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7411A - 무선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7411A
KR20060127411A KR1020067011927A KR20067011927A KR20060127411A KR 20060127411 A KR20060127411 A KR 20060127411A KR 1020067011927 A KR1020067011927 A KR 1020067011927A KR 20067011927 A KR20067011927 A KR 20067011927A KR 20060127411 A KR20060127411 A KR 20060127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terminal
server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1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7270B1 (ko
Inventor
마스기 이노우에
미키오 하세가와
칼레드 마흐무드
호마레 무라카미
Original Assignee
도쿠리쯔교세이호진 죠호쯔신겡큐기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쿠리쯔교세이호진 죠호쯔신겡큐기코 filed Critical 도쿠리쯔교세이호진 죠호쯔신겡큐기코
Publication of KR20060127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7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91Access to open networks; Ingress point selection, e.g. ISP selection
    • H04L12/5692Selection among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2종류 이상의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기본 액세스 네트워크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동시에 확립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본 액세스 네트워크에서는 연속적인 통신전환제어에 관계된 시그널링 통신을 하는 한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는 시그널링 통신 이외의 데이터통신을 한다. 그리고, 무선통신 단말에 위치취득수단을 구비하여 위치정보를 서버에 송출함으로써, 최적의 네트워크로 전환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RADIO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2종류 이상의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면서 데이터통신을 할 때, 다른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연속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단말의 통신상태나 위치 등에 따라 최적의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무선 LAN이나 Bluetooth 등의 자영계(自營系) 시스템, 휴대전화나 PHS 등의 공중망 시스템 등, 오늘날 이미 실용화되어 있는 다양한 각종 무선통신 네트워크는 현재 독립적으로 기능하며, 사용자는 용도나 영역, 통신속도 등에 따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무선통신 네트워크는 그 종류에 따라 통신속도나 제공영역, 통신비용 등이 다양하여, 특정한 네트워크를 항상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장소에 따라 적절히 전환할 필요가 있다.
이 때, 각 시스템을 통합적으로 취급하며, 각각의 서비스영역의 커버리지나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통신대역 등에 따라 사용자가 의식하지 못하는 가운데 적절한 네트워크를 선택 전환하여, 통신을 중단하지 않고 계속할 수 있는 심리스(seamless) 핸드오버기술이 요구된다.
이러한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전환 등의 제어에 관계된 통신을 하는 네트워크와, 데이터통신을 하는 네트워크를 서로 분리하는 방법이 고려된다. 가령, 본건 출원인이 제안한 PCT출원(PCT/JP02/13187)과 같이, 광역 무선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본래 호출기능이 없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도 데이터통신이나 음성데이터통신을 확립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본 기술에 따르면, 예컨대 페이저(pager) 회선 등의 호출기능을 갖는 광역 무선통신 시스템을 전용 호출용 회선으로서 이용하는 동시에, 무선통신 시스템에는 가령 무선 LAN 등을 이용하고 각각의 특성을 조합하여 이용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이 방법은 특히 페이저 회선과 같은 기존 인프라의 효율적인 이용을 의도한 것이었으나, 제어용 네트워크로서 미리 특정 네트워크를 정하여 시스템 전체가 구축되어 있어, 예컨대 해외나 외딴 섬 등 그 제어용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없는 장소에서는 기능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데이터 통신용으로 복수의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에도, 연속적인 통신전환은 불가능하였다. 특히, 네트워크적으로 다른 위치에 기지국이 접속되어 있는 무선통신 네트워크 사이에서 통신을 전환할 때, 단말의 무선시스템을 조기에 전환하는 기술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측의 데이터 전달경로를 적절히 전환하는 기술이 필요하여 그 실현이 요망되고 있다.
더욱이, 무선통신 단말에서 이용하는 네트워크에 관하여, 무선통신 단말을 이동시키면 서비스의 제공영역으로부터 벗어날 때까지 전환을 하지 않기 때문에, 일단 네트워크가 절단되어 다시 제공되는 서비스에 재접속해야만 하여 접속의 연속 성이 확보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제어용의 무선통신 네트워크와, 기타 데이터 통신용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통신전환을 실현하며, 제어용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 통신용 네트워크를 연속적으로 전환하는 동시에,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영역 밖으로 나갈 경우에 자동으로 다른 후보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청구범위 1에 기재된 발명은, 적어도 2종류 이상의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며, 연속적인 통신전환제어에 관계된 시그널링(signaling) 통신이 가능한 기본 액세스 네트워크와, 상기 시그널링 통신 이외의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동시에 접속확립할 수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무선통신 시스템은 무선통신 단말 및 무선통신 서버를 구비한다.
상기 무선통신 단말에는 기본 액세스 네트워크와의 접속처리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의 접속·절단처리를 수행하는 심리스(seamless) 어플리케이션 처리부와, 시그널링 통신에서의 클라이언트 기능을 갖는 기본 액세스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처리부와, 적어도 2종류 이상의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캐스트 수신을 설정하는 멀티캐스트 통신노드 어플리케이션 처리부와, 상기 각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각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상기 무선통신 단말의 위치취득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무선통신 서버에는, 적어도 2종류 이상의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캐스트 송신을 설정하는 홈 에이전트 어플리케이션 처리부와,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연속적으로 통신전환할 때 전환후보가 되는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상기 무선통신 단말에 통지하는 이외에, 각 무선통신 단말과의 사이에서 그 상황을 통신하는 시그널링 통신 및 각 무선통신 단말의 등록·갱신처리를 담당하는 기본 액세스 네트워크 서버 처리부와, 각 무선통신 단말의 상황을 관리하는 단말상황 테이블과, 각 무선통신 단말에 장착되어 있는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단말구성 테이블과,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연속적으로 통신전환할 때 전환후보가 되는 무선통신 네트워크의 순위를 관리하는 프레퍼런스 설정 테이블(preference setting table)을 구비한다.
