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9935A - 배터리 장치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배터리 장치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9935A
KR20060129935A KR1020057024527A KR20057024527A KR20060129935A KR 20060129935 A KR20060129935 A KR 20060129935A KR 1020057024527 A KR1020057024527 A KR 1020057024527A KR 20057024527 A KR20057024527 A KR 20057024527A KR 20060129935 A KR20060129935 A KR 20060129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ase
mounting
engagement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4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4051B1 (ko
Inventor
토시오 타케시타
요이치 미야지마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9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9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9Terminals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elliptic or butto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42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배터리 장치를 배터리 장착부에 확실하게 장착하면서 조작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한 배터리 장치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배터리 장치(100)의 케이스(10)의 두께 방향(H)의 한쪽 면은 평탄한 저면(1008)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폭방향(W) 양측의 저면(1008) 개소에는 복수의 맞물림부(1012)가 길이 방향(L)으로 간격을 두고 폭방향(W) 외측을 향하여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맞물림부(1012)는 케이스(10)의 저면(1008)을 전자 기기의 배터리 장착부의 장착면에 맞추어 케이스(10)의 길이 방향(L)으로 해당 케이스(10)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맞물림 돌기에 맞물리고 상기 배터리 장착부에서 케이스(10)의 두께 방향(H)에서의 위치를 위치 결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 전자기기

Description

배터리 장치 및 전자 기기{BATTER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배터리 장치 및 배터리 장치에 의해 동작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기에 장착되는 배터리 장치로서, 폭과 두께와 길이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된 전지 셀과, 상기 케이스의 표면에 마련되고 상기 전지 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터리측 단자를 구비하고, 전자 기기의 배터리 장착부의 장착면에 상기 케이스의 두께 방향의 한쪽에 위치하는 저면을 맞추어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해당 케이스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장착되고 상기 배터리측 단자가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장착부측 단자에 접촉되도록 구성된 것이 제공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공보 제 2508447호 참조).
이와 같은 배터리 장치의 배터리 장착부에 장착은, 배터리 장치의 케이스 및 배터리 장착부의 각각에 마련된 맞물림부(engagement section)가 서로 맞물리는 것에 의해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배터리 장치 및 전자 기기에서는, 상기 맞물림부가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의 양단의 2개소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배터리 장치를 배터리 장착부에 확실하게 지지시키기 위해,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에서 맞물림부가 서 로 접촉하는 치수를 길게 설정할 것이 필요하고, 이 때문에 맞물림부의 맞물림 및 분리를 행할 때의 배터리 장치의 이동 스트로크가 커져서 조작성을 향상시키는데 불이익이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장치의 맞물림부가 길이 방향의 양단 2개소밖에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배터리 장치를 배터리 장착부에 확실하게 장착하는데 불이익이 있다.
또한, 맞물림부가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의 2개소에 마련되어 있고, 또한, 상기 배터리측 단자도 케이스의 길이 방향의 양단의 한쪽의 개소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배터리 장치가 배터리 장착부에 불완전하게 장착되어 버리는 부적합함이 있다. 즉, 상기 2개의 맞물림부 중 배터리측 단자에 가까운 맞물림부만이 배터리 장착부측의 맞물림부에 맞물리고, 배터리측 단자와 반대측의 맞물림부가 배터리 장착부측의 맞물림부에 맞물리지 않고, 배터리 장치가 배터리 장착부에 대해 경사한 상태로, 또한, 배터리측 단자가 장착부측 단자에 불완전하게 접촉하여 통전이 이루어진다는 상태가 생길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배터리 장치를 배터리 장착부에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고 배터리 장치를 배터리 장착부에 장착할 때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한 배터리 장치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배터리 장치는 폭과 두께와 길이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된 전지 셀과, 상기 케이스의 표면에 마련되고 상기 전지 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터리측 단자를 구비하고, 전자 기기의 배터리 장착부의 장착면에 상기 케이스의 두께 방향의 한쪽에 위치하는 저면을 맞추어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해당 케이스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장착되고 상기 배터리측 단자가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장착부측 단자에 접촉되는 배터리 장치로서, 상기 케이스의 폭방향의 양측 개소에는, 상기 폭방향의 외방으로 돌출하면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재되고 상기 케이스의 저면을 상기 장착면에 맞추어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해당 케이스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맞물림 돌기(engagement claw)에 맞물리고 상기 배터리 장착부에서 상기 케이스의 두께 방향의 위치를 위치 결정하는 맞물림부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3개 이상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기기는, 배터리 장치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배터리 장착부를 갖는 전자 기기로서, 상기 배터리 장치는 폭과 두께와 길이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된 전지 셀과, 상기 케이스의 상기 두께 방향의 한쪽에 위치하는 저면과, 상기 케이스의 표면에 마련되고 상기 전지 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터리측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 장치의 케이스의 상기 폭방향의 양측 개소에는, 상기 폭방향의 외방으로 돌출하면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재되는 맞물림부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3개 이상 마련되고, 상기 배터리 장착부는, 상기 배터리측 단자에 접촉하는 장착부측 단자와, 상기 저면이 맞추어지는 장착면을 구비하고, 상기 장착면은 상기 케이스의 폭에 대응하는 치수의 폭과, 상기 케이스의 길이보다 큰 치수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장착면상에서 해당 장착면의 폭방향의 양측 개소에는, 상기 케이스의 폭방향 및 길이 방향을 상기 장착면의 폭방향 및 길이 방향에 일치시키고 상기 케이스의 저면을 상기 장착면에 맞추어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해당 케이스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상기 맞물림부에 맞물리고 상기 장착면상에서의 상기 케이스의 두께 방향의 위치를 위치 결정하는 맞물림 돌기가 상기 맞물림부에 대응하는 수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실시예 1의 배터리 장치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실시예 1의 배터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배터리 장치(100)의 설명도.
도 4A 내지 도 4C는 배터리 장치(100)의 설명도.
도 5는 도 3의 주요부 확대도.
도 6은 식별부(1036) 부근의 확대 사시도.
도 7은 배터리 장치(100)가 외부 부착되는 촬상 장치(200)의 사시도.
도 8은 촬상 장치(200)의 배터리 장착부의 확대도.
도 9는 배터리 장치(100)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촬상 장치(200)의 사시도.
도 10은 배터리 장치(100)와 배터리 장착부의 부착 설명도.
도 11은 배터리 장치(100)와 배터리 장착부(30)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12는 로크 기구의 설명도.
도 13은 볼록부(1018)의 판별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
도 14는 배터리 장치(100)가 배터리 장착부(30)에 대해 경사하여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배터리 장치의 배터리 장착부에 대한 장착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킨다는 목적을, 배터리 장치에 3개 이상의 맞물림부를 마련함과 함께 전자 기기의 배터리 장착부에 상기 맞물림부에 대응하는 수의 맞물림 돌기를 마련함에 의해 실현하였다.
