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0989U - 개선된 이중 비임 접촉부를 갖는 커넥터 - Google Patents
개선된 이중 비임 접촉부를 갖는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00989U KR20070000989U KR2020077000016U KR20077000016U KR20070000989U KR 20070000989 U KR20070000989 U KR 20070000989U KR 2020077000016 U KR2020077000016 U KR 2020077000016U KR 20077000016 U KR20077000016 U KR 20077000016U KR 20070000989 U KR20070000989 U KR 20070000989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contact
- male
- female
- connec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5—U-shaped sockets having inwardly bent legs, e.g. spade typ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고안은 저 삽입력 수형 및 암형 단자 구조에 관한 것이고 수형 및 암형 단자를 일체화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한 쌍의 외팔보식 접촉 아암을 갖는 분기된 암형 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외팔보식 접촉 아암은 대향 블레이드 단자의 접촉부가 암형 단자에 정합될 때 암형 단자 접촉 아암이 비틀림 편향을 발생시키지 않는 분기된 암형 단자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단일 및 이중 스프링 아암 암형 접촉 전기 단자가 핀, 블레이드(blades), 에지 카드 접촉 패드와 같은 수형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해 제공되어 왔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장치에서, 수형 단자는 암형 단자에 의한 삽입 저항에 극복하기에 충분한 힘으로 암형 단자에 삽입되어야 한다. 접촉 구조물의 삽입력은 수형 단자를 암형 단자에 통과시킬 수 있도록 암형 접촉부를 벌리거나 들어올리는데 요구되는 힘을 나타내는 양력(lifting) 성분을 포함하고, 삽입중 암형 접촉부가 수형 단자를 마찰하여 제공되는 횡방향 마찰 성분을 포함한다.
다수의 암형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암형 단자는 대응되는 다수의 수형 단자를 포함하는 수형 커넥터에 정합하도록 구성된 커넥터에 장착되는 다중 회로 장치에서, 각 쌍의 접촉부와 연관된 각각의 삽입력이 결합되어 암형 및 수형 커 넥터를 정합시키는데 필요한 전체 삽입력이 극도로 커진다.
1988년 4월 26일에 특허된 미국 특허 제4,740,180호는 수형 블레이드 단자가 비틀림 트위스트를 포함하고 암형 단자가 두 개의 상이한 접촉 지점에서 블레이드 단자와 결합하는 두 개의 접촉 아암을 갖는 저 삽입력 단자 조립체를 개시한다. 수형 접촉 블레이드의 비틀림 트위스트가 복합체 성형 방법을 요구하며, 단자와 조립체의 가격을 증가시킨다. 또한, 암형 단자에 스탬핑 가공되는 슬롯은 접촉 아암의 성형 지점으로 연장하여, 고도의 국지 응력 집중 구역을 생성하고, 이는 커넥터의 반복되는 정합 사이클 하에 접촉 아암을 약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메자닌 커넥터와 같은 고밀도 용도에 사용될 수 있으며 전술한 단점을 극복한 신뢰할만한 저가의 저 삽입력 단자 조립체에 관한 것이.