그리고, 기본 액세스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처리부가, 위치취득수단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취득하여 기본 액세스 네트워크 서버 처리부에 통지하며, 기본 액세스 네트워크 서버 처리부는 이것을 단말상황 테이블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에, 적어도 무선통신 단말의 현재 위치주변의 지도를 표시하는 지도표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 처리부를 구비하는 한편, 무선통신 서버에, 적어도 미리 구비한 지도데이터를 참조하여 임의의 지점의 지도화상을 생성하는 화상생성 처리부와, 상기 지도화상을 상기 무선통신 단말에 송신할 수 있는 지도표시 서버 어플리케이션 처리부를 구비한다.
본 구성에 있어서, 지도표시 서버 어플리케이션 처리부가 지도표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 처리부로부터 지도화상 생성요구를 수신하면, 상기 단말상황 테이블로부터 해당 무선통신 단말의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동시에 상기 화상생성처리부에 상기 위치정보와 함께 주변지도화상 생성요구를 송출하고, 상기 화상생성 처리부에서 생성된 주변지도화상은 지도표시 서버 어플리케이션 처리부로 답신되며, 더욱이 지도표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 처리부로 응답 송신되는 것이다.
더욱이, 청구범위 3에 따른 발명은, 상기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통신 서버가, 홈 에이전트 어플리케이션 처리부와 기본 액세스 네트워크 서버 처리부를 구비하는 홈 에이전트 서버와, 단말상황 테이블과 단말구성 테이블과 프레퍼런스 설정 테이블을 구비하는 리소스 서버의 2가지의 서버로 구성되는 동시에, 기본 액세스 네트워크 서버가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리소스 서버의 각 테이블 내의 정보를 취득 또는 등록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청구범위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에, 적어도 무선통신 단말의 현재 위치 주변의 지도를 표시하는 지도표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 처리부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리소스 서버에, 적어도 미리 구비한 지도 데이터를 참조하여 임의의 지점의 지도화상을 생성하는 화상생성 처리부와, 상기 지도화상을 상기 무선통신 단말에 송신할 수 있는 지도표시 서버 어플리케이션 처리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서, 지도표시 서버 어플리케이션 처리부가, 지도표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 처리부로부터 지도화상 생성요구를 수신하면, 상기 단말상황 테이블로부터 상기 무선통신 단말의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동시에 상기 화상생성 처리부에 상기 위치정보와 함께 주변 지도화상 생성요구를 송출하고, 상기 화상생성 처리부에서 생성된 주변지도화상은 지도표시 서버 어플리케이션 처리부로 답신되며, 더욱이 지도표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 처리부로 응답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전체구성도.
도 2는 무선통신 단말을 상세히 설명하는 구성도.
도 3은 M-cast 수신설정의 시퀀스.
도 4는 멀티캐스트의 종료시 M-cast 수신을 해제하는 시퀀스.
도 5는 RAN 접속의 시퀀스.
도 6은 RAN을 다음 후보 RAN으로 연속적으로 전환하는 시퀀스.
도 7은 사용자의 RAN 전환지시에 있어서의 시퀀스.
도 8은 이용가능한 RAN 후보를 BAS 클라이언트 처리부에서 검출하는 시퀀스.
도 9는 우선도가 높은 RAN으로 복귀가 가능한 경우의 전환 시퀀스.
도 10은 BAS 클라이언트 처리부의 지시에 따라 RAN을 전환하는 시퀀스(권외경고로부터 코어영역).
도 11은 BAS 클라이언트 처리부의 지시에 따라 RAN을 전환하는 시퀀스(권외경고로부터 권외).
도 12는 서비스 등록기능의 시퀀스.
도 13은 단말등록기능의 시퀀스.
도 14는 등록상태 감시기능의 시퀀스.
도 15는 단말위치상태 감시기능의 시퀀스.
도 16은 단말 RAN 후보 생성기능의 시퀀스.
도 17은 현재 위치 주변지도 생성기능의 시퀀스.
도 18은 단말상황 표시기능의 시퀀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무선통신 단말 11 : 심리스 어플리케이션 처리부
12 : BAS 클라이언트 처리부 13 : 모바일 IP 모바일 노드 처리부
20 : 홈 에이전트 서버 21 : 모바일 IP 홈 에이전트 처리부
22 : BAS 서버 30 : 리소스 서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방법을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하의 내용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전체구성도이다. 본 시스템은, 사용자가 가지고 다닐 수 있는 무선통신 단말(10)과,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홈 에이전트 서버(20) 및 리소스 서버(30)로 구성된다. 홈 에이전트 서버(20)와 리소스 서버(30)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본 구성 외에 양 서버(20,30)를 일체로 구성하여 하나의 무선통신 서버를 구성할 수도 있다.
무선통신 단말(10)은 Mobile IPv4의 모바일 노드로서 이동성(mobility)을 실현하는 것이며, 자동제어에 의해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연속적으로 전환한다.
도 2는 무선통신 단말(10)을 상세히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상기 단말(10)은 가령 공지된 개인용 컴퓨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를 이용하며, 도시 된 심리스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와, 기본 액세스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처리부(이하, BAS 클라이언트 처리부라 함 ; 12), 멀티캐스트 통신노드 어플리케이션 처리부인 모바일 IP 모바일 노드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3),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4)를 구비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단말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위치취득수단으로서 GPS 리시버(17)를 구비하는 외에, 단말의 주변지도 등을 표시하기 위해 지도표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8)를 설치한다.
또한, 심리스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에서 이용하는 심리스 설정 파일(15)과, BAS 클라이언트 처리부(12)에서 이용하는 BAS 설정파일(16)을 상기 단말(10) 내의 메모리나 외부기억장치 내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모바일 IP 모바일 노드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3)에서는, 모바일 IP의 동시 바인딩(Simultaneous bindings)을 서포트하고 있다. 동시 바인딩으로 등록을 행한 후, 홈 에이전트 서버(20)로부터 보내져 오는 동일 패킷을 수신하고 한 쪽을 파기한다.
모바일 IP 모바일 노드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3)는 멀티캐스트(M-cast) 수신을 설정하고 해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3은 M-cast 수신설정의 시퀀스이다. 수신설정시에는 후술하는 심리스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로부터의 M-cast 수신설정지시를 계기로 설정을 실행하며, 홈 에이전트 서버(20)의 홈 에이전트 어플리케이션 처리부인 모바일 IP 홈 에이전트 처리부(21)에 대하여 등록 업데이트를 요구한다. 이 때의 등록 업데이트에서는 파라미터 S=1을 송출한다.
