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5136A - 주파수 합성 장치 - Google Patents

주파수 합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5136A
KR20070005136A KR20050060279A KR20050060279A KR20070005136A KR 20070005136 A KR20070005136 A KR 20070005136A KR 20050060279 A KR20050060279 A KR 20050060279A KR 20050060279 A KR20050060279 A KR 20050060279A KR 20070005136 A KR20070005136 A KR 20070005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mhz
signal
divider
frequency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60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9678B1 (ko
Inventor
차충열
김훈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50060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9678B1/ko
Priority to US11/386,696 priority patent/US7310023B2/en
Priority to EP20060010306 priority patent/EP1742368A3/en
Priority to CNA2006101011564A priority patent/CN1893293A/zh
Priority to JP2006185064A priority patent/JP2007020175A/ja
Publication of KR20070005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5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3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 H04B1/406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with more than one transmission mode, e.g. analog and digital m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16Indirect frequency synthesis, i.e. generating a desired one of a number of predetermined frequencies using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18Indirect frequency synthesis, i.e. generating a desired one of a number of predetermined frequencies using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using a frequency divider or counter in the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6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impulse radio
    • H04B1/71632Signal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멀티 밴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초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정해진 대역내에 있는 모든 서브밴드의 중심주파수를 합성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합성 장치는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는 주파수 발생 수단 및 상기 주파수 발생 수단으로부터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주파수 조정을 통해 정해진 대역내의 모든 서브밴드 또는 일부 서브밴드의 중심주파수를 생성하는 주파수 조정 수단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파수 합성장치는 모든 서브밴드의 중심주파수를 모두 생성해내기 때문에 광대역 무선통신을 위한 서브밴드의 활용도를 한층 높일 수 있고, 다양한 무선주파수 환경에서 주파수 간섭이 적은 서브밴드의 유연한 활용을 통해서 안정된 초광대역 통신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초광대역, 서브밴드, 중심주파수, 주파수 합성 장치

Description

주파수 합성 장치{Frequency Synthesizer}
도 1은 멀티밴드 OFDM 방식의 UWB 통신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제 1 밴드그룹 내에 있는 3 개의 서브밴드의 중심주파수를 생성하기 위한 종래의 주파수 합성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합성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합성 장치 내에 있는 주파수 발생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합성 장치 내에 있는 주파수 조정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주파수 발생 수단 110 : 국부발진기
130 : 분주수단 150 : 위상 고정 루프
200 : 주파수 조정 수단 220 : 제 1 혼합부
240 : 제 1 선택부 260 : 제 2 혼합부
280 : 제 2 선택부
본 발명은 주파수 합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 밴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초광대역(Ultra Wide Band : UWB) 무선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합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해상도의 대용량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접속이 점차 보편화됨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도 고속 데이터 전송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경우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일정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며,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양이 증가하면서 주파수 대역폭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통신에 사용되는 데이터는 서킷 데이터(circuit data)과, 패킷 데이터(packet data)로 구분되는데, 서킷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은 일반적으로 협소하지만,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을 필요로 한다. 최근에는, 고해상도 대용량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실시간 무선 전송을 위한 초고속 무선통신의 개념이 제시되었으며, 보다 넓은 대역폭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처럼 초고속 무선통신을 위한 넓은 주파수 대역을 초광대역(Ultra Wide Band : 이하 UWB라 칭함)이라 한다.
상기 UWB 통신은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FCC) 에서 인가된 3.1GHz~10.6GHz의 주파수 대역을 활용한 통신을 말하며, 중심주파수 대비 대역폭이 20% 이상이거나 500MHz 이상의 주파수 대역폭을 차지하는 통신 방식을 의미한다. UWB 방식의 신호는 넓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주파수 영역에서의 전력 밀도 값을 아주 작은 값으로 할 수 있어 다른 통신신호가 존재하는 주파수에 중첩되어 사용하더라도 간섭을 거의 주지 않을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고 있다. 초기에 제안된 UWB 방식 신호는 아주 짧은 신호 펄스를 사용함으로써 넓은 주파수 대역을 얻었으나 현재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부호 분할 다중 접속),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등의 여러 가지 변형된 형태의 UWB 방식이 제안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중 멀티밴드 OFDM (Multi Band-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MB-OFDM) 방식의 UWB 통신시스템을 살펴보면, 주파수 대역을 일정크기의 복수 개 서브밴드(sub-band)로 구분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UWB 통신 시스템은 상기 복수 개의 서브밴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서 단위 시간당 많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서브밴드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서브밴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서 데이터에 대한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서브밴드들을 순차적으로 사용함으로서 데이터에 대한 보안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멀티밴드 OFDM 방식의 UWB 통신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5개의 밴드그룹으로 구분되며, 총 14개의 서브밴드로 구성되는데, 이중 제 1 밴드그룹은 필수이고, 나머지 제 2 밴드그룹부터 제 5 밴드그룹까지는 선택이다.
도 1에 도시된 멀티밴드 OFDM 방식의 밴드 구성을 보면, 제 1 밴드그룹에서 제 4 밴드그룹까지는 각각 3개의 서브밴드로 구성되며, 제 5 밴드그룹은 2개의 서브밴드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밴드그룹내의 서브밴드들의 중심주파수(Center Frequency)는 3432㎒, 3960㎒, 4488㎒이며, 제 2 밴드그룹내의 서브밴드들의 중심주파수는 5016㎒, 5544㎒, 6072㎒이고, 제 3 밴드그룹내의 서브밴드들의 중심주파수는 6600㎒, 7128㎒, 7656㎒이며, 제 4 밴드그룹내의 서브밴드들의 중심주파수는 8184㎒, 8712㎒, 9240㎒이며, 제 5 밴드그룹내의 서브밴드들의 중심주파수는 9768㎒, 10296㎒이다.