(실시예 1)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배터리 장치가 전자 기기로서의 촬상 장치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 1의 배터리 장치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실시예 1의 배터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우선, 배터리 장치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장치(100)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의 내부에 수납된 전지 셀(충전지부)(12)(도 2 참조)과, 케이스(10)의 내부에 마련된 제어 회로 기판(16)과, 케이스(10)에 마련된 배터리측 단자(14)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전지부(12)는 4개의 원주형상의 전지 셀(1202)과, 이들 각 전지 셀(1202)의 전극을 접속하는 복수의 배선 부재(1204)와, 각 전지 셀(1202)의 측면의 사이에 개재되는 지지 부재(1206)를 갖고 있다.
제어 회로 기판(16)은, 각 전지 셀(1202)의 전극과 배선 부재(1204)를 통하여 접속됨으로써 충전지부(12)에 부착되어 있고, CPU, RAM 및 ROM,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가지며, 배터리측 단자(14)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 기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데이터 통신으로서는 해당 배터리 장치(100)의 용량이나 특성을 나타내는 식별 데이터의 출력 동작이 포함된다. 해당 식별 데이터로서는, 예를 들면, 충전기에 장착한 때에 급속 충전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 적정한 충전 전류의 값, 또는 충전 전류의 상한치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 등이 있다.
배터리측 단자(14)는 케이스(10)의 표면에 마련되고,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제어 회로 기판(16)에 부착되고 각 배선 부재(1204)를 통하여 전지 셀(1202)의 전극에 도통되고, 해당 배터리 단자(14)를 통하여 각 전지 셀(1202)로부터 외부의 전자 기기에 대한 동작 전류의 공급, 또는, 충전기로부터 각 전지 셀(1202)에 대한 충전 전류의 공급이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충전지부(12)를 구성하는 전지 셀(1202)의 수량 및 형상은 배터리 장치(100)의 용량이나 특성에 따라 다른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케이스(10)의 구성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의 (A)는 배터리 장치(100)의 평면도, (B)는 (A)의 B화살표로 본 도면, (C)는 (A)의 C화살표로 본 도면, (D)는 (A)의 D화살표로 본 도면, (E)는 (B)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4A는 배터리 장치(100)의 저면도, 도 4B는 도 4A의 B 화살표로 본 도면, 도 4C는 도 4B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C)의 F부 확대도, 도 6은 식별부(1036) 부근의 확대 사시도이다.
케이스(10)는, 폭방향(W)의 치수가 균일하고 길이 방향(L)으로 연재되는 본체부(1002)와, 본체부(1002)의 폭방향(W)의 중앙부에서 두께 방향(H)의 한쪽에 마련되고 본체부(1002)의 폭보다 작은 치수의 균일폭으로 길이 방향(L)으로 연재되는 저부(1004)를 갖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0)는 본체부(1002)의 저부(1004)에 가까운 개소 및 저부(1004)를 제외한 제 1의 분할체와, 본체부(1002)의 저부(1004)에 가까운 개소 및 저부(1004)를 포함하는 제 2의 분할체로 구성되고, 이들 분할체가 이음면(1005)에서 합쳐짐으로써 형성되고, 충전지부(12)나 제어 회로 기판(16)은 이들 분할체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도 2, 도 3,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폭방향(W) 양측의 개소는 서로 평행하고 길이 방향(L)으로 연재되는 평탄한 측면(1006)으로서 형성되고, 케이스(10)의 두께 방향(H)의 한쪽 면은 평탄한 저면(1008)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1002)의 폭방향(W) 양측의 측면이 상기 측면(1006)을 구성하고, 저부(1004)의 저면이 상기 저면(1008)을 구성하고 있다.
폭방향(W) 양측의 저면(1008) 개소에는 복수의 맞물림부(1012)가,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맞물림부(1012A, 1012B, 1012C)가 길이 방향(L)으로 간격을 두고 폭방향(W) 외측을 향하여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두께 방향(H)의 한쪽 단부에 위치하는 각 맞물림부(1012)(1012A, 1012B, 1012C) 개소는, 저면(1008)과 동일면상에 위치하는 저면으로서 형성되고, 두께 방향(H)의 다른쪽의 단부에 위치하는 각 맞물림부(1012)(1012A, 1012B, 1012C) 개소는 저면(1008)와 평행한 동일면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3개의 맞물림부(1012)(1012A, 1012B, 1012C)가 마련됨으로써, 각 맞물림부(1012)(1012A, 1012B, 1012C)와, 폭방향(W)의 양측에 위치하는 저부(1004)의 측면(1016)과, 본체부(1002)가 저부(1004)에 임하는 면(1014)에 의해 길이 방향(L)으로 연재되는 오목부(1010)가 폭방향(W) 양측의 저면(1008) 개소에 각각 3개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맞물림부(1012)(1012A, 1012B, 1012C)는, 케이스(10)의 저면(1008)을 전자 기기의 배터리 장착부의 장착면에 맞추어 케이스(10)의 길이 방향(L)으로 해당 케이스(10)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배터리 장착부의 맞물림 돌기에 맞물리게 하여 배터리 장착부에서 케이스(10)의 두께 방향(H)에서의 위치를 위치 결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측 단자(14)는, 저면(1008)의 개소에서 길이 방향(L)의 일단에 마련되어 있다.
3개의 맞물림부(1012)(1012A, 1012B, 1012C) 중 2개의 맞물림부(1012A, 1012C)는, 케이스(10)의 길이 방향(L)의 단부에 가까운 개소에 마련되고, 나머지 하나의 맞물림부(1012B)는, 배터리측 단자(14)가 위치하는 케이스(10)의 단부에 가까이 마련된 맞물림부(1012A)에 근접한 개소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맞물림부(1012A, 1012B)에 대응하는 저부(1004)의 측면(1016) 개소에, 그 측면(1016)으로부터 폭방향(W)의 외방으로 돌출한 2개의 볼록부(1018)가 각각 마련되고, 2개의 볼록부(1018)는 맞물림부(1012A, 1012B)보다 작은 돌출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2개의 볼록부(1018) 중, 한쪽의 볼록부(1018)에 의해 맞물림부(1012A)와, 본체부(1002)가 저부(1004)에 임하는 면(1014)과, 폭방향(W)의 양측에 위치하는 저부(1004)의 측면(1016)이 서로 접속되고, 다른쪽의 볼록부(1018)에 의해 맞물림부(1012B)와, 면(1014)과, 측면(1016)이 서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2개의 볼록부(1018)에 의해 맞물림부(1012A, 1012B)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하는데 유리하게 되어 있다.
