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4422A -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전달계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전달계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4422A
KR20060134422A KR1020050054087A KR20050054087A KR20060134422A KR 20060134422 A KR20060134422 A KR 20060134422A KR 1020050054087 A KR1020050054087 A KR 1020050054087A KR 20050054087 A KR20050054087 A KR 20050054087A KR 20060134422 A KR20060134422 A KR 20060134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motor
mode
hybri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4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8568B1 (ko
Inventor
조성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4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8568B1/ko
Publication of KR20060134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4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8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8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motors or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510/0638Engin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주행 속도와 엔진 회전수에 맞추어 엔진과 모터의 동작 상태를 변화시켜 동력 전달 효율이 증가되도록 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전달계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전달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 상황에 맞추어 모터 모드 또는 하이브리드 모드를 선택하는 동력 선택 단계(ST10), 상기 동력 선택 단계(ST10)에서 하이브리드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엔진의 회전 속도와 구동축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여 엔진과 모터를 각각 제어하는 단계(ST40)로 구성된다.
하이브리드 차량, 엔진, 모터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전달계의 제어 방법{A control method for power transmission in hybrid vehicle}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전달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전달계의 제어 방법의 구성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모드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이브리드 차량의 주행 속도와 엔진 회전수에 맞추어 엔진과 모터의 동작 상태를 변화시켜 동력 전달 효율이 증가되도록 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전달계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 자동차라고 함은 서로 다른 두 종류 이상의 동력원을 효율적으로 조합하여 차량을 구동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대부분의 경우에는 연료를 사용 하여 동력을 얻는 엔진과 전기로 구동되는 전기 모터로 구성된 시스템으로서, 일명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라고 일컬어지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전달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엔진(2)의 출력측에 제 1 및 제 2 모터(M1, M2)로 구성된 모터부(M)를 두고 그 후측으로 발진 클러치(C)를 포함하는 무단 변속기(8)를 배치하고, 이의 무단 변속기(8)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으로 구동륜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부(M)는 모터 컨트롤 유닛(MCU)을 통해 배터리(12)의 전원을 공급받으면서 제어되며,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를 전체적으로 총합 제어하는 하이브리드 제어유닛(HCU)은 엔진제어유닛(ECU)와 트랜스밋션 제어유닛(TCU), 그리고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과 운전자가 직접 조작하는 가속 페달 센서(APS)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현재의 차량 운전상태를 입력받아 모터 컨트롤 유닛(MCU)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는 시동을 걸때에는 전기모터를 이용하여 초기 연료 소모와 배기가스 발생을 최소화하고, 가속시에는 일정 시속동안 전기모터가 엔진의 동력을 보조하게 되는 것이다.
즉, 저속에서는 전기의 힘으로 중고속에서는 연료로 차가 움직이게 되는 것이며, 일반 주행시에도 일정 속도를 넘으면 연료는 전기에서 가솔린으로 바뀌게 됨으로써, 전기모터의 도움으로 엔진에 걸리는 부하 및 작동조건이 개선되고, 엔진의 배기가스 배출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는 엔진과 모터에서 발생되는 동력이 클러치(C)를 통해 변속기로 전달되어 차량을 주행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 출력 속도 및 토크 제어를 위해 엔진의 동력을 제 1 모터(M1)으로 흡수하고, 이를 제 2 모터(M2)로 공급하여 구동을 하는 직렬형 모드를 빈번하게 사용하면서 필연적으로 효율의 감소를 가져오게 된다.
효율 감소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모터(M1)의 속도를 0 으로 유지하여 엔진의 동력을 모두 출력 축으로 직접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경우에는 제 1 모터(M1)의 속도를 0 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전기 에너지가 소모되어, 동력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이브리드 차량의 주행 속도와 엔진 회전수에 맞추어 엔진과 모터의 동작 상태를 변화시켜 동력 전달 효율이 증가되도록 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전달계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전달계의 제어 방법의 구성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로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전달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 상황에 맞추어 모터 모드 또는 하이브리드 모드를 선택하는 동력 선택 단계(ST10), 상기 동력 선택 단계(ST10)에서 하이브리드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엔진의 회전 속도와 구동축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여 엔진과 모터를 각각 제어하 는 단계(ST40)로 구성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상기 엔진과 모터를 각각 제어하는 단계(ST10)는 엔진의 회전 속도가 구동축의 회전 속도보다 낮은 경우에 선택되는 감속 모드(ST110), 엔진의 회전 속도가 구동축의 회전 속도보다 높은 경우에 선택되는 증속 모드(ST120), 엔진의 회전 속도가 구동축의 회전 속도가 동일한 경우에 선택되는 직결 모드(ST13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주행 상황에 맞추어 차량의 주행에 필요로 하는 동력을 선택하도록 한다. 즉, 차량의 출발 초기에 차량의 엔진 동력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효율이 낮으므로 모터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 1 모터(M1)로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고, 제 2 모터(M2)로만 전원을 공급하여 제 2 모터(M2)에서 발생되는 동력에 의해 차량의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제 2 모터(M2)로 공급되는 전원의 제어는 악셀 페달의 조작 정도에 따른다.
차량이 출발한 후 차량의 주행 속도가 일정 이상으로 증가되면 주행 모드는 모터의 회전력만을 사용하는 모터 모드에서 모터의 회전력과 엔진의 동력을 사용하는 하 이브리드 모드로 변화된다.