이러한 멀티밴드 OFDM 방식의 밴드 플랜은 기술변화에 따라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UWB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중심주파수를 갖는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도 2는 제 1 밴드그룹 내에 있는 3 개의 서브밴드의 중심주파수를 생성하기 위한 종래의 주파수 합성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주파수 합성 장치는 다이렉트 컨버젼(Direct Conversion) 멀티 밴드 OFDM UWB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구조로서, 국부발진기(10), 위상 고정 루프(20, Phase Locked Loop, : PLL), 제 1/8 분주기(30), 제 1/2 분주기(40), 제 1 SSB 믹서(Single Side Band Mixer)(50), 선택부(60), 및 제 2 SSB 믹서(70)로 구성된다.
이하, 제 1 밴드그룹 내에 있는 3 개의 서브밴드의 중심주파수를 생성하기 위한 동작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국부 발진기(10)는 상기 3개의 서브밴드의 중심주파수인 3432㎒, 3960㎒, 및 4488㎒를 생성하기 위해, 고정된 발진주파수로 설정되어 4224㎒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생성한다.
위상 고정 루프(PLL:Phase Lock Loop)(20)은 상기 국부 발진기(10)에서 생성된 신호의 주파수를 안정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제 1/8 분주기(30)는 상기 국부 발진기(10)로부터 4224MHz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1/8로 분주함으로써 528MHz의 조정주파수 신호를 생성한다.
제 1/2 분주기(40)는 상기 제 1/8 분주기(30)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아, 1/2로 분주함으로써 264MHz의 조정주파수 신호를 생성한다.
제 1 SSB 믹서(50)는 상기 제 1/8 분주기(30)로부터의 528MHz의 조정주파수 신호와, 상기 제 1/2 분주기(40)로부터의 264MHz의 조정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믹싱을 수행함으로써 792MHz의 조정주파수 신호를 생성한다.
선택부(60)는 상기 제 1/2 분주기(40)로부터 264MHz의 조정주파수 신호와, 제 1 SSB 믹서(50)로부터 792MHz의 조정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둘 중 하나의 신호를 선택한다.
제 2 SSB 믹서(70)는 상기 국부 발진기(10)로부터 4224㎒의 주파수 신호, 및 상기 선택부(60)에서 선택되는 신호인 264MHz 또는 792MHz를 입력받아, 믹싱을 수행함으로써 원하는 3개의 서브밴드 중심주파수인 3432㎒, 3960㎒, 4488㎒를 생성한다. 즉, 제 2 SSB 믹서(70)는 4224㎒와 264MHz의 주파수 신호를 합산하여 4488㎒ 의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고, 4224㎒와 264MHz의 주파수 신호를 감산하여 3960㎒의 주파수 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4224㎒와 792MHz의 주파수 신호를 감산하여 3432㎒의 주파수 신호를 발생한다.
상술한 종래의 주파수 합성 장치는 현재 활용되고 있는 제 1 밴드 그룹 내에 있는 3개 서브밴드의 중심주파수 만을 생성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는 전적으로 반도체 기술수준이 높은 주파수 대역의 서브밴드를 지원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복잡한 무선서비스의 환경에서 간섭없는 안정된 UWB통신을 위해서는 서브밴드의 확장을 통한 주파수의 유연한 활용이 필요하고, 궁극적으로는 제 1 밴드그룹에서 제5 밴드그룹의 14개의 모든 서브밴드를 활용하는 UWB 통신이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필요성을 만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 밴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초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신호의 전송 및 수신을 위해 복수개의 서브밴드의 중심 주파수 신호 생성이 가능한 주파수 합성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합성 장치는 주파수 발생 수단 및 주파수 조정 수단으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주파수 합성 장치는 멀티 밴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는 주파수 발생 수단 및 상기 주파수 발생 수단으로부터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주파 수 조정을 통해 상기 초광대역 내의 모든 서브밴드 또는 일부 서브밴드의 중심주파수를 생성하는 주파수 조정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주파수 발생 수단은 주파수 제어신호에 따라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는 국부발진기, 상기 국부발진기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분주된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분주수단 및 기준주파수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분주수단으로부터의 분주된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주파수를 안정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주파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위상고정루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국부발진기는 주파수 제어신호에 따라 모든 서브밴드의 중심주파수를 생성하기 위해 12672MHz의 주파수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분주수단은 상기 국부발진기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복수개의 분주된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분주부와 제 2 분주부를 포함한다.
이중에서, 상기 제 1 분주부는 상기 국부발진기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1/3 분주된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분주기, 상기 제 1 분주기로부터 1/3 분주된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1/4 분주된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분주기 및 상기 제 2 분주기로부터 1/4 분주된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1/4 분주된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제 3 분주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분주기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는 4224MHz의 신호이고, 상기 제 2 분주기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는 1056MHz의 신호이며, 상기 제 3 분주기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는 264MHz의 신호이다.
한편, 상기 제 2 분주부는 상기 국부발진기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1/2 분주된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분주기와 상기 제 1 분주기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1/2 분주된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분주기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분주기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는 6336MHz의 신호이고, 상기 제 2 분주기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는 3168MHz의 신호이다.
이어서, 상기 주파수 조정 수단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주파수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혼합부,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주파수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선택된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선택부, 상기 제 1 혼합부로부터 생성된 주파수 신호와 상기 제 1 선택부로부터의 선택된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혼합부 및 상기 제 2 혼합부로부터 생성된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선택된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선택부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혼합부는 1320MHz, 792MHz, 264MHz의 주파수 신호들을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선택부는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주파수 발생 수단으로부터 6336MHz 및 3168MHz의 주파수 신호 중 하나의 주파수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상기 제 2 혼합부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혼합부로부터 생성된 주파수 신호와 상기 제 1 선택부로부터의 선택된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혼합기와 상기 제 1 혼합기로부터 생성된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또 다른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혼합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혼합기에서 생성된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는 제 1 밴드그룹에서 제 3 밴드그룹까지의 중심주파수이며, 상기 제 2 혼합기에서 생성된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는 제 4 밴드그룹에서 제 5 밴드그룹까지의 중심주파수이다.
