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5783B1 - 다양한 무늬 형성이 가능한 진공포장용 필름 및 이 필름을 이용한 진공포장용 백 - Google Patents

다양한 무늬 형성이 가능한 진공포장용 필름 및 이 필름을 이용한 진공포장용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5783B1
KR100745783B1 KR1020030055998A KR20030055998A KR100745783B1 KR 100745783 B1 KR100745783 B1 KR 100745783B1 KR 1020030055998 A KR1020030055998 A KR 1020030055998A KR 20030055998 A KR20030055998 A KR 20030055998A KR 100745783 B1 KR100745783 B1 KR 100745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packaging
film
projection
vacuum
irreg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5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8070A (ko
Inventor
윤완혁
성이제
Original Assignee
(주)씨에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에스씨 filed Critical (주)씨에스씨
Priority to KR1020030055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5783B1/ko
Publication of KR20050018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8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5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5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무늬 형성이 가능한 진공포장용 필름 및 이 필름을 이용한 진공포장용 백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에 합지되고 그 내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유로가 형성된 열밀봉성수지층으로 이루어진 진공포장지용 필름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어느 특정한 방향을 향하지 않는 비정형(Irregular)배열 구조, 다양한 크기 및 특정되지 않은 (Irregular) 형상을 가지므로써 전체적으로 다양한 무늬의 형성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호 겹쳐지는 상부판넬(200), 하부판넬(3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판넬(200) 및 하부판넬(300)의 하단 말단부 및 좌우측 말단부가 상호 접촉되고 상단에는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개봉부(400)가 형성된 진공포장용 백(500)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넬(300) 및 하부판넬(400) 중 적어도 하나는 본 발명의 진공포장용 필름(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진공포장용 필름 내면에 돌기 배열을 비정형적으로 형성함으로서 돌기 외부의 연면적을 크게 하여 공기 배출량을 높혀 진공포장지의 진공을 용이하게 하고, 돌기의 크기 및 배열을 비정형으로 하여 다양한 문양을 가능하게 하여 일반 수요자들의 니즈에 부응하고, 제품 판매량을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진공포장용 필름, 돌기, 비정형, 공기 유로

Description

다양한 무늬 형성이 가능한 진공포장용 필름 및 이 필름을 이용한 진공포장용 백{FILM IS ABLE TO FORM DIVERSE PATTERNS FOR VACUUM SEALING AND VACUUM SEALING BAG USING THEREOF}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진공포장용 백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진공포장용 백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진공포장용 필름을 이용한 진공포장용 백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진공포장용 필름을 제조하는 공법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진공포장용 필름을 제조하는 또 다른 공법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진공포장용 필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도 6에 도시된 일실시예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
도 8a 내지 8c는 본 발명의 진공포장용 필름 내면에 형성된 다양한 무늬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진공포장용 필름의 저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베이스층 20: 열밀봉성수지층 22: 돌기
24: 평면부 26: 유로 32: 접착제
100: 진공포장용 필름 200: 상부판넬 300: 하부판넬
400: 개봉부 500: 진공포장용 백 600: 돌기형성유닛
610, 620: 롤러 700: 적층유닛 710: 적층용롤러
800: 적층유닛 810: 롤러 820: 냉각롤러
830: 압출기 832: 노즐 S: 봉합부

