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4367A - 로봇청소기용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로봇청소기용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4367A
KR20060134367A KR1020050053992A KR20050053992A KR20060134367A KR 20060134367 A KR20060134367 A KR 20060134367A KR 1020050053992 A KR1020050053992 A KR 1020050053992A KR 20050053992 A KR20050053992 A KR 20050053992A KR 20060134367 A KR20060134367 A KR 20060134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cleaner
charging device
charging
cleaner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3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3619B1 (ko
Inventor
박창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3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619B1/ko
Publication of KR20060134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4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 A47L2201/022Recharging of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봇청소기의 자동충전과 함께, 자세를 변경하여 안정적으로 수동충전과 보관이 가능한 로봇청소기용 충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로봇청소기의 외관과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로봇청소기가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를 가지는 충전장치 본체; 상기 충전장치 본체에 구비되어, 로봇청소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단자; 상기 로봇청소기가 소정 조건이 되는 경우에 로봇청소기를 복귀하도록 유도하는 제1센서부; 그리고, 상기 로봇청소기가 상기 결합부로 용이하게 진입하도록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로봇청소기용 충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로봇청소기를 자동충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충전장치의 자세를 바꾸어 손쉽게 수동으로 충전할 수 있다.
로봇청소기, 충전장치, 안내플레이트, 자동충전, 수동충전

Description

로봇청소기용 충전장치{Charging Equipment for Robot Cleaner}
도 1은 종래의 로봇청소기와 로봇청소기용 충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하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용 충전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용 충전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로봇청소기가 자동충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용 충전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로봇청소기가 수동충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로봇 청소기 110: 캐비닛
120: 흡입장치 130: 흡입 노즐
140: 집진장치 150: 좌측 구동 바퀴
160: 우측 구동바퀴: 170: 보조 바퀴
180: 제어부 200: 로봇청소기용 충전장치
210: 본체 215: 결합부
230: 충전단자 250: 제1센서부
270: 안내플레이트 271: 경사면
273: 지지부 290: 코드부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조작없이 스스로 청소를 수행하는 로봇청소기의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장치의 구동에 의해, 외부에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후, 이물질을 분리하여 집진하는 장치이다.
상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진공 청소기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조작되는 수동 진공 청소기, 그리고 사용자의 조작 없이 스스로 청소를 수행하는 로봇 청소기로 분류된다.
여기서, 상기 로봇 청소기는,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 내를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장치로서, 일정 구역의 청소를 자동으로 수행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로봇청소기와 로봇청소기용 충전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로봇 청소기에는, 청소구역 내에 설치된 가구나 사무용품, 벽 등의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센서, 그리고 상기 로봇 청소기의 이동을 위한 좌, 우측 바퀴(16)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좌, 우측 바퀴는 각각 좌륜모터(미도시)와 우륜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좌륜모터와 우륜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로봇 청소기가 스스로 방향 전환을 하면서 실내의 청소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로봇 청소기의 하부에는, 바닥에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 노즐(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흡입 노즐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움직일 수 없도록 고정되는 노즐 케이스와 상기 노즐 케이스의 바닥에 형서되어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로봇청소기용 충전장치(20)는 청소 수행으로 인하여 소모된 본체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본체(27), 충전단자(23), 제1센서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충전단자(23)의 본체에는 로봇청소기(10)의 외관과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로봇청소기(10)가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충전단자(23)는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로봇청소기(10)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로봇청소기(10)의 충전소켓(13)의 형상에 대응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센서부(25)는 상기 로봇청소기(10)의 제2센서부(15)로 소정의 신호를 보내어 상기 충전장치(20)의 위치를 알려줌으로써, 상기 로봇청소기(10) 의 배터리 전압이 소정 값 이하로 떨어지거나, 청소작업이 완료된 경우 상기 로봇청소기(10)가 충전장치(20)로 복귀하도록 유도한다. 