또한, 나머지 하나의 맞물림부(1012C)에 대응하는 저부(1004)의 측면(1016) 개소에서 배터리측 단자(14)가 마련된 개소와는 반대측의 개소에, 오목부(1010)의 길이 방향(L)의 단부를 막는 스토퍼 벽(1020)이 마련되어 있다. 스토퍼 벽(1020)은, 배터리 장치(100)의 배터리 장착부에 장착할 때, 배터리 장치(100)의 길이 방향의 방향이 정규 방향이 아닌 경우에, 배터리 장착부의 맞물림 돌기에 닿아서 배터리 장치(100)가 잘못된 방향으로의 장착됨을 저지하는 것이다.
스토퍼 벽(1020)에 의해 맞물림부(1012C)와, 면(1014)과, 측면(1016)이 서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스토퍼 벽(1020)에 의해 맞물림부(1012C)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하는데 유리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길이 방향(L)의 양단의 단면 중 배터리측 단자(14)가 마련된 측의 본체부(1002) 및 저부 (1004)의 단면은 저면(1008)과 직교하는 평탄한 단면(1022)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단면(1022)의 배터리측 단자(14)로부터 두께 방향(H)으로 떨어진 개소에, 두께 방향(H)의 치수가 균일하고, 또한, 폭방향(W)으로 직선형상으로 연재된 볼록부(1024)가 팽출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024)는 배터리측 단자(14)에 대응하는 개소에서 배터리측 단자(14)의 적어도 전극이 배치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X1)보다 큰 치수의 길이(X2)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1008)에는 오목부(1028)가 형성되고, 기명판(機銘板)(1026)이 이 오목부(1028)에 부착되고, 기명판(1026)의 표면과 저면(1008)은 동일면상이나, 기명판(1026)의 표면이 저면(1008)보다 케이스(1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오목부(1028)의 길이 방향(L) 중 배터리측 단자(14)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길이 방향(L)에 따라 저면(1008)과 동일한 면을 하는 위치 결정 볼록부(1030)가 형성되고, 이 볼록부(1030)는 기명판(1026)의 위치 결정 홈(1027)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길이 방향(L)의 양단의 단면 중 배터리측 단자(14)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본체부(1002)의 단면은 저면(1008)과 직교한 평탄한 단면(1032)으로 형성되고, 배터리측 단자(14)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저부(1004)의 단면은 상기 단면(1032)보다 케이스(10)의 내측으로 변위한 개소에서 해당 단면(1032)과 평행하는 평탄한 단면(1034)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스(10)의 길이 방향(L)에서 배터리측 단자(14)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단부의 본체부(1002)와 저부(1004)의 경계의 부분에는 이들 단면(1032, 1034)에 의해 노치 부(103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도 5,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측 단자(14)를 폭방향(W)으로 끼우는 저부(1004)의 저면(1008)의 양측 개소에는 2개의 식별부(1036)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식별부(1036)는 두께 방향(H) 및 길이 방향(L)으로 개방된 오목부(1038)로 형성되고, 또는, 두께 방향(H)으로 개방되면서 길이 방향(L)으로 폐색된 오목부(1040)로 형성된다. 식별부(1036)는 전자 기기측에 마련된 식별 수단에 의해 식별되고, 그 식별은 오목부(1038, 1040)의 형상이나 오목부(1038)의 길이 방향(L)의 치수에 의거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오목부(1038)를 구성하는 면 중, 오목부(1010)에 근접하고 있는 면 부분을 경사면(1042)으로 함으로써, 오목부(1010)와 오목부(1038) 사이의 두께 치수를 확보하여 맞물림부(1012A)의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고 있다.
다음에 촬상 장치(200)에 관해 설명한다.
도 7은 배터리 장치(100)가 외부 부착되는 촬상 장치(200)의 사시도, 도 8은 촬상 장치(200)의 배터리 장착부의 확대도, 도 9는 배터리 장치(100)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촬상 장치(200)의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200)는 케이스(24)와, 케이스(24)의 앞부분에 조립된 광학계(26)와, 해당 광학계(26)에서 포착한 피사체 상을 촬상하는 도시하지 않은 촬상 소자와, 촬상 소자에서 촬상된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부(28)와, 촬상 소자에서 촬상된 화상을 기록 매체에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도시하지 않은 기록 재생부와, 상기 촬상 소자, 액정 표시부(28), 기록 재생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장치(1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24)의 후부에는, 배터리 장치(10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배터리 장착부(30)가 마련되어 있다.
배터리 장착부(30)는, 평탄한 장착면(3002)과, 장착면(3002)에 마련된 복수의 맞물림 돌기(3004)(3004A, 3004B, 3004C)와, 배터리측 단자(14)에 접촉 가능한 장착부측 단자(32)와, 장착면(3002)에 마련된 맞물림 볼록부(34)를 갖고 있다.
장착면(3002)은, 배터리 장치(100)의 케이스(10)의 저면(1008)의 폭에 대응하는 폭과, 저면(1008)의 길이보다 큰 치수의 길이를 가지며, 장착면(3002)의 주위에서 측면(3008)이 기립되어 있다.
장착부측 단자(32)는 장착면(3002)의 길이 방향에서의 광학계(26)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맞물림 볼록부(34)는 장착면(3002)의 길이 방향에서 장착부측 단자(32)와는 반대측의 개소에, 장착면(3002)에 대해 출몰 가능하게 마련되고, 장착면(3002)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항상 가세되고, 도시하지 않은 로크 해제 버튼의 조작에 의해 장착면(3002)의 하방으로 몰입(沒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맞물림 돌기(3004)(3004A, 3004B, 3004C)는 배터리 장치(100)의 맞물림부(1012)에 대응한 수로 마련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장착면(3002)의 폭방향의 양측 개소에 각각 3개씩 마련되고, 맞물림부(1012)(1012A, 1012B, 1012C)에 맞물림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각 맞물림 돌기(3004)(3004A, 3004B, 3004C)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면(3002)으로부터 기립하는 종벽(3004E)과, 종벽(3004E)의 선단부터 장착면(3002)에 평행하도록 돌출하는 횡벽(3004F)을 구비하고 있다.
