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4463B1 - 다층돌기가 형성된 진공포장용 필름, 이 필름을 이용한진공포장용 백 - Google Patents

다층돌기가 형성된 진공포장용 필름, 이 필름을 이용한진공포장용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4463B1
KR100614463B1 KR1020030063299A KR20030063299A KR100614463B1 KR 100614463 B1 KR100614463 B1 KR 100614463B1 KR 1020030063299 A KR1020030063299 A KR 1020030063299A KR 20030063299 A KR20030063299 A KR 20030063299A KR 100614463 B1 KR100614463 B1 KR 100614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vacuum packaging
stage
heat
sealing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3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6277A (ko
Inventor
윤완혁
성이제
Original Assignee
(주)씨에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에스씨 filed Critical (주)씨에스씨
Priority to KR1020030063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4463B1/ko
Priority to AU2003261641A priority patent/AU2003261641A1/en
Priority to PCT/KR2003/001861 priority patent/WO2005016774A1/en
Publication of KR20050026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6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1/0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31/02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with laminated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1/0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31/04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with multipl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1Heat seal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Bag Fram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돌기가 형성된 진공포장용 필름, 이 필름을 이용한 진공포장용 백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진공포장용 필름은 베이스층(10), 상기 베이스층(10)에 합지되고 그 내면에 돌기(22)가 형성되어 유로(26)가 형성된 열밀봉성수지층(20)으로 이루어진 진공포장지용 필름(100)에 있어서, 상기 돌기(22)는 제1단 돌기(22a), 상기 제1단 돌기(22a)보다 높은 제2단 돌기(22b), 상기 제2단 돌기보다 높은 제3단 돌기, 상기 제3단 돌기보다 높은 제4단 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단 돌기(22a), 제2단 돌기(22b), 제3단 및 제4단 돌기는 돌기마다 다른 각도로 배열된 배열구조를 가짐으로서 열밀봉성수지층 내면에 형성되는 무늬가 선명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진공포장용 필름 내면에 2 내지 4중 돌기를 형성함으로서 돌기 외부의 연면적을 크게 하여 공기배출량을 높여 진공포장지의 진공을 용이하게 하고, 돌기의 크기를 다양하게 하고 각 돌기의 배열방향을 달리 하여 다양한 문양을 가능하게 하여 일반수요자들의 니즈에 부응하고, 제품 판매량을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진공포장용 필름, 2중 돌기, 비정형, 공기 유로

Description

다층돌기가 형성된 진공포장용 필름, 이 필름을 이용한 진공포장용 백{FILM FOR SEALING, SEALING BAG USING THEREOF}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진공포장용 백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진공포장용 백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진공포장용 필름을 이용한 진공포장용 백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진공포장용 필름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일실시예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진공포장용 필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도 6에 도시된 일실시예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
도 8a 내지 8q는 본 발명의 진공포장용 필름 내면에 형성된 다양한 무늬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진공포장용 필름의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2중 돌기가 형성된 진공포장용 필름을 제조하는 공법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2중 돌기가 형성된 진공포장용 필름을 제조하는 또 다른 공법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베이스층 20: 열밀봉성수지층 22: 돌기
22a: 제1단돌기 22b: 제2단돌기 24: 평면부
26: 유로 32: 접착제
100: 진공포장용 필름 200: 상부판넬 300: 하부판넬
400: 개봉부 500: 진공포장용 백 600: 돌기형성유닛
610, 620: 롤러 700: 적층유닛 710: 적층용롤러
800: 적층유닛 810: 롤러 820: 냉각롤러
830: 압출기 832: 노즐 S: 봉합부
본 발명은 다층 돌기가 형성된 진공포장용 필름 및 이 필름을 이용한 진공포장용 백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진공포장용 필름에 2중 내지 4중 돌기를 형성함으로서 돌기 외부의 연면적을 크게 하여 공기배출량을 높임과 동시에 돌기의 크기 및 배열을 각기 달리하여 다양한 무늬의 형성이 가능한 진공포장용 필름 및 진공포장용 백에 관한 것이다.
