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3465A - 슬라이드 파스너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파스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3465A
KR20060133465A KR1020060054667A KR20060054667A KR20060133465A KR 20060133465 A KR20060133465 A KR 20060133465A KR 1020060054667 A KR1020060054667 A KR 1020060054667A KR 20060054667 A KR20060054667 A KR 20060054667A KR 20060133465 A KR20060133465 A KR 20060133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slider
box
butterfly
slide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4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2093B1 (ko
Inventor
마사히로 구사야마
기요마사 세가와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33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3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38Means at the end of stringer by which the slider can be freed from one stringer, e.g. stringers can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each other
    • A44B19/382"Two-way" or "double-acting" separable 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09Plural independently movable sli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93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including complementary, aligning means attached to ends of interlocking surf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93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including complementary, aligning means attached to ends of interlocking surfaces
    • Y10T24/259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including complementary, aligning means attached to ends of interlocking surfaces having specific mounting connection or reinforcing structure at connection

Landscapes

  • Slide Fasteners (AREA)

Abstract

역개방용과 상부 개방용 슬라이더를 삽입 관통한 파스너 체인에 있어서, 역개방용 슬라이더의 안내 기둥에 나비봉이 충돌하지 않고 원활하게 끼움 삽입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양단부로부터 개폐할 수 있는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개방 분리 삽입 관통용 상자봉(5)과 나비봉(6)을 설치하고, 상자봉(5)의 선단부에 나비봉(6)과 대면하여 대향면(12)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10)를 마련하고, 이 돌출부(10)는 나비봉(6)에 근접한 방향으로 경사지는 측면(11)을 돌출부(10)의 상측과 하측에 형성하고, 돌출부(10)의 하측은 역개방용 슬라이더(8)의 안내 기둥(28)에 접촉하고, 돌출부(10)의 상측은 나비봉(6)의 삽입시에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상자봉, 나비봉, 돌출부, 측면, 역개방용 슬라이더, 안내 기둥

Description

슬라이드 파스너{SLIDE FASTENER}
도1은 제1 실시예를 기초로 하는 역개방 타입의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의 상자봉과 나비봉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2는 도1의 상부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의 상자봉과 나비봉의 배면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3은 도1의 상부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에 있어서의 나비봉의 끼움 삽입 중기의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4는 도1의 상부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에 있어서의 나비봉의 끼움 삽입 완료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5는 도1의 상부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의 도3에 있어서의 V-V 단면도.
도6은 도1의 상부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의 도4에 있어서의 Ⅵ-Ⅵ 단면도.
도7은 도1의 상부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에 있어서의 도4의 배면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8은 제2 실시예를 기초로 하는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에 있어서의 상자봉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9는 공지의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에 있어서의 나비봉의 끼움 삽입 초기의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파스너 체인
5 : 상자봉
6 : 나비봉
7 : 상부 개방용 슬라이더
8 : 역개방용 슬라이더
10 : 돌출부
11 : 측면
12 : 대향면
13 : 함몰부(상자봉)
14 : 돌기부
15 : 오목부
16 : 대면부
20 : 모따기부
21 : 측면부
22 : 함몰부(나비봉)
23 : 요철띠
28 : 안내 기둥
29 : 오목면부
30 : 정지 갈고리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36309호 공보
