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6551B1 - 정경성 및 신축성이 우수한 빔 형태의 복합섬유 및 이를포함하는 신축성 편물 - Google Patents

정경성 및 신축성이 우수한 빔 형태의 복합섬유 및 이를포함하는 신축성 편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6551B1
KR100726551B1 KR1020050114691A KR20050114691A KR100726551B1 KR 100726551 B1 KR100726551 B1 KR 100726551B1 KR 1020050114691 A KR1020050114691 A KR 1020050114691A KR 20050114691 A KR20050114691 A KR 20050114691A KR 100726551 B1 KR100726551 B1 KR 100726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composite fiber
stretchable
fiber
stre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4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6259A (ko
Inventor
오성진
손양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050114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6551B1/ko
Publication of KR20070056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6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6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6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2Elastic yarns or threads ; Production of plied or cored yarns, one of which is elastic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01D10/02Heat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01D10/06Washing or dry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98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24Bulked yarns or threads, e.g. formed from staple fibre components with different relaxation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8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elas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2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stiff, shape retenti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4Dye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경성(warping property) 및 신축성이 우수한 빔 형태의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신축성 편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A) 2종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를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by-side)형 단면을 가지도록 방사/권취하여 부분배향된 복합사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에서 수득한 부분배향된 복합사 200~2,000본을 동시에, 연신/정경 복합장치를 이용하여, 스프링 형태의 크림프 및 교락을 부여하며, 지름이 200~1,500 mm이고, 너비가 100~1,000 mm인 빔에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빔 형태의 신축성 복합섬유에 있어서, 상기 연신/정경 복합장치는 다단 연신/정경 복합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경성 및 신축성이 우수한 빔 형태의 신축성 복합섬유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신축성 편물이 제공된다.
신축성 복합섬유, 권축율, 정경성, 편물

Description

정경성 및 신축성이 우수한 빔 형태의 복합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신축성 편물{CONJUGATED FIBER OF BEAM WITH HIGH STRETCHABLE AND WARPING PROPERTIES, AND KNITTED FABRICS COMPRISING SAM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빔(beam) 형태의 신축성 복합섬유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된 연신/정경 복합장치의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원사 크릴(creel) 2: 사조 가이드
3: 제 1 핫롤러(1HR) 4: 제 2 핫롤러(2HR)
5: 제 3 핫롤러(3HR) 6: 핫플레이트(HP)
7: 제 4 핫롤러(4HR) 8: 제 5 콜드롤러(5CR)
9, 10: 잡사 디텍터(detector) 11, 14, 17: 장력 조절 장치(dancer)
12: 교락 부여용 에어 노즐
13: 결점(모우, 사절) 디텍터를 장착한 정경용 바디
15: 급유 가이드 16: 정경용 바디
18: 빔 타입(Beam type) 원사 19: 권취용 모터(motor)
본 발명은 정경성(warping property) 및 신축성이 우수한 빔 형태의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신축성 편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A) 2종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를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by-side)형 단면을 가지도록 방사/권취하여 부분배향된 복합사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에서 수득한 부분배향된 복합사 200~2,000본을 동시에, 연신/정경 복합장치를 이용하여, 스프링 형태의 크림프 및 교락을 부여하며, 지름이 200~1,500 mm이고, 너비가 100~1,000 mm인 빔에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빔 형태의 신축성 복합섬유에 있어서, 상기 연신/정경 복합장치로서 1단계 다단 연신/정경 복합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정경성 및 신축성이 우수한 빔 형태의 신축성 복합섬유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한 신장율 및 신장 회복율이 우수하고, 형태안정성을 지닌 신축성 편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본 공개특허 특개평6-212525호에는 폴리우레탄(spandex)사를 심사로 하고, 단섬유 방적사를 이펙트사로 하는 신축성 장단복합 코어얀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신축성 장단복합 코어얀을 사용하여 제직한 원단은 신축성은 양호하지만 몇 가지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즉, 침염시에 110~130℃의 고온, 습열하에서 스판덱스의 퍼짐현상(신축성 저하현상)이 발생하며, 특히 재염이상의 작업시에는 이와 같은 퍼짐현상이 가속화 되어서 공정불량률이 증가하였다. 또한, 제품 착용시에는 반복되는 텐션으로 인하여 스판덱스의 늘어짐 현상이 심하게 발생하는 폐단이 있다. 또한, 내염소성이 약하고 일반 폴리에스테르계 염료에는 염색이 되지 않아서 일반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와 혼용시, 염색공정이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염색견뢰도 측면에서도 불리하다.