미국을 비롯한 각국에서는 장기간 보관을 필요로 하는 육류나 육류가공품을 포함하는 식품류의 경우 공기에 의한 변질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할 수 있는 플라스틱 백 내에 식품류를 수납한 후 에어펌프 또는 기타 진공장치를 이용하여 진공처리하고 입구를 밀봉하여 보관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진공포장용 백(500)의 일반적인 구조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이러한 백(500)은 양면이 플라스틱계 재질의 상부판넬(200) 및 하부판넬(300)으로 이루어지고; 보관하고자 하는 내용물을 수납하기 위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판넬(200) 및 하부판넬(300)의 좌우측 말단 및 하단이 열 밀봉된 봉합부(S); 및 상기 내용물을 투입한 후에 백(50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백(500) 상단에 형성된 개봉부(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진공포장용 백(500) 내면은 통상적으로 폴리에틸렌과 같이 열에 의하여 용융이 가능하고, 인체에 무해한 열가소성 수지가 사용되며, 외면은 진공 후 장기간 보관을 위하여 나일론과 같은 차단성재질인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진공포장용 백(500)의 개봉부(400)를 통해 저장하고자 하는 내용물을 넣은 다음 에어펌프나 기타 진공장치를 이용하여 백(500)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켜 진공 처리한 후 상기 개봉부(400)에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열을 가하여 압착함으로서 밀봉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백(500)을 진공장치를 사용하여 밀봉하는 경우에 밀봉장치 부근에 존재하는 공기가 갑자기 배출되면서 백(500)을 구성하는 상부판넬(200) 및 하부판넬(300)이 서로 밀착되어(이를 "조기 붕괴현상(Early collapse)"이라고 한다), 백(500) 하부에는 잔류공기로 인하여 진공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아 내용물의 보관이 어려웠다.
이러한 조기 붕괴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가소성 재질의 필름에 엠보싱 처리하여 유로를 형성하는 기술이 개발되었고, 이와 관련되어 유로가 형성된 필름은 미국특허번호 제2,778,171호, 미국특허번호 제3,311,517호, 미국특허번호 제RE34,929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지 기술에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일정한 높이, 일정한 간격 및 일정한 형태만 가지는 돌기(22) 배열로만 유로(26)를 형성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진공성능이 떨어지며, 다양한 무늬 구현이 힘들어 일반수요자의 니즈(needs)에 대응하기 위하여 판넬(200, 300) 외면에 무늬를 전사하거나 외면에 무늬를 엠보싱처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상기에서 언급한 진공성능은 돌기의 높이, 돌기의 배열 구조, 돌기의 외부 연면적에 의하여 결정된다. 돌기의 높이는 그 높이가 높을 수록 외부의 강력한 공기 흡인력에 의한 붕괴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한, 돌기의 배열은 내부 공기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도와주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가장 바람직한 배열 구조는 백의 개봉부로 직선적으로 연계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또한, 내부 공기의 단위 시간당 유출량은 돌기 외부의 연면적에 비례하므로 돌기 외부의 연면적이 넓을 수록 내부 공기의 배출속도는 빨라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장치로 진공포장용 백을 진공시 개봉부 입구에서 발생되는 조기붕괴현상을 방지하고, 돌기 외부의 연면적이 넓게 하여 진공성능이 개선된 진공 포장용 필름 및 상기 진공 포장용 필름을 이용한 진공포장용 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돌기의 돌기마다 다른 각도로 배열된 배열 구조를 취하게 하여 열밀봉성수지층 내면에 형성되는 무늬가 선명하게 함과 동시에 수요자의 니즈에 부응하여 진공포장용 백의 수요를 증진시킬 수 있는 진공포장용 필름 및 이 필름을 이용한 진공포장용 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2단 돌기가 형성된 진공포장용 필름은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에 합지되고 그 내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유로가 형성된 열밀봉성수지층으로 이루어진 진공포장지용 필름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제1단, 상기 제1단 돌기보다 높은 제2단 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단, 제2단 돌기는 돌기마다 다른 각도로 배열된 배열 구조를 가짐으로서 열밀봉성수지층 내면에 형성되는 무늬가 선명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단 돌기 및 제2단 돌기는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단 돌기 및 제2단 돌기는 각기 다른 형상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늬는 과일, 동물, 식물, 다이아그램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단 돌기의 두께는 열밀봉성수지층의 0.8 내지 1.