본 발명은 상부 개방용 슬라이더와 역개방 슬라이더를 갖고, 상하 단부에 상자봉과 나비봉을 갖는 상하 단부가 개폐 가능한 슬라이드 파스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자봉과 나비봉에 개량을 가하여, 원활한 개방 분리 끼움 삽입 조작을 행할 수 있는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슬라이드 파스너의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는, 도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자봉(5')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외측면에 나비봉(6')이 퇴피할 수 있는 팽창부(41')를 마련하는 동시에, 역개방용 슬라이더(8')가 빠짐 이탈할 수 없는 상태로 하기 위해, 상자봉(5')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코너 부분의 이면에 돌기부를 마련하고, 역개방용 슬라이더의 하부 날개판의 전단부에 접촉하여 계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나비봉(6')은 역개방용 슬라이더(8')에 설치한 정지 갈고리(30')를 차례로 밀어 올릴 수 있는 측면(42')을 나비봉(6')의 표면 선단부로부터 정지 갈고리(30')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부(22')까지 경사 설치한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가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36309호 공보
전술한 도9에 도시하는 역개방용 슬라이더(8')를 구비한 파스너 체인은, 파스너 체인의 하단부에 있어서 삽입 관통한 역개방용 슬라이더(8')와 상부 개방용 슬라이더(7')를 상자봉(5') 상에서 접촉한 상태에서, 상방으로부터 상부 개방용 슬라이더(7')에 나비봉(6')을 삽입하면, 나비봉(6')의 선단부가 역개방용 슬라이더(8')의 안내 기둥(28)'의 상단부에 접촉하여 원활하게 나비봉(6')의 끼움 삽입 조작을 할 수 없다. 또한 상자봉(5')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코너 부분의 이면에 돌기부를 마련하고, 역개방용 슬라이더(8')의 하부 날개판의 전단부에 접촉시켜 계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자봉(5')을 완전히 슬라이더의 동체 내에 수납하여 은폐하는 것이 어려워 슬라이드 파스너의 외관이 양호하지 않은 등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발명된 것이고,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파스너 체인의 양단부로부터 개폐할 수 있고, 역개방용 슬라이더에 상부 개방용 슬라이더를 접촉한 상태에서, 나비봉을 삽입하였을 때 역개방용 슬라이더의 안내 기둥에 충돌하지 않고 원활하게 끼움 삽입 조작을 행할 수 있는 슬라이드 파스너로 형성할 수 있고, 또한 하측의 측면은 역개방용 슬라이더의 안내 기둥을 회피하고 있어,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측이 개방하는 조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를 제공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부가하여, 돌출부가 나비봉에 가장 근접한 위치가 안내 기둥의 정점과 동일선상 또는 정점으로부터 나비봉측에 위치하도록 하였으므로, 나비봉의 끼움 삽입 조작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부가하여, 상자봉에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마련하고, 이 돌출부에 의해 삽입되는 나비봉이 역개방용 슬라이더의 안내 기둥과 충돌하지 않고,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나비봉의 끼움 삽입 조작을 행할 수 있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부가하여, 상자봉은 측면에 오목부를 마련함으로써, 나비봉을 상부 개방용 슬라이더 및 역개방용 슬라이더에 용이하고 또한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한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부가하여, 상자봉의 표리 양면에 역개방용 슬라이더의 탈락 방지용 돌기부를 돌출 마련하고, 상자봉이 역개방용 슬라이더의 동체 내에 수용되어 외관이 양호한 슬라이드 파스너에 형성한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부가하여, 상자봉을 역개방용 슬라이더의 동체 내에 완전히 은폐하고, 또한 상자봉을 역개방용 슬라이더의 동체에 확실하게 계지할 수 있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부가하여, 파스 너 체인에 장착 구비하는 상부 개방용 슬라이더 및 역개방용 슬라이더는, 정지 갈고리를 설치한 자동 정지 기구를 구비하는 슬라이더를 이용한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후방구끼리 대향하여 배치되는 2개의 상부 개방용 슬라이더와 역개방용 슬라이더를 갖고, 양단부로부터 개폐할 수 있는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 중 적어도 각 일단부에 개방 분리 끼움 삽입용 상자봉과 나비봉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자봉의 자유 단부에 나비봉과의 대향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면에서 보아 나비봉을 향해 점차 좁아지는 측면(11)을 상하에 갖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돌출부가 나비봉에 가장 근접한 위치가, 상부 개방용 및 역개방용 슬라이더 중 적어도 한쪽의 안내 기둥의 정점과 동일선상 또는 정점으로부터 나비봉측에 위치하고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상자봉이 역개방용 슬라이더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돌출부의 하측의 측면이 역개방용 슬라이더의 안내 기둥에 대면하여 형성되어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나비봉은 상자봉과의 대면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철띠를 갖고, 상기 돌출부의 상기 상측의 측면과 나비봉의 상기 요철띠와 접촉하는 상기 대면부 사이에, 상측의 측면으로부터 연속하여 형성된 오목부를 갖고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자봉의 표리 양면 선단 부분에 역개방용 슬라이더의 탈락 방지용의 돌기부가 돌출 마련되어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역개방용 슬라이더의 견구(肩口) 내면에 오목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가 상기 오목면부에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상부 개방용 슬라이더와 역개방용 슬라이더가 내면의 일부에 정지 갈고리가 돌출 설치되고, 상자봉 및 나비봉에 정지 갈고리와의 결합용 함몰목부가 마련되고, 상기 함몰부는 상자봉과 나비봉의 서로 반하는 면에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는, 도1 내지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스너 체인(1)에 있어서의 파스너 스트링거(2)를 구성하는 파스너 테이프(3)의 측모서리에 열가소성 수지제인 단일체의 파스너 엘리먼트(37)를 사출 성형 수단에 의해 설치하고, 파스너 체인(1)에 있어서의 파스너 엘리먼트(37)를 제거한 공간부(39)에 보강 테이프(38)를 점착하고, 이 공간부(39)의 한쪽에 대략 직육면체의 상자봉(5)과 다른 쪽에 대략 직육면체의 나비봉(6)을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 수단에 의해 설치한다.
