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1273A - 상황버섯 가공 부산물을 함유하는 버섯 재배용 배지, 그제조방법, 그를 사용하여 재배된 버섯, 및 그 버섯 또는 그버섯의 가공물을 함유한 제품 - Google Patents

상황버섯 가공 부산물을 함유하는 버섯 재배용 배지, 그제조방법, 그를 사용하여 재배된 버섯, 및 그 버섯 또는 그버섯의 가공물을 함유한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1273A
KR20060131273A KR1020050051571A KR20050051571A KR20060131273A KR 20060131273 A KR20060131273 A KR 20060131273A KR 1020050051571 A KR1020050051571 A KR 1020050051571A KR 20050051571 A KR20050051571 A KR 20050051571A KR 20060131273 A KR20060131273 A KR 20060131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product
culture medium
processing
produ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1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2391B1 (ko
Inventor
장원철
이병배
이병의
한기원
김용곤
Original Assignee
장원철
이병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원철, 이병배 filed Critical 장원철
Priority to KR1020050051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2391B1/ko
Publication of KR20060131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2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23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20Culture media, e.g. compos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황버섯 가공 부산물을 함유하는 버섯 재배용 배지, 그 제조방법, 그를 사용하여 재배된 버섯 및 그 버섯 또는 그 버섯의 가공물을 함유한 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에는 단지 폐기되었던 상황버섯의 열수추출 또는 주정추출 등의 가공후 부산물을 활용하므로써, 상기 상황버섯 가공 부산물에 잔존해 있는 상황버섯의 유효성분들을 더 포함하는 버섯을 재배할 수 있는 버섯 재배용 배지, 그 제조방법, 그를 사용하여 재배된 버섯 및 그 버섯 또는 그 버섯의 가공물을 함유한 제품에 관한 것이다.
상황버섯, 가공, 부산물, 버섯, 재배, 배지

Description

상황버섯 가공 부산물을 함유하는 버섯 재배용 배지, 그 제조방법, 그를 사용하여 재배된 버섯, 및 그 버섯 또는 그 버섯의 가공물을 함유한 제품{CULTURE MEDIUM FOR GROWING MUSHROOM CONTANING BY-PRODUCT PRODUCED DURING A PROCESSING OF PHELLINUS LINTEUS, METHOD FOR PRODUCUNG THE SAME, MUSHROOM GROWN BY USING THE SAME, AND PRODUCT CONTAINING THE MUSHROOM OR A PROCESSED MATERIAL OF THE MUSHROOM}
본 발명은 상황버섯 가공 부산물을 함유하는 버섯 재배용 배지, 그 제조방법, 그를 사용하여 재배된 버섯 및 그 버섯 또는 그 버섯의 가공물을 함유한 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에는 단지 폐기되었던 상황버섯의 열수추출 또는 주정추출 등의 가공후 부산물을 활용하므로써, 상기 상황버섯 가공 부산물에 잔존해 있는 상황버섯의 유효성분들을 더 포함하는 버섯을 재배할 수 있는 버섯 재배용 배지, 그 제조방법, 그를 사용하여 재배된 버섯 및 그 버섯 또는 그 버섯의 가공물을 함유한 제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황버섯으로 불리우는, 소나무비늘버섯과(Hymenochaetaceae)의 진흙버섯속(linteus)으로 분류되는 다년생 버섯인 목질진흙버섯(Phellinus linteus)은, 상이, 상신이라고도 하며, 뽕나무에 기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황버섯은 뽕나무 이외에 미루나무, 오리나무, 백양나무, 밤나무 등과 같은 다른 활엽수에도 기생하며, 동의보감, 본초강목, 중약대사전 등에 따르면, 한방에서 자궁출혈, 대하, 월경불순, 장출혈, 오장 및 위장기능 활성화, 해독작용, 관절염 등에 사용되어온 약용버섯이다. 최근에는, 상황버섯이 항암효과 및 각종 생리활성에 탁월한 효능을 가진 것으로 보고되면서, 약재뿐만 아니라 식품의 소재로도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여러가지 뛰어난 생리활성에도 불구하고, 상황버섯 자체의 가격이 워낙 고가이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손쉽게 접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황버섯을 가공하여 그 유효활성성분만을 추출하여 이용하는 경우에는 열수추출 또는 주정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추출효율을 높이고자 추출온도 내지 다른 추출조건들을 가혹하게 가져갈 경우, 활성물질 자체가 손상되어 활성을 잃게 되므로 실제로 채택가능한 추출조건에는 제약이 있으며, 따라서 상황버섯을 열수추출 또는 주정추출한 후의 부산물에는 상대적으로 상당한 양의 상황버섯 활성성분이 포함되게 되므로, 워낙 고가인 상황버섯 자체의 가격을 고려해 볼 때, 상기 부산물을 추가적으로 