따라서, 최근에는 2종의 폴리머를 이용하여 신축성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극한 점도차를 갖는 2종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2종을 사용하거나(일본 특개평 10-72732호, 일본 특개평 9-209217호), 또는 일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고수축성의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 발현성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일본 특개평 3-161519호, 일본 특개 2000-328378호, 일본 특개평 9-41234호)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외에도 약간의 스트레치성을 가지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를 사용한 방법도 제시되었다(미국 제 3,671,379호, 일본 특개 2000-248430호).
그러나 상기 2종의 폴리머를 사용한 신축성 섬유에서도, 섬유 자체의 권축(crimp) 특성에 의해 통상의 정경장치를 이용하여 정경(warping)하는 경우에는 모우 및 사절 발생이 빈번하며, 편물 적용을 위해 연신 및 정경을 별도로 하는 2단계 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불량 발생 및 비용 측면에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복합 섬유의 모우 및 사절 발생을 최소화하고, 이를 포함하는 신축성 편물의 신장율 및 신장 회복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신 및 정경 공정을 1단계로 수행하되, 다단공정을 채택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2종의 폴리머를 이용하여 부분배향된 복합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이렇게 수득한 부분배향된 복합사 200~2,000본을 동시에, 연신/정경 복합장치를 이용하여, 스프링 형태의 크림프 및 교락을 부여하며, 빔에 권취하는 단계로 구성된 방법으로 제조되는 빔 형태의 신축성 복합섬유에 있어서, 상기 연신/정경 복합장치는 다단 연신/정경 복합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형태의 신축성 복합섬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에 의해 달성한 신축성 복합섬유를 포함하고, 신장율 및 신장 회복율이 우수한 신축성 편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정경성 및 신축성이 우수한 빔 형태의 복합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신축성 편물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A) 2종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를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by-side)형 단면을 가지도록 방사/권취하여 부분배향된 복합사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에서 수득한 부분배향된 복합사 200~2,000본을 동시에, 연신/정경 복합장치를 이용하여, 스프링 형태의 크림프 및 교락을 부여하며, 지름이 200~1,500 mm이고, 너비가 100~1,000 mm인 빔에 권취하는 단계;
로 구성된 방법으로 제조되는 빔 형태의 신축성 복합섬유에 있어서,
상기 연신/정경 복합장치는 다단 연신/정경 복합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형태의 신축성 복합섬유에 관계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신축성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나누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A)단계:
2종의 폴리에스테르 폴리머를 각각 용융시켜, 특수 방사구금을 통해 방사하여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By-Side)형의 복합 섬유상 폴리머를 수득한다. 이때 두 폴리머의 복합비는 7:3~3:7이 적당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6~6:4가 적당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폴리머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머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로부터 제조된 것이며, 15몰% 이하의 범위에서 이소프탈산으로 치환된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머 또한 사용 가능하다.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머는 테레프탈산과 1,3 프로판디올의 중축합반응에 의해 제조된 것이다.
복합섬유를 구성하는 2종의 폴리머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에서 선택하여 조합시킬 수 있으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구성하는 것이 신축성 측면에서 더 바람직하다.
폴리머의 용융온도는 250~300℃ 정도가 바람직하며, 토출공을 통한 방사온도는 250~300℃ 정도가 가능하나, 방사공정성과 열분해문제를 고려하여, 바람직하게 는 260~290℃의 범위로 한다.
상기 수득된 복합사를 방사/권취하여 부분배향된 복합사(POY: Partially oriented yarn)를 수득한다.
방사시, 냉풍온도는 20℃, 냉풍속도는 0.4~0.5 m/초 정도가 적당하며, 제 1 고데트롤러 및 제 2 고데트롤러의 속도는 1,500~3,200 m/분인 것이 바람직하며, 온도는 별도의 가열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상온에서 실시한다.
(B)단계:
(A)단계에서 방사/권취하여 수득된 부분배향된 복합사를 도 2에 도시된 특수 연신/정경 복합장치를 이용하여, 200~2,000본의 부분배향된 복합사(POY)를 동시에 연신/정경하여 스프링 형상의 크림프를 부여한 신축성 복합섬유를 수득한다.