즉, 상기 제1센서부(25)는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제2센서부(15)는 제1센서부(25)로 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센서부(25)와 제2센서부(15)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상기 로봇청소기(10)는 충전장치(20)와 결합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충전장치(20)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상기 충전장치(2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코드부(29)가 구비된다. 즉, 상기 코드부(29)에 의해서 충전장치(20)에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충전소켓(13)과 충전단자(23)가 접하게 되면 상기 로봇청소기(10)는 충전장치(20)에 의해서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로봇청소기용 충전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로봇청소기가 자동으로 충전되는 기능만을 수행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수동충전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설사, 수동충전이 가능하더라도, 충전장치가 수평방향으로 놓여진 자세에서는 로봇청소기가 충전장치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로봇청소기를 보관하고자 할때, 충전장치가 수평한 방향으로 놓여지게 되어 보관공간을 많이 차지하게되고, 로봇청소기의 보관상태가 안정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 은 로봇청소기의 자동충전뿐만 아니라, 수동충전이 가능한 로봇청소기용 충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전장치를 수동충전 기능으로 사용할 경우 로봇청소기가 안정적으로 충전장치에 안착될 수 있으며,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로봇청소기용 충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로봇청소기를 보관할 때, 보관공간을 최소화하면서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로봇청소기용 충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로봇청소기의 외관과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로봇청소기가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를 가지는 충전장치 본체; 상기 충전장치 본체에 구비되어, 로봇청소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단자; 상기 로봇청소기가 소정 조건이 되는 경우에 로봇청소기를 복귀하도록 유도하는 제1센서부; 그리고, 상기 로봇청소기가 상기 결합부로 용이하게 진입하도록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로봇청소기용 충전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충전장치는, 상기 본체의 바닥면이 지면에 접한 상태의 자세에서 상기 로봇청소기의 자동충전이 가능하며, 상기 본체의 바닥면 이외에 다른 일측면이 지면에 접한 상태의 자세에서 수동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봇청소기의 수동 충전은 상기 안내플레이트가 본체의 외측으로 접힌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충전장치는, 상기 안내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로봇 청소기가 충전되는 동안 그 내부에 수용된 상기 바퀴가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안내플레이트의 내부로 함몰된 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홈은 상기 로봇청소기의 이동바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로봇청소기의 기본적인 구성을 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하부 사시도이다.
상기 로봇 청소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청소기 본체(110), 상기 청소기 본체(110) 내부에 제공되는 흡입장치(120), 상기 흡입장치(120)의 구동에 의해 바닥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 노즐(130),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130)에서 흡입된 공기 중의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장치(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로봇 청소기(100)의 청소기 본체(110)는 지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원통형 즉, 납작한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장치(120), 상기 흡입 노즐(130),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130)과 연통하는 상기 집진장치(140)가 구비된 다.
또한, 상기 청소기 본체(110)의 외주면에는 실내의 벽이나 장애물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와 충돌시 충격을 완충하는 범퍼(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청소기 본체(110)의 양측 하부에는 각각, 상기 로봇 청소기(100)의 이동을 위한 좌, 우측 구동 바퀴(150,16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좌, 우측 구동 바퀴(150,160)는 각각, 제어부(180)에 의해 제어되는 좌륜모터(151)와 우륜모터(161)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좌륜모터(151)와 우륜모터(161)의 구동에 따라 상기 로봇 청소기(100)가 스스로 방향 전환을 하면서 실내의 청소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110)의 바닥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바퀴(170)가 구비되어, 상기 로봇 청소기와 바닥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상기 로봇 청소기(100)의 움직임을 안내한다.
상기 로봇 청소기(100)의 내부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청소기 본체(110)의 전방부에는 상기 로봇 청소기(100)의 구동을 제어하는 각종 전장부품이 배치된 제어부(18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180)의 후방에는 상기 흡입장치(120)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90)가 구비된다.
상기 배터리(190)의 후방에는 공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상기 흡입장치(120)가 구비되고, 상기 흡입장치(120)의 후방에 구비되는 집진장치 장착부(140a)에는 상기 집진장치(140)가 후방에서 착탈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장치(140)의 하측에는 상기 흡입 노즐(130)이 구비되어, 바닥의 이물질을 공기와 함께 흡입한다.