따라서, 본 고안의 일반적인 목적은 신규하고 개선된 저 삽입력 정합 전기 접촉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블레이드의 형태의 긴 수형 단자와, 단자 본체부의 전방으로 연장하고 중간 슬롯에 의해 이격되는 한 쌍의 접촉 아암을 포함하는 분기된 접촉부를 가진 긴 암형 단자를 포함하는 신뢰할만한 정합 전기 접촉 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때 상기 두 개의 접촉 아암은 단자 본체부의 종방향의 중심선 대향 측상의 경로를 따라 각각 연장하는 아치 형상을 각각 갖는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분기된 암형 단자와 정합하는 블레이드 단자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블레이드 단자는 대향 측면에 한 쌍의 리세스를 구비하고 종 방향의 접촉부를 갖고, 상기 대향 측면은 상기 접촉부의 종방향 에지를 따라 연장하는 한 쌍의 접촉면을 형성하고, 각각의 접촉 에지는 대향 암형 단자의 분기된 접촉 아암 중 하나에 접촉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긴 아암의 형태를 갖는 한 쌍의 접촉부를 구비한 암형 단자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각각의 아암은 아치형 구조를 갖고, 한 쌍의 아암은 중간 슬롯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슬롯은 자유단으로 단자의 본체부로 소정의 제1 거리를 연장하고, 상기 접촉 아암은 단자의 자유단에서부터 소정의 제2 거리에서 아치형 구조로 성형되어, 접촉 아암의 임의의 만곡이 슬롯의 단부로부터 이격되고, 그로 인해 접촉 아암의 편향 중 발생하는 응력을 감소시킨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접촉 표면을 형성하는 확대된 자유단에서 각각의 종결하는 분기된 접촉 아암을 구비한 단자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접촉 표면은 상기 접촉 아암의 자유단을 접촉면에서 접촉 아암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압인 가공하여 형성된다.
본 고안의 추가적인 목적은 수형 및 암형 도전성 단자를 이용하는 신규하고 개선된 저 삽입력 단자 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형 단자는 블레이드 형태이고 상기 암형 단자는 분기된 접촉 아암 형태이며, 상기 암형 접촉 아암은 수형 및 암형 단자 사이에서의 접촉을 보장하기 위해 비틀림에 의존하지 않고 블레이드 단자와 확실하게 접촉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메자닌형 커넥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단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조립체는 두 개의 단부 사이에서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절연 기부를 갖고, 상기 기부는 대향 단부와 정합하는 두 개의 대향 측면을 갖고, 상기 기부는 기부의 축으로 정렬되어 배열된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고, 기부는 각 단자의 부분들을 공기에 노출시키는 개방부를 일 측면을 따라 갖는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개선된 단자를 갖는 신규한 저 삽입력 커넥터가 제공되고 복수의 도전성 단자는 절연 하우징에 배열된다. 하나의 커넥터는 수형 커넥터이고, 다른 커넥터는 암형 커넥터이다. 두 개의 커넥터는 모두 단자의 어레이를 유닛으로 수용하는 절연 하우징을 갖는다. 이러한 단자 어레이는 절연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는 지지 부재에 의해 정렬되어 지지된다. 이러한 어레이는 커넥터 하우징에 형성된 슬롯 내에 수용된다.
수형 커넥터에서, 단자는 편평한 블레이드 접촉부를 포함하고 접촉부의 에지는 블레이드 단자의 에지를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접촉 에지를 형성하도록 둥글게 굴려진다. 암형 커넥터에서, 단자는 한 쌍의 분기된 접촉 아암을 형성하기 위해 자유단에서부터 단자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하는 종방향의 슬롯에 의해 분할되는 편평한 본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 아암은 아치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대향되게 연장해서, 하나의 접촉 아암은 본체부의 축 방향 위로 연장하고 다른 접촉 아암은 본체부의 축 방향 아래로 연장한다. 단자를 사용하는 동안 형성될 수 있는 임의의 응력 집중을 감소시키기 위해 접촉 아암이 이격 슬롯의 단부 부근에서 성형되지 않도록 이격 슬롯은 접촉 아암의 길이보다 길게 본체로 연장한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접촉 아암이 정합하는 동안 비틀림 편향보다는 대체로 외팔보식 편향하게 한다.