활용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으나, 지금까지는 이러한 부산물은 전량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그 재배가 매우 까다로운 상황버섯과는 달리, 느타리 버섯 등과 같은 일반적인 버섯들은 그 재배가 상대적으로 쉽고 관련기술 또한 매우 발달해 있으므로, 상황버섯의 유효활성성분을 포함하는 다른 일반 버섯을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면, 저렴한 가격으로 많은 사람들이 손쉽게 상황버섯의 유용한 성분들을 접할 수 있게 되는 바, 그러한 관련기술들의 개발이 또한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금까지는 전량 폐기되어 왔던, 상황버섯의 열수추출 또는 주정추출 등의 가공후 부산물을 활용하므로써, 상기 상황버섯 가공 부산물에 잔존해 있는 상황버섯의 유효성분들을 더 포함하는 버섯을 재배할 수 있는 버섯 재배용 배지, 그 제조방법, 그를 사용하여 재배된 버섯 및 그 버섯 또는 그 버섯의 가공물을 함유한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황버섯 가공 부산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버섯 재배용 배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배지에 있어서, 상기 상황버섯 가공 부산물은 상황버섯을 1차적으로 가공하여 유효성분을 얻어내고 난 후의 잔류 부산물을 의미하는 것이며, 부산물 내에 잔존하는 상황버섯 유효성분을 활용한다는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상황버섯 가공 부산물은 상황버섯의 열수추출 또는 주정추출 등의 가공후 부산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황버섯 가공 부산물은 상황버섯의 열수추출 또는 주정추출 등의 가공후에 바로 건조된 것이어야 하는데, 이는 수분의 존재로 인한 미생물 오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상기 상황버섯 가공 부산물은 건조 후 필요에 따라 분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분쇄되는 입자의 크기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배지 제조시 함께 혼합되는 톱밥 등의 다른 재료와의 혼합성 등을 고려하여 볼 때, 0.1~5mm의 평균입자크기를 갖도록 분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배지는, 상기 상황버섯 가공 부산물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상기 상황버섯 가공 부산물 이외에 톱밥, 미강 등과 같이 버섯 재배용 배지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상황버섯 가공 부산물이 톱밥, 미강 등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버섯 재배용 배지 1000cc 당 40~400g의 상황버섯 가공 부산물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섯 재배용 배지 1000cc에 포함되는 상황버섯 가공 부산물의 양이 40g 미만이면, 버섯 재배용 배지 내의 상황버섯 유효성분의 양이 충분치 않게 되고, 400g을 초과하면, 톱밥 등 다른 재료와의 혼합성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황버섯의 열수추출 또는 주정추출 가공 부산물을 건조하는 건조단계, 건조된 상기 부산물을 0.1~5mm의 평균입자크기로 분쇄하는 분쇄단계, 및 분쇄된 상기 부산물을 톱밥과 혼합하는 혼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버섯 재배용 배지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배지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는, 상황버섯을 열수추출 또는 주정추출 가공한 후에 발생하는 부산물 내의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로서, 수분제거를 위한 온도 및 압력조건 하에서 통상의 건조기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온도가 지나치게 높을 경우에는 부산물 내에 잔존하는 유효성분의 손상이 있을 수 있으므로, 건조시 온도는 가능한한 110℃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배지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쇄단계는, 건조된 상기 부산물을 0.1~5mm의 평균입자크기로 분쇄하는 단계로서, 통상의 분쇄기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평균입자크기가 0.1mm 미만이면, 입자크기가 지나치게 작아서 작업성이 나빠지고, 5mm를 초과하면, 톱밥과의 혼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배지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혼합단계는, 분쇄된 상기 부산물을 톱밥과 혼합하는 단계로서, 수작업으로 또는 통상의 혼합기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혼합단계에 있어서, 건조 및 분쇄된 상황버섯 부산물:톱밥의 혼합비는 무게비로 0.1~1:1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혼합비가 0.1:1 미만이면, 버섯 재배용 배지 내의 상황버섯 유효성분의 양이 충분치 않게 되고, 1:1을 초과하면, 톱밥과의 혼합성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배지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혼합단계에서는, 