여기서, 상기 흡입장치(120)는, 상기 배터리(190)와 상기 집진장치(140)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19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터(미도시)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팬(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흡입 노즐(130)은, 상기 청소기 본체(110)의 바닥에 형성된 개구부(미도시)를 통해 상기 청소기 본체(110)의 하측으로 노출됨으로써, 실내의 바닥에 접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장치(200)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로봇청소기용 충전장치(200)의 기본적인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다. 즉, 결합부(215)를 가지는 본체(210), 충전단자(230), 제1센서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로봇청소기(100)가 상기 결합부(215)로 용이하게 진입하도록 경사면(271)을 가지며, 상기 본체(210)와 결합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플레이트(2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충전단자(230)의 본체(210)는 로봇청소기(100)의 외관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로봇청소기(100)가 충전장치(200)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215)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충전단자(230)는 본체(210)의 일측에 구비되어 로봇청소기(100)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로봇청소기(100)의 충전소켓의 형상에 대응 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의 충전단자(230)는 6점 단자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로봇청소기(100)가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서는 상기 로봇청소기(100) 후면이 상기 결합부(215)에 삽입되어야 하고, 상기 로봇청소기(100)와 결합부(215)의 삽입이 완료되면 그와 동시에 상기 충전소켓과 충전단자(230)는 접촉하게된다. 이로써 상기 로봇청소기(100)의 배터리는 충전장치(200)에 의해서 충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제1센서부(250)는 상기 로봇청소기(100)에 구비된 제2센서부와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상기 로봇청소기(100)가 충전장치(200)로 복귀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제1센서부(250)와 제2센서부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상기 로봇청소기(100)는 충전장치(200)와 결합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신호부는 로봇청소기(100)의 제2센서부로 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충전장치(200)의 위치를 알려줌으로써, 상기 로봇청소기(100)의 배터리 전압이 소정 값 이하로 떨어지거나, 청소작업이 완료된 경우 상기 로봇청소기(100)가 충전장치(200)로 복귀하도록 유도한다.
즉, 상기 제1센서부(250)는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제2센서부는 제1센서부(250)로 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충전장치(200)의 제1센서부(250)가 신호를 송신하고, 로봇청소기(100)의 제2센서부가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아니고, 로봇청소기(100)의 제2센서부가 신호을 송신하고, 충전장치(200)가 신호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제1센서부(250)와 제2센서부의 송수신하는 신호는 예를들어 광신호가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2센서부는 발광센서와 수광센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봇청소기(100)는 수광센서에서 출력되는 광신호의 세기에 따라 로봇청소기(100)가 충전장치(200)로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안내플레이트(270)는 상기 결합부(215)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충전장치(200)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플레이트(270)는 상기 로봇청소기(100)가 자동 충전시에 상기 결합부(215)로 용이하게 진입하도록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27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플레이트(270)는 상기 본체(210)와 결합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은 예를들어 힌지구조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충전장치(200)는, 지면과 두 개 이상의 면이 접하여 세워질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서, 상기 본체(210)의 바닥면이 지면에 접한 상태의 자세에서 상기 로봇청소기(100)의 자동충전이 가능하며, 상기 본체(210)의 바닥면 이외에 다른 일측면이 지면에 접한 상태의 자세에서 수동 충전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수동충전시 충전장치(200)가 세워진 상태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로봇충전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충전장치(200)는 상면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로봇충전기를 수동충전하는 경우, 공간을 절약하면서 안정적으로 로봇청소기(100)를 충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봇청소기(100)의 바퀴는 자체에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로봇청소기(100)의 자중에 의해 상기 바퀴가 로봇청소기(100)의 내부로 들어가는 구조로 이루어져있다. 따라서, 로봇청소기(100)가 바닥에 안착되지 않고, 세워진 상태에서는 탄성력에 의해 외부로 소정량만큼 나오게 된다. 