접촉 어레이는 두 개의 대향 단부 사이에 연장하는 절연 기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단부는 외부 하우징을 결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련의 이러한 기부는 본 고안의 다중 접촉 태양을 형성하도록 하우징 내에서 보유된다. 상기 기부는 중심, 중공부를 갖고 단자 그룹은 각각의 기부에 보유되고 기부의 소정 축과 정렬된다. 기부의 중공부는 단자의 일 측면을 공기에 노출시키고 단자 그룹의 대향 측면을 덮는다. 그 후 단자 그룹이 단자의 외부 하우징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들 목적 및 기타 목적과, 본 고안의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상세한 설명을 고찰함으로써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단자를 포함하는 메자닌형 커넥터 조립체로 도시된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과 동일한 도면이나, 두 개의 커넥터가 분해되어 정합을 해제된 상태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3은 도1의 커넥터 조립체의 암형 커넥터 부품의 분해도이다.
도4는 선형 어레이로 배열된 단자를 도시한 도3의 암형 커넥터 부품의 단일 단자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5는 도4의 커넥터 부품에 사용되는 암형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6A는 도5의 선 A-A를 따라 취해진 도5의 암형 단자의 저면도이다.
도6B는 도6A의 선 B-B를 따라 정합 단부로부터 취해진 도면이다.
도6C는 도6A의 암형 단자의 선 C-C를 따라 취해진 측면도이다.
도7은 선형 어레이로 배열된 수형 단자를 도시한 도2의 수형 커넥터 부품의 단일 단자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8은 도2의 수형 커넥터 부품에서 사용되는 수형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9는 도8의 선 9-9를 따라 취해진 수형 단자의 단면도이다.
도10은 함께 결합되었지만, 각각의 단자 지지 부재로부터는 제거된, 수형 및 암형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11은 도10의 선 11-11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12는 도10의 수형 및 암형 단자의 측면도이다.
도13은 두 개의 대향하는 수형 및 암형 단자 조립체의 단면도로 조립체 안의 단자의 지지부를 도시한다.
도14A는 도3의 일부의 한 쌍의 단면도로 병렬로 배열된 한 쌍의 리셉터클 단자 조립체를 도시한다.
도14B는 도1의 일부의 한 쌍의 단면도로 병렬로 배열된 한 쌍의 블레이드 또는 수형 단자 조립체를 도시하였다.
도1은 본 고안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커넥터 조립체(50)를 도시한다. 상기 조립체(50)는 수형 커넥터 부품(52)과 암형 커넥터 부품(53)을 포함한다. 두 개의 개별 맞물림 커넥터 부품(52, 53, 도2)을 포함한다. 용어 "수형" 및 "암형"은 상세한 설명에서 단자 구조를 언급할 때 사용되고, 이 상세한 설명에서, 수형 커넥터 부품(52)은 암형 커넥터 부품(53)에 배치된 대응 암형 단자의 아암 사이에 수용되 는 복수의 개별 블레이드 접촉부를 갖는다.
각각의 커넥터 부품(52, 53)은 절연 하우징(54, 55)내에 지지되는 복수의 도전성 단자를 포함한다. 도시된 이러한 각각의 하우징(54, 55)은 커넥터 부품의 주연을 형성하는 외벽(56, 57)을 포함하고, 수형 커넥터 부품(52)은 암형 커넥터 부품(53)의 정합부(59)가 연장해서 들어가는 중공 내부 공동(58)을 포함한다.
