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7532B1 - 로봇청소기 - Google Patents

로봇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7532B1
KR102137532B1 KR1020140024145A KR20140024145A KR102137532B1 KR 102137532 B1 KR102137532 B1 KR 102137532B1 KR 1020140024145 A KR1020140024145 A KR 1020140024145A KR 20140024145 A KR20140024145 A KR 20140024145A KR 102137532 B1 KR102137532 B1 KR 102137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ust
unit
robot cleaner
drivin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2365A (ko
Inventor
장휘찬
김태수
정현수
최상화
윤상식
김신
김진희
정연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4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532B1/ko
Priority to EP15156401.0A priority patent/EP2912981B1/en
Priority to US14/632,116 priority patent/US10130234B2/en
Publication of KR20150102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365A/ko
Priority to US16/152,733 priority patent/US1138248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47L9/2826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the condition of the fl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로봇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전방에 형성되는 제1하우징과 제1하우징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는 본체, 제1하우징에 설치되며 바닥의 먼지를 쓸어 담도록 구성되는 브러시 유닛, 제2하우징에 설치되며 브러시 유닛으로 유입된 먼지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집진 유닛, 본체를 구동하며 제2하우징에 집진 유닛의 횡방향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는 구동 유닛, 제2하우징에 설치되며 집진 유닛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는 전원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집진통의 용량과 배터리의 용량을 늘림과 동시에 로봇청소기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로봇청소기{Robot Cleaner}
본 발명은 로봇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로봇청소기의 크기를 소형화함과 동시에 주행 성능 및 청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로봇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봇청소기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청소하고자 하는 영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청소하고자 하는 영역을 자동으로 청소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로봇청소기는 각종 센서 등을 통해 청소 영역 내에 설치된 가구, 사무용품, 벽과 같은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장애물과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행하면서 청소 영역을 청소하게 된다.
로봇청소기를 이용하여 주어진 청소 영역을 청소한다는 것은 로봇청소기가 미리 설정된 주행 패턴대로 주행하면서 청소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로봇청소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본체에 마련되어 로봇청소기를 주행하도록 하는 구동부, 바닥면에 대해 청소를 수행하는 브러시 유닛 및 구동부와 브러시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흡입된 먼지를 저장하는 집진 유닛을 포함한다.
종래의 로봇청소기는 집진 유닛은 브러시 유닛과 연결되며 흡입 모터는 집진집진 유닛의 후면 또는 전면에 연결되도록 배열되었다. 이러한 경우 로봇청소기의 주행 성능 및 청소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원 유닛과 흡입 모터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로봇청소기의 전체 크기가 커져야 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위치를 효율적으로 구성하여 로봇청소기의 크기를 소형화시킴과 동시에 주행 성능 및 청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로봇청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전방에 형성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제1하우징에 설치되며 바닥의 먼지를 쓸어 담도록 구성되는 브러시 유닛, 상기 제2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브러시 유닛으로 유입된 먼지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집진 유닛, 상기 본체를 구동하며 상기 제2하우징에 상기 집진 유닛의 횡방향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는 구동 유닛, 상기 제2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집진 유닛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는 전원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1하우징의 전면부는 진행 방향의 전면과 측면에 밀착하여 먼지를 흡입할 수 있도록 사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상기 제1하우징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범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퍼의 전면에는 상기 범퍼가 전면에 밀착되었을 때의 흡입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범퍼의 전면으로 돌출된 복수의 리브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의 저면에는 먼지의 흡입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브러시 유닛으로 먼지를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바닥면과 상기 제1하우징 사이의 높이는 바닥면과 상기 제2하우징 사이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에는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도록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 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에는 상기 본체의 주행 중 바닥면과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추락 감지 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집진 유닛은 상기 먼지를 흡입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흡입 모터와, 흡입된 먼지를 저장하는 집진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 모터와, 상기 집진통과, 상기 구동부는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집진통의 적어도 일부분은 외관으로 드러나도록 상기 제2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를 구동시키기 위해 양 측면에 결합되는 구동휠과, 상기 본체의 후방에 마련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휠은 상기 본체의 양 측에 위치하며, 상기 롤러는 상기 본체의 무게중심을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외관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본체, 바닥의 먼지를 쓸어 담도록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설치되는 브러시 유닛, 상기 브러시 유닛으로 유입된 먼지를 저장하는 집진통, 상기 본체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 유닛과 상기 집진통과 상기 전원 유닛은 상기 본체의 종방향인 제1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를 제공한다.