따라서, 수동충전시 충전장치 (200)를 벽에 근접한 위치에 두는 경우, 충전장치(200)에 결합된 로봇청소기(100)의 바퀴는 탄성력에 의해 로봇청소기(100)의 외부로 인출됨으로써, 충전장치(200)의 자세가 불안해 질 수 있고, 충전장치(200)가 지면으로 넘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해, 상기 로봇청소기(100)의 수동 충전은 상기 안내플레이트(270)가 본체(210)의 외측으로 접힌 상태에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즉, 회전가능한 안내플레이트(270)를 충전장치(200) 본체(210)의 외측으로 접힌상태로 수동충전이 이루어지면서, 인접하는 벽과 충전장치(200)에 결합된 로봇청소기(100)와의 폭은 안내플레이트(270)의 폭만큼 더 넓어지기 때문에 탄성력에 의해 로봇청소기(100)의 바퀴가 외부로 인출되더라도 충전장치(200)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안내플레이트(270)에는 상기 로봇 청소기가 충전되는 동안 그 내부에 수용된 상기 바퀴가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273)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273)는 내부로 함몰된 홈이며, 상기 홈은 로봇청소기(100)의 이동바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바퀴 형상으로 이루어진 홈에 의해, 로봇청소기(100)는 충전시 로봇청소기(100)의 바퀴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된 결합을 위해 로봇청소기(100)의 바퀴에 지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장치(200)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별도의 힘을 가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상기 충전장치(200)의 후면에는 충전장치(200)에 전기를 인가하기 위한 코드부(290)가 구비된다. 상기 코드부(290)는 충전장치(200) 내부에 인입된 상태로 보 관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의 필요시에 인출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로봇청소기(100)와 충전대의 작용을 살펴본다.
먼저, 전원을 인가하여 로봇청소기(100)에게 청소를 수행시키게 되면, 충전된 배터리를 동력원으로 하여 상기 모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바닥면에 근접하여 장착된 흡입노즐에는 흡입력이 전달되어 바닥면의 이물을 흡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봇청소기(100)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로봇청소기(100)가 청소영역을 주행하도록 하는 이동바퀴는 회동하게 되어 상기 로봇청소기(100)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게 된다. 이때 이동바퀴의 외주면에 구비된 돌기는 청소영역의 바닥면에 대하여 선접촉함으로써 청소영역을 미끄러짐 없이 주행하도록 도와준다.
한편, 상기 장애물감지센서는 청소수행을 위한 주행중에 초음파를 이용하여 벽이나 장애물의 유무를 감지하고, 벽이나 장애물로 둘러싸인 청소영역의 외곽을 주행하여 청소할 영역을 결정하며, 결정된 청소영역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경로를 계획한다.
그리고, 상기 장애물감지센서는 상기 이동바퀴의 회전수 및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센서(미도시)로 부터 신호를 받아서 주행거리 및 현재위치를 산출하면서 계획된 청소경로를 주행할 수 있도록 이동바퀴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로봇청소기(100)가 청소영역에서 청소수행을 완료하거나, 상기 로봇청소기(100)의 배터리의 소모량이 많아서 충전이 필요하게 되면, 상기 제2센서부는 제1센서부(250)로부터 송신된 소정의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충전장치(200)의 위치를 확인함과 동시에, 상기 로봇청소기(100)가 상기 충전장치(200)로 진행하도록 이동바퀴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로봇청소기(100)가 충전대에 근접하게 되면 상기 로봇청소기(100)는 안내플레이트(270)를 지나 결합부(215)에 삽입되고, 상기 이동바퀴가 안내플레이트(270)에 구비된 지지부(273)에 안착되면, 상기 로봇청소기(100)에 구비된 충전소켓과 상기 결합부(215) 일측에 구비된 충전단자(230)가 접촉하게 되어 이 상기 로봇청소기(100)에 내장된 배터리는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용 충전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충전장치를 세우거나 눕혀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자동충전과 수동충전이 가능하며, 수동충전시 공간을 절약하고, 안정적으로 충전이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둘째, 안내플레이트가 본체의 외측으로 접힌상태에서 수동충전이 이루어져, 충전장치를 벽에 인접하게 위치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수동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셋째, 로봇청소기를 보관할 때, 보관공간을 최소화하면서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로봇청소기의 외관과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로봇청소기가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를 가지는 충전장치 본체;
    상기 충전장치 본체에 구비되어, 로봇청소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단자;
    상기 로봇청소기가 소정 조건이 되는 경우에 로봇청소기를 복귀하도록 유도하는 제1센서부; 그리고,
    상기 로봇청소기가 상기 결합부로 용이하게 진입하도록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로봇청소기용 충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장치는,
    상기 본체의 바닥면이 지면에 접한 상태의 자세에서 상기 로봇청소기의 자동충전이 가능하며, 상기 본체의 바닥면 이외에 다른 일측면이 지면에 접한 상태의 자세에서 수동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용 충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청소기의 수동 충전은 상기 안내플레이트가 본체의 외측으로 접힌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용 충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장치는,
    상기 안내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로봇 청소기가 충전되는 동안 그 내부에 수용된 상기 바퀴가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용 충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안내플레이트의 내부로 함몰된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용 충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로봇청소기의 이동바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용 충전장치.