3개의 맞물림 돌기(3004)(3004A, 3004B, 3004C) 중 2개의 맞물림 돌기(3004A, 3004C)는 장착면(3002)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가까운 개소에 마련되고, 나머지 하나의 맞물림 돌기(3004B)는, 장착부측 단자(32)가 위치하는 장착면(3002)의 단부에 가까이 마련된 맞물림 돌기(3004A)에 근접한 개소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10)의 폭방향(W) 및 길이 방향(L)을 장착면(3002)의 폭방향 및 길이 방향에 일치시키고, 배터리 장치(100)의 배터리측 단자(14)를 배터리 장착부(30)의 장착부측 단자(32)에 임하게 함과 함께, 배터리 장치(100)의 저면(1008)을 배터리 장착부(30)의 장착면(3002)에 임하게 하고, 배터리 장치(100)의 각 맞물림부(1012)(1012A, 1012B, 1012C)가, 각 맞물림 돌기(3004)(3004A, 3004B, 3004C)에 대해 상기 길이 방향(L)에 따라 각각 이간한 위치로 하고, 이 상태에서, 배터리 장치(10)의 저면(1008)을 배터리 장착부(30)의 장착면(3002)에 꽉대고, 배터리 장치(100)를 케이스의 길이 방향으로서 배터리측 단자(14)가 장착부측 단자(32)에 근접시켜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이로써, 복수의 맞물림 돌기(3004)가 대응하는 오목부(1010)에 삽입되고 맞물림부(1012)에 맞물리고, 케이스(10)의 저면(1008)이 장착면(3002)에 합쳐짐으로써 장착면(3002) 방향으로의 배터리 장치(100)의 움직임이 규제되고, 맞물림 돌기(3004)와 맞물림부(1012)가 맞물림으로써 장착면(3002)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의 배터리 장치(100)의 움직임이 규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맞물림 돌기 (3004)와 맞물림부(1012)가 맞물림으로써, 배터리 장치(100)의 장착면(3002) 방향으로의 움직임 및 장착면(3002)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의 쌍방을 규제하도록 하여도 좋다.
배터리 장치(100)는, 맞물림 돌기(3004)와 맞물림부(1012)가 맞물린 상태에서 케이스(10)의 길이 방향(L)의 2개의 단면 중 배터리측 단자(14)측의 단면(1022)이 배터리 장착부(30)의 측면(3008)에 닿고, 맞물림 볼록부(34)가 배터리 장치(100)의 노치부(1035)에 맞물림으로써 케이스(10)의 길이 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되고, 이로써 배터리 장착부(30)에 있어서의 배터리 장치(100)의 장착 상태를 얻을 수 있고, 배터리 장치(100)가 지지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맞물림 돌기(3004)와 맞물림부(1012)가 맞물린 상태에서 맞물림 돌기(3004)의 선단과 볼록부(1018)의 선단이 접촉하고 상기 폭방향(W)에 있어서의 배터리 장치(100)의 움직임이 규제되어 있다. 이 경우, 맞물림 돌기(3004)의 선단과 볼록부(1018)의 선단을 접촉시키지 않고, 배터리 장치(100)의 케이스(10)의 측면(1006)을 배터리 장착부(30)의 측면(3008)에 접촉시키는 등 그 밖의 배터리 장치(100)의 개소와 배터리 장착부(30)의 개소를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폭방향(W)에 있어서의 배터리 장치(100)의 움직임을 규제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배터리 장치(100)가 배터리 장착부(30)에 장착됨으로써, 배터리 장치(100)의 배터리측 단자(14)와 배터리 장착부(30)의 장착부측 단자(32)가 접촉한다.
이와 같이 배터리 장치(100)가 배터리 장착부(30)에 장착되면, 도 11에 도시 한 바와 같이, 배터리 장치(100)의 배터리측 단자(14)측의 단면(1022)과, 그 단면(1022)에 대향하는 촬상 장치(200)의 케이스(24) 개소(오목부(3006)의 측면(3008))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일이 있다.
이 경우, 오목부(3006)의 측면(3008)에 오목홈(3010)을 형성하여 두고, 이 홈에 배터리 장치(100)의 볼록부(1024)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간극을 볼록부(1024)에 의해 차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간극 부분으로부터 예를 들면 도전성을 갖는 이물 등이 침입하여 배터리측 단자(14)와 장착부측 단자(32)와의 접속 부분에 접촉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장착부(30)에 장착된 상태의 배터리 장치(100)의 노치부(1035)에 대해 접리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여, 해당 노치부(1035)에 접근한 방향으로 스프링 등의 가세 부재에 의해 항상 가세된 로크 돌기(lock claw; d2008)를 케이스(24)에 마련하고, 해당 로크 돌기(2008)가 노치부(1035)에 맞물림으로써 배터리 장치(100)의 배터리 장착부(30)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고, 배터리 장치(100)의 노치부(1035)와 로크 돌기(2008)의 맞물림을 해제함으로써, 배터리 장치(100)의 배터리 장착부(30)로부터의 분리가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배터리 장치(100)는 그 노치부(1035)가 단면(1032)보다 배터리 장치(100)의 내측으로 변위하고 있기 때문에, 로크 돌기(2008)는 케이스(24)의 외면보다 케이스(24)의 내측으로 변위한 개소에 마련할 수 있고, 촬상 장치(200)의 케이스(24)의 외면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시키는 일 없이 로크 돌기(2008)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촬상 장치(200)의 소형화를 도모함과 함께, 디자인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게 된다.
또한, 이 경우, 로크 돌기(2008)의 노치부(1035)에 맞물리는 개소가 항상 배터리 장치(100)의 저면(1008)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기 때문에, 배터리 장치(100)를 배터리 장착부(30)에 장착할 때, 또는, 배터리 장치(100)를 배터리 장착부(30)로부터 분리할 때, 배터리 장치(100)의 저면(1008)을 장착면(3002)에 따라 슬라이드시키면, 상기 가세에 의해 저면(1008) 방향으로 돌출하는 로크 돌기(2008)의 선단이 저면(1008)에 부착된 기명판(1026) 등의 라벨 표면에 닿아서, 마찰에 의해 기명판(1026) 등의 표면의 인쇄 부분이 스쳐 지워져 부릴 우려가 있다.