상기 집진통은 상기 브러시 유닛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전원 유닛은 상기 집진통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전방에 위치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 유닛과 상기 집진통은 상기 제1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전원 유닛은 상기 제2하우징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상기 제1하우징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범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의 저면에는 먼지의 흡입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브러시 유닛으로 먼지를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를 구동하며 상기 제2하우징에 설치되는 구동 유닛과, 상기 제2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지가 상기 집진통으로 흡입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집진통의 측면에 결합되는 흡입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본체와, 바닥의 먼지를 쓸어 담는 브러시 유닛을 포함하는 로봇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유닛으로 유입된 먼지를 저장하는 집진통, 상기 집진통으로 먼지가 흡입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흡입 모터, 상기 본체를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의 측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휠을 포함하며, 상기 집진통과, 상기 흡입 모터와, 상기 구동휠은 상기 본체의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를 제공한다.
상기 구동휠은 제1구동휠과, 제2구동휠을 포함하며 상기 제1구동휠은 상기 흡입 모터의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2구동휠은 상기 집진통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전방에 위치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하우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집진통과 상기 구동휠과 상기 흡입 모터는 상기 제2하우징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에는 상기 브러시 유닛이 배치되며, 상기 제2하우징에는 상기 본체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외관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본체, 바닥의 먼지를 쓸어 담도록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설치되는 브러시 유닛, 상기 브러시 유닛으로 유입된 먼지를 저장하도록 상기 브러시 유닛의 후방에 배치되는 집진 유닛, 상기 본체를 구동하며 상기 집진 유닛의 측방에 배치되는 구동 유닛, 상기 본체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집진 유닛의 후방에 결합되는 전원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 유닛과 상기 집진 유닛과 상기 전원 유닛은 제1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집진 유닛과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제1방향과 상이한 제2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를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은 전방에 위치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 유닛과 집진 유닛은 상기 제1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 유닛과 상기 전원 유닛은 상기 제2하우징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행 성능 및 청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로봇청소기 내의 구성요소가 배치되는 공간의 효율성을 최대화할 수 있어 로봇청소기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제2하우징의 외측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외측 하우징 및 먼지통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제1하우징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제2하우징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제1하우징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장애물 감지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장애물 감지센서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범퍼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청소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본체의 외관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는 하우징(100)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전방에 형성되는 제1하우징(200)과, 제1하우징(200)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2하우징(300)을 포함한다. 제1하우징(200)과 제2하우징(300)의 사이에는 제1하우징(200)과 제2하우징(300)을 연결시키는 연결부재(400)가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200)과 제2하우징(300)은 일체로 사출성형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로 성형된 후에 결합될 수 있다.
제2하우징(300)에는 먼지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집진 유닛(330)이 결합될 수 있다. 집진 유닛(330)은 먼지를 흡입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흡입 모터(320)와, 흡입된 먼지를 저장하는 집진통(310)을 포함할 수 있다.
집진통(310)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마련되는 파지부(311)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파지부(311)를 파지하여 집진통(310)을 회전시켜 제2하우징(300)으로부터 집진통(310)을 분리할 수 있다. 집진통(310)을 분리하여 사용자는 집진통(310) 내의 누적된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제2하우징(300)의 측면에는 본체를 구동시키는 구동 유닛(340, 360)이 마련될 수 있다. 구동 유닛(340, 360)은 본체의 주행을 위한 구동휠(340)과, 본체의 주행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롤러(360, 도4 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휠(340)은 제2하우징(300)의 양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하우징(200)에는 바닥의 먼지를 쓸어 담도록 구성되는 브러시 유닛(220, 도 4 참고)이 마련될 수 있다. 제1하우징(200)의 전면부에는 로봇청소기(1)의 주행 시, 로봇청소기(1)가 벽면에 부딪혀 발생하는 소음과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범퍼(21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범퍼(210)에는 별도의 완충부재(215)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하우징(200)의 상면에는 진입 차단 센서(235)가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진입 차단 센서(235)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소정의 구간에 로봇청소기(1)가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입 차단 센서(235)는 제1하우징(200)의 양측에 마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제2하우징의 외측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외측 하우징 및 먼지통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하우징(300)의 내측에는 본체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유닛(350)이 결합될 수 있다. 전원 유닛(350)은 배터리(미도시)와, 메인보드(351)와, 메인보드(351)의 상측에 위치하며 로봇청소기(1)의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52, 도 7 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유닛(350)은 집진 유닛(33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미도시)는 재충전이 가능한 2차 배터리로 마련되며, 본체가 청소 과정을 완료하고 도킹스테이션(미도시)에 결합된 경우 도킹스테이션(미도시)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된다.