본 발명은 다양한 무늬 형성이 가능한 진공포장용 필름 및 이 필름을 이용한 진공포장용 백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진공포장용 필름 내면에 돌기 배열을 비정형적으로 형성함으로서 돌기 외부의 연면적을 크게 하여 공기배출량을 높히게 하여 진공포장지의 진공을 용이하게 하고, 돌기의 크기 및 배열을 비정형으로 하여 다양한 문양을 가능하게 하여 일반수요자들의 니즈에 부응하고, 제품 판매량을 늘릴 수 있는 진공포장용 필름 및 이 필름을 이용한 진공포장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미국을 비롯한 각국에서는 장기간 보관을 필요로 하는 육류나 육류가공품을 포함하는 식품류의 경우 공기에 의한 변질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할 수 있는 플라스틱 백 내에 식품류를 수납한 후 에어펌프 또는 기타 진공장치를 이용하여 진공처리하고 입구를 밀봉하여 보관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진공포장용 백(500)의 일반적인 구조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이러한 백(500)은 양면이 플라스틱계 재질의 상부판넬(200) 및 하부판넬(300)로 이루어지고; 보관하고자 하는 내용물을 수납하기 위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판넬(200) 및 하부판넬(300)의 좌우측 말단 및 하단이 열 밀봉된 봉합부(S); 및 상기 내용물을 투입한 후에 백(50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백(500) 상단에 형성된 개봉부(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진공포장용 백(500) 내면은 통상적으로 폴리에틸렌과 같이 열에 의하여 용융이 가능하고, 인체에 무해한 열가소성 수지가 사용되며, 외면은 진공 후 장기간 보관을 위하여 나일론과 같은 차단성재질인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진공포장용 백(500)의 개봉부(400)를 통해 저장하고자 하는 내용물을 넣은 다음 에어펌프나 기타 진공장치를 이용하여 백(500)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켜 진공처리한 후 상기 개봉부(400)에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열을 가하여 압착함으로서 밀봉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백(500)을 진공장치를 사용하여 밀봉하는 경우에 밀봉장치 부근에 존재하는 공기가 갑자기 배출되면서 백(500)을 구성하는 상부 판넬(200) 및 하부판넬(300)이 서로 밀착되어(이를 "초기 붕괴현상(Early collapse)"이라고 한다), 백(500) 하부에는 잔류공기로 인하여 진공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아 내용물의 보관이 어려웠다.
이러한 초기 붕괴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가소성 재질의 필름에 엠보싱 처리하여 유로를 형성하는 기술이 개발되었고, 이와 관련되어 유로가 형성된 필름은 미국특허번호 제2,778,171호, 미국특허번호 제3,311,517호, 미국특허번호 제RE34,929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지 기술에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일정한 높이, 일정한 간격 및 일정한 형태만 가지는 돌기(22) 배열로만 유로(26)를 형성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진공성능이 떨어지며, 다양한 무늬 구현이 힘들어 일반수요자의 니즈(needs)에 대응하기 위하여 판넬(200, 300) 외면에 무늬을 전사하거나 외면에 무늬를 엠보싱처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상기에서 언급한 진공성능은 돌기의 높이, 돌기의 배열 구조, 돌기의 외부 연면적에 의하여 결정된다. 돌기의 높이는 그 높이가 높을 수록 외부의 강력한 공기 흡인력에 의한 붕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한, 돌기의 배열은 내부 공기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도와주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가장 바람직한 배열 구조는 개구부로 직선적으로 연계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또한, 내부 공기의 단위 시간당 유출량은 돌기 외부의 연면적에 비례하므로 돌기 외부의 연면적이 넓을 수록 내부 공기의 배출속도는 빨라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장치로 진공시 초기 붕 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돌기 외부의 연면적이 넓게 하여 진공성능이 개선된 진공 포장용 필름 및 상기 진공 포장용 필름을 이용한 진공포장용 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진공포장용 필름 내면에 돌기 배열을 비정형적으로 형성함으로서 돌기 외부의 연면적을 크게 하여 공기배출량을 높혀 진공포장지의 진공을 용이하게 하고, 돌기의 크기 및 배열을 비정형으로 하여 다양한 무늬 구현이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수요자의 니즈에 부응하여 진공포장용 백의 수요를 증진시킬 수 있는 진공포장용 필름 및 이 필름을 이용한 진공포장용 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2단 돌기가 형성된 진공포장용 필름은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에 합지되고 그 내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유로가 형성된 열밀봉성수지층으로 이루어진 진공포장지용 필름에 있어서,