또한, 상기 제 1 밴드그룹에서 상기 제 3 밴드그룹까지의 중심주파수 신호는 3432㎒, 3960㎒, 4488㎒, 5016㎒, 5544㎒, 6072㎒, 6600㎒, 7128㎒, 7656㎒ 의 신호이고, 상기 제 4 밴드그룹에서 상기 제 5 밴드그룹까지의 중심주파수 신호는 8184㎒, 8712㎒, 9240㎒, 9768㎒, 10296㎒ 의 신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합성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주파수 합성 장치는, 정해진 대역 내의 중심주파수 생성시 이용되는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주파수 발생 수단(100)과, 주파수 발생 수단(100)으로부터 생성된 주파수를 조정하여 정해진 대역내의 모든 서브밴드 또는 일부 서브밴드의 중심주파수를 생성하는 주파수 조정 수단(2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정해진 대역은 초광대역으로, 정해진 대역 내에 있는 모든 서브대역의 중심주파수는 3.1GHz~10.6GHz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서브대역의 중심주파수를 말한다. 따라서, 모든 서브대역의 중심주파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밴드그룹부터 제 5 밴드그룹까지의 서브밴드들의 중심주파수를 말하는 것으로, 3432㎒, 3960㎒, 4488㎒, 5016㎒, 5544㎒, 6072㎒, 6600㎒, 7128㎒, 7656㎒, 8184㎒, 8712㎒,9240㎒, 9768㎒, 10296㎒인 14개의 서브밴드 중심주파수를 말한다. 이러한 서브밴드의 중심주파수는 한정적이지 않으며 기술변화에 따라 변경될 가능성이 있 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주파수 발생 수단(100)은, 국부발진기(110), 분주수단(130), 및 위상고정루프(PLL:Phase Lock Loop)(150)로 구성된다.
상기 국부발진기(110)는, 주파수 제어신호에 따라 발진 주파수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국부발진기(110)는 주파수 제어신호에 따라 모든 서브밴드의 중심주파수를 생성하기 위해 12672MHz의 주파수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분주수단(130)은, 제 1 분주부(132)와 제 2 분주부(134)를 포함하며, 상기 국부발진기(110)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분주된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 1, 2 분주부(132, 134)는 상기 국부발진기(110)로부터의 12672MHz인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복수개의 분주된 주파수 신호를 출력한다.
먼저, 상기 제 1 분주부(132)는 제 1 분주기(132-1), 제 2 분주기(132-2), 및 제 3 분주기(132- 3)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분주기(132-1)는, 상기 국부발진기(110)로부터의 12672MHz인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1/3 분주된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분주기(132-2)는 상기 제 1 분주기(132-1)로부터 1/3 분주된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1/4 분주된 주파수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 3 분주기(132-3)는 상기 제 2 분주기(132-2)로부터 1/4 분주된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1/4 분주된 주파수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분주기(132-1)는, 상기 국부발진기(110)로부터의 12672MHz인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1/3 분주한 신호인 4224MHz의 Quadrature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분주기(132-2)는, 상기 제 1 분주기(132-1)로부터 1/3 분 주된 주파수 신호인 4224MHz Quadrature 신호를 입력받아 1/4 분주한 신호인 1056MHz의 Quadrature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 3 분주기(132-3)는, 상기 제 2 분주기(132-2)로부터 1/4 분주된 주파수 신호인 1056MHz의 Quadrature 신호를 입력받아 1/4 분주한 신호인 264MHz의 Quadrature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분주부(134)는, 제 1 분주기(134-1)와 제 2 분주기(134-2)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분주기(134-1)는 상기 국부발진기(110)로부터의 12672MHz인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1/2 분주한 주파수 신호인 6336MHz의 Quadrature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 2 분주기(134-2)는 상기 제 1 분주기(134-1)로부터의 주파수 신호인 6336MHz의 Quadrature 신호를 입력받아 1/2 분주한 주파수 신호인 3168MHz의 Quadrature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위상고정루프(150)는 기준주파수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분주수단(130)으로부터의 분주된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주파수를 안정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주파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즉, 위상고정루프(PLL: 150)는 외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기준주파수 신호를 입력는다. 그리고, 상기 분주수단(130)내에 있는 상기 제 1 분주부(132)의 상기 제 3 분주기(132-3)로부터의 분주된 주파수 신호인 264MHz의 신호를 입력받아, 주파수를 안정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주파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주파수 조정 수단(200)는, 제 1 혼합부(220), 제 1 선택부(240), 제 2 혼합부(260), 및 제 2 선택부(28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혼합부(220)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주파수 발생 수단(100)에서 생성된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 1 혼합부(220)는, 제1 분주부(132)의 제2 분주기(132-2)와 제3 분주기(132-3)로부터 각각 1056MHz, 264MHz의 신호를 입력받아 1320MHz, 792MHz, 264MHz의 주파수 신호들을 생성한다. 즉, 제 1 혼합부(220)는 입력받은 1056MHz, 264MHz의 신호를 제어신호에 따라 가산 및 감산하여 1320MHz, 792MHz의 Quadrature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며, 제3 분주기(132-3)로부터 입력받은 264MHz의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 1 선택부(240)는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주파수 발생 수단(100)으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선택되는 주파수 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제 1 선택부(240)는, 제2 분주부(134)의 제1 분주기(134-1)와 제2 분주기(134-2)으로부터 6336MHz 및 3168MHz의 주파수 신호를 각각 입력받은 후, 선택신호에 따라 6336MHz 및 3168MHz의 주파수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 2 혼합부(260)는, 제 1 혼합기(262)와 제 2 혼합기(264)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혼합부(220)로부터 생성된 주파수 신호와, 상기 제 1 선택부(240)로부터의 선택된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를 생성한다.