집진통(310)을 제거하면 먼지를 흡입하여 집진통(310) 내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송풍팬(312)이 마련될 수 있다. 송풍팬(312)의 작동으로 인하여 집진통(310)에 먼지가 누적되고 사용자는 집진통(310)을 분리하여 먼지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흡입 모터(320)는 흡입 모터 하우징(302)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흡입 모터(320)는 집진통(31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휠(340)은 집진통(310)과 흡입 모터(320)의 각각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구동휠(340)은 제1구동휠(341)과 제2구동휠(342)을 포함하며, 제1구동휠(341)은 흡입 모터(320)의 측면에 배치되며 제2구동휠(342)은 집진통(31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집진통(310)과 흡입 모터(320)와 구동휠(340)은 본체의 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집진통(310)과 흡입 모터(320)와 구동휠(340)은 일직선에 근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집진통(310)의 적어도 일부분은 외관으로 드러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집진통(310)의 상면에는 별도의 하우징이 결합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집진통(310) 내부의 먼지의 양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1하우징(200)의 내부에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 센서(230)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하우징(200)의 전면부는 진행 방향의 전면과 측면에 밀착하여 먼지를 흡입할 수 있도록 사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벽면에 최대한 밀착하여 먼지를 흡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1)는 별도의 사이드 브러시 없이도 벽면에 위치하는 먼지를 효율적으로 흡입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우징(200)의 저면에는 바닥의 먼지를 쓸어 담도록 구성되는 브러시 유닛(220)이 결합된다. 제1하우징(200)의 브러시 유닛(220)의 전방에는 먼지의 흡입력을 높이기 위하여 브러시 유닛(220)으로 먼지를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유로(240)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유로(24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가이드 유로(240)의 사이에는 로봇청소기(1)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245)가 마련될 수 있다.
제1하우징(200)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본체의 주행 중 바닥면과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추락 감지 센서(250)가 장착될 수 있다. 추락 감지 센서(250)는 로봇청소기(1)의 주행 중 높낮이 차이가 나는 곳에서 방향을 잡아준다. 추락 감지 센서(250)는 제1하우징(200)의 저면에 바닥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바닥과의 거리를 감지하다가 바닥과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지면 일정 전압을 형성하여 본체의 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한다. 제어부(미도시)는 본체의 전송 받은 정보에 따라 본체의 추락 가능 지점을 판단하여 주행 방향을 전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락 감지 센서(250)는 브러시 유닛(220)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락 감지 센서(250)는 제1추락 감지 센서(251)와 제2추락 감지 센서(252)로 두 개 마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하우징(300)의 후면에는 본체가 구동휠(340)에 의해서만 구동되어 발생하는 주행부하를 줄이기 위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롤러(360)가 결합할 수 있다. 롤러(360)는 구동휠(340)과의 관계에서 본체의 무게중심을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롤러(360)에서 제1구동휠(341)까지의 거리와 롤러(360)에서 제2구동휠(342)까지의 거리는 동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체의 주행 중에 발생하는 주행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브러시 유닛(220)과 집진 유닛(330)과 전원 유닛(350)은 본체의 종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브러시 유닛(220)과 집진 유닛(330)과 전원 유닛(350)은 제1방향으로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 집진 유닛(330)과 구동 유닛(340)의 경우에는 제1방향과 상이한 제2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집진 유닛(330)과 구동 유닛(340)은 본체의 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과 제1하우징(200)의 높이(h1)와 바닥면과 제2하우징(300)의 높이(h2)는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면과 제1하우징(200) 사이의 높이는 바닥면과 제2하우징(300) 사이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제1하우징(200)의 높이(h1)가 제2하우징(300)의 높이(h2)보다 작기 때문에 제2하우징(300)에 위치하는 집진통(310)과 전원 유닛(350)의 크기를 늘리면서 로봇청소기(1)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보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준다. 이에 따라 소형화된 로봇청소기(1)가 저장할 수 있는 먼지의 용량을 늘릴 수 있으며 별도의 충전 없이 주행할 수 있는 시간을 늘릴 수 있다.