이 경우, 로크 돌기(2008)를, 그 선단이 위치 결정 볼록부(1030)에 닿도록 배설하면, 로크 돌기(2008)의 선단이 위치 결정 볼록부(1030)의 부분에 닿아서 기명판(1026)의 표면에는 닿지 않기 때문에, 기명판(1026)의 표면이 손상이나 오손(汚損)을 받기 어렵고 기명판(1026) 표면의 인쇄 부분을 보호하는데 유리하다. 이 경우, 위치 결정 볼록부(1030)는 기명판(1026)의 표면과 동일면상이나 기명판(1026)의 표면보다 케이스(1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배터리 장치(100)의 단면(1022)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길이 방향(L)에 따라 마련되어 있는 각 볼록부(1018)의 위치(또는 각 볼록부(1018)의 유무 또는 각 볼록부(1018)의 수)에 의거하여 배터리 장치(100)가 정규의 것인지의 여부를 판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장치(100)의 단면(1022)을 기 준으로 하는 각 볼록부(1018)의 상기 길이 방향(L)에 따른 위치를 검지하는 마이크로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지는 센서(302, 304)를 배터리 수용실(20)에 마련한다. 그리고, 각 센서(302, 304)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의거하여 각 볼록부(1018)의 위치가 올바른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회로(306)를 마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판별 회로(306)의 판별 결과에 의거하여 배터리 장치(100)가 정규품이라고 인식된 경우만 배터리 장치(100)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허가하고, 그렇지 않으면 배터리 장치(100)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금지할 수 있고, 정규품이 아닌 배터리 장치(100)의 사용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술한 배터리 장치(100)의 식별 데이터를, 상기 길이 방향(L)에 따라 마련되어 있는 각 볼록부(1018)의 위치, 또는 각 볼록부(1018)의 유무, 또는 각 볼록부(1018)의 수에 의해 나타내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한 구성에 의하면, 2개의 센서(302, 304)의 온, 오프의 조합에 의해 4종류의 식별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장치(100)의 케이스(10)의 폭방향의 양측에 마련된 합계 4개의 볼록부(1018)의 위치를 검지할 수 있도록 4개의 센서를 마련하면, 8가지의 식별 정보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센서로서 단면(1022)을 기준으로 하는 각 볼록부(1018)의 상기 길이 방향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을 이용하면, 센서에 의해 검지할 수 있는 식별 데이터의 종류를 더욱 늘릴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배터리 장치(100)가 장착되는 전자 기기가 배터리 장치(100)에 대해 충전을 행하는 충전기인 경우에는, 해당 충전기에 상술한 센서(302, 304)와 같은 센서를 하나 또는 복수 마련하고, 해당 센서에 의해 배터리 장치(100)의 장착의 유무를 검지하고, 해당 검지 동작에 따라 배터리 장치(100)에 대한 충전 동작을 시작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센서에 의해 볼록부(1018)의 위치를 판별함으로써 배터리 장치(100)의 특성(적절한 충전 전류의 값, 또는 급속 충전이 가능한지의 여부 등)을 충전기측에서 판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명판(1026)의 표면과 저면(1008)은 동일면상이거나, 기명판(1026)의 표면이 저면(1008)보다 케이스(1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됨과 함께, 저면(1008)과 동일한 면을 이루는 위치 결정 볼록부(1030)가 기명판(1026)의 위치 결정 홈(1027)에 삽입되어 있음으로써, 배터리 장치(100)를 배터리 장착부(30)에 대해 착탈함으로써 배터리 장치(100)의 저면(1008)과 배터리 장착부(30)의 장착면(3002)이 마찰하여도, 기명판(1026)의 표면이 손상이나 오손을 받기 어려운 기명판(1026)의 표기를 보호하는데 유리하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효과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배터리 장치(100) 및 촬상 장치(200)에 의하면, 배터리 장치(100)의 케이스(10)의 저면(1008)을 배터리 장착부(30)의 장착면(3002)에 맞추어 케이스(10)의 길이 방향(L)으로 해당 케이스(10)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합계 6개의 맞물림부(1012)를 6개의 맞물림 돌기(3004)에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배터리 장치(100)의 배터리 장착부(30)에서의 지지를 확실하게 행하 면서, 맞물림부(1012) 및 맞물림 돌기(3004)의 서로 맞물린 부분의 길이 방향(L)의 치수를 단축할 수 있고, 따라서 배터리 장치(100)의 슬라이드 스트로크를 단축하고, 배터리 장치(100)의 배터리 장착부(30)에의 장착을 용이하게 행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또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장치(100)가 경사한 상태로 배터리 장착부(30)에 장착되려고 한 경우에는, 배터리측 단자(14)가 위치하는 케이스(10)의 단부에 가까이 마련된 맞물림부(1012A)가, 장착부측 단자(32) 가까이에 위치하는 맞물림 돌기(3004A)에 맞물리는 것이지만, 상기 맞물림부(1012A)에 근접한 개소에 마련된 맞물림부(1012B)가 맞물림 돌기(3004B)에 닿음으로써 배터리 장치(100)가 장착면(3002)과 이루는 경사 각도, 즉 배터리 장치(100)의 케이스(10)의 저면(1008)과 배터리 장착부(30)의 장착면(3002)이 이루는 각도가 큰 것으로 된다.
따라서 배터리 장치(100)의 장착 상태가 불완전한 것을 순식간에 판별할 수 있어서, 배터리 장치(100)를 확실하게 장착하는데 유리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맞물림부(1012B)를 장착부측 단자(32)에 가까이 위치하는 맞물림 돌기(3004A)에 접근하여 배치하였기 때문에, 배터리 장치(100)의 장착 상태가 불완전한 경우의 장착면(3002)에 대한 배터리 장치(100)의 경사가 커져서, 배터리 장치(100)의 장착 상태가 불완전한 것을 한층 더 간단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장착면(3002)에 대한 배터리 장치(100)의 각도가 10도 이상 있으면, 배터리 장치(100)의 경사를 순식간에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서, 촬상 장치(200)의 맞물림 돌기(3004) 중, 장착부측 단자 (32)에 가까운 맞물림 돌기(3004A)의 길이 방향의 치수를 다른 2개의 맞물림 돌기(3004B, 3004C)의 길이 방향의 치수보다 작게 설정함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즉, 배터리 장치(100)의 배터리 장착부(30)에 대한 장착이 불완전한 경우, 즉, 배터리측 단자(14)가 위치하는 케이스(10)의 단부에 가까이 마련된 맞물림부(1012A)가, 장착부측 단자(32) 가까이에 위치하는 맞물림 돌기(3004A)에 맞물리는 것이지만, 다른 2개의 맞물림부(1012B, 1012C)가 맞물림 돌기(3004B, 3004C)에 맞물리지 않은 상태인 경우, 배터리 장치(100)의 자중에 의해 배터리 장치(100)가 장착면(3002)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경사하지만, 이 경사 각도는 장착부측 단자(32) 가까이의 맞물림 돌기(3004A)의 길이 방향의 치수를 짧게 설정할수록 현저해진다. 이로써,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배터리 장치(100)의 장착 상태가 불완전한 경우의 장착면(3002)에 대한 배터리 장치(100)의 경사가 커지고, 배터리 장치(100)의 장착 상태가 불완전한 것이 보다 한층 간단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즉, 배터리 장치(100)는 케이스(10)를 갖고 있다. 케이스(10)는 그 길이 방향(L)의 양단에 위치하는 2개의 단면(1022, 1032)과, 이들 2개의 단면(1022, 1032)을 접속하는 측면(1006)을 가지며, 2개의 단면(1022, 1032) 중 한쪽의 단면(1022)과 그 단면(1022)에 접속된 측면(1006)의 적어도 한쪽에 임하도록 배터리측 단자(14)가 마련되어 있다. 측면(1006)에는 복수의 오목부(1010)로 이루어지는 상기 길 이 방향(L)으로 연재되는 오삽입 방지용구가 형성되고, 상기 길이 방향(L) 중 배터리측 단자(14)측을 전방, 그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고 한 경우, 상기 오삽입 방지용 홈은 그 길이 방향(L)의 양단 중 배터리측 단자(14)에 가까은 개소(전단(前端) 개소)가 개방되고, 그 반대측의 개소(후단 부분)가 폐색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오삽입 방지용 홈에는 케이스(10)의 외방으로 팽출하는 하나의 볼록부(1018)가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2개 이상의 볼록부(1018)가 상기 길이 방향(L)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볼록부(1018)의 길이 방향(L)의 위치, 또는 볼록부(1018)의 유무, 또는 볼록부(1018)의 수 등에 의해 배터리 장치(100)의 식별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볼록부(1018)는 케이스(10)의 외방으로 팽출하고 있기 때문에 케이스(10) 내부의 스페이스를 점유하는 일이 없고, 케이스(10)의 내부에 부품 수용용의 스페이스를 확보하는데, 또는, 케이스(10)의 소형화를 도모하는데 유리하게 되어 배터리 장치(100)의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키는데도 유리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배터리 장치(100)는, 케이스(10)를 폭방향(W)으로 끼우고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면(1006) 개소의 각각에 상기 오삽입 방지용 홈을 마련하고 있다. 