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5365A - 광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광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5365A
KR20070005365A KR1020050060659A KR20050060659A KR20070005365A KR 20070005365 A KR20070005365 A KR 20070005365A KR 1020050060659 A KR1020050060659 A KR 1020050060659A KR 20050060659 A KR20050060659 A KR 20050060659A KR 20070005365 A KR20070005365 A KR 20070005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cording layer
recording
thickness
information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0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9980B1 (ko
Inventor
이광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0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9980B1/ko
Priority to EP05026856A priority patent/EP1818921B1/en
Priority to DE602005027889T priority patent/DE602005027889D1/de
Priority to TW094144693A priority patent/TWI315521B/zh
Priority to US11/303,937 priority patent/US7704582B2/en
Priority to CNB2005101339216A priority patent/CN100517478C/zh
Priority to JP2005367138A priority patent/JP4884001B2/ja
Publication of KR20070005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5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9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9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3Layer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35Recording layers
    • G11B7/24038Multiple laminated recording lay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 G11B7/243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s only, e.g. ablative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3Material designed to be responsive to temperature, light, mois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0Radiation imagery chemistry: process, composition, or product thereof
    • Y10S430/146Laser bea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광기록매체는 레이저 빔이 조사되어 정보기록층 내에서 주변 물질과 다른 반사도를 갖는 새로운 물질이 생성되는 메커니즘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광기록매체에 있어서, 기판; 상기 기판의 상부에 위치하여 입사하는 상기 레이저 빔을 반사하는 반사층;및 상기 반사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정보기록층을 포함하며, 상기 정보기록층은, AXB1-X(0,1≤X≤0.9)의 형태로 구성된 화합물로서, A는 Ni, Ag, W, C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원소이고, B는 A에 해당하는 원소를 제외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소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이저 빔이 먼저 입사되는 면인 제1기록층; 및 Si, Sn, Sb 및 G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며, 상기 기판과 가까운 면인 제2기록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기록매체는 기록물질을 구성을 조합하여 BD 시스템에 적합한 높은 기록밀도와 데이터 전송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광기록매체, 기록물질, 추기형

Description

광기록매체{Optical Recording Medium}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따른 광기록매체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광기록매체에 랜드 기록을 할 경우 기록마크가 생성된 일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광기록매체에 그루브 기록을 할 경우 기록마크가 생성된 일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기록매체에 기록민감도 촉진층이 포함될 경우 기록마크가 생성된 일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광기록매체의 정보기록층에 제1기록층과 제2기록층이 교대로 적층된 경우 기록마크가 생성된 일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광기록매체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모의 실험 결과 중 Si를 주원소로 하는 제2기록층과 Ag 합금으로 이루어진 제1기록층의 두께의 조합에 따른 반사도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실험 결과를 제1기록층의 두께에 대한 제2기록층의 두께 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기록매체에서 기록층 두께 조합에 따라 광기록매체의 트랙 중앙에 나타난 수직 온도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상부 유전체층과 하부 유전체층의 두께 조합이 변할 경우 Si(90Å)/Ag 합금(30Å)의 기록층을 가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기록매체의 반사도 변화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기록매체에서 제1기록층의 물질(Ag)에 Sb와 Te를 첨가한 경우 각 첨가비율에 따라 DC 어닐링 파워(annealing power)로 기록민감도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기록매체의 성능 평가를 위해 상기 광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에 사용된 레이저 기록 펄스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는 제1기록층의 물질(Ag) 단독으로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기록매체의 RF 아이 패턴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b는 제1기록층의 물질(Ag)에 Sb와 Te를 합하여 5 원자 백분율로 첨가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기록매체의 RF 아이 패턴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c는 제1기록층의 물질(Ag)에 Sb와 Te를 합하여 20 원자 백분율로 첨가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기록매체의 RF 아이 패턴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기록매체의 제1기록층의 물질(Ag)에 Sb와 Te를 첨가했을 경우 그 첨가비율에 따른 지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광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록안정성이 높으면서 데이터 기록를 조밀하게 할 수 있는 추기형 광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동화상 및 정지 화상을 포함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컴퓨터 데이터 정보를 종합적으로 다루는 멀티미디어 시대의 도래와 함께 CD 및 DVD를 비롯한 각종 디스크 등의 패키지 미디어가 이미 폭 넓게 보급되고 있다. 최근에는 광기록매체를 모바일 폰(Mobile phone), 디지털 카메라, 방송 및 영화의 기록 매체로 응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있다.
이러한 광기록매체에는 재생전용 광기록매체(Read-only memory; ROM)와 정보를 오직 한번 기록할 수 있는 추기형(Recordable) 광기록매체, 반복해서 정보를 쓰고 읽고 지우기가 가능한 반복기록형(Rewritable) 광기록매체가 있다.
이 중 추기형 광기록매체는 데이터 백업(data backup)이나 방송, 영화 등의 소장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추기형 광기록매체의 기록층 물질은 염료(dye)와 같은 유기물을 이용하거나 무기물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기록층 물질로서 유기물이 사용되는 경우 광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장기 보존에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추기형 광기록매체의 기록 메커니즘은 a) 기록물질이 연소(burning)되 어 피트(pit)가 생성되거나, b) 기록물질이 분해(decomposition)되면서 부피가 팽창하여 피트(pit)가 생성되거나, c) 기록층이 용융된 다음 고체화 되면서 새로운 상(phase)이 생성되거나, d) 이종 물질의 접촉면에서 반응에 의한 새로운 물질이 생성되는 것(예로 규화물, 게르마늄화물, 안티몬화물) 등이 있다.
또한, 상기한 매커니즘이 복합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복합적인 매커니즘에 의해 기록마크가 생성되는 경우로서 레이저 빔이 광기록매체에 조사되면 기록층내의 제1물질과 제2물질이 상태변화를 일으키며 혼합되어 기록층 주위와 광학적 특성이 다른 물질이 생성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는 기록물질의 변화된 광학적 특성에 의해 데이터가 기록되고, 기록전과 기록후의 변화된 광학적 특성에 의해 반사율의 변화로서 상기 기록된 데이터가 판독될 수 있다.
