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0477A - 윤곽 통기 튜브를 구비한 완전 통기 와이드 림 젖병 - Google Patents

윤곽 통기 튜브를 구비한 완전 통기 와이드 림 젖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0477A
KR20060130477A KR1020050115219A KR20050115219A KR20060130477A KR 20060130477 A KR20060130477 A KR 20060130477A KR 1020050115219 A KR1020050115219 A KR 1020050115219A KR 20050115219 A KR20050115219 A KR 20050115219A KR 20060130477 A KR20060130477 A KR 20060130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container
bottle
vent tube
ins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5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9485B1 (ko
Inventor
크레이그 이. 브라운
로버트 제이. 브라운
Original Assignee
뉴 벤트 디자인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1/152,320 external-priority patent/US20050258124A1/en
Application filed by 뉴 벤트 디자인스, 인크 filed Critical 뉴 벤트 디자인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060130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0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4Feeding-bottles in general with means for supplying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2Teats with means for supplying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06Feeding-bottles in general having elongated tubes, e.g. for drinking from bottle in upright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08Feeding-bottles in general having storage compartments, e.g. for storing a te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큰 체적의 용기로 이루어진 젖병은 항상 압력을 통기하도록 뻗어 있는 통기 튜브를 갖고 있다. 젖병은 용기 내에 위치된 유동식이 용기의 각 배치와 상관없이 통기 튜브를 차단하는 것을 방지하는 원통 형상 또는 기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통기 튜브는 통기 삽입체로부터 말단으로 뻗어 있고, 통기 구조체 및 와이드 림 개구부에 젖꼭지를 유지하는 칼라와 작동적으로 결합된다. 게다가, 통기 튜브는 젖병으로부터 누출을 일으킬 수 있는 압력을 분산시키기 위해 바닥부의 중심을 향해 멀어질수록 직경을 감소시키는 원추 형태를 갖는다. 또한, 통기 삽입체는 칼라의 외부 및 유아에게 누출을 방지하는 대형 시일 및 소형 시일을 구비한다.
통기 삽입체, 젖병, 용기, 통기 튜브

Description

윤곽 통기 튜브를 구비한 완전 통기 와이드 림 젖병 {FULLY VENTED WIDE RIM NURSING BOTTLE WITH CONTOURED VENT TUBE}
도1은 구형 젖병의 상부도.
도2는 구형 젖병의 측면도.
도2a는 사용 중인 젖병의 측면도.
도3은 통기구멍이 젖병 바닥으로부터 구조적으로 상방으로 뻗어 있는 구형 젖병의 변형도.
도4는 도3의 젖병의 측면도.
도5는 도3의 젖병의 배면도.
도6은 도3의 젖병의 상부도.
도7은 젖병의 칼라 및 젖꼭지를 장착하고 통기구멍 구조를 지지하기 위한 와이드 림 형상을 구비한 젖병의 수정된 형태의 측면도.
도8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젖병의 측면도.
도9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화된 젖병의 작동 요소의 분해도.
도10은 상부 단부에서 와이드 림에 채용된 칼라 및 젖꼭지를 구비한 사각 형상의 와이드 구조 젖병의 정면도.
도11은 도10의 상부도.
도12는 도10의 하부도.
도13은 내부 통기 구조를 도시한, 도10의 측면도.
도14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젖병의 용기의 와이드 림에 부착된 칼라 내에 채용된 통기 삽입체의 상부도.
도15는 도14의 선15-15를 따라 취한 통기 삽입체의 단면도.
도16은 통기 튜브 및 용기의 대략 중심에 통기 포트를 배치하기 위해 와이드 림 상부에 채용된 칼라, 통기 삽입체 및 젖꼭지를 갖는 용적 구조 용기를 구비한 젖병의 정면도.
도17은 바닥 세그먼트와 작동적으로 구조화되고 배치된 통기 튜브를 구비한 젖병을 위한 다른 구형 형상의 용기의 정면도.
도18은 연장부와 함께 또는 연장부 없이 작용적으로 연관된 칼라, 통기 삽입체 및 통기 튜브를 구비한 젖병을 위한 또 다른 사각형 용량 용기의 정면도.
도19는 본원 발명의 수정된 와이드 림 젖병의 상부도.
도20은 도19의 정면도.
도21은 상부 용기 표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내부로 뻗어 있는 통기 튜브를 구비한 본원 발명의 수정된 와이드 림 젖병.
도22는 용기의 대략적인 상부 표면으로부터 내부로 뻗어 있는 기울어진 통기 튜브를 구비한 수정된 와이드 림 젖병.
도23은 용기의 표면으로 내부로 뻗어 있는 통기 튜브를 구비한 수정된 와이드 림 젖병.
도24는 젖병의 측면을 따라 보다 하방에서 구조화된 통기 튜브를 갖는, 도22와 유사한 젖병.
도25는 본원 발명의 다른 형상의 통기 젖병의 정면도.
도26은 본원 발명의 타원형 와이드 림 젖병의 정면도.
도27은 본원 발명의 통기 튜브 및 부속 구성요소의 분해도.
도27a는 통기 삽입체의 상부도.
도27b는 통기 삽입체의 단면도.
도28은 가까이에 큰 직경을 구비한 통기 튜브의 등각도.
도29는 가까이에 좁은 직경을 통기 튜브의 등각도.
도30은 유아에 의해 사용되는 동안 누출되는 원통 튜브를 갖는 통기 젖병.
도31은 유아에 의해 사용되는 동안 누출없는 테이퍼진 튜브를 갖는 통기 젖병.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용기
2: 유체 수위
3: 통기 튜브
4: 통기 포트
10: 통기 튜브
12: 통기 포트
15: 나사형 칼라
16: 젖꼭지
17: 와이드 림
18: 용기
19: 와이드 림
20: 통기 튜브
21: 통기 삽입체
22: 젖꼭지
23: 나사형 칼라
24: 나사
25: 저장소
59: 통기 포트
66: 측방 통기 포트
65: 통기 튜브
94: 통기 튜브
96: 측방 통기부
윤곽 통기 튜브를 구비한 완전 통기 와이드 림 젖병은 일반적으로 유아 보조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젖병 내의 진공을 방지하고 젖 병으로부터 유아가 액체를 빨아들이는 것을 돕는 내부 튜브를 갖는 젖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이한 실시예는 사용 및 저장하는 동안 완전한 통기를 제공하는 통기 튜브의 확장 직경이다.
