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3494A - 망 구조를 갖는 더블리드 캡을 구비한 스퀴즈 용기 조립체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망 구조를 갖는 더블리드 캡을 구비한 스퀴즈 용기 조립체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3494A
KR20060133494A KR1020060055432A KR20060055432A KR20060133494A KR 20060133494 A KR20060133494 A KR 20060133494A KR 1020060055432 A KR1020060055432 A KR 1020060055432A KR 20060055432 A KR20060055432 A KR 20060055432A KR 20060133494 A KR20060133494 A KR 20060133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queeze
container
cap
squeeze container
membran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5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호성
Original Assignee
안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호성 filed Critical 안호성
Publication of KR20060133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34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2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8Baskets or like containers of skeleton or apertured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1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of skeleton or like apertured construction, e.g. baskets or carriers formed of wire mesh, of interconnected bands, bars, or rods, or of perforated sheet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퀴즈용기와 실링 되는 멤브레인 캡의 기저부에 소정 망 구조의 네트리드를 추가로 갖는 더블리드 캡에 관한 것이다; 어떠한 경우라도 흡입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내용물이 한 덩어리로 입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절대적으로 제한하기 위하여; 스퀴즈용기 본체에 스퀴즈요부를 형성하여 압출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스퀴즈용기와 히트실링 되어 내용물을 밀봉하는 멤브레인 캡, 그리고 상기 멤브레인 캡과 오버랩 되어 함께 히트실링 된 네트리드가 노출됨에 따라, 내용물이 실시간적으로 절단분리 되도록 했다; 따라서 언제나 잘게 분리 압출된 상태로 섭취할 수 있고, 냉동처리를 하더라도 그 내용물이 해동되기 전에는 자연적 안전 잠금 메커니즘 작용에 의해 압출이 방지됨으로, 근원적인 질식 사고를 예방할 수 있어, 실 소비자들에게 특히 어린이 노약자들에게 편리성과 생명의 안전성을 절대적으로 보장해 주게 되고. 스퀴즈용기를 별도로 격리 구분하여 성형할 필요가 없어 원가상승요인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신규 및 대체수요 창출이 가능하다.
네트리드, 스퀴즈용기, 플라스틱와이어, 더블리드 캡, 분리압출, 열가압융착, 열성형, 안전잠금 메커니즘, 오버랩, 인체공학적 구조

Description

망 구조를 갖는 더블리드 캡을 구비한 스퀴즈 용기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Squeeze Vessel Assembly With A Double Lid Cap Which Has A Net Structur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멤브레인 캡 일부를 박리한 상태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부 전체 분리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서클 표시부 확대 발췌사시도.
도 4는 도 1의 X-X선 횡단면도.
도 5는 도 1의 Y-Y선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서클 표시부 확대 발췌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스퀴즈용기 실링플랜지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설명도.
도 9a, 도 9b 및 도 9c는 본 발명을 가압함에 따라, 내용물이 분리 압출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작용설명도.
도 10a, 도 10b 및 도 10c,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서,
도 10a는 사각형 네트리드의 평면 예시도.
도 10b는 하니콤형 네트리드의 평면 예시도.
도 10c는 마름모형 네트리드의 평면 예시도.
도 11a, 도 11b 및 도 11c,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
도 11a는 사각 천공형 네트리드의 평면 예시도
도 11b는 하니콤 천공형 네트리드의 평면 예시도.
도 11c는 마름모 천공형 네트리드의 평면 예시도.
도 12은 본 발명 제조방법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네트리드와 멤브레인 캡 필름이 개별 이송되는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 제조방법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네트리드와 멤브레인 캡 필름이 오버랩 되어 동시 이송되는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14a, 도 14b, 도 14c 및 도 14d는 본 발명의 스퀴즈용기가 열 성형 되는 과정을 나타낸 일반 공정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 제조방법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네트리드와 멤브레인 캡 필름이 개별 이송되며, 실링과 트리밍 컷 되는 공정을 나타낸 제조방법 설명도.
도 16는 본 발명 제조방법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오버랩 된 네트리드와 멤브레인 캡 필름이 동시 이송되며, 실링과 트리밍 컷 되는 공정을 나타낸 제조방법 설명도.
도 17a, 도 17b 및 도 17c는 종래기술 개요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스퀴즈용기 12; 실링플랜지
13; 산부 14a, 14b; 골부
15a, 15b; 스퀴즈요부 17a, 17b; 프레스요부
19; 그립플랩 20;네트리드
20a; 사각형 네트리드 20b; 하니콤형 네트리드
20c; 마름모형 네트리드 21a, 21b, 21c; 튜닝 실링부
23; 플라스틱와이어 24; 압착와이어
25; 천공형 네트리드 25a; 사각천공형 네트리드
25b; 하니콤천공형 네트리드 25c; 마름모천공형 네트리드
26a, 26b, 26c; 천공부 30; 멤브레인 캡
33; 필 플랩 35; 실링부
40; 더블리드 캡 45; 내용물
50; 네트리드 스풀 66a, 66b, 66c; 격리판
70; 멤브레인 캡필름 스풀 75; 멤브레인 캡필름
73; 사이드 실링부 90; 더블리드 캡필름 스풀
95: 더블리드 캡필름 96; 종래 젤리용기
98; 몰드 100; 용기성형시트
본 발명은 스퀴즈용기 플랜지(Flange)와 실링(Sealing)되는 멤브레인 캡(Membrane Cap)의 기저부에 망(Net)구조의 또 하나의 리드(Lid)를 갖는 더블리드 캡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호 다른 구조와 기능의 멤브레인 캡과 네트 형상리드의 더블리드 캡 장치에 의해, 각각 내용물의 보관유지와 망(Net)구조상의 멀티 디비젼(Multi Division)구조에 따라, 내용물이 실시간적으로 분리압출이 가능하여, 사용자 누구에게나 편리함과 안전성이 절대적으로 보장되는, 망 구조를 갖는 더블리드 캡을 구비한 스퀴즈 용기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외 인터넷 포털 사이트(Internet portal site)에서 젤리(Jelly)에 대한 내용으로 서핑(Surfing)을 하면, 각 사이트별로 수백 건의 방대한 자료들이 올라온다.
우선 다양한 젤리 제품군에 따른 품질이나 맛 등, 차별화된 식감에 대한 해당업체별 마케팅관련 자료보다는 섭취에 따른 사망사고, 그에 따른 어린이나 노약자 등에 대한 특별한 주의가 요망된다는 내용들뿐이다.
