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0668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0668A
KR20060130668A KR1020067019378A KR20067019378A KR20060130668A KR 20060130668 A KR20060130668 A KR 20060130668A KR 1020067019378 A KR1020067019378 A KR 1020067019378A KR 20067019378 A KR20067019378 A KR 20067019378A KR 20060130668 A KR20060130668 A KR 20060130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main rope
counterweight
hoistway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9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5265B1 (ko
Inventor
시로 이케다
에이지 안도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19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5265B1/ko
Publication of KR20060130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0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5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5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는,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한다.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는, 그 제 1 및 제 2 구동 쉬브의 각 회전축이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각각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는, 제 1 구동 쉬브에 감긴 제 1 메인 로프와, 제 2 구동 쉬브에 감긴 제 2 메인 로프를 가진 메인 로프체에 의해 승강로 내에 매달려 있다. 제 1 메인 로프는 승강로의 상부에 접속된 제 1 및 제 2 단부를 가지고, 제 2 메인 로프는 승강로의 상부에 접속된 제 3 및 제 4 단부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에는, 제 1 및 제 2 메인 로프가 각각 감겨진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가 설치되어 있다. 균형추에는, 제 1 및 제 2 메인 로프가 각각 감겨진 제 1 및 제 2 균형추 섀시 풀리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APPARATUS}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승강시키는 구동 장치가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승강로의 높이 치수의 단축화를 위해서, 승강로의 상부에 권상기(卷上機)를 수평으로 배치한 엘리베이터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권상기의 구동 쉬브(drive sheave)의 회전축은,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되어 있다. 구동 쉬브에는, 메인 로프가 수평으로 감겨 있다. 승강로의 상부에는, 메인 로프의 방향을 수평 방향에서부터 연직 방향으로 전향(轉向)하는 2개의 전향 쉬브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는, 전향 쉬브에 의해 전향된 메인 로프에 의해 승강로 내에 매달려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특개2000-255933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1개의 권상기로 승강시키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장치의 대용량화에 수반하여, 권상기가 대형화되어 버린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장치 전체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장치 전체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제 1 구동 쉬브를 가지고, 제 1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제 1 구동 장치, 제 2 구동 쉬브를 가지고, 제 2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제 2 구동 장치,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균형추, 승강로의 상부에 접속된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포함하여 제 1 구동 쉬브에 감겨진 제 1 메인 로프와, 승강로의 상부에 접속된 제 3 단부 및 제 4 단부를 포함하여 제 2 구동 쉬브에 감겨진 제 2 메인 로프를 가지고,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승강로 내에 매다는 메인 로프체,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되고, 제 1 메인 로프의 제 1 구동 쉬브와 제 1 단부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겨진 제 1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sash pulley),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되고, 제 2 메인 로프의 제 2 구동 쉬브와 제 3 단부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겨진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 균형추에 설치되고, 제 1 메인 로프의 제 1 구동 쉬브와 제 2 단부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겨진 제 1 균형추 섀시 풀리, 및 균형추에 설치되고, 제 2 메인 로프의 제 2 구동 쉬브와 제 4 단부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겨진 제 2 균형추 섀시 풀리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및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어 있다(모두 도시하지 않음). 엘리베이터 칸(2)은,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의해 안내되어 승강로(1) 내를 승강하고, 균형추(3)는, 각 균형추 가이드 레일에 의해 안내되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이 예에서는,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을 연결하는 직선, 및 각 균형추 가이드 레일을 연결하는 직선은, 승강로(1)의 폭 방향에 따라 연장하는 직선에 대하여 각각 평행하게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은,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사이에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부(2a, 2b)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4)가 설치된 전면부(前面部)(2c)와, 전면부(2c)에 대향하는 배면부(2d)를 가지고 있다. 전면부(2c)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4)를 개폐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짝(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2)의 폭 방향의 치수(제 1 및 제 2 측면부(2a, 2b)의 각 바깥면 사이의 치수)는, 엘리베이터 칸(2)의 깊이 방향의 치수(전면부(2c) 및 배면부(2d)의 각 바깥면 사이의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다.