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단 돌기의 두께는 열밀봉성수지층의 1.0 내지 2배 인 것을 특 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층과 열밀봉성수지층 사이에는 접착제층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층은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또는 EVOH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층은 1층 또는 2이상의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밀봉성수지층은 폴리에틸렌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밀봉성수지층 내면은 엠보싱 처리되지 않은 평면부, 제1단 돌기 및 제2단 돌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밀봉성수지층 내면은 제1단 돌기와 제2단 돌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는 제2단 돌기보다 높은 제3단 돌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는 제3단 돌기 보다 높은 제4단 돌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단, 제2단 돌기, 제3단 돌기는 돌기마다 다른 각도로 배열된 배열 구조를 가짐으로서 열밀봉성수지층 내면에 형성되는 무늬가 선명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단 돌기, 제2단 돌기, 제3단 돌기는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단 돌기, 제2단 및 제3단 돌기는 각기 다른 형상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단, 제2단 돌기, 제3단 돌기 및 제4단 돌기는 돌기마다 다른 각도로 배열된 배열 구조를 가짐으로서 열밀봉성수지층 내면에 형성되는 무늬가 선명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단 돌기, 제2단 돌기, 제3단 및 제4단 돌기는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단 돌기, 제2단, 제3단 및 제4단 돌기는 각기 다른 형상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층 외면에는 열밀봉성수지층 내면에 형성된 무늬와 동일한 무늬가 인쇄된 인쇄층이 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호 겹쳐지는 상부판넬, 하부판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판넬 및 하부판넬의 하단 말단부 및 좌·우측 말단부가 상호 접촉되고 상단에는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개봉부가 형성된 진공포장용 백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넬 및 하부판넬 중 적어도 하나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포장용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3 내지 8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진공포장용 필름을 이용한 진공포장용 백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진공포장용 백(500)은 상부판넬(200), 상기 상부판넬(200)에 대응하는 크기의 하부판넬(3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판넬(200) 및 하부판넬(300)의 하단 말단부 및 좌·우측 말단부가 상호 접촉되고 상단에는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개 봉부(400)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판넬(300)은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틸렌을 교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진 2개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고, 5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5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하부판넬(300)은 그 두께가 60 내지 100㎛이고, 가스 차단을 위한 폴리아미드는 15 내지 20㎛, 폴리에틸렌은 40 내지 50㎛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진공포장용 필름(상부판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상기 열밀봉성수지층(20) 내면은 엠보싱 처리되지 않은 평면부(24), 제1단 돌기(22a) 및 제2단 돌기(22b)로 구성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일실시예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로서, 2개 층의 상부판넬(200) 표면에는 그 높이가 60㎛이고 원형인 제1단 돌기(22a)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는 80㎛의 9개의 제2단 돌기(22b)가 모여서 사람의 눈 모양을 형성한다.
도 5에서는 돌기(22)가 원형 및 일정한 크기를 가지고 있는 것을 도시하였지 만, 상기 돌기(22)는 원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직사각형, 팔각형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고, 상기 돌기(22)는 일정한 크기를 가질 뿐만 아니라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부판넬(200)은 하부에는 베이스층(10), 상기 베이스층(10) 상면에는 열밀봉성수지층(20)이 적층된다.
상기 상부판넬(200)은 드라이 라미네이팅 공법 또는 티다이 공법에 의하여 적층되는데, 드라이 라미네이팅 공법에 의할 경우에 상기 베이스층(10)과 열밀봉성수지층(20) 사이에는 접합제층이 적층된다.