본 발명은 연신/정경을 1단계로 수행하며, 1, 2차로 나누어 다단 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신 및 정경을 2단계로 수행하는 경우에는 불량률이 높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연신 및 정경을 1단계로 수행하는 경우에도 다단 연신하지 않는 경우에는, 복합섬유의 권축성이나 정경성 및 복합 섬유로 제조한 편물의 신장율 및 신장회복율이 낮은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이 경우 1차 연신비는 1.3~4.0 수준이 적당하고 2차 연신비는 1.1~2.0 수준인 것이 바람직하며, 연신/정경속도는 보통 300~900m/분 수준인 것이 바람직하다. 1차 연신비가 1.3 미만인 경우, 2차 연신에서 연신비를 높이더라도 최종 원사의 신축성 및 품질 균일성이 떨어지고, 1차 연신비가 4.0을 초과하는 경우, 2차 연신에 서 연신비를 낮추더라도 너무 과도하게 연신되어 원사의 외관 및 정경성이 불량해진다. 또한, 2차 연신비가 1.1 미만인 경우, 다단 연신의 효과가 미흡해져 신축성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고, 2차 연신비가 2.0을 초과하는 경우 과연신에 의한 원사의 수축 특성이 증대하여 정경성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200~2,000본의 부분배향된 복합사는 크릴에서 풀려 제 1 핫롤러(1HR) 및 제 2 핫롤러(2HR)를 지나면서 연신이 가능한 상태(보통 유리전이온도(Tg) 이상)가 되고, 제 3 핫롤러(3HR)와 제 4 핫롤러(4HR) 사이에서 1차 연신이 되고 제 4 핫롤러(4HR)와 제 5 콜드롤러(5CR) 사이에서 2차 연신이 되며, 핫플레이트(HP)에서 열고정이 되어 지름 200~1,500 mm, 너비 100~1,000 mm의 빔에 권취된다. 이때 핫플레이트의 경우, 접촉식과 비접촉식이 모두 사용 가능하다. 각 핫롤러의 온도는 60~160℃, 핫플레이트의 온도는 120~180℃ 정도가 적당하며, 연신 및 열고정, 공기 교락 부여, 정경 단계를 거치면서 섬유에 스프링 형상의 크림프 및 교락이 부여된 200~2,000본의 정경된 빔 형태의 신축성 복합섬유를 수득할 수 있다. 제 5 콜드롤러(5CR)와 빔 사이에는 장력 조절 장치, 정경용 바디, 모우 및 사절 디텍터, 잡사 방지용 디텍터, 교락 부여용 공기노즐, 유제 부여용 급유 가이드 등을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신축성 복합 섬유는 장력에 매우 민감하므로 공정성 및 원사 균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제 5CR과 권취빔 사이에 3곳에 장력조절장치(Dancer)를 설치하여 공정간 0.03~0.1 g/d의 장력을 유지시켜 주었다. 공정간 장력이 0.03 g/d 미만시 원사 물성의 균일성이 떨어지고 0.1 g/d 초과시 과도한 장력에 의해 모우 발생 및 권취빔 원사의 형태가 불안정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신축성 복합섬유는 10만m 정경시, 그 결점수(모우, 사절)가 10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결점수가 10개를 초과하면 편물의 품위가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신축성 복합섬유는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권축율이 40~90%인 것이 바람직하다.
{권축율 = (L2-L1)/L1×100% --------------------------- (1)
(상기 식 중, L1은 섬유타래를 0.0015 g/d 하중하 건열(乾熱) 120℃ 중에서 5분간 처리하고, 실온 대기에서 동일 하중하에 10분간 방치하여 측정한 길이이고, L2는 상기 L1 측정후 0.1 g/d의 하중을 1분간 가한 후 측정한 길이이다.)}
상기 권축율이 40% 미만이면 편물로 제조시 신축성이 떨어지고, 90% 초과이면 방사 공정성 및 후공정성이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신축성 복합섬유는 최종 단사섬도가 1~6데니어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4데니어이다. 최종 단사섬도가 1데니어 미만이면 제조공정이 어려워지고, 6데니어를 초과하면 균일한 냉각이 어려우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다른 양상은, 상기 본 발명의 양상에 의해 제조한 빔 형태의 신축성 복합섬유를 정해진 비율로 혼용하여 탄력성 및 염색성 등이 우수한 편물을 편직하고 염색 가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제조한 신축성 편물에 관계한다.
이 경우 신축성 복합사를 10~40% 혼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축성 복합사의 혼용율이 10% 미만인 경우에는 편물의 신축특성 및 탄력성이 미흡하고, 4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염가공 조건 설정이 어려우며, 과도한 수축에 의한 편물의 조임감 및 염색 불량이 발생하기 쉽다.
본 발명의 신축성 복합사를 10~40% 혼용하여 편직된 생지(greige)는 내부의 열분포를 균등하게 한 연속식 열처리기에 의해서 20~60초 동안 100~190℃의 건열로 선셋팅하면서 오버 피드율은 3~25% 범위로 조절하고, 통상의 정련, 감량 및 축소, 염색, 기모 등의 가공을 한 후, 다시 20~60초 동안 150~190℃에서 열처리 전 포지에 비해 20%내로 확포시키며 형태안정화 건열 셋팅을 수행한다.