필요에 따라, 미강 등과 같은 추가적인 재료를 더 투입하여 혼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배지 제조방법에는, 상기 혼합단계 이후에, 혼합된 재료들의 수분함량을 조절하는 단계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수분함량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고, 일반적인 버섯 생장효율의 관점에서는, 30~80%의 범위 내에서 재배될 버섯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배지에서 재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배지에서 재배된 상기 버섯은, 상기 버섯 재배용 배지 내에 존재하였던 상황버섯 유효성분을 적어도 일부 포함하게 되며, 따라서, 다른 배지에서 재배된 같은 종류의 다른 버섯에 비하여 보다 유리한 생리활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버섯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항산화활성 증진의 측면에서는 느타리 버섯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배지에서 재배된 버섯 또는 그 버섯의 가공물을 함유한 제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버섯 또는 그 버섯의 가공물을 함유한 제품에는,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배지에서 재배된 버섯이 그대로 포함되거나, 또는 분말화, 열수추출 또는 주정추출 등의 가공을 거쳐 얻어진 가공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버섯 또는 그 버섯의 가공물을 함유한 제품은, 식품 소재, 화장품 소재 등의 용도로 최종 식료품 제품, 화장품 등에 기능성 원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나, 이들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버섯 재배용 배지의 제조
상황버섯을 열수추출한 후 얻어진 부산물을 60℃의 건조기에서 10시간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 건조된 상기 부산물을, 분쇄기를 사용하여 평균입자크기가 약 2mm가 되도록 분쇄하였다. 분쇄된 상기 부산물을, 톱밥과의 혼합비가 무게비로 부산물:톱밥이 0.3:1이 되도록 혼합기를 사용하여 톱밥과 혼합하고, 여기에 잡 미가 없는 신선한 미강을, 미강:톱밥이 0.2:1이 되도록 추가로 투입하여 혼합하였다. 다음으로, 상기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물을 가하여 수분 함량이 65%가 되도록 조절한 후 배합기에서 배합하여, 버섯 재배용 배지를 제조하였다.
2. 느타리 버섯의 재배
상기에서 제조된 배지 1000cc를 느타리 버섯 재배용 PP 용기에 입병하고, 이를 121℃의 고압멸균기에서 약 5시간동안 가압멸균하였다. 가압멸균이 끝난 후, 배지를 실온에서 방치하여 냉각시켜 배지 내의 열기를 완전히 제거한 후, 느타리 버섯 종균을 접종하고, 25℃에서 17일간 배양하여 균사를 성장시켰다. 균사 성장이 충분히 완료된 배지를 재배동으로 옮기고, 재배동에서 90% 이상의 습도를 유지하면서 발이시킨 후, 7일간 재배하여 충분히 자란 느타리 버섯을 수확하였다.
3. 느타리 버섯 추출물 분말의 제조
상기에서 수확된 느타리 버섯 100g을 건조한 후 잘게 절편하여 3L의 추출용기에 투입하고, 95% 에탄올 1000ml를 가한 후 80℃에서, 4시간동안 환류추출하였다. 추출 완료 후, 추출물을 실온에서 냉각시키고, 여과하여 추출액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추출액을 회전식 진공농축증발기를 사용하여 감압농축하므로써 용매를 제거한 후, 농축물을 진공펌프로 건조하여 3.8g의 느타리 버섯 추출물 분말을 얻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버섯 추출물 분말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아스코르빈산의 항산화활성을 100%로 하였을 때의 상대적인 항산화활성이 30%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항산화활성 측정방법
항산화활성으로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지질 과산화억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48-웰 플레이트에 브레인 호모지네이트(brain homogenate)(5㎎ 단백질/㎖) 500㎕, 시료 물질 10㎕, 버퍼 80㎕를 넣고, 37℃ 수조에서 셰이킹(shaking)하며 20분간 예비-인큐베이션(pre-incubation)한 후, 100μM FeCl2를 10㎕씩 넣고, 다시 37℃에서 30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그 다음에, 35% HClO4를 100㎕씩 넣어 반응을 정지시킨 후, 상기 플레이트를 2000rpm으로 4℃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분리 후, 상층액만 취하여 에펜도르프 튜브(eppendorf-tube)에 400㎕씩 넣고, TBA(50% 아세트산 중의 TBA 5mg/ml)를 200㎕씩 넣었다. 이 튜브를 8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실온에서 식힌 후, 52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TBA 반응시 테트라에톡시프로판(tetraethoxypropane)을 이용해 보정용 커브(표준 커브)를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반응후 생성된 MDA의 양을 계산하였다.