또한, 제1하우징(200)의 높이(h1)가 상대적으로 낮게 마련되기 때문에 바닥면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효율적으로 감지할 수 있어 후술할 장애물 감지 센서(230)가 감지할 수 없는 사각지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200)과 제2하우징(300) 사이에 연결부재(400)가 결합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하우징(200)과 제2하우징()300 사이에 별도의 경계없이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제1하우징(200)과 제2하우징(300)은 유선형에 가까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제1하우징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우징(200)에는 바닥의 먼지를 쓸어 담도록 구성되는 브러시 유닛(220)과, 제1하우징(200)의 전방에 위치하는 범퍼(210)가 결합될 수 있다. 브러시 유닛(220)은 제1하우징(200)의 저면에 위치하는 저면 하우징(225)에 마련되는 개구부(221, 도 8 참고)에 결합될 수 있다.
브러시 유닛(220)은 드럼 형상을 가지며, 롤러부(222)와 브러시(221)로 구성된다.
범퍼(210)는 제1하우징(200)의 전면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마련된다. 범퍼(210)는 제1하우징(200)의 전면부뿐만 아니라 측면부도 일부 감쌀 수 있도록 범퍼 바디(213)가 연장될 수 있다.
범퍼(210)는 범퍼 바디(213)에서 연장되어 제1하우징(200)에 결합되도록 돌출되는 범퍼 헤드(2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범퍼 헤드(212)는 두 개 마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범퍼(210)의 전면에는 별도의 완충부재(215)가 결합될 수 있으며, 범퍼 바디(213)에는 완충부재(215)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211)이 마련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제2하우징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하우징(300)에는 구동 유닛(340, 360)과 집진 유닛(330)과 전원 유닛(35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하우징(300)은 상부에 결합되는 상면 하우징(303)과, 제2하우징(300)의 후방에서 구동휠(340)까지 결합되는 후면 하우징(3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면 하우징(303)의 경우 디스플레이부(352)에 표시되는 상태가 투영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352)에 해당하는 영역이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면 하우징(303)에 집진통(310)이 결합될 수 있다. 상면 하우징(303)의 외측에는 전원 유닛(350)의 상부에 결합되는 별도의 외측 하우징(301)이 결합될 수 있다. 외측 하우징(301)은 디스플레이부(352)의 상태가 투영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흡입 모터(320)의 상부에는 흡입 모터 커버(302)가 결합될 수 있다. 제2하우징(300)에 흡입 모터(320)가 결합되고 상부 하우징(303)이 끼워지고 흡입 모터 커버(320)가 상부 하우징(303)에 결합될 수 있다.흡입 모터 커버(30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 하우징(301)이 흡입 모터(320)가 위치하는 영역을 둘러싸지 않기 때문에 흡입 모터320()에 이물질이 끼어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된다.
후면 하우징(343)은 제2하우징(300)의 양측에 제1구동휠(341)과 제2구동휠(342)이 결합된 후, 각각의 구동휠(341, 342)을 둘러싸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봇청소기의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집진통(310)의 크기를 늘릴 수 있으며, 전원 유닛(350)이 차지하는 공간을 늘릴 수 있어 배터리(미도시)의 용량을 늘릴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동일한 크기의 로봇청소기(1)에 비해 배터리 용량을 3배 가까이 늘릴 수 있기 때문에 충전 없이 이용 가능한 로봇청소기(1)의 주행시간을 늘릴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제1하우징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유로(240)는 브러시 유닛(220)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제1하우징(200)의 저면에 마련되는 가이드 유로(240)는 먼지가 흡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가이드 유로(240)는 제1하우징(200)의 저면에 대해 오목하게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유로(240)는 브러시 유닛(220)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마련되어 먼지가 브러시 유닛(220)으로 흡입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유로(240)는 제1하우징(200)의 저면 양측에 두 개 마련되어 제1가이드 유로(241)와 제2가이드 유로(242)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가이드 유로(240)는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먼지의 유입을 안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장애물 감지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장애물 감지센서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우징()의 내부에는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도록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 센서(230)가 장착될 수 있다.