먼저, 제2 혼합부(260)의 제 1 혼합기(262)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혼합부(220)로부터 생성된 주파수 신호와, 상기 제 1 선택부(240)로부터의 선택된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 1 혼합기(262)는, 제1 혼합부(220)로부터의 1320MHz, 792MHz, 264MHz의 신호와, 제 1 선택부(240)로부터의 6336MHz, 3168MHz의 신호들을 제어신호에 따라 적절히 합산하여 3432㎒, 3960㎒, 4488㎒, 5016㎒, 5544㎒, 6072㎒, 6600㎒, 7128㎒, 7656㎒의 주파 수 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혼합기(262)에서 생성된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는 도 1에 도시된 제 1 밴드그룹에서 제 3 밴드그룹까지의 중심주파수에 해당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혼합기(264)는, 상기 제 1 혼합기(262)로부터 생성된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 및 제 1 분주부(132)의 제 2 분주기(132-2)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또 다른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 2 혼합기(264)는, 제 1 혼합기(262)로부터의 3432㎒, 3960㎒, 4488㎒, 5016㎒, 5544㎒, 6072㎒, 6600㎒, 7128㎒, 7656㎒의 신호, 및 제 2 분주부(134)의 제 2 분주기(134-2)로부터의 3168MHz의 신호들을 제어신호에 따라 적절히 합산하여, 8184㎒, 8712㎒, 9240㎒, 9768㎒, 10296㎒의 주파수 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제 2 혼합기(264)에서 생성된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는, 제 4 밴드그룹에서 제 5 밴드그룹까지의 중심주파수에 해당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선택부(280)는, 제1 혼합기(262)와 제2 혼합기(264)를 포함하는 제 2 혼합부(260)로부터 생성된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들을 입력받아, 선택신호에 따라 선택되는 주파수 신호를 출력한다.
즉, 제 2 선택부(280)는 상기 제 1 혼합기(262)에서 생성된 제 1 밴드그룹에서 제 3 밴드그룹까지의 중심주파수 신호인 3432㎒, 3960㎒, 4488㎒, 5016㎒, 5544㎒, 6072㎒, 6600㎒, 7128㎒, 7656㎒와, 상기 제 2 혼합기(264)에서 생성된 제 4 밴드그룹에서 제 5 밴드그룹까지의 중심주파수 신호인 8184㎒, 8712㎒, 9240㎒, 9768㎒, 10296㎒를 입력받아, 선택신호에 따라 선택되는 주파수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제 2 선택부(280)는, 제 1 밴드그룹에서 제 5 밴드그룹까지의 초광대역(3.1GHz ~10.6 GHz)의 모든 대역내에 있는 서브밴드의 중심주파수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합성 장치 내에 있는 주파수 발생 수단(3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주파수 발생수단(300)은, 도 3의 주파수 발생수단(100)과 달리 도 3의 주파수 발생수단(100)의 제2 분주부(132)의 제1 분주기(134-1) 대신 신호 변환부(334)를 이용한다.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파수 발생 수단(300)은, 국부발진기(310), 분주수단(330), 위상고정루프(PLL: 350), 및 신호 변환부(370)로 구성된다.
상기 국부발진기(310)는, 주파수 제어신호에 따라 발진 주파수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국부발진기(310)는 주파수 제어신호에 따라 모든 서브밴드의 중심주파수를 생성하기 위해, 6336MHz의 주파수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도 3에서 국부발진기(110)로부터의 신호를 1/2 분주하는 1/2 분주기인 제1 분주기(134-1)가, 도 4에서는 입력되는 신호의 위상을 90도 천이하는 신호변환부(334)로 대체됨으로써, 도 3과 도 4의 주파수 발생수단이 복수개의 동일한 주파수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도 4의 국부발진기(310)의 발진 주파수는 도 3의 국부발진기(110)의 발진 주파수 12672MHz의 1/2인 6336MHz로 한다.
상기 분주수단(330)은 제 1 분주부(332)와 제 2 분주부(334)로 구성되며, 상기 국부발진기(310)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분주된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 를 출력한다. 제1, 제2 분주부(332, 334)는 상기 국부발진기(310)로부터의 주파수 신호인 6336MHz를 각각 입력받아, 복수개의 분주된 주파수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 1 분주부(332)는 제 1 분주기(332-1), 제 2 분주기(332-2), 및 제 3 분주기(332-3)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분주기(332-1)는 상기 국부발진기(310)로부터의 주파수 신호 6336MHz를 입력받아 1/3 분주한 주파수 신호 2112MHz를 출력하며, 상기 제 2 분주기(332-2)는 상기 제 1 분주기(332-1)로부터 1/3 분주된 주파수 신호 2112MHz를 입력받아 1/2 분주한 주파수 신호 1056MHz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 3 분주기(332-3)는 상기 제 2 분주기(332-2)로부터 1/2 분주된 주파수 신호 1056MHz를 입력받아, 1/4 분주한 주파수 신호 256MHz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분주기(332-2)로부터의 1056MHz의 신호와 상기 제 3 분주기(332-3)로부터의 264MHz신호는, 도 3의 주파수 발생수단(100)과 같이 중심주파수를 생성하는 주파수 조정 수단의 입력신호로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분주부(334)는 상기 국부발진기(310)로부터의 주파수 신호 6336 MHz를 입력받아 1/2 분주된 주파수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제 2 분주부(334)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는 국부발진기(310)의 출력신호 6336MHz의 1/2인 3168MHz이며, 이 신호는 도 3의 주파수 발생수단(100)과 같이 주파수 조정수단의 입력신호로 사용된다.
