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0165A -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0165A
KR20060130165A KR1020067015697A KR20067015697A KR20060130165A KR 20060130165 A KR20060130165 A KR 20060130165A KR 1020067015697 A KR1020067015697 A KR 1020067015697A KR 20067015697 A KR20067015697 A KR 20067015697A KR 20060130165 A KR20060130165 A KR 20060130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multifilament yarn
polyester multifilament
yarn
heat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5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츠요시 마스다
히로유키 오사카
Original Assignee
데이진 화이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진 화이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진 화이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30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01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2Elastic yarns or threads ; Production of plied or cored yarns, one of which is elastic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08Interlacing constituent filaments without breakage thereof, e.g. by use of turbulent air str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자발 신장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A 와,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B 로 구성되는 폴리에스테르 혼섬사에 있어서, 그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A 가, 코어부와, 이 코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코어부에서 방사상으로 돌출된 복수의 핀부로 이루어지고, 또한 하기 (가) ~ (다) 식의 요건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혼섬사.
(가) 1/20 ≤ SB/SA ≤ 1/3
(나) 0.6 ≤ LB/DA ≤ 3.0
(다) WB/DA ≤ 1/4
(SA 는 코어부의 단면, DA 는 코어부의 단면이 진원일 때에는 그 직경 또한 진원이 아닐 때에는 그 외접원 직경을 나타내고, 또한 SB, LB 및 WB 는 각각 핀부의 단면적, 최대 길이 및 최대 폭을 나타낸다.)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 및 그 제조방법{POLYESTER DIFFERENTIAL SHRINKAGE BLENDED WOVEN YAR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발 신장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와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 혼섬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에 없었던 드라이 터치와 고반발성을 겸비한 포백을 얻기에 특히 바람직한 폴리에스테르 혼섬사에 관한 것이다.
열처리에 의해 신장되는 자발 신장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와, 열처리에 의해 수축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로 이루어지는 혼섬사는 열처리에 의해 부피가 커지고, 소프트하고 유연한 질감이 얻어지기 때문에, 직편물 용도를 비롯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 이러한 폴리에스테르 혼섬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각각 따로 제사한 자발 신장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와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를 에어젯 노즐로 혼섬하거나, 또는 이완 열처리를 행함으로써 자발 신장성이 되는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를 이완 열처리하면서, 이 이완 열처리 후의 자발 신장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에 연속적으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를 공급하여, 에어젯 노즐로 혼섬하는 방법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250425호 참조) 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 혼섬사를, 예를 들어, 고반발성 울라이크 터치를 갖는 소모조(梳毛調) 포백 등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완 열처리 후의 자발 신장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에 추가로 슬릿히터, 파이프히터 등의 비접촉형 히터를 사용하여, 고온으로 제 2 이완 열처리를 행하고, 그 후에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와 혼섬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그리고, 이 제 2 이완 열처리에 있어서는, 자발 신장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이 비접촉형 히터 내에서 흔들려 히터와 접촉하기 쉽기 때문에, 균염성이 악화되는 것과 함께 실 끊김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가 있고, 이것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하여, 예를 들어 특허 제 3054059호에는 이완 열처리에 의해 자발 신장성이 되는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와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를 미리 서로 얽히게 한 후에 이완 열처리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의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 혼섬사로는 소프트하고 유연한 질감은 얻어지지만, 드라이 터치한 질감이 우수하거나 또는 소프트하고 반발이 있는 포백을 얻을 수 없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자발 신장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와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로 이루어지고, 종래에 없었던 드라이 터치와 고반발성을 겸비한 포백을 얻기에 바람직한 폴리에스테르 혼섬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검토를 거듭한 결과, 자발 신장성이 되는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로서, 코어부와, 이 코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코어부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된 복수의 핀부이 되는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를 사용하면, 종래에 없었던 드라이 터치와 고반발성을 겸비한 포백을 얻는 것에 바람직한 폴리에스테르 혼섬사가 얻어지고, 그 때, 자발 신장성이 되는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와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를 미리 서로 얽히게 한 후에 이완 열처리하면, 얻어지는 혼섬사의 품질이 양호하게 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는 것에 달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자발 신장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A 와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B 로 구성되는 폴리에스테르 혼섬사에 있어서, 그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A 가, 코어부와, 이 코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코어부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된 복수의 핀부로 이루어지고, 또한 하기 (가) ~ (다) 식의 요건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혼섬사가 제공된다.