이 경우, 2개의 오삽입 방지용 홈을 각 홈에 대응하는 돌기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상기 두께 방향(H)에서의 상기 케이스의 위치를 위치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오삽입 방지용 홈을 위치 결정용의 홈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배터리 장치(100)가 상기 길이 방향(L)에 따라 삽 입됨으로써 해당 배터리 장치(100)를 수용하는 배터리 수용실을 마련한 경우, 해당 배터리 수용실 내에 상기 각 돌기를 마련하고, 이들 각 돌기에 상기 2개의 오삽입 방지용 홈을 맞물리게 함으로써 상기 두께 방향(H)의 치수가 다른 배터리 장치를 상기 배터리 수용실 내에서 위치 결정하여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배터리 장치(100)는 복수의 맞물림부(1012)(1012A, 1012B, 1012C)와, 이들 복수의 맞물림부(1012)의 각각(1012A, 1012B, 1012C)에 임하는 측면(1016) 개소와, 이들 복수의 맞물림부(1012)(1012A, 1012B, 1012C)의 각각에 임하는 면(1014)의 개소에 의해 복수의 오목부(1010)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복수의 오목부(1010)에 의해 상기 오삽입 방지용 홈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배터리 장치(100)는 복수의 맞물림부(1012)(1012A, 1012B, 1012C)의 각각에 접속하여 볼록부(1018)가 마련되어 있고, 각 볼록부(1018)가 복수의 맞물림부(1012)(1012A, 1012B, 1012C)의 각각에 접속되어 있는 개소는, 상기 길이 방향(L) 중 배터리 장치(100)를 배터리 장착부(30)에 장착할 때에 배터리 장치(100)를 움직이는(슬라이드시키는) 방향에 가까운 개소(배터리측 단자에 까가운 개소)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이들 각 맞물림부(1012)(1012A, 1012B, 1012C)와, 복수의 맞물림 돌기(3004)(3004A, 3004B, 3004C)를 분리할 때에 맞물림부(1012A)와 맞물림 돌기(3004A)의 사이, 맞물림부(1012B)와 맞물림 돌기(3004B)의 사이, 맞물림부(1012C)와 맞물림 돌기(3004C)의 사이에, 상기 길이 방향(L)에서의 간격이 각각 확보되게 된다. 이 때문에, 복수의 맞물림부(1012)(1012A, 1012B, 1012C)와, 복 수의 맞물림 돌기(3004)(3004A, 3004B, 3004C)가 서로 분리될 때, 각 맞물림 돌기(3004)와 각 볼록부(1018)와의 간섭이 생기기 어렵고, 배터리 장치(100)의 장착, 분리를 원활히 행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 기기로서 촬상 장치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배터리 장치를 충전하는 충전기, 및 배터리 장치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여러가지의 전자 기기에 물론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배터리 장치 및 전자 기기에 의하면, 배터리 장치의 케이스의 저면을 배터리 장착부의 장착면에 맞추어 케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해당 케이스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배터리 장치의 3개 이상 마련된 맞물림부를 배터리 장착부의 맞물림 돌기에 맞물리게 하기 때문에, 배터리 장치의 장착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하면서 맞물림부 및 맞물림 돌기의 서로 맞물리는 부분의 길이 방향의 치수를 단축할 수 있고, 이로써 배터리 장치의 슬라이드 스트로크를 단축하고 배터리 장치의 배터리 장착부에의 착탈의 조작성을 향상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또한, 맞물림부 및 맞물림 돌기가 케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3개 이상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배터리 장치가 배터리 장착부에 대해 비스듬하게 장착되려고 하면, 배터리 장착부에 대해 배터리 장치가 크게 기울어지게 되고, 따라서 유저는 장착이 불완전하다고 순식간에 판단할 수 있고, 배터리 장치의 배터리 장착부에의 장착을 확실하게 행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Claims (13)

  1. 폭과 두께와 길이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된 전지 셀과, 상기 케이스의 표면에 마련되고 상기 충전지부에 접속된 배터리측 단자를 구비하고, 전자 기기의 배터리 장착부의 장착면에 상기 케이스의 두께 방향의 한쪽에 위치하는 저면을 맞추어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해당 케이스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장착되고 상기 배터리측 단자가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장착부측 단자에 접촉되는 배터리 장치로서,
    상기 케이스의 폭방향의 양측 개소에는, 상기 폭방향의 외방으로 돌출하면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재되고 상기 케이스의 저면을 상기 장착면에 맞추어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해당 케이스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맞물림 돌기에 맞물리고 상기 배터리 장착부에서 상기 케이스의 두께 방향의 위치를 위치 결정하는 맞물림부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3개 이상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측 단자는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케이스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맞물림부 중 2개의 맞물림부는,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가까운 개소에 마련되고, 나머지 하나의 맞물림부는, 상기 배터리측 단자가 위치하는 상기 케이스의 단부에 가까이 마련된 맞물림부에 근접한 개소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장착부에 배터리 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의 저면이 상기 장착부의 장착면에 맞추어짐으로써 상기 장착면 방향으로의 상기 배터리 장치의 움직임이 규제되고, 상기 맞물림 돌기와 맞물림부가 맞물림으로써 상기 장착면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의 상기 배터리 장치의 움직임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폭방향의 치수가 균일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재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폭방향의 중앙부에서 두께 방향의 한쪽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부의 폭보다 작은 치수의 폭으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재되는 저부를 가지며, 상기 저면은 상기 저부의 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맞물림부는 상기 폭방향 양측의 상기 저면 개소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각 맞물림부와, 상기 폭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저부의 측면과, 상기 본체부가 저부의 측면에 임하는 면으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재되는 오목부가 복수 형성되고, 상기 각 맞물림 돌기는 상기 각 오목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맞물림부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맞물림부 중 적어도 2개의 맞물림부가 위치하는 상기 저부의 측면 개소에, 상기 폭방향의 외방으로 돌출하는 볼록부가 마련되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맞물림부보다 작은 돌출 치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목부 중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에는, 해당 오목부의 길이 방향의 단부를 막는 스토퍼 벽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부는 상기 케이스의 저면의 폭방향의 양측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치.