상기 어느 특정한 방향을 향하지 않는 비정형(Irregular) 배열 구조를 가지므로서 전체적으로 다양한 무늬의 형성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는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는 특정되지 않은(Irregular) 형상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무늬는 과일, 돔물, 문자, 다이아그램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의 두께는 열밀봉성수지층의 0.8 내지 1.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층과 열밀봉성수지층 사이에는 접착제층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층은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또는 EVOH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층은 1층 또는 2이상의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밀봉성수지층은 폴리에틸렌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호 겹쳐지는 상부판넬, 하부판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판넬 및 하부판넬의 하단 말단부 및 좌·우측 말단부가 상호 접촉되고 상단에는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개봉부가 형성된 진공포장용 백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넬 및 하부판넬 중 적어도 하나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포장용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3 내지 8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진공포장용 필름을 이용한 진공포장용 백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진공포장용 백(500)은 상부판넬(200), 상기 상부판넬(200)에 대응하는 크기의 하부판넬(3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판넬(200) 및 하부판넬(300)의 하단 말단부 및 좌·우측 말단부가 상호 접촉되고 상단에는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개봉부(400)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판넬(300)은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틸렌을 교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진 2개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고, 5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5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하부판넬(300)은 그 두께가 60 내지 70㎛이고, 가스 차단을 위한 폴리아미드는 20㎛, 폴리에틸렌은 40 내지 5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진공포장용 필름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 4 내지 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진공포장용 필름(100)은 드라이 라미네이팅(Dry-Laminating) 공법 또는 티-다이(T-die) 공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도 4는 티-다이 공법에 의하여 진공포장용 필름이 제조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로서, 공기 불투과성 재질의 베이스층(10)에 타다이 압출기(830)의 노즐(832)을 통하여 열밀봉성수지가 용융압출되고, 그 후에 요홈이 형성된 롤러(810) 및 냉각롤러(820)로 이루어진 적층유닛(800)을 통과하면 진공포장용 필름(100)이 제조된다.
상기 롤러(810)에는 요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열밀봉성수지층(20) 내면에는 상기 롤러(810)에 형성된 요홈에 대응하게 돌기가 형성되고, 공기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요홈은 특정한 방향을 향하지 않는 비정형(Irregular) 배열 구조를 가지고, 상기 요홈은 다양한 크기를 가지고, 상기 요홈은 특정되지 않은(Irregular) 형상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드라이 라미네이팅 공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로서, 드라이 라미네이팅 공법에 의하여 진공포장용 필름(100)을 제조하기 위하여는 우선 내면에 돌기가 형성된 열밀봉성수지층(20)을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상기 요홈은 특정한 방향을 향하지 않는 비정형(Irregular) 배열 구조를 가지고, 상기 요홈은 다양한 크기를 가지고, 상기 요홈은 특정되지 않은(Irregular) 형상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 재질의 열밀봉성수지층(20)을 요홈이 형성된 롤러(610)와 평편한 롤러(620)로 이루어진 돌기형성유닛(600)을 통과시키면, 열밀봉성수지층(20) 내면에 돌기(22)가 형성된다.
상기 롤러(610)에는 요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돌기형성유닛(600)을 통과하면, 상기 열밀봉성수지층(20) 내면에는 상기 롤러(610)에 형성된 요홈에 대응하게 돌기가 형성되고, 공기 유로가 형성된다.
그 후에 공기 불투과성 재질의 베이스층(10)과 돌기가 형성된 열밀봉성수지층(20)을 함께 적층용롤러쌍으로 이루어진 적층유닛(700)을 통과시키면서 상기 베이스층(10)과 돌기가 형성된 열밀봉성수지(20) 사이에 접착제(32)를 투입하면 베이스층(10)과 2중 돌기가 형성된 열밀봉성수지층(20)이 접합되게 되고, 상기 베이스층(10)과 열밀봉성수지층(20) 사이에는 접착제층이 적층된다.