(가) 1/20 ≤ SB/SA ≤ 1/3
(나) 0.6 ≤ LB/DA ≤ 3.0
(다) WB/DA ≤ 1/4
(SA 는 코어부의 단면, DA 는 코어부의 단면이 진원일 때에는 그 직경 또는 진원이 아닐 때에는 그 외접원 직경을 나타내고, 또한 SB, LB 및 WB 는 각각 핀부의 단면적, 최대 길이 및 최대 폭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완 열처리를 행함으로써 자발 신장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A 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A' 와,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B' 를 정렬시켜, 오버피드 하에 인터레이스 노즐에 공급하여 서로 얽히게 한 후, 이완 열처리를 행하여 그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A' 에 자발 신장성을 부여하고, 추가로 비접촉 히터에 의해 제 2 이완 열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혼섬사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하여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A 의 필라멘트 횡단면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혼섬사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는,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된 반복 단위로 하는 폴리에스테르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고, 염색성, 항(抗)필성, 열수축특성 등을 개선하기 위해, 소량 (통상, 15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10몰% 이하) 의 제 3 성분을 공중합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다른 종류의 폴리머를 소량 (통상, 폴리에스테르에 대하여 10 중량% 이하) 혼합해도 된다. 추가로, 제전제(制電 劑), 염소제(艶消劑), 자외선 흡수제, 염색성 개량제의 첨가제를 배합한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혼섬사는 자발 신장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A 와,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B 로 구성되는데, 이 자발 신장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A 와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B 는, 동일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공중합 성분, 혼합 폴리머, 첨가제 등의 종류, 양이 다른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자발 신장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이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로 구성되고, 일방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이 제 3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이소프탈산 성분을 5 ~ 15몰% 정도 공중합된 (전체 산 성분을 기준) 폴리에틸렌테 레프탈레이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자발 신장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A 는, 2000 ~ 5000m/분 정도의 비교적 높은 방사 속도로 방사한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 (통상, 중간 배향사 POY 라고 한다), 또는 1OOOm/분 전후의 방사 속도로 방사한 저배향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 또는 중간 배향사를 저배율로 연신한 것을 이완 열처리하는 것 등에 의해 얻어진다.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저배향 미연신사를 저배율 연신한 후에, 90℃ 이하의 온도에서, 20% 이상 수축 처리하는 방법, 복굴절률이 0.02 ~ 0.08 의 중간 배향사를 (유리 전이점 +20) ℃ 이하의 온도에서 연신한 후, 이완 열처리하는 방법, 방사 속도 1500 ~ 4500m/분의 속도에서 방사한 복굴절률 (△n) 이 0.03 이상인 폴리에스테르 중간 배향사 (P0Y) 를 저온 연신한 후, 이 완 열처리하는 방법, 또는 동일한 중간 배향사를 2차 전이점 (Tg) ~ Tg +20℃ 의 범위로 연신후, 수축률 20% 이상에서 이완 열처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혼섬사를 제조할 때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A' 란, 자발 신장성을 부여하기 위한 이완 열처리를 행하기 전의 상태인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를 의미하고, 구체적으로는 중간 배향사 (P0Y) 또는 저배율 연신사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의 자발 신장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A 가 코어부와, 이 코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코어부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된 복수의 핀부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인 점, 이 때,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어부의 단면적 및 직경 (코어부가 진원이 아닐 때에는 외접원 직경) 을 각각 SA 및 DA, 또한 각 핀부의 단면적, 최대 길이 및 최대 폭을 각각 SB, LB 및 WB 로 할 때, 하기 (가) ~ (다) 의 요건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이 요점이다.