상기한 복합적 매커니즘이 광기록매체에서 일어나기 위해서 광기록매체는 그 매커니즘이 일어날 수 있는 내부 구조와 그 내부 구조에 맞는 기록물질의 조합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차세대 기록매체는 매우 높은 기록밀도와 데이터 전송속도가 요구된다. 광기록매체에 기록되는 기록 밀도를 높이기 위해 광기록매체의 기록마크의 크기는 현재보다 더 작아야한다. 따라서, 광기록매체에 조사되는 레이저 파장은 450nm이하로 짧아져야 하고, 개구수(Numerical aperture)도 0.7이상으로 커야 한다. 또한, 데이터 전송 속도도 현재의 30~35Mbps보다 훨씬 높아야 한다.
차세대 기록매체 중 하나인 BD(Blu-ray Disc)의 경우 405nm 파장에 기록선속 도 5.28m/s ~ 10.56m/s와 레이저 파워 3~7mW 범위내에서 수용할 만한 지터(jitter)의 특성을 얻는 기록물질이 광기록매체에 포함되어야 한다.
특히, 상기의 특성을 갖는 추기형 광기록매체는 ⅰ) 광기록매체 내의 기록마크와와 스페이스사이의 컨트라스트가 커야 하고, ⅱ) 기록민감도가 높아야 하며, ⅲ) 기록된 마크가 안정성을 가져야 하고, ⅳ) 기록마크의 잡음과 지터를 포함한 기록 특성 등이 BD 시스템에서 만족할 만한 특성을 가지는 기록물질의 조합이 필요하다.
또한, 광기록매체에 레이저가 조사되어 광기록매체 내에 기록마크가 만들어질 경우 상기 기록마크를 만드는 데 필요한 레이저 파워가 지나치게 높지 않도록 하는 기록물질의 조합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보기록층에 포함된 이종 물질이 서로의 접촉면에서 반응하여 새로운 물질로 생성되는 매커니즘이 복합적으로 발생하여 기록마크가 생성될 수 있는 광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BD 특성을 만족하면서도 기록마크와와 스페이스사이의 컨트라스트가 크고, 기록민감도가 높은 광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BD 특성을 만족하면서도 광기록매체의 기록마크의 안정성과 지터등의 기록특성이 우수한 광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마크를 만드는 데 필요한 레이저 파워가 낮은 광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광기록매체는 레이저 빔이 조사되어 정보기록층 내에서 주변 물질과 다른 반사도를 갖는 새로운 물질이 생성되는 메커니즘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광기록매체에 있어서, 기판; 상기 기판의 상부에 위치하여 입사하는 상기 레이저 빔을 반사하는 반사층;및 상기 반사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정보기록층을 포함하며, 상기 정보기록층은, AXB1-X(0.1≤X≤0.9)의 형태로 구성된 화합물로서, A는 Ni, Ag, W, C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원소이고, B는 A에 해당하는 원소를 제외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소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이저 빔이 먼저 조사되는 면인 제1기록층; 및 Si, Sn, Sb 및 G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며, 상기 기판과 가까운 면인 제2기록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매체는 레이저 빔이 조사되어 정보기록층 내에서 주변 물질과 다른 반사도를 갖는 새로운 물질이 생성되는 메커니즘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광기록매체에 있어서, 기판; 상기 기판의 상부에 위치하여 입사하는 상기 레이저 빔을 반사하는 반사층; 상기 반사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2이상의 정보기록층; 및 상기 정보기록층 사이에 형성된 분리층을 포함하며, 상기 각 정보기록층은, AXB1-X(0.1≤X≤0.9)의 형태로 구성된 화합물로서, A는 Ni, Ag, W, C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원소이고, B는 A에 해당하는 원소를 제외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소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이저 빔이 먼저 입사되는 면인 제1기록층; 및 Si, Sn, Sb 및 G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며, 상기 기판과 가까운 면인 제2기록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기록매체는 기록물질을 구성을 조합하여 BD 시스템에 적합한 높은 기록밀도와 데이터 전송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매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따른 광기록매체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광기록매체에 랜드 기록을 할 경우 기록마크가 생성된 일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광기록매체에 그루브 기록을 할 경우 기록마크가 생성된 일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매체는 기판(60), 반사층(50), 정보기록층(100)을 포함한다. 또한, 광투과층(10)과 유전체층(20, 3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판(60)은 광기록매체의 물리적 형상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판(60)은 세라믹이나, 유리, 수지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재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층(50)은 상기 기판(60)의 상부에 위치하고, 광투과층(10)을 통해 광기록매체에 입사된 레이저 빔을 반사하여 다시 이를 광투과층(10) 방향으로 출사시킨다. 따라서 상기 광투과층(10)은 반사도가 높은 물질이나 반사도가 높은 물질을 첨 가한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보기록층(100)은 반사층(50)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1기록층(110) 및 제2기록층(1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기록층(110)과 상기 제2기록층(120)에 포함된 각각의 물질들은 레이저 빔을 조사받으면 서로 혼합되어 새로운 물질을 형성한다. 상기 새로운 물질은 주위의 물질과 전혀 다른 반사율을 갖는다.
도 1의 정보기록층(100)내에 위치한 제1기록층(110)과 제2기록층(120)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으며, 반드시 제1기록층(110)이 레이저 빔을 먼저 입사받는 편에 위치하는 구조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1기록층(110)은 AXB1-X(0.1≤X≤0.9)의 형태로 구성된 화합물로서, A는 Ni, Ag, W, Cr로 이루어진 제1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원소이고, B는 A에 해당하는 원소를 제외한 제2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소로 이루어진다. 제2군에는 Ge, Sb, Te, Al, Cu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2기록층(120)은 Si, Sn, G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i, Ge, Sb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원소를 주원소로서 50 원자 백분율(atomic %) 이상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제1기록층(110)의 물질과 제2기록층(120)의 물질은 레이저 빔이 조사되면, 제1기록층(110)과 제2기록층(120)의 접촉면에서 서로 반응하여 새로운 물질이 생성되는 매커니즘으로 기록마크를 생성한다.
또한, 정보기록층(100)의 양 접층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에 유전체층(20, 30)을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전체층(20, 30)은 ZnS-SiO2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정보기록층(100)의 양 접층면 중 레이저 빔을 먼저 입사받는 면에 유전체층(20, 이하 '하부 유전체층'이라 함)이 적층될 경우 상기 하부 유전체층(20)은 광기록매체의 반사도와 컨트라스트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하부 유전체층(20)은 정보기록층(100)의 온도 상승에 의한 광투과층(10)의 손상을 막아준다. 상기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부 유전체층(20)을 적층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하부 유전체층(20)의 두께는 0nm를 초과하고 80nm이하이다.