균형추(3)는,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배면부(2d)와 대향하고 있다. 즉, 승강로(1)를 수직 투영했을 때, 균형추(3)는, 엘리베이터 칸(2)의 깊이 방향에 대하여, 엘리베이터 칸(2)의 영역의 뒤쪽에 배치되어 있다.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를 승강시키는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권상기)(12, 13)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는, 승강로(1)의 폭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는,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2)의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는, 서로 거의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어 있다.
제 1 구동 장치(12)는, 모터 및 브레이크를 포함한 제 1 구동 장치 본체(14) 와, 제 1 구동 장치 본체(14)에 의해 회전되는 제 1 구동 쉬브(15)를 가지고 있다. 제 2 구동 장치(13)는, 모터 및 브레이크를 포함한 제 2 구동 장치 본체(16)와, 제 2 구동 장치 본체(16)에 의해 회전되는 제 2 구동 쉬브(17)를 가지고 있다. 또,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는, 축 방향 치수가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 본체(14, 16)의 지름 치수 또는 제 1 및 제 2 구동 쉬브(15, 17)의 지름 치수보다 작은 박형(薄形) 권상기로 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는, 제 1 및 제 2 구동 쉬브(15, 17)의 회전축이 수평면(거의 수평인 면을 포함)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각각 수평(거의 수평을 포함)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는, 제 1 및 제 2 구동 쉬브(15, 17)의 위치가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 본체(14, 16)의 윗쪽이 되도록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구동 쉬브(15, 17)에는,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를 승강로(1) 내에 매다는 메인 로프체(18)가 감겨 있다. 메인 로프체(18)는, 제 1 구동 쉬브(15)에 대략 수평으로 감겨진 복수 개(도에서는 1개만 나타낸다)의 제 1 메인 로프(19)와, 제 2 구동 쉬브(17)에 대략 수평으로 감겨진 복수 개(도에서는 1개만 나타낸다)의 제 2 메인 로프(20)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의 하부에는, 제 1 메인 로프(19)가 감겨진 한 쌍의 제 1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5, 26)와, 제 2 메인 로프(20)가 감겨진 한 쌍의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7, 28)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5)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7)는, 엘리베이터 칸(2)의 하부의 제 1 측면부(2a) 측에 설치되고, 제 1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6)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8)는, 엘리베이터 칸(2)의 하부의 제 2 측면부(2b) 측에 설치되어 있다.
균형추(3)의 상부에는, 제 1 메인 로프(19)가 감겨진 제 1 균형추 섀시 풀리(29)와, 제 2 메인 로프(20)가 감겨진 제 2 균형추 섀시 풀리(30)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균형추 섀시 풀리(29, 30)는, 균형추(3)의 폭 방향으로 늘어서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1)의 상부에는,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로프 고정부(cleat portion)(21, 22)과, 제 1 및 제 2 균형추 측 로프 고정부(23, 24)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엘리베이터 칸 측 로프 고정부(21)는 제 1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6)의 윗쪽에 배치되고,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로프 고정부(22)는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7)의 윗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 1 균형추 측 로프 고정부(23)는 제 1 균형추 섀시 풀리(29)의 윗쪽에 배치되고, 제 2 균형추 측 로프 고정부(24)는 제 2 균형추 섀시 풀리(30)의 윗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메인 로프(19)는, 제 1 엘리베이터 칸 측 로프 고정부(21)에 접속된 제 1 단부(19a)와, 제 1 균형추 측 로프 고정부(23)에 접속된 제 2 단부(19b)를 가지고 있다. 또, 제 2 메인 로프(20)는,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로프 고정부(22)에 접 속된 제 3 단부(20a)와, 제 2 균형추 측 로프 고정부(24)에 접속된 제 4 단부(20b)를 가지고 있다.