장애물 감지 센서(230)는 적외선 또는 초음파 센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애물 감지 센서(230)는 제1하우징(200)의 전면에 위치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측면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장애물 감지 센서(230)는 전방 또는 로봇청소기(1)의 주행 방향의 장애물이나 벽 등을 감지하고 그 거리를 감지하여 본체 내부의 제어부(미도시)로 송출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장애물 감지 센서(230)로부터 장애물 감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 본체가 전방 또는 주행 방향으로 주행하지 않도록 구동 유닛(340, 360)을 제어한다.
장애물 감지 센서(230)는 광을 평면광으로 확산시켜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231)와, 장애물에 의해 반사된 평면광을 전달받아 전기적인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수광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부(231)는 수광부(232)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발광부(231)는 장애물 감지 센서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부(231a, 231b, 231c, 231d)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4개 마련될 수 있다. 발광부(231)를 수광부(232)의 전면에 배치시켜 장애물 감지 센서(230)의 높이를 낮출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수광부(232)가 발광부(231)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부(231)를 수광부(232)의 전면에 배치하더라도 장애물에 부딪혀 돌아오는 반사된 평면광은 발광부(231)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완전히 수광부(232)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이와 함께 장애물 감지 센서(230)의 높이를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제1하우징(200)의 높이를 낮출 수 있어 로봇청소기(2)를 소형화할 수 있다.
수광부(232)는 장애물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이 영상 센서(234)를 향하도록 반사광의 경로를 변경하는 반사 미러(233)와, 반사 미러(233)에 의해 경로가 변경된 반사광을 집광하는 광학 렌즈(미도시), 광학 렌즈(미도시)에 의해 집광된 반사광을 수신하는 영상 센서(234)를 포함한다.
반사 미러(233)는 다양한 방향에서 입사되는 반사광의 경로를 영상 센서(234)를 향하여 변경하기 위하여 원뿔 형태의 미러(conic mirror)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반사 미러(233)는 영상 센서(234)의 상부에 설치되고, 원뿔 형태의 반사 미러(233)의 꼭지점이 영상 센서(234)와 마주보도록 연직 하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원뿔 형태의 반사 미러(233)가 영상 센서(234)의 하부에 설치되고, 영상 센서(234)는 원뿔 형태의 반사 미러(233)의 꼭지점이 영상 센서(234)와 마주보도록 연직 상방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만, 반사 미러(233)의 형태는 원뿔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장애물 감지 센서 하우징의 양측에는 상술한 진입 차단 센서(235)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모컨(미도시)에서 발신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리모컨 수신 센서(236)가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모컨 수신 센서(236)는 총 8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모컨 수신 센서(236)는 수광부(232)의 상부에 2개 마련되고 진입 차단 센서(235)에 근접하도록 각각 2개씩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체의 후면에 2개가 더 마련되어 총 8개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범퍼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범퍼(510)는 범퍼 바디(513)와 범퍼 헤드(512)를 포함할 수 있다. 범퍼 바디(513)의 전면에는 복수개의 리브(514)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브(514)와 리브(514)의 사이에는 홈(514a)이 마련될 수 있다. 리브(514)로 인하여 본체가 벽에 밀착되었을 때 먼지가 브러시 유닛(220)으로 흡입되어 집진통(310)에 저장될 수 있도록 흡입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닥면의 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로봇청소기 200: 제1하우징
210, 510: 범퍼 220: 브러시 유닛
230: 장애물 감지 센서 231: 발광부
232: 수광부 235: 진입 차단 센서
236: 리모컨 감지 센서 240: 가이드 유로
300: 제2하우징 310: 집진통
320: 흡입 모터 330: 집진 유닛
340: 구동휠 350: 전원 유닛
360: 롤러 400: 연결부재

Claims (27)

  1. 전방에 형성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제1하우징에 설치되며 바닥의 먼지를 쓸어 담도록 구성되는 브러시 유닛;
    상기 본체를 구동하며, 상기 제2하우징의 측면에 마련되는 제1구동휠과 제2구동휠을 포함하는 구동 유닛;
    상기 제2하우징의 상기 제1구동휠과 상기 제2구동휠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브러시 유닛으로 유입된 먼지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집진 유닛;
    상기 제2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집진 유닛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는 전원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의 전면부는 진행 방향의 전면과 측면에 밀착하여 먼지를 흡입할 수 있도록 사각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상기 제1하우징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범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의 전면에는 상기 범퍼가 전면에 밀착되었을 때의 흡입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범퍼의 전면으로 돌출된 복수의 리브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의 저면에는 먼지의 흡입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브러시 유닛으로 먼지를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6. 제1항에 있어서,