정보기록층(100)의 양 접층면 중 기판에 가까운 면에 유전체층(30, 이하 '상부 유전체층'이라 함)이 적층될 경우 상부 유전체층(30)은 광기록매체의 반사도와 컨트라스트를 조절한다. 또한, 상부 유전체층(30)은 정보기록층(100)에 레이저 빔이 조사될 경우 정보기록층(100)에 발생된 열이 적절한 속도로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여 정보기록층(100)의 온도 분포가 조절되도록 한다. 상기 역할을 하는 충분히 할 수 있도록 상부 유전체층(30)을 적층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두께는 0nm를 초과하고 50nm이하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기록매체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기록을 할 경우 광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형태를 설명한다.
광기록매체의 정보기록층(100)의 표면은 그루브(groove)와 랜드(land)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광기록매체에 조사된 레이저의 빔의 가이드 역할을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드 기록은 정보기록층(100)의 볼록한 부분에 데 이터가 기록되는 것으로 정보기록층(100) 표면 중 레이저 빔이 먼저 닿는 부분에 기록마크(90)가 형성되는 것을 말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루브 기록은 정보기록층(100)의 오목한 부분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것으로서, 정보기록층(100) 표면의 레이저 빔이 나중에 닿는 부분에 기록마크(90)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매체는 랜드 기록과 그루브 기록이 모두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기록매체에 기록민감도 촉진층이 포함될 경우 기록마크가 생성된 일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기록매체는 정보기록층(100)의 주위 또는 내부에 기록민감도 촉진층(70)을 적층할 수 있다.
기록민감도 촉진층(70)은 Sn, Zn, Pb, Bi, Tl, Te, Se, S, Al, Ga, Ge, Cd, I, In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소를 첨가한 물질로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록민감도 촉진층(70)에 첨가될 수 있는 상기의 물질은 융점이 낮아 레이저 빔을 조사받으면 정보기록층(100)의 물질보다 먼저 반응하고, 반응시 상태 변화로 인해 발생한 잠열은 접촉한 제1 또는 제2기록층(110 또는 120)의 반응에 필요한 열량을 일부 공급해 줄 수 있다.
따라서, 기록민감도 촉진층(70)이 적층된 경우 기록마크(90) 생성시 필요한 레이저 파워를 낮출 수 있다.
기록민감도 촉진층(70)은 정보기록층(100)의 양 면 중 레이저 빔을 먼저 입 사받는 면 또는 기판(60)과 가까운 면 또는 제1기록층(110)과 제2기록층(120)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도 4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정보기록층(100)의 양 면 중 레이저 빔을 먼저 입사받는 면에 접촉하여 적층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 밖의 다른 구성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기록매체와 동일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광기록매체의 정보기록층에 제1기록층과 제2기록층이 교대로 적층된 경우 기록마크가 생성된 일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광기록매체는 정보기록층(100)내에 하나 이상의 제1기록층(110,112)과 하나 이상의 제2기록층(120)을 포함한다. 제1기록층(110,112)과 제2기록층(120)은 서로 교대로 적층되어 제1기록층(110,112)과 제2기록층(120)의 접촉면이 2이상 되도록 접촉한다.
이와 같이 적층시키면 제1기록층(110,120)과 제2기록층(120)의 사이의 반응면적이 증가하여 광기록매체의 두께방향으로 기록 마크(90) 생성이 용이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광기록매체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광기록매체는 기판(60), 반사층(50), 2이상의 정보기록층(100,200)과 각 기록층 사이에 위치하는 분리층(40), 각각의 정보기록층(100,200)에 인접하여 적층된 하부 유전체층(20,22)와 상부 유전체층(30,32)을 포함한다.
2이상의 정보기록층(100,200)에는 도 2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구조와 형태로 기록마크(9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유전체층(20,22)과 상부 유전체층(30,32)은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각 정보기록층(100,200)에서 레이저를 먼저 입사받는 면이나 기판(60)에 가까운 면에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적층할 수 있다.
2이상의 정보기록층(100,200)은 모두 똑같은 구조를 가질 필요가 없다. 따라서 2이상의 정보기록층(100,200) 중 어느 하나의 정보기록층(예를 들어,100)에만 하나 이상의 제1기록층(110)과 하나 이상의 제2기록층(120)을 포함되도록 하고, 제1기록층(110)과 제2기록층(120)은 서로 교대로 적층되어 제1기록층(110)과 제2기록층(120) 사이의 접촉면이 2 이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정보기록층에만 기록민감도 촉진층(70)을 접촉하여 적층하거나 더 포함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2이상의 정보기록층(100,200)이 있는 경우 정보기록층(100,200) 중 어느 하나의 정보기록층(예를 들어,100)에 포함된 제1기록층(110) 두께와 제2기록층(120) 두께의 합이 상기 정보기록층(100)을 제외한 다른 정보기록층 중 어느 하나의 정보기록층(200)에 포함된 제1기록층(210)의 두께와 제2기록층(210)의 두께의 합과 다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기록층(110) 두께와 제2기록층(120) 두께의 비가 상기 정보기록층(100)을 제외한 다른 정보기록층 중 어느 하나의 정보기록층(200)에 포함된 제1기록층(210)의 두께와 제2기록층(220)의 두께의 비와 다르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두 개의 정보기록층(100,200)의 각각의 두께는 투과도 관점에서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광기록매체에 2이상의 정보기록층(100,200)이 있는 경우 먼저 레이저 빔을 입사받는 정보기록층(100)에 기록마크가 생성된 후, 레이저 빔을 두번째로 입사받는 정보기록층(200)에서도 상기 레이저 파워가 규정된 범위로 유지되어 상기 정보기록층(200)에 기록마크를 만들 수 있으면 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레이저 빔을 먼저 입사받는 정보기록층(110)의 두께가 40~60%의 투과도에 해당하는 두께라면, 두번째 레이저 빔을 입사받는 정보기록층(200)의 두께는 1%이하의 투과도를 갖는 두께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설명한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 따른 광기록매체의 대한 실험 결과를 설명한다.
먼저 실험에 사용된 광기록매체의 구조와 기록물질을 설명한다.