특히 미니컵젤리는 그 크기와 달콤한 맛 색감 등으로 인하여 어린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함으로서, 언제나 불의의 질식사건 사고로 잇따라 재발될 수 있는 잠재적 개연성을 언제라도 안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그에 따라 연이어지는 국내 관계당국의 세부 대책안은 대체적으로 첫째 제조 수입 유통 판매 금지조치, 특히 직경 4.5cm 이하의 미니컵젤리 잠정적 판금조치, 둘째 가급적 관련 제조업체와 수입업체로 하여금 자진회수토록 조치하고, 관련매장에서 진열판매가 불가하도록 단속을 계속 강화, 셋째 향후 젤리의 물리적 특성 형태 크기 등에 대한 제반위해요인 과학적 분석과 다양한 의견수렴을 통한 근본대책을 마련하겠다는 다소 막연한 대책이 고작이다.
식품 취식에 따른 질식사고는 어린이 노약자 등 취약집단에 있어 위해의 개 연성이 크고, 언제라도 위해의 우려가 상존하기 때문에 소비자에게만 각별한 주의를 요망한다는 그 소극적 대책만으론 근본적 문제해결은 요원하기만 한 것이다.
아울러 해외에서의 미니컵젤리에 대한 조치내용들도 국내여건과 크게 나을 것은 없는 듯 하다.
유럽연합(EU)의 경우 유럽식품안전청(EFSA)에 의하여, 미니컵젤리의 위험요소로서 제품의 경도, 형태, 크기 및 섭취방법을 지적하고, 미니컵젤리는 식품첨가물 종류와 관계없이 질식의 위험이 있으며, 이러한 위험은 어린이에게만 한정되지 않는다는 심사의견을 제출함에 따라, 향후 미니컵젤리 형태의 제품과 그 제조에 사용되는 유사한 식품첨가물의 판매 및 수입 금지조치를 전 유럽연합회원국으로 확대한다는 조치를 취한 바 있다.
또한 미국의 경우 FDA의 식품안전 영양응용센타(CFSAN)와 소비자보호 안전위원회(CPSC)에 의하여, 해당 식품첨가물이 함유된 미니컵젤리 제품의 질식에 대한 잠재적 위험을 조사하여, 그 물리적 특징이 어린이등에 질식위험이 있음을 최종결론 내리고, 직경 4.5cm이하의 원형제품 또는 직경 3.1cm이하의 비 원형 제품에 대하여, 제반 물리적 시험 없이 수입을 할 수없다는 조치를 취함으로서, 더불어 캐나다 호주 등의 국가들도 동일한 조치를 취한 바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미니컵젤리에 대한 해당 소구계층들의 국내외적인 시장수요는 무궁무진하여 해마다 그 성장률을 높여나가는 추세였으나, 선진국을 포함한 각 나라별 대응대책은 이렀다 할만한 근본대책 없이, 단순하게 생산 판매 수입금지조치로만 안이하게 대처함으로서, 자연발생적 시장수요를 강제적으로 억압하는 기 이한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통계자료에 의하면 그간 국내의 미니컵젤리의 연간수요는 수입제품을 포함하여 약 2억개가 넘는 적지 않은 시장수요를 형성하고 있어, 제조와 원료공급 판매 등 그 유관업체들에게도 적지 않은 산업적 피해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미니컵젤리에 의한 질식사고는 특히 어린이에 의한 사고는 아직 정신적 신체적으로 덜 발달되어, 신체구조상 식도가 성인보다 좁고 행동이 서툴러 자체 대응 능력이 미흡하고, 주의경고사항을 확인했다 하더라도 실제로 얼마나 위험한가하는 것을 인지하여 실행하기에는 여러 가지로 무리수로 존재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미끈거리고 말랑말랑한 젤리 덩어리가 그대로 입안으로 순간적으로 들어올 수밖에 없는 형태와 구조로 만들어진 미니젤리용기는, 젤리덩어리를 그 흡인력에 의해 의도하지 않게 삼키게 됨으로서, 섭취자의 기도를 막히게 하는 원인제공을 할 수 밖에 없는 개연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한번에 입안으로 넣지 말고 조금씩 베어 먹어야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은, 현실성이 없는 막연한 탁상공론 대책으로서 그 누구라도 공감하기는 어려운 것이다.
얼려서 먹어야 젤리 맛이 더 좋다고 판촉을 하면서, 그 얼어버린 상태의 젤리덩어리를 어떻게 섭취자 스스로가 안전을 생각하며 잘게 썰어 먹을 수 있다는 것인지 이 역시 공감하기 쉽지 않을 것이다.
상대적으로 젤리경도가 강한 곤약(Konjac)이나 글루코만난(Glucomannan)을 첨가하지 않고, 카라기난, 한천, 잔탄검, 아르기네이트등과 같은 첨가물을 사용하면, 그 경도가 다소 약해지기 때문에 미니젤리의 물리적 위해를 방지할 수 있어, 해당제품의 판매에 전혀 문제가 없다고 하지만, 실제로 사고는 한천이 첨가된 제품에서도 발생되고 있으므로, 그 상혼은 사회적 비판을 받아 마땅할 것이다.
직경이 4.5cm이하 일지라도 원형, 원추형, 타원형이 아닌 사각형등 기타 형태의 제품은 잠정적으로 안전하다고 하고 있으나, 어차피 순간적으로 한입에 쏙 들어가긴 마찬가지인데 얼마나 안전성이 담보될 수 있다는 것인지 모를 것이다.
미니컵젤리 취식에 따른 대한 잠재적 위해요인은 용기의 구조와 형태, 젤리의 물리적 특성, 섭취자의 인식에 따라 좌우되리라 본다.
따라서 관계당국에서 취할 수 있는 조치로는 용기의 크기를 4.5cm이상의 제품판매만 허용 하거나, 그 이하의 제품이라면 젤리의 물리적 경도특성 즉 깨짐성과 질김성을 보다 연하게 하고, 그럼에도 질식사고가 발생할 개연성이 있으므로, 냉동섭취금지와 질식위험경고, 그리고 잘게 씹어 섭취하라는 내용표기 등의 소극적 방안들의 의무화가 고작일 것이다.
실제로 국내시장에서는 관계당국의 상술된 내용조건에 따라 미니컵젤리 제품의 조건부 판매가 해당업체들에게 재차 허용된 바 있다.
4.5cm 이하의 미니컵젤리 제품에 있어서, 곤약이나 글루코만난을 함유하지 않고, 물성분석기를 통해 전방압출, 압착, 천공, 응집성시험 등을 거쳐 7뉴톤(Newton) 이하에서 제조하도록 하고, 경고 문구를 표기한다는 조건으로 조건부 판매를 허용하고 있으나, 근원적인 문제점은 하기와 같이 그대로 상존하는 것이다.