(가) 1/20 ≤ SB/SA ≤ 1/3
(나) 0.6 ≤ Ls/DA ≤ 3.0
(다) WB /DA ≤ 1/4
여기서, 1/20 > SB/SA 또는 1/3 < SB/SA 인 경우, 즉, 그 단면적이 코어부의 단면적의 1/20 보다 작거나, 또는 1/3 보다 큰 핀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얻어진 혼섬사의 드라이 터치감이 부족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0.6 > LB/DA 인 경우, 즉 그 최대 길이가 코어부의 직경의 0.6배 미만의 핀부가 존재하는 경우, 얻어지는 혼섬사의 드라이 터치감이 부족하고, 한편, 3.0 < LB/DA 인 경우, 즉, 그 최대 길이가 코어부의 직경의 3.0배를 초과하는 핀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핀부의 굴절이 발생하고, 거칠고 경직되 질감밖에 얻어지지 않거나 균염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리고, WB/DA > 1/4 인 경우, 즉 그 최대 폭이 코어부의 직경의 1/4 보다 큰 핀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혼섬사로 하였을 때에 소프트한 질감을 얻지 못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핀부의 최대 폭은 작을수록 소프트감이 증가하지만, 지나치게 너무 작으면, 핀부의 굴절이 발생하여, 균염성을 악화시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WB/DA 의 최소치는 1/8 정도에 멈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B 로서는, 비수 수축율이 8.0% 이상인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 연신사가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수 수축율이 10 ~ 16% 인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 연신사가 사용된다.이러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로서는, 열세트를 행하지 않은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 연신사, 제 3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이소프탈산을 5 ~ 15몰% 정도 공중합시킨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멀티필라멘트 연신사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혼섬사는, 자발 신장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 라멘트사 A 가 상대적으로 혼섬사의 외측에 위치하고,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B 가 상대적으로 혼섬사의 내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혼섬사의 질감을 개선하는 의미에서,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A 의 단섬유 섬도를 2 ~ 9dtex,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B 의 단섬유 섬도를 3 ~ 11dtex 로 하고, 또한, 전자가 후자보다도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발 신장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A 와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B 의 혼섬비는 심색(深色)ㆍ부풀림이라는 관점에서 중량비 (A:B) 로 8:2 ~ 5:5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혼섬사는 예를 들어 이하의 방법에 의해, 실 끊김의 발생이 적고 품질이 양호한 것을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도 2 에 나타낸 장치를 사용하여, 이완 열처리를 행함으로써 자발 신장성을 발현하는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A' 와,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B' 를 정렬시켜, 공급롤 (1) 과 제 1 인취롤 (가열롤) (2) 사이에 형성된 인터레이스 노즐 (3) 에 의해, 오버피드 하에서 서로 얽히게 한다.
도 2 에서는, 제 1 인수롤 (2) 이 가열되어 있고, 추가로 공급롤 (1) 과 제 1 인수롤 (2) 사이에서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A', B' 가 오버피드되어 있는 점에서, 제 1 인수롤 (2) 에 감긴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 A' 는, 이 롤 상에서 이완 열처리되어, 자발 신장성이 부여되게 된다. 이어서, 제 1 인수롤 (2) 과 제 2 인수롤 (4) 사이에 형성된 비접촉 히터 (5) 에 의해, 제 2 이완 열처리를 행하여 열고정을 행하여, 패키지 (6) 에 권취한다.
여기서,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A' 와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B' 를 서로 얽히게 할 때에는, 얽힘 수 50 ~ 90 개/m 의 얽힘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서는 오버피드율을 통상 1.0 ~ 1.5%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예와 같이, 제 1 인수롤 (2) 을 가열하고, 나아가 자발 신장성 부여를 위한 이완 열처리를 행하면, 장치가 콤팩트하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만, 인터레이스 노즐 (3) 에서 얽힘에 바람직한 오버피드율보다도 이완 열처리에 의해 자발 신장성을 부여하는 데 필요한 오버피드율 (이완율) 쪽이 큰 경우에는, 제 1 인수롤 (2) 의 하류측에 추가로 인수롤을 형성하고, 그 인수롤 사이에서 소정의 이완 열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 1 인수롤 (2) 을 가열롤로 하는 경우에, 이 롤 (2) 의 사조 (絲條) 입측의 직경보다도 사조 출측의 직경을 작게 하고 그 롤 상에서 소정의 오버피드율 (이완율) 로 열처리하도록 해도 된다.