상기 실험에 사용된 광기록매체는 내경 15mm, 외경 120mm, 두께 1.1mm의 도우넛 형태를 기판(60)을 포함하고, 기판(60)에는 랜드와 그루브를 갖는 0.32㎛의 트랙 피치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기판(60)은 폴리카보네이트를 재료로 하고, 기판(60)상에 은 합금을 재료로 하는 반사층(50), ZnS-SiO2로 이루어진 상부 유전체층(30), 제2기록층(120), 제1기록층(110), ZnS-SiO2로 이루어진 하부 유전체층(20)순으로 다층 박막을 적층하였다.
또한, 광투과층(10)으로 하부 유전체층(20) 위에 20㎛의 PSA 접착제가 붙은 80㎛의 폴리카보네이트 커버 시트를 접합시켰다. 상부 유전체층(30)의 두께는 60nm, 제2기록층(120)의 두께는 6nm, 제1기록층(110)의 두께는 6nm, 하부 유전체층(20)의 두께는 60nm로 각각 적층하였다.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 따른 광기록매체에 대한 상기 실험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상기 실험에서 광기록매체의 선속도(Constant Linear Velocity)는 5.28m/s로 하고, 광기록매체에 대한 측정위치는 내주에서 30mm지점으로 하였다. 광기록매체에 데이터의 기록은 그루브 기록이 되도록 하였으며 사용된 레이저 빔의 파장은 408nm이고, 재생 파워는 35mW로 설정하였다. 또한, 평가장비로는 펄스텍(Pulstec) 社의 ODU-1000을 사용하였다.
표 1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광기록매체에서 각 기록층(110, 120)의 물질의 조합과 그에 따른 실험 결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험 NO. 제1 기록층 제2 기록층 8T 모듈레이션 (I8pp/I8H) (%) 판단 DC 어닐링 파워 (mW) 판단 포화 파워 범위 (ΔmW) 판단 마크 안정성 판단
1 Ag합금 Si 43.5 2.7 2.5
2 Ag합금 Ge 38.0 1.5 4.5 ×
3 Ag합금 Sb 40.0→30.0 × 2.1 1.2 ×
4 Au합금 Si 51.3 0.9 7.0 ×
5 W합금 Si 45.0 2.5 3.0
6 W합금 Sb 45.0→30.0 × 3.0 1.9 ×
7 Ni합금 Si 43.0 2.0 2.5
8 Ni합금 Sb 40.0→30.0 × 2.3 2.0 ×
실험1의 제1기록층(110) 및 제2기록층(120)은 Ag합금 및 Si를 각각의 주성분으로 하고, 실험2의 제1기록층(110) 및 제2기록층(120)은 Ag합금 및 Ge를 각각의 주성분으로 하고, 실험3의 제1기록층(110) 및 제2기록층(120)은 Ag합금 및 Sb를 각각 주성분으로 하고, 실험4의 제1기록층(110) 및 제2기록층(120)은 Ag합금 및 Si를 각각 주성분으로 하고, 실험5의 제1기록층(110) 및 제2기록층(120)은 W합금 및 Si을 각각 주성분으로 하고, 실험6의 제1기록층(110) 및 제2기록층(120)은 W합금 및 Sb를 각각 주성분으로 하고, 실험7의 제1기록층(110) 및 제2기록층(120)은 Ni합금 및 Si을 각각 주성분으로 하고, 실험8의 제1기록층(110) 및 제2기록층(120)은 Ni합금 및 Sb를 각각 주성분으로 하도록 구성되었다.
각 실험 조합에 대한 평가 기준은 8T 모듈레이션에 대한 광기록매체의 반사도의 차이, DC 어닐링 파워의 크기, 포화 파워 범위와 마크 안정성으로 하였다. 표 1의 각각의 판단기준에 따른 결과는 양호한 결과를 보인 실험 조합 순으로 각 평가기준의 우측 칸(마크 안정성에 대해서는 당해 칸)에 '○' , '△' 또는 '×'으로 표시하였다.
먼저 8T 모듈레이션은 광기록매체의 스페이스와 마크 사이의 반사도 차이를 나타낸다.
즉, 레이저 빔의 8T 모듈레이션 펄스에 대해 최고 반사도의 값과 최저 반사도 값을 뺀 값의 차이(I8pp)를 최고 반사도(I8H)의 값으로 나눈 것으로 이를 퍼센트(%) 값으로 표시하였다. 레이저 빔의 8T 모듈레이션 실험에서 상기 반사도의 차이는 광기록매체에 있어서 가장 우선적인 판단기준으로서, 상기 반사도 차이가 커야 광기록매체로서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매체에 대한 실험에서 스페이스와 마크 사이의 반사도 차이는 Au합금 및 Si의 기록층(실험4)이 51.3%로 가장 좋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Ag합금 및 Sb의 기록층(실험3), W합금 및 Sb의 기록층(실험6) 및 Ni합금 및 Sb의 기록층(실험8)은 반사도의 차이가 변화를 보였다.
DC 어닐링 파워는 최적화된 구조를 가진 광기록매체가 규정된 기록파워(Pw)로 기록될 수 있는 것인가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판단기준이다.
BD는 광기록매체의 속도 1X, 2X에 대해서 7mW 이내의 범위의 레이저 기록파워에서 기록마크가 생성되어야 한다. 이를 간접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제1기록층(110)과 제2기록층(120)의 변화가 생기기 시작하는 파워를 측정하여 상기 측정된 파워가 1.5~2.5mW내이면 광기록매체가 규정된 레이저 파워에 대해 적절한 기록민감도를 갖는 것을 판단하였다.
평가기준으로서 DC 어닐링 파워 측정의 구체적인 실험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페이스 파워(Ps(mW))의 레이저 빔을 광기록매체에 조사한다. 상기 레이저 빔의 펄스는 멀티 펄스 타입이 아니고 단일 펄스 타입이다. 그리고 레이저 빔이 조사되었을 경우, 광기록매체가 가지는 본래 반사도의 크기가 오실로스코프상에서 변화시키기 시작하는 레이저 파워로 측정된다.상기 측정된 레이저 파워의 크기가 DC 어닐링 파워의 값이다.
상기 실험에서는 DC 애닐링 파워가 2.5mW보다 작은 파워이면 최적화된 광기록매체로 평가하였다. 상기 실험에서 DC 어닐링 파워의 값은 제1기록층(110) 및 제2기록층(120)의 주성분이 각각 Au합금 및 Si인 기록층(실험4)이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고, 그 다음으로 Ag합금 및 Ge 기록층(실험2)과 Ni합금 및 Si 기록층(실험7)의 순으로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포화 파워 범위는 정보기록층(100)이 반응이 되기 시작하여 점차 광기록매체의 두께 방향으로 반응 영역이 넓어져 정보기록층(100) 전체 두께가 반응할 때까지의 온도 범위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판단기준이다.