  8. 배터리 장치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배터리 장착부를 갖는 전자 기기로서,
    상기 배터리 장치는, 폭과 두께와 길이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된 전지 셀과, 상기 케이스의 상기 두께 방향의 한쪽에 위치하는 저면과, 상기 케이스의 표면에 마련되고 상기 전지 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터리측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 장치의 케이스의 상기 폭방향의 양측 개소에는, 상기 폭방향의 외방으로 돌출하면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재되는 맞물림부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3개 이상 마련되고,
    상기 배터리 장착부는, 상기 배터리측 단자에 접촉하는 장착부측 단자와, 상기 저면이 맞추어지는 장착면을 구비하고,
    상기 장착면은, 상기 케이스의 폭에 대응하는 치수의 폭과, 상기 케이스의 길이보다 큰 치수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장착면상에서 해당 장착면의 폭방향의 양측 개소에는, 상기 케이스의 폭방향 및 길이 방향을 상기 장착면의 폭방향 및 길이 방향에 일치시키고 상기 케이스의 저면을 상기 장착면에 맞추어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해당 케이스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상기 맞물림부에 맞물리고 상기 장착면상에서의 상기 케이스의 두께 방향의 위치를 위치 결정하는 맞물림 돌기가 상기 맞물림부에 대응하는 수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측 단자는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케이스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복수 맞물림부 중 2개의 맞물림부는,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가까운 개소에 마련되고, 나머지 하나의 맞물림부는, 상기 배터리측 단자가 위치하는 상기 케이스의 단부에 가까이 마련된 맞물림부에 근접한 개소에 마련되고, 상기 장착부측 단자는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장착면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복수 의 맞물림 돌기 중 2개의 맞물림 돌기는, 상기 장착면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가까운 개소에 마련되고, 나머지 하나의 맞물림 돌기는, 상기 장착부측 단자가 위치하는 상기 장착면의 단부에 가까이 마련된 맞물림 돌기에 근접한 개소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저면이 상기 장착면에 맞추어짐으로써 상기 장착면 방향으로의 상기 배터리 장치의 움직임이 규제되고, 상기 맞물림 돌기와 맞물림부가 맞물림으로써 상기 장착면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의 상기 배터리 장치의 움직임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폭방향의 치수가 균일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재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폭방향의 중앙부에서 두께 방향의 한쪽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부의 폭보다 작은 치수의 폭으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재되는 저부를 가지며, 상기 저면은 상기 저부의 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맞물림부는 상기 폭방향 양측의 상기 저면 개소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각 맞물림부와, 상기 폭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저부의 측면과, 상기 본체부가 저부의 측면에 임하는 면으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재되는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맞물림 돌기는 상기 각 오목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맞물림부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맞물림부 중 적어도 2개의 맞물림부가 위치하는 상기 저부의 측면 개소에, 상기 폭방향의 외방으로 돌출하는 볼록부가 마련되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맞물림부보다 작은 돌출 치수로 형성되고, 상기 맞물림 돌기가 상기 맞물림부에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맞물림 돌기와 상기 볼록부가 접촉하고 상기 배터리 장착부에서 케이스의 폭방향에서의 배터리 장치의 위치가 위치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목부 중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에는, 해당 오목부의 길이 방향의 단부를 막는 스토퍼 벽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057024527A 2003-12-26 2004-12-24 배터리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11140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32909A JP4123515B2 (ja) 2003-12-26 2003-12-26 バッテリー装置
JPJP-P-2003-00432909 2003-12-26
PCT/JP2004/019779 WO2005064707A1 (ja) 2003-12-26 2004-12-24 バッテリー装置および電子機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1294A Division KR101082209B1 (ko) 2003-12-26 2004-12-24 배터리 장치 및 전자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9935A true KR20060129935A (ko) 2006-12-18
KR101114051B1 KR101114051B1 (ko) 2012-02-21

Family

ID=3473649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4527A KR101114051B1 (ko) 2003-12-26 2004-12-24 배터리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20117011294A KR101082209B1 (ko) 2003-12-26 2004-12-24 배터리 장치 및 전자 기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1294A KR101082209B1 (ko) 2003-12-26 2004-12-24 배터리 장치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4) US7824799B2 (ko)
EP (1) EP1699095B1 (ko)
JP (2) JP4123515B2 (ko)
KR (2) KR101114051B1 (ko)
CN (8) CN101222030B (ko)
WO (1) WO20050647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3515B2 (ja) 2003-12-26 2008-07-23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装置
JP2005235536A (ja) * 2004-02-19 2005-09-02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電池パック及び電子機器
JP4245017B2 (ja) * 2006-08-28 2009-03-25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装置、電子機器及びバッテリーシステム
JP2008053154A (ja) * 2006-08-28 2008-03-06 Sony Corp バッテリー装置、電子機器及びバッテリーシステム
JP4600415B2 (ja) * 2007-03-30 2010-12-15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JP5119735B2 (ja) * 2007-05-16 2013-01-16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EP2003714B1 (en) * 2007-05-16 2018-10-03 Sony Corporation Battery pack
JP2009205844A (ja) * 2008-02-26 2009-09-10 Panasonic Corp 電池パック
DE102009006426A1 (de) * 2009-01-28 2010-07-29 Li-Tec Battery Gmbh Batterie mit Gehäuse
US9172115B2 (en) 2012-06-12 2015-10-27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Battery pack with multiple water discharge pathways
CN104520074B (zh) * 2012-08-14 2017-09-22 日立工机株式会社 电气设备、电池组以及电气装置
CA2898234C (en) * 2013-03-14 2021-07-27 Allison Transmission, Inc. Fluid bath cooled energy storage system
US10615407B2 (en) 2014-08-14 2020-04-07 Battelle Memorial Institute Na—FeCl2 ZEBRA type battery
CN104579386A (zh) * 2014-11-28 2015-04-29 浙江明磊工具实业有限公司 一种带电池包的收音机
USD772816S1 (en) * 2015-02-27 2016-11-29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module vent
CN106137530A (zh) * 2015-04-22 2016-11-23 泰克曼(南京)电子有限公司 自动变光焊接面罩的电动空气净化呼吸器的锁扣配合结构
JP6581824B2 (ja) * 2015-07-06 2019-09-25 株式会社マキタ 電池パック
US10615384B2 (en) 2017-02-10 2020-04-07 Sony Corporation Battery and connection apparatus