    바닥면과 상기 제1하우징 사이의 높이는 바닥면과 상기 제2하우징 사이의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에는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도록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센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에는 상기 본체의 주행 중 바닥면과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추락 감지센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유닛은 상기 먼지를 흡입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흡입 모터와, 흡입된 먼지를 저장하는 집진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모터와, 상기 집진통과, 상기 구동 유닛은 일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통의 적어도 일부분은 외관으로 드러나도록 상기 제2하우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방에 마련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본체의 무게중심을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14. 외관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본체;
    바닥의 먼지를 쓸어 담도록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설치되는 브러시 유닛;
    상기 브러시 유닛으로 유입된 먼지를 저장하는 집진통;
    상기 본체를 구동 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의 측면에 마련되는 제1구동휠과 제2구동휠을 포함하는 구동 유닛;
    상기 본체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집진통은 상기 제1구동휠과 상기 제2구동휠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브러시 유닛과 상기 집진통과 상기 전원 유닛은 상기 본체의 종방향인 제1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통은 상기 브러시 유닛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전원 유닛은 상기 집진통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전방에 위치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 유닛과 상기 집진통은 상기 제1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전원 유닛은 상기 제2하우징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상기 제1하우징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범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의 저면에는 먼지의 흡입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브러시 유닛으로 먼지를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19. 삭제
  20. 제14항에 있어서,
    먼지가 상기 집진통으로 흡입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집진통의 측면에 결합되는 흡입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21. 본체와, 바닥의 먼지를 쓸어 담는 브러시 유닛을 포함하는 로봇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유닛으로 유입된 먼지를 저장하는 집진통;
    상기 집진통으로 먼지가 흡입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흡입 모터;
    상기 본체를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의 측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휠;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휠은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제1구동휠과 제2구동휠을 포함하며,
    상기 집진통은 상기 제1구동휠과 상기 제2구동휠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집진통과, 상기 흡입 모터와, 상기 구동휠은 상기 본체의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휠은 상기 흡입 모터의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2구동휠은 상기 집진통의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전방에 위치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하우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통과 상기 구동휠과 상기 흡입 모터는 상기 제2하우징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에는 상기 브러시 유닛이 배치되며, 상기 제2하우징에는 상기 본체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유닛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26. 외관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본체;
    바닥의 먼지를 쓸어 담도록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설치되는 브러시 유닛;
    상기 브러시 유닛으로 유입된 먼지를 저장하도록 상기 브러시 유닛의 후방에 배치되는 집진 유닛;
    상기 본체를 구동하며 상기 집진 유닛의 측방에 배치되는 구동 유닛;
    상기 본체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집진 유닛의 후방에 결합되는 전원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마련되는 제1구동휠과 제2구동휠을 포함하고,
    상기 집진 유닛은 상기 제1구동휠과 상기 제2구동휠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브러시 유닛과 상기 집진 유닛과 상기 전원 유닛은 제1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집진 유닛과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제1방향과 상이한 제2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전방에 위치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 유닛과 집진 유닛은 상기 제1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 유닛과 상기 전원 유닛은 상기 제2하우징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KR1020140024145A 2014-02-28 2014-02-28 로봇청소기 KR102137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145A KR102137532B1 (ko) 2014-02-28 2014-02-28 로봇청소기