아기들은 엄마로부터 젖을 빠는 본능을 갖고 있다. 여러가지 이유로 인해, 아기들은 다른 출처로부터 종종 액체를 마신다. 아기들은 엎지르지 않고 일반적인 유리잔 및 컵으로 마시는 능력이 부족하다. 그래서, 액체는 아기용 병 또는 젖병을 사용하여 아기에게 먹여진다. 젖병은 젖병의 상부의 개구에 고정된 젖병 끝에 구멍을 갖는 젖꼭지로써 실리콘, 라텍스, 고무 또는 다른 물질로 만든다. 현재의 젖병은 젖병에 액체를 채우고, 통기구멍을 삽입하며, 젖꼭지를 고정하고, 젖병을 뒤집어서, 아기의 입 내에 젖꼭지를 위치시킴으로써 사용되고, 아기는 젖꼭지로부터 액체를 마신다.
젖꼭지의 림에서 통기되는 젖병은 젖꼭지의 개구를 제외하고 단단하게 밀봉된다. 아기를 돌볼 때, 젖병에 담긴 액체의 부피가 줄어들고 젖병의 진공은 비례하여 증가함으로써 액체를 오염시킨다. 그러나, 통기 튜브는 아기가 젖병을 빠는 동안 주변 공기가 일반적으로 액체 뒤에서 젖병으로 들어오게 한다. 통기 구멍은 젖병 내부에 젖병을 빠는 아기에 의해 만들어지는 진공을 감소시킨다. 통기 구멍은 젖꼭지 밖으로 액체의 유동을 개선하고 아기가 젖병을 빨기 쉽게 한다. 아기가 공기에서 빠는 위험이 줄어서, 그로 인해 아기가 우는 경우가 줄어든다.
유아 및 유압 급식 용기는 원래 젖꼭지가 부착된 좁고 우수한 오리피스를 가 지고 있었다. 돌보는 사람은 좁은 개구부가 병의 내부에 대한 신속한 접근을 막았고, 병 내부의 용이한 세척을 방해한다는 지적을 했다. 생산자는 큰 직경의 개구부를 구비한 젖병이 단점을 갖는다는 주장을 했다. 이러한 젖병은 시장에서 판매 성공을 이루었다.
보다 큰 개구부는 젖병의 개구부와 일치하는 보다 큰 직경의 플랜지를 구비한 젖꼭지 및 급식 관의 생산 및 사용을 요구했다. 그러나, 상위로부터 젖꼭지의 하부 단부까지 동일한 거리를 유지하는 보다 큰 직경의 젖꼭지는 젖꼭지에 의해 포함된 더 큰 체적을 가졌다.
또한, 젖병으로부터 유체를 제거하기 위해 젖꼭지가 빨려지도록 디자인되었을 지라도, 아기들은 종종 젖꼭지를 씹는다. 따라서, 젖꼭지 및 기타 급식 부속품은 씹는 것을 견딜 수 있도록 디자인이 단단해야 한다. 젖꼭지를 씹음으로써, 유아에게 신경학상의 지연 또는 결손과 같은 급식 문제가 더 빈번하게 일어난다. 신경학상의 지연은 입 안에 놓여진 물건, 예컨대 젖꼭지가 유아에 의해 빈번하게 씹히는 동작을 유도한다.
급식 젖꼭지, 특히 보다 큰 직경 및 내부 체적을 갖는 것들을 빈번하게 씹는 동안, 유아는 젖병 그 자체 내에 공기 퍼짐을 촉진시킨다. 젖병 내에 도입된 공기는 젖병의 내부에서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증가된 압력은 젖병 내에 위치된 통기 튜브 내에서 액체 퍼짐을 강요한다. 압력하에서 액체는 통기 삽입체 및 통기 튜브를 가로질러 젖병을 나가서, 액체가 젖병으로부터 나오도록 한다.
또한, 도입되는 공기가 원통형 통기 튜브 내의 중간에서 멈출 때, 씹는 행동 에 의한 누출이 일어난다. 원통형 통기 튜브 내의 압력으로 인해, 약간의 액체가 유아의 씹는 행동에 의해 야기되는 공기 방울에 의해 통기 튜브에 잡힐 수 있다. 젖병이 뒤집어져서 유아를 위한 급식 위치에 있을 때 튜브로 들어오기 때문에, 공기 방울은 내보내야 한다.
그러나, 통기 튜브에 갇혀진 공기 방울은 통기 튜브의 말단부의 액체가 통기 튜브를 가로질러서 젖병의 말단부로 나갈 수 없게 한다. 액체가 통기 튜브에 의한 적절한 통기를 위해 이송 튜브의 확대 저장부로 들어오지 못하게 한다. 그런 다음, 이송 액체는 튜브의 통기 기능을 방해한다.
젖병에 빠는 동안 진공의 생성을 줄이는 공기 통기구멍을 제공하기 위해 많은 시도가 행해져 왔다. 로데릭에게 허여된 초기 미국특허 제598,231호는 U자형 튜브를 구비한 젖병을 갖는다. 그러나, 젖병을 들어올릴 때 일반적인 아기는 U자형 튜브에 약간의 액체를 남겼다. 남겨진 액체가 튜브를 막아서 주변 공기가 젖병 내의 진공을 제거할 수 없게 하였다. 반 클리브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927,013호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특허는 관련 형태의 기술을 보여주고, 용기의 내부로부터 공기를 배출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데이브포트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1,441,623호 및 페리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2,061,477호는 젖병 내로부터 공기를 배출하는 다른 수단을 보여준다.
이러한 출원의 앞선 연구에서, 미국특허 제5,779,071호 및 미국특허 제5,570,796호의 통기 및 내부 튜브는 빠는 동안 부분 진공의 형성을 방지하여 엎지러지는 것을 막았다. '071 특허는 젖병 내로 뻗어 있는 통기 튜브를 제공한다. 통기 튜브는 젖병 내에서 충분히 하방으로 돌출한 중공 원통 형상을 갖는다. '796 특허는 젖병 상의 표시 위에 위치된 저장부를 제공한다. 저장부는 빨려진 액체를 저장부에서 나온 공기와 교환하는 도관 시스템과 연통함으로써, 젖병 내에 부분 진공의 형성을 방지한다. 수많은 디자인의 젖병이 종래 기술에서 이용 가능하다. 많은 경우에 있어서, 유아에게 젖을 먹일 때, 내용물을 소모하는 동안 진공이 젖병 내에서 빈번하게 발생된다. 이러한 형태의 조건에 영향을 받을 때, 진공이 유아에게 다양한 물리적 손상을 야기한다고 생각된다. 유아의 빠는 행동으로 인해 젖병 내에서 발생된 진공은 이도와 같은 다양한 신체 부위의 위치에서 압력 불균형을 야기할 수 있어서, 체액, 귓병, 언어 지연, 운동발달지연, 발달 지연, 병 또는 기타 상황을 이끌 수 있다. 따라서, 젖병 내부에 진공의 생성을 방지하기 위해, 통기 수단을 통합한 젖병의 존재가 유아 양육 제품의 분야에서 바람직한 발달로 고려되어 왔다. 이러한 것이 출원인의 종래 '071 특허 및 '769 특허에 개시되었는데, 상부 근방에서 젖병 뚜껑의 외부로 통기를 위해 구비하는 저장 튜브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뒤접어졌을 때 젖병의 내용물이 소모되는 동안 통기 구멍으로 기능하도록 용기의 하부로 뻗어 있다.