상기 위상고정루프(350)는 기준주파수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분주수단(330)으로부터의 분주된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주파수를 안정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주파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즉, 위상고정루프(PLL: 350)는 기준주파수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분주수단(330)내에 있는 상기 제 1 분주부(332)의 상기 제 3 분주기(332-3)로부터의 분주된 주파수 신호 264MHz를 입력받아 주파수를 안정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주파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신호 변환부(370)는 상기 국부발진기(310)로부터의 주파수 신호 6336MHz를 입력받아 신호의 위상을 90도 천이하여 그 위상이 각각 90도씩 차이가 나는 동위상(In-phase) 신호 및 직교위상(Q : Quadrature)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때, 신호 변환부(370)는 다중 위상 필터(Poly Phase Filter : PPF)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신호 변환부(370)는 상기 국부발진기(310)로부터 6336MHz의 디퍼런셜(Differential) 신호를 입력받아 디퍼런셜 I/Q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의 상기 신호변환부(370)의 출력 신호는 주파수 조정 수단의 입력신호로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국부발진기(310)로부터 6336MHz의 디퍼런셜(Differential) I/Q신호가 생성될 경우, 상기 신호변환부(370)는 생략 가능하다. 이때, 상기 국부발진기로부터 생성된 6336MHz의 디퍼런셜(Differential) I/Q신호가 직접 주파수 조정 수단의 입력신호로 사용된다.
한편, 도 4에서 국부발진기(310)의 발진주파수를 6336MHz에서 6336MHz의 1/2인 3168MHz로 설정하여, 1/2 분주기인 제1 분주부(332)의 제2 분주기(332-2)와 제 2 분주부(334)를 생략할 수 있다.
국부발진기(310)의 발진주파수를 3168MHz로 설정할 경우, 제1 분주기(332-1)는 발진주파수를 1/3 분주하여 1056MHz를 출력하며 제3 분주기(332-3)는 제1 분주 기(323-1)의 신호 1056MHz를 입력받아 1/4 분주함으로써 264MHz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분주부(332)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1056MHz, 264MHz로 도 4에서 국부발진기(310)의 발진주파수 6336MHz를 이용하는 경우와 동일하다. 또한, 신호 변환부(334)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3168MHz로, 제 2 분주부(334)로부터 주파수 조정수단의 제2 혼합기(264)로 입력되는 신호는 동일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합성 장치 내에 있는 주파수 조정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주파수 조정수단(400)은 도 3의 주파수 조정수단(200)의 제1 선택부(240)가 하나의 스위치로 구현되는 것과 달리, 주파수 조정수단(400)의 제1 선택부(440)은 두 개의 스위치 제1 스위치(440-1)와 제2 스위치(440-2)를 구비한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조정 수단(400)의 입력신호로는 도 3에 도시된 주파수 발생 수단(100) 또는 도 4 에 도시된 주파수 발생 수단(300)으로부터의 출력신호가 사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주파수 조정 수단(400)은 제 1 혼합부(420), 제 1 선택부(440), 제 2 혼합부(460), 및 제 2 선택부(48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혼합부(420)는 제어신호에 따라 주파수 발생 수단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를 생성한다. 제1 혼합부(420)는 주파수 발생 수단으로부터 1056MHz와 264MHz 신호를 입력받은 후, 제어신호에 따라 1056MHz와 264MHz 신호를 가산 및 감산하여 1320MHz 와 792MHz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 1 선택부(440)는 제 1 스위치(440-1)와 제 2 스위치(440-2)를 포함하며, 상기 주파수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주파수 신호, 및 상기 제 1 혼합부(420)으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선택신호에 따라 선택된 주파수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제 1 스위치(440-1)는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주파수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6336 MHz 및 3168MHz 주파수 신호 중 하나의 주파수 신호를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스위치(440-2)는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주파수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264 MHz 주파수 신호와, 상기 제 1 혼합부(420)로부터의 1320MHz 또는 792MHz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하나의 주파수 신호를 선택한다.
따라서, 제 1 선택부(440)는 6336 MHz, 3168MHz, 1320MHz, 792MHz, 또는 264 MHz의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 2 혼합부(460)는 제 1 혼합기(462) 및 제 2 혼합기(464)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선택부(440)로부터의 선택된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신호에 따라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 1 혼합기(462)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선택부(440)로부터 선택된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제1 혼합기(462)에서 생성되는 신호는 도 1에 도시된 제 1 밴드그룹에서 제 3 밴드그룹까지의 서브밴드 중심주파수들에 해당한다. 제 1 선택부(440)는 6336 MHz, 3168MHz, 1320MHz, 792MHz, 또는 264 MHz의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출력하므로, 상기 제 1 혼합기(462)는 제1 선택부(44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제어신호에 따라 적절히 합산함으로써 제1 밴드그룹에서 제3 밴드그룹의 중심주파수인 3432㎒, 3960㎒, 4488㎒, 5016㎒, 5544㎒, 6072㎒, 6600㎒, 7128㎒, 7656㎒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혼합기(464)는 상기 제 1 혼합기(462)로부터 생성된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와, 주파수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3168MHz 신호를 입력받아 또 다른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제 2 혼합기(464)에서 생성된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는, 제 4 밴드그룹에서 제 5 밴드그룹까지의 서브밴드 중심주파수에 해당한다.
제2 혼합기(464)는 제 1 혼합기(462)로부터의 3432㎒, 3960㎒, 4488㎒, 5016㎒, 5544㎒, 6072㎒, 6600㎒, 7128㎒, 7656㎒ 신호와, 주파수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3168MHz 신호를 제어신호에 따라 적절히 합산함으로써, 제 4 밴드그룹에서 제 5 밴드그룹까지의 서브밴드 중심주파수 신호인 8184㎒, 8712㎒, 9240㎒, 9768㎒, 10296㎒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선택부(480)는 제1 혼합기(462)와 제2 혼합기(464)를 포함하는 상기 제 2 혼합부(460)로부터 생성된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선택된 주파수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 2 선택부(480)는,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혼합기(462)에서 생성된 제 1 밴드그룹에서 제 3 밴드그룹까지의 서브밴드 중심주파수 신호와 상기 제 2 혼합기(464)에서 생성된 제 4 밴드그룹에서 제 5 밴드그룹까지의 서브밴드 중심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제 1 밴드그룹에서 제 5 밴드그룹까지의 정해진 대역(3.1GHz ~10.6 GHz)내에 있는 모든 서브밴드의 중심주파수들을 출력할 수 있 다.