상자봉(5)의 형태는 하단부의 외측, 즉 나비봉(6)과 대면하는 대향면(12)에 삼각형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0)를 마련하고, 상측의 측면(11)은 나비봉(6)을 안내하고, 하측의 측면(11)은 역개방용 슬라이더(8)의 안내 기둥(28)에 접촉하고, 상자봉(5)의 대향면(12)의 상측에, 나비봉(6)에 설치한 요철형의 요철띠(23)와 결합하는 돌출띠형의 대면부(16)를 형성하고, 이 대면부(16)와 돌출부(10) 사이에 표면이 오목형으로 움푹 들어간 오목부(15)를 형성한다. 또한 돌출부(10)를 마련한 상자봉(5)의 표리 양면에 있어서의 코너 부분에 돌기부(14)를 돌출형으로 마련하고, 역개방용 슬라이더(8)가 이 돌기부(14)에 접촉하여 상자봉(5)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저지한다. 여기서 돌출부(10)가 삼각형이라 함은, 당연히 삼각을 포함하는 것이지만, 그 상하측면의 양쪽 및 또는 한쪽이 외측 또는 내측으로 만곡하는 곡면의 경우도 포함하는 것이다.
상자봉(5)은 파스너 체인(1)에 대해, 향하여 좌측에 배치되었을 때, 상자봉(5)의 표면에 역개방용 슬라이더(8)에 설치한 정지 갈고리(30)에 대응할 수 있는 부분에 오목형의 함몰부(13)를 마련함으로써, 정지 갈고리(30)를 확실하게 수용한다.
나비봉(6)의 형태는, 상자봉(5)과 대면하는 측면은 직선형으로 형성하고, 상단부의 외측에 상자봉(5)에 마련한 돌출띠형의 대면부(16)와 결합하는 요철띠(23)를 형성하고, 이 요철띠(23)의 하측이며 상자봉(5)과 대면하였을 때, 나비봉(6)에 있어서의 외측의 코너 부분을 경사형으로 절결하여 모따기부(20)를 형성하고, 역개방용 슬라이더(8)의 정지 갈고리(30)를 나비봉(6)의 삽입시에 충돌하지 않도록 회피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모따기부(20)를 형성한 반대면에는, 나비봉(6)을 우측 삽입 타입으로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역개방용 슬라이더(8)에 설치한 정지 갈고리(30)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형으로 움푹 들어간 함몰부(22)를 마련하고, 또한 나비봉(6)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내측의 코너 부분을 측면형으로 절결한 측면부(21)를 형성함으로써, 상부 개방용 슬라이더(7) 및 역개방용 슬라이더(8)에 대해 삽입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에 대해 설명하면, 도1 내지 도7에 나타내는 제1 실시예의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는, 파스너 체인(1)에 있어서의 파스너 스트링거(2)를 구성하는 파스너 테이프(3)의 일측 모서리에 고정한 파스너 테이프(3)보다도 팽대형의 코어 끈(40) 상에 열가소성 수지,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폴리아세탈,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이용하여 단일체의 파스너 엘리먼트(37)를 사출 성형 수단에 의해 설치하고, 파스너 엘리먼트(37)를 설치한 파스너 체인(1)에 있어서 일정 간격으로 파스너 엘리먼트(37)만을 제거하여 공간부(39)를 형성하고, 이 공간부(39)에 폴리아미드, 폴리아세탈 등의 수지 필름을 이용하여 보강 테이프(38)를 점착하고, 보강 테이프(38) 상으로부터 한쪽의 파스너 스트링거(2)에는 대략 직육면체의 상자봉(5)을 상기 수지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하고, 다른 쪽의 파스너 스트링거(2)에는 대략 직육면체의 나비봉(6)을 사출 성형하여 설치한다.