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A' 에 자발 신장성을 부여할 때의 이완 열처리에 있어서의 온도 및 오버피드율 (이완율) 은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A' 에 어떠한 실을 사용하는지에 따라 달라지는데, 예를 들어 2000 ~ 3500m/분, 바람직하게는 2500 ~ 3500m/분의 방사 속도로 방사한 중간 배향사 (POY) 를 사용하고, 제 1 인수롤 (가열롤) (2) 상에서 이완 열처리하는 경우에는, 롤 표면온도를 100 ~ 130℃, 오버피드율 (이완율) 을 1.0 ~ 1.5%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접촉 히터 (5) 에 의한 제 2 이완 열처리는 폴리에스테르 혼섬사에 고반발성 울라이크 터치의 소모조 포백로 하는 데 적절한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열고정처 리이고, 210℃ ~ 240℃ 에서, 1.5 ~ 2.5% 의 오버피드율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처리시간은 통상, 0.01 ~ 0.30초이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혼섬사의 비수 수축율는 통상, 5 ~ 13% 정도가 된다. 비접촉 히터 (5) 로는, 슬릿히터, 파이프히터 등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방법에 있어서는, 이완 열처리에 의해 자발 신장성이 되는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A' 와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B' 를 서로 얽히게 한 후, 이완 열처리하여 멀티필라멘트사 A' 에 자발 신장성을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것에 의해 제 2 이완 열처리 시에 사조가 비접촉 히터 (5) 에 접촉하는 일이 없고, 균염성이 양호한 폴리에스테르 혼섬사를, 실 끊김의 발생을 적게 하여, 안정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A' 를 단독으로 이완 열처리하여 자발 신장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로 하고, 제 2 이완 열처리에 의해 열고정한 후,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B 와 얽히게 하여 폴리에스테르 혼섬사를 제조하는 방법에서는, 비접촉 히터에 의해 제 2 이완 열처리 시에, 사조가 비접촉 히터에 접촉하여, 염색얼룩이 발생하는 것과 함께, 실 끊김도 많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추가로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고유점도가 0.62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용융하여, 3,000m/분의 방사 속도로 방사하고, 84dtex/24필라멘트 (단섬유 섬도:3.3 dtex) 의 폴리에스테르중간 배향사 (POY)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A') 을 얻었다. 또한, 이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의 SB/SA , LB/DA , WB/DA 는 표 1 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한편, 고유점도가 0.64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이소프탈레이트 공중합폴리에스테르 (이소프탈산을 10.0몰% 공중합) 를 280℃ 에서 용융하고, 1450m/분의 방사 속도로 방사한 미연신사를 87℃ 에서 2.9배로 연신하고, 비수 수축율 15%, 56 dtex/12필라멘트 (단섬유 섬도: 4.7dtex) 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실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B') 을 얻었다.
이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A' 및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B' 를 사용하고, 도 2 에 나타낸 장치로 폴리에스테르 혼섬사를 제조하였다. 즉, 양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A' 및 B') 를 정렬시켜, 공급롤 (1) 과 제 1 인수롤 (표면온도가 120℃ 의 가열롤) (2) 사이에 형성된 인터레이스 노즐 (3) 에 600m/분의 속도, 1.2% 의 오버피드율로 공급하고, 196kPa (2.0kg/㎠) 의 압공에 의해 서로 얽히게 하여, 65개/m 의 인터레이스를 부여하였다.
이어서, 1.2% 의 오버피드율인 상태로, 표면온도가 120℃ 의 가열롤 (2) 에 사조를 8회 권회하여, 이완 열처리를 행하고,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A' 에 자발 신장성을 부여하였다. 그 후, 가열롤 (2) 과 제 2 인수롤 (4) 사이에 형성된 슬릿히터 (5) 에 의해, 230℃ 에서, 2.0% 의 오버피드율로서 0.05초간, 제 2 이완 열처리를 행하여 열고정을 하여, 제 2 인수롤 (냉롤) (4) 에 2회 감은 후, 패 키지 (6) 에 권취하였다. 폴리에스테르 혼섬사의 제조 중, 슬릿히터 (5) 에 대한 사조의 접촉은 인정되지 않고, 실 끊김은 1일, 1추당, 겨우 1회였다. 얻어진 혼섬사를 경사 60개/cm, 위사 35개/cm 의 평직물로 직제하고,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135℃ 하에서 60분간 염색하여 흑색으로 염색하였다. 얻어진 염색포백은 종래에 없었던 드라이 터치와 고반발성을 겸비한 부풀림감이 있는 직물로서, 염색얼룩은 전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포백의 질감에 대해서는, 드라이 터치, 소프트감, 고반발성을 종합적으로 A (매우 양호) ~ D (불량) 의 4단계로 관능 판정하였다.