한편, 현재의 발명은 젖병 내에서 공기 압력의 통기를 위한 수단을 구비하여, 젖병이 사용되든지, 직립 위치에서 저장되든지 또는 내용물을 소모하는 동안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뒤집어 지든지 상관없이 젖병 내에 진공 또는 압력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요지에 관련된 다른 미국특허는 브리에르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 189,691호, 르리브르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345,518호, 하데스티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679,144호, 리케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834,014호, 도날드슨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1,600,804호, 슈왑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2,156,313호 및 제2,239,275호, 기츠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2,610,755호, 파네티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2,742,168호, 블랙스톤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2,744,696호, 윌킨슨 등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3,059,707호, 브라운 등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5,570,796호를 포함한다. 또한, 영국특허 제273,185호 및 제454,053호는 관련 기술을 보여준다.
현 기술은 종래 기술인 젖꼭지 통기 젖병의 한계를 극복한다. 통기 튜브를 사용하는 젖병 내부에 진공을 줄일 필요가 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인 테이퍼 통기 튜브는 공기가 튜브로부터 신속하고 멀리 배출되도록 하고 액체가 저장부로 즉시 돌아오도록 함으로써, 젖병 내부에 진공의 형성을 제한한다. 통기 튜브의 확대된 인접 부분은 젖병으로부터 누출의 발생을 최소화한다. 본 발명은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고, 의도하지 않은 씹는 행동을 견디고, 씹는 행동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을 방산시킨다. 본 발명은 누출을 방지하고 연속적으로 젖병을 통기시킴으로써, 통기 튜브에 어떠한 공기 방울도 없어지게 한다.
따라서, 본원 발명은 통기 튜브의 형상을 변화시킴으로써 젖병 내부의 통기 튜브를 개선시킨다. 통기 튜브는 일반적으로 윤곽 형상을 갖고, 바람직하게는 우세하게 더 크고 열등하게 더 작은 원뿔의 직경을 갖는 원뿔 형상을 이룬다. 원뿔 형상은 공기를 병 내에서 멀리 넣으면서 동기 튜브의 저장부 내에서 액체 자체를 비운다. 원뿔 형상은 삽입체 내로 액체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직접 젖병을 통기시키고, 젖병으로부터 액체의 누출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기 튜브의 개선된 형태를 제공하여 액체와 공기의 내부 압력을 낮춘다. 압력이 젖병의 우유에 가해져서 통기 튜브 내에서 올라갈 때, 우유는 상부 와이더에서 통기 튜브의 넓어지는 특성으로 인해 힘을 잃는다. 원뿔 형상의 더 큰 직경은 젖병의 액체가 삽입체의 튜브로 근접하게 추진되고 누출을 야기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먼 단부에 대비되는 튜브의 가까운 단부에서 원뿔 형상의 더 큰 직경 때문이어서, 압축된 공기의 압력을 줄이고 액체가 저장부 내로 흐르게 한다. 삽입체 내에서 액체의 추진을 방지함으로써, 원뿔 형상은 젖병으로부터 누출을 방지한다.
또한, 원뿔형 섹션의 더 큰 직경은 저장부의 용량을 증가시킨다. 유아가 젖병을 비우고 액체 레벨이 최대값 이하로 떨어졌을 때, 저장부를 차지하는 액체는 더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저장부를 나간다. 보육자 또는 유아가 젖병을 똑바로 세웠을 때, 액체는 즉시 원추형 튜브의 더 큰 직경 내에서 저장부를 나가서 남아있는 액체를 젖병으로 복귀시킨다.
본 발명은 유아를 고려한 것이고, 젖꼭지 상에 유아의 씹는 행동에 의해 도입되는 공기 방울의 이동을 완료시켜서 통기 튜브의 먼 단부로 진행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통기 튜브의 저장부 내에 가깝게 (공기 방울의 앞에서) 액체를 이동시킨다. 의도한 바와 같이, 통기 튜브는 자동적이고 연속적인 방식으로 기능한다.
본 발명은 용기 또는 그릇 사이의 구조화된 관계 및 젖병 내의 유동식을 설 정한다. 젖병은 충분한 크기를 가지므로, 유동식이 준비되어 용기 내에 놓여진다. 유동식의 표면이 통기 목적을 위한 통기 포트 또는 용기의 외부를 향해 유도하는 통기구멍 아래에 배치된다. 또한, 급식하는 동안 유아 또는 보육자에 의해 용기가 뒤집어졌을 때조차, 액체 유동식은 임의의 위치에서 먼 삽입 통기구멍에 접근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념은 충분한 부피 및 체적을 갖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어서, 4온스, 6온스, 8온스 또는 어떤 크기 범주에 있든지 공급되는 유동식 또는 우유는 젖병을 위한 통기의 특성을 달성하는 동일한 통기 포트에 남을 것이다.
따라서, 젖병이 직립 방향으로 유지될 때 배출 목적을 위해 통기 포트는 개방되기 때문에, 어떤 양압력 또는 음압력을 용기에 구축할 수 없다. 급식을 준비함에 있어서 덥혀지거나 가열되는 동안, 그리고 급식하는 동안 젖병이 뒤집어질 때조차 유아의 빠는 행동의 결과로 발생하는 용기 내에 내부적으로 발생되는 음압력의 통기를 고려한 것이다.
충분한 내부 용적 측정 크기를 용기에 제공하는 특징이 큰 구형 형태 또는 원통형이며 각 표면 상에서 편평화된 것과 같은 과도한 치수를 갖거나 메이슨 병의 크기와 동등한 크기를 갖는 용기의 사용을 통해 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용기는 원통형이지만 측면에서 편평화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용기는 병 형태이거나 들어 올리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용기의 측면에 약간의 공동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용기의 구형 또는 원통형이 사용되는 경우, 표면 위에 놓여질 때 젖병에 안정성을 부가하기 위해 편평한 바닥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삽입체 내의 통기 포트는 제자리에서 통기 튜브, 삽입 체를 유지하는 나사형 칼라에 의해 용기의 상부에 고정되는 삽입체 내에 만들어진 측방 통기 슬롯, 용기 내의 통기 튜브 및 통상적인 젖꼭지와 협력한다. 통기 튜브와 연관된 삽입체 내의 통기 포트는 용기 내에서 똑바로 및 하방으로 개방할 수 있고, 유아용 유동식이 통기 튜브 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용기가 사용하는 동안 뒤집어졌을 때 통기를 가능하게 하도록 측면에 측방 포트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용기, 칼라 및 젖꼭지는 통상적인 형태일 수 있고,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형상화된 용기로부터 용적 측정 크기를 가진다. 그러나, 통기 포트는 젖병이 직립 방향으로 유지될 때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해 개방되기 때문에, 삽입체 내의 통기 튜브 및 포트는 '071 특허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칼라와 협력하기보다는 용기의 표면을 통해 뻗어 나올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에서 젖병이 놓여져 있거나 사용하는 동안 뒤집어졌을 때 유아용 유동식이 통기 포트 아래에 있거나 그 위에 있도록 용기가 어떤 형태 또는 구조를 소유하든지 상관없이 통기 튜브를 이끄는 통기 포트의 출입 지점에서 통기 포트의 배향은 형상화된 용기의 중심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젖병을 위해 새롭고 개선된 통기 튜브를 제공하는 것이 본원 발명의 목적이다.