첫째로 상술했듯이 실제로 질식사망사건 가운데, 곤약이나 글루코만난의 추출첨가물이 아닌, 한천(우뭇가사리)추출첨가물 제품에서도 사망한 사건이 있었기 때문에 잠재적 사고의 개연성을 배제할 수 없다.
즉 수저 등으로 떠먹는 일반제품과 달리, 미니컵젤리는 유아 어린이 노약자들이 한입으로 흡입하여 빨아 삼키기 때문에, 압착시험을 거쳐 경도가 다소 연하다 하더라도 섭취조건과 여건이 사람과 환경마다 다르기 때문이다.
둘째로 한창 호기심 많은 섭취자가 미니컵젤리를 냉장고에 얼려먹을 경우, 경도가 7뉴톤(Newton) 이하로 연화된 제품 생산판매의 의미가 무색하게 된다.
셋째로 유아 어린이 노약자가 섭취 할 때, 질식할 우려가 높으니 경고문구에 따라 안전한 방법으로 섭취해야 한다는 것에 대하여 얼마나 공감된 현실감을 주는지도 의문일 것이다.
따라서 기 미니컵젤리 제품과 별반 다를 것 이 없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알아서 섭취을 하라는 대책 아닌 대책으로, 소비자에게 그 책임을 전가하는 미봉책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미니컵젤리에 질식사고에 대한 근본적 대책은 관계당국의 행정상의 관리만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으므로, 보다 근원적인 해결방안은 해당 제조 생산 업체에서 이루어져야 될 것이다.
젤리용기관련 국내외 공지의 기술들은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다.
섭취자가 용기에 든 젤리덩어리를 순간적으로 흡입하여 삼키게 됨에 따라 개연될 수 있는 질식 사고를 방지하기위해, 용기내부공간을 일정형태의 격리판으로 구획 분리하여 섭취 시 분리된 젤리를 섭취하도록 한 것 들이다.
일반적으로 용기의 깊이가 구경의 1/2이상 되는 것을 컵이라 하며, 컵은 양 산 성형성, 가격비교 우위성, 제품생산 연계성, 유통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다층 공압출 시트나 발포C-PET 시트 등을 진공 또는 압공성형을 해서 동시에 일정수량을 실시간으로 대량제조하게 되며, 주로 젤리, 빙과, 아이스크림, 프림, 잼, 두부, 조미식품 등 다양한 식품포장용으로 사용되어 지고 있다.
따라서 국내외에서 사용되는 젤리용기인 해당 미니컵도 전량 진공 또는 압공성형으로 제조 생산되기 때문에 당연히 그 형태와 구조에 제약을 받게 된다.
즉 도1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지의 젤리용기 격리판(66a)의 구조는 열성형 방식으로 제조는 가능하나, 젤리용기내부의 시트표면적이 늘어남으로서 그 만큼 시트두께가 상당히 두꺼워져야 되므로, 불필요한 원가상승 요인을 갖게 되며. 용기의 구획 분리에도 한계가 있어 섭취하는 젤리를 보다 잘게 분리할 수도 없는 것이다.
또한 도17b와 같은 비연속 격리판(66b)구조는 열성형 방식으로는 제조가 불가능하고 사출방식으로만 가능하여, 개별적 단위 생산에 따른 생산효율성과 원가면에서 양산용도로는 전혀 부합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17c와 같은 구조는 용기개구부 상단 내주연에만 일정높이의 격리판(66c)을 형성시킨 것으로 사출 또는 열성형 어느 방식으로도 용기제조가 불가능하여 도면상으로만 존재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공지의 개시된 기술들은 상기의 이유로 상용화에 근원적 취약점을 갖고 있으므로, 소비자와 생산업체 그리고 관계당국 등의 소망하는 바에 전혀 공감대를 형성시키지 못하고 있다.
국내외적인 안전성검증 문제로 소비자안전경보까지 발령된 구경 4.5cm이하의 미니컵젤리 제품에 대한 판매허용여부가 최근까지 반복적으로 논란이 재현되고 있음에도, 관계당국이나 유관업체들은 근원적인 문제점 해결에는 접근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
사고의 개연성이 언제라도 상존함에도, 단지 젤리의 경도를 다소 연화시키거나, 주의경고문구 몇 글자 표기하기로 함으로서, 사회적 책임여부와 윤리적 상혼여부마저 불투명한 일련의 대책들은, 소비자의 생명을 담보로 법의 경계선상까지도 넘나드는 발상이라 아니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궁극적으로 사고시의 모든 책임을 소비자가 떠안을 수밖에 없는 상기 제반문제점들을 근원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퀴즈기능이 내재된 용기의 플랜지와 실링되는 멤브레인 캡의 기저부에 망 구조의 리드를 별도로 갖도록 하는 더블리드 캡을 구성시킴에 따라, 흡입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젤리가 한 덩어리로 입안으로 빨려 유입되는 것을 절대적으로 제한하여, 항상 섭취자의 실시간적인 의도에 따라, 젤리가 용기로부터 압출 될 때에는 반드시 자연발생적으로 잘게 분리되도록 한다.
따라서 어느 누구라도 젤리용기의 멤브레인 캡을 박리하여, 용기에 입을 대어 단번에 흡입하여 빨아 섭취하거나, 또는 그 측면을 누름과 동시에 젤리가 네트리드의 소정간격과 형태그대로 절단되며 분리되도록 함으로서, 어떠한 경우라도 소비자의 절대적 섭취 안전성의 담보를 보장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퀴즈용기 본체에 세로방향으로 연이어진 한개 이상의 스퀴즈요부를 형성하고, 그 상단에는 실링플랜지를 형성하며, 필 플랩이 연설된 멤브레인 캡, 그리고 그 기저부에 소정형태의 망 구조를 갖는 네트리드(Net Lid)를 오버랩(Overlap)하여 형성된 더블리드 캡을 상기 플랜지에 트리밍(Trimming)하여, 히트실링(Heart Sealing)과 커팅(Cutting) 처리를 함으로서, 소기의 목적대로 내용물이 용기로부터 언제나 분리압출 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 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에 따른 망 구조를 갖는 더블리드 캡을 구비한 스퀴즈 용기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아니한다.
도1 및 도 2에 도시된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망 구조를 갖는 네트리드(20)와 멤브레인 캡(30)에 의한 더블리드 캡(40)과 스퀴즈용기(10)를 형성 시킨다.