이 경우 150℃ 미만의 온도로 건열 셋팅을 하게되면, 형태안정화 셋팅이 미흡하게 되며, 190℃를 초과하는 온도로 셋팅가공을 하게되면, 가공 후의 신축성이 저하되고, 촉감 또한 소프트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열처리 시간이 20초 미만의 경우에는 셋팅이 미흡하며, 60초를 초과하면 포지의 신축성이 저하되고, 촉감 또한 소프트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편물의 신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상기 공정 중 선셋팅 공정은 거치지 않을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잠재 신축성 복합섬유로 편직한 생지는 상기한 염색가공을 거침으로써 신축성이 발현이 증대되어 10~50%의 신장율, 85% 이상의 신장 회복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탄력성 및 우수한 드레이프성을 가지며, 부드러운 촉감을 발현 시킨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신축성 복합섬유를 제조함에 있어서,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고, 방사온도 280℃, 냉풍온도 20℃, 냉풍속도 0.40 m/초, 방사속도 2,900m/분의 조건하에 특수방사구금이 구비된 방사/권취 설비를 이용하여 단사섬도가 3.4데니어가 되도록 부분배향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사(POY)를 제조하였다. 상기 방사/권취하여 수득된 부분배향된 복합사 470본을 도 2에 도시된 특수 다단 연신/정경 복합장치를 이용하여 다단 연신/정경함으로써 스프링 형상의 크림프를 부여한 단사섬도 2.1데니어급을 지닌 75데니어급 신축성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연신시 1차 연신비를 1.60, 2차 연신비를 1.15, 연신/정경속도를 760m/분, 제 1 핫롤러(HR)의 온도를 85℃, 제 2 핫롤러의 온도를 95℃, 제 3 핫롤러의 온도를 130℃, 제 4 핫롤러의 온도를 150℃, 핫플레이트(HP)의 온도를 140℃로 설정하여 실시하였고, 제 5 콜드롤러는 별도 가열하지 않았다. 제 5 콜드롤러(CR)와 권취 빔 사이에는 공기노즐을 설치하여 1.5KP의 공기압으로 교락을 부여하였고, 급유 가이드를 통해 15% 농도의 유제를 원사 무게의 0.90중량%의 양으로 공급하였으며, 도 2와 같이 정경용 바디 앞, 뒤에는 특수 장력조절기를 설치하여 일정 장력(0.1 g/d)을 유지하며 연신/정경하였다. 또한 결 점(모우, 사절) 발생시, 정경바디에 설치된 결점 디텍터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기 원사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19%의 혼용율로 편직한후, 수세, 액류 감량 및 축소, 열고정(Pre-Set), 염색, 열고정(Final Set)의 순서로 염가공을 진행하였다.
편직/염가공된 편물의 신축성, 신축 회복성, 형태안정성, 이염성 등을 상기 명시한 측정방법으로 각각 5회씩 측정하였고, 공정 조건 및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수득된 복합섬유는 정경성 및 권축성이 매우 우수하였고, 편물에 적용시 매우 우수한 신축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염색성 및 형태안정성, 이염성 등이 우수하였다.
(실시예 2)
신축성 복합섬유를 제조함에 있어서, 복합비를 40:60으로 설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방사하여 부분배향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사(POY)를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방사/권취하여 수득된 부분배향된 복합사 600본을 이용하여, 1차 연신비는 1.60, 2차 연신비는 1.10, 제 1HR 온도는 80℃, 제 2HR 온도는 90℃로 설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특수 다단 연신/정경 복합장치를 이용, 다단 연신/정경하여 신축성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상기 원사를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16%의 혼용율로 편직한후, 수세, 액류 감량 및 축소, 열고정(Pre-Set), 염색, 열고정(Final Set)의 순서로 염가공을 진행하였다.
편직/염가공된 편물의 신축성, 신축 회복성, 형태안정성, 이염성 등을 상기 명시한 측정방법으로 각각 5회씩 측정하였고, 공정 조건 및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수득된 복합섬유는 정경성 및 권축성이 매우 우수하였고, 편물에 적용시 매우 우수한 신축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염색성 및 형태안정성, 이염성 등이 우수하였다.
(실시예 3)
신축성 복합섬유를 제조함에 있어서, 방사온도를 275℃, 방사속도를 2,800m/분으로 설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방사하여 부분배향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사(POY)를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방사/권취하여 수득된 부분배향된 복합사를 이용하여 제 1HR 온도를 80℃, 제 2HR온도를 85℃로 설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특수 다단 연신/정경 복합장치를 이용, 다단 연신/정경하여 신축성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상기 원사를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26%의 혼용율로 편직한후, 수세, 액류 감량 및 축소, 열고정(Pre-Set), 염색, 열고정(Final Set)의 순서로 염가공을 진행하였다.
편직/염가공된 편물의 신축성, 신축 회복성, 형태안정성, 이염성 등을 상기 명시한 측정방법으로 각각 5회씩 측정하였고, 공정 조건 및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수득된 복합섬유는 정경성 및 권축성이 매우 우수하였고, 편물에 적용시 매우 우수한 신축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염색성 및 형태안정성, 이염성 등이 우수하였다.