삽입체 내에 액체의 도입을 방지함으로써 누출을 멈추게 하는 병이 갖는 액체 상의 압력을 제거하는 것이 본원 발명의 다른 목적이다.
병이 뒤집어졌을 때 공기 방울의 즉각적인 배출을 제공하는 것이 본원 발명 의 다른 목적이다.
원추형 형상의 큰 직경에 의해 야기되는 저장소의 체적에 분명한 증가를 제공함으로써, 저장소로부터 액체를 즉각적으로 비우는 것이 본원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
유아에게 음식을 먹이는 사용 기간 동안이나 병이 그 기부로 놓여 지는 비사용 기간동안, 저장, 가열 또는 쉬는 동안, 삽입체 내의 통기 포트가 용기 내에 포함된 유동식 또는 우유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적용범위를 벗어나게 하도록 중앙에 직접 배열되는 통기 튜브와 삽입체를 통합시키는 젖병으로서 사용하기 위해 용량 크기의 용기를 제공하는 본원 발명의 목적이다.
젖병의 사용 또는 비사용에 상관없이 용기 내에 발생된 압력 또는 진공의 연속적인 통기를 제공하는 젖병 내의 구조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본원 발명의 목적이다.
마직막으로, 젖병 내에 구조화되었을 때 표준 와이드 마우스 용기와 함께 사용하고 유아에게 유동식을 먹이기에 유용한 와이드 림 또는 다른 크기의 칼라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본원 발명의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은 도면과 연결하여 살펴보면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검토 및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재의 연구를 착수함에 있어서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용기 내에서 진공을 제거하고 용기로부터 누출을 방지하는 테이 퍼진 통기 튜브를 구비하는 완전 통기 와이드 림 또는 다른 크기의 젖병을 제공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한다. 도면, 특히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원 발명에 선행하는 완전 통기, 와이드 림 또는 다른 크기의 젖병이 개시되어 있다. 본원 발명의 결과를 연구하는 것을 달성하도록 용기 내에 충분한 용적 용량을 갖는 구형 용기(1)를 포함한다. 즉, 일반적으로 음식을 유아에게 공급하는 양에 적합하도록 도면 부호 "2"의 유아용 유동식이 용기 내에 넣어질 때, 통기 튜브(3)의 하부 아래에 있는 수위로 용기를 채우게 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삽입체 및 통기 포트(4)에서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다.
따라서, 젖병이 가열되고 있고 압력이 용기 내에서 증가될 때, 아무리 작더라도 발생된 압력을 흡수하여 대기, 즉 도시된 젖병의 외부로 통기되도록 하는 말단 삽입체의 통기 포트(4)의 개방 때문에 대기로 즉시 통기된다. 용기(1)의 상부 에지에 나사형으로 채택된 젖꼭지(5), 나사형 칼라(6) 및 통기 삽입체(7)는 이러한 구성 요소가 더 넓은 치수로 제조되는 예외와 함께 '071 특허에서 앞서 기재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모두 제조되어, 도시된 용기(1)에 대한 개구의 와이드 림 스타일에 끼워 맞춤으로써 표준 크기의 젖꼭지가 채택되더라도 삽입체 및 통기 포트와 같은 구조체와 용기 내에 채워지는 유동식의 표준량 수위 사이의 관계를 달성하도록 젖병에 대한 충분한 용적 용량의 형태를 제공한다. 사용하는 동안 본원 발명의 유리한 효과를 달성하게 한다. 또한, 앞서 검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젖병이 유아에게 음식을 먹이기 위해 뒤집어졌을 때, 유동식은 뒤집어진 용기(1)의 대향 측면으로 일어날 수 있지만, 말단 삽입체와 통기 포트(4) 아래에 있는 표면 수위를 가짐으로써, 음식을 먹이는 동안 유아에 의해 발생되는 빠는 행위 및 음식을 먹이는 동안 용기 내의 진공 또는 부분 진공의 형성이 통기 튜브(3)를 통해서 통기 삽입체(7)의 외부로 통기 포트(4)에 의해 연속적으로 통기된다. 본원 발명의 용기(1)는 사용중이 아닐 때, 저장시 또는 유동식 내용물의 소비를 위한 준비 과정에서 가열되거나 데워질 때, 젖병을 자유롭게 세우기 위해 용기의 바닥부에 작은 편평화된 표면(8)을 포함한다.
도2a는, 음식을 먹이는 과정동안 용기 내에 발생되는 부분 진공의 통기를 막지 않도록 유체 수위(2)가 개방된 통기 포트(4) 아래에 유지하는 방법을 개시하기 위해 용기(1) 및 음식을 먹이는 동안 뒤집혀진 용기의 젖병을 도시한다.
도3 및 도4는 통기 튜브(10)가 용기의 중심으로 통기 포트(12)를 배치한 용기의 바닥부(11)와 일체로 구성되는 추가적인 변경과 함께 젖병을 위한 용기(9)의 형태에 대한 변경례를 도시한다. 따라서, 이러한 젖병의 용기(9)가 어떤 위치에서 부착되어 있는지에 상관없이, 도시된 용기의 바닥 개구의 외부로 통기시키는 목적을 위해 유동식의 표면 수위(13)는 통기 포트(12) 내에서 공기 유동의 출입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는 저장 또는 음식을 섭취하는 동안 용기(9)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위치되거나 뒤집혀질 수 있든지에 개의치 않는다. 이러한 특정 경우에서, 나사형 칼라(15) 및 젖꼭지(16)는 통상적인 것이고, 젖병의 용적 용량을 증가시키고 특별한 발달을 위해 소망하고 요구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용기(9)의 와이드 림(17)과 나사 결합식으로 결합한다. 또한, 와이드 림 용기(9)의 구조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구형이지만, 도4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전방 및 후 방 표면에서 편평하게 되어 있어서 이러한 발달을 위해 소망하고 요구되는 바와 같이 유동식을 위한 용적 용량을 얻는다.
도5 및 도6은 도3 및 도4에서 앞서 기재된 바와 같이 수정된 젖병의 배면도 및 상면도를 제공한다.