소정의 구경과 깊이를 갖는 스퀴즈용기(10)를 형성시킴에 있어, 상기 스퀴즈용기(10) 외주연 좌우측부에 프레스요부(17a)(17b)를 형성시키고, 상기 스퀴즈용기(10) 중심부에 세로방향으로 전 구간에 걸쳐 연이어진 한개 이상의 골부(14a)(14b) 와 산부(13)를 갖는 스퀴즈요부(15a)(15b)를 형성시킨다.
아울러 상기 스퀴즈용기(10) 상단부에는 실링플랜지(12)를 형성시킨다.
소정의 굵기와 직경으로 된 플라스틱와이어(23)의 결속으로 망 구조의 네트 리드(20)를 소정의 폭만큼 형성시킴에 있어, 소정의 망 형태와 간격을 갖도록 한다.
소정두께의 알루미늄(Al) 포일(Foil) 또는 증착 라미네이션(Lamination)필름으로 구성된 멤브레인 캡(30)은 그 주연에 실링부(35)를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35)와 연이어 소정형태와 크기를 갖는 필 플랩(Peel Flap) (33)을 연설시킨다.
도 7은 스퀴즈용기(10) 상단부 실링플랜지(12)의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더블리드 캡(40)과 동일한 외곽형태를 갖도록 하여, 그립플랩(Grip Flap) (19)을 형성시킨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에 도시된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플라스틱와이어(23) 결속 방식으로 네트리드(20)를 소정의 폭과 형태로 연속적으로 형성시킴에 있어, 균등한 간격밀도를 갖도록 한다.
도 10a에 도시된바와 같이 사각형 네트리드(20a)를 소정의 간격밀도를 갖도록 연속적으로 형성시킨다.
도 10b에 도시된바와 같이 하니콤(Honey Comb)형 네트리드(20b)를 소정의 간격밀도를 갖도록 연속적으로 형성시킨다.
도 10c에 도시된바와 같이 마름모형 네트리드(20c)를 소정의 간격밀도를 갖도록 연속적으로 형성시킨다.
도 11a, 도 11b, 및 도 11c에 도시된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시트 천공방식으로 천공형 네트리드(25)를 소정의 폭과 형태로 연속적으로 형성시킴에 있어, 소정의 위치에 천공부(26a),(26b),(26c)를 연속적으로 형성시킨다.
도 11a에 도시된바와 같이 사각천공형 네트리드(25a)를 소정의 폭만큼 연속적으로 형성시킴에 있어, 소정의 위치에 사각 천공부(26a)를 연속적으로 형성시킨다.
도 11b에 도시된바와 같이 하니콤천공형 네트리드(25b)를 소정의 폭만큼 연속적으로 형성시킴에 있어, 소정의 위치에 하니콤 천공부(26b)를 연속적으로 형성시킨다.
도 11c에 도시된바와 같이 마름모천공형 네트리드(25c)를 소정의 폭만큼 연속적으로 형성시킴에 있어, 소정의 위치에 마름모 천공부(26c)를 연속적으로 형성시킨다.
상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의 최종형태는 상호 유사하나 망체를 어떤 방법과 과정으로 형성하는가의 차이이며, 즉 전자는 소정 굵기의 플라스틱와이어(23)를 공지의 다양한 망 체 형성방법으로 네트리드(20)가 완성되는 것이며, 후자는 소정두께의 플라스틱시트에 소정형태와 간격으로 천공을 하여 천공형 네트리스(25)가 형성되는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바와 같이 본 발명 제조방법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폭을 갖으며, 다수의 멤브레인 캡(30)이 인쇄된 멤브레인캡 필름(75)을 멤브레인캡 필름스풀(70)에 와인딩(Winding)하고, 그리고 상기 멤브레인캡 필름(75)폭과 동일한 폭을 갖고 플라스틱와이어(23)에 의해 소정 형태와 간격으로 결속되어 형성된 네트리드(20)를 네트리드스풀(50)에 와인딩하여, 각기 언 와인딩(Unwinding)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더블롤(Double Roll)방식으로 개별적으로 이송공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3에 도시된바와 같이 본 발명 제조방법의 제2 실시예를 실시함에 있어 상기 제1 실시예와 유사하나, 초기필름원단 가공단계에서부터 소정 폭의 멤브레인 캡 필름(75)의 기저부에 네트리드(20)를 오버랩하여, 더블리드 캡 필름(95)을 형성하고, 더블리드 캡 필름스풀(90)에 와인딩 함으로서, 동시에 언 와인딩 되며 싱글롤(Single Roll)방식으로 이송공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멤브레인 캡 필름(75)과, 네트리드(20)를 오버랩하여 더블리드 캡 필름(95)을 형성함에 있어서, 멤브레인 캡 필름(75)의 양 사이드에지(Double Side Edge)부근에 연속 또는 불연속으로 소정의 폭과 길이만큼 사이드에지 실링부(73)를 형성하여, 상호간에 융착처리로 이송공정 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섭취자가 내용물(부드럽고 점성을 갖는 젤리 양갱 등의 식품)을 섭취하고자 할 때, 도1 또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손으로 스퀴즈용기(10)본체, 또는 그립플랩(19)을 파지하고, 타측 손으로 멤브레인 캡(30)의 필플랩(33)을 파지하여, 수직방향으로 당기며 박리하면, 스퀴즈용기(10) 개구부가 드러나게 된다.
이때 도 5, 도 6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45)이 용입된 스퀴즈용기(10)의 실링플랜지(12)에 열 가압으로 네트리드(20)와 멤브레인 캡(30)을 오버랩하여 함께 융착, 즉 네트리드(20)를 실링플랜지(12)에 선 융착하고, 이 후 그 위에 멤브레인 캡(30)을 오버랩하여 순차적으로 연이은 공정으로 후 융착하거나, 또는 네트리드(20)와 멤브레인 캡(30)을 동시에 복합하여 융착 하더라도, 멤브레인 캡(30)만 박리되는 이유는, 첫째 멤브레인 캡(30)이 상단에 위치하여 있고, 둘째 열가압방식으로 융착 되어있는 상기 실링플랜지(12)와 네트리드(20)는, 상호 시트형태의 후판 두께 (일반적 0.25mm이상의 두께를 시트라 칭함)를 갖고 있고, 같거나 유사한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어 있음으로, 절대 분리되지 않는다.