상자봉(5)의 형태는 상자봉(5)의 하단부의 외측, 즉 나비봉(6)과 대면하는 대향면(12)에 삼각형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0)를 마련하고, 이 돌출부(10)의 상측의 측면(11), 즉 파스너 엘리먼트(37)가 설치되는 측은 삽입되는 나비봉(6)의 선단부를 상자봉(5)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안내하여 유도하고, 하측의 측면(11)은 파스너 스트링거(2)에 삽입 관통되어 있는 역개방용 슬라이더(8)의 안내 기둥(28)의 내면에 접촉하고, 상하측의 측면(11)이 맞추어지는 정점은 역개방용 슬라이더(8)의 안내 기둥(28)의 정점으로부터 나비봉(6)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자봉(5)의 대향면(12)의 상측에는 나비봉(6)의 대향면(12)에 마련한 요철형을 나타내는 요철띠(23)와, 결합할 수 있는 돌출띠형을 나타내는 대면부(16)를 형성한다. 이 대면부(16)와 돌출부(10) 사이의 상자봉(5)의 표면이 전체에 오목형으로 움푹 들어간 오목부(15)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15)는 역개방용 슬라이더(8) 내에 배치된 상자봉(5)에 대해 나비봉(6)을 삽입할 때, 안정된 상태에서 안내하기 위해 나비봉(6)의 선단부가 상자봉(5)과 충돌하여 삽입이 방해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측면(11)은 직선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원호형이라도 좋다.
상자봉(5)의 하단부에 있어서의 내측, 즉 파스너 테이프(3)의 모서리부로부터 내측의 표리 양면의 코너 부분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14)를 마련하고, 파스너 스트링거(2)에 삽입 관통된 역개방용 슬라이더(8)의 오목면부(29)에 의해 형성된 단차 부분이 이 돌기부(14)에 접촉하여 상자봉(5)으로부터 탈출하여 파스너 스트링거(2)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미연에 저지한다. 또한 상자봉(5)은 파스너 체인(1)에 대해, 향하여 좌측에 배치되었을 때, 상자봉(5)의 표면에 역개방용 슬라이더(8)에 설치한 자동 정지 기구의 정지 갈고리(30)와 대응할 수 있는 부분에 오목 형의 함몰부(13)를 마련함으로써, 정지 갈고리(30)를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수용한다.
나비봉(6)의 형태는 나비봉(6)이 상자봉(5)과 대면하는 대향면(12)을 직선형으로 형성하고, 나비봉(6)의 상단부에 있어서의 대향면(12)에, 상자봉(5)에 설치한 돌출띠형을 나타내는 대면부(16)와 결합하는 요철형을 나타내는 요철띠(23)를 형성하고, 이 요철띠(23)의 하측과 선단부 사이에서, 상자봉(5)에 형성한 함몰부(13)측의 표면과 합치하는 나비봉(6)의 코너 부분을 경사형으로 절결하여 모따기부(20)를 형성하고, 나비봉(7)을 상부 개방용 슬라이더(7) 및 역개방용 슬라이더(8)에 삽입할 때, 자동 정지 기구의 정지 갈고리(30)를 각각 회피 가능하도록 형성한다.
나비봉(6)에 형성한 모따기부(20)의 반대면에는, 나비봉(6)을 우측 삽입 타입으로 사용하는 경우, 즉 도7에 도시하는 경우에 있어서 역개방용 슬라이더(8)에 설치한 자동 정지 기구의 정지 갈고리(30)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형으로 움푹 들어간 함몰부(22)를 나비봉(6)의 표면에 마련하고, 또한 나비봉(6)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내측의 코너 부분을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면형으로 절결하여 측면부(21)를 형성한다. 이 측면부(21)를 마련함으로써, 파스너 체인(1)에 삽입 관통한 상부 개방용 슬라이더(7) 및 역개방용 슬라이더(8)에 대해 나비봉(6)의 삽입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도7과 같이 우측 삽입한 경우, 역개방용 슬라이더(8)의 정지 갈고리(30)를 들어 올리도록 안내하여 나비봉(6)의 삽입이 행하기 쉽다.