모바일 IP 홈 에이전트 처리부(21)로부터는 등록 업데이트(S=1)의 응답이 돌아오며, 모바일 IP 모바일 노드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3)로부터 심리스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로 모바일 IP 업데이트의 응답이 통지된다. 또한, 홈 에이전트 서버(20)로부터의 응답이 없을 경우에는 다시 보내고, 또 일정기간 응답이 없으면 심리스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에 의해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멀티캐스트의 종료시에는 M-cast 수신을 해제한다. 이 때의 시퀀스를 도 4에 나타낸다. 해제시에도 상기와 동일한 시퀀스인데, 파라미터 S=0으로 하여 등록 업데이트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홈 에이전트 서버(20)로부터의 응답이 없으면 M-cast 상태는 계속된다.
다음으로, 심리스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의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본 처리부(11)에서는 기동시에 기본 액세스 네트워크(BAN)의 접속을 실행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BAN에서는 연속적인 통신전환제어에 관계된 시그널링 통신을 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BAS 클라이언트(12)와 BAS 서버(22)는 BAS(Basic Access Signaling) 프로토콜에 의한 통신을 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을 채용한다. 또한, 통신상대와의 통신이 개시된 후에 그 밖의 데이터통신을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의 접속을 수행하여 모바일 IP에 의해 통신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무선통신 네트워크로부터 RAN과 BAN을 별개로 접속하는데, 무선통신 네트워크 중 어느 것을 BAN·RAN으로서 이용할지는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는, RAN으로서 이용중인 디바이스의 통신상황 을 정기적으로 감시하며, 통신이상이 검출되면 통신 디바이스를 연속적으로 자동전환할 수가 있다는 것이다. 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동으로 디바이스를 전환할 수도 있다. RAN에 의한 통신이 종료되었으면 자동적으로 RAN을 절단하고 디바이스의 전원도 오프(OFF)한다.
심리스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에서는,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4)의 접속가능·불가능을 판정하는 통신 디바이스 스캔기능, 상기 디바이스의 전원이 온(ON)된 후에 자동접속을 하는 통신 디바이스 접속기능, 상기 디바이스에서의 링크다운을 검출하는 통신 디바이스 감시기능, 상기 디바이스를 자동절단후에 전원을 오프(OFF)하는 통신 디바이스 절단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RAN 및 BAN에 관하여, 기동 후에 RAN을 설정하는 RAN 접속기능, 상기 링크다운의 검출시나, 사용자로부터 혹은 BAS 클라이언트 처리부(12)로부터의 전환지시를 계기로 하여 다음 후보 RAN으로의 전환을 실행하는 RAN 전환기능, 기동시에 현재 BAN으로서 사용하는 통신 디바이스의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BAN 접속기능과 같은 각 기능도 구비한다.
통신 디바이스 스캔기능은, 심리스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에 의해 네트워크 디바이스(14)로부터 소정의 주기로 전파강도를 취득하는 처리를 포함하며, 주기는 심리스 설정파일(15)로부터 취득한다. 전파강도의 취득방법은 각 디바이스에 의존하며, 하드웨어 제조업체 등에 의해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전파강도를 취득할 때, 임계치 이상이었을 때에는 '접속가능', 이하인 경우에는 '접속불가능'으로 심리스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에서 판정한다.
통신 디바이스 접속기능은 각 디바이스의 사용시에 전원을 온(ON)하는 기능으로서, 휴대전화나 PHS의 모뎀과 같은 다이얼 업 디바이스인 경우에는, 전원이 온(ON)된 후에 다이얼 업 접속을 실행한다. 또한, 무선 LAN 등의 경우에는, 전원이 온된 후에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설정을 실시한다. 더욱이, 각 프로바이더에 대한 다이얼 업 설정파일은, 미리 심리스 설정파일(15) 등에 저장해 둔다. 또한, 각 네트워크의 IP 할당(DHCP를 포함함)이나,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ESSID, 패스워드에 대해서도 미리 사용자가 설정하여 저장해 둔다.
통신 디바이스 감시기능은, 통신사용중인 디바이스의 링크상태를 심리스 설정파일(15)의 설정치에 기초하여 정기적으로 감시한다. 즉, 네트워크 디바이스(14)의 디바이스 드라이버로부터 통신상태를 취득하고, 이상이 있으면 RAN 전환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무선 LAN의 경우에는 신호강도에 따라 임계치 이하일 때에는 링크다운을 검출하며, 기타 공지된 방법에 의해 링크다운을 검출한다.
통신 디바이스 절단기능은, 미사용의 디바이스를 무효설정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14)의 전원을 오프(OFF)하는 기능이다. 다이얼 업 접속의 경우에는, 다이얼 절단을 실행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RAN·BAN의 접속에 관해 설명한다.
도 5는 RAN접속의 시퀀스이다. 기동시에 심리스 설정파일(15)로부터 후보 RAN을 취득하고, 그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RAN으로서 접속한다. RAN이 접속될 때까지 다음 후보 RAN과의 접속을 시도한다.
즉, 심리스 어플리케이션 기동시에 RAN 전환후보의 일람을 취득하여 후보 RAN의 접속, 네트워크 설정을 실행한다. 모바일 IP 모바일 노드(13)에 모바일 IP 업데이트를 요구하고 등록한다. 그리고, RAN으로서 접속한 정보를 현재 RAN으로서 심리스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에서 보유한다. 모바일 노드(11)는 역학(Dynamics) 기능에 의해 홈 에이전트 서버(20)의 모바일 IP 홈 에이전트 처리부(21)에 등록을 요구한다.
또한, 심리스 설정파일(15)에 RAN 후보가 없을 경우, 일정 기간의 중지(suspend) 후에 다시 RAN 접속을 실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RAN을 사용자의 지시나,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수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RAN의 통신이상이 검출된 경우에, RAN을 다음 후보 RAN으로 연속하여 전환하는 시퀀스이다.