즉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와이어(23)가 그 직경의 굵기만큼 열가압으로 압착와이어(24)으로 변형될 정도의 선택적인 강한 압력을 받은 상태이므로, 요지부동하게 융착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대적으로 얇은 알루미늄 복합필름으로 구성된 멤브레인 캡(30)이 함께 융착되어 있었더라도, 네트리드(20)와 실링플랜지(12)의 박리력이 네트리드(20)와 멤브레인 캡(30)의 박리력 보다 월등히 강하기 때문에, 섭취자는 멤브레인 캡(30)만을 박리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멤브레인 캡(30)은 박리되기 전까지 내용물(45)을 외부환경 이물질로부터 차단하는 보호막의 역할을 하는 것이고, 섭취하기위해 박리가 되면, 상기 멤브레인 캡(30)의 기저부에 오버랩 되어 함께 융착 되어있던 네트리드(20)가 비로소 소정 형상대로 외부압력 및 흡입력에 의해 내용물(20)을 절단하며 분리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네트리드(20)를 형성하는 구체예에 있어서, 플라스틱와이어(23) 재질은 스퀴즈용기(10) 재질에 따라 PP, PE, NYLON, 또는 그의 복합 등, 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 결정 할 수 있으며, 대체로 우수한 인장강도와 탄성률을 갖는 고강도 고탄력성의 재료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각 재질별 단일적용 또는 화학적인 합성 그리고 소정 직경의 NYLON 심지에 PP나 PE 등의 재질을 코팅하는 물리적인 복합 등을 고려 할 수 있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와이어(23)형의 각 네트리드(20a),(20b),(20c)의 경우, 소정의 폭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인 상기 플라스틱와이어(23)간의 망 체 결속은 공지의 기술로 다양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그 직경은 내용물(45)의 점성경도와 스퀴즈용기(10)의 크기 등, 각종 실험결과에 의한 실증적 제반여건에 따르면, 대체로 0.5-1mm범위에서 임의선택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망 체 간의 간격 밀도는 섭취자의 안전성 절대보증을 위해 스퀴즈용기(10) 크기에 관계없이 대략 10mm내외로 하는 것이 역시 바람직하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와이어(23)의 단면은 소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삼각형, 사각형, 마름모형, 원형 등, 그러나 실증적 실험결과에 의하면, 대체로 원형내지 타원형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도 11a, 도 11b, 및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천공형의 네트리드(25a),(25b),(25c)의 경우, 그 망 체 형성은 공지의 다양한 기술로 가능하며, 펀칭롤러를 사용하여 해당 천공부 (26a),(26b),(26c)를 형성하거나, 혹은 레이저펀칭 그리고 초음파펀칭 등 시트두께와 재질 등의 제반여건에 따라 연속적으로 다양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퀴즈용기(10) 양 측면부의 프레스요부(17a),(17b)를 서서히 가압 파지하면, 그 가압력의 정도에 따라, 도 9a, 도9b, 및 도 9c의 작용설명도와 같이, 순차적으로 내용물(45)이 네트리드(20)의 망 구조의 형상대로 절단되면서 분리압출하게 된다.
사용자의 가압에 따라 스퀴즈용기(10)가 수축되는 원리는 도 4의 횡단면도에 도시된바와 같이, 한개 이상의 스퀴즈요부(15a)(15b)로 구성된 스퀴즈용기(10)는 프레스요부(17a)(17b)로부터 비롯되는 벡타(Vector)값에 따라, 수축되는 방향으로 횡압력을 받게 된다.
즉 골(14a)(14b) 부위와 산(13) 부위의 수축각도가 서서히 줄어듦으로서, 그 한계수축각도까지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스퀴즈용기(10) 내부의 수축되는 공간만큼 그 안에 충전되어 있던 내용물(45)이 자연스레 외부로 자연 압출되는 것이며, 동시에 스퀴즈용기(10) 개구부에 도 1, 도 7, 및 도 3b에 도시된바와 같이 열 압착되어 형성되어 있는 거미줄과도 같은 네트리드(20)에 의하여, 내용물(45)이 절단되면서 분리 압출되는 것이다.
연이어서 섭취자는 스퀴즈용기(10)가 한계수축지점까지 도달하여 더 이상 내용물(45)이 압출되지 아니하면, 누름을 멈추고 비로소 입을 대고 섭취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이미 소정의 크기로 절단되어 압출된 부위의 내용물은 그대로 잘라먹으면 되고, 아직 스퀴즈용기(10)안에 잔존하는 일부 내용물(45)은 입으로 빨아 흡입하게 되면, 상기와 동일한 작용메커니즘에 의해 내용물(45)이 네트리드(20)의 망 구조와 형태 그대로 절단되어 잘게 분리되면서, 그 흡입력에 의해 입안으로 모두 빨려 들어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어느 누가 내용물(45)을 흡입하여 빨아 삼키더라도 종래와 같이 한 덩어리의 내용물(45)이 순간적으로 한입에 들어와 기도를 막아 질식하게 되는 작용현상을 근원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자체 반복적 실험에 의하면, 곤약이나 글루코만난을 함유하여 대체로 경도가 높아, 국내외적으로 판금조치된 제품에서도 매우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어, 미니컵젤리의 안전성여부에 대한 종지부를 찍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내용물의 점성경도를 섭취의 안전성을 이유로 굳이 7뉴톤(Newton) 이하로 한정지을 필요가 없으므로, 내용물의 경도가 필요이상으로 무르게 하여 발생되는 밍밍한 촉감 등의 식감저하 요인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궁극적으로 본 발명은 국내외 많은 관계기관과 유관업체 그리고 소비자단체 등이 서로간의 입장차이로 논쟁되어 왔었던 미니컵젤리의 제반 모든 문제점을 일거에 해소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첫째로 미니컵젤리의 컵 직경이 4.5cm이하에서도 근원적으로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으므로 그 컵 직경의 논쟁이 무의미하게 되었다.
둘째로 젤리의 식품첨가물이 곤약이나 글루코만난 등의 다소 경도가 높은 제품들에서도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음으로, 7뉴톤(Newton)의 경도를 기준으로 그 이하이면 안전하다는 다소 애매한 기준의 논쟁도 무의미 하게 되었다.
셋째로 젤리를 냉동한다 하더라도 네트리드(20)에 의하여 근원적으로 분리압 출이 되지 않으므로, 당연히 섭취가 불가능함으로 잠재적 사고의 개연성을 배제할 수 있게 되었다.
넷째로 본 발명은 상기의 근원적 해결방안들이 이미 그 목적에 따라 마련되어 있음으로, 제품표면에 어떤 경고 문구를 얼마나 눈에 잘 띄게 표기하고 소비자가 그 경고를 어디까지 인지해야한다 라는 소모적 논란도 전혀 필요 없게 되었다.