도3은 암형 커넥터 부품(53)을 더 상세하게 도시하고, 커넥터 부품(53)은 복수의 단자 지지 부재(70) 내에서 보유되는 복수의 도전성 단자(60)를 포함한다. 암형 커넥터 부품 하우징(55)은 각각이 하나의 암형 단자(60)를 수용하는 복수의 단자 수용 공동(49)을 포함하는게 바람직 하다. 구체적으로, 암형 단자(60)의 접촉부(62)는 상기 공동(49) 내로 연장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는 복수의 개별 절연 지지 부재(70)에 의해 단자 각각의 커넥터 부품을 구비하여 선형 어레이로 함께 보유되고, 각각의 지지 부재는 한 쌍의 결합 탭 또는 유사한 돌출부(72)를 가진 본체부(71)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탭 또는 유사한 돌출부는 본체부(71)의 대향하는 양단부면(73)에 배치된다. 이러한 돌출부(72)는 각각의 하우징(54, 55)에 형성된 대응 대향 슬롯(48, 도1)에 삽입된다. 돌출부(72)는 하우징에 지지 부재(70)가 삽입될 때 커넥터 부품 하우징의 측벽에 억지 끼움을 하기 위해 돌출부 위에 형성되어 커넥터 하우징 슬롯(48)과 마찰식으로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보스(74, 도4)를 포함할 수 있다. 도4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지지 부재(70)는 중공일 수 있고, 그로 인해 두 개의 단부면(73) 사이에서 폭 방향으로 이어지는 개방 중심부(7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중심부(76)는 인접한 단자 지지 부재(70)들에 매설되는 단자 열들 사이에 일련의 공기 채널(77)을 형성할 것이다. 이러한 지지 부재(70)는 단자(60)위에서 성형될 수 있거나, 또는 단자(60)는 슬롯(78)을 통해 지지 부재에서 나란히 배치되거나 지지 부재(70) 내의 위치에서 양호하게 성형될 수 있다. 도14A는 서로 근접해서 배열된 한 쌍의 암형 단자 조립체(70)의 단면도이다. 단자 지지부(70)의 반부 만이 중공이 되고, 단자 지지부의 개방부(77)는 단자의 일 측면에만 생성되고 이러한 구조는 근접한 단자 지지부 사이의 "포켓(pocket)" 또는 공기를 형성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도5는 본체부(63)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대향 꼬리부(61)와 접촉부(62)를 가진 암형 단자(60)를 도시한다. 본체부(63)는 측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노치(64)를 포함할 수 있어 단자 지지 부재(70)를 형성하기 위해 오버 몰딩 공정이 사용될 때 지지 부재(70) 내에 단자(60)의 보유를 용이하게 한다. 납땜 요소(65)는 단자 꼬리부를 회로 기판(도시되지 않음) 상의 대향 트레이스에 고정하는 것을 돕기 위해 꼬리부(61)에 배치될 수 있다.
전방, 또는 단자의 접촉부(62)는 분기되고, 이는 조정 슬롯(67)에 의해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이격 접촉 아암(66)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슬롯(67)은 단자의 종방향 축(R)을 따라 이어질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대향하는 수형 (블레이드) 단자(90)에 접촉하도록 의도된 두 개의 개별 접촉 아암(66)을 성형한다. 두 개의 접촉 아암(66)의 사용은 이러한 단자를 사용하는 커넥터에 대해 중복 접촉 경로를 제공하는데, 이 중복은 두 개의 커넥터 부품(52, 53)의 수형 및 암형 단자 사이 의 접촉을 보장할 뿐 아니라, 단자의 인덕턴스를 낮춘다. 또한 과잉 중복은 삽입력을 줄인다.
단자(60)의 기부 형상은 시트 금속 블랭크로부터 전체 단자 구조를 스탬핑 가공함으로 초기에 성형된다. 슬롯(67)은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되는 방식으로 한 쌍의 아암을 성형하도록 스탬핑 가공된다. 양호하게는 접촉 아암(66)은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는 축소되었지만 전체 크기가 확대된 확대 접촉면(68)을 포함하는 자유 단부(69)를 갖는다. 이러한 접촉면은 위 또는 아래에서 볼 때 통상의 직사각형 구조를 갖지만(도6A) 도6C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형 구조로 압인 가공된다. 확대 접촉면(68)은 자유 단부(69)를 압인 가공하여 본체부(63)에서의 두께(T)(도6C)로부터 더 작은 두께(t)로 두께가 축소되고 도6A에 가상으로 도시된 폭(w)에서 최종 압인 가공 폭(W)으로 접촉면에서의 접촉 아암의 폭이 증가된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다. 양호하게는, 상기 축소된 두께(t)는 단자 본체부의 두께(T)의 대략 절반이다.