포화 파워 범위의 값이 크면 실제로 반응이 시작한 온도가 낮더라도 최적화된 기록 특성을 얻기 위한 레이저의 파워 범위는 규정된 조건을 벗어날 수 있다. 또한, 중간 온도 범위에서는 광기록매체의 반사도 특성의 변화가 심하여 기록에 대한 제어가 어렵다.
즉, 광기록매체에 대해 기록시 레이저 파워에 대한 상기 광기록매체의 반사도는 좁은 레이저 파워 범위에서 급격히 변해야 한다. 따라서, 좁은 레이저 파워 범위에서 기록층들(110, 120)의 온도 변화가 완료되는 물질을 선택하기 위해서 포화 파워 범위가 2mW보다 작은 범위로 나타나는 기록층들(110, 120)의 물질을 가장 적절한 물질로 판단하였다.
상기 판단 기준에 대해서는 제1기록층(110) 및 제2기록층(120)의 주성분이 각각 Ag합금 및 Sb인 기록층(실험3)이 가장 좋은 기록층으로 평가되었으며, 다음으로 W합금 및 Sb인 기록층(실험6) 및 Ni합금 및 Sb인 기록층(실험8)의 순으로 좋은 결과를 보였다.
상기 실험의 판단기준으로서 마크 안정성은 기록마크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지 않고 오래동안 유지될 수 있는 가를 판단하는 항목이다. 광기록매체에 8T 모듈레이션의 레이저 펄스로 기록마크가 형성되었을 때 상기 기록마크의 크기는 재생파워의 레이저 빔의 영향이나 실내 온도 하에서 시간에 따라 커지거나 줄어들지 않고 유지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매체에 대한 실험에서는 제1기록층(110) 및 제2기록층(120)의 주성분이 각각 Ag합금 및 Sb인 기록층(실험3), W합금 및 Sb인 기록층(실험6) 및 Ni합금 및 Sb인 기록층(실험8)에 기록된 기록마크가 조금 변화할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상기 기록층(110, 120) 물질에 대해서는 광기록매체의 기록물질 비율이나 광기록매체의 구조등으로 이를 개선할 여지도 있다고 판단된다.
상기 3가지 실험 결과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제1기록층(110)과 제2기록층(120)으로 Ag, Ni, W물질과 Si물질의 조합이 광기록매체의 가장 좋은 정보기록층(100) 선택 재료로 평가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대다수 물질의 조합이 DC 어닐링 파워의 크기가 다소 크기 때문에 기록 레이저 파워를 조금 더 낮출 수 있는 방법을 찾는다면 더욱 바람직한 정보기록층(100) 물질이 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실험을 통해 적합한 재료로 선택된 Ag, Ni, W물질과 Si물질의 조합 중 Ag 및 Si 조합을 제1기록층(110) 및 제2기록층(120)의 주성분 물질로 선택하여, 이러한 구성의 광기록매체에 대해 반사도와 기록 민감도를 높이기 위한 모의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상술한다.
먼저 0.35mW 레이저 재생 파워에서 제1기록층(110) 및 제2기록층(120)의 두께비와 유전체층의 두께를 변화시키면서 반사도와 DC 어닐링 파워를 측정하였다.
도 7은 모의 실험 결과 중 Si를 주원소로 하는 제2기록층(120)과 Ag 합금으로 이루어진 제1기록층(110)의 두께의 조합에 따른 반사도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모의 실험에 사용된 광기록매체의 제2기록층(120)은 Si를 주성분으로 하고, 제1기록층(110)은 Ag를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이다. 도 7의 가로축은 Si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2기록층(120)의 두께를 Å단위로 표시한 것이고, 세로축은 Ag 합금으로 이루어진 하는 제1기록층(110)의 두께를 Å단위로 표시한 것이며, 도 7에 나타난 값은 각 기록층(110, 120) 두께에 따른 반사도를 표시한 것이다.
도 7에 표시한 결과에서 Ag 합금으로 이루어진 제1기록층(110)의 두께에 비해 Si를 주원소로 하는 제2기록층(120)의 두께가 두꺼우면(도 7 우측하단의 붉은 색 원부분) 0.35mW의 레이저 파워에 대한 반사도의 변화가 심하지 않다. 도 7 결과를 두께와 반사도에 대한 그래프로 표현하면 도 8의 결과를 얻는다.
도 8은 도 7의 실험 결과를 제1기록층(110)의 두께에 대한 제2기록층(120)의 두께 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상기 레이저 파워에 대해 Ag 합금을 포함하는 제1기록층(110)과 Si를 주원소로 하는 제2기록층(120)의 두께비에 따른 광기록매체의 반사도를 나타낸다. 도 8은 전체 기록층 두께에 따른 반사도를 나타낸다. 즉, 색이 다른 각점을 연결한 선은 정보기록층(100)의 전체 두께에 따른 반사도를 나타낸다.
만약 전체 정보기록층(100) 두께 90Å일 경우 제2기록층(120)-제1기록층(110)(Si-Ag alloy)의 두께비가 2라고 하면, Si의 기록층이 60Å이고, Ag의 기록층이 30Å으로 기록층이 구성됨을 뜻한다.
도 8의 결과에 의하면, 제2기록층(120)-제1기록층(110)(Si-Ag alloy)의 두께비가 커질수록 반사도의 차이는 변화하지 않고 일정한 값을 가지며 안정됨을 알 수 있다. 특히, 제2기록층(120)-제1기록층(110)(Si-Ag alloy)의 두께비가 2이상인 경우(도 8의 가로축상에서 2이상인 경우)는 전체 정보기록층(100) 두께가 90Å이상이고, 200Å이하인 어떤 경우에도 안정된 반사도를 나타낸다(도 8내에 원으로 표시).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매체의 정보기록층(100)의 두께(제1기록층과 제2기록층의 두께)는 90Å이상이고, 200Å이하인 것이 바람직하여, 제1기록층(110)에 대한 제2기록층(120)의 두께비는 2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바람직한 범위내에서 광기록매체의 정보기록층(100)을 설계하면 광기록매체의 정보기록층(100) 두께 설계에 대한 융통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매체의 기록민감도를 알 수 있는 모의 실험의 결과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기록매체에서 기록층들(110, 120)의 두께 조합에 따라 광기록매체의 트랙 중앙에 나타난 수직 온도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좌측의 도면은 제2기록층(120)/제1기록층(110)(Si/Ag alloy)의 두께비가 1이고, 상기 각 기록층(110, 120)의 두께가 60Å인 광기록매체에 레이저 빔을 조사할 경우 상기 광기록매체의 트랙 중앙의 수직 단면에서의 온도 분포를 나타낸다.