본 발명의 스퀴즈용기(10)의 제조방법은 열 성형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열 성형은 진공성형(Vacuum Forming), 압공성형(Pressure Forming), 게또바시성형(matched mold forming) 그리고 이들의 조합 등, 다양한 Sheet 가공기술을 포괄적으로 포함한다.
도 14a, 14b, 14c 및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공정 순서별로 주로 압출 후에 얻어진 용기성형시트(100)를 성형기에 공급하면 (Feeding), 이것을 정해진 소정형태의 몰드(98)에 완전히 고정시키고(Clamping), 성형온도까지 가열한 후(Heating) 진공흡입(Vacuum Inhalation) 또는 공기압(Air Press) 등에 의해 성형(Shaping)하게 된다.
따라서 열성형은 중공성형(Blow Mold), 사출성형(Injection Molding), 사출중공성형(Injection Blow Molding)등 타가공법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통상 1-10기압)에서 성형이 이루어지므로, 다소 강도가 다소 약한 값싼 재질의 Mold를 이용할 수 있고, 동시다발적 대량단위의 생산이 가능함으로, 상대적으로 단위당 생산원가를 대폭 낮출 수 있다.
도17a, 도17b 및 도17c와 같이 공지의 종래젤리용기(96)에 격리판 (66a),(66b),(66c)을 부설하여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술한 용기성형 제조방법에 따라 도 17a의 경우 하나의 연장된 시트로 열 성형 방식으로 제조는 가능하나, 그 만큼 용기 전체 표면적이 넓어짐으로서 젤리의 분리압출의 효과도 미흡할 뿐만 아니라 약 30% 이상의 용기성형시트(100)의 원가부담만 발생된다.
더 나아가 젤리를 보다 잘게 압출하고자 분리의 단위를 높여 격리판(66a)을 다수개로 구성할 경우, 점점 용기성형시트(100)의 두께는 두꺼워지고 그만큼 생산효율까지 저하되어 구조적 악순환만 되풀이 하게 된다.
도 17b와 도 17c의 경우, 하나의 연장된 용기성형시트(100)로 구성될 수도 없는 구조이므로, 열성형 방식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격리판(66b),(66c)의 비연속 형태로 구성되어 젤리용기(96)를 서로 적층 할 수도 없으므로, 빈 젤리용기(96)를 운반하여 젤리를 충전하기에도 치명적 구조적 결함을 안고 있다.
미니컵젤리 용기와 같은 경우는 단위당 판매단가가 낮으므로 매우 효율적인 생산시스템으로 용기를 제조하지 않으면, 즉 포장의 효율성이 담보되지 않으면, 그 제조원가 압박요인 때문에 미니컵젤리의 생산 판매자체가 불가능함으로, 반드시 열성형 제조방식으로 용기가 제조되어야한다는 전제조건에 부합되어야 한다.
따라서 젤리, 양갱, 소스, 액상프림, 빙과류, 잼, 조미식품, 두부, 묵등 수도 없이 많은 일회용식품군들의 용기포장은 예외 없이 열성형 방식으로 제조된다.
즉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플라스틱 시트에 2열 이상으로 용기를 배치하여 연속적으로 성형하여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개시된 기술 자료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품생산에 치명적인 구조적 결함을 안고 있어, 그 목적이 유명무실함으로서 국내외 해당시장에는 접근조차 못하는 것이다.
반면 본 발명의 스퀴즈용기(10)는 격리판을 통해 내용물(45)을 분리하는 방식이 아니라, 단지 소정 굵기와 형태로 구성된 망 구조체인 네트리드(20)를 통해 내용물(45)을 분리하는 물리공학적 힘의 균형메커니즘과 지극히 인체공학적인 구조이기 때문에 소비자들에게 편리함과 안전성을 보장하여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관업체 생산설비 내에 바로도입 적용도 가능하여, 해당산업생산업계에 폭 넓은 시너지 효과도 줄 수 있다.
즉 스퀴즈용기(10) 내부의 표면적을 기존과 같이 일정하게 유지하면서도 무수히 많은 조각으로 수월하게 내용물(45)을 분리 압출할 수 있으므로, 단위면적당 동일한 용기성형시트(100) 두께 내에서 제조 가능하여 원가 상승요인이 발생치 않는다.
또한 공지의 용기제조방법으로 양산이 가능함으로 다양한 일회용용기 제품군에 응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스퀴즈용기(10)에 내용물(45)이 충전되고, 네트리드(20)와 멤브레인 캡(30) 또는 더블리드 캡(40)이 히트실링 되고 트리밍 커트되어, 제품으로 제조되는 방법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소의 차이가 있다.
도 15에 도시된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완제품 제조방법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일차적으로 진공성형 시스템(Vacuum Forming System)의 공정에 따라 진공성형된 스퀴즈용기(10)가 트리밍(Trimming)되고 커팅(Cutting)되어 완성된다.
성형을 마친 해당 스퀴즈용기(10)들은 자동컵실링기(Auto Cup Sealing System)의 초기공정 튜닝(Tuning)에 의해 용기홀더에 정렬되고, 충전기에 의해 내용물(45)이 충전(Filling)되어, 실링기로 순차적으로 이송되면서 실링(Sealing)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네트리드스풀(50)이 언 와인딩 되면서 네트리드(20)가, 또한 멤브레인캡 필름스풀(70)도 언 와인딩 되면서 멤브레인 캡필름(75)이 각각 개별적으로 전진 이송하게 된다.
그리고 실링기의 히트실링헤드가 스퀴즈용기(10)의 실링플랜지(12)와 동심 위치되면서, 그 사이에 존재하는 상기 멤브레인 캡필름(75), 그리고 도 10a, 도 10b 및 도10c에 도시된바와 같이 네트리드(20)의 튜닝실링부(21a),(21b),(21c)와도 동시에 일렬로 정렬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히트실링이 되어 완전밀봉이 되는 것이다.
아울러 내용물(45)이 충전되어 상기 스퀴즈용기(10)의 실링플랜지(12)에 이미 융착된 멤브레인캡 필름(75)의 해당인쇄부 외주연이 트리밍유닛에 의해 트리밍되며 정교하게 동심 위치되어, 상기 멤브레인 캡필름(75)의 기저부에 오버랩되어 있는 네트리드(20)도 동시에 커팅 됨으로서, 도 1, 또는 도 7에 도시된바와 같이 완제품으로 출고되는 것이다.
도 16에 도시된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완제품 제조방법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도, 일차적으로 진공성형 시스템(Vacuum Forming System)의 공정에 따라 진공성형된 스퀴즈용기(10)가 트리밍(Trimming)되고 커팅(Cutting)되어 완성된다.