사용되는 상부 개방용 슬라이더(7) 및 역개방용 슬라이더(8)는, 모두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일 타입의 슬라이더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7, 8)는 모 두 동체(26)에 상하의 날개판(27)을 안내 기둥(28)에 의해 연결하고, 상부 날개판(27)의 전후에 설치 기둥(33)을 세워 설치하고, 이 설치 기둥(33) 사이에 갈고리 막대(31)에 설치한 정지 갈고리(30)가 동체(26) 내에 돌출할 수 있는 갈고리 구멍(34)을 마련한다. 동체(26)는 전후의 설치 기둥(33) 사이이며, 동체(26)의 견구측에 갈고리 막대(31)의 일단부를 요동 가능하게 축지지하고, 갈고리 막대(31)의 중간 하측에 손잡이(36)의 추축을 적재하고, 그 상측으로부터 스프링(32) 및 커버(35)를 설치 기둥(33)에 고정한다. 상하의 날개판(27)의 안내 기둥(28)측에는 다른 부분보다 두께를 얇게 한 오목면부(29)를 형성하고, 상자봉(5)의 돌기부(14)가 인입된다. 또한 오목면부(29)는 상자봉(5)측에만 마련해도 좋다. 또한, 역개방용 슬라이더(8)를 전용 슬라이더를 이용해도 좋다. 이 전용 슬라이더는 동체의 양측이 평행형이고, 정면(상방)에서 보면 사각형을 나타내고, 상단부에는 상부 개방용 슬라이더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의 사용 형태를 설명하면, 파스너 체인(1)에 있어서의 한쪽의 파스너 스트링거(2), 예를 들어 상자봉(5)을 설치한 파스너 스트링거(2)의 파스너 엘리먼트(37)에 연속하여 코어 끈(40) 상에 항상 나비봉(6)측의 상부 정지부(top stop)와 협동하여 상부 개방용 슬라이더(7)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상부 정지부를 수지의 사출 성형 수단에 의해 설치한다. 물론 상부 정지부는 금속제라도 좋다. 또 다른 쪽의 파스너 스트링거(2), 예를 들어 나비봉(6)을 설치한 파스너 스트링거(2)의 파스너 엘리먼트(37)에 연속하여 코어 끈(40) 상에 항상 상자봉(5)측의 상부 정지부와 협동하여 상부 개방용 슬라이더(7) 의 탈락을 방지하는 것이다.
처음에 상자봉(5)을 설치한 파스너 스트링거(2)의 상부 정지부측으로부터 역개방용 슬라이더(8)를 삽입 관통하여 상자봉(5)에 삽입 부착하고, 다음에 이 파스너 스트링거(2)의 상부 정지부측으로부터 상부 개방용 슬라이더(7)를 삽입 관통하여 상자봉(5) 상에 삽입 부착된 역개방용 슬라이더(8)에 중첩시킨다. 이 상태에서 나비봉(6)을 설치한 파스너 스트링거(2)를 나비봉(6)으로부터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개방용 슬라이더(7) 및 역개방용 슬라이더(8)에 삽입하고, 다음 조작에서 도4에 도시하는 상태로 삽입한 후, 상부 개방용 슬라이더(7)를 상방으로 미끄럼 이동하여 파스너 체인(1)을 폐쇄한다.
파스너 체인(1)을 개방하고자 할 때에는, 상부 개방용 슬라이더(7)를 파스너 체인(1)의 단부에 배치된 역개방용 슬라이더(8)에 중첩시킨 후, 나비봉(6)을 역개방용 슬라이더(8) 및 상부 개방용 슬라이더(7)로부터 발취하면 파스너 체인(1)은 좌우의 파스너 스트링거(2)로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역개방용 슬라이더(8)를 상부 정지부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상자봉(5), 나비봉(6)측으로부터 개방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양단부로부터 개폐할 수 있는 파스너 체인(1)으로 되어 있다.