(실시예 4)
신축성 복합섬유를 제조함에 있어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이용하고 복합비를 60:40, 방사속도를 2,600m/분으로 설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방사하여 부분배향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사(POY)를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방사/권취하여 수득된 부분배향된 복합사 600본을 이용하여, 1차 연신비를 1.60, 2차 연신비를 1.20, 제 1HR 온도를 80℃, 제 2HR 온도를 85℃, HP온도를 150℃, 제 4HR온도를 160℃로 설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특수 다단 연신/정경 복합장치를 이용, 다단 연신/정경하여 신축성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상기 원사를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19%의 혼용율로 편직한후, 수세, 액류 감량 및 축소, 열고정(Pre-Set), 염색, 열고정(Final Set)의 순서로 염가공을 진행하였다.
편직/염가공된 편물의 신축성, 신축 회복성, 형태안정성, 이염성 등을 상기 명시한 측정방법으로 각각 5회씩 측정하였고, 공정 조건 및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 내었다.
수득된 복합섬유는 정경성 및 권축성이 매우 우수하였고, 편물에 적용시 매우 우수한 신축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염색성 및 형태안정성, 이염성 등이 우수하였다.
(비교예 1)
신축성 복합섬유를 제조함에 있어서,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방사하여 단사섬도가 3.4데니어가 되도록 부분배향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사(POY)를 제조하였다. 상기 방사/권취하여 수득된 부분배향된 복합사 470본을 도 2에 도시된 특수 다단 연신/정경 복합장치를 이용하여 연신/정경하여 스프링 형상의 크림프를 부여한 단사섬도 2.1데니어급을 지닌 75데니어급 신축성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연신시 연신비를 1.65, 연신/정경속도를 760m/분, 제 1HR 온도를 상온, 제 2HR의 온도를 80℃, 제 3HR의 온도를 95℃, 제 4HR의 온도를 40℃, 핫플레이트의 온도를 135℃로 설정하여 실시하였으며, 제 1 및 제 5 콜드롤러는 별도 가열하지 않고 연신비는 제 3 HR과 제 4HR에서만 연신되고 HP에서 열고정 되도록 설정하였다. 제 5 콜드롤러와 권취 빔 사이에는 공기노즐을 설치하여 1.3KP의 공기압으로 교락을 부여하였고, 급유 가이드를 통해 15% 농도의 유제를 원사 무게의 0.90중량%의 양으로 공급하였으며, 도 2와 같이 정경용 바디 앞, 뒤에는 특수 장력조절기를 설치하여 일정 장력(0.1 g/d)을 유지하며 연신/정경하였다. 또한 결점(모우, 사절) 발생시, 정경바디에 설치된 결점 디텍터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기 원사를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19%의 혼용률로 편직한후, 수세, 액류 감량 및 축소, 열고정(Pre-Set), 염색, 열고정(Final Set)의 순서로 염가공을 진행하였다.
편직/염가공된 편물의 신축성, 신축 회복성, 형태안정성, 이염성 등을 상기 명시한 측정방법으로 각각 5회씩 측정하였고, 공정 조건 및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수득된 복합섬유의 정경성 및 편물 적용시 염색성 및 형태안정성, 이염성 등은 우수하였으나, 원사의 권축성 및 편물에 적용시 신축특성이 다소 미흡하였다.
(비교예 2)
신축성 복합섬유를 제조함에 있어서,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방사하여 단사섬도가 3.4데니어가 되도록 부분배향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사(POY)를 제조하였다. 상기 방사/권취하여 수득된 부분배향된 복합사를 통상의 연신장치를 이용, 연신하여 스프링 형상의 크림프를 부여한 단사섬도 2.1데니어급을 지닌 75데니어급 신축성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연신시 연신비를 1.65, 연신속도를 760m/분, 핫롤러의 온도를 80℃, 핫플레이트의 온도를 140℃로 설정하여 실시하였으며, 콜드롤러와 권취 섬유타래 사이에는 공기노즐을 설치하여 1.3KP의 공기압으로, 교락을 부여하였다. 상기 연신하여 수득된 신축성 부분배향된 복합사 600본을 통상의 정경기를 이용하여 정경하였다.
편직/염가공된 편물의 신축성, 신축 회복성, 형태안정성, 이염성 등을 상기 명시한 측정방법으로 각각 5회씩 측정하였고, 공정 조건 및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수득된 복합섬유의 편물 적용시 염색성 및 형태안정성, 이염성 등은 우수하였으나, 원사의 정경성, 권축성 및 편물에 적용시 신축특성이 미흡하였다.