도7 내지 도9는 본원 발명의 수정된 젖병을 도시하는데, 용기(18)는 메이스 용기 스타일을 가짐으로써, 도시된 용기의 나사(24) 상에 나사 결합식으로 결합하는 통기 튜브(20), 저장소 부분(25), 통기 삽입체(21), 젖꼭지(22) 및 나사형 칼라(23)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의 와이드 림(19) 스타일을 상부 단부에 공급한다. 도면 부호 "20" 내지 "23" 및 "25"의 구성요소는 용기(18)의 와이드 림 개구부(19) 상에 수용되기 위해 구성요소가 더 넓은 치수로 제조된 예외를 갖는 '071 특허에 기재된 구성요소와 구조면에서 매우 유사하다.
통기 튜브는 저장소와 같은 형상을 형성하는 상부의 내부 저장소 부분(25)과 연통하고, 이는 통기 삽입체(21)의 내부 통기 튜브(26) 상에 위치하고 그 내부에 위치하여 '071 특허에 설명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기능한다. 그러나, 이렇게 특수한 경우에, 삽입시에 용적 용기(18)의 와이드 림에 장착되기 때문에, 본원 발명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은 유리한 효과 및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통기 구조의 통기 포트(27)는 용기(18)의 내부 공간의 중심에 대략 배치된다. 그러므로, 용기에 채워지는 유동식의 표면 수위(28)는 통기 포트(27)에 대한 출입구 아래에 항상 있어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가 휴지 위치에 유지되든지 용기가 임의의 각도로 기울어지거나 뒤집어지든지, 음식을 먹이는 과정동안 측면 또는 임의의 위치에 위치 되든지에 상관없이 유동식에 의한 방해를 피할 수 있게 한다. 이는 대기 중으로 항상 통기되도록 하여 젖병을 가지고 젖을 먹이는 동안 용기 내에 발생되는 압력이 감소되도록 합니다. 또한, '071 특허의 검토 과정에 지적되는 것이 있다. 본원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을 달성하기 위해, 항상 통기가 제공되도록 이러한 통기 튜브 및 통기 삽입체 구조가 와이드 림 상에 삽입되어 칼라(23)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되는 되고, 말단 삽입체 및 통기 튜브(26)가 내부적으로 측방 통기 통로(29)와 연통하고 칼라(23)의 내부에서 대기 중으로 개방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8)의 측면은 도면 부호 "30"에서 처럼 일체형으로 오목하게 될 수 있다. 이는 사용하는 동안 보다 큰 크기의 병을 쥐거나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도10 내지 13은 대체로 사각형 형상인 용기(31)를 구비한 보다 큰 용량 크기의 젖병을 개시한다. 설치시 칼라(33), 지지된 젖꼭지(34), 통기 튜브(35) 및 통기 삽입체(36)를 수용하기 위한 와이드 림 개구부(32)를 갖는다.
통기 삽입체가 도14 및 도15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습니다. 통기 포트(37)의 바닥부가 개방되어 있고, 통기는 용기의 내부로부터 통기를 달성하기 위해 통기 튜브의 전방 및 후방으로 뻗어 있는 측방 포트(38)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또한, 측방 포트(38)는 젖병의 용적 중간 지점에 대략 배치됩니다. 게다가, 젖병이 급식동안 뒤집어졌을 때, 측방 통기부(38)가 유동식(39)의 출입을 방지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식의 수위는 본원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항상 통기 튜브(35)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다. 또한, 도15에 도시되고, '071 및 '796 특허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기, 즉 젖병의 외부로 사용하는 동안 젖병 내에 발생되는 진공 또는 압력 등의 배출을 허용하기 위해 통기 삽입체(36)는 통기 튜브(35)와 연통하는 측방 통기부(38)를 구비하여, 본원 발명의 유리한 효과 및 결과를 달성한다.
도16은 젖병의 구형 형태를 개시하는데, 젖병의 용기(61)는 칼라(63) 및 젖꼭지(64)과 나사 결합에 의해 와이드 림(62)에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통기 튜브(65)는 용기(61)의 바닥부로부터 일체형으로 상방향으로 뻗어 있고, 젖병의 바닥부 밖인 대기 중에 일체형으로 통기하며, 통기 튜브의 상단부에 측방 통기 포트(66)를 구비한다. 또한, 이러한 통기 포트는 본원 발명의 장점을 달성하기 위해 용기를 위한 용적 용량의 대략 중간 지점에 배열된다.
도18 및 도19는 본원 발명의 젖병에 대한 변형례를 개시하는데, 젖병의 용기(51)는 1차원적으로 대체로 사각 형상이지만, 수직 배치를 따라 보면 타원형 형태(52)를 갖는다. 칼라(53)는 젖병에 대해 젖꼭지(54) 및 일체형 용기(51)의 와이드 림(56)에서 통기 삽입체(55)를 지지한다. 말단 삽입체 및 통기 튜브(57)는 하방으로 뻗어 있고, 연장된 통기 튜브(58)를 포함함으로써, 바닥 단부에서 통기 포트(59)는 젖병을 위한 용기(51)의 용적 중간 지점에 대략 배치된다. 따라서,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젖병이 세워져 있든지 급식을 하는 동안 뒤집어져 있든지 상관없이 급식을 위해 용기에 담겨진 유동식(60)은 항상 통기 포트(59)의 배치 아래에 있다.
도20은 도16의 젖병과 비슷한 스타일의 젖병을 도시하지만, 이 실시예에서, 용기(47)는 편평화된 바닥부(48)와 상방향으로 뻗어 있는 통기 튜브(49)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통기 포트를 형성하는 통기 튜브의 상단부(50)는 용기의 대략 용적 중간 지점에 배치된다.
도21 내지 25는 본원 발명의 통기 튜브의 장치에 관한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21에서, 젖병은 와이드 림(68)에 장착한 용기(67), 나사형 칼라(69) 및 젖꼭지(70)를 구비한다. 통기 목적을 위해,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서, 통기 튜브(71)는 용기(67)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용기의 대략 중간 지점에서 기울어진 경사를 따라서 내부에서 반경방향으로 뻗어 있다. 통기 튜브는 대체로 중간 지점 위치에 배치된 통기 포트(72)를 구비한다.
따라서, 유아에게 일반적으로 먹여지는 양으로 용기 내에 제공된 유동식(73)은 항상 통기 포트(72)에 대한 출입구 아래에 있어서, 유동식의 누출을 일으키지 않는다. 이는 젖병이 보관되어 있든지 사용하는 동안 뒤집어지든지 상관없다.
도22는 젖병을 위한 반구형 스타일의 용기(74)를 도시한다. 젖병은 와이드 림(75)을 구비하고, 나사형 칼라(76) 및 젖병(77)이 와이드 림에 부착된다.
실시예에서, 도2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젖병의 통기 튜브와 비슷한 통기 튜브(78)가 용기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본원 발명의 장점을 달성하기 위해 용기의 대략 용적 중간 지점에 일체형으로 통기 포트(79) 및 보다 구체적으로 측방 포트(80)를 배치하기 위해 용기 내에서 기울어져 배열되어 있다.