즉, 상기 심리스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에 의해 네트워크 디바이스(14)의 통신이상이 검출되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기본 액세스 네트워크로 모바일 IP 업데이트 요구하고 전환한다. 즉, BAN의 접속이 확립되어 있고 BAN과 RAN이 다를 경우에는, 신규 업데이트를 의미하는 파라미터 S=0으로 모바일 IP 업데이트를 요구하고 BAN으로만 접속을 전환한다. 그 밖의 경우에는 업데이트는 하지 않는다.
모바일 IP 업데이트를 요구할 경우에는, 모바일 노드(13)는 역학 기능에 의해 모바일 IP 홈 에이전트 처리부(21)에 등록을 요구한다. 이로써, 일단 BAN으로 접속이 전환된다.
더욱이, 심리스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는 심리스 설정파일(15)로부터 다음 후보 RAN의 정보를 취득하고, 그 다음 후보가 BAN과 다를 경우에는, 이상이 검출된 현재 RAN의 네트워크를 무효로 하고 디바이스의 전원을 오프하는 동시에, 다음 후보 RAN과의 접속을 시도한다. 그리고, 모바일 노드(13)에 대하여 그 새로운 RAN으로의 모바일 IP 업데이트를 요구(S=0)하고, 모바일 노드(13)는 역학 기능에 의해 모바일 IP 홈 에이전트 처리부(21)에 등록을 요구한다.
다음 후보와 BAN이 동일할 경우에는 그대로 BAN을 이용하면 되므로, 현재 RAN의 절단처리만 하여도 된다.
도 7은 사용자로부터의 RAN 전환지시에서의 시퀀스이다. 이 경우, 우선 사용자는 선택가능한 RAN의 후보일람취득을 심리스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에서 요구하고, 심리스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는 심리스 설정파일(15)로부터 RAN 후보일람을 취득한다. 이를 사용자에게 보내며 사용자는 RAN을 선택하여 전환지시를 한다.
BAN의 접속이 확립되어 있고 BAN과 RAN이 다를 경우에는, 현재의 RAN에 추가하여 BAN과 멀티캐스트 접속하기 위해, 추가 업데이트를 의미하는 파라미터 S=1로 모바일 IP 업데이트를 요구하여 BAN의 접속을 추가한다. 그 밖의 경우에는 업데이트는 하지 않는다.
모바일 IP 업데이트를 요구할 경우에는, 모바일 노드(13)는 역학 기능에 의해 모바일 IP 홈 에이전트 처리부(21)에 등록을 요구한다. 이로써, 설령 RAN이 도중에 링크다운되어도 BAN에 의한 접속이 유지된다.
더욱이, 심리스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는 현재의 RAN, 사용자 지정 RAN, BAN의 관계를 통해 다음과 같이 처리한다.
BAN과 현재 RAN이 동일할 경우, 현재 RAN의 네트워크는 그대로이고 지정 RAN과의 접속, 모바일 IP 업데이트(S=0)의 요구, 등록을 수행한다.
BAN과 지정 RAN이 동일할 경우, 현재 RAN을 절단처리하고 지정 RAN의 모바일 IP 업데이트(S=0)를 요구, 등록한다.
BAN이 현재 RAN, 지정 RAN과 다를 경우, 현재 RAN을 절단처리하고 지정 RAN의 모바일 IP 업데이트(S=0)를 요구, 등록한다.
사용자가 RAN을 선택할 때, 전체 디바이스로부터 검출할 뿐만 아니라 이용가능한 RAN을 BAS 클라이언트 처리부(12)에서 전환후보를 검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8의 시퀀스와 같이 사용자가 RAN 전환후보 갱신요구를 BAS 클라이언트 처리부(12)로 송출하면, 상기 처리부(12)가 이용가능한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검색하여 심리스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로 통지한다.
이에 따라, 심리스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는 심리스 설정파일(15)의 전환후보를 갱신하여, 이용가능한 네트워크만 후보가 되도록 한다. 이후에는 상기와 동일한 순서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우선도가 높은 RAN으로 전환이 가능한지를 감시하며, 가능할 경우에는 복귀하는 시퀀스를 구비한다. 이를 도 9에 도시한다.
여기서, 심리스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는 통신 디바이스를 상기 기능에 의해 스캔하고, 그 결과 사용대역을 만족하며 현재 RAN보다 우선도가 높은(후보순위가 높은) RAN의 접속이 가능해졌음을 검출한다.
그리고, BAN과 현재 RAN이 다를 경우에는 신규 업데이트를 의미하는 파라미 터 S=0으로 모바일 IP 업데이트를 요구하고, BAN으로만 접속을 전환한다. 그 밖의 경우에는 업데이트는 하지 않는다.
모바일 IP 업데이트를 요구할 경우에는, 모바일 노드(13)는 역학 기능에 의해 모바일 IP 홈 에이전트 처리부(21)에 등록을 요구한다. 이로써, 일단 BAN으로 접속이 전환된다.
더욱이, 심리스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지시를 받았을 경우와 동일한 처리에 의해 우선도가 높은 RAN으로 전환처리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HA 서버(20)에 설치된 기본 액세스 네트워크 서버 처리부(이하, 'BAS 서버'라 함 ; 22)와 기본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BAS 클라이언트 처리부(12)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RAN을 전환하는 구성도 제공한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리스 어플리케이션(11)은 BAS 클라이언트 처리부(12)로부터 무선통신 단말(10)이 코어영역에서 권외경고영역으로 들어갔음을 알리는 통지를 수취하면, 현재의 RAN이 BAN과 다를 경우에는, BAN의 네트워크에 S=1로 모바일 IP 업데이트를 요구한다. 모바일 노드(13)는 역학 기능에 의해 모바일 IP 홈 에이전트 처리부(21)에 등록을 요구한다. 이로써, BAN의 접속이 추가된다.
그리고, BAS 클라이언트 처리부(12)로부터 다시 코어영역으로 복귀하였음이 통지된 경우에는, 현재의 RAN에 S=0으로 모바일 IP 업데이트를 요구한다.