(비교예 3)
신축성 복합섬유를 제조함에 있어서, 복합비가 75:25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방사하여 단사섬도가 3.4데니어가 되도록 부분배향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사(POY)를 제조하였다. 상기 방사/권취하여 수득된 부분배향된 복합사를 이용하여 비교예 2와 동일하게 연신하여 단사섬도 2.1데니어급을 지닌 75데니어급 신축성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상기 연신하여 수득된 신축성 부분배향된 복합사 470본을 사용하여 비교예 2와 동일하게 정경하였다.
편직/염가공된 편물의 신축성, 신축 회복성, 형태안정성, 이염성 등을 상기 명시한 측정방법으로 각각 5회씩 측정하였고, 공정 조건 및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수득된 복합섬유의 편물 적용시 염색성 및 형태안정성, 이염성 등은 우수하였으나, 원사의 정경성, 권축성 및 편물에 적용시 신축특성이 매우 미흡하였다.
(비교예 4)
섬유를 제조함에 있어서, 표 1과 같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여 단방사로 방사온도 285℃, 방사속도 3,200m/분으로 방사하여 단사섬도가 3.4데니어가 되도록 부분배향된 섬유(POY)를 제조하였다. 상기 방사/권취하여 수득된 부분배향된 복합사를 이용하여 연신비를 1.67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2와 동일하게 연신하여 단사섬도 2.1데니어급을 지닌 75데니어급 섬유를 제조하였다. 상기 연신하여 수득된 원사를 신축성 커버링사의 초사로 하고 70데니어급 스판덱스를 심사로 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스판덱스 커버링사를 제조한후, 비교예 2와 동일하게 정경하였다.
상기 원사를 이용하여 스판덱스 커버링사를 이용하는 통상의 방법으로 편직한후, 수세, 액류 감량 및 축소, 열고정(Pre-Set), 염색, 열고정(Final Set)의 순서로 염가공을 수행하였다.
편직/염가공된 편물의 신축성, 신축 회복성, 형태안정성, 이염성 등을 상기 명시한 측정방법으로 각각 5회씩 측정하였고, 공정 조건 및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수득된 복합섬유의 정경성 및 권축성, 편물 적용시 신축성은 우수하였으나, 재염시 신축성, 염색성, 형태안정성, 이염성 등이 매우 미흡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원사 종류 PET/PTT PET/PTT PET/PTT PET/PTT PET/PTT PET/PTT PET/PTT PET/Span
점도 (dl/g) 0.60/1.02 0.60/1.02 0.55/1.02 0.60/1.25 0.60/1.02 0.60/1.02 0.60/1.02 0.55/-
복합비 50:50 40:60 50:50 60:40 50:50 50:50 75:25 -
방사 방사온도 (℃) 280 280 275 280 280 280 280 285(PET)
방사속도 (m/분) 2,900 2,900 2,800 2,600 2,900 2,900 2,900 3,200(PET)
연신/정경 연신/정경 본수 470 600 470 600 470 600 470 470
연신비 (1차/2차) 1.60/1.15 1.60/1.10 1.60/1.15 1.60/1.20 1.65 1.65 1.65 1.67
1HR 온도 (℃) 85 80 80 80 상온 80 80 80
2HR 온도 (℃) 95 90 85 85 80 없음 없음 없음
3HR 온도 (℃) 130 130 130 130 95 없음 없음 없음
HP 온도 (℃) 140 140 140 150 135 140 140 140
4HR 온도 (℃) 150 150 150 160 40 없음 없음 없음
5CR 온도 (℃) 상온 상온 상온 상온 상온 상온 상온 상온
연신/정경속도 (m/분) 760 760 760 760 760 760 760 760
결점수 (개/ 10만m) 3 4 5 8 8 24 25 8
원사 권축율 (%) 52 58 60 68 36 30 22 88
편물 신장율 (%) 31 33 38 41 27 24 20 51
회복율 (%) 90 92 91 91 88 88 86 84
재염후 신장율(%) 29 30 35 38 23 21 17 26
형태안정성 (바가지)
염색외관
이염성
※ 실시예 1~4에서는 본 발명의 특수 다단 연신/정경 복합기(HR(Hot Roller): 4개, CR(Cold Roller): 1개, HP(Hot Plate): 1개)를 이용하여 1단계 다단 연신/정경을 수행하였다.
※ 비교예 1에서는 본 발명의 특수 다단 연신/정경 복합기(HR(Hot Roller): 4개, CR(Cold Roller): 1개, HP(Hot Plate): 1개)를 이용하여 1단계 1단 연신/정경을 수행하였다.
※ 비교예 2~4에서는 통상의 연신기(HR: 1개, HP: 1개, CR: 1개) 및 정경기를 이용하여 2단계 연신/정경을 수행하였다.
(물성측정방법)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신축성 복합섬유의 물성은 하기의 평가기준 및 측정방법에 의해 측정되었다.