또한, 접촉 아암(66)은 약간 아치형이며, 바람직하게는 반원 구조를 포함하게 형성되고, 도6C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접촉 아암이 단자(60)의 중심선(C)과 본체부의 종방향 축(R) 위로 연장하는 반면 다른 접촉 아암은 상기 축 아래로 연장하는 대향 아치형 방향으로 형성된다. 두 개의 접촉 아암은 접촉 아암 자유단(69)의 영역, 구체적으로 자유단의 확대 접촉면(68)에서 서로 만나거나, 축과 재회한다. 접촉면은 원호의 일부로 형성되고 접촉면의 기부(80, 또는 하부면)는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선(A)를 따라 서로 오프셋되어서 접촉 단부에서 보면 각 각의 하부 접촉면(80)은 단자(60) 본체부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 아래에 놓이게 된다(도6C). 단자는 스탬핑 가공되고, 스탬핑 가공시 슬롯(67)은 두 개의 접촉 아암 또는 비임(66)을 형성하기 위한 소정의 유극을 형성하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두 개의 접촉 아암(66)은 단자 본체부(63)로부터 연장하는 한 쌍의 외팔보식 비임으로서 작동하고 이러한 단자의 구조는 사용 중 본 고안의 단자에 가해지는 응력을 낮추는 것은 돕는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67)은 접촉 아암(66)의 자유단(69)에서부터 소정의 제1 거리(D1) 만큼 연장한 반면, 접촉 아암(66)은 같은 거리에서 접촉 아암의 아치형 형상을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제1 거리 보다 짧은 거리인 소정의 제2 거리(D2) 만큼 연장한다. 이것은 접촉 아암이 스탬핑된 평면으로부터 위(또는 아래)로 굴곡을 시작하기 전에 슬롯(67)이 시작(또는 종결)하는 것이 도시된 도6C에 잘 도시되었다. 길이(D1)와 길이(D2) 사이의 차이는 접촉 아암의 초기 만곡에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슬롯의 거리이다. 이와 관련하여, 접촉 아암의 만곡 또는 성형은 슬롯(67)의 선단 에지(82)에서부터 이격되어 발생한다. 본 고안의 다른 중요 태양에서, 접촉면(69)의 축소된 두께(t)는 외팔보식 접촉 아암에 나타나는 응력을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접촉면(69)의 확대된 폭은 접촉 아암을 독립적으로 만곡시켜서 대향하는 정합 블레이드 접촉부의 치수 변화성을 고려한다. 두 개의 단자 사이의 접촉 방식은 도11에 잘 도시되어 있다.
도8은 접촉부(92)와, 땜납 부재(94)도 함께 도시되는 꼬리부(93) 사이에서 연장하는 본체부(91)를 가진 긴 블레이드 단자(90)로 형성된 본 고안의 수형 단자를 도시한다. 본체부(91)는 단자(90)가 지지 부재(70)로 성형되는 경우에 보유를 목적으로 측부에 노치(950)를 구비할 수 있다. 도7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개방부(76)와 단부 돌출부(72)를 갖는 절연 단자 지지 부재(70) 내에 정렬된 수형 단자(90)의 어레이를 도시한다.