동력 공급 모드가 하이브리드 모드로 변화되면 엔진의 회전 속도와 구동축의 회전 속도를 비교하여 적절한 주행 모드가 선택되어 차량이 주행하게 된다.
차량의 주행시 동력 공급 모드가 하이브리드 모드로 변환된 후, 엔진(2)의 회전 속도와 구동축의 회전 속도를 비교하여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적절한 주행 모드를 선택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모드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우선 엔진(2)의 회전 속도가 구동축의 회전 속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감속 모드(ST110)를 선택하여, 제 2 모터(M2)는 엔진의 토크를 감소시키고(ST112), 엔진 토크 감소에 의해 얻어진 동력은 제 1 모터(M1)로 공급하여 엔진의 회전 속도가 증가되도록 한다(ST114).
이때 클러치(C)는 분리되어 동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ST116).
엔진(2)의 회전 속도가 구동축의 회전 속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가속 모드(ST130)를 선택하여, 토크가 증가되어야 하므로 제 2 모터(M2)는 엔진의 토크를 증대시키는데 사용되고(ST132), 제 1 모터(M1)는 엔진의 회전수를 감소시킨다(ST134).
이때 클러치(C)는 분리되어 동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ST136).
엔진(2)의 회전 속도가 구동축의 회전 속도와 동일한 경우에는 직결 모드(ST120)을 선택하여, 제 1 모터(M1)와 제 2 모터(M2)는 작동을 중지하고(ST122), 클러치(C)는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결합(ST124)되어 엔진(2)에서 발생한 동력이 바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주행 속도와 엔진 회전수에 맞추어 엔진과 모터의 동작 상태를 변화시켜 동력 전달 효율이 증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전달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 상황에 맞추어 모터 모드 또는 하이브리드 모드를 선택하는 동력 선택 단계(ST10), 상기 동력 선택 단계(ST10)에서 하이브리드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엔진의 회전 속도와 구동축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여 엔진과 모터를 각각 제어하는 단계(ST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전달계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과 모터를 각각 제어하는 단계(ST10)는 엔진의 회전 속도가 구동축의 회전 속도보다 낮은 경우에 선택되는 감속 모드(ST110), 엔진의 회전 속도가 구동축의 회전 속도보다 높은 경우에 선택되는 증속 모드(ST120), 엔진의 회전 속도가 구동축의 회전 속도가 동일한 경우에 선택되는 직결 모드(ST1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전달계의 제어 방법.
KR1020050054087A 2005-06-22 2005-06-22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전달계의 제어 방법 KR100778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087A KR100778568B1 (ko) 2005-06-22 2005-06-22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전달계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087A KR100778568B1 (ko) 2005-06-22 2005-06-22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전달계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4422A true KR20060134422A (ko) 2006-12-28
KR100778568B1 KR100778568B1 (ko) 2007-11-22

Family

ID=37812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4087A KR100778568B1 (ko) 2005-06-22 2005-06-22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전달계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85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20515A (zh) * 2020-02-28 2021-08-31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车辆的控制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868B1 (ko) * 2013-04-18 2014-10-28 자일대우버스(주) 듀얼 전기모터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구동 시스템
KR101454870B1 (ko) * 2013-04-18 2014-10-28 자일대우버스(주) 듀얼 저용량 전기모터와 변속형 기어박스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구동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6624B2 (ja) * 1997-11-28 2003-10-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3575320B2 (ja) 1999-03-31 2004-10-13 スズキ株式会社 車両のモータ駆動制御装置
JP2001095102A (ja) 1999-09-22 2001-04-06 Yamaha Motor Co Ltd シリーズハイブリッド式電動車両
KR20040002090A (ko) * 2002-06-29 2004-0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모터 제어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20515A (zh) * 2020-02-28 2021-08-31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车辆的控制装置
CN113320515B (zh) * 2020-02-28 2024-04-02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车辆的控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8568B1 (ko) 200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99666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JP5489270B2 (ja) ハイブリット車両の可変電圧制御方法
US6497635B2 (en) Vehicle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US7810593B2 (en) Control system for a hybrid electric vehicle
US2009011887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 oil pump for hybrid electric vehicle
US200801091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Torque Control of a Hybrid Automobile After a Start
JP2007137407A (ja) ハイブリッド車の傾斜路駆動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20040021879A (ko)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엔진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JP2003009311A (ja) ハイブリッド駆動システムの回生減速技術
US7024859B2 (en) Combustion engine acceleration support using an integrated starter/alternator
KR101372198B1 (ko) 시동발전기의 발전 출력 제어 방법
JP3852604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およびこれが備えるエンジンの始動制御方法
JP2009504469A (ja) 自動車用ドライブトレイン及びドライブトレインの運転方法
US8095258B2 (en) Vehicle powertrain, controller thereof,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powertrain
JP2007246009A (ja) 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の制御装置
JP2008094238A (ja) ハイブリッド車の制御装置
JP2009126303A (ja) 車両制御装置
JP3214150B2 (ja) ハイブリッド自動車の制動制御装置
JPH09224303A (ja) ハイブリッド自動車の車両制御装置
WO2003082619A1 (fr) Dispositif de commande pour vehicule hybride
KR20060134422A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전달계의 제어 방법
JP4235485B2 (ja) 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のための油圧診断方法
JP2007236109A (ja) 電気自動車の制御装置
JP3721443B2 (ja) ハイブリッド自動車
KR100737014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동식 에어컨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