상기 접합제층은 폴리에틸렌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티다이 공법에 의할 때 상부판넬(200)은 2개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판넬은 베이스층(10), 상기 베이스층(10) 상면에 합지된 열밀봉성수지층(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층(10)은 20㎛이고, 상기 열밀봉성수지층(20)은 40 내지 60㎛로서 최저 60㎛의 두께를 가지는 상부판넬(200)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10)은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또는 EVOH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아미드 층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열밀봉성수지(20)는 폴리에틸렌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폴리에틸렌은 열가소성 수지로서 그 내면에 돌기(22) 성형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부판넬(200)에만 돌기(22)가 형성된 것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부판넬(300) 내면에도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열밀봉성수지층(20) 내면을 엠보싱 처리되지 않은 평면부(24), 제1단 돌기(22a) 및 제2단 돌기(22b)로 구성하면, 입 모양 및 눈 모양이 선명하게 보이지 않는 단점이 있지만, 돌기(22) 외부의 연면적이 증가하여 진공속도가 향상되고, 진공 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진공포장용 필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상기 열밀봉성수지층(20) 내면은 제1단 돌기(22a) 및 제2단 돌기(22b)로만으로 구성된다.
도 6에는 열밀봉성수지층(20) 내면에 사람이 웃고 있는 모양이 형성되어 있고, 제2단 돌기(22b)는 사람이 웃는 모양 전체를 형성하고 있고, 제1단 돌기(22a)는 눈, 입 부분 및 사람이 웃는 모양 외곽에 제2단 돌기(22b)보다 낮게 형성되어 눈 및 입 부분이 형성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일실시예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로서, 2개 층으로 이루어진 상부판넬(200) 표면에는 50㎛의 높이를 가지고, 원형인 제1단 돌기(22a)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80㎛의 높이를 가지는 제2단 돌기(22b)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2단 돌기(22b)가 형성된 부분은 양각으로 나타나고, 제2단 돌기(22b)가 형성되지 않은 제1단 돌기(22a) 부분은 음각으로 보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열밀봉성수지층(20) 내면을 제1단 돌기(22a) 및 제2단 돌기(22b)만으로 구성하면, 돌기(22) 외부의 연면적이 증가하여 진공속도가 향상되고, 진공 성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디자인 적용이 가능하며, 무늬 윤곽이 선명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단 돌기(22a), 제2단 돌기(22b)는 각 돌기의 배열방향을 달리 하여 다양한 문양을 가능하게 하여 일반수요자들의 니즈에 부응하고, 제품 판매량을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종전에는 돌기(22)의 배열구조를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하였으나, 상기와 같이 돌기(22)의 구조를 일정한 패턴으로 할 경우에는 상부판넬(200)에 다양한 문양 구현이 어려웠으나, 본 발명과 같이 돌기(22)의 배열을 각 돌기마다 다른 각도로 하는 비정형으로 함으로서 다양한 무늬를 구현 할 수 있다.