(제2 실시예)
도8에 나타내는 제2 실시예의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는 파스너 스트링거(2)에 설치한 상자봉(5)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이고, 상자봉(5)의 형태는 파스너 테이프(3)의 코어 끈(40) 상에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해 설치된 상 자봉(5)은 대략 직육면체이며, 상측의 나비봉(6)에 대한 대향면(12)에는 나비봉(6)에 마련한 요철형을 나타내는 요철띠(23)와 결합할 수 있는 돌출띠형의 대면부(16)를 마련한다. 또한 하단부의 대향면(12)에는 삼각형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0)를 마련하는 동시에, 표리 양면의 코너 부분에 돌기부(14)를 마련하고, 일면에 자동 정지 기구의 정지 갈고리(30)를 수용할 수 있는 함몰부(13)를 마련하고 있다. 상기 실시예의 상자봉(5)과 다른 형태는, 상자봉(5)에 있어서의 대향면(12)의 대면부(16)와 돌출부(10) 사이에 오목부를 마련하고 있지 않은 점이 다른 이외에는 전례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를 단부에 설치한 슬라이드 파스너는 의복의 장식물을 비롯하여 의복의 개구부, 그 외 백, 주머니로 된 물건 등의 모든 제품의 개폐 부분에 이용하는 파스너 체인으로서 이용한다.
본 발명의 효과로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양단부로부터 개폐할 수 있는 파스너 체인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에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용 상자봉과 나비봉을 구비하고, 상자봉의 선단부에 나비봉과 대면하여 대향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마련하고, 돌출부는 나비봉에 근접한 방향으로 경사지는 측면을 상하에 구비한 것에 의해, 하기의 효과를 발휘한다.
상자봉의 선단부측에 대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마련하고, 그 돌출부는 상하에서 나비봉에 근접한 측면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측의 측면은 나비봉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어, 나비봉의 역개방용 슬라이더에 대한 끼움 삽입 조작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고, 하측의 측면은 역개방용 슬라이더의 안내 기둥을 회피하여,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측으로부터 개방하는 조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상자봉에 마련되는 돌출부가 나비봉에 가장 근접한 위치를 안내 기둥의 정점과 동일선상 또는 정점으로부터 나비봉측으로 하였으므로, 보다 나비봉의 끼움 삽입 조작이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고, 하측의 측면은 역개방용 슬라이더의 안내 기둥을 회피하여,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측으로부터 개방하는 조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상자봉에 마련되는 돌출부는 삼각형으로 돌출되고, 하측의 측면이 역개방용 슬라이더의 안내 기둥, 상측의 측면이 나비봉의 선단부에 대면하여 형성한 것에 의해, 상자봉의 돌출부는 역개방용 슬라이더의 안내 기둥의 내단부 및 나비봉의 선단부 코너 부분을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어, 나비봉을 역개방용 슬라이더에 대해 삽입 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상자봉에 마련되는 돌출부의 상측의 측면과 나비봉의 요철띠와 접촉하는 접촉부 사이에 상측의 측면과 연속하여 오목부를 형성한 것에 의해, 상자봉의 측면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나비봉을 역개방용 슬라이더에 삽입할 때, 나비봉의 선단부를 역개방용 슬라이더의 정지 갈고리에 충돌하지 않도록 회피할 수 있으므로, 여유를 갖 고 안내할 수 있어 원활한 삽입을 감당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상자봉의 표리 양면에 돌기부를 돌출 마련하고 있으므로, 상자봉을 비롯하여 결합하고 있는 나비봉을 역개방용 슬라이더의 동체 내에 수납하고, 외부로 노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상자봉 및 나비봉이 타물질에 걸려 손상될 우려가 없어 외관이 양호한 파스너 체인으로 마무리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상기 역개방용 슬라이더의 견구 내면에 오목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가 상기 오목면부에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자봉을 확실하게 역개방용 슬라이더의 동체 내에 수용할 수 있고, 따라서 상자봉과 결합하는 나비봉도 동체 내에 용이하게 수용하여, 상자봉과 나비봉을 완전히 은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상기 상부 개방용 슬라이더와 역개방용 슬라이더가 내면의 일부에 정지 갈고리가 돌출 설치되고, 상자봉 및 나비봉에 정지 갈고리와의 결합용 함몰부가 마련되고, 상기 함몰부는 상자봉과 나비봉의 서로 반하는 면에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파스너 체인에 삽입 관통하는 상부 개방용 슬라이더 및 역개방용 슬라이더는 모두 자동 정지 기구를 구비한 슬라이더이고, 정지 갈고리에 대해 최적의 상자봉과 나비봉으로 형성할 수 있어, 우수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등, 본 발명이 발휘하는 효과는 매우 현저하다.