성형을 마친 해당 스퀴즈용기(10)들은 자동컵실링기(Auto Cup Sealing System)의 초기공정 튜닝(Tuning)에 의해 용기홀더에 정렬되고, 충전기에 의해 내용물이 충전되어 실링기로 순차적으로 이송되면서 실링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더블리드캡 필름스풀(90)이 언 와인딩 되면서 더블리드 캡필름(95)이 전진 이송되며, 실링기의 히트실링헤드가 스퀴즈용기(10)의 실링플랜지(12)에 동심 위치되면서, 이 역시 오버랩 되어있는 네트리드(20)와 멤브레인 캡필름(75)과도 동시에 일렬로 정렬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히트실링이 되어 완전밀봉이 되는 것이다.
아울러 내용물이 충전되어 상기 스퀴즈용기(10)의 실링플랜지(12)에 이미 융착된 멤브레인 캡필름(75)의 해당인쇄부 외주연이 트리밍유닛에 의해 트리밍 되며 정교하게 동심 위치되어, 상기 멤브레인 캡필름(75)의 기저부에 오버랩되어 있는 네트리드(20)도 동시에 커팅됨으로서, 도 1, 또는 도 7에 도시된바와 같이 완제품으로 출고되는 것이다.
상기 히트실링의 구체예에 있어서, 네트리드(20)의 여건에 따라 고주파실링과 초음파실링을 도입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다소 경도가 높은 젤리 등의 내용물의 경우에 있어서도, 스퀴즈용기를 파지하거나 입을 대고 흡입하는 순간부터 잘게 분리 압출된 상태로 섭취할 수 있고, 냉동처리를 하더라도 그 내용물이 해동되기 전에는 자연적 안전 잠금 메커니즘의 작용에 의해 압출이 방지됨으로, 근원적인 질식 사고를 예방 할 수 있는 것이며, 용기의 크기에 제한받지 않으므로 젤리 외에 다양한 식품군에 도입 적용이 가능하여, 실 소비자들에게 특히 어린이 노약자들에게 편리성과 생명의 안전성을 절대적으로 보장해 주게 된다.
그리고 본 제품을 섭취하고자할 때, 굳이 경고문구 조차 필요치 않으므로 관계당국과 유관업계 그리고 소비자 모두의 염원에 부응할 수 있으며, 또한 스퀴즈 용기를 격리방식으로 성형할 필요가 없어 원가상승요인이 발생되지 않는, 국내외 해당시장에 있어, 신규 및 대체수요 창출이 가능하다.

Claims (19)

  1. 소정의 구경과 깊이를 가지며, 상단부에는 소정의 폭으로 연장된 실링 플랜지가 형성된 용기;
    상기 용기의 외주면에 형성된 프레스 요부;
    상기 용기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용기의 외주 측면과 바닥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스퀴즈 요부;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실링부가 상기 용기의 실링 플랜지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용기를 밀봉하는 멤브레인 캡;
    상기 멤브레인 캡의 실링부 중 일부가 연장되어 형성된 필 플랩; 및
    상기 용기의 상단과 상기 멤브레인 캡의 사이에 위치하며, 망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의 실링 플랜지에 융착된 네트리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구조를 갖는 더블리드 캡을 구비한 스퀴즈 용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리드는 상기 멤브레인 캡의 밑면에 동일한 크기로 오버랩되어, 상기 멤브레인 캡과 함께 더블리드 캡으로 구성되며, 상기 네트리드와 상기 멤브레인 캡이 상기 용기의 실링 플랜지에 각각 순차적으로 융착되거나, 동시에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구조를 갖는 더블리드 캡을 구비한 스퀴즈 용기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캡을 상기 용기의 실링 플랜지로부터 분리할 때, 상기 네트리드는 상기 용기의 실링 플랜지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구조를 갖는 더블리드 캡을 구비한 스퀴즈 용기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실링 플랜지는 상기 더블리드 캡의 외연(外延)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외연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구조를 갖는 더블리드 캡을 구비한 스퀴즈 용기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외력(外力)이 가해졌을 때 변형 가능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구조를 갖는 더블리드 캡을 구비한 스퀴즈 용기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퀴즈 요부는 하나 이상의 골과 산으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스 요부를 가압 파지함에 따라 상기 스퀴즈 요부의 폭이 수축하게 되어, 상기 용기의 내부 용적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구조를 갖는 더블리드 캡을 구비한 스퀴즈 용기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리드는 복수 개의 플라스틱 와이어들이 종횡으로 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구조를 갖는 더블리드 캡을 구비한 스퀴즈 용기 조 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리드는 복수 개의 플라스틱 와이어들이 소정의 패턴을 이루면서 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구조를 갖는 더블리드 캡을 구비한 스퀴즈 용기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리드는 벌집(honeycomb)형의 패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구조를 갖는 더블리드 캡을 구비한 스퀴즈 용기 조립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리드는 마름모형의 패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구조를 갖는 더블리드 캡을 구비한 스퀴즈 용기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리드는 합성수지 시트에 소정의 패턴으로 천공(穿孔)이 이루어져 망 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구조를 갖는 더블리드 캡을 구비한 스퀴즈 용기 조립체.
  12. 1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리드의 천공구멍은 사각형의 패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구조를 갖는 더블리드 캡을 구비한 스퀴즈 용기 조립체.
  13. 1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리드의 천공구멍은 벌집(honeycomb)형의 패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구조를 갖는 더블리드 캡을 구비한 스퀴즈 용기 조립체.
  14. 1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리드의 천공구멍은 마름모형의 패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구조를 갖는 더블리드 캡을 구비한 스퀴즈 용기 조립체.
  15. 소정의 구경과 깊이를 가지며, 상단부에는 실링 플랜지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프레스 요부가 형성되며, 외주 측면과 바닥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퀴즈 요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스퀴즈 용기안에 내용물을 채우는 제1단계;
    각각 별개의 스풀들(spools)로부터 네트리드와 멤브레인 캡 필름이 언와인딩(unwinding)되어 상기 스퀴즈 용기의 상방 위치로 공급되는 제2단계;
    상기 네트리드가 상기 스퀴즈용기의 위치에 선 정렬되는 제 3a단계;
    또는 상기 네트리드와 상기 멤브레인 캡 필름이 동시에 상기 스퀴즈 용기의 위치에 정렬되는 제3b단계; 및
    상기 네트리드가 상기 스퀴즈 용기의 실링 플랜지에 선 융착되고, 이 후 그 위에 멤브레인 캡이 오버랩되어 순차적으로 연이은 공정으로 후 융착 밀봉이 이루어지는 제 4a 단계;
    또는 상기 네트리드와 상기 멤브레인 캡 필름이 상호 오버랩되어 상기 스퀴즈 용기의 실링 플랜지에 동시 복합되어 융착됨으로써, 상기 스퀴즈 용기의 융착 밀봉이 이루어지는 제4b단계;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구조를 갖는 더블리드 캡을 구비한 스퀴즈 용기 조립체의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4a단계, 또는 4b단계후에, 상기 멤브레인 캡 필름과 상기 네트리드의 외주연(外周延)이 트리밍 유닛(trimming unit)에 의해 트리밍되는 제5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구조를 갖는 더블리드 캡을 구비한 스퀴즈 용기 조립체의 제조방법.