우측의 도면은 제2기록층(120)/제1기록층(110)(Si/Ag alloy)의 두께비가 3이고, 제2기록층(120)(Si)이 90Å, 제1기록층(110)(Ag alloy) 30Å인 경우 상기 광기록매체의 트랙 중앙의 수직 단면에서의 온도 분포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9의 우측 도면의 온도 분포와 좌측 도면의 온도 분포와 비교하면, 우측 도면의 온도 분포가 좌측 도면의 온도 분포에 비해 열이 집중된 형태를 보이고, 온도 분포가 레이저의 방향과 조금 더 수직방향으로 분포함을 알 수 있다. 제1기록층(110)에 포함된 Ag는 열 확산속도를 높기 때문에 제1기록층(110)이 얇거나 혹은 그 두께비가 Si를 주원소로 하는 층(제2기록층, 120)에 비해 낮으면, 광기록매체의 트랙 방향으로 열의 확산이 심하지 않고 상기 광기록매체내의 온도 분포도 좁게 나타난다.
또한 정보기록층(100)내의 열 확산 속도도 Ag를 포함한 층이 두꺼울 때보다 얇을 때 더 느리기 때문에 제2기록층(120)의 물질 Si와 제1기록층(110)에 포함된 Ag 사이에 온도 구배가 적게 발생하여 두 물질이 반응하는데 유리하다. 따라서, 각 기록층(110, 120)의 물질로 사용되는 Si/Ag alloy의 비가 크면 전체 정보기록층(100)에 균일한 온도 분포가 생성되고 열이 집속되어 광기록매체의 기록민감도를 높이는 데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매체의 정보기록층(100) 내의 제2기록층(120)/제1기록층(110)의 두께 조합이 Si(90Å)/Ag alloy(30Å)이고, 반사층(50)의 두께를 700Å으로 구성했을 경우 상하부 유전체층(30, 20)의 두께에 따른 반사도(%)를 나타내는 모의 실험의 결과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하부 유전체층(20, 도 10의 가로축)은 80nm(800Å)정도까지면 광기록매체에 충분한 반사도 및 컨트라스트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부 유전체층(20)의 두께에 따른 반사도는 주기성을 가지기 때문에 80nm 이상의 두께에서는 그 이하의 얇은 두께의 반사도가 다시 반복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또한 너무 두꺼운 하부 유전체층(20)은 열적으로 정보기록층(100)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원하지 않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하부 유전체층(20)의 두께는 80n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세로축의 상부 유전체층(30)의 두께도 50nm이상 두꺼우면 컨트라스트가 낮아질 가능성이 많다. 또한 상부 유전체층(30)이 너무 두꺼우면 정보기록층(100)에 발생한 열이 잘 배출되지 않아 기록마크 모양의 조절이 잘 안되고, 각 마크 길이 별 길이 조절이 잘 안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유전체층(30)의 두께는 50nm(500Å)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모의 실험을 바탕으로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매체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매체의 각 층의 두께 조합은 제2기록층(120)/제1기록층(110)(Si(90Å)/Ag alloy(30Å))로, 반사층(50)의 두께를 700Å으로 하였다. 또한, 하부 유전체층(20)의 두께는 325Å, 상부 유전체층(30)의 두께는 225Å으로 하였다(상기 상하부 유전체층 두께를 도 10의 붉은색 점으로 표시).
상기한 각 층의 두께를 가지는 광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실제 민감도를 평가한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기록매체에서 제1기록층(110)의 물질(Ag)에 Sb와 Te를 첨가한 경우 각 첨가비율에 따라 DC 어닐링 파워로 기록민감도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광기록매체의 민감도는 Ag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1기록층(110)에 타 원소의 첨가하는 비율을 달리하여 DC 애닐링 파워를 측정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Ag는 열전도도가 높기 때문에 다른 원소를 첨가하여 제1기록층(110)의 열전도도를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기록층(110)에 타 원소가 첨가되었을 때 상기 DC 애닐링 파워가 낮아지면 정보기록층(100)의 기록민감도는 높아진다.
상기 실험에서 첨가원소는 Sb와 Te를 사용하였고, 상기 첨가원소의 비율은 스퍼터 장비의 파워 조절로 원자 백분율을 조절하고, 코-스퍼터링(Co-sputtering)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기록층(110)에 Ag만을 포함하는 경우, 즉 타 원소가 첨가되지 않은 경우는 남색선으로, Ag에 Sb 및 Te를 합하여 5 원자 백분율로 첨가한 경우는 하늘색선으로, Ag에 Sb 및 Te를 합하여 20 원자 백분율로 첨가한 경우는 보라색으로 결과를 표시하였다. 도 11의 각각의 선은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매체에 레이저 빔을 조사했을때 상기 광기록매체의 각각의 반사도 신호를 표시한 것이다. 그리고, 각 첨가원소의 비율에 따른 DC 어닐링 파워(최소 스페이스 파워(Ps))는 각 선위에 붉은 색 큰 점으로 표시하였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g에 Sb와 Te의 첨가원소의 첨가 비율이 높아질수록 최소 스페이스 파워(Ps)의 값이 점차 낮아짐을 알 수 있다. 즉, 제1기록층(110)에 타 원소의 첨가 비율이 높아질수록 기록민감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에서 설명한 구조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매체의 지터 평가 결과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매체의 지터 측정 조건으로 채널 비트 클럭을 66MHz로 설정하고 광기록매체의 기록선속도는 5.28m/s로 하였다. 광기록매체의 용량은 각 정보기록층 당 23.3 기가바이트이고, 지터 측정장비로는 요코가와(Yokogawa)社 TA520을 사용하였다. 지터 측정을 위한 실험 샘플링 회수는 30,000 번 수행하였고 광기록매체의 측정위치는 광기록매체의 내주에서 30mm지점으로 선택하였고, 상기 광기록매체에 랜드 기록과 그루브 기록을 모두 수행하였다. 또한, 상기 광기록매체에 대한 기록 레이저 빔의 파장은 408nm의 파장을 사용하였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기록매체의 성능 평가를 위해 상기 광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에 사용된 레이저 기록 펄스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광기록매체의 기록에 사용한 레이저 펄스의 기록파워(Pw)는 5.7mW, 스페이스 파워(Ps)는 1.5mW, 기저 파워(Pb)는 0.1mW의 크기를 가진다. 상기 레이저 기록 펄스는 2T ~ 6T까지의 랜덤 멀티 펄스를 가지며, 각 기록 펄스에 대해 N-1개의 분할 펄스가 되도록 펄스를 변조하여 기록을 수행하였다.