도 8a 내지 8m은 상부판넬 표면에 2단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2단 돌기의 방향을 비정형으로 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a는 상부판넬의 열밀봉성 수지 내면에 클로버가 무늬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8b는 상부 판넬의 열밀봉성 수지 내면에 소라 무늬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8c는 상부 판넬의 열밀봉성 수지 내면에 배 무늬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8d는 상부 판넬의 열밀봉성 수지 내면에 나무잎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8e는 상부 판넬의 열밀봉성 수지 내면에 꽃잎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8f는 상부 판넬의 열밀봉성 수지 내면에 코스모스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8g는 상부 판넬의 열밀봉성 수지 내면에 크리스마스 트리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8h는 상부 판넬의 열밀봉성 수지 내면에 난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8i는 상부 판넬의 열밀봉성 수지 내면에 꽃잎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8j는 상부 판넬의 열밀봉성 수지 내면에 잔디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8k는 상부 판넬의 열밀봉성 수지 내면에 바다 안에 물고기와 바다식물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8l은 상부 판넬의 열밀봉성 수지 내면에 다수개의 문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8m은 상부판넬의 열밀봉성 수지 내면에 단풍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8a 내지 8m은 엠보싱 처리되지 않은 평면부, 제1단 돌기 및 제2단 돌기로 구성되어 다양한 문양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8n은 상부 판넬의 열밀봉성 수지 내면에 대나무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8o는 상부 판넬의 열밀봉성 수지 내면에 고대 문자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8p,q는 상부 판넬의 열밀봉성 수지 내면에 나뭇잎 결 무늬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8n 내지 8q는 제1단 돌기(22a) 및 제2단 돌기(22b)로 구성되어 다양한 무늬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진공포장용 필름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 9 내지 10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진공포장용 필름(100)은 드라이 라미네이팅(Dry-Laminating) 공법 또는 티-다이(T-die) 공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도 9는 드라이 라미네이팅 공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로서, 드라이 라미네이팅 공법에 의하여 진공포장용 필름(100)을 제조하기 위하여는 우선 내면에 제1단 돌기, 제2단 돌기가 형성된 열밀봉성수지층(20)을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폴리에틸렌 재질의 열밀봉성수지층(20)을 요홈이 형성된 롤러(610)와 편편한 롤러(620)로 이루어진 돌기형성유닛(600)을 통과시키면, 열밀봉성수지층(20) 내면에 돌기(22)가 형성된다.
상기 롤러(610)에는 제1단, 제2단 요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돌기형성유닛(600)을 통과하면, 상기 열밀봉성수지층(20) 내면에는 상기 롤러(610)에 형성된 제1단, 제2단 요홈에 대응하게 제1단 돌기, 제2단 돌기가 형성되고, 공기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제1단, 제2단 요홈은 어느 특정한 방향을 향하지 않는 비정형(Irregular) 배열 구조를 가짐으로서 열밀봉성수지 내면에 전체적으로 다양한 무늬의 형성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1단 요홈 및 제2단 요홈은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단 요홈 및 제2단 요홈은 각기 다른 각도로 배열되어 특정되지 않은(Irregular) 형상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에 공기 불투과성 재질의 베이스층(10)과 2중 돌기가 형성된 열밀봉성수지층(20)을 함께 적층용롤러쌍으로 이루어진 적층유닛(700)을 통과시키면서 상기 베이스층(10)과 2중 돌기가 형성된 열밀봉성수지(20) 사이에 접착제(32)를 투입하면 베이스층(10)과 2중 돌기가 형성된 열밀봉성수지층(20)이 접합되게 되고, 상기 베이스층(10)과 열밀봉성수지층(20) 사이에는 접착제 층이 적층된다.
상기와 같이 드라이 라미네이팅 공법에 의하면 베이스층(10)과 열밀봉성수지층(20)의 두께 제한이 없어 다양한 두께의 진공포장용 필름(100)을 제조할 수 있고, 2중 돌기가 형성된 열밀봉성수지층(20)의 제조과정에서 불량이 있는 열밀봉성 수지를 사전에 거를 수 있으므로, 진공포장용 백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접착제(32)가 고가이므로 상대적으로 제조원가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10은 티-다이 공법에 의하여 진공포장용 필름이 제조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로서, 공기 불투과성 재질의 베이스층(10)에 타다이 압출기(830)의 노즐(832)을 통하여 열밀봉성수지가 용융압출되고, 그 후에 요홈이 형성된 롤러(810) 및 냉각롤러(820)로 이루어진 적층유닛(800)을 통과하면 진공포장용 필름(100)이 제조된다.