상기와 같이 드라이 라미네이팅 공법에 의하면 베이스층(10)과 열밀봉성수지 층(20)의 두께 제한이 없어 다양한 두께의 진공포장용 필름(100)을 제조할 수 있고, 돌기가 형성된 열밀봉성수지층(20)의 제조과정에서 불량이 있는 열밀봉성 수지를 사전에 거를 수 있으므로, 진공포장용 백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접착제(32)가 고가이므로 상대적으로 제조원가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진공포장용 필름(상부판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상기 열밀봉성수지층(20) 표면은 엠보싱 처리되지 않은 평면부(24), 돌기(22)로 구성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일실시예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로서, 2개 층의 상부판넬(200) 표면에는 그 높이가 60㎛이고 원형인 돌기(22)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22)가 형성된 부분은 양각으로 나타나게 되고, 엠보싱 처리되지 않은 평면부(24)는 음각으로 나타나게 되어 사람이 웃고 있는 형상이 된다.
도 7에서는 돌기(22)가 원형 및 일정한 크기를 가지고 있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상기 돌기(22)는 원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직사각형, 팔각형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고, 상기 돌기(22)는 일정한 크기를 가질 뿐만 아니라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부판넬(200)은 하부에는 베이스층(10), 상기 베이스층(10) 상면에는 열밀봉성수지층(20)이 적층된다.
상기 상부판넬(200)은 드라이 라미네이팅 공법 또는 티다이 공법에 의하여 적층되는데, 드라이 라미네이팅 공법에 의할 경우에 상기 베이스층(10)과 열밀봉성수지층(20) 사이에는 접합제층이 적층된다.
상기 접합제층은 폴리에틸렌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티다이 공법에 의할 때 상부판넬(200)은 2개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판넬은 베이스층(10), 상기 베이스층(10) 상면에 합지된 열밀봉성수지층(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층(10)은 20㎛이고, 상기 열밀봉성수지층(20)은 40 내지 60㎛로서 최저 60㎛의 두께를 가지는 상부판넬(200)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10)은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또는 EVOH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아미드층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열밀봉성수지(20)는 폴리에틸렌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폴리에틸렌은 열가소성 수지로서 그 내면에 돌기(22) 성형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부판넬(200)에만 돌기(22)가 형성된 것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부판넬(300) 내면에도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열밀봉성수지층(20) 표면을 엠보싱 처리되지 않은 평면부(24), 돌기로 구성하면, 돌기(22) 외부의 연면적을 크게 하여 공기배출량을 높히게 하여 진공포장지의 진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돌기의 크기 및 배열을 비정형으로 하여 다양한 무늬 구현이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수요자의 니즈에 부응하여 진공포장용 백의 수요를 증진시킬 수 있다.
도 8a는 상부판넬의 열밀봉성 수지 내면에 고대시대의 무늬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8b, 8c는 상부 판넬의 열밀봉성 수지 내면에 나뭇잎 결 무늬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8a 내지 8c는 돌기(22) 및 평면부(24)로 구성되어 다양한 무늬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을 한정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설명되지 않았으나, 균등한 수단도 또한 본 발명에 그대로 결합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진공포장용 필름에 돌기 배열을 비정형적으로 형성함으로서 돌기 외부의 연면적을 크게 하여 공기배출량을 높히게 하여 진공포장지의 진공을 용이하게 하고, 돌기의 크기 및 배열을 비정형으로 하여 다양한 문양을 가능하게 하여 일반 수요자들의 니즈에 부응하고, 제품 판매량을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에 합지되고 그 내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유로가 형성된 열밀봉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진공포장지용 필름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어느 특정한 방향을 향하지 않는 비정형(Irregular) 배열 구조를 가짐으로써 전체적으로 다양한 무늬의 형성이 가능하며,
    상기 돌기는 다양한 크기를 가지며,
    상기 돌기는 특정되지 않은(Irregular) 형상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용 필름.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상호 겹쳐지는 상부판넬, 하부판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판넬 및 하부판넬의 하단 말단부 및 좌·우측 말단부가 상호 접촉되고 상단에는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개봉부가 형성된 진공포장용 백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넬 및 하부판넬 중 적어도 하나는 청구항 3항에 의한 진공포장용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용 백.