(1) 원사 결점수(개/10만m) : 도 2에 도시된 특수 연신/정경 복합장치 또는 통상의 정경기를 이용하여 10만m 정경시, 발생하는 원사의 결점(사절, 모우 등)수를 측정하였다.
(2) 권축율(%) 측정 : 하기 식의 L1 및 L2를 측정하여 구해진 값을 식 (1)에 대입하여 산출하였다.
{권축율 = (L2-L1)/L1×100% --------------------------- (1)
(상기 식 중, L1은 섬유타래를 0.0015 g/d 하중하 건열(乾熱) 120℃ 중에서 5분간 처리하고, 실온 대기에서 동일 하중하에 10분간 방치하여 측정한 길이이고, L2는 상기 L1 측정후 0.1 g/d의 하중을 1분간 가한 후 측정한 길이이다.)}
(3) 신장율(%) : JIS L 1096 B법(정하중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4) 신장회복율(%) : JIS L 1096 B-1법(정하중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5) 편물의 형태안정성(편물의 늘어짐 현상 ; 바가지 현상) :
7.5㎝×30㎝ 크기의 시료를 KSK 0520의 인장강도 측정기(UTM)로 클램프에 물려서 5KG의 하중을 10초간 준 후, 하중을 제거하고 10분이 지난 다음 편물의 형태안정성을 하기하는 바와 같이 외관으로 평가하였다.
◎ : 9~10점, ○: 7~8점, △ : 5~6점, ×: 5점 이하(총 10점 만점)
(6) 재염후 신장율(%) :
1차 가공한 원단을 다시 액류 염색기에서 130℃에서 30분간 습열 고온 염색을 실시한 후, KSK 0352 5.2.2의 측정방법으로 신축성을 측정하였다.
(7) 이염성(편물의 염색이 다른 부분에 전이되는 현상) :
30㎝×30㎝ 크기의 염색된 편물 시료를 동일 크기의 염색하지 않은 폴리에스테르 100% 편물과 함께 500ml 비이커 중에서 100℃로 30분 끓인 후 염색하지 않은 폴리에스테르 100% 편물에 이염되는 정도를 하기하는 바와 같이 외관으로 평가하였다.
◎ : 9~10점, ○: 7~8점, △ : 5~6점, ×: 5점 이하(총 10점 만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빔 형태의 신축성 복합섬유는 통상의 방사설비 및 특수 연신/정경 복합설비에 의해 제조 가능하며, 1단계 공정으로 다단연신 및 정경이 가능하므로, 우수한 정경성(결점수: 10회 이하/10만m) 및 권축특성(권축율 40~90%)을 가지고, 염가공 공정진행시 염색성 및 견뢰도가 우수하며 재염 이상의 작업후에도 신축성이 저하되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아서 염가공 불량률을 줄이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이 용이하고 염색성, 형태안정성 및 이염성, 부드러운 터치감을 발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빔 형태의 신축성 복합섬유는 40~90%의 권축율을 가지며, 제품 적용시 염색성이 우수하고 이염현상이 없으며, 신축성의 저하 및 퍼짐현상이 없어 탄력성이 뛰어나고 부드러운 촉감을 갖는다.
유사한 연신/정경 복합 장치를 이용하더라도 1단 연신을 할 경우 보다, 다단 연신하는 경우 권축율과 제품의 신축특성이 더 우수하다. 또한, 편물 적용시 연신 및 정경을 별도로 하던 종래 2단계 공정을 연신 및 정경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1단계 공정으로 단축하여 불량 발생 및 비용 절감 측면에서 유리하다.

Claims (9)

  1. (A) 2종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를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by-side)형 단면을 가지도록 방사/권취하여 부분배향된 복합사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에서 수득한 부분배향된 복합사 200~2,000본을 동시에, 연신/정경 복합장치를 이용하여, 스프링 형태의 크림프 및 교락을 부여하며, 지름이 200~1,500 mm이고, 너비가 100~1,000 mm인 빔에 권취하는 단계;
    로 구성된 방법으로 제조되는 빔 형태의 신축성 복합섬유에 있어서,
    상기 연신/정경 복합장치는 1개의 콜드롤러, 4개의 핫롤러 및 1개의 핫플레이트를 갖춘 다단 연신/정경 복합장치이며, 연신비는 1차 연신비가 1.3~4.0이고, 2차 연신비가 1.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형태의 신축성 복합섬유.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2종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형태의 신축성 복합섬유.