즉, 제 1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5, 26)에는, 제 1 메인 로프(19)의 제 1 구동 쉬브(15)와 제 1 단부(19a)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기고,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7, 28)에는,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2 구동 쉬브(17)와 제 3 단부(20a)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겨 있다. 또, 제 1 균형추 섀시 풀리(29)에는, 제 1 메인 로프(19)의 제 1 구동 쉬브(15)와 제 2 단부(19b)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기고, 제 2 균형추 섀시 풀리(30)에는,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2 구동 쉬브(17)와 제 4 단부(20b)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겨 있다.
또, 승강로(1)의 상부에는, 제 1 메인 로프(19)를 제 1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5)로 이끄는 제 1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1)와, 제 1 메인 로프(19)를 제 1 균형추 섀시 풀리(29)로 이끄는 제 1 균형추 측 리턴 풀리(32)와, 제 2 메인 로프(20)를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8)로 이끄는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3)와, 제 2 메인 로프(20)를 제 2 균형추 섀시 풀리(30)로 이끄는 제 2 균형추 측 리턴 풀리(34)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1), 제 1 균형추 측 리턴 풀리(32),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3) 및 제 2 균형추 측 리턴 풀리(34)의 각각의 회전축은, 수평(거의 수평을 포함한다)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1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1)는 제 1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5)의 윗쪽에 배치되고,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3)는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8)의 윗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 1 균형추 리턴 풀리(32)는 제 1 균형추 섀시 풀리(29)의 윗쪽에 배치되고, 제 2 균형추 리턴 풀리(34)는 제 2 균형추 섀시 풀리(30)의 윗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구동 쉬브(15)로부터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및 제 2 메인 로프(19, 20)는, 리턴 풀리(31 ~ 34)에 의해, 대략 수직 방향으로 방향 전환된다. 이 때문에, 리턴 풀리(31 ~ 34)는,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와 대략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어 있다.
또, 승강로(1)의 상부에는, 제 1 메인 로프(19)의 제 1 구동 쉬브(15)와 제 1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1)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긴 제 1 전향 쉬브(35)와,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2 구동 쉬브(17)와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3) 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긴 제 2 전향 쉬브(36)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전향 쉬브(35, 36)는,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2)의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 1 및 제 2 전향 쉬브(35, 36)의 각각의 회전축은, 수평면(거의 수평인 면을 포함한다)에 대해서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전향 쉬브(35, 36)는, 제 1 및 제 2 구동 쉬브(15, 17)와 거의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는, 제 1 메인 로프(19) 및 제 2 메인 로프(20)에 의해, 2:1 로핑 방식으로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다. 즉, 제 1 메인 로프(19)는, 제 1 단부(19a)로부터, 제 1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6, 25), 제 1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1), 제 1 전향 쉬브(35), 제 1 구동 쉬브(15), 제 1 균 형추 측 리턴 풀리(32) 및 제 1 균형추 섀시 풀리(29)의 순서로 감기고, 제 2 단부(19b)에 이르러 있다. 또, 제 2 메인 로프(20)는, 제 3 단부(20a)로부터,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7, 28),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3), 제 2 전향 쉬브(36), 제 2 구동 쉬브(17), 제 2 균형추 측 리턴 풀리(34) 및 제 2 균형추 섀시 풀리(30)의 순서로 감겨서, 제 4 단부(20b)에 이르러 있다.