즉, 제 2 선택부(480)는, 제1 혼합기(462)로부터의 3432㎒, 3960㎒, 4488㎒, 5016㎒, 5544㎒, 6072㎒, 6600㎒, 7128㎒, 7656㎒와, 제2 혼합기(464)로부터의 8184㎒, 8712㎒, 9240㎒, 9768㎒, 10296㎒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함으로써, 초광대역 내에 있는 모든 서브밴드의 중심주파수들을 출력할 수 있다.
도 3,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주파수 합성 장치는 정해진 대역(3.1GHz ~10.6 GHz)내에 있는 14개 서브밴드의 중심주파수를 모두 생성할 수도 있지만 일부 서브밴드의 중심주파수만을 선택하여 활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밴드그룹의 서브밴드 중심주파수인 3432㎒, 3960㎒, 4488㎒ 의 신호만을 선택하여 활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 밴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초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정해진 대역(3.1GHz ~10.6 GHz)내에 있는 모든 서브밴드의 중심주파수를 모두 생성해냄으로써 광대역 무선통신을 위한 서브밴드의 활용도를 한층 높일 수 있다.
또한, 제 1 밴드그룹에서 제 5 밴드그룹까지의 14개의 모든 서브밴드를 이용함으로써, 복잡하고 다양한 무선주파수 환경에서 주파수 간섭이 적은 서브밴드의 유연한 활용을 통해서 안정된 UWB 통신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적절한 모든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1)

  1. 멀티 밴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초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주파수 합성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는 주파수 발생 수단; 및
    상기 주파수 발생 수단으로부터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주파수 조정을 통해 상기 초광대역 내의 모든 서브밴드 또는 일부 서브밴드의 중심주파수를 생성하는 주파수 조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합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발생 수단은
    주파수 제어신호에 따라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는 국부발진기;
    상기 국부발진기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분주된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분주수단; 및
    기준주파수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분주수단으로부터의 분주된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주파수를 안정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주파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위상고정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합성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발진기는
    주파수 제어신호에 따라 모든 서브밴드의 중심주파수를 생성하기 위해 12672MHz의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합성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주수단은
    상기 국부발진기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복수개의 제1 분주된 주파수 신호들을 출력하는 제 1 분주부; 및
    상기 국부발진기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복수개의 제2 분주된 주파수 신호들을 출력하는 제 2 분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합성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주부는
    상기 국부발진기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1/3 분주된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분주기;
    상기 제 1 분주기로부터 1/3 분주된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1/4 분주된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분주기; 및
    상기 제 2 분주기로부터 1/4 분주된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1/4 분주된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제 3 분주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합성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주기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는 4224MHz의 신호이고, 상기 제 2 분주기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는 1056MHz의 신호이며, 상기 제 3 분주기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는 264MHz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합성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분주부는
    상기 국부발진기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1/2 분주된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분주기; 및
    상기 제 1 분주기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1/2 분주된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분주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합성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주기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는 6336MHz의 신호이고, 상기 제 2 분주기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는 3168MHz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합성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조정 수단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주파수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혼합부;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주파수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선택된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선택부;
    상기 제 1 혼합부로부터 생성된 주파수 신호와, 상기 제 1 선택부로부터의 선택된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혼합부; 및
    상기 제 2 혼합부로부터 생성된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와, 상기 주파수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선택된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선택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합성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혼합부는
    1320MHz, 792MHz, 264MHz의 주파수 신호들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합성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택부는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주파수 발생 수단으로부터 6336MHz 및 3168MHz의 주파수 신호 중 하나의 주파수 신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합성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혼합부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혼합부로부터 생성된 주파수 신호와, 상기 제 1 선택부로부터의 선택된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들을 생성하는 제 1 혼합기; 및
    상기 제 1 혼합기로부터 생성된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와, 상기 주파수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또 다른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들을 생성하는 제 2 혼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합성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혼합기에서 생성된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는, 상기 초광대역의 제 1 밴드그룹에서 제 3 밴드그룹까지의 중심주파수이며, 상기 제 2 혼합기에서 생성된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는, 상기 초광대역의 제 4 밴드그룹에서 제 5 밴드그룹까지의 중심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합성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밴드그룹에서 상기 제 3 밴드그룹까지의 중심주파수 신호는 3432㎒, 3960㎒, 4488㎒, 5016㎒, 5544㎒, 6072㎒, 6600㎒, 7128㎒, 7656㎒ 의 신호이고, 상기 제 4 밴드그룹에서 상기 제 5 밴드그룹까지의 중심주파수 신호는 8184㎒, 8712㎒, 9240㎒, 9768㎒, 10296㎒ 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합성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발생 수단은
    주파수 제어신호에 따라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는 국부발진기;
    상기 국부발진기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분주된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분주수단;
    기준주파수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분주수단으로부터의 분주된 주파수 신호 를 입력받아 주파수를 안정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주파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위상고정루프; 및
    상기 국부발진기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신호의 위상을 90도 천이하여 그 위상이 각각 90도씩 차이가 나는 동위상 신호 및 직교위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합성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발진기는
    주파수 제어신호에 따라 모든 서브밴드의 중심주파수를 생성하기 위해 6336MHz의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합성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분주수단은
    상기 국부발진기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복수개의 제1 분주된 주파수 신호들을 출력하는 제 1 분주부; 및
    상기 국부발진기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복수개의 제2 분주된 주파수 신호들을 출력하는 제 2 분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합성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주부는
    상기 국부발진기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1/3 분주된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분주기;
    상기 제 1 분주기로부터 1/3 분주된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1/2 분주된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분주기; 및
    상기 제 2 분주기로부터 1/2 분주된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1/4 분주된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제 3 분주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합성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주기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는 2112MHz의 신호이고, 상기 제 2 분주기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는 1056MHz의 신호이며, 상기 제 3 분주기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는 264MHz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합성 장치.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분주부는
    상기 국부발진기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1/2 분주된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합성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분주부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는 3168MHz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합성 장치.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조정 수단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주파수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혼합부;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주파수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주파수 신호와, 상기 제 1 혼합부으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선택된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선택부;
    상기 제 1 선택부로부터의 선택된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혼합부; 및
    상기 제 2 혼합부로부터 생성된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선택된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선택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합성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혼합부는 1320MHz, 792MHz의 주파수 신호들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합성 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택부는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주파수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6336 MHz 및 3168MHz 주파수 신호 중 하나의 주파수 신호를 선택하는 제 1 스위치; 및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주파수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264 MHz 주파수 신호와 상기 제 1 혼합부로부터의 1320MHz 또는 792MHz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하나의 주파수 신호를 선택하는 제 2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합성 장치.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혼합부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혼합기; 및
    상기 제 1 혼합기로부터 생성된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와 상기 주파수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또 다른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혼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합성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혼합기에서 생성된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는 상기 초광대역의 제 1 밴드그룹에서 제 3 밴드그룹까지의 서브밴드 중심주파수이며, 상기 제 2 혼합기에서 생성된 복수개의 주파수 신호는 상기 초광대역의 제 4 밴드그룹에서 제 5 밴드그룹까지의 서브밴드 중심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합성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밴드그룹에서 상기 제 3 밴드그룹까지의 서브밴드 중심주파수 신호는 3432㎒, 3960㎒, 4488㎒, 5016㎒, 5544㎒, 6072㎒, 6600㎒, 7128㎒, 7656㎒ 의 신호이고, 상기 제 4 밴드그룹에서 상기 제 5 밴드그룹까지의 서브밴드 중심주파수 신호는 8184㎒, 8712㎒, 9240㎒, 9768㎒, 10296㎒ 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합성 장치.