실시예 2, 3
실시예 1 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 A' 를 표 1 과 같이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같이 하여 폴리에스테르 혼섬사를 얻었다. 직물 질감, 균염성, 연신성은 표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두 양호한 결과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 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A' 를, 단독으로 1.2% 의 오버피드율로 표면온도가 120℃ 의 가열롤 상에서 이완 열처리하여 자발 신장성을 부여한 후, 230℃ 의 슬릿 히터에 의해, 2.0% 의 오버피드율로 0.05초간, 제 2 이완 열처리를 행하여 열고정을 하였다. 이어서, 얻어진 자발 신장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A 를,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B' 을 정렬시켜,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건으로, 인터레이스 노즐에 의해, 서로 얽힘 처리를 행하였다. 이 경우,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A' 의 제 2 이완 열처리에 있어서, 사조가 흔들려 슬릿히터에 접촉하는 현상이 많이 발생하고, 실 끊김이 1일, 1추당, 20회나 달하였다. 얻어진 혼섬사를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건으로 직성 염색한 바, 질감이 양호한 포백은 얻어졌으나, 염색얼룩의 발생이 인정되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 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 A' 를 환단면으로 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폴리에스테르 혼섬사를 얻었다. 표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균염성, 연신성은 양호한 결과이지만, 직물 질감은 드라이감이 전혀 없어, 목적으로 하는 직물 질감은 얻어지지 않았다.
핀 수 SB/SA LB/DA WB/DA 직물 질감 균염성 연신성
실시예1 4 1/4 1.0 1/5 A 양호 양호
실시예2 4 1/3 1.5 1/4 A 양호 양호
실시예3 6 1/4 0.8 1/5 B 양호 양호
실시예4 4 1/4 1.0 1/5 A 불량 부적합
비교예1 0 - - - D 양호 양호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혼섬사는, 종래에 없었던 드라이 터치와 고반발성을 겸비한 포백을 얻는 데, 나아가 실끊김 등이 발생하기 어렵고 균염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각종 직편물 용도로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6)

  1. 자발 신장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A 와,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B 로 구성되는 폴리에스테르 혼섬사에 있어서, 그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A 가, 코어부와, 이 코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코어부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된 복수의 핀부로 이루어지고, 또한 하기 (가) ~ (다) 식의 요건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혼섬사.
    (가) 1/20 ≤ SB/SA ≤ 1/3
    (나) 0.6 ≤ LB/DA ≤ 3.0
    (다) WB/DA ≤ 1/4
    (SA 는 코어부의 단면, DA 는 코어부의 단면이 진원일 때에는 그 직경 또한 진원이 아닐 때에는 그 외접원 직경을 나타내고, 또한 SB, LB 및 WB 는 각각 핀부의 단면적, 최대 길이 및 최대 폭을 나타낸다.)
  2. 제 1 항에 기재된 폴리에스테르 혼섬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이완 열처리를 행함으로써 자발 신장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A 가 되는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A' 와,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B' 를 정렬시켜, 오버피드 하에 인터레이스 노즐에 공급하여 서로 얽히게 한 후, 이완 열처리를 행하여 그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A' 에 자발 신장성을 부여하고, 추가로 비접촉 히터에 의해 제 2 이완 열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혼섬사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자발 신장성 부여를 위한 이완 열처리를 100 ~ 130℃ 에서의 가열롤러 상에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혼섬사의 제조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A' 와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B' 를 정렬시켜, 1.0 ~ 1.5% 의 오버피드율로 인터레이스 노즐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혼섬사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인터레이스 노즐에 있어서 50 ~ 90개/m 의 인터레이스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혼섬사의 제조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제 2 이완 열처리를 210 ~ 240℃ 에서 1.5 ~ 2.5% 의 오버피드율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혼섬사의 제조방법.
