추가의 변형예에 있어서, 헤드는 예를 들어 적절한 플라스틱 재료와 같은 탄성을 제공하는 재료로 제작된다. 이 경우, 슬릿이 생략될 수 있다.
수용부도 또한 변형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수용부의 구면 부분(7)의 반경은 개구의 직경이 헤드가 탈락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작은 경우 헤드의 반경에 비해 크게 할 수 있다. 또, 그 형상은 구면 대신 원의 형상 또는 개구를 향해 테이퍼를 이루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헤드(16)는 원통상 리세스(27) 대신 U자형 리세스를 구비할 수 있고, 이 U자형 리세스에 의해 2개의 자유 레그가 형성될 수 있다. U자형 리세스의 치수는 이곳에 로드가 삽입되었을 때 레그가 로드의 상측으로 돌출하는 치수이다. 이 경우, 로드를 고정하지 않고 내부 나사에 의해 헤드(16)를 별도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로드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내부 나사가 필요하다.
상기 헤드는 또 평탄한 자유 단부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생크와 헤드는 별도의 부품이다. 그러나, 생크와 헤드를 단일 부품의 뼈 고정부재로서 형성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도 7은 생크와 헤드를 단일 부품으로서 형성한 뼈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제 3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부품 중 제1 또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한 부품은 제1 또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번호를 가진다. 수용부(100)는 제2단부(3)에 인접한 원추면 부분(70)을 가지는 도 4에 도시된 제2 실시예의 수용부와 동일한 형상이다. 이 뼈 고정부재(130)는 뼈나사산(도시 생략)를 가지는 생크(114)와 단일 부품으로서 형성된 헤드(161)를 포함한다. 헤드(161)는 원통상 외면을 가지는 제1 부분(121)과 생크를 향하여 테이퍼를 이루는 원추형 외면을 가지는 인접하는 제2 부분(122)을 가진다. 제1 부분의 직경은 헤드가 수용부(100)의 보어(5) 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는 치수이다. 원추형 제2 부분(122)의 원추 각도는 수용부의 원추면 부분(70)의 원추 각도와 일치한다. 헤드의 자유 단부표면(123)은 평탄하고 나사 체결 공구와의 결합을 위한 리세스(12)를 가진다. 평탄 표면은 수용부를 정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사용 시, 먼저 뼈 고정부재(130)를 수용부(100)에 삽입한 다음 뼈에 나사 체결한다.
수용부가 뼈 내에 완전히 안착되었을 때 수용부는 여전히 헤드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고, 따라서 로드를 수용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로드(28)의 삽입 후, 내부 나사(30)를 조이면 로드(28) 상에 압력이 가해지고, 로드는 레드(161) 상에 압력을 가한다. 헤드는 수용부의 개구(6) 또는 원추면 부분(70)에 압력을 가하여 그 회전이 방지되도록 고정된다.
변형예가 가능하다. 즉, 수용부의 원추면 부분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헤드는 예를 들면 원추형 단면 대신 구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수용부의 로드에 대한 조절의 가능성이 개선되고, 뼈의 표면과 동일면 상에 배치되도록 뼈 내에 완전이 안착되는 단축 형식의 뼈 고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4)

  1. 뼈 고정장치에 있어서,
    뼈 또는 척추에 고정되는 축선(14a)을 가지는 생크(14) 및 헤드(16; 160)를 포함하는 고정부재(13);
    제1단부(2) 및 상기 제1단부(2)에 대향하는 제2단부(3), 상기 두 개의 단부를 관통하는 종축선(4), 상기 종축선(4)과 동축인 보어(5), 상기 헤드의 부분(22; 221)을 수용하기 위한 제2단부(3)에 인접한 부분(7; 70)을 포함하는 수용부(1; 100);
    상기 헤드(16; 160)를 수용부 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헤드에 압력을 가하는 부재(28; 30)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1) 및 상기 고정부재(13)는 상기 수용부(1)의 종축선(4)과 생크 축선(14a)이 상호 고정된 각도를 가지도록 고정되고, 상기 수용부(1) 및 상기 생크(14)는 상기 헤드 상에 압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종축선(4)을 중심으로 상호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헤드에 압력이 작용할 때 회전이 방지되고,
    상기 생크(14)와 상기 헤드(16; 160)는 별개의 부품이고,
    상기 헤드(16; 160)는 원통상 부분(21)을 구비하는 외면을 가지는 뼈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16)는 압력 상기 헤드(16; 160)에 가해질 때 상기 생크(14)를 탄성적으로 클램핑하는 부분(22, 221)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고정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16; 160)는 제1단부(19), 제2단부(20), 및 로드(28)를 수용하기 위해 제1단부로부터 제2단부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원통상 리세스(2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고정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16; 160)는 상기 생크를 수용하기 위해 중공의 제1 동축 보어(23)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고정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제1단부(19) 및 제2단부(20)를 구비하고, 생크를 클램핑하기 위한 부분(22; 221)은 제2단부(20)를 향하여 테이퍼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고정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생크를 클램핑하는 부분(22)은 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고정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생크를 클램핑하는 부분(221)은 원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고정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를 클램핑하는 부분(22; 221)은 하나 이상의 슬릿(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고정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16; 160)를 수용하는 상기 수용부(1)의 상기 부분(7; 70)은 상기 제2단부(3)를 향하여 테이퍼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고정장치.
  12.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의 종축선(4)과 상기 생크 축선(14a)은 동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고정장치.
  13. 삭제
  14. 삭제
KR1020060071473A 2005-08-03 2006-07-28 뼈 고정장치 KR101201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473A KR101201526B1 (ko) 2005-08-03 2006-07-28 뼈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0/704,992 2005-08-03
EP05016901.0 2005-08-03
KR1020060071473A KR101201526B1 (ko) 2005-08-03 2006-07-28 뼈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6960A KR20070016960A (ko) 2007-02-08
KR101201526B1 true KR101201526B1 (ko) 2012-11-15

Family

ID=43650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473A KR101201526B1 (ko) 2005-08-03 2006-07-28 뼈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152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6960A (ko) 200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84195B2 (ja) 骨固着装置
KR100445332B1 (ko) 뼈고정요소를위한조절가능한클램프
US9034021B2 (en) Bone anchoring device
US8784455B2 (en) Bone anchoring device
CA2535296C (en) Clamping device
AU752211B2 (en) Angle-adjustable bone screw and device for the osteosynthetic bone fixation
US7758620B2 (en) Device for connecting a screw to a support plate
EP1743584A1 (en) Bone anchoring device
US9510868B2 (en) Polyaxial bone anchoring device
KR20040054786A (ko) 종단 캐리어를 뼈 고정수단에 연결하기 위한 장치
KR101147452B1 (ko) 뼈 고정 장치
EP1749489A1 (en) Bone anchoring device
KR101201526B1 (ko) 뼈 고정장치
CA2669794C (en) Angle-adjustable bone screw and device for the osteosynthetic bone fixation
ZA200109471B (en) Angle-adjustable bone screw and device for the osteosynthetic bone fixation.
NZ515763A (en) Angle-adjustable bone screw and device for the osteosynthetic bone fix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