도23은 도21에 기재된 것처럼 구조화된 젖병과 유사하지만, 이 실시예에서 용기(81)는 용기의 측면 아래로 배열되고 대기로 개방(83)되며 용기(81)의 대략 중간 지점에 구비된 통기 포트(84)를 갖는 통기 튜브(82)를 구비한다
도24는 도22에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젖병과 유사한 젖병에 대한 구조를 도시하지만,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서 용기(85)는 용기의 측면 아래(87)에 일체로 형성된 통기 튜브(86)를 갖는다. 이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기(85)의 벽을 통해 구비된 개구부(89)에 플랜지(88)의 부착에 의해서 구조적으로 용기에 채택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장점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통기 튜브(86)의 내부 단부는 용기의 대략 용적 중간 지점에 배치된 통기 포트(90)를 갖는다.
도25 및 도26은 본원 발명의 젖병에 대한 추가 수정예를 개시하고 있는데, 도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용기(91)는 수직 방향을 따라 보면 타원형 외관(92)을 갖고 있다.
충분한 용적 용량을 제공할 수 있도록, 용기에 추가되는 유동식의 표면(93)은 항상 사용시 젖병에 의해 차지되는 위치에 상관없이 통기 튜브(94) 및 통기 포트(95) 아래에 있다. 본원 발명의 통기 특성의 구조에 따르면, 도25 및 도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 튜브(94)는 형상 나사부(101)를 통해 통과함으로써 통기 삽입체(97)의 측면에서 측방으로 뻗어 있고 용기(91) 내에서 발달된 임의의 압력 또는 진공을 대기로 통기하는 것을 제공하는 측방 통기부(96)를 구비한다.
'071 특허 및 '796 특허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통기 삽입체(97)는 급식하는 동안 젖병이 뒤집어졌을 때 중간 공간(99)을 제공하고 유동식이 흐르는 일련의 지지 베인(98)을 포함한다. 그러나, 측방 통기부(96)는 이를 통해 임의의 압 력의 통과를 허용하거나 없도록 하는 통기 튜브(94)와 연통한다. 측방 통기부는 젖병의 칼라(100) 및 용기(91)의 와이드 림 구조의 나사부(101) 사이에서 나사식 연결부로 형성된 불완전한 밀봉을 통과함으로써 대기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용기(91)의 대략 용적 중간 지점에서 통기 포트(95)의 위치에 관한 임계성은 필수적이어서, 유동식이 용기 내에 채워져 있을 때 용기로부터 누출을 방지하여 젖병이 사용, 보관, 가열 또는 급식하는 동안 뒤집어져 있든지 통기가 효과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도27에 도시된 젖병 구성요소는 도13 내지 도15에서 앞서 조립되어 있는 젖병과 유사성을 공유한다. 도27은 액체 용기 또는 젖병보다 적은 구성요소의 분해도이다. 젖꼭지(115)는 젖병(1)에 고정하는 칼라(116)로부터 외부로 뻗어 있다. 칼라 및 젖병 사이에서, 통기 삽입체(117)는 젖병의 림을 움켜 잡는다. 통기 삽입체는 낮은 높이의 주변 벽(123)을 갖는 일반적으로 중공 원통 형상을 구비한다. 직경을 가로질러서, 통기 삽입체(117)는 도27a 및 2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젖병의 방향을 향해 중심 구멍을 갖는 측방 통기부(119)를 구비한다. 측방 통기부는 젖병(1) 및 대기 사이에서 공기와 일반적으로 연통하는 두개의 대향 개구부(118)를 구비한다. 도2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체(117)는 대형 립(121)과 그것과 동심이면서 대략 약간 아래에 있는 소형 립(122)을 구비한다. 벽(123)으로부터 의존하면, 통기 삽입체(117)는 인접한 중공 원통 형상이지만, 통기 삽입체보다 약간 작은 직경의 대형 립(121)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에서, 통기 삽입체는 설치하는 동안 젖병의 림 내에 빈틈없는 밀봉에 적용될 수 있음으로써, 삽입체의 구조 및 젖병에 적용 및 사용하는 것으로부터 요구되는 공기 통기보다 오히려 통기 삽입체에서의 누출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멍이 다른 형태가 가능할지라도 원추형으로써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윤곽형 통기 튜브(113)에 대하여 도면 부호 "114"로 제공된다. 게다가, 실시예에서, 통기 튜브의 하부는 표준 젖병 또는 와이드 림 젖병 등인지에 상관없이 본원 발명의 통기 구조가 채택하는 젖병의 내부 바닥에 근접하도록 완료된다. 대형 립은 대형 립보다 약간 큰 직경의 원주 벌지(bulge)(124)를 구비한다. 대형 립의 벌지는 젖병의 내부 직경에 대해 삽입체를 밀봉시킨다. 대형 립은 젖병의 내부 직경에 대해 외부 직경을 갖는다. 측방 통기부(119)에서 보면, 통기 삽입체(117)는 대형 립보다 더 작은 직경의 중공 원통 형상의 소형 립(122)을 갖는다. 소형 립은 저장소의 내부 직경의 외부 직경을 갖는다. 소형 립은 통기 삽입체(117)에 대해 본원 발명의 통기 튜브의 저장소(126)를 밀봉시킨다.
통기 튜브(113)는 개방 상부(127) 및 부분적으로 폐쇄된 바닥부(128)를 갖는 일반적으로 중공 원통 형상의 저장소(126)를 갖는다. 바닥부는 상부로부터 멀어질 수록 매끄럽게 둥글어진다. 바닥부(128)의 중심에서, 구멍(129)은 바닥부에 연결된 통기 튜브(113)에 통로를 제공한다. 통기 튜브는 저장소(126)를 향해 위치된 큰 직경부(130)와 멀리 위치된 좁은 직경부(131)를 갖는 중공 절두형 원추 형상을 이룬다.
통기 튜브(113)과 축방향으로, 통기 삽입체(117)는 측방 통기부(119)의 구멍에 집중되고 삽입 벽(123)에 대향하는 측방 통기부(119)에 수직하는 말단 삽입체 또는 내부 통기 튜브(120)를 구비한다. 내부 통기 튜브(120)는 직경을 초과한 길 이의 중공 원통이다. 내부 통기 튜브(120)는 공기와 연통하지만, 측방 통기부(119)로부터 통기 튜브(113)의 저장소(126) 내로 본원 발명의 액체를 공급하지 않다.
도28은 저장소(126)의 바닥부(128)에 대한 직경에 근접하고 유사한 큰 직경부(130)를 갖는 통기 튜브(113)만을 도시한다. 통기 튜브(113)는 좁은 직경부(131)를 향해 점점 멀어지면서 테이퍼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큰 직경부(130)는 약 2:1의 비율로 좁은 직경부(131)보다 대략 2배 크다.