또한,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 및 제 1 및 제 2 전향 쉬브(35, 36)는, 승강로(1)의 깊이 방향에 따른 2의 중심선에 관하여, 각각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승강로(1) 내에는,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는, 제어장치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서로 동기(同期)하여 구동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및 제 2 구동 쉬브(15, 17)는, 서로 동기하여 회전되고,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가 승강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1) 및 균형추(3)가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1) 내를 승강하도록 되어 있고, 또한,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는, 제 1 메인 로프(19) 및 제 2 메인 로프(20)에 의해, 2:1 로핑 방식으로,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으므로,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에 부가되는 부하를 경감할 수 있어,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승강로(1)의 높이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또 승강로(1)의 수평 단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 터 장치 전체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장치의 대용량화에 수반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대형화의 정도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제 1 및 제 2 메인 로프(19, 20)를 섀시 풀리(25 ~ 30)로 각각 이끄는 리턴 풀리(31 ~ 34)가 승강로(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대략 수평으로 연장하는 제 1 및 제 2 메인 로프(19, 20)를 대략 수직 방향으로 방향 전환시킬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에 간섭하지 않고, 제 1 및 제 2 구동 쉬브(19, 20)로부터 리턴 풀리(31 ~ 34)로 제 1 및 제 2 메인 로프(19, 20)를 유도할 수 있다.
또, 제 1 메인 로프(19)의 제 1 구동 쉬브(15)와 제 1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1)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기는 제 1 전향 쉬브(35)가 승강로(1)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 1 메인 로프(19)의 제 1 구동 쉬브(15) 및 제 1 전향 쉬브(35)에 대한 설치각을 확보할 수 있어, 트랙션(traction)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구동 장치(12)의 구동력을 제 1 메인 로프(19)로 더욱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를 더욱 확실하게 승강시킬 수 있다.
또,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2 구동 쉬브(17)와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3)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기는 제 2 전향 쉬브(36)가 승강로(1) 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2 구동 쉬브(17) 및 제 2 전향 쉬브(36)에 대한 설치각을 확보할 수 있어, 트랙션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 2 구동 장치(13)의 구동력을 제 2 메인 로프(20)로 더욱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를 더욱 확실히 승강시킬 수 있다.
또,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는, 엘리베이터 칸(2)의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승강로(1)의 수평 단면적을 더욱 작게 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장치 전체의 축소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제 1 메인 로프(19)의 제 1 구동 쉬브(15)와 제 1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1)와의 사이의 부분이 제 1 전향 쉬브(35)에 감기도록 되어 있지만, 제 1 메인 로프(19)의 제 1 구동 쉬브(15)와 제 1 균형추 측 리턴 풀리(32)와의 사이의 부분을 제 1 전향 쉬브(35)에 감기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도, 제 1 메인 로프(19)의 제 1 구동 쉬브(15) 및 제 1 전향 쉬브(35)에 대한 설치각을 확보할 수 있어, 트랙션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2 구동 쉬브(17)와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3)와의 사이의 부분이 제 2 전향 쉬브(36)에 감기도록 되어 있지만,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2 구동 쉬브(17)와 제 2 균형추 측 리턴 풀리(34)와의 사이의 부분을 제 2 전향 쉬브(36)에 감기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도,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2 구동 쉬브(17) 및 제 2 전향 쉬브(36)에 대한 설치각을 확보할 수 있어 트랙션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 도 4는, 도 3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2)의 폭 방향의 치수는, 엘리베이터 칸(2)의 깊이 방향의 치수보다 작게 되어 있다. 또,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는, 승강로(1)의 깊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전향 쉬브(35)에는, 제 1 메인 로프(19)의 제 1 구동 쉬브(15)와 제 1 균형추 측 리턴 풀리(32)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겨 있다. 더욱이 또한, 제 2 전향 쉬브(36)에는,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2 구동 쉬브(17)와 제 2 균형추 측 리턴 풀리(34)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겨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2)의 깊이 방향의 치수가 엘리베이터 칸(2)의 폭 방향의 치수보다 크고, 또한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균형추(3)가 엘리베이터 칸(2)의 영역의 뒤쪽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도,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를 엘리베이터 칸(2)의 영역내에 배치할 수 있어, 승강로(1)의 수평 단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제 1 메인 로프(19)의 제 1 구동 쉬브(15)와 제 1 균형추 측 리턴 풀리(32)와의 사이의 부분이 제 1 전향 쉬브(35)에 감기도록 되어 있지만, 제 1 메인 로프(19)의 제 1 구동 쉬브(15)와 제 1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1)와의 사이의 부분을 제 1 전향 쉬브(35)에 감기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2 구동 쉬브(17)와 제 2 균형추 측 리턴 풀리(34)와의 사이의 부분이 제 2 전향 쉬브(36)에 감기도록 되어 있지만,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2 구동 쉬브(17)와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3)와의 사이의 부분을 제 2 전향 쉬브(36)에 감기도록 하여도 좋다.