KR1020067015697A 2004-01-08 2004-12-27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301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02757 2004-01-08
JP2004002757 2004-01-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0165A true KR20060130165A (ko) 2006-12-18

Family

ID=34805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5697A KR20060130165A (ko) 2004-01-08 2004-12-27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70186533A1 (ko)
EP (1) EP1703004A4 (ko)
JP (1) JPWO2005071149A1 (ko)
KR (1) KR20060130165A (ko)
CN (1) CN1902346A (ko)
CA (1) CA2552861A1 (ko)
RU (1) RU2344213C2 (ko)
TW (1) TW200530446A (ko)
WO (1) WO20050711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96739A (zh) * 2018-07-04 2018-11-13 张家港市凯利雅特种纺织纱线有限公司 一种并纱包覆热定型装置
JP6703663B1 (ja) * 2019-10-28 2020-06-03 村昭繊維興業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マルチフィラメント混繊糸、布帛、ポリエステルマルチフィラメント混繊糸の製造方法及び布帛の製造方法
CN111118623B (zh) * 2019-12-29 2021-05-14 江苏恒力化纤股份有限公司 一种仿棉聚酯纤维及其制备方法
CN111778604A (zh) * 2020-07-06 2020-10-16 江苏征足者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制作可多次重复水洗的可回收环保酒店拖鞋的纱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5919A (en) * 1988-08-31 1990-10-30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Potential bulky polyester associated bundles for woven or knitted fabric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JP2770412B2 (ja) * 1989-05-15 1998-07-02 東洋紡績株式会社 複合マルチフィラメント
JP2770414B2 (ja) * 1989-05-17 1998-07-02 東洋紡績株式会社 織編物用ポリエステル複合糸条
US5486417A (en) * 1993-09-28 1996-01-23 Basf Corporation Mixed cross-section carpet yarn
DE69614790T2 (de) * 1995-02-28 2002-05-23 Teijin Ltd Polyester-filomentgarn,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araus hergestellte gewebte oder gestrickte erzeugniss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JP3365141B2 (ja) * 1995-04-28 2003-01-08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人工毛髪用異形断面繊維
US6673442B2 (en) * 2000-05-25 2004-01-06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ultilobal polymer filaments and articles produced therefrom
US6548166B2 (en) * 2000-09-29 2003-04-1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tretchable fibers of polymers, spinnerets useful to form the fibers, and articles produced therefrom
KR20040053141A (ko) * 2001-09-28 2004-06-23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이종 복합사, 그의 직물 및 제조 방법
US6673450B2 (en) * 2002-02-11 2004-01-0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oft hand, low luster, high body carpet fila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52861A1 (en) 2005-04-08
TW200530446A (en) 2005-09-16
RU2344213C2 (ru) 2009-01-20
RU2006128733A (ru) 2008-02-20
EP1703004A1 (en) 2006-09-20
WO2005071149A1 (ja) 2005-08-04
EP1703004A4 (en) 2009-01-21
US20070186533A1 (en) 2007-08-16
JPWO2005071149A1 (ja) 2007-07-26
CN1902346A (zh) 200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6560B2 (en) Conjugate fiber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6919131B2 (en) Latent-elasticity interlaced-textured yarn and suede-like elastic woven fabric produced using the same
KR101981757B1 (ko) 신축성이 우수한 면조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0635857B1 (ko) 멜란지 효과가 우수한 이수축 혼섬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60130165A (ko)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 및 그 제조방법
JPS6290345A (ja) 異繊度異収縮混繊糸
KR100476471B1 (ko) 이수축 혼섬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26551B1 (ko) 정경성 및 신축성이 우수한 빔 형태의 복합섬유 및 이를포함하는 신축성 편물
KR100635858B1 (ko) 스웨드 효과가 우수한 이수축 혼섬사 및 그의 제조방법
JPS6245326B2 (ko)
JP3054059B2 (ja) ポリエステル混繊糸の製造方法
KR20160080528A (ko) 원단의 터치감을 부드럽게 개선한 자연스러운 염색 농담차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혼섬사 및 그 제조방법
KR100624146B1 (ko) 스웨드 효과가 우수한 이수축 혼섬사 및 그의 제조방법
JP3526990B2 (ja) ポリエステル系異収縮混繊糸
JP2003336137A (ja) ポリエステル異収縮混繊糸
JPH03167333A (ja) 仮撚複合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123058A (ja) 嵩高布帛の製造法
JP2008115497A (ja) ポリエステル接合型複合フィラメント及びそれを用いた混繊糸
MXPA06007755A (en) Polyester differential shrinkage blended woven yar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20090113977A (ko) 방적사효과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가공사의 제조방법
JP2004003051A (ja) 異形異繊度異伸度混繊糸
JPH06316828A (ja) 潜在嵩高性混繊糸
JP2000226744A (ja) 特殊ポリエステルマルチフィラメント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302528A (ja) ポリエステル系自己伸長性分割型複合繊維とその混繊糸及び布帛
JPS633042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