또한, 도29는 이전 실시예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은 큰 직경부(130)를 갖는 통기 튜브(113)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큰 직경부(130)는 좁은 직경부(131)의 직경보다 적어도 1/8배 더 크다. 좁은 직경부(131)를 향해, 통기 튜브(113)는 이전처럼 멀어지면서 테이퍼진다. 본 실시예에서, 큰 직경부(130)는 약 1.1:1.0의 비율로 좁은 직경부(131)보다 약간 크다.
도30은 유아에 의해 쥐어진 상태에서 수평 배향 아래로 기울어진 젖병을 가지고 젖꼭지를 씹는 유아에 의해 사용중인 종래 기술의 젖병을 도시한다. 이러한 젖병(1)은 일정한 직경의 원통형 튜브를 갖는다. 아래로 기울어진 젖병에서, 튜브는 급식 액체와 접촉한다. 씹는 행위를 함으로써, 젖꼭지가 급속히 압축될 때, 액체 위에서 압축된 공기가 용기 내의 액체를 압축한다. 압축된 공기는 젖꼭지로부터 삽입체의 베인을 통해 용기 내로 진행하여, 액체를 압축한다. 압축된 공기는 직선형이면서 일정한 직경의 벽을 갖는 종래 기술의 통기 튜브 내로 액체를 강제로 상승시킨다. 통기 튜브의 액체는 갑자기 삽입체로 들어가고, 삽입체의 측방 포트 를 통해 젖병을 나간다. 그리하여, 배출된 액체는 유아 또는 보육자에게 누출된다.
도31에 도시된 본원 발명의 테이퍼진 통기 튜브는 통기 튜브 내로 도입되는 이송되는 액체를 분산시킨다. 윤곽형 튜브, 특히 원추형 튜브는 튜브 직경이 팽창하여 이송되는 액체가 종래 기술처럼 통기 포트 외부로 갑작스럽게 누출하는 대신에 저장소 내에서 부드럽게 흐르도록 하기 때문에 튜브 내에서 액체에 작용하는 압력을 분산시킨다. 도31의 젖병(1)은 원추형, 즉 좁은 말단 단부(131)로부터 넓은 근접 단부(130)가지 직경을 증가시키는 통기 튜브를 갖는다. 젖꼭지(5)를 씹는 유아는 액체(2)를 압축하지만, 통기 튜브의 증가하는 직경으로 인해 통기 튜브 내부에서 증가하는 체적을 감소시키고 삽입체(119)에서 젖병(1)을 나가서 칼라(6)의 외부로 누출하는 것으로부터 이송되는 액체(2)를 막는다. 증가하는 통기 튜브의 직경은 젖병(1) 내에서 압력이 증가하는 것을 제한하기 때문에, 젖병으로부터의 누출은 본원 발명에 의해 방지된다.
상술한 기재로부터, 완전 통기 와이드 림 또는 다른 직경의 젖병이 설명되어 왔다. 이러한 젖병은 통기 튜브 내의 압력 증가를 줄여서 젖병으로부터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젖병 및 다양한 구성요소는 많은 다른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지만, 폴리머,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유리, 나일론, 철금속 및 비철 금속, 이들의 합금 및 혼합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원 발명의 기술적 요지에 대한 변형 및 수정은 여기에 설명된 바와 같은 발달을 검토함으로써 당업자에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발달의 범위 내라면 변 형은 본원 발명의 원리 내에 포함되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재 및 도면의 도시는 단지 예시적인 목적을 설명할 뿐이다.
본원 발명은 통기 튜브의 형상을 변화시킴으로써 젖병 내부의 통기 튜브를 개선시킨다. 통기 튜브는 일반적으로 윤곽 형상을 갖고, 바람직하게는 우세하게 더 크고 열등하게 더 작은 원뿔의 직경을 갖는 원뿔 형상을 이룬다. 원뿔 형상은 공기를 병 내에서 멀리 넣으면서 동기 튜브의 저장부 내에서 액체 자체를 비운다. 원뿔 형상은 삽입체 내로 액체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직접 젖병을 통기시키고, 젖병으로부터 액체의 누출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기 튜브의 개선된 형태를 제공하여 액체와 공기의 내부 압력을 낮춘다. 압력이 젖병의 우유에 가해져서 통기 튜브 내에서 올라갈 때, 우유는 상부 와이더에서 통기 튜브의 넓어지는 특성으로 인해 힘을 잃는다. 원뿔 형상의 더 큰 직경은 젖병의 액체가 삽입체의 튜브로 근접하게 추진되고 누출을 야기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먼 단부에 대비되는 튜브의 가까운 단부에서 원뿔 형상의 더 큰 직경 때문이어서, 압축된 공기의 압력을 줄이고 액체가 저장부 내로 흐르게 한다. 삽입체 내에서 액체의 추진을 방지함으로써, 원뿔 형상은 젖병으로부터 누출을 방지한다.

Claims (12)

  1. 용기를 구비한 젖병 조립체이며,
    용기는,
    밀폐된 바닥 단부와,
    용기의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기 위해 개구부를 구비한 상부 단부와,
    용기의 상부 단부에서 개구부의 크기를 형성하는 내부 직경을 갖는 용기의 상부 단부의 림과,
    나사형 칼라와,
    젖꼭지와,
    용기의 상부 단부에서 개구부를 위한 덮개를 일반적으로 제공하고, 상기 젖병 조립체를 사용하는 동안 용기의 내부 공간의 통기를 추가로 제공하도록 형상화되고 배치되는 통기 삽입체를 구비하고,
    상기 통기 삽입체는 용기의 내부 공간 내에 일반적으로 배치된 말단부를 갖는 통기 튜브를 구비하며, 통기 튜브의 하부 단부는 통기를 용기하게 하도록 용기의 내부 공간에서 개방되어 있고,
    상기 통기 튜브는 저장소에 연결되고 대체로 중공 윤곽형 형태를 가지며, 윤곽형 형태의 큰 직경부는 상기 저장소에 근접하고,
    상기 통기 삽입체는 상기 용기 및 상기 저장소를 밀봉하고,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젖병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원추형 형태를 갖는 통기 튜브를 더 포함하는 젖병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개방 상부 및 보다 작은 대향 바닥부를 갖고 대체로 중공 원통 형태를 구비한 저장소와,
    가깝게는 큰 직경부 및 멀게는 대향 좁은 직경부를 구비한 통기 튜브와,
    용적 용량 및 용적 중심을 갖는 용기의 내부 공간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통기 튜브의 상기 좁은 직경부가 대체로 용기의 바닥 가까이에 배치된 젖병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튜브의 상기 큰 직경부는 상기 저장소의 직경 이하이고, 상기 통기 튜브의 상기 좁은 직경부를 초과하는 젖병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좁은 직경부에 의해 나눠지는 상기 큰 직경부의 비율이 적어도 2인 젖병 조립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좁은 직경부에 의해 나눠지는 상기 큰 직경부의 비율이 2보다 적은 젖병 조립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큰 직경부가 대략 0.60인치(1.524㎝)이고, 상기 좁은 직경부는 대략 0.30인치(0.762㎝)인 젖병 조립체.