실시 형태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 도 6은, 도 5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2)의 폭 방향의 치수는, 엘리베이터 칸(2)의 깊이 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 균형추(3)는,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제 2 측면부(2b)와 대향하고 있다. 즉, 승강로(1)를 수직 투영했을 때, 균형추(3)는, 엘리베이터 칸(2)의 폭 방향에 대하여, 엘리베이터 칸(2)의 영역의 횡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는, 승강로(1)의 폭 방향 및 깊이 방향으로 서로 오프셋(offset) 배치되어 있다.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로프 고정부(22)는,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8)의 윗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로프 고정부(22)에는,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3 단부(20a)가 접속되어 있다. 또,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3)는,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7)의 윗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메인 로프(20)는, 제 3 단부(20a)로부터,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8),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7),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3), 제 2 전향 쉬브(36), 제 2 구동 쉬브(17), 제 2 균형추 측 리턴 풀리(34) 및 제 2 균형추 섀시 풀리(30)의 순서로 감기고, 제 4 단부(20b)에 이르러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2)의 폭 방향의 치수가 엘리베이터 칸(2)의 깊이 방향의 치수보다 크고, 또한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균형추(3)가 엘리베이터 칸(2)의 영역의 폭 방향 횡측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도, 승강 로(1)의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를 엘리베이터 칸(2)의 영역 내에 배치할 수 있어, 승강로(1)의 수평 단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 도 8은, 도 7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2)의 폭 방향의 치수는, 엘리베이터 칸(2)의 깊이 방향의 치수보다 작게 되어 있다. 또,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는, 승강로(1)의 깊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3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2)의 깊이 방향의 치수가 엘리베이터 칸(2)의 폭 방향의 치수보다 크고, 또한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균형추(3)가 엘리베이터 칸(2)의 영역의 폭 방향 횡측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도,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를 엘리베이터 칸(2)의 영역 내에 배치할 수 있어, 승강로(1)의 수평 단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 3 및 4에서는, 제 1 메인 로프(19)의 제 1 구동 쉬브(15)와 제 1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1)와의 사이의 부분이 제 1 전향 쉬브(35)에 감기도록 되어 있지만, 제 1 메인 로프(19)의 제 1 구동 쉬브(15)와 제 1 균형추 측 리턴 풀리(32)와의 사이의 부분을 제 1 전향 쉬브(35)로 감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 형태 3 및 4에서는,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2 구동 쉬브(17)와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3)와의 사이의 부분이 제 2 전향 쉬 브(36)에 감기도록 되어 있지만,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2 구동 쉬브(17)와 제 2 균형추 측 리턴 풀리(34)와의 사이의 부분을 제 2 전향 쉬브(36)로 감도록 하여도 좋다.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 1 메인 로프(19)의 제 1 구동 쉬브(15)에 대한 감김각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면, 제 1 전향 쉬브(35)는 없어도 좋다. 또한,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2 구동 쉬브(17)에 대한 감김각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면, 제 2 전향 쉬브(36)은 없어도 좋다.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및 제 2 구동 쉬브(15, 17)가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 본체(14, 16)의 위쪽에 배치되도록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가 설치되어 있지만, 제 1 및 제 2 구동 쉬브(15, 17)가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 본체(14, 16)의 아래쪽에 배치되도록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는, 2개의 구동 장치(12, 13)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1) 내를 승강시키도록 되어 있지만, 2개 이상의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를 승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엘리베이터(2) 및 균형추(3)에는, 각 구동 장치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 및 균형추 섀시 풀리가 각각 설치되고, 승강로의 상부에는, 각 구동 장치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 균형추 측 리턴 풀리 및 전향 쉬브가 각각 설치된다. 또,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는, 각 구동 장치의 대수와 같은 수의 메인 로프를 가지는 메인 로프체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 달린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승강시키는 구동 장치가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4)

  1. 제 1 구동 쉬브를 가지고, 상기 제 1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제 1 구동 장치,