Claims (7)

  1. 후방구끼리 대향하여 배치되는 2개의 상부 개방용 슬라이더(7)와 역개방용 슬라이더(8)를 갖고, 양단부로부터 개폐할 수 있는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 중 적어도 일단부에 개방 분리 끼움 삽입용 상자봉(5)과 나비봉(6)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자봉(5)의 자유 단부에 나비봉(6)과의 대향면(12)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10)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0)는 상면에서 보아 나비봉(6)을 향해 점차 좁아지는 측면(11)을 상하에 갖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0)가 나비봉(6)에 가장 근접한 위치는, 상부 개방용 및 역개방용 슬라이더(7, 8) 중 적어도 한쪽의 안내 기둥(28)의 정점과 동일선상 또는 정점으로부터 나비봉(6)측에 위치하여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파스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봉이 역개방용 슬라이더(8)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돌출부(10)의 하측의 측면(11)이 역개방용 슬라이더(8)의 안내 기둥(28)에 대면하여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파스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비봉(6)은 상자봉과의 대면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 되는 요철띠(23)를 갖고, 상기 돌출부(10)의 상기 상측의 측면(11)과 나비봉(6)의 상기 요철띠(23)와 접촉하는 상기 대면부(16) 사이에, 상측의 측면(11)으로부터 연속하여 형성된 오목부(15)를 갖고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파스너.
  5. 제1항에 있어서, 상자봉(5)의 표리 양면 선단 부분에 역개방용 슬라이더(8)의 탈락 방지용 돌기부(14)가 돌출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파스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역개방용 슬라이더(8)의 견구 내면에 오목면부(29)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14)가 상기 오목면부(29)에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파스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개방용 슬라이더(7)와 역개방용 슬라이더(8)가 내면의 일부에 정지 갈고리(30)가 돌출 설치되고, 상자봉(5) 및 나비봉(6)에 정지 갈고리(30)와의 결합용 함몰부(13, 22)가 마련되고, 상기 함몰부(13, 22)는 상자봉(5)과 나비봉(6)의 서로 반하는 면에 오목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파스너.
KR1020060054667A 2005-06-20 2006-06-19 슬라이드 파스너 KR1007020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79785A JP4307413B2 (ja) 2005-06-20 2005-06-20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開離嵌挿具
JPJP-P-2005-00179785 2005-06-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465A true KR20060133465A (ko) 2006-12-26
KR100702093B1 KR100702093B1 (ko) 2007-04-02

Family

ID=37571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667A KR100702093B1 (ko) 2005-06-20 2006-06-19 슬라이드 파스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15753B2 (ko)
JP (1) JP4307413B2 (ko)
KR (1) KR100702093B1 (ko)
CN (1) CN1883329B (ko)
HK (1) HK1096266A1 (ko)
TW (1) TWI30571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595B1 (ko) * 2006-10-20 2008-11-25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슬라이드 파스너의 역개방 개방 격리용 끼움 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70803B (zh) * 2008-10-06 2012-03-21 Ykk株式会社 拉链
CN102245046B (zh) * 2008-12-12 2014-04-02 Ykk株式会社 拉链用分离嵌插件
US8959727B2 (en) 2008-12-26 2015-02-24 Ykk Corporation Slide fastener with separable bottom end stop
ES2537060T3 (es) * 2009-03-27 2015-06-02 Ykk Corporation Cierre de cremallera con tope terminal inferior separable
TWM373139U (en) * 2009-04-15 2010-02-01 Chung Chwan Entpr Co Ltd Insertion pin and insertion pin set of zipper
TWM373130U (en) * 2009-04-15 2010-02-01 Chung Chwan Entpr Co Ltd Insertion pin, retainer pin, and insertion pin set of zipper
US8042236B2 (en) * 2009-05-21 2011-10-25 Chung Chwan Enterprise Co., Ltd. Plug pin, a position pin, and a plug pin set of a zipper
US20100299887A1 (en) * 2009-06-02 2010-12-02 Yu-Pau Lin Insertion pin and insertion pin assembly for zipper