암형 단자의 넓은 접촉면(68)을 이용하기 위해, 블레이드 단자(90)는 접촉부(92)의 자유단(96) 부근에 두 개의 얕은 리세스(95)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리세스는 도1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측면 에지를 형성하도록 양호하게는 반경을 형성하며 둥글려지는 두 개의 특정 측면 에지(97)를 형성한다. 접촉면(68)은 종전 기술의 단자의 경우 같이 비틀림 편향이 아니라 외팔보식으로 편향된 접촉 아암과 상기 측면 에지를 점 접촉한다. 상기 측면 에지의 원통 형상은 정확한 원통형일 필요는 없으며 가장자리의 외표면에 편평부(98)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 단자의 중심 리세스(95)가 존재함으로써 두 개의 접촉 비임 접촉 표면(68)은 약간 오정렬될 수 있지만, 여전히 블레이드 단자와 확실한 접촉을 유지한다. 블레이드 단자(90)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면(68)들의 중심간 거리와 대략 동일한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레이드 단자(90)는 절연 단자 지지 부재(70) 내에 유사하게 유지되고, 각각의 블레이드 단자는 수형 커넥터 부품(52)에 끼워 맞춤된다. 단자 지지 부재(70)는 두 개의 단부면(73) 사이에서 폭 방향으로 이어지는 개방 중심부(76)와 함께 중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중심부(76)는 근접한 단자 지지 부재(70)사이에서 일련의 공기 포켓(77)을 형성할 것이다.
Claims (17)
- 서로 결합가능한 수형 커넥터 및 암형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이며,상기 수형 커넥터는 접촉부와, 꼬리부 및 상기 꼬리부와 상기 접촉부를 함께 상호 연결하는 본체부를 구비한 긴 블레이드 형태인 적어도 하나의 수형 단자를 포함하고,상기 암형 커넥터는 꼬리부와,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와 상기 꼬리부를 함께 상호 연결하는 본체부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암형 단자를 포함하며 본체부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은 각각이 아치형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접촉 아암을 형성하고, 상기 두 개의 접촉 아암은 상기 암형 단자 본체부의 종방향 축의 대향 측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각각의 접촉 아암은 자유단에서 확대 접촉 표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확대 접촉 표면은 상기 암형 단자 본체부의 대응 두께보다 두께를 축소하고 표면을 확대하도록 압인 가공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단자는 상기 수형 단자 접촉부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지는 종방향 에지를 형성하도록 상기 접촉부 내의 대향 측면에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형 및 암형 커넥터가 정합될 때, 상기 수형 단자 에지는 상기 암형 단자의 상기 접촉 표면과 접촉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단자 에지는 아치형 외면을 형성하도록 둥글려지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표면은 반대 방향으로 대면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단자는 측면 에지에서 볼 때 Y형 구조를 갖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단자 슬롯은 임의의 암형 단자 접촉 아암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전기커넥터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단자 접촉 아암은 상기 수형 단자에 정합될 때, 외팔보식으로 편향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단자는 절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지지부는 일 측면 상에 상기 암형 단자 본체부의 일부를 공기에 노출시키는 개방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커넥터는 별개의 선형 어레이로 배열된 복수의 수형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암형 커넥터도 별개의 선형 어레이로 배열된 복수의 암형 단자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수형 및 암형 단자 어레이는 각각의 절연 단자 지지부 내에서 지지되고, 상기 단자 지지부의 각각은 상기 단자 지지부의 일 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부는 상기 수형 및 암형 단자 본체부를 공기에 노출시키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 기부와,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단자 수용 공동을 포함하는 정합면을 구비한 절연 하우징과,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각각이 도전성 단자의 어레이를 지지하며 상기 단자부의 부분들을 상기 단자 수용 공동 내에 수용하기 위해 제위치에서 각각의 상기 지지부를 보유하도록 상기 하우징 기부를 결합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복수의 단자 지지부를 포함하고,상기 단자의 각각은 꼬리 단부, 접촉 단부 및 상기 꼬리 단부와 상기 접촉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의 각각은 상기 접촉 단부에서 형성된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슬롯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격 슬롯은 상기 접촉 단부에서 한 쌍의 접촉 아암을 형성하고, 상기 접촉 아암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아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촉 아암의 각각은 확대 접촉 표면을 더 포함하고, 상 기 확대 접촉 표면이 서로 