한편, 코어영역으로 복귀하지 않고, 권외로 나왔다는 통지가 BAS 클라이언트 처리부(12)로부터 얻어졌을 경우에는, 도 11의 시퀀스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심리스 설정파일(15)로부터 다음 후보의 RAN 정보를 취득하고 현재 RAN의 절단처리를 실시하는 동시에, 다음 후보 RAN의 접속처리를 실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RAN 및 BAN은 자유롭게 전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BAN에 대해서도 상기 RAN과 마찬가지로 전환이 가능하지만, 심리스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의 기동시에는, 우선 심리스 설정파일(15)로부터 BAN 전환후보정보를 취득하여 BAN으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설정을 한다. BAN으로서 접속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다시 다음의 BAN 전환후보를 취득하고 네트워크설정을 한다.
BAS 클라이언트 처리부(12)에 관해 더욱 상술한다. 상기 처리부(12)에서는, BAS 서버(22)에 대하여 등록처리를 하는 서비스 등록기능, 설정된 간격으로 BAS 서버(22)에 대하여 상태를 통지하는 상태통지기능, 사용자에 대하여 현재 선택중인 프레퍼런스를, 다른 프레퍼런스로 전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인 프레퍼런스 선택기능, 프레퍼런스의 설정을 계기로 BAS 서버(22)에 대해 단말발견요구를 송출하여 RAN 후보를 취득하는 RAN 후보취득기능, BAS 서버(22)로부터의 단말이동통지를 수신하고, RAN 후보의 갱신 후에 심리스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에 RAN 전환을 지시하는 전환지시 수신기능과 같은 각 기능을 구비한다.
서비스 등록기능의 시퀀스를 도 12에 나타낸다. 먼저 BAS 클라이언트 처리부(12)가 단말의 BAS 어플리케이션 기동을 계기로 하여 단말의 BAS 설정파일(16, 도 2 참조)로부터 단말 ID, 설정상태를 통지하기 위한 주기, 설정되어 있는 프레퍼런스를 취득한다. 그리고, 심리스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에 대하여, 장착된 무선 네트워크의 취득을 요구하여 얻는다. 더욱이, 심리스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 에 현재 네트워크 상태의 취득을 요구하여, 이용중인 BAN과 그 IP 어드레스, 이용중인 RAN, M-cast의 상태를 얻는다.
더욱이, GPS 리시버(17)에 대하여 위치정보취득을 요구하여 위도·경도와 같은 위치정보를 취득한다.
게다가, 이러한 정보를 초기정보로서 기본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BAS 서버(22)에 등록한다.
이러한 정보는, 상기 상태통지의 주기에 따라서 정기적으로 BAS 클라이언트 처리부(12)로부터 심리스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와 GPS 리시버(17)에 상태취득, 위치정보의 취득을 요구하여 BAS 서버(22)상의 정보를 갱신한다. 이것이 상태통지기능이다.
또한, 무선통신 단말이 이동하여 자동적으로 RAN을 전환할 때, 어느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우선전환대상으로 할 것인지에 대하여, 프레퍼런스로서 BAS 설정파일(16) 내에 저장해 둔다. 선택가능한 프레퍼런스로는, 가장 비용이 저렴한 무선 네트워크를 우선시하는 요금 프레퍼런스, 큰 대역을 우선시하는 대역 프레퍼런스, 넓은 영역범위를 우선시하는 범위 프레퍼런스, 양호한 접속성을 우선시하는 통신안정성 프레퍼런스, 저소비전력을 우선시하는 에너지절약 프레퍼런스 등이 있다. 각 프레퍼런스마다 수치를 설정하며, 가령 PHS에서는 순서대로 3,4,3,5,2로, 2G에서는 4,5,1,3,4 등으로 정의해둔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예컨대 요금 프레퍼런스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전환의 우선도가 무선 LAN, PHS, 2G, 3G 등과 같이 설정된다.
설정된 프레퍼런스를 바탕으로 RAN의 전환후보로서 설정하려면, BAS 서버(22)에 대하여 단말발견의 요구(WRD : Wireless Resource Discovery)를 송출한다. 그 계기로는, 사용자가 프레퍼런스를 변경했을 경우와 사용자가 이용가능한 RAN의 정보취득을 요구했을 경우가 있다.
BAS 클라이언트 처리부(12)는 BAS 설정파일(16)로부터 선택 프레퍼런스를 취득하여 기본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BAS 서버(22)에 통지한다.
BAS 서버(22)에서는 통지된 프레퍼런스를 바탕으로, 단말에 우선시된 이용가능한 RAN의 전환후보를 반환한다. BAS 클라이언트 처리부(12)는 취득한 전환후보를 심리스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에 통지한다. 심리스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에서는 이러한 순서 매기기를 포함하는 전환후보를 심리스 설정파일(15)에 보존한다. 이 정보는 상술한 네트워크 전환에서 이용된다.
더욱이, BAS 서버(22)에 있어서 현재 RAN으로서 사용중인 무선통신 네트워크가 권외경고영역에 들어갔다고 판단하였을 경우, 단말에 대하여 무선 네트워크의 전환지시를 실행한다. 즉, 서버에서 RAN의 전환요구가 발생하였을 경우, 단말이동의 통지에 따라 이용가능한 네트워크를 BAS 클라이언트 처리부(12)로부터 심리스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로 통지한다. 심리스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에서는 이에 따라 심리스 설정파일(15)의 RAN 후보정보를 갱신한다. 더욱이, BAS 클라이언트 처리부(12)는 심리스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에 RAN 전환을 지시한다. 그 후의 처리는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에는 GPS 리시버(17)와 지도표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8)가 구비되며, BAS 서버(22)와 리소스 서버(30)의 작용에 의해 지도표시기능이 구비된다. 본 기능에 대해서는 리소스 서버(30)의 구성과 함께 개시한다.
다음으로 무선통신 서버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무선통신 서버는 홈 에이전트 서버(20)와 리소스 서버(30)로 구성되며, 홈 에이전트 서버(20)는 모바일 IP 홈 에이전트 처리부(21)와 BAS 서버(22)로 이루어지고, 리소스 서버(30)에는 단말상황 테이블 등의 각종 정보가 저장된다.