  17. 소정의 구경과 깊이를 가지며, 상단부에는 실링 플랜지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프레스 요부가 형성되며, 외주 측면과 바닥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퀴즈 요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스퀴즈 용기안에 내용물을 채우는 제1단계;
    하나의 스풀(spool)에 함께 감겨진 네트리드와 멤브레인 캡 필름이 언와인딩(unwinding)되어 상기 스퀴즈 용기의 상방 위치로 공급되는 제2단계;
    상기 네트리드와 상기 멤브레인 캡 필름이 상기 스퀴즈 용기의 위치에 정렬되는 제3단계; 및
    상기 네트리드와 상기 멤브레인 캡 필름이 상호 오버랩된 상태에서 상기 스퀴즈 용기의 실링 플랜지에 동시 융착 됨으로써 상기 스퀴즈 용기의 밀봉이 이루어지는 제4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구조를 갖는 더블리드 캡을 구비한 스퀴즈 용기 조립체의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 후에, 상기 멤브레인 캡 필름과 상기 네트리드의 외주연(外周延)이 트리밍 유닛(trimming unit)에 의해 트리밍되는 제5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구조를 갖는 더블리드 캡을 구비한 스퀴즈 용기 조립체의 제조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리드와 상기 멤브레인 캡 필름은 양 사이드 엣지(side edge)에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사이드엣지 실링부를 형성하여, 이송되는 동안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구조를 갖는 더블리드 캡을 구비한 스퀴즈 용기 조립체의 제조방법.
KR1020060055432A 2005-06-20 2006-06-20 망 구조를 갖는 더블리드 캡을 구비한 스퀴즈 용기 조립체및 그 제조방법 KR200601334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862 2005-06-20
KR20050052862 2005-06-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494A true KR20060133494A (ko) 2006-12-26

Family

ID=37570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5432A KR20060133494A (ko) 2005-06-20 2006-06-20 망 구조를 갖는 더블리드 캡을 구비한 스퀴즈 용기 조립체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60133494A (ko)
WO (1) WO200613767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54648A (zh) * 2019-09-21 2020-01-07 湖州名洛科技有限公司 一种杯装机挤杯排气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4100000A4 (en) 2004-01-02 2004-02-12 Sands Innovations Pty Ltd Dispensing stirring implement
AR052440A1 (es) * 2004-12-23 2007-03-21 Tarvis Technology Ltd Un recipiente
RU2459753C2 (ru) 2007-01-31 2012-08-27 Сэндс Инновейшнс Пти Лтд. Выдач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и способ е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JP2009001306A (ja) * 2007-06-21 2009-01-08 Kyosei Uehara 半固形食品用容器並びに半固形食品
GB2450909A (en) * 2007-07-11 2009-01-14 Diageo Great Britain Ltd Container for a Slush Beverage
WO2010065980A1 (en) * 2008-12-09 2010-06-17 Sands Innovations Pty Ltd A dispensing container
US8511500B2 (en) 2010-06-07 2013-08-20 Sands Innovations Pty. Ltd. Dispensing container
SI2452892T1 (sl) * 2010-11-10 2014-11-28 Theo Mueller Gmbh & Co. Kgaa EmbalaĹľa za dostavo mleka in postopek za izdelavo take embalaĹľe
US8485360B2 (en) 2011-03-04 2013-07-16 Sands Innovations Pty, Ltd. Fracturable container
US11104482B2 (en) 2019-09-18 2021-08-31 Blue Buffalo Enterprises, Inc. Packaged food produc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packaged food product
CN113768382A (zh) * 2021-08-09 2021-12-10 李科 一种饮料包装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3781A (ja) * 1996-05-30 1997-12-16 Ando Chem Kk ゼリー状食品の封入容器及びその封入方法
JPH1086991A (ja) * 1996-09-13 1998-04-07 Burubon:Kk 一口ゼリー用容器
JP3805582B2 (ja) * 1999-03-19 2006-08-0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プラスチックボトル
JP2003012083A (ja) * 2001-04-26 2003-01-15 Koji Fujimoto ゲル食品包装用容器およびゲル食品包装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54648A (zh) * 2019-09-21 2020-01-07 湖州名洛科技有限公司 一种杯装机挤杯排气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137674A1 (en) 200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33494A (ko) 망 구조를 갖는 더블리드 캡을 구비한 스퀴즈 용기 조립체및 그 제조방법
US7691301B2 (en) Multi-cellular container with cut-score
CN108602598A (zh) 可回收柔性袋及其生产和使用方法
US9309036B2 (en) Package with enclosed utensil
US3580413A (en) Clear thermoplastic multi-ply meat tray and absorbent strips
US20210204567A1 (en) Pet-medicine-capsule wrapper apparatus and method
MX2011007815A (es) Empaque tubular flexible para producto comestible.
CN100355566C (zh) 生产包装层压材料的方法
JP5990999B2 (ja) 紙容器
CN206537726U (zh) 一种泡罩结构
CN210654425U (zh) 一种多层复合共挤抗压封口膜及其生产系统
EP3380404B1 (en) Packaged food product and method for packaging food product
CN104647436A (zh) 一种巢蜜切割刀具
EP3826929B1 (en) System and method for packaging a single-serve portion of honeycomb
CN210213302U (zh) 一种串类食品抗穿刺包装袋
CN221050460U (zh) 一种盘式超长辣条产品
JP2005162278A (ja) 包装容器の製造方法及び包装容器
CN211686336U (zh) 一种火锅底料包装袋
CN2920884Y (zh) 食品容器的结构
CN107136283A (zh) 一种夹心山楂卷的加工方法
CN209258751U (zh) 一体式多格包装的果冻包装盒
KR100614463B1 (ko) 다층돌기가 형성된 진공포장용 필름, 이 필름을 이용한진공포장용 백
CN108423301A (zh) 一种具有储存功能的饮料瓶盖
TWM647573U (zh) 食材教具
CN206297921U (zh) 一种易撕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