대면하는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접촉 표면은 상기 단자 접촉 단부를 압인 가공하여 형성되는 커넥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슬롯은 제1 길이를 갖고, 상기 접촉 아암은 제2 길이를 갖고, 상기 제1 길이가 상기 제2 길이보다 큰 커넥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슬롯은 제1 위치에서 상기 접촉 단부 및 단부로부터 상기 단자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접촉 아암은 상기 단자 본체부에서부터 외향으로 만곡되고, 상기 만곡은 제1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에서 개시하는 커넥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접촉 표면은 상기 접촉 아암의 대응 폭보다 넓은 커넥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상기 각각의 지지부 내에서 선형 어레이로 배열되는 커넥터.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지지부는 지지된 상기 단자 본체부의 일 측면 을 공기에 노출시키는, 내부에 형성된 개방부를 갖는 커넥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7000016U KR200439284Y1 (ko) | 2004-12-22 | 2005-12-21 | 개선된 이중 비임 접촉부를 갖는 커넥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60/640,111 | 2004-12-22 | ||
KR2020077000016U KR200439284Y1 (ko) | 2004-12-22 | 2005-12-21 | 개선된 이중 비임 접촉부를 갖는 커넥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00989U true KR20070000989U (ko) | 2007-09-05 |
KR200439284Y1 KR200439284Y1 (ko) | 2008-04-03 |
Family
ID=41558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77000016U KR200439284Y1 (ko) | 2004-12-22 | 2005-12-21 | 개선된 이중 비임 접촉부를 갖는 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9284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51173A (ko) * | 2013-11-01 | 2015-05-11 | 센사타 테크놀로지스 매사추세츠, 인크. | 커넥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95626B1 (ko) * | 2021-11-11 | 2022-05-11 | 주식회사 위드웨이브 | 핀 어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적용한 고속 신호 전송 커넥터 |
-
2005
- 2005-12-21 KR KR2020077000016U patent/KR20043928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51173A (ko) * | 2013-11-01 | 2015-05-11 | 센사타 테크놀로지스 매사추세츠, 인크. | 커넥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9284Y1 (ko) | 2008-04-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187338B2 (ja) | 電気コネクタ | |
JP4780807B2 (ja) | 基板実装用及びケーブル取付け用コネクタファミリー | |
EP0846350B1 (en) | Method for making surface mountable connectors | |
US4023879A (en) | Adjustable electrical connector with replaceable contact sub-assembly and variable strain relief | |
JP4041064B2 (ja) | インサート成形端子モジュール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組み立て体 | |
EP2178175A2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resisting structure to ensure reliable contacting between ground shields thereof | |
EP0418698B1 (en) | Electrical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uch a terminal | |
JP3360178B2 (ja) | 一体的支持構造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 |
TW202226679A (zh) | 整體屏蔽式電纜連接器 | |
JP3143222U (ja) | 改良されたデュアルビームコンタクトを備えたコネクタ | |
US20010021609A1 (en) | Battery connector | |
JP2019071184A (ja) | コネクタ | |
EP0191539A2 (en) | Electrical connecting terminal for a connector | |
US5308258A (en) | Planar modular interconnect system | |
JP3418212B2 (ja) | プリント回路板及びアウトリガーエッジコネクタ組立体並びにその組み立て方法 | |
EP0109297B1 (en) | Improvements in electrical contact members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ies | |
KR200439284Y1 (ko) | 개선된 이중 비임 접촉부를 갖는 커넥터 | |
JPH09204944A (ja) | 積重ね電気コネクタ組立体 | |
JP5281051B2 (ja) | コネクタ装置 | |
US6017253A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a tubular contact formed from an array of V-shaped members | |
JPH02189869A (ja) | 電気コネクタ | |
JPH0751736Y2 (ja) | 薄型電気接続用雌コネクタ | |
TWI749611B (zh) | 低高度邊緣連接器及使用其的連接器系統 | |
JPS61179080A (ja) | プリント回路板に用いる厚みの薄い積層コネクタ | |
US6454617B1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321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