JP5143285B2 (ja) 2009-07-29 2013-02-13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
EP2460431A4 (en) * 2009-07-30 2013-05-22 Ykk Corp ZIP CLOSURE
US20120167354A1 (en) * 2009-09-11 2012-07-05 Ykk Corporation Reverse Opening Slide Fastener
JP5606452B2 (ja) * 2009-12-25 2014-10-15 Ykk株式会社 逆開きスライドファスナー
WO2011161784A1 (ja) * 2010-06-23 2011-12-29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
EP2692262B1 (en) * 2011-03-30 2016-10-19 YKK Corporation Slide fastener with openable/meshable strips
WO2017000452A1 (zh) * 2015-06-30 2017-01-05 张铭勇 链杆机、牙链及链板
TWI631916B (zh) * 2017-05-24 2018-08-11 中傳企業股份有限公司 拉鍊頭組合結構及其梢狀組件
USD887895S1 (en) * 2018-08-31 2020-06-23 Ykk Corporation Insert pin for slide fastener
CN112385941B (zh) * 2019-08-16 2022-11-22 浙江伟星实业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双头拉链
CA3111535A1 (en) * 2020-03-16 2021-09-16 Michael Benjamin Mchugh Two-way slide fastener
CN116348010A (zh) 2020-10-28 2023-06-27 Ykk株式会社 双开尾拉链用分离嵌插件
US11653725B1 (en) * 2021-11-09 2023-05-23 Kcc Zipper Co., Ltd. Anti-pinch zipp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53230A (en) * 1948-11-10 1951-05-15 Conmar Prod Corp Fully separable slide fastener
JP3621040B2 (ja) * 2000-10-31 2005-02-16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逆開き開離嵌挿具
KR200233548Y1 (ko) * 2001-03-24 2001-10-10 홍민영 청약 봉투
CN2518366Y (zh) * 2002-02-04 2002-10-30 上海恺智机械有限公司 双开口拉链
CN2552966Y (zh) * 2002-04-23 2003-05-28 柳兵 锁钮孔无触点发讯装置
CN2582427Y (zh) * 2002-11-08 2003-10-29 王瑞玲 双开口拉链之固定销结构
CN2629501Y (zh) * 2003-05-23 2004-08-04 王瑞玲 双开口拉链的改进结构
JP4105652B2 (ja) * 2003-09-19 2008-06-25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上止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595B1 (ko) * 2006-10-20 2008-11-25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슬라이드 파스너의 역개방 개방 격리용 끼움 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83329A (zh) 2006-12-27
US20060282998A1 (en) 2006-12-21
CN1883329B (zh) 2010-05-12
TW200721998A (en) 2007-06-16
JP2006346364A (ja) 2006-12-28
US7415753B2 (en) 2008-08-26
JP4307413B2 (ja) 2009-08-05
HK1096266A1 (en) 2007-06-01
KR100702093B1 (ko) 2007-04-02
TWI305714B (en) 2009-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2093B1 (ko) 슬라이드 파스너
KR100870595B1 (ko) 슬라이드 파스너의 역개방 개방 격리용 끼움 부재
JP3620973B2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開離嵌挿具
CA2785375C (en) Reverse opening slide fastener
EP2050349B1 (en) Reverse opening type slide fastener
EP1714575B1 (en) Top end stops for slide fastener
KR100981529B1 (ko) 은폐형 슬라이드 파스너
EP1886592B1 (en) Slide fastener slider
US6615458B2 (en) Releasable bottom end stop for slide fastener
US6481068B1 (en) Slide fastener with separable bottom stop assembly
EP0581319B1 (en) Separable bottom end stop assembly and its assembling and separating method for concealed slide fasteners
KR20130124580A (ko)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가 구비된 슬라이드 파스너
US20130042442A1 (en) Concealed Slide Fastener
US20070022579A1 (en) Slide fastener
US20120124787A1 (en) Slide Fastener
JPH1014617A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開離嵌挿具
WO2020230333A1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
CN108813831B (zh) 拉链
CN113796629A (zh) 拉链用拉头及具有其的拉链
JPH0638622U (ja) 開離嵌挿具を装備した隠しスライドファスナー
JPH08173215A (ja) 開離嵌挿具付きのスライドファスナ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