홈 에이전트 처리부(21)는, 모바일 IP 모바일 노드(13)로부터의 등록 업데이트(S=1)를 계기로 하여 M-cast 송신설정을 하거나 등록)를 계기로 하여 해제설정을 한다. 또 BAS 서버(22)로부터의 조회에 따라 M-cast 상태를 응답한다.
M-cast 송신기능을 기동할 때에는, 송신 대상처 IP 어드레스, 송신원 IP 어드레스를 파라미터로서 이용한다. 이후, 다른 상대방 어드레스에 대하여 동일 패킷이 송신되게 된다.
또, BAS 서버(22)에서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BAS 클라이언트 처리부(12)로부터의 등록요구에 따라서 BAS 서버(22)로부터 리소스 서버(30)의 단말상황 테이블(31)에, 무선통신 단말의 ID, 선택 프레퍼런스, 상태통지주기, BAN의 IP 어드레스, 이용중인 BAN, 이용중인 RAN, M-cast 상태나 위도·경도, 갱신일시 등이 등록된다.
더욱이, 리소스 서버(30)의 단말구성 테이블(32)에는 통지된 무선통신 단말의 ID와 그 장착된 무선 네트워크를 등록한다.
그리고, 후술하는 감시기능(22a)을 기동시킨 후, BAS 클라이언트 처리부(12)에 등록의 응답을 반환한다.
그 후, 단말상태 갱신기능에 의해, 무선통신 단말의 갱신을 통지하도록 정기적으로 BAS 클라이언트 처리부(12)로부터 갱신요구를 하고, 그 갱신정보를 상기 단말상황 테이블에 수시로 추가한다.
이러한 갱신요구를 상기 감시기능(22a)에 의해 더욱 감시하여, 주기에 기초한 간격으로 요구를 수신하지 못하게 되었을 경우에, 단말에서의 서비스가 불가능한 상태라 판단하고 서비스 등록을 해제하는 등록상태 감시기능을 구비한다. 도 14에 본 기능의 시퀀스를 나타낸다. 상기 기능의 처리부에서는, 단말상황 테이블(31)로부터 갱신요구의 미수신 허용횟수를 취득한 후 정기적으로 갱신일시를 취득하며, 그 갱신일시로부터 설정주기로 수신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그것을 미수신 횟수로서 카운트한다.
그 카운트값이 상기 미수신 허용횟수를 초과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을 서비스이용 불가상태라 판단하고, 단말상황 테이블(31) 및 단말구성 테이블(32)로부터 상기 단말의 정보를 삭제한다. 이것이 삭제됨으로써,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심리스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에서의 전환후보에서도 제외된다.
BAS 서버(22)는 단말위치상태 감시기능도 구비한다. 본 기능은 설정된 간격으로, 서비스 등록중인 무선통신 단말의 위치를 감시하며 현재 이용중인 RAN 영역의 권외경고영역에 있을 경우에, 상기 단말에 전환지시를 통지하는 기능이다.
도 15에 본 기능의 시퀀스를 나타낸다.
여기서, 단말상황 테이블(31)로부터 무선통신 단말의 위치정보, 이용 RAN을 취득하며, 감시기능(22a) 처리부에서 이전 회의 감시할 때의 위치정보와 이번 회의 위치정보가 다를 경우에는, 각 코어영역 및 권외경고영역과의 대조를 담당하는 GIS 엔진부(33)에 문의한다.
그리고, 그 결과, 코어영역에 위치할 경우에는 다음 회의 감시로 진행하지만, 권외경고영역에 위치할 경우에는 단말상황 테이블(31)로부터 상기 선택 프레퍼런스를 취득하고, 내부적으로 단말발견을 요구하여 RAN 후보를 얻으며, BAS 클라이언트 처리부(12)에 단말이동통지를 발신한다.
그 밖에, 권외경고영역에서 코어영역으로 복귀하였을 경우나 권외로 이동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BAS 클라이언트 처리부(1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처리한다.
또, RAN 후보를 얻는 방법에 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은 이용중인 RAN이 절단된 경우의 전환후보로서, 현재 위치에서 이용가능한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시퀀스이다. 먼저, 단말발견요구를 수신하면, 선택 프레퍼런스를 단말상황 테이블(31)에 반영시킨다. 동시에 단말상황 테이블(31)로부터 해당 단말의 위치정보를, 단말구성 테이블(32)로부터 장착 무선 네트워크를 각각 취득한다. 또한, 프레퍼런스 설정 테이블(34)로부터, 선택 프레퍼런스에 의해 순위가 매겨진 모든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취득한다. 이들의 조합을 통해, 장착되어 있는 무선통신 네트워크의 순위를 매기고, 우선 순위가 높은 것부터 GIS 엔진부(33)에 현재 위치에서의 이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조회한다.
이용가능한 RAN 후보를 순서대로 작성하고, BAS 서버(22)로부터 BAS 클라이 언트 처리부(12)에 응답으로서 반환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지도표시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리소스 서버(30)에는 지도표시 서버 어플리케이션 처리부(40)가 설치되며, 무선통신 단말(10)의 지도표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8)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지도화상을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의 주변 지도화상을 생성하는 외에, 임의의 지정 지점의 지도화상을 생성할 수가 있다.
즉,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무선통신 단말(10)을 조작하여 현재 위치 주변 지도표시를 지정하면, 지도표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8)로부터 지도표시 서버 어플리케이션 처리부(40)를 향해 단말 ID와 함께 지도화상 생성요구를 송출한다. 수신한 지도표시 서버 어플리케이션 처리부(40)는 단말상황 테이블(31)로부터 현재의 위도·경도를 취득한 후, GIS 엔진부(33)에 상기 위치정보와 함께 화상생성요구를 보낸다.
상기 GIS 엔진부(33)에서는 미리 준비된 지도 데이터파일(41) 및 무선네트워크 정의 레이어 파일(35)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하여 화상을 생성한다. 상기 무선네트워크 정의 레이어 파일(35)의 정보를 지도데이터와 조합하여 이용하기 때문에, 상기 지도화상에는 각 무선통신 네트워크의 이용범위가 판별가능하게 포함된다.