도 13a내지 13c를 참조하여 각 첨가원소에 따른 광기록매체의 아이패턴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제1기록층(110)의 재료로서 Ag 원소에 Sb와 Te를 첨가했을 경우의 각 첨가비율에 따른 RF의 아이 패턴(eye pattern)을 나타낸다. 도 13a는 Sb와 Te를 첨가하지 않았을 때, 도 13b는 Sb와 Te의 첨가비율이 5 원자 백분율일 때, 도 13c는 Sb와 Te의 첨가비율이 20 원자 백분율일 때 아이패턴을 각각 나타낸다.
상기 첨가원소의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아이 패턴(eye pattern)이 뚜렷하고 선명해진다. 지터는 재생신호의 변환점이 원신호의 변화점과 시간축위에서 일치하지 않아 나타나며, 아이 패턴은 신호간섭이 적을수록 뚜렷해진다. 따라서 도 13a 내지 도 13c에서 제1기록층(110)의 Ag에 Sb와 Te의 첨가비율이 높아질수록 광기록매체의 지터 특성이 개선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매체의 제1기록층(110)은 Sb와 Te의 비율이 높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기록매체의 제1기록층(110)의 물질(Ag)에 Sb와 Te를 첨가했을 경우 그 첨가비율에 따른 지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광기록매체의 제1기록층(110)에 Ag에 Sb와 Te가 첨가되는 경우가 첨가되지 않을 때보다 제1기록층(110)에 지터가 낮아짐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매체의 성능의 우수함은 정보기록층(100)이 하나인 경우일때 보였으나, 이는 2이상의 정보기록층(100, 200)을 포함할 때도 마찬가지이다. 2이상의 정보기록층(100, 200)중 하나이상의 정보기록층은 상기와 같은 구성물질과 두께 비율, 두께 합 등으로 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매체는 기록물질을 구성을 조합하여 BD 시스템에 적합한 높은 기록밀도와 데이터 전송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매체는 데이터가 고밀도로 기록되어도 기록마크와와 스페이스사이의 컨트라스트가 크고, 기록민감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매체는 기록마크의 안정성과 기록특성이 우수하면서도, 기록마크를 만드는 데 필요한 레이저 파워가 높지 않은 장점이 있다.

Claims (27)

  1. 레이저 빔이 조사되어 정보기록층 내에서 주변 물질과 다른 반사도를 갖는 새로운 물질이 생성되는 메커니즘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광기록매체에 있어서,
    기판;
    상기 기판의 상부에 위치하여 입사하는 상기 레이저 빔을 반사하는 반사층;및
    상기 반사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정보기록층을 포함하며,
    상기 정보기록층은, AXB1-X(0.1≤X≤0.9)의 형태로 구성된 화합물로서, A는 Ni, Ag, W 및 C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원소이고, B는 A에 해당하는 원소를 제외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소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이저 빔이 먼저 조사되는 면인 제1기록층; 및
    Si, Sn, Sb 및 G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며, 상기 기판과 가까운 면인 제2기록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록층의 B는, Ge, Sb, Te, Al 및 Cu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기록층은, 하나 이상의 제1기록층과 하나 이상의 제2기록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기록층과 상기 제2기록층은 서로 교대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기록층의 두께는 90Å이상이고 200Å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록층의 두께에 대한 제2기록층의 두께 비는 2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기록층은 상기 레이저 빔을 먼저 입사받는 면 또는 상기 기판에 가까운 면에 유전체층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기록층은 상기 레이저 빔을 먼저 입사받는 면 및 상기 기판에 가까운 면에 유전체층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빔을 먼저 입사받는 면에 적층되는 하부 유전체층의 두께는 0nm를 초과하고 80n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가까운 면에 적층되는 상부 유전체층의 두께는 0nm를 초과하고 50n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기록층은, Sn, Zn, Pb, Bi, Tl, Te, Se, S, Al, Ga, Ge, Cd, I 및 In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는 기록민감도 촉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민감도 촉진층은, 상기 레이저 빔을 먼저 입사받는 면에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민감도 촉진층은, 상기 기판에 가까운 면에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13. 레이저 빔이 조사되어 정보기록층 내에서 주변 물질과 다른 반사도를 갖는 새로운 물질이 생성되는 메커니즘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광기록매체에 있어서,
    기판;
    상기 기판의 상부에 위치하여 입사하는 상기 레이저 빔을 반사하는 반사층;
    상기 반사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2이상의 정보기록층; 및
    상기 정보기록층 사이에 형성된 분리층을 포함하며,
    상기 각 정보기록층은, AXB1-X(0.1≤X≤0.9)의 형태로 구성된 화합물로서, A는 Ni, Ag, W 및 C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원소이고, B는 A에 해당하는 원소를 제외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소로 이루어며, 상기 레이저 빔이 먼저 조사되는 면인 제1기록층; 및
    Si, Sn, Sb 및 G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며, 상기 기판과 가까운 면인 제2기록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록층의 B는, Ge, Sb, Te, Al 및 Cu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기록층은, 하나 이상의 제1기록층과 하나 이상의 제2기록층을 포함 하며, 상기 제 1 기록층과 상기 제2기록층은 서로 교대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2이상의 정보기록층 중 어느 하나의 정보기록층의 두께는 90Å이상이고 200Å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2이상의 정보기록층 중 어느 하나의 정보기록층의 상기 제1기록층의 두께에 대한 상기 제2기록층의 두께 비는 2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2이상의 정보기록층 중 어느 하나의 정보기록층에 포함된 상기 제1기록층의 두께와 상기 제2기록층의 두께의 비가 상기 정보기록층을 제외한 다른 정보기록층 중 어느 하나의 정보기록층에 포함된 상기 제1기록층의 두께와 상기 제2기록층의 두께의 비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2이상의 정보기록층 중 어느 하나의 정보기록층에 포함된 상기 제1기록층의 두께와 상기 제2기록층의 두께의 합이 상기 정보기록층을 제외한 다른 정보기 록층 중 어느 하나의 정보기록층에 포함된 상기 제1기록층의 두께와 상기 제2기록층의 두께의 합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2이상의 정보기록층 중 어느 하나의 정보기록층은 상기 레이저 빔을 먼저 입사받는 면 또는 상기 기판에 가까운 면에 유전체층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2이상의 정보기록층 