KR1020050053992A 2005-06-22 2005-06-22 로봇청소기용 충전장치 KR101253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992A KR101253619B1 (ko) 2005-06-22 2005-06-22 로봇청소기용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992A KR101253619B1 (ko) 2005-06-22 2005-06-22 로봇청소기용 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4367A true KR20060134367A (ko) 2006-12-28
KR101253619B1 KR101253619B1 (ko) 2013-04-10

Family

ID=37812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3992A KR101253619B1 (ko) 2005-06-22 2005-06-22 로봇청소기용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361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370B1 (ko) * 2007-05-09 2008-03-1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로봇청소기 복합식 에어콘
KR101879736B1 (ko) * 2016-12-26 2018-07-1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방화셔터를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무선 통신 방법
KR101985314B1 (ko) * 2018-10-29 2019-09-03 김정욱 전자동 로봇 청소장치
CN113241826A (zh) * 2021-05-22 2021-08-10 广东天枢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环卫机器人的低压智能充电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4624B2 (ja) * 1995-04-27 2003-10-06 三洋電機株式会社 折りたたみ式の充電器
KR100722761B1 (ko) * 2001-04-18 2007-05-3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로봇청소기의 충전안착장치
KR100437159B1 (ko) * 2001-08-06 2004-06-2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의 외부 충전장치와 그 시스템 및 외부충전장치 추적방법
KR200366079Y1 (ko) * 2004-08-13 2004-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청소기의 충전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370B1 (ko) * 2007-05-09 2008-03-1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로봇청소기 복합식 에어콘
KR101879736B1 (ko) * 2016-12-26 2018-07-1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방화셔터를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무선 통신 방법
KR101985314B1 (ko) * 2018-10-29 2019-09-03 김정욱 전자동 로봇 청소장치
CN113241826A (zh) * 2021-05-22 2021-08-10 广东天枢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环卫机器人的低压智能充电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3619B1 (ko) 2013-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9358B1 (ko) 로봇청소기의 먼지비움장치
CN106923745B (zh) 多功能表面清洁系统
CN106923739B (zh) 表面清洁系统
US7352153B2 (en) Mobile robotic system and battery charging method therefor
KR100459465B1 (ko) 로봇 청소기의 먼지흡입구조
KR102137532B1 (ko) 로봇청소기
KR20050063547A (ko) 로봇 청소기 및 그 운전방법
KR100657736B1 (ko) 로봇청소기에 대한 충전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
KR20070074145A (ko) 청소기
KR20060134368A (ko) 로봇청소기용 충전장치
KR20040035512A (ko) 로봇 청소기의 흡입헤드
WO2023284238A1 (zh) 基站及清洁机器人系统
KR101253619B1 (ko) 로봇청소기용 충전장치
CN1951310A (zh) 自动吸尘器用充电装置
KR101015465B1 (ko) 접이식 소형 진공청소기가 결합된 자동 청소로봇
KR20080028220A (ko) 분리형 로봇 청소기
KR100575668B1 (ko) 로봇 청소기의 충전장치
JP2005304546A (ja) 自走式クリーナ
KR20080065789A (ko) 청소기의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366079Y1 (ko) 로봇청소기의 충전대
KR101196059B1 (ko) 자동 청소기의 충전 시스템
JP2019166239A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KR100492536B1 (ko) 자동청소기의 충전유도장치
KR100401596B1 (ko) 전기청소기
KR20040057111A (ko) 이동 로봇의 초음파 센서운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