생성된 화상은 GIS 엔진부(33)로부터 생성결과로서 지도표시 서버 어플리케이션 처리부(40)로 보내지며, 지도표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8)로 반환된다.
지도표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8)에서는 상기 지도화상이 화면 표시된다. 본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단순히 주변지도를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재 위치의 네트워크 접속환경을 눈으로 확인할 수가 있다. 특히 현재 위치에서는 접속이 불가능한 무선통신 네트워크가 인근 지점에서는 접속이 가능한 경우 등에 이를 알 수 있다면, 약간의 이동으로도 보다 우선도가 높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조합은 매우 적합하다.
또한, 현재 지역뿐만 아니라 지정 장소의 주변지도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령 사용자가 무선통신 단말(10)에서 지명이나 역명 등을 입력하면, 지도표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8)는, 지도표시 서버 어플리케이션 처리부(40)로 보내고, 상기 처리부(40)에서 GIS 엔진부(33)에 장소명을 문의한다. 문의결과는 지도표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8)까지 반환되어 사용자에게 제시되며, 사용자가 그 장소명을 선택하면, 지도화상 생성요구로서 장소명과 함께 지도표시 서버 어플리케이션 처리부(40)로 송신된다.
이후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GIS 엔진부(33)가 무선네트워크 정의 레이어 파일(35), 지도데이터파일(41)을 이용하여 지도화상을 생성하며, 지도표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8)까지 반환,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서버(30)에는 단말상황 표시처리부(42)가 설치되어 있으며, 관리자에 대하여 서비스 등록중인 무선통신 단말(10)을 각종 상황과 함께 지도상에 표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관리자가 브라우저(43)로부터 공지된 입력수단에 의해 단말상황 표시요구를 하면, 단말상황 표시처리부(42)에서는 모든 무선통신 단말(10)의 정보를 단말상황 테이블(31)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GIS 엔진부(33)에 지도화상의 생성요구를 하고, GIS 엔진부(33)에서는 무선네트워크 정의 레이어 파일(35)과 지도데이터파일(41)로부터 적어도 무선통신 단말(10) 중 하나를 포함하는 범위의 지도화상을 생성하여 단말상황 표시처리부(42)에 답신한다.
단말상황 표시처리부(42)에서는 브라우저(43)에서 상기 지도화상과 단말위치를 표시한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단말위치를 취득하여 단말이 서비스 제공권외가 되기 전에 기본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전환과 다음 후보의 무선통신 네트워크로의 접속전환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연속적인 네트워크전환에 기여한다.
또한, 지도표시를 함으로써 사용자가 네트워크환경을 용이하게 알 수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 접속의 이용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Claims (4)

  1. 적어도 2종류 이상의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며, 연속적인 통신전환제어에 관계된 시그널링(signaling) 통신이 가능한 기본 액세스 네트워크와, 상기 시그널링 통신 이외의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동시에 접속확립할 수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무선통신 시스템이 무선통신 단말 및 무선통신 서버를 구비하는 구성에 있어서,
    무선통신 단말이,
    상기 기본 액세스 네트워크와의 접속처리 및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의 접속·절단처리를 수행하는 심리스 어플리케이션 처리부(seamless application processing unit)와, 상기 시그널링 통신에서의 클라이언트 기능을 갖는 기본 액세스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처리부와, 적어도 2종류 이상의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캐스트 수신을 설정하는 멀티캐스트 통신노드 어플리케이션 처리부와, 상기 각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각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상기 무선통신 단말의 위치취득수단을 구비하는 동시에,
    무선통신 서버가,
    적어도 2종류 이상의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캐스트 송신을 설정하는 홈 에이전트 어플리케이션 처리부(home agent application processing unit)와,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연속적으로 통신전환할 때 전환후보가 되는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상기 무선통신 단말에 통지하는 이외에, 각 무선통신 단말과의 사이에서 그 상황을 통신하는 시그널링 통신 및 각 무선통신 단말의 등록·갱신처리를 담당하는 기본 액세스 네트워크 서버 처리부와, 각 무선통신 단말의 상황을 관리하는 단말상황 테이블과, 각 무선통신 단말에 장착되어 있는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단말구성 테이블과,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연속적으로 통신전환할 때 전환후보가 되는 무선통신 네트워크의 순위를 관리하는 프레퍼런스 설정 테이블(preference setting table)을 구비하며,
    상기 기본 액세스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처리부가 상기 위치취득수단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취득하여 기본 액세스 네트워크 서버 처리부에 통지하고,
    기본 액세스 네트워크 서버 처리부는 이것을 단말상황 테이블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에, 적어도 무선통신 단말의 현재위치 주변의 지도를 표시하는 지도표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 처리부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무선통신 서버에, 적어도 미리 구비한 지도데이터를 참조하여 임의의 지점의 지도화상을 생성하는 화상생성처리부와, 상기 지도화상을 상기 무선통신 단말에 송신할 수 있는 지도표시 서버 어플리케이션 처리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지도표시 서버 어플리케이션 처리부가,
    상기 지도표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 처리부로부터 지도화상 생성요구를 수신하면, 상기 단말상황 테이블로부터 해당 무선통신 단말의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동시에 상기 화상생성처리부에 상기 위치정보와 함께 주변 지도화상의 생성요구를 송출하고,
    상기 화상생성 처리부에서 생성된 주변 지도화상은 지도표시 서버 어플리케이션 처리부로 답신되어 지도표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 처리부로 응답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통신 서버가,
    상기 홈 에이전트 어플리케이션 처리부와, 상기 기본 액세스 네트워크 서버 처리부를 구비하는 홈 에이전트 서버와,
    상기 단말상황 테이블과, 상기 단말구성 테이블과, 상기 프레퍼런스 설정테이블을 구비하는 리소스 서버의 2개의 서버로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기본 액세스 네트워크 서버가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리소스 서버의 각 테이블 내의 정보를 취득 또는 등록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에, 적어도 무선통신 단말의 현재위치 주변의 지도를 표시하는 지도표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 처리부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리소스 서버에, 적어도 미리 구비한 지도데이터를 참조하여 임의의 지 점의 지도화상을 생성하는 화상생성처리부와, 상기 지도화상을 상기 무선통신 단말에 송신할 수 있는 지도표시 서버 어플리케이션 처리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지도표시 서버 어플리케이션 처리부가,
    상기 지도표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 처리부로부터 지도화상 생성요구를 수신하면, 상기 단말상황 테이블로부터 해당 무선통신 단말의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동시에 상기 화상생성처리부에 상기 위치정보와 함께 주변 지도화상의 생성요구를 송출하고,
    상기 화상생성 처리부에서 생성된 주변 지도화상은 지도표시 서버 어플리케이션 처리부로 답신되어 또한 지도표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 처리부로 응답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KR1020067011927A 2003-11-19 2003-11-19 무선통신 시스템 KR1009672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3/014724 WO2005051030A1 (ja) 2003-11-19 2003-11-19 無線通信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7411A true KR20060127411A (ko) 2006-12-12