  2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대역이 3.1GHz~10.6GHz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합성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대역이 제 1 밴드그룹에서 상기 제 5 밴드그룹까지 5개의 밴드그룹으로 나누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합성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밴드그룹에서 상기 제 5 밴드그룹까지의 서브밴드가 14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합성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밴드그룹에서 상기 제 5 밴드그룹까지의 서브밴드 중심주파수 신호는 3432㎒, 3960㎒, 4488㎒, 5016㎒, 5544㎒, 6072㎒, 6600㎒, 7128㎒, 7656㎒, 8184㎒, 8712㎒, 9240㎒, 9768㎒, 10296㎒ 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합성 장치.
KR20050060279A 2005-07-05 2005-07-05 주파수 합성 장치 KR100769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60279A KR100769678B1 (ko) 2005-07-05 2005-07-05 주파수 합성 장치
US11/386,696 US7310023B2 (en) 2005-07-05 2006-03-23 Frequency synthesizer
EP20060010306 EP1742368A3 (en) 2005-07-05 2006-05-18 Frequency synthesizer
CNA2006101011564A CN1893293A (zh) 2005-07-05 2006-07-05 频率合成器
JP2006185064A JP2007020175A (ja) 2005-07-05 2006-07-05 周波数合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60279A KR100769678B1 (ko) 2005-07-05 2005-07-05 주파수 합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5136A true KR20070005136A (ko) 2007-01-10
KR100769678B1 KR100769678B1 (ko) 2007-10-24

Family

ID=37074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60279A KR100769678B1 (ko) 2005-07-05 2005-07-05 주파수 합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10023B2 (ko)
EP (1) EP1742368A3 (ko)
JP (1) JP2007020175A (ko)
KR (1) KR100769678B1 (ko)
CN (1) CN189329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954B1 (ko) * 2007-02-28 2008-09-1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광대역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합성 장치
KR100877569B1 (ko) * 2007-07-23 2009-01-07 주식회사 실리콘하모니 초광대역에서 이용가능한 주파수 생성기 및 주파수를생성하는 방법
KR100883382B1 (ko) * 2007-09-20 2009-02-1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초광대역 시스템의 주파수 합성 장치
KR101228867B1 (ko) * 2012-03-30 2013-02-01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저 위상잡음 특성을 갖는 주파수 합성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22898B2 (en) * 2005-06-01 2009-04-21 Wilinx Corporation High frequency synthesizer circuits and methods
KR101172349B1 (ko) * 2006-01-24 2012-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대역 rf 수신기를 위한 다중 주파수 합성 장치 및방법
JP4646856B2 (ja) * 2006-06-09 2011-03-09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周波数シンセサイザ
TWI339516B (en) * 2006-11-30 2011-03-21 Ind Tech Res Inst Frequency synthesizer and frequency synthesis method
US7792497B2 (en) * 2007-03-22 2010-09-07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requency synthesizing
CN101098142B (zh) * 2007-06-14 2011-05-04 复旦大学 多边带正交频分复用超宽带系统射频收发机的频率综合器
US20090028217A1 (en) * 2007-07-25 2009-01-29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Ultra-wideband (UWB) frequency synthesizer system and method
US8369782B1 (en) 2007-08-13 2013-02-05 Marvell International Ltd. Bluetooth wideband scan mode
KR100906807B1 (ko) * 2007-08-24 2009-07-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지 무선 시스템의 대역폭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US8577305B1 (en) 2007-09-21 2013-11-05 Marvell International Ltd. Circuits and methods for generating oscillating signals
US8588705B1 (en) 2007-12-11 2013-11-19 Marvell International Ltd.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Power over Ethernet impairment
CN101471909B (zh) * 2007-12-26 2010-12-15 中国科学院微电子研究所 用于ofdm uwb的六频带频率综合器
CN101471659B (zh) * 2007-12-26 2010-09-29 中国科学院微电子研究所 用于OFDM UWB的5.5至7.2GHz四频带频率综合器
US8315564B2 (en) 2008-06-16 2012-11-20 Marvell World Trade Lt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S8600324B1 (en) 2008-06-27 2013-12-03 Marvell International Ltd Circuit and method for adjusting a digitally controlled oscillator
US8472968B1 (en) 2008-08-11 2013-06-25 Marvell International Ltd. Location-based detection of interference in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s
CN101662436B (zh) * 2008-08-27 2012-07-04 中国科学院微电子研究所 一种用于双载波ofdm uwb的频率综合器
KR20100026360A (ko) * 2008-08-29 2010-03-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누설신호 저감장치 및 그 방법
US9288764B1 (en) 2008-12-31 2016-03-15 Marvell International Ltd. Discovery-phase power conservation
EP2237423A1 (fr) * 2009-03-24 2010-10-06 CSEM Centre Suisse d'Electronique et de Microtechnique SA - Recherche et Développement Synthétiseur de fréquence
US8472427B1 (en) 2009-04-06 2013-06-25 Marvell International Ltd. Packet exchange arbitration for coexisting radios
US9066369B1 (en) 2009-09-16 2015-06-23 Marvell International Ltd. Coexisting radio communication
KR101614127B1 (ko) * 2010-02-03 2016-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파수 신호 생성 장치