EP15156401.0A EP2912981B1 (en) 2014-02-28 2015-02-24 Autonomous cleaner
US14/632,116 US10130234B2 (en) 2014-02-28 2015-02-26 Autonomous cleaner
US16/152,733 US11382480B2 (en) 2014-02-28 2018-10-05 Autonomous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145A KR102137532B1 (ko) 2014-02-28 2014-02-28 로봇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365A KR20150102365A (ko) 2015-09-07
KR102137532B1 true KR102137532B1 (ko) 2020-07-24

Family

ID=54243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145A KR102137532B1 (ko) 2014-02-28 2014-02-28 로봇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75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53960B (zh) 2015-08-31 2019-03-21 Lg電子股份有限公司 清掃機器人
KR102278584B1 (ko) * 2015-09-01 2021-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CN113017472B (zh) * 2016-05-20 2022-09-13 Lg电子株式会社 机器人吸尘器
WO2017200353A1 (ko) * 2016-05-20 2017-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KR101902250B1 (ko) * 2016-12-30 2018-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WO2017200351A1 (ko) 2016-05-20 2017-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US10420448B2 (en) 2016-05-20 2019-09-24 Lg Electronics Inc. Autonomous cleaner
US10362916B2 (en) 2016-05-20 2019-07-30 Lg Electronics Inc. Autonomous cleaner
WO2017200344A1 (ko) 2016-05-20 2017-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US10398276B2 (en) 2016-05-20 2019-09-03 Lg Electronics Inc. Autonomous cleaner
US10524628B2 (en) 2016-05-20 2020-01-07 Lg Electronics Inc. Autonomous cleaner
US10342400B2 (en) 2016-05-20 2019-07-09 Lg Electronics Inc. Autonomous cleaner
WO2017200347A1 (ko) * 2016-05-20 2017-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EP3459415B1 (en) 2016-05-20 2022-04-20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WO2017200348A1 (ko) 2016-05-20 2017-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KR20180106225A (ko) * 2017-03-17 2018-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KR102497627B1 (ko) * 2018-01-29 2023-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31113A1 (en) 2002-08-14 2004-02-19 Wosewick Robert T. Robotic surface treating device with non-circular housing
US20050055792A1 (en) * 2003-09-15 2005-03-17 David Kisela Autonomous vacuum cleaner
KR100619786B1 (ko) 2005-05-17 2006-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의 미끄럼 방지 장치
WO2007028049A2 (en) 2005-09-02 2007-03-08 Neato Robotics, Inc. Multi-function robot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3983A (ko) * 2007-11-26 2009-05-29 윤기현 주행로봇의 이동 중 장애요소 및 자동 충전 장치의 판별,분석 및 회피방법을 구비한 로봇청소기
KR20090084227A (ko) * 2008-01-31 2009-08-0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바이패스타입 청소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31113A1 (en) 2002-08-14 2004-02-19 Wosewick Robert T. Robotic surface treating device with non-circular housing
US20050055792A1 (en) * 2003-09-15 2005-03-17 David Kisela Autonomous vacuum cleaner
KR100619786B1 (ko) 2005-05-17 2006-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의 미끄럼 방지 장치
WO2007028049A2 (en) 2005-09-02 2007-03-08 Neato Robotics, Inc. Multi-function robot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365A (ko) 201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7532B1 (ko) 로봇청소기
US11382480B2 (en) Autonomous cleaner
CN212261284U (zh) 应用于清洁机器人的喷洒组件及其液位传感器
CN111973085B (zh) 自主清洁设备
EP2578127B1 (en) Robot cleaner
US9220385B2 (en) Autonomous cleaning device
TWI691303B (zh) 自走式電動掃地機器人
US20130305481A1 (en) Maintenance system and cleaning system having the same
KR101880089B1 (ko) 로봇 청소기와 그 제어 방법
KR20150143208A (ko) 로봇청소기
KR100565256B1 (ko) 로봇 청소기의 브러시 살균장치
TW201936108A (zh) 清掃機
JP7232600B2 (ja) 自走式電気掃除機
KR102180682B1 (ko) 로봇청소기
JP2018061535A (ja) 自走式電気掃除機
CN211674026U (zh) 清洁机器人及应用于清洁机器人的供水机构
CN111787839B (zh) 用于自动清洁机的带观察窗的缓冲件
CN212261270U (zh) 清洁机器人及应用于清洁机器人的供水机构
CN212261269U (zh) 清洁机器人及其边扫组件
WO2023236466A1 (zh) 一种悬崖传感器及自移动设备
CN212261283U (zh) 清洁机器人及应用于清洁机器人的储水箱
JP2018082990A (ja) 電気掃除機
KR100595577B1 (ko) 로봇 청소기의 홈 빠짐 방지장치
JP2018082988A (ja) 電気掃除機
WO2024041366A9 (zh) 自动清洁设备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