  4. 제1항에 있어서, 2종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형태의 신축성 복합섬 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복합섬유는 10만m 정경시, 그 결점수(모우, 사절)가 10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형태의 신축성 복합섬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복합섬유는 하기 식 (1)로부터 구해지는 권축율이 40~90%인 빔 형태의 신축성 복합섬유:
    {권축율 = (L2-L1)/L1×100% --------------------------- (1)
    (상기 식 중, L1은 섬유타래를 0.0015 g/d 하중하 건열(乾熱) 120℃ 중에서 5분간 처리하고, 실온 대기에서 동일 하중하에 10분간 방치하여 측정한 길이이고, L2는 상기 L1 측정후 0.1 g/d의 하중을 1분간 가한 후 측정한 길이이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복합섬유는 최종 단사섬도가 1~6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형태의 신축성 복합섬유.
  8.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신축성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편물로서 신장율이 10~50%이고, 신장 회복율이 8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편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복합섬유의 혼용률이 10~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편물.
KR1020050114691A 2005-11-29 2005-11-29 정경성 및 신축성이 우수한 빔 형태의 복합섬유 및 이를포함하는 신축성 편물 KR100726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691A KR100726551B1 (ko) 2005-11-29 2005-11-29 정경성 및 신축성이 우수한 빔 형태의 복합섬유 및 이를포함하는 신축성 편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691A KR100726551B1 (ko) 2005-11-29 2005-11-29 정경성 및 신축성이 우수한 빔 형태의 복합섬유 및 이를포함하는 신축성 편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6259A KR20070056259A (ko) 2007-06-04
KR100726551B1 true KR100726551B1 (ko) 2007-06-11

Family

ID=38354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4691A KR100726551B1 (ko) 2005-11-29 2005-11-29 정경성 및 신축성이 우수한 빔 형태의 복합섬유 및 이를포함하는 신축성 편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65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89667B2 (ja) * 2018-03-16 2022-12-14 Kbセーレン株式会社 ストレッチ性布帛の製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3009A (en) 1972-01-31 1977-08-23 Textured Yarn Co., Inc. Strand treatment
KR930019879A (ko) * 1992-03-05 1993-10-19 공정곤 인공잔디용 원사가공 장치
JP2003129345A (ja) 2001-10-25 2003-05-08 Toray Ind Inc ポリエステル系複合仮撚加工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34264A (ko) * 2003-10-09 2005-04-14 주식회사 효성 폴리에스테르계 신축성 복합 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50061648A (ko) * 2003-12-18 2005-06-23 주식회사 효성 정경성이 개선된 빔 형태의 신축성 복합섬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3009A (en) 1972-01-31 1977-08-23 Textured Yarn Co., Inc. Strand treatment
KR930019879A (ko) * 1992-03-05 1993-10-19 공정곤 인공잔디용 원사가공 장치
JP2003129345A (ja) 2001-10-25 2003-05-08 Toray Ind Inc ポリエステル系複合仮撚加工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34264A (ko) * 2003-10-09 2005-04-14 주식회사 효성 폴리에스테르계 신축성 복합 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50061648A (ko) * 2003-12-18 2005-06-23 주식회사 효성 정경성이 개선된 빔 형태의 신축성 복합섬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6259A (ko) 2007-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9813B1 (ko) 소프트 스트레치사 및 제조 방법
EP2017378B1 (en) Process for making stretch woven fabrics
JP6270161B2 (ja) ポリトリメ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を含む経編生地
US6919131B2 (en) Latent-elasticity interlaced-textured yarn and suede-like elastic woven fabric produced using the same
KR101870833B1 (ko) 다중 수축 폴리에스테르 고신축성 복합사 및 이를 이용한 직물의 제조방법
KR101543113B1 (ko)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가공사
KR100726551B1 (ko) 정경성 및 신축성이 우수한 빔 형태의 복합섬유 및 이를포함하는 신축성 편물
JP2002088577A (ja) ポリアミド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用途
KR20120022153A (ko) 고신축성 혼섬사의 제조방법
JP2021161559A (ja) ポリエステル複合繊維
KR100476471B1 (ko) 이수축 혼섬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19597B1 (ko) 신축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계 원사의 제조방법 및 그에의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원사
JP2007154343A (ja) ポリエステル芯鞘複合型部分配向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070768A (ja) 紡績糸および織編物
KR100548644B1 (ko) 정경성이 개선된 빔에 권취된 신축성 복합섬유
JP2000290847A (ja) 複合混繊糸およびその織物、編物
KR20090049345A (ko) 폴리에스테르 편평 가공사
JP2013040422A (ja) 仮撚加工糸およびそれを用いた織編物
KR100456305B1 (ko) 이염성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의 제조방법 및그 섬유
KR20060130165A (ko)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 및 그 제조방법
KR100476469B1 (ko)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 방법
KR101432525B1 (ko) 자연스러운 염색농담차(ttd)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가연사
JP5718164B2 (ja) 構造加工糸
KR101272615B1 (ko) 고신축성 혼섬사의 제조방법
JP4316971B2 (ja) レース編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