KR1020030055998A 2003-08-13 2003-08-13 다양한 무늬 형성이 가능한 진공포장용 필름 및 이 필름을 이용한 진공포장용 백 KR100745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5998A KR100745783B1 (ko) 2003-08-13 2003-08-13 다양한 무늬 형성이 가능한 진공포장용 필름 및 이 필름을 이용한 진공포장용 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5998A KR100745783B1 (ko) 2003-08-13 2003-08-13 다양한 무늬 형성이 가능한 진공포장용 필름 및 이 필름을 이용한 진공포장용 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8070A KR20050018070A (ko) 2005-02-23
KR100745783B1 true KR100745783B1 (ko) 2007-08-02

Family

ID=37227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5998A KR100745783B1 (ko) 2003-08-13 2003-08-13 다양한 무늬 형성이 가능한 진공포장용 필름 및 이 필름을 이용한 진공포장용 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578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8468A (ko) * 2001-02-21 2002-08-27 이걸주 유로를 갖는 진공 포장용 필름의 제조방법
KR20030018274A (ko) * 2001-08-27 2003-03-06 이걸주 진공 포장지용 필름의 제조방법
KR20050017368A (ko) * 2003-08-13 2005-02-22 (주)씨에스씨 다양한 무늬 형성이 가능한 진공포장용 필름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8468A (ko) * 2001-02-21 2002-08-27 이걸주 유로를 갖는 진공 포장용 필름의 제조방법
KR20030018274A (ko) * 2001-08-27 2003-03-06 이걸주 진공 포장지용 필름의 제조방법
KR20050017368A (ko) * 2003-08-13 2005-02-22 (주)씨에스씨 다양한 무늬 형성이 가능한 진공포장용 필름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8070A (ko) 2005-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12814C (en) Vacuum packaging films patterned with protruding cavernous structures
JP6876763B2 (ja) シート材容器
USRE34929E (en) Plastic bag for vacuum sealing
US4727706A (en) Method for forming smooth walled flexible package
US4756422A (en) Plastic bag for vacuum sealing
US762545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trapping bag for use in vacuum packaging
US6991109B1 (en) Vacuum sealable bag apparatus and method
US6403174B1 (en) Element for the formation of bags for packing food products and not under vacuum
JP2004519356A (ja) 流路を有する真空包装用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20050037164A1 (en) Liquid-trapping bag for use in vacuum packaging
JP6806975B2 (ja) 断熱性および保管性が向上した包装シートの製造方法
JP6904691B2 (ja) シート材からなる容器およびその容器の製造方法
KR100554644B1 (ko) 다양한 무늬 형성이 가능한 진공포장용 필름의 제조방법
KR100745783B1 (ko) 다양한 무늬 형성이 가능한 진공포장용 필름 및 이 필름을 이용한 진공포장용 백
KR100573738B1 (ko) 2중 돌기가 형성된 진공포장용 필름의 제조방법
KR20220051980A (ko) 재활용 가능한 빙과류 포장지
CN106986102A (zh) 热熔密封充气防震包装袋的制作方法及一种热熔密封充气防震包装袋
KR101358124B1 (ko) 진공포장지
JP4142775B2 (ja) 粒状物用袋、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14463B1 (ko) 다층돌기가 형성된 진공포장용 필름, 이 필름을 이용한진공포장용 백
KR100600001B1 (ko) 다층요홈이 형성된 진공포장용 필름 및 이 필름을 이용한진공포장용백
KR102180730B1 (ko) 식품 포장용 파우치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2059942A (ja) 自立性包装体
WO2005016774A1 (en) Film with different heght of protuberances, manufacturing method and vacuum bag using thereof
JPH04242560A (ja) 密封性ラミネート、該ラミネートから作製されたパック及び該ラミネー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218

Effective date: 20061128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610100149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218

Effective date: 2006112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