중 어느 하나의 정보기록층은 상기 레이저 빔을 먼저 입사받는 면 및 상기 기판에 가까운 면에 유전체층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빔을 먼저 입사받는 면에 적층되는 하부 유전체층의 두께는 0nm를 초과하고 80n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가까운 면에 적층되는 상부 유전체층의 두께는 0nm를 초과하고 50n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2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2이상의 정보기록층 중 어느 하나의 정보기록층은, Sn, Zn, Pb, Bi, Tl, Te, Se, S, Al, Ga, Ge, Cd, I 및 In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는 기록민감도 촉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민감도 촉진층은, 상기 레이저 빔을 먼저 입사받는 면에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민감도 촉진층은, 상기 기판에 가까운 면에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27. 제 1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광기록매체는, 추기형 광기록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KR1020050060659A 2005-07-06 2005-07-06 광기록매체 KR100689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0659A KR100689980B1 (ko) 2005-07-06 2005-07-06 광기록매체
EP05026856A EP1818921B1 (en) 2005-07-06 2005-12-08 Optical recording medium
DE602005027889T DE602005027889D1 (de) 2005-07-06 2005-12-08 Optisches Aufzeichnungsmedium
TW094144693A TWI315521B (en) 2005-07-06 2005-12-16 Optical recording medium
US11/303,937 US7704582B2 (en) 2005-07-06 2005-12-19 Optical recording medium
CNB2005101339216A CN100517478C (zh) 2005-07-06 2005-12-20 光记录介质
JP2005367138A JP4884001B2 (ja) 2005-07-06 2005-12-20 光記録媒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0659A KR100689980B1 (ko) 2005-07-06 2005-07-06 광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5365A true KR20070005365A (ko) 2007-01-10
KR100689980B1 KR100689980B1 (ko) 2007-03-09

Family

ID=37038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0659A KR100689980B1 (ko) 2005-07-06 2005-07-06 광기록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04582B2 (ko)
EP (1) EP1818921B1 (ko)
JP (1) JP4884001B2 (ko)
KR (1) KR100689980B1 (ko)
CN (1) CN100517478C (ko)
DE (1) DE602005027889D1 (ko)
TW (1) TWI3155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135B1 (ko) * 2005-05-27 2006-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기록매체
TWI328226B (en) * 2006-08-30 2010-08-01 Cmc Magnetics Corp The recordable optical recording media
CN100514465C (zh) * 2007-04-24 2009-07-15 中国科学院上海光学精密机械研究所 一次写入型蓝光存储无机介质及其制备方法
JP2009026430A (ja) * 2007-07-24 2009-02-05 Tdk Corp 光情報媒体
JP2011204307A (ja) * 2010-03-25 2011-10-13 Tdk Corp 光記録媒体、光記録方法
JP2011238324A (ja) * 2010-05-13 2011-11-24 Tdk Corp 光記録媒体、光記録方法
FR2965392B1 (fr) * 2010-09-29 2013-03-15 Lucien Diego Laude Support d'information enregistrable et a enregistrement legalement su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3752A (en) * 1997-05-22 2000-03-07 Kao Corporatio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recording optical information
WO2003025924A1 (fr) * 2001-09-13 2003-03-27 Tdk Corporation Support d'enregistrement optique
JP2003203338A (ja) * 2001-12-28 2003-07-18 Tdk Corp 光記録媒体の記録方法及び光記録媒体
US7231649B2 (en) * 2002-05-31 2007-06-12 Tdk Corporatio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optically recording data in the same
JP2004025496A (ja) * 2002-06-21 2004-01-29 Nec Corp 光学情報記録媒体
JP2004095111A (ja) * 2002-09-03 2004-03-25 Ricoh Co Ltd 相変化型光記録媒体
JP2005071406A (ja) * 2003-08-25 2005-03-17 Tdk Corp 光情報記録媒体
KR100694047B1 (ko) * 2004-05-17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저장매체 및 정보기록재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17478C (zh) 2009-07-22
EP1818921A2 (en) 2007-08-15
TWI315521B (en) 2009-10-01
TW200703306A (en) 2007-01-16
JP4884001B2 (ja) 2012-02-22
CN1892852A (zh) 2007-01-10
EP1818921A3 (en) 2009-08-05
JP2007015367A (ja) 2007-01-25
EP1818921B1 (en) 2011-05-04
DE602005027889D1 (de) 2011-06-16
US7704582B2 (en) 2010-04-27
KR100689980B1 (ko) 2007-03-09
US20070009700A1 (en) 200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59714B2 (ja) 光記録媒体
KR100689980B1 (ko) 광기록매체
TWI304585B (en) Optical recording medium
US7534480B2 (en) Multi-layer super resolution optical disc
KR20040035564A (ko) 광기록매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33027A (ko) 광기록매체 및 이를 생산하기 위한 제조방법, 및광기록매체에 대한 데이터 기록방법 및 데이터 재생방법
KR100617135B1 (ko) 광기록매체
JP2006192885A (ja) 追記型光記録媒体
JP2003168242A (ja) 追記型光記録媒体の反射率の調整方法及び追記型光記録媒体
KR100689888B1 (ko) 광기록매체
KR100634667B1 (ko) 광기록매체
CN101541553B (zh) 光信息记录介质及其记录和/或再现方法
KR100617136B1 (ko) 광기록매체
KR100689926B1 (ko) 광기록매체
CN100577436C (zh) 一次写入多次读取的光记录介质
JP3651824B2 (ja) 光記録媒体
US8119219B2 (en) Optical recording medium
KR100747528B1 (ko) 광기록매체
US8119218B2 (en) Optical recording medium
JP4047551B2 (ja) 相変化光記録媒体
KR100686094B1 (ko) 상변화 광디스크
JP2004253086A (ja) 2層記録層型光記録媒体
KR20100035473A (ko) 추기형 광디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