JP6961985B2 (ja) * 2017-02-10 2021-11-05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バッテリー及び接続機器
JP1592932S (ko) * 2017-03-15 2017-12-11
KR102248230B1 (ko) 2017-12-07 2021-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모듈
JP7263687B2 (ja) * 2019-07-09 2023-04-27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バッテリー及び接続機器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97231A (en) 1937-06-14 1938-12-14 Frederick Alexander Lanfranco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attery holders for electric clocks
JPS5593686A (en) 1979-01-11 1980-07-16 Yazaki Corp Method of connecting connector and connector
JPH01155654A (ja) * 1987-12-11 1989-06-19 Nec Corp 相補型集積回路
JPH01155654U (ko) * 1988-04-19 1989-10-25
JPH0410957A (ja) 1990-04-27 1992-01-16 Fujitsu Ltd 画像形成装置
JPH0813169B2 (ja) 1990-12-01 1996-02-07 三洋電機株式会社 充電装置及び充電方法
JP3263855B2 (ja) 1992-03-06 2002-03-11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パック
CA2408978C (en) 1992-05-29 2004-12-28 Sony Corporation Battery cartridge having hollow electrodes and a recess for detecting misuse and/or recessed terminals
JP3416962B2 (ja) 1992-09-18 2003-06-16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パック
US5626979A (en) * 1994-04-08 1997-05-06 Sony Corporation Battery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employing the battery device as power source
JP3637625B2 (ja) * 1994-04-08 2005-04-13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装置及びこのバッテリ装置が装着される電子機器
JP2711223B2 (ja) 1994-07-29 1998-02-10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バッテリパック及びその接続構造
JP3627260B2 (ja) 1994-09-02 2005-03-09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装置及びこのバッテリ装置の装着装置
JP3376569B2 (ja) * 1995-08-31 2003-02-10 株式会社ケンウッド 電子機器のバッテリー着脱機構
JP3575646B2 (ja) 1995-12-06 2004-10-13 ソニー株式会社 バツテリーパツク
JPH09271144A (ja) 1996-01-29 1997-10-14 Sony Corp 電源識別方法、乾電池パツク、電子機器
JP3490590B2 (ja) 1997-05-29 2004-01-26 富士通株式会社 携帯装置のバッテリロック機構
US6127063A (en) 1998-01-26 2000-10-03 Physio-Control Manufacturing Corporation Intelligent battery and well interface
US6261715B1 (en) 1998-03-12 2001-07-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Battery attaching mechanism for portable computers
USD535253S1 (en) 1998-06-17 2007-01-16 Black & Decker Inc. Battery pack terminal and housing
US6057608A (en) 1998-08-13 2000-05-02 Black & Decker Inc. Cordless power tool system
TW395568U (en) 1998-12-28 2000-06-21 Hon Hai Prec Ind Co Ltd Battery connector
JP4110657B2 (ja) * 1999-02-17 2008-07-02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パック、バッテリー装着装置、電力供給装置及び電子機器
JP4110656B2 (ja) 1999-02-17 2008-07-02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パック、バッテリー装着装置、電力供給装置及び電子機器
USD447122S1 (en) 2000-05-30 2001-08-28 J.S.T. Mfg. Co., Ltd. Housing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6326766B1 (en) * 2000-06-09 2001-12-04 Shoot The Moon Products Ii, Llc Rechargable battery pack and battery pack charger with safety mechanisms
JP4813644B2 (ja) 2000-08-22 2011-11-09 旭電機化成株式会社 電池アダプタケース
JP2002063876A (ja) 2000-08-22 2002-02-28 Tookado:Kk 携帯電子機器の防水構造
JP2002110287A (ja) 2000-09-14 2002-04-12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バッテリーコネクタ構造及びバッテリーパック
US6677078B2 (en) 2001-06-29 2004-01-13 The Gillette Company Battery cartridge
WO2003010839A1 (en) 2001-07-24 2003-02-06 Sony Corporation Method for preventing erroneous mounting of mounting part on main body device, mounting part and battery pack used for this
JP3925120B2 (ja) 2001-07-24 2007-06-06 ソニー株式会社 本体側機器に対する装着部品の誤装着防止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装着部品
JP3888105B2 (ja) 2001-08-31 2007-02-28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パック
US7001209B2 (en) * 2001-07-25 2006-02-21 Sony Corporation Terminal structure and mounting part
TW478656U (en) * 2001-07-31 2002-03-01 Yu-Huei Huang Sealed battery box
US6729413B2 (en) 2001-08-24 2004-05-04 Black & Decker Inc. Power tool with battery pack ejector
JP2003086160A (ja) 2001-09-14 2003-03-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子機器及びそのバッテリ取付装置
USD473192S1 (en) 2002-02-14 2003-04-15 Mitsumi Electric Co., Ltd. Electric connector
JP4123515B2 (ja) 2003-12-26 2008-07-23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装置
JP4123516B2 (ja) 2003-12-26 2008-07-23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装置
JP4245017B2 (ja) 2006-08-28 2009-03-25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装置、電子機器及びバッテリーシステム
JP2008053154A (ja) 2006-08-28 2008-03-06 Sony Corp バッテリー装置、電子機器及びバッテリー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99095A1 (en) 2006-09-06
US20160181581A1 (en) 2016-06-23
US20140023902A1 (en) 2014-01-23
CN101728571B (zh) 2013-11-06
CN100583496C (zh) 2010-01-20
KR101114051B1 (ko) 2012-02-21
US7824799B2 (en) 2010-11-02
KR20110056565A (ko) 2011-05-30
US20110020698A1 (en) 2011-01-27
JP2008153241A (ja) 2008-07-03
CN101222031A (zh) 2008-07-16
US8563167B2 (en) 2013-10-22
JP4123515B2 (ja) 2008-07-23
CN101728569B (zh) 2016-03-23
CN101728570A (zh) 2010-06-09
JP4221677B2 (ja) 2009-02-12
WO2005064707A1 (ja) 2005-07-14
CN101728568A (zh) 2010-06-09
CN101728569A (zh) 2010-06-09
CN1813364A (zh) 2006-08-02
EP1699095B1 (en) 2012-09-26
CN101728570B (zh) 2013-07-03
EP1699095A4 (en) 2009-09-30
CN101728567B (zh) 2014-04-02
US9331317B2 (en) 2016-05-03
KR101082209B1 (ko) 2011-11-09
CN101222030B (zh) 2012-12-12
CN100585915C (zh) 2010-01-27
JP2005190903A (ja) 2005-07-14
CN101728567A (zh) 2010-06-09
CN101728571A (zh) 2010-06-09
CN101222030A (zh) 2008-07-16
US20060159991A1 (en) 2006-07-20
CN101728568B (zh) 2016-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4051B1 (ko) 배터리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1122943B1 (ko) 배터리 장치 및 전자 기기
JP4232851B2 (ja) バッテリ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