상기 롤러(810)에는 제1단, 제2단 요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열밀봉성수지층(20) 내면에는 상기 롤러(810)에 형성된 제1단, 제2단 요홈에 대응하게 제1단, 제2단 돌기가 형성되고, 공기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제1단 요홈 및 제2단 요홈은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단 요홈 및 제2단 요홈은 각기 다른 형상을 취하여 전체적으로 비정형적인 형상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2중 돌기가 형성된 진공포장용 필름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설명하였지만, T-다이 가공을 위한 롤러를 제작함에 있어 4단 요홈까지 가능하므로 3중, 4중 돌기가 형성된 진공포장용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3중, 4중 돌기가 형성된 진공포장용 필름의 경우에 각 돌기의 배열각도를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1단 돌기는 45도 하향으로 배열하고, 재2단 돌기는 60도 하향 배열하고, 제3단 돌기는 0도 수평으로 배열하고, 제4단 돌기는 90도 수직 배열하는 것처럼 각 돌기의 배열 각도를 달리함으로서 진공포장용 필름 내면에 형성된 무늬를 입체적으로 형성하여, 무늬가 더욱 선명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3중, 4중 돌기가 형성된 진공포장용 필름은 2중 돌기가 형성된 진공포장용 필름보다 정교한 문양 구현이 가능하다 할 것이며, 공기와 접촉하는 연면적을 확대함으로서 진공성능이 개선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층 외면에는 열밀봉성수치층 내면에 형성된 2중, 3중, 제4중 돌기의 문양과 동일한 문양을 인쇄한 인쇄층을 전사하여 내면에 형성된 문양을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을 한정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설명되지 않았으나, 균등한 수단도 또한 본 발명에 그대로 결합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진공포장용 필름 내면에 2 내지 4중 돌기를 형성함으로서 돌기 외부의 연면적을 크게 하여 공기배출량을 높게 하여 진공포장지를 진공을 용이하게 하고, 돌기의 크기를 다양하게 하고 각 돌기의 배열방향을 달리 하여 다양한 문양을 가능하게 하여 일반수요자들의 니즈에 부응하고, 제품 판매량을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에 합지되고 그 내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유로가 형성된 열밀봉성수지층으로 이루어진 진공포장지용 필름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제1단 돌기, 상기 제1단 돌기보다 높은 제2단 돌기, 상기 제2단 돌기 보다 높은 제3단 돌기, 제3단 돌기 보다 높은 제4단 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단, 제2단, 제3단 및 제4단 돌기는 돌기마다 다른 각도로 배열된 배열 구조를 가짐으로서 열밀봉성수지층 내면에 형성되는 무늬가 선명해지고,
    상기 제1단, 제2단, 제3단 및 제4단 돌기는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단, 제2단, 제3단 및 제4단 돌기는 각기 다른 형상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베이스층과 열밀봉성수지층 사이에는 접착제층이 더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층 외면에는 상기 열밀봉성수지층 내면에 형성된 무늬와 동일한 무늬가 인쇄된 인쇄층이 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용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늬는 과일, 동물, 문자, 식물, 다이아그램 형상 중 어느 하아의 형상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용 필름.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1단 돌기의 두께는 열밀봉성수지층의 0.8 내지 1.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용 필름.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 돌기의 두께는 열밀봉성수지층의 1.0 내지 2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용 필름.
  12. 삭제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또는 EVOH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지용 필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1층 또는 2이상의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용 필름.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밀봉성수지층은 폴리에틸렌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용 필름.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상호 겹쳐지는 상부판넬, 하부판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판넬 및 하부판넬의 하단 말단부 및 좌·우측 말단부가 상호 접촉되고 상단에는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개봉부가 형성된 진공포장용 백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넬 및 하부판넬 중 적어도 하나는 청구항 4 내지 5, 청구항 10 내지 11, 청구항 13 내지 15 중 어느 하나의 진공포장용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용 백.