KR100967270B1 KR100967270B1 (ko) 2010-07-01

Family

ID=34611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1927A KR100967270B1 (ko) 2003-11-19 2003-11-19 무선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06395B2 (ko)
EP (1) EP1696683A4 (ko)
JP (1) JP4348437B2 (ko)
KR (1) KR100967270B1 (ko)
AU (1) AU2003284571A1 (ko)
WO (1) WO20050510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00168A1 (en) * 2003-08-05 2008-08-21 John Yue Jun Jiang Method and system for seamless data roaming across multiple operator bearers
KR101398908B1 (ko) * 2007-05-22 2014-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아이피를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이동성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8732652B2 (en) * 2007-06-15 2014-05-20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multi-mode applications
RU2502221C2 (ru) 2007-09-10 2013-12-20 Нокиа Сименс Нетворкс Ой Управление доступом для закрытых групп абонентов
US8611896B2 (en) * 2008-12-01 2013-12-1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son (Publ) Neighbor cell list compilation methods and apparatus
CN101998673A (zh) * 2009-08-18 2011-03-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网络控制器之间通信控制的方法和装置
JP5579224B2 (ja) * 2012-05-02 2014-08-27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体通信システム、呼処理ノード及び通信制御方法
US11121989B1 (en) * 2020-05-29 2021-09-14 Bank Of America Corporation Centralized repository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cross-network interactions
US11663147B2 (en) * 2021-10-13 2023-05-30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eripheral devices at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516762D0 (en) * 1995-08-16 1995-10-18 Phelan Sean P Computer system for identifying local resources
JPH09182143A (ja) * 1995-12-27 1997-07-11 Sony Corp 端末装置
US5959577A (en) * 1997-08-28 1999-09-28 Vectorlink, Inc. Method and structure for distribution of travel information using network
US20020016171A1 (en) * 1998-09-30 2002-02-07 Yurdaer N. Doganata Mobile unit location system for automatically reporting to a central controller and subscriber the proximity of mobile units to a destination
US6965948B1 (en) 1999-11-12 2005-11-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 network access
US7421278B2 (en) * 2000-03-13 2008-09-02 Intell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ime-aware and location-aware marketing
DE10016889A1 (de) 2000-04-05 2001-10-18 Sel Alcatel Ag Funkkommunikationssystem und Komponenten für ein Funkübertragungsverfahren nach verschiedenen Funkübertragungsmodi
EP1158742A1 (en) * 2000-05-24 2001-11-28 Motorola, Inc.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6327533B1 (en) * 2000-06-30 2001-12-04 Geospatial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locating an object
JP3930684B2 (ja) 2001-01-24 2007-06-1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端末装置における動的遅延ack制御装置及び移動端末装置における動的遅延ack制御方法
CN1315341C (zh) 2001-02-15 2007-05-09 诺基亚公司 管理移动单元到网络连接的方法和系统
WO2002093425A1 (fr) * 2001-05-15 2002-11-2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Terminal d'informations portatif, dispositif et systeme de determination de position
JP4161028B2 (ja) 2002-03-06 2008-10-08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マルチサービス無線通信システム
GB0207454D0 (en) * 2002-03-28 2002-05-08 British Telecomm Method of data transfer in mobile and fixed telecommunications systems
JP2003309879A (ja) * 2002-04-17 2003-10-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移動通信システム
TW200721738A (en) * 2002-07-31 2007-06-01 Interdigital Tech Corp Wireless personal communicator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0579112C (zh) * 2003-05-09 2010-01-06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无线数据网络中的分布式缓存和再分布系统及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96683A1 (en) 2006-08-30
KR100967270B1 (ko) 2010-07-01
EP1696683A4 (en) 2009-01-14
JP4348437B2 (ja) 2009-10-21
US20070118585A1 (en) 2007-05-24
JPWO2005051030A1 (ja) 2007-06-14
WO2005051030A1 (ja) 2005-06-02
US7706395B2 (en) 2010-04-27
AU2003284571A1 (en) 2005-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27174B2 (ja) 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のための受動探査
KR101211852B1 (ko) 사용자 위치 정보 보고 방법, 시스템 및 그 장치
US9072036B2 (en) Method for selecting an air interface on a multi-mode wireless device
KR100967505B1 (ko) 무선통신 시스템
US200501368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ependent and efficient delivery of services to wireless devices capable of supporting multiple radio interfaces and network infrastructure
JP2005508127A (ja) 端末装置にサービスを行う移動局間の調整
JP2005136553A (ja) 移動体通信端末及び通信管理装置
KR20110023885A (ko) Mih 클라이언트에서 동적 프로파일 기능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4684908B2 (ja) リソース配置マネージャ、通信制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KR100967270B1 (ko) 무선통신 시스템
KR100983965B1 (ko) 무선통신시스템
KR100927922B1 (ko) 통신 네트워크에서 엔티티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및 시스템
JP2004274324A (ja) 通信種別選択装置、通信種別選択方法及び通信種別選択プログラム
CN117641314A (zh) 双驻留的处理方法、装置、终端及网络设备
Ahmed et al. Location-assisted handover for multimode mobile terminals
JP2004254115A (ja) 移動機、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KR20080084122A (ko) 유효 서비스/네트워크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10093314A (ko)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듀얼 모드 단말기 및 VoIP 호 착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