US8767771B1 (en) 2010-05-11 2014-07-01 Marvell International Ltd. Wakeup beacons for mesh networks
US8422975B2 (en) * 2010-06-09 2013-04-16 Qualcomm, Incorporated Harmonic suppression and/or rejection
JP5776128B2 (ja) 2010-10-20 2015-09-09 マーベル ワールド トレード リミテッド 関連付け前の発見
US8750278B1 (en) 2011-05-26 2014-06-10 Marvell International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ff-channel device invitation
US8983557B1 (en) 2011-06-30 2015-03-17 Marvell International Ltd.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multi-antenna transceiver
US9125216B1 (en) 2011-09-28 2015-09-01 Marvell International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interference among multiple radios
US9088468B2 (en) 2012-01-20 2015-07-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ouble conversion dual-carrier radio frequency receiver
US9215708B2 (en) 2012-02-07 2015-12-15 Marvell World Trad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network communication
US9450649B2 (en) 2012-07-02 2016-09-20 Marvell World Trade Ltd. Shaping near-field transmission signals
CN102780490B (zh) * 2012-08-14 2014-12-10 武汉滨湖电子有限责任公司 一种dds直接形成式的超宽带调频信号产生电路及方法
CN103647512B (zh) * 2013-12-18 2017-01-25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一研究所 一种超宽带信号频段合成电路及合成方法
US11356109B1 (en) * 2021-02-26 2022-06-07 Realtek Semiconductor Corp. Wide-band frequency synthesizer for zero-IF WLAN radio transceiver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7791B2 (ja) * 1998-05-12 2006-07-19 新日本無線株式会社 Pllシンセサイザ発振器
SE518078C2 (sv) 2000-10-23 2002-08-20 Spirea Ab Frekvenssyntetisator och metod för att syntetisera en frekvens
US7206334B2 (en) 2002-07-26 2007-04-17 Alereon, Inc. Ultra-wideband high data-rat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US7092645B1 (en) * 2002-12-13 2006-08-15 Rockwell Collins, Inc. Electro optical microwave communications system
JP2005129993A (ja) * 2003-10-21 2005-05-19 Sony Corp 周波数合成装置及び周波数合成方法
KR20050069297A (ko) * 2003-12-31 2005-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주파수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0602271B1 (ko) * 2004-05-25 2006-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초광대역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신호 발생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954B1 (ko) * 2007-02-28 2008-09-1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광대역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합성 장치
KR100877569B1 (ko) * 2007-07-23 2009-01-07 주식회사 실리콘하모니 초광대역에서 이용가능한 주파수 생성기 및 주파수를생성하는 방법
KR100883382B1 (ko) * 2007-09-20 2009-02-1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초광대역 시스템의 주파수 합성 장치
KR101228867B1 (ko) * 2012-03-30 2013-02-01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저 위상잡음 특성을 갖는 주파수 합성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93293A (zh) 2007-01-10
JP2007020175A (ja) 2007-01-25
US7310023B2 (en) 2007-12-18
US20070008429A1 (en) 2007-01-11
EP1742368A3 (en) 2007-08-29
EP1742368A2 (en) 2007-01-10
KR100769678B1 (ko) 200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9678B1 (ko) 주파수 합성 장치
US76022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signals with a preselected frequency relationship in two steps
US7321268B2 (en) Ultra wideband and fast hopping frequency synthesizer for MB-OFDM wireless application
US7652542B2 (en) Signal generator, and transmitter, receiver and transceiver using same
US7928807B2 (en) Frequency synthesizer architecture for multi-band ultra-wideband system
KR100686738B1 (ko) 고속 모드 및 저속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초광대역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KR101172349B1 (ko) 다중 대역 rf 수신기를 위한 다중 주파수 합성 장치 및방법
US7545847B2 (en) Frequency synthesizer applied to frequency hopping system
JP2005198275A (ja) 超広域送受信のためのパルス信号発生器およびそれを含む送受信装置
US200401311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band ultra-wide band signal generators
US7570712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ultrawide bandwidth signals
KR20050069297A (ko) 데이터 전송을 위한 주파수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060123583A (ko) 국부 발진기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 및 회로
CN101505151B (zh) 全频带频率产生器
CN101471662A (zh) 用于OFDM UWB的6至8.2GHz五频带频率综合器
US7268640B2 (en) Frequency generator arrangement
KR100883382B1 (ko) 초광대역 시스템의 주파수 합성 장치
KR100877569B1 (ko) 초광대역에서 이용가능한 주파수 생성기 및 주파수를생성하는 방법
CN101471910B (zh) 用于OFDM UWB的5.5至8.2GHz六频带频率综合器
KR100858954B1 (ko) 광대역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합성 장치
Ko A pulsed multiband UWB transmitter and receiver with beamforming for high data-rate WPAN applications
Raman et al. RF/mixed-signal Ultrawideband Transmitter IC Design in Silicon Technologies
CN101471661B (zh) 用于OFDM UWB的6.6至8.2GHz四频带频率综合器
JP2010130629A (ja) 周波数シンセサイザ及び電子回路装置
WO2009107042A1 (en) Frequency generation for an ultrawide band radi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