KR1020030063299A 2003-08-14 2003-09-09 다층돌기가 형성된 진공포장용 필름, 이 필름을 이용한진공포장용 백 KR100614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299A KR100614463B1 (ko) 2003-09-09 2003-09-09 다층돌기가 형성된 진공포장용 필름, 이 필름을 이용한진공포장용 백
AU2003261641A AU2003261641A1 (en) 2003-08-14 2003-09-15 Film with different heght of protuberances, manufacturing method and vacuum bag using thereof
PCT/KR2003/001861 WO2005016774A1 (en) 2003-08-14 2003-09-15 Film with different heght of protuberances, manufacturing method and vacuum bag us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299A KR100614463B1 (ko) 2003-09-09 2003-09-09 다층돌기가 형성된 진공포장용 필름, 이 필름을 이용한진공포장용 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277A KR20050026277A (ko) 2005-03-15
KR100614463B1 true KR100614463B1 (ko) 2006-08-22

Family

ID=37384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3299A KR100614463B1 (ko) 2003-08-14 2003-09-09 다층돌기가 형성된 진공포장용 필름, 이 필름을 이용한진공포장용 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44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776Y1 (ko) * 2009-09-08 2011-05-27 (주)씨에스이 진공포장용 필름 및 이 필름을 이용한 진공포장용 백
KR101346324B1 (ko) * 2011-06-27 2013-12-31 박오선 진공포장재, 그 제조장치 및 진공포장재를 이용한 진공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6331A (en) 1976-06-25 1978-01-03 Beatrice Foods Co. Cube corner type retroreflectors with improved cube corner unit relationships
KR100444402B1 (ko) * 2001-02-21 2004-08-16 이걸주 유로를 갖는 진공 포장용 필름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6331A (en) 1976-06-25 1978-01-03 Beatrice Foods Co. Cube corner type retroreflectors with improved cube corner unit relationships
KR100444402B1 (ko) * 2001-02-21 2004-08-16 이걸주 유로를 갖는 진공 포장용 필름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44440200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277A (ko) 2005-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7706A (en) Method for forming smooth walled flexible package
JP4828061B2 (ja) 可撓性食品袋
TW530001B (en) Method for preparing air channel-equipped film for use in vacuum package
US762545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trapping bag for use in vacuum packaging
CN101238040B (zh) 带有注出口部的袋子
US20130045308A1 (en) Disposable biodegradable beverage package
US20050037164A1 (en) Liquid-trapping bag for use in vacuum packaging
US6403174B1 (en) Element for the formation of bags for packing food products and not under vacuum
KR20060133494A (ko) 망 구조를 갖는 더블리드 캡을 구비한 스퀴즈 용기 조립체및 그 제조방법
JP4871456B2 (ja) 流体包装袋
US7138025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alable bag having an integrated tray for use in vacuum packaging
JP6904691B2 (ja) シート材からなる容器およびその容器の製造方法
US20050029704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alable bag having an indicia for use in vacuum packaging
KR100614463B1 (ko) 다층돌기가 형성된 진공포장용 필름, 이 필름을 이용한진공포장용 백
US20050035020A1 (en) Sealable bag having an integrated tray for use in vacuum packaging
KR100573738B1 (ko) 2중 돌기가 형성된 진공포장용 필름의 제조방법
KR100554644B1 (ko) 다양한 무늬 형성이 가능한 진공포장용 필름의 제조방법
WO2005016774A1 (en) Film with different heght of protuberances, manufacturing method and vacuum bag using thereof
US20050074575A1 (en) Vacuum packaging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vacuum packaging bag using the same
KR100745783B1 (ko) 다양한 무늬 형성이 가능한 진공포장용 필름 및 이 필름을 이용한 진공포장용 백
KR100600001B1 (ko) 다층요홈이 형성된 진공포장용 필름 및 이 필름을 이용한진공포장용백
WO2002066227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film for vacuum packaging bag, and vacuum packaging bag manufactured using the film
CN1662421A (zh) 具有自承伸出部的柔韧性包装
MXPA05009457A (es) Sistema y metodo para formar un indicio para usar en envasado al vacio.
KR20050078405A (ko)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를 이용한 진공포장용 필름 및 이필름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