* 항산화활성(%) = [(A-B)/A] × 100
(A: MDA의 나노몰수/mg 단백질(아스코르빈산), B: MDA의 나노몰수/mg 단백질(시료 물질)).
4. 느타리 버섯 추출물 함유 제품의 제조
(1) 조리용 양념의 제조
상기 3에서와 같이 하여 얻어진 느타리 버섯 추출물 분말 20중량%, 볶은 천일염 소금 60중량%, 볶은 참깨 20중량%를 혼합하여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2) 밀가루 식품의 제조
상기 3에서와 같이 하여 얻어진 느타리 버섯 추출물 분말을 6~10중량% 포함하는 밀가루 혼합물을 사용하여, 빵, 피자,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였다.
(3) 햄버거 패티의 제조
상기 3에서와 같이 하여 얻어진 느타리 버섯 추출물 분말을 6~10중량% 포함하는 햄버거 패티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버섯 재배용 배지의 제조
톱밥과 잡미가 없는 신선한 미강을, 미강:톱밥이 0.2:1이 되도록 혼합하고, 상기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물을 가하여 수분 함량이 65%가 되도록 조절한 후 배합기에서 배합하여, 버섯 재배용 배지를 제조하였다.
2. 느타리 버섯의 재배
상기에서 제조된 배지를 사용하여,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느타리 버섯을 재배하고, 이를 수확하였다.
3. 느타리 버섯 추출물 분말의 제조
상기에서 수확된 느타리 버섯 100g으로부터, 실시예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3.4g의 느타리 버섯 추출물 분말을 얻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버섯 추출물 분말에 대하여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아스코르빈산의 항산화활성을 100%로 하였 을 때의 상대적인 항산화활성이 21%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상기 항산화활성 측정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배지를 사용하여 재배된 느타리 버섯은 일반 톱밥 배지를 사용하여 재배된 느타리 버섯에 비하여 약 50% 가까이 향상된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배지를 사용하여 재배된 느타리 버섯의 추출물 분말을 사용하여 제조된 상기 조리용 양념, 밀가루 식품 및 햄버거 패티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행한 결과, 느타리 버섯의 풍미를 그대로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핀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항산화활성 등과 같은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상황버섯의 유효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는 버섯을 저렴하고 쉽게 재배할 수 있으며, 그 버섯 또는 그 버섯의 가공물을 사용하여 식료품 등의 제품을 제조할 경우, 그 버섯 자체의 풍미를 유지하면서도 상황버섯의 유효성분들을 포함하는 제품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3)

  1. 상황버섯 가공 부산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버섯 재배용 배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버섯 가공 부산물은 상황버섯의 열수추출 또는 주정추출 후의 부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용 배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버섯 가공 부산물은 상황버섯의 열수추출 또는 주정추출 후에 바로 건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용 배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버섯 가공 부산물은 0.1~5mm의 평균입자크기를 갖도록 분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용 배지.
  5. 제1항에 있어서, 톱밥, 미강, 또는 톱밥 및 미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용 배지.
  6. 제1항에 있어서, 1000cc 당 40~400g의 상황버섯 가공 부산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용 배지.
  7. 상황버섯의 열수추출 또는 주정추출 가공 부산물을 건조하는 건조단계, 건조 된 상기 부산물을 0.1~5mm의 평균입자크기로 분쇄하는 분쇄단계, 및 분쇄된 상기 부산물을 톱밥과 혼합하는 혼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버섯 재배용 배지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단계에 있어서의 혼합비는 분쇄된 상기 상황버섯 부산물:톱밥이 무게비로 0.1~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용 배지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단계 이후에, 혼합된 재료들의 수분함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용 배지 제조방법.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버섯 재배용 배지에서 재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11.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버섯 재배용 배지에서 재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느타리 버섯.