  8. 제2항에 있어서, 바닥 단부로부터 용기의 상부 단부의 림까지의 길이 및 용기의 상부 단부의 림의 내부 직경에 의해 나눠지는 용기의 길이인 가로세로비를 갖는 상기 용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가로세로비가 약 3.0보다 작은 젖병 조립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약 2.80보다 작은 가로세로비를 갖는 젖병 조립체.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삽입체와 상기 용기 사이의 밀봉을 위한 대형 시일 및 상기 통기 삽입체와 상기 저장소 사이의 밀봉을 위한 소형 시일을 구비한 통기 삽입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젖병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주변 벽과 함께 양 단부에 중공 원통형 개구부를 구비한 상기 통기 삽입체와,
    상기 벽으로부터 상기 용기를 향해 매달린 상기 대형 시일과,
    상기 벽을 통해 양 단부에 상기 통기 삽입체 개구부의 직경을 가로질러 위치하고, 상기 용기를 향해 중심 구멍을 구비한 측방 통기부와,
    중심을 두고 상기 측방 통기부에 매달리고 상기 대형 시일과 대체로 동심인 상기 소형 시일과,
    상기 소형 시일과 동축이고, 상기 통기 삽입체에 중심을 두며, 상기 측방 통기부에 수직이고 상기 저장소와 연통하는, 중공 원통 형태를 갖는 내부 통기 튜브를 추가로 포함하는 젖병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삽입체를 상기 용기와 마찰 결합시키기 위해 주연 벌지를 구비한 상기 대형 시일과,
    상기 통기 삽입체를 상기 저장소와 마찰 결합시키기 위해 주연 벌지를 구비한 상기 소형 시일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용기 내의 액체가 상기 대형 시일 및 상기 소형 시일을 넘어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젖병 조립체.
KR1020050115219A 2005-06-14 2005-11-30 젖병 조립체 KR1008994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152,320 US20050258124A1 (en) 2002-10-30 2005-06-14 Fully vented wide rim nursing bottle with contoured vent tube
US11/152,320 2005-06-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0477A true KR20060130477A (ko) 2006-12-19
KR100899485B1 KR100899485B1 (ko) 2009-05-26

Family

ID=37810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5219A KR100899485B1 (ko) 2005-06-14 2005-11-30 젖병 조립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1895968B1 (ko)
JP (1) JP2008546446A (ko)
KR (1) KR100899485B1 (ko)
CN (1) CN101262839B (ko)
AU (1) AU2006259631B2 (ko)
BR (1) BRPI0611856B8 (ko)
CA (1) CA2611742C (ko)
ES (1) ES2557773T3 (ko)
RU (1) RU2420256C2 (ko)
WO (1) WO200613823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44378B1 (fr) * 2009-04-14 2011-06-10 Tn Int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pour le stockage et/ou entreposage d'un milieu liquide radioactif
US10166172B2 (en) * 2013-07-10 2019-01-01 Handi-Craft Company Dual configuration bottle assembly
WO2018031263A1 (en) * 2016-08-10 2018-02-15 Handi-Craft Company Bottle assembly vent insert with siphoning member
CN108525808B (zh) * 2017-03-03 2019-11-22 杨松 压药器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42914A1 (fr) * 1976-03-02 1977-09-30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de deux produits isoles l'un de l'autre avant la distribution
US4757911A (en) * 1985-12-09 1988-07-19 Abbott Laboratories Container and closure construction
JPH0358441U (ko) * 1989-10-12 1991-06-06
JPH0726252Y2 (ja) * 1990-02-10 1995-06-14 太陽誘電株式会社 円板状ワークの軸方向整列供給装置
JPH08187272A (ja) * 1995-01-09 1996-07-23 Wakoudou Kk 底蓋着脱自在哺乳瓶
US5678710A (en) * 1995-07-12 1997-10-21 Sheu; Miin-Tsang Nipple for nursing bottles
US5779071A (en) * 1995-08-04 1998-07-14 New Vent Designs, Inc. Nursing bottle with an air venting structure
US20040118801A1 (en) * 2002-10-30 2004-06-24 Brown Craig E. Fully vented wide rim nursing bottle
JP2003339825A (ja) * 2002-05-24 2003-12-02 Aprica Kassai Inc 哺乳瓶
DE202004010113U1 (de) * 2004-06-28 2004-08-26 Tung Ling Industrial Co., Ltd. Blähungsverhindernde Vorrichtung für Saugflasche
KR200367136Y1 (ko) * 2004-08-04 2004-11-10 퉁링 인더스트리얼 주식회사 포유병에 연결되는 가스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11742C (en) 2013-10-22
AU2006259631B2 (en) 2011-12-15
BRPI0611856B1 (pt) 2017-04-11
BRPI0611856B8 (pt) 2021-06-22
CN101262839B (zh) 2012-03-21
EP1895968B1 (en) 2015-11-04
WO2006138239A3 (en) 2007-08-16
CN101262839A (zh) 2008-09-10
AU2006259631A1 (en) 2006-12-28
ES2557773T3 (es) 2016-01-28
WO2006138239A2 (en) 2006-12-28
KR100899485B1 (ko) 2009-05-26
JP2008546446A (ja) 2008-12-25
RU2420256C2 (ru) 2011-06-10
RU2008100163A (ru) 2009-07-20
EP1895968A4 (en) 2014-05-07
CA2611742A1 (en) 2006-12-28
EP1895968A2 (en) 2008-03-12
BRPI0611856A2 (pt) 201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8165B2 (en) Fully vented wide rim nursing bottle with contoured vent tube
US20050258124A1 (en) Fully vented wide rim nursing bottle with contoured vent tube
US8113365B2 (en) Fully vented nursing bottle with single piece vent tube
CA2228431C (en) Nursing bottle
US8146759B2 (en) Fully vented wide rim nursing bottle with canted vent tube
US5570796A (en) Nursing bottle with an air venting structure
US6257429B1 (en) Drink dispenser for collapsible liquid containers
US8579130B2 (en) Fully vented wide rim nursing bottle with single piece vent insert
US20080217282A1 (en) Fully vented wide rim nursing bottle
US8757406B2 (en) Fully vented wide rim nursing bottle
KR100899485B1 (ko) 젖병 조립체
US8479934B2 (en) Bottle design with multiple seals
CA2714171C (en) Fully vented nursing bottle with single piece vent tube
KR200400237Y1 (ko) 충분히 통기되는 넓은 림 젖병
MXPA98000913A (en) Bi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