    제 2 구동 쉬브를 가지고, 상기 제 2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제 2 구동 장치,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균형추,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접속된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구동 쉬브에 감긴 제 1 메인 로프와,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접속된 제 3 단부 및 제 4 단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 2 구동 쉬브에 감긴 제 2 메인 로프를 가지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를 상기 승강로 내에 매다는 메인 로프체,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메인 로프의 상기 제 1 구동 쉬브와 상기 제 1 단부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겨진 제 1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메인 로프의 상기 제 2 구동 쉬브와 상기 제 3 단부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겨진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
    상기 균형추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메인 로프의 상기 제 1 구동 쉬브와 상기 제 2 단부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겨진 제 1 균형추 섀시 풀리, 및
    상기 균형추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메인 로프의 상기 제 2 구동 쉬브와 상기 제 4 단부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겨진 제 2 균형추 섀시 풀리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구동 쉬브로부터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로 상기 제 1 메인 로프를 이끄는 제 1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구동 쉬브로부터 상기 제 1 균형추 섀시 풀리로 상기 제 1 메인 로프를 이끄는 제 1 균형추 측 리턴 풀리,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구동 쉬브로부터 상기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로 상기 제 2 메인 로프를 이끄는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 및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구동 쉬브로부터 상기 제 2 균형추 섀시 풀리로 상기 제 2 메인 로프를 이끄는 제 2 균형추 측 리턴 풀리
    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메인 로프의 상기 제 1 구동 쉬브와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와의 사이의 부분, 및 상기 제 1 메인 로프의 상기 제 1 구동 쉬브와 상기 제 1 균형추 섀시 풀리와의 사이의 부분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감기는 제 1 전향 쉬브, 및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메인 로프의 상기 제 2 구동 쉬브와 상기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와의 사이의 부분, 및 상기 제 2 메인 로프의 상기 제 2 구동 쉬브와 상기 제 2 균형추 섀시 풀리와의 사이의 부분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감기는 제 2 전향 쉬브
    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의 수직 투영면 내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67019378A 2006-09-20 2004-09-30 엘리베이터 장치 KR100795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9378A KR100795265B1 (ko) 2006-09-20 2004-09-30 엘리베이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9378A KR100795265B1 (ko) 2006-09-20 2004-09-30 엘리베이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0668A true KR20060130668A (ko) 2006-12-19
KR100795265B1 KR100795265B1 (ko) 2008-01-15

Family

ID=37810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9378A KR100795265B1 (ko) 2006-09-20 2004-09-30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5265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1331B2 (ja) * 1999-01-08 2008-12-0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
JP4771586B2 (ja) * 2000-12-08 2011-09-14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
ATE512925T1 (de) 2001-11-23 2011-07-15 Inventio Ag Aufzugssystem
KR100536934B1 (ko) * 2002-06-10 2005-12-1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5265B1 (ko) 2008-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9133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096103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61846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52410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US7413055B2 (en) Elevator
EP2019072A1 (en) Elevator device
JP2004083231A (ja) エレベータ装置
JP4292157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68550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30020969A (ko) 엘리베이터 장치
US20070170005A1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EP1053969B1 (en) Elevator
KR10079526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757803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1724229A1 (en) Elevator apparatus
KR10091107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WO2006095390A1 (ja) エレベータ装置
EP1717184B1 (en) Elevator
KR10073533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551616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288350Y1 (ko) 엘리베이터
KR10077519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617383B1 (ko)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장치
WO2005075335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10026845A (ko) 엘리베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