  12.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버섯 재배용 배지에서 재배된 버섯 또는 그 버섯의 가공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의 가공물은 상기 버섯을 분말화, 열수추출 또는 주정추출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KR1020050051571A 2005-06-15 2005-06-15 상황버섯 가공 부산물을 함유하는 버섯 재배용 배지, 그제조방법, 그를 사용하여 재배된 버섯, 및 그 버섯 또는 그버섯의 가공물을 함유한 제품 KR100682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571A KR100682391B1 (ko) 2005-06-15 2005-06-15 상황버섯 가공 부산물을 함유하는 버섯 재배용 배지, 그제조방법, 그를 사용하여 재배된 버섯, 및 그 버섯 또는 그버섯의 가공물을 함유한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571A KR100682391B1 (ko) 2005-06-15 2005-06-15 상황버섯 가공 부산물을 함유하는 버섯 재배용 배지, 그제조방법, 그를 사용하여 재배된 버섯, 및 그 버섯 또는 그버섯의 가공물을 함유한 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273A true KR20060131273A (ko) 2006-12-20
KR100682391B1 KR100682391B1 (ko) 2007-02-15

Family

ID=37811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1571A KR100682391B1 (ko) 2005-06-15 2005-06-15 상황버섯 가공 부산물을 함유하는 버섯 재배용 배지, 그제조방법, 그를 사용하여 재배된 버섯, 및 그 버섯 또는 그버섯의 가공물을 함유한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23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410B1 (ko) * 2011-09-21 2013-06-04 이태봉 버섯배지를 이용한 차가버섯, 상황버섯, 영지버섯, 꽃송이버섯 및 동충하초의 복합배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465B1 (ko) 2011-11-14 2014-01-03 정권용 송이 향을 함유한 식용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및 식용버섯 재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410B1 (ko) * 2011-09-21 2013-06-04 이태봉 버섯배지를 이용한 차가버섯, 상황버섯, 영지버섯, 꽃송이버섯 및 동충하초의 복합배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2391B1 (ko) 200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8568B1 (ko) 황국균 및 유산균 복합발효기술을 이용한 발효효소식품의 제조 방법
KR101901268B1 (ko) 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버섯 발효콩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89930B1 (ko) 곡물을 이용한 차가버섯 균사체와 상황버섯 균사체의 복식 대량 배양방법, 이에 의해 배양된 차가버섯 균사체와 상황 버섯 균사체를 포함하는 식품 및 그 제조 방법
US20140205626A1 (en) Anti-inflammatory and immune-boosting composition containing fermented green coffee beans which are fermented with monascus
KR20150051624A (ko) 유산균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 및 플라보놀이 증대된 뽕잎 발효액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KR101377586B1 (ko) 고상 발효에 의한 항산화 활성 및 총 페놀 화합물 함량이 증진된 차가버섯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1806720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으로 발효시킨 황기 뿌리 배양액의 리스테리아 항균조성물
KR101125224B1 (ko)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용 조성물
KR100682391B1 (ko) 상황버섯 가공 부산물을 함유하는 버섯 재배용 배지, 그제조방법, 그를 사용하여 재배된 버섯, 및 그 버섯 또는 그버섯의 가공물을 함유한 제품
KR101762569B1 (ko) 아미노산 함량이 증진된 모링가 발효 분말의 제조방법
KR100855899B1 (ko) 감귤과피 부산물을 함유하는 버섯 재배용 배지의제조방법과 이를 사용하여 재배한 버섯
KR101875189B1 (ko) 등차를 이용한 식품 첨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KR101935689B1 (ko) 대추, 감초 및 도라지 혼합 추출물의 발효물을 함유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101396807B1 (ko) 두류, 곡류 및 차가버섯을 주원료로 하여 항산화능 및 총 페놀성 화합물이 증가한 효소식품의 제조방법
KR101276157B1 (ko) 청국장 고유의 색과 풍미를 개선하고 기능성을 유지한 청국장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배지 조성물
KR20160121807A (ko) 곡물도정 부산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발효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효조성물과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KR20090081598A (ko) 콩 분말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1611881B1 (ko) 상지 배지에 배양한 항산화 및 미백 활성이 증진된 상황버섯 균사체 가압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070013652A (ko) 상황버섯이 첨가된 건강 기능성 국수 제조방법
KR102342814B1 (ko) 굼벵이 엑기스 발효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74333B1 (ko) 솔잎 및 양파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환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13306A (ko) 계피를 함유한 꿀의 제조방법
KR101348661B1 (ko) 솔잎 및 양파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및 소스
KR20060107217A (ko) 홍국균 추출물을 함유하는 